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혈흡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혈흡충은 주혈흡충증을 유발하는 기생충 편형동물의 속이다. 이 속은 20종이 넘는 종을 포함하며, 하마, 설치류, 인간 등 다양한 숙주에 기생한다. 주혈흡충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DNA 분석 결과 하마를 감염시키는 종이 기저일 수 있다. 주혈흡충은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며, 각 그룹은 특정 종을 포함한다. 주혈흡충증은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며, 프라지콴텔로 치료한다. 주혈흡충은 1851년 테오도어 빌하르츠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종이 분류되고 유전체가 밝혀지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의 속 - 개머루속
개머루속은 포도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 속으로, 습한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며 나비목 유충의 먹이 식물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전통적으로 항산화 및 간 보호 효과가 있는 약재로 활용되어 왔으며, 한국에는 털개머루, 개머루, 섬개머루, 덩굴개머루 등 4종이 자생한다. - 중구흡충목 - 만손주혈흡충
만손주혈흡충은 주혈흡충증을 유발하는 기생충으로, 물달팽이를 중간 숙주, 사람을 최종 숙주로 삼아 감염되며, 오염된 물을 통해 피부를 뚫고 침투하여 장이나 간에 문제를 일으키는 질병을 유발한다. - 중구흡충목 - 레우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
레우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은 달팽이와 새를 숙주로 삼아 달팽이의 행동을 조종하는 낭상충을 만들어 새에게 섭취되도록 유도하는 흡충류 기생충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주혈흡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학적 정보 | |
학명 | Schistosoma |
명명자 | Weinland, 1858 |
하위 분류 계급 | 종 |
하위 분류 | Schistosoma bomfordi Schistosoma bovis Schistosoma curassoni Schistosoma datta Schistosoma edwardiense Schistosoma guineensis Schistosoma haematobium Schistosoma harinasutai Schistosoma hippopotami Schistosoma incognitum Schistosoma indicum Schistosoma intercalatum Schistosoma japonicum Schistosoma kisumuensis Schistosoma leiperi Schistosoma malayensis Schistosoma mansoni Schistosoma margrebowiei Schistosoma mattheei Schistosoma mekongi Schistosoma ovuncatum Schistosoma nasale Schistosoma rodhaini Schistosoma sinensium Schistosoma spindale Schistosoma turkestanicum |
![]() | |
일반 정보 | |
관련 질병 | 주혈흡충증 |
출처 | "세계 보건 기구" "질병통제예방센터" |
2. 진화
주혈흡충 속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수년 동안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DNA 염기 서열 분석 결과 하마(Hippopotamus amphibius)를 감염시키는 종(''S. edwardiense'' 및 ''S. hippopotami'')이 기저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마는 신생대 동안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모두 존재했으므로, 이 속은 하마의 기생으로 시작되었을 수 있다.[3] 동남아시아 종의 원래 숙주는 아마도 설치류였을 것이다.[4]
주혈흡충 속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수년 동안 아프리카 기원으로 여겨졌지만, DNA 염기 서열 분석 결과 하마를 감염시키는 종(''S. edwardiense'' 및 ''S. hippotami'')이 기저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3] 하마는 신생대 동안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모두 존재했으므로, 이 속은 하마의 기생으로 시작되었을 수 있다.[3] 동남아시아 종의 원래 숙주는 아마도 설치류였을 것이다.[4]
숙주 달팽이의 계통 발생을 기반으로 볼 때, 이 속은 에서 사이 곤드와나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5]
''주혈흡충''의 자매군은 코끼리를 감염시키는 주혈흡충 속인 ''Bivitellobilharzia''이다.
소, 양, 염소 및 캐시미어 염소 기생충인 ''Orientobilharzia turkestanicum''은 아프리카 주혈흡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6][7] 이후 ''주혈흡충'' 속에 속하게 되었다.[8]
''S. mansoni''는 동아프리카에서 43만~30만 년 전에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S. mansoni''와 ''S. rodhaini''는 10만 7,500년에서 14만 7,600년 전에 공통 조상을 공유한 것으로 보이는데,[9] 이 기간은 아프리카에서 어업에 대한 최초의 고고학적 증거와 겹친다. ''S. mansoni''는 동아프리카에서 기원하여 홀로세 동안 대륙 전체로 확산되기 전인 2만~9만 년 전에 유효 인구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 종은 나중에 노예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었다.
''S. sinensium''은 플라이오세 동안 방사화된 것으로 보인다.[10][11]
''S. mekongi''는 중기 플라이스토세에 동남아시아를 침입한 것으로 보인다.[4]
'''''japonicum''''' 그룹의 추정 종 분화 시기: ''S. japonicum''/동남아시아 주혈흡충은 약 380만 년 전, ''S. malayensis''/''S. mekongi''는 약 250만 년 전이다.[4]
''Schistosoma turkestanicum''은 헝가리에서 붉은 사슴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발견된다. 이 균주는 중국과 이란에서 발견되는 균주와 분기된 것으로 보이며,[12] 분기 시기는 현재로부터 27만 년 전으로 보인다.
1996년 카메룬에서 ''S. haematobium-S.guineenis'' 잡종이 관찰되었다. ''S. haematobium''은 토착종인 ''S. guineensis'' 근처 룸의 열대 우림이 산림 벌채된 후에야 정착할 수 있었고, 잡종화는 ''S. guineensis''의 경쟁적 배제를 초래했다.[22]
2003년에는 서부 케냐의 달팽이에서 ''S. mansoni-S. rodhaini'' 잡종이 발견되었으며,[23] 2009년 기준으로 사람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았다.[24]
2009년에는 북부 세네갈 어린이에게서 ''S. haematobium–S. bovis'' 잡종이 기술되었다. 세네갈강 유역은 1980년대 이후 세네갈의 디아마 댐과 말리의 마난탈리 댐이 건설되면서 매우 많이 변했다. 디아마 댐은 바닷물의 유입을 막아 새로운 형태의 농업을 가능하게 했다. 인구 이동, 가축 증가, 사람과 소가 모두 물을 오염시키는 장소는 예를 들어 응데르에서 다양한 주혈흡충의 혼합을 촉진했다.[24] 같은 잡종은 코르시카의 주혈흡충증 발병에 대한 2015년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카부 강으로 추적되었다.[25]
2019년에는 코트디부아르에서 혈뇨가 있는 14세 환자에게서 ''S. haematobium–S. mansoni'' 잡종이 기술되었다.[26]
3. 분류
숙주 달팽이의 계통 발생을 기반으로 볼 때, 이 속은 7000만 년 전에서 1억 2000만 년 전 사이 곤드와나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5]
주혈흡충의 자매군은 코끼리를 감염시키는 주혈흡충 속인 Bivitellobilharzia이다. 소, 양, 염소 및 캐시미어 염소 기생충인 ''Orientobilharzia turkestanicum''은 아프리카 주혈흡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6][7] 이후 ''주혈흡충'' 속에 속하게 되었다.[8]
''Schistosoma turkestanicum''은 헝가리에서 붉은 사슴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발견된다. 이 균주는 중국과 이란에서 발견되는 균주와 분기된 것으로 보이며, 분기 시기는 현재로부터 27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12]
현재 정의된 ''Schistosoma'' 속은 측계통군이므로 개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속에는 20종이 넘는 종이 인정되며, '''''indicum''''', '''''japonicum''''', '''''haematobium''''', '''''mansoni'''''의 네 그룹으로 나뉜다. 나머지 종들의 유연 관계는 아직 명확해지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Schistosoma bomfordi'', ''Schistosoma datta'', ''Schistosoma harinasutai'', ''Schistosoma turkestanicum''의 4종이 이 속에 추가적으로 이전되었다.[8] 이들은 이전에는 ''Orientobilharzia'' 속의 종으로 분류되었으나, 고환의 수에서만 ''Schistosoma''와 형태학적으로 다르다는 점, 그리고 형태학적 및 분자적 데이터 검토 결과 속들 간의 차이가 분리를 정당화하기에는 너무 작다는 점이 밝혀져 ''주혈흡충''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3. 1. Mansoni 그룹
''마손니'' 그룹에 속하는 4종은 ''S. edwardiense'', ''S. hippotami'', ''S. mansoni'', ''S. rodhaini''이다.[3]
''S. mansoni''는 동아프리카에서 43만~30만 년 전에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S. mansoni''와 ''S. rodhaini''는 10만 7,500년에서 14만 7,600년 전에 공통 조상을 공유한 것으로 보인다.[9] 이 기간은 아프리카에서 어업에 대한 최초의 고고학적 증거와 겹친다. ''S. mansoni''는 동아프리카에서 기원하여 홀로세 동안 대륙 전체로 확산되기 전인 2만~9만 년 전에 유효 인구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나중에 노예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었다.
2003년에는 서부 케냐의 달팽이에서 ''S. mansoni-S. rodhaini'' 잡종이 발견되었으나,[23] 2009년 기준으로 사람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았다.[24]
3. 2. Haematobium 그룹
'''''haematobium''''' 그룹에는 ''S. bovis'', ''S. curassoni'', ''S. guineensis'', ''''S. haematobium'', ''S. intercalatum'', ''S. kisumuensis'', ''S. leiperi'', ''S. margrebowiei'', ''S. mattheei''의 9종이 있다.
''S. leiperi''와 ''S. matthei''는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3] ''S. margrebowiei''는 이 그룹의 기저 종이다.[14] ''S. guineensis''는 ''S. bovis''와 ''S. curassoni'' 그룹의 자매 종이다. ''S. intercalatum''은 최소 두 종의 종 복합체일 수 있다.[15][16]
1996년 카메룬 룸에서는 ''S. haematobium-S.guineenis'' 잡종이 관찰되었다. ''S. haematobium''은 토착종인 ''S. guineensis'' 근처 룸의 열대 우림이 산림 벌채된 후에야 정착할 수 있었고, 잡종화는 ''S. guineensis''의 경쟁적 배제를 초래했다.[22]
2009년에는 세네갈 북부 어린이에게서 ''S. haematobium–S. bovis'' 잡종이 발견되었다. 세네갈강 유역은 1980년대 이후 세네갈의 디아마 댐과 말리의 마난탈리 댐 건설로 크게 변화했다. 디아마 댐은 바닷물 유입을 막아 새로운 형태의 농업을 가능하게 했다. 인구 이동, 가축 증가, 사람과 소가 모두 물을 오염시키는 장소는 응데르 등에서 다양한 주혈흡충의 혼합을 촉진했다.[24] 같은 잡종은 코르시카의 주혈흡충증 발병에 대한 2015년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며, 카부 강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적되었다.[25]
2019년에는 코트디부아르에서 혈뇨가 있는 14세 환자에게서 ''S. haematobium–S. mansoni'' 잡종이 발견되었다.[26]
3. 3. Indicum 그룹
''indicum'' 그룹에는 S. indicum, S. nasale, S. spindale 세 종이 있다. 이 그룹은 플라이오세 동안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모두 폐포류 달팽이를 숙주로 사용한다.[17] ''S. spindale''은 아시아에 널리 분포하지만 아프리카에서도 발견된다.[18]
''S. indicum''은 인도와 태국에서 발견된다.
indicum 그룹은 아프리카 종의 자매 분류군인 것으로 보인다.[19]
3. 4. Japonicum 그룹
''japonicum'' 그룹은 ''S. japonicum'', ''S. malayensis'', ''S. mekongi'', ''S. ovuncatum'', ''S. sinensium''의 다섯 종을 포함하며, 이들은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된다.[20]
''S. ovuncatum''은 ''S. sinensium''과 함께 분기도를 형성하며, 태국 북부에서 발견된다. 최종 숙주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중간 숙주는 달팽이 ''Tricula bollingi''이다. 이 종은 과 Pomatiopsidae의 달팽이를 숙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S. incognitum''은 이 속에서 기저를 이루는 것으로 보이며, 동남아시아 그룹보다 아프리카-인도 종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 종은 폐포(pulmonate) 달팽이를 숙주로 사용한다. 미토콘드리아 검사를 통해 ''Schistosoma incognitum''이 종 복합체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21]
''S. sinensium''은 플라이오세 동안 방사된 것으로 보인다.[10][11]
''S. mekongi''는 중기 플라이스토세에 동남아시아를 침입한 것으로 보인다.[4]
''japonicum'' 그룹의 추정 종 분화 시기는 다음과 같다. ''S. japonicum''/동남아시아 주혈흡충은 약 380만 년 전, ''S. malayensis''/''S. mekongi''는 약 250만 년 전에 분화되었다.[4]
3. 5. 기타
주혈흡충 속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수년 동안 이 속은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DNA 염기 서열 분석 결과 하마를 감염시키는 종(''S. edwardiense'' 및 ''S. hippopotami'')이 기저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3] 하마는 신생대 동안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모두 존재했으므로, 이 속은 하마의 기생으로 시작되었을 수 있다.[3] 동남아시아 종의 원래 숙주는 아마도 설치류였을 것이다.[4]
숙주 달팽이의 계통 발생을 기반으로 볼 때, 이 속은 에서 사이 곤드와나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5]
주혈흡충의 자매군은 코끼리를 감염시키는 주혈흡충 속인 Bivitellobilharzia이다.
소, 양, 염소 및 캐시미어 염소 기생충인 ''Orientobilharzia turkestanicum''은 아프리카 주혈흡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6][7] 이 후기 종은 그 이후 ''주혈흡충'' 속에 속하게 되었다.[8]
''S. mansoni''는 동아프리카에서 43만~30만 년 전에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S. mansoni''와 ''S. rodhaini''는 10만 7,500년에서 14만 7,600년 전에 공통 조상을 공유한 것으로 보인다.[9] 이 기간은 아프리카에서 어업에 대한 최초의 고고학적 증거와 겹친다. ''S. mansoni''는 동아프리카에서 기원하여 홀로세 동안 대륙 전체로 확산되기 전인 2만~9만 년 전에 유효 인구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 종은 나중에 노예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었다.
''S. sinensium''은 플라이오세 동안 방사화된 것으로 보인다.[10][11]
''S. mekongi''는 중기 플라이스토세에 동남아시아를 침입한 것으로 보인다.[4]
'''''japonicum''''' 그룹의 추정 종 분화 시기: ''S. japonicum''/동남아시아 주혈흡충은 약 380만 년 전, ''S. malayensis''/''S. mekongi''는 약 250만 년 전.[4]
''Schistosoma turkestanicum''은 헝가리에서 붉은 사슴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발견된다. 이 균주는 중국과 이란에서 발견되는 균주와 분기된 것으로 보인다.[12] 분기 시기는 현재로부터 27만 년 전으로 보인다.
2012년 기준으로, 4종이 이 속에 추가적으로 이전되었다.[8] 이전에는 ''Orientobilharzia'' 속의 종으로 분류되었다. ''Orientobilharzia''는 고환의 수에서만 ''Schistosoma''와 형태학적으로 다르다. 형태학적 및 분자적 데이터 검토 결과, 이 속들 간의 차이가 분리를 정당화하기에는 너무 작다는 것이 밝혀졌다. 4종은 다음과 같다.
4. 형태
성충 주혈흡충은 모두 기본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기본적인 양측 대칭을 가지며, 구강 흡반과 복부 흡반, 합포체성 피막으로 덮인 몸체, 소화계는 입, 식도 및 분기된 맹장으로 구성되며, 맹장의 맹관으로 끝나는 맹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막과 소화관 사이의 공간은 느슨한 중배엽 세포 네트워크로 채워져 있으며, 불꽃 세포를 기반으로 하는 배설 또는 삼투압 조절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성충의 길이는 대략 10mm에서 20mm이며, 숙주의 헤모글로빈에서 글로빈을 추출하여 자체 순환계에 사용한다.
5. 생식
다른 흡충류 및 기본적으로 모든 편형동물과 달리, 주혈흡충은 자웅이체이며, 성별이 분리되어 있다. 두 성별은 강한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수컷은 암컷보다 훨씬 크다. 수컷은 암컷을 둘러싸고 성충기 동안 자신의 ''암컷을 위한 도랑'' 안에 암컷을 가둔다. 수컷은 숙주의 혈액을 먹는 동안 그중 일부를 암컷에게 전달한다. 수컷은 또한 암컷의 발달을 완료하는 화학 물질을 전달하며, 그 후 그들은 성적으로 번식한다. 드물지만 때때로 짝짓기를 한 주혈흡충은 "이혼"을 하는데, 여기서 암컷은 다른 수컷과 짝짓기를 하기 위해 수컷을 떠난다. 정확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암컷은 유전적으로 더 멀리 떨어진 수컷과 짝짓기하기 위해 파트너를 떠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은 근친 교배를 감소시키고 주혈흡충의 이례적으로 높은 유전적 다양성의 요인이 될 수 있다.[31]
6. 유전체
주혈흡충 빌하르지( ''Schistosoma haematobium''), 주혈흡충 자포니쿰( ''S. japonicum'') 및 주혈흡충 만소니( ''S. mansoni'')의 유전체가 보고되었다.[32][33][34][35]
7. 지리적 분포
주혈흡충증과 관련된 지역은 2017년 1월 기준 세계 보건 기구(WHO)에 의해 다음과 같이 나열되어 있다.[28]
8. 주혈흡충증
주혈흡충의 기생충 편형동물은 빌하르츠병으로도 알려진 만성 감염의 집단인 주혈흡충증을 유발한다.[29] 항주혈흡충 약물은 주혈흡충 살충제이다.
학명 | 제1 중간 숙주 | 토착 지역 |
---|---|---|
S. guineensis | Bulinus forskalii | 서아프리카 |
S. intercalatum | Bulinus 종 | 아프리카 |
S. haematobium | Bulinus 종 | 아프리카, 중동 |
S. japonicum | Oncomelania 종 | 중국, 동아시아, 필리핀 |
S. malayensis | Robertsiella 종 | 동남아시아 |
S. mansoni | Biomphalaria 종 |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카리브해, 중동 |
S. mekongi | Neotricula aperta | 동남아시아 |
8. 1. 인간 감염 종
- '''S. guineensis'''는 서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종이다. 알려진 달팽이 중간 숙주는 ''Bulinus forskalii''이다.
- '''S. haematobium'''는 흔히 ''방광 흡충''이라고 불리며, 원래 아프리카, 근동, 지중해 유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인도에 유입되었다. ''Bulinus'' 속의 민물 달팽이는 이 기생충의 중요한 중간 숙주이다. 최종 숙주 중 인간이 가장 중요하다. 다른 최종 숙주로는 드물게 개코원숭이와 원숭이가 있다.[30]
- '''S. intercalatum'''. 일반적인 최종 숙주는 인간이다. 다른 동물들도 실험적으로 감염될 수 있다.[30]
- '''S. japonicum'''는 통칭 ''혈액 흡충''이며, 동아시아와 남서부 태평양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Oncomelania'' 속의 민물 달팽이는 ''S. japonicum''의 중요한 중간 숙주이다. 최종 숙주는 인간과 고양이, 개, 염소, 말, 돼지, 쥐, 물소를 포함한 다른 포유류이다.[30]
- '''S. malayensis'''. 이 종은 인간에게 드물게 감염되는 것으로 보이며 동물원성 질병으로 간주된다. 자연적인 척추동물 숙주는 뮬러 자이언트 순다 쥐(''Sundamys muelleri'')이다. 달팽이 숙주는 ''Robertsiella'' 종(''R. gismanni'', ''R. kaporensis'' 및 ''R. silvicola'')이다.
- '''S. mansoni'''는 아프리카, 브라질, 베네수엘라, 수리남, 작은 앤틸리스 제도,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발견된다. ''Manson's blood fluke'' 또는 ''늪 열''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Biomphalaria'' 속의 민물 달팽이는 이 흡충류의 중요한 중간 숙주이다. 최종 숙주 중 인간이 가장 중요하다. 다른 최종 숙주로는 개코원숭이, 설치류 및 너구리가 있다.[30]
- '''S. mekongi'''는 ''S. japonicum''과 관련이 있으며, 상장간막 정맥과 하장간막 정맥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S. mekongi''는 더 작은 알, 다른 중간 숙주 (''Neotricula aperta'') 및 포유류 숙주에서 더 긴 잠복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최종 숙주는 인간과 개이다.[30]
학명 | 제1 중간 숙주 | 토착 지역 |
---|---|---|
S. guineensis | Bulinus forskalii | 서아프리카 |
S. intercalatum | Bulinus spp | 아프리카 |
S. haematobium | Bulinus spp. | 아프리카, 중동 |
S. japonicum | Oncomelania spp. | 중국, 동아시아, 필리핀 |
S. malayensis | Robertsiella spp. | 동남아시아 |
S. mansoni | Biomphalaria spp. |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카리브해, 중동 |
S. mekongi | Neotricula aperta | 동남아시아 |
8. 2. 동물 감염 종
인도주혈흡충(''Schistosoma indicum''), 코주혈흡충(''Schistosoma nasale''), 스핀달주혈흡충(''Schistosoma spindale''), 라이퍼주혈흡충(''Schistosoma leiperi'')은 모두 반추동물의 기생충이다.에드워드주혈흡충(''Schistosoma edwardiense'')과 하마주혈흡충(''Schistosoma hippopotami'')은 하마의 기생충이다.
오분카툼주혈흡충(''Schistosoma ovuncatum'')과 시넨시움주혈흡충(''Schistosoma sinensium'')은 설치류의 기생충이다.
9. 치료
프라지콴텔[43]
10. 역사
이집트에서 일하던 독일 병리학자 테오도어 막시밀리안 빌하르츠는 1851년 부검 과정에서 주혈흡충 헤마토비움의 알을 처음 발견했다.[36] 그는 스승이었던 폰 지볼트에게 자신의 발견을 설명하는 편지를 썼고, 폰 지볼트는 1852년에 빌하르츠의 발견을 요약하고 그 벌레의 이름을 ''Distoma haematobium''으로 명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36] 빌하르츠는 1856년에 그 벌레를 더 자세히 묘사하는 논문을 썼다.[37] 같은 해 메켈 폰 헴스바흐는 속 ''Bilharzia''를 만들었다.[38] 1858년 데이비드 프리드리히 바인란트는 벌레가 자웅동체가 아니라 별개의 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Schistosoma''(그리스어: "분열된 몸")라는 이름을 제안했다.[39] 국제동물명명위원회는 ''Bilharzia''가 우선함에도 불구하고, 속 이름 ''Schistosoma''를 공식적으로 채택했다.
빌하르츠는 ''주혈흡충 만소니''도 묘사했지만, 이 종은 1907년 런던 열대 의학 학교에서 루이 웨스턴라 삼본에 의해 재묘사되었으며, 그는 그의 스승인 패트릭 맨슨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40]
1898년, 당시 알려진 모든 종은 Stiles와 Hassel에 의해 아과에 배치되었고, 1899년 로오스에 의해 과의 지위로 격상되었다. 1907년 Poche는 과 이름의 문법적 오류를 수정했다. ''Schistosoma mansoni''의 생물학적 생활사는 1908년 브라질 기생충학자 피라자 다 실바에 의해 밝혀졌다.[41]
2009년, ''Schistosoma mansoni''와 ''주혈흡충 자포니쿰''의 게놈이 해독되어[32][33] 새로운 표적 치료법의 길이 열렸다. 특히 ''S. mansoni''의 게놈에는 조직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성하는 많은 유전자를 포함하여 11,809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S. mansoni''는 특정 지방을 만들 수 있는 효소가 없으므로 숙주에 의존하여 이를 생성해야 한다.[42]
참조
[1]
웹사이트
Schistosomiasis Fact Shee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08-10
[2]
웹사이트
Schistosomiasi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08-10
[3]
논문
A newly-identified lineage of Schistosoma
2003-08
[4]
논문
DNA-sequence variation among Schistosoma mekongi populations and related taxa; phylogeography an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Asian schistosomiasis
2008-03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schistosomatidae]"
2010
[6]
논문
Orientobilharzia turkestanicum is a member of Schistosoma genu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using ribosomal DNA sequences
2009-02
[7]
논문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Orientobilharzia turkestanicum supports its affinity with African Schistosoma spp
2011-12
[8]
논문
Orientobilharzia Dutt & Srivastava, 1955 (Trematoda: Schistosomatidae), a junior synonym of Schistosoma Weinland, 1858
2012-06
[9]
논문
Whole genome resequencing of the human parasite Schistosoma mansoni reveals population history and effects of selection
2016-02
[10]
논문
The phylogeography of Asian Schistosoma (Trematoda: Schistosomatidae)
2002-08
[11]
논문
Comparative Phylogenetic Studies on Schistosoma japonicum and Its Snail Intermediate Host Oncomelania hupensis: Origins, Dispersal and Coevolution
2015
[12]
논문
A foreign invader or a reclusive native? DNA bar coding reveals a distinct European lineage of the zoonotic parasite Schistosoma turkestanicum (syn. Orientobilharzia turkestanicum ())
http://eprints.kings[...]
2013-03
[13]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Schistosoma haematobium group species based on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1994-04
[14]
논문
A revision of the interrelationships of Schistosoma including the recently described Schistosoma guineensis
2006-07
[15]
논문
A phylogeny based on three mitochondrial genes supports the division of Schistosoma intercalatum into two separate species
2003-08
[16]
논문
Molecular arguments for splitting of Schistosoma intercalatum, into two distinct species
2001-01
[17]
논문
The phylogeography of Indoplanorbis exustus (Gastropoda: Planorbidae) in Asia
2010-07
[18]
논문
A DNA sequence-based study of the Schistosoma indicum (Trematoda: Digenea) group: population phylogeny, taxonomy and historical biogeography
2007-12
[19]
논문
Affinities between Asian non-human Schistosoma species, the S. indicum group, and the African human schistosomes
2002-03
[20]
논문
Schistosoma ovuncatum n. sp. (Digenea: Schistosomatidae) from northwest Thailand and the historical biogeography of Southeast Asian Schistosoma Weinland, 1858
2002-01
[21]
논문
Mitochondrial gene order change in ''Schistosoma'' (Platyhelminthes: Digenea: Schistosomatidae)
null
[22]
논문
The evolution of schistosomiasis at Loum, Cameroon: replacement of Schistosoma intercalatum by S. haematobium through introgressive hybridization
1997
[23]
논문
First report of a natural hybrid between Schistosoma mansoni and S. rodhaini
2003-04
[24]
논문
Bidirectional introgressive hybridization between a cattle and human schistosome species
2009-09
[25]
논문
Outbreak of urogenital schistosomiasis in Corsica (France): an epidemiological case study
https://hal.archives[...]
2016-08
[26]
논문
No limit in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schistosomes: observation from a case report
[27]
논문
An approach to revealing blood fluke life cycles, taxonomy, and diversity: provision of key reference data including DNA sequence from single life cycle stages
2006-02
[28]
웹사이트
WHO factsheet
https://www.who.int/[...]
[29]
간행물
Britannica Concise Encyclopedia 2007
[30]
서적
Manson's Tropical Diseases
https://archive.org/[...]
Bailliere Tindall
[31]
웹사이트
Even Blood Flukes Get Divorced - The Loom
http://blogs.discove[...]
2008-10-08
[32]
논문
The Schistosoma japonicum genome reveals features of host-parasite interplay
2009-07
[33]
논문
The genome of the blood fluke Schistosoma mansoni
2009-07
[34]
논문
Whole-genome sequence of Schistosoma haematobium
2012-01
[35]
논문
A systematically improved high quality genome and transcriptome of the human blood fluke Schistosoma mansoni
2012-01
[36]
학술지
Ein Beitrag zur Helminthographia humana ...
https://www.biodiver[...]
1852
[37]
학술지
Distomum haematobium und sein Verhältnis zu gewissen pathologischen Veränderungen der menschlichen Harnorgane
https://books.google[...]
1856
[38]
서적
Mikrogeologie: Ueber die Concremente im thierischen Organismus
https://books.google[...]
Georg Reimer
1856
[39]
서적
Human Cestoides: An Essay on the Tapeworms of Man ...
https://books.google[...]
Metcalfe and Company
1858
[40]
학술지
Remarks on Schistosoma mansoni
https://babel.hathit[...]
1907-09-16
[41]
학술지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schistosomiasis in Bahia, Brazil
https://babel.hathit[...]
1909
[42]
웹사이트
Killer parasites' genes decoded
http://news.bbc.co.u[...]
2009-07-16
[43]
웹사이트
Parasites - Schistosomiasis
https://www.cdc.gov/[...]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2020-10-28
[44]
웹인용
Schistosomiasis Fact Shee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08-10
[45]
웹인용
Schistosomiasi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