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침하는 지반이 가라앉는 현상으로, 자연적 및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자연적 요인으로는 카르스트 지형에서의 동굴 생성, 지진으로 인한 단층 활동, 지하수 변동 등이 있으며, 인위적 요인으로는 지하 채광, 천연 가스 및 석유 추출, 과도한 지하수 사용, 고층 건물 건설 등이 있다.
지반 침하는 자연 현상과 인위적인 요인 모두에 의해 발생하며, 건축물이나 농업에 피해를 주고 해발 0미터 지대를 발생시키는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85][83]
침하는 즉시침하와 압밀침하로 구분되며, 건물 파손, 구조물 손상, 해일 및 홍수 위험 증가 등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한다. 지반 침하 예측을 위해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추세를 예측하거나, 지하수위 변화, 지하수 채취량, 토양 성분 등을 고려한 모델을 사용하며, 머신 러닝 기술도 활용된다.
지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지하수 양수량 규제, 대체 수자원 확보, 물 이용 합리화 등의 대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피해 발생 시 제방 증고 등의 대응책이 마련된다.
2. 침하의 원인
인위적인 요인으로는 공업 용수, 농업 용수, 소설 용수, 냉방 용수 등 지하수의 과잉 양수, 천연 가스 채취, 광산 갱도 굴착 등이 있다.[108] 지하수 과잉 양수는 지하수위 저하를 일으켜 흙 속 간극수의 수압에 의한 부력을 감소시키고, 유효 응력을 증대시켜 지층을 압축한다.
일본에서는 테라다 토라히코가 1915년 도쿄 하마치 저지에서 연간 7.5mm의 지반 침하를 처음 지적한 이후,[104] 간토 대지진 이후 측량 기록을 통해 문제가 주목받기 시작했다.[10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하수 양수 중단으로 침하가 일시적으로 멈췄으나, 경제 부흥과 함께 다시 진행되었다. 이후 공업 용수법, 건축물용 지하수 채취 규제에 관한 법률 등 지하수 양수 제한 법률이 정비되면서 다소 완화되었다.
하지만 지하수 양수 제한은 적설 지역에서 제설을 위한 지하수 사용을 어렵게 했고, 니가타현에서는 1955년경부터 농업 피해가 발생했다.[105][109] 도쿄에서는 지하수위 회복으로 지하 건축물 누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10]
필리핀 북부 연안 지역과 인근 섬에서는 지하수 채취로 인해 매년 4cm~6cm의 지반 침하가 발생하여 주민들이 이주하고 있다.[111] 석탄, 금속 광물, 석재 채취를 위한 지하 공동 굴착도 지반 침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85]
2. 1. 자연적 원인
카르스트 지형에서는 지하수의 흐름에 의해 석회암이 용해되어 동굴과 같은 공동이 생성된다. 이러한 공동의 천장이 약해지면 무너져 상부의 암석과 토양이 공간으로 떨어지면서 지표면에 싱크홀과 같은 침하를 유발할 수 있다.[7]
지진 발생 시에는 단층선을 따라 넓은 지역의 지반이 급격하게 침하될 수 있다. 또한, 지진의 흔들림으로 인해 굳지 않은 퇴적물이 침강하고 압축되면서 지반 침하가 발생하기도 한다.[13]
2011년 도호쿠 지진 당시 일본국토지리원의 보고에 따르면, 일본 북부 미야코에서는 태평양 해안에서 0.5m의 침하가 관측되었고, 리쿠젠타카타에서는 0.84m의 침하가 측정되었다. 소마에서는 0.29m의 침하가 관측되었으며, 최대 침하량은 1.2m였고, 미야기현 오시카 반도에서는 최대 5.3m의 수평적 변위가 동반되었다.[15]
지하수 변동은 유기 물질의 부패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저지대(예: 해안, 삼각주)에서는 배수가 필요한데, 이로 인해 토양이 공기를 함유하게 되어 이탄과 같은 유기 성분이 산화되며, 이 분해 과정은 상당한 지반 침하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지하수위가 침하에 주기적으로 맞춰져 원하는 불포화대 깊이를 유지하여 더 많은 이탄을 산소에 노출시킬 때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또한, 배수된 토양은 증가된 유효 응력의 결과로 압밀된다.[18][19] 이러한 방식으로 지반 침하는 연간 최대 5cm의 속도로 자기 영속적인 현상이 될 수 있다.
지구에 차등 응력이 존재할 때, 취성적인 지각에서는 지질 단층 작용으로, 더 뜨겁고 유동적인 맨틀에서는 연성 흐름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단층이 발생하는 경우, 정단층의 매달린 벽에서 절대 침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역단층 또는 충상 단층에서는 발 아래 벽에서 상대적인 침강이 측정될 수 있다.[20]
지각은 연약권에서 부력으로 떠 있으며, "표면" 아래의 질량 비율은 자체 밀도와 연약권의 밀도에 비례한다. 만약 지각의 특정 지역에 질량이 추가되면(예: 퇴적) 지각은 이를 보상하고 지각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침강한다.[2]
지각 반등은 대규모 빙상(ice sheet)이 녹거나 마지막 빙하기 이후 대규모 호수가 마르는 것과 같이 지각이 지각 평형 상태로 돌아가는 작용(때로는 수천 년에 걸쳐)을 의미한다. 본네빌 호는 과거 호수에 담겨 있던 물의 무게 때문에 지구의 지각이 약 약 60.96m 침강했다가, 호수가 말랐을 때 지각이 반등한 대표적인 예시이다. 오늘날 본네빌 호의 옛 호수 중심부는 과거 호수 가장자리보다 약 약 60.96m 더 높다.[21]
많은 토양에는 상당한 비율의 점토가 포함되어 있는데, 매우 작은 입자 크기 때문에 토양 수분 함량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토양이 건조해지면 토양 부피와 표면이 낮아진다. 건물 기초가 계절적 건조에 도달하는 수준보다 높으면 움직여서 좁아지는 균열 형태로 건물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나무와 기타 식생은 토양의 계절적 건조에 상당한 국지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년에 걸쳐 나무가 자라면서 누적 건조가 발생하는데, 이는 나무가 쇠퇴하거나 잘릴 때 융기 또는 토양 팽창으로 이어진다. 누적된 수분 부족이 반전되면 최대 25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나무 주변의 표면이 상승하고 측면으로 확장된다. 이는 기초가 강화되거나 그 영향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한 종종 건물에 손상을 입힌다.[22]
지진에서는 지각 변동의 결과로 지표면에 융기나 침강의 변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액상화 현상에 의한 지반 침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리쿠젠타카타시의 0.84m나 오시카반도의 1.2m를 최대 변동량으로 하여 이와테현, 미야기현 및 후쿠시마현의 태평양 연안의 많은 지점에서 지반 침하가 발생했다.[86][87] 한편, 이 지진에서는 지바현 우라야스시 등 도쿄만 연안에서 액상화에 의한 지반 침하가 광범위하게 발생했다.[89]
난카이 해구 거대 지진은 판 경계의 충상 단층에 의한 오마에자키, 시오노미사키, 무로토미사키 등의 융기, 고치 평야 등의 침강이 특징 중 하나이다.[90]
| 지진 | 내용 |
|---|---|
| 684년 백봉 지진 | 『일본서기』에 도사국에서 50여만 頃 (경)의 논밭이 바다에 잠겼다고 기록되어 있다.[91] |
| 1099년 고와 지진 (1096년 에이초 지진이라는 설도 있다.[92][93]) | 『히로하시 겸중경기』의 지배 문서에 도사국의 작전 1천여 마을이 모두 바다에 잠겼다고 기록되어 있다.[94] |
| 1707년 호에이 지진 | 『곡릉기』에 도사만 서부 연안 각지에서 시내가 바다에 잠겼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2 - 2.5m 정도의 침강이 추정된다.[95][96] |
| 1854년 안세이 난카이 지진 | 도사만 서부 및 도쿠시마현 연안에서 1 - 1.5m 정도의 침강이 추정된다.[97] |
|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 | 도사만 서부 연안에서 1m 전후의 침강이 관측되었다.[98][99] |
1960년 칠레 지진에서는 해안에서 약간 내륙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침강하여 연안의 시가지가 침수되었으며, 침강량은 2.7m에 달했다.[100][101]
1700년 캐스케이드 지진은 지질 조사를 통해 2m에 달하는 침강으로 연안부의 삼림이 조간대에 잠겨 고사한 베이삼나무의 나이테를 통해 이 지진이 1699년부터 1700년 사이에 발생했음이 밝혀졌다.[102]
2. 2. 인위적 원인
카르스트 지형에서는 지하 유체의 흐름으로 석회암이 용해되어 동굴과 같은 공동이 생성된다. 이 공동의 천장이 약해지면 붕괴될 수 있고, 상부 암석과 토양이 공간으로 떨어져 지표면에 싱크홀과 같은 침하를 유발한다.[7]지하 채광의 여러 유형, 특히 추출된 공간이 의도적으로 붕괴되도록 하는 방법(예: 기둥 채취, 롱월 채광 및 "블록 케이빙" 또는 "준위 케이빙"과 같은 "케이빙"을 사용하는 모든 금속 광산 방법)은 지표면 침하를 유발한다. 광산으로 인한 침하는 갑작스러운 기둥 또는 지표면 근처의 터널 붕괴가 발생하는 경우(일반적으로 매우 오래된 작업장[8])를 제외하고 그 규모, 징후 및 범위가 비교적 예측 가능하다.[9] 광산으로 인한 침하는 거의 항상 채광된 지역 위 표면에 매우 국한되며, 그 외부에 여유가 있다.[9] 침하 자체의 수직적 규모는 일반적으로 배수(자연 배수 포함)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오히려, 자연 환경, 건물 및 기반 시설에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원인은 관련된 표면 압축 및 인장 변형, 곡률, 기울기 및 수평 변위이다.[10]
광산 활동이 계획된 경우, 광산으로 인한 침하는 모든 이해 관계자의 협력이 있다면 성공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신중한 광산 계획, 예방 조치 시행 및 광산 작업 후 수리를 통해 달성된다.[11]

천연 가스전에서 천연 가스를 추출하면, 가스전의 초기 압력(최대 60 MPa (600 bar))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 이 압력은 가스전 위의 토양층을 지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가스가 추출되면, 상재 하중 퇴적물이 압축되어 지면에서 지진과 침하를 유발할 수 있다. 1960년대 후반 슬로흐테렌 (네덜란드) 가스전 개발 이후, 250 km2 면적의 지반은 현재 최대 30 cm 침하했다.[12]
석유 추출 또한 상당한 침하를 유발할 수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시는 34년에 걸쳐 석유 추출로 인해 9m의 침하를 겪었으며, 이로 인해 해당 지역의 기반 시설에 1억달러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 침하는 2차 회수 우물이 오일 저장소에 충분한 양의 물을 펌핑하여 이를 안정화시키면서 멈추었다.[5]
지반 침하는 지진 발생 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단층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넓은 지역의 지반이 지진으로 인해 급격하게 침하될 수 있다. 또한, 지진의 흔들림으로 인해 굳지 않은 퇴적물이 침강하고 압축되면서 지반 침하가 발생할 수도 있다.[13]
일본국토지리원은 2011년 도호쿠 지진으로 인한 즉각적인 지반 침하를 보고했다.[14] 일본 북부에서는 미야코의 태평양 해안에서 0.5m의 침하가 관측되었으며, 리쿠젠타카타에서는 0.84m의 침하가 측정되었다. 남쪽의 소마에서는 0.29m의 침하가 관측되었다. 최대 침하량은 1.2m였으며, 미야기현 오시카 반도에서는 최대 5.3m에 달하는 수평적인 변위가 동반되었다.[15]
지하수 관련 침하는 지하수 추출로 인한 지반 침하(또는 함몰)를 의미한다. 이는 펌핑 규제 및 시행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도시의 인구와 물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개발도상국에서 증가하는 문제이다. 한 추정에 따르면 심각한 지반 침하 문제의 80%가 과도한 지하수 추출과 관련되어 있으며,[16] 이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되고 있다.[17]
지하수 변동은 유기 물질의 부패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저지대 (예: 해안 또는 삼각주)의 거주에는 배수가 필요하다. 그 결과 토양이 공기를 함유하게 되어 이탄과 같은 유기 성분이 산화되며, 이러한 분해 과정은 상당한 지반 침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지하수위가 침하에 주기적으로 맞춰져 원하는 불포화대 깊이를 유지하여 더 많은 이탄을 산소에 노출시킬 때 적용된다. 이 외에도, 배수된 토양은 증가된 유효 응력의 결과로 압밀된다.[18][19] 이러한 방식으로 지반 침하는 연간 최대 5cm의 속도로 자기 영속적인 현상이 될 수 있다. 수자원 관리는 주로 작물 최적화와 같은 요인에 맞춰져 있었지만, 침하 방지 또한 다양한 정도로 고려되기 시작했다.
지구에 차등 응력이 존재할 때, 이는 취성적인 지각에서 지질 단층 작용으로, 또는 더 뜨겁고 유동적인 맨틀에서 연성 흐름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단층이 발생하는 경우, 정단층의 매달린 벽에서 절대 침강이 발생할 수 있다. 역단층 또는 충상 단층에서는 발 아래 벽에서 상대적인 침강이 측정될 수 있다.[20]
인위적인 작업에 의한 광역 지반 침하는, 공업 용수[108]·농업 용수[108]·소설 용수[108]·냉방 용수 등의 지하수 과잉 양수(함양량을 초과하는 퍼 올리기), 천연 가스[108] 채취, 광산의 갱도 굴착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지반 침하와 지하수 상황 파악을 위해 현재 수준 측량에 의한 지반의 수축 상황 및 지반고 측정, 국토교통성이 설치하는 지하수 관측소에서의 지하 수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소적인 지반 침하는, 국소적인 양수나, 원래 논(연약 지반)이었던 지역에 건축물이 구축된 경우와 같이, 지내력을 초과하여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에 발생한다.
인위적인 작업에 의한 지반 침하에는 표면 하중, 지하수 양수 및 지하 자원 채취, 간척 및 관개에 의한 콜랩스 현상, 지하 굴착에 의한 함몰 등이 있다.[85] 지반 침하의 원인으로 지하수의 과잉 양수가 꼽힌다. 지하수의 과잉 양수는 지하수위의 저하를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흙 속의 간극수에서 유래하는 수압에 의한 부력이 작아지고, 유효 응력이 증대되면서 지층이 압축된다. 연약 지반의 삼각주 평야에서 현저하게 발생한다.[103]
도쿄의 하마치 저지는 수운이 편리하고, 피압 지하수가 풍부하여 공업용으로 사용 가능했기 때문에 공업화가 진행되었지만, 공업 활동을 위한 지하수의 과잉 양수는 지반 침하를 일으켰고, 그 결과 해발 0미터 지대가 형성되었다.
일본에서 지반 침하가 주목받게 된 것은, 테라다 토라히코가 육지 측량부 (현: 국토지리원)의 측량 기록을 참조하여, 도쿄의 하마치 저지에서 연간 7.5mm의 지반 침하가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1915년에 지적한 것이 처음이다.[104] 그 후 간토 대지진 이후의 측량 기록에 의해 크게 주목받았다.[105] 특히 하마치 저지에서 스미다강과 아라카와에 끼인 지역에서, 간토 대지진 전후 지반 침하량이 컸기 때문에, 당시에는 지진에 의한 지각 변동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도쿄에서도 점차 피해 범위가 넓어졌고, 오사카시에서도 같은 현상이 관찰되었다. 관측정의 수위 저하를 근거로, 지반 침하의 원인은 피압 지하수의 수위 저하라는 설이 제창되었지만, 당시에는 지지를 받지 못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지하수의 양수가 중단되고 지반 침하도 멈추면서, 지하수의 과잉 양수가 지반 침하의 원인임이 지지를 받게 되었다.[105] 1955년 이후 일본 각지에서 침하가 보고되었다.[105][106]
전후, 1950년 이후의 부흥으로 지하수위가 낮아지고, 지반 침하가 다시 진행되었다. 이 영향으로 공업 용수법, 건축물용 지하수 채취 규제에 관한 법률 등 지하수의 양수를 제한하는 법률이 정비되기 시작했고, 지반 침하는 잠잠해졌다. 한편, 1975년경부터는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지반 융기가 발생하고 있다.
지하수 양수 제한으로 수도권의 문제는 완화되었지만, 적설 지역에서는 제설을 위해 지하수 퍼올리기가 필요하게 되었고,[107] 특히 니가타현[108]에서는 1955년경부터 심각해져 농업 피해가 발생했다.[105][109] 한편, 도쿄에서는 지반 침하를 막기 위해 취수 제한에 노력한 결과, 수위는 회복되어 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예상 이상의 회복으로 인해, 이번에는 지하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누수가 빈발하는 등, 새로운 문제가 급증하고 있다.[110]
필리핀 북부 연안 지역과 인근 섬에서는 지하수 채취로 인해 매년 4cm~6cm의 지반 침하가 발생하여 수천 명의 주민이 이주했다.[111] 석탄, 금속 광물, 석재 등을 채취하기 위해 굴착한 지하 공동이 원인이 되어 지반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85] 1989년 2월 10일과 3월 5일에는 오야석 채석장 터에서 함몰이 발생하여 민가 3채가 지하 30m까지 붕괴되었다.[85]
3. 침하의 종류
흙 입자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침하를 즉시침하 또는 탄성침하라고 한다. 즉시침하는 투수계수가 큰 사질토 지반에서 주로 발생하며, 짧은 시간에 침하가 완료된다. 연약한 포화점토 지반에서도 상부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전단변형이 일어나 즉시침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즉시침하는 함수비 변화 없이 발생한다.[1]
사질토 지반에서는 지하수 유무와 관계없이 즉시침하가 발생하며, 이는 전체 침하량과 동일하다. 지하수가 없는 점토에서도 사질토 지반과 마찬가지로 즉시침하가 발생하고 이는 전체 침하량과 동일하다. 포화 점토에서는 즉시침하가 발생하지만, 하중 방향으로 찌그러들면서 옆으로 팽창하는 형태의, 전체적 변화가 없는 즉시침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포화 점토에서는 즉시 침하량과 전체 침하량이 다르다.[1]
압밀침하는 공극 내 물과 공기의 유출에 의한 체적 변화에 따라 발생하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1]
압밀침하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뉜다.[1]
- 1차 압밀침하: 공극수압이 소산되기까지의 압밀침하를 말한다.
- 2차 압밀침하: 공극수압 소산 이후 계속되는 체적변화에 의한 압밀침하를 말한다.

4. 직접 기초의 침하
연속 기초 혹은 독립 기초의 침하량 S는 qnet을 기초에 작용하는 순하중, E를 지반의 탄성계수, μ를 지반의 포아송 비, I를 영향계수(기초 형상, 근입 깊이에 따른 값)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기초의 침하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1]
- 기초 면적이 클수록 접지압은 작아지나() 침하량은 커진다.
- 연성 기초의 경우 접지압은 면적에 대해 일정한 분포를 가지나, 침하량은 중심부가 크고 가장자리가 작다.[2]
- 콘크리트 기초같은 강성 기초의 경우 접지압은 면적에 대해 일정치 않으나, 침하량은 일정하다.[3]
- 기초가 파묻혀 있는 경우가 지표면 위에 있는 경우보다 침하량이 작다.
- 지반의 탄성 계수 E가 침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4. 1. 즉시 침하와 압밀 침하
'''즉시침하'''(immediate settlement, Si) 또는 '''탄성침하'''(elastic settlement)는 흙 입자의 변형에 의해 발생한다. 투수계수가 큰 사질토 지반에서 주로 발생하며, 짧은 시간에 침하가 완료된다. 연약한 포화점토 지반에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전단변형이 일어나며 즉시침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함수비 변화는 없다.[1]- 사질토 지반에서는 지하수가 있든 없든 즉시침하가 발생하고 이는 전체 침하량과 동일하다.
- 지하수가 아예 없는 점토에서도 사질토 지반과 마찬가지로 즉시침하가 발생하고 이는 전체 침하량과 동일하다.
- 포화 점토에서는 즉시침하가 발생하나, 하중 방향으로 찌그러들면서 옆으로 팽창하는 형태의, 전체적 변화가 없는 즉시침하가 발생한다. 즉시 침하량과 전체침하량은 다르다.
'''압밀침하'''는 공극 내 물과 공기의 유출에 의한 체적 변화에 따라 발생하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1]
- '''1차 압밀침하'''(primary consolidation settlement, Sc) : 공극수압이 소산되기까지의 압밀침하
- '''2차 압밀침하'''(secondary consolidation settlement, Ss) : 공극수압 소산 이후 계속되는 체적변화에 의한 압밀침하
모래 지반과 건조 점토 지반은 즉시침하(탄성침하)가 전체침하와 같다. 하지만 포화 점토 지반은 즉시침하와 압밀침하를 더해야 전체침하가 된다. 즉시침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Eu가 비배수 상태에서의 탄성계수, μu를 지반의 비배수 상태에서 포아송 비라고 하면,
:
이때 이며 삼축 압축 실험 중 비배수 실험을 통해 구한다. 축차응력 이고, εx는 횡방향 변형률, εz는 연직방향 변형률이다.
정규압밀점토에서 압밀침하는 Cc는 압축지수, Δσ는 연직응력의 증가량이라 할 때,
:
한편 배수 조건에서의 지반 정수 E'과 μ'을 구할 수 있다면 포화 점토 지반이라고 하더라도 즉시침하와 압밀침하를 따로 구할 필요 없이 다음 식으로 전체 침하량을 구할 수 있다.
:
압밀 배수 삼축압축시험에서 이다.
4. 2. 탄성 침하 공식
연속 기초 혹은 독립 기초의 침하량 S는 qnet을 기초에 작용하는 순하중, E를 지반의 탄성계수, μ를 지반의 포아송 비, I를 영향계수(기초 형상, 근입 깊이에 따른 값)라고 하면 다음과 같다.:
기초의 침하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1]
- 기초 면적이 클수록 접지압은 작아지나 침하량은 커진다.
- 연성 기초의 경우 접지압은 면적에 대해 일정한 분포를 가지나, 침하량은 중심부가 크고 가장자리가 작다.[2]
- 콘크리트 기초같은 강성 기초의 경우 접지압은 면적에 대해 일정치 않으나, 침하량은 일정하다.[3]
- 기초가 파묻혀 있는 경우가 지표면 위에 있는 경우보다 침하량이 작다.
- 지반의 탄성 계수 E가 침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근입 깊이 이고, 기초저면에서 암반까지의 거리가 무한대라고 가정할 때 탄성침하량(즉시침하량[4])은 다음 식들로 나타난다. 모래 지반에서는 이 값이 전체 침하량이고 포화 점토지반에서는 즉시침하량을 의미한다.[5][6]
- 연성기초 모서리에서의 침하
:
- 연성기초 중심부 침하
:
- 연성기초 평균 침하
:
- 강성기초 침하
:
근입 깊이 인 경우는 근입 깊이에 따른 수정계수 CDf를 최종적으로 곱해서 침하량을 계산한다. 이 수정계수는 포아송 비 μ, 기초의 단변 길이(B)와 장변 길이(L), 근입 깊이 Df의 함수로 나타난다.[7][8]
5. 피해
높은 건물은 자체 무게로 인해 토양을 압박하여 지반 침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뉴욕 시, 샌프란시스코 만, 라고스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23][24]
지반 침하가 발생하면 주로 다음과 같은 피해가 발생한다.
지반 침하는 광역화됨에 따라 국소적인 피해 외에도 피해가 더욱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 번 침하되면 거의 회복(지반 상승)되지 않으므로 잠재적 피해 발생이 고정되어 버리는 것도 문제를 심각하게 만든다.

5. 1. 광역적 피해
지반 침하는 지표면이 낮아져 지형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고도 감소는 특히 범람원[25]과 삼각주 지역에서 홍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26] 지반 침하의 원인에는 자연 현상과 인위적인 작업이 있으며[85][83], 건축물이나 농업에 피해를 준다. 광역적 지반 침하는 공업 용수[108], 농업 용수[108], 지하수 과잉 양수, 천연 가스[108] 채취, 광산 갱도 굴착 등이 주요 원인이다.지반 침하와 지하수 상황 파악을 위해 수준 측량에 의한 지반 수축 상황 및 지반고 측정, 지하수 관측소에서의 지하 수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리쿠젠타카타시에서 0.84m, 오시카반도에서 1.2m의 지반 침하가 발생했다.[86][87] 우라야스시 등 도쿄만 연안에서는 액상화에 의한 지반 침하가 광범위하게 발생했다.[89]
난카이 해구 거대 지진은 판 경계의 충상 단층에 의한 오마에자키, 시오노미사키, 무로토미사키 등의 융기, 고치 평야 등의 침강이 특징이다.[90]
- 684년 백봉 지진 - 일본서기에 도사국에서 50여만 頃의 논밭이 바다에 잠겼다고 기록되어 있다.[91]
- 1099년 고와 지진 - 히로하시 겸중경기의 지배 문서에 도사국의 작전 1천여 마을이 바다에 잠겼다고 기록되어 있다.[94]
- 1707년 호에이 지진 - 곡릉기에 도사만 서부 연안 각지에서 시내가 바다에 잠겼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2m - 2.5m 정도의 침강이 추정된다.[95][96]
- 1854년 안세이 난카이 지진 - 도사만 서부 및 도쿠시마현 연안에서 1m - 1.5m 정도의 침강이 추정된다.[97]
-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 - 도사만 서부 연안에서 1m 전후의 침강이 관측되었다.[98][99]
1960년 칠레 지진에서는 해안에서 약간 내륙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침강하여 연안 시가지가 침수되었으며, 침강량은 2.7m에 달했다.[100][101]
1700년 캐스케이드 지진은 지질 조사를 통해 2m에 달하는 침강으로 연안부의 삼림이 조간대에 잠겨 고사한 베이삼나무의 나이테를 통해 이 지진이 1699년부터 1700년 사이에 발생했음이 밝혀졌다.[102]
지반 침하는 광역화됨에 따라 국소적인 피해 외에도 피해가 더욱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 한번 침하되면 거의 회복되지 않으므로 잠재적 피해 발생이 고정되어 버리는 것도 문제를 심각하게 만든다.
; 해발 0m 지대
해발 0m 지대란 평균 조위와 같거나 더 낮은 표고의 지역을 말하며, 광역적인 지반 침하로 발생한다. 해발 0m를 가리키는 데서 유래되었다. 특히 해안이나 하천 연안 등의 충적저지에서 넓게 발생한다. 해발 0m 지대에서는 지반 침하와 함께 제방의 높이가 수면에 비해 낮아지거나, 수면과 지반 표고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고조 시의 피해가 대규모화된다. 대증 요법으로 제방을 높이는 공사가 시행된다.
5. 2. 국소적 피해
높은 건물은 건물 자체의 무게로 인해 그 아래의 토양을 압박하여 지반 침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이미 뉴욕 시, 샌프란시스코 만, 라고스에서 나타나고 있다.[23][24]지반 침하가 발생하면 주로 다음과 같은 피해가 발생한다.
# 건물 등 구조물의 파손·일부 파손
# 라이프라인(지중의 가스관 등)의 파손·일부 파손
# 해일·고조에 대한 취약성
지반 침하는 광역화됨에 따라 국소적인 피해 외에도 피해가 더욱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 번 침하되면 거의 회복(지반 상승)되지 않으므로 잠재적 피해 발생이 고정되어 버리는 것도 문제를 심각하게 만든다.
; 해발 0m 지대
: 해발 0m 지대란 평균 해수면과 같거나 더 낮은 표고의 지역을 말한다. 광역적인 지반 침하로 발생한다. 해발 0m를 가리키는 데서 유래되었다. 특히 해안이나 하천 연안 등의 충적저지에서 넓게 발생한다. 이 때문에 해발 0m 지대에서는 지반 침하와 함께 제방의 높이가 수면에 비해 낮아지거나, 수면과 지반 표고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고조 시의 피해가 대규모화된다. 대증 요법으로 제방을 높이는 공사가 시행된다.
; 부등침하
: 어떤 시설에서 장소에 따라 침하량이 다른 지반 침하를 부등침하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 건물 기울어짐, 노면의 요철 또는 균열이 생기는 등 지반 침하로 인해 가장 큰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건물 기울어짐은 거주자에게 불편함과 불쾌함을 주며, 공항 활주로의 경우 이착륙 시 안전에 문제가 발생한다.
: 부등침하의 사례로 가장 유명한 건물은 이탈리아의 피사 대성당 종탑 피사의 사탑이 있다.
; 솟아오름
: 말뚝 기초를 사용한 건물은 지반 침하와 관련 없는 (지하수위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지층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가 많아 주변 지반이 침하하지만, 지지층에 의해 지지되는 건물은 침하하지 않아 주변 지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가 되는 '''솟아오름'''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지진 등 지반의 흔들림으로 인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겉으로 보기에는 솟아오름 현상이 발생한다.
: "솟아오름" 문제는 건물 등 구조물에 심각한 문제이다. 건물 주변에 매설된 가스관이나 수도관 등 매설관은 지반 침하와 함께 거동하지만 건물은 원래 위치를 유지하므로 매설관과 건물 접합부에서 파단된다. 따라서 건물이 기능을 잃을 우려가 있다.
; 기타
: 지반 침하 현상과는 다르지만, 하천이 상류에서 운반한 토사 등이 퇴적되어 주변보다 하상이 높아지는 천정천 주변도 해발 0미터 지대와 유사한 상황이 된다.
도쿄도 23구의 약 절반 면적[112]을 가진 쓰쿠바 연구 학원 도시(이바라키현 쓰쿠바시) 일대에 분포하는 쓰쿠바 대지는 비교적 연약한 지반이며, 도시 건설이 시작된 지 20년 정도 지난 1987년에도 부등침하가 계속 발생했다.[113]
또한, 쓰쿠바 연구 학원 도시 내 보행자 전용 도로(도시 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자전거·보행자 전용 도로)에서는 부등침하에 의한 포장면 파괴로 자전거 주행 환경 악화가 지적되었다.[114]문제가 지적된 배경에는 쓰쿠바 익스프레스 개업에 따른 자전거 교통량 증가가 있다.
국소 침하는 아래에 나타내는 것 외에도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매립 전에 매립되었던 부드러운 산업 폐기물을 철거하지 않아 지반 침하가 발생했으며, 판매했던 도시기구가 해당 건물 몇 채를 다시 매입했다. 이 침하 현상은 지하수 양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지내력을 초과하는 상재 하중에 의한 것이다(자세한 내용은 도카이다이 뉴타운의 "지반 침하" 참조).
1950년대 무렵부터 표면화되었다.[108] 니가타시 앞바다에서 이와후네 앞바다에 걸쳐 일본 굴지의 천연 가스가 매장되어 있어, 지하수와 함께 이 가스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로 인해 니가타시 내 일부 (에치고 선시라야마역 북서부와 가메다 고 북서부: 현재의 오미, 신와 지역, 시 서부의 오호리 간선 주변)에서 지반 침하가 일어나 천연 가스 채취가 금지되었다.
6. 지반 침하 예측
지반 침하는 수직 변위(침하 또는 융기)를 유발한다. 수평 변위도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덜 중요하다. 다음은 침하 지역에서 수직 및 수평 변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현장 방법이다.[75][31][32]
- 측량
- 보어홀 신장계[75][33][32]
- 위성 항법 시스템 (GNSS)[34][35][36][32]
- 간섭 합성 개구 레이더 (InSAR)[78][18][32]
- LiDAR[59]
- 경사계[37][38][32]
토마스 외(Tomás et al.)[39]는 다양한 지반 침하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InSAR이 가장 높은 커버리지, 정보 포인트당 연간 가장 낮은 비용, 가장 높은 포인트 밀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격한 침하 지역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연속 획득 시스템 외에 InSAR이 가장 높은 측정 빈도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반면에, 레벨 측량, 비영구적 GNSS 및 비영구적 신장계는 일반적으로 연간 한두 번의 측정만 제공했다.[39]
이러한 방법들은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지반 침하 추세를 예측하며, 침하를 시간의 함수로 간주한다.[75] 이러한 외삽은 시각적으로 수행하거나 적절한 곡선을 맞춰서 수행할 수 있다. 곡선 맞춤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함수에는 선형, 쌍선형, 이차, 지수 모델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이 방법은 광산 유발 침하 예측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40]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지하수 수위 변화, 지하수 채취량, 점토 함량 등 하나 이상의 영향 요인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지반 침하를 평가한다.[75][41]
이 모델은 대수층과 피압층에 영향을 미치는 피압 수위의 변화가 수직 방향에서만 발생한다고 가정한다.[41] 이 모델은 수직 토양 매개변수만 사용하여 특정 지점에서의 침하 계산을 허용한다.[42][43]
준 3차원 침투 모델은 3차원 효과의 일부 측면을 통합하여 테르자기의 1차원 압밀 방정식을 적용하여 침하를 추정한다.[41][44]
3차원 완전 연성 모델은 3차원에서 물의 흐름을 시뮬레이션하고, Biot의 3차원 압밀 이론을 사용하여 침하를 계산한다.[41][45][46]
머신 러닝은 비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부상했다. 이는 지반 침하를 시뮬레이션하고 예측하는 유망한 방법으로 등장했다.[47][48]
7. 지반 침하 대책
지반 침하는 자연 현상뿐만 아니라 인류의 경제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건축물과 농업에 피해를 준다.[85][83] 지반 침하는 크게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광역 침하와 국소적인 지역에서 발생하는 국소 침하로 나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광역 침하는 공해의 하나로 간주된다.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광역 지반 침하는 주로 지하수 과잉 양수(함양량을 초과하는 퍼 올리기), 천연 가스 채취, 광산 갱도 굴착 등이 원인이다.[108] 지하수 과잉 양수는 지하수위를 낮추고, 흙 속의 간극수에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한 부력을 감소시켜 유효 응력을 증가시키면서 지층을 압축시킨다.
지반 침하와 지하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준 측량을 통한 지반 수축 상황 및 지반고 측정, 국토교통성에서 설치한 지하수 관측소에서의 지하 수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에서 지반 침하가 처음 주목받은 것은 1915년 테라다 토라히코가 육지 측량부(현 국토지리원)의 측량 기록을 바탕으로 도쿄 하마치 저지에서 연간 7.5mm의 지반 침하가 발생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부터이다.[104] 이후 간토 대지진 이후의 측량 기록을 통해 지반 침하 문제가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10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부터 일본 각지에서 지하수위 저하와 지반 침하가 다시 진행되었다.[105][106] 이러한 영향으로 공업 용수법, 건축물용 지하수 채취 규제에 관한 법률 등 지하수 양수를 제한하는 법률이 정비되면서 지반 침하는 일시적으로 완화되었다.[77]
지하수 양수 제한은 수도권의 지반 침하 문제를 완화시켰지만, 적설 지역에서는 제설을 위해 지하수를 퍼올려야 했기 때문에, 니가타현 등에서는 1955년경부터 농업 피해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심각해졌다.[105][109] 한편, 도쿄에서는 지하수위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면서 지하 건축물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등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110]
필리핀 북부 연안 지역과 인근 섬에서는 지하수 채취로 인해 매년 4~6cm의 지반 침하가 발생하여 수천 명의 주민이 이주하기도 했다.[111]
오야석 채석장 터에서는 1989년에 함몰이 발생하여 민가 3채가 지하 30m까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85]
이세만 태풍(1959년)과 제2무로토 태풍(1961년) 당시에는 지반 침하로 인해 제방의 기능이 약화되어 큰 피해가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공업용수법 강화와 건축물용 지하수 채취 규제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서울특별시 고토, 스미다, 에도가와, 지바현 우라야스·교토쿠(이치카와시) 등 넓은 지역은 천연 가스 개발과 고도 성장기 대량의 지하수 채취로 인해 지반이 크게 침하했다. 만안 지역에는 해수면보다 낮은 지역도 존재한다. 법령 등의 정비로 침하는 줄었지만, 여전히 광범위한 해수면보다 낮은 지역에 인구가 밀집해 있어 고조, 홍수, 지진으로 인한 제방 붕괴, 쓰나미 등의 재해 발생 시 대책으로 제방 높이기 및 고규격 제방(슈퍼 제방) 설치가 추진되고 있다.
지하수 양수 규제로 침하는 억제되었지만,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해 지하층이 부상하여 건물 등이 파손되는 현상도 발생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도쿄역에서는 지하층에 무게를 더하거나 앵커를 설치하여 지하층 부상을 억제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7. 1. 광역 지반 침하 대책
광역 지반 침하를 막기 위한 주요 대책은 지하수 양수량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이 사용됩니다.- 양수량 자체 규제
- 대체수 확보 및 공급
- 물 이용의 합리적 이용 촉진 (절수)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광역 지반 침하 대책은 다음과 같은 정책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 정책 | 내용 |
|---|---|
| 법령 등에 의한 지하수 채취 및 양수 규제 | |
| 대체수 공급 사업 | |
| 물 이용 합리화 |
이러한 정책으로 양수량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요강 지정 3개 지역 중 남관동을 제외한 농미, 규슈 지역에서는 목표 양수량보다 적습니다. 또한 요강 지정 3개 지역 이외의 각 지역에서도 지하수위는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고정된 수리권 때문에 대체수 확보가 어려워 대책 추진이 어려운 곳도 있습니다.
7. 2. 국소 지반 침하 대책
침하는 건물 및 기타 사회 기반 시설의 구조물 침하를 유발하여 각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각 변형이 특정 값을 초과하면 구조물이 손상되어 기울어짐 또는 균열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28][29][30]도쿄도 23구의 약 절반 면적[112]을 가진 쓰쿠바 연구 학원 도시(이바라키현 쓰쿠바시) 일대에 분포하는 쓰쿠바 대지는 비교적 연약한 지반이며, 도시 건설이 시작된 지 20년 정도 지난 1987년에도 부등침하가 계속 발생했다.[113]
또한, 쓰쿠바 연구 학원 도시 내 보행자 전용 도로(도시 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자전거·보행자 전용 도로)에서는 부등침하에 의한 포장면 파괴로 자전거 주행 환경 악화가 지적되었다.[114] 문제가 지적된 배경에는 쓰쿠바 익스프레스 개업에 따른 자전거 교통량 증가가 있다.
국소 침하는 아래에 나타내는 것 외에도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매립 전에 매립되었던 부드러운 산업 폐기물을 철거하지 않아 지반 침하가 발생했으며, 판매했던 도시기구가 해당 건물 몇 채를 다시 매입했다. 이 침하 현상은 지하수 양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지내력을 초과하는 상재 하중에 의한 것이다(자세한 내용은 도카이다이 뉴타운의 "지반 침하" 참조).
참조
[1]
서적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1997
[2]
서적
A dictionary of geology and earth scienc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
논문
Slope movements
1991
[4]
간행물
Mitigating losses from land subsidence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Academies Press
1991
[5]
서적
Physical geology : exploring the Earth
West Pub. Co
1992
[6]
논문
Mapping the global threat of land subsidence
https://www.science.[...]
2021-01
[7]
서적
Sinkholes and Subsidence
2005
[8]
문서
Herrera, G.; Tomás, R.; López-Sánchez, J.M.; Delgado, J.; Mallorquí, J.; Duque, S.; Mulas, J. Advanced DInSAR analysis on mining areas: La Union case study (Murcia, SE Spain). Engineering Geology, 90, 148-159, 2007.
[9]
웹사이트
Graduated Guidelines for Residential Construction (New South Wales) Volume 1
http://www.minesub.n[...]
2012-11-19
[10]
문서
Herrera, G., Álvarez Fernández, M.I., Tomás, R., González-Nicieza, C., Lopez-Sanchez, J. M., Álvarez Vigil, A.E. Forensic analysis of buildings affected by mining subsidence based on Differential Interferometry (Part III). Engineering Failure Analysis 24, 67-76, 2012.
[11]
논문
Planned coal mine subsidence in Illinois: a public information booklet
https://www.ideals.i[...]
2021-12-10
[12]
Webarchive
Subsidence lecture
http://www.uwsp.edu/[...]
2004-10-30
[13]
웹사이트
Earthquake Induced Land Subsidence
http://www.geology.a[...]
2018-06-25
[14]
웹사이트
http://www.gsi.go.jp[...]
Geospatial Information Authority of Japan
2011-04-17
[15]
문서
Report date on 19 March 2011, Diastrophism in [[Oshika Peninsula]] on [[2011 Tōhoku earthquake and tsunami]], Diastrophism in vertical 2011-03-11 M9.0, Diastrophism in horizontal 2011-03-11 M9.0 [[Geospatial Information Authority of Japan]]
http://www.gsi.go.jp[...]
[16]
문서
USGS Fact Sheet-165-00 December 2000
http://water.usgs.go[...]
[17]
논문
Mapping the global threat of land subsidence
https://www.science.[...]
2021-01
[18]
문서
Tomás, R.; Márquez, Y.; Lopez-Sanchez, J.M.; Delgado, J.; Blanco, P.; Mallorquí, J.J.; Martínez, M.; Herrera, M.; Mulas, J. Mapping ground subsidence induced by aquifer [[overexploitation]] using advanced Differential SAR interferometry: Vega Media of the Segura river (SE Spain) case stud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8, 269-283, 2005
[19]
문서
R. Tomás, G. Herrera, J.M. Lopez-Sanchez, F. Vicente, A. Cuenca, J.J. Mallorquí. Study of the land subsidence in the Orihuela city (SE Spain) using PSI data: distribution, evolution, and correlation with conditioning and triggering factors. Engineering Geology, 115, 105-121, 2010.
[20]
문서
Lee, E.Y., Novotny, J., Wagreich, M. (2019) Subsidence analysis and visualization: for sedimentary basin analysis and modelling, Springer.
[21]
논문
Isostatic Rebound and Palinspastic Restoration of the Bonneville and Provo Shorelines in the Bonneville Basin, UT, NV, and ID
2016
[22]
논문
Reducing the cost of subsidence damage despite global warming
1998-06
[23]
웹사이트
New York City building weight contributing to subsidence drop of 1–2 millimeters per year
https://phys.org/new[...]
Earth's Future
2024-01-22
[24]
웹사이트
The weight of buildings contributes to the sinking of cities
https://smartwaterma[...]
2024-01-22
[25]
논문
Analysing the Impact of Land Subsidence on the Flooding Risk: Evaluation Through InSAR and Modelling
2023-09-01
[26]
논문
The contribution of coastal land subsidence to potential sea-level rise impact in data-sparse settings: The case of Ghana's Volta delta
2024-06-01
[27]
논문
The influence of faults in basin-fill deposits on land subsidence, Las Vegas Valley, Nevada, USA
http://link.springer[...]
2002-10-01
[28]
논문
Control of deformation of buildings affected by subsidence using persistent scatterer interferometry
http://www.tandfonli[...]
2010-09-22
[29]
논문
Subsidence damage assessment of a Gothic church using differential interferometry and field data
http://journals.sage[...]
2012-11
[30]
논문
Subsidence activity maps derived from DInSAR data: Orihuela case study
https://nhess.copern[...]
2014-05-27
[31]
논문
Monitoring Land Subsidence of Jakarta (Indonesia) Using Leveling, GPS Survey and InSAR Technique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05
[32]
논문
Methods for monitoring land subsidence and earth fissures in the Western USA
https://piahs.copern[...]
2015-11-12
[33]
논문
Instrumental monitoring of the subsidence due to groundwater withdrawal in the city of Murcia (Spain)
https://doi.org/10.1[...]
2013-11-01
[34]
논문
GNSS land subsidence observations along the northern coastline of Java, Indonesia
2023-07-01
[35]
논문
Monitoring the Land Subsidence Area in a Coastal Urban Area with InSAR and GNSS
2019-01
[36]
논문
Global Positioning System surveying to monitor land subsidence in Sacramento Valley, California, USA
http://www.tandfonli[...]
1994-10
[37]
서적
All Days
OnePetro
2000-06-19
[38]
논문
The investigation on high-rise building tilting from the issue of land subsidence in Jakarta City
https://www.matec-co[...]
2019
[39]
논문
Radar interferometry techniques for the study of ground subsidence phenomena: a review of practical issues through cases in Spain
https://doi.org/10.1[...]
2014-01-01
[40]
논문
Prediction of mining-induced subsidence at Barapukuria longwall coal mine, Bangladesh
2022-08-30
[41]
논문
State-of-the-Art of Land Subsidence Prediction due to Groundwater Withdrawal in China
http://dx.doi.org/10[...]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6-05-15
[42]
논문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1D Compaction Model to Understand 65 Years of Subsidence in the San Joaquin Valley
2022-06
[43]
논문
A ground subsidence study based on DInSAR data: Calibration of soil parameters and subsidence prediction in Murcia City (Spain)
https://linkinghub.e[...]
2010-02-26
[44]
논문
Regional Quasi-Three-Dimensional Unsaturated-Saturated Water Flow Model Based on a Vertical-Horizontal Splitting Concept
2016-05-12
[45]
논문
3D groundwater flow and deformation modelling of Madrid aquifer
https://linkinghub.e[...]
2020-06-01
[46]
논문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of land subsidence in Shanghai, China
https://link.springe[...]
2016-05-01
[47]
논문
Machine learning-based techniques for land subsidence simulation in an urban area
https://linkinghub.e[...]
2024-02-14
[48]
논문
Spatiotemporal modeling of land subsidence using a geographically weighted deep learning method based on PS-InSAR
http://dx.doi.org/10[...]
2021-12
[49]
논문
Land subsidence in Bangkok, Thailand
https://linkinghub.e[...]
2006-02-02
[50]
논문
Imaging Land Subsidence Induced by Groundwater Extraction in Beijing (China) Using Satellite Radar Interferometry
2016-06
[51]
논문
Land subsidence in Beij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geological faults revealed by Sentinel-1 InSAR observations
https://www.scienced[...]
2019-10-01
[52]
논문
Effects of Water Diversion Project on groundwater system and land subsidence in Beijing, China
https://www.scienced[...]
2020-10-01
[53]
논문
Study on the Survey Datum Construction for the Middle Route of South-to-North Water Diversion Project
http://dx.doi.org/10[...]
2011-11-20
[54]
서적
2009 2nd International Congress on Image and Signal Processing
IEEE
2009-10
[55]
논문
Monitoring land subsidence and fault deformation using the small baseline subset InSAR technique: A case study in the Datong Basin, China
https://linkinghub.e[...]
2014-04-01
[56]
논문
Monitoring surface deformation dynamics in the mining subsidence area using LT-1 InSAR interferometry: A case study of Datong, China
https://linkinghub.e[...]
2024-07-01
[57]
논문
Twenty-year advanced DInSAR analysis of severe land subsidence: The Alto Guadalentín Basin (Spain) case study
https://www.scienced[...]
2015-11-23
[58]
논문
Analysing the Impact of Land Subsidence on the Flooding Risk: Evaluation Through InSAR and Modelling
2023-09-01
[59]
논문
Analysis of regional large-gradient land subsidence in the Alto Guadalentín Basin (Spain) using open-access aerial LiDAR datasets
https://www.scienced[...]
2022-10-01
[60]
논문
Monitoring land subsidence induced by tectonic activity and groundwater extraction in the eastern Gediz River Basin (Türkiye) using Sentinel-1 observations
https://linkinghub.e[...]
2023-12-20
[61]
논문
Monitoring Land Subsidence of Jakarta (Indonesia) Using Leveling, GPS Survey and InSAR Technique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05
[62]
논문
Land subsidence rate analysis of Jakarta Metropolitan Region based on D-InSAR processing of Sentinel data C-Band frequency
2019-04
[63]
논문
Land Subsidence Measurement of Jakarta Coastal Area Using Time Series Interferometry with Sentinel-1 SAR Data
https://bioone.org/j[...]
2020-12-14
[64]
논문
Land Subsidence and Its Relations with Sinkhole Activity in Karapınar Region, Turkey: A Multi-Sensor InSAR Time Series Study
2021-01
[65]
논문
Advanced DInSAR analysis on mining areas: La Union case study (Murcia, SE Spain)
https://doi.org/10.1[...]
2007-03
[71]
논문
Mapping ground subsidence induced by aquifer overexploitation using advanced Differential SAR Interferometry: Vega Media of the Segura River (SE Spain) case study
https://www.scienced[...]
2005-10-15
[72]
논문
Subsidence associated with oil extraction, measured from time series analysis of Sentinel-1 data: case study of the Patos-Marinza oil field, Albania
https://se.copernicu[...]
2020-03-24
[73]
논문
Aquifer Stress History Contributes to Historic Shift in Subsidence in the San Joaquin Valley, California
2023-11
[74]
서적
National contributions by TC12 land subsidence committee members. USA
Proc. 12th Int. Conf. Soil Mech. and Found. Eng.
1992
[75]
서적
Guidebook to studies of land subsidence due to ground-water withdrawal
Unesco
1984
[76]
논문
Monitoring and analysis of ground subsidence in Shanghai based on PS-InSAR and SBAS-InSAR technologies
2023-05-17
[77]
논문
Analysis of urbanisation-induced land subsidence in Shanghai
https://doi.org/10.1[...]
2012-09-01
[78]
논문
Assessments of land subsidence in Tehran metropolitan, Iran, using Sentinel-1A InSAR
https://doi.org/10.1[...]
2023-11-15
[79]
논문
Subsidence monitoring by integration of time series analysis from different SAR images and impact assessment of stress and aquitard thickness on subsidence in Tehran, Iran
https://doi.org/10.1[...]
2021-06-01
[80]
논문
Land subsidence in Iran caused by widespread water reservoir overexploitation
https://agupubs.onli[...]
2008-08
[81]
논문
Natural versus anthropogenic subsidence of Venice
2013-09-26
[82]
서적
見えない巨大水脈 地下水の科学
講談社
2009-05-20
[83]
논문
“沖積層”と地盤変動
https://doi.org/10.4[...]
1966
[84]
간행물
関東平野(その 1) : 東京の地盤沈下
https://dl.ndl.go.jp[...]
[85]
웹사이트
地盤沈下と対策
http://endeavor.eng.[...]
東洋大学理工学部都市環境デザイン学科
2020-07-18
[86]
웹사이트
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伴う地盤沈下調査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11-04-16
[87]
뉴스
気象庁発表と読売新聞2011年4月15日13S版33面
気象庁発表と読売新聞
2011-04-15
[88]
웹사이트
宮城県沿岸部における地震に伴う地盤沈下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2-01-28
[89]
웹사이트
東京湾岸における液状化現象と地盤沈下量について(第1報)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地理地殻活動研究センター
2012-07-11
[90]
서적
揺れる大地 日本列島の地震史
同朋舎出版
1997
[91]
논문
白鳳大地震
https://doi.org/10.1[...]
1941
[92]
논문
文献史料からみた東海・南海巨大地震
https://doi.org/10.5[...]
1999
[93]
간행물
"1099 年康和南海地震は実在せず、1096年永長地震が東海・南海地震だった"という作業仮説
http://www.histeq.jp[...]
[94]
논문
康和元年土佐における大地震
https://doi.org/10.4[...]
1968
[95]
간행물
宝永四年の南海道沖大地震に伴へる地形変動に就いて
https://doi.org/10.1[...]
1930
[96]
서적
宝永大地震 -土佐最大の被害地震-
あさひ謄写堂
1995
[97]
간행물
安政南海地震(安政元年11月5日,1854・11・24)に伴う四国の地盤変動
1988
[98]
논문
南海地震に伴つた四國の地盤變動に封する一考察
https://doi.org/10.5[...]
1951
[99]
서적
五つの大地震
毎日新聞社
1959
[100]
간행물
Mechanism of the Chilean earthquakes of May 21 and 22, 1960
http://onlinelibrary[...]
1970
[101]
간행물
CRUSTAL DE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1960 EARTHQUAKE EVENTS IN THE SOUTH OF CHILE
http://civil.ucsc.cl[...]
[102]
간행물
The Orphan Tsunami of 1700-Japanese Clues to a Parent Earthquake in North America
http://pubs.usgs.gov[...]
[103]
논문
日本における三角州平野の変貌
https://doi.org/10.4[...]
1972
[104]
논문
地盤沈下(1)総論
https://doi.org/10.5[...]
1987
[105]
간행물
土質基礎の回顧と点描・補遺 : 5.地盤沈下研究の回顧
https://dl.ndl.go.jp[...]
土質工学会
1976
[106]
논문
濃尾平野の地盤沈下とその解析
https://dl.ndl.go.jp[...]
[107]
논문
準三次元モデルによる新潟県六日町の地盤沈下予測
https://doi.org/10.5[...]
[108]
간행물
新潟平野の地盤沈下の現況について
https://doi.org/10.1[...]
[109]
간행물
新潟平野における地盤沈下
https://doi.org/10.1[...]
[110]
뉴스
暴れる地下水、60m上昇も…首都高・鉄道影響
https://web.archive.[...]
2013-04-27
[111]
뉴스
沈みゆくフィリピン諸島、地下水くみ上げの脅威 気候変動上回る
https://www.afpbb.co[...]
2019-06-09
[112]
PDF
筑波研究学園都市パンフレット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03-08
[113]
PDF
地質ニュース 406号 pp.56-pp.59
http://www.gsj.jp/Pu[...]
国土地理院
1988-06
[114]
PDF
2006年度筑協交通状況実態調査報告書
http://www.tsukuba-n[...]
筑波研究学園都市交流協議会筑協委員会
20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