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요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이요선은 도쿄역과 소가역을 잇는 총 54.3km의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노선이다. 18개의 역을 경유하며, 전 구간 복선 및 직류 1500V로 전철화되어 있다. 특급 열차, 쾌속, 각역 정차 등 다양한 운행 형태를 가지며, 무사시노선, 우치보선, 소토보선과 직결 운행한다. 2024년 시간표 개정으로 쾌속 열차 운행이 감소하고 통근 쾌속이 폐지되어 논란이 일었으며, 2024년 9월과 2025년 3월 시간표 개정을 통해 일부 각역 정차 열차를 쾌속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하카타미나미선
하카타미나미선은 하카타역과 하카타미나미역을 잇는 8.5km 길이의 철도 노선으로, 본래 신칸센 차량기지 회송선이었으나 현재는 JR 서일본이 운영하며 신칸센 차량이 운행되는 재래선 통근 노선이다. - 197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하르키우 지하철
하르키우 지하철은 1975년 개통되어 3개의 노선과 30개의 역을 운영하며, 러시아의 침공으로 방공호로 사용되기도 했고 역명 변경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 게이요선 - 엣추지마역
1990년에 개업한 게이요선의 엣추지마역은 도쿄 해양대학 인근에 위치하며 역 번호 JE03을 가지고 있고,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5,221명이 이용하는 도쿄 23구 내 JR역 중 이용객 수가 적은 역 중 하나이다. - 게이요선 - 도쿄 임해 고속 철도 린카이선
도쿄 임해 고속 철도 린카이선은 도쿄 임해 고속 철도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신키바역과 오사키역을 잇는 12.2km의 철도 노선으로, 사이쿄선과 직결 운행하며 도쿄 임해 부도심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지바현의 철도 - 도가네선
도가네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지바현의 13.8km 단선 전철화 노선으로, 5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00년 개통 후 국유화 및 연장을 거쳐 1973년 전철화되었고 현재 209계와 E233계 전동차가 운행 중이며 대부분 보통열차로 운행된다. - 지바현의 철도 - 소부 쾌속선
소부 쾌속선은 JR 동일본의 도쿄-지바 간 쾌속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운행 형태와 여러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제공하며 E217계, E235-1000번대 전동차 및 특급 열차가 운행되고 2022년 통근 쾌속이 폐지되었다.
게이요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게이요선 |
로마자 표기 | Keiyō-sen |
일본어 표기 | 京葉線 |
별칭 | 도쿄 메가 루프 |
노선 색상 | '#C9252F' |
로고 | '[[File:JR JE line symbol.svg|40px|link=게이요선]]' |
![]() | |
노선 종류 | 광역 철도 (보통 철도・간선)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위치 | 도쿄도, 지바현 |
기점 | 니시후나바시역 도쿄역 이치카와시오하마역 |
종점 | 소가역 미나미후나바시역 니시후나바시역 |
역 수 | 19역 (기종점역, 니시후나바시역 포함) |
노선 기호 | JE (도쿄 - 지바미나토 구간) |
개통일 | 1975년 5월 10일 |
전 구간 개통일 | 1990년 3월 10일 |
운영 및 소유 | |
소유자 |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 |
운영자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전 구간, 제1종)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니시후나바시 - 소가 구간, 제2종) |
차량 기지 | 게이요 차량 센터 |
사용 차량 | E233계 5000번대, 209계 500번대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43.0 km (도쿄역 - 소가역 간) 5.4 km (니시후나바시역 - 미나미후나바시역 간) 5.9 km (이치카와시오하마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 |
궤간 | 1,067 mm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
최대 경사도 | 33.5 ‰ |
최소 곡선 반경 | 400 m |
폐색 방식 | (복선) 자동 폐색식 |
보안 장치 | ATS-P |
최고 속도 | 100 km/h |
일일 승객 수 | 714,053명 (2015년) |
기타 | |
특징 | 지하, 지상, 고가 |
2.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영업 거리): 총 54.3km
- * 도쿄역 ~ 소가역: 43.0km
- * 이치카와시오하마역 ~ 니시후나바시역: 5.9km
- * 니시후나바시역 ~ 미나미후나바시역: 5.4km
- 궤간: 1067mm (협궤)
- 역 수: 18
- 복선 구간: 모든 구간
- 전철화 구간: 모든 구간 (직류 1500V 전철화)
- 관할 (사업 종별)
-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전 구간 (54.3km)
- * 일본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니시후나바시역 - 미나미후나바시역 - 소가역 구간 (22.4km)
- 건설 주체: 일본철도건설공단 (현 독립행정법인 철도건설·운송시설정비지원기구)
- 폐색 방식: 자동폐색식
- 보안 설비: ATS-P
- 최고 속도: 100km/h
- 운전 지령소: 도쿄 종합 지령실
-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 도쿄권 수송 관리 시스템 (ATOS)
- 차량 기지: 게이요 차량 센터 (마쿠하리토요사역 인접)
- 대도시 근교 구간: 전 구간 (도쿄 근교 구간)
- 전차 특정 구간: 도쿄역 - 지바미나토역 구간
- IC 카드 승차 카드 대응 구간: 전 구간 (Suica의 수도권 지역)
도쿄역 - 고시나카지마역 구간은 동일본 여객철도 수도권 본부, 시오미역 - 소가역 구간, 니시후나바시역 - 미나미후나바시역 구간(후타마타 지선), 이치카와시오하마역 - 니시후나바시역 구간(다카야 지선)은 동일본 여객철도 지바 지사의 관할이며, 고시나카지마역 - 시오미역 구간에 JR 지사 경계가 있다.
게이요선 소속 역으로 한정할 경우, 도카이도 본선 소속인 도쿄역, 소부 본선 소속인 니시후나바시역, 소토보선 소속인 소가역[114]이 제외되어 16개 역이 된다. 준운전 취급역(이상시, 전환시 역이 신호를 제어)은 도쿄역, 신나라시노역, 소가역, 니시후나바시역이다.
2. 1. 노선 데이터
게이요선의 노선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29][30]- 노선 거리 (영업 거리): 총 54.3km
- * 도쿄역 ~ 소가역: 43.0km
- * 이치카와시오하마역 ~ 니시후나바시역: 5.9km
- * 니시후나바시역 ~ 미나미후나바시역: 5.4km
- 궤간: 1067mm (협궤)
- 역 수: 18
- 복선 구간: 모든 구간
- 전철화 구간: 모든 구간 (직류 1500V 전철화)
- 관할 (사업 종별)
-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전 구간 (54.3km)
- * 일본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니시후나바시역 - 미나미후나바시역 - 소가역 구간 (22.4km)
- 건설 주체: 일본철도건설공단 (현 독립행정법인 철도건설·운송시설정비지원기구)
- 폐색 방식: 자동폐색식
- 보안 설비: ATS-P
- 최고 속도: 100km/h
- 운전 지령소: 도쿄 종합 지령실
-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 도쿄권 수송 관리 시스템 (ATOS)
- 차량 기지: 게이요 차량 센터 (마쿠하리토요사역 인접)
- 대도시 근교 구간: 전 구간 (도쿄 근교 구간)
- 전차 특정 구간: 도쿄역 - 지바미나토역 구간
- IC 카드 승차 카드 대응 구간: 전 구간 (Suica의 수도권 지역)
도쿄역 - 고시나카지마역 구간은 동일본 여객철도 수도권 본부, 시오미역 - 소가역 구간, 니시후나바시역 - 미나미후나바시역 구간(후타마타 지선), 이치카와시오하마역 - 니시후나바시역 구간(다카야 지선)은 동일본 여객철도 지바 지사의 관할이며, 고시나카지마역 - 시오미역 구간에 JR 지사 경계가 있다.
게이요선 소속 역으로 한정할 경우, 도카이도 본선 소속인 도쿄역, 소부 본선 소속인 니시후나바시역, 소토보선 소속인 소가역[114]이 제외되어 16개 역이 된다. 준운전 취급역(이상시, 전환시 역이 신호를 제어)은 도쿄역, 신나라시노역, 소가역, 니시후나바시역이다.
3. 운행
게이요선 안에서는 주로 도쿄역, 신나라시노역, 가이힌마쿠하리역, 소가역이 시종착역이며, 무사시노선의 후추혼마치역, 우치보선의 기미쓰역·가즈사미나토역, 소토보선·도가네선까지 직결 운행하는 열차들도 있다. 소토보선·도가네선 직통 열차는 중련 형태로 주편성이 가즈사이치노미야역이나 가쓰우라역까지, 부속편성이 도가네선 나루토역까지 운행한다. 2013년 3월 16일에 있을 시각표 개정에 따라 쾌속 열차의 정차역이 늘어나며, 무사시노선 쾌속 열차들은 게이요선에서 각역정차를 하게 된다.[152]
경요선의 열차 운행 형태를 열차 종별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 특급 열차 ===
게이요선을 경유해 소토보선으로 들어가는 《와카시오》호와, 우치보선으로 들어가는 《사자나미》로 나뉜다. 원래 이 특급열차들은 소부 쾌속선 도쿄역을 이용했으나, 《나리타 익스프레스》의 운행 시작으로 선로 용량이 부족해지면서 게이요선 승강장을 이용하게 되었다. 게이요선 안에서는 가이힌마쿠하리역에 일부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소토보선 특급 《와카시오》는 상하행 22편, 우치보선 특급 《사자나미》는 하행 4편·상행 3편이 각각 운행되고 있다. (《와카시오》 중 하행 2편·상행 3편, 《사자나미》는 전 열차 모두 토요일·일요일·공휴일 운휴. 또한 《와카시오》 중 하행 1편(상소이치노미야역 - 가쓰우라역 간)과 상행 1편은 성수기 한정 운행의 임시 열차).
처음에는 게이요선 내 중간역은 무정차였으나, 2000년 12월 2일 개정으로 일부 열차가 마쿠하리 신도심의 가이힌마쿠하리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2007년 3월 18일의 다이어 개정부터 도쿄발 16시까지의 하행 및 카이힌마쿠하리발 11시 이후의 상행 전 특급 열차가 가이힌마쿠하리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 통근쾌속 ===
게이요선 통근쾌속은 평일 출퇴근 시간에 운행되었던 열차 등급이다. 1990년 3월 도쿄역까지 전 노선 개통에 맞춰 신설되었으며, 도쿄역과 소가역 사이에서는 핫초보리역과 신키바역에만 정차하여 빠른 이동 시간을 제공했다.[74] 2004년에는 신키바역이 정차역에 추가되었으나, 마이하마역이나 카이힌마쿠하리역에는 정차하지 않았다.[74]
모든 열차는 우치보선, 소토보선, 도가네선과 직결 운행을 했다.[74] 소토보선·도가네선 직결 열차는 소토보선 혼다역까지 중련으로 운행 후 혼다역에서 도가네선 방면 부속편성을 분리하거나 연결했다.[80]
2022년 3월 상행선 운행 편수가 4편에서 2편으로 감소되었고, 2024년 3월 16일 JR 동일본의 시간표 개정으로 완전히 폐지되었다.[74] 이로 인해, 출퇴근 시간대에는 우치보선과 소토보선에서 와카시오와 사자나미 특급 열차만이 고속 열차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지바현 정부는 이번 개정이 장거리 통근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한다고 비판했다.
=== 쾌속 ===
게이요선 및 우치보선·소토보선 등을 달리는 '''게이요 쾌속'''은 평일에는 매 시간 30분 간격으로, 주말과 휴일에는 매 시간 1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72] 낮 시간대 상행 열차는 가이힌마쿠하리역에서 가이힌마쿠하리 발 도쿄 행 각역정차 열차와 접속하며, 하행 쾌속은 신우라야스역에서 각역정차 열차와 접속한다. 시간당 1편씩 소토보선 가즈사이치노미야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있으며, 소토보선 안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72]
2010년 12월 4일 다이어 개정으로 낮 시간대에 1시간에 1회 소토보선 가즈사이치노미야 발착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이 열차는 소토보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하고 소가역에서는 내방선 방면 열차와 동일 승강장에서 환승이 이루어진다.[72]
2013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평일 아침 통근 시간대 쾌속 운행이 폐지되어 각역정차만 운행하게 되었고, 쾌속 통과역에서의 승차 기회가 증가했다.[73] 2015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평일 낮 시간대 운행 편수가 시간당 3편으로 증편되었다.[73]
2016년 9월 24일까지는 무사시노선에 직통하는 「무사시노 쾌속」과 구별하기 위해 '''게이요 쾌속'''이라는 표기가 사용되었으나, 무사시노 쾌속 폐지 후 ATOS 도입에 따라 발차 표시기(전광판) 표시는 "쾌속"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12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평일 낮 시간대 운행 편수가 시간당 3편에서 2편으로 감편되었다.[73] 2024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낮 시간대 이외의 쾌속·통근쾌속이 각역정차로 변경되었으나,[74][141] 새벽 상행 2편만 쾌속이 유지되었다.
2024년 3월 16일 JR 동일본(JR East)의 시간표 개정으로 게이요선(Keiyo Line)의 쾌속 열차 운행이 감소하고, 러시아워(rush hours) 시간대의 통근 쾌속 열차는 완전히 폐지되었다. 아침과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쾌속 열차가 운행되지 않으며, 소가(Soga) 역에서 출발하는 쾌속 열차는 2편만 남았다. 이 시간대에는 완행 열차만 운행된다. 결과적으로,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우치보선(Uchibo Line)과 소토보선(Sotobo Line)에서 와카시오(Wakashio)와 사자나미(Sazanami) 특급 열차만이 고속 열차 서비스를 제공한다.
치바현(Chiba Prefecture) 정부는 이번 시간표 개정을 비난하며, 치바에서 도쿄 중심부로 장거리 통근하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했다고 밝혔으며, 완행 열차는 쾌속 열차보다 노선 전체에서 최대 15분 더 소요된다고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이것이 도쿄 정부가 도쿄 중심부 인구 집중을 유도하고 장거리 통근을 억제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2024년 9월 1일 다이어 개정으로 일부 각역정차가 쾌속으로 복귀되었다.[75]
=== 각역 정차 ===
게이요선의 각역 정차 열차는 시간당 4편씩 운행되며, 가이힌마쿠하리 행과 소가 행이 시간당 2편씩 운행된다.[76] 주말과 휴일 낮 시간대에는 모든 열차가 가이힌마쿠하리 시종착으로만 운행되며, 가이힌마쿠하리역에서 소가 방면 쾌속과 연결된다. 가사이린카이코엔역, 신우라야스역, 신나라시노역, 가이힌마쿠하리역, 지바미나토역에서 상위 열차 통과를 위해 대기하는 경우가 많다.[76]
낮 시간대에는 평일 기준 1시간에 2회는 도쿄역 - 소가역 구간을, 나머지는 도쿄역 - 가이힌마쿠하리역 구간을 운행한다. 평일 낮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신우라야스역에서 쾌속과의 접속을 위한 대기 시간이 길며, 일부 열차는 지바미나토역, 가이힌마쿠하리역, 신슈시노역, 신우라야스역, 가사이린카이코엔역 중 한 역에서 특급이나 통근쾌속 통과를 위해 대기한다.
밤에는 일부 열차가 우치보선, 소토보선으로 직결 운행한다.[76] 아침 5회는 내방선 기미츠·조소미나토 발, 외방선 조소이치노미야·호다 발, 도우킨선 나리토 발이며, 야간 일부 열차는 내방선 기미츠 발, 외방선 조소이치노미야·호다 발이다.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를 보완하기 위해 도쿄역 발착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와 연락하는 니시후나바시역 - 미나미후나바시역·신슈시노역·가이힌마쿠하리역·소가역 구간 운행 열차,[76] 가이힌마쿠하리역 발착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와 연결되는 도쿄역 - 니시후나바시역 구간 열차가 저녁·야간에 운행된다. 도쿄발 니시후나바시역행 열차는 E233계에 한하여 종별 표시가 '보통'이 된다.[77]
=== 무사시노선 직통열차 ===
경요선 내 운행 열차는 도쿄역·신습지노역·해변막장역·소가역 발착으로 운행되며,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6회(토·일요일 및 공휴일은 8회) 운행된다. 단, 해변막장역~소가역 구간에서는 운행 간격이 넓어진다. 다른 노선과의 직통 운행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 무사시노선
- * 낮 시간대에는 평일, 토요일, 휴일 모두 1시간에 6회 운행되며, 이 시간대에는 니시후나바시역에서 도쿄역 및 미나미후나바시역까지 직통 운행한다. 또한, 아침 저녁 시간대에는 해변막장역 발착(2010년 12월 4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오미야역 - 해변막장역 간 「시모우사호」 포함) 열차도 운행되며, 차량 기지 출입을 수반하는 열차는 신습지노역 발착도 있다.
당 노선 구간에서도 잘못된 승차를 방지하고 8량 편성임을 강조하기 위해 무사시노선(武蔵野線)이라고 불린다. 이는 도쿄행(東京行き), 신슈시노·카이힌마쿠하리행(新習志野・海浜幕張行き)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예외적으로, 앞서 언급한 10량 편성의 게이요선(京葉線) 차량 니시후나바시행(西船橋行き)도 무사시노선으로 안내된다.
도쿄역(東京駅) 발착의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는 2013년 3월 15일까지 원칙적으로 모든 열차가 쾌속(快速)으로 운행되었다. 이 운행 형태는 신키바역(新木場駅) 임시 개업부터 시행되었으며, 당시에는 카사이린카이코엔역(葛西臨海公園駅)을 통과했다. 2002년 11월 30일까지는 평일과 토휴일의 정차역이 달랐으며, 토휴일 열차에는 ''''무사시노 드림''''(むさしのドリーム)이라는 애칭이 붙어 있었지만, 다음 달 1일의 다이야 개정으로 애칭이 폐지되었다. 그 후에도 도쿄역 - 소가(蘇我) 방면을 잇는 게이요선 쾌속이 이치카와시오하마역(市川塩浜駅)을 통과하는 것과는 달리,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는 이치카와시오하마역에 정차한다는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게이요선 내에서는 ''''무사시노 쾌속''''(武蔵野快速)으로 안내되었다. 평일과 토휴일의 정차역이 다른 것은 2013년 3월 16일 다이야 개정으로 쾌속 운행이 폐지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2010년 3월 13일 개정으로 일중 1시간당 2편에서 3편으로 증편되었으며[78], 아침 저녁에는 1시간당 3~5편 운행되었다. 평일 아침 하행선의 일부 열차는 카사이린카이코엔역을 통과하여 각역정차 열차를 추월했다. 일부 열차는 신우라야스역(新浦安駅) 또는 카사이린카이코엔역(토요일·휴일)에서 특급 열차의 통과 대기를 했다. 2013년 3월 16일 다이야 개정부터 도쿄역 발착 열차는 쾌속 운행에서 각역정차로 변경되었다.[79] 현재도 일부 열차는 신우라야스역 또는 카사이린카이코엔역에서 특급 열차의 통과 대기를 하며, 평일 저녁 러시아워 하행선 2편은 신우라야스역에서 게이요선 쾌속의 대기 연결을 하는 열차도 있다. 발차표 안내는 '각역정차'가 아닌 ''''무사시노선''''(英称:MUSASHINO LINE)으로 되어 있다.
미나미후나바시역(南船橋駅) 발착의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는 일중 시간대에 1시간에 3편 운행된다. 이 시간대의 미나미후나바시역 발착 열차는 미나미후나바시역에서 소가·도쿄 방면 양쪽으로 연결된다.
역명 | style="width: 1.2em; background-color: ;" | 쾌 | style="width: 1.2em; background-color: ;" | 통 | style="width: 1.2em; background-color: ;" | MT | style="width: 1.2em; background-color: ;" | MK | |
---|---|---|---|---|---|
도쿄 | ● | ● | ● | rowspan="9"| | |
핫초보리 | ● | ● | ● | ||
엣추지마 | | | | | ☆ | ||
시오미 | | | | | ● | ||
신키바 | ● | ● | ● | ||
가사이린카이코엔 | | | | | ▲ | ||
마이하마 | ● | | | ● | ||
신우라야스 | ● | | | ● | ||
이치카와시오하마 | | | | | ● | ||
니시후나바시 | ∥ | ∥ | ● | ● | |
후타마타신마치 | | | | | rowspan="8"| | ∥ | |
미나미후나바시 | ● | | | ● | ||
신나라시노 | | | | | ● | ||
가이힌마쿠하리 | ● | | | ● | ||
게미가와하마 | ● | | | rowspan="4"| | ||
이나게카이간 | ● | | | |||
지바미나토 | ● | | | |||
소가 | ● | ● | |||
범례 | |||||
=== 우치보선 직통열차 ===
경요선 내 운행 열차는 도쿄역·신습지노역·해변막장역·소가역 발착으로 운행되며,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6회(토·일요일 및 공휴일은 8회) 운행된다. 단, 해변막장역~소가역 구간에서는 운행 간격이 넓어진다. 다른 노선과의 직통 운행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 내방선
- * 직통 구간은 기미쓰역까지(아침 상행 각역정차 1편만 카미소우미나토 발)이며, 평일 출퇴근 시간대 쾌속(토·일요일 및 공휴일은 쾌속)이 하행 1편·상행 1편, 쾌속이 하행 4편·상행 1편, 각역정차가 상행 3편으로 총 10편이 직통 운행한다. 내방선 내에서는 모든 열차가 각역에 정차한다.
=== 소토보선/도가네선 직통열차 ===
경요선 내 운행 열차는 도쿄역·신습지노역·해변막장역·소가역 발착으로 운행되며,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6회(토·일요일 및 공휴일은 8회) 운행된다. 단, 해변막장역~소가역 구간에서는 운행 간격이 넓어진다. 다른 노선과의 직통 운행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 외방선
- * 직통 구간은 카미소우이치노미야역까지이며, 외방선 경유로 도키네선의 나리토역까지 직통 운행한다(일부 열차는 호다역에서 회차). 평일 쾌속이 하행 5편·상행 6편, 각역정차가 하행 7편·상행 7편으로 총 25편(토·일요일 및 공휴일은 22편)이 직통 운행한다. 낮 시간대 직통은 경요선 내에서는 쾌속으로 운행하고 외방선 내에서는 각역정차로 운행된다.
=== 과거의 열차 ===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통근 쾌속 서비스가 중단되었다.[3] 통근 쾌속 열차는 도쿄, 하치오보리, 신키바, 소가에 정차했으며, 많은 열차가 소토보 선과 도가네 선을 경유하여 나루토, 가쓰우라 또는 가주사이치노미야에서 종착했다. 통근 쾌속 열차는 아침 러시아워에는 도쿄 방면, 저녁 러시아워에는 도쿄 외곽 방면으로 운행했다.
게이요선에는 도쿄 디즈니 리조트 등의 관광 시설이 있어, 주요 역인 마이하마역(舞浜駅) 등에 정차하는 도쿄역 발착 임시 열차가 토요일, 휴일 및 골든위크(ゴールデンウィーク), 여름방학(夏休み), 겨울방학(冬休み)을 중심으로 운행되는 경우가 있었다.
조반선(常磐線) 히타치 방면에서 출발하는 「마이하마・도쿄 베이 에리어 호(舞浜・東京ベイエリア号)」나, 도쿄역 - 센다이역(仙台駅) 구간(무사시노선(武蔵野線)・도호쿠 본선(東北本線) 경유)에서 583계를 사용한 임시 야간 쾌속 열차 「문라이트 센다이(ムーンライト仙台)」・「문라이트 도쿄(ムーンライト東京)」가 운행되었다.
「마이하마・도쿄 베이 에리어 호(舞浜・東京ベイエリア号)」는 이전에는 「와쿠와쿠 마이하마・도쿄 호(わくわく舞浜・東京号)」・「원더랜드 호(ワンダーランド号)」・「익스피어리 호(イクスピアリ号)」로 운행되었다.
마쿠하리 멧세(幕張メッセ)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이벤트에 맞춰 단체 전세 등을 포함한 카이힌마쿠하리(海浜幕張) 발착 임시 열차가 운행된 적도 있다.[81]
3. 1. 특급 열차
게이요선을 경유해 소토보선으로 들어가는 《와카시오》호와, 우치보선으로 들어가는 《사자나미》로 나뉜다. 원래 이 특급열차들은 소부 쾌속선 도쿄역을 이용했으나, 《나리타 익스프레스》의 운행 시작으로 선로 용량이 부족해지면서 게이요선 승강장을 이용하게 되었다. 게이요선 안에서는 가이힌마쿠하리역에 일부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소토보선 특급 《와카시오》는 상하행 22편, 우치보선 특급 《사자나미》는 하행 4편·상행 3편이 각각 운행되고 있다. (《와카시오》 중 하행 2편·상행 3편, 《사자나미》는 전 열차 모두 토요일·일요일·공휴일 운휴. 또한 《와카시오》 중 하행 1편(상소이치노미야역 - 가쓰우라역 간)과 상행 1편은 성수기 한정 운행의 임시 열차).
처음에는 게이요선 내 중간역은 무정차였으나, 2000년 12월 2일 개정으로 일부 열차가 마쿠하리 신도심의 가이힌마쿠하리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2007년 3월 18일의 다이어 개정부터 도쿄발 16시까지의 하행 및 카이힌마쿠하리발 11시 이후의 상행 전 특급 열차가 가이힌마쿠하리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3. 2. 통근쾌속
게이요선 통근쾌속은 평일 출퇴근 시간에 운행되었던 열차 등급이다. 1990년 3월 도쿄역까지 전 노선 개통에 맞춰 신설되었으며, 도쿄역과 소가역 사이에서는 핫초보리역과 신키바역에만 정차하여 빠른 이동 시간을 제공했다.[74] 2004년에는 신키바역이 정차역에 추가되었으나, 마이하마역이나 카이힌마쿠하리역에는 정차하지 않았다.[74]모든 열차는 우치보선, 소토보선, 도가네선과 직결 운행을 했다.[74] 소토보선·도가네선 직결 열차는 소토보선 혼다역까지 중련으로 운행 후 혼다역에서 도가네선 방면 부속편성을 분리하거나 연결했다.[80]
2022년 3월 상행선 운행 편수가 4편에서 2편으로 감소되었고, 2024년 3월 16일 JR 동일본의 시간표 개정으로 완전히 폐지되었다.[74] 이로 인해, 출퇴근 시간대에는 우치보선과 소토보선에서 와카시오와 사자나미 특급 열차만이 고속 열차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지바현 정부는 이번 개정이 장거리 통근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한다고 비판했다.
3. 3. 쾌속
게이요선 및 우치보선·소토보선 등을 달리는 '''게이요 쾌속'''은 평일에는 매 시간 30분 간격으로, 주말과 휴일에는 매 시간 1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72] 낮 시간대 상행 열차는 가이힌마쿠하리역에서 가이힌마쿠하리 발 도쿄 행 각역정차 열차와 접속하며, 하행 쾌속은 신우라야스역에서 각역정차 열차와 접속한다. 시간당 1편씩 소토보선 가즈사이치노미야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있으며, 소토보선 안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72]2010년 12월 4일 다이어 개정으로 낮 시간대에 1시간에 1회 소토보선 가즈사이치노미야 발착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이 열차는 소토보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하고 소가역에서는 내방선 방면 열차와 동일 승강장에서 환승이 이루어진다.[72]
2013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평일 아침 통근 시간대 쾌속 운행이 폐지되어 각역정차만 운행하게 되었고, 쾌속 통과역에서의 승차 기회가 증가했다.[73] 2015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평일 낮 시간대 운행 편수가 시간당 3편으로 증편되었다.[73]
2016년 9월 24일까지는 무사시노선에 직통하는 「무사시노 쾌속」과 구별하기 위해 '''게이요 쾌속'''이라는 표기가 사용되었으나, 무사시노 쾌속 폐지 후 ATOS 도입에 따라 발차 표시기(전광판) 표시는 "쾌속"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12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평일 낮 시간대 운행 편수가 시간당 3편에서 2편으로 감편되었다.[73] 2024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낮 시간대 이외의 쾌속·통근쾌속이 각역정차로 변경되었으나,[74][141] 새벽 상행 2편만 쾌속이 유지되었다.
2024년 3월 16일 JR 동일본(JR East)의 시간표 개정으로 게이요선(Keiyo Line)의 쾌속 열차 운행이 감소하고, 러시아워(rush hours) 시간대의 통근 쾌속 열차는 완전히 폐지되었다. 아침과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쾌속 열차가 운행되지 않으며, 소가(Soga) 역에서 출발하는 쾌속 열차는 2편만 남았다. 이 시간대에는 완행 열차만 운행된다. 결과적으로,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우치보선(Uchibo Line)과 소토보선(Sotobo Line)에서 와카시오(Wakashio)와 사자나미(Sazanami) 특급 열차만이 고속 열차 서비스를 제공한다.
치바현(Chiba Prefecture) 정부는 이번 시간표 개정을 비난하며, 치바에서 도쿄 중심부로 장거리 통근하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했다고 밝혔으며, 완행 열차는 쾌속 열차보다 노선 전체에서 최대 15분 더 소요된다고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이것이 도쿄 정부가 도쿄 중심부 인구 집중을 유도하고 장거리 통근을 억제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2024년 9월 1일 다이어 개정으로 일부 각역정차가 쾌속으로 복귀되었다.[75]
3. 4. 각역 정차
게이요선의 각역 정차 열차는 시간당 4편씩 운행되며, 가이힌마쿠하리 행과 소가 행이 시간당 2편씩 운행된다.[76] 주말과 휴일 낮 시간대에는 모든 열차가 가이힌마쿠하리 시종착으로만 운행되며, 가이힌마쿠하리역에서 소가 방면 쾌속과 연결된다. 가사이린카이코엔역, 신우라야스역, 신나라시노역, 가이힌마쿠하리역, 지바미나토역에서 상위 열차 통과를 위해 대기하는 경우가 많다.[76]낮 시간대에는 평일 기준 1시간에 2회는 도쿄역 - 소가역 구간을, 나머지는 도쿄역 - 가이힌마쿠하리역 구간을 운행한다. 평일 낮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신우라야스역에서 쾌속과의 접속을 위한 대기 시간이 길며, 일부 열차는 지바미나토역, 가이힌마쿠하리역, 신슈시노역, 신우라야스역, 가사이린카이코엔역 중 한 역에서 특급이나 통근쾌속 통과를 위해 대기한다.
밤에는 일부 열차가 우치보선, 소토보선으로 직결 운행한다.[76] 아침 5회는 내방선 기미츠·조소미나토 발, 외방선 조소이치노미야·호다 발, 도우킨선 나리토 발이며, 야간 일부 열차는 내방선 기미츠 발, 외방선 조소이치노미야·호다 발이다.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를 보완하기 위해 도쿄역 발착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와 연락하는 니시후나바시역 - 미나미후나바시역·신슈시노역·가이힌마쿠하리역·소가역 구간 운행 열차,[76] 가이힌마쿠하리역 발착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와 연결되는 도쿄역 - 니시후나바시역 구간 열차가 저녁·야간에 운행된다. 도쿄발 니시후나바시역행 열차는 E233계에 한하여 종별 표시가 '보통'이 된다.[77]
3. 5. 과거의 열차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통근 쾌속 서비스가 중단되었다.[3] 통근 쾌속 열차는 도쿄, 하치오보리, 신키바, 소가에 정차했으며, 많은 열차가 소토보 선과 도가네 선을 경유하여 나루토, 가쓰우라 또는 가주사이치노미야에서 종착했다. 통근 쾌속 열차는 아침 러시아워에는 도쿄 방면, 저녁 러시아워에는 도쿄 외곽 방면으로 운행했다.게이요선에는 도쿄 디즈니 리조트 등의 관광 시설이 있어, 주요 역인 마이하마역(舞浜駅) 등에 정차하는 도쿄역 발착 임시 열차가 토요일, 휴일 및 골든위크(ゴールデンウィーク), 여름방학(夏休み), 겨울방학(冬休み)을 중심으로 운행되는 경우가 있었다.
조반선(常磐線) 히타치 방면에서 출발하는 「마이하마・도쿄 베이 에리어 호(舞浜・東京ベイエリア号)」나, 도쿄역 - 센다이역(仙台駅) 구간(무사시노선(武蔵野線)・도호쿠 본선(東北本線) 경유)에서 583계를 사용한 임시 야간 쾌속 열차 「문라이트 센다이(ムーンライト仙台)」・「문라이트 도쿄(ムーンライト東京)」가 운행되었다.
「마이하마・도쿄 베이 에리어 호(舞浜・東京ベイエリア号)」는 이전에는 「와쿠와쿠 마이하마・도쿄 호(わくわく舞浜・東京号)」・「원더랜드 호(ワンダーランド号)」・「익스피어리 호(イクスピアリ号)」로 운행되었다.
마쿠하리 멧세(幕張メッセ)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이벤트에 맞춰 단체 전세 등을 포함한 카이힌마쿠하리(海浜幕張) 발착 임시 열차가 운행된 적도 있다.[81]
4. 차량
게이요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통근형의 경우 무사시노선 용을 포함해 지바 지사의 게이요 차량 센터 소속이고, 특급 차량의 경우 마쿠하리 차량 센터 소속이다.
- 특급
:* E257계 500번대 (5, 10량 편성, 특실 없음)
:* 255계 (9량 편성, 특실 있음)
:: 간혹, E257계나 255계 대신에 183계가 운용되는 일도 있다.
- 쾌속, 각역정차
:* E233계 (10량 고정편성 또는 6+4량 편성)
::2010년 여름 무렵 운용을 게시하였다. 편성의 내역은 10량 고정 편성 21개(210량), 6량+4량분 비율 편성 4개(40량)이다. 번대 구분은 5000번대이고, 1편성이 2010년 3월 10일에 배급 수송되었다. E233계의 도입으로 201계는 폐차, 205계는 휴차 또는 후지급행 양도, 209계 500번대는 무사시노선으로 이적되었다. 편성의 내역은 10량 고정 편성 21편성(210량), 6량+4량 분할 편성 4편성(40량)이며, E331계는 교체 대상에 들어가 있지 않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운행되었다.

- 103계 (8, 10량 편성)
:: 8량 편성의 무사시노선 직통용 E38 편성이 서일본 여객철도에, E20 - E22, E27 편성중 4량, 도합 16량이 인도네시아의 철도회사에 매각되었으며, 나머지 편성은 폐차되었다. 폐차된 편성 중 게이요선 한정 운용 10량 편성의 쿠하 103-713 차량의 차체는 일부를 잘라내고 철도 박물관에 전시되어있다.
- 쾌속 '셔틀 마이하마' 용 165계 개조차 (3량 편성)
:: 도쿄 개업시부터 잠깐 도쿄 디즈니 랜드에의 연락 운송을 목적으로하는 쾌속 '셔틀 마이하마'로 도쿄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에 운행되었다. 또, 휴일 등에는 우치보선과 소토보선에도 운용되었다. 내장은 디즈니를 이미지로 하여 개조되었다. 1995년에 니가타 차량 센터에 전출되어, 알파라는 애칭으로 주로 니가타 지구에서 활동하다가 2001년에 폐차되었다.
- E331계
:: 2007년 3월 18일 시각표 개정부터 운용을 개시하였다. 토요일, 휴일 한정으로 운영되다가, 4월부터 부품의 일부를 개량하기 위한 작업으로, 현재는 영업운전에서 이탈되었다가 2010년에 E233계 전동차 영업개시로 2011년에 중지하여 2014년에 폐차되었다
:: 201계나 205계와는 차량의 규격이 다르므로 (연접 14m 3문형 전동차) 승차 위치가 별도로 표시되어 있으며, 발차표나 일부 역의 시각표에 이 계열이 운용되는 경우 14량이란 표시가 붙어있었다. (단, 이 차량의 14량은 보통의 통근형 전동차 10량과 비슷한 길이)
- 209계 500번대 (10량 편성)
:: 2008년 10월부터 게이힌 도호쿠선, 네기시선 계통에서 운행되던 209계 500번대 편성이 E233계 1000번대의 도입으로 게이요선으로 전출되었다. 이를 위하여 도쿄 종합 차량 센터에서 개조를 행하여, 게이요 차량 센터 소속의 32, 33편성 (기존의 우라와 전차구 소속 83, 84 편성)으로 배치가 이루어졌다. 현재, 본 계열은 시운전 중이며, 조만간 여객영업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 현재 E233계로 치환이 되어 무사시노선으로 이적되었다.
- 205계 (8, 10량 편성)
:: 당초부터 게이요선, 무사시노선용으로 제작된 선두차의 모습이 기존과는 다른 편성과, 타 노선등에서 전입된 차량이 존재한다. 8량 편성은 무사시노선 직통 용이다.
:: 우치보선, 소토보선 직통 열차는, 110km/h에 대응하는 선두차 모습이 기존과는 다른 편성이 운용된다.
- 201계 (10량 고정 편성 또는 6+4량 편성)
:: 주오·소부 완행선으로부터 전입된 차량이 재적하고 있다. 2007년에는 주오 쾌속선의 2편성 (T32, T130 편성)이 전입해왔지만, 205계 1편성이 복귀함에 따라 201계 1편성이 폐차될 예정이다. 시제차의 900번대도 사용했지만, 야마노테선으로부터 들어온 205계에 대치되어 2005년에 폐차되었다.
:: 차량 분할이 있는 소토보선, 도가네선 직통 운용시에는 분할 병결에 대응하는 (51 - 54) + (K1 - K4) 편성이 운용된다(도쿄 방향 6량 + 소가 방향 4량). 10량 고정편성은 선내에서 운용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운용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205계 10량 편성이 대신 운용되며, 우치보선, 소토보선에 직통하는 경우도 있다.
:: 일부 편성에는 디지털 무선 수신기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4. 1. 현재 운행 차량
게이요선에서 현재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통근형 차량은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를 포함하여 게이요 차량 센터에, 특급형 차량은 마쿠하리 차량 센터에 소속되어 있다.
특급 사자나미, 와카시오에는 E257계 500번대(5량 편성)가 사용된다.
게이요선용 차량은 10량 편성, 무사시노선 직결 운행 차량은 8량 편성이다. 게이요선용 스테인리스 차량은 라인 컬러인 와인 레드(■적14호)색 띠를 두르고 있다. 무사시노선 직결 운행 차량은 오렌지색과 갈색(■■) 띠를 두르고 있다.
- '''E233계 5000번대'''(10량 관통 편성·6량+4량 분할 편성): 2010년 7월 1일부터 운용이 시작된 현재의 주력 차량이다.[62] 10량 관통 편성과 6량+4량 분할 편성이 있으며, 분할 편성은 2011년 3월 7일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E233계 도입으로 201계, 205계 일부는 폐차되었고, 209계 500번대 일부는 무사시노선으로 이동했다.[96][97]
- '''E231계 0번대·900번대'''(8량 편성): 야마노테선 E235계 도입으로 E231계 500번대가 주오·소부 완행선으로 이동하면서, E231계 0번대 일부가 무사시노선으로 전입되어[98] 2017년 11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99] 2020년 7월 9일에는 미타카 차량센터 소속 시제 편성인 900번대가 8량 편성 및 전용 개조 후 전입했다.[100][101]
- '''209계 500번대'''(8·10량 편성): 2008년 10월부터 게이힌 도호쿠선·네기시선에 E233계 1000번대가 도입되면서, 209계 500번대 중 4편성이 게이요선에 순차적으로 전입하여 2008년 12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102] 2010년 3월부터는 205계의 도쿄 연장 시부터 소속되어 있던 편성과 공통 운용되어, 외방선 지바역 - 조소이치노미야역 간, 내방선 소가역 - 조소미나토역 간에도 직결 운행한다. E233계 도입으로 3편성이 8량 편성으로 무사시노선으로 이동하여 직통 전차로 게이요선에 직결 운행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주오·소부 완행선에서 무사시노선으로 209계 500번대 8편성이 전입했다. 2022년 8월 현재, 게이요선용 10량 편성은 케요 34편성만이 소속되어 있다.
4. 2. 과거 운행 차량
게이요선에는 과거 다음과 같은 차량이 운행되었다.
- '''103계'''(4량, 6량, 8량, 10량 편성): 1986년 3월 여객 영업 개시 당시, 4량 편성과 6량 편성을 병결한 편성이 게이힌토호쿠선과 요코하마선으로부터 차체 색을 청22호로 통일하여 쓰다누마 전차구에 전입했다. 주간에는 6량 편성, 아침 저녁 러시아워 시간에는 10량 편성으로 운행되었고, 차량은 동 구 소속으로 쓰다누마 전차구 신슈쿠시노 파출소에 상주했다. 같은 해 9월부터 주간에는 4량 편성으로 변경되었고, 1988년 12월 신키바·소가 연장 개업부터 다시 주간에는 6량 편성으로 돌아갔으며, 1990년 3월 도쿄 연장 개업 이후에도 그 운용 상태는 변함없었다. 그 후, 1993년 12월부터 게이요선 내 한정 운용의 편성은 종일 10량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야마노테선에서 전속해 온 205계가 도입된 것도 있어, 게이요선의 차량은 2005년 11월 18일을 기하여 동선의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 8량 편성의 무사시노선 E38 편성이 서일본 여객철도에, E20 - E22, E27 편성중 4량, 도합 16량이 인도네시아의 철도회사에 매각되었으며, 나머지 편성은 폐차되었다. 폐차된 편성 중 게이요선 한정 운용 10량 편성의 쿠하 103-713 차량의 차체는 일부를 잘라내고 철도박물관에 전시되어있다.
- '''165계''' 개조차 3량 편성(쾌속 '셔틀 마이하마'): 도쿄역 개업부터 잠시 동안, 도쿄 디즈니랜드와의 연락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쾌속 열차 '셔틀 마이하마'로서 도쿄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에서 운행한 적도 있다. 또한, 휴일 등 아주 드물게 우치보선이나 소토보선에서도 운행했다. 내장은 디즈니를 이미지화한 것이었다. 1995년에 가미누타리 운전구(니가타 차량센터)에 전출되어, '알파'로 개칭되어 주로 니가타 지역에서 운용되었지만, 2001년에 폐차되었다.
- '''201계'''(10량 편성, 4량+6량 편성): 103계 교체용으로 주오·소부 완행선에서 전입한 차량이 소속되어 있었다. 2007년에는 205계의 전출분의 메움으로 주오선 쾌속에서도 2편성(원 T32·T130편성)이 개조된 후에 전입했지만, 209계 500번대에 교체되어 비분할 편성 2편성과 함께 2009년 2월까지 나가노 종합 차량센터에 폐차 회송되었다.[103] 또한, 시제차인 900번대도 게이요선에서 사용되었지만, 이쪽은 야마노테선에서 전입한 205계에 교체되어 2005년에 폐차되었다. 차량 분할이 있는 소토보선, 도가네선 직통 운용에서는 분할 병합에 대응한 “51-54”+“K1-K4” 편성이 마지막까지 남아 있었지만, E233계의 도입에 따라 2011년 6월 20일에 운용을 이탈했다.[65]
- '''205계'''(10량 편성): 1990년 도쿄 연장 개업에 맞춰 게이요선용으로 제작된 선두차 전면의 형상이 종래와 다른 스타일의 편성과, 후년 103계 교체용으로 주오·소부 완행선, 야마노테선(양산 선행차 4편성 포함)에서 각각 전입한 차량이 존재했다. 그리고 우치보선·소토보선 직통 열차는 원칙적으로 110km/h 운전 대응의, 도쿄 연장 시부터의 재적 차인 선두차의 전면 형상이 다른 편성이 사용되었다. E233계 투입에 의해 순차적으로 운용에서 이탈, 2011년 7월 25일을 기하여 동선에서의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104] 일부는 4량 편성으로 단축, 화장실 설치 등의 개조가 이루어져 오야마 차량센터(도호쿠 본선〈우쓰노미야선〉·닛코선)에 전출했다. 또 일부는 3량 편성으로 단축되어, 후지큐행에 양도되어 6000계로서 동사선에서 사용되고 있다.
- '''205계'''(0, 5000번대)(8량 편성): 무사시노선용은 8량 편성이 운용되었다. 이 8량 편성은, 당초부터 무사시노선용으로 제작된 선두차 전면의 형상이 종래와 다른 스타일의 편성과, 후년 주오·소부 완행선·야마노테선·난부선·사이쿄선에서 각각 전입한 차량이 존재했다. 또한, 다른 선구에서 게이요선에 전입 후, 다시 무사시노선에 전용된 차량도 있었다. 야마노테선에 E235계 투입으로 여유가 된, 주오·소부선 각역정차용의 209계 500번대와 E231계의 전속에 의해, 2020년 10월 19일을 기하여 영업 운전을 종료했다.[105] 전 편성이 인도네시아에 양도되었다.
- '''E331계'''(14량 편성): 시험적으로 투입된 접속 차량으로, 1편성만 존재했다. 14량 편성으로 일반적인 열차의 10량 편성분과 같은 길이이다. 2007년 3월 18일의 다이어 개정부터 토요일·휴일 한정 운용으로 영업 운전을 개시했지만, 후에 부품의 일부에 대해 개량이 필요하다고 판명되어 같은 해 4월에 영업 운전에서 잠정적으로 이탈했다. 개량 후, 여러 번의 시운전을 거쳐 2008년 12월 23일부터 다시 토·휴일 다이어에서 영업 운전을 재개했다.[106] 문의 위치가 기존 차량과 다르기 때문에, 본 계열 독자적인 승차구 마크가 각 홈에 설치된 것 외에, 발차표와 일부 역의 시간표에서는 본 계열 운용 시에 “14량”이라고 표기되었다. E233계로의 교체 대상에서는 유일하게 제외되어 E233계 도입 후에도 계속 게이요선에서 사용한다고 되었지만, 2011년 10월 1일의 운용 개정으로 다시 운용에서 제외되었다(실제로는 개정 이전부터 다른 차종에 의한 대주가 행해졌다). 2014년 4월 2일부로 폐차.
- '''209계 500번대''' (10량 편성): 2008년 10월부터 게이힌 도호쿠선, 네기시선 계통에서 운행되던 209계 500번대 편성이 E233계 1000번대의 도입으로 게이요선으로 전출되었다. 이를 위하여 도쿄 종합 차량 센터에서 개조를 행하여, 게이요 차량 센터 소속의 32, 33편성 (기존의 우라와 전차구 소속 83, 84 편성)으로 배치가 이루어졌다. 현재, 본 계열은 시운전 중이며, 조만간 여객영업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E233계로 치환이 되어 무사시노선으로 이적되었다.
5. 역사
1967년 2월: 시오하마 조차장(현 가와사키 화물역) - 시나가와 부두(가칭) 간 인가.[45]
1971년 6월: 니시후나바시역 - 소가역 간 인가.[45]
1973년 10월: 도카이도 화물선 시오하마 조차장 - 도쿄 화물 터미널역 간 개업.[45]
1974년 3월: 도쿄 화물 터미널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 인가.[45]
1975년 5월 10일 - 지바 화물터미널 (현재의 이나게 해안역과 지바미나토역 사이에 있었던 화물역) ~ 소가 간이 화물 노선으로 개통.[45] 이 중 소가역 - 도가와 신호장 간은 가와사키제철(현 JFE스틸) 전용선을 이용했다. 지바 화물 터미널역이 개업.[45]
1978년 9월: 니시후나바시역 - 소가역 간 여객화 인가.[45]
1980년 11월 25일: 지바현 지사 가와카미 키이치가 운수대신 시오카와 마사주로에게 신도쿄 국제공항(현 나리타 국제공항)으로의 항공유 화차 수송(잠정 수송) 기간 연장을 승낙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대가로 지바현 측이 게이요선의 여객선화·도쿄역 진입의 조기 실현을 요구.[46][47] (→나리타 공항 문제)
1983년 7월: 도쿄 화물 터미널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 여객화 인가 및 도쿄역 - 신키바역 간(도심선)의 추가 인가.[45]
1986년
- 1월 21일: 소가역 - 도가와 신호장 간 현행선 공용 개시. 도가와 신호장 폐지. 가와사키제철 전용선의 차용 운전 해소.
- 3월 3일: 니시후나바시 ~ 지바미나토역이 여객 노선으로 개통.[18][48] 기점이 니시후나바시역으로 변경. 니시후나바시역 - 지바코역 간에서 여객 영업 개시.[48] 미나미후나바시역, 신슈시노역, 가이힌마쿠하리역, 게미가와하마역, 이나게카이간역, 지바코역(현 지바미나토역)이 개업.
- 같은 날: 신슈시노역 - 가이힌마쿠하리역 간에 예정되어 있던 사기누마 화물역[49] 부지[50]에 운용 전차의 상주 기지로서 쓰다누마 전차구 신슈시노 파출소[51]가 개설.[52]
- 9월 1일: 조직 변경에 따라, 쓰다누마 전차구가 슈시노 전차구(검수), 쓰다누마 운전구(운전)로 개편[53]되었기 때문에, 차량 기지의 검수 부문은 슈시노 전차구 신슈시노 파출소, 운전 부문은 쓰다누마 운전구 신슈시노 파출소로 개칭.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가 계승. 일본화물철도가 지바 화물 터미널역 - 소가역 간의 제2종 철도사업자가 됨.
1988년 12월 1일 - 신키바 ~ 미나미후나바시, 이치카와시오하마 ~ 니시후나바시 간이 개통.[18] JR에서 처음으로 ATS-P형의 본격 운용을 개시. 지바미나토 ~ 소가 간이 여객 노선으로 개통.[55] 무사시노선으로부터의 직결 운행 개시. 신키바역, 가사이린카이코엔역, 마이하마역, 신우라야스역, 이치카와시오하마역, 후타마타신마치역이 개업.
1990년 3월 10일 - 도쿄 ~ 신키바 간이 개통[18] 및 205계 전동차 일반 운행 개시. 전선에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가 도입. 핫초보리역, 에치추지마역, 시오미역이 개업. 공사 당시에는 「게이요 도심선」이라고도 불렸다[57]. 동시에 쾌속·통근 쾌속의 운전이 개시. 휴일의 쾌속은 「마린드림」, 무사시노선 직통은 「무사시노 드림」이라는 이름으로 운전. 게이요 전차구(2004년(헤이세이 16년) 4월 1일부터 게이요 차량센터)가 발족.
1991년 3월 16일: 특급 「와카시오」「사자나미」가 게이요선 경유로 변경.[18][58]
1992년 3월 14일: 인근의 지바항(지바코우)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지바코역(지바미나토)을 지바미나토역으로 개칭.
1993년 7월 2일: 뷰 사자나미(View Sazanami)호와 뷰 와카시오(View Wakashio)호 특급 열차에 255계 전동차 투입.[18]
1994년 12월 3일: 토요일·휴일 다이아 실시. 토요일도 휴일과 같은 다이아가 됨.
2000년
- 4월 1일: 지바 화물 터미널역이 폐지.
- 12월 2일 - 니시후나바시역에서부터 무사시노선이 직결 운행을 시작.[59] 일본화물철도가 니시후나바시역 - 소가역 간의 제2종 철도사업자가 되어, 화물열차 진입 개시.[59] 이에 따라 신항 신호장이 개설. 여객 열차도 무사시노선이 카이힌마쿠하리역까지 직통 운전 구간을 연장하고, 게이요선에도 동역 회차 열차가 설정됨. 쾌속 열차가 평일 낮에 지바미나토역에 정차하게 됨.
2002년 12월 1일: 개업 이래 처음으로 백지 다이아 개정. 토요일·휴일에 운행되는 쾌속 「마린드림」「무사시노 드림」이 폐지. 미나미후나바시역과 지바미나토역에 게이요 쾌속이 종일 정차.
2004년 10월 16일: 다이아 개정에 따라, 신키바역이 통근 쾌속 정차역에 추가.[18] 사자나미(Sazanami)호와 와카시오(Wakashio)호 특급 열차에 E257계-500번대 전동차 투입.[18]
2005년 11월 18일: 10량 편성으로 하늘색의 103계 전차가 이 날로 운용을 종료. 마지막 편성이 된 302편성은, 3일 후인 11월 21일에 폐차 회송됨.[60]
2006년 9월 28일: 오전 4시 18분경, 도쿄역 구내의 변전소에서 화재 발생하여 정전. 게이요선이 상하행 모두 반나절 전선 불통이 됨. 이에 따라 많은 이용객이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의 우라야스역에 몰려, 버스가 혼잡하는 사태가 됨. 이 화재로 약 16만 7000명에게 영향이 미침.
2007년
2008년 12월 1일: 게이힌 도호쿠선으로부터 전속해 온 209계가 영업 운전 개시.
2009년
- 1월 25일: 지바 지사 관내에서는 처음으로 열차 무선의 디지털 운용 개시.
- 7월 30일: 신키바역 - 카사이린카이코엔역 간을 주행 중인 도쿄발 소가행 각역 정차(205계 10량 편성)에서 차량의 전기 회로가 쇼트되어 정차, 해당 차량으로부터 코시나카지마 변전소에 과전류가 흘러 화재 발생하여 송전 불능이 되어, 약 7시간에 걸쳐 불통됨.[61] 다음 날 31일, 국토교통성관동 운수국은 JR동일본에 대해 조기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경고 문서 발부.
2010년
- 3월 10일: 전선 개업 20주년 기념 캠페인이 개시되어, 카이힌마쿠하리역에서 기념 출발식이 거행된 외, 기념 헤드마크를 단 전차의 운전을 개시(1년간).
- 7월 1일: E233계 5000번대 전차의 영업 운전 개시.[62]
- 9월 27일: 천황·황후의 지바현 방문(국체 시찰 등)에 따른 E655계(특별 차량 E655-1을 포함한 6량 편성) 사용의 어가 열차가, 내방선다테야마역으로부터 게이요선 경유로 도쿄역 간에 운전됨.[63]
2011년
- 1월 16일: E331계가 운용을 이탈. 3년 후의 2014년3월 25일에 나가노 종합 차량 센터로 배급 수송되어[64], 4월 2일부로 전차가 폐차, 해체되었기 때문에, 형식 소멸이 됨. 2007년의 운전 개시로부터 불과 7년, 실제 운용 기간은 약 4년으로, JR의 차량으로서는 이례적인 단명이었음. 또한, 시제차를 제외하면 JR화 후에 탄생한 형식으로서는 최초의 폐형식이 됨.
-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 지진 직후부터 전선에서 운전이 중지됨. 다음 날 운전 재개하나 계획 정전의 영향도 있어, 특별 다이아로의 운행이 잠시 계속됨.
- 6월 20일: 201계 전차가 이 날로 운용을 종료.[65] 이 날의 운용은 아침뿐이었음. 이에 따라 JR동일본에서 201계가 소멸하고[65], 오랫동안 운행되던 하늘색 전차가 게이요선에서 모습을 감춤.
- 7월 25일: 10량 편성으로 붉은 띠의 205계 전차가 이 날로 운용을 종료.[104]
2012년 11월 28일: 후타마타신마치역 - 미나미후나바시역 간을 주행 중에 후츄혼마치발 카이힌마쿠하리행의 무사시노선 직통의 각역 정차(205계 8량 M15편성)에서 차량의 전기 회로의 퓨즈가 끊어져 정차, 게이요선 전선에서 4시간에 걸쳐 운휴함.[66][67]
2013년
- 3월 16일: 다이아 개정에 따라, 통근 쾌속을 제외하고 아침 통근 시간대의 쾌속 운전을 그만두고, 모두 각역 정차로의 운전이 됨. 또한,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도 각역 정차가 됨.
- 4월 10일: 후츄혼마치발 도쿄행 각역 정차가 니시후나바시역에서 고장으로 차량 문이 닫히지 않는 트러블 발생. 아침 러시아워에 대체 차량의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긴축막을 사용하여 운전을 계속한다는 이례적인 대응을 취함.[68]
- 10월 1일: 대여 기간 경과에 따라, 도카이도 화물선 시오하마 조차장 - 도쿄 화물 터미널역 간이 철도·운수 기구로부터 JR동일본에 양도.
2015년
2016년
- 8월 20일: 역 번호 도입. 게이요선 역에는 도쿄역(JE01)부터 지바미나토역(JE16)까지 역 번호 부여.[19][20]
- 9월 25일: 도쿄 23구를 달리는 재래선 노선에서는 드물게 2010년대가 되어서도 도입되지 않았던 도쿄권 수송 관리 시스템(ATOS)이 도입됨.
2017년 11월 1일: 무사시노선의 E231계가 운용을 개시.
2023년 3월 18일: 신슈시노역 - 가이힌마쿠하리역 간에 마쿠하리토요사역이 개업[21][69][70][71] 카이히마쿠하리역부터 지바미나토역까지의 역 번호가 1씩 증가.[21]
5. 1. 연표
1967년 2월: 시오하마 조차장(현 가와사키 화물역) - 시나가와 부두(가칭) 간 인가.[45]1971년 6월: 니시후나바시역 - 소가역 간 인가.[45]
1973년 10월: 도카이도 화물선 시오하마 조차장 - 도쿄 화물 터미널역 간 개업.[45]
1974년 3월: 도쿄 화물 터미널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 인가.[45]
1975년 5월 10일 - 지바 화물터미널 (현재의 이나게 해안역과 지바미나토역 사이에 있었던 화물역) ~ 소가 간이 화물 노선으로 개통.[45] 이 중 소가역 - 도가와 신호장 간은 가와사키제철(현 JFE스틸) 전용선을 이용했다. 지바 화물 터미널역이 개업.[45]
1978년 9월: 니시후나바시역 - 소가역 간 여객화 인가.[45]
1980년 11월 25일: 지바현 지사 가와카미 키이치가 운수대신 시오카와 마사주로에게 신도쿄 국제공항(현 나리타 국제공항)으로의 항공유 화차 수송(잠정 수송) 기간 연장을 승낙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대가로 지바현 측이 게이요선의 여객선화·도쿄역 진입의 조기 실현을 요구.[46][47] (→나리타 공항 문제)
1983년 7월: 도쿄 화물 터미널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 여객화 인가 및 도쿄역 - 신키바역 간(도심선)의 추가 인가.[45]
1986년
- 1월 21일: 소가역 - 도가와 신호장 간 현행선 공용 개시. 도가와 신호장 폐지. 가와사키제철 전용선의 차용 운전 해소.
- 3월 3일: 니시후나바시 ~ 지바미나토역이 여객 노선으로 개통.[18][48] 기점이 니시후나바시역으로 변경. 니시후나바시역 - 지바코역 간에서 여객 영업 개시.[48] 미나미후나바시역, 신슈시노역, 가이힌마쿠하리역, 게미가와하마역, 이나게카이간역, 지바코역(현 지바미나토역)이 개업.
- 같은 날: 신슈시노역 - 가이힌마쿠하리역 간에 예정되어 있던 사기누마 화물역[49] 부지[50]에 운용 전차의 상주 기지로서 쓰다누마 전차구 신슈시노 파출소[51]가 개설.[52]
- 9월 1일: 조직 변경에 따라, 쓰다누마 전차구가 슈시노 전차구(검수), 쓰다누마 운전구(운전)로 개편[53]되었기 때문에, 차량 기지의 검수 부문은 슈시노 전차구 신슈시노 파출소, 운전 부문은 쓰다누마 운전구 신슈시노 파출소로 개칭.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가 계승. 일본화물철도가 지바 화물 터미널역 - 소가역 간의 제2종 철도사업자가 됨.
1988년 12월 1일 - 신키바 ~ 미나미후나바시, 이치카와시오하마 ~ 니시후나바시 간이 개통.[18] JR에서 처음으로 ATS-P형의 본격 운용을 개시. 지바미나토 ~ 소가 간이 여객 노선으로 개통.[55] 무사시노선으로부터의 직결 운행 개시. 신키바역, 가사이린카이코엔역, 마이하마역, 신우라야스역, 이치카와시오하마역, 후타마타신마치역이 개업.
1990년 3월 10일 - 도쿄 ~ 신키바 간이 개통[18] 및 205계 전동차 일반 운행 개시. 전선에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가 도입. 핫초보리역, 에치추지마역, 시오미역이 개업. 공사 당시에는 「게이요 도심선」이라고도 불렸다[57]. 동시에 쾌속·통근 쾌속의 운전이 개시. 휴일의 쾌속은 「마린드림」, 무사시노선 직통은 「무사시노 드림」이라는 이름으로 운전. 게이요 전차구(2004년(헤이세이 16년) 4월 1일부터 게이요 차량센터)가 발족.
1991년 3월 16일: 특급 「와카시오」「사자나미」가 게이요선 경유로 변경.[18][58]
1992년 3월 14일: 인근의 지바항(지바코우)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지바코역(지바미나토)을 지바미나토역으로 개칭.
1993년 7월 2일: 뷰 사자나미(View Sazanami)호와 뷰 와카시오(View Wakashio)호 특급 열차에 255계 전동차 투입.[18]
1994년 12월 3일: 토요일·휴일 다이아 실시. 토요일도 휴일과 같은 다이아가 됨.
2000년
- 4월 1일: 지바 화물 터미널역이 폐지.
- 12월 2일 - 니시후나바시역에서부터 무사시노선이 직결 운행을 시작.[59] 일본화물철도가 니시후나바시역 - 소가역 간의 제2종 철도사업자가 되어, 화물열차 진입 개시.[59] 이에 따라 신항 신호장이 개설. 여객 열차도 무사시노선이 카이힌마쿠하리역까지 직통 운전 구간을 연장하고, 게이요선에도 동역 회차 열차가 설정됨. 쾌속 열차가 평일 낮에 지바미나토역에 정차하게 됨.
2002년 12월 1일: 개업 이래 처음으로 백지 다이아 개정. 토요일·휴일에 운행되는 쾌속 「마린드림」「무사시노 드림」이 폐지. 미나미후나바시역과 지바미나토역에 게이요 쾌속이 종일 정차.
2004년 10월 16일: 다이아 개정에 따라, 신키바역이 통근 쾌속 정차역에 추가.[18] 사자나미(Sazanami)호와 와카시오(Wakashio)호 특급 열차에 E257계-500번대 전동차 투입.[18]
2005년 11월 18일: 10량 편성으로 하늘색의 103계 전차가 이 날로 운용을 종료. 마지막 편성이 된 302편성은, 3일 후인 11월 21일에 폐차 회송됨.[60]
2006년 9월 28일: 오전 4시 18분경, 도쿄역 구내의 변전소에서 화재 발생하여 정전. 게이요선이 상하행 모두 반나절 전선 불통이 됨. 이에 따라 많은 이용객이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의 우라야스역에 몰려, 버스가 혼잡하는 사태가 됨. 이 화재로 약 16만 7000명에게 영향이 미침.
2007년
2008년 12월 1일: 게이힌 도호쿠선으로부터 전속해 온 209계가 영업 운전 개시.
2009년
- 1월 25일: 지바 지사 관내에서는 처음으로 열차 무선의 디지털 운용 개시.
- 7월 30일: 신키바역 - 카사이린카이코엔역 간을 주행 중인 도쿄발 소가행 각역 정차(205계 10량 편성)에서 차량의 전기 회로가 쇼트되어 정차, 해당 차량으로부터 코시나카지마 변전소에 과전류가 흘러 화재 발생하여 송전 불능이 되어, 약 7시간에 걸쳐 불통됨.[61] 다음 날 31일, 국토교통성관동 운수국은 JR동일본에 대해 조기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경고 문서 발부.
2010년
- 3월 10일: 전선 개업 20주년 기념 캠페인이 개시되어, 카이힌마쿠하리역에서 기념 출발식이 거행된 외, 기념 헤드마크를 단 전차의 운전을 개시(1년간).
- 7월 1일: E233계 5000번대 전차의 영업 운전 개시.[62]
- 9월 27일: 천황·황후의 지바현 방문(국체 시찰 등)에 따른 E655계(특별 차량 E655-1을 포함한 6량 편성) 사용의 어가 열차가, 내방선다테야마역으로부터 게이요선 경유로 도쿄역 간에 운전됨.[63]
2011년
- 1월 16일: E331계가 운용을 이탈. 3년 후의 2014년3월 25일에 나가노 종합 차량 센터로 배급 수송되어[64], 4월 2일부로 전차가 폐차, 해체되었기 때문에, 형식 소멸이 됨. 2007년의 운전 개시로부터 불과 7년, 실제 운용 기간은 약 4년으로, JR의 차량으로서는 이례적인 단명이었음. 또한, 시제차를 제외하면 JR화 후에 탄생한 형식으로서는 최초의 폐형식이 됨.
-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 지진 직후부터 전선에서 운전이 중지됨. 다음 날 운전 재개하나 계획 정전의 영향도 있어, 특별 다이아로의 운행이 잠시 계속됨.
- 6월 20일: 201계 전차가 이 날로 운용을 종료.[65] 이 날의 운용은 아침뿐이었음. 이에 따라 JR동일본에서 201계가 소멸하고[65], 오랫동안 운행되던 하늘색 전차가 게이요선에서 모습을 감춤.
- 7월 25일: 10량 편성으로 붉은 띠의 205계 전차가 이 날로 운용을 종료.[104]
2012년 11월 28일: 후타마타신마치역 - 미나미후나바시역 간을 주행 중에 후츄혼마치발 카이힌마쿠하리행의 무사시노선 직통의 각역 정차(205계 8량 M15편성)에서 차량의 전기 회로의 퓨즈가 끊어져 정차, 게이요선 전선에서 4시간에 걸쳐 운휴함.[66][67]
2013년
- 3월 16일: 다이아 개정에 따라, 통근 쾌속을 제외하고 아침 통근 시간대의 쾌속 운전을 그만두고, 모두 각역 정차로의 운전이 됨. 또한, 무사시노선 직통 열차도 각역 정차가 됨.
- 4월 10일: 후츄혼마치발 도쿄행 각역 정차가 니시후나바시역에서 고장으로 차량 문이 닫히지 않는 트러블 발생. 아침 러시아워에 대체 차량의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긴축막을 사용하여 운전을 계속한다는 이례적인 대응을 취함.[68]
- 10월 1일: 대여 기간 경과에 따라, 도카이도 화물선 시오하마 조차장 - 도쿄 화물 터미널역 간이 철도·운수 기구로부터 JR동일본에 양도.
2015년
2016년
- 8월 20일: 역 번호 도입. 게이요선 역에는 도쿄역(JE01)부터 지바미나토역(JE16)까지 역 번호 부여.[19][20]
- 9월 25일: 도쿄 23구를 달리는 재래선 노선에서는 드물게 2010년대가 되어서도 도입되지 않았던 도쿄권 수송 관리 시스템(ATOS)이 도입됨.
2017년 11월 1일: 무사시노선의 E231계가 운용을 개시.
2023년 3월 18일: 신슈시노역 - 가이힌마쿠하리역 간에 마쿠하리토요사역이 개업[21][69][70][71] 카이히마쿠하리역부터 지바미나토역까지의 역 번호가 1씩 증가.[21]
6. 역 목록
거리
거리
야마노테 선 (JY 01), 게이힌 도호쿠 선 (JK 26), 주오 쾌속선 (JC 01), 도카이도 선 (JT 01), 우에노도쿄라인 (JU 01), 소부 쾌속선 (요코스카 선 (JO 19)),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17),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오테마치 역, T-09),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 (니주바시마에 역, C-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