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어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자흐어 문자는 카자흐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 체계로, 역사를 거쳐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소련 시대에는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1940년에 러시아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개정되어 현재까지 카자흐스탄, 러시아, 몽골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2017년부터 국가 정체성 강화를 위해 라틴 문자로의 전환이 추진되었으며, 2021년에 새로운 라틴 문자 개정안이 발표되어 2031년까지 전환이 완료될 예정이다. 또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카자흐족은 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과거에는 라틴 문자 (야날리프)가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 문자 - 자위 문자
자위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해 14세기경 만들어져 말레이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브루나이 공식 문자이자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종교, 문화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체계이다. - 아랍 문자 - 우르두 문자
우르두 문자는 13세기 이란에서 기원한 페르시아-아랍 문자의 변형으로, 나스타리크 서체로 쓰이는 아브자드 문자이며, 우르두어의 음운 체계를 반영하여 자모가 추가되었고, 38개의 자음과 여러 모음을 표기하며,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파키스탄과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다. - 로마자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로마자 - 프락투어
프락투어는 16세기 초 막시밀리안 1세 시대에 디자인된 블랙 레터 서체로, 독일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민족주의와 낭만주의 부흥 시기 안티콰체와의 논쟁을 겪었고, 현재는 장식적 용도로 사용된다.
카자흐어 문자 | |
---|---|
문자 체계 정보 | |
유형 | 알파벳 |
사용 언어 | 카자흐어 |
작성 방향 | 왼쪽에서 오른쪽 |
문자 개수 | 키릴 문자: 42자 라틴 문자: 31자 |
카자흐어 키릴 문자 (현행) | |
카자흐어 라틴 문자 (2021년) | |
카자흐어 아랍 문자 (역사) | |
로마자 표기 (카자흐어 개정 로마자 표기법) | |
키릴 문자 | А Ә Б В Г Ғ Д Е Ё Ж З И Й К Қ Л М Н Ң О Ө П Р С Т У Ұ Ү Ф Х Һ Ц Ч Ш Щ Ъ Ы І Э Ю Я |
로마자 표기 | A Ä B V G Ğ D E Yo J Z I Y K Q L M N Ŋ O Ö P R S T U Ū Ü F H H Ts Ch Sh Ş ' Y I E Yu Ya |
역사적 라틴 문자 (알려지지 않음) | |
카자흐어 문자 변환 역사 | |
1929–1940 (알파베트 통합 위원회) | Aa Bь Vv Gg Dd Ee Ƣƣ Zz Ii Jj Kk Ll Mм Nn Ŋŋ Oo Pp Rr Ss Tt Uu Yy Ff Hh Xx Ꞣꞣ Cц Çç Şş Ьь |
1940–현재 (키릴 문자) | Аа Әә Бб Вв Гг Ғғ Дд Ее Ёё Жж Зз Ии Йй Кк Ққ Лл Мм Нн Ңң Оо Өө Пп Рр Сс Тт Уу Ұұ Үү Фф Хх Һһ Цц Чч Шш Щщ Ъъ Ыы Іі Ээ Юю Яя |
2018년 2월 19일 (대통령령 No. 637) | A a - A a B b - B b D d - D d E e - E e F f - F f G g - G g Ğ ğ - G‘ g‘ H h - H h I i - I i İ i - I‘ i‘ J j - J j K k - K k L l - L l M m - M m N n - N n O o - O o Ö ö - O‘ o‘ P p - P p Q q - Q q R r - R r S s - S s Ş ş - S‘ s‘ T t - T t U u - U u Ū ū - U‘ u‘ V v - V v Y y - Y y Z z - Z z Ä ä - A‘ a‘ Ŋ ŋ - N‘ n‘ Ü ü - U‘ u‘ Ç ç - C‘ c‘ Ş ş - S‘ s‘ |
2021년 1월 (최종 버전) | Aa Ää Bb Cc Çç Dd Ee Ff Gg Ğğ Hh Iı İi Jj Kk Qq Ll Mm Nn Ŋŋ Oo Öö Pp Rr Ss Şş Tt Uu Ūū Üü Vv Ww Yy Zz |
2. 역사
소련 시대 카자흐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당시 소련이 카자흐스탄을 터키와 분리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2] 이는 터키 해협 위기 등으로 터키-소련 관계가 악화된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카자흐스탄은 국가 정체성 강화를 위해 2017년부터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의 단계적인 전환을 시작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새로운 알파벳의 완전한 시행까지 7년의 과정을 초안했으며, 이는 다양한 단계로 세분화되었다.[3]
2. 1. 키릴 문자 도입과 개정
현재 사용되는 키릴 문자 표기법은 소련 시대인 1940년에 제정되었다. 이는 카자흐스탄과 몽골의 바양울기 주(카자흐인 인구가 90%를 차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된다.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 33자와 카자흐어용 Ә|애kk, Ғ|그kk (ғ|으kk), Қ|크kk (қ|으kk), Ң|응kk (ң|으kk), Ө|외kk, Ұ|우kk, Ү|위kk, Һ|흐kk (һ|으kk), І|이kk 9자를 더한 42자로 구성된다. 이 중 В|베ru, Ё|요ru, Ф|에프ru, Ц|체ru, Ч|체ru, Щ|샤ru, Ъ|트바르도즈낙ru, Ь|먀흐키 즈낙ru, Э|애ru는 카자흐어 고유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또한, И와 У는 러시아어 발음과 다르다. 전자는 ЫЙ|으이kk나 ІЙ|이이kk와 유사하게 발음되며, 후자는 반모음 /w/로 사용되며, ҰУ|우우kk, ҮУ|위우kk, ЫУ|으우kk, ІУ|이우kk와 같이 발음되기도 한다.
대문자 | 소문자 | 문자 이름 | 발음 (IPA) |
---|---|---|---|
А | а | 아 | |
Ә | ә | 애 | |
Б | б | 베 | |
В | в | 베 | |
Г | г | 게 | |
Ғ | ғ | 가 | |
Д | д | 데 | |
Е | е | 예 | |
Ё | ё | 요 | |
Ж | ж | 제 | |
З | з | 제 | |
И | и | 이/이 | |
Й | й | 짧은 이kk | |
К | к | 카 | |
Қ | қ | 카 | |
Л | л | 엘 | |
М | м | 엠 | |
Н | н | 엔 | |
Ң | ң | 엥 | |
О | о | 오 | |
Ө | ө | 푄 | |
П | п | 페 | |
Р | р | 에르 | |
С | с | 에스 | |
Т | т | 테 | |
У | у | 우/위 | |
Ұ | ұ | 우 | |
Ү | ү | 위 | |
Ф | ф | 에프 | |
Х | х | 하 | |
Һ | һ | 하 | |
Ц | ц | 체 | |
Ч | ч | 체 | |
Ш | ш | 샤 | |
Щ | щ | 샤 | |
Ъ | ъ | 분리 기호kk | - |
Ы | ы | 이 | |
І | і | 이 | |
Ь | ь | 연음 부호kk | - |
Э | э | 에 | |
Ю | ю | 유 | |
Я | я | 야 |
2. 2. 라틴 문자 전환 시도
소련 시대에 카자흐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당시 소련이 카자흐스탄을 터키와 분리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2] 이는 터키 해협 위기 등으로 터키-소련 관계가 악화된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카자흐스탄은 국가 정체성 강화를 위해 2017년부터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시작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새로운 알파벳의 완전한 도입까지 7년의 과정을 계획했으며, 이 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뉘었다.[3] 2016년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라틴 문자 표기로의 전환을 선언했고, 2017년 9월 11일에 초안이 제출되었다.
2017년 10월 26일, 초안을 수정한 라틴 문자 표기가 대통령령으로 공포되었다. 그러나 아포스트로피를 많이 사용해 읽기 어렵고, SNS에서 사용되는 해시태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인터넷 사용자들로부터 제기되었다.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여 2018년 2월 20일 대통령령을 개정, 아포스트로피가 붙은 문자를 아큐트 악센트가 붙은 문자나 이중 문자로 변경하였다.
2019년 11월 6일에는 제4판이 공개되었는데, 이 판은 터키어 알파벳과 유사한 형태를 띠었다. 2021년 1월 28일에 발표된 판도 이와 비슷했으며, 전환은 2023년부터 2031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이후 대통령령 초안에서는 Ң에 대응하는 라틴 문자가 에서 로 변경되었다.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 간의 변화 과정은 아래 표와 같다.
키릴 문자 | 2017년 9월 11일 | 2017년 10월 26일 | 2018년 2월 20일 | 2021년 1월 28일 |
---|---|---|---|---|
А а | A a | A a | A a | A a |
Ә ә | Ae ae | A' a' | Á á | Ä ä |
Б б | B b | B b | B b | B b |
В в | V v | V v | V v | V v |
Г г | G g | G g | G g | G g |
Ғ ғ | Gh gh | G' g' | Ǵ ǵ | Ğ ğ |
Д д | D d | D d | D d | D d |
Е е | E e | E e | E e | E e |
Ж ж | Zh zh | J j | J j | J j |
З з | Z z | Z z | Z z | Z z |
И и | I i | I' i' | I ı | İ i |
Й й | J j | I' i' | I ı | İ i |
К к | K k | K k | K k | K k |
Қ қ | Q q | Q q | Q q | Q q |
Л л | L l | L l | L l | L l |
М м | M m | M m | M m | M m |
Н н | N n | N n | N n | N n |
Ң ң | Ng ng | N' n' | Ń ń | Ŋ ŋ |
О о | O o | O o | O o | O o |
Ө ө | Oe oe | O' o' | Ó ó | Ö ö |
П п | P p | P p | P p | P p |
Р р | R r | R r | R r | R r |
С с | S s | S s | S s | S s |
Т т | T t | T t | T t | T t |
У у | W w | Y' y' | Ý ý | U u |
Ұ ұ | U u | U u | U u | Ū ū |
Ү ү | Ue ue | U' u' | Ú ú | Ü ü |
Ф ф | F f | F f | F f | F f |
Х х | H h | H h | H h | H h |
Һ һ | H h | H h | H h | H h |
Ц ц | C c | (Ts ts) | (Ts ts) | |
Ч ч | Ch ch | C' c' | Ch ch | |
Ш ш | Sh sh | S' s' | Sh sh | Ş ş |
Ы ы | Y y | Y y | Y y | Y y |
І і | I i | I i | I i | I ı |
Ю ю | Jw jw | (Iy iy) | (Iý ıý) | |
Я я | Ja ja | (Ia ia) | (Ia ıa) |
카자흐 키릴 문자는 카자흐스탄, 러시아의 알타이 공화국, 몽골의 바양울기주에서 사용된다. 또한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의 카자흐인, 그리고 구 소련 국가의 디아스포라에서도 사용된다.[4] 19세기 카자흐 교육자 이브라힘 알틴사린이 처음으로 카자흐어 표기를 위한 키릴 문자를 도입했고, 이후 러시아 선교 활동과 러시아 후원 학교들이 키릴 문자 사용을 장려했다. 이 문자는 사르센 아마졸로프에 의해 러시아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개정되어 1940년에 현재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3. 키릴 문자
현재 사용되는 키릴 문자 표기법은 소련 시대인 1940년에 제정되었다. 이는 카자흐스탄과 몽골의 바양울기 주(카자흐인 인구가 90%를 차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 키릴 문자 33자와 카자흐어용 9자(Ә, Ғ, Қ, Ң, Ө, Ұ, Ү, Һ, І)를 더한 42자로 구성된다. 이 중 В, Ё, Ф, Ц, Ч, Щ, Ъ, Ь, Э는 카자흐어 고유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또한, И와 У는 러시아어 발음과 다르다. 전자는 ЫЙkk나 ІЙkk와 유사하게 발음되며, 후자는 반모음 /w/로 사용되며, ҰУkk, ҮУkk, ЫУkk, ІУkk와 같이 발음되기도 한다.
카자흐어 음운론에 대한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인해, ⟨е⟩는 앞의 자음을 구개음화하며 로 발음된다. ⟨һ⟩ 문자는 보통 페르시아-아랍어 차용어에서 발견되며 로 발음되며, 이는 비-고유 음소이다. 빠른 대화에서는 ⟨қ⟩가 모음 사이나 파열 자음 앞에 올 때 ⟨х⟩처럼 발음될 수 있다. ⟨щ⟩ 문자는 세 개의 고유 단어에서 긴 ⟨ш⟩를 나타낸다: ащыkk ('쓰다'), тұщыkk ('무미'), 그리고 кещеkk ('멍청한'). 그리고 러시아어 차용어에서도 사용된다.
⟨и⟩ 문자는 후설 모음 단어에서 이중 모음 ⟨ый⟩를 나타내고, 전설 모음 단어에서 ⟨ій⟩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у⟩는 모음 옆에서 활음 를 나타내 이중 모음을 형성하며, 자음 사이에서는 긴장된 모음 를 나타낸다. 그러나 ⟨и⟩와 달리, 카자흐어 동사에서 무한사 표시자로서의 ⟨у⟩는 ⟨ұу⟩, ⟨үу⟩, ⟨ыу⟩, 및 ⟨іу⟩로 발음될 수 있으며, 이는 동사 어간의 앞선 모음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и⟩와 ⟨у⟩의 발음은 러시아어 차용어에서 유지되어, 강세 위치에서는 와 를 나타내고, 비강세 위치에서는 각각 와 를 나타낸다.
3. 1. 키릴 문자 목록
키릴 문자 | 키릴 문자의 이름 | 아랍 문자의 이름 | IPA 발음 |
---|---|---|---|
А а | а | әлип | /a/, /ɑ/ |
Ә ә | ә | хәмзә - алиф | /æ/ |
Б б | бе | ба | /b/ |
В в | ве | Уe | /v/ |
Г г | ге | гәф | /ɡ/ |
Ғ ғ | ға | Аин | /ɣ/, /ʁ/ |
Д д | де | дел | /d/ |
Е е | е | ае | /je/, /e/ |
Ё ё | ё | /jo/ | |
Ж ж | же | жим | /ʒ/ |
З з | зе | Заин | /z/ |
И и | и | я екі нұқат | /ɪ/, /ij/, /i:/, /i/ |
Й й | қысқа и | я екі нұқат | /j/ |
К к | ка | Кәф | /k/ |
Қ қ | қа | Қаф | /q/ |
Л л | эл | Ләм | /l/ |
М м | эм | Мим | /m/ |
Н н | эн | Нун | /n/ |
Ң ң | эң | еңге / кәф үш нұқат | /ŋ/ |
О о | о | уау | /o/ |
Ө ө | ө | һәмзә-уау | /ø/ |
П п | пе | па | /p/ |
Р р | эр | ра | /r/ |
С с | эс | син | /s/ |
Т т | те | та | /t/ |
У у | у | ۋ ﯟ уа / уау үш нұқат | /w/, /ʊw/, /ʉw/, /əw/, /ɘw/ |
Ұ ұ | дамма-уа /дамма-уау | /u/, /ʊ/ | |
Ү ү | һәмзә-уа / һәмзә-дамма-уау | /y/, /ʏ/ | |
Ф ф | эф | Фа | /f/, /φ/ |
Х х | х | Ха | /x/, /χ/ |
Һ һ | һа | Һә | /h/ |
Ц ц | це | /ʦ/ | |
Ч ч | че | Чa | /ʧ/ |
Ш ш | ша | Шин | /ʃ/ |
Щ щ | шха | /ʃʧ/, /ʃ:/ | |
Ъ ъ | жуандық белгі | -- | -- |
Ы ы | ы | -- | /ɯ/, /ɤ/ |
І і | һәмзә-я | /i/, /ɪ/ | |
Ь ь | -- | -- | |
Э э | э | /e/ | |
Ю ю | юу | /ju/, /jy/ | |
Я я | яа | /ja/, /jɑ/ |
3. 2. 키보드 배열
카자흐스탄에서 키릴 카자흐어에 사용되는 표준 윈도우 키보드 레이아웃은 표준 러시아어 키보드를 수정한 것으로, 카자흐어에는 있지만 러시아어에는 없는 문자가 숫자 키에 위치해 있다.
4. 라틴 문자
소련 시대에 카자흐어는 소련이 카자흐스탄을 터키와 분리하려는 시도로 인해 라틴 문자가 아닌 키릴 문자로 전환되었다.[2] 이는 터키 해협 위기 등으로 터키-소련 관계가 약화된 것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카자흐스탄은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2017년에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의 단계적인 전환을 시작했다.[3] 카자흐스탄 정부는 새로운 알파벳의 완전한 시행까지 7년의 과정을 마련했으며, 이는 여러 단계로 세분화되었다.[3]
카자흐어는 여러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터키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변형은 터키와 서방 국가의 카자흐 디아스포라뿐만 아니라 카자흐스탄에서도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야날리프가 소련에 의해 도입되어 1929년부터 1940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9] 중국 카자흐족에게는 1964년부터 1984년까지 병음을 기반으로 한 라틴 문자가 사용되었으나, 이후 중국에서는 카자흐 아랍 문자의 사용이 부활했다.[10]
A a | B ʙ | C c | Ç ç | D d | E e | Ə ə | G g | Ƣ ƣ | H h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Ꞑ ꞑ | O o | Ɵ ɵ | P p |
Q q | R r | S s | T t | U u | V v | Y y | Z z | Ь ь |
A a | B ʙ | V v | G g | D d | E e | Ç ç | Z z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O o | P p | R r | S s | T t | U u | F f | X x |
Ƣ ƣ | Q q | C c | Ə ə | H h | Ꞑ ꞑ | Ɵ ɵ | Ū ū | Y y | Ь ь |
현대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은 2025년까지 키릴 문자를 라틴 문자로 대체하도록 명령했다.[28][11] 2007년, 나자르바예프는 카자흐어 알파벳의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의 전환은 서둘러서는 안 된다고 말한바 있다.[12]
2015년, 아리스탄벡 무하메디울리 문화체육부 장관은 언어의 음운론적 측면을 수용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정자법을 연구하면서 전환 계획이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13] 2017년 4월 12일, 나자르바예프는 국영 신문인 ''예게멘 카자흐스탄''에 2025년까지 라틴 문자로 전환하겠다는 기사를 발표했고,[9][13] 이는 법령에 의해 시행되었다.[28]
나자르바예프는 "카자흐어와 문화는" 소련 통치 기간 동안 파괴되었다고 언급하며, 키릴 문자 사용을 종식시키는 것이 국가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데 유용하다고 말했다.[9] 새로운 라틴 알파벳은 러시아어가 이 나라의 두 번째 공식 언어이기 때문에, 러시아의 전통적인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단계이기도 하다.[14] 처음에 제안된 라틴 알파벳은 이중 문자와 분음 부호를 피하려고 했다. 나자르바예프는 새로운 알파벳에 "고리나 불필요한 점이 없어야 한다"고 명시했다.[15]
2018년 2월, 2017년 라틴 알파벳의 수정된 버전이 발표되었다. 2018년 2월 19일 대통령령은 2017년 법령을 수정하여 아포스트로피 사용을 중단하고 분음 부호와 이중 문자로 대체했다.[16][17] 이 새로운 알파벳은 급성 악센트의 사용으로 유명했다. 라틴어 기반 알파벳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Qazlatyn.kz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과 사이트가 출시되었다.[18]
4. 1. 라틴 문자 목록 (2021년 제안)
2020년,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은 카자흐어의 원래 소리와 발음을 보존하는 데 중점을 두고 라틴 문자를 다시 수정할 것을 촉구했다.[21][22] 2021년 1월, 카자흐 라틴 문자의 새로운 개정안이 발표되어 ⟨ä, ö, ü, ğ, ū, ŋ, ş⟩ 문자를 도입하여 공통 튀르크 문자에 더 가까워졌다.[25] 2021년 4월 22일에 수정에서는 ⟨ŋ⟩을 크림 타타르어 라틴 문자에서도 사용되는 ⟨ñ⟩으로 대체하였다.[26] 이 문자는 터키어 알파벳, 아제르바이잔어 알파벳 및 투르크멘어 알파벳과 유사점을 보인다.
4. 2. 라틴 문자 전환의 역사적 배경과 논의
소련 시대에 카자흐어는 당시 소련이 카자흐스탄을 터키와 분리하려는 시도로 인해 키릴 문자로 전환되었다.[2] 이는 터키-소련 관계가 약화되고 터키 해협 위기가 발생한 것에 부분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카자흐스탄은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2017년에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의 단계적인 전환을 시작했다.[3] 카자흐스탄 정부는 새로운 알파벳의 완전한 시행까지 7년의 과정을 마련했으며, 이는 여러 단계로 세분화되었다.[3]
카자흐어는 여러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터키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변형은 터키와 서방 국가의 카자흐 디아스포라뿐만 아니라 카자흐스탄에서도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라틴 문자, 야날리프가 소련에 의해 도입되어 1929년부터 1940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9] 게다가, 중국 카자흐족에게는 1964년부터 1984년까지 병음을 기반으로 한 라틴 문자가 사용되었다. 이후, 중국에서는 카자흐 아랍 문자의 사용이 부활했다.[10]
A a | B ʙ | C c | Ç ç | D d | E e | Ə ə | G g | Ƣ ƣ | H h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Ꞑ ꞑ | O o | Ɵ ɵ | P p |
Q q | R r | S s | T t | U u | V v | Y y | Z z | Ь ь |
A a | B ʙ | V v | G g | D d | E e | Ç ç | Z z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O o | P p | R r | S s | T t | U u | F f | X x |
Ƣ ƣ | Q q | C c | Ə ə | H h | Ꞑ ꞑ | Ɵ ɵ | Ū ū | Y y | Ь ь |
현대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은 2025년까지 키릴 문자를 라틴 문자로 대체하도록 명령했다.[28][11] 2007년, 나자르바예프는 카자흐어 알파벳의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의 전환은 서둘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12]
2015년, 문화체육부 장관 아리스탄벡 무하메디울리는 언어의 음운론적 측면을 수용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정자법을 연구하면서 전환 계획이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13] 2017년 4월 12일, 나자르바예프는 국영 신문인 ''예게멘 카자흐스탄''에 2025년까지 라틴 문자로 전환하겠다는 기사를 발표했고,[9][13] 이는 법령에 의해 시행되었다.[28]
나자르바예프는 "카자흐어와 문화는" 소련 통치 기간 동안 파괴되었다고 언급하며, 키릴 문자 사용을 종식시키는 것이 국가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데 유용하다고 말했다.[9] 새로운 라틴 알파벳은 러시아어가 이 나라의 두 번째 공식 언어이기 때문에, 러시아의 전통적인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단계이기도 하다.[14] 처음에 제안된 라틴 알파벳은 이중 문자와 분음 부호를 피하려고 했다. 나자르바예프는 새로운 알파벳에 "고리나 불필요한 점이 없어야 한다"고 명시했다.[15]
2018년 2월, 2017년 라틴 알파벳의 수정된 버전이 발표되었다. 2018년 2월 19일 대통령령은 2017년 법령을 수정하여 아포스트로피 사용을 중단하고 분음 부호와 이중 문자로 대체했다.[16][17] 이 새로운 알파벳은 급성 악센트의 사용으로 유명했다. 라틴어 기반 알파벳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몇 가지 웹 애플리케이션과 사이트가 출시되었다. 그 중 하나는 카자흐스탄에 대한 뉴스와 기타 정보를 보도하는 데 새로운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는 새로운 웹 기반 포털인 Qazlatyn.kz이다.[18]
2016년, 카자흐스탄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는 라틴 문자 표기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2017년 9월 11일에는 그 초안이 제출되었다.
2017년 10월 26일에는 초안을 수정한 라틴 문자 표기를 대통령령으로 공포했다. 그러나 아포스트로피를 많이 사용하여 읽기 어렵고, SNS에서 사용되는 해시태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 인터넷 사용자들로부터 비판이 많았다.
2018년 2월 20일에는 대통령령을 개정하여 공포했다. 아포스트로피가 붙은 문자를 아큐트 악센트가 붙은 문자나 이중 문자로 변경했다.
2019년 11월 6일에는 제4판이 공개되었다. 이 판은 터키어 알파벳과 유사하게 되었다. 2021년 1월 28일에 발표된 판도 이에 가까웠으며, 전환은 2023년부터 2031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발표되었다. 그 후 대통령령 초안에서는 Ң에 대응하는 라틴 문자가 에서 로 변경되었다.
5. 아랍 문자
아랍 문자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일리 카자흐 자치주에 거주하는 카자흐족의 공식 문자이다.[10] 11세기에 카자흐스탄 영토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1929년 라틴 문자가 도입되기 전까지 카자흐어를 표기하는 데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 1924년, 카자흐 지식인 아흐메트 바이투르시노프는 카자흐어에 더 적합하도록 아랍 문자를 개혁하였다. 카자흐어 아랍 문자는 전설 모음을 표기할 때 '함자'를 모음자 위에 추가하여 구분하는 특징이 있다.
5. 1. 아랍 문자 목록
아랍 문자는 11세기부터 1929년까지 카자흐스탄 지역에서 카자흐어를 표기하는 데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10] 1924년, 카자흐 지식인 아흐메트 바이투르시노프는 카자흐어에 더 적합하도록 아랍 문자를 개혁했다. 아랍어에 없는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ۆ, گ, ڭ, پ, چ 문자가 사용되었다.개정된 아랍 문자는 1929년 이전 카자흐어에 사용되던 문자를 기반으로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사용된다.
카자흐어 아랍 알파벳은 29개의 문자와 숫자 1개('윗 함자')로 구성된다. 글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원래 아랍 문자(압자드)와 달리, 카자흐어 아랍 문자는 각 소리에 고유한 문자가 있어 진정한 알파벳처럼 기능한다. 이러한 개혁은 20세기 초 언어학자 아흐메트 바이투르시노프가 수행했다.
중국,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이란 및 중동의 다른 국가에 거주하는 카자흐족은 주로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44]
카자흐 아랍 문자에는 9개의 모음이 정의되어 있다.[30]
colspan=2| | 원순 | 평순 | |||||
---|---|---|---|---|---|---|---|
colspan=2| | 폐 | 개 | 폐 | 개 | |||
후설 | 아랍 문자 | ـۇ / ۇ | ـو / و | ىـ / ـى / ى | ا / ـا | ||
키릴 문자 (라틴 문자) | Ұ ұ (Ū ū) | О о (O o) | Ы ы (Y y) | А а (A a) | |||
IPA | ~ | colspan=2| | colspan=2| | ||||
전설 | 아랍 문자 | ٴـۇ / ٴۇ | ٴـو/ ٴو | ٴىـ / ٴـى / ٴى | ە / ـە | ٴا / ٴـا | |
키릴 문자 (라틴 문자) | Ү ү (Ü ü) | Ө ө (Ö ö) | І і (I ı) | Е е / Э э (E e) | Ә ә (Ä ä) | ||
IPA | ~ | colspan=1| | colspan=2| |
함자는 카자흐어 아랍 문자에서 단어의 시작 부분에만 올 수 있으며, 단어의 모음이 전설 모음임을 나타낸다.[30]
- Ә әkk /
- І іkk /
- Ө өkk /
- Ү үkk /
단검 알리프는 타타르어 야나 임라 문자에서 반대 역할을 수행하여, 단어의 모음이 후설 모음임을 표시했다.
카자흐어 정자법에는 함자가 없는 전설 모음 단어와 같은 예외가 있다. (로 표시됨) 모음을 포함하는 단어는 자동으로 다른 모든 모음도 전설 모음임을 나타내므로 함자를 쓰지 않는다. 예를 들어, түйісkk () 이라는 단어는 로 표기되지만, 복수형 түйістерkk () 은 함자 없이 로 표기된다.[30]
또 다른 예외는 연구개 자음 () 및 ()을 포함하는 단어의 경우, 모음이 후설 모음으로 발음되므로 함자로 표기되지 않는 경우이다. 반대로, 그들의 연구개 대응 자음 () 및 ()는 전설 모음과만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모음이 전설 모음임을 나타내는 지표 역할을 하므로 함자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түйірkk () 이라는 단어는 로 표기되는 반면, түйіршікkk () 과 같은 파생어는 로 표기된다.[30]
이러한 규칙에 따라 접미사도 쌍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후설 모음을 가진 단어는 접미사 -лықkk () / -дықkk () / -тықkk ()을 취하고, 전설 모음을 가진 단어는 접미사 -лікkk () / -дікkk () / -тікkk ()을 취한다.[30]
로마자 표기법 | 카자흐어 이름 | IPA | 단독형 | 어말형 | 어중형 | 어두형 |
---|---|---|---|---|---|---|
Аа | älıf ٴالىپ | colspan="2" | | ||||
Әә | hämzä-älıp ٴحامزا-ٴالىپ | colspan="2" | | ||||
Бб | ba با | |||||
Пп | pa پا | |||||
Тт | ta تا | |||||
Жж | jim جيم | |||||
Чч | ha üş noqat حا ٴۇش نوقات | |||||
Хх | xa حا | ~ | ||||
Дд | däl ٴدال | colspan="2" | | ||||
Рр | ra را | colspan="2" | | ||||
Зз | zain زاين | colspan="2" | | ||||
Сс | sin سين | |||||
Шш | şin شين | |||||
Ғғ | ain اين | ~ | ||||
Фф | fa فا | |||||
Ққ | qaf قاف | |||||
Кк | käf کاف | |||||
Гг | gäf گاف | |||||
Ңң | käf üş noqat كاف ٴۇش نوقات | ~ | ||||
Лл | läm ٴلام | ~ | ||||
Мм | mim ميم | |||||
Нн | nun نۋن | |||||
Ее | hä ٴحا | colspan="2" | | ||||
Һһ | hä ekı köz ٴحا ەكى كوز | |||||
Оо | uau ۋاۋ | ~ | colspan="2" | | |||
Өө | hämzä-uau ٴحامزا-ۋاۋ | ~ | colspan="2" | | |||
Ұұ | uau damma ۋاۋ دامما | colspan="2" | | ||||
Үү | hämzä-uau damma ٴحامزا-ۋاۋ دامما | colspan="2" | | ||||
Уу | uau üş noqat ۋاۋ ٴۇش نوقات | , , | colspan="2" | | |||
Вв | uau qūsbelgı ۋاۋ قۇسبەلگى | colspan="2" | | ||||
Ыы | ia يا | |||||
Іі | hämzä-ia ٴحامزا-يا | |||||
Йй, Ии | ia ekı noqat يا ەكى نوقات | , , | ||||
Ъъ, Ьь | hämzä ٴحامزا | colspan="4" | |
세계 인권 선언 제1조:[35]
키릴 문자로 된 카자흐어 | 아랍 문자로 된 카자흐어 | 영어 번역 |
---|---|---|
Барлық адамдар тумысынан азат және қадір-қасиеті мен құқықтары тең болып дүниеге келеді. Адамдарға ақыл-парасат, ар-ождан берілген, сондықтан олар бір-бірімен туыстық, бауырмалдық қарым-қатынас жасаулары тиіс.kk |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존엄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 | |
라틴 문자로 된 카자흐어 (2017년 나자르바예프 승인, 2018년 개정) | 라틴 문자로 된 카자흐어 (카진폼의 버전, 카자흐어 위키백과에서 사용) | "아포스트로피 알파벳"이라고도 불리는 2017년 카자흐어 알파벳 |
야날리프로 된 카자흐어 (1929년 버전) | 야날리프로 된 카자흐어 (1938년 버전) | 핀인으로 된 카자흐어 (1964–1984) |
italic=no|Barlьq adamdar tuvmьsьnan azat çəne qadir-qasijeti men quqьqtarь teꞑ ʙolьp dynijege keledi. Adamdarƣa aqьl-parasat, ar-oçdan ʙerilgen, sondьqtan olar ʙir-ʙirimen tuvьstьq, ʙavьrmaldьq qarьm-qatьnas çasavlarь tijis.kk | italic=no|Barlьq adamdar tumьsьnan azat çəne qadjr-qasietj men qūqьqtarь teꞑ ʙolьp dyniege keledj. Adamdarƣa aqьl-parasat, ar-oçdan ʙerjlgen, sondьqtan olar ʙjr-ʙjrjmen tuьstьq, ʙauьrmaldьq qarьm-qatьnas çasaularь tijs.kk | |
라틴 문자로 된 카자흐어 (2021년 1월 버전) | 라틴 문자로 된 카자흐어 (2021년 4월 버전) | 국제 음성 기호로 된 카자흐어 |
6. 음운론적 특징
카자흐어는 러시아어 알파벳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추가된 문자들이 있다. ⟨в, ё, ф, ц, ч, ъ, ь, э⟩는 러시아어 차용어에 주로 사용되며, 고유 카자흐어 단어에는 쓰이지 않는다.[4] ⟨е⟩는 앞의 자음을 구개음화하여 로 발음되는 러시아어의 영향을 보여준다.[4]
⟨һ⟩는 페르시아-아랍어 차용어에서 주로 발견되며 로 발음되는 비고유 음소이다.[4] 빠른 대화에서 ⟨қ⟩는 특정 위치에서 ⟨х⟩처럼 발음될 수 있다.[4] ⟨щ⟩는 몇몇 고유 단어에서 긴 ⟨ш⟩ 소리를 나타내며, 러시아어 차용어에도 사용된다.[4]
⟨и⟩와 ⟨у⟩는 모음과 함께 사용될 때 다양한 이중 모음을 형성한다.[4] ⟨и⟩는 후설 모음과 함께 ⟨ый⟩, 전설 모음과 함께 ⟨ій⟩로 발음된다.[4] ⟨у⟩는 모음 옆에서 활음 를, 자음 사이에서는 를 나타낸다.[4] 동사에서 무한사 표시자로 사용될 때는 앞선 모음에 따라 ⟨ұу⟩, ⟨үу⟩, ⟨ыу⟩, ⟨іу⟩ 등으로 다양하게 발음될 수 있다.[4] 또한, 이 문자들은 러시아어 차용어에서 원래 발음을 유지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Kazakhstan to change from Cyrillic to Latin alphabet
https://emerging-eur[...]
2020-09-16
[2]
간행물
SOVYET RUSYA HAKİMİYETİNDE YAŞAYAN TÜRKLERİN ORTAK "BİRLEŞTİRİLMİŞ TÜRK ALFABESİ"NDEN "RUS KİRİL" ALFABESİNE GEÇİRİLMESİ
https://dergipark.or[...]
2010-03-01
[3]
웹사이트
Switching to Latin alphabet further opens Kazakhstan to the world
https://astanatimes.[...]
2018-03-13
[4]
뉴스
Kazakh President Orders Shift Away From Cyrillic Alphabet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7-10-30
[5]
웹사이트
Non-Slavic Languages (in Cyrillic Script)
https://www.loc.gov/[...]
2017
[6]
웹사이트
Romanization of Kazakh: BGN/PCGN 1979 System
https://assets.publi[...]
2022-02
[7]
웹사이트
Romanization of Kazakh for Geographical Names
https://www.eki.ee/w[...]
2022-12-13
[8]
웹사이트
Transliteration of Non-Roman Scripts
http://transliterati[...]
2004-03-30
[9]
뉴스
Болашаққа бағдар: рухани жаңғыру
https://egemen.kz/ar[...]
2017-10-30
[10]
서적
Multilingualism in China: The Politics of Writing Reforms for Minority Languages, 1949-2002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11]
뉴스
Alphabet soup as Kazakh leader orders switch from Cyrillic to Latin letters
https://www.theguard[...]
2017-10-30
[12]
뉴스
Kazakhstan should be in no hurry in Kazakh alphabet transformation to Latin: Nazarbayev
http://pinyin.info/n[...]
Kazinform
2017-10-30
[13]
뉴스
Kazakh language to be converted to Latin alphabet – MCS RK
http://www.inform.kz[...]
Kazinform
2015-01-30
[14]
뉴스
Kazakhstan to Qazaqstan: Why would a country switch its alphabet?
https://www.bbc.co.u[...]
BBC News
2017-10-31
[15]
뉴스
Назарбаев обсудил с журналистами девальвацию, "saebiz", ЭКСПО и Головкина
http://www.ktk.kz/ru[...]
Kommercheskiy Televizionyy Kanal
2017-10-25
[16]
웹사이트
Kazakhstan adopts new version of Latin-based Kazakh alphabet
https://astanatimes.[...]
2018-02-26
[17]
웹사이트
О внесении изменения в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от 26 октября 2017 года № 569 «О переводе алфавита казахского языка с кириллицы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https://www.akorda.k[...]
2023-01-22
[18]
웹사이트
Kazakhstan Launches Easy-To-Use Apps For New Latin Alphabet
https://caspiannews.[...]
2022-03-08
[19]
웹사이트
Kazakhstan Presents New Latin Alphabet, Plans Gradual Transition Through 2031
https://astanatimes.[...]
2022-03-08
[20]
문서
On some issues of translating the alphabet of the Kazakh language from Cyrillic to Latin script.
https://legalacts.eg[...]
[21]
웹사이트
Kazakh President Tokaev introduces reforms
https://moderndiplom[...]
2020-01-07
[22]
웹사이트
Kazakhstanis Awaiting For New Latin-Based Alphabet
https://caspiannews.[...]
2020-01-14
[23]
웹사이트
Fourth version of Kazakh Latin script will preserve language purity, linguists say
https://astanatimes.[...]
2020-04-03
[24]
웹사이트
A Proposal for the Reprioritisation of the Principles for Kazakh Alphabet Latinisation
https://www.linkedin[...]
2020-05-22
[25]
웹사이트
Kazakhstan Presents New Latin Alphabet, Plans Gradual Transition Through 2031
https://astanatimes.[...]
2021-02-02
[26]
웹사이트
New kazakh latin alphabet was shown
https://tengrinews.k[...]
2021-02-02
[27]
웹사이트
Kazakhs express approval of new Latin-based alphabet
https://central.asia[...]
2022-03-08
[28]
웹사이트
О переводе алфавита казахского языка с кириллицы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http://www.akorda.kz[...]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2017-10-26
[29]
웹사이트
Gradual transition of the Kazakh alphabet to the Latin alphabet
https://egov.kz/cms/[...]
2020-05-04
[30]
서적
Kazakh-Chinese Consice Dictionary (哈汉辞典. قازاقشا - حانزۋشا سوزدىك)
Ūlttar Baspasy (ۇلتتار باسپاسى)
[31]
서적
Essays presented in honor of Henry Schwarz
Western Washington
[32]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Forty-First Annual Meeting of the Berkeley Linguistics Society
Berkeley Linguistics Society
[33]
웹사이트
Qazaq álipbıi
https://www.qazlatyn[...]
[34]
웹사이트
Mátindik konverter
https://www.qazlatyn[...]
[35]
서적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36]
서적
カザフ語
三省堂
1988-03
[37]
웹사이트
Каким будет новый казахский алфавит
http://www.zakon.kz/[...]
[38]
웹사이트
Kazakhstan: New Latin Alphabet Criticized as Apostrophe Catastrophe
https://eurasianet.o[...]
[39]
웹사이트
Новый вариант казахского алфавита на латинице утвердил Назарбаев
https://tengrinews.k[...]
[40]
간행물
Fourth version of Kazakh Latin script will preserve language purity, linguists say
https://astanatimes.[...]
The Astana Times
2019-11-18
[41]
간행물
Kazakhstan Presents New Latin Alphabet, Plans Gradual Transition Through 2031
https://astanatimes.[...]
The Astana Times
2021-02-01
[42]
간행물
Новый казахский алфавит на латинице: представлен проект указа Президента
https://tengrinews.k[...]
Tengrinews.kz
2021-04-22
[43]
간행물
О некоторых вопросах перевода алфавита казахского языка с кириллицы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https://legalacts.eg[...]
Открытые НПА
2021-04-21
[44]
웹사이트
カザフの文字
http://www.chikyukot[...]
[45]
문서
World Braille Usage Third Edition
https://www.pharmabr[...]
[46]
웹인용
О переводе алфавита казахского языка с кириллицы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http://www.akorda.kz[...]
2017-10-26
[47]
뉴스
The cost of changing an entire country's alphabet
http://www.bbc.com/c[...]
BBC
2018-04-24
[48]
웹인용
О внесении изменения в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от 26 октября 2017 года № 569 «О переводе алфавита казахского языка с кириллицы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http://www.akorda.kz[...]
2018-02-19
[49]
웹인용
А. Мамин провел заседание Нацкомиссии по переводу алфавита казахского языка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https://primeministe[...]
2021-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