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부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부르크는 독일 헤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성녀 엘리자베트 헝가리의 마지막 거처이자 묘소로 알려져 있다. 12세기부터 도시의 지위를 얻었으며, 쾰른과 프라하를 잇는 무역로와 북해에서 이탈리아로 향하는 무역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중세 시대부터 중요한 도시로 발전했다. 1228년 엘리자베트 헝가리가 마르부르크를 은거지로 선택하면서 도시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고, 1527년에는 마르부르크 대학교가 설립되어 개신교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현재 마르부르크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성 엘리자베스 교회, 방백의 성, 쿠겔 교회 등이 유명하다. 또한 필립스 마르부르크 대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 기관과 제약 산업이 발달해 경제적 기반을 다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부르크 - 마르부르크 회의
마르부르크 회의는 1529년 헤센의 필리프가 개신교 신자들의 통합을 위해 주도한 회의로, 성찬례에 대한 루터와 츠빙글리의 이견으로 결렬되었다. - 헤센주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헤센주 - 풀다
744년 풀다 수도원을 기반으로 발전한 독일 헤센주의 풀다는 카롤링거 왕조의 지원으로 종교·학문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종교 개혁과 전쟁을 거쳐 프로이센 왕국에 편입된 후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를 갖춘 도시로 발전했다. - 독일의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마르부르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면적 | 123.92 제곱킬로미터 |
일반 정보 | |
도시 종류 | 도시 |
위치 | 헤센주 |
군 | 마르부르크-비덴코프군 |
![]() | |
고도 | 173-412 미터 |
지역 코드 | 06421, 06420, 06424 |
차량 번호판 | MR |
행정 구역 | 25개 구역 |
우편 번호 | 35001-35043 |
정치 | |
시장 | 토마스 슈피스 |
시장 임기 | 2021–27 |
시장 직함 | 오버뷔르거마이스터 (Oberbürgermeister, 상급 시장) |
소속 정당 | SPD |
통계 | |
인구 | 76,000명 |
인구 밀도 | 610 명/제곱킬로미터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마르부르크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성녀 헤센의 엘리자베트의 마지막 거처이자 묘소로 알려진 오래된 도시 마르부르크는 옛 성 아래 산기슭에 구불구불하고 경사진 지형에 자리 잡고 있다. 200년도 더 전에 마르부르크 교수 요한 하인리히 융-슈틸링은 이 도시의 환경을 "아름답고, 매우 쾌적하다"고 칭찬했다.
수 세기 동안 마르부르크 성을 정점으로 둔 구시가지의 거리 풍경과 란 강 계곡에 우뚝 솟은 엘리자베트 교회는 도시의 본질적인 구성 요소로서 거의 변하지 않았으며, 마르부르크에 특징적인 외관과 관광상의 매력을 부여하고 있다.
== 초기 역사 ==
마르부르크는 쾰른과 프라하를 연결하는 무역로와 북해에서 알프스를 거쳐 이탈리아로 가는 무역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중세 시대부터 중요한 도시로 발전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은 란 강을 건너는 지점에 위치한 덕분이었다.[4] 822년 ''[https://www.marburg800.de/jubilaeum/marburg800.html 라인하르츠브루너 연대기]''에 최초로 언급되었으며, 9세기 또는 10세기경 기소(Giso)가 건설한 작은 성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성되었고, 관세가 징수되었다. 1140년부터 도시의 지위를 얻었으며, 이는 주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 마르부르크는 기소 가문에서 튀링겐의 백작들에게 넘어갔다.[4]
마르부르크 주변의 최초 정착 흔적은 약 5만 년 전 구석기 시대 중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란베르크[22], 노이헤펜과 담뮐레 사이[23]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이 시대의 정착지였음을 보여준다. 신석기 시대의 수많은 증거도 발견되었는데 사냥꾼과 채집민, 농경민에게 비옥한 아메네부르거 분지가 매력적인 기반을 제공했다. 선상문토기 문화는 이 시대의 정착을 보여준다.[24] 청동기 시대에도 문화적 다양성이 있었으며, 단장묘 문화, 끈무늬 토기 문화, 종형 비커 문화의 출토품이 발견되었다.[25] 샨첸코프 근처의 초승달 모양 방어 시설을 갖춘 유적은 서기 700년경의 취락 유적으로 메로빙거 왕조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성채 시설의 첫 맹아는 9세기부터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138년 또는 1139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하며, 1222년에 "도시"로 처음 기록되었다. 주민들은 인근의 알덴츠하우젠, 라머스바흐, 발퍼츠하우젠, 이베른하우젠, 빌만스도르프 등에서 마르부르크로 이주했다. 바이덴하우젠과 차르바흐는 포어슈타트(위성 도시)가 되었다.[26]
1228년, 튀링겐 방백비엘리자베트가 마르부르크를 은거지로 선택하면서 도시는 더욱 중요해졌다. 그녀는 병원을 건설하고 병자와 장애인을 돌보는 데 헌신했다. 1231년 24세의 나이로 사망했지만, 현재까지도 마르부르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1235년 성녀로 시성되었으며, 독일 기사단은 같은 해 그녀의 묘 위에 독일 최초의 순수 고딕 교회인 성 엘리자베스 교회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그녀의 묘는 유럽 각지에서 온 순례객들의 발길을 끌어모았고, 이는 마르부르크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헤센의 수도 ==
1264년, 성 엘리자베스의 딸인 조피는 튀링겐에 속해 있던 헤센 방백국을 아들 헨리에게 물려주는 데 성공했다.[5] 마르부르크는 카셀과 함께 1540년까지 헤센의 수도 중 하나였다. 방백국의 첫 번째 분할 이후, 1485년부터 1500년까지, 그리고 1567년에서 1605년 사이에 다시 헤센-마르부르크의 수도였다.[5] 헤센은 독일에서 강력한 2등급 공국 중 하나였으며, "오랜 적"은 여러 전쟁과 갈등에서 탐나는 영토를 놓고 경쟁했던 마인츠 대주교구였다.[5]
1248년부터 1604년까지, 여러 차례의 중단을 거치면서 마르부르크는 헤센-마르부르크 방백의 궁정 소재지였다. 1247년 튀링겐 방백이 단절된 후, 방백령은 먼저 베틴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그러나 성 엘리자베스의 딸 조피 폰 브라반트는 이 해에 프리츠라 근교의 마더 하이데에서, 세 살 된 자신의 아들 하인리히를 방백이라고 선언했고, 이듬해 1248년 마르부르크 시민들은 그녀와 하인리히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헤센-튀링겐 계승 전쟁(1247년 - 1264년)의 결과, 조피는 아들을 위해 헤센의 독립을 쟁취했다. 새로운 헤센 방백의 초대 영주는 1292년 로마왕(독일 왕) 아돌프 폰 나사우에 의해 제국 제후로 임명되었고, 이로써 헤센 방백은 공식적으로 법적 정당성을 인정받았다.[27] 이러한 승인을 위한 노력은 특히 도시를 수도로 개조하거나, 현재의 오버슈타트를 둘러싼 성벽 확장을 동반하는 방어 시설의 충실에 나타났다.[27] 1250년경, 포어슈타트의 비덴하우젠에 란 강을 건너는 석교가 놓이면서, 본 시로의 통행이 개선되었다.[27] 성 엘리자베트 교회는 건설 시작으로부터 48년이 지난 1283년 5월 1일에 완공되었다.[27] 다만, 두 개의 탑 완공에는 그 후 약 50년이 더 소요되었다. 도시는 계속 성장했고, 마르부르크 시민들은 훌륭한 건조물을 원했다. 이리하여 성 킬리안 예배당을 대신하여 성 마리아 교회가, 성관 부속 교회, 성 엘리자베트 교회 다음으로 세 번째 교회로 건조되었다. 그 고딕 양식의 내진은 1297년에 완성되었다. 또한, 발퓌서 문에 있는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이나 바이덴호이저 다리의 도미니코회 수도원 등의 수도원도 창설되었다.[27]
1308년 하인리히 1세가 사망하자, 방백령은 오버헤센(상 헤센)과 니더헤센(하 헤센)으로 분할되었다.[27] 카셀을 수도로 하고, 홈베르크 (에프체), 멜중겐, 로텐부르크 안 데어 풀다를 포함하는 니더헤센은 요한이 상속받았고, 오토 1세는 마르부르크, 기센, 퓌센, 알스펠트 주변의 오버헤센을 영유했다. 그러나 요한은 1311년에 사망했고, 오토 1세는 두 지역을 다시 통합했다. 궁정은 카셀과 마르부르크를 번갈아 오가게 되었고, 마르부르크는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을 잃어갔다. 1319년, 마르부르크 거의 전역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오토 1세는 마인츠 대주교와 긴 페오데를 벌였다. 이 페오데는 아들 하인리히 2세와 조카 헤르만 2세에게 이어져, 슈테르너 전쟁으로 이어졌다. 오토 1세 사망 직후, 1330년에 하인리히 2세는 방백의 성에 대홀을 건설했다. 이 퓌르스텐잘은 고딕 양식의 세속 건축물 방 중 독일 최대 규모이다. 전쟁의 진행에 따라 이동하는 병사들에 의해 1348년부터 1349년까지 마르부르크에 페스트가 발생했다. 슈테른 기사 동맹과의 분쟁 말기, 치겐 백작이 이끄는 기사 동맹군은 1373년에 마르부르크의 성과 도시를 공략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헤르만 2세의 아들인 루트비히 1세 사후, 1458년부터 1500년까지 방백령은 다시 분할되었다. 하인리히 3세는 1458년부터 1483년까지, 빌헬름 3세가 1483년부터 1500년까지 마르부르크를 통치했다. 빌헬름 3세가 자녀 없이 사망한 후, 아버지 빌헬름 2세에 의해 방백령은 다시 통합되었다.[27]
== 종교 개혁과 낭만주의 ==
1527년 헤센 방백 필리프 1세에 의해 설립된 마르부르크 대학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개신교 대학교이다.[29] 1529년, 필리프 1세는 마르틴 루터와 울리히 츠빙글리를 중재하기 위해 마르부르크 회의를 주선했다. 이 회담은 보름스 칙령 이후 공동 활동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성찬례에 대한 해석 차이로 인해 루터와 츠빙글리 간의 이견이 드러났다.
1567년 필리프 1세의 사망 이후, 헤센 방백령은 4명의 아들들에게 분할 상속되었고, 이후 상속 분쟁과 종교적 대립(개혁파 vs 루터교)이 수십 년간 지속되었다. 1623년 30년 전쟁 기간 동안 틸리 백작의 군대에 의해 일시 점령되기도 했다. 1645년 카셀 방백비 아말리에 엘리자베트는 마르부르크를 포위하며 헤센 전쟁을 일으켰고, 1648년 카셀 측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이후 마르부르크는 카셀 측에 속하게 되었고, 그 중요성은 감소하여 지방 행정 도시 또는 방위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18세기 동안 마르부르크는 낭만주의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 시기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아힘 폰 아르님, 클레멘스 브렌타노, 베티나 폰 아르님, 그림 형제 등 많은 낭만주의 지도자들이 마르부르크에서 활동하며 문학, 어문학, 민속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림 형제는 마르부르크에서 많은 동화를 수집했으며, 오토 우벨로데는 동화 판본의 삽화를 그렸다.
1708년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안경 공장 중 하나인 마르부르거 아우겐옵티커 운켈(마르부르크 운켈 안경)이 개업했다.
1850년 카셀-마르부르크 선 철도가 개통되었고, 1852년 프랑크푸르트암마인까지 연장되면서(마인-베저 철도) 마르부르크는 란 강 동쪽 도시 발전에 큰 영향을 받았다.
마르부르크는 엘리자베트 헝가리의의 성인과 성 엘리자베트 교회 건설(1235년)로 종교적 중요성을 띄기 시작하여 로마,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와 함께 유럽의 주요 순례지 중 하나였다.[29] 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 대학교가 설립되면서 종교적 다양성이 확대되었다. 현재 마르부르크에는 쿠르헤센-발데크 개신교 교회 소속 9개 교회당(성 엘리자베스 교회, 대학교회 등),[31] 풀다 교구 소속 3개 로마 가톨릭 교회 조직, 그리고 다양한 자유 교회 및 교단들이 존재한다.[30][32][33]
== 프로이센 시대와 20세기 ==
1866년 보오전쟁에서 헤센 선제후가 오스트리아를 지지했으나, 프로이센이 승리하여 마인강 북쪽의 헤센 선제후국을 병합했다. 그러나 친 오스트리아적인 헤센-다름슈타트는 독립을 유지했다. 프로이센은 마르부르크를 헤센-나사우 주의 주요 행정 중심지이자 마르부르크 대학교를 지역 학술 중심지로 지정하여, 마르부르크는 행정 및 대학 도시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 프로이센의 대학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기에, 마르부르크는 많은 학자들을 끌어모았다. 하지만 산업이 거의 없어 학생, 교수, 공무원이 도시를 지배했다.
프로이센 병합 이후, 도시는 란 강 좌안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1900년 이후에는 농지였던 란 강 좌안의 토지도 주택 건설에 사용되었다. 란 강 양안을 연결하는 다리로는 13세기의 바이덴호이저 다리, 1723년의 엘리자베트 다리 (후에 반호프 다리), 1892년의 슈첸프풀 다리가 있었고, 4개의 목조 다리도 가설되었다.
1934년 6월 17일, 독일 부총리 프란츠 폰 파펜은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반 나치 연설을 했다.[6] 1933년 NSDAP(나치)는 1933년 3월 독일 국회 선거에서 시 선거구에서 57.6%를 획득하여 강제적 동일화를 통해 시의 모든 단체와 조직에 엄격하게 대처하고 분서를 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란츠 폰 파펜의 연설은 나치에 대한 마지막 공식 비판 연설이었다. 1938년 마르부르크의 시나고그는 돌격대에 의해 파괴되었고, 1942년까지 유대인들은 모두 도망가거나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마르부르크 시 전체는 병원으로 바뀌었으며, 학교와 정부 건물들이 병동으로 개조되었다. 1945년 봄까지 2만 명이 넘는 부상당한 독일 군인이 병원에 있었다. 병원 도시로 지정되고 중요한 산업 시설이 부족했기 때문에 철로변을 제외하고는 폭격 피해가 거의 없었다. 1945년 2월 22일의 폭격으로 중앙역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대학의 화학 연구소, 병원의 많은 건물, 오르텐베르크의 기마 홀도 파괴되었다.
1945년 3월, 미국 육군 제1군 제7 기갑 사단이 마르부르크를 점령했다. 1945년 5월, 기념물, 미술 및 기록 보관소 장교 워커 핸콕은 마르부르크 주립 기록 보관소에 중앙 수집 지점을 설치했다.[7] 그러나 수용 능력 부족으로 1년 후 비스바덴 수집 지점을 선호하여 폐쇄되었다.[7] 1946년 8월 파울 폰 힌덴부르크의 석관을 엘리자베스 교회로 옮기면서 프로젝트는 종료되었다. 붉은 군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옮겨졌던 프로이센 왕들의 유해도 마르부르크를 거쳐 현재 위치에 안치되었다.
마르부르크는 수 세기 동안 군대의 주둔지였다. 프로이센 병합 후, 마르부르크는 프로이센군 제11엽병 대대의 주둔지가 되었고, 1868년 예거 병영이 건설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군 제15 보병 연대 교육 대대가 배치되었고, 1930년대에는 탄넨베르크 병영 등 새로운 병영이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미군과 프랑스군이 병영을 사용하다가, 독일 연방군이 인수하여 제2 엽병 사단 등이 주둔했다. 1990년대 동서독일 재통일 및 연방군 재편 후, 병영들은 폐지되어 산업 지역으로 전환되었다.
== 1945년 이후 ==
1945년 이후 마르부르크는 전쟁 난민으로 인한 인구 증가, 대학의 성장, 그리고 제약 산업의 발전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8] 역사적인 도시는 쇠퇴의 위기에 처했으나, 1972년부터 시작된 구시가지 복원 사업을 통해 역사적 건축물이 복원되면서 도시 경관이 개선되었다.[8]
1974년 7월 1일, 헤센 주의 지역 재편으로 마르부르크는 군 독립시 지위를 잃고 새롭게 창설된 마르부르크-비덴코프 군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주변 18개 읍면이 병합되면서 면적은 5배, 인구는 70,922명으로 증가했다. 1991년에는 비겐 거리 부지 매입을 통해 마르부르크-미테 지구의 재개발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1980년대부터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같은 해, 독일 연방군 마르부르크 주둔지가 폐지되면서 경제적 보충을 위한 대규모 개조 계획이 필요하게 되었다.
마르부르크 대학교는 3,900명 이상의 직원과 21,000명의 학생을 보유하며 도시의 중요한 경제적 요소로 남아있다. 민영화되어 기센 대학교 병원과 통합된 마르부르크 대학교 병원은 4,2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2009년 5월 25일, 마르부르크는 연방 정부로부터 "다양성의 도시"라는 칭호를 받았다.[28]
마르부르크는 수 세기 동안 군대의 주둔지였다. 프로이센의 헤센 선제후령 병합에 따라 마르부르크는 프로이센군 제11엽병 대대의 주둔지가 되었고, 1868년에는 예거 병영이 건설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군 제15 보병 연대 교육 대대가 배치되었고, 1930년대에는 새로운 병영이 건설되었다. 1937년에는 신 예거 병영과 탄넨베르크 병영이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1945년부터 1950년까지 미군이, 1951년부터 1956년까지 프랑스군이 두 병영을 이용했다. 이후 독일 연방군이 주둔지를 인수하여 제2 엽병 사단, 제2 통신 대대, 제2 위생 대대, 헌병 중대 등이 배치되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롤랜드 대공 방어 시스템이 배치된 대공 방어 병영도 건설되었다.
동서독일 재통일 및 연방군 재편 후, 1990년대 중후반에 두 병영은 폐지되어 산업 지역으로 전환되었다.
1931년 1월 1일, 오커스하우젠이 마르부르크에 합병되었다. 1974년 7월 1일, 헤센 주의 지역 재편으로 마르부르크는 마르부르크군, 비덴코프군과 합병하여 새로운 마르부르크-비덴코프군이 되었고, 동시에 여러 지역이 마르부르크의 지구가 되었다.
2. 1. 초기 역사
마르부르크는 쾰른과 프라하를 연결하는 무역로와 북해에서 알프스를 거쳐 이탈리아로 가는 무역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중세 시대부터 중요한 도시로 발전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은 란 강을 건너는 지점에 위치한 덕분이었다.[4] 822년 ''[https://www.marburg800.de/jubilaeum/marburg800.html 라인하르츠브루너 연대기]''에 최초로 언급되었으며, 9세기 또는 10세기경 기소(Giso)가 건설한 작은 성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성되었고, 관세가 징수되었다. 1140년부터 도시의 지위를 얻었으며, 이는 주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 마르부르크는 기소 가문에서 튀링겐의 백작들에게 넘어갔다.[4]마르부르크 주변의 최초 정착 흔적은 약 5만 년 전 구석기 시대 중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란베르크[22], 노이헤펜과 담뮐레 사이[23]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이 시대의 정착지였음을 보여준다. 신석기 시대의 수많은 증거도 발견되었는데 사냥꾼과 채집민, 농경민에게 비옥한 아메네부르거 분지가 매력적인 기반을 제공했다. 선상문토기 문화는 이 시대의 정착을 보여준다.[24] 청동기 시대에도 문화적 다양성이 있었으며, 단장묘 문화, 끈무늬 토기 문화, 종형 비커 문화의 출토품이 발견되었다.[25] 샨첸코프 근처의 초승달 모양 방어 시설을 갖춘 유적은 서기 700년경의 취락 유적으로 메로빙거 왕조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성채 시설의 첫 맹아는 9세기부터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138년 또는 1139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하며, 1222년에 "도시"로 처음 기록되었다. 주민들은 인근의 알덴츠하우젠, 라머스바흐, 발퍼츠하우젠, 이베른하우젠, 빌만스도르프 등에서 마르부르크로 이주했다. 바이덴하우젠과 차르바흐는 포어슈타트(위성 도시)가 되었다.[26]
1228년, 튀링겐 방백비엘리자베트가 마르부르크를 은거지로 선택하면서 도시는 더욱 중요해졌다. 그녀는 병원을 건설하고 병자와 장애인을 돌보는 데 헌신했다. 1231년 24세의 나이로 사망했지만, 현재까지도 마르부르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1235년 성녀로 시성되었으며, 독일 기사단은 같은 해 그녀의 묘 위에 독일 최초의 순수 고딕 교회인 성 엘리자베스 교회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그녀의 묘는 유럽 각지에서 온 순례객들의 발길을 끌어모았고, 이는 마르부르크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 2. 헤센의 수도
1264년, 성 엘리자베스의 딸인 조피는 튀링겐에 속해 있던 헤센 방백국을 아들 헨리에게 물려주는 데 성공했다.[5] 마르부르크는 카셀과 함께 1540년까지 헤센의 수도 중 하나였다. 방백국의 첫 번째 분할 이후, 1485년부터 1500년까지, 그리고 1567년에서 1605년 사이에 다시 헤센-마르부르크의 수도였다.[5] 헤센은 독일에서 강력한 2등급 공국 중 하나였으며, "오랜 적"은 여러 전쟁과 갈등에서 탐나는 영토를 놓고 경쟁했던 마인츠 대주교구였다.[5]1248년부터 1604년까지, 여러 차례의 중단을 거치면서 마르부르크는 헤센-마르부르크 방백의 궁정 소재지였다. 1247년 튀링겐 방백이 단절된 후, 방백령은 먼저 베틴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그러나 성 엘리자베스의 딸 조피 폰 브라반트는 이 해에 프리츠라 근교의 마더 하이데에서, 세 살 된 자신의 아들 하인리히를 방백이라고 선언했고, 이듬해 1248년 마르부르크 시민들은 그녀와 하인리히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헤센-튀링겐 계승 전쟁(1247년 - 1264년)의 결과, 조피는 아들을 위해 헤센의 독립을 쟁취했다. 새로운 헤센 방백의 초대 영주는 1292년 로마왕(독일 왕) 아돌프 폰 나사우에 의해 제국 제후로 임명되었고, 이로써 헤센 방백은 공식적으로 법적 정당성을 인정받았다.[27] 이러한 승인을 위한 노력은 특히 도시를 수도로 개조하거나, 현재의 오버슈타트를 둘러싼 성벽 확장을 동반하는 방어 시설의 충실에 나타났다.[27] 1250년경, 포어슈타트의 비덴하우젠에 란 강을 건너는 석교가 놓이면서, 본 시로의 통행이 개선되었다.[27] 성 엘리자베트 교회는 건설 시작으로부터 48년이 지난 1283년 5월 1일에 완공되었다.[27] 다만, 두 개의 탑 완공에는 그 후 약 50년이 더 소요되었다. 도시는 계속 성장했고, 마르부르크 시민들은 훌륭한 건조물을 원했다. 이리하여 성 킬리안 예배당을 대신하여 성 마리아 교회가, 성관 부속 교회, 성 엘리자베트 교회 다음으로 세 번째 교회로 건조되었다. 그 고딕 양식의 내진은 1297년에 완성되었다. 또한, 발퓌서 문에 있는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이나 바이덴호이저 다리의 도미니코회 수도원 등의 수도원도 창설되었다.[27]
1308년 하인리히 1세가 사망하자, 방백령은 오버헤센(상 헤센)과 니더헤센(하 헤센)으로 분할되었다.[27] 카셀을 수도로 하고, 홈베르크 (에프체), 멜중겐, 로텐부르크 안 데어 풀다를 포함하는 니더헤센은 요한이 상속받았고, 오토 1세는 마르부르크, 기센, 퓌센, 알스펠트 주변의 오버헤센을 영유했다. 그러나 요한은 1311년에 사망했고, 오토 1세는 두 지역을 다시 통합했다. 궁정은 카셀과 마르부르크를 번갈아 오가게 되었고, 마르부르크는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을 잃어갔다. 1319년, 마르부르크 거의 전역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오토 1세는 마인츠 대주교와 긴 페오데를 벌였다. 이 페오데는 아들 하인리히 2세와 조카 헤르만 2세에게 이어져, 슈테르너 전쟁으로 이어졌다. 오토 1세 사망 직후, 1330년에 하인리히 2세는 방백의 성에 대홀을 건설했다. 이 퓌르스텐잘은 고딕 양식의 세속 건축물 방 중 독일 최대 규모이다. 전쟁의 진행에 따라 이동하는 병사들에 의해 1348년부터 1349년까지 마르부르크에 페스트가 발생했다. 슈테른 기사 동맹과의 분쟁 말기, 치겐 백작이 이끄는 기사 동맹군은 1373년에 마르부르크의 성과 도시를 공략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헤르만 2세의 아들인 루트비히 1세 사후, 1458년부터 1500년까지 방백령은 다시 분할되었다. 하인리히 3세는 1458년부터 1483년까지, 빌헬름 3세가 1483년부터 1500년까지 마르부르크를 통치했다. 빌헬름 3세가 자녀 없이 사망한 후, 아버지 빌헬름 2세에 의해 방백령은 다시 통합되었다.[27]
2. 3. 종교 개혁과 낭만주의
1527년 헤센 방백 필리프 1세에 의해 설립된 마르부르크 대학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개신교 대학교이다.[29] 1529년, 필리프 1세는 마르틴 루터와 울리히 츠빙글리를 중재하기 위해 마르부르크 회의를 주선했다. 이 회담은 보름스 칙령 이후 공동 활동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성찬례에 대한 해석 차이로 인해 루터와 츠빙글리 간의 이견이 드러났다.1567년 필리프 1세의 사망 이후, 헤센 방백령은 4명의 아들들에게 분할 상속되었고, 이후 상속 분쟁과 종교적 대립(개혁파 vs 루터교)이 수십 년간 지속되었다. 1623년 30년 전쟁 기간 동안 틸리 백작의 군대에 의해 일시 점령되기도 했다. 1645년 카셀 방백비 아말리에 엘리자베트는 마르부르크를 포위하며 헤센 전쟁을 일으켰고, 1648년 카셀 측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이후 마르부르크는 카셀 측에 속하게 되었고, 그 중요성은 감소하여 지방 행정 도시 또는 방위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18세기 동안 마르부르크는 낭만주의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 시기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아힘 폰 아르님, 클레멘스 브렌타노, 베티나 폰 아르님, 그림 형제 등 많은 낭만주의 지도자들이 마르부르크에서 활동하며 문학, 어문학, 민속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림 형제는 마르부르크에서 많은 동화를 수집했으며, 오토 우벨로데는 동화 판본의 삽화를 그렸다.
1708년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안경 공장 중 하나인 마르부르거 아우겐옵티커 운켈(마르부르크 운켈 안경)이 개업했다.
1850년 카셀-마르부르크 선 철도가 개통되었고, 1852년 프랑크푸르트암마인까지 연장되면서(마인-베저 철도) 마르부르크는 란 강 동쪽 도시 발전에 큰 영향을 받았다.
마르부르크는 엘리자베트 헝가리의의 성인과 성 엘리자베트 교회 건설(1235년)로 종교적 중요성을 띄기 시작하여 로마,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와 함께 유럽의 주요 순례지 중 하나였다.[29] 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 대학교가 설립되면서 종교적 다양성이 확대되었다. 현재 마르부르크에는 쿠르헤센-발데크 개신교 교회 소속 9개 교회당(성 엘리자베스 교회, 대학교회 등),[31] 풀다 교구 소속 3개 로마 가톨릭 교회 조직, 그리고 다양한 자유 교회 및 교단들이 존재한다.[30][32][33]
2. 4. 프로이센 시대와 20세기
1866년 보오전쟁에서 헤센 선제후가 오스트리아를 지지했으나, 프로이센이 승리하여 마인강 북쪽의 헤센 선제후국을 병합했다. 그러나 친 오스트리아적인 헤센-다름슈타트는 독립을 유지했다. 프로이센은 마르부르크를 헤센-나사우 주의 주요 행정 중심지이자 마르부르크 대학교를 지역 학술 중심지로 지정하여, 마르부르크는 행정 및 대학 도시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 프로이센의 대학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기에, 마르부르크는 많은 학자들을 끌어모았다. 하지만 산업이 거의 없어 학생, 교수, 공무원이 도시를 지배했다.프로이센 병합 이후, 도시는 란 강 좌안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1900년 이후에는 농지였던 란 강 좌안의 토지도 주택 건설에 사용되었다. 란 강 양안을 연결하는 다리로는 13세기의 바이덴호이저 다리, 1723년의 엘리자베트 다리 (후에 반호프 다리), 1892년의 슈첸프풀 다리가 있었고, 4개의 목조 다리도 가설되었다.
1934년 6월 17일, 독일 부총리 프란츠 폰 파펜은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반 나치 연설을 했다.[6] 1933년 NSDAP(나치)는 1933년 3월 독일 국회 선거에서 시 선거구에서 57.6%를 획득하여 강제적 동일화를 통해 시의 모든 단체와 조직에 엄격하게 대처하고 분서를 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란츠 폰 파펜의 연설은 나치에 대한 마지막 공식 비판 연설이었다. 1938년 마르부르크의 시나고그는 돌격대에 의해 파괴되었고, 1942년까지 유대인들은 모두 도망가거나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마르부르크 시 전체는 병원으로 바뀌었으며, 학교와 정부 건물들이 병동으로 개조되었다. 1945년 봄까지 2만 명이 넘는 부상당한 독일 군인이 병원에 있었다. 병원 도시로 지정되고 중요한 산업 시설이 부족했기 때문에 철로변을 제외하고는 폭격 피해가 거의 없었다. 1945년 2월 22일의 폭격으로 중앙역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대학의 화학 연구소, 병원의 많은 건물, 오르텐베르크의 기마 홀도 파괴되었다.
1945년 3월, 미국 육군 제1군 제7 기갑 사단이 마르부르크를 점령했다. 1945년 5월, 기념물, 미술 및 기록 보관소 장교 워커 핸콕은 마르부르크 주립 기록 보관소에 중앙 수집 지점을 설치했다.[7] 그러나 수용 능력 부족으로 1년 후 비스바덴 수집 지점을 선호하여 폐쇄되었다.[7] 1946년 8월 파울 폰 힌덴부르크의 석관을 엘리자베스 교회로 옮기면서 프로젝트는 종료되었다. 붉은 군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옮겨졌던 프로이센 왕들의 유해도 마르부르크를 거쳐 현재 위치에 안치되었다.
마르부르크는 수 세기 동안 군대의 주둔지였다. 프로이센 병합 후, 마르부르크는 프로이센군 제11엽병 대대의 주둔지가 되었고, 1868년 예거 병영이 건설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군 제15 보병 연대 교육 대대가 배치되었고, 1930년대에는 탄넨베르크 병영 등 새로운 병영이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미군과 프랑스군이 병영을 사용하다가, 독일 연방군이 인수하여 제2 엽병 사단 등이 주둔했다. 1990년대 동서독일 재통일 및 연방군 재편 후, 병영들은 폐지되어 산업 지역으로 전환되었다.
2. 5. 1945년 이후
1945년 이후 마르부르크는 전쟁 난민으로 인한 인구 증가, 대학의 성장, 그리고 제약 산업의 발전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8] 역사적인 도시는 쇠퇴의 위기에 처했으나, 1972년부터 시작된 구시가지 복원 사업을 통해 역사적 건축물이 복원되면서 도시 경관이 개선되었다.[8]1974년 7월 1일, 헤센 주의 지역 재편으로 마르부르크는 군 독립시 지위를 잃고 새롭게 창설된 마르부르크-비덴코프 군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주변 18개 읍면이 병합되면서 면적은 5배, 인구는 70,922명으로 증가했다. 1991년에는 비겐 거리 부지 매입을 통해 마르부르크-미테 지구의 재개발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1980년대부터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같은 해, 독일 연방군 마르부르크 주둔지가 폐지되면서 경제적 보충을 위한 대규모 개조 계획이 필요하게 되었다.
마르부르크 대학교는 3,900명 이상의 직원과 21,000명의 학생을 보유하며 도시의 중요한 경제적 요소로 남아있다. 민영화되어 기센 대학교 병원과 통합된 마르부르크 대학교 병원은 4,2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2009년 5월 25일, 마르부르크는 연방 정부로부터 "다양성의 도시"라는 칭호를 받았다.[28]
마르부르크는 수 세기 동안 군대의 주둔지였다. 프로이센의 헤센 선제후령 병합에 따라 마르부르크는 프로이센군 제11엽병 대대의 주둔지가 되었고, 1868년에는 예거 병영이 건설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군 제15 보병 연대 교육 대대가 배치되었고, 1930년대에는 새로운 병영이 건설되었다. 1937년에는 신 예거 병영과 탄넨베르크 병영이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1945년부터 1950년까지 미군이, 1951년부터 1956년까지 프랑스군이 두 병영을 이용했다. 이후 독일 연방군이 주둔지를 인수하여 제2 엽병 사단, 제2 통신 대대, 제2 위생 대대, 헌병 중대 등이 배치되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롤랜드 대공 방어 시스템이 배치된 대공 방어 병영도 건설되었다.
동서독일 재통일 및 연방군 재편 후, 1990년대 중후반에 두 병영은 폐지되어 산업 지역으로 전환되었다.
1931년 1월 1일, 오커스하우젠이 마르부르크에 합병되었다. 1974년 7월 1일, 헤센 주의 지역 재편으로 마르부르크는 마르부르크군, 비덴코프군과 합병하여 새로운 마르부르크-비덴코프군이 되었고, 동시에 여러 지역이 마르부르크의 지구가 되었다.
3. 지리
## 위치
마르부르크는 헤센주 중부에 위치하며,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과 카셀의 거의 중간 지점에 해당한다. 두 도시까지의 직선 거리는 모두 약 77km이다. 인근의 대학 도시 기센은 남쪽으로 약 27km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라안강에 접해있다.[9][10] 연방 도로 Bundesstraße 3는 기센과 카셀을 연결한다. 마르부르크 (라안) 역과 마르부르크 쥐트 역에서 열차가 운행된다.
마르부르크는 지형상 부르크발트의 남서 지맥인 마르부르크 산지에 위치해 있으며, 남북으로 란 강 계곡이 이를 관통하고 있다. 서쪽은 에른하우젠-미헬바흐 분지를 경계로 그라덴바흐 산지, 즉 라인 셰이퍼 산지에 접한 담스호이저 쿠펜에 닿아 있다. 동쪽은 그 일부가 시역에 포함된 아메네부르거 분지에 접한다.
마르부르크에서 가장 높은 산은 시의 서쪽에 있는 딜슈하우젠 지구 북서쪽의 해발 412m의 슈테르너 산이다. 최저 지점은 시의 남부 란 강으로, 해발 173m이다.
주요 거주 구역의 남북 최대 폭은 약 9km(북쪽의 베어다부터 남쪽의 카펠까지), 동서 폭은 4km(서쪽의 마르바흐부터 동쪽의 오르텐베르크까지) 또는 4.5km(서쪽의 슈타트발트부터 동쪽의 리히츠베르크까지)이지만, 대부분은 란 강 계곡 폭에 맞춰 이보다 좁아진다. 마르부르거 란탈 분지의 서쪽은 구시가지와 기타 주택지가 있는 마르부르거 뤼켄, 동쪽은 그 위에 대학 병원과 몇몇 연구 시설이 있는 란베르크로 이어진다.
역사적인 구시가지는 현재 시 중심부 서쪽, 방백 성(마르부르크 성)의 기슭에 있다. 란 강 건너편, 과거 피혁 가공업자 마을이었던 위성 집락 바이덴하우젠에도 구시가지의 흔적이 남아 있다. 마르부르크는 그 중심을 최근 2세기 동안 구시가지에서 아래쪽 란 강 계곡으로 확장해 왔다. 성 남쪽에는 유겐트 양식 건축물이 모여 있는 쥐트피어텔이 있으며, 그 서쪽에 1931년에 합병된 오커스하우젠이 위치해 있다. 핵심 지구 바로 서쪽은 오르텐베르크가 철도로 시내 중심과 분리되어 있다. 구시가지의 가장 남쪽 고지에는 1960년대에 개발된 고층 주택 지구 리히츠베르크가 있다.
1974년의 지역 재편으로 대규모 지구인 마르바흐(북서), 베어다(북), 카펠(남)이 합병되었다.
마르부르크는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다음의 시, 자치시, 자치구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란탈, 케르베, 키르히하임, 엡스도르퍼그룬트, 바이마르 (란), 그라덴바흐, 다우트페탈.
## 도시 구성
마르부르크는 기센에서 북쪽으로 25km 떨어진 라안강에 위치해 있으며, 연방 도로 Bundesstraße 3가 기센과 카셀을 연결한다.[9][10] 마르부르크 (라안) 역과 마르부르크 쥐트 역에서 장거리 및 지역 열차가 운행된다.
마르부르크시는 핵심 시가지와 18개의 시가지(Ortsbezirke)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1970년대에 합병되기 전까지 독립된 마을이었다. 18개 시가지와 핵심 시가지를 15개로 분할하여 총 33개의 관리 구역으로 나뉜다. 원래 핵심 시가지의 인구는 50,806명, 카펠, 베어다, 마르바흐를 더한 내부 시가지의 인구는 67,848명이다. 촌락부인 주변 시가지의 인구는 13,139명이다.
이러한 공식적인 구성 외에도, 본 시에는 17개의 구역(Stadtteilgemeinden)이 있다. 이 구역은 향토 협회로서 시가지 발전에 기여하며, 어린이 놀이터나 클라인가르텐 등 시가지 발전에 도움이 되는 자조 노력 기획에 관여·참여하고 있다.
마르부르크는 25개의 구(''Ortsbezirke'')로 나뉜다.[9][10]
- 알트슈타트
- 바우어바흐
- 보르트샤우젠
- 캄푸스피어텔
- 카펠
- 치리악스바일마르
- 다고베르트샤우젠
- 딜스하우젠
- 엘른하우젠
- 긴스돌프
- 기셀베르크
- 하담스하우젠
- 헤르메르스하우젠
- 마르바흐
- 미헬바흐
- 모이슈트
- 오커스하우젠
- 리히츠베르크
- 론하우젠
- 슈뢰크
- 쥐트피어텔
- 발트탈
- 베어다
- 베어스하우젠
- 바이덴하우젠
17개의 구역(Stadtteilgemeinden)은 다음과 같다:
width="240" valign=top | | width="240" valign=top | | width="240" valign=top | |
## 기후
마르부르크의 연평균 기온은 9°C에서 10.1°C 사이이며, 연간 강수량은 567mm에서 755.9mm 사이이다. 월별 평균 기온, 강수량, 강수 일수, 일조 시간 등은 아래와 같다.
-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 1월 평균 기온은 -0.1°C에서 2.9°C, 7월 평균 기온은 17.7°C에서 17.8°C이다. 연간 강수량은 567mm에서 724mm 사이이며, 가장 비가 많이 오는 달은 6월 (71mm)과 12월 (66mm ~ 74.7mm)이다.
- 강수 일수 및 일조 시간: 연간 강수 일수는 101일이며, 월별로는 7일에서 10일 사이이다. 연간 일조 시간은 1425.6시간이며, 5월에 190.8시간으로 가장 길고 12월에 30.9시간으로 가장 짧다.
더 자세한 기후 정보는 독일어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위치
마르부르크는 헤센주 중부에 위치하며,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과 카셀의 거의 중간 지점에 해당한다. 두 도시까지의 직선 거리는 모두 약 77km이다. 인근의 대학 도시 기센은 남쪽으로 약 27km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라안강에 접해있다.[9][10] 연방 도로 Bundesstraße 3는 기센과 카셀을 연결한다. 마르부르크 (라안) 역과 마르부르크 쥐트 역에서 열차가 운행된다.마르부르크는 지형상 부르크발트의 남서 지맥인 마르부르크 산지에 위치해 있으며, 남북으로 란 강 계곡이 이를 관통하고 있다. 서쪽은 에른하우젠-미헬바흐 분지를 경계로 그라덴바흐 산지, 즉 라인 셰이퍼 산지에 접한 담스호이저 쿠펜에 닿아 있다. 동쪽은 그 일부가 시역에 포함된 아메네부르거 분지에 접한다.
마르부르크에서 가장 높은 산은 시의 서쪽에 있는 딜슈하우젠 지구 북서쪽의 해발 412m의 슈테르너 산이다. 최저 지점은 시의 남부 란 강으로, 해발 173m이다.
주요 거주 구역의 남북 최대 폭은 약 9km(북쪽의 베어다부터 남쪽의 카펠까지), 동서 폭은 4km(서쪽의 마르바흐부터 동쪽의 오르텐베르크까지) 또는 4.5km(서쪽의 슈타트발트부터 동쪽의 리히츠베르크까지)이지만, 대부분은 란 강 계곡 폭에 맞춰 이보다 좁아진다. 마르부르거 란탈 분지의 서쪽은 구시가지와 기타 주택지가 있는 마르부르거 뤼켄, 동쪽은 그 위에 대학 병원과 몇몇 연구 시설이 있는 란베르크로 이어진다.
역사적인 구시가지는 현재 시 중심부 서쪽, 방백 성(마르부르크 성)의 기슭에 있다. 란 강 건너편, 과거 피혁 가공업자 마을이었던 위성 집락 바이덴하우젠에도 구시가지의 흔적이 남아 있다. 마르부르크는 그 중심을 최근 2세기 동안 구시가지에서 아래쪽 란 강 계곡으로 확장해 왔다. 성 남쪽에는 유겐트 양식 건축물이 모여 있는 쥐트피어텔이 있으며, 그 서쪽에 1931년에 합병된 오커스하우젠이 위치해 있다. 핵심 지구 바로 서쪽은 오르텐베르크가 철도로 시내 중심과 분리되어 있다. 구시가지의 가장 남쪽 고지에는 1960년대에 개발된 고층 주택 지구 리히츠베르크가 있다.
1974년의 지역 재편으로 대규모 지구인 마르바흐(북서), 베어다(북), 카펠(남)이 합병되었다.
마르부르크는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다음의 시, 자치시, 자치구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란탈, 케르베, 키르히하임, 엡스도르퍼그룬트, 바이마르 (란), 그라덴바흐, 다우트페탈.
3. 2. 도시 구성
마르부르크는 기센에서 북쪽으로 25km 떨어진 라안강에 위치해 있으며, 연방 도로 Bundesstraße 3가 기센과 카셀을 연결한다.[9][10] 마르부르크 (라안) 역과 마르부르크 쥐트 역에서 장거리 및 지역 열차가 운행된다.마르부르크시는 핵심 시가지와 18개의 시가지(Ortsbezirke)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1970년대에 합병되기 전까지 독립된 마을이었다. 18개 시가지와 핵심 시가지를 15개로 분할하여 총 33개의 관리 구역으로 나뉜다. 원래 핵심 시가지의 인구는 50,806명, 카펠, 베어다, 마르바흐를 더한 내부 시가지의 인구는 67,848명이다. 촌락부인 주변 시가지의 인구는 13,139명이다.
이러한 공식적인 구성 외에도, 본 시에는 17개의 구역(Stadtteilgemeinden)이 있다. 이 구역은 향토 협회로서 시가지 발전에 기여하며, 어린이 놀이터나 클라인가르텐 등 시가지 발전에 도움이 되는 자조 노력 기획에 관여·참여하고 있다.
마르부르크는 25개의 구(''Ortsbezirke'')로 나뉜다.[9][10]
- 알트슈타트
- 바우어바흐
- 보르트샤우젠
- 캄푸스피어텔
- 카펠
- 치리악스바일마르
- 다고베르트샤우젠
- 딜스하우젠
- 엘른하우젠
- 긴스돌프
- 기셀베르크
- 하담스하우젠
- 헤르메르스하우젠
- 마르바흐
- 미헬바흐
- 모이슈트
- 오커스하우젠
- 리히츠베르크
- 론하우젠
- 슈뢰크
- 쥐트피어텔
- 발트탈
- 베어다
- 베어스하우젠
- 바이덴하우젠
17개의 구역(Stadtteilgemeinden)은 다음과 같다:
width="240" valign=top | | width="240" valign=top | | width="240" valign=top | |
3. 3. 기후
마르부르크의 연평균 기온은 9°C에서 10.1°C 사이이며, 연간 강수량은 567mm에서 755.9mm 사이이다. 월별 평균 기온, 강수량, 강수 일수, 일조 시간 등은 아래와 같다.-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 1월 평균 기온은 -0.1°C에서 2.9°C, 7월 평균 기온은 17.7°C에서 17.8°C이다. 연간 강수량은 567mm에서 724mm 사이이며, 가장 비가 많이 오는 달은 6월 (71mm)과 12월 (66mm ~ 74.7mm)이다.
- 강수 일수 및 일조 시간: 연간 강수 일수는 101일이며, 월별로는 7일에서 10일 사이이다. 연간 일조 시간은 1425.6시간이며, 5월에 190.8시간으로 가장 길고 12월에 30.9시간으로 가장 짧다.
더 자세한 기후 정보는 독일어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정치
마르부르크는 헤센의 다른 6개 중규모 도시와 마찬가지로, 군 내 다른 자치단체와 비교하여 특별한 지위를 가진다. 이는 도시가 일반적으로 군이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러 면에서 군 미할당 도시와 유사하다. 1974년 이전에는 군 미할당 도시였다.
마르부르크 시장인 토마스 슈피스(2015년 12월 취임)와 그의 전임자 에곤 파우펠(2005년 1월 직접 선출)은 독일 사회 민주당 소속이다. 그의 부시장인 건축 및 청소년 부서 책임자인 나딘 베른샤우젠은 동맹 90/녹색당 출신이다. 2021년 3월 시의회 선거 이후, 59석의 시의회 다수는 녹색당(15석), SPD(14석), 클리말리스트(4석)의 연합이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독일 기독교 민주 연합, 좌파당 (7석), 자유 민주당 (2석), CDU 분파 MBL (Marburger Bürgerliste – 2석), BfM (Bürger für Marburg – 2석), 독일을 위한 대안 (1석), 그리고 해적당 (1석)이 대표를 배출했다.[https://www.marburg.de/politik-stadtgesellschaft/stadtpolitik/stadtparlament-stvv-/]
좌파 단체로는 ATTAC, 월드샵 운동, 자율주의-아나키즘 운동, 그리고 생태 또는 인권 문제에 관여하는 소수의 단체가 있다.
마르부르크는 하이델베르크, 튀빙겐, 괴팅겐과 마찬가지로, Corps, Landsmannschaften, Burschenschaften, Turnierschaften 등 다양한 종류의 학생 사교 클럽 또는 ''Verbindungen''의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4. 1. 시 의회
마르부르크는 헤센의 다른 6개 중규모 도시와 마찬가지로, 군 내 다른 자치단체와 비교하여 특별한 지위를 가진다. 이는 도시가 일반적으로 군이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러 면에서 군 미할당 도시와 유사하다. 1974년 이전에는 군 미할당 도시였다.마르부르크 시장인 토마스 슈피스(2015년 12월 취임)와 그의 전임자 에곤 파우펠(2005년 1월 직접 선출)은 독일 사회 민주당 소속이다. 그의 부시장인 건축 및 청소년 부서 책임자인 나딘 베른샤우젠은 동맹 90/녹색당 출신이다. 2021년 3월 시의회 선거 이후, 59석의 시의회 다수는 녹색당(15석), SPD(14석), 클리말리스트(4석)의 연합이 차지하고 있다.[35] 또한 독일 기독교 민주 연합, 좌파당 (7석), 자유 민주당 (2석), CDU 분파 MBL (Marburger Bürgerliste – 2석), BfM (Bürger für Marburg – 2석), 독일을 위한 대안 (1석), 그리고 해적당 (1석)이 대표를 배출했다.
좌파 단체로는 ATTAC, 월드샵 운동, 자율주의-아나키즘 운동, 그리고 생태 또는 인권 문제에 관여하는 소수의 단체가 있다.
마르부르크는 하이델베르크, 튀빙겐, 괴팅겐과 마찬가지로, Corps, Landsmannschaften, Burschenschaften, Turnierschaften 등 다양한 종류의 학생 사교 클럽 또는 ''Verbindungen''의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마르부르크 시의회는 59석으로 구성된다.[35] 정기 시의회는 한 달에 한 번(보통 마지막 금요일 16시부터) 발퓨서 거리 50번지의 의회 홀에서 개최된다. 시의회 및 위원회 회의는 공개된다.
4. 2. 시장
마르부르크는 헤센의 다른 6개 중규모 도시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지위를 가진다. 이는 도시가 군이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군 미할당 도시와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974년 이전에는 군 미할당 도시였다.마르부르크 시장인 토마스 슈피스(2015년 12월 취임)와 그의 전임자 에곤 파우펠(2005년 1월 직접 선출)은 독일 사회 민주당 소속이다. 그의 부시장인 건축 및 청소년 부서 책임자인 나딘 베른샤우젠은 동맹 90/녹색당 출신이다. 2021년 3월 시의회 선거 이후, 59석의 시의회 다수는 녹색당(15석), SPD(14석), 클리말리스트(4석)의 연합이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독일 기독교 민주 연합, 좌파당 (7석), 자유 민주당 (2석), CDU 분파 MBL (Marburger Bürgerliste – 2석), BfM (Bürger für Marburg – 2석), 독일을 위한 대안 (1석), 그리고 해적당 (1석)이 대표를 배출했다.
2005년 직접 선거에서 선출되어, 같은 해 7월 1일에 취임한 상급 시장 에곤 파우펠은 SPD에 속한다. 그는 2011년 3월 27일 선거에서 59.3%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36]。에곤 파우펠의 임기는 2015년 12월 1일까지였다[37]。그의 후임 선거는 2015년 6월 14일에 치러졌지만, 과반수 득표자를 얻은 후보가 없어[38], 토마스 슈피스 (SPD)와 디르크 밤베르거 (CDU) 간의 결선 투표가 같은 해 6월 28일에 진행되었다. 그 결과, 토마스 슈피스가 60.0%의 득표율로 상급 시장에 당선되었다. 이 선거의 투표율은 38.9%였다[39]。
좌파 단체로는 ATTAC, 월드샵 운동, 자율주의-아나키즘 운동, 그리고 생태 또는 인권 문제에 관여하는 소수의 단체가 있다.
마르부르크는 하이델베르크, 튀빙겐, 괴팅겐과 마찬가지로, Corps, Landsmannschaften, Burschenschaften, Turnierschaften 등 다양한 종류의 학생 사교 클럽 또는 ''Verbindungen''의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4. 3. 자매 도시
마르부르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1]- 푸아티에/Poitiers프랑스어 (프랑스, 1961년)
- 마리보르/Mariborsl (슬로베니아, 1969년)
- 스팍스/صفاقسar (튀니지, 1971년)
- 아이제나흐 (독일, 1988년)
- 노샘프턴 (영국, 1992년)
- 시비우/Sibiuro (루마니아, 2005년)
프랑스의 푸아티에와는 1961년부터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는 양 시 대학 간 협력에서 유래했다.[42] 1969년에는 슬로베니아의 마리보르, 1971년에는 튀니지의 스팍스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었다. 1988년에는 당시 동독에 속했던 튀링겐 주의 아이제나흐와 자매 도시 협정을 체결했는데, 이는 양국 간 국제 협조와 독일 분단 해소를 목표로 했으며, 성 엘리자베스의 공적에 의해 양 시의 관계가 분명했던 데에서 유래한다.[43] 영국의 노샘프턴과는 양 시가 모두 프랑스의 푸아티에와 자매 도시 관계에 있었던 것이 발전하여 1992년에 협정을 체결했다. 루마니아의 시비우와는 2005년에 자매 도시 협정을 체결했지만, 그 이전부터 대학, 학교, 교회, 문화 수준에서 교류가 이루어졌다.[44] 이러한 자매 도시 관계 체결에 대한 평가로 1980년 마르부르크는 유럽 의회의 명예 기를 수여받았다.[45]
5. 문화와 관광
마르부르크는 1600년에서 1850년 사이에 비교적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첨탑이 우뚝 솟아 있고 언덕 위에 성이 있는 고딕 양식 또는 르네상스 양식의 도시로 비교적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건축학적으로, 마르부르크 성과 중세 시대의 교회로 유명하다.[81] 엘리자베스 교회는 프랑스 외 알프스 북부 지역 최초의 순수 고딕 양식 교회 중 두세 곳 중 하나로 독일 고딕 건축의 전형이다.
마르부르크의 물리적 매력의 상당 부분은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시장이었던 하노 드렉슬러에 기인한다. 그는 도시 재개발과 오버슈타트(구시가지) 복원을 추진했으며, 독일 최초의 보행자 전용 구역 중 하나를 만들었다. 마르부르크의 ''알트슈타트사니에룽''(1972년 이후)은 많은 상과 표창을 받았다.
마을의 공원으로는 구 식물원과 마을 외곽의 신 식물원 등이 있다.
마르크트 광장은 마르부르크 구시가지의 중심이다. 중앙에는 성 게오르그에게 헌정된 분수가 있는데, 젊은이들의 인기 있는 만남의 장소이다. 남쪽에는 구 시청이 있고, 북쪽으로 이어지는 길은 마을을 내려다보는 궁전으로 이어진다.
1527년에 설립된 마르부르크 대학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다. 마르부르크 중심부에 있는 피르마나이와 보타니셔 가르텐 (식물원) 동쪽 마을에 있는 라안베르게의 두 캠퍼스에 걸쳐 있다.
마르부르크와 그 주변에는 수많은 볼거리가 있다. 이 도시의 관광 산업이 갖는 경제 효과는 결코 작지 않다. 주요 관광지로는 성 엘리자베스 교회, 성관, 역사적 구시가지가 있다. 숙박 시설로는 캠프장과 다양한 가격대의 호텔, 펜션 외에도, 대학 스타디움과 란 강 근처의 얀 거리에 침대 167개가 있는 유스호스텔이 있다. 2009년 통계에 따르면, 이 도시에는 5,974개의 침대 숙박 시설이 있으며, 총 562,653박의 숙박객이 있었다. 시내 관광 (동화나 낭만주의 시와 같은 특정 테마의 코스도 있다)이나 그림 동화의 무대가 된 주변 지역의 주유, 독일 동화 가도 관광에는 투어리스트 인포메이션이 준비되어 있다. 4월부터 10월까지 토요일에는 성관의 지하 요새를 방문하는 장갑실 투어도 있다. 마르부르크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건축물인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마르틴 협회는 미헬바흐 지구에 있다.
'''성 엘리자베스 교회'''
현지에서는 "E-키르헤"라고 불리는 성 엘리자베스 교회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순수한 고딕 건축이며, 아마도 마르부르크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일 것이다. 이 교회는 성 엘리자베트의 영예를 기리기 위해 독일 기사단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그녀의 묘비는 교회 내에 있다. 건설은 시성의 해 (1235년)에 시작되어 1283년에 완성되었다. 이 교회로 인해 마르부르크는 중세 후기에는 가장 중요한 순례지 중 하나가 되었다.
이 교회는 독일 고딕 초기 건축의 걸작이다. 이 교회는 독일 문화권에서 최초의 순수한 고딕 양식 홀식 교회 중 하나이다. 트리어의 성모 교회와 함께 독일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순수한 고딕 건축으로 여겨진다. 쾰른 대성당은 이 교회를 모델로 하고 있다.
'''방백의 성'''
방백의 성은 남북으로 뻗은 란강 계곡을 따라 도시 서쪽의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성산의 높이는 해발 287m이며, 반사암 지형인 마르부르거 뤼케의 지맥을 형성하고 있다. 이곳은 비교적 가파른 계곡의 경사면으로 인해 중세 시대의 성채를 건설하기에 매우 적합했으며, 이후 현대까지 여러 차례 건축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 성관은 헤센 방백의 최초 궁정이라는 역사적 중요성 외에도, 예술사 또는 건축사적으로 흥미롭다. 이는 11세기부터 12세기의 건축 부분과 함께, 특히 현재에도 건물 전체의 인상을 결정짓는 13세기 후반의 성관과 관련이 있다. 성관 부속 예배당과, 중부 유럽에서 가장 크고 질이 높은 세속 고딕 홀 중 하나인 대홀 또는 퓌르스텐홀을 갖춘 홀 건물은 유럽 성채 건축의 뛰어난 성과이다。
현재 이 성관은, 석기 시대부터 이 지역의 역사에 관한 전시 컬렉션을 소장하는 마르부르크 대학교 문화사 박물관의 일부로 활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연극 공연, 콘서트 및 중세풍 마켓 등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5월부터 9월 사이에 성관 공원의 야외 뷰네에서 열리는 영화 상영회 오픈 에어 키노는 매우 인기가 높다.
'''쿠겔 교회'''
오버슈타트의 발퓨서 거리와 리터 거리 사이의 쿠겔가세에, 공동 수도회의 의뢰로 15세기에 건조된 2채의 건물이 있다. 구겔(Kugel)이라는 두건에서 유래한 쿠겔헤렌(둥근 남자)이라 불리는 이 수도회는 1477년부터 마르부르크에 정착했다. 이 건물의 건조는 아마도 부유한 마르부르크 시민이자 도시 귀족이었던 하인리히 임호프의 기증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쿠겔하우스는 후기 고딕 양식으로 지어진 교단 시설로, 1491년에 완공되었다. 현재는 종교학과 민족학을 기반으로 하는 비교문화연구소의 민족학 컬렉션이 되었다. 이 건물은 1527년에 라틴어 학교로도 이용되었으며, 대학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필리프 방백은, 스스로도 그곳에서 공부했지만, 수도회와 학교를 폐지했다. 대학은 이 건물을 2011년에 포기했다. 이를 쿠겔 교회가 구입하여 그 안에 교구 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1485년에 요하네스 보네물리히 폰 라스페에 의해 봉헌된 쿠겔 교회는 이 수도회의 두 번째 건물이다. 이 건물은 1478년부터 1520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이 교회는 뾰족 아치형 창문과 지붕 위의 작은 탑을 가지고 있다. 넷볼트는 후기 고딕 양식의 천장화를 장식하고 있다. 오르간, 설교단, 주 제단은 19세기에서 20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성 미카엘 예배당'''
성 엘리자베스 교회 근처의 구 묘지 내에는 "미헬헨"이라고 불리는 작은 중세풍의 성 미카엘 예배당이 있다. 이 예배당은 성 엘리자베스의 묘를 참배하고 마르부르크에서 사망한 순례자나 성 엘리자베스 병원에서 사망한 입원 환자가 마지막 안식처로 삼았던 묘지에 "독일의 집 형제회"가 1268년에 건설한 것이다. 교단 성직자는 성 엘리자베스 교회와 동일한 의식으로 종부성사를 집전했다. 이 예배당을 방문한 사람에게 발급되는 대사는 13세기부터 알려져 있었다. 종교 개혁 시대에 미헬헨은 시의 소유가 되었다.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곳은 폐허가 되어갔다. 1583년 이후 겨우 헛간 지붕의 수리 작업이 이루어졌고, 새로운 문과 창문이 설치되었으며, 설교단과 회랑풍의 2층 객석이 마련되었다. 묘지 주변의 벽도 새로 만들어졌다. 현재 이 묘지는 사용되지 않는다. 현존하는 오래된 묘석은 주로 16세기부터 18세기의 것이다. 여기에서는 르네상스의 구상 묘석에서 바로크의 명문 묘석을 거쳐 고전주의의 묘석 기념비로의 미적 의식의 추이를 잘 알 수 있다. 미헬헨의 마지막 수리 작업은 2009년에 완료되었다. 현재 묘지는 북부 지역 주민들에게 공원이나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슈피겔스루스트'''
슈피겔스루스트라는 이름은 19세기에 마르부르크에서 공부했으며, 한때 "케라스 루에"라고 불리던 이 광장을 하이킹 목적지이자 유원지로 개조한 슈피겔 남작 베르너에서 유래되었다. 이곳은 낭만주의 시대부터 하이킹 목적지로 애호되었으며 관광화되었다. 처음에는 정자가 만들어졌고, 이후 식당으로 확대되었다. 1989년까지 시 소유였지만, 당시 임차인이 매입하여 현재와 같이 관광지가 되었다.
슈피겔스루스트는 카이저 빌헬름 탑(독일 황제 빌헬름 1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에서 200m 떨어져 있다. 슈피겔스루스트 탑이라고도 불리는 이 탑은 란 산 위에 세워진 전망탑이다. 독일 통일과 보불 전쟁(1870년 - 1871년)을 기념하기 위한 탑 건설 자금을 모으는 기금이 1872년에 마련되었다. 1876년 3월 12일부터 13일에 걸쳐, 완공 직전이었던 이 탑을 붕괴시키는 폭풍이 발생했다. 높이 36m의 이 탑은 그로부터 14년 후에 겨우 완공되었다. 완공식은 1890년 9월 2일에 거행되었다.
'''기타'''
마르부르크의 오버슈타트에는 1527년에 건립된 역사적인 시청사를 중심으로 수많은 목골조 건축물이 오랫동안 계획적인 복원 컨셉에 따라 보존되어 있다. 마르크트 광장 상부, 마르크트 23번지 건물 옆에 있는 중세 시대의 유대교 회당 유적은 유리 큐브로 둘러싸여 외부에서 견학할 수 있다. 구 킬리안 예배당은 1180년부터 1200년 사이에 시장 예배당으로 건설된 로마네스크 건축이다. 종교 개혁 이후 이 예배당은 본래의 용도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현존하지 않는 동탑은 1552년부터 1554년에 철거되어 붕괴된 바이덴호이저 다리의 재건에 전용되었다. 그 후 박공과 볼트도 파괴되었다. 1580년부터 1581년에 목골조 건축물 상층이 증축되어 현재의 외관이 되었다. 1248년에 처음 문헌에 기록된 그뤼너 뮐레는 한때 압착에 사용되었던 물레방아로, 바이덴호이저 다리 하류의 댐에 있다.
마르부르크에는 헤센 주립 극장, 테아터 게겐슈타트, 마르부르크 호프, 패스트 포워드 극장, 마르부르크 연극 공방, 슈납스 & 포에지 테아터, 클라이네 코메디 등 다양한 극단과 문화 시설이 있다.[51][53][54] 헤센 주립 극장은 헤센 주의 6개 주요 주립 극장 중 가장 최신 극장이며, 매년 "헤센 어린이와 청소년 연극 주간"을 개최한다.[52]
마르부르크에서는 매년 50만 장의 입장권이 판매되는 영화 산업이 중요한 여가 오락으로 자리 잡고 있다.[55] 3곳에 14개의 스크린을 갖춘 상업 영화관 외에도 독립 비상업 영화관인 "트라우마 키노"가 있으며, 여름에는 성관 공원에서 야외 영화 상영회가 열린다.[55] 또한, 국제 포트 필름 영화제인 오픈 아이즈 필름페스트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필름 페스티벌 "파이널 컷"이 개최된다.[56] 마르부르크 카메라 회의는 영화 제작자들을 위한 연례 행사이다.[57]
마르부르크에는 갤러리 헨케, 갤러리 슈마르푸스, LOG-갤러리 등 3곳의 개인 갤러리와 다수의 예술가 아틀리에, 전시실 박물관이 있다. 예술과 예술사 박물관은 두 곳으로 나뉘어 있으며,[58] 에른스트 폰 휠젠 하우스에서는 17세기부터 20세기 예술 작품, 현대 예술, 고전 조각 복제 컬렉션 등을 전시하고 있다. 방백의 성에서는 헤센 주와 베스터발트의 마르부르크 도기와 스톤웨어를 전시하는 세라믹 컬렉션과 빌헬름스관의 예술사 컬렉션을 볼 수 있다.
마르부르크 민족학 컬렉션은 마르부르크 대학교 민족학 연구소 내에 있으며, 아마존 지역 원주민 그룹의 유물을 중심으로 5,000점 이상의 소장품을 전시하고 있다.[59] 마르부르크 광물 박물관은 약 45,000점의 광석, 50,000점의 암석 표본, 수천 점의 보석 표본, 150점의 운석을 소장하고 있는 헤센 최대의 광물 컬렉션이다.
루돌프 오토가 창설한 종교 문화 컬렉션은 고대 아메리카, 고대 이집트, 아프리카, 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종교, 일신교 지역 등 다양한 종교 관련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61] 해부학 박물관에는 1650년부터 1920년까지 제작된 약 2,000점의 의학 표본이 있으며,[62] 특히 조직 해부학, 국소 해부학, 발생학, 기형학 영역의 표본이 잘 갖춰져 있다.
게르하르트 얀 광장 5번지에 있는 마르부르크 예술 홀은 현대 미술 작품을 전시하고 있으며,[63] 1. 독일 구형 경찰 차량 박물관에서는 70대 이상의 역사적인 경찰 차량을 볼 수 있다.[64] 헬게 룰리리케와 찰스 배리 히암스가 운영했던 유년기 박물관은 현재 오르텐베르크의 바곤할렌-겔렌데 박물관 센터로 이전할 예정이다.
마르부르크에서는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3월 중순에는 마르부르크 카메라 회의의 일환으로 마르부르크 카메라상 시상식이 열린다. 4월 마지막 주말부터 9일 동안 봄 메세가 메세 광장에서 개최된다. 4월 30일 밤에는 마이아인징겐이 열리고, 5월 1일에는 노동조합의 데모와 집회, 축제가 열린다.[77]
성체 축일에는 아카펠라 페스티벌 '노래의 밤'이 성관 공원의 야외 무대에서 개최된다. 6월 첫째 주에는 어린이 페스티벌 "Ramba Zamba"가 열린다. 매년 6월 마지막 금요일에는 Uni 솜머페스트("대학의 여름 축제")가 열린다. 7월 첫째 주말에는 "독일에서 가장 짧은 민중 축제"인 마르크트플뤼쇼펜("시장에서의 연회")이 개최된다.[77]
7월과 8월에는 마르부르크 하계 아카데미 코스가 개최된다. 8월에는 스트리트 페스트 "서머 인 더 시티"와 "마르부르크 바리에테 솜머"가 열린다. 9월에는 바이덴하우젠 사람들이 엔텐렌넨과 헤페페스트를 개최한다.[77]
10월 둘째 주말에는 엘리자베트-야르마르크트가 개최되며, 일요일에도 상점이 영업한다. 새 학기가 시작될 때에는 "엘스트제메스터페스트"가 개최된다. 11월 첫째 주말에는 미술 공예품 마켓이 열린다.[77]
마르부르크의 크리스마스 시즌은 첫 번째 대림절 전 토요일에 시작된다.
5. 1. 주요 명소
마르부르크는 1600년에서 1850년 사이에 비교적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첨탑이 우뚝 솟아 있고 언덕 위에 성이 있는 고딕 양식 또는 르네상스 양식의 도시로 비교적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건축학적으로, 마르부르크 성과 중세 시대의 교회로 유명하다.[81] 엘리자베스 교회는 프랑스 외 알프스 북부 지역 최초의 순수 고딕 양식 교회 중 두세 곳 중 하나로 독일 고딕 건축의 전형이다.
마르부르크의 물리적 매력의 상당 부분은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시장이었던 하노 드렉슬러에 기인한다. 그는 도시 재개발과 오버슈타트(구시가지) 복원을 추진했으며, 독일 최초의 보행자 전용 구역 중 하나를 만들었다. 마르부르크의 ''알트슈타트사니에룽''(1972년 이후)은 많은 상과 표창을 받았다.
마을의 공원으로는 구 식물원과 마을 외곽의 신 식물원 등이 있다.
마르크트 광장은 마르부르크 구시가지의 중심이다. 중앙에는 성 게오르그에게 헌정된 분수가 있는데, 젊은이들의 인기 있는 만남의 장소이다. 남쪽에는 구 시청이 있고, 북쪽으로 이어지는 길은 마을을 내려다보는 궁전으로 이어진다.
1527년에 설립된 마르부르크 대학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다. 마르부르크 중심부에 있는 피르마나이와 보타니셔 가르텐 (식물원) 동쪽 마을에 있는 라안베르게의 두 캠퍼스에 걸쳐 있다.
마르부르크와 그 주변에는 수많은 볼거리가 있다. 이 도시의 관광 산업이 갖는 경제 효과는 결코 작지 않다. 주요 관광지로는 성 엘리자베스 교회, 성관, 역사적 구시가지가 있다. 숙박 시설로는 캠프장과 다양한 가격대의 호텔, 펜션 외에도, 대학 스타디움과 란 강 근처의 얀 거리에 침대 167개가 있는 유스호스텔이 있다. 2009년 통계에 따르면, 이 도시에는 5,974개의 침대 숙박 시설이 있으며, 총 562,653박의 숙박객이 있었다. 시내 관광 (동화나 낭만주의 시와 같은 특정 테마의 코스도 있다)이나 그림 동화의 무대가 된 주변 지역의 주유, 독일 동화 가도 관광에는 투어리스트 인포메이션이 준비되어 있다. 4월부터 10월까지 토요일에는 성관의 지하 요새를 방문하는 장갑실 투어도 있다. 마르부르크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건축물인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마르틴 협회는 미헬바흐 지구에 있다.
'''성 엘리자베스 교회'''
현지에서는 "E-키르헤"라고 불리는 성 엘리자베스 교회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순수한 고딕 건축이며, 아마도 마르부르크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일 것이다. 이 교회는 성 엘리자베트의 영예를 기리기 위해 독일 기사단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그녀의 묘비는 교회 내에 있다. 건설은 시성의 해 (1235년)에 시작되어 1283년에 완성되었다. 이 교회로 인해 마르부르크는 중세 후기에는 가장 중요한 순례지 중 하나가 되었다.
이 교회는 독일 고딕 초기 건축의 걸작이다. 이 교회는 독일 문화권에서 최초의 순수한 고딕 양식 홀식 교회 중 하나이다. 트리어의 성모 교회와 함께 독일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순수한 고딕 건축으로 여겨진다. 쾰른 대성당은 이 교회를 모델로 하고 있다.
'''방백의 성'''
방백의 성은 남북으로 뻗은 란강 계곡을 따라 도시 서쪽의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성산의 높이는 해발 287m이며, 반사암 지형인 마르부르거 뤼케의 지맥을 형성하고 있다. 이곳은 비교적 가파른 계곡의 경사면으로 인해 중세 시대의 성채를 건설하기에 매우 적합했으며, 이후 현대까지 여러 차례 건축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 성관은 헤센 방백의 최초 궁정이라는 역사적 중요성 외에도, 예술사 또는 건축사적으로 흥미롭다. 이는 11세기부터 12세기의 건축 부분과 함께, 특히 현재에도 건물 전체의 인상을 결정짓는 13세기 후반의 성관과 관련이 있다. 성관 부속 예배당과, 중부 유럽에서 가장 크고 질이 높은 세속 고딕 홀 중 하나인 대홀 또는 퓌르스텐홀을 갖춘 홀 건물은 유럽 성채 건축의 뛰어난 성과이다。
현재 이 성관은, 석기 시대부터 이 지역의 역사에 관한 전시 컬렉션을 소장하는 마르부르크 대학교 문화사 박물관의 일부로 활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연극 공연, 콘서트 및 중세풍 마켓 등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5월부터 9월 사이에 성관 공원의 야외 뷰네에서 열리는 영화 상영회 오픈 에어 키노는 매우 인기가 높다.
'''쿠겔 교회'''
오버슈타트의 발퓨서 거리와 리터 거리 사이의 쿠겔가세에, 공동 수도회의 의뢰로 15세기에 건조된 2채의 건물이 있다. 구겔(Kugel)이라는 두건에서 유래한 쿠겔헤렌(둥근 남자)이라 불리는 이 수도회는 1477년부터 마르부르크에 정착했다. 이 건물의 건조는 아마도 부유한 마르부르크 시민이자 도시 귀족이었던 하인리히 임호프의 기증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쿠겔하우스는 후기 고딕 양식으로 지어진 교단 시설로, 1491년에 완공되었다. 현재는 종교학과 민족학을 기반으로 하는 비교문화연구소의 민족학 컬렉션이 되었다. 이 건물은 1527년에 라틴어 학교로도 이용되었으며, 대학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필리프 방백은, 스스로도 그곳에서 공부했지만, 수도회와 학교를 폐지했다. 대학은 이 건물을 2011년에 포기했다. 이를 쿠겔 교회가 구입하여 그 안에 교구 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1485년에 요하네스 보네물리히 폰 라스페에 의해 봉헌된 쿠겔 교회는 이 수도회의 두 번째 건물이다. 이 건물은 1478년부터 1520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이 교회는 뾰족 아치형 창문과 지붕 위의 작은 탑을 가지고 있다. 넷볼트는 후기 고딕 양식의 천장화를 장식하고 있다. 오르간, 설교단, 주 제단은 19세기에서 20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성 미카엘 예배당'''
성 엘리자베스 교회 근처의 구 묘지 내에는 "미헬헨"이라고 불리는 작은 중세풍의 성 미카엘 예배당이 있다. 이 예배당은 성 엘리자베스의 묘를 참배하고 마르부르크에서 사망한 순례자나 성 엘리자베스 병원에서 사망한 입원 환자가 마지막 안식처로 삼았던 묘지에 "독일의 집 형제회"가 1268년에 건설한 것이다. 교단 성직자는 성 엘리자베스 교회와 동일한 의식으로 종부성사를 집전했다. 이 예배당을 방문한 사람에게 발급되는 대사는 13세기부터 알려져 있었다. 종교 개혁 시대에 미헬헨은 시의 소유가 되었다.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곳은 폐허가 되어갔다. 1583년 이후 겨우 헛간 지붕의 수리 작업이 이루어졌고, 새로운 문과 창문이 설치되었으며, 설교단과 회랑풍의 2층 객석이 마련되었다. 묘지 주변의 벽도 새로 만들어졌다. 현재 이 묘지는 사용되지 않는다. 현존하는 오래된 묘석은 주로 16세기부터 18세기의 것이다. 여기에서는 르네상스의 구상 묘석에서 바로크의 명문 묘석을 거쳐 고전주의의 묘석 기념비로의 미적 의식의 추이를 잘 알 수 있다. 미헬헨의 마지막 수리 작업은 2009년에 완료되었다. 현재 묘지는 북부 지역 주민들에게 공원이나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슈피겔스루스트'''
슈피겔스루스트라는 이름은 19세기에 마르부르크에서 공부했으며, 한때 "케라스 루에"라고 불리던 이 광장을 하이킹 목적지이자 유원지로 개조한 슈피겔 남작 베르너에서 유래되었다. 이곳은 낭만주의 시대부터 하이킹 목적지로 애호되었으며 관광화되었다. 처음에는 정자가 만들어졌고, 이후 식당으로 확대되었다. 1989년까지 시 소유였지만, 당시 임차인이 매입하여 현재와 같이 관광지가 되었다.
슈피겔스루스트는 카이저 빌헬름 탑(독일 황제 빌헬름 1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에서 200m 떨어져 있다. 슈피겔스루스트 탑이라고도 불리는 이 탑은 란 산 위에 세워진 전망탑이다. 독일 통일과 보불 전쟁(1870년 - 1871년)을 기념하기 위한 탑 건설 자금을 모으는 기금이 1872년에 마련되었다. 1876년 3월 12일부터 13일에 걸쳐, 완공 직전이었던 이 탑을 붕괴시키는 폭풍이 발생했다. 높이 36m의 이 탑은 그로부터 14년 후에 겨우 완공되었다. 완공식은 1890년 9월 2일에 거행되었다.
'''기타'''
마르부르크의 오버슈타트에는 1527년에 건립된 역사적인 시청사를 중심으로 수많은 목골조 건축물이 오랫동안 계획적인 복원 컨셉에 따라 보존되어 있다. 마르크트 광장 상부, 마르크트 23번지 건물 옆에 있는 중세 시대의 유대교 회당 유적은 유리 큐브로 둘러싸여 외부에서 견학할 수 있다. 구 킬리안 예배당은 1180년부터 1200년 사이에 시장 예배당으로 건설된 로마네스크 건축이다. 종교 개혁 이후 이 예배당은 본래의 용도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현존하지 않는 동탑은 1552년부터 1554년에 철거되어 붕괴된 바이덴호이저 다리의 재건에 전용되었다. 그 후 박공과 볼트도 파괴되었다. 1580년부터 1581년에 목골조 건축물 상층이 증축되어 현재의 외관이 되었다. 1248년에 처음 문헌에 기록된 그뤼너 뮐레는 한때 압착에 사용되었던 물레방아로, 바이덴호이저 다리 하류의 댐에 있다.
5. 2. 문화 시설
마르부르크에는 헤센 주립 극장, 테아터 게겐슈타트, 마르부르크 호프, 패스트 포워드 극장, 마르부르크 연극 공방, 슈납스 & 포에지 테아터, 클라이네 코메디 등 다양한 극단과 문화 시설이 있다.[51][53][54] 헤센 주립 극장은 헤센 주의 6개 주요 주립 극장 중 가장 최신 극장이며, 매년 "헤센 어린이와 청소년 연극 주간"을 개최한다.[52]
마르부르크에서는 매년 50만 장의 입장권이 판매되는 영화 산업이 중요한 여가 오락으로 자리 잡고 있다.[55] 3곳에 14개의 스크린을 갖춘 상업 영화관 외에도 독립 비상업 영화관인 "트라우마 키노"가 있으며, 여름에는 성관 공원에서 야외 영화 상영회가 열린다.[55] 또한, 국제 포트 필름 영화제인 오픈 아이즈 필름페스트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필름 페스티벌 "파이널 컷"이 개최된다.[56] 마르부르크 카메라 회의는 영화 제작자들을 위한 연례 행사이다.[57]
마르부르크에는 갤러리 헨케, 갤러리 슈마르푸스, LOG-갤러리 등 3곳의 개인 갤러리와 다수의 예술가 아틀리에, 전시실 박물관이 있다. 예술과 예술사 박물관은 두 곳으로 나뉘어 있으며,[58] 에른스트 폰 휠젠 하우스에서는 17세기부터 20세기 예술 작품, 현대 예술, 고전 조각 복제 컬렉션 등을 전시하고 있다. 방백의 성에서는 헤센 주와 베스터발트의 마르부르크 도기와 스톤웨어를 전시하는 세라믹 컬렉션과 빌헬름스관의 예술사 컬렉션을 볼 수 있다.
마르부르크 민족학 컬렉션은 마르부르크 대학교 민족학 연구소 내에 있으며, 아마존 지역 원주민 그룹의 유물을 중심으로 5,000점 이상의 소장품을 전시하고 있다.[59] 마르부르크 광물 박물관은 약 45,000점의 광석, 50,000점의 암석 표본, 수천 점의 보석 표본, 150점의 운석을 소장하고 있는 헤센 최대의 광물 컬렉션이다.
루돌프 오토가 창설한 종교 문화 컬렉션은 고대 아메리카, 고대 이집트, 아프리카, 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종교, 일신교 지역 등 다양한 종교 관련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61] 해부학 박물관에는 1650년부터 1920년까지 제작된 약 2,000점의 의학 표본이 있으며,[62] 특히 조직 해부학, 국소 해부학, 발생학, 기형학 영역의 표본이 잘 갖춰져 있다.
게르하르트 얀 광장 5번지에 있는 마르부르크 예술 홀은 현대 미술 작품을 전시하고 있으며,[63] 1. 독일 구형 경찰 차량 박물관에서는 70대 이상의 역사적인 경찰 차량을 볼 수 있다.[64] 헬게 룰리리케와 찰스 배리 히암스가 운영했던 유년기 박물관은 현재 오르텐베르크의 바곤할렌-겔렌데 박물관 센터로 이전할 예정이다.
5. 3. 행사
마르부르크에서는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3월 중순에는 마르부르크 카메라 회의의 일환으로 마르부르크 카메라상 시상식이 열린다. 4월 마지막 주말부터 9일 동안 봄 메세가 메세 광장에서 개최된다. 4월 30일 밤에는 마이아인징겐이 열리고, 5월 1일에는 노동조합의 데모와 집회, 축제가 열린다.[77]성체 축일에는 아카펠라 페스티벌 '노래의 밤'이 성관 공원의 야외 무대에서 개최된다. 6월 첫째 주에는 어린이 페스티벌 "Ramba Zamba"가 열린다. 매년 6월 마지막 금요일에는 Uni 솜머페스트("대학의 여름 축제")가 열린다. 7월 첫째 주말에는 "독일에서 가장 짧은 민중 축제"인 마르크트플뤼쇼펜("시장에서의 연회")이 개최된다.[77] 그 다음 금요일에는 슈타트페스트·3타게·마르부르크("3-TM")가 열려 6개의 시장, 10개의 무대에서 다양한 공연이 펼쳐지고, 드래곤 보트 컵이 개최되며, 성산에서 불꽃놀이가 발사된다. 7월에는 단편 영화 페스티벌 "오픈 아이즈"가 시작된다.[77]
7월과 8월에는 마르부르크 하계 아카데미 코스가 개최된다. 8월에는 스트리트 페스트 "서머 인 더 시티"와 "마르부르크 바리에테 솜머"가 열린다. 9월에는 바이덴하우젠 사람들이 엔텐렌넨과 헤페페스트를 개최한다.[77]
10월 둘째 주말에는 엘리자베트-야르마르크트가 개최되며, 일요일에도 상점이 영업한다. 새 학기가 시작될 때에는 "엘스트제메스터페스트"가 개최된다. 11월 첫째 주말에는 미술 공예품 마켓이 열린다.[77]
마르부르크의 크리스마스 시즌은 첫 번째 대림절 전 토요일에 시작된다. 엘리자베트 교회를 중심으로 크리스마스 마켓이 열리고, 시청 앞에는 대림절 마켓이 선다. MaNo-페스티벌은 매년 3월 초 마르부르크 여성 음악가 협회 주최로 개최되며, 마르부르크와 자매 도시에서 온 밴드들이 공연한다.[77]
6. 경제
이 도시 최대의 고용주는 1527년 헤센 방백 필리프 1세가 설립한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대학인 마르부르크 필립 대학교이다. 인구에서 이 대학의 학생 및 직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학생 21,833명, 직원 3,948명, 대학 병원 제외). 이 때문에 "Andere Städte haben eine Universität – Marburg ist eine (다른 도시는 대학을 가지고 있지만, 마르부르크는 (그 자체가) 대학이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대학의 역사와 도시의 역사가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 도시의 3대 고용주는 필립스 대학교 마르부르크, 민간 소유로 라인 클리니쿰에 속하는 기센 및 마르부르크 대학교 병원, 부분적으로 국제적인 콘체른인 CSL 베링, 지멘스 헬스케어 디아그노스틱스 및 노바티스 베링에 속하는 베링베르크(의약품·의료 공학)이다. 게다가 독일 맹학교(Blista)가 그 뒤를 잇는다.
1998년 현재, 마르부르크의 보험 가입 의무가 있는 피고용자의 81.7%가 서비스업에, 18.1%가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점유율이 높은 직종은 건강·의료 분야(대학교 병원)와 연구 분야(대학교, Blista)이다. 이 두 분야에서 1만 명 이상이 일하고 있었다.
이 규모의 도시로서는 상당히 많은 300개가 넘는 레스토랑, 식당, 카페, 선술집 등의 음식점에게 학생은 중요한 고객 타겟이다.
7. 교통
마르부르크의 철도 교통은 인터시티 노선과 근교 열차 노선이 있다. 마르부르크역은 인터시티 26호선 슈트랄준트 - 함부르크 - 하노버 - 프랑크푸르트 - 카를스루에(- 콘스탄츠)선의 정차역이며, 마인-베저 철도의 근교 열차로 카셀 - 프랑크푸르트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마르부르크는 쿨헤센 철도의 지선 기점이기도 하다. 프랑켄베르크로 향하는 노선(부르크발트 철도)과 비덴코프나 바트 라스페를 경유하여 엘른테브뤼크로 향하는 노선(오베레 란탈 철도)이 있다. 2007년, 트라이자와 프랑크푸르트 사이를 운행하는 미텔헤센 익스프레스에 의해 마르부르크는 라인-마인 지역과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2010년 이후, 교통 시설, 역 건물, 도시 계획상의 중앙역 주변 지역은 완전히 개조되었다.
과거에는 남역에서 엡스도르퍼그룬트로 가는 마르부르거 크라이스반이 철도망에 연결되어 있었다. 이 노선은 폐지 및 철거 후, 단순한 마르부르크 남 정류장이 되었다.
1903년부터 1911년까지 마르부르크에서는 마차가 운행되었다. 1911년부터는 전동식 노면 전차가 운행되었다. 이것은 1951년에 트롤리 버스로 대체되었고, 1968년까지 영업했다.
마르부르크는 연방도로 B3, B62, B252, B255번 노선을 경유하여 자동차로 도달할 수 있다.
B3번 노선은 철도 노선과 거의 평행하게 마르부르크 시내를 통과하며, 도시 고속도로 B3a번 노선으로 인해 시내 통과 차량 수는 줄었지만, 인근 주민들은 소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B3번 노선의 켈베 근교 B62번 노선과의 교차로에서 기센 북쪽 분기점 사이 구간은 니더바이마르와 로트 사이를 제외하고 2011년 5월 11일에 운용을 시작했다. 이 노선은 시종 4차선이며, 기센 순환도로 (아우토반 A485번 노선) 및 마인-라인 지역을 연결한다. 누락된 구간의 보충 공사는 2007년 봄에 시작되었다. 볼프스하우젠 부근 군도 K42번 노선 아래 통과 다리 및 니더바이마르 채석장 옆 B255번 노선 위 통과 다리 건설 공사는 2008년에, 알겐슈타인 근교의 새로운 란강 다리는 2010년에 각각 완성되었다.
마르부르크의 대중교통으로는 시 시설국이 운영하는 19개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핵심 시가지 내와 인근 시가지 사이에는 낮 동안 촘촘한 간격으로 운행된다. 몇몇 노선은 밤까지 운행하지만, 핵심 시가지와 그 주변 시가지 사이만 운행한다. 밴이나 소형 버스에 의한 수요 응답형 버스와, 주말에는 4시까지 핵심 시가지를 운행하는 심야 버스 노선(N8 익스프레스)도 운행한다. 20세기 초에 시내 전차가 설치되었지만, 1951년 트롤리버스 도입으로 폐지되었다. 이 트롤리버스도 1968년에 폐지되었다. 현재는 디젤 버스나 천연가스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오버슈타트와 오르텐베르크의 좁고 경사진 길을 주행하기 위해 특히 소형 버스가 사용되고 있다.[86]
마르부르크와 그 군은 1995년 이후 라인-마인 교통 연맹(RMV)에 가맹되어 있다. 2006년 12월 시간표 개정에 따라 버스 노선망은 완전히 재편성되었다. 중앙역에서 시내 중심부를 지나 남역으로 가는 노선은 3개 계통을 합쳐 5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 다른 버스 노선은 시의 주축을 연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앙의 시내 중심부를 우회한다. 이로 인해 마르부르크 중심부의 교통량이 상당히 감소했다.[86]
1960년대부터 계곡에 위치한 시가지와 성산, 또는 란베르크의 대학 주변 신흥 주택지를 로프웨이로 연결하는 논의가 시작되었다. 2009년부터는 시내 중심부와 란베르크 지구(병원, 대학 캠퍼스, 신 식물원)를 로프웨이로 연결하여 공공 여객 교통을 개선하려는 새로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86] 시장인 프란츠 칼레(동맹 90/녹색당)는 이 교통 계획을 정밀 조사할 것을 표명했다.[86] 라이트너 AG와 도펠마이어사는 2010년 가을에 로프웨이 설치의 기본적인 실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마르부르크 시의회에서는 CDU와 SPD가 추가 조사를 반대했고, 동맹 90/녹색당[87], FDP[88]와 좌익당 일부가 조사를 지속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시의회는 로프웨이 평가를 포함한 시내 중심부/란베르크 간의 교통 감정서를 2011년 6월에 결의했다.[89]
마르부르크는 바트 샨다우, 엔겐, 헬고란트와 함께 엘리베이터가 공공 여객 교통의 구성 요소가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루돌프 광장과 라이트가세를 잇는 오버슈타트 엘리베이터, 필그림슈타인의 뒤편과 베터가세를 잇는 파르크하우제스 엘리베이터, 중앙역과 오르텐베르크 광장을 잇는 오르텐베르크슈테크이다.
7. 1. 철도
마르부르크역은 인터시티 26호선 슈트랄준트 - 함부르크 - 하노버 - 프랑크푸르트 - 카를스루에(- 콘스탄츠)선의 정차역이며, 마인-베저 철도의 근교 열차로 카셀 - 프랑크푸르트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마르부르크는 쿨헤센 철도의 지선 기점이기도 하다. 프랑켄베르크로 향하는 노선(부르크발트 철도)과 비덴코프나 바트 라스페를 경유하여 엘른테브뤼크로 향하는 노선(오베레 란탈 철도)이다. 2007년, 트라이자와 프랑크푸르트 사이를 운행하는 미텔헤센 익스프레스에 의해 마르부르크는 라인-마인 지역과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교통 시설, 역 건물, 도시 계획상의 중앙역 주변 지역은 2010년 이후 완전히 개조되었다.과거에는, 남역에서 엡스도르퍼그룬트로 가는 마르부르거 크라이스반이 철도망에 연결되어 있었다. 이 노선의 폐지 및 철거 후, 이 역은 단순한 마르부르크 남 정류장이 되었다.
1903년부터 1911년까지 마르부르크에서는 마차가 운행되었다. 1911년부터는 전동식 노면 전차가 운행되었다. 이것은 1951년에 트롤리 버스로 대체되었고, 1968년까지 영업했다.
7. 2. 도로
마르부르크는 연방도로 B3, B62, B252, B255번 노선을 경유하여 자동차로 도달할 수 있다.B3번 노선은 철도 노선과 거의 평행하게 마르부르크 시내를 통과하며, 도시 고속도로 B3a번 노선으로 인해 시내 통과 차량 수는 줄었지만, 인근 주민들은 소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B3번 노선의 켈베 근교 B62번 노선과의 교차로에서 기센 북쪽 분기점 사이 구간은 니더바이마르와 로트 사이를 제외하고 2011년 5월 11일에 운용을 시작했다. 이 노선은 시종 4차선이며, 기센 순환도로 (아우토반 A485번 노선) 및 마인-라인 지역을 연결한다. 누락된 구간의 보충 공사는 2007년 봄에 시작되었다. 볼프스하우젠 부근 군도 K42번 노선 아래 통과 다리 및 니더바이마르 채석장 옆 B255번 노선 위 통과 다리 건설 공사는 2008년에, 알겐슈타인 근교의 새로운 란강 다리는 2010년에 각각 완성되었다.
7. 3. 대중교통
마르부르크의 대중교통으로는 시 시설국이 운영하는 19개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핵심 시가지 내와 인근 시가지 사이에는 낮 동안 촘촘한 간격으로 운행된다. 몇몇 노선은 밤까지 운행하지만, 핵심 시가지와 그 주변 시가지 사이만 운행한다. 밴이나 소형 버스에 의한 수요 응답형 버스와, 주말에는 4시까지 핵심 시가지를 운행하는 심야 버스 노선(N8 익스프레스)도 운행한다. 20세기 초에 시내 전차가 설치되었지만, 1951년 트롤리버스 도입으로 폐지되었다. 이 트롤리버스도 1968년에 폐지되었다. 현재는 디젤 버스나 천연가스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오버슈타트와 오르텐베르크의 좁고 경사진 길을 주행하기 위해 특히 소형 버스가 사용되고 있다.[86]마르부르크와 그 군은 1995년 이후 라인-마인 교통 연맹(RMV)에 가맹되어 있다. 2006년 12월 시간표 개정에 따라 버스 노선망은 완전히 재편성되었다. 중앙역에서 시내 중심부를 지나 남역으로 가는 노선은 3개 계통을 합쳐 5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 다른 버스 노선은 시의 주축을 연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앙의 시내 중심부를 우회한다. 이로 인해 마르부르크 중심부의 교통량이 상당히 감소했다.[86]
1960년대부터 계곡에 위치한 시가지와 성산, 또는 란베르크의 대학 주변 신흥 주택지를 로프웨이로 연결하는 논의가 시작되었다. 2009년부터는 시내 중심부와 란베르크 지구(병원, 대학 캠퍼스, 신 식물원)를 로프웨이로 연결하여 공공 여객 교통을 개선하려는 새로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86] 시장인 프란츠 칼레(동맹 90/녹색당)는 이 교통 계획을 정밀 조사할 것을 표명했다.[86] 라이트너 AG와 도펠마이어사는 2010년 가을에 로프웨이 설치의 기본적인 실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마르부르크 시의회에서는 CDU와 SPD가 추가 조사를 반대했고, 동맹 90/녹색당[87], FDP[88]와 좌익당 일부가 조사를 지속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시의회는 로프웨이 평가를 포함한 시내 중심부/란베르크 간의 교통 감정서를 2011년 6월에 결의했다.[89]
마르부르크는 바트 샨다우, 엔겐, 헬고란트와 함께 엘리베이터가 공공 여객 교통의 구성 요소가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루돌프 광장과 라이트가세를 잇는 오버슈타트 엘리베이터, 필그림슈타인의 뒤편과 베터가세를 잇는 파르크하우제스 엘리베이터, 중앙역과 오르텐베르크 광장을 잇는 오르텐베르크슈테크이다.
8. 교육
필립스 마르부르크 대학교 외에도 마르부르크에는 마르부르크 맹학교, 막스 플랑크 육상 미생물 연구소가 있다.[90] 구 베링스베르크에서 유래된 다양한 제약 회사의 연구 부서도 있다. 아르히프슐레 마르부르크는 전문 단과대학 형태를 갖춘 아키비스트 양성을 위한 주립 교육 기관이다. 미텔헤센 공과대학교는 필립스 대학교와 광범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의학 부문에서는 대학 병원, 마르부르크 열, 임상의 조합, 마르부르거 분트가 있으며, 마르부르크 열의 원인인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이 도시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마르부르크에는 엘리자베트슐레, 마르틴 루터 슐레, 김나지움 필리피눔의 3개 김나지움과 직업 김나지움인 아돌프 라이히바인 슐레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학교가 있다. 또한 여러 개의 기초 과정 학교, 본 과정·실과 학교와 직업 학교를 통합한 리히츠베르크의 통합형 종합학교가 있으며, 오토 우베로데 슐레는 헤센주 유일의 6년제 기초 과정 학교이다.
마르부르크에는 주나 시의 간섭을 받지 않는 특수한 교육 프로필을 가진 학교가 독일 맹학교를 제외하고 7개 있다. 양호학교 외에 자유 발도르프 학원, 몬테소리 슐레, 유치원을 포함한 6년제 기초 과정 학교인 마르부르크 자유 학원, 기숙사제 김나지움인 란트슐하이 스 타인 뮬레가 있다.
이 외에도, 동유럽사 연구 센터 중 하나인 헤르더 연구소가 마르부르크에 본부를 두고 있다. 주 기관으로는 헤센주립 문서 보관소 마르부르크와 헤센주 지역사무국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Ergebnisse der letzten Direktwahl aller hessischen Landkreise und Gemeinden
https://statistik.he[...]
Hessisches Statistisches Landesamt
2022-09-05
[2]
웹사이트
Population of major towns in Hesse, Germany
https://de.statista.[...]
[3]
뉴스
Amid AstraZeneca setback, Germany banks on homegrown vaccine
https://apnews.com/a[...]
2021-03-31
[4]
서적
Sankt Elisabeth und die Elisabethkirche zu Marburg
Hitzeroth
1990
[5]
웹사이트
Screenhaus
https://www.screenha[...]
2021-01-08
[6]
서적
Hitler: 1889–1936
Norton
1988
[7]
서적
Das Marburger Staatsarchiv als Central Collecting Point
Hessisches Staatsarchiv
2021
[8]
웹사이트
Student enrollment
https://www.uni-marb[...]
2023-09-01
[9]
문서
Hauptsatzung der Universitätsstadt Marburg
https://www.marburg.[...]
2021-11-27
[10]
웹사이트
Ortsbeiräte
https://www.marburg.[...]
[11]
웹사이트
Partnerstädte
https://www.marburg.[...]
Marburg
2021-02-23
[12]
뉴스
German college town Marburg becomes first in the nation to require solar panels on new building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http://www.iht.com/a[...]
[13]
웹사이트
Marburger Solarsatzung vor dem aus (in german)
https://www.faz.net/[...]
[14]
서적
Der Städtetag
https://books.google[...]
1992
[15]
문서
X_ReUSO_Proceedings_2023
https://paginas.fe.u[...]
2023-04-01
[16]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17]
웹사이트
die Namensgeschichte von Marburg
http://www.marburg.d[...]
2012-04-22
[18]
웹사이트
ヘッセン環境地図: マールブルク=ギーセン・ラーンタール
http://atlas.umwelt.[...]
2012-04-22
[19]
웹사이트
DWD-気象データ: 気温
http://www.dwd.de/
[20]
웹사이트
DWD-気象データ: 日照時間
http://www.dwd.de/
[21]
웹사이트
DWD-気象データ: 降水量
http://www.dwd.de/
[22]
서적
Kurmainzisch Land am Lahnberg. Bauerbach und Ginseldorf.
Magistrat der Stadt Marburg
1975
[23]
서적
Die Vor- und Frühgeschichte von Marburg an der Lahn
Magistrat der Stadt Marburg
1982
[24]
서적
Geschichte des Landes Hessen
Stauda
1980
[25]
서적
Marburg. Entwicklungen – Strukturen – Funktionen – Vergleiche.
1990
[26]
서적
Quellen zur Rechtsgeschichte der Stadt Marburg
Elwert
1918
[27]
서적
Beitrag zu einer Geschichte und Beschreibung der lutherischen Pfarrkirche in Marburg
1827
[28]
웹사이트
Deutschland - Ort der Vielfalt
http://www.orte-der-[...]
2012-04-26
[29]
서적
Grundzüge der kulturlandschaftlichen Entwicklung
Magistrat der Stadt Marburg
1982
[30]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のカトリックの歴史
http://www.credobox.[...]
2012-04-27
[31]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のプロテスタント教会: 組織
http://www.ekmr.de/i[...]
2012-04-27
[32]
서적
Wie das Werk begann. Entstehung der deutschen Baptistengemeinden.
1958
[33]
웹사이트
EFG マールブルク
http://www.efg-marbu[...]
2012-04-27
[34]
웹사이트
2009年護憲報告書
http://www.verfassun[...]
2012-04-28
[35]
웹사이트
2011年3月27日のマールブルク市議会議員選挙結果
http://www.statistik[...]
2012-04-28
[36]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上級市長選挙結果
http://www.statistik[...]
2012-04-28
[37]
뉴스
Marburg: Oberbürgermeister kündigt Rücktritt an
http://www.op-online[...]
op-online
2015-07-10
[38]
웹사이트
2015年6月14日のマールブルク上級市長選挙結果
http://www.statistik[...]
2015-07-10
[39]
웹사이트
2015年6月28日のマールブルク上級市長選挙結果
http://www.statistik[...]
2015-07-10
[40]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の市章について
http://www.marburg.d[...]
2012-04-28
[41]
간행물
Hessische Kommunalwappen: Marburg
http://web.uni-marbu[...]
ギーセナー・アルゲマイネ・ツァイトゥング
2001-06-02
[42]
문서
Freundschaft ohne Grenzen
[43]
뉴스
Wilhelmsplatz im Südviertel wird in Hanno-Drechsler-Platz umbenannt
http://www.marburg.d[...]
2012-04-28
[44]
뉴스
Die Städtepartnerschaftsurkunde mit Sibiu/Hermannstadt ist unterzeichnet
http://www.marburg.d[...]
2012-04-28
[45]
웹사이트
ヨーロッパ賞受賞都市リスト
http://assembly.coe.[...]
2012-04-28
[46]
웹사이트
ソーラー条例の文面
http://www.marburg.d[...]
[47]
뉴스
Marburg: Regierungspräsidium hebt Beschluss über die Solarsatzung auf.
http://www.rp-giesse[...]
2012-04-28
[48]
뉴스
マールブルク市のプレスリリース
http://www.marburg.d[...]
2012-04-28
[49]
뉴스
Streit um Marburger Solarsatzung dauert an.
http://www.giessener[...]
giessener-allgemeine.de
2012-04-28
[50]
뉴스
マールブルク市のプレスインフォメーション
http://www.marburg.d[...]
2012-04-28
[51]
웹사이트
Theater in Marburg
http://www.philosoph[...]
2012-04-28
[52]
웹사이트
Junges Theater
http://theater-marbu[...]
2012-04-28
[53]
웹사이트
テアター・ゲーゲンシュタント
http://www.theater-g[...]
2012-04-28
[54]
웹사이트
Radestocks-Kleine-Komedie
http://www.radestock[...]
2012-04-28
[55]
웹사이트
Die Marburger Filmkunsttheater
http://www.marburger[...]
2012-04-28
[56]
웹사이트
Final Cut - Marburger Kinder- und Jugendfilmfestival
http://www.marburg.d[...]
2012-04-28
[57]
웹사이트
Marburuger Kamerapreis - Marburuger Kameraspräche
http://www.online.un[...]
2012-04-28
[58]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大学美術・博物館: 芸術と芸術史の美術館
http://www.uni-marbu[...]
2012-04-28
[59]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民俗学コレクション
http://www.uni-marbu[...]
2012-04-28
[60]
웹사이트
鉱物博物館
http://www.uni-marbu[...]
2012-04-29
[61]
웹사이트
宗教文化コレクション
http://www.uni-marbu[...]
2012-04-29
[62]
웹사이트
解剖学博物館
http://www.uni-marbu[...]
2012-04-29
[63]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芸術協会
http://www.marburger[...]
2012-04-29
[64]
웹사이트
警察モータースポーツクラブ・マールブルク 1990 e.V.
http://www.polizeiol[...]
2012-04-29
[65]
웹사이트
literatur-um-11.de
http://www.literatur[...]
2012-04-29
[66]
웹사이트
BC マールブルク
http://www.bc-marbur[...]
2012-04-29
[67]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メルセナリース
http://www.mercenari[...]
2012-04-29
[68]
웹사이트
SSG ブリスタ・マールブルク
http://www.ssg-blist[...]
2012-04-29
[69]
웹사이트
TSVマールブルク=オッカースハウゼン
http://www.tsv-mr-oc[...]
2012-04-29
[70]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のスポーツクラブ
http://www.marburg.d[...]
2012-04-29
[71]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学生交響楽団
http://www.sso-marbu[...]
2012-04-29
[72]
웹사이트
若いマールブルク・フィルハーモニー
http://www.jmphilhar[...]
2012-04-29
[73]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バッハ合唱団
http://www.marburger[...]
2012-04-29
[74]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コンサート合唱団
http://www.marburger[...]
2012-04-29
[75]
웹사이트
UniChor マールブルク
http://stud-www.uni-[...]
2012-04-29
[76]
웹사이트
Ramba Zamba
http://www.marburg.d[...]
2012-04-30
[77]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の文化: III. 音楽と歌
http://www.marburg.d[...]
2012-04-30
[78]
서적
Marburg an der Lahn: ein Stadtführer
Druckhaus Marburg
2005
[79]
서적
Marburg an der Lahn. Führer durch die Stadt und ihre Geschichte
Trautvetter und Fischer
1976
[80]
웹사이트
ヘッセン統計局: 観光業
http://www.statistik[...]
2012-04-30
[81]
서적
Der Saalbau im Marburger Schloß
Deutscher Kunstverlag
2002
[82]
웹사이트
城館公園
http://www.marburg.d[...]
2012-05-02
[83]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惑星学習路 (planetenlehrpfad-marburg.de)
http://www.planetenl[...]
2012-05-02
[84]
웹사이트
Kräuterlikör - Marburger
http://www.marburger[...]
2012-05-02
[85]
웹사이트
Hessische Spezialitätenbrennerei Behlen GmbH
http://www.brennerei[...]
2012-05-02
[86]
웹사이트
マールブルクのロープウェイ
http://www.seilbahn-[...]
2012-05-03
[87]
웹사이트
Seilbahn - Einleger (PDF)
http://www.gruene-ma[...]
2012-05-04
[88]
웹사이트
FDP-Fraktionschefin ist für eine Seilbahn
http://www.op-marbur[...]
2009-11-22
[89]
웹사이트
100.000 Euro sollen in Verkehrskonzept fließen
http://www.op-marbur[...]
2012-05-05
[90]
웹사이트
マックス=プランク陸生微生物研究所
http://www.mpi-marbu[...]
2012-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