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언필드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필드 문화는 기원전 1300년경부터 기원전 750년경까지 존속했던 청동기 시대 문화로, 파울 라이네케의 연대기 체계에 따라 할슈타트 A기(Ha A)와 B기(Ha B)로 구분된다. 이전의 고분 문화에서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화장 의식이 널리 퍼졌으며, 헝가리에서 프랑스 동부, 알프스 산맥에서 북해 부근까지 넓게 분포했다. 언필드 문화는 지역별로 다양한 그룹으로 나뉘며, 정착지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언덕 요새와 같은 요새화된 정착지가 특징적이다. 이 문화의 물질 문화는 매끄러운 표면과 날카롭게 융기된 윤곽을 가진 도기, 잎 모양의 검, 청동 방패, 흉갑, 마차 등을 포함한다. 언필드 문화는 기수법, 황금 모자, 장례 관습, 숭배, 유전 분석 등 다양한 특징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필드 문화 - 원시 빌라노바 문화
    원시 빌라노바 문화는 이탈리아 반도 북부와 중부에서 청동기 시대 후기부터 철기 시대 초기에 걸쳐 나타난 문화로, 유럽 중부 언필드 문화에서 기원하여 화장한 유골을 기하학적 무늬 항아리에 매장하는 독특한 장례 풍습을 지녔으며, 이후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지역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언필드 문화 - 필리니 문화
    필리니 문화는 청동 야금술이 중요했으며, 화장 의식을 통해 유골을 항아리에 보관했고, 슬로바키아와 헝가리 북부 등지에서 구리 원료를 가공했다.
  • 중앙유럽의 고고문화 - 루사티아 문화
    루사티아 문화는 청동기 시대 중기 트슈치니에츠 문화에서 기원하여 철기 시대 유럽 사회 정치적 네트워크에 통합되었으며, 폴란드, 독일, 체코 등 중앙 유럽에 걸쳐 화장 매장, 요새화된 정착지 건설, 경작 농업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중앙유럽의 고고문화 - 핀 문화
    핀 문화는 스위스 북동부를 중심으로 신석기 시대 후기에 번성했던 문화로, 브라이텐루 유적지에서 가옥 구조와 생활 양식이 확인되었으며 금속 가공, 돼지 사육, 곡물 생산이 주요 경제 활동이었다.
  • 남유럽의 고고문화 - 골라세카 문화
    골라세카 문화는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포강 북쪽 지역에서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에트루리아 및 할슈타트 문화와의 교역, 독특한 매장 풍습, 레폰티어 문자 사용, 그리고 켈트족과의 연관성을 특징으로 한다.
  • 남유럽의 고고문화 - 빌라노바 문화
    빌라노바 문화는 이탈리아 북부에서 기원전 900년경부터 720년경까지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화장 후 유골을 담은 골호 매장, 기하학적 무늬의 도자기, 청동 유물 등의 특징을 가지며 에트루리아 문명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그리스 문명과 교류하였다.
언필드 문화
문화
슈파이어 역사 박물관에 있는 언필드 문화에서 나온 항아리
슈파이어 역사 박물관에 있는 언필드 문화에서 나온 항아리
시기기원전 1300년–750년 (추정)
지역유럽
시대청동기 시대 후기
주요 유적지부르크슈탈코겔 (줄름 계곡)
이프 (산)
에렌뷔르크
선행 문화분구 문화
바티아 문화
외피 도기 문화
바틴 문화
테라마레 문화
아펜니노 문화
노우아 문화
오토마니 문화
후행 문화할슈타트 문화
루사티아 문화
원(原)빌라노바 문화
빌라노바 문화
카네그라테 문화
골라세카 문화
에스테 문화
루코 문화
철기 시대 프랑스
철기 시대 영국
철기 시대 이베리아
바사라비 문화
킴메르인
트라키아인
다키아인
철기 시대 그리스
개요
설명언필드 문화는 청동기 시대 후기 중앙 유럽의 고고학 문화이다.
기원전 1300년에서 기원전 750년 사이에 번성했다.
분구 문화에서 유래했으며, 뒤이어 할슈타트 문화가 나타났다.
명칭 유래화장한 유골을 담은 항아리를 묻은 묘지에서 유래했다.
분포 지역독일 남부
오스트리아
스위스
체코
슬로바키아
프랑스 동부
헝가리
폴란드 서부
이탈리아 북부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북부
특징
장례 방식화장 후 유골을 항아리에 담아 매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금속 가공청동기 기술이 발달했으며, 무기, 도구, 장신구 등을 제작했다.
사회 구조계층화된 사회였으며, 수장 또는 전사 계급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주지언덕 위에 요새화된 정착지를 건설했다.
연관된 민족
주장일부 학자들은 언필드 문화가 켈트족 또는 이탈리아족의 기원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다른 학자들은 게르만족의 기원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로리오 (Lorrio)는 이베리아의 켈트족과 연관짓는다.
기타
같이 보기미로그라드 문화

2. 연대

언필드 문화는 파울 라이네케의 연대기 체계에서 할슈타트 A와 B 단계(Ha A, Ha B)를 포함하며, 이는 북유럽 청동기 시대의 몬텔리우스 III-IV기에 해당한다. 라이네케의 청동기 D 포함 여부는 연구자와 지역에 따라 다르다.[1]

뮐러-카르페(Müller-Karpe)는 언필드 문화를 다음과 같이 세분하였다.[1]

기원전 연대
BzD1300–1200
Ha A11200–1100
Ha A21100–1000
HaB11000–800
HaB2900–800
Ha B3800–750



Ha B3 단계는 여성 매장 유물만 존재하여 논쟁의 여지가 있다. 각 단계의 연대는 유형학적 변화에 기반하며, 전체 분포 지역에서 엄격하게 동시대적일 필요는 없다.[1]

3. 기원

언필드 문화는 이전의 투물루스 문화에서 점진적으로 발전했다.[144] 도기와 매장 의식의 변화를 통해 이러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8] 독일 일부 지역에서는 화장매장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뵐퍼스하임층) 일부 무덤에서는 초기 언필드 유형(멘겐)과 함께 고분 문화 도기와 언필드 도검(크레스브론, 보덴제크라이스)이 발견되거나, 고분 문화 절개 토기가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144] 북부 지역에서는 HaA2 시기에만 언필드 문화가 수용되었다.[8]

261x261px


엘무젠(독일 바트 아이블링)의 늪에서 발견된 16개의 핀은 청동기 B기부터 초기 언필드 시기(Ha A)까지의 연대를 보여주며, 이는 의식의 연속성을 나타낸다. 루아르강, 센강, 론강의 일부 여울에서는 신석기 시대 후기부터 언필드 시대까지의 유물이 발견된다.

화장 풍습은 기원전 2000년 전반기부터 널리 퍼진 헝가리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9] 현대 루마니아 북동부와 우크라이나신석기 시대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에서도 기원전 5500년경부터 화장 풍습이 나타난다. 일부 화장은 원-루사티아 문화와 토슈치네츠 문화에서도 발견되기 시작한다.

4. 분포와 현지 그룹

언필드 문화는 헝가리 서부에서 프랑스 동부, 알프스 산맥에서 북해 부근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했다. 주로 도기로 구분되는 지역 그룹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그룹에 속하는 유물의 분포는 때때로 뚜렷한 경계를 보여주며, 이는 부족과 같은 정치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10][11]

그룹세부 구분위치
크노비즈 문화서부 및 북부 보헤미아, 남부 튀링겐, 북동 바이에른
밀라브체 문화보헤미아 남동부
언스트루트 문화튀링겐
루사티아 문화북부 보헤미아, 루사티아, 폴란드
남독일 언필드 문화북동-바이에른 그룹 (하위 바이에른 그룹, 상위 팔츠 그룹)북동 바이에른
마인강 하구-슈바비아 그룹 (마르부르크, 하나우, 마인강 하류, 프리트베르커 층)남부 헤센, 바덴뷔르템베르크
라인-스위스 그룹 (프랑스어 약칭 RSFO)라인란트팔라티나테, 스위스, 프랑스 동부
라인강 하류 언필드 문화로워 헤센 그룹
북-네덜란드-베스트팔렌 그룹
노스웨스트 그룹네덜란드 삼각주 지역
중세 다뉴브 언필드 문화벨라티체-바이어도르프모라비아, 오스트리아
카바 문화슬로바키아 서부
가바 문화
필리니 문화
키자티체 문화
마코 문화


5. 관련 문화

루사티아 문화는 중부 유럽 언필드 문화의 일부를 형성하지만, 철기 시대까지 이어진다. 헝가리 북부와 슬로바키아필리니 문화는 고분 문화에서 발전했지만, 항아리 매장도 사용했다. 이탈리아 청동기 시대 후기의 카네그라테 문화원시 빌라노바 문화, 초기 철기 시대빌라노바 문화는 중부 유럽의 언필드 문화와 유사성을 보인다.

프랑스 랑그도크카탈루냐에서는 9세기부터 8세기까지 언필드 문화 유물이 발견된다. 북부 이탈리아의 골라세카 문화카네그라테 문화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했으며, 켈트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146][147] 언필드 문화의 영향은 이베리아 반도 북동부 해안까지 퍼졌으며, 인근의 켈티베리아인들은 묘지에 언필드 문화의 요소를 받아들였다.[150]

6. 이주

일부 학자들은 언필드 문화에서 발견되는 수많은 보물과 요새화된 정착지(언덕 요새)를 광범위한 전쟁과 격변의 증거로 간주했다.[152] 서면 기록들을 보면 언필드 문화가 시작될 무렵 동부 지중해, 아나톨리아, 레반트 지역에서 여러 붕괴와 격변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 미케네 문명의 멸망 (전통적으로 기원전 1200년경)
  • 트로이 VI의 파괴 (기원전 1200년경)
  • 람세스 3세바다 민족의 전투 (기원전 1195-1190년)
  • 히타이트 제국의 멸망 (기원전 1180년경)
  • 필리스티아인의 가나안 정착 (기원전 1170년경)


볼프강 키믹(Wolfgang Kimmig)과 페레 보쉬 짐페라(Pere Bosch Gimpera)를 포함한 일부 학자들은 유럽 전역에 걸친 이주 물결을 가정했다. 이른바 도리아인들의 그리스 침공도 이러한 맥락에서 설명되기도 한다.[152] (하지만 최근의 증거에 따르면 도리아인들은 기원전 1100년에 붕괴를 일으킨 것이 아니라, 미케네 문명이 붕괴된 이후의 빈 공간으로 이동했다는 주장도 있다.) 더 발전된 연대 측정 방법은 이러한 사건들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만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로버트 드류스는 이주 가설을 비판하고, 나우에 II식 검을 사용한 새로운 유형의 전쟁(보병 중심의 전쟁)이 중앙집권적 국가의 붕괴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152] 그는 마리아누 전차에 기반한 중앙집권식 국가에 발생한 정치적 불안정이 이러한 정치 체제의 붕괴를 초래했다고 주장한다.

7. 민족

언필드 문화는 다양한 지역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어 민족적 통일성을 단정하기 어렵다. 마리야 김부타스는 다양한 중앙 유럽 지역 그룹을 원시 켈트족, 원시 이탈리아 민족, 원시 베네티족, 원시 일리리아인, 원시 프리지아인 등과 연결했다.[155][156]

후기 청동기 시대의 기후 변화로 인해 전사 귀족이 이끄는 농민과 목동 공동체가 서유럽과 남유럽의 다양한 지역에서 새로운 화장 의식, 도자기 양식, 금속 제품 생산, 종교, 인도유럽어족 언어를 도입했다는 주장이 있다. (일부에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음)[157]

8. 정착지

이전의 고분 문화에 비해 정착지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8] 언덕 위나 강변에 있는 요새화된 정착지는 언필드 문화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이들은 마른 돌이나 나무로 된 성벽으로 강화되었다.[8] 금속 가공은 요새화된 정착지에 집중되었다. 독일 우라흐 근처의 룬더 베르크에서 25개의 석조 주형이 발견되었다.

요새화된 정착지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독일: 불렌하이머 베르크, 에렌뷔르크, 호이니쉔부르크, 헤셀베르크, 뷔르크슈타터 베르크, 슈탈베르크, 쉘렌부르크, 파렌베르크, 글라우베르크, 입프
  • 오스트리아: 부르크슈탈코겔, 투나우 암 캄프, 호우제베르크
  • 체코: 비스쿠핀
  • 폴란드: Corneşti-Iarcuri, 산타나, 텔레악
  • 루마니아: 세르비아의 Gradište Idoš
  • 헝가리: 벨렘, Csanádpalota-Földvár


개방형 정착지에서는 나무 기둥과 흙벽으로 지어진 3-4개의 통로가 있는 대형 주택이 일반적이었다. 독일 남부와 스위스의 호수에는 수많은 말뚝 주거지가 건설되었다.

독일 보덴호 언터룰딩겐의 재건된 말뚝주거지역

9. 물질 문화

언필드 문화의 물질 문화는 정교한 청동 세공 기술과 다양한 유물들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후기 청동기 시대의 검, 스위스. 칸톤 고고학 역사 박물관


스위스 출토 청동 바퀴 펜던트

  • 금속 세공품: 언필드 문화는 청동, 금, 그리고 초기 철을 사용한 다양한 금속 세공품을 남겼다. 특히 청동 검, 투구, 갑옷, 장신구 등이 발달했다.
  • 무기: 잎 모양의 청동 검은 베기에 사용되었으며, 리카소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청동으로 만든 손잡이는 별도로 주조되었고, 다른 합금으로 구성되었다.
  • 방어구: 방패, 흉갑, 정강이 보호대, 투구 등은 드물게 발견되며, 매장지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 장신구: 금으로 만든 머리띠, 목걸이, 팔찌 등 다양한 장신구가 발견되었다. 청동으로 만든 브로치, 핀 등도 사용되었다.
  • 도구: 청동으로 만든 화살촉, 낫, 끌 등이 발견되었다. 슬로바키아 간오브체에서는 기원전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철 칼 또는 낫이 발견되어, 중앙 유럽에서 제련된 철의 초기 증거를 보여준다.[64]
  • 기타: 청동 솥, 재갈, 젖병 등이 발견되었다.
  • 호드 (Hoards): 언필드 문화에서는 호드가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호드는 종종 강이나 늪과 같은 습한 지역에 매장되었는데, 이는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었을 가능성이 크다.[4]
  • 도기: 언필드 문화의 도기는 매끄러운 표면과 날카롭게 융기된 윤곽을 가진, 잘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하위 섹션 "도기" 참조)
  • 전차: 초기 언필드 문화 시기에는 청동 부속품이 달린 4륜 마차를 매장한 무덤이 발견되었다. (하위 섹션 "전차" 참조)

9. 1. 도기

도기는 일반적으로 매끄러운 표면과 날카롭게 융기된 윤곽을 가진, 잘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일부 형태는 금속 프로토타입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원통형 목이 있는 원뿔형 냄비가 특히 특징적이다. 절개된 장식이 일부 있지만, 표면의 많은 부분은 일반적으로 평범하게 남아 있다. 플루트 장식이 일반적이다. 스위스 말뚝 주거지에서는 절개 장식에 때때로 주석 호일을 상감하기도 했다. 도자기 가마는 이미 알려져 있었는데(엘칭거 크로이츠, 바이에른 자유주) 용기의 균질한 표면에서도 알 수 있다. 다른 용기에는 손잡이가 달린 청동판(예니쇼비체 유형)과 큰 이 포함되며, 교차 부착물도 있었다. 나무 그릇은 예를 들어 오베르니에(뇌샤텔)와 같이 물에 잠긴 상황에서만 보존되었지만, 꽤 널리 퍼졌을 수 있다.[1]

9. 2. 도구와 무기



266x266px




잎 모양의 언필드 검은 이전 툼 문화의 찌르는 검과 달리 베기에 사용되었다. 이 검은 일반적으로 리카소를 가졌다. 손잡이는 보통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별도로 주조되어 다른 합금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단단한 손잡이 검은 청동 D기(Rixheim 검)부터 알려졌다. 다른 검들은 자루가 있는 칼날을 가졌으며, 나무, 뼈, 사슴 뿔 등으로 손잡이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플랜지 손잡이 검은 손잡이에 유기적인 상감 세공을 했다. 대표적인 검으로는 오베르니에, 크레스본-헤미고펜, 에르벤하임, 뫼링겐, 벨텐부르크, 헤미고펜, 타흘로비체 유형이 있다.

방패, 흉갑, 정강이 보호대, 헬멧 같은 보호 장비는 드물게 발견되며, 매장지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가장 잘 알려진 청동 방패는 보헤미아 플젠에서 발견된 것으로, 리벳으로 고정된 손잡이가 있다. 이와 비슷한 유물이 독일, 서부 폴란드, 덴마크, 영국, 아일랜드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이들은 이탈리아 북부 또는 동부 알프스에서 제작되어 나무 방패를 모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일랜드 늪지에서는 가죽 방패(클론브린, 웨스트퍼드)가 발견되기도 했다. 청동 흉갑은 청동 D기부터 (Čaka, 묘 II, 슬로바키아) 알려져 있다.

생 제르맹 뒤 플랭에서는 완전한 청동 흉갑 9개가 발견되었고, 마르메스, 오트 마른(프랑스)에서는 겹쳐진 흉갑 하나가, 알브슈타트-페핑겐(독일)에서는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청동 접시(팔레라)는 가죽 갑옷에 꿰매었을 것으로 보인다. 클로슈타르 이바니치(크로아티아)와 보이론 근처 파울루스 동굴(독일)에서는 풍부하게 장식된 얇은 청동판 정강이 보호대가 발견되었다.

9. 3. 전차

초기 골호 문화 시기에는 청동 부속품이 달린 4륜 마차를 매장한 무덤이 약 12개 정도 발견되었다. 여기에는 독일의 하르트 안 데어 알츠, 멘겐, 푕, 쾨니히스브론과 스위스 생 쉴피스가 포함된다. 알츠에서는 전차가 화장대 위에 놓였으며, 뼈 조각들이 차축의 부분적으로 녹은 금속에 부착되어 있었다.[54] 청동(일체형) 재갈이 같은 시기에 등장한다. 분리형 재갈은 후기 골호 문화 유적에서만 발견되며 동부의 영향일 수 있다. 나무와 청동 바퀴살 바퀴는 슈타데(독일)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탈리아 메르쿠라고에서는 나무 바퀴살 바퀴가 발견되었다. 나무 접시 바퀴는 스위스 쿠르셀레트와 독일의 바서부르크 부하우에서 발굴되었다(직경 80cm).[54]

하슬로흐와 슈타데(독일)에서 발견된 청동 바퀴살 바퀴는 "모든 청동기 시대 청동 물건 중 가장 야심 찬 공예품"으로 묘사되었으며,[55] "그리스를 제외한 유럽에서 선사 시대 청동 주조공들의 최고 성과"를 나타낸다... 주조 기술 측면에서 보면 그리스 청동 조각상 주조와 동등하다."[56]

도마ž리체 인근 밀라브체, 보헤미아에서 큰 가마솥 (지름 30cm)을 실은 네 바퀴짜리 청동 미니어처 마차가 화장을 담고 있었다. 이 매우 풍부한 매장은 고총으로 덮여 있었다. 바이에른의 아홀스하우젠에서 나온 청동 마차 모델은 남성 매장에서 나왔다.[59]

이러한 마차는 북유럽 청동기 시대에도 알려져 있다. 덴마크의 스칼레럽 마차에도 화장이 담겨 있었다. 메클렌부르크의 페케텔 (크르. 슈베린)에서는 가마솥 마차와 기타 풍부한 부장품이 고총 아래에서 매장과 함께했다 (Montelius III/IV). 또 다른 예는 스웨덴 이스타드에서 나왔다. 동남 유럽의 예로는 헝가리의 칸야와 루마니아의 오라슈티에가 있다. 점토 미니어처 마차는 때때로 물새와 함께 중기 청동기 시대부터 알려져 있었다 (두플자야, 보이보디나, 세르비아).[58]

루사티아 문화의 전차 모델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의 부르크에서 나왔으며, 물새가 앉아 있는 단일 차축에 세 개의 바퀴가 있다. 독일 감메르팅겐 (크르. 지그마링겐)의 무덤에는 부르크의 예와 유사한 미니어처 마차에 속했을 가능성이 있는 두 개의 소켓형 뿔 모양 부착물과 여섯 개의 미니어처 바퀴가 있었다.



독일 하슬로흐에서 출토된 청동 바퀴, 기원전 900-800년

9. 4. 호드 (Hoards)

골장 문화에서 호드는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관습은 청동기 시대 말기에 사라졌다. 호드는 종종 강이나 늪과 같은 습한 지역에 매장되었는데, 이러한 장소는 접근이 어려웠기 때문에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었을 가능성이 크다.[4] 다른 호드에서는 부러지거나 잘못 주조된 물건들이 발견되는데, 이는 청동 기술자들이 재사용하기 위해 보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 후기 청동기 시대 호드에서 초기 묘지와 동일한 종류의 물건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일부 학자들은 호드를 사후 세계를 위한 개인 장비를 공급하는 방식이라고 해석한다.[4] 프랑스 코트다르모르의 트리외 강에서는 완전한 형태의 검과 함께 붉은 사슴의 뿔이 다수 발견되었는데, 이는 종교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4]

9. 5. 철

슬로바키아 간오브체에서 발견된 철 칼 또는 낫은 기원전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중앙 유럽에서 제련된 철의 초기 증거일 수 있다.[64] 다른 초기 발견물로는 기원전 15세기경의 포르보흘데(독일)에서 발견된 철 고리(Reinecke B),[65] 그리고 기원전 1000년경의 헤거뮬레(독일)에서 발견된 철 끌 등이 있다.[66][67] 청동기 시대 후기에 철은 칼자루(슈바비슈 할-가일렌키르헨, 운터크룸바흐, 크. 헤르스브루크), 칼(도테르하우젠, 플레텐베르크, 독일), 핀 및 기타 장식품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 카르파티아 분지는 기원전 10세기, 그리고 어쩌면 기원전 12세기 초부터 철 유물이 발견되면서 초기 철 기술의 중심지였다.[64] 중앙 유럽에서 무기와 도구에 철을 정기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할슈타트 문화부터였다.

10. 경제

, 돼지, 양, 염소뿐만 아니라 말, 개, 거위도 사육되었다. 소는 기갑에서 1.2m로 다소 작았다. 말은 평균 1.25m로 그다지 크지 않았다.[68]

산림 개간은 언필드 기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화분 분석에서 볼 수 있듯이 아마도 열린 초원이 처음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다. 이로 인해 강의 침식과 퇴적물 부하가 증가했다.[68]

보리, 말콩이 재배되었다. 양귀비 씨앗은 기름이나 약물로 사용되었다. 좁쌀과 귀리는 헝가리와 보헤미아에서 처음으로 재배되었고, 호밀도 이미 재배되었으며, 서쪽으로 가면 유해한 잡초에 불과했다. 아마는 주로 양모가 옷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중요성이 감소된 것으로 보인다. 개암, 사과, , 가시나무 열매와 도토리를 채집했다. 일부 부유한 무덤에는 와인 체로 해석된 청동 가 들어 있다 (Hart an der Alz). 이 음료는 남쪽에서 수입되었을 것이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부족하다. 호수 정착지 Zug에서는 스펠트와 좁쌀로 만든 국물의 잔해가 발견되었다. 하부-라인 항아리 유적에서는 발효된 이 화장대에 놓여져 불에 탄 조각이 보존되었다.

양모는 가공되었고 (방추차가 흔히 발견됨) 경사 중량 베틀에서 짜였다. 청동 바늘(''Unteruhldingen'')은 바느질에 사용되었다.[68]

저울은 무역에 사용되었으며, 무게를 잰 금속은 지불 수단 또는 돈으로 사용되었다.[70][71][72][73] 청동 또한 상품 화폐의 형태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74]

11. 기수법

주조 기호 숫자 체계


청동기 시대 중부 유럽 전역에서 발굴된 대규모 낫 비장에는 다양한 주조 표시가 있었다. 언필드 시대 독일 프란클레벤 보관함 등 낫 보관함을 분석한 결과, 낫 표시는 음력 관련 숫자 체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할레 주립 선사시대 박물관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많은 낫에 선 모양 표시가 있다. 이 표시의 범위와 순서는 정해진 패턴을 따른다. 이 기호는 쓰기 체계의 이전 형태로 해석될 수 있다. 두 가지 유형의 기호가 있는데, 버튼 아래 선 모양 표시와 낫 모양의 비스듬한 부분 또는 바닥에 있는 표시다. 고고학자 크리스토프 좀머펠트는 규칙을 조사하여 주조 자국이 1~9개 늑골로 구성됨을 발견했다. 개별적으로 계산된 4개의 왼쪽 획 뒤에 오른쪽에 5개씩 묶음이 온다. 이는 29까지 계산되는 체계를 만든다. 태음월 궤도는 29일 또는 밤 동안 지속된다. 이 숫자와 낫의 달 모양은 획 그룹이 달력 페이지, 즉 월간 주기의 한 지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160]

좀머펠트(1994)는 낫에 있는 다른 표시나 기호가 '개념적 기호' 또는 일종의 원형 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했다.[161] 청동기 시대 유럽 전역의 낫과 도구에 있는 표시는 소유권 표시, 기호 체계, 숫자 체계, 또는 의미를 알 수 없는 "정보 단위"로 해석되기도 한다.[162]

'카운팅 마크'는 무역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언필드 시대 청동 팔걸이와 주괴에서도 확인되었다. 도자기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표시는 달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162]

12. 황금 모자

독일과 프랑스에서 얇은 금판으로 만든 정교한 원뿔 모양의 황금 모자 4개가 발견되었다. 이 모자들은 기원전 1400-80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전체 길이와 범위를 따라 다양한 장신구 띠로 덮여 있다. 장신구는 대부분 디스크와 동심원 모양이며, 때로는 바퀴, 초승달, 뾰족한 타원형 및 삼각형 모양도 나타난다. 이러한 장신구는 우표, 롤 또는 빗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어 만들었다.[164][165][166]

베를린 황금 모자를 분석한 결과, 장신구가 태음태양력메톤 주기를 나타내는 체계적인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64][165][166] 빌프리트 멩그힌은 “모자에 있는 기호는 태양과 달의 움직임을 미리 계산할 수 있는 로그 테이블이다.”라고 설명했다.[163]

에베르스발데 보물의 금그릇에서도 이와 비슷한 장신구가 발견되었으며,[164] 이 금그릇의 일부 장신구도 달력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독일 불렌하이머 베르크,[167] 헝가리 벨렘의 금 왕관과 원형 무늬장식품,[168] 덴마크 트룬드홀름 태양 전차의 금 제품에서도 천문학적 및 달력적 해석이 제안되었다.

원뿔형 금색 모자는 스페인의 카스코 데 레이로와 아일랜드의 코머퍼드 크라운과 연결되며, 유사한 기호가 나타난다.[163][169][170][171][172] 고고학자 가보 일론은 벨렘 왕관을 분석하면서 “동일하고, 일관된 영적 배경을 구현하는 동일한 상징 세트로 장식된 사회적 전시”라고 평가했다.[173] 국립 고고학 박물관은 “이 귀중하고 눈에 띄게 제작된 물건은 의심할 여지 없이 엄격하게 계층적이며 고급 기술 및 천문학 지식을 갖춘 복잡한 사회를 불러일으키며 현장 작업을 중심으로 구성된다.”라고 설명한다.[174]

이러한 황금 모자는 "왕-사제"나 신관이 의식용 모자로 썼을 것으로 추정된다.[163]

베를린 황금 모자, 베를린 신 박물관

13. 장례 관습

고분 시대에는 사회 상류층을 중심으로 무덤 아래에 여러 시신을 매장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언필드 시대에는 단일 평장묘에 매장하는 방식이 우세했다.[144]

언필드 시대 초기에는 사람 모양의 무덤을 파고 화장한 유해를 흩뿌렸지만, 나중에는 항아리에 매장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144]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삶과 사후 세계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신화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144]

전형적인 화장 항아리 매장


언필드 고분의 크기는 다양하다. 바이에른에는 수백 개의 매장이 있는 곳도 있지만, 바덴뷔르템베르크 다우트메르겐에 있는 가장 큰 묘지에는 30개의 무덤만 있다.[144]

화장된 유골은 종종 그릇이나 컵과 같은 더 작은 도자기 그릇과 함께 놓였다.[144] 금속 무덤 선물로는 면도칼, 무기, 팔찌, 펜던트, 핀 등이 있었다.[144] 언필드 문화가 끝나갈수록 금속 무덤 선물은 희귀해지고 보물의 수는 증가한다.

상류층 매장은 나무로 된 방, 돌로 된 묘곽(cists)이나 돌로 바닥을 깐 방에 안치되었고, 무덤이나 돌무더기로 덮었다.[144] 무덤에는 정교하게 만들어진 도자기, 동물 뼈 (일반적으로 돼지 뼈), 때로는 금반지나 금박, 예외적인 경우 소형 마차가 들어 있었다. 이러한 부유한 매장 중 일부에는 한 명 이상의 유해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 경우 여성과 어린이는 일반적으로 희생된 것으로 간주된다. 언필드 시대가 끝나갈 무렵, 일부 시신은 호메로스베오울프의 매장과 유사하게 그 자리에서 불태운 다음 무덤으로 덮었다. 제딘 무덤 (기원전 9세기)은 “호메로스식 매장”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44] 초기 철기 시대에는 다시 시신 매장이 일반화되었다.

14. 숭배

물새에 대한 집착은 수많은 그림과 입체적 표현으로 나타난다. 강과 늪에 쌓인 비축물과 결합하여 물과 관련된 종교적 신념을 나타낸다. 이것은 일부 학자들이 후기 청동기 시대에 심각한 가뭄이 있었다고 믿게 만들었다.[122][123] 때때로 물새는 태양-바로크 모티프라고 불리는 원과 결합되기도 한다. 달 모양의 점토 화덕 또는 '달 우상'은 초승달 모양의 면도날과 마찬가지로 종교적 중요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튀링겐의 키프호이저 동굴에는 머리가 없는 해골과 동물의 뼈가 있는데, 이는 희생으로 해석된다. 다른 매장물로는 곡물, 매듭지어진 식물 섬유, 머리카락, 청동 물건(도끼, 펜던트, 핀) 등이 있다. 니더작센의 이프 동굴에서도 비슷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15. 유전 분석

2015년 3월 네이처에 발표된 유전 연구는 기원전 1100~1000년경 독일 할버슈타트에 묻힌 언필드 남성의 유해를 조사했다. 이 남성은 부계 R1a1a1b1a2와 모계 H23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2019년 3월 사이언스에 발표된 유전 연구에 따르면, 청동기 시대에서 철기 시대로 넘어가는 동안 이베리아에서 북중부 유럽 계통의 유전자가 크게 증가했다. 이 연구에서는 언필드 문화의 확산이 이러한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켈트이베리아인이 등장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1] 연구에서 조사된 켈티베리아인 남성은 부계 I2a1a1a를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2]

2019년 11월 사이언스에 발표된 또 다른 유전 연구에서는 이탈리아 마르티시쿠로에 묻힌 원-빌라노반 문화 여성의 유골을 조사했다. 이 여성은 모계 U5a2b를 보유하고 있었다.[3]

참조

[1] 논문 Breaking and making the ancestors. Piecing together the urnfield mortuary process in the Lower-Rhine-Basin, c. 1300–400 BC https://www.academia[...] Leiden University 2021
[2] 서적 Deutschland in der Bronzezeit : Bauern, Bronzegiesser und Burgherren zwischen Nordsee und Alpen C. Bertelsmann 1996
[3] 간행물 "Sound Change, the Italo-Celtic Linguistic Unity, and the Italian Homeland of Celtic" Oxbow Books 2016
[4] 학술지 The Celts in Iberia: An Overview
[5] 웹사이트 Urnfield period https://www.oxfordre[...]
[6] 학술지 Through 40,000 years of human presence in Southern Europe: the Italian case study https://doi.org/10.1[...] 2022-01-12
[7] 문서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eppe-related ancestry component could have first arrived through Late N/Bell Beaker groups from [[Central Europe]]." 2021
[8] 서적 The Celts Penguin Books
[9]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Mouton Publishers
[10] 웹사이트 Situla https://isaw.nyu.edu[...] 2022
[11] 웹사이트 History of Europe: The People of the Metal Ages – Rituals, religion and art https://www.britanni[...] 2022-11-08
[12] 학술지 An Outline of the Urnfield Culture Period in Slovenia https://www.academia[...] 1999
[13] 서적 Myth and Materiality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18
[14] 웹사이트 The Bronze Age shields https://en.natmus.dk[...]
[15] 학술지 Scandinavian background of Greek mythic cosmography: The sun's water transport http://www.bibliothe[...] 2012
[16] 학술지 Bronze Age bird representations from the Carpathian Basin https://www.academia[...] 2007
[17] 웹사이트 R1b-L23-rich Bell Beaker-derived Italic peoples from the West vs. Etruscans from the East https://indo-europea[...] 2019-11-17
[18] 웹사이트 Early European Cultures - Urnfield Culture / Proto-Celts https://www.historyf[...]
[19] 서적 The Celts Penguin Books
[20] 서적 Cornwall: A History University of Exeter Press 2017
[21] 서적 The Celts Thames and Hudson
[22] 서적 Old Celtic Languages http://www.univie.ac[...]
[23] 서적 The Celts in Europe Sydney Series in Celtic Studies 2, Centre for Celtic Studies, University of Sydney
[24] 서적 Celtic from the West 2 – Prologue: The Earliest Hallstatt Iron Age cannot equal Proto-Celtic http://www.oxbowbook[...] Oxbow Books 2014-01-04
[25] 서적 Tropis IV.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hip Construction in Antiquity (Athens, 28-31 August 1991) https://www.academia[...] Hellenic Institute for the Preservation of Nautical Tradition, Athens 1991
[26] 웹사이트 The Vogelbarke of Medinet Habu (Romey 2003) https://core.ac.uk/d[...]
[27] 문서 Europe Before History
[28]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Mouton Publishers
[29] 문서 Europe Before History
[30] 서적 Vix et le phénomène princier https://una-editions[...] Ausonius éditions 2021-07
[31] 웹사이트 Die bronzezeitliche Burg auf dem Ipf – Neue Forschungen zum Burgenbau und Krieg in der Bronzezeit https://www.academia[...] 2022-04-09
[32] 학술지 Model of the Bullenheimer Berg fortifications https://journals.ub.[...] 2006
[33] 웹사이트 THUNAU AM KAMP – A FORTIFIED HILLTOP SETTLEMENT OF THE URNFIELD CULTURE https://www.oeaw.ac.[...] 2022-03-24
[34] 웹사이트 The Bronze Age – Austrian Settlements as Centres of Trade https://www.fwf.ac.a[...] 2021-12-05
[35] 웹사이트 Late Bronze Age Hillfort found in France https://the-past.com[...] 2021
[36] 논문 Corneşti-Iarcuri – A Bronze Age town in the Romanian Banat? https://www.research[...] 2015-08
[37] 서적 Materialisation of Conflict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LOEWE Conference, 24-27 September 2018 in Fulda https://www.research[...] 2019
[38] 서적 Bronze Age Fortresses in Europe https://www.academia[...] Verlag Dr. Rudolf Habelt GmbH, Bonn 2019
[39] 논문 A New Bronze Age Mega-fort in Southeastern Europe: Recent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t Gradište Iđoš and their Regional Significance https://www.academia[...] 2021-12-05
[40] 서적 Fortifications: The Rise And Fall Of Defended Sites In Late Bronze And Early Iron Age Of South-East Europe https://www.academia[...] Die Deutsche Bibliothek – CIP-Einheitsaufnahme 2017
[41] 웹사이트 Mythos Bullenheimer Berg" Knauf-Museum Iphofen https://www.knauf-mu[...] 2022-02-23
[42] 서적 Fortifications: The Rise And Fall Of Defended Sites In Late Bronze And Early Iron Age Of South-East Europe https://www.academia[...] Die Deutsche Bibliothek – CIP-Einheitsaufnahme 2017
[43] 웹사이트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Late Bronze-Age Site of Corneşti Iarcuri in Romanian Banat https://www.smb.muse[...] 2022-04-09
[44] 논문 Connected Histories: the Dynamics of Bronze Age Interaction and Trade 1500–1100 bc https://www.academia[...] 2015-12
[45] 논문 Resilience, innovation and collapse of settlement networks in later Bronze Age Europe: New survey data from the southern Carpathian Basin 2023
[46] 서적 Fortifications: The Rise And Fall Of Defended Sites In Late Bronze And Early Iron Age Of South-East Europe https://www.academia[...] Die Deutsche Bibliothek – CIP-Einheitsaufnahme 2017
[47] 논문 Resilience, innovation and collapse of settlement networks in later Bronze Age Europe: New survey data from the southern Carpathian Basin 2023
[48] 논문 Connected Histories: the Dynamics of Bronze Age Interaction and Trade 1500–1100 bc https://www.academia[...] 2015-12
[49] 웹사이트 A feasting hall of the Late Bronze Age in Lăpuş, northwest Romania, and its cultural context https://archeo-muzeo[...] 2018
[50] 서적 Bronze Age Fortresses in Europe https://www.academia[...] Verlag Dr. Rudolf Habelt GmbH, Bonn 2019
[51] 논문 The warrior aristocracy of the Late Bronze Age Urnfield Period in County Somogy, south-western Transdanubia. The Lengyeltóti V hoard https://akjournals.c[...] 2022-10-27
[52] 웹사이트 THE MARMESSE CUIRASS" Musee Archeologie Nationale https://musee-archeo[...] 2022-03-31
[53]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8-25
[54] 논문 Early Chariots and Religion in South-East Europe and the Aegean During the Bronze Age: A Reappraisal of the Dupljaja Chariot in Context 2023
[5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European Bronze Ag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
[56] 웹사이트 Wagenrad" Historical Museum of the Palatinate, Speyer https://nat.museum-d[...] 2022-02-23
[57] 논문 The warrior aristocracy of the Late Bronze Age Urnfield Period in County Somogy, south-western Transdanubia. The Lengyeltóti V hoard https://akjournals.c[...] 2022-10-27
[58] 논문 The swan chariot of a solar deity: Greek narratives and prehistoric iconography https://www.academia[...]
[59] 웹사이트 Photo of the Acholshausen cult wagon model https://qph.cf2.quor[...]
[60] 웹사이트 Photo of the bronze cult wagon model from Orăştie, Romania https://qph.cf2.quor[...]
[61] 논문 The Late Bronze Age hoard from Bækkedal, Denmark: new evidence for the use of two-horse teams and bridles https://tidsskrift.d[...] 2015
[62] 논문 From Dupljaja to Delphi: the ceremonial use of the wagon in later prehistory https://www.academia[...] 1995
[63] 웹사이트 Cauldron Ornament https://www.clevelan[...] 2022-04-12
[64] 서적 Bronze Age Fortresses in Europe https://www.academia[...] Verlag Dr. Rudolf Habelt GmbH, Bonn 2019
[65] 학위논문 From bronze to iron : The occurrence of iron in the British later Bronze Age Edinburgh University 1984
[66] 웹사이트 Life and Belief in the Bronze Age: Belt Disc from Heegermühle https://artsandcultu[...]
[67] 웹사이트 Der Depotfund von Heegermühle bei Eberswalde http://www.askanier-[...]
[68] 논문 Connected Histories: the Dynamics of Bronze Age Interaction and Trade 1500–1100 bc https://www.academia[...] 2015-12
[69] 논문 The warrior aristocracy of the Late Bronze Age Urnfield Period in County Somogy, south-western Transdanubia. The Lengyeltóti V hoard https://akjournals.c[...] 2022-10-27
[70] 논문 The origins of money: Calculation of similarity indexes demonstrates the earliest development of commodity money in prehistoric Central Europe 2021-01
[7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European Bronze Ag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
[72] 서적 Weights and Marketplaces from the Bronze Age to the Early Modern Period https://www.academia[...] European Research Council 2019
[73] 학술지 The Earliest Balance Weights in the West: Towards an Independent Metrology for Bronze Age Europe 2019
[74] 서적 Gerätegeld Sichel. Studien zur monetären Struktur bronzezeitlicher Horte im nördlichen Mitteleuropa Vorgeschichtliche Forschungen Bd. 19 1994
[75] 웹사이트 Hoards" Halle State Museum of Prehistory https://www.landesmu[...] 2021-12-05
[76] 서적 Symbolgut Sichel. Studien zur Funktion spätbronzezeitlicher Griffzungensicheln in Depotfunden https://www.academia[...] Verlag Dr. Rudolf Habelt GmbH, Bonn 2013
[77] 서적 Gerätegeld Sichel https://books.google[...] de Gruyter 1994
[78] 서적 Bronze Age Connectivity in the Carpathian Basin https://www.academia[...] Editura Mega 2016
[79] 학술지 Calendars of the Bronze Age https://worldarchaeo[...] 2006
[80] 학술지 Interpreting a Bronze Age motif - Revisiting the hand signs of southern Scandinavia https://www.rockarts[...] 2020
[81] 서적 GEFJON 4 https://www.academia[...] Aarhus Univeritetsforlag 2019
[82] 서적 Gold und Kult der Bronzezeit https://archive.org/[...] Germanisches Nationalmuseum, Nuremberg
[83] 웹사이트 Mysterious gold cones 'hats of ancient wizards' https://www.telegrap[...] 2002-03-17
[84] 웹사이트 Life and Belief During the Bronze Age" Neues Museum, Berlin https://artsandcultu[...] 2022-03-13
[85] 웹사이트 Life and Belief During the Bronze Age" Neues Museum, Berlin https://artsandcultu[...] 2022-03-13
[86] 웹사이트 Golden Ceremonial Hat ("Berlin Gold Hat") https://artsandcultu[...]
[87] 학술지 Zahlensymbolik und digitales Rechnersystem in der Ornamentik des Berliner Goldhutes https://journals.ub.[...] 2008
[88] 서적 Gold und Kult der Bronzezeit https://archive.org/[...] Germanisches Nationalmuseum, Nuremberg
[89] 웹사이트 Life and Belief During the Bronze Age" Neues Museum, Berlin https://artsandcultu[...] 2022-03-13
[90] 웹사이트 Golden Ceremonial Hat ("Berlin Gold Hat") https://artsandcultu[...]
[91] 학술지 Himmelsscheibe, Sonnenwagen und Kalenderhüte - ein Versuch zur bronzezeitlichen Astronomie https://journals.ub.[...] 2008
[92] 서적 Fiskerton: Iron Age Timber Causeway with Iron Age and Roman Votive Offerings https://www.jstor.or[...] Oxbow Books 2003
[93] 웹사이트 Life and Belief During the Bronze Age" Neues Museum, Berlin https://artsandcultu[...] 2022-03-13
[94] 웹사이트 Ein Venus Kalender auf dem Berliner Goldhut (Schmidt-Kaler 2012) (A Venus calendar on the Berlin Gold Hat) https://www.quantenb[...] 2012
[95] 웹사이트 Schifferstadter Tagblatt 2012 https://www.knauf-mu[...]
[96] 웹사이트 Life and Belief During the Bronze Age" Neues Museum, Berlin https://artsandcultu[...] 2022-03-13
[97] 학술지 … nach Jahr und Tag– Bemerkungen über die Trundholm-Scheiben https://www.academia[...]
[98] 웹사이트 Goldene Hüte und Gewänder http://www.landschaf[...]
[99] 서적 The Golden Treasure from Szent Vid in Velem https://www.academia[...] Archaeolingua
[100] 웹사이트 Two appliqués https://www.nms.si/e[...] 2022
[101] 서적 Studies of Homeric Greece https://books.google[...] Charles University 2018
[102] 웹사이트 Dýšina-Nová Huť. Gold disc with hammered decoration, Tumulus culture (1650-1250 BC) https://www.zcm.cz/e[...]
[103] 웹사이트 Bronze Age gold belt with 'cosmological' designs unearthed in Czech beet field https://www.livescie[...] 2022
[104] 학술지 … nach Jahr und Tag– Bemerkungen über die Trundholm-Scheiben https://www.academia[...]
[105] 학술지 Himmelsscheibe, Sonnenwagen und Kalenderhüte - ein Versuch zur bronzezeitlichen Astronomie https://journals.ub.[...]
[106] 웹사이트 Golden Ceremonial Hat / Heegermühle disc https://artsandcultu[...]
[107] 웹사이트 Heegermühle belt disc https://artsandcultu[...]
[108] 논문 Calendars of the Bronze Age http://worldarchaeol[...]
[109] 논문 "Die gefangene Zeit". Vergleichende Untersuchungen zu den Kalenderamphoren von Seddin, Herzberg, Rorbaek, Unia und Gevelinghausen https://journals.ub.[...] 2008
[110] 논문 The Development of Embossed Goldwork in Bronze Age Europe https://www.cambridg[...]
[111] 서적 Beyond Stonehenge: Essays on the Bronze Age in honour of Colin Burgess https://www.academia[...] Oxbow Books
[112] 논문 Symbols of Atmospheric Phenomena in Bronze Age Depictions https://www.academia[...] 2015-Spring
[113] 웹사이트 Avanton Cone https://musee-archeo[...] Musée d'Archaeologie Nationale, Paris 2022-04-08
[114] 서적 The Golden Treasure from Szent Vid in Velem https://www.academia[...] Archaeolingua
[115] 웹사이트 Avanton Cone https://musee-archeo[...] Musée d'Archaeologie Nationale, Paris 2022-04-08
[116] 웹사이트 Two appliqués https://www.nms.si/e[...] 2022
[117] 웹사이트 Bronze Urn of Gevelinghausen https://www.megalith[...]
[118] 논문 Protohistoric metal-urn cremation burials (1400–100 BC): a pan-European phenomenon 2022-10
[119] 웹사이트 Princely Tomb of Seddin https://artsandcultu[...]
[120] 서적 Arbeitsberichte zur Bodendenkmalpflege in Brandenburg 33 Brandenburgisches Landesamt für Denkmalpflege und Archäologisches Landesmuseum 2018
[121] 논문 Protohistoric metal-urn cremation burials (1400–100 BC): a pan-European phenomenon 2022-10
[122] 논문 Feuerböcke und Mondidole aus Gräbern – Ein Beitrag zum Symbolgut der späten Bronze- und frühen Eisenzeit Mitteleuropas https://www.academia[...] 2009
[123] 논문 Houses of the Late Tumulus/Early Urnfield culture https://www.academia[...] 2005
[124] 웹사이트 Large Brooch https://www.metmuseu[...] 2022-04-09
[125] 서적 Gold und Kult der Bronzezeit Germanisches Nationalmuseum, Nuremberg
[126] 웹사이트 Diadem https://www.metmuseu[...] 2022-04-11
[127] 웹사이트 Le dépôt de Vaudrevange https://musee-archeo[...] 2022-04-09
[128] 웹사이트 Life and Belief During the Bronze Age" Neues Museum, Berlin https://artsandcultu[...] 2022-03-13
[129] 웹사이트 Hoard of bronze objects https://artsandcultu[...] 2022-03-13
[130] 웹사이트 Golden collar https://artsandcultu[...] 2022-03-13
[131] 웹사이트 Le dépôt de Blanot https://archeologie.[...] 2022-04-09
[132] 웹사이트 The Nebra Sky Disc: decoding a prehistoric vision of the cosmos https://i0.wp.com/th[...] 2022-05-25
[133] 웹사이트 Bowls of gold https://en.natmus.dk[...] 2022-04-12
[134] 웹사이트 Ritual Cauldron https://www.clevelan[...] 2018-10-31
[135] 웹사이트 Scientists discover 3,000-year-old baby bottle https://www.independ[...] 2019
[136] 문서 トシュチニェツ文化の記事を参照。ドイツが主導的立場にあった過去のヨーロッパの考古学界では、青銅器時代から鉄器時代への移行期の地方文化であるルサチア文化はゲルマン民族固有の文化であるという排他的見解が定説であった。ここにおいては、ゲルマン民族がこの時代にすでに成立していたという仮定が定着していた。これは、もともと骨壺墓地文化が墳墓文化の後継であることが主な理由であった。いっぽう、ポーランドの考古学界は、文化集団と言語集団はかならずしも同一でないという考えから、ルサチア文化はプロト・スラヴ人のうち西方由来の骨壺墓地文化の要素を広く受け入れた西部集団の文化だったのではないかという意見を提起していた。そして、のちには、プロト・スラヴ語(Proto-Slavic language)の文化であると推定される、ルサチア文化の先駆文化である青銅器時代文化のトシュチニェツ文化が発見される。プロト・スラヴ人は、のちにスラヴ語派を形成する要素となった諸文化の担い手で、現代にスラヴ人と呼ばれる諸民族の言語的・文化的・遺伝的先祖ではあるが、この時代にすでにスラヴ語派という言語集団をはっきりと形成していたとは限らない。したがって、ルサチア文化の言語はプロト・スラヴ語であると同時にプレ・ゲルマン語(Pre-Germanic language)の一部でもあった。ポーランドの考古学界の推測はこの見解に基づいていて、ルサチア文化は単にそういったプロト・スラヴ人諸文化のうちのひとつであっただろうというものである。実際のところ、ゲルマン語派の成立は骨壺墓地文化の後の時代の鉄器時代文化であるヤストルフ文化において、もと北部骨壺墓地文化であった地域(右上図参照)で紀元前5世紀という比較的新しい時代に起こったと推定されている。ルサチア文化の担い手の一部はウェネティ|ヴェネト人と呼ばれる集団として、ポーランドから南ヨーロッパや西ヨーロッパへ向かって移動していったと推定されている。また、この地に残った人々のルサチア文化と、その東方の、青銅器時代から鉄器時代へ早期に移行した文化で、北方の森林農耕文化と南方のステップ|草原遊牧文化の融合であるチェルノレス文化から西進してきた人々の文化(あるいはさらに、可能性としてはチェルノレス文化の北方の、森林狩猟文化であるミログラード文化も)が融合し、同じこの地に鉄器時代文化のポメラニア文化を発展していったことが、のちの調査で判明している。さらに、ポメラニア文化は、当時はまだ青銅器時代であったスウェーデン東部の青銅器文化との間での交易を通じてスウェーデン東部一帯を鉄器時代へと発展させる一方、地元ポーランドでは、西方のヤストルフ文化の影響を強く受けていた北部はゲルマン系の文化的色彩の強いオクシヴィエ文化へ、残りの地域は東方のザルビンツィ文化と酷似しスラヴ系の文化的色彩が強いプシェヴォルスク文化へと発展している。ポーランドでは現在でもこういった見解がもっとも妥当なものとして考えられている。が、特にドイツの考古学界からは、ポーランドの考古学界の見解は汎スラヴ主義|スラヴ帝国主義的であるとしてことごとく批判されていた。現在のドイツでも、ルサチア文化と、その東隣にあったスラヴ語派発展段階の中核文化との関係をまったく否定する人々が多数いる。
[137] 문서 球状アンフォラ文化、戦斧文化|縄目文土器文化、鐘状ビーカー文化、墳墓文化の記事を参照。
[138] 문서 のちにケルト人を形成することになる諸集団。
[139] 문서 文化と言語は一致しない。とくに、ひとつの文化集団のなかに複数の言語が存在する事例はよく見られる。
[140] 문서 ウェネティ語がイタリック語派のもととなった可能性が高いと言われている。
[141] 문서 この地のプロト・スラヴ人集団のうち他へ移住した諸集団が[[ウェネティ|ヴェネト人]]として一般に認識されたという可能性
[142] 논문 "Sound Change, the Italo-Celtic Linguistic Unity, and the Italian Homeland of Celtic" Oxbow Books 2016
[143] 저널 The Celts in Iberia: An Overview
[144] 서적 The Celts Penguin Books
[145]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Mouton Publishers
[146] 서적 The Celts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147] 서적 Old Celtic Languages http://www.univie.ac[...]
[148] 서적 The Celts Penguin Books
[149] 서적 Cornwall: A History University of Exeter Press 2017
[150] 서적 The Celts in Europe Sydney Series in Celtic Studies 2, Centre for Celtic Studies, University of Sydney
[151] 서적 Celtic from the West 2 - Prologue: The Earliest Hallstatt Iron Age cannot equal Proto-Celtic http://www.oxbowbook[...] Oxbow Books 2022-07-08
[152] 서적 "The End of the Bronze Age: Changes in Warfare and the Catastrophe Ca. 1200 B.C."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153] 서적 Vix et le phénomène princier https://una-editions[...] 2021-07
[154] 웹인용 Die bronzezeitliche Burg auf dem Ipf – Neue Forschungen zum Burgenbau und Krieg in der Bronzezeit https://www.academia[...] 2022-04-09
[155] 문서 Europe Before History
[156]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Mouton Publishers
[157] 문서 Europe Before History
[158] 웹인용 THE MARMESSE CUIRASS" Musee Archeologie Nationale https://musee-archeo[...] 2022-03-31
[159]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2011-08-25
[160] 웹인용 Hoards" Halle State Museum of Prehistory https://www.landesmu[...] 2021-12-05
[161] 서적 Gerätegeld Sichel https://books.google[...] de Gruyter 1994
[162] 서적 Symbolgut Sichel. Studien zur Funktion spätbronzezeitlicher Griffzungensicheln in Depotfunden https://www.academia[...] Verlag Dr. Rudolf Habelt GmbH, Bonn 2013
[163] 웹인용 Mysterious gold cones 'hats of ancient wizards' https://www.telegrap[...] 2021-12-05
[164] 웹인용 Life and Belief During the Bronze Age" Neues Museum, Berlin https://artsandcultu[...] 2022-03-13
[165] 저널 Zahlensymbolik und digitales Rechnersystem in der Ornamentik des Berliner Goldhutes https://journals.ub.[...] 2008
[166] 서적 Gold und Kult der Bronzezeit https://archive.org/[...] Germanisches Nationalmuseum, Nuremberg
[167] 저널 … nach Jahr und Tag– Bemerkungen über die Trundholm-Scheiben https://www.academia[...]
[168] 서적 The Golden Treasure from Szent Vid in Velem https://www.academia[...] Archaeolingua
[169] 서적 Gold und Kult der Bronzezeit https://archive.org/[...] Germanisches Nationalmuseum, Nuremberg
[170] 저널 The Gold Vessels of the Bronze Age in Ireland and Beyond https://www.jstor.or[...]
[171] 저널 The Development of Embossed Goldwork in Bronze Age Europe https://www.cambridg[...]
[172] 서적 Beyond Stonehenge: Essays on the Bronze Age in honour of Colin Burgess https://www.academia[...] Oxbow Books
[173] 서적 The Golden Treasure from Szent Vid in Velem https://www.academia[...] Archaeolingua
[174] 웹인용 Avanton Cone" Musée d'Archaeologie Nationale, Paris https://musee-archeo[...] 2022-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