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돌리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야돌리드 주는 스페인 카스티야 이 레온 자치 지역에 속한 주로, 1833년 설립되었다. 선사 시대부터 로마 시대를 거쳐 중세, 근세,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1601년부터 1606년까지 스페인 제국의 수도였던 시기를 거쳤다. 지리적으로는 메세타 센트랄 고원에 위치하며,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경제적으로는 농업, 산업, 교통의 요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르노, 미쉐린 등 주요 기업들이 위치해 있다. 또한, 풍부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건축 양식의 유적, 성, 수도원 등이 존재한다. 바야돌리드 주는 축구, 농구, 핸드볼, 럭비 등 다양한 스포츠 팀의 활동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야돌리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 | |
유형 | 주 |
좌석 | 바야돌리드 |
면적 | 8110km² |
면적 순위 | 28위 |
면적 비율 | 스페인의 1.61% |
인구 | 525398명 (2024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순위 | 29위 |
인구 비율 | 스페인의 1.11% |
ISO 코드 | ES-VA |
정치 | |
의회 | 코르테스 헤네랄레스 |
하원 의석수 | 해당 정보 없음 |
상원 의석수 | 해당 정보 없음 |
대표 | 해당 정보 없음 |
행정 구역 | |
자치 단체 수 | 255개 |
기타 | |
공식 언어 | 스페인어 |
시간대 | 해당 정보 없음 |
우편 번호 | 해당 정보 없음 |
지역 번호 | 해당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diputaciondevalladolid.es |
2. 역사
바야돌리드 주의 역사는 고대 반도에 정착했던 켈트족의 일파인 바카에이족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은 두에로 강 유역에서 발전된 농업 문화를 이루며 살았으나, 이후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로마 제국 멸망 후에는 서고트 왕국의 영토가 되었고, 8세기 초 이슬람 세력의 침공을 겪었다.
레콩키스타 과정에서 이 지역은 기독교 왕국과 이슬람 세력 간의 중요한 격전지였으며, 11세기 레온 왕국에 의해 수복되었다. 1072년 페드로 안수레스 백작이 바야돌리드 시를 건설하면서 카스티야 왕국의 역사와 깊이 연결되기 시작했다. 중세 시대 동안 메디나 델 캄포와 바야돌리드 같은 도시들은 행정 및 경제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특히 메스타(양모 생산 및 교역 조합) 활동과 박람회 개최로 유명했다.
15세기 말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은 바야돌리드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이곳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플로리다를 발견한 후안 폰세 데 레온과 같은 지역 출신 탐험가들이 아메리카 식민지화에 참여했다. 또한, 스페인과 포르투갈 간의 신대륙 분할을 결정한 토르데시야스 조약이 이 주의 토르데시야스에서 체결되기도 했다. 16세기 초에는 왕권에 저항한 코무네로스 반란이 일어나 지도자들이 처형되는 아픔을 겪었으며, 17세기 초 잠시 스페인 제국의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후 제국의 쇠퇴와 함께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과 반도 전쟁 등 여러 전쟁을 거쳤다.
1833년 하비에르 데 부르고스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공식적으로 바야돌리드 주가 설립되어 역사적인 구 카스티야 지역에 속하게 되었다. 20세기 스페인 내전 시기에는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이끄는 국민주의 반란 세력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으며, 내전 기간 내내 그의 통제 하에 있었다.[2] 프랑코 독재 시기에는 농촌 인구가 도시로 대거 이동하는 변화를 겪었다. 1980년대 초 스페인의 민주화 이후 카스티야 이 레온 자치 지방의 일부가 되었으며, 스페인 부동산 거품과 같은 경제 성장기를 거치기도 했으나 2008년 이후 경제 위기와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는 등 현대 스페인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2. 1. 선사 시대와 로마 시대

현재의 바야돌리드 주 지역에 처음으로 안정적으로 정착한 인구는 로마 제국 시대 이전의 바카에이족( vacceoses )이다. 이들이 거주했던 지역은 "바카에이족의 지역"( Región Vacceaes )이라고 불렸다. 바카에이족은 유럽 북부에서 다른 켈트족이 반도에 도착했을 때 이미 매우 발전된 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다른 주에 해당하는 영토까지 점령했다는 증거도 있다. 당시 연대기에서는 이 지역을 "자유롭고 발견된" 곳, "개방된 시골, 밀밭, 산림이 파괴된 토지"로 묘사했다. 바카에이족은 주로 축산업과 농업, 특히 곡물 재배에 종사했다.
서기 178년, 로마인들이 이 지역을 정복했다. 이로써 현재의 주를 이루는 땅은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이후 서고트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될 때까지 로마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2. 2. 중세 시대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현재의 바야돌리드도 지역은 서고트 왕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711년 이슬람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하면서, 712년에는 이 지역까지 도달했다. 이후 레콩키스타 기간 동안, 이곳은 11세기 전반까지 이슬람 세력과 기독교계 레온 왕국 사이의 주요 격전지가 되었다. 939년 시만카스 전투에서 기독교 왕국이 승리하면서 두에로 강 유역의 지배권을 확립하게 되었다. 바야돌리드 시는 1072년 페드로 안수레스 백작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이 시점부터 이 지역의 역사는 카스티야 왕국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특히 메디나 델 캄포나 바야돌리드 같은 도시들은 카스티야 왕국의 중요한 행정 중심지로 부상했으며, 메스타(목축 조합) 활동과 정기적인 박람회 개최 등을 통해 경제적으로도 크게 번영했다.

1492년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 과정에서도 바야돌리도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생애 마지막 몇 년을 바야돌리드에서 보냈고 1506년 이곳에서 사망했다. 이후 아메리카 식민지화 과정에서는 이 지역 출신 탐험가들의 활동도 두드러졌는데, 대표적으로 플로리다를 발견하고 명명한 후안 폰세 데 레온이 있다. 실제로 가톨릭 군주와 포르투갈 왕국 사이에 신대륙의 영향권을 분할하여 결과적으로 라틴 아메리카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토르데시야스 조약이 토르데시야스의 한 건물에서 체결되기도 했다.
2. 3. 근세 시대

바야돌리드 지역은 1492년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과 깊은 관련이 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생의 마지막 몇 년을 바야돌리드에서 보내다 1506년 그곳에서 사망했다. 또한, 산테르바스 데 캄포스 출신의 후안 폰세 데 레온과 같은 탐험가들은 플로리다를 발견하는 등 아메리카 식민지화에 참여했다. 신대륙의 지배권을 둘러싼 가톨릭 군주와 포르투갈 왕국 간의 토르데시야스 조약이 토르데시야스에서 체결되어 이후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를 결정짓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520년에는 카스티야 왕국 전역에서 왕권에 반발하는 코무네로스 반란이 일어났으며, 이 반란은 1521년 빌라야르 데 로스 코무네로스에서 반란 지도자들이 처형되면서 막을 내렸다.
바야돌리드는 1601년부터 1606년까지 스페인 제국의 수도 역할을 맡기도 했으나, 이후 제국이 계속되는 전쟁과 새로운 강대국의 등장으로 쇠퇴기에 접어들면서 스페인의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18세기 초에 발발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0–1715)에서는 부르봉 왕가 출신의 왕위 요구자를 지지했으며, 결국 그가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2. 4. 근현대
프랑스와의 반도 전쟁 (1808–1814) 시기에는 일련의 소규모 전투와 "용감한 자"와 같은 게릴라들의 지속적인 활동이 있었다.바야돌리드 주는 1833년 9월 29일 하비에르 데 부르고스 장관이 주도한 왕립 칙령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역사적인 지역인 구 카스티야에 속하게 되었다.
스페인 내전 (1936–1939) 동안 바야돌리드는 스페인 제2공화국에 반기를 든 팔랑헤당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1936년 총선에서 팔랑헤당은 카디스 다음으로 이곳에서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2], 내전 기간 내내 프랑코가 이끄는 국민주의자 세력의 통제 하에 있었다.
프랑코 시대에는 농촌에서 산업 도시로의 대규모 인구 이동이 있었다. 스페인이 민주화된 이후인 1980년대 초에는 새로운 자치 지역인 카스티야 이 레온의 일부가 되면서 추가적인 인구 이동이 발생했다.
이후 스페인 부동산 거품으로 대표되는 경제 성장을 경험했으나, 2008-2015년 경제 위기로 인해 남유럽의 다른 지역들처럼 어려움을 겪었다. 2020년까지 어느 정도 경제 성장을 회복하는 듯 보였으나, COVID-19 범유행으로 스페인 전역에 경계령이 선포되면서 경제 활동이 크게 위축되었다. 봉쇄 조치가 해제된 후 경제 활동이 재개되었다.
3. 지리
북쪽으로는 부르고스, 팔렌시아, 레온에 접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사모라, 남쪽으로는 살라망카와 아빌라, 동쪽으로는 세고비아 도와 접해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자치 공동체 (카스티야 이 레온) 내에서 다른 도에 의해서만 완전히 둘러싸인 유일한 스페인 도이다.
북서쪽 레온 | 북쪽 팔렌시아 | 북동쪽 팔렌시아 |
---|---|---|
서쪽 사모라 | 바야돌리드도 | 동쪽 부르고스 |
남서쪽 살라망카 | 남쪽 아빌라 | 남동쪽 세고비아 |
바야돌리드 도는 8110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이베리아 반도 북쪽 절반의 중앙에 있는 고원인 메세타 센트랄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평균 고도 777m, 최대 고도 차이 300m의 균일한 지형이 특징이며,[3] 스페인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균일한 도이다. 동에서 서로 흐르는 두에로 강은 이 지역의 중추가 된다.[4]
광대한 평원이 지배적이며, 다양한 강 계곡으로 정의되는 황무지 지역이 특징이다. 이 중 일부는 몬테스 토로조스, 산 크리스토발 언덕(843m), 사르다네도(854m)와 같은 언덕의 산악 경관을 유발하며 고도가 높다. 완만한 언덕의 시골 위치, 그리고 서로를 분리하는 소위 "언덕", 프라도, 산토베니아, 카베존 데 피수엘가 등의 깊은 협곡이 있다.
산이 전혀 없는 유일한 반도 도이며(해안선도 없음) 알메리아 도와 함께 산림 지역이 가장 적은 곳(영토의 16% 미만)이다.[5] 가장 높은 지점은 카스트리오 데 두에로에 있는 쿠치예호스 언덕(933m)이다. 가장 낮은 지점은 빌라프랑카 데 두에로를 통과하는 두에로 강 (626m)이다. 따라서 카스티야 이 레온의 영토 어느 곳에서도 해발 1000m에 도달하지 않는 유일한 도이기도 하다.
두에로 강과 그 지류(피수엘가, 에스게바, 아다하, 에레스마, 두라톤, 자파르디엘, 세가 등)가 지배하는 수계이며 카스티야 운하와 두에로 운하로 완성되었다. 관련 호수는 라구나 데 두에로 한 곳뿐이다. 이 도에는 엔시나스 데 에스게바, 산 호세, 바호스, 발데무다라 등 4개의 저수지가 있으며, 모두 20세기에 건설되었고 마지막 저수지는 21세기 첫 10년에 건설되었다.
3. 1. 기후
바야돌리드 지방에 위치한 중앙 고원에는 전형적인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난다. 이는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와 유사하지만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가지며, 기온의 변화가 더 심하지만, 따로 분류될 정도로 차이가 크지는 않다. 또한 이 기후는 바다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스페인에서 기온 변화가 가장 심한 지역으로, 여름은 매우 덥고 겨울은 꽤 추워서 18.5°C의 온도 변화를 보인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1981-2010년 기준 바야돌리드 지방의 주요 기후는 ''Csa'' (고온 건조형 지중해성 기후)와 ''Csb'' (온난 건조형 지중해성 기후) 유형이다.[6]
여름은 가장 건조한 계절로, 30°C를 넘는 날이 매우 빈번하며, 드물게는 35°C를 넘기도 한다. 하지만 겨울에는 기온이 0°C까지 떨어지는 경우가 흔하며, 맑은 밤에는 얼음이 얼고 드물게 눈이 내리기도 한다. 서리가 안개와 결합하면 무서리라고 불리며, 이는 이 지역의 매우 특징적인 현상이며, 서리와 유사하다. 스페인의 이 북부 지역은 카스티야 이 레온의 다른 지방들과 함께 남유럽에서 가장 추운 지역이다.

강수량은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와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400mm~600mm 사이로, 봄과 가을에 최고조에 달한다. 하지만 바다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보다 더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바야돌리드 지방의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는 이 기후를 보이는 다른 지역보다 약 2도 정도 기온이 더 높은데, 이는 주로 이 지방에 산이 적고 해발 고도가 카스티야 이 레온 전체보다 평균 50m~200m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야돌리드 지방은 연평균 기온이 11.8°C로, 북부 고원 전체에서 가장 쾌적한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강수량은 400mm~600mm이며, 여름에는 강수량이 매우 적고 겨울에도 비교적 적은 등 연중 고르게 분포한다. 바야돌리드 지방의 강수량은 대개 많은 양으로 폭우처럼 쏟아지는 경우는 드물고, 부드럽게 여러 날에 걸쳐 내리기 때문에 농촌 지역에 유리하다.
바야돌리드 지방의 두 국립 기상청(AEMet) 관측소에서 기록된 극단적인 기상 값은 다음과 같다. 온도의 경우 1995년 7월 19일 바야돌리드 관측소에서 기록된 40.2°C와 1971년 1월 3일 빌라누블라 관측소에서 기록된 -18.8°C가 있다. 기록된 가장 강한 순간 풍속은 1971년 1월 24일 133km/h였으며, 하루 동안의 최대 누적 강수량은 1951년 12월 5일 90.8 l/m²였다.[7]
4. 자연
바야돌리드도의 대표적인 자연 보호 구역으로는 두에로 강 유역에 위치한 카스트로뉴뇨 강둑 자연보호구역이 있다. 이곳은 중요한 습지 생태계를 이루며, 특히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 및 번식지로서 보호받고 있다. 또한, 역사적인 수로인 카스티야 운하 역시 시간이 흐르면서 주변에 독특한 습지 환경을 형성하여 높은 생태적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4. 1. 동식물


바야돌리드도의 주요 자연 보호 구역과 일반적인 동식물상은 다음과 같다.
- '''카스트로뉴뇨 강둑 자연보호구역''': Reserva Natural de las Riberas de Castronuño-Vega del Duerospa는 토로조 산맥 지역에 위치하며, 황무지와 라스 베가 퇴적물 지역이다. 이곳은 철새 및 물새의 중요한 번식지이다. 두에로 강이 흐르며 강 주변은 리베라 숲으로 둘러싸여 있어 흥미로운 습지 생태계를 형성한다. 지역은 대체로 넓은 평야로 이루어져 있고 높은 고도는 없다. 이곳에는 왜가리, 중대백로, 쇠백로, 뱀, 주걱오리, 흰뺨오리, 흰죽지, 검은머리갈매기, 알보탄, 물수리, 목걸이뱀, 사다리독수리, 매, 도마뱀, 콜리호자 신데렐라, 오셀라드 도마뱀, 산안토니오 개구리, 산파 두꺼비, 족제비, 오소리 등 다양한 동물이 서식한다. 이 자연 보호 구역은 조류 특별 보호 구역(SPA)으로 지정되어 있다.
- '''카스티야 운하''': Canal de Castillaspa는 1753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849년에 개통되기까지 거의 한 세기가 걸렸다. 거꾸로 된 "Y"자 모양으로, 본래 카스티야 지방의 밀을 칸타브리아 해 항구로 운송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나, 철도의 등장으로 운송 수단으로서의 기능은 빠르게 상실했다. 이 운하는 바야돌리드도 내 9개 자치체를 통과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운하 가장자리에는 높은 생태적 가치를 지닌 습지가 형성되어 생물 다양성의 섬 역할을 하고 있다. 다양한 수생 식물과 이를 서식지로 삼는 많은 척추동물 종이 서식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류의 경우, 121종의 번식 조류, 겨울 철새, 수권 조류, 우발 조류가 발견되며, 포유류 42종(이 중 15종은 곤충을 먹는 포유류), 양서류 11종, 파충류 14종, 어류 14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생은 전형적인 고원 지대(해발 700m~800m)의 특징을 나타낸다. 주요 수종으로는 다양한 소나무(해송(Pinus pinea), 해안송(Pinus pinaster)), 떡갈나무(홀참나무(Quercus ilex)), 참나무(피레네 참나무(Quercus pyrenaica), 포르투갈 참나무(Quercus faginea)), 코르크 참나무(Quercus suber), 느릅나무, 미루나무(포플러(Populus)), 물푸레나무, 버드나무, 오리나무, 인동덩굴, 갈대(아룬도(Arundo donax)), 탑, 관목 및 목초지 등이 분포한다.
일반적으로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동물은 전형적인 지중해 고원 동물이다. 주요 동물로는 유럽 토끼, 붉은 다람쥐, 고슴도치, 밭쥐, 자고새, 작은 대머리독수리, 큰 대머리독수리, 황새, 제비, 유럽 울새, 뻐꾸기, 유럽 굴뚝새, 멧비둘기, 유럽 어치, 쇠오리, 회색 기러기, 스페인 참새, 집 참새, 페레즈 개구리, 몽타구개구리매, 서부 갯개구리매, 개구리매, 송골매, 뱀독수리, 작은 황새매, 재두루미, 모래밭 매, 제프루아박쥐, 송어, 잉어, 가재, 유럽 수달, 뒤쥐, 이베리아 산토끼, 노루, 멧돼지, 붉은 여우, 회색 늑대 등이 있다.
5. 경제
2010년 이 지역의 1인당 GDP는 연간 24751EUR(약 32176USD)이다. 이는 스페인 평균(지수 100)보다 높은 109% 수준으로, 전국 평균 1인당 GDP를 초과했다. 이 지역의 총 GDP는 130억유로(약 169억달러)에 달했다.
농업 부문에서는 밀과 보리 같은 곡물, 콩류, 사탕무, 알팔파, 채소, 포도 재배가 이루어지며, 중요한 축산업도 발달해 있다.
산업 활동은 주로 수도 바야돌리드에 집중되어 있다. 주요 산업 분야로는 농업 관련 산업(파스타, 밀가루, 초콜릿, 설탕 등), 섬유, 야금, 자동차 제조(FASA-Renault), 화학, 건설, 제지, 그래픽 아트 등이 있다. 특히 FASA-Renault 공장은 1951년 문을 연 이후 지역 산업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도 바야돌리드 외에도 메디나델캄포, 페냐피엘, 토르데시야스, 투델라데두에로, 라구나데두에로, 이스카르, 올메도, 페드라하스데산에스테반 등이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특히 페드라하스데산에스테반은 잣 대량 생산으로 유명하다.
2013년 경제적 청구액 기준 상위 10개 기업은 다음과 같다.
기업명 |
---|
르노-에스파냐 (Renault-España) |
미쉐린 (Michelin) |
이베코 (Iveco) |
엘 아르볼 (El Árbol) |
아콰제스트 (Aquagest, 그룹 아그바르) |
라우키 (Lauki, 락탈리스) |
베가르 (Begar) |
ACOR |
그룹 노르테 (Grupo Norte) |
케세리아스 엔트레피나레스 (Queserías Entrepinares) |
5. 1. 교통
바야돌리드 주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로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국가적으로는 마드리드와 비고(갈리시아)에서 산 세바스티안(바스크 자치 공동체)에 이르는 스페인 북부 전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국제적으로는 포르투갈 북부(포르투)에서 프랑스 남부(앙다예)까지 포르투갈과 프랑스를 연결하는 최단 육로이다.이름 | 시작/종료 지점 | 바야돌리드에서 통과하는 주요 도시 |
---|---|---|
마드리드-아 코루냐 | 메디나 델 캄포, 루에다, 토르데실라스, 우루에냐 | |
부르고스-포르투갈 | 카베손 데 피수르가, 시갈레스, 바야돌리드, 시만카스, 토르데실라스, 알라에호스 | |
소리아-사모라 | 페냐피엘, 킨타니야 데 오네시모, 투데라 데 두에로, 바야돌리드, 토르데실라스 | |
바야돌리드-레온 | 바야돌리드, 메디나 데 리오세코, 마요르가 | |
바야돌리드-세고비아 | 바야돌리드, 보에실로, 포르티요, 알데마요르 데 산 마르틴 | |
바야돌리드-투데라 데 두에로 | 바야돌리드, 투데라 데 두에로 | |
바야돌리드-보에실로 | 바야돌리드, 라구나 데 두에로, 보에실로 | |
바야돌리드-아로요 데 라 엔코미엔다 | 바야돌리드, 아로요 데 라 엔코미엔다 | |
카베손 데 피수르가-아로요 데 라 엔코미엔다 | 카베손 데 피수르가, 산토베니아 데 피수르가, 레네도 데 에스게바, 바야돌리드, 아로요 데 라 엔코미엔다 |
이름 | 시작/종료 지점 | 바야돌리드에서 통과하는 주요 도시 |
---|---|---|
N-VI | 마드리드-아 코루냐 | 메디나 델 캄포, 루에다, 토르데실라스, 모타 델 마르케스, 비야르데프라데스 |
N-122 | 사라고사-포르투갈 | 페냐피엘, 킨타니야 데 아리바, 킨타니야 데 오네시모, 투데라 데 두에로, 바야돌리드, 토르데실라스 |
N-601 | 마드리드-레온 | 올메도, 모하도스, 라구나 데 두에로, 바야돌리드, 메디나 데 리오세코, 마요르가 |
N-620 | 부르고스-포르투갈 | 바야돌리드, 토르데실라스, 알라에호스 |
바야돌리드 지방의 스페인 고속철도 (AVE) 노선은 바야돌리드, 올메도, 메디나 델 캄포에 정차하며, 마드리드-바야돌리드 고속철도 노선, 마드리드-레온 고속철도 노선, 마드리드-갈리시아 고속철도 노선 등이 운행된다. 또한 올메도 인근의 "우회로"가 건설 중이며, 이는 마드리드-바야돌리드 노선과 마드리드-갈리시아 노선을 연결할 예정이다.[10] 대서양 회랑 (CORR 7)은 범유럽 교통 네트워크(TEN-T)의 기본 네트워크에 속하며, 대서양 해안의 항구와 내륙 및 유럽의 나머지 지역을 연결하는 여객 및 화물 철도 회랑으로 2031년 이전에 완공될 예정이다.
주요 공공 철도 운영 회사는 스페인 국영 렌페(Renfe)이며, 장거리 및 고속 철도 서비스(AVE, Avant, Talgo)를 운영한다.
바야돌리드 도에는 빌라누블라에 위치한 바야돌리드 공항이 유일한 공항이다. 2022년 기준으로 172,006명의 승객, 7,268건의 항공기 운항, 6317ton의 화물을 처리했다.[11] 이 공항은 카스티야 이 레온 지역 승객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알리칸테, 바르셀로나, 팔마 데 마요르카, 이비자, 메노르카, 그란 카나리아, 테네리페 남부, 란사로테, 발렌시아, 말라가 등 다양한 목적지로 운항한다.
이 외에도 소규모의 개인 비행장이 여러 개 존재한다.
6. 행정 구역
바야돌리드 주는 다른 스페인 지방과 마찬가지로 1833년 10월 29일 국왕 칙령에 따라 하비에르 데 부르고스 장관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과정에서 각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 특성이 고려되었다. (참조: 1833년 스페인 영토 분할)
바야돌리드 주의 정부와 행정은 카스티야 이 레온 자치 규정에 명시된 바와 같이 바야돌리드 도 의회가 담당한다. 도 정부 청사는 1875년 건물을 매입한 이후부터 바야돌리드의 피멘텔 궁전에 위치해 있다.
오늘날 바야돌리드 주는 공식적인 행정 구역(코마르카)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역사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8개의 코마르카로 나뉘었다.
- 티에라 데 캄포스 ("들판의 땅")
- 몬테스 토로소스 ("토로소스 산")
- 캄피냐 델 피수에르가 ("피수에르가 시골")
- 파라모스 델 에스게바 ("에스게바의 황무지")
- 티에라 델 비노 ("포도주의 땅")
- 티에라 데 피나레스 ("소나무의 땅")
- 캄포 데 페냐피엘 ("페냐피엘 평원")
- 티에라 데 메디나 ("메디나의 땅")
바야돌리드 주에는 255개의 무니시피오(기초 자치 단체)가 있다. 주 전체 인구의 약 60%가 주도인 바야돌리드에 거주하고 있으며, 기초 자치 단체의 약 3분의 1은 인구가 200명 미만이다. 주요 도시 및 전체 시정촌 목록은 #주요 도시 및 바야돌리드 시정촌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6. 1. 주요 도시
바야돌리드 주에는 255개의 무니시피오(기초 자치 단체)가 있다. 주 인구의 상당수가 주도인 바야돌리드에 집중되어 있으며, 기초 자치 단체의 약 3분의 1은 인구가 200명 미만일 정도로 작은 규모이다. 전체 시정촌 목록은 바야돌리드 시정촌 목록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아래는 2013년 기준 인구가 많은 주요 도시 목록이다.
순위 | 자치체 | 인구(2013년) |
---|---|---|
1 | 바야돌리드 | 309,714 |
2 | 라구나 데 두에로 | 22,590 |
3 | 메디나 델 캄포 | 21,556 |
4 | 아로요 데 라 엔코미엔다 | 16,643 |
5 | 토르데시야스 | 8,961 |
6 | 투델라 데 두에로 | 8,733 |
7 | 라 시스테르니가 | 8,578 |
8 | 이스카르 | 6,837 |
9 | 사라탄 | 5,880 |
10 | 페냐피엘 | 5,578 |
7. 인구
(빈 내용)
7. 1. 인구 통계
바야돌리드도는 2024년 기준 525,398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고, 이는 스페인 국립 통계청(INE)의 자료에 따른 것이다. 이 인구수는 카스티야 이 레온 자치 지역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며, 해당 지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이다. 스페인 전체 인구의 1.08%에 해당하며, 인구 규모로는 스페인 내에서 19번째 순위에 있다.[12]바야돌리드도는 카스티야 이 레オン 내에서 인구가 증가하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며, 상대적으로 젊은 인구 구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스페인과 유럽 전체에서도 장수하는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은 바야돌리드도의 연도별 인구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인구 |
---|---|
1833 | 184,647 |
1860 | 246,981 |
1887 | 267,148 |
1900 | 283,045 |
1918 | 287,713 |
1930 | 311,414 |
1940 | 332,934 |
1950 | 348,185 |
1960 | 367,392 |
1970 | 413,026 |
1981 | 481,786 |
1990 | 494,912 |
1995 | 504,583 |
2000 | 495,690 |
2005 | 514,674 |
2010 | 533,640 |
2015 | 526,223 |
2020 | 520,716 |
2024 | 525,398 |
출처: 스페인 국립 통계청 (INE) |
8. 문화
바야돌리드 주는 풍부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 정부는 "문화 여행" 프로그램을 통해 성, 궁전, 교회, 박물관, 요리 등 다양한 문화 자원을 소개하고 있다.[13][14]
바야돌리드도의 요리는 전형적인 스페인 요리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지역적 특색을 보인다. 특히 구운 레차소(어린 양고기)나 새끼 돼지 요리가 유명하며, 티에라 데 캄포스 지역의 빌라론 데 캄포스 치즈(pata de mulo|파타 데 물로es)와 같은 전통 양젖 치즈도 생산된다. 마늘 수프, 렌틸콩 스튜, 비둘기 요리 등도 전통 음식이며, 다양한 종류의 케이크와 아몬드를 이용한 과자도 맛볼 수 있다.
바야돌리드도의 와인은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베가 시실리아 와이너리가 유명하다. 이 지역에는 총 5개의 원산지 명칭 보호(Denominación de origen, DO) 와인 산지가 있다. 루에다(Rueda) 지역은 베르데호 품종을 사용한 화이트 와인으로 유명하며, 과거 가톨릭 군주 시대에는 궁정 와인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리베라 델 두에로(Ribera del Duero) 지역은 템프라니요 품종으로 만든 고품질 레드 와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토로(Toro), 티에라 데 레온(Tierra de León), 시갈레스(Cigales) 등의 DO 지역에서 다양한 종류의 와인이 생산된다.
바야돌리드 지방의 빵은 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전통을 자랑한다.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가 유스테 수도원에 머물 때 바야돌리드에서 빵을 가져다 먹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이다. 주로 듀럼 밀을 사용하여 만드는 "칸데알 빵(pan candeales)"이 대표적이며, 껍질이 얇고 속이 희고 촘촘한 것이 특징이다. 이 외에도 "레추기노 빵(pan lechuguinoes)", "네 개의 침대 빵(pan de cuatro canteroses)", 파비올라 등 다양한 종류의 전통 빵이 있다.
8. 1. 문화 유산
카스티야 이 레온 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성(castilloes)이 많은 지방이며, 특히 바야돌리드 주는 유럽에서도 성이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이 지역의 성들은 역사적 중요성이 커서 "바야돌리드 학파"(escuela de Valladolides)라는 고유한 건축 양식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대중의 이용과 관람을 위해 정비되고 있다. 바야돌리드 주에 보존된 주요 성과 성벽은 다음과 같다.'''성'''
- 카스트로멤브레 성(카스트로멤브레)
- 페냐피엘 성(페냐피엘)
- 쿠리엘 데 두에로 성-궁전(쿠리엘 데 두에로)
- 쿠리엘 데 두에로 성(쿠리엘 데 두에로)
- 카니야스 데 에스게바 성(카니야스 데 에스게바)
- 엔시나스 데 에스게바 성(엔시나스 데 에스게바)
- 폰카스틴 성(폰카스틴)
- 푸엔살다냐 성(푸엔살다냐)
- 푸엔테 엘 솔 성(푸엔테 엘 솔)
- 이스카르 성(이스카르)
- 라 모타 성(메디나 델 캄포)
- 모타 델 마르케스 성(모타 델 마르케스)
- 몬테알레그레 성(몬테알레그레)
- 무시엔테스 성(무시엔테스)
- 포르티요 성(포르티요)
- 산 페드로 데 라타르세 성(산 페드로 데 라타르세)
- 티에드라 성(티에드라)
- 토르데우모스 성(토르데우모스)
- 토레로바톤 성(토레로바톤)
- 트리게로스 델 바예 성(트리게로스 델 바예)
- 우루에냐 성(우루에냐)
- 비야푸에르테 데 에스게바 성(비야푸에르테 데 에스게바)
- 비야가르시아 데 캄포스 성(비야가르시아 데 캄포스)
- 비야벨리드 성(비야벨리드)
- 시만카스 성(시만카스)
- 카스트로베르데 데 세라토 성(카스트로베르데 데 세라토)
- 비야알바 데 로스 알코레스 성(비야알바 데 로스 알코레스)
- 바르시알 데 라 로마 성(바르시알 데 라 로마)
- 알라에호스 성(알라에호스)
- 포잘데스 성(포잘데스)
- 산 마르틴 데 발베니 성(산 마르틴 데 발베니)
- 에반 데 아바호 성(시에테 이글레시아스 데 트라반코스)
- 에반 데 아리바 성(시에테 이글레시아스 데 트라반코스)
- 알데레테 궁전-성(토르데시야스)
- 비야고메스 라 누에바 성(비야고메스 라 누에바)
'''성벽'''
- 시갈레스 성벽 (시갈레스)
- 쿠리엘 데 두에로 성벽 (쿠리엘 데 두에로)
- 마요르가 성벽 (마요르가)
- 메디나 데 리오세코 성벽 (메디나 데 리오세코)
- 메디나 델 캄포 성벽 (메디나 델 캄포)
- 올메도 성벽 (올메도)
- 페냐피엘 성벽 (페냐피엘)
- 포르티요 성벽 (포르티요)
- 토르데시야스 성벽 (토르데시야스)
- 토레로바톤 성벽 (토레로바톤)
- 투델라 데 두에로 성벽 (투델라 데 두에로)
- 우루에냐 성벽 (우루에냐)
- 발부에나 데 두에로 성벽 (발부에나 데 두에로)
- 바야돌리드 성벽 (바야돌리드)
- 비야브라히마 성벽 (비야브라히마)
- 비야르바 데 로스 알코레스 성벽 (비야르바 데 로스 알코레스)
수도원은 이 지역의 또 다른 중요한 문화 유산이다. 일부는 완벽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으며, 다른 곳은 폐허로 남아 있다. 주요 수도원으로는 다음이 있다.



바야돌리드 주 정부는 지역 주민과 스페인 전체를 대상으로 주의 풍부한 역사적 컬렉션과 문화 유산(성, 궁전, 교회, 박물관, 요리 등)을 알리고 이해하며 즐길 수 있도록 "문화 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바야돌리드 주는 카스티야 이 레온과 스페인 전체에서 중요한 박물관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박물관 분야에서 가장 발전된 지역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성주간(Semana Santaes)은 이 주에서 가장 잘 알려진 가톨릭 전통 행사 중 하나이다. 사순절 마지막 주, 즉 부활절 직전에 가톨릭 교우회와 형제단이 각 도시와 마을 거리에서 참회 행렬을 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기념하는 연례 행사이다. 부활절은 바야돌리드에서 가장 웅장하고 감동적인 축제 중 하나로, 종교적 헌신, 예술, 색채, 음악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리는 행렬 속에서 조화를 이룬다. 다양한 부활절 교우회 회원들은 고유한 복장을 하고 북소리와 음악에 맞춰 종교 조각상(pasoses)을 들고 거리를 행진하며 엄숙하고 아름다운 장면을 연출한다.
세민시(Valladolid International Film Festival)는 1956년부터 바야돌리드에서 매년 개최되는 영화제로,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영화제 중 하나이다. 이 영화제는 항상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독일 영화, 폴란드 영화, 중국 영화, 캐나다 영화 등 새로운 영화 사조가 등장할 때마다 이를 비평적으로 조명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상업성보다는 영화 예술 자체에 대한 진정한 관심을 바탕으로, 영화 팬, 전문가, 언론 모두에게 매력적인 독자적인 정체성을 구축했다.
국립 조각 박물관은 중세 시대부터 19세기 초까지 제작된 1,500점 이상의 조각 작품과 1,200점의 회화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특히 루벤스, 수르바란, 멜렌데스 등 유명 화가들의 수준 높은 회화 작품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조각 컬렉션은 해당 분야에서 이베리아 반도 내 가장 중요한 스페인 작품이자 유럽 전체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와 가치를 지닌다. 박물관은 13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이베리아 반도 및 스페인 관련 지역(라틴 아메리카, 플랑드르,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조각 작품과 일부 회화 작품을 전시하며, 컬렉션의 핵심은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조각 작품이다.
유네스코는 2007년 토르데시야스 조약 문서와 2017년 시만카스 일반 문서 보관소 전체 기록물을 ''세계 기억 유산''으로 지정하였다.
8. 2. 언어
스페인어는 이 지역의 유일한 공용어이다. 바야돌리드는 ''돈 키호테''의 저자 미겔 데 세르반테스, 호세 소리야 또는 미겔 델리베스와 같은 작가들의 거주지였으며, 바야돌리드 대학교의 추진력으로 두각을 나타낸다. 이 지역은 스페인어를 배우려는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곳으로 두각을 나타낸다(언어 관광).스페인 문학 분야에서 바야돌리드의 뛰어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8. 3. 스포츠

바야돌리드는 축구, 농구, 핸드볼, 럭비 등 4개 종목에서 프로 팀을 보유하고 있다.
축구에서는 레알 바야돌리드가 스페인 라리가의 역사적인 팀이다.
농구에서는 CB 시우다드 데 바야돌리드가 기존의 CB 바야돌리드를 대체했다. CB 바야돌리드는 아르비다스 사보니스, 오스카르 슈미트, 존 윌리엄스, 에드 오브래넌, 파나기오티스 바실로풀로스와 같은 선수들을 배출했지만, 팀의 파산으로 인해 해체되었다.
핸드볼에서는 BM 아틀레티코 바야돌리드가 BM 바야돌리드를 대체했다. BM 바야돌리드는 국왕컵 2회, 아소발 컵 1회, EHF 컵 위너스 컵 1회 우승 경력이 있다. 또한 여자 핸드볼 팀인 BM 아울라 문화도 있다.
바야돌리드는 럭비의 전국적인 중심지로 알려져 있으며, 리가의 최고 팀 중 두 팀인 CR 엘 살바도르와 바야돌리드 RAC가 있다. 이 두 팀은 총 전국 리그 챔피언십 21회, 국왕컵 14회 및 스페인 슈퍼컵 14회 우승을 차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a de la provincia de Valladolid
http://www.provincia[...]
[2]
서적
The Franco Regime, 1936–1975
University of Wisconsin
1987
[3]
간행물
Rugosidad del terreno FBBV 2010
http://www.fbbva.es/[...]
[4]
뉴스
El Duero, pulmón y diafragma de Valladolid
http://www.elnortede[...]
El Norte de Castilla
2014-05-30
[5]
뉴스
Valladolid es la provincia española menos arbolada, junto con Almería
http://www.elmundo.e[...]
El Mundo
2010-08-25
[6]
웹사이트
Valladolid and Valladolid Airport observatories (reference period: 1981-2010)
http://www.aemet.es/[...]
[7]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extremos en los observatorios de Villanubla y Valladolid.
http://www.aemet.es/[...]
[8]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Valladolid Aeropuert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2-09-22
[9]
웹사이트
Valores extremos. Valladolid Aeropuerto
https://web.archive.[...]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2-09-22
[10]
뉴스
Así será el baipás que conectará en Olmedo la alta velocidad entre Valladolid y Galicia
https://www.elnorted[...]
El Norte de Castilla
2024-08-01
[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AENA Statistics 2014
2015-02-07
[12]
문서
List of Spanish provinces by population
[13]
웹사이트
INE: Población extranjera por país de nacimiento, edad (grupos quinquenales) y sexo en la provincia de Valladolid, datos provisionales a 1 de enero de 2015
http://www.ine.es/ja[...]
[14]
간행물
Informe de Datos Económicos y Sociales de los Municipios de España
http://www.cajaespan[...]
Caja España
2008
[15]
웹사이트
Datos del Registro de Entidades Locales
https://ssweb.seap.m[...]
Ministerio de Asuntos Económicos y Transformación Digital
2024-10-01
[16]
웹사이트
Composición y datos biográficos, Composición política y datos biográficos
http://www.diputacio[...]
Diputación Provincial de Valladolid
2014-01-02
[17]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CCAA y provincias y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https://web.archive.[...]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4-01-02
[18]
웹인용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Valladolid Aeropuert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2-09-22
[19]
웹인용
Valores extremos. Valladolid Aeropuerto
https://web.archive.[...]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2-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