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베로아메리카 정상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베로아메리카 정상회의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중심으로 한 이베리아 반도 국가들과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참여하는 정상 회의이다. 1991년 멕시코 과달라하라에서 첫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스페인, 포르투갈, 안도라를 포함한 22개 정회원국과 적도 기니, 푸에르토리코, 필리핀이 준회원국으로 참여한다. 정상회의는 매년 다른 도시에서 개최되며, 사회적 통합, 국가 개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 -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는 1932년부터 1968년까지 포르투갈 총리를 지낸 권위주의적 독재자로, "에스타두 노부" 체제를 수립하여 일당 독재를 구축하고 경제 개발과 사회 통제에 주력했지만, 인권 탄압과 식민지 전쟁으로 국제적 비난을 받았다. - 포르투갈 - 포르투갈 헌법
포르투갈 헌법은 1976년 제정되어 인간의 존엄성과 민주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하며, 1982년과 1989년 개정을 거쳐 기본 권리, 경제 조직, 정치 권력 등을 규정하는 4부로 구성되어 있다. - 스페인 - 스페인의 언어
스페인에서는 전국 공용어인 스페인어를 비롯하여 카탈루냐어, 갈리시아어, 바스크어, 아란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며, 스페인어는 대다수 주민의 일상어이자 모국어이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사용 인구를 가진 언어이다. - 스페인 - 스페인으로의 이민
스페인으로의 이민은 스페인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국가 출신의 이민자 유입으로 경제적 기여와 문화적 다양성을 가져왔지만, 사회 통합 및 갈등과 같은 문제도 야기하여 스페인 정부는 EU와 연계하여 이민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 라틴 아메리카 - 워싱턴 합의
워싱턴 합의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워싱턴 D.C. 소재 국제기구들이 개발도상국 및 체제 전환 국가의 경제 발전을 위해 제시한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 패키지로, 적용 결과와 비판적 평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라틴 아메리카 - 라틴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는 미국 남쪽에 위치한 아메리카 대륙의 지역으로, 로망스어군 언어가 주로 사용되는 국가와 지역들을 포함하며,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제도, 남아메리카를 포함하는 33개의 독립국과 여러 비독립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베로아메리카 정상회의 | |
|---|---|
| 이베로아메리카 정상회의 | |
![]() | |
![]() | |
| 현지 이름 | 스페인어: Cumbre Iberoamericana 포르투갈어: Conferência Ibero-americana |
| 다른 표기 | 스페인어: Cumbre Iberoamericana de Jefes de Estado y de Gobierno 포르투갈어: Cimeiras (or Cúpulas) Ibero-Americanas de Chefes de Estado e de Governo |
| 기구 | 이베로아메리카 국가 기구 |
| 수도 | 마드리드 |
| 최대 도시 | 마드리드 |
| 공용어 |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
| 정부 형태 | 국가연합 |
| 지도자 칭호 | 왕 |
| 지도자 | 펠리페 6세 |
| 설립 | |
| 설립일 | 1991년 7월 19일, 멕시코 과달라하라 |
| 기타 | |
| 회원국 | 22개국 |
| google_map | 이베로아메리카 |
2. 회원국
1991년 멕시코 과달라하라에서 열린 첫 정상회의에는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멕시코, 니카라과,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포르투갈, 스페인,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정부가 참석했다.[1][2][3] 안도라는 2004년에 정회원국으로 가입했다.
2001년 푸에르토리코가 준회원국(독립국이 아니므로)으로, 2009년부터 필리핀과 적도 기니(둘 다 옛 스페인령)가 준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 외에 일본(2013년부터), 벨기에, 프랑스, 아이티, 이탈리아, 모로코, 네덜란드, 대한민국도 준회원국이다.
2. 1. 정회원국
1991년 멕시코 과달라하라에서 열린 첫 정상회의에는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멕시코, 니카라과,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포르투갈, 스페인,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정부가 참석했다.[1][2][3] 안도라는 2004년에 정회원국으로 가입했다.[1][2][3]
2. 2. 준회원국 및 지역
2001년 푸에르토리코가 준회원국(독립국이 아니므로)으로, 2009년부터 필리핀과 적도 기니(둘 다 옛 스페인령)가 준회원국이 되었다. 그 외에 일본(2013년부터), 벨기에, 프랑스, 아이티, 이탈리아, 모로코, 네덜란드, 대한민국이 준회원국으로 참가하고 있다.
3. 역대 정상회의 개최지
| 정상회의 | 개최 도시 | 국가 | 날짜[6] |
|---|---|---|---|
| 제1차 | 과달라하라 | 1991년 7월 18일~19일 | |
| 제2차 | 마드리드 | 1992년 7월 23일~24일 | |
| 제3차 | 살바도르(바이아주) | 1993년 7월 15일~16일 | |
| 제4차 | 카르타헤나 | 1994년 6월 14일~15일 | |
| 제5차 |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 | 1995년 10월 16일~17일 | |
| 제6차 | 산티아고, 비냐델마르 | 1996년 11월 13일~14일 | |
| 제7차 | 마르가리타섬 | 1997년 11월 8일~9일 | |
| 제8차 | 포르투 | 1998년 10월 17일~18일 | |
| 제9차 | 아바나 | 1999년 11월 15일~16일 | |
| 제10차 | 파나마 시티 | 2000년 11월 17일~18일 | |
| 제11차 | 리마 | 2001년 11월 17일~18일 | |
| 제12차 | 바바로 | 2002년 11월 15일~16일 | |
| 제13차 | 산타크루스데라시에라 | 2003년 11월 14일~15일 | |
| 제14차 | 산호세 | 2004년 11월 18일~20일 | |
| 제15차 | 살라망카 | 2005년 10월 14일~15일 | |
| 제16차 | 몬테비데오 | 2006년 11월 3일~5일 | |
| 제17차 | 산티아고 | 2007년 11월 8일~10일 | |
| 제18차 | 산살바도르 | 2008년 10월 29일~31일 | |
| 제19차 | 에슈토릴 | 2009년 11월 30일~12월 1일 | |
| 제20차 | 마르델플라타 | 2010년 12월 3일~4일 | |
| 제21차 | 아순시온 | 2011년 10월 28일~29일 | |
| 제22차 | 카디스 | 2012년 11월 16일~18일 | |
| 제23차 | 파나마 시티 | 2013년 10월 16일~18일 | |
| 제24차 | 베라크루스 | 2014년 12월 8일~9일 | |
| 제25차 |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 2016년 10월 28일~29일 | |
| 제26차 | 안티구아 | 2018년 11월 15일~16일 | |
| 제27차 | 안도라라벨랴 | 2021년 4월 21일 | |
| 제28차 | 산토도밍고 | 2023년 3월 24일~25일 |
4. 확장
1991년 멕시코 과달라하라에서 열린 첫 정상회의에는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멕시코, 니카라과,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포르투갈, 스페인,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정부가 참석했다. 2004년에는 안도라가 정회원으로 가입했다.[1][2][3] 2009년에는 적도 기니와 필리핀이 "준회원"으로 참여했다. 푸에르토리코는 때때로 준회원으로 참여했지만, 주권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정상회의에 완전히 가입할 수 없다. 벨리즈와 동티모르는 정상회의 가입 의사를 표명했지만, 현재까지는 허용되지 않았다.
콜롬비아 대통령 구스타보 페트로의 제안에 따라[4], 사하라 외교관 모하메드 아즈룩은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 이베로아메리카 정상회의에 참관 회원으로 가입할 것을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5]
2001년 푸에르토리코가 준회원국(독립국이 아니므로)으로, 2004년부터 안도라가 정식 회원국으로, 그리고 2009년부터 필리핀과 적도 기니(둘 다 옛 스페인령)가 준회원국이 되었다. 지금까지는 스페인어 또는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이베리아 반도 또는 중남미 국가들(안도라의 공용어는 카탈루냐어뿐이지만 스페인어도 널리 통용된다)만의 회의였지만, 아시아에 위치한 필리핀과 적도 기니가 준회원국이 됨에 따라, 앞으로는 앙골라, 모잠비크 등 아프리카의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나 동티모르 등의 가입이 예상되며, 이미 동티모르, 적도 기니, 벨리즈가 가입을 신청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aíses
http://www.cumbresib[...]
2007-10-22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ccis.ad/i[...]
2007-10-22
[3]
웹사이트
I Cumbre Iberoamericana de Jefes de Estado y Presidentes de Gobierno
http://www.oei.es/ic[...]
2007-10-22
[4]
뉴스
Colombian president asks Spain to invite Western Sahara to Ibero-American summit
https://www.spsrasd.[...]
2023-03-26
[5]
뉴스
SADR will ask, officially, to be observer member of Ibero-American Summit
https://www.spsrasd.[...]
2023-04-01
[6]
웹사이트
Cumbres Iberoamericanas de Jefes de Estado y de Gobierno
http://www.oei.es/cu[...]
2007-10-22
[7]
웹사이트
イベロアメリカ・サミット(Cumbre Iberoamericana)
https://www.mofa.go.[...]
외務省
2014-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