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의 광역자치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인의 광역자치주는 1978년 헌법에 따라 설치된 스페인의 1차 행정 구역으로, 17개의 자치주와 2개의 자치 도시로 구성된다. 각 자치주는 자체 정부와 의회를 가지며, 교육, 보건,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치권을 행사한다. 스페인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치주는 각 지역의 경제, 사회, 언어,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며, 헌법은 이러한 다양성 속에서 스페인 국가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균형을 추구한다. 자치주는 헌법에 명시된 권한을 바탕으로 입법, 행정, 사법 기능을 수행하며, 재정 자율성을 통해 자체적인 세입을 확보하고 중앙 정부로부터의 재정 지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행정 구역 - 발레아레스 제도
발레아레스 제도는 스페인에 속한 지중해 서부의 군도로, 마요르카, 메노르카, 이비자, 포르멘테라 등의 섬으로 구성되어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지중해성 기후와 카탈루냐어,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관광지이다. - 스페인의 행정 구역 - 살라망카 (마드리드)
살라망카는 1860년 마드리드 확장 계획으로 조성되어 호세 데 살라망카 후작의 이름을 딴 마드리드의 부유한 지역으로, 고급 주택과 상업 시설, 주요 거리, 외국 대사관, IE 비즈니스 스쿨 등이 위치하며 보수 성향을 띤다. - 분권화 - 지역주의
지역주의는 특정 지역 주민들이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행정적, 경제적 자립과 문화적 독립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지방 자치 강화, 지역 내 발전, 전통문화 보존 등을 중시하며, 때로는 분리주의나 국가 간 협력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분권화 - 페루의 행정 구역
페루는 2002년 지역화 법에 따라 25개의 지역과 리마 주, 칼라오 주로 구성되며, 각 지역은 다시 주와 구로 세분되지만 리마 주는 어느 지역에도 속하지 않는 독특한 행정 구역이다.
스페인의 광역자치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자치 행정 구역 |
국가 | 스페인 왕국 |
설립 시기 | 1979–1983년 |
법적 근거 시작 | 1978년 스페인 헌법 |
현재 개수 | 17개 자치 공동체 2개 자치 도시 |
자치 공동체 인구 범위 | 319,914명 (라리오하) – 8,464,411명 (안달루시아) |
자치 도시 인구 범위 | 84,202명 (세우타) – 87,076명 (멜리야) |
자치 공동체 면적 범위 | 4,992 km2 (발레아레스 제도) – 94,223 km2 (카스티야이레온) |
자치 도시 면적 범위 | 12.3 km2 (멜리야) – 18.5 km2 (세우타) |
정부 | 자치 정부 |
중앙 정부 | 국가 정부 |
하위 행정 구역 | 주 |
하위 행정 구역2 | 지방 자치체 |
스페인어 명칭 | comunidad autónoma |
아라곤어 명칭 | comunidat autonoma |
아스투리아스어 명칭 | comunidá autónoma |
바스크어 명칭 | autonomia erkidegoa |
카탈루냐어 명칭 | comunitat autònoma |
카탈루냐어 발음 | , |
갈리시아어 명칭 | comunidade autónoma |
오크어 명칭 | comunautat autonòma |
제도적 조직 | |
정부 형태 | 자치 정부 |
중앙 정부 | 스페인 중앙 정부 |
권한 |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스페인 정부와 공유함 |
지방 자치법 | 자치 규정 |
주요 권한 | 교육, 보건, 사회 복지, 문화, 환경, 지역 경제 개발 |
관련 용어 | |
자치 공동체(스페인어) | autonomías |
자치 정부(스페인어) | Estado de las Autonomías |
자치권 (스페인어) | competencia |
기타 정보 | |
참고 |
2. 역사
스페인은 1479년 하나의 왕관 아래 통일되었지만, 각 지역은 고유한 경제 및 사회 구조, 언어, 역사, 정치, 문화적 전통을 유지했다.[8][9] 19세기 중반까지도 지역별 관습, 법률, 언어, 통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18세기 부르봉 왕가와 정부는 중앙집권화를 시도했고, 1833년에는 49개(현재 50개) 주로 나누어 중앙 정부 정책을 전달했다.
19세기 후반, 스페인 민족주의와 주변부 민족주의(카탈루냐, 바스크, 갈리시아) 간의 갈등이 나타났다. 1914년 카탈루냐 연방에 제한적 자치권이 부여되었으나 1925년 폐지되었다. 스페인 제2공화국 시기인 1932년 Generalitat 복원과 함께 다시 자치권이 부여되었다. 1931년 헌법은 "자치 지역" 분할을 구상했지만, 카탈루냐, 바스크, 갈리시아만 자치 헌장을 승인했고, 스페인 내전과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승리로 중단되었다.
프랑코 독재 정권은 중앙집권화를 통해 "스페인 국가 통일"을 유지하려 했고, 주변부 민족주의를 억압했지만[19] 역효과를 낳았다. 민주주의 요구는 다원적 국가성 인정 요구와 연결되었다.
1975년 프랑코 사후 민주화 과정에서 1977년 의회는 중앙집권주의에서 분권화 모델로 이행해야 했다.[10][11] 스페인 총리 아돌포 수아레스는 Generalitat 의장 호세프 타라델라스와 협력하여 제한적 권한을 이전했다.
헌법 제정자들은 중앙집권적 견해와 "국가들의 국가"라는 다원적 견해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했다.[12] 주변부 민족주의 정당들은 연방제를 원했지만, 민주중앙연합과 인민연합은 최소 분권화를, 사회노동당은 연방제에 동정적이었다.[19]
1978년 헌법은 "스페인 국가의 불가분적 통일성" 내에서 "국민성과 지역"의 자치권을 인정했다.[13][14][15] 헌법은 "민족 및 지역"이 "자치 지역"으로 구성될 수 있는 개방적 절차를 마련했다.
- 공통된 역사, 문화, 경제적 특징을 가진 인접한 두 개 이상의 주
- 도서 지역
- "역사적 지역 정체성"을 가진 단일 주

헌법은 "빠른 경로"(제151조)와 "느린 경로"(제143조)를 설정했다. "빠른 경로"는 카탈루냐, 바스크, 갈리시아 등 "역사적 민족"에 적용되었다.[17][22][23] 안달루시아는 자치를 요구하여 "역사적 민족"으로 인정받았다.
1981년 레오폴도 칼보-소텔로 총리와 펠리페 곤살레스 야당 지도자는 "첫 번째 자치 협약"을 통해 17개 자치 지역과 2개 자치 도시 생성에 합의했다.[24] 1983년까지 모든 자치 지역이 구성되었다.

자치 지역 생성 후, 제145조는 "자치 지역 연방화"를 금지했다.[25] 바스크와 나바라는 자체 세금을 거둘 수 있는 "헌장" 지역이다.[27]
1979년 바스크와 카탈루냐 자치 헌장이 승인되었다. 민주중앙연합은 "역사적 민족"만 완전한 권한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안달루시아는 최대 권한을 요구했다.[17][29]
아돌포 수아레스 총리와 펠리페 곤살레스는 "제1차 자치 협약"을 통해 안달루시아 문제 해결에 합의했다.[17] 이는 "모두를 위한 커피" 단계를 열었다.[3]

결국 17개 자치주가 설립되었다.
- "신속 경로": 안달루시아, 바스크, 카탈루냐, 갈리시아
- 두 개 이상 주 통합: 아라곤, 카스티야-라 만차, 카스티야 이 레온, 엑스트레마두라, 발렌시아
- 섬: 발레아레스 제도, 카나리아 제도
- 단일 주: 아스투리아스, 칸타브리아, 라 리오하, 무르시아, 나바라, 마드리드
1980년대 후반, 중앙 정부는 권한 이양을 꺼렸다.[10] 1992년 펠리페 곤살레스 총리와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야당 대표는 "제2차 자치 협약"을 통해 권한 이양을 확대했다.[10] 1995년 세우타와 멜리야는 "자치 도시"가 되었다.
자치주 설립은 지속적인 과정이며, 추가 권한 이양이나 반환 가능성이 있다. 스페인은 분권화된 국가이며, "자치 국가"로 불린다.
최근 카탈루냐, 바스크, 갈리시아 등은 더 많은 자치권 또는 독립을 요구하고 있다.

2004년 바스크 의회는 이바레체 계획을 승인했지만, 스페인 의회에서 거부되었다. 카탈루냐는 재정 문제를 제기하며 독립을 추진했다. 2017년 카탈루냐 의회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스페인 정부는 자치권을 박탈하고 직접 통치했다.[72] 2018년 킴 토라 취임으로 자치권이 회복되었다.
자치 국가 시스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2. 1. 배경
스페인은 다양한 경제 및 사회 구조, 언어, 역사, 정치 및 문화적 전통을 가진 여러 지역으로 구성된 국가이다.[8][9] 1479년에 스페인 영토 전체가 하나의 왕관 아래 통일되었지만, 이는 국가적 동질화나 통합 과정은 아니었다. 구성 영토는 제한된 입법, 사법 또는 재정 자치권을 포함하여 이전의 제도적 존재의 상당 부분을 유지했으며, 19세기 중반까지 다양한 지역 관습, 법률, 언어 및 통화를 보여주었다.18세기부터 부르봉 왕조와 정부는 더욱 중앙집권적인 체제를 수립하려고 시도했다. 스페인 계몽주의의 주요 인물들은 내부 영토 경계를 넘어선 스페인 국가 건설을 옹호했다. 이는 1833년 스페인이 49개(현재 50개)의 주로 나뉘면서 정점에 달했고, 이 주들은 주로 마드리드에서 개발된 정책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했다.
19세기 후반 이후 스페인의 역사는 스페인 민족주의와 주변 민족주의(주로 카탈루냐와 바스크 지방, 그리고 그 정도는 덜하지만 갈리시아에서) 사이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카탈루냐의 요구에 대한 대응으로, 카탈루냐 연방에 1914년 제한적인 자치권이 부여되었지만 1925년에 폐지되었다. 스페인 제2공화국 기간인 1932년에 카탈루냐의 중세 정부 기관인 Generalitat이 복원되면서 다시 부여되었다. 1931년 헌법은 모든 스페인에 대한 "자치 지역"의 영토 분할을 구상했지만 완전히 달성되지는 않았다. 카탈루냐, 바스크 지방, 갈리시아만이 "자치 헌장"을 승인했고, 1936년에 발발한 스페인 내전과 프란시스코 프랑코 지휘하의 반군 국민군의 승리로 이 과정은 방해받았다.
프랑코 독재 정권은 "스페인 국가의 통일"을 보존하는 유일한 방법은 스페인을 고도로 중앙 집권화된 국가로 통치하는 것이라고 강력하게 믿었다. 주변 민족주의는 공산주의, 무신론과 함께 그의 정권이 주요 위협으로 간주했다.[19] 그의 강경하지만 산발적인 탄압으로 분리주의와 싸우려는 시도[9]와 언어와 지역 정체성에 대한 흔히 가혹한 억압[9]은 역효과를 낳았다.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는 스페인 국가성에 대한 다원적 비전의 인정에 대한 요구와 얽히게 되었다.
1975년 프랑코가 사망했을 때 스페인은 민주주의로의 이행 단계에 들어섰다. 1977년 제헌 의회로 활동한 새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스페인 의회(Cortes Generales)의 가장 어려운 과제는 프랑코의 엄격한 중앙 집권주의에서 주변 민족주의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더욱 분권화된 모델로 이행하는 것이었다.[10][11]
스페인 총리인 아돌포 수아레스는 망명 중인 Generalitat 의장 호세프 타라델라스를 만났다. 그들은 헌법이 아직 작성 중인 동안 Generalitat을 복원하고 제한된 권한을 이전하는 데 동의했다. 곧 정부는 스페인의 여러 영토의 국회의원과 상원의원으로 구성된 "국회의원 집회"의 설립을 허용하여 지역에 대한 "자치 이전 체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헌법 제정자들은 스페인의 상반된 견해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했다. 한편으로는 스페인 사회의 군주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요소로부터 물려받은 중앙 집권적 견해,[12] 다른 한편으로는 연방제와 스페인을 "국가들의 국가"로 보는 다원적 견해였다. 주변 민족주의 정당은 연방 또는 연합 모델을 가진 다국가 국가를 원했지만, 집권 민주중앙연합(UCD)과 인민연합(AP)는 최소한의 분권화를 원했고, 스페인 사회노동자당(PSOE)은 연방 시스템에 동정적이었다.[19]
결국 1978년에 공포되고 비준된 헌법은 "스페인 국가의 불가분의 통일성" 안에서 스페인의 "국민성과 지역"의 존재를 인정하는 균형을 이루었다. 스페인의 민주주의 이행에 존재하는 긴장을 관리하기 위해 현행 스페인 헌법의 입안자들은 영토 배치에 "연방"과 같은 라벨을 붙이는 것을 피하면서,[13] "국민성과 지역"의 자치 또는 자치 정부의 권리를 헌법에 명시했고, 이는 "자치 지역"에 대한 권력의 비대칭적 권한 이양 과정을 통해 만들어질 예정이었다.[14][15]
2. 2. 제2공화국과 프랑코 독재
스페인 제2공화국 기간인 1932년에 카탈루냐의 중세 정부 기관인 Generalitat이 복원되면서 카탈루냐에 다시 자치권이 부여되었다. 1931년 헌법은 모든 스페인에 대한 "자치 지역"의 영토 분할을 구상했지만 완전히 달성되지는 않았다. 카탈루냐, 바스크 지방, 갈리시아만이 "자치 헌장"을 승인했고, 1936년에 발발한 스페인 내전과 프란시스코 프랑코 지휘하의 반군 국민군의 승리로 이 과정은 방해받았다.[19]프랑코 독재 정권은 "스페인 국가의 통일"을 보존하는 유일한 방법은 스페인을 고도로 중앙 집권화된 국가로 통치하는 것이라고 강력하게 믿었다.[19] 주변 민족주의는 공산주의와 무신론과 함께 그의 정권이 주요 위협으로 간주했다.[19] 그의 강경하지만 산발적인 탄압으로 분리주의와 싸우려는 시도[9]와 언어와 지역 정체성에 대한 흔히 가혹한 억압[9]은 역효과를 낳았다.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는 스페인 국가성에 대한 다원적 비전의 인정에 대한 요구와 얽히게 되었다.[19]
2. 3. 민주화와 자치 지역 국가 수립
스페인은 다양한 경제 및 사회 구조, 언어, 역사, 정치 및 문화적 전통을 가진 여러 지역으로 구성된 국가이다.[8][9] 1479년 스페인 영토 전체가 하나의 왕관 아래 통일되었지만, 이는 국가적 동질화나 통합 과정은 아니었다. 18세기부터 부르봉 왕조와 정부는 중앙집권적인 체제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1833년 스페인은 49개(현재 50개)의 주로 나뉘었고, 이 주들은 주로 마드리드에서 만들어진 정책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19세기 후반 이후 스페인의 역사는 스페인 민족주의와 주변 민족주의(주로 카탈루냐와 바스크 지방, 그리고 그 정도는 덜하지만 갈리시아에서) 사이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카탈루냐 연방에 1914년 제한적인 자치권이 부여되었지만 1925년에 폐지되었다. 스페인 제2공화국 기간인 1932년에 카탈루냐의 중세 정부 기관인 Generalitat이 복원되면서 다시 부여되었다. 1931년 헌법은 모든 스페인에 대한 "자치 지역"의 영토 분할을 구상했지만, 카탈루냐, 바스크 지방, 갈리시아만이 "자치 헌장"을 승인했고, 1936년에 발발한 스페인 내전과 프란시스코 프랑코 지휘하의 반군 국민군의 승리로 이 과정은 중단되었다.
프랑코 독재 정권은 스페인을 중앙 집권화된 국가로 통치하는 것이 "스페인 국가의 통일"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었다. 그의 정권은 분리주의와 지역 정체성에 대한 억압[9]을 시도했지만, 이는 역효과를 낳았다.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는 스페인 국가성에 대한 다원적 인정을 요구하는 것과 연결되었다.
1975년 프랑코가 사망하고, 스페인은 민주주의로의 이행 단계에 들어섰다. 1977년 제헌 의회로 활동한 Cortes Generales|스페인 의회es는 프랑코의 중앙 집권주의에서 주변 민족주의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분권화된 모델로 이행해야 했다.[10][11]
스페인 총리인 아돌포 수아레스는 망명 중인 Generalitat 의장 호세프 타라델라스와 만나 헌법이 아직 작성 중인 동안 Generalitat을 복원하고 제한된 권한을 이전하는 데 동의했다. 곧 정부는 스페인의 여러 영토의 국회의원과 상원의원으로 구성된 "국회의원 집회"를 만들어 지역에 대한 "자치 이전 체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헌법 제정자들은 스페인의 상반된 견해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했다.[12] 주변 민족주의 정당은 연방 또는 연합 모델을 가진 다국가 국가를 원했지만, 집권 민주중앙연합(UCD)과 인민연합(AP)는 최소한의 분권화를 원했고, 스페인 사회노동자당(PSOE)은 연방 시스템에 동정적이었다.[19]
결국 1978년에 공포되고 비준된 헌법은 "스페인 국가의 불가분의 통일성" 안에서 스페인의 "국민성과 지역"의 존재를 인정했다. 현행 스페인 헌법의 입안자들은 영토 배치에 "연방"과 같은 라벨을 붙이는 것을 피하면서,[13] "국민성과 지역"의 자치 또는 자치 정부의 권리를 헌법에 명시했고, 이는 "자치 지역"에 대한 권력의 비대칭적 권한 이양 과정을 통해 만들어질 예정이었다.[14][15]

스페인의 영토 조직에 대한 출발점은 헌법 제2조[16]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헌법은 이것이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지에 대해 다소 모호하게 규정했다.[30] 헌법은 국가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자세히 설명하거나, 부과하지 않는다.[11][16] "국가"와 "민족"의 차이를 설명하지 않으며, 어떤 것이 "민족"이고 어떤 것이 "지역"인지, 또는 그것이 포함하는 영토를 명시하지 않는다.[16][17] 부과하기보다는 이들 "민족 및 지역"이 부여받은 자치권 행사를 기반으로 분권화된 구조를 향한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16] 따라서 이러한 행사의 결과는 예측할 수 없었고[18] 그 구성은 의도적으로 개방적이었다.[19] 헌법은 궁극적인 분권을 위한 과정만을 만들었지만, 그 성격은 자발적이었다. 즉, "민족 및 지역"은 자치를 달성할지 여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었다.[20]
이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 헌법은 "민족 및 지역"이 "자치 지역"으로 구성될 수 있는 개방적인 절차를 마련했다. 먼저, 순전히 행정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19세기 자유주의 중앙 집중 체제의 영토 구분인 기존의 50개 스페인 주를 인정했다(주를 구성하는 지방자치단체도 인정했다). 이러한 주는 자치 지역의 구성 요소이자 구성 부분으로 기능할 것이다. 헌법은 다음과 같은 경우 자치 지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21]
- 공통된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 특징을 가진 인접한 두 개 이상의 주
- 도서 지역
- "역사적 지역 정체성"을 가진 단일 주
또한 스페인 의회는 다음과 같은 경우 상기 기준의 예외를 허용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21]
- 국가 이익을 위해 역사적 지역 정체성이 없는 단일 주라도 자치 지역의 구성을 허가할 수 있다(예를 들어, 역사적 지역인 카스티야-라 만차의 일부였던 마드리드 자치주의 생성을 허용했다).
- 주가 아닌 단체 또는 영토에 자치권을 부여하거나 허가할 수 있다(북아프리카의 스페인령인 두 개의 자치 도시의 생성을 허용했다).
헌법은 자치에 접근하는 두 가지 "경로"를 설정했다. "빠른 경로" 또는 "고속 경로"[30], 즉 "예외"[16]는 제151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강력한 지역 정체성을 가진 세 개의 "역사적 민족"[17][22][23]—카탈루냐, 바스크 지방 및 갈리시아—에 암묵적으로 보류되었다. 이러한 지역에 대해서는 스페인 제2공화국(1931~1936) 기간 동안 "자치 헌장"을 승인한 지역에 대해서는 이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매우 엄격한 요건이 면제되었다.[22] 그렇지 않으면, 헌법은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4분의 3 이상의 승인을 요구했으며, 각 주의 선거 인구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인구를 가져야 하며, 각 주의 선거 인구(즉, 모든 등록된 시민, 투표하는 사람만이 아니라)의 과반수 찬성 투표를 통한 국민투표를 통해 비준해야 했다.
헌법이 아직 제정 중이고 자치가 "역사적 민족"에게만 부여될 가능성이 높아 보였을 때, 안달루시아에서도 자치를 요구하는 대중적 외침이 있었고, 이는 결국 "역사적 민족"으로 자체적으로 확인한 해당 지역을 위한 더 빠른 과정을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국, 자치권은 원하는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느린 경로" 또는 "저속 경로"[30], 즉 "규범"[16]는 제143조에 규정되어 있다. 이 경로는—첫 번째 과도 조항을 통해—헌법이 아직 제정 중이던 1978년에 구성된 "준자치 정권"이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3분의 2 이상의 승인을 받고, 각 주 또는 도서 지역의 선거 인구의 과반수 이상을 합산하는 인구를 가진 경우 이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역 사회는 5년의 임시 기간 동안 제한된 권한을 행사한 후 중앙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더 많은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헌법은 이러한 지역 사회에 대한 제도적 틀을 명시적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역사적 민족"과 같은 의회 제도를 수립했을 수도 있고, 어떠한 입법 권한도 행사하지 않고 단순히 부여받은 권한의 행정을 위한 메커니즘만을 수립했을 수도 있었다.[16]
헌법은 또한 이들 지역 사회에 대한 제도적 틀은 의회 제도이며, 보통선거로 선출된 입법 의회, 내각 또는 "정부 위원회", 의회가 선출하는 위원회 위원장, 그리고 고등 법원으로 명시적으로 규정했다. 또한 최대 수준의 이양된 권한도 부여받았다.
헌법은 생성될 자치 지역의 수를 명시하지 않았지만, 1981년 7월 31일 당시 스페인 총리였던 레오폴도 칼보-소텔로와 의회 야당 지도자였던 펠리페 곤살레스는 동일한 정부 기관을 두었지만 권한은 다른 17개 자치 지역과 2개 자치 도시의 생성에 합의한 "첫 번째 자치 협약"에 서명했다.[24] 1983년까지 모든 17개 자치 지역이 구성되었다. 안달루시아, 아라곤, 아스투리아스, 발레아레스 제도, 바스크 지방, 카나리아 제도, 칸타브리아, 카스티야 이 레온, 카스티야-라 만차, 카탈루냐, 마드리드 자치주, 엑스트레마두라, 갈리시아, 라 리오하, 나바라, 무르시아 주 및 발렌시아 지방. 두 개의 자치 도시인 세우타와 멜리야는 1995년에 구성되었다.
자치 지역이 생성된 후, 제145조는 "자치 지역의 연방화"를 금지한다. 이는 서로 다른 자치 지역의 블록 간의 대립을 야기할 정치적, 영토적 균형을 변화시킬 자치 지역 간의 어떠한 합의로 이해되었으며, 이는 연대와 국가 통합의 원칙과 양립할 수 없는 행위이다.[25]
헌법의 소위 "추가" 및 "과도" 조항은 위에서 언급한 틀에 대한 일부 예외를 허용했다. 영토 조직 측면에서, 제5차 과도 조항은 아프리카 북부 해안에 위치한 스페인령인 세우타와 멜리야 도시가 시의회 구성원의 과반수가 그러한 동의안에 동의하고 스페인 의회의 승인을 받으면 "자치 지역"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규정했는데, 이는 주 이외의 다른 단체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스페인 의회의 특권을 행사할 것이다.[26]
그러나 지역 간 권한의 이러한 비대칭성의 한 측면은 마찰의 원인이 되고 있는데, 바스크어 사용 지역(바스크 지방 및 나바라)은 자체 세금을 거둘 수 있고 마드리드로의 이전을 협상하여 공동 서비스 비용을 지불할 수 있으므로, 다른 지역과 달리 스페인 전역의 재정 평등화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두 지역 또는 지역 사회는 "헌장"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27]
다른 모든 지역 사회에서는 모든 세금이 중앙 정부에 의해 또는 중앙 정부를 위해 부과되고 징수된 다음 모든 지역 사회에 재분배된다.

바스크 지방과 카탈루냐의 자치 헌장은 1979년 12월 18일 스페인 의회에서 승인되었다. 당시 집권당인 민주중앙연합(UCD)의 입장은 세 개의 "역사적 민족"만이 완전한 권한을 행사하고, 나머지는 143조에 따라 더 적은 권한을 가지고, 심지어 정부 기관도 설립하지 않을 수 있는 자치에 접근할 것이라는 것이었다.[28] 이는 안달루시아 대표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는데, 그들은 자기 지역에 "민족"에게 주어지는 최대 수준의 권한을 요구했다.[17][29]
자치를 지지하는 대규모 집회 후, 안달루시아는 151조, 즉 "신속 경로"를 통해 자치를 얻기 위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는데, UCD는 기권을 촉구했고, 의회의 주요 야당인 스페인 사회노동당(PSOE)은 찬성 투표를 촉구했다.[17] 알메리아 주와 같이 여덟 개 주 중 한 곳에서 찬성표가 과반수를 차지했지만, 필요한 선거 인구의 절반에 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요건은 충족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국민투표 결과는 명확했다.[16]
몇 달 동안의 논의 끝에, 당시 스페인 총리 아돌포 수아레스와 야당 대표 펠리페 곤살레스는 안달루시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의에 도달하여, 의회는 국민투표를 규정하는 법률을 개정하고 헌법 144조 c항의 특권을 사용하는 것을 승인했는데, 이 두 가지 조치를 결합하면 안달루시아가 신속 경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다른 지역은 "신속 경로"를 이용하지 않고 모든 지역이 모든 정부 기관을 포함하는 의회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데에도 합의했다.[17] 이는 "모두를 위한 커피"로 불리는 단계를 열었다.[3] 이 합의는 1981년 7월 "제1차 자치 협약"이라고 불리는 문서로 작성되었다.[30]
이러한 "자치 협약"은 헌법의 개방적인 성격으로 인해 남겨진 격차를 메웠다. 다른 것들 중에서도 다음과 같다.[16][31]
- 스페인의 영토 분할의 최종 윤곽을 설명하고, 설립될 자치주의 특정 수와 이름을 명시했다.
- "신속 경로"를 "역사적 민족"과 안달루시아로 제한했고, 나머지는 "느린 경로"를 이용해야 했다.
- 모든 자치주가 의회 시스템 내에서 정부 기관을 갖도록 했다.
- 남은 모든 자치주가 설립될 마감일(1983년 2월 1일)을 설정했다.
결국 17개의 자치주가 설립되었다.
- 안달루시아와 세 개의 "역사적 민족"(바스크 지방, 카탈루냐, 갈리시아)은 "신속 경로"를 이용하여 헌법에서 허용하는 최대 권한을 즉시 행사했고, 나머지는 "느린 경로"를 이용했다.
- 아라곤, 카스티야-라 만차, 카스티야 이 레온, 엑스트레마두라, 발렌시아 지방은 공통의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특징을 가진 두 개 이상의 주로 통합된 자치주로 자치에 접근했다.
- 발레아레스 제도와 카나리아 제도는 섬 영토로서 자치에 접근했는데, 후자는 두 개의 주로 통합되어 있다.
- 아스투리아스 공국, 칸타브리아, 라 리오하, 무르시아는 역사적 정체성을 가진 단일 주( "단일 주" 자치주라고도 함)로 자치에 접근했다.
- 나바라는 단일 주로서 역사적이고 지역적인 "법"(헌장)의 인정, 갱신 및 개선을 통해 자치에 접근했으며, 따라서 "헌장 공동체"로 알려져 있다.
- 수도가 있는 마드리드 주는 이전에 속했던 카스티야-라 만차(이전의 카스티야 누에바)에서 제외되어 "국가 이익"을 위해 단일 주 자치주인 마드리드 자치주로 구성되었다.
발렌시아 지방과 카나리아 제도는 "느린 경로"를 이용했지만, 후속 특별 유기법 승인을 통해 5년 이내에 완전한 자치를 부여받았다는 점에서 특별 조항이 마련되었다. 이는 "자치 협약" 승인 전에 "신속 경로"를 향한 과정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한편, 원래 올드 카스티야의 일부였고 카스티야 이 레온의 "자치 이전 체제"에 포함되었던 칸타브리아와 라 리오하는 역사적 정체성을 가진 단일 주로 자치를 부여받았는데, 이는 대다수 주민의 지지를 받았다.[17][32] "자치 협약"은 칸타브리아와 라 리오하 모두에게 미래에 카스티야 이 레온에 편입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고, 세 자치주의 자치 헌장에 그러한 조항을 포함해야 한다고 규정했다.[31] 올드 카스티야와 합쳐 카스티야 이 레온을 형성했던 역사적인 왕국이자 스페인의 역사적 지역인 레온은 자체 자치주로 구성되기 위한 분리 독립이 거부되었다.
1980년대 후반, 중앙 정부는 "느린 경로" 자치주에 모든 권한을 이양하는 것을 꺼리는 것처럼 보였다.[10] 헌법에서 설정한 5년 후, 모든 "느린 경로" 자치주는 헌법에서 보장하는 최대 권한 이양을 요구했다. 이는 당시 PSOE의 스페인 총리 펠리페 곤살레스와 민주중앙연합의 후계 정당인 새로 설립된 국민당(PP)의 야당 대표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간의 1992년 "제2차 자치 협약"이라고 불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합의를 통해 새로운 권한이 이양되었고, "느린 경로" 자치주의 많은 자치 헌장이 개정되어 "신속 경로" 자치주와 동등해지도록 했다.[10] 1995년, 세우타와 멜리야는 입법권은 없지만 다른 주나 자치주에 종속되지 않는 자치 의회를 가진 "자치 도시"로 구성되었다.
자치주의 설립은 헌법으로 시작하여 자치 협약으로 정상화되고 자치 헌장으로 완료된 다양한 과정이었다.[16] 그러나 이는 지속적인 과정이며, 추가적인 권한 이양 또는 이양된 권한의 반환조차 항상 가능성이 있다. 이는 2000년대 초 많은 자치주에 대한 새로운 자치 헌장 승인 물결과 최근 2008년 경제 및 금융 위기 여파로 일부 권한의 재중앙화를 고려하는 많은 자치주에서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은 이제 분권화된 국가이며, 많은 면에서 연방 국가와 비교될 수 있다. 이렇게 독특한 결과 시스템은 "자치 국가" 또는 더 정확하게는 "자치 국가"라고 불린다.
2. 4. 최근 동향
스페인의 광역자치주는 주변부 민족주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일부는 "민족"과 "지역" 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고 보지만, 카탈루냐, 바스크 지방, 갈리시아 등은 자신들을 "국가"로 규정하며 더 많은 자치권 또는 독립을 요구하고 있다.2004년 바스크 의회는 이바레체 계획을 승인하여 스페인과의 공동 주권, 사법부 독립, 자결권 등을 요구했으나, 2005년 스페인 의회에서 거부되었다.
카탈루냐에서는 재정 문제가 특히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2012년 아르투르 마스 당시 카탈루냐 자치주 대통령은 중앙 정부에 새로운 "재정 협정"을 요구했지만 거부당했고, 이후 독립 국민투표를 약속하며 조기 총선을 실시했다. 마리아노 라호이 총리는 법적 수단을 동원해 이를 저지하겠다고 밝혔으며, 스페인 사회당은 연방제 도입을 제안했다.
2017년 10월 27일, 카탈루냐 의회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스페인 정부는 카를레스 푸치데몬을 포함한 카탈루냐 자치 정부 각료를 해임하고 헌법 155조에 따라 자치권을 박탈했다. 소라야 사엔스 데 산타마리아 부총리가 주 수반 직무대행을 맡아 직접 통치를 시작했다.[72] 이는 1978년 헌법 체제하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다. 2018년 6월 킴 토라가 카탈루냐 주 정부 수반에 취임하면서 자치권이 회복되었다.
현재 자치 국가 시스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일부는 자치권 확대가 불충분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과도한 자치권이 비효율성을 초래했다고 비판한다.
스페인은 영국, 모로코, 포르투갈과 영토 분쟁을 겪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자치 지역 간 영토 재분배 운동도 벌어지고 있다.
- 카탈루냐, 바스크 지방과 나바라, 갈리시아, 카나리아 제도에서는 독립 운동이 존재한다.
- 트레비뇨 인클레이브는 카스티야 이 레온에 속하지만 바스크 지방으로의 통합을 요구하는 주민들이 있다.[50]
- 레오네시즘은 레온 지방의 분리 독립을 주장한다.
- 라 리네아 데 라 콘셉시온은 안달루시아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고려하고 있다.[51]
2010년 카탈루냐는 8개의 베게리아로 재편되었다.
3. 분권 모델
스페인의 행정 모델은 "특수한 점을 가진 연방 시스템" 또는 분권화된 단일 국가로 묘사된다.[4][56] 주권은 중앙 정부에 있지만, 각 자치 지역에 다양한 수준으로 권한이 이양되었다. 스페인 헌법재판소는 이 독특한 체계를 "자치 지역 국가"(Estado de las Autonomías)로 명명했다.[5] 일부 학자들은 이 시스템을 연방제와 유사하다고 본다.[5]
1979년, 바스크와 카탈루냐의 자치 헌장이 승인되었다. 당시 집권당은 "역사적 민족"에게만 완전한 권한을 부여하려 했으나, 안달루시아의 반발로 모든 지역이 자치권을 가지는 "모두를 위한 커피"(café para todos) 단계가 시작되었다.[3] 1981년 "제1차 자치 협약"은 스페인의 영토 분할 윤곽을 설명하고, 자치주 설립 마감일을 설정했다.[30]
결과적으로 17개의 자치주가 설립되었다. 안달루시아, 바스크, 카탈루냐, 갈리시아는 "신속 경로"로 최대 권한을 즉시 행사했고, 나머지는 "느린 경로"를 이용했다. 일부 지역은 통합되거나, 단일 주로 구성되기도 했다. 나바라는 "헌장 공동체"로, 마드리드는 "국가 이익"을 위해 자치주가 되었다. 발렌시아와 카나리아 제도는 특별 조항으로 5년 내 완전한 자치를 얻었다. 칸타브리아와 라 리오하는 주민 지지로 자치를 얻고, 카스티야 이 레온에 편입될 선택권을 가졌다.
1980년대 후반, 중앙 정부는 권한 이양을 꺼렸으나, 1992년 "제2차 자치 협약"으로 "느린 경로" 자치주도 "신속 경로" 자치주와 동등한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10] 1995년, 세우타와 멜리야는 자치 도시가 되었다.
자치주 설립은 헌법, 자치 협약, 자치 헌장으로 완료된 과정이지만, 지속적인 과정이다. 2000년대 이후, 일부 권한의 재중앙화도 고려되었다. 스페인은 독특한 분권화 국가이며, 연방제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자치 국가" 시스템이다.[16]
4. 자치 지역 목록
스페인은 17개의 광역자치주와 2개의 자치 도시(세우타, 멜리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광역자치주는 고유한 특성과 역사를 가지며, 스페인 내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행사한다.
깃발 | 자치 지역 | 수도 | 대표 | 의회 | 정부 연립 | 상원 의석 수 | 면적 (km2) | 인구 (2020) | 인구 밀도 (/km2) | 1인당 GRP (€, 2023)[6] | 지위 |
---|---|---|---|---|---|---|---|---|---|---|---|
-- | 안달루시아 | 세비야 | 후안 마누엘 모레노 (인민당) | 의회 | 인민당 | 41 (9 RA, 32 DE) | 87268km2 (17.2%) | 8,464,411 | 96 | 23,218 | 자치 지방 |
-- | 아라곤 | 사라고사 | 호르헤 아스콘 (PP) | 코르테스 | 인민당, 복스 (2024년 7월까지) | 14 (2 RA, 12 DE) | 47719km2 (9.4%) | 1,329,391 | 28 | 34,658 | 자치 지방 |
-- | 아스투리아스 | 오비에도 | 아드리안 바르본 (스페인 사회당) | 주 의회 | FSA–PSOE, IU–IX, IAS | 6 (2 RA, 4 DE) | 10604km2 (2.1%) | 1,018,784 | 96 | 28,130 | 역사적 공동체 |
-- | 발레아레스 제도 | 팔마 | 마르가 프로엔스 (PP) | 의회 | 인민당 | 7 (2 RA, 5 DE) | 4992km2 (1%) | 1,171,543 | 230 | 34,381 | 자치 지방 |
-- | 바스크 지방 | 비토리아-가스테이스 ('사실상 기관 소재지) | 이마놀 프라달레스 (PNV) | 의회 | PNV, PSE-EE (PSOE) | 15 (3 RA, 12 DE) | 7234km2 (1.4%) | 2,220,504 | 305 | 39,547 | 자치 지방 |
-- | 카나리아 제도 | 라스 팔마스, 산타 크루스 | 페르난도 클라비호 바틀레 (CC) | 의회 | CC, PP, ASG, AHI | 14 (3 RA, 11 DE) | 7447km2 (1.5%) | 2,175,952 | 289 | 24,345 | 자치 지방 |
-- | 칸타브리아 | 산탄데르 | 마리아 호세 사엔스 데 부루아가 (PP) | 의회 | 인민당 | 5 (1 RA, 4 DE) | 5321km2 (1%) | 582,905 | 109 | 28,461 | 역사적 공동체 |
-- | 카스티야 이 레온 | 발라돌리드 ('사실상 기관 소재지) | 알폰소 페르난데스 마뉴에코 (PP) | 코르테스 | 인민당, 복스 (2024년 7월까지) | 39 (3 RA, 36 DE) | 94223km2 (18.6%) | 2,394,918 | 25 | 29,698 | 역사적 공동체 |
-- | 카스티야-라 만차 | 톨레도 | 에밀리아노 가르시아-페이지 (PSOE) | 코르테스 | PSOE | 23 (3 RA, 20 DE) | 79463km2 (15.7%) | 2,045,221 | 26 | 25,758 | 지역 |
-- | 카탈루냐 | 바르셀로나 | 살바도르 이야 (PSC) | 의회 | PSC | 24 (8 RA, 16 DE) | 32114km2 (6.3%) | 7,780,479 | 239 | 35,325 | 자치 지방 |
-- | 엑스트레마두라 | 메리다 | 마리아 과르디올라 (PP) | 의회 | 인민당, 복스 (2024년 7월까지) | 10 (2 RA, 8 DE) | 41634km2 (8.2%) | 1,063,987 | 26 | 23,604 | 지역 |
-- | 갈리시아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 알폰소 루에다 (PP) | 의회 | 인민당 | 19 (3 RA, 16 DE) | 29574km2 (5.8%) | 2,701,819 | 91 | 28,644 | 자치 지방 |
-- | 라 리오하 | 로그로뇨 | 곤살로 카펠란 (PP) | 의회 | 인민당 | 5 (1 RA, 4 DE) | 5045km2 (1%) | 319,914 | 63 | 32,828 | 지역 |
-- | 마드리드 | 마드리드 | 이사벨 디아스 아유소 (PP) | 의회 | 인민당 | 11 (7 RA, 4 DE) | 8028km2 (1.6%) | 6,779,888 | 830 | 42,198 | 지역 |
-- | 무르시아 | 무르시아 | 페르난도 로페스 미라스 (PP) | 지역 의회 | 인민당, 복스 (2024년 7월까지) | 6 (2 RA, 4 DE) | 11313km2 (2.9%) | 1,511,251 | 132 | 25,887 | 지역 |
-- | 나바라 | 팜플로나 | 마리아 키비테 (PSOE) | 의회 | PSN-PSOE, GBai, CN-ZN | 5 (1 RA, 4 DE) | 10391km2 (2%) | 661,197 | 63 | 37,088 | 자치 지방 |
-- | 발렌시아 | 발렌시아 | 카를로스 마손 (PP) | 코르테스 | 인민당, 복스 (2024년 7월까지) | 17 (5 RA, 12 DE) | 23255km2 (4.6%) | 5,057,353 | 215 | 26,453 | 자치 지방 |
RA: 지역 선출, DE: 직접 선출 |
깃발 | 문장 | 자치 도시 | 시장 | 의회 | 정부 연합 | 상원 의석 수 | 면적 (km2) | 인구 (2020) | 인구 밀도 (/km2) | 1인당 GRP (€, 2023)[7] |
---|---|---|---|---|---|---|---|---|---|---|
-- | -- | 세우타 | 후안 헤수스 비바스 (PP) | 의회 | PP | 2 (직선제) | 18.5km2 | 84,202 | 4,583 | 22,751 |
-- | -- | 멜리야 | 후안 호세 임브로다 (PP) | 의회 | PP | 2 (직선제) | 12.3km2 | 87,076 | 7,031 | 20,479 |
직선제: 직접 선출 |
4. 1. 자치 지역
AndalucíaesSevillaes
Aragónes
Zaragozaes
Principado de Asturiases
Principáu d'Asturiesast
Oviedoes
Uviéuast
Asturiases
Asturiesast
Oviedoes
Uviéuast
Illes Balearsca
Islas Baleareses
Palma de Mallorcaes
Illes Balearsca
Islas Baleareses
Palma de Mallorcaes
Euskal Autonomi Erkidegoaeu
Comunidad Autónoma del País Vascoes
Gasteizeu
Vitoriaes
Arabaeu, Álavaes
Gasteizeu, Vitoriaes
Gipuzkoaeu, Guipúzcoaes
Donostiaeu, San Sebastiánes
Bizkaiaeu, Vizcayaes
Bilboeu, Bilbaoes
Islas Canariases
라스팔마스
Santa Cruz de Tenerifees
Las Palmases
Cantabriaes
Santanderes
Cantabriaes
Santanderes
Castilla-La Manchaes
Toledoes
Castilla y Leónes
Valladolides
Catalunyaca
Cataluñaes
Barcelonaes
Gironaca, Geronaes
Lleidaca, Léridaes
Extremaduraes
Méridaes
Galiciaes
Galizagl 또는 Galiciagl
Santiago de Compostelaes
A Coruñagl, La Coruñaes
Ourensegl, Orensees
La Riojaes
Logroñoes
La Riojaes
Madrides
Madrides
Madrides
Región de Murciaes
Murciaes
Murciaes
Comunidad Foral de Navarraes
Nafarroako Foru Komunitateaeu
Pamplonaes
Iruñaeu
Navarraes
Nafarroaeu
Pamplonaes
Iruñaeu
Comunitat Valencianaca
Comunidad Valencianaes
Valènciaca
Valenciaes
Alacantca, Alicantees
Castellóca
Castellónes
Castelló de la Planaca
Castellón de la Planaes
Valènciaca, Valencia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