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석은 《백호통의》와 《예기》에 근거하여 천자가 유덕한 제후에게 하사하는 아홉 가지 물품을 의미한다. 수레와 말, 의복, 무장 경호원, 악기, 경사로, 붉은 문, 무기, 도끼, 술 등으로 구성되며, 천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은전으로 여겨졌다. 구석은 천자에게만 허용되었으나, 유덕한 제후에게 수여되어 선양의 전 단계로 활용되기도 했다. 중국 역사에서 왕망, 조조, 손권 등 많은 인물이 구석을 받았으며, 찬탈의 도구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수 9 - 규슈
    규슈는 일본 남서부에 위치한 4대 주요 섬 중 하나로, 풍부한 온천 자원과 다양한 문화, 7개의 현으로 구성된 규슈 지방, 그리고 활발한 경제 활동이 특징이다.
  • 명수 9 - 구주 (중국)
    구주는 중국을 아홉 개의 주로 나눈 고대 지리 개념으로, 시대와 문헌에 따라 범위와 명칭이 다르며, 중국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었다.
  • 중국의 제도사 - 녹영군
    녹영군은 청나라가 한족 군인 중심으로 창설한 군대로, 삼번의 난을 거치며 핵심 군사력으로 부상했으나 18세기 이후 쇠퇴하여 신군에게 자리를 내주고 해체되었으며 청나라 군사력 변화와 흥망성쇠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 중국의 제도사 - 이갑제
    이갑제는 명나라에서 시행된 지방 행정 및 세금 징수 제도로, 110호 단위로 백성을 편성하여 납세와 노역을 담당하게 했으며, 경제 변화로 인해 한계에 직면하여 일조편법으로 대체되었다.
구석
구석
아홉 가지 하사품
국가중국
왕조한나라 ~ 남북조시대
유형황제가 신하에게 내리는 특별한 하사품
역사적 맥락
기원주나라의 의례에서 유래
발전한나라 말기부터 정치적 도구로 변질
역할권력 찬탈의 명분 강화 수단으로 악용
구성 품목
품목수레 (車)
의복 (衣服)
악기 (樂器)
활과 화살 (弓矢)
도끼 (鉞)
창 (戈)
술 (秬鬯)
붉은 칠을 한 문 (朱戶)
호위병 (虎賁)
수여 대상
대상공적이 뛰어난 신하
권력을 장악한 신하
목적충성심을 고취
권위를 인정
찬탈의 명분 강화
정치적 의미
의미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며, 수여는 큰 정치적 의미를 지님
악용 사례조조, 왕망, 환현, 소도성, 고환, 양견 등이 구석을 받아 찬탈의 발판으로 삼음
기타
관련 용어선양 (禪讓), 찬탈 (簒奪)

2. 구석의 내용

예기(禮記)에 따르면 구석(九錫)은 아홉 가지 하사품을 의미하며, 그 내용은 한나라 시대의 주석서인 백호통의(白虎通義)에서 설명하고 있다.[1] 자세한 내용은 구석의 종류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구석의 종류 (예기, 백호통의 기준)

백호통의(白虎通義)에서는 예기(禮記)에 따른 아홉 가지 하사품(구석)과 그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1]

순서내용설명
1수레와 말관리가 겸손하고 적절하게 행동하여 더 이상 걸어다닐 필요가 없을 때 하사한다.
2의복관리가 훌륭하고 적절하게 글을 써서 그의 선행을 보여줄 때 하사한다.
3무장 경호원관리가 용감하고 진실을 말하려 하여 보호받을 수 있을 때 하사한다.
4악보관리가 마음에 사랑을 품고 있어 그의 백성들에게 음악을 가르칠 수 있을 때 하사한다.
5경사로관리가 그의 행동이 적절하여 경사로를 걸어 그의 힘을 유지할 수 있을 때 하사한다.
6붉은 문관리가 그의 가정을 잘 유지하여 그의 가정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 때 하사한다.
7무기, 활, 화살관리가 훌륭한 양심을 가지고 올바른 것을 따르므로 반역을 근절하기 위해 중앙 정부를 대표할 수 있을 때 하사한다.
8도끼관리가 강하고 현명하며 황실에 충성스러워 악인을 처형할 수 있을 때 하사한다.
9관리가 효성이 지극하여 그의 조상에게 술을 바칠 수 있을 때 하사한다.



『한시외전』 권8에 따르면, 이들은 통상 천자에게만 사용이 허가된 것이며, 이러한 사용을 유덕한 제후에게 허가함으로써 은상으로 삼았다. 이 은전은 천자인 황제에 준하는 것으로, 선양의 전 단계로 여겨졌다.

순서내용설명
1거마중국어로(금차), 융중국어로(병거), 황마 8필.
2의복왕자의 옷. 붉은 리중국어를 신는 것. 곤면과 적색 신발.
3호분호분은 천자에게 직속된 호위병으로, 권신에게 부여된 것이다. 구석 제도가 확립된 이후에는 300명으로 고정되었지만, 공손연손권으로부터 받은 것이 100명이었던 것과 같은 변화도 있다.
4악기헌현의 악, 당하의 악. 승강 시 반드시 음악을 연주한다.
5중국어중국어는 계단을 뜻하며, 조중국어폐에 오르는 자유를 뜻한다.
6주호붉은 옻칠을 한 대문을 말한다.
7궁시중국어궁 1개, 동중국어시 100개, 려중국어궁 10개, 려중국어시 1000개. 붉은 활・흑궁중국어
8중국어중국어월 각 1개, 부중국어는 즉 금도끼・은도끼를 말한다. 군권을 상징한다.
9중국어거창중국어이란 검은 기장으로 양조한 향술을 말한다. 제사를 지내기 위한 술.



후한서』 헌제기 장회태자 주에는 구석이 "일왈 거마, 이왈 의복, 삼왈 악기, 사왈 주호, 오왈 납폐, 육왈 호분, 칠왈 부월, 팔왈 궁시, 구왈 거창"과 같이 다른 순서로 기재되어 있기도 하다. 양기동탁 등 구석의 일부를 은전으로 받는 예도 있었다.

2. 2. 순서에 대한 다른 기록

『한시외전』 권8에 따르면, 구석은 통상 천자에게만 사용이 허가된 것이며, 이를 유덕한 제후에게 허가함으로써 은상으로 삼았다. 이 은전은 천자인 황제에 준하는 것으로, 선양의 전 단계로 여겨졌다.

순서내용설명
일석거마大路|대로중국어(금차), 戎路|융로중국어(병거), 황마 8필.
이석의복왕자의 옷. 붉은 鞖|리중국어를 신는 것. 곤면과 적색 신발.
삼석호분호분은 천자에게 직속된 호위병으로, 권신에게 부여된 것이다. 구석 제도가 확립된 이후에는 300명으로 고정되었지만, 공손연손권으로부터 받은 것이 100명이었던 것과 같은 변화도 있다.
사석악기헌현의 악, 당하의 악. 승강 시 반드시 음악을 연주한다.
오석納陛|납폐중국어陛|폐중국어는 계단을 뜻하며, 阼陛|조폐중국어에 오르는 자유를 뜻한다.
육석주호주호란 붉은 옻칠을 한 대문을 말한다.
칠석궁시彤弓|동궁중국어 1개, 彤矢|동시중국어 100개, 玈弓|려궁중국어 10개, 玈矢|려시중국어 1000개. 붉은 활・黑弓|흑궁중국어
팔석鈇鉞|부월중국어鈇鉞|부월중국어 각 1개, 斧|부중국어는 즉 금도끼・은도끼를 말한다. 군권을 상징한다.
구석秬鬯|거창중국어秬鬯|거창중국어이란 검은 기장으로 양조한 향술을 말한다. 제사를 지내기 위한 술.



후한서』 헌제기 장회태자 주에는 구석이 "일왈 거마, 이왈 의복, 삼왈 악기, 사왈 주호, 오왈 납폐, 육왈 호분, 칠왈 부월, 팔왈 궁시, 구왈 거창"과 같이 다른 순서로 기재되어 있기도 하다. 양기동탁 등 구석의 일부를 은전으로 받는 예도 있었다.

3. 구석의 발음

일반적으로 표준 중국어에서 'xī'로 발음되며 주석을 뜻하는 錫(xī) 자가 사용된 이유는, 예상되는 賜('cì', "하사"를 의미) 대신 錫이 'jiajie'(假借, 리버스) 문자로 "하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고, 의례가 처음 예기에 정립되었을 당시에 賜와 상호 교환 가능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미상 올바른 현대적 발음은 'jiǔ cì'여야 하며 'jiǔ xī'가 아니다.[2]

4. 구석 수여 대상자

구석을 수여받은 대상자들은 다음과 같다.

수여 대상연도찬탈 대상건국 국가비고
왕망5한나라 황태자 유자영신나라칭호의 창시자이자 첫 번째 수여 대상.[1]
조조213해당 없음해당 없음아들 조비가 헌제를 찬탈하고 조위를 건국.[2]
손권221해당 없음동오조비가 수여.[3]
사마의249/250해당 없음해당 없음두 차례 모두 거부.[4]
사마소263해당 없음해당 없음아들 사마염이 266년에 조환에게 양위를 받아 진나라 황제를 선언.
사마경301해당 없음해당 없음진 혜제 복위 공로.
사마영301해당 없음해당 없음진 혜제 복위 공로 (수여 거부).
사마옹301해당 없음해당 없음혜제 복위 공로로 9석 중 3석 수여.
장무323해당 없음전량전조에 항복한 대가.
석륵333석홍해당 없음사촌을 폐위시키고 후조의 황제가 됨.
기부강귀394해당 없음해당 없음전진부등 황제가 수여.
환현403진 안제초나라유유에 의해 진압.
교종409해당 없음서촉후진(後)진 문환황제로부터 수여.
유유418진 공제유송420년에 유송 건국.
소도성479유송 순제남제같은 해에 찬탈하고 일족 몰살.
소연502남제 화제양나라같은 해에 찬탈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죽임.
고양550동위 효정제북제같은 해에 효정제로부터 찬탈 후 552년에 독살.
후경551소동한나라황실 군대에 의해 패배.
진패선557양 경제진나라558년에 그를 죽임.
양견581북주 정제수나라얼마 지나지 않아 정제와 그의 일족 전체를 몰살.
왕세충619양동정나라호뢰 전투에서 이세민에게 패함.
담백창1053송 인종송나라3대에 걸쳐 9석을 수여받고 사후 자정대부 칭호를 받음.


4. 1. 전한 및 신나라

왕망은 5년에 한나라 황태자 유자영으로부터 구석을 받았다. 섭정으로 한나라를 찬탈하고 신나라를 건국했으며, 구석 칭호의 창시자이자 첫 번째 수여 대상이 되었다.[1]

조조는 213년에 구석을 받았으나, 찬탈하지 않았다. 그의 아들 조비가 헌제를 찬탈하고 조위를 건국했다.[2]

손권은 221년에 조위에 형식적으로 신하가 되기를 제안한 후 조비로부터 구석을 받았다. 이후 동오를 건국했다.[3]

사마의는 249년과 250년에 두 차례 구석을 받았으나 모두 거부했다. 고평릉의 변에서 조상을 실각시키고 처형하여 위나라에서 사실상 최고의 권력자가 되었으며, 그의 후계자 사마사, 사마소, 사마염에게 길을 열었다.[4]

사마소는 263년부터 264년까지 진 공작으로, 264년부터 265년 죽을 때까지 진 왕으로 있었다. 그의 아들 사마염은 266년에 조환에게 양위를 받아 진나라 황제를 선언했다.[4]

사마경은 301년에 지적 장애를 앓는 진 혜제를 복위시키고 섭정 역할을 한 공로로 구석을 받았다.

사마영은 301년에 진 혜제를 복위시키고 섭정 역할을 한 공로로 구석을 받았으나, 수여를 거부했다.

사마옹은 301년에 혜제를 복위시킨 공로로 9석 중 3석을 수여받았다.

장무는 323년에 전량을 건국하고 전조에 항복한 대가로 구석을 받았다.

석륵은 333년에 사촌을 폐위시키고 후조의 황제가 되면서 구석을 받았다.

기부강귀는 394년에 전진부등 황제가 그의 지원과 충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석을 수여했다.

환현은 403년에 진 안제를 찬탈하고 초나라를 건국하려 했으나 유유에 의해 진압되었다.

교종은 409년에 진나라에 반란을 일으켜 서촉을 선포했고, 이후 후진의 꼭두각시가 되었으며 후진(後)진 문환황제로부터 구석을 받았다.

유유는 418년에 구석을 받고 송공의 칭호를 받았으며, 이후 진 안제에게 송왕의 칭호를 받았지만 공개적으로 거부했다. 그는 나중에 안제를 폐위시키고 419년에 진 공제를 즉위시켰고, 419년 가을에 송왕의 칭호를 받아들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찬탈하여 420년에 유송을 건국했다.

소도성은 479년에 유송 후폐제를 477년에 죽인 후 유송 순제를 즉위시켰으며, 순제로부터 구석을 받고 같은 해에 그를 찬탈하고 일족을 몰살했다.

소연은 502년에 건강을 포위했을 때, 소보권의 측근들이 501년에 그를 암살했다. 그는 남제 화제로부터 구석을 받았으며, 같은 해에 그를 찬탈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죽였다.

고양은 550년에 아버지 고환북위 효무제 치세 동안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여 황제가 도망치고 제국이 분열되었으며, 고환은 동위에서 효정제를 후계자로 선택했다. 아버지 사후 구석을 받은 것은 고양이었으며, 같은 해에 효정제로부터 찬탈한 후 552년에 그를 독살했다.

후경은 551년에 양나라의 수도를 점령하고 잠시 스스로 황제를 칭했지만, 황실 군대에 의해 패배했다.

진패선은 557년에 양 원제의 유일한 생존 남성 상속자인 양 경제를 양나라의 다음 통치자로 임명했지만, 그를 폐위하고 진나라를 건국했으며, 558년에 그를 죽였다.

양견은 581년에 북주 정제의 아버지 북주 선제의 사망 후 정제를 섭정하게 되었다. 북주 장군 우치경이 양견의 의도를 의심하여 반란을 일으켰지만 패배했고, 이후 양견은 황위를 찬탈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정제와 그의 일족 전체를 몰살했다.

왕세충은 619년에 수나라에서 당나라로의 전환기 동안 양동을 찬탈하고 정나라를 건국하려 했으나 호뢰 전투에서 이세민에게 패했다.

담백창은 1053년에 송 인종으로 부터 3대에 걸쳐 9석을 수여받았다. 1038년 거인(舉人), 1048년 진사(進士)를 거쳐 이부시랑, 형부상서를 역임한 후, 사후 자정대부의 칭호를 받았다.

4. 2. 후한 및 삼국시대

213년, 조조는 헌제로부터 구석을 받았으나, 조위를 건국하지는 않았다.[1] 그의 아들 조비가 헌제를 찬탈하고 조위를 건국했다.[1] 221년에는 손권이 조위에 형식적으로 신하가 되기를 제안한 후 조비로부터 구석을 받았다.[1] 손권은 이후 동오를 건국했다.

사마의249년250년 두 차례에 걸쳐 구석을 받았으나 모두 거부했다.[1] 그는 고평릉의 변을 통해 조상을 실각시키고 처형하여 위나라의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가 되었으며, 그의 후계자인 사마사, 사마소, 사마염에게 길을 열었다. 사마소263년부터 264년까지 진 공작으로, 264년부터 265년 사망할 때까지 진 왕으로 재임하며 구석을 받았다.[1] 그의 아들 사마염은 266년조환에게 양위를 받아 진나라 황제를 선언했다.

301년, 사마경과 사마영은 지적 장애를 앓는 진 혜제를 복위시키고 섭정 역할을 한 공로로 구석을 받았다.[1] 사마영은 수여를 거부했다. 같은 해, 사마옹은 혜제를 복위시킨 공로로 9석 중 3석을 수여받았다.

323년, 장무전량을 건국하고 전조에 항복한 대가로 구석을 받았다.[1] 333년, 석륵은 사촌을 폐위시키고 후조의 황제가 되면서 구석을 받았다.[1]

394년, 기부강귀는 전진부등 황제가 그의 지원과 충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석을 수여했다.[1]

4. 3. 서진 및 동진

서진(西晉) 및 동진(東晉) 시대에는 황제로부터 권력을 찬탈하기 위한 전 단계로 구석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인물연도찬탈 대상건국 국가비고
사마소263조위 조환서진아들 사마염이 266년에 조환에게 양위를 받아 진나라 황제를 선언.[4]
사마경301해당 없음해당 없음지적 장애를 앓는 진 혜제를 복위시키고 섭정 역할을 한 공로로 수여됨.
사마영301해당 없음해당 없음지적 장애를 앓는 진 혜제를 복위시키고 섭정 역할을 한 공로로 수여되었으나 거부함.
사마옹301해당 없음해당 없음진 혜제를 복위시킨 공로로 9석 중 3석을 수여받음.
환현403진 안제초나라진 안제를 찬탈하고 초나라를 건국하려 했으나 유유에 의해 진압.
유유418진 공제유송구석을 받고 송공 칭호를 받았으며, 이후 진 안제에게 송왕 칭호를 받았지만 공개적으로 거부. 이후 안제를 폐위시키고 419년에 진 공제를 즉위시켰고, 419년 가을에 송왕 칭호를 받아들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찬탈하여 420년에 유송을 건국.


4. 4. 오호십육국 시대

오호십육국 시대에는 여러 인물들이 구석을 받았다.

인물구석 수여/찬탈 대상비고
장무전조의 유요전량 건국 후 전조에 항복하여 구석을 받음.
석륵후조석홍사촌을 폐위시키고 후조의 황제가 됨.
기부강귀전진부등전진부등 황제가 지원과 충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여.
교종후진요흥진나라에 반란을 일으켜 서촉을 선포, 후진의 꼭두각시가 되어 후진 문환황제에게 구석을 받음.



이 시기 구석 수여는 혼란한 정치 상황 속에서 세력 확보와 정권 교체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4. 5. 남북조 시대

249년 고평릉의 변으로 조상을 실각시키고 조위에서 사실상 최고 권력자가 된 사마의는 구석을 두 차례 거부했다. 사마의의 권력은 후계자 사마사, 사마소, 사마염에게 이어졌다.[4]

사마소263년부터 264년까지 진 공작, 264년부터 265년 사망할 때까지 진 왕이었다. 266년 그의 아들 사마염이 조환에게 양위를 받아 진나라 황제를 선언했다.

301년, 진 혜제 복위와 섭정에 대한 공로로 사마경과 사마영(수여 거부)이 구석을 받았다. 같은 해 사마옹은 혜제 복위 공로로 9석 중 3석을 받았다.

323년 장무전량 건국 후 전조에 항복하여 구석을 받았다.

333년 석륵은 사촌을 폐위하고 후조 황제가 되었다.

394년 전진 부등 황제는 기부강귀에게 지원과 충성을 조건으로 구석을 수여했다.

403년 환현은 진 안제를 찬탈하고 초나라 건국을 시도했으나 유유에게 진압되었다.

409년 교종은 진나라 반란 후 서촉을 선포, 후진의 꼭두각시가 되어 후진 문환황제에게 구석을 받았다.

418년 유유는 구석과 송공 칭호를 받았고, 진 안제에게 송왕 칭호를 받았으나 거부했다. 이후 안제를 폐위하고 419년 진 공제를 즉위시켰으며, 419년 가을 송왕 칭호를 받은 후 찬탈하여 420년 유송을 건국했다.

479년 소도성은 477년 유송 후폐제를 살해하고 유송 순제를 즉위시켰다. 479년 순제에게 구석을 받고 찬탈, 일족을 몰살했다.

502년 소연은 건강 포위 중 소보권 측근들에게 암살당했다. 502년 공동 황제 남제 화제에게 구석을 받고 찬탈 후 살해했다.

550년 고양의 아버지 고환북위 효무제 치세에 권력을 공고히 하여 제국 분열을 야기했다. 고환은 동위에서 효정제를 후계자로 선택했다. 550년 고양이 구석을 받고 효정제에게서 찬탈, 552년 독살했다.

551년 후경은 양나라 수도 점령 후 황제를 칭했으나 황실 군대에 패배했다.

557년 진패선은 555년 양 원제의 아들 양 경제를 양나라 통치자로 임명했으나, 557년 폐위하고 진나라를 건국, 558년 살해했다.

4. 6. 수당 시대

수나라를 건국한 양견은 581년에 북주 정제로부터 구석을 받았다. 그는 젊은 북주 정제의 아버지인 북주 선제가 사망한 후 정제의 섭정이 되었다. 북주 장군 우치경이 양견의 의도를 의심하여 반란을 일으켰지만 패배했고, 이후 양견은 황위를 찬탈하여 수 문제로 즉위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정제와 그의 일족 전체를 몰살했다.

당나라로 전환되는 시기에 왕세충은 619년에 양동을 찬탈하고 새로운 정나라를 건국하려 했으나 호뢰 전투에서 이세민에게 패했다.

5. 구석 수여를 받지 않은 경우

양기는 구석 수여를 희망하여 부하에게 구석 수여 건의를 시켰으나, 사공(司空) 황경의 반대로 받지 못했다.

한편, 구석 하사를 사퇴한 사례도 있다. 249년 사마의조방으로부터 구석을 받도록 명령받았지만 사퇴했다.[3] 촉한이엄제갈량에게 구석을 받는 것이 어떻겠냐고 권했지만, 제갈량은 조위를 멸망시킨 후에라면 구석은커녕 십석이라도 받겠다고 답변했다.[4] 공손연은 223년 손권에게 구석을 받았지만, 그 사자를 살해하고 조위에 바쳤다.

참조

[1] 서적 白虎通德論 · 卷五 · 考黜
[2] 기타
[3] 위키 晉書/卷001
[4] 서적 三国志』蜀書・李厳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