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사시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사시노선은 동일본 여객철도와 일본화물철도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이다. 쓰루미역에서 니시후나바시역까지 100.6km 구간을 운행하며, 후추혼마치역과 니시후나바시역 사이의 71.8km 구간에 정기 여객 열차가 운행된다. 전 구간 복선 및 전철화되어 있으며,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를 사용한다. 도쿄 도심과 교외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화물 운송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이세 철도 이세선
    이세 철도 이세선은 미에현 욧카이치시 가와라다역과 쓰시 쓰역을 연결하는 22.3km 철도 노선으로, 원래 일본국유철도 이세선이었으나 경영 악화로 제3섹터 철도인 이세 철도로 이관되었으며, 간사이 본선 및 기세이 본선 직결 운행을 통해 특급 및 쾌속 열차가 운행되고 F1 일본 그랑프리 개최 시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 197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평양 지하철도
    평양 지하철도는 1965년에 건설되어 1969년부터 1972년 사이에 개통되었으며, 방공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깊게 건설되었고, 천리마선과 혁신선 두 개의 노선으로 운영된다.
  • 사이타마현의 철도 - 우에노 도쿄 라인
    우에노 도쿄 라인은 도쿄역과 우에노역을 연결하는 3.8km의 고가철도로, 도호쿠 본선 및 조반선의 도쿄역 직결 운행을 재개하고 통근 혼잡을 완화하며 도쿄 북부와 도심 간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 사이타마현의 철도 - 도부 닛코선
    도부 닛코선은 도쿄도 아사쿠사에서 도치기현 닛코시를 잇는 도부 철도의 94.5km 협궤 복선 전철 노선으로, 수도권 주요 지역과 연결되며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도쿄 메트로 및 도큐 전철 노선과 직결 운행된다.
  • 무사시노선 - 쓰루미역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쓰루미구에 있는 JR 동일본의 쓰루미역은 게이힌 도호쿠 선과 쓰루미 선의 환승역이자 쓰루미 선의 종착역이며, 다수의 화물 노선과 동해도 본선의 여러 지선이 분기하는 요코하마 지역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무사시노선 - 후추혼마치역
    후추혼마치역은 난부선과 무사시노선이 지나는 역으로, 섬식과 상대식 승강장을 혼합한 구조이며, 무사시노선은 시종착역이고 도쿄 경마장과 가까워 경마 개최일에 이용객이 증가하며 1928년에 개업했다.
무사시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여객 서비스 노선도 (빨간색: 무사시노 선, 파란색: 게이요 선)
무사시노 선 및 무사시노 화물선 연결
기본 정보
노선 이름무사시노 선
로마자 표기Musashino-sen
노선 색상#f15a22
로고File:JR JM line symbol.svg
로고 크기40px
무사시노 선을 운행하는 E231계 0번대 (2019년 11월 26일 후추혼마치역 - 기타후추역 구간)
위치가나가와현, 도쿄도, 사이타마현, 지바현
노선 종류보통 철도 (재래선, 간선)
기점쓰루미역 (화물선), 후추혼마치역 (여객 영업 구간)
종점니시후나바시역
역 수29개 (니시후나바시역 포함, 지선 역 및 쓰루미역 제외)
전보 약호무사세
노선 기호JM
개업일1973년 4월 1일
전 구간 개통1978년 10월 2일
소유자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운영자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일본화물철도(JR 화물)
차량 기지게이요 차량 센터, 히가시토코로자와 전차구
사용 차량209-500계, E231-0계, E231-900계
노선 거리100.6km (쓰루미 - 니시후나바시 구간), 71.8km (여객 영업 구간)
궤간1067 mm
선로 수복선 (구니타치 지선은 단선)
전철화 구간전 구간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폐색 방식복선 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ATS-P (후추혼마치역 - 니시후나바시역 구간), ATS-SN (쓰루미역 - 후추혼마치역 구간)
최고 속도95km/h
일일 승객 수1,064,613명 (2015년 일일)
기타 정보
지역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개통1973년
운영 기관JR 동일본, JR 화물
차량 기지게이요
노선 길이71.8km (여객 운행), 100.6km (전체)
전압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2. 노선 정보

무사시노선은 도쿄도, 사이타마현, 지바현을 경유하며 수도권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노선 정보

구분내용
노선 거리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쓰루미역~니시후나바시역 100.6km (\쓰루미역~신쓰루미 신호장 3.9km 구간은 도카이도 본선 지선(힌카쿠선)과 중복, 정기 여객열차는 후추혼마치역~니시후나바시역 간 71.8km만 운행), 니시우라와역~요노역 4.9km, 무사시우라와역~벳쇼 신호장 // 일본화물철도(JR 화물): 쓰루미역~니시후나바시역 100.6km, 신코다이라역~구니타치역 5.0km, 미나미나가레야마역~기타코가네역 2.9km, 미나미나가레야마역~마바시역 3.7km
운영 기관동일본 여객철도(제1종 철도사업자), 일본화물철도(제2종 철도사업자)
궤간1067mm
통행 방식좌측 통행
역 수여객역 26개, 화물역 3개, 신호장 1개 (지선 제외, 쓰루미역은 무사시노선 여객 영업 없음)
복선 구간전 구간
전철화 구간전 구간(직류 1500V)
보안 장치ATS



전 구간에 걸쳐 건널목이 없고 커브도 완만하다. 그러나 본래 도심에서 방사선으로 늘어선 각 노선을 연결하기 위한 화물 노선이었기 때문에, 분기기 통과에 속도 제한이 걸리는 곳도 있다.

무사시노선은 야마노테 화물선의 우회 노선으로 일본국유철도(국철)가 건설한 화물선이며, 동시에 여객용으로도 사용되는 수도권의 외곽 환상선이다. 남간토의 도쿄도다마 지역, 사이타마현 남부, 지바현 서부(도카쓰 지역) 등 수도권 교외를 잇는 통근·통학 노선이기도 하며, 도쿄 도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JR과 사철 각 노선과의 교차점에 환승역이 설치되어 있다. 여객 영업의 기점은 후추혼마치역이지만, 후추혼마치역~쓰루미역 간은 현재도 화물 전용 노선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이 구간은 여객 영업 구간과 구분하여 통칭 "무사시노 남선"이라고 불린다.[13]

2. 1. 운영 현황

무사시노선은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와 일본화물철도(JR 화물)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이다. 여객 노선은 동일본 여객철도가 제1종 철도사업자로, 화물 노선은 일본화물철도가 제2종 철도사업자로 운영한다.

  • 운영 기관: 동일본 여객철도(제1종 철도사업자), 일본화물철도(제2종 철도사업자)
  • 궤간: 1067mm
  • 통행 방식: 좌측 통행
  • 역 수: 여객역 26개, 화물역 3개, 신호장 1개 (지선 제외, 쓰루미역은 무사시노선 여객 영업 없음)
  • 복선 구간: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1500V)
  • 보안 장치: ATS


전 구간에 걸쳐 건널목이 없고 커브가 완만하지만, 원래 도심에서 방사선으로 뻗어나가는 노선들을 연결하는 화물 노선이었기 때문에 분기기 통과 시 속도 제한이 있는 곳도 있다.

무사시노선은 야마노테 화물선의 우회 노선으로 일본국유철도(국철)가 건설한 화물선이자, 여객용으로도 사용되는 수도권 외곽 환상선이다. 남간토의 도쿄도다마 지역, 사이타마현 남부, 지바현 서부(도카쓰 지역) 등 수도권 교외를 연결하는 통근·통학 노선이며, 도쿄 도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JR과 사철 노선과의 교차점에 환승역이 설치되어 있다. 여객 영업의 기점은 후추혼마치역이지만, 후추혼마치역~쓰루미역 간은 현재도 화물 전용 노선으로 기능하며, "무사시노 남선"이라고 불린다.[13] 이 노선 개통으로 야마노테 화물선의 화물 열차 편수가 감소하여, 사이쿄선이나 쇼난 신주쿠 라인과 같은 여객 열차의 신설·증편이 가능해졌다.[14]

본 노선은 도카이도 본선 방면과 도호쿠 본선 방면을 잇는 야마노테 화물선을 우회하는 화물선으로 계획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주로 화물 열차가 운행되었지만, 연선의 주택지화에 따른 인구 증가로 여객 영업을 하는 후추혼마치역~니시후나바시역 간에서는 여객 열차 운행이 증가했다. 원래는 도호쿠·조에쓰 방면과 도카이도 방면을 잇는 야마노테 화물선의 우회 노선으로 건설, 관리되고 있어 니시우라와역에서는 요노역 방면 지선이 직진하고, 무사시우라와역 방면 본선이 분기하는 선형이다. 무사시노선이라는 이름처럼 무사시노 지역·무사시노 대지를 관통하여 각 도시를 잇지만, 도쿄도 무사시노시는 경유하지 않는다.

여객 수송은 도쿄 지역 전차 특정 구간 노선 중 하나다. 라인 컬러는 '''오렌지 버밀리온'''이며, 여객 안내와 운행 차량 차체 색상에 사용된다. 무사시노선은 직통 운전을 하는 게이요선, 후추혼마치역에서 접속하는 난부선, 그 서쪽을 지나는 요코하마선과 함께 도쿄 도심과 교외를 잇는 타사선과의 접속역이 많은 "도쿄 메가 루프" 중 하나다.[53]

화물 수송은 도카이도 화물선과 도호쿠 화물선을 잇고, 단락선을 경유하여 주오 본선·도호쿠 본선·조반선과도 접속하며, 니시후나바시역에서 게이요선을 경유하여 지바 화물역과도 직결되어 수도권 철도 화물 수송의 대동맥 역할을 한다. 노선 내에 가지가야 화물 터미널역·신자 화물 터미널역·고시가야 화물 터미널역의 3개 화물역이 있다.

무사시노 남선(武蔵野南線)을 달리는 화물열차


EF210형이 견인하는 화물열차
(2019년 9월 2일 니시우라와역)

  • 관할(사업 종류)·구간(영업 거리)
  • 동일본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쓰루미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 100.6km
  • 쓰루미역 - 신쓰루미 신호장 간(3.9km)은 도카이도 본선 지선(통칭 힌카쿠선)과 중복. 정기 여객열차가 설정되어 있는 구간은 후추혼마치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71.8km) 뿐
  • 신코다이라역 - 구니타치역 간: 영업 거리 설정 없음
  • 니시우라와역 - 요노역 간 4.9km
  • 무사시우라와역 - 벳쇼 신호장 간: 영업 거리 설정 없음
  • 미나미나가레야마역 - 기타코가네역 간: 영업 거리 설정 없음
  • 미나미나가레야마역 - 마바시역 간: 영업 거리 설정 없음
  • 일본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 쓰루미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 100.6km
  • 신아키쓰역 - 일본국유철도선·세이부 철도 주식회사선 분계점 간 (1.6km): 제1종 철도사업자·제2종 철도사업자 모두 거리 설정 없음(거리표는 국철 시대의 것)
  • 신코다이라역 - 구니타치역 간 5.0km
  • 니시우라와역 - 요노역 간 4.9km
  • 무사시우라와역 - 벳쇼 신호장 간: 영업 거리 설정 없음
  • 미나미나가레야마역 - 기타코가네역 간 2.9km
  • 미나미나가레야마역 - 마바시역 간 3.7km
  • 건설 주체: 일본철도건설공단(현 독립행정법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
  • 궤간: 1067mm
  • 역 수(니시후나바시역 포함 지선의 역 및 쓰루미역 제외): 29개
  • 여객역: 26개
  • 무사시노선 소속 여객역만 한정하면, 난부선 소속 후추혼마치역, 주오 본선 소속 니시코쿠분지역, 도호쿠 본선 소속 무사시우라와역·미나미우라와역, 조반선 소속 신마쓰도역, 소부 본선 소속 니시후나바시역 6개 역[86]을 제외한 20개 역
  • 화물역: 3개
  • 복선 구간: 니시코쿠분지역 - 구니타치 연락선 간을 제외한 전선
  • 전철화 구간: 전선 (직류 1500V)
  • 폐색 방식: 복선 자동 폐색식
  • 안전 설비
  • ATS-P(후추혼마치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10])
  • ATS-SN(쓰루미역 - 후추혼마치역 간[10])
  • 표정 속도: 55.2km/h
  • 최고 속도: 95km/h
  • 운전 지령소: 도쿄 종합 지령실(무사시노 지령)
  •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 신쓰루미 신호장 - 니시후나바시역 간 도쿄권 수송 관리 시스템(ATOS)[87]
  • 차량 기지 소재역: 게이요선 신나라시노역(게이요 차량 센터)
  • 대도시 근교 구간(여객영업규칙에 따름): 후추혼마치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
  • IC 카드 승차권 대응 구간: 후추혼마치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 (Suica 수도권 에리어)

동일본 여객철도 지사별 관할

  • 쓰루미역 - 가지가야 화물 터미널역 간[88]: 동일본여객철도 요코하마 지사
  • 후추혼마치역[88] - 신자역 간: 동일본여객철도 하치오지 지사
  • 기타아사카역[89] - 미사토역[90] 간: 동일본여객철도 오미야 지사
  • 미나미나가레야마역[90] - 신마쓰도역[91] 간: 동일본여객철도 수도권 본부
  • 신야시오역[91] - 니시후나바시역 간: 동일본여객철도 지바 지사

2. 2. 노선 특징

무사시노선은 전 구간에 걸쳐 건널목이 없고 곡선 구간이 완만하게 설계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다.[83] 그러나 본래 도심에서 방사선으로 뻗어나가는 각 노선을 연결하기 위한 화물 노선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에, 분기기 통과에 속도 제한이 걸리는 곳도 있다.

3. 역사

무사시노선은 1927년 철도 예산안에서 "도쿄 외곽 순환선"으로 처음 구상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등의 영향으로 계획이 동결되었다.[2] 1952년 사이타마현에서 수도 외곽 환상선의 일환으로 소사 - 우라와 - 류가 - 아비코 간 노선을 신청했고, 1957년 철도건설심의회에서 '옥엽선'으로 건설이 결정되었다.[15][16] 1964년 D선[17]으로 불리는 대도시 교통선으로 일본철도건설공단에 의해 착공되었다.[16]

1967년, 도쿄 서부의 다치카와 공군기지로 제트 연료를 운반하던 열차가 신주쿠역을 통과하는 동안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도쿄 중심부의 철도 노선에서 화물 열차 운행이 금지되었고, 대체 노선으로 무사시노선의 개발이 빨라졌다. 노선의 대부분이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을 통과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화물 전용 노선으로 구상되었다. 그러나 나리타 국제공항 건설 당시의 격렬한 토지 소유주와의 갈등과 동시에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철도 당국은 여객 서비스에도 동의하게 되었다.

1973년 4월 1일에는 후추혼마치역 - 신마쓰도역[20], 요노역 - 니시우라와역 간 등이 개통되어 여객 및 화물 영업을 시작했다.[21] 개업 당시에는 화물열차 사이의 주민에 대한 보상 운행이었으며, 낮에는 40분 간격[21], 러시아워 시간대에도 15~20분 간격으로 운행되었다.[21] 1970년대 후반이 되면서 화물열차는 거점 간 집중 수송으로 중점이 이동하여 열차 편수가 감소되어 다이아에 여유가 생겼고, 연선(沿線) 개발에 따라 인구도 증가하여 여객열차도 증편되었다.

1976년 3월 1일에는 쓰루미역 - 신쓰루미조차장 - 후추혼마치역 간이 화물 영업만으로 연장 개통되었다.[6]

1978년 10월 2일에는 신마쓰도역 - 니시후나바시역 간이 여객영업 만으로 연장 개통되었다.[6]

1988년 12월 1일에는 게이요선과 직통 운전을 개시했다.[6]

1996년 12월 1일부터 모든 일반 열차가 8량 편성이 되었다.[30][21]

2010년 12월 4일에는 '무사시노호'가 정기 열차가 되고, '시모우사호' 운행이 개시되었다.

2012년 1월 22일에는 도쿄권 수송 관리 시스템(ATOS) 사용이 개시되었다.

2013년 4월 1일에는 후추혼마치역 - 신마쓰도역 간이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에서 JR 동일본에 양도되었다.

2018년 10월, 전선 개업 40주년을 맞이하여 기념 헤드마크를 부착한 열차가 운행되었다.[22]

2020년 10월 19일에는 205계 전동차가 운용을 종료했다.[36]

2023년 4월 1일에는 무사시노선 개업 50주년을 기념하여 헤드마크 부착 열차가 운행되었다.[40][41]

4. 운행 형태

무사시노선은 대부분 각역에 정차하지만, 일부 열차는 게이요선을 경유하여 도쿄역, 미나미후나바시역, 가이힌마쿠하리역까지 운행한다. 2012년 10월에는 게이요선의 잦은 운행 지연 및 중단을 줄이기 위해 방풍 울타리가 정비되었다.[48]

게이요선에서 사고, 폭우, 낙뢰, 강풍 등으로 문제가 발생하면, 게이요선과의 직통 운행을 중지하고 니시후나바시역에서 회차 운행한다.

4. 1. 주요 운행 계통

무사시노선의 대부분의 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하는 각역정차 열차이다. 일부 열차는 게이요선을 경유하여 니시후나바시역을 지나 도쿄역, 미나미후나바시역 또는 가이힌마쿠하리역까지 운행한다.

다른 운행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무사시노''': 후추혼마치역/하치오지역과 사이타마현 오미야역 사이를 운행하는 열차
  • '''시모사''': 사이타마현 오미야역과 니시후나바시역/가이힌마쿠하리역 사이를 운행하는 열차
  • '''홀리데이 가이소쿠 가마쿠라''': 미나미고시가야역과 가마쿠라역 사이를 운행하는 계절 운행 열차
  • '''부라리 가마쿠라''' 및 '''요코하마 베이 에어리어''': 이와키역(후쿠시마현)과 가마쿠라역 사이를 운행하는 계절 운행 열차
  • '''부라리 타카오 산사쿠''': 히타치역과 도쿄도 타카오역 사이를 운행하는 계절 운행 열차


무사시노선 운행도(시모우사, 무사시노 서비스 포함)


정기 열차는 “각역정차”와 “무사시노호”, “시모우사호”가 운행되고 있다. 무사시노선 내에서만 운행되는 열차는 적고, 니시후나바시역에서 게이요선으로 직통하는 열차가 많다. 여객 안내 상으로는 게이요선의 니시후나바시-이치카와시오하마-도쿄역, 니시후나바시-미나미후나바시-신슈시노-가이힌마쿠하리 구간도 함께 무사시노선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낮 시간대는 1시간에 6회 운행의 패턴다이어가 되어 있으며, 도쿄역 발착과 미나미후나바시역 발착이 번갈아 운행되고 있다. 아침저녁에는 신슈시노역·가이힌마쿠하리역 발착의 계통이 있다.

야간체류를 위한 히가시토코자와역·미나미코시가야역 발착 열차가 아침저녁에 설정되어 있다. 2015년 3월 16일부터는 평일 아침에 기카와미나미발 니시후나바시행, 2018년 3월 17일부터는 평일 아침에 기카와미나미발 도쿄역행이 운행되고 있다.[46]

낮 시간대의 운행 편수는 2002년 12월 1일부터 2013년 3월 15일까지는 1시간당 평일 5회, 토·휴일 6회로 차이가 있었지만, 2013년 3월 16일 개정으로 당선 내에서의 1시간당 운행 편수가 평일·토요일·휴일 모두 6회로 통일되었다.[47]

게이요선의 도쿄역 승강장에 정차한 무사시노선 열차(2024년 1월 5일 도쿄역)


2013년 3월 15일까지 도쿄역 직통 열차는 '''쾌속'''으로 운행되었다. 이 운행 형태는 게이요선의 신키바역까지의 임시 개업부터 실시되어, 가사이린카이코엔역을 통과했다. 통과 운전은 게이요선 내에서만 실시하고, 무사시노선 내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했다.

2010년 3월 개정으로 낮 시간대 1시간당 배차 간격이 2편에서 3편으로 증편되었으며,[50] 그 후에는 낮 시간대는 1시간에 3편, 아침저녁 시간대는 3~5편 운행되었다.

2013년 3월 16일의 다이야 개정으로 도쿄역 직통 열차는 게이요선 내를 포함하여 모든 역에 정차하는 것으로 통일되었다.[51]

2010년 12월 4일 이후 「무사시노호(むさしの号)」 운행 편수 (평일/휴일)
rowspan="2" |오미야(大宮)오미야(大宮)
하치오지(八王子)후추혼마치(府中本町)발하치오지(八王子)
아침1 / 22 / 13 / 31 / 1
저녁 - 밤1 / 10 / 01 / 12 / 2
2 / 32 / 14 / 43 / 3



2010년 12월 4일 시각표 개정으로 「무사시노호(むさしの号)」를 정기 열차로 전환하는 동시에, 니시후나바시역 방면과 오미야역을 잇는 직통 열차 「시모우사호(しもうさ号)」가 신설되었다.[53] 차량은 각역정차와 같은 209계·E231계가 사용되고 있다.

1988년 게이요선 신키바역~니시후나바시역 구간 개업 이후, 본 노선의 대부분 열차는 게이요선과 직통 운행을 하고 있지만, 아침저녁에는 니시후나바시행이 설정되어 있다.

4. 2. 임시 열차

5. 차량

現在使用車両일본어

여객 열차에는 아래의 전동차일본어가 사용된다. 차체에는 주황색과 갈색 띠를 두르고 있어 게이요선일본어 전동차 등 다른 계통의 전동차와 구별된다.

; E231계 0번대・900번대일본어

: 게이요 차량센터일본어 소속.

: 야마노테선일본어에 JR 동일본 E235계 전동차|E235계일본어 도입에 따라 여유분이 된 JR 동일본 E231계 전동차#500번대|E231계 500번대일본어가 주오·소부 완행선일본어으로 전용되고, 그에 따라 생긴 미타카 차량센터일본어의 차량을 전용한 것이다.[59][60] 단, MU22편성만 마쓰도 차량센터일본어에서 전용된 차량이다.[61]

: 2017년 8월 19일에 아키타 종합 차량센터일본어에서 개최된 「아키타 철도 페어 in 도자키」에서 개조 중인 차량이 전시되었고,[62] 기존의 E231계와 달리, 주오·소부 완행선 운용 시 전체가 노란색이었던 승무원 출입문 도장이 변경되었고, 측면의 띠가 승무원 출입문까지 연장되었다. 또한, 선두 차량 전면의 FRP 부분은 공장 전시 당시에는 흰색이었지만, 영업 운전 시에는 원래의 은색으로 돌아왔다.

: 0번대는 같은 해 9월 14일에 전입[63]되어 11월 1일부터 운용을 시작[64]했고, 그 후, 마쓰도 차량센터 소속 차량이 8량 편성화 및 전용 개조(시공소일본어: 나가노 종합 차량센터일본어) 후 전입[61]된 2020년 10월 6일까지 순차적으로 투입되었다.

: 시제 편성인 900번대는 8량 편성화 및 전용 개조(시공소일본어: 오미야 종합 차량센터일본어)[65] 후 2020년 7월 9일에 전입했다.[66]

; 209계 500번대일본어

: 게이요 차량센터일본어 소속.

: 예전에 주오·소부 완행선에서 사용되었던 전동차로, 게이힌토호쿠선일본어→게이요선일본어으로 전속된 후 게이요선에 JR 동일본 E233계 전동차|E233계일본어 5000번대 도입에 따라 8량 편성화된 그룹과, 주오·소부 완행선에 E231계 500번대 도입에 따라 직접 전속·8량 편성화된 그룹이 있다.

: 전자는 2010년 9월 17일부터 2011년 3월 28일까지 전입하여 2010년 12월 4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67] 후자는 2018년 3월 28일부터 2019년 6월 26일까지 전입했다.[68]

過去の使用車両일본어

; 국철 101계 전차|101계일본어

: 6량 편성. 긴 터널이 있기 때문에, 0번대 초기차를 지하철 등 여객차#A기준|A기준일본어에 맞춰 개조한 국철 101계 전차#101계 1000번대|1000번대일본어가 사용되었다.

; 국철 103계 전동차|103계일본어

: 게이요 차량센터일본어 소속(2004년 3월까지 도요다 전차구일본어). 처음에는 6량 편성으로 사용되었고, 나중에 8량 편성이 되었다. 2005년 12월 다이어 개정으로 205계로 통일됨에 따라 2005년 12월 8일을 마지막으로 당선에서의 운용을 종료했다.[69] 게이요 차량센터로 이관되기 직전에 폐차된 편성도 있다. 제어 전동차일본어의 쿠모하 103형은 자동열차정지장치|ATS-P일본어 장비 시, 기기 설치를 위해 선두부 상면 왼쪽의 운행 번호 표시창이 매립되었다. 6량 편성과 8량 편성이 혼재하던 시기를 중심으로, 선두차의 전면 운전대 창문 왼쪽 아래에 「8CARS」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었다. 당선에서 사용되었던 103계는 인도네시아의 KRL 코뮤터라인|KRL 자보타벡일본어에 매각되어, 동소자와 도쿄행의 행선막을 내건 채 운행하고 있었다.

; 국철 115계 전동차|115계일본어

: 6량 편성의 근교형 차량|근교형 전차일본어. 쾌속 「무사시노선 (열차)|무사시노호일본어」・「무사시노선 (열차)|홀리데이 쾌속 무사시노호일본어」에 사용되었다. 도요다 차량센터일본어 소속 차량이 사용되었지만, 충당 편성이 입고 중인 경우 등은 나가노 종합차량센터일본어 소속 편성이나, 특급형 차량인 국철 183계 전동차|183계일본어를 사용하여 운전되는 경우가 있었다. 2010년 12월 다이어 개정으로 「무사시노선 (열차)|무사시노호일본어」가 통근형 전차로의 운전이 되었기 때문에 무사시노선에서 철수했다.

; 국철 201계 전동차|201계일본어

: 6량 편성으로 사용되었고, 주오선 쾌속|주오선 쾌속 전차일본어와 일시적으로 공통 운용이었지만, 무사시노선 내 열차의 8량화에 앞서 1996년 10월 20일을 마지막으로 당선에서의 운용을 종료했다.[70]

; 국철 205계 전동차|205계일본어(국철 205계 전동차#0번대 양산차|0번대일본어・국철 205계 전동차#무사시노선용(5000번대)|5000번대일본어)

: 2004년 3월까지 도요다 차량센터|도요다 전차구일본어, 2020년 10월까지 게이요 차량센터일본어 소속.

: 0번대는 당선 내에서 최고 95km/h의 고속 운전이나 게이요선 지하 구간 내의 경사에서의 기동 조건의 관계로, MT비가 6M2T로 전동차일본어 비율이 높은 편성이 되어 있다. 신제 배치된 205계는 전면 형상이 게이요선에 투입된 것(게이요 차량센터|일명 멜헨차일본어)과 같다.

: 2002년 12월 1일부터 5000번대가 투입되어[71], 2005년 12월까지 순차적으로 국철 103계 전동차|103계일본어를 대체했다. 이것은 205계의 야마노테선 등으로부터의 전용에 있어서 전동차가 부족한 것으로부터, 0번대의 전동차를 가변전압가변주파수제어|VVVF 인버터 제어일본어로 개조한 차량으로, 성능의 향상에 의해 4M4T로 전동차 비율이 종래차에 비해 낮게 억제되어 있다. 차량 번호일본어가 개번되고 있는 것은 전동차뿐으로, 제어차일본어・부수차일본어는 0번대 그대로이다. 1991년에 신제 배치된 6M2T 편성의 게이요 차량센터 M61 편성에도 편성 중의 전동차 1유닛을 부수차 2량과 교환한 위에서 동일한 개조가 실시되었다.

: 무사시노선용의 205계는 종래, 도요다 전차구의 소속이었지만, 2004년 3월부터 전 차량이 게이요 차량센터의 소속이 되었다. 단, 반수 이상이 히가시토코자와 전차구일본어를 거점으로 운용되고 있다.

: 대부분은 야마노테선으로부터의 전속차이지만, 주오·소부 완행선이나 부수차만 사이쿄선일본어으로부터의 전속차도 있어, 도어 창문이 작은 소창차와 도어 창문이 큰 대창차의 혼결 편성도 존재한다. 소창차는 야마노테선으로부터의 전속차이다.

: 2010년 8월에는 게이요선 멜헨차 케요 8편성으로부터 부수차를 뺀 8량 편성이, 케요 81편성이 되어, 게이요색 그대로 시운전, 승무원 훈련에 사용되었다.[72]

: 2015년 2월에는 나카하라 전차구일본어로부터 대창차 3편성이 2편성으로 재편성되어 전입해 와서(케요 M51편성과 케요 M52편성), 싱글암 팬터차가 되고 있다.[73]

: 야마노테선으로의 JR 동일본 E235계 전동차|E235계일본어 투입으로 여유가 된, 주오·소부선 각역정차용의 E231계 0번대・900번대와 209계 500번대의 전속에 의해, 2020년 10월 19일을 가지고 영업 운전을 종료했다.[36] 전 편성이 KRL 자보타벡에 양도되었다.

205계 0번대
(2018년 2월 12일 - 간)


205계 5000번대
(2019년 9월 15일 - 간)


화물 열차의 견인기에는, 전기 기관차일본어는 국철 EF65형 전기 기관차|EF65형일본어, 국철 EF66형 전기 기관차|EF66형일본어, JR 화물 EH200형 전기 기관차|EH200형일본어, JR 화물 EF210형 전기 기관차|EF210형일본어, JR 화물 EH500형 전기 기관차|EH500형일본어이, 디젤 기관차일본어는 JR 화물 DD200형 디젤 기관차|DD200형일본어이 사용된다.

EF210형
(2021년 6월 10일 - 간)


EH500형
(2020년 12월 14일 - 간)

6. 역 목록

영업 거리누계
영업 거리접속 노선소재지후추혼마치
부터쓰루미
부터JM 35후추혼마치역-0.028.8동일본여객철도: 난부선 (JN 20)rowspan="5"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후추시JM 34키타후추역1.71.730.5JM 33니시코쿠분지역2.23.932.7동일본여객철도: 주오선 (JC 17)고쿠분지시JM 32신코다이라역3.57.436.2동일본여객철도: 무사시노선 고치츠 지선고다이라시JM 31신아키쓰역5.613.041.8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선아키쓰역(SI16)[113]히가시무라마야마시JM 30히가시토코로자와역2.715.744.5rowspan="16"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 letter-spacing:0.5em;"|도코로자와시-니자 화물 터미널 (화물)3.719.448.2니자시JM 29니자역0.319.748.5JM 28키타아사카역3.122.851.6도부 철도: 도조 본선아사카다이역(TJ-13)[114]아사카시JM 27니시우라와역5.027.856.6동일본여객철도: 무사시노선 오미야 지선rowspan="4"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사쿠라구JM 26무사시우라와역2.029.858.6동일본여객철도: 사이쿄선 (JA 21), 무사시노선 니시우라와 지선미나미구JM 25미나미우라와역1.931.760.5동일본여객철도: 게이힌토호쿠선 (JK 42)JM 24히가시우라와역3.735.464.2미도리구JM 23히가시카와구치역3.839.268.0사이타마 고속 철도: 사이타마 고속 철도선(사이타마 스타디움선) (SR25)가와구치시JM 22미나미코시가야역4.343.572.3도부 철도: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신코시가야역(TS-20)[114]고시가야시-고시가야 화물 터미널 (화물)0.443.972.7JM 21고시가야 레이크타운역2.446.375.1JM 20요시카와역1.948.277.0요시카와시JM 19요시카와미나미역1.649.878.6JM 18신미사토역1.551.380.1미사토시JM 17미사토역2.153.482.2JM 16미나미나가레야마역2.055.484.2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TX10), 동일본여객철도: 무사시노선 키타코가네 지선・무사시노선 마바시 지선rowspan="7" style="width:1em; letter-spacing:0.5em; text-align:center;"|나가레야마시JM 15신마쓰도역2.157.586.3동일본여객철도: 조반선(각역정차)(JL 25)마쓰도시JM 14신야바시라역4.161.690.4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선야바시라역(SL05)[115]JM 13히가시마쓰도역2.464.092.8호쿠소 철도: 호쿠소선 (HS05), 게이세이 전철: 나리타 공항선(나리타 스카이액세스선)JM 12이치카와오노역1.965.994.7이치카와시JM 11후나바시호텐역3.068.997.7후나바시시JM 10니시후나바시역2.971.8100.6동일본여객철도: 게이요선도쿄역 및 카이힌마쿠하리역까지 직통 운행)・소부선(각역정차)(JB 30), 도쿄 지하철: 도자이선 (T-23), 토요 고속 철도: 토요 고속선 (TR01)



'''화물선 (쓰루미 - 후추혼마치)'''

武蔵野南線|무사시노난선일본어으로 통칭되는 쓰루미역 - 후추혼마치역 구간은 화물 전용이다.

역 이름일본어 이름역간 거리 (km)누적 거리 (km)후추혼마치 기점
누적 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쓰루미鶴見일본어0.00.0-28.8도카이도 본선, 게이힌 도호쿠 선, 쓰루미 선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쓰루미구
신쓰루미新鶴見일본어3.93.9-24.9rowspan="2" |
가지가야 화물 터미널梶ヶ谷貨物ターミナル일본어8.812.7-16.1가와사키시미야마에구
후추혼마치府中本町일본어16.128.80.0난부 선도쿄도후추시



무사시노난선 건설 비용은 약 540억이다.[85]

'''지선'''

무사시노선에는 다음과 같은 지선들이 있다.



역명·신호장명영업거리접속 노선소재지
구니타치 지선 (JR화물만 영업거리 설정. 여객 영업은 니시코쿠분지역 경유 취급)
신코다이라역0.0무사시노선 (본선 니시후나바시역 방면)도쿄도고다이라시
구니타치역5.0주오 본선 (하치오지역 방면)구니타치시
오미야 지선 (여객 운임·요금은 원칙적으로 미나미우라와역 경유로 계산)
니시우라와역0.0무사시노선 (본선 쓰루미역 방면)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사쿠라구
(베쓰쇼 신호장)1.3무사시노선 니시우라와 지선미나미구
요노역4.9도호쿠 본선 (도호쿠 화물선 오미야역 방면)우라와구
니시우라와 지선 (영업거리 설정 없음)
무사시우라와역-무사시노선 (본선 니시후나바시역 방면)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미나미구
(베쓰쇼 신호장)-무사시노선 오미야 지선
기타코가네 지선 (JR화물만 영업거리 설정. 여객 영업은 신마쓰도역 경유 취급)
미나미나가레야마역0.0무사시노선 (본선 쓰루미역 방면)지바현나가레야마시
기타코가네역2.9조반선 (도리데역 방면)마쓰도시
마바시 지선 (JR화물만 영업거리 설정. 여객 영업은 신마쓰도역 경유 취급)
미나미나가레야마역0.0무사시노선 (본선 쓰루미역 방면)지바현나가레야마시
마바시역3.7조반선 (미카와시마역 방면)마쓰도시


6. 1. 여객선 (후추혼마치 - 니시후나바시)



모든 동쪽(니시후나바시 방면)으로 가는 여객 열차는 후추혼마치역에서 운행을 시작한다.

정기 열차는 “각역정차”와 “무사시노호”, “시모우사호”가 운행되고 있다.

무사시노선 내에서만 운행되는 열차는 적고, 니시후나바시역에서 게이요선으로 직통하는 열차가 많다. 여객 안내 상으로는 게이요선의 니시후나바시 - 이치카와시오하마 - 도쿄역 구간, 니시후나바시 - 미나미후나바시 - 신슈시노 - 카이힌마쿠하리 구간도 함께 무사시노선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이는 게이요선으로 직통한 후에도 마찬가지이며, 게이요선 내에서의 잘못된 승차를 방지하는 동시에, 10량 편성인 게이요선과 구별하여 8량 편성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낮 시간대는 1시간에 6회 운행하는 패턴다이어가 되어 있으며, 도쿄역 발착과 미나미후나바시역 발착이 번갈아 운행되고 있다. 아침저녁에는 신슈시노역·카이힌마쿠하리역 발착 계통이 있다.

야간체류를 위한 히가시토코로자와역·미나미코시가야역 발착 열차가 아침저녁에 설정되어 있다. 2015년 3월 16일부터는 평일 아침에 요시카와미나미 발 니시후나바시 행, 2018년 3월 17일부터는 평일 아침에 요시카와미나미 발 도쿄 행이 운행되고 있다.[46]

낮 시간대의 운행 편수는 2002년 12월 1일부터 2013년 3월 15일까지는 1시간당 평일 5회, 토·휴일 6회로 차이가 있었지만, 2013년 3월 16일 개정으로 당선 내에서의 1시간당 운행 편수가 평일·토요일·휴일 모두 6회로 통일되었다.[47]

게이요선에서 사고·트러블이나, 폭우·낙뢰·강풍 등의 수송 장애 시에는 직통을 중지하고, 니시후나바시역에서 회차 운전으로 변경된다. 게이요선의 노선은 해안을 따라 거의 전선이 고가선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해풍의 영향을 받아 지연·운휴가 자주 발생하며[48], 게이요선과의 직통 운전을 중지하는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2012년 10월에 게이요선에서 방풍 울타리 정비가 완료[48]됨으로써, 게이요선 내의 수송 장애와 직통 운전 중지 횟수가 감소했다.

2013년 3월 15일까지 도쿄역 직통 열차는 '''쾌속'''으로 운행되었다. 이 운행 형태는 게이요선의 신키바역까지 임시 개업했을 때부터 실시되어, 가사이린카이코엔역을 통과했다. 통과 운전은 게이요선 내에서만 실시하고, 무사시노선 내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했다. 2002년 12월 1일 다이야 개정까지는 평일과 토·휴일의 게이요선 내 정차역이 달랐으며, 토·휴일의 쾌속은 '무사시노 드림'이라는 애칭이 붙었지만, 이 개정으로 애칭이 폐지되었다. 도쿄역 - 소가 방면을 잇는 게이요선 쾌속과 정차역이 다르기 때문에, 게이요선 내에서는 이후 '무사시노 쾌속'으로 안내되었다.

2010년 3월 개정으로 낮 시간대 1시간당 배차 간격이 2편에서 3편으로 증편되었으며[50], 그 후에는 낮 시간대는 1시간에 3편, 아침저녁 시간대는 3~5편 운행되었다. 일부 열차는 게이요선의 신우라야스역에서, 토요일·휴일에는 가사이린카이코엔역에서 각각 특급 '와카시오' 또는 '사자나미'의 통과 대기를 했다.

2013년 3월 16일 다이야 개정으로 도쿄역 직통 열차는 게이요선 내를 포함하여 모든 역에 정차하는 것으로 통일되었다.[51]

1988년 게이요선 신키바역~니시후나바시역 구간 개업 이후, 본 노선의 대부분 열차는 게이요선과 직통 운행을 하고 있지만, 아침저녁에는 니시후나바시행이 설정되어 있다.

쓰루미역이 기점이므로, 후추혼마치행은 '상행' 열차가 되고, 니시후나바시 방면행은 '하행' 열차로 운행된다. 열차번호의 알파벳은 E이다.

무사시노호·시모우사호(오미야역 - 무사시우라와역 간)의 열차번호의 알파벳은 M이다.

역 번호역 이름역간
영업 거리
누계
영업 거리
접속 노선소재지
후추혼마치
부터
쓰루미
부터
JM 35후추혼마치역-0.028.8동일본여객철도: 남부선 (JN 20)rowspan="5"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후추시
JM 34키타후추역1.71.730.5
JM 33니시코쿠분지역2.23.932.7동일본여객철도: 주오선 (JC 17)고쿠분지시
JM 32신코다이라역3.57.436.2동일본여객철도: 무사시노선 고치츠 지선코다이라시
JM 31신아키쓰역5.613.041.8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선아키쓰역(SI16)[113]히가시무라마야마시
JM 30히가시토코로자와역2.715.744.5rowspan="16"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 letter-spacing:0.5em;"|토코로자와시
-(화물)신자화물터미널역3.719.448.2신자시
JM 29신자역0.319.748.5
JM 28키타아사카역3.122.851.6도부 철도: 도죠 본선 ⇒아사카다이역(TJ-13)[114]아사카시
JM 27니시우라와역5.027.856.6동일본여객철도: 무사시노선 오미야 지선rowspan="4"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사쿠라구
JM 26무사시우라와역2.029.858.6동일본여객철도: 사이쿄선 (JA 21)・무사시노선 니시우라와 지선미나미구
JM 25미나미우라와역1.931.760.5동일본여객철도: 게이힌토호쿠선 (JK 42)
JM 24히가시우라와역3.735.464.2미도리구
JM 23히가시카와구치역3.839.268.0사이타마 고속 철도: 사이타마 고속 철도선(사이타마 스타디움선) (SR25)카와구치시
JM 22미나미코시가야역4.343.572.3도부 철도: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신코시가야역(TS-20)[114]코시가야시
-(화물)코시가야화물터미널역0.443.972.7
JM 21코시가야 레이크타운역2.446.375.1
JM 20요시카와역1.948.277.0요시카와시
JM 19요시카와미나미역1.649.878.6
JM 18신미사토역1.551.380.1미사토시
JM 17미사토역2.153.482.2
JM 16미나미나가레야마역2.055.484.2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TX10)
동일본여객철도: 무사시노선 키타코가네 지선・무사시노선 마바시 지선
rowspan="7" style="width:1em; letter-spacing:0.5em; text-align:center;"|나가레야마시
JM 15신마쓰도역2.157.586.3동일본여객철도: 조반선(각역정차)(JL 25)마쓰도시
JM 14신야바시라역4.161.690.4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선야바시라역(SL05)[115]
JM 13히가시마쓰도역2.464.092.8호쿠소 철도: 호쿠소선 (HS05)
경성 전철: 나리타 공항선(나리타 스카이액세스선)
JM 12이치카와오노역1.965.994.7이치카와시
JM 11후나바시호텐역3.068.997.7후나바시시
JM 10니시후나바시역2.971.8100.6동일본여객철도: 경요선(도쿄역 및 카이힌마쿠하리역까지 직통 운행)・소부선(각역정차)(JB 30)
도쿄 지하철: 도자이선 (T-23)
토요 고속 철도: 토요 고속선 (TR01)

6. 2. 화물선 (쓰루미 - 후추혼마치)

누적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쓰루미鶴見일본어0.00.0-28.8도카이도 본선, 게이힌 도호쿠 선, 쓰루미 선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쓰루미구신쓰루미新鶴見일본어3.93.9-24.9rowspan="2" |가지가야 화물 터미널梶ヶ谷貨物ターミナル일본어8.812.7-16.1가와사키시미야마에구후추혼마치府中本町일본어16.128.80.0난부 선도쿄도후추시



무사시노난선(쓰루미 - 후추혼마치 구간) 건설에 소요된 비용은 약 540억이다.[85]

무사시노난선의 고스기 터널, 이쿠타 터널은 장대 터널 구조이며,[83] 안전 설비로 터널 장애 통지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83] 이는 사고나 화재 발생 시 300~500m 간격으로 설치된 압축 버튼을 조작하여[83] 특수 신호 발광기, 경보 표시기 및 정지 신호를 표시함으로써 주변 열차의 진입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83]

6. 3. 지선

사이타마시사쿠라구(베쓰쇼 신호장)1.3무사시노선 니시우라와 지선미나미구요노역4.9도호쿠 본선 (도호쿠 화물선 오미야역 방면)우라와구니시우라와 지선 (영업거리 설정 없음)무사시우라와역-무사시노선 (본선 니시후나바시역 방면)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미나미구(베쓰쇼 신호장)-무사시노선 오미야 지선기타코가네 지선 (JR화물만 영업거리 설정. 여객 영업은 신마쓰도역 경유 취급)미나미나가레야마역0.0무사시노선 (본선 쓰루미역 방면)지바현나가레야마시기타코가네역2.9조반선 (도리데역 방면)마쓰도시마바시 지선 (JR화물만 영업거리 설정. 여객 영업은 신마쓰도역 경유 취급)미나미나가레야마역0.0무사시노선 (본선 쓰루미역 방면)지바현나가레야마시마바시역3.7조반선 (미카와시마역 방면)마쓰도시


7. 연선 개황

무사시노선은 일본국유철도(국철)가 건설한 화물선이자 여객선으로, 수도권 외곽을 순환하는 노선이다. 도쿄 도심부에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JR과 사철 노선들과의 교차점에 환승역이 설치되어 있다. 여객 영업의 기점은 후추혼마치역이지만, 후추혼마치역~쓰루미역 구간은 현재도 화물 전용 노선으로 기능하며, "무사시노 남선"이라고 불린다.[13]

본 노선은 도카이도 본선 방면과 도호쿠 본선 방면을 잇는 야마노테 화물선을 우회하는 화물선으로 계획되었다. 개업 당시에는 주로 화물 열차가 운행되었지만, 연선 주택지화에 따른 인구 증가로 여객 열차 운행이 증가했다. 니시우라와역에서는 요노역 방면 지선이 직진하고, 무사시우라와역 방면 본선이 분기하는 선형이다. 무사시노선이라는 이름과 달리, 도쿄도 무사시노시는 경유하지 않는다.

여객 수송은 도쿄 지역 전차 특정 구간의 한 노선이다. 라인 컬러는 '''오렌지 버밀리온'''이다. 본 노선은 직통 운전을 하는 게이요선, 후추혼마치역에서 접속하는 난부선, 그 서쪽을 지나는 요코하마선과 함께 도쿄 도심과 교외를 잇는 "도쿄 메가 루프"의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53]

화물 수송은 도카이도 화물선과 도호쿠 화물선을 잇고, 단락선을 경유하여 주오 본선, 도호쿠 본선, 조반선과도 접속하며, 니시후나바시역에서 게이요선을 경유하여 지바 화물역과도 직결되어 수도권 철도 화물 수송의 대동맥이 되고 있다. 노선 내에 가지가야 화물 터미널역, 신자 화물 터미널역, 고시가야 화물 터미널역의 3개 화물역이 있다.

정기 여객 열차는 “각역정차”와 “무사시노호”, “시모우사호”가 운행된다. 무사시노선 내에서만 운행되는 열차는 적고, 니시후나바시역에서 게이요선으로 직통하는 열차가 많다. 낮 시간대는 1시간에 6회 운행되며, 도쿄역 발착과 미나미후나바시역 발착이 번갈아 운행된다.

게이요선에서의 사고, 폭우, 강풍 등으로 인한 수송 장애 시에는 직통을 중지하고 니시후나바시역에서 회차 운전으로 변경된다. 2012년 10월 게이요선 방풍 울타리 정비 완료[48] 이후, 게이요선 내 수송 장애와 직통 운전 중지 횟수가 감소했다.

본 노선을 통해 매일 많은 화물열차가 수도권을 종단하여 화물 운송을 하고 있다. 노선 내에 코시가야, 신자, 카지가야의 각 화물 터미널을 갖추고 있으며, 도카이도 본선 방면과 도호쿠 본선 방면을 잇는 화물 수송의 대동맥이다.

과거에는 신아키츠역 부근에서 세이부선 소자와역 구간에도 화물열차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세이부 철도 차량의 갑종 수송에만 사용되고 있다. 과거 최신식 자동화 설비를 갖춘 무사시노 조차장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1984년 야드 집결형 화물 수송 폐지에 따라 기능을 상실하고 1986년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전 노선이 1970년대에 개업하였고, 건널목이 없으며 곡선 반지름도 크게 설계되어 있다. 화물선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에, 후추혼마치역과 니시우라와역에서는 포인트 통과 시 여객 열차 쪽에 속도 제한이 걸린다.

환승역 부근을 제외하면, 무사시노선의 연선은 도쿄의 베드타운이 많고, 도심으로 향하는 다른 노선과 환승하는 이용객이 많다. 여객역 전 26역 중 14역이 환승역이다. 본 노선은 화물 노선으로 계획된 경위도 있어, 환승역은 예로부터의 행정이나 상업의 중심지를 피해 건설되었다.[75]

연선 개발이 진행되어 이용객이 증가함에 따라, 1985년에 개업한 사이쿄선에서는 개업 당시부터 무사시우라와역에 전 열차가 정차하고, 기존 노선에서도 1997년에 도부이세사키선의 준급이 신코시가야역에, 1998년에 도부 도죠선의 급행이 아사카다이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2005년에 개업한 수도권신도시철도쓰쿠바익스프레스에서도 개업 당시부터 미나미나가레야마역에 전 열차가 정차하고, 2009년에 호쿠소철도호쿠소선의 특급과 급행이 히가시마쓰도역에 정차하게 되어, 이러한 각 노선과는 환승 시 수송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JR의 중장거리 전차가 접속하는 각 역[76]은 중장거리 전차의 주행선에 승강장이 없기 때문에 현재도 전 열차가 통과한다.[77][78]

게이요선 직통 구간을 포함한 연선에 있는 공영 경기장으로 편리한 역이 많기 때문에[79], 「도박선」, 「도박라인」이라는 별칭도 있다.[80][81]

쓰루미역을 출발하면 쓰루미가와를 건너 동해도화물선과 분기하여 동해도본선을 넘어 왼쪽으로 곡선을 그린다. 요코스카선 선로와 나란히 북쪽으로 진행한다. 오른쪽에서 난부선 지선(시리테 단락선)이 합류하는 신쓰루미신호장에는 인근에 요코스카선 신가와사키역이 있다. 신쓰루미신호장을 나오면 무사시노선은 고스기터널(연장 5382m)[83]에 들어가 곡선을 그리며 서쪽으로 향한다. 무사시고스기역 지하를 통과하여 제3경함도로와 교차하여 고스기터널을 나와 가지가야화물터미널역에 이른다. 국도 246호선을 지나면 다시 이쿠타터널(연장 10359m·무사시노선 최장 터널)[83][84]에 들어가 북서쪽으로 향하며, 도큐 다엔도시선 미야자키다이역 부근·동명고속도로 도쿄요금소·오다큐 오다와라선 이쿠타역 부근·일본여자대학 서이쿠타캠퍼스·요미우리랜드 아래를 지나 가나가와현에서 도쿄도로 들어간다. 후추혼마치역 직전까지 거의 터널 구간이지만, 게이오 사가미하라선 이나기역 부근이나 도도 19호와의 교차 지점에서만 지상을 통과한다. 터널 구간이 끝나면 남부선과 나란히 다마가와를 건너 중앙자동차도를 지나면 남부선 상하선에 끼여 도쿄경마장 옆을 지나 후추혼마치역에 이른다.

이 구간 중 후추혼마치역 부근~키타아사카역 부근에서는 노선명의 유래가 된 무사시노 대지 위를 주행한다.

후추혼마치역부터 여객 영업 구간이 시작된다. 후추혼마치역을 출발하면 남부선이 왼쪽으로 커브하여 멀어지고, 무사시노선은 바로 터널로 들어간다. 게이오선, 국도 20호선(고슈 가도)과 교차하여 터널을 빠져나오면 키타후추역이다. 역 서쪽에는 도시바 후추 사업소와 후추 인텔리전트 파크, 동쪽에는 후추 교도소가 있다. 후추 가도를 따라 북상하면 주오 본선과의 교차점에 있는 니시코쿠분지역이 있다. 세이부 고쿠분지선과의 교차 지점부터 코히라 터널에 들어가고, 그 터널 안에서 고쿠리츠역에서부터 무사시노호가 주행하는 주오 본선과의 단락선(고쿠리츠 지선)이 합류한다. 2개의 긴 터널의 짧은 간격 사이에 신코히라역이 있으며 세이부 다마코선오메가도역에 인접해 있다(환승 안내는 없다). 이어서 여객선 내에서 가장 긴 히가시무라야마 터널에 들어가, 세이부 하이지마선・세이부 다마코선・세이부 신주쿠선과 차례로 교차한다. 터널에서 절토로 나오면 JR 동일본 하치오지 종합 훈련 센터의 선로군 옆을 지나 신아키츠역으로 간다. 동역은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아키츠역에 인접해 있으며(환승 안내 있음), 무사시노선에서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의 단락선이 분기하고 있다. 여기부터는 지상을 달리며, 역간에는 연선에 밭과 숲이 눈에 띈다.

사이타마현에 들어와 처음 만나는 역인 히가시토코자와역에서는 차량 기지인 히가시토코자와 전차구로 인입선이 분기하고 있다. 이 부근부터 선로는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야나세가와를 건너 다시 도쿄도에 들어가, 간에츠 자동차도를 넘어 키요세시아사히가오카 6초메 부근까지 도쿄도 내를 달린다. 다시 사이타마현에 들어서면 바로 본선 왼쪽에 신자 화물터미널역이 펼쳐지고, 국도 254호선(가와고에 가도)과 교차하여 여객역인 신자역으로 향한다. 약간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공장 지대를 지나면, 도부 도죠 본선아사카다이역과의 접속역인 키타아사카역이다. 도쿄도 상수도국아사카 정수장 옆을 지나 신카간가와를 건너, 아라카와 교량으로 아라카와를 건너면 여객선 연선에서 유일한 정령지정도시사이타마시에 들어가, 수도고속 사이타마오미야선・신오미야 바이패스(국도 17호선)과 교차하여 바로 니시우라와역에 이른다. 동역에서는 도호쿠 본선으로의 단락선(오미야 지선)이 분기하고, 무사시노호는 동선을 주행하여 오미야역으로 향한다. 또한, 본선이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과 마찬가지로, 오미야역에서부터 시모우사호가 주행하는 도호쿠 본선의 단락선(니시우라와 지선)이 합류하고, 도호쿠 신칸센사이쿄선의 고가선을 지나 사이쿄선과의 접속역인 무사시우라와역으로 간다. 이 부근 연선은 거의 주택가이다. 국도 17호선(나카센도)을 넘어 터널로 오미야 대지를 빠져나오면, 도호쿠 본선(쇼난 신주쿠 라인, 우츠노미야선・다카사키선, 게이힌 도호쿠선)과의 교차 지점에 있는 미나미우라와역이다. 단, 동역에서는 게이힌 도호쿠선만 환승 가능하다(다른 노선에는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동역은 통과한다).

미나미우라와역을 출발하면 도랑을 따라 동우라와역으로 향한다. 광대한 미누마 농지의 농촌 지역을 지나 도호쿠 자동차도를 넘어 사이타마시를 빠져나가면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사이타마 스타디움선)이 연결되는 히가시카와구치역에 도착한다. 이어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도부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과 교차하는 미나미코시가야역에 이른다. 미나미코시가야역을 출발하면 코시가야 화물터미널역이 왼쪽에 펼쳐지고, 주변에는 물류센터 창고들이 늘어서 있다. 다음은 코시가야 레이크타운역으로, 주변에는 이온 레이크타운을 비롯한 이온 그룹의 상업시설이 들어서 있다. 국도 4호선(히가시사이타마 도로)과 교차하여 나카가와를 건너면 요시카와역이다. 여기서부터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요시카와역을 지나면 오른쪽은 무사시노 차량기지의 옛터가 되지만, 요시카와미나미역과 신미사토역 부근의 상업시설 건설 등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조반 자동차도를 넘어 차량기지 옛터가 끝나면 미사토역(사이타마현)이다. 미사토역 다음에 에도가와를 건너 사이타마현에서 지바현으로 넘어간다. 지바현의 첫 번째 역인 미나미나가레야마역에서 지하역인 수도권 신도시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와 연결된다. 그 앞에서 조반선으로 가는 단락선(키타코가네 지선, 마바시 지선)이 분기한다. 마바시 지선과 류테쓰 류가사마선을 지나 조반선(조반 쾌속선, 조반 완행선)과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신마쓰도역에 도착한다. 신마쓰도역의 조반선 승강장은 완행선에만 있다. 또한 신마쓰도역 부근에는 류테쓰 류가사마선의 코쿠야역이 있다.

신마쓰도역을 출발하여 국도 6호선(미토 가도)과 교차하면 남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도랑에 들어가 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선과 연결되는 신야바시라역으로 간다. 도쿄도립 야바시라 묘원 서쪽을 지나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과 경성 나리타 공항선(나리타 스카이액세스선)이 연결되는 히가시마쓰도역이다. 이어서 농촌 지역을 지나 이치카와오오노역, 나카야마 경마장 최근역인 후나바시호텐역에 도착한다. 남남서쪽으로 방향을 바꿔 해군 무선 전신소 후나바시 송신소 옛터를 스치고 경성 본선을 건너 소부 본선(소부 쾌속선, 주오·소부 완행선)과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무사시노선의 종착역인 니시후나바시역에 이른다. 니시후나바시역에서도 소부선 쪽은 완행선에만 승강장이 있다.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과 토요하 고속철도 토요하 고속선이 연결된다. 니시후나바시역 이후는 게이요선이 되고, 도쿄역 방면과 미나미후나바시역 방면으로 선로가 분기하고 있다.

무사시노 남선은 교차하는 각 노선의 기존 역 근처를 통과하지만, 아주 적은 임시 열차 운행을 제외하면 여객화되어 있지 않다.

8. 향후 계획

마쓰도시지바현 신마쓰도역 - 신야하시라역 구간(마쓰도시 센다보리)에 센다보리역(가칭) 설치 계획을 세우고 있다.[117][118] 반면 사이타마현에서는 기타아사카역 - 니시우라와역 구간, 미나미우라와역 - 히가시우라와역 구간에 신역 설치를 구상하고 있으나, 현재는 진전이 없는 상태이다.[119][120]

그 외, 도쿄도 신코다이라역 - 신아키쓰역 구간에도 신역 설치 구상이 있으나,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121]

9. 데이터

2023년 기준 최대 혼잡 구간(동우라와 → 남우라와 간)의 혼잡률은 152%이다.[92] 2002년도 이전에는 해당 구간의 혼잡률이 210%를 넘어 사이타마현뿐만 아니라 수도권 철도 노선에서도 가장 혼잡한 구간 중 하나였다. 2012년까지 러시아워 열차 증편이 이루어졌고, 2020년까지 모든 차량이 광폭 차체로 교체되면서 혼잡이 완화되었다. 수송 인원은 2013년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2015년에는 혼잡률이 180% 아래로 떨어졌다.

무사시노선은 도쿄 외곽 순환선으로서 많은 환승 노선과 연결되어 단거리 이용자가 많아 러시아워의 혼잡 구간이 다양하다. 게이요선과 직결 운행하기 때문에 지바현 구간은 교외 노선으로서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

최근 혼잡률 추이(혼잡률은 동우라와 → 미나미우라와 구간 기준)는 다음과 같다.[94][95][96][97][98][99]

연도운행 편수(편)수송력(명)수송량(명)혼잡률(%)특기 사항
1973년43,3603,840114최혼잡 구간은 신코다이라 → 니시코쿠분지 구간
1979년43,3607,060210
1984년43,3609,260276신미사토역 개업 (1985년 3월 14일)
1985년65,04013,470267무사시우라와역 개업 (1985년 9월 30일)
최혼잡 구간 변경 (동우라와→남우라와)
1988년97,56016,780222게이요선 직통 운행 개시 (1988년 12월 1일)
1991년119,24023,900259
1998년1112,32027,180221히가시마쓰도역 개업 (1998년 3월 14일)
2000년1112,32027,830226사이타마 고속철도선 개업 (2001년 3월 28일)
2002년1213,44028,980216
2005년1314,56029,210201쓰쿠바 익스프레스선 개업 (2005년 8월 24일)
2007년1415,68029,680189고시가야 레이크타운역 개업 (2008년 3월 15일)
2011년1415,68029,320187요시카와미나미역 개업 (2012년 3월 17일)
2013년1516,80030,830184
2015년1516,80029,400175
2017년1516,80028,490170
2019년1416,57627,450166
2020년1416,57622,290134
2021년1416,57622,770137
2022년1416,57624,520148
2023년1416,57625,200152



각 연도별 평균 이용객 수 및 여객 운송 수입은 다음과 같다.

연도평균 이용객 수 (명/일)여객 운송 수입 (백만 엔)출처
1987년79,491 [100]
1992년114,463 [100]
1997년127,517 [100]
2002년133,310 [100]
2007년142,784 [100]
2008년99,750 [101]
2009년148,316 [102]
2010년149,414 [102]
2011년151,691 [102]
2012년155,074 [102]
2013년159,189 [102]
2014년158,817 [103]
2015년163,652 [104]
2016년165,36742,223[105][109]
2017년167,71742,895[106][109]
2018년168,75243,177[107]
2019년167,51642,542[108]
2020년122,69530,062[109]
2021년136,97734,396[110]
2022년149,57238,097[111]
2023년157,25041,661[112]


참조

[1] 웹사이트 平成27年 大都市交通センサス 首都圏報告書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 잡지 Tokyo Megaloop: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trains and line Kōtsū Shimbun 2014-08-01
[3] 웹사이트 【元209系】E231系900番台試作車・MU1編成として武蔵野線で"再出発" https://train-fan.co[...] 2020-07-20
[4] 잡지 E231 series appears on the Musashino Line Koyusha Co., Ltd. 2018-01-01
[5] 웹사이트 【JR東】E231系元ミツB901編成大宮総合車両センター出場回送 https://2nd-train.ne[...] 2020-07-10
[6] 서적 Tokyo Area Complete Railway Guide - Major JR Lines Futabasha 2013-12-06
[7] 웹사이트 ⾸都圏エリアへ 「駅ナンバリング」を導⼊します https://www.jreast.c[...] 2016-04-06
[8] 웹사이트 JA, JK, JT, AKB … JR East to introduce station numbering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https://response.jp/[...] 2016-04-07
[9] 서적 鉄道電報略号集 1979-08-01
[10] 웹사이트 サステナビリティレポート2018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18-09-01
[11]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全線・全駅・全廃線 4号関東2 新潮社 2008-08-19
[12] 문서 후술하지만, 츠루미역 - 신츠루미 신호장간의 시나츠루 선 및 남부선 시리테 단락선과의 중복 구간에 한정하여 사이테츠·JR 직통선 등의 정기 열차도 주행한다.
[13] 웹사이트 トンネルだらけの「武蔵野南線」に乗る 知られざる貨物線、リニア工事にも一役 https://trafficnews.[...] 2022-06-08
[14] 웹사이트 「大都市圏の貨物線」5線 特急が走り旅客列車でにぎわう路線 一般の路線図にない路線 https://trafficnews.[...] 2022-06-08
[15] 문서 사이타마와 치바의 양현명에서 1자씩을 취한 선명(무사시노선 - 거리와 역의 반세기 p.49).
[16] 서적 무사시노선 - 거리와 역의 반세기 - 알파베타 북스
[17] 문서 게이요선·코사이선과 동랭크
[18] 서적 무사시노선 - 거리와 역의 반세기
[19] 문서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는, 철도 사업법 제59조의 규정에 따라, 제3종 철도 사업자로는 되지 않고, 동법 동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해, JR동일본이 제1종 철도 사업자로 간주되었다.
[20] Youtube 武蔵野線開通のニュース映像 Musashino Line opening No.1003_2 https://www.youtube.[...] 중일영화사
[21] 잡지 特集:JR武蔵野・京葉線 철도도서간행회 2002-08-01
[22] 보도자료 武蔵野線全線開業40周年! 記念ヘッドマークを取り付けた列車が走ります! http://www.jreast.co[...] JR東日本千葉支社 2018-11-19
[23] 뉴스 交通・通信 鉄道 国鉄:小金線の建設正式に認可 毎日新聞社 1966-09-02
[24] 뉴스 交通 鉄道 国鉄:小金線が完工 毎日新聞社 1978-05-25
[25] 뉴스 交通 鉄道 国鉄:合理化へダイヤ改正-歌だけ残った「下りあずさ2号」 毎日新聞社 1978-06-11
[26] 뉴스 国鉄武蔵野線が完全復旧 沿線火災から半年余 西浦和駅構内 残工事のぞき完成 交通協力会 1981-03-26
[27] 서적 무사시노선 전부 탐색 JTB퍼블리싱 2010-01-01
[28] 잡지 205系通勤形電車17年の軌跡と今後 네코 퍼블리싱 2002-04-01
[29] 잡지 JR東日本 気になる12月ダイヤ改正車両の話題 교우사 1992-02-01
[30] 뉴스 JR3社 12月1日ダイヤ改正 교통신문사 1996-09-27
[31] 웹사이트 武蔵野線(東川口〜西船橋)の降雨防災強化工事完成について https://www.jreast.c[...] 동일본여객철도 2000-04-06
[32] 서적 JR기동차 객차 편성표 '01년판 제이·아르·아르 2001-07-01
[33] 서적 JR기동차 객차 편성표 '04년판 제이·아르·아르 2004-07-01
[34] 서적 JR기동차 객차 편성표 '05년판 제이·아르·아르 2005-07-01
[35] 보도자료 武蔵野線西国分寺~新秋津駅間のトンネルで携帯電話が利用可能になりました https://www.jreast.c[...] 동일본여객철도 하치오지지사 2015-10-08
[36] 뉴스 205系M20編成 営業運転終了 https://www.tetsudo.[...] 鉄道コム 2020-10-20
[37] PDF 終電付近の一部列車運転取りやめ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1-01-13
[38] 웹사이트 臨時列車「ホリデー快速鎌倉」 初めて吉川美南発に 越谷レイクタウンも停車 JR東日本 - [WTM]鉄道・旅行ニュース https://ja.wtmnews.n[...] 2021-11-17
[39] 웹사이트 JR東日本「ホリデー快速鎌倉」に代わり特急「鎌倉」を10月から運転 https://news.mynavi.[...] 2024-01-11
[40] 웹사이트 武蔵野線 開業50周年記念ヘッドマーク 掲出 https://www.tetsudo.[...] 朝日インタラクティブ 2024-01-11
[41] 웹사이트 E231系MU16編成に武蔵野線開業50周年記念ヘッドマーク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4-01-13
[42] 웹사이트 武蔵野線開業50周年記念グッズ発売 https://retail.jr-cr[...] 株式会社JR東日本クロスステーション 2024-01-11
[43] 웹사이트 武蔵野線 開業50周年記念グッズ 販売 https://www.tetsudo.[...] 鉄道コム 2024-01-11
[44] 웹사이트 特急 武蔵野線50周年鎌倉号 運転 https://www.tetsudo.[...] 鉄道コム 2024-01-11
[45] 웹사이트 特急 武蔵野線50周年鎌倉号 運転 https://www.tetsudo.[...] 鉄道コム 2024-01-11
[46] 웹사이트 JR東日本3/17ダイヤ改正 - 横浜線、根岸線直通列車を一部見直し https://news.mynavi.[...] 2021-11-17
[47] PDF 201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2-12-21
[48] PDF 京葉線の防風柵完成について http://www.jrchiba.j[...] 東日本旅客鉄道千葉支社 2012-10-17
[49] 뉴스 強風:交通機関混乱 JR運休や空の便にも影響 /千葉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12-12-09
[50] PDF 2010年3月 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9-12-15
[51] PDF 201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chiba.j[...] 東日本旅客鉄道千葉支社 2012-12-21
[52] 문서 旧称:こまちリレー号→新幹線リレー号。朝の大宮行は府中本町発
[53] PDF 2010年12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0-09-24
[54] 문서 武蔵野線開業当時の運輸省通達「電車の火災事故対策の通達の取扱いについて(鉄運第82号)」では、「長いずい道」とは「市街地の地下に設けられるもので延長1.5kmを越えるもの、山岳地帯に設けられるもので延長2kmを超えるもの、延長がそれぞれ前記以下でトンネル内の駅間が1kmを越えるもののいずれかに該当するトンネル」と規定されていた。武蔵野線開業時これに該当したのは、延長4,380.7mの東村山トンネルと延長2,562.7mの小平トンネルである。現行法令による規定については後述。
[55] 문서 武蔵野線の地下区間は、鉄運82号における「車両定規と建築定規の間隔が、側部において400ミリメートル末満のもの」には該当しなかったため、運輸省通達「電車の火災事故対策について(鉄運第81号)」の第二項の規定に該当するものであった。すなわち通過車両はA基準とすること、今後新造するものについては努めてA-A基準とすること が求められた。
[56] 문서 基準制定後、103系など既存の車両もA-A基準に対応させる改造が行われた。
[57] 문서 A基準やA-A基準を定めた運輸省通達(鉄運81号)は、1987年3月31日付で運輸省令普通鉄道構造規則へ移行し廃止された。また同省令も規制緩和により2002年3月31日付で鉄道に関する技術上の基準を定める省令へと移行し廃止され現在に至る。現行法令下で定められた車両規格に関しては各記事を参照。
[58] 문서 号車番号の順序が武蔵野線車両と京葉線車両で異なる。むさしの号として運用された際、国立駅 - 八王子駅間で中央線快速車両と車両の向きおよび号車番号が揃う。
[59] 뉴스 生まれ変わるJR車両/青森改造センター http://www.toonippo.[...] 東奥日報 2017-06-20
[60] 뉴스 武蔵野線色となったE231系が京葉車両センターへ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railf.jp) 2017-09-20
[61] 논문 JR東日本京葉車両センターから205系が撤退 武蔵野線車両も拡幅車統一で 電気車研究会 2021-01-01
[62] 뉴스 『あきた鉄道フェア in 土崎』で武蔵野線色のE231系が展示される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railf.jp) 2017-08-23
[63] 서적 JR電車編成表 交通新聞社 2017-11-15
[64] 뉴스 E231系武蔵野線MU2編成 運転開始 https://www.tetsudo.[...] 鉄道コム 2017-11-01
[65] 논문 POST 3/3、E231系900番が大宮総合車両センターに入場 交友社 2020-08-01
[66] 서적 JR電車編成表 交通新聞社 2020-11-18
[67] 논문 東京メガループ車両・路線の沿革と現状 交通新聞社 2014-07-15
[68] 서적 JR電車編成表 交通新聞社 2020-11-18
[69]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2006-03
[70] 간행물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997-01
[71] 간행물 武蔵野線205系5000代VVVF制御車が運転開始 鉄道ジャーナル社 2003-04
[72] 웹사이트 205系ケヨ81編成が試運転 http://railf.jp/news[...] 2010-08-12
[73] 웹사이트 205系もとナハ5・6編成が武蔵野線で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2015-02-26
[74] 문서 JR福知山線脱線事故に伴う車両不足の影響 2005-07
[75] 문서 역 목록
[76] 문서 역 목록 및 노선 정보
[77] 문서 서일본교통과의 연계 및 역 설계
[78] 문서 서일본교통과의 연계 및 역 설계
[79] 문서 경마장 및 경륜장 목록
[80] 서적 国鉄全線全駅読み乗り2万キロ総ガイド 主婦の友社 1979-08-01
[81] 서적 ギャンブル家の数学組曲 国土社 1996-01
[82] 웹사이트 Google マップ 地図および航空写真 https://www.google.c[...] 2011
[83] 간행물 特集:JR武蔵野・京葉線 鉄道図書刊行会 2002-08
[84] 논문 多摩丘陵地帯のトンネル(武蔵野南線生田トンネル掘さく) https://web.archive.[...] 土木学会論文
[85] 간행물 特集:JR武蔵野・京葉線 鉄道図書刊行会 2002-08
[86]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1998
[87] 문서 무사시노 차량기지의 YACS 시스템
[88] 문서 요코하마 지사와 하치오지 지사의 경계
[89] 문서 하치오지 지사와 오미야 지사의 경계
[90] 문서 오미야 지사와 수도권 본부의 경계
[91] 문서 수도권 본부와 지바 지사의 경계
[92] 보고서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93] 웹사이트 東日本旅客鉄道 平成15年度1日平均乗降人員・通過人員 http://www.train-med[...] 関東交通広告協議会
[94] 간행물 都市交通年報
[95] 웹사이트 公共交通関係データ集 http://www.pref.sait[...]
[96] 웹사이트 JR線のラッシュ1時間当たりの旅客輸送状況 http://www.pref.sait[...]
[97] 웹사이트 路線別のラッシュ時における混雑率の推移 https://www.pref.chi[...]
[98] 웹사이트 路線整備の意義・必要性等の整理 https://www.pref.sai[...] 埼玉県 2010
[99] 웹사이트 地域の復権―東京一極集中を越えて(昭和62年9月)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1987-09
[100]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1987~2017年度(5年毎))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101]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08~2012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102]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09~2013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103]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0~2014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104]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1~2015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105]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2~2016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106]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3~2017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13
[107]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4~2018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108]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5~2019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13
[109]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6~2020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12
[110]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7~2021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13
[111]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8~2022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112]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9~2023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29
[113] 웹사이트 連絡定期券の発売範囲 JR線+西武鉄道線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1-11-09
[114] 웹사이트 連絡定期券の発売範囲 JR線+東武鉄道線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1-11-09
[115] 웹사이트 連絡定期券の発売範囲 JR線と連絡会社線との乗り換え駅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1-11-09
[116]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10-10
[117] 웹사이트 松戸市都市計画マスタープラン https://www.city.mat[...] 松戸市 1999-06
[118] 뉴스 千葉・松戸に武蔵野線の新駅計画 市、宅地開発を促進へ https://www.asahi.co[...] 2018-02-14
[119] 웹사이트 平成22年度 市への意見・要望 集計結果報告書 https://www.city.asa[...] 朝霞市 2020-05-03
[120] 웹사이트 さいたまWeb/区画編成の地区別意見要望 https://www.city.sai[...] さいたま市 2021-03-11
[121] 웹사이트 市民と市長の対話集会 第146回タウンミーティング記録集 https://www.city.hig[...] 東村山市 2022-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