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학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아 학살은 헤롯 대왕이 유대인의 왕으로 태어난 예수를 찾아 경배하러 온 동방 박사들을 두려워하여 베들레헴과 그 주변의 두 살 이하의 사내아이들을 모두 죽인 사건을 말한다. 이 이야기는 마태오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구약성서의 예언 성취로 해석되지만, 역사적 사실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헤롯의 폭력적인 성향을 근거로 역사적 신뢰성을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다른 자료에 기록되지 않은 점을 들어 민간 전승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기독교에서는 이 학살에서 희생된 아이들을 순교자로 기념하며,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의 소재로도 널리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들레헴 - 라헬
라헬은 구약성경 창세기에 등장하는 야곱의 아내이자 요셉과 베냐민의 어머니로, 14년간의 노동 끝에 야곱과 결혼하여 요셉과 베냐민을 낳았으나 베냐민을 낳던 중 사망하여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 베들레헴 - 베들레헴의 별
베들레헴의 별은 마태복음에 기록된 예수의 탄생을 알리는 별로, 동방박사들을 아기 예수가 있는 곳으로 인도했다고 전해지며, 천문학적, 종교적 해석과 예술 작품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 영아 살해 - 노르마 (오페라)
《노르마》는 빈첸초 벨리니가 작곡하고 펠리체 로마니가 대본을 쓴 2막의 오페라로, 드루이드교 여사제 노르마와 로마 총독 폴리오네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리며, 벨칸토 오페라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 영아 살해 - 파우스트 (1926년 영화)
파우스트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가 감독하고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희곡을 바탕으로 제작된 1926년 독일 무성 영화로, 메피스토펠레스와 파우스트의 계약과 그로 인한 비극을 다루며 인간의 욕망과 구원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독일 표현주의 대표작이다. - 성경 속 학살 - 삼손
삼손은 구약성서의 판관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나실인으로서 초인적인 힘을 지녔지만, 데릴라의 배신으로 힘을 잃고 블레셋 신전을 무너뜨리는 활약을 펼쳤다. - 성경 속 학살 - 미디안
미디안은 종교적, 정치적 연관성을 가진 다신교 숭배 집단으로 추정되며, 성경과 쿠란에서 아브라함의 아들, 모세 관련 인물, 예언자 슈아이브에게 멸망당한 백성 등으로 묘사되고, 고고학적으로는 구리 채굴 및 독특한 도자기 문화와 관련이 있고, 사우디 아라비아에는 미디안 산맥이 존재한다.
영아 학살 |
---|
2. 성경 이야기
마태복음에 따르면, 동방 박사들이 유대인의 왕으로 태어난 아기 예수에게 경배하기 위해 예루살렘을 방문했다. 헤롯 왕은 동방 박사들에게 아기가 있는 곳을 알아내어 자신에게 알리도록 지시했으나, 동방 박사들은 꿈에서 헤롯의 악한 의도를 알고 다른 길로 돌아갔다.[3] 이에 분노한 헤롯 왕은 베들레헴과 그 주변 지역의 두 살 이하 사내아이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다. 마태복음은 이 사건을 예레미야서 31장 15절(“라마에서 슬피 우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자식들을 잃고 울부짖으며, 위로받기를 마다하는구나. 자식들이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을 인용하며 예언의 성취로 해석한다. 다만 예레미야서의 다음 구절은 희망과 회복을 말하고 있어, 이 학살과의 관련성은 불분명하다는 지적도 있다.[3]
마태복음의 유아 학살 기록은 다른 복음서나 요세푸스의 저작 등에는 나타나지 않아 역사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사건이 헤로데 대왕의 악명에서 영감을 받은 전승이거나, 구약성경 출애굽기의 파라오가 히브리 사내아이들을 학살한 사건을 모방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4][1] 다른 학자들은 베들레헴의 인구가 적었기 때문에 소규모 학살이었을 것이며, 따라서 다른 역사 기록에 나타나지 않았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5]
3. 역사성과 신학적 해석
마태복음은 동방 박사들이 예루살렘을 방문하여 유대인의 왕이 태어난 곳을 묻자, 헤로데 대왕이 그들을 베들레헴으로 인도하고 자기에게 돌아와 보고하라고 요청했지만, 그들은 꿈에서 헤롯이 그 아이를 찾아 죽이고자 하므로 그렇게 하지 말라는 경고를 받았다고 전한다. 이어서 마태복음은 헤롯이 박사들에게 속은 줄 알고 노하여 베들레헴과 그 부근에 있는 사내아이를 박사들에게 자세히 알아본 그 때를 기준하여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였다고 기록한다.[3]
이 구절은 예레미야서 31장 15절을 인용하여, "라헬이 자기 자식들을 잃고 위로받기를 거부한다. 그들이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라는 구절과 연결된다. (마태오 2:17–18).[3] 그러나 예레미야의 다음 구절이 희망과 회복에 대해 이야기하기 때문에, 이 학살과의 관련성은 즉시 명확하지 않다.
5세기 초 마크로비우스의 기록에 헤롯이 아들을 죽였다는 내용이 있지만, 후대의 저작이고 복음서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어 증거로 인정받지 못한다.[3]
조안 E. 테일러와 앤서니 르 돈은 헤롯이 복수심이 강한 통치자였으며, 당시 유대인들이 이집트로 피난 가는 일이 흔했다고 지적한다. [6] 테일러는 역사적 예수가 난민 배경을 가졌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7] 제임스 D. G. 던 역시 헤롯의 학살을 그의 성격과 일치하는 행동으로 본다. [8]
복음서가 연대기적 시간표가 아닌 신학적 문서로 쓰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이야기의 역사성이 부족하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9][10][11][12]
비잔틴 전례는 14,000명의 거룩한 아기들을 주장하는 반면, 초기 시리아 성인 목록은 64,000명을 주장한다. 콥트교 자료는 144,000명을 주장하며, 학살이 12월 29일에 일어났다고 주장한다.[3] 그러나 현대의 연구자들은 이러한 숫자는 과도한 과장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3. 1. 역사적 배경: 헬레니즘 유대와 헤롯 왕조
마태오 복음서에 따르면, 동방 박사들이 예루살렘을 방문하여 유대인의 왕이 태어난 곳을 묻자, 헤롯 대왕은 그들을 베들레헴으로 보내면서 자신에게도 알려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동방 박사들은 꿈에서 헤롯이 아기를 죽이려 한다는 경고를 받고 돌아가지 않았다. 이에 분노한 헤롯은 베들레헴과 그 주변 지역에서 두 살 이하의 사내아이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한다.[3]
이 사건은 예레미야서 31장 15절을 인용하여, "라헬이 자기 자식들을 잃고 위로받기를 거부한다. 그들이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라는 구절과 연결된다. (마태오 2:17–18).[3] 그러나 예레미야의 다음 구절이 희망과 회복에 대해 이야기하기 때문에, 이 학살과의 관련성은 즉시 명확하지 않다.
이 학살 이야기는 마태오 복음서 외의 다른 복음서에는 나오지 않으며, 헤롯 대왕의 친구였던 다마스쿠스의 니콜라우스의 저작이나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에도 언급되지 않는다. 요세푸스는 헤롯의 많은 악행을 기록했지만, 이 사건은 누락되어 있다. 5세기 초 마크로비우스의 기록에 헤롯이 아들을 죽였다는 내용이 있지만, 후대의 저작이고 복음서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어 증거로 인정받지 못한다.
많은 학자들은 이 사건이 독립적으로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헤롯의 악명에서 영감을 받은 민간 전승으로 본다. 그러나 역사학자 폴 L. 마이어는 이 이야기가 기독교인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라며, 헤롯의 폭력성을 고려할 때 역사적 신뢰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신약학자 리처드 T. 프랑스는 이 사건이 소규모였기 때문에 다른 역사 자료에 기록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신약학자 유진 응천 박은 소규모 학살이라도 역사가의 언급을 받을 만하다고 반박한다.
조안 E. 테일러와 앤서니 르 돈은 헤롯이 복수심이 강한 통치자였으며, 당시 유대인들이 이집트로 피난 가는 일이 흔했다고 지적한다. 테일러는 역사적 예수가 난민 배경을 가졌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제임스 D. G. 던 역시 헤롯의 학살을 그의 성격과 일치하는 행동으로 본다.
일부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출애굽기의 파라오가 이스라엘 아이들을 죽이려 한 이야기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이 이야기는 1세기에 확장된 버전으로 유행했으며, 모세의 부모가 꿈에서 경고를 받고 아이를 구하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복음서가 연대기적 시간표가 아닌 신학적 문서로 쓰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이야기의 역사성이 부족하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3. 2. 신학적 해석: 예수의 희생과 구원
마태복음에 따르면, 헤로데 대왕은 동방 박사들로부터 "새로운 왕"이 탄생했다는 소식을 듣고 자신의 지위가 위협받는다고 느꼈다.[3] 그래서 베들레헴에서 2세 이하의 모든 남자아이를 죽이라고 명령했다.[3] 이는 예레미야서 31장 15절의 예언이 성취된 것이라고 마태복음은 기록하고 있다.
이 사건으로 희생된 아이들은 기독교에서 예수를 위해 목숨을 잃은 최초의 순교자로 여겨진다.[3]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는 이들을 성인으로 칭하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어린이 순교자", 성공회에서는 "거룩한 어린이", 동방 정교회에 속하는 일본 정교회에서는 "성영아"라고 부른다. 가톨릭과 성공회의 기념일은 12월 28일이고, 정교회의 기념일은 12월 29일이다.
3. 3. 한국 개신교의 관점
한국 개신교는 유아 학살을 단순한 역사적 사건으로만 보지 않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보호하기 위한 섭리의 과정으로 이해한다. 이 사건은 헤롯 대왕과 같은 권력자의 폭력과 억압에 맞서 싸우는 정의와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4. 추모와 기념
기독교에서는 전통적으로 학살된 아기들을 예수를 위해 목숨을 잃은 최초의 순교자로 여겼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어린이 순교자', 성공회에서는 '거룩한 어린이', 정교회에서는 '성영아'로 부르며 성인으로 칭한다.[19]
4. 1. 기념일
서방 교회(가톨릭, 성공회, 루터교 등)에서는 12월 28일을 기념일로 지킨다.[18] 이들은 이 날을 크리스마스 기간 중 넷째 날로 기념한다.[18] 동방 교회(정교회)에서는 12월 29일을 기념일로 지킨다.[19]5. 현대 사회에 주는 의미
영아 학살 사건은 현대 사회에서 권력 남용, 아동 학대, 인권 유린과 같은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또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해야 하는 우리 모두의 책임을 강조한다.
6. 예술 작품
영아 학살은 조토 디 본도네, 페테르 파울 루벤스, 귀도 레니 등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회화, 조각, 음악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주제가 되었다.
고딕 미술에서는 인기가 줄었지만, 르네상스의 더 큰 작품에서 부활했다.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은 라피테와 켄타우로스의 전투를 묘사한 로마 부조에서 영감을 받아, 인물들을 영웅적으로 누드로 묘사했다.[13] 코르넬리스 판 하를렘의 1590년 버전 역시 네덜란드 반란의 폭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무고한 자 학살의 끔찍한 주제는 종교 개혁 이후 이어진 종교 전쟁 시대 동안 고대 잔혹함과 근대 초기의 잔혹함을 비교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음악으로는 영국 중세의 『코벤트리 캐럴』이 이 사건을 노래하고 있다. 17세기 네덜란드의 크리스마스 노래 ''오 케르스트나흐트, 쇼너 단 데 다겐''(O Kerstnacht, schoner dan de dagen)은 예수 탄생을 언급하지만, 영아 학살에 관한 것이다.
6. 1. 회화
브뤼헐의 ''아기 학살''은 합스부르크 양두 독수리가 그려진 깃발을 든 병사들을 보여준다.[14] 피터 브뤼헐 (아버지)(c. 1565–67)와 그의 아들 피터 브뤼헐 (젊은이)(17세기까지)는 ''아기 학살''의 여러 버전을 그렸다.귀도 레니의 초기 (1611년) 작품인 ''무고한 자 학살''은 특이하게 수직적인 구도를 가지고 있으며, 볼로냐에 있다.[15] 이 작품은 귀도 레니가 1611년 볼로냐의 산 도메니코 성당을 위해 제작했으며, 현재는 그 도시의 국립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플랑드르 화가 피터 폴 루벤스는 이 주제를 여러 번 그렸다. 두 가지 버전은 페테르 파울 루벤스가 1611–1612년과 1636–1638년에 그렸는데, 현재 뮌헨에 있는 한 버전은 멀리 페루까지 판화로 제작되어 그림으로 복제되었다.[16] 그중 한 점은 2002년 케네스 톰슨에 의해 4950만파운드에 낙찰되어, 역대 최고가로 거래된 그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무고한 자 학살"이라는 주제는 많은 국적의 예술가들에게 폭력적인 행동으로 집결된 육체를 복잡하게 묘사할 기회를 제공했다. 그것은 성모 마리아의 생애 연작에서 ''이집트 탈출''의 대안이었다. 고딕 미술에서는 인기가 줄었지만, 르네상스의 더 큰 작품에서 부활했다.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은 라피테와 켄타우로스의 전투를 묘사한 로마 부조에서 영감을 받아, 인물들을 영웅적으로 누드로 묘사했다.[13]
코르넬리스 판 하를렘의 1590년 버전 역시 네덜란드 반란의 폭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아기 학살''은 니콜라 푸생이 1625년에서 1632년 사이에 그렸다.
- ''아기 학살''은 마테오 디 지오반니가 그렸다.
6. 2. 음악
중세 전례극은 헤롯의 영아 학살을 포함한 성경적 사건들을 다루었다. 잉글랜드 코번트리에서 공연된 ''Shearmen and Tailors의 가장행렬''에는 현재 코벤트리 캐럴로 알려진 노래가 포함되어 있다. 4개의 연극으로 구성된 ''오르도 라첼리스'' 전통은 이집트 탈출, 아르켈라오스에 의한 헤롯의 계승, 이집트 귀환, 그리고 예레미야의 예언 성취를 위해 라헬이 울부짖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학살을 포함한다.[13]코벤트리 캐럴은 16세기에 만들어진 크리스마스 캐럴이다. 이 캐롤은 잉글랜드 코번트리에서 ''Shearmen and Tailors의 가장행렬''이라는 미스터리 플레이의 일부로 공연되었다. 이 연극은 마태오 복음서 2장에 묘사된 크리스마스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캐롤은 헤롯이 베들레헴에서 두 살 이하의 모든 남자 아이들을 죽이라고 명령한 영아 학살을 언급한다. 작가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가장 오래된 텍스트는 1534년 로버트 크루가 썼고, 멜로디는 1591년에 만들어졌다. 이 캐롤은 전통적으로 아카펠라로 불린다.
17세기 네덜란드의 크리스마스 노래 ''오 케르스트나흐트, 쇼너 단 데 다겐''(O Kerstnacht, schoner dan de dagen)은 예수 탄생을 언급하지만, 영아 학살에 관한 것이다.
마르크 앙투안 샤르팡티에는 독창자, 합창단, 바이올린 2대, 통주 저음을 위한 오라토리오 Caedes sanctorum innocentiumla, H.411을 작곡했다(1683–1685).
6. 3. 문학
마태복음은 동방 박사들이 유대인의 왕이 태어난 곳을 찾기 위해 예루살렘을 방문한 이야기를 전한다. 헤롯 왕은 동방 박사들을 베들레헴으로 보내면서 자신에게 돌아와 보고하라고 했지만, 동방 박사들은 꿈에서 헤롯이 아기를 찾아 죽이려 한다는 경고를 받고 돌아가지 않았다.마태복음은 이어서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이후 예레미야서(예레미야 31:15)를 인용하며, "라마에서 울부짖는 소리가 들려온다. 통곡하며 애통하는 소리, 라헬이 자기 자식들을 잃고 위로받기를 거부한다. 그들이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 (마태오 2:17–18)라고 언급한다. 그러나 예레미야의 다음 구절에서 희망과 회복에 대해 이야기하기 때문에, 이 학살과의 관련성은 즉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How the Gospels Became History{{snd}}Jesus and Mediterranean Myths
Yale University Press
[2]
서적
Who Was Jesus? (Little Books of Guidance)
Church Publishing
[3]
bibleverse
Matthew
[4]
서적
The Mythology of America's Seasonal Holidays: The Dance of the Horae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6-24
[5]
간행물
Herod and the Children of Bethlehem
https://www.jstor.or[...]
1979
[6]
서적
Jesus: A Beginner's Guide
Oneworld Publications
[7]
웹사이트
Jesus was a Refugee
https://historicalje[...]
2015-09-07
[8]
서적
Who Was Jesus? (Little Books of Guidance)
Church Publishing
[9]
문서
Interpreting Gospel Narratives: Scenes, ''People'', and Theology'' by Timothy Wiarda 2010
[10]
문서
Jesus, the Christ: Contemporary Perspectives'' by Brennan R. Hill 2004
[11]
문서
The Gospel of Luke'' by Timothy Johnson 1992
[12]
문서
Recovering Jesus: the witness of the New Testament'' Thomas R. Yoder Neufeld 2007
[13]
웹사이트
Getty Collection
http://www.getty.edu[...]
Getty.edu
2009-05-07
[14]
웹사이트
A winter landscape with the Massacre of the Innocents, Sotheby's, 7 December 2005
http://www.sothebys.[...]
[15]
웹사이트
Reni's painting at the Web Gallery of Art
http://www.wga.hu/fr[...]
Wga.hu
[16]
문서
The ''Massacre of the Innocents'' in Cuzco Cathedral is clearly influenced by Rubens. See ''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18]
웹사이트
Day Four: December 28, Feast of the Holy Innocents
http://www.catholicc[...]
Catholic Culture
[19]
웹사이트
Lives of the Saints
https://www.oca.org/[...]
[20]
서적
The Christmas Encyclopedia
McFarland
2022
[21]
웹사이트
Feast of the Holy Innocents
https://www.lcmmadis[...]
Lutheran Campus Ministry in Madison
2020-12-28
[22]
서적
God With Us: God With Us: Rediscovering the Meaning of Christmas
Paraclete Press
2015-09-01
[23]
웹사이트
It's No Joke: Dec. 28 Is for Pranks in Spanish-Speaking Countries
https://www.thoughtc[...]
[24]
뉴스
BBC News
https://www.bbc.co.u[...]
[25]
웹사이트
'Feast of Holy Innocents', ''Trinity and Tobago Newsday''
http://www.newsday.c[...]
Newsday.co.tt
2013-12-30
[26]
뉴스
6.幼児虐殺とは何ですか?それは歴史的事実ですか?
http://opusdei.org/j[...]
2018-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