살라미스 (키프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라미스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번성한 도시 국가로, 키프로스 섬에 위치해 있었다. 로마 시대에는 성 바울로가 방문했으며, 4세기의 지진으로 파괴된 후 콘스탄티우스 2세에 의해 콘스탄티아로 재건되었다. 살라미스는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구리 광산으로 인해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페르시아 지배에 저항하고 그리스 문화가 번성했으나, 아랍의 공격으로 파괴되어 파마구스타로 주민들이 이주했다. 현재는 유적지로 남아 있으며, 극장, 체육관 등 고대 로마 시대의 건축물과 유물이 발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프로스의 유적 - 키티온
키티온은 기원전 13세기경 키프로스에 형성되어 페니키아인들의 영향을 받아 번성한 고대 도시 국가이자 왕국으로, 현재의 라르나카 시에 위치하며 다양한 고고학적 유적을 통해 당시의 역사와 문화를 알 수 있다. - 신약의 도시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신약의 도시 - 예루살렘
예루살렘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이며, 5,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핵심 쟁점 지역이다. - 고대 그리스의 도시 - 사르디스
사르디스는 터키 서부의 고대 도시로, 뤼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를 거치며 재건되었지만 지진과 침략으로 쇠퇴했으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중요성이 감소했으나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고 현재는 다양한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는 고고학적 유적지이다. - 고대 그리스의 도시 - 에페소스
에페소스는 튀르키예 서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아르테미스 숭배와 동지중해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번영을 누렸으나 잦은 침략과 항구 매몰로 쇠퇴하여 15세기 이후 버려졌다.
살라미스 (키프로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일반 정보 | |
이름 | 살라미스 |
원어 이름 (그리스어) | Σαλαμίς |
현대 그리스어 | Σαλαμίνα |
터키어 | Salamis |
대체 이름 | 살라미나 |
위치 | 파마구스타 구, 키프로스 |
유형 | 주거지 |
좌표 | 35°11′N 33°54′E |
웹사이트 | 살라미스 가상 투어 |
역사 | |
고고학 | |
기타 |
2. 역사
기원전 11세기(후기 청동기 시대 3기)에 최초의 고고학적 발견이 이루어졌다. 키프로스의 구리 광석은 이 섬을 초기 무역로의 필수적인 요지로 만들었으며, 발터 부르케르트는 그리스 암흑기 그리스 본토의 동방화 시기에 영향을 주었다고 1992년 주장했다. 카나아니테 단지 안의 어린이 매장은 포이니케 인들의 존재를 시사한다. 이 시기의 항구와 묘지가 발굴되고 있다. 이 마을은 아시리아 기록에서 이아드나나 왕국(당시의 키프로스) 중 하나로 언급된다.[10] 877년 아시리아 군이 최초로 지중해 해안에 도달했으며, 기원전 708년 키프로스 도시의 왕들이 아시리아의 사르곤 2세에게 조공을 바쳤다. 최초의 동전은 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의 원형을 따라 주조되었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번성했던 도시 국가로, 로마 제국 시대에는 성 바울로가 제1차 선교 여행 중 키프로스 섬을 방문했을 때 살라미스와 서해안의 파포스에 들렀다.[11] 4세기 지진으로 파괴된 살라미스는 콘스탄티우스 2세에 의해 콘스탄티아(Constantia)로 재건되었고, 성 에피파니우스가 이곳에서 주교를 역임했다. 이후 도시는 쇠퇴하여 7세기 아랍인의 공격을 받아 무아위야 1세에 의해 파괴되었고, 주민들은 현재의 파마구스타로 이동했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11세기(청동기 시대 후기)에 건설되었다. 키프로스의 구리 광석은 이 섬을 초기 무역로의 핵심 지역으로 만들었으며, 발터 부르케르트는 그리스 암흑기 그리스 본토의 동방화 시기에 키프로스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1992년 주장했다. 가나안 항아리에 담긴 어린이 매장은 페니키아인들의 존재를 보여준다.[1] 이 시기의 항구와 묘지가 발굴되고 있다. 이 마을은 아시리아 기록에서 이아드나나 왕국(당시의 키프로스) 중 하나로 언급된다.[10] 877년 아시리아 군이 처음으로 지중해 해안에 도달했다. 기원전 708년 키프로스 도시의 왕들이 아시리아의 사르곤 2세에게 조공을 바쳤다. 최초의 동전은 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의 원형을 따라 주조되었다.키프로스는 이 시기에 아시리아의 통제를 받았지만, 섬의 도시 국가들은 아시리아 왕에게 조공을 바치는 한 상대적인 독립을 누렸다. 이로 인해 여러 도시의 왕들이 부와 권력을 축적할 수 있었다. 살라미스의 "왕릉"에서 보이는 특정 매장 관습은 죽은 자를 기리기 위한 말 희생, 올리브 오일 항아리 봉헌과 같은 호메로스 의식과 직접 관련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현상을 키프로스에서 호메로스 서사시의 영향으로 해석했다. 대부분의 부장품은 레반트나 이집트에서 나왔다.
건국 신화에 따르면 살라미스의 건국자는 텔라몬의 아들 테우케르라고 한다. 그는 트로이 전쟁 이후 형제 아약스의 복수를 하지 못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미케네인(엔코미)이 도착하기 훨씬 전에 이 지역이 점령되었고, 엔코미가 바다와 고립되자 살라미스 도시가 그 대안으로 개발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그 외에 건국 신화를 뒷받침할 만한 직접적인 증거는 거의 없다.
2. 2. 그리스 시대
기원전 11세기 후기 청동기 시대 3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최초의 고고학적 발견 이후, 살라미스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번성했던 도시 국가였다. 키프로스의 구리 광석은 이 섬을 초기 무역로의 필수적인 요지로 만들었으며, 그리스 암흑기 그리스 본토의 동방화 시기의 원천이었다고 발터 부르케르트는 1992년 주장했다.[10]아시리아의 통제 속에서도 살라미스는 상대적인 독립을 유지하며 부와 권력을 축적했다. 살라미스 왕릉에서 발견된 특정 매장 관습은 호메로스 서사시의 의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원전 8세기와 기원전 7세기 동안 살라미스는 근동 및 에게 해와 교류했다. 한 왕실 무덤에서 발견된 그리스 기하학 도기는 살라미스 왕가와 결혼한 그리스 공주의 지참금으로 추정된다. 그리스인들이 동쪽으로 진출하여 소아시아 및 시리아에 식민지를 건설할 때 살라미스는 중간 기착지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3. 페르시아 지배에 대한 저항
기원전 450년, 살라미스는 아테네와 페르시아 간의 육해상 동시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이것은 기원전 480년 아티카의 살라미스에서 그리스와 페르시아 간에 벌어진 살라미스 해전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2]초기 고졸기와 고전기 동안의 살라미스의 역사는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의 기록과 훨씬 후대의 그리스 웅변가 이소크라테스의 연설에 반영되어 있다. 살라미스는 이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에 의해 포위되어 정복되었다. 에바고라스 1세 왕(기원전 411-374년) 치하에서 그리스 문화와 예술이 이 도시에서 번성했다. 살라미스에서 고전기의 종말을 보여주는 기념물은 기원전 311년에 사망한 살라미스의 마지막 왕 중 한 명인 니코크레온의 위령탑을 덮은 묘총이다. 이 기념물 플랫폼에서는 여러 점토 두상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 일부는 초상화이며, 아마도 장례식 후 명예를 얻은 왕족의 구성원일 것이다.
2. 4.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로마 제국
알렉산드로스 3세가 페르시아 제국을 정복한 후, 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키프로스 섬을 통치했다. 그는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기원전 311년에 당시 섬의 프톨레마이오스 총독이었던 니코크레온에게 자살을 강요했고, 그의 자리를 프톨레마이오스 1세의 형제인 메넬라오스가 대신했다.[3] 니코크레온은 엔코미 근처의 큰 고분 중 하나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살라미스는 총독의 소재지로 남았다.기원전 306년, 살라미스는 데메트리오스 1세와 프톨레마이오스 1세의 함대 사이에 벌어진 해전의 장소였다. 데메트리오스가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섬을 점령했다.
기원전 58년, 로마 공화국은 키프로스를 합병했다. 원로원은 카토 (소)에게 키프로스를 공화국의 영토에 추가하도록 위임했다. 마지막 키프로스 왕인 키프로스의 프톨레마이오스는 로마에 항복하기보다는 자살을 선택했다.[3]
로마 제국 시대에 살라미스는 고대 로마의 킬리키아 속주의 일부였다. 총독의 소재지는 파포스로 이전되었다. 이 도시는 서기 116~117년 디아스포라 봉기 동안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살라미스는 헬레니즘 시대 이후 파포스에 의해 수도 자리를 물려주면서 키프로스의 수도가 아니게 되었지만, 그 부와 중요성은 줄어들지 않았다. 이 도시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와 하드리아누스의 특별한 총애를 받았으며, 이들은 공공 건물을 복원하고 건설했다.
2. 5. 로마 및 비잔틴 시대
로마 시대 살라미스의 "문화 중심지"는 도시 최북단에 위치했으며, 이곳에서 체육관, 극장, 원형극장, 경기장 및 공중 목욕탕이 발견되었다.[10]목욕탕, 공중 변소(44명 사용), 다양한 작은 조각의 모자이크, 항구 벽,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의 아고라, 그리고 피난처를 제공할 권한이 있는 제우스 신전이 있다. 비잔틴 시대의 유적에는 에피파노스 주교(서기 367–403년)의 바실리카가 포함된다. 이곳은 살라미스의 대교구 교회로 사용되었다. 성 에피파니오스는 남쪽 앱스에 묻혔다. 교회에는 히포코스트에 의해 가열되는 세례당이 있었다. 교회는 7세기에 파괴되었고 그 남쪽에 더 작은 건물로 대체되었다.[10]
매우 광범위한 유적이 있다. 극장과 체육관은 광범위하게 복원되었다. 체육관 중앙 안뜰에는 머리가 없는 조각상을 포함하여 수많은 조각상이 전시되어 있다. 아우구스투스의 조각상은 원래 이곳에 있었지만, 일부 기둥과 조각상은 원래 극장을 장식했고 4세기의 지진 이후에 이곳으로 옮겨졌다. 극장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것으로, 최대 15,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었지만 4세기에 파괴되었다.[10]
도시는 7세기에 파괴된 키트레아에서 온 수로로 물을 공급받았다. 물은 아고라 근처의 큰 저수조에 모였다. 살라미스의 네크로폴리스는 도시 서쪽으로 약 7km2를 덮고 있다. 그곳에는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이 있다. 매장은 기하학적 시대부터 헬레니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가장 잘 알려진 매장은 전차와 이집트와 시리아에서 수입된 것을 포함한 매우 풍부한 부장품을 포함하는 소위 왕릉이다. 1965년 리옹 대학교의 프랑스 탐사대가 발굴한 묘는 근동과의 무역 관계를 증명하는 묘의 부장품의 엄청난 양을 밝혀냈다.[10]
2. 6. 초기 기독교
바울과 키프로스 출신 바나바는 1차 선교 여행 중 로마 시리아의 안티오크에서 출발하여 살라미스를 첫 번째 목적지로 삼았다. 그들은 섬의 나머지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유대교 회당에서 그리스도를 선포했다(사도행전 13:1-5).[11] 전설에 따르면, 바나바는 알렉산드리아와 로마에서 설교했으며, 서기 61년경 살라미스에서 돌에 맞아 죽었다고 한다. 그는 키프로스 교회의 창립자로 여겨진다.[8] 그의 유해는 그를 기리기 위해 지어진 근처의 수도원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세기 초, 여러 차례의 지진으로 살라미스는 파괴되었다. 이 도시는 콘스탄티우스 2세(337–361)에 의해 콘스탄티아라는 이름으로 재건되었으며, 주교좌가 되었는데, 가장 유명한 주교는 성 에피파니우스였다.[9] 콘스탄티우스 2세는 살라미스인들이 도시를 재건하는 것을 돕고, 짧은 기간 동안 세금 납부를 면제해 주었다. 항구의 퇴적 현상으로 인해 도시는 점차 쇠퇴했다. 살라미스는 무아위야 1세(661-680 재위)의 파괴 이후 7세기의 아랍 침공 동안 마침내 버려졌다. 주민들은 아르시노에(파마구스타)로 이주했다.[8]
3. 발굴
19세기 후반 키프로스 탐사 기금의 후원으로 살라미스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이 시작되었다.[4] 발굴된 많은 유물은 현재 런던의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5]
1952년부터 1974년까지 발굴이 재개되었으나,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 이후 국제 제재로 인해 중단되었다. 현재 유적지와 박물관은 고대 유물 관리국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성 바나바스 수도원에는 중요한 고고학 컬렉션이 보관되어 있다. 지방 고고학 박물관에는 살라미스 체육관과 극장에서 출토된 대리석 조각상, 엔코미에서 출토된 미케네 도자기와 보석 등이 전시되어 있다. 일부 조각상은 후기 고대 시대 로마 제국 말기 이교도 박해 동안 기독교인들에 의해 훼손되었다.[6]
발굴된 공공 건물들은 대부분 고전기 이후 시대의 것이다. 테우케르가 숭배를 확립했다는 제우스 살라미니오스 신전은 도시 건설 초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존하는 유적은 후기 헬레니즘 시대의 것이다. 초기 발굴자들은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거대한 대리석 주두를 발견했는데,[7] 이 주두는 아케메네스 왕조 예술의 영향을 보여주며 기원전 300년에서 250년 사이로 추정된다.
4. 갤러리
참조
[1]
서적
Neo-Assyrian Toponyms
1970
[2]
간행물
Kition in the Tenth to Fourth Centuries B. C.
1997-11
[3]
기타
Strabo, xiv.; [[Dio Cassius]], xxxviii. 30, xxxix. 22; Livy, ''Epit.'' civ.; Plutarch, ''Cato Minor'', 34-36; Appian, ''B. C.'', ii. 23; [[Velleius Paterculus]] ii. 45; [[Cicero]], ''pro Sext.'', 26-28; [[Valerius Maximus]], ix. 4
[4]
웹사이트
Cyprus Exploration Fund (Biographical details)
https://www.britishm[...]
The British Museum
[5]
웹사이트
Collection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6]
서적
Making and Breaking the Gods: Christian Responses to Pagan Sculpture in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capital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8]
성경
『[[新約聖書]]』「[[使徒言行録]]」13章4節から12節。
[9]
웹사이트
サラミスの聖エピファニウス
http://hvri.gouketu.[...]
[10]
서적
Neo-Assyrian Toponyms
1970
[11]
성경
[[신약성서]], [[사도행전]], 13장 4절~12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