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일러 항등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일러 항등식은 자연 로그의 밑, 허수 단위, 원주율, 덧셈 항등원, 곱셈 항등원 등 5개의 수학 상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공식이다. 이 공식은 오일러 공식의 특수한 경우로, 복소 평면에서 기하학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수학적 아름다움을 인정받아 '수학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리'로 꼽히기도 했다. 오일러 항등식은 1748년 오일러에 의해 발표된 오일러 공식을 통해 증명된다. 또한, 더 일반적인 형태의 단위근의 합에 대한 항등식의 특별한 경우로 볼 수 있으며, 사원수 및 팔원수 지수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정의

자연 로그의 밑인 ''e'', 허수 단위인 ''i'', 원주율인 π 에 대해, 오일러 항등식은 다음과 같다.

:e^{i\pi}= -1

또는 다음과 같이도 표현한다.

:e^{i\pi}+1=0

오일러 항등식은 수학적 아름다움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특별하게 여겨진다.

이 등식은 다음과 같은 5가지 기본적인 수학 상수를 포함한다.



또한, 이 등식은 다음 세 가지 기본적인 산술 연산을 통해 위의 상수들을 간결하게 연결한다.

기하학, 해석학, 대수학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된 세 상수(π, e, i)가 이처럼 간단한 등식으로 연결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해석학에서는 보통 방정식의 한쪽(주로 우변)에 "0"을 두는 형태로 표현한다.

3. 증명

오일러 공식의 특수한 경우로, 오일러 항등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e^{ix}=\cos x+i\sin x\qquad\forall x\in\mathbb R

위 식에서 x=\pi를 대입하면 오일러 항등식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e^z지수 함수의 특성 중 하나를 실수 지수에서 복소 지수로 확장하여 복소수 z에 대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정의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e^z = \lim_{n\to\infty} \left(1+\frac z n \right)^n.

따라서 오일러 항등식은 n이 무한대로 접근할 때 (1 + i\pi/n)^n의 극한이 −1과 같다고 명시한다.

오일러 공식에 따르면, 모든 실수 x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e^{ix} = \cos x + i\sin x

여기서 삼각 함수 사인과 코사인의 입력은 라디안으로 주어진다.

특히, x = π 일 때,

: e^{i \pi} = \cos \pi + i\sin \pi.

:\cos \pi = -1 이고, \sin \pi = 0,이므로,

: e^{i \pi} = -1 + 0 i,

가 성립하고, 이는 오일러 항등식을 유도한다.

: e^{i \pi} +1 = 0.

복소해석학에서 임의의 실수 \varphi에 대해 성립하는 오일러 공식

:e^{i\varphi} = \cos \varphi + i \sin \varphi

에서 삼각 함수 sin과 cos의 인자 \varphi라디안이다. 양변에 \varphi = \pi 를 대입하면,

:\cos \pi = -1

:\sin \pi = 0

이므로

:e^{i \pi} = -1

따라서

:e^{i \pi} +1 = 0

을 얻는다.

4. 역사

레온하르트 오일러1768년에 출판한 책 《Introduction》에 수록되었다.[16] 오일러 항등식은 1748년에 출판된 그의 기념비적인 수학 분석 저서인 ''무한소 해석 입문(Introductio in analysin infinitorum)''에서 오일러 공식의 직접적인 결과이지만, 다섯 개의 기본 상수를 간결한 형태로 연결하는 특정한 개념이 오일러 자신에게 귀속될 수 있는지는 의문이며, 그는 이를 표현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17]

로빈 윌슨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18]

: 우리는 이것[오일러 항등식]이 요한 베르누이로저 코츠의 결과로부터 쉽게 유도될 수 있지만, 그들 중 어느 누구도 그렇게 한 것 같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일러조차도 명시적으로 기록하지 않은 것 같으며, 그의 출판물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지만, 그는 분명히 자신의 항등식 [즉, 오일러 공식]으로부터 즉시 도출된다는 것을 깨달았을 것이다. 더욱이, 누가 처음으로 이 결과를 명시적으로 언급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

오일러 항등식은 1748년에 출판된 그의 해석학 기념비적 연구에 등장한다는 주장이 있어 왔다.[27] 그러나, 특히 이 개념이 오일러에게 귀속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그가 그것을 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의심을 받기도 한다.[28] 오일러는 ''Introductio''에서 "오일러 공식"이라고 불리는 것, 복소수 세계에서 e|e영어를 ''코사인''과 ''사인''의 말로 연결하는 것에 대해 언급했고[29], 영국의 수학자 로저 코츠도 이 공식에 대해 알고 있었다.[28]

5. 수학적 아름다움과 평가

오일러 항등식은 수학적 아름다움의 예시로 자주 언급된다.[5] 이 항등식은 덧셈, 곱셈, 지수라는 세 가지 기본 산술 연산을 각각 한 번씩 포함하며,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기본 수학 상수를 연결한다.[6]



이 방정식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식처럼 0과 같은 형태로 주어지기도 한다.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 교수 키스 데블린은 "사랑의 본질을 포착하는 셰익스피어 소네트나 피부 깊숙이 존재하는 인간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그림과 같이, 오일러의 방정식은 존재의 가장 깊은 곳까지 도달한다"고 말했다.[7] 뉴햄프셔 대학교 명예교수인 폴 나힌은 오일러 공식과 그 응용을 푸리에 해석에 전념하는 책을 썼으며, 오일러의 항등식을 "절묘한 아름다움"이라고 묘사했다.[8]

수학 저술가 콘스턴스 리드는 오일러의 항등식이 "모든 수학에서 가장 유명한 공식"이라고 평했다.[9] 19세기 미국의 철학자이자 수학자, 하버드 대학교 교수였던 벤자민 피어스는 강의 중 오일러의 항등식을 증명한 후, "이 항등식은 절대적으로 역설적이다. 우리는 그것을 이해할 수 없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지만, 증명했으므로 진실임은 알고 있다"고 말했다.[10]

1990년 ''수학 인텔리전서''의 독자 설문 조사에서 오일러의 항등식을 "수학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리"로 선정했다.[11] 2004년 ''물리학 월드''의 독자 설문 조사에서 오일러의 항등식은 맥스웰 방정식 (전자기학)과 함께 "역대 최고의 방정식"으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12]

최소 세 권의 대중 수학 서적이 오일러의 항등식에 관해 출판되었다.

  • 폴 나힌의 ''Dr. Euler's Fabulous Formula: Cures Many Mathematical Ills'' (2011)[13]
  • 데이비드 스티프의 ''A Most Elegant Equation: Euler's formula and the beauty of mathematics'' (2017)[14]
  • 로빈 윌슨의 ''Euler's Pioneering Equation: The most beautiful theorem in mathematics'' (2018).[15]


오일러 등식은 기하학, 해석학, 대수학 분야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된 세 개의 상수 (π, e, i)가 간단한 등식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과, 일반적으로 해석학에서는 방정식이 한쪽(대개 우변)에 "0"을 두는 형태로 표기된다는 점에서 그 수학적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이 공식을 본 학생이 즉시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학생은 일류 수학자가 될 수 없다"라고 언급했다.[24]

Bob Palais가 2001년에 공개한 에세이 "π is wrong!"에서는 원주율 π 대신 "τ=2π"라는 수 τ, 즉 원의 둘레와 반지름의 비율을 사용하면 이 공식은 e^{i \tau} = 1이라는 더 간단한 표현이 된다고 언급했다.

6. 기하학적 해석

이 애니메이션에서 N은 1부터 100까지 다양한 값을 갖는다. (1 + iπ/N)^N의 계산은 복소 평면에서 N번 반복된 곱셈의 결합된 효과로 표시되며, 최종 지점은 (1 + iπ/N)^N의 실제 값이다. N이 커질수록 (1 + iπ/N)^N은 -1에 수렴한다.


일반 각도에 대한 오일러 공식


오일러 항등식은 e^{i\pi}가 -1과 같다고 나타낸다. e^{i\pi}지수 함수 e^z의 특수한 경우이며, 일반적으로 e^z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z = \lim_{n\to\infty} \left(1+\frac z n \right)^n.

따라서 오일러 항등식은 n이 무한대로 접근할 때 (1 + i\pi/n)^n의 극한이 -1과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오른쪽 애니메이션에 설명되어 있다.

오일러 항등식은 모든 실수 x에 대해 다음을 나타내는 오일러 공식의 특수한 경우이다.

: e^{ix} = \cos x + i\sin x

여기서 삼각 함수 사인과 코사인의 입력은 라디안으로 주어진다.

특히, x = π 일 때,

: e^{i \pi} = \cos \pi + i\sin \pi.

\cos \pi = -1이고 \sin \pi = 0이므로,

: e^{i \pi} = -1 + 0 i,

따라서,

: e^{i \pi} +1 = 0.

이다.

복소수 z = x + iy는 복소 평면에서 점 (x, y)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점은 극좌표 (r, \theta)로도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r은 z의 절댓값(원점으로부터의 거리)이고, \theta는 z의 편각(양의 x축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의 각도)이다. 사인과 코사인의 정의에 따르면, 이 점은 (r \cos \theta, r \sin \theta)의 데카르트 좌표를 가지므로, z = r(\cos \theta + i \sin \theta)이다. 오일러 공식에 따르면, 이는 z = r e^{i\theta}와 같다.

오일러 항등식은 -1 = e^{i\pi}라고 말한다. e^{i\pi}는 r = 1이고 \theta = \pi일 때 r e^{i\theta}이므로, 복소 평면에서 숫자 -1에 대한 사실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는 1이고, 양의 x축으로부터의 각도는 \pi 라디안이다.

또한, 임의의 복소수 z에 e^{i\theta}를 곱하면, 복소 평면에서 z를 반시계 방향으로 \theta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1을 곱하는 것은 점을 원점에 대해 대칭시키는 것이므로, 오일러 항등식은 임의의 점을 원점에 대해 \pi 라디안 회전시키는 것은 그 점을 원점에 대해 대칭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theta2\pi로 설정하면 e^{2\pi i} = 1이 되는데, 이는 임의의 점을 원점을 중심으로 한 바퀴 회전시키면 원래 위치로 돌아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7. 일반화

오일러 항등식은 일 때 번째 단위근의 합이 0이라는 더 일반적인 항등식의 특별한 경우이다.

:\sum_{k=0}^{n-1} e^{2 \pi i \frac{k}{n}} = 0 .

오일러 항등식은 인 경우이다.

사원수 지수에도 유사한 항등식이 적용된다. 를 기저 사원수라고 하면,

:e^{\frac{1}{\sqrt 3}(i \pm j \pm k)\pi} + 1 = 0.

더 일반적으로, 를 실수부가 0이고 노름이 인 사원수라고 하자. 즉, q=ai+bj+ck,이며 a^2+b^2+c^2=1.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e^{q\pi} + 1 = 0.

동일한 공식은 팔원수에도 적용되며, 실수부가 0이고 노름이 이다. 이 공식들은 오일러 항등식의 직접적인 일반화이다. 왜냐하면 i-i는 실수부가 0이고 노름(절댓값)이 인 유일한 복소수이기 때문이다.

오일러 등식은 1의 거듭제곱근에 관한 다음 등식의 특수한 경우로 간주할 수 있다.

:\textstyle\sum\limits_{k=0}^{n-1} e^{i\cdot \frac{2 \pi}{n}k} = 0

일반적인 이 식은 2 이상의 정수 에 대해 1의 제곱근의 총합은 0임을 의미한다. 로 하면 오일러 등식을 얻는다.

참조

[1] 서적 https://books.google[...] 1999
[2] Eom Euler identity
[3] citation The Transcendence of π and the Squaring of the Circle 2020
[4] 웹사이트 e is transcendental https://math.colorad[...]
[5] 뉴스 Mathematics: Why the brain sees maths as beauty https://www.bbc.co.u[...] 2014-02-13
[6] 서적 1992
[7] 서적 https://books.google[...] 2006
[8] 서적 2006
[9] 서적
[10] 서적 https://books.google[...]
[11] 서적 1990
[12] 서적 2004
[13] 서적 Dr. Euler's fabulous formula : cures many mathematical ill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14] 서적 A Most Elegant Equation : Euler's Formula and the Beauty of Mathematics Basic Books 2017
[15] 서적 Euler's pioneering equation : the most beautiful theorem in mathe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간행물 http://www.springer.[...]
[20] 서적 2006
[21] 서적 2004
[22] 서적 2007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006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