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코다이라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코다이라역은 일본 도쿄도 고다이라시에 위치한, 무사시노선 상의 역이다. 1973년 개업했으며, 후추혼마치역과 니시후나바시역을 연결하며, 일부 열차는 게이요선을 경유하여 도쿄역까지 연장 운행된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1991년 대규모 침수 사고를 겪었으며, 현재 JR 동일본 스테이션 서비스가 업무를 위탁받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다이라시의 철도역 - 고다이라역
    고다이라역은 일본 도쿄도 고다이라시에 위치한 세이부 철도 신주쿠선과 하이지마선이 만나는 역으로, 1927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4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교상역사에서 세이부 신주쿠 방면과 하이지마 방면 열차가 운행된다.
  • 고다이라시의 철도역 - 혼초 신호장
    혼초 신호장은 세이부 철도 다마코 선의 고쿠분지 역과 히토츠바시가쿠엔 역 사이에 위치했던 신호장으로, 한때 열차 교환에 사용되었으나 히토츠바시가쿠엔 역 발착 열차 폐지로 기능이 휴지되고 선로가 철거되었다.
  • 무사시노선 - 쓰루미역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쓰루미구에 있는 JR 동일본의 쓰루미역은 게이힌 도호쿠 선과 쓰루미 선의 환승역이자 쓰루미 선의 종착역이며, 다수의 화물 노선과 동해도 본선의 여러 지선이 분기하는 요코하마 지역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무사시노선 - 후추혼마치역
    후추혼마치역은 난부선과 무사시노선이 지나는 역으로, 섬식과 상대식 승강장을 혼합한 구조이며, 무사시노선은 시종착역이고 도쿄 경마장과 가까워 경마 개최일에 이용객이 증가하며 1928년에 개업했다.
  • 1973년 개업한 철도역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 1973년 개업한 철도역 - 북송정역
    북송정정역은 호남선과 경전선을 연결하는 1.0km 길이의 삼각선으로, 호남선 북송정역과 경전선 북송정분기를 잇는 호남선 지선이며 1973년 신호소로 개시, 경전선 쪽 역이 분기로 격하되며 현재 형태를 갖추고 호남선 전철화 공사로 전철화되었다.
신코다이라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신코다이라역 역사 (2019년 9월)
신코다이라역 역사 (2019년 9월)
역 이름신코다이라역 (新小平駅)
로마자 표기Shin-Kodaira Station
주소일본 도쿄도 고다이라시 오가와초 2-1960
노선무사시노 선
무사시노 선 화물 지선 (구니타치 지선)
역 번호JM32 (무사시노 선)
개업일1973년 4월 1일
폐지일해당 없음
사용 현황업무 위탁역, 고객 지원 콜 시스템 도입역
전보 약호시이
운영 정보
운영 주체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역 구조지상역 (반지하 구조)
승강장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직원 배치유인역
노선 정보 (무사시노 선)
노선 색상#f15a22 (주황색)
기점으로부터의 거리쓰루미 기점 36.2km
후추혼마치 기점 7.4km
이전 역JM 33 니시코쿠분지
역 간 거리니시코쿠분지: 3.5km
후추혼마치: 5.6km
다음 역신아키쓰 JM 31
노선 정보 (무사시노 선 화물 지선)
기점JR 화물・신코다이라
이전 역구니타치 JC 18
역 간 거리구니타치: 5.0km
다음 역종점
비고구니타치 지선은 JR 동일본이 제1종 철도사업자이지만, 영업 거리를 설정하지 않음. 지선을 통과하는 여객 열차의 운임은 니시코쿠분지 경유로 계산됨. 제2종 철도사업자인 일본화물철도 (JR 화물)만이 영업 거리를 설정함.
통계 정보
2023년 평균 승차 인원10,876명
2019년 평균 승차 인원11,448명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JR 동일본 신코다이라역 공식 웹사이트

2. 노선



신코다이라역은 무사시노선 상에 위치하며, 후추혼마치역니시후나바시역을 잇는다. 일부 열차는 게이요선을 경유하여 도쿄역까지 연장 운행된다. 후추혼마치역에서 7.4km 떨어져 있으며 고다이라시에 유일하게 있는 JR선의 역이다.

무사시노선 본선 외에, 니시코쿠분지역 쪽에서 주오 본선 구니타치역으로 이어지는 무사시노선 지선(구니타치 지선)이 분기한다.[24][25] 이 지선은 주로 화물 열차가 운행하지만, 일부 여객 열차도 경유한다.

이 역과 신아키쓰역 사이의 거리는 5.6km로, 무사시노선에서 화물 전용 구간(무사시노 남선)을 제외하면 가장 길다.

2. 1. 무사시노 선

니시코쿠분지후추혼마치 방면 무사시노 선 열차는 1번 승강장을 이용하고, 무사시우라와미나미우라와・신마쓰도・니시후나바시・게이요 선 직결 도쿄 (쾌속)・가이힌마쿠하리 방면 열차는 2번 승강장을 이용한다.[24][25]

신코다이라 역은 무사시노 선 상에 위치하며, 후추혼마치니시후나바시를 잇는다. 일부 열차는 게이요 선을 경유하여 도쿄까지 연장 운행된다. 후추혼마치 역으로부터 7.4km 떨어져 있다.

무사시노 선 본선 외에, 여객역보다 니시코쿠분지 측에서 주오 본선 구니타치로 이어지는 무사시노 선 지선(구니타치 지선)이 분기한다.[24][25] 이 지선은 주로 화물 열차가 운행하지만, 일부 "무사시노 호"나 "홀리데이 쾌속 후지산 호" 등의 여객 열차도 경유한다.[25]

이 역과 신아키쓰 간의 거리는 5.6km로, 무사시노 선에서는 화물 전용 구간(무사시노 남선)을 제외하면 가장 길다.

2. 2. 구니타치 지선

니시코쿠분지역 쪽으로 가면 주오 본선 구니타치역으로 이어지는 무사시노선 지선(구니타치 지선)이 분기한다.[24][25] 이 지선은 주로 화물 열차가 운행하지만, 일부 "무사시노호"나 "홀리데이 쾌속 후지산호" 등의 여객 열차도 다닌다.[25] 구니타치 지선은 제2종 철도사업자인 일본화물철도 (JR 화물)가 이 역에서 구니타치역 사이에 영업 거리(5.0 km)를 설정하고 있다.[23][26]

3. 역 구조

신코다이라역은 JR 동일본 스테이션 서비스가 위탁을 받는 업무 위탁역이다. 2021년 11월 30일까지는 니시코쿠분지역 관할이었으나, 현재는 고객 지원 콜 시스템이 도입되어 일부 시간대에는 원격 대응으로 개찰 직원이 부재한다.[31] 다기능 매표기[31], 지정석 발매기[31], 자동 개찰기가 설치되어 있다. 역 본사의 시공은 가시마 건설이 담당했다.[30] 2015년 9월 30일부터 히가시무라야마 터널과 코다이라 터널 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이 가능해졌다.[32]

역의 색상은 녹색이다.

3. 1. 승강장

신코다이라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북쪽으로는 길이 4,381m의 히가시무라야마 터널과 남쪽으로는 길이 2,562m의 코다이라 터널 사이에 있는 깎인 지점에 위치한다.[1]

승강장 구조
번선노선방향행선지
1
무사시노선
상행니시코쿠분지후추혼마치 방면
2 무사시노선하행미나미우라와・신마츠도・니시후나바시게이요선 직결 도쿄 (쾌속)・가이힌마쿠하리 방면



두 개의 터널(고다이라 터널, 히가시무라야마 터널) 사이에 낀 깎기] 속에[24]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다.[24] 역사는 고다이라 터널 위의 지상에 있다.[24] 승강장의 후추혼마치 방면은 고다이라 터널 안에 위치해 있으며, 미나미우라와 방면은 히가시무라야마 터널 입구 바로 앞에 지상으로 뚫린 구조로 되어 있다.

4. 역사

5. 1991년 침수 사고

1991년 8월부터 이 지역은 기록적인 장마가 계속되었다. 인접한 도코로자와 아메다스의 누적 강수량[89]은 8월 394mm(관측 사상 8월 6위), 9월 447mm(관측 사상 4위, 9월 2위)였다. 10월에도 태풍 21호의 접근으로 전선이 활발해져 사고 전날 이미 200mm를 넘어섰다.

9월 중순, 플랫폼 북쪽(신아키쓰 쪽) 벽면에서 지하수가 분출되기 시작했다. 10월 11일 아침 태풍 21호로 인한 폭우(도코로자와 24시간 누적 강수량 95mm)로 밤 11시 45분경[90] 플랫폼 북쪽과 선로를 포함한 U자형 구조 전체가 120m에 걸쳐 최대 1.3m 융기[91]했다. 옹벽 이음매에는 최대 70cm의 틈이 생겨 토사가 섞인 지하수가 대량(복구 시 측정에서 분당 8톤)으로 유입, 역 전체가 침수[92]되었다. 주변에 함몰이 발생하여 인근 주민이 대피하기도 했다.

수중 펌프로 배수를 시도했지만 유입량을 따라가지 못했다. 지하 수위를 낮추기 위해 피해부 주변에 심정 8개를 파고, 분당 8톤을 하수도에 방류했지만 부족했다. 심정을 19개(분당 15톤)로 늘리고, 방류처도 2km 떨어진 소라보리가와로 변경했다. 11월 중순 지하 수위가 내려가자 공사가 본격화되었고, 12월 11일에 전면 복구되었다.[28]

당초 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무사시노선이 철도 화물 수송의 대동맥이라는 점에서 24시간 체제로 공사가 진행되어 약 1개월 만에 완공되었다. 이 사고로 JR 동일본의 피해액은 약 35억[93]에 달했다.

5. 1. 원인

1991년 8월부터 이 지역은 기록적인 강우량을 보였다. 8월에는 394mm(역대 6번째), 9월에는 447mm(역대 2번째)의 비가 내렸다.[2] 10월 11일 사건 당일까지 태풍 21호의 영향으로 이미 200mm의 비가 내렸다.

9월 중순부터 플랫폼 북쪽 옹벽에서 지하수가 새어 나왔다. 10월 11일 밤 11시 45분경,[3] 태풍 21호로 인한 95mm의 강우로 역 구조물 120m 구간이 최대 1.3m까지 부풀어 올랐다.[4] 옹벽 이음새에 최대 70cm 틈이 생겨 지하수가 분당 최대 8톤씩 쏟아졌다.[5] 싱크홀 발생으로 주변 주민들이 대피하기도 했다.

무사시노 선은 남북으로 뻗어있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지하수를 막는 댐 역할을 했다. 상승하는 물 때문에 역 구조물, 특히 덮개가 없어 취약했던 북쪽 부분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사고는 75년 만에 가장 높은 지하수위로 인해 발생했다.

5. 2. 복구

1991년 8월부터 이 지역은 기록적인 강우량을 기록했다. 10월 11일 밤 11시 45분경, 역 구조물의 120m 구간이 부풀어 오르며 옹벽 이음새에 틈이 벌어지고 침전물이 섞인 지하수가 쏟아져 들어왔다.[3][4][5]

수중 펌프를 이용한 배수 시도는 실패했지만, 심정(深井)을 굴착하여 지하수위를 낮추는 데 성공했다. 11월 중순에는 지하수가 충분히 가라앉아 본격적인 복구 공사가 시작되었고, 12월 11일에 역이 복구되었다.[6] 예상보다 빠른 복구는 무사시노선의 화물 운송 중요성 때문이었다.

동일본 여객철도(JR East)는 이 사고로 약 35억의 피해를 입었다.[7]

복구 공사에서는 재해 재발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가 이루어졌다.

  • 어스 앵커 설치: 구조물의 부력을 억제하기 위해 승강장과 무사시노 자갈층을 관통하여 설치.
  • 배수 장비 및 변형 센서 설치: 옹벽 내부에 설치.
  • 슬래브 궤도를 도상 궤도로 교체: 융기 주변 구조물 바닥을 잘라내고 교체.
  • 강철 프레임 추가: 옹벽 지지를 위해 승강장 위에 추가.[9]


이러한 공사 과정에서 역 구조물의 절반 이상이 재건되었다.

신코다이라역 남쪽 국립 지선의 영향으로 고쿠분지시 니시코이가쿠보에서 빈번한 침수가 발생했지만, JR 동일본의 신코다이라역 침수 방지 조치로 인해 피해가 감소했다.[10]

5. 3. 영향

1991년 8월부터 이 지역은 기록적인 강우량을 보였다. 10월 11일 밤 11시 45분경, 역 구조물의 120m 구간이 부풀어 오르고 옹벽 이음새에 최대 70cm의 틈이 벌어지면서 침전물이 섞인 지하수가 쏟아져 나왔다.[3][4][5] 이로 인해 주변 지역 주민들은 싱크홀 발생으로 대피해야 했다.

수중 펌프를 이용한 배수는 실패했지만, 심정(深井)을 굴착하여 지하수위를 낮추는 데 성공했다. 11월 중순에는 지하수가 충분히 가라앉아 복구 공사가 시작되었고, 12월 11일에 역이 복구되었다.[6] 복구에는 약 1개월이 소요되었으며, 동일본 여객철도(JR East)는 이 사고로 약 35억의 피해를 입었다.[7]

노선 복구 기간 동안 무사시노선은 도쿄·신나라시노 - 신아키쓰 구간과 니시코쿠분지 - 후추혼마치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되었고, 신코다이라역을 포함한 일부 구간은 대체 버스가 운행되었다.[28][96] 이로 인해 후추 가도를 따라 만성적인 교통 체증이 발생했다. 많은 승객들은 세이부 철도 노선을 이용해 우회하기도 했다. 대체 승차나 대행 버스 운행을 이유로 정기권·회수권의 연장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96]

신아키쓰역에는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의 연락선이 있었고,[98] 코쿠분지역에도 세이부 코쿠분지선과 JR 주오선의 연락선 자리가 있었지만,[99] 세이부 철도에 의한 대체 수송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신아키쓰역과 아키쓰역 간에 임시 통로를 설치하는 안이 계획되었지만,[100] 지역 상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00]

화물 열차는 야마노테 화물선이나 하치코선[101] 등으로 우회했지만, 운송 능력에 제한이 있었고[102] 일부 열차는 운행이 중단되거나 트럭으로 대체되었다. 당시 무사시노 선을 운행하던 113편의 화물 열차 중 28편이 매일 운휴했고, 나머지는 트럭 수송으로 대체했다.[102]

6. 주변 지역


  • 오메카이도역 (세이부 타마코선) - 동쪽으로 약 600m 떨어져 있다. 정식 환승역은 아니지만, 무사시노선이 사고 등으로 운행을 중단할 경우 대체 승차권을 가지고 오메카이도역에서 승차할 수 있다.[24]
  • 세이부 국분지선・하이지마선 오가와역 - 북서쪽으로 약 1.5km 떨어져 있다.
  • 세이부 신주쿠선하이지마선 고다이라역 - 북동쪽으로 약 2.5km 떨어져 있다.
  • 쓰다주쿠 대학
  • 고다이라 경찰서
  • 고다이라시 중앙도서관
  • 국제 파티시에 조리사 전문학교
  • 고다이라 시립 고다이라 제15 초등학교
  • 국립 정신・신경 의료 연구 센터
  • 제일제빵 본사・고다이라 공장
  • 히라구시 덴추 조각 미술관
  • 이시가쿠보
  • 오메 가도 (도쿄도도 제5호 신주쿠 오메 선)
  • 가마쿠라 가도
  • 후추 가도 (도쿄도도 제16호 다치카와 토코로자와 선, 도쿄도도 제17호 토코로자와 후추 선)
  • 고다이라 그린 로드
  • 역사와 문화의 산책길 후추 국분지 코스
  • 오가와 용수
  • 다마가와 상하수도
  • 돈키호테 고다이라점
  • 고다이라 우체국
  • * 유초 은행 고다이라점


; 신코다이라역 앞

; 신코다이라역

  • 세이부 버스
  • * 테라64・테라64-1: 고쿠분지역 북쪽 입구・순환
  • * (출입고선): 고다이라역 남쪽 출입구 / 고다이라 영업소

7. 이용 현황

2019 회계 연도에 이 역은 하루 평균 11,448명의 승객이 이용했다(승차 승객만 해당).[18] 2023년도(레이와 5년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10,876명'''으로, 무사시노 선 내 26개 역 중 요시카와미나미 역 다음으로 적다.

연도별 1일 평균 승차 인원
연도1일 평균
승차 인원
출처
1990년(헤이세이 2년)7,315[35]
1991년(헤이세이 3년)7,066[36]
1992년(헤이세이 4년)8,140[37]
1993년(헤이세이 5년)8,660[38]
1994년(헤이세이 6년)9,047[39]
1995년(헤이세이 7년)9,292[40]
1996년(헤이세이 8년)9,370[41]
1997년(헤이세이 9년)9,167[42]
1998년(헤이세이 10년)9,118[43]
1999년(헤이세이 11년)9,287[44]
2000년(헤이세이 12년)9,326[46]
2001년(헤이세이 13년)9,407[48]
2002년(헤이세이 14년)9,644[50]
2003년(헤이세이 15년)10,044[52]
2004년(헤이세이 16년)10,274[54]
2005년(헤이세이 17년)10,496[56]
2006년(헤이세이 18년)10,585[58]
2007년(헤이세이 19년)10,780[60]
2008년(헤이세이 20년)10,958[62]
2009년(헤이세이 21년)11,292[64]
2010년(헤이세이 22년)11,146[66]
2011년(헤이세이 23년)11,073[68]
2012년(헤이세이 24년)11,191[70]
2013년(헤이세이 25년)11,305[72]
2014년(헤이세이 26년)11,291[74]
2015년(헤이세이 27년)11,429[76]
2016년(헤이세이 28년)11,509[78]
2017년(헤이세이 29년)11,631[80]
2018년(헤이세이 30년)11,489[82]
2019년(레이와 원년)11,448[84]
2020년(레이와 2년)8,527[85]
2021년(레이와 3년)9,353[86]
2022년(레이와 4년)10,284[87]
2023년(레이와 5년)10,876[88]


참조

[1] 서적 日本の鉄道 中部ライン 全線・全駅・全配線 第11巻 埼玉南部・東京多摩北部 Kodansha 2011-02
[2] 웹사이트 観測史上1~10位の値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3] 문서
[4] 문서
[5] 웹사이트 JR武蔵野線新小平駅の浮き上がり https://web.archive.[...] (社)Tokyo Geotechnical Consultants Association
[6] 뉴스 JR武蔵野線、あす始発から運転を再開 災害復旧工事に30億円も 毎日新聞社 1991-12-11
[7] 웹사이트 平成3年災害別公益事業等被害集計表 https://www.kensetsu[...] Tokyo Metropolitan Construction Bureau
[8] 웹사이트 1991年秋に発生した武蔵野台地における地下水位の異常上昇について http://jdream2.jst.g[...] Groundwater Technology 1993
[9] 서적 武蔵野線まるごと探見 JTBパブリッシング 2010-02-01
[10] 웹사이트 JR武蔵野線引込線トンネルの地下水を野川に導水 http://www.kankyo.me[...] Tokyo Metropolitan Bureau of Environment
[11] 뉴스 [気流]「不通の日数分定期券延長を」にお答えします 読売新聞社 1991-10-30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뉴스 西武線との連絡通路に「待った」 不通の武蔵野線(リポート多摩) 朝日新聞社 1991-11-17
[16] 뉴스 不通1か月、貨物にも影響 う回も限界、毎日28本運休--JR武蔵野線 毎日新聞社 1991-11-18
[17] 문서
[18] 웹사이트 https://www.jreast.c[...]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20-08-02
[19] 웹사이트 https://www.jreast.c[...]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4-09-02
[20] 웹사이트 https://www.jreast.c[...]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4-09-02
[21] 웹사이트 https://www.jreast.c[...]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4-09-02
[22] 웹사이트 https://www.jreast.c[...]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20-09-02
[23]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뉴스 JR武蔵野線、あす始発から運転を再開 災害復旧工事に30億円も 毎日新聞社 1991-12-11
[29] 웹사이트 Suicaご利用可能エリアマップ(2001年11月18日当初)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04-29
[30] 간행물 鉄道建築ニュース 1973年4月 鉄道建築協会 1973-04
[31] 웹사이트 駅の情報(新小平駅):JR東日本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1-04
[32] 간행물 武蔵野線西国分寺〜新秋津駅間のトンネルで携帯電話が利用可能になりました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八王子支社 2020-06-11
[33]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 https://www.toukei.m[...] 東京都
[34] 웹사이트 小平市統計書 https://www.city.kod[...] 小平市
[35]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2年) https://www.toukei.m[...]
[36]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3年) https://www.toukei.m[...]
[37]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4年) https://www.toukei.m[...]
[38]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5年) https://www.toukei.m[...]
[39]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6年) https://www.toukei.m[...]
[40]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7年) https://www.toukei.m[...]
[41]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8年) https://www.toukei.m[...]
[42]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9年) https://www.toukei.m[...]
[43] PDF 東京都統計年鑑(平成10年) https://www.toukei.m[...]
[44] PDF 東京都統計年鑑(平成11年) https://www.toukei.m[...]
[45]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0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46]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12年) https://www.toukei.m[...]
[47]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1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48]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13年) https://www.toukei.m[...]
[49]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2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50]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14年) https://www.toukei.m[...]
[51]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3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52]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15年) https://www.toukei.m[...]
[53]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4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54]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16年) https://www.toukei.m[...]
[55]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5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56]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17年) https://www.toukei.m[...]
[57]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6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58]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18年) https://www.toukei.m[...]
[59]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7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60]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19年) https://www.toukei.m[...]
[61]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8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62]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20年) https://www.toukei.m[...]
[63]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9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64]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21年) https://www.toukei.m[...]
[65]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0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66]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22年) https://www.toukei.m[...]
[67]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1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68]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23年) https://www.toukei.m[...]
[69]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2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0] 간행물 東京都統計年鑑(平成24年) https://www.toukei.m[...]
[71]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3年度) https://www.jreast.c[...]
[72]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25年) https://www.toukei.m[...]
[73]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4年度) https://www.jreast.c[...]
[74]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26年) https://www.toukei.m[...]
[75]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5年度) https://www.jreast.c[...]
[76]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27年) https://www.toukei.m[...]
[77]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6年度) https://www.jreast.c[...]
[78]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28年) https://www.toukei.m[...]
[79]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7年度) https://www.jreast.c[...]
[80]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29年) https://www.toukei.m[...]
[81]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8年度) https://www.jreast.c[...]
[82]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30年) https://www.toukei.m[...]
[83]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9年度) https://www.jreast.c[...]
[84]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31年・令和元年) https://www.toukei.m[...]
[85]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20年度) https://www.jreast.c[...]
[86]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21年度) https://www.jreast.c[...]
[87]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22年度) https://www.jreast.c[...]
[88]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23年度) https://www.jreast.c[...]
[89] 웹사이트 観測史上1~10位の値 https://www.data.jma[...]
[90] 뉴스 日経新聞1991年10月12日夕刊より。発生時刻は文献によって15分や30分ともされている。 日経新聞 1991-10-12
[91] 문서 路盤の隆起は数日後に最大となり、ホームの2号車位置で約2 mに達した。
[92] 웹사이트 JR武蔵野線新小平駅の浮き上がり https://web.archive.[...]
[93] 웹사이트 平成3年災害別公益事業等被害集計表 https://www.kensetsu[...]
[94] 논문 1991年秋に発生した武蔵野台地における地下水位の異常上昇について http://jdream2.jst.g[...] 地下水技術 1993
[95] 웹사이트 JR武蔵野線引込線トンネルの地下水を野川に導水 http://www.kankyo.me[...]
[96] 뉴스 [気流]「不通の日数分定期券延長を」にお答えします 読売新聞社 1991-10-30
[97] 문서 当時、西武国分寺線は日中時間帯は4両編成での運転だったが、迂回利用する乗客の増加のため、終日6両編成で運転した。
[98] 문서 同線は現存し、西武多摩川線の車両輸送などに利用されている。
[99] 문서 中央線ホームの2面4線化時に撤去された。
[100] 뉴스 西武線との連絡通路に「待った」 不通の武蔵野線(リポート多摩) 朝日新聞社 1991-11-17
[101] 문서 当時は全線が日本貨物鉄道|JR貨物の第二種鉄道事業区間であり、貨物列車の運行が可能だった。
[102] 뉴스 不通1か月、貨物にも影響 う回も限界、毎日28本運休--JR武蔵野線 毎日新聞社 1991-11-18
[103] 문서 山手貨物線は既に一杯(武蔵野線がその代替バイパス線)、八高線は全区間単線で非電化区間を含み交換設備の有効長が短い、中央線はダイヤが過密で特急快速が多く高速機関車が必要、常磐線は交直両用機関車か取手で機関車交換が必要、総武線は複線区間のダイヤが過密で支線に単線区間を含む上、当時は迂回区間の一部にATC区間が存在してい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