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물전은 고대부터 사용된,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여 적에게 질병을 유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는 고대 히타이트, 아시리아, 스키타이 등에서 생물학적 무기 사용 사례가 기록되었으며, 14세기 흑사병 시기에는 몽골군이 흑사병으로 사망한 시체를 성벽 너머로 던져 생물전을 시도했다는 기록이 있다. 18세기에는 천연두에 감염된 담요를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전달하는 등 생물학적 무기가 사용되었다. 1, 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생물학 무기의 개발과 사용 시도가 있었으며, 특히 일본 731 부대는 생체 실험과 세균전을 자행했다. 이러한 생물학 무기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1925년 제네바 의정서, 1972년 생물 무기 금지 조약(BWC) 등이 체결되었으며, 2004년에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540을 통해 비국가 행위자의 생물 무기 확산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생물학 무기는 대인용, 대가축용, 대농작물용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병원체와 독소가 무기화될 수 있다. 현대에는 유전 공학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유형의 생물 무기 개발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에 대한 방어 및 감시 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16세기부터 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생물학적 제제가 널리 사용되었는데, 대부분 독화살, 전쟁 전선에 뿌리는 가루, 적군의 말과 물 공급을 오염시키는 형태로 사용되었다.[22][23] 보르구에서는 적을 죽이거나, 최면을 걸거나, 적을 대담하게 만들고, 적의 독에 대한 해독제 역할을 하는 특별한 혼합물이 존재했다. 생물학적 제제의 제조는 특정 전문 직업인인 의술가에게 맡겨졌다.[23]
생물 무기는 탐지가 어렵고, 경제적이며 사용하기 쉬워 테러리스트에게 매력적인 수단으로 간주된다. 생물 무기 생산 비용은 킬로미터 제곱미터당 비슷한 수의 대량 사상자를 발생시키는 데 드는 통상적인 무기 비용의 약 0.05%로 추정된다.[66] 또한, 백신, 식품, 살포 장치, 음료 및 항생제 생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일반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생물학적 무기를 생산할 수 있어 생산이 매우 쉽다. 테러리스트가 생물학전을 선호하는 이유는 잠복기가 3~7일로, 테러 이후 조사가 시작되기 전에 도주할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2. 역사
1900년까지 세균설과 세균학의 발전은 전쟁에서 생물학적 제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한 기술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1925년 제네바 의정서는 국제 무력 분쟁에서 적국에 대한 화학 및 생물학 무기의 최초 사용을 금지했다.[37]
공격적인 생물전은 1972년 생물 무기 금지 협약(BWC)으로 금지되었다. 2013년 4월 현재 170개국이 BWC에 비준 또는 가입했으며,[131] 이 조약은 다수의 민간인 희생과 경제적·사회적 인프라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생물학적 공격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32] 현재 BWC 체결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가 생물전에 대한 방어 또는 보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이는 BWC에 의해 금지되지 않았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생물전의 초보적인 형태는 고대부터 시행되어 왔다.[15] 기원전 1500년에서 1200년 사이 히타이트 기록에는 알 수 없는 역병(아마도 툴라레미아)의 희생자들을 적의 영토로 몰아내 역병을 일으켰다는 내용이 있다.[16] 아시리아인들은 적의 우물에 맥각 곰팡이를 넣어 오염시켰지만, 그 결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스키타이인 궁수들과 로마 군인들은 칼과 화살에 배설물과 시체를 묻혀, 희생자들이 흔히 파상풍에 감염되게 하였다.[17] 1346년, 흑사병으로 사망한 골든 호드 소속 몽골 전사들의 시체가 크림 반도의 카파 포위 중 성벽 너머로 던져졌다. 이 작전이 흑사병이 유럽, 근동, 북아프리카로 확산되어 약 2,500만 명의 유럽인 사망자를 낸 원인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18][19][20][21]
2. 2. 근세
1763년 6월, 프랑스-인디언 전쟁 기간 동안 아메리카 원주민 집단이 영국이 점령한 포트 피트를 포위했다.[24] 포트 피트 사령관인 스위스 출신 헨리 부케 대령의 지시에 따라 시몬 에퀴에르 대위는 그의 부하들에게 병원에서 천연두에 감염된 담요를 꺼내 포위 중에 있던 레나페 대표단에게 주도록 명령했다.[25][26][27] 1763년부터 1764년까지 오하이오 컨트리에서 발생한 보고된 발병으로 인해 100명이나 되는 원주민이 사망했다. 천연두가 포트 피트 사건의 결과인지 아니면 몇 년마다 자체적으로 발병하는 레나페에게 이미 바이러스가 존재했는지는 불분명하다.[28] 그리고 대표단은 나중에 다시 만났고, 천연두에 걸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29][30][31]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대륙군 장교인 조지 워싱턴은 대륙 회의에 보스턴 포위전 당시 그의 적이었던 윌리엄 하우 장군이 1775–1782 북미 천연두 유행을 미국 전선으로 퍼뜨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민간인을 도시 밖으로 내보냈다는 소문을 선원으로부터 들었다고 언급했다. 워싱턴은 그 주장을 "믿기 어렵다"고 적었다. 워싱턴은 이미 그의 병사들에게 예방 접종을 실시하여 유행의 영향을 줄였다.[32][33] 일부 역사가들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에 주둔한 왕립 해병대 분견대가 1789년에 그곳에서 의도적으로 천연두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34]
2. 3.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동안 독일 제국은 탄저균이나 비저균을 사용한 생물학적 파괴 공작을 시도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36]
2.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은 윈스턴 처칠의 지원 아래 미생물학자 폴 필즈가 이끄는 생물학전 프로그램을 포턴 다운에 설립했다. 야토병, 탄저병, 브루셀라증, 보툴리누스 중독 독소가 효과적으로 무기화되었다. 특히 스코틀랜드의 그루이나드 섬은 광범위한 실험으로 탄저병에 오염되어 56년 동안 격리되었다.[38] 영국은 개발한 생물학 무기를 공격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치명적인 병원체를 성공적으로 무기화하여 산업 생산에 도입한 최초의 국가였다.[38]
미국이 전쟁에 참전하자 영국의 요청에 따라 연합군의 자원이 통합되었다. 미국은 1942년 조지 W. 머크의 지휘 아래 메릴랜드주 포트 데트릭에 대규모 연구 프로그램과 산업 단지를 설립했다.[40] 유타주의 듀그웨이 시험장에서 생물학 및 화학 무기 시험이 진행되었다. 곧 탄저병 포자, 브루셀라증, 보툴리누스 중독 독소를 대량 생산하는 시설이 갖춰졌지만, 이 무기가 실질적으로 사용되기 전에 전쟁이 끝났다.[41]
이 시기 가장 악명 높은 프로그램은 중일 전쟁 (1937-1945) 기간 동안 만주 핑판에 주둔한 일본 제국 육군 731 부대에 의해 운영되었다. 이시이 시로 중장이 지휘한 이 부대는 죄수를 대상으로 치명적인 생체 실험을 수행하고 전투용 생물학 무기를 생산했다.[42] 일본은 기술적 정교함은 부족했지만, 광범위한 적용과 잔혹성 면에서는 뛰어났다. 생물학 무기는 여러 군사 작전에서 중국 군인과 민간인을 상대로 사용되었다.[43] 1940년, 일본 육군 항공대는 흑사병을 옮기는 벼룩이 든 도자기 폭탄으로 닝보를 폭격했다.[44] 이러한 작전 중 다수는 비효율적인 전달 시스템으로 인해 효과가 없었지만,[42] 최대 4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수 있다.[45] 1942년 저장-강서 작전 동안, 일본군 생물학 무기 공격이 자체 병력에 반발하여 10,000명의 일본군 중 약 1,700명이 질병으로 사망했다.[46][47]
제2차 세계 대전 마지막 몇 달 동안, 일본은 밤의 벚꽃 작전 동안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있는 미국 민간인을 상대로 흑사병을 생물학 무기로 사용할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1945년 9월 22일에 실행될 예정이었지만,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인해 실행되지 않았다.[48][49][50]
2. 5. 냉전 시대
1950년대 영국에서는 페스트, 브루셀라증, 야토병과 이후 말 뇌염 및 우두 바이러스를 무기화했지만, 이 프로그램은 1956년에 일방적으로 취소되었다. 미국 육군 생물학전 연구소는 탄저병, 야토병, 브루셀라증, Q 열 등을 무기화했다.[51]
1969년,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은 미국의 공격적 생물학 무기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종결하기로 결정하고, 방어 조치를 위한 과학 연구만 허용했다.[52] 이 결정은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군축 위원회 회의에서 이루어진 생물학전 금지 협상의 탄력을 높였다.[53] 이러한 협상은 생물 무기 금지 협약으로 이어졌으며, 1972년 4월 10일에 서명이 시작되어 22개 국가의 비준을 거쳐 1975년 3월 26일에 발효되었다.[53]
생물 무기 금지 협약의 당사국이자 기탁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표면상 민간 기관인 비오프레파라트의 주도하에 대규모 공격적 생물학 무기 프로그램을 지속하고 확장했다.[93] 1979년 스베르들로프스크 탄저병 유출 사고로 약 65명에서 100명이 사망하면서 소련은 국제적인 의심을 받았다.[54]
2. 6.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역사학자 베니 모리스와 벤자민 케다르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중 암호명 빵을 뿌려라 작전이라는 생물학적 무기 작전을 수행했다.[55] 하가나는 장티푸스균을 사용하여 새로 점령한 아랍 마을의 우물을 오염시켜 민병대를 포함한 주민들의 귀환을 막았다.[55] 이후 생물학전 캠페인은 아랍군에 점령될 위기에 처한 유대인 정착촌과 점령 대상이 아닌 아랍 마을로 확대되었다.[55] 또한 이집트, 레바논, 시리아를 포함한 다른 아랍 국가로 생물학전 캠페인을 확대할 계획도 있었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55]
3. 현대의 생물학 무기
알 카에다와 같은 테러 조직은 생물학 무기를 사용하려는 시도를 한 바 있다. 2002년, CNN은 알 카에다가 리신과 시안산 공격을 계획했음을 보도했다.[68]
CRISPR-Cas9(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와 같은 유전자 편집 기술의 발전은 더욱 강력하고 통제하기 어려운 생물학 무기 개발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 기술은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고, 특정 단백질을 코딩하는 새로운 서열로 대체하여 유기체의 특성을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이 악용될 경우, 위험한 생물 무기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67]
군사용 전술 무기로서 생물학전의 문제점은 효과 발현까지 며칠이 걸려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점이다. 일부 생물학적 제제(천연두, 폐 페스트)는 비말, 생물 에어로졸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또한 실험실에서 연구 중이던 에볼라로 연구자가 감염되어 사망한 사례도 보고되었다.[13][14]
생물 병기의 대량 생산, 비축, 사용을 포함하는 공격적인 생물전은 1972년 생물 무기 금지 조약(BWC)으로 금지되었다.
3. 1. 곤충 매개 생물학 무기
Entomological warfare영어 (EW)는 곤충을 사용하여 적을 공격하는 생물전의 한 유형이다. 이 개념은 수세기 동안 존재해 왔으며 현대에도 연구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곤충전은 일본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전투에 사용되었으며, 곤충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용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72] 곤충전은 곤충을 직접적인 공격에 사용하거나, 생물학적 제제, 예를 들어 페스트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다. 곤충전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곤충을 병원체로 감염시킨 다음, 표적 지역에 살포하는 방식이다.[72] 그러면 곤충은 매개체 역할을 하여 물 수 있는 사람이나 동물을 감염시킨다. 두 번째는 작물을 직접 공격하는 것이다. 곤충은 병원체에 감염되지 않을 수 있지만 대신 농업에 위협이 된다. 마지막 방법은 벌이나 말벌과 같이 감염되지 않은 곤충을 사용하여 적을 직접 공격하는 것이다.[7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 육군 731 부대는 중일 전쟁 (1937-1945) 기간 동안 만주 핑판에 주둔하며 죄수를 대상으로 치명적인 생체 실험을 수행하고 전투용 생물학 무기를 생산했다.[42] 이들은 벼룩을 이용해 흑사병을 퍼뜨리는 생물학 무기를 개발하여 중국 군인과 민간인을 상대로 사용했다.[43] 1940년, 일본 육군 항공대는 흑사병을 옮기는 벼룩이 든 도자기 폭탄으로 닝보를 폭격했다.[44] 비록 비효율적인 전달 시스템으로 인해 효과가 제한적이었지만,[42] 최대 4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수 있다.[45]
3. 2. 유전 공학 이용
합성 생물학 등 새로운 생명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백신이나 치료제에 내성을 가진 새로운 병원체를 개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74][75][76][77]
이러한 기술은 다음과 같은 능력을 부여할 수 있다.
합성 생물학의 생물 보안 문제는 대부분 DNA 합성과 실험실에서 치명적인 바이러스(예: 1918년 스페인 독감, 소아마비)의 유전 물질을 생산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8][79][80] 최근에는 CRISPR/Cas 시스템이 유전자 편집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이를 "약 30년 만에 합성 생물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혁신"이라고 평가했다.[81] CRISPR는 다른 방법에 비해 유전자 서열 편집 시간을 몇 주 정도로 단축시킨다.[6] 그러나 사용 편의성과 접근성 때문에, 특히 바이오 해킹 분야에서의 사용과 관련하여 여러 윤리적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81][82][83]
4. 생물학 무기의 종류
생물학 무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대인용 생물학 무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무기이다. 탄저균, 페스트균, 천연두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 대가축용 생물학 무기: 가축을 대상으로 하는 무기이다. 구제역 바이러스, 우역 바이러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 대농작물용 생물학 무기: 농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무기이다. 벼 도열병, 밀 흑수병 등이 있으며, 제초제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4. 1. 대인용 생물학 무기
탄저균, 페스트균, 천연두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보툴리누스 독소 등이 대표적인 대인용 생물학 무기로 꼽힌다. 이상적인 대인용 생물학 무기는 높은 전염성, 높은 독성, 백신 부재, 효과적인 전달 시스템 등의 특징을 가진다.[93]예를 들어,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은 효과적인 제제로 간주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분산 에어로졸에 완벽한 튼튼한 포자를 형성한다.
- 사람 간 전염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2차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거의 없다.
- 폐 탄저 감염은 일반적인 독감 유사 증상으로 시작하여 3~7일 이내에 치명적인 출혈성 종격동염으로 진행되며,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치사율은 90% 이상이다.[84]
- 아군과 민간인은 적절한 항생제로 보호할 수 있다.
1kg의 탄저균이 10만여 명을 살상할 수 있다. 북한의 SCUD-B 미사일은 56kg의 생물학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데, 이 미사일이 서울에 떨어지면 약 60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176]
무기화 대상으로 고려되거나 무기화된 것으로 알려진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제제 및 독소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독소와 이를 생성하는 유기체는 때때로 선택 제제라고 불린다. 미국에서는 이들의 소유, 사용 및 이전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선택 제제 프로그램에 의해 규제된다.
전 미국 생물학전 프로그램은 무기화된 대인용 생물 제제를 '''치사 제제'''(''탄저균'', ''털리미아균'', 보툴리누스 독소) 또는 '''무력화 제제'''(''브루셀라 수이스'', ''큐열균'', 베네수엘라 말 뇌염 바이러스, 포도상구균성 장독소 B)로 분류했다.
4. 2. 대가축용 생물학 무기
구제역 바이러스, 우역 바이러스,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등은 가축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93] 1980년대 소련 농업부는 소에게는 구제역과 우역을, 돼지에게는 아프리카 돼지 열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를 개발하여 비행기로 살포할 수 있도록 준비했는데, 이 비밀 프로그램은 "생태학"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렸다.[93]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과 캐나다는 소의 치명적인 질병인 우역을 생물 무기로 사용하는 것을 비밀리에 조사하기도 했다.[90][92]4. 3. 대농작물용 생물학 무기
벼 도열병, 밀 흑수병 등 식물 병원균을 이용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방식이며, 제초제도 생물학 무기로 분류될 수 있다.[87] 미국은 냉전 시대에 적의 농업을 파괴하기 위해 식물 질병 (생물 제초제 또는 균류 제초제)을 사용하는 대 작물 능력을 개발했다. 밀 도열병과 벼 도열병과 같은 질병은 항공 살포 탱크와 집속탄으로 무기화되어 농업 지역의 적대적 유역에 뿌려져 식물 전염병을 일으켰다.[86]5. 생물학 무기 방어
생물학적 공격은 많은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경제 및 사회 기반 시설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11] 대량 살상 무기 및 개발, 저장 비용을 기준으로 할 때, 생물학 무기는 핵, 화학, 재래식 무기보다 훨씬 더 큰 파괴력과 인명 피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생물학적 제제는 전장에서의 공격 무기로서의 효용성 외에도 전략적 억지력으로 잠재적으로 유용하다.[12]
군사용 전술 무기로서 생물학전의 중요한 문제점은 효과를 발휘하는 데 며칠이 걸릴 수 있으며, 따라서 상대 세력을 즉시 멈추게 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부 생물학적 제제(천연두, 폐 페스트)는 비말, 생물 에어로졸을 통해 전파될 수 있어 의도하지 않은 집단, 중립 세력 또는 우호 세력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그러한 무기가 사용 의도가 없더라도 개발된 실험실에서 "유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감염된 연구원이 이를 깨닫기 전에 외부 세계로 전파하는 경우가 있으며, 실제로 실험실에서 연구하던 에볼라로 연구자가 감염되어 사망한 사례가 여러 건 알려져 있다.[13][14]
공격적인 생물학전은 1972년 생물무기금지조약(BWC)으로 금지되었다. 2013년 4월 현재 170개국이 비준 또는 가입한 이 조약은[131] 다수의 민간인이 희생되고 경제적·사회적 인프라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생물학적 공격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32] 현재 BWC 체결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가 생물전에 대한 방어 또는 보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이는 BWC에 의해 금지되지 않았다.
5. 1. 의료 대응
생물학 무기는 탐지하기 어렵고, 경제적이며, 사용하기 쉬워 테러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66] 백신, 식품, 살포 장치, 음료 및 항생제 생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이 가능하며, 잠복기가 3~7일로 테러리스트가 도주할 시간을 벌 수 있다.[66]이에 대한 의료적 대응으로, 생물무기금지조약 당사국 회의에서는 감염 및 기생충 매개체 감시 강화를 위한 위생 역학 정찰이 제안되었다.[95] 많은 국가에서는 군인에게 탄저병, 천연두 등 생물 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예방 접종을 의무화하고 있다.[96][97]
인간 임상의와 수의사가 참여하는 감시 시스템은 전염병 발생 초기에 생물 무기 공격을 식별하여, 질병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100] 예를 들어, 탄저병 공격 후 24~36시간 이내에 소수의 개인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공중 보건 관계자는 이를 인식할 수 있다.[101] 탄저병의 잠복기는 약 11.8일에서 12.1일로 추정되며, 조기 발병 사례 분포에 대한 이전 추정치를 개선한다.[102] 노출된 인구의 80% 이상이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항생제 치료를 받으면 높은 사망률을 피할 수 있다.[101]
5. 2. 공중 보건 감시
의심스러운 질병 발생을 조기에 감지하고 역학 조사를 실시하여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인간 임상의와 수의사가 참여하는 강력한 감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염병 발생 초기에 생물 무기 공격을 식별하여, 아직 아프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질병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100]예를 들어, 탄저병의 경우 공격 후 24~36시간 이내에 소수의 사람들이 고전적인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101] 인간의 잠복기는 약 11.8일에서 12.1일로 추정된다.[102] 이러한 데이터를 지역 공중 보건 관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면, 대부분의 탄저병 전염병 모델은 노출된 인구의 80% 이상이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항생제 치료를 받아 높은 사망률을 피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101]
생물학 무기 공격의 징후는 다음과 같다.
징후 | 설명 |
---|---|
흔하지 않은 병원체 | 역학적 설명이 부족한 특정 질병의 단일 원인 |
유전자 조작 병원체 | 흔하지 않거나 희귀하며, 유전자 조작된 병원체 균주 |
높은 이환율 및 사망률 | 동일하거나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높은 이환율 및 사망률 |
특이한 질병 발현 | 질병의 특이한 발현 |
특이한 지리적/계절적 분포 | 특이한 지리적 또는 계절적 분포 |
풍토병의 증가 | 안정적인 풍토병이지만, 설명되지 않은 관련성 증가 |
드문 전파 방식 | 에어로졸, 음식, 물 등 드문 전파 방식 |
특정 환기 시스템 관련 발병 | 일반 환기 시스템을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질병이 관찰되지만, 별도의 밀폐된 환기 시스템을 갖춘 사람들에게는 질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
설명되지 않는 질병의 공존 | 다른 설명 없이 동일한 환자에게 서로 다른 설명되지 않는 질병이 공존하는 경우 |
광범위한 집단에 영향 | 광범위하고 이질적인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드문 질병 (호흡기 질환은 병원체 또는 물질을 흡입했음을 시사할 수 있음) |
특정 집단에서 흔하지 않은 질병 | 특정 인구 집단 또는 연령대에서 흔하지 않은 질병 발생 |
동물 질병 발생 | 인간의 질병 발생 전이나 동시에 동물 개체군에서 특이한 죽음 및/또는 질병 발생 |
동시 다발적 치료 요청 | 많은 환자들이 동시에 치료를 요청하는 경우 |
유사한 유전자 구성 | 영향을 받은 개인의 병원체에서 유사한 유전자 구성 |
동시 다발적 질병 발생 | 국내 또는 국외의 비연속 지역에서 유사한 질병 동시 발생 |
다수의 질병/사망 사례 | 설명되지 않는 질병과 사망 사례 다수 발생 |
5. 3. 생물학 무기 식별 기술
현장에서 생물학 무기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식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LLNL) 연구원들은 형광 염료로 표지된 특정 병원체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가 은 및 금 나노와이어에 부착되는 "샌드위치 면역 분석법"을 개발 중이다.[104]네덜란드 응용 과학 연구를 위한 네덜란드 기구(TNO)는 바이오에어로졸 단일 입자 인식 장비(BiosparQ)를 설계했다. 이 시스템은 네덜란드에서 생물 무기 공격에 대한 국가 대응 계획에 구현될 것이다.[105]
벤 구리온 대학교의 이스라엘 연구원들은 BioPen이라는 장치를 개발하고 있는데, 이는 "펜 안의 실험실"과 같이 광섬유를 통합한 ELISA의 변형을 사용하여 20분 이내에 알려진 생물학적 에이전트를 감지할 수 있다.[106]
6. 국제법 및 협약
생물전에 대한 국제적 제한은 1925년 제네바 의정서에서 시작되었다. 1972년 생물 무기 금지 조약(BWC)은 제네바 의정서를 보완하여 생물 무기의 개발, 생산, 획득, 이전, 비축 및 사용을 금지했다.[6] 1975년 3월 26일에 발효된 BWC는 대량 살상 무기의 전체 범주에 대한 생산을 금지한 최초의 다자간 군축 조약이었다.[6] 2021년 3월 현재, 183개국이 이 조약에 가입했다.[60] BWC는 생물 무기에 대한 강력한 세계적 규범을 확립한 것으로 간주되며,[61] 조약 전문에 "생물 무기의 사용은 인류의 양심에 반하는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62] 그러나 BWC의 효능은 부적절한 제도적 지원과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공식적인 검증 체제의 부재로 인해 제한되었다.[63]
1985년에는 화학 및 생물 무기 확산 방지를 목표로 하는 43개국의 다자간 수출 통제 체제인 오스트레일리아 그룹이 설립되었다.[64] 2004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안 1540을 통과시켰으며, 이는 모든 유엔 회원국이 특히 대량 살상 무기의 비국가 행위자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화학 무기, 생물학적, 방사능 무기, 핵무기 및 그 전달 수단에 대한 적절한 법적, 규제적 조치를 개발하고 시행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65]
6. 1. 제네바 의정서 (1925)
1925년 제네바 의정서는 국제 무력 분쟁에서 생물학 및 화학 무기 사용을 금지했다.[37][57] 그러나 이 의정서는 생물학 무기의 소유나 개발은 금지하지 않았다.[37][57] 여러 국가들은 제네바 의정서 비준 시 보복 사용 가능성에 대한 유보 조항을 두었고,[58] 이로 인해 제네바 의정서는 사실상 "선제 불사용" 협정으로서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59]6. 2. 생물무기금지협약 (BWC, 1972)

1972년 생물 무기 금지 조약(BWC)은 제네바 의정서를 보완하여 생물 무기의 개발, 생산, 획득, 이전, 비축 및 사용을 금지했다.[6] 1975년 3월 26일에 발효된 BWC는 대량 살상 무기의 전체 범주에 대한 생산을 금지한 최초의 다자간 군축 조약이었다.[6] 2021년 3월 현재, 183개국이 이 조약에 가입했다.[60] BWC는 생물 무기에 대한 강력한 세계적 규범을 확립한 것으로 간주되며,[61] 조약 전문에 "생물 무기의 사용은 인류의 양심에 반하는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62]
그러나 BWC의 효능은 부적절한 제도적 지원과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공식적인 검증 체제의 부재로 인해 제한되었다.[63]
6. 3.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1540 (2004)
2004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안 1540을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은 모든 유엔 회원국에게 대량살상무기 및 그 운반 수단의 비국가 행위자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을 의무화했다. 특히, 화학 무기, 생물학적, 방사능 무기, 핵무기 및 그 전달 수단에 대한 적절한 법적, 규제적 조치를 개발하고 시행하도록 요구하고 있다.[65]7. 대한민국에 미치는 영향
북한은 생물학 무기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1kg의 탄저균은 10만 명을 살상할 수 있으며, 북한의 SCUD-B 미사일에 56kg의 생물학무기를 탑재하여 서울에 투하할 경우 약 60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이 있다.[176] 생물학적 공격은 다수의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경제 및 사회 기반 시설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11]
8. 관련 인물
'''과학자 및 행정가'''
- 쉬칭 로 (Shyh-Ching Lo)[107][108]
- 카나트잔 알리베코프 (켄 알리베크(Ken Alibek)로 알려짐)[109]
- 이라 볼드윈[110]
- 보터 바손
- 쿠르트 블로메[111]
- 오이겐 폰 하겐 (Eugen von Haagen)[112]
- 안톤 딜거[113]
- 폴 필데스[114]
- 아서 갤스톤 (무의식적으로)
- 쿠르트 구트자이트 (Kurt Gutzeit)[115]
- 라일리 D. 하우스라이트
- 이시이 시로
- 엘빈 A. 카바트
- 조지 W. 머크
- 프랭크 올슨
- 블라디미르 파세치니크[116]
- 윌리엄 C. 패트릭 3세[117]
- 세르게이 포포프[118]
- 테오도르 로즈버리
- 리하브 라시드 타하[119]
- 다케다 쓰네요시
- 후다 살리 마흐디 아마쉬
- 나시르 알-힌다위
- 에리히 트라우브[120]
- 오귀스트 트리야
- 오토 폰 로젠 남작[121]
- 와카마츠 유지로
- 야지드 수파트
'''작가 및 활동가'''
- 다니엘 바렌블라트
- 레오나드 A. 콜
- 스티븐 엔디콧
- 아서 갤스톤
- 잔 길르맹[122]
- 에드워드 해거먼
- 셸던 H. 해리스[123]
- 니콜라스 D. 크리스토프
- 조슈아 레더버그[124]
- 매튜 메셀슨[125]
- 토비 오드
- 리처드 프레스턴
- 에드 레지스
- 마크 휠리스
- 데이비드 윌만
- 에런 헨더슨
9. 대중 문화
구문은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생물학 무기는 영화,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종종 소재로 다루어진다.
참조
[1]
논문
Toxins as biological weapons for terror-characteristics, challenges and medical countermeasures: a mini-review
2016
[2]
서적
The Biological Weapons Taboo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3]
웹사이트
The Biological Weapons Taboo
https://warontherock[...]
2023-10-18
[4]
웹사이트
Rule 73. The use of biological weapons is prohibited.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5]
간행물
Customary Internal Humanitarian Law, Vol. II: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6]
웹사이트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s://www.un.org/d[...]
2021-03-02
[7]
서적
War Cri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8]
문서
Article I,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wikisource:Biologica[...]
[9]
서적
Deadly Cultures: Biological Weapons Since 1945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Another Bloody Century: Future Warfare
Phoenix
2007
[11]
논문
Pathogens as Weapons: The International Security Implications of Biological Warfare
https://www.jstor.or[...]
2003
[12]
웹사이트
http://www.allacadem[...]
[13]
논문
Hemorrhagic (Marburg, Ebola, Lassa, and Bolivian) fevers: Epidemiology, clinical pictures, and treatment
[14]
문서
A case of Ebola hemorrhagic fever
[15]
서적
Greek Fire, Poison Arrows & Scorpion Bombs: Biological and Chemical Warfare in the Ancient World
Overlook Duckworth
[16]
논문
The 'Hittite plague', an epidemic of tularemia and the first record of biological warfare
https://pubmed.ncbi.[...]
[17]
서적
Chemical and biological warfare : a comprehensive survey for the concerned citizen
https://archive.org/[...]
Copernicus Books
2002
[18]
논문
Biological warfare at the 1346 siege of Caffa
2002-09
[19]
논문
History of biological warfare and bioterrorism
2014-06
[20]
문서
From asps to allegations: biological warfare in history
1995
[21]
논문
Biological Weapons: covert threats to Global Health Security
2014
[22]
서적
Warfare in Atlantic Africa, 1500-18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11
[23]
논문
Biologically-based Warfare in the Pre-colonial Borgu Society of Nigeria and Republic of Benin
[24]
서적
American Indian Chronology: Chronologies of the American Mosaic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1-06-02
[25]
서적
The Scratch of a Pen: 1763 and the Transformation of North America (Pivotal Moments in Americ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Rationalizing Epidemics
Harva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A Country Between: The Upper Ohio Valley and Its Peoples, 1724-1774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8]
서적
Blood and Land: The Story of Native North America
Penguin UK
2016
[29]
논문
The British, the Indians, and smallpox: what actually happened at Fort Pitt in 1763?
2000
[30]
논문
History of biological warfare and bioterrorism
2014-06
[31]
서적
Medical Aspects of Biological Warfare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7
[32]
웹사이트
Smallpox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Estate and Gardens
[33]
웹사이트
Gen. George Washington - A Threat of Bioterrorism, 1775
https://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34]
논문
Smallpox at Sydney Cove – Who, When, Why
[35]
논문
The history of biological weapons use: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2015-08
[36]
서적
"The Fourth Horseman: One Man's Secret Campaign to Fight the Great War in America"
PublicAffairs
[37]
간행물
Legal Aspects of the Geneva Protocol of 1925
https://www.cambridg[...]
2017-03-28
[38]
서적
Biological Agents, Volume 2
https://books.google[...]
Discovery Publishing House
[39]
서적
Betrayal of Trust: The Collapse of Global Public Healt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0]
서적
A History of Fort Detrick, Maryland
http://www.detrick.a[...]
2011-12-20
[41]
간행물
Scientists and the history of biological weapons. A brief historical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weapons in the twentieth century
2006-07
[42]
서적
Unit 731: Japan's Secret Biological Warfare in World War II
Free Press
[43]
보고서
Unit 731 testimony
1996
[44]
서적
A Plague upon Humanity
HarperCollins
[45]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Dangerous Weapon
https://www.washingt[...]
2020-04-15
[46]
서적
The Implementation of Legally Binding Measures to Strengthen the Biological and Toxin Weapons Convention, Proceedings of the NATO Advanced Study Institute, held in Budapest, Hungary, 2001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4-07
[47]
서적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BC-CLIO
[48]
서적
Murderous Medicine: Nazi Doctors, Human Experimentation, and Typhus
https://archive.org/[...]
2005
[49]
웹사이트
Where To Find The World's Most 'Wicked Bugs': Fleas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8-04-05
[50]
웹사이트
The trial of Unit 731
http://www.japantime[...]
2014-12-26
[51]
서적
Bracing for Armageddon?: The Science and Politics of Bioterrorism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5-15
[52]
문서
Statement on Chemical and Biological Defense Policies and Programs
1969
[5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s://www.un.org/d[...]
2021-03-02
[54]
간행물
The Sverdlovsk anthrax outbreak of 1979
https://www.science.[...]
1994-11-18
[55]
간행물
'Cast thy bread': Israeli biological warfare during the 1948 War
http://www.scopus.co[...]
2022-01-01
[56]
문서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s://front.un-arm[...]
1972
[57]
웹사이트
Text of the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2021-03-02
[58]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2021-03-02
[59]
간행물
The Shortcomings of Indeterminacy in Arms Control Regimes: The Case of th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s://www.cambridg[...]
2007-04
[60]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disarmament.u[...]
2021-03-02
[61]
간행물
Twenty-first century perspectives on the Biological Weapon Convention: Continued relevance or toothless paper tiger
2020-07-03
[62]
웹사이트
Preambl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disarmament.u[...]
2021-03-02
[63]
서적
Chapter 9: The Failure of Arms Control, In Bioterror and Biowarfare: A Beginner's Guide
Oneworld
[64]
웹사이트
The Origins of the Australia Group
https://www.dfat.gov[...]
2021-03-02
[65]
웹사이트
1540 Committee
https://www.un.org/e[...]
2021-03-02
[66]
웹사이트
Overview of Potential Agents of Biological Terrorism {{!}} SIU School of Medicine
https://www.siumed.e[...]
2017-11-15
[67]
웹사이트
Seven Myths and Realities about Do-It-Yourself Biology
http://www.synbiopro[...]
2014-03-18
[68]
웹사이트
Al Qaeda's Pursuit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s://foreignpolic[...]
2017-11-15
[69]
웹사이트
A NATIONAL BLUEPRINT FOR BIODEFENSE: LEADERSHIP AND MAJOR REFORM NEEDED TO OPTIMIZE EFFORTS
https://www.ecohealt[...]
2017-11-15
[70]
웹사이트
Federal Select Agent Program
https://www.selectag[...]
2017-11-15
[71]
간행물
Biological Weapons and Virtual Terrorism
https://www.huffingt[...]
2017-11-03
[72]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Biological Weapons, Their Prohibition, and the Relationship to Biosafety
http://www.sunshine-[...]
2002-04
[73]
서적
Six-legged Soldiers: Using Insects as Weapons of War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74]
서적
Synthetic biology. The technoscience and its societal consequences.
Springer
2009
[75]
논문
Synthetic genomics: options for governance.
https://dspace.mit.e[...]
2007-12
[76]
웹사이트
Addressing Biosecurity Concerns Related to Synthetic Biology
http://oba.od.nih.go[...]
National Security Advisory Board on Biotechnology (NSABB)
2010-09-04
[77]
간행물
The potential use of genetic engineering to enhance orthopoxviruses as bioweapons.
2003-10-21
[78]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reconstructed 1918 Spanish influenza pandemic virus
http://birdflubook.c[...]
2019-09-23
[79]
논문
Chemical synthesis of poliovirus cDNA: generation of infectious virus in the absence of natural template
2002-08
[80]
논문
Synthetic viruses: a new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prevent viral disease
2009-12
[81]
뉴스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why CRISPR is such a hot technology
https://www.washingt[...]
2016-01-24
[82]
뉴스
The Crispr Quandary
https://www.nytimes.[...]
2016-01-24
[83]
논문
CRISPR, the disruptor
2015-06
[84]
웹사이트
Anthrax Facts | UPMC Center for Health Security
http://www.upmc-bios[...]
Upmc-biosecurity.org
2013-09-05
[85]
논문
Vaccines for the prevention of diseases caused by potential bioweapons
2004-04
[86]
논문
Bioterrorism
Association of Physician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001-04-01
[87]
논문
The U.S. Biological Warfare and Biological Defense Programs
http://www.au.af.mil[...]
2018-06-14
[88]
뉴스
Vietnam's war against Agent Orange
http://news.bbc.co.u[...]
2010-04-17
[89]
웹사이트
Critics accuse Sri Lanka of using scorched earth tactics against Tamils
https://www.thenatio[...]
2019-03-18
[90]
웹사이트
Biowarfare Against Agriculture
https://fas.org/bios[...]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20-02-15
[91]
서적
Chemical and biological warfare : a comprehensive survey for the concerned citizen
https://archive.org/[...]
Copernicus Books
2002
[92]
웹사이트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Possession and Programs Past and Present
http://www.nonprolif[...]
2020-03-17
[93]
서적
Biohazard: The Chilling True Story of the Largest Covert Biological Weapons Program in the World – Told from Inside by the Man Who Ran it
Delta
2000
[94]
서적
Common poisonous plants of East Africa
Collins
[95]
웹사이트
Meeting of the States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Development, Production and Stockpiling of Bacteriological (Biological) and Toxin Weapons and on Their Destruction
https://digitallibra[...]
2010-08-12
[96]
웹사이트
Vaccines for Military Members
https://www.hhs.gov/[...]
2021-04-26
[97]
웹사이트
Vaccines for Military Members
https://www.hhs.gov/[...]
2023-11-02
[98]
간행물
Dissuading Biological Weapons Proliferation
2013-12
[99]
서적
The Soviet Biological Weapons Program: A History. Politics & The Life Sciences
2013
[100]
논문
Zoonoses likely to be used in bioterrorism
2008
[101]
논문
Modeling the incubation period of inhalational anthrax
2008
[102]
논문
Quantitative models of the dose-response and time course of inhalational anthrax in humans
2013-08
[103]
논문
Epidemiologic clues to bioterrorism
2003-03
[104]
웹사이트
Physorg.com, "Encoded Metallic Nanowires Reveal Bioweapons", 12:50 EST, 10 August 2006.
http://www.physorg.c[...]
2014-10-24
[105]
웹사이트
BiosparQ features
http://www.tno.nl/co[...]
2014-10-24
[106]
웹사이트
BioPen Senses BioThreats
http://www.tfot.info[...]
2006-11-13
[107]
웹사이트
Shyh-Ching Lo
https://www.google.c[...]
2015-11-15
[108]
웹사이트
Pathogenic mycoplasma
https://patents.goog[...]
2015-11-16
[109]
웹사이트
Interview: Dr Kanatjan Alibekov
https://www.pbs.org/[...]
PBS
2010-03-08
[110]
웹사이트
Dr. Ira Baldwin: Biological Weapons Pioneer
http://www.historyne[...]
American History
2006-06-12
[111]
서적
Biologists Under Hitle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12]
간행물
"[Human hepatitis experiments in the 2d World War]"
1989-12
[113]
뉴스
An American waged germ warfare against U.S. in WWI
https://www.sfgate.c[...]
2007-01-14
[114]
서적
Biological Weapons
https://books.google[...]
APH Publishing
[115]
웹사이트
Office of U.S. Chief of Counsel for the American Military Tribunals at Nurember, 1946.
http://www.mazal.org[...]
2011-05-01
[116]
뉴스
Obituary: Vladimir Pasechnik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1-11-29
[117]
뉴스
Anthrax attacks
http://news.bbc.co.u[...]
BBC
2002-03-14
[118]
뉴스
Interviews With Biowarriors: Sergei Popov
https://www.pbs.org/[...]
2017-06-18
[119]
뉴스
US welcomes 'Dr Germ' capture
http://news.bbc.co.u[...]
BBC
2003-05-13
[120]
서적
Intelligence and Statecraft: The Use and Limits of Intelligence in International Societ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21]
웹사이트
Jamie Bisher, "Baron von Rosen's 1916 Anthrax Mission," 2014
http://anthrax1916.w[...]
2014-10-24
[122]
웹사이트
MIT Security Studies Program (SSP): Jeanne Guillemin
http://web.mit.edu/s[...]
MIT
2010-03-08
[123]
뉴스
Sheldon Harris, 74, Historian of Japan's Biological Warfare
https://www.nytimes.[...]
2002-09-04
[124]
서적
Biological Weapons and America's Secret War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125]
웹사이트
Matthew Meselson – Harvard –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ttp://belfercenter.[...]
Harvard
2010-03-08
[126]
서적
Deadly Cultures: Biological Weapons Since 1945
Harvard University Press
[127]
서적
Another Bloody Century: Future Warfare
Phoenix
2007
[128]
웹사이트
'Rule 73. The use of biological weapons is prohibited.'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7-04-12
[129]
문서
Customary Internal Humanitarian Law, Vol. II: Practice
[130]
웹사이트
War Crimes
https://books.google[...]
2017-04-12
[131]
문서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132]
웹사이트
Show Treaty
http://disarmament.u[...]
2018-02-05
[133]
웹사이트
http://www.allacadem[...]
2011-04-30
[134]
간행물
Hemorrhagic (Marburg, Ebola, Lassa, and Bolivian) fevers: Epidemiology, clinical pictures, and treatment
[135]
문서
Akinfeyeva L. A., Aksyonova O. I., Vasilyevich I. V., et al. A case of Ebola hemorrhagic fever. Infektsionnye Bolezni (Moscow). 2005;3(1):85–88 [Russian].
[136]
서적
Greek Fire, Poison Arrows & Scorpion Bombs: Biological and Chemical Warfare in the Ancient World
Overlook Duckworth
[137]
간행물
The 'Hittite plague', an epidemic of tularemia and the first record of biological warfare
https://www.ncbi.nlm[...]
[138]
서적
Chemical and biological warfare : a comprehensive survey for the concerned citizen
https://archive.org/[...]
Copernicus Books
2002
[139]
서적
Chemical and biological warfare : a comprehensive survey for the concerned citizen
https://archive.org/[...]
Copernicus Books
2002
[140]
간행물
Biological warfare at the 1346 siege of Caffa
2002-09
[141]
논문
History of biological warfare and bioterrorism
2014-06
[142]
논문
"From asps to allegations: biological warfare in history,"
1995
[143]
간행물
"Biological Weapons: covert threats to Global Health Security."
http://www.ajms.co.i[...]
2014
[144]
서적
Warfare in Atlantic Africa, 1500-18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11
[145]
논문
BIOLOGICALLY-BASED WARFARE IN THE PRE-COLONIAL BORGU SOCIETY OF NIGERIA AND REPUBLIC OF BENIN
[146]
서적
The Scratch of a Pen: 1763 and the Transformation of North America (Pivotal Moments in Americ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47]
서적
Rationalizing Epidemics
Harvard University Press
[148]
서적
A Country Between: The Upper Ohio Valley and Its Peoples, 1724-1774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49]
서적
Blood and Land: The Story of Native North America
Penguin UK
2016
[150]
논문
The British, the Indians, and smallpox: what actually happened at Fort Pitt in 1763?
2000
[151]
논문
History of biological warfare and bioterrorism
2014-06
[152]
서적
Medical Aspects of Biological Warfare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7
[153]
웹사이트
Smallpox
https://www.mountver[...]
Mount Vernon Estate and Gardens
2022-04-10
[154]
웹사이트
Gen. George Washington - A Threat of Bioterrorism, 1775
https://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2022-04-10
[155]
논문
Smallpox at Sydney Cove – Who, When, Why
[156]
문서
Distinguished Research Fellow, Center for the Study of WMD, National Defense University, Ft. McNair, Washington.
[157]
논문
The history of biological weapons use: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2022-03-14
[158]
서적
The Fourth Horseman: One Man's Secret Campaign to Fight the Great War in America
PublicAffairs
2006
[159]
논문
Legal Aspects of the Geneva Protocol of 1925
https://www.cambridg[...]
2017-10-27
[160]
서적
Biological Agents, Volume 2
https://books.google[...]
Discovery Publishing House
[161]
서적
Betrayal of Trust: The Collapse of Global Public Healt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62]
서적
A History of Fort Detrick, Maryland
http://www.detrick.a[...]
2011-12-20
[163]
논문
Scientists and the history of biological weapons. A brief historical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weapons in the twentieth century
2006-07
[164]
서적
Unit 731: Japan's Secret Biological Warfare in World War II
Free Press
[165]
보고서
Unit 731 testimony
1996
[166]
서적
A Plague upon Humanity
HarperCollins
[167]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Dangerous Weapon
https://www.washingt[...]
2020-04-15
[168]
서적
The Implementation of Legally Binding Measures to Strengthen the Biological and Toxin Weapons Convention, Proceedings of the NATO Advanced Study Institute, held in Budapest, Hungary, 2001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4-07
[169]
서적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BC-CLIO
[170]
서적
Murderous Medicine: Nazi Doctors, Human Experimentation, and Typhus
https://archive.org/[...]
2005
[171]
웹사이트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lague as Biological Weapons Agent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4-12-21
[172]
웹사이트
Where To Find The World's Most 'Wicked Bugs': Fleas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8-04-05
[173]
웹사이트
The trial of Unit 731
http://www.japantime[...]
2014-12-26
[174]
뉴스
미국의 북한 생화학무기 압박 전략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2-01-01
[175]
뉴스
미 과학지 “북, 생화학무기 시설 32곳 이상 운영”
http://www.hani.co.k[...]
연합뉴스
2007-02-04
[176]
뉴스
무엇을, 누구로부터, 어떻게 지킬 것인가?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05-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