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루스 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루스 원통은 아시리아-영국 고고학자 호르무즈 라쌈이 1879년 바빌론에서 발견한 점토 원통으로, 최대 지름 22.5cm, 길이 10cm 크기이다. 이 원통은 구운 점토로 만들어졌으며, 아카드 설형 문자로 된 45행의 텍스트가 새겨져 있다. 이 텍스트는 바빌론 왕 나보니두스를 비난하고 키루스를 마르두크 신과 연관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키루스의 통치와 건설 활동에 대한 설명도 포함한다. 키루스 원통은 메소포타미아의 오랜 전통을 반영하며, 과거 정복자들이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했던 수사법과 유사한 점을 보인다. 1960년대 후반, 팔라비 왕조는 이 원통을 "세계 최초의 인권 헌장"으로 칭하며 정치적 상징으로 활용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해석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며, 팔라비 정권의 정치적 선전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현재 키루스 원통은 대영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여러 차례 이란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순회 전시를 가졌다.
키루스 원통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키루스 대왕의 바빌론 정복 과정, 둘째는 통치 정책, 셋째는 건설 활동에 대한 기록이다.
2. 발견 및 형태
아시리아계 영국 고고학자 호르무즈 라쌈은 1879년 3월, 대영 박물관을 위해 메소포타미아에서 진행된 발굴 작업 중 키루스 원통을 발견했다.[5] 이 원통은 도시의 주요 사원인 에사길라의 기초에 기초 예치물로 놓여 있었다.[1]
라쌈의 탐사는 1850년 영국 고고학자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가 같은 지역에서 세 개의 언덕을 발굴했지만 중요한 것을 거의 찾지 못한 이전 발굴을 따랐다.[9] 1877년, 레이어드는 당시 메소포타미아를 통치했던 오스만 제국 주재 영국 대사가 되었고, 1850년 발굴에서 그의 조수였던 라쌈이 이전 발굴을 계속할 수 있도록 오스만 제국의 압둘 하미드 2세 술탄으로부터 ''칙령''을 얻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 칙령은 1년 동안 유효했지만, 더 자유로운 조건의 두 번째 칙령이 1878년에 발급되었다. 이 칙령은 2년(1880년 10월 15일까지) 동안 유효했으며, 필요할 경우 1882년까지 연장될 수 있다는 약속이 있었다.[6] 술탄의 칙령은 라쌈이 "발견한 골동품을 영국으로 포장하여 발송할 수 있도록" 승인했지만, "단 중복된 것은 제외"했다. 술탄의 대표자가 발굴 현장에 참석하여 발굴된 물품을 검사하도록 지시했다.[7]
승인을 얻은 라쌈은 대영 박물관 재단을 대신하여 바빌론과 다른 지역에서 대규모 발굴을 시작했다.[9] 그는 네 단계로 발굴을 진행했고, 각 단계 사이에 자신의 발견물을 가져오고 추가 작업을 위한 자금을 더 모으기 위해 영국으로 돌아갔다. 키루스 원통은 1878년 10월 8일 런던을 출발하여 시작된 메소포타미아로의 네 번의 탐사 중 두 번째에서 발견되었다. 그는 11월 16일 그의 고향인 모술에 도착하여 티그리스 강을 따라 바그다드로 이동하여 1879년 1월 30일에 도착했다. 2월과 3월 동안 그는 바빌론 자체를 포함하여 여러 바빌론 유적지에서 발굴을 감독했다.[6]
그는 곧 바빌론의 주요 신인 마르두크의 주요 성전인 에사길라 사원을 포함한 여러 중요한 건물을 발견했지만, 그 정체성은 독일 고고학자 로버트 콜데웨이의 1900년 발굴까지 완전히 확인되지 않았다.[8] 발굴자들은 키루스 원통을 발견한 사원의 기초에 묻혀 있던 많은 점토판에 쓰인 사업 문서를 발견했다.[9]
라쌈은 자신의 발견 장소에 대해 상반된 설명을 했다. 그는 그의 회고록인 ''앗슈르와 님로드의 땅''에서 키루스 원통이 줌주마 또는 짐지마 마을 근처 바빌론 남쪽 끝 언덕에서 발견되었다고 썼다.[10][11] 그러나 1879년 11월 20일 사무엘 비치, 대영 박물관 동양 고대 유물 관리자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키루스 원통은 바그다드를 떠나기 전에 옴란[텔 암란-이븐-알리]에서 약 600개의 새겨진 테라코타 조각과 함께 발견되었다"고 썼다.[12] 그는 4월 2일 바그다드를 떠나 모술로 돌아가 5월 2일 런던으로 가는 여정을 시작하여 6월 19일까지 이어졌다.[6]
이 발견은 로열 아시아 학회 회장인 헨리 롤린슨 경에 의해 1879년 11월 17일 학회 회의에서 대중에게 발표되었다.[13] 그는 이것을 "지금까지 밝혀진 쐐기 문자 기록 중 가장 흥미로운 역사적 기록 중 하나"라고 묘사했지만, 바빌론이 아닌 고대 도시 보르시파에서 왔다고 잘못 묘사했다.[14] 롤린슨의 "새로 발견된 키루스 대왕의 점토 원통에 대한 노트"는 이듬해 학회 저널에 게재되었으며, 텍스트의 첫 번째 부분 번역을 포함했다.[15]
2. 1. 형태
Original Text|키루스 실린더akk는 구운 점토로 만들어진 원통형이며, 최대 지름은 22.5cm, 길이는 10cm이다.[16] 이 원통은 원뿔 모양의 점토 층을 여러 겹 쌓아 만들었으며, 내부에는 큰 회색 돌이 포함되어 있다. 점토를 추가로 쌓아 원통형 모양을 만든 다음, 겉면에 고운 점토 슬립을 덧붙여 텍스트를 새겼다. 고대 시대에 부서진 것으로 보이며, 여러 조각으로 발굴되었다.[16] 현재는 "A"와 "B"로 알려진 두 개의 주요 조각으로 존재하며, 1972년에 재결합되었다.[16]
1879년 호르무즈 라쌈이 발견한 원통의 주요 부분은 조각 "A"이다. 1961년에 복원되었으며, 다시 구워 석고를 채워 넣었다.[16] 더 작은 조각 "B"는 8.6cm × 5.6cm 크기의 부분이다. 후자의 조각은 예일 대학교의 J.B. 니스가 골동품 상인으로부터 구입했다.[17] 니스는 1920년에 이 텍스트를 발표했다.[18] 이 조각은 1879년의 원래 발굴 중에 원통의 본체에서 떨어져 나간 것으로 보이며, 발굴 현장에서 제거되었거나 라쌈의 폐기물 더미에서 회수된 것으로 추정된다. 뮌스터 대학교의 파울-리차드 베르거가 1970년에 이 조각이 원통의 일부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했다.[19] 예일 대학교는 영국 박물관 소장품에서 "적절한 쐐기 문자 판"과 교환하여 이 조각을 영국 박물관에 일시적으로(사실상 무기한으로) 대여했다.[16]
키루스 원통은 분명히 기원전 539년 키루스 대왕의 바빌론 정복 이후에 만들어졌지만, 제작 연대는 불분명하다. 일반적으로 기원전 539년 이후, 키루스가 바빌론을 통치한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영국 박물관은 원통의 제작 연대를 기원전 539년에서 530년 사이로 추정한다.[36]
키루스 실린더는 1879년 Hormuzd Rassam|호르무즈드 라쌈영어이 바빌론의 마르두크 신전을 발굴했을 때 발견된 조각으로, 35행으로 이루어진 아카드어의 각문이 새겨져 있었다. 이어서 36행부터 45행까지는 예일 대학교가 소장하고 있음이 나중에 밝혀졌다.[131] 머리 부분의 3행은 손상되어 거의 읽을 수 없다.
2. 2. 추가 발견
1972년, 예일 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던 작은 조각("B")이 키루스 원통의 일부임이 확인되었다. 이 조각은 예일 대학교의 J.B.Nies가 골동품 상인에게서 구입한 것으로, 1920년에 그 내용이 발표되었다. 이 조각은 원래 1879년 발굴 작업 중 실린더 본체에서 떨어져 나갔던 것으로, 뮌스터 대학교의 폴 리차드 버거에 의해 1970년에 확인되기 전까지는 실린더의 일부로 인식되지 못했다. 예일 대학교는 이 조각을 영국 박물관에 무기한 대여했으며, 그 대가로 영국 박물관 소장품 중 "쐐기문자판(a cuneiform tablet)"을 받았다.[136]
2010년, 영국 박물관은 1881년부터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던 두 개의 점토 조각을 해독한 결과, 이 조각들에도 키루스 원통과 동일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음을 발표했다. 이 조각들은 바빌론 근처 다일렘이라는 작은 지역에서 출토되었으며, 버밍엄 대학교의 윌프레드 램버트 교수와 영국 박물관 중동 지역 전시 담당인 어빙 핀켈이 발굴했다. 이는 키루스 원통의 내용이 더 작은 도시까지 널리 전파되었다는 확실한 증거이다.
3. 내용
원통의 내용은 먼저 바빌로니아 왕(나보니두스)이 마르두크 신에게 죄를 지었고, 분노한 마르두크 신이 안샨의 왕이었던 키루스에게 세계의 왕 지위를 부여했다고 기록한다. 키루스는 마르두크 신의 명령에 따라 여러 나라를 정복하고 바빌론에 무혈 입성했다(1-19행).
이어 키루스는 자신의 가계를 기록하고, 바빌로니아 백성에게 안녕을 가져다주는 존재이며, 마르두크 신이 키루스와 그의 군대를 축복한다고 언급한다. 각지의 왕들이 공물을 가지고 키루스를 찾아와 무릎을 꿇었다고 한다. 키루스는 신앙을 빼앗긴 각국에 그들의 신상들을 돌려주고, 나보니두스가 바빌론으로 끌고 간 각지의 주민들을 본국으로 돌려보냈다. 키루스는 여러 나라의 사람들이 키루스와 캄비세스를 위해 기도하도록 명령했다.
마지막으로, 키루스는 자신이 많은 제물을 바쳤고, 바빌론을 둘러싼 성벽을 건설하고 있음을 언급한다. 바빌론 시 건설 중에 아슈르바니팔의 비문을 발견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1983년 중국에서 설형 문자가 새겨진 두 개의 화석화된 말 뼈가 발견되었는데, 옥스퍼드 대학교의 올리버 거니 교수는 이 뼈가 키루스 원통에서 유래한 것으로 확인했다. 그러나 이 유물은 현재 위조품으로 간주되고 있다.[33]
3. 1. 서문 (1-19행)
তুলনায় আল্লাদ য়ুশিম্মা সুবাতসু|tu-li-ia a-la-ad ḫi-ši-im-ma šu-ba-at-suakk
키루스 원통에 새겨진 비문은 아카드어 설형 문자로 쓰여진 45행의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는 형식적인 스타일로 쓰여져 있으며, 그중 첫 번째 부분인 1~19행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텍스트의 시작 부분은 부분적으로 파손되었지만, 남아있는 내용은 폐위된 바빌론 왕 나보니두스의 악행을 비난한다. 나보니두스는 신전을 모독하고 백성들에게 강제 노역을 시키는 등 많은 범죄를 저질렀다고 묘사된다. 이러한 범죄로 인해 신 마르두크는 바빌론을 버리고 더 정의로운 왕을 찾았으며, 키루스에게 바빌론에 들어가 새로운 통치자가 되라고 명하였다.[21]
요약하자면, 1-19행의 내용은 바빌로니아 왕(나보니두스)이 마르두크 신에게 죄를 지었고, 분노한 마르두크 신이 안샨의 왕이었던 키루스에게 세계의 왕으로서의 지위를 부여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키루스는 마르두크 신의 명령에 따라 여러 나라를 정복하고 바빌론에 무혈 입성했다.[19]
3. 2. 키루스의 통치 (20-37행)
"나는 세상의 왕, 위대한 왕, 강력한 왕, 바빌론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지구의] 네 구역의 왕, 위대한 왕인 캄비세스의 아들, 안샨의 왕, 위대한 왕인 테이스페스의 후손, 왕권의 영원한 씨앗, 그의 통치를 벨(마르두크)와 네보가 사랑하고, 그들의 기쁨을 위해 그들의 왕권에 관여한다."[21]
키루스는 정복 후 자신이 행한 경건한 행위를 묘사하면서, 바빌론과 다른 신성한 도시들에 평화를 회복하고 그곳 주민들을 "멍에"에서 해방시켰다고 말한다. 또한 "낡은 주택을 구제하여 그들의 (주된) 불만을 종식시켰다."[22] 그는 자신이 정복한 도시의 파괴된 신전을 수리하고 종교 의식을 복원했으며, 나보니두스가 바빌론으로 가져간 성상과 이전 거주자들을 돌려보냈다.[22]
키루스는 백성들이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했고, 신들에게 바치는 제물을 늘렸다고 선언한다.[20]
영국 박물관에 따르면, 키루스 원통은 기원전 3천 년대 초부터 시작된 메소포타미아의 오랜 전통을 반영하며, 왕들은 개혁 선언으로 통치를 시작했다.[36] 키루스의 선언은 왕으로서의 정당성을 강조하며 바빌론의 종교적, 정치적 전통에 대한 존경을 명확히 드러낸다. 영국 박물관과 이 시기의 학자들은 이를 고대 메소포타미아 선전의 도구로 묘사한다.[37][38]
이 텍스트는 고대 페르시아어 문학에는 없는 왕실 건축 비문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키루스가 바빌론 정복과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지역 전통과 상징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보여준다.[23][39]
3. 3. 건설 활동 (38-45행)
키루스는 바빌론 성벽 복원을 명령했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보다 앞선 왕인 아슈르바니팔의 비문을 발견했다.[21]
4. 메소포타미아 전통과의 유사성
키루스 원통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왕들의 비문과 뚜렷한 유사성을 보인다. 특히 기원전 8세기 바빌론 왕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 2세와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의 비문과 내용, 형식이 매우 비슷하다. 이들은 마르두크 신의 선택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성전을 재건하고, 이전 왕들의 업적을 언급하며 자신의 정통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특징은 키루스 원통에서도 나타난다.[33]
키루스 원통의 내용은 수 세기 동안 전해 내려온 바빌론 전통과 강한 연속성을 나타낸다. 정복자들의 힘과 정통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제작되었으며, 이전 통치자의 실정을 부각하고 새 통치자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33]
1983년, 중국에서 키루스 원통의 내용이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는 말 뼈 두 개가 발견되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올리버 거니 교수는 이 뼈들이 키루스 원통에서 유래한 것으로 확인했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이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했고, 현재는 위조품으로 간주되고 있다.[33] 이 위조품은 1928년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문화 대혁명 시기에도 보관되었다가 1983년에 베이징 고궁 박물관에 제출되었다.[34] 이후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거쳐 키루스 원통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나, 어빙 핀켈 등은 오류와 초기 판본과의 일치를 근거로 위조품이라는 결론을 내렸다.[34][35]
4. 1. 유사한 왕실 비문
키루스 실린더는 메소포타미아 지역 왕들의 오래된 비문들과 비슷한 점이 많다. 특히 기원전 8세기 바빌론 왕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 2세와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의 비문과 유사하다.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 2세는 키루스처럼 정복자로서 바빌론을 점령했기 때문에 정통성 문제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정복을 정당화하기 위해 마르두크 신에게 선택받았다고 주장하며, 성스러운 의식을 수행하고 성지를 회복했다. 또한, 이전 왕들의 비문을 발견했다는 내용을 통해 자신의 정통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주장은 키루스 실린더에서도 나타난다.
12년 후,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는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 2세를 몰아내고 바빌론의 왕이 되었다. 사르곤의 연대기에는 그가 바빌론의 군주로서 신을 존중하고 사원을 유지하며 도시 엘리트의 특권을 존중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키루스 실린더 역시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다. 키루스에게 폐위된 바빌론 왕 나보니두스의 실린더도 대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데, 이 역시 비슷한 양식을 보인다.
이러한 유사성은 키루스 실린더가 수 세기 동안 이어진 바빌론 전통을 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정복자들의 힘과 정통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쿠르트(Kuhrt)의 말처럼, 실린더는 바빌론 시민들이 새로운 왕을 지지해야 하는 억압된 상황을 반영하며, 패배한 이전 왕의 통치는 자동적으로 나쁘게 묘사되었다.
키루스 실린더가 바빌론에서 제작된 다른 실린더와 비슷한 서술 방식을 가진 것은, 이 실린더가 키루스의 명령에 따라 마르두크 신을 숭배하는 바빌론 성직자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암시한다. 나보니두스의 실린더와 비교해 보면, 나보니두스는 마르두크 성직자의 적이고 키루스는 바빌론의 해방자로 묘사되어 두 작품이 나보니두스에 비해 키루스가 왕으로서 자질이 뛰어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2. 바빌로니아 전통과의 연속성
키루스 실린더는 수 세기 동안 전해 내려온 바빌로니아 전통과의 강한 연속성을 보여준다. 이 실린더는 정복자의 정통성을 널리 알리고, 이전 통치자를 비난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실린더의 내용은 정복자들이 자신의 힘과 정통성을 알리기 위해 제작한 바빌로니아 전통과 매우 비슷하다. 쿠르트(Kuhrt)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키루스 실린더가 바빌론에서 제작된 다른 실린더와 서술 방법이 유사한 것은, 이 실린더가 키루스의 명에 의해 마르둑을 숭배하는 바빌론 성직자에 의해 저술 되었음을 암시한다. 같은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나보니두스의 것과 비교해 보면, 나보니두스의 실린더는 전임 바빌론 통치자는 마르둑 성직자의 적이고, 키루스는 바빌론의 해방자로 등장했다고 표현하고 있다. 두 작품은 나보니두스에 비해 키루스가 왕으로서의 자질이 뛰어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키루스 실린더는 오래된 메소포타미아 왕의 비문과 뚜렷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주목할 두 가지 예는 기원전 722년 1월에 바빌론 왕좌를 장악한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 2세의 것과 12년 후 바빌론을 정복한 앗시리아의 사르곤 2세의 것이다.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는 정복자로서 키루스가 바빌론을 정복했을 때와 유사한 정통성 문제에 직면했다. 그는 마르둑(그들이 섬기는 신)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선언하며 자신의 정복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한다. 그는 정통성에 대한 지지를 얻었을 때, 성스러운 의식을 수행하고 성지를 회복했다. 그는 바빌로니아의 초기 왕이 성전 기초에 둔 왕의 비문을 발견했다고 말하면서, 그 왕들은 자신의 정복을 만족하며 평온하고 명예롭게 떠났다고 선언한다. 이러한 주장은 키루스 실린더에도 언급된다.
12년 후 앗시리아 왕 사르곤 2세는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를 물리치고 추방하여 바빌로니아의 왕권을 차지했다. 사르곤의 연대기는 그가 바빌로니아 군주의 임무를 수행하고 신을 존중하며 사원을 유지하고 도시 엘리트의 특권을 존중하고 지지하는 방법을 표현하고 있다. 키루스 실린더도 동일한 내용을 언급했다. 키루스가 폐위한 바빌론 왕 나보니두스는 동일한 스타일의 실린더를 제작하였고, 그것은 대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5. 논란
월튼과 힐(Walton and Hill)은 키루스 실린더의 내용에 대해 "일반적인 정복자의 표현 방식이며 사실이 아닐 수 있다"고 주장한다.[137][138] 이는 실린더의 내용이 과장되었거나 왜곡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키루스 실린더에서 노예 해방과 종교 자유를 언급한 것은 당시 기준으로 매우 파격적이었을 수 있다. 성경을 믿는 사람들은 이 내용이 이미 성경에 기록되어 있었고, 키루스 실린더가 이를 증명한다고 주장하며, 키루스(성경명 고레스) 실린더를 성경의 사실성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언급한다.
1983년 중국에서 설형 문자가 새겨진 두 개의 화석화된 말 뼈가 발견되었다. 올리버 거니 교수는 이 뼈가 키루스 원통에서 유래한 것으로 확인했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이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했고, 현재는 위조품으로 간주된다. 이 가짜 유물은 1928년 이전 중국 의사 쉐 선웨이가 뼈 중 하나의 탁본 사진을 보면서 처음 알려졌다. 이후 쉐 선웨이는 여러 경로로 뼈를 입수하여 보관하다가 베이징 고궁 박물관에 제출했고, 이를 계기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어빙 핀켈은 비문에 심각한 텍스트 오류가 있다는 점을 근거로, 비문이 대영 박물관 소장 원통이나 이를 바탕으로 한 초기 현대 출판물에서 복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다만 고대 후기에 복사되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았다. 최종적으로 E. A. 왈리스 버지의 1884년판 키루스 원통 서체가 뼈 비문의 고체 문자와 일치하고, 책에 실린 원통 발췌문도 뼈의 발췌문과 같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핀켈은 이를 통해 뼈 비문이 초기 현대 위조품이라는 확신을 얻었고, 현재 학계의 다수 의견도 이와 같다.
5. 1. 반론
브루스 링컨(Bruce Lincoln영어) 교수는 키루스의 군대가 해방자로 환영받았다는 주장은 "제국의 환타지"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바빌로니아 군대가 기원전 522년에 페르시아 통치에 반기를 들었고, 기원전 484년과 482년에는 반란군이 국가 독립과 바빌론 왕의 재기를 위해 노력했다는 기록을 제시하며, 그들이 페르시아인에게 우호적이지 않았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37][138]6. 성경과의 관계
키루스 원통의 내용은 구약성서의 기록과 연결되어 해석되기도 한다. 역대기하 36장, 에즈라기 1장 및 6장, 이사야서 44장에는 키루스가 바빌론 유수로 바빌론에 이주된 사람들을 해방하고 신전 재건을 허락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키루스 원통 자체는 유대인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35]
6. 1. 성경의 기록
성경의 구약성서 역대기하 36장, 에즈라기 1장 및 6장, 이사야서 44장에는 키루스가 바빌론 유수로 바빌론에 이주된 사람들을 해방하고 신전 재건을 허락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키루스 원통 자체는 유대인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35]6. 2. 학자들의 견해
키루스 원통을 "인권 헌장"으로 해석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고 편향되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06][107][108][109][110] 이러한 해석은 팔라비 정권의 정치 선전으로 간주되기도 한다.[91] 독일 역사가 요제프 비에스호퍼는 키루스를 인권 옹호자로 묘사하는 것은 환상이라고 지적했다.[99]대영 박물관의 C.B.F. 워커는 키루스 원통이 일반적인 인권 선언이나 종교적 관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바빌론과 아시리아 전통에서 키루스가 도시 재건과 마르두크 숭배를 기념하는 건축 비문일 뿐이라고 설명했다.[12] 빌 T. 아놀드와 피오트르 미할로프스키는 원통이 다른 기초 기탁 비문과 관련이 있으며, 특별한 인권 선언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113] 에든버러 대학교의 Lloyd Llewellyn-Jones는 텍스트에 인권 개념을 시사하는 내용이 없다고 지적했다.[108] 닐 맥그리거는 대영 박물관 학자들의 연구 결과, 고대 이라크 통치자들이 키루스 이전 2천 년 동안 왕위를 계승하면서 유사한 선언을 해왔음을 보여주었다고 설명하며, 이 유물의 의미를 좁히는 것을 경계했다.[97] 그는 원통이 이란의 역사와 관련되어 있지만, 메소포타미아 왕권, 그리고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더 큰 역사의 일부라고 강조했다.[97]
키루스 원통의 내용은 키루스 2세의 선전 문구로 볼 수 있지만, 구약성서의 역대기하, 에즈라기, 이사야서에 나타난 키루스의 유대인 해방 및 성전 재건 허용 기사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키루스 원통 자체는 유대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7. 인권 선언으로서의 해석
키루스 실린더는 1960년대 후반 이란의 샤(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에 의해 "세계 최초의 인권 선언"으로 칭송받으며 주목받았다. 샤는 키루스를 자신의 정치 이데올로기의 핵심 상징으로 삼았고, 일부 논평가들은 여전히 이 원통을 인권 헌장으로 간주한다.[139] 그러나 페르시아 제국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
1971년, 샤는 페르시아 군주제 2,500주년 기념 행사를 열고 키루스 실린더를 주요 상징으로 내세웠다. 대영 박물관은 이란 정부에 실린더 원본을 대여했고, 테헤란의 샤히드 기념탑(현재 보르제 아자디)에 전시되었다. 샤의 여동생 아슈라프 팔라비 공주는 우 탄트 유엔 사무총장에게 복제품을 선물하며 "키루스의 유산은 인간 이해, 관용, 용기, 연민,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의 자유"라고 주장했다. 유엔은 이를 받아들여 뉴욕 유엔 본부에 보관하고, "고대 인권 선언"으로 홍보하고 있다.[140][141]
1983년, 중국에서 키루스 원통의 내용이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화된 말 뼈 두 개가 발견되었으나, 이후 위조품으로 판명되었다.[33] 이 위조품은 1884년판 키루스 원통의 서체를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7. 1. 팔라비 왕조의 견해
1960년대 후반, 이란의 마지막 샤인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는 키루스 원통을 "세계 최초의 인권 헌장"이라고 칭하며 새롭게 부각시켰다.[97] 이 원통은 샤의 정치적 이념의 핵심 상징이었으며, 일부 평론가들은 여전히 인권 헌장으로 간주하지만, 페르시아 제국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견이 존재한다.[102]
키루스 원통은 이란 혁명 이전 이란 정부에 의해 "최초의 인권 선언"으로 불렸으며,[98] 이는 1967년 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가 저술한 저서 『이란의 백색 혁명』에 잘 나타나있다. 샤는 키루스를 정부 이데올로기의 핵심 인물로 규정하고 그의 정부를 아케메네스 왕조와 연결했다.[99] 그는 "인도주의적 원칙, 정의, 자유를 옹호하는 키루스의 유명한 선언으로 시작된 우리 제국의 역사는 인류 역사상 가장 주목할 만한 문서 중 하나로 여겨져야 한다"고 썼다.[100] 샤는 키루스를 역사상 최초로 그의 신민들에게 "사상의 자유 및 기타 기본적인 권리"를 부여한 통치자로 묘사했다.[100] 1968년, 샤는 테헤란에서 키루스 실린더가 현대 세계 인권 선언의 전조라고 말하며 제1차 유엔 인권 회의를 열었다.[101]
1971년 노루즈(설날) 연설에서 샤는 1350 AP (1971-1972)년을 키루스 대왕의 해로 선언하고, 페르시아 군주제 2,5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성대한 기념 행사를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이란이 세계 문명에 기여한 바를 인정하는 현대 이란을 보여주는 자리였다. 이 기념 행사의 주요 주제는 이란 정치 체제 내 군주제의 중심성이었으며, 이란의 샤를 페르시아 과거의 유명한 군주들, 특히 키루스와 연관시켰다.[102] 샤는 아케메네스 시대를 "그가 창조하길 희망했던 제국 사회의 모델이자 슬로건으로 가장 잘 작용할 수 있는 국가의 과거 순간"으로 보았다.[103]
키루스 실린더는 이 기념 행사의 상징으로 채택되었으며, 이란 잡지와 저널은 고대 페르시아 역사에 관한 수많은 기사를 게재했다.[102] 대영 박물관은 축제 기간 동안 원본 실린더를 이란 정부에 대여했으며, 이는 테헤란의 샤야드 기념비(현재 아자디 타워)에 전시되었다.[104] 이란 군주제 2,500주년 기념 행사는 1971년 10월 12일에 시작되어 일주일 후 파사르가데에 있는 키루스 무덤에서 성대한 퍼레이드로 절정에 달했다. 10월 14일, 샤의 여동생 아슈라프 팔라비 공주는 유엔 사무총장 우 탄트에게 실린더의 복제품을 증정했다. 공주는 "키루스의 유산은 인간 이해, 관용, 용기, 연민,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간의 자유의 유산"이라고 주장했다.[105] 사무총장은 이 선물을 받아들이며 실린더를 유엔 총회의 "무력 충돌에서의 인권 존중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과 연결했다.[105] 이후 실린더의 복제품은 뉴욕 유엔 본부 2층 복도에 보관되어 있다.[105] 유엔은 이 실린더를 "고대 인권 선언"으로 계속 홍보하고 있다.[27]
7. 2. 이슬람 공화국의 견해
2010년 9월,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전 이란 대통령은 이란 국립 박물관에서 키루스 원통 전시회를 공식적으로 개막했다. 이는 팔라비 시대 이후 원통이 이란으로 반입된 두 번째 사례였으며, 이란 내에서 가장 오랜 기간 열린 전시회였다. 아마디네자드는 키루스 원통을 "인간 가치의 화신"이자 "''최초의 인권 헌장''"으로 칭송했다. 대영 박물관은 키루스 원통을 4개월 동안 이란 국립 박물관에 대여했다.[139]알리 모타하리와 같은 일부 이란 정치인들은 키루스 원통을 이란으로 가져온 아마디네자드를 비판하기도 했다. 하지만, 초보수 성향의 신문 카이한은 이슬람 공화국이 키루스 원통을 영국으로 돌려주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펼쳤다. (원통은 이란이 아닌 현재의 이라크에서 발견되었다.)
당시 이란 국립 박물관의 큐레이터 아자데 아르다카니는 원통 전시회에 약 48,000명의 방문객이 방문했으며, 그중 2,000명 이상이 외국 대사를 포함한 외국인이었다고 밝혔다.
7. 3. 학자들의 비판적 견해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이란의 마지막 샤는 1960년대 후반 키루스 원통을 "세계 최초의 인권 선언"이라고 칭하며, 이를 자신의 정치 이데올로기의 핵심 상징으로 삼았다.[139] 그러나 일부 역사가들은 이러한 해석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독일 역사학자 요제프 비제회퍼(Josef Wiesehöfer)는 키루스를 인권의 선구자로 묘사하는 것은 이란의 이미지메이킹 전략이라고 지적했다.[97] D. 페어차일드 러글스와 헬레인 실버만은 샤의 목적이 이란과 그의 정권을 정당화하고, 고대 페르시아의 역사에 뿌리를 둔 정권임을 강조하여 이슬람 근본주의의 영향력을 견제하려는 것이었다고 설명한다.
영국 박물관의 C.B.F. 워커는 키루스 원통이 인권이나 종교적 관용에 대한 일반적인 선언이 아니라,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전통에서 키루스가 바빌론 도시를 복원하고 마르두크 신앙을 보전하는 왕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비판적인 견해에도 불구하고, 일부 역사가들과 인권 운동가들은 키루스 원통을 인권 헌장으로 해석하는 것을 지지한다. 미국의 철학자 W.J. 탈보트는 인권 개념이 20세기 개념이라고 믿지만, 키루스를 "아마도 가장 초기의 종교적 관용 옹호자"로 묘사한다. 이란의 변호사 히라드 압타히는 키루스가 통치 기간 중 원통을 발표하고 그 문서에 권위를 부여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단순히 "왕의 통치를 합리화하는 도구"로 보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1983년 중국에서 발견된 두 개의 화석화된 말 뼈에는 설형 문자가 새겨져 있었는데, 옥스퍼드 대학교의 올리버 거니 교수는 이 뼈가 키루스 원통에서 유래한 것으로 확인했다. 그러나 이 유물은 곧 위조품으로 판명되었다.[33] 이 위조품의 역사는 거의 한 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1884년판 키루스 원통의 서체와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34]
8. 현대의 응용
키루스 원통은 1880년 공식적으로 입수한 이후 대영 박물관에 전시되어 왔다.[16]
이 유물은 이란, 스페인, 미국 등지에 대여되었으며, 대여 현황은 다음과 같다.
대여 국가 | 대여 기간 | 대여 목적 |
---|---|---|
이란 | 1971년 10월 7일 ~ 22일 | 페르시아 제국 2,500주년 기념 행사 |
이란 | 2010년 9월 ~ 12월 | 이란 국립 박물관 전시 |
스페인 | 2006년 3월 ~ 6월 | 특별 전시 |
미국 | 2013년 3월 ~ 10월 | 순회 전시 (스미소니언의 아서 M. 새클러 갤러리, 휴스턴 미술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J. 폴 게티 미술관) |
미국 예일 피바디 박물관 | 2024년 5월 ~ 6월 | 재개관 기념 전시[114] |
키루스 원통의 복제품은 다수 제작되었다. 일부는 1971년 기념 행사 이후 샤에 의해 배포되었으며, 대영 박물관과 이란 국립 박물관에서도 상업적으로 판매되었다.[16]
2005-2006년에 대영 박물관은 페르시아 제국에 관한 주요 전시회인 "잊혀진 제국: 고대 페르시아의 세계"를 개최했다. 이 전시회는 이란 정부와 협력하여 개최되었으며, 이란 정부는 대영 박물관에 키루스 원통을 이란 국립 박물관에 대여하는 것을 조건으로 여러 상징적인 유물을 대여했다.[115]
2012년 11월 28일, BBC는 원통의 미국 순회 전시를 처음 발표했다. 닐 맥그레거 박물관장은 "인권의 첫 번째 선언이라고 자주 불리는 원통은 '가능한 한 널리 공유되어야 한다'"고 선언했다.[123] 대영 박물관 또한 보도 자료를 통해 "'인권의 첫 번째 선언'이 미국 5개 도시를 순회 전시한다"고 발표했다.[124]
키루스 원통은 대영 박물관 소장품 중 옥수스 보물에서 나온 금 팔찌 한 쌍과 다리우스 봉인을 포함한 32점의 관련 유물과 함께 2013년 12월 21일부터 2014년 2월 25일까지 인도 뭄바이의 웨일스 왕자 박물관에서 열린 '키루스 원통과 고대 페르시아 - 새로운 시작'이라는 전시회에 참여했다.
'''자유 조각''' 또는 '''자유: 공유된 꿈'''(تندیس آزادی|탄디스 아자디fa)은 세실 발몬드가 제작한 2017년 스테인리스 스틸 공공 미술 조각품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센추리 시티에 위치하며, 키루스 원통을 모델로 제작되었다.[128][129][130]
8. 1. 전시
키루스 원통은 1880년 공식적으로 입수한 이후 대영 박물관에 전시되어 왔다.[16]이 유물은 다섯 번 대여되었는데, 그 현황은 다음과 같다.
대여 국가 | 대여 기간 | 대여 목적 |
---|---|---|
이란 | 1971년 10월 7일 ~ 22일 | 페르시아 제국 2,500주년 기념 행사 |
이란 | 2010년 9월 ~ 12월 | 이란 국립 박물관 전시 |
스페인 | 2006년 3월 ~ 6월 | 특별 전시 |
미국 | 2013년 3월 ~ 10월 | 순회 전시 (스미소니언의 아서 M. 새클러 갤러리, 휴스턴 미술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J. 폴 게티 미술관) |
미국 예일 피바디 박물관 | 2024년 5월 ~ 6월 | 재개관 기념 전시[114] |
많은 복제품이 제작되었다. 일부는 1971년 기념 행사 이후 샤에 의해 배포되었으며, 대영 박물관과 이란 국립 박물관에서도 상업적으로 판매되었다.[16]
2005-2006년에 대영 박물관은 페르시아 제국에 관한 주요 전시회인 "잊혀진 제국: 고대 페르시아의 세계"를 개최했다. 이 전시회는 이란 정부와 협력하여 개최되었으며, 이란 정부는 대영 박물관에 키루스 원통을 이란 국립 박물관에 대여하는 것을 조건으로 여러 상징적인 유물을 대여했다.[115]
2012년 11월 28일, BBC는 원통의 미국 순회 전시를 처음 발표했다. 닐 맥그레거 박물관장은 "인권의 첫 번째 선언이라고 자주 불리는 원통은 '가능한 한 널리 공유되어야 한다'"고 선언했다.[123] 대영 박물관 자체도 보도 자료를 통해 이 소식을 발표하며 "'인권의 첫 번째 선언'이 미국 5개 도시를 순회 전시한다"고 밝혔다.[124]
키루스 원통은 대영 박물관 소장품 중 옥수스 보물에서 나온 금 팔찌 한 쌍과 다리우스 봉인을 포함한 32점의 관련 유물과 함께 2013년 12월 21일부터 2014년 2월 25일까지 인도 뭄바이의 웨일스 왕자 박물관에서 열린 '키루스 원통과 고대 페르시아 - 새로운 시작'이라는 전시회에 참여했다.
8. 2. 자유 조각상 (The Freedom Sculpture)
'''자유 조각''' 또는 '''자유: 공유된 꿈'''(تندیس آزادی|탄디스 아자디fa)은 세실 발몬드가 제작한 2017년 스테인리스 스틸 공공 미술 조각품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센추리 시티에 위치하며, 키루스 원통을 모델로 제작되었다.[128][129][130]참조
[1]
문서
Kuhrt (2007)
[2]
문서
Dandamayev, (2010-01-26)
[3]
문서
Free & Vos (1992)
[4]
뉴스
Cyrus Cylinder a Reminder of Persian Legacy of Tolerance
http://www.al-monito[...]
Al-Monitor
2013-09-21
[5]
문서
Finkel (2009)
[6]
문서
Hilprecht (1903)
[7]
문서
Rassam (1897)
[8]
문서
Koldewey
[9]
문서
Vos (1995)
[10]
문서
Rassam
[11]
문서
Hilprecht (1903)
[12]
문서
Walker
[13]
문서
"''The Times'' (18 November 1879)"
The Times
1879-11-18
[14]
문서
"''The Oriental Journal'' (January 1880)"
The Oriental Journal
1880-01
[15]
문서
Rawlinson (1880)
[16]
웹사이트
The Cyrus Cylinder (British Museum database)
https://www.britishm[...]
2010-06-19
[17]
문서
Curtis, Tallis & André-Salvini
[18]
문서
Nies & Keiser (1920)
[19]
문서
Berger
[20]
문서
Wiesehöfer (2001)
[21]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text on the Cyrus Cylinder
http://www.britishmu[...]
[22]
문서
Pritchard
[23]
문서
Kutsko
[24]
문서
Weissbach
[25]
문서
Schaudig
[26]
문서
Hallo
[27]
문서
Schulz (2008-07-15)
[28]
웹사이트
Cyrus Cylinder
http://www.niasnet.o[...]
2013-04-12
[29]
문서
Foucart (2007-08-19)
[30]
웹사이트
Shirin Ebadi's 2003 Nobel Peace Prize lecture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11-03-19
[31]
웹사이트
Irving Finkel
https://www.britishm[...]
2010-12-14
[32]
웹사이트
Cyrus Cylinder (press release)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10-01-20
[33]
간행물
Brief Note on the Bone Cuneiform Inscriptions
1987
[34]
서적
The Cyrus Cylinder: The King of Persia's Proclamation from Ancient Babylon
I.B.Tauris
[35]
간행물
A Horse-Bone Inscription copied from the Cyrus Cylinder (Line 18-21) in the Palace Museum in Beijing
1986
[36]
문서
The Cyrus Cylinder
[37]
문서
Inscription in the British Museum, Room 55
[38]
문서
Kuhrt (1982)
[39]
문서
Winn Leith
[40]
문서
Fowler & Hekster
[41]
문서
The Cyrus Cylinder
[42]
문서
Haubold
[43]
문서
British Museum e-mail (2010-01-11)
[44]
문서
British Museum statement (2010-01-20)
[45]
문서
Kuhrt (2007)
[46]
문서
Dyck
[47]
문서
Grabbe (2004)
[48]
문서
Dick
[49]
문서
Smith
[50]
문서
Sherwin
[51]
문서
Haubold
[52]
문서
Haubold
[53]
문서
Bidmead
[54]
문서
Bidmead
[55]
문서
Bidmead
[56]
문서
Mallowan
[57]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58]
서적
The Reign of Nabonidus, King of Babylon 556–539 B.C.
https://babylonian-c[...]
Yale University Press
[59]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60]
문서
Reign of Nabonidus
[61]
기타
Cyropaedia
[62]
문서
Briant
[63]
문서
Buchanan
[64]
문서
Fried
[65]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66]
문서
Briant
[67]
문서
Fried
[68]
문서
Walton & Hill
[69]
문서
Lincoln
[70]
문서
Masroori
[71]
문서
Dandamaev
[72]
문서
Brown
[73]
문서
Arberry
[74]
문서
Stillman
[75]
문서
Min
[76]
문서
Evans
[77]
문서
Albertz
[78]
문서
Soggin
[79]
문서
Razmjou
[80]
문서
Razmjou
[81]
서적
The Cyrus Cylinder and Ancient Persia, A New Beginning For the Middle East
[82]
문서
Razmjou
[83]
문서
Briant
[84]
문서
Hurowitz
[85]
문서
Some translations give "[[Nineveh]]." The relevant passage is fragmentary, but Finkel has recently concluded that it is impossible to interpret it as "Nineveh". (I. Finkel, "No Nineveh in the Cyrus Cylinder", in ''NABU'' 1997/23)
[86]
웹사이트
Cyrus Cylinder (2)
http://www.livius.or[...]
Livius.org
2010-02-05
[87]
문서
Becking
[88]
문서
Dandamaev (2010-01-26)
[89]
문서
Bedford
[90]
문서
Bedford
[91]
문서
Kuhrt (1983)
[92]
문서
Grabbe (2006)
[93]
문서
Bedford
[94]
서적
Miletos: A History
Routledge
[95]
문서
Janzen
[96]
문서
Bedford
[97]
문서
MacGregor
[9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Note to Correspondents no. 3699, 13 October 1971
https://www.livius.o[...]
2020-03-26
[99]
문서
Wiesehöfer (1999)
[100]
문서
Pahlavi
[101]
문서
Robertson
[102]
문서
Ansari
[103]
문서
Lincoln
[104]
문서
Housego (1971-10-15)
[105]
간행물
United Nations Press Release 14 October 1971
https://www.livius.o[...]
2017-08-07
[106]
문서
Daniel
[107]
문서
Briant
[108]
문서
Llewellyn-Jones
[109]
문서
Curtis, Tallis & Andre-Salvini
[110]
뉴스
Oldest Known Charter of Human Rights Comes to San Francisco
http://www.kqed.org/[...]
2013-09-21
[111]
문서
Mitchell
[112]
서적
Cultural Heritage and Human Rights
Springer
[113]
문서
Arnold
[114]
웹사이트
"First Charter of Human Rights" on Display at Peabody | Yale Peabody Museum
https://peabody.yale[...]
[115]
문서
Jeffries
[116]
문서
Sheikholeslami
[117]
문서
Wilson
[118]
문서
Iran severs cultural ties with British Museum over Persian treasure
[119]
문서
"Cyrus Cylinder, world's oldest human rights charter, returns to Iran on loan," ''The Guardian''
[120]
웹사이트
Cyrus Cylinder warmly welcomed at home
http://www.tehrantim[...]
Tehran Times
2011-06-14
[121]
뉴스
Diplomatic whirl
https://www.economis[...]
2019-07-30
[122]
간행물
Historic Cyrus Cylinder Called 'A Stranger In Its Own Home'
http://www.rferl.org[...]
Persian Letters, Radio Free Europe
2010-09-14
[123]
뉴스
Babylonian artefact to tour US
https://www.bbc.com/[...]
2019-07-30
[124]
간행물
The Cyrus Cylinder travels to the US
https://www.britishm[...]
2019-07-30
[125]
웹사이트
Tour Venues and Dates
https://web.archive.[...]
2019-07-30
[126]
웹사이트
"'The Cyrus Cylinder and Ancient Persia - A New Beginning', an exhibition in partnership with three Tata trusts - Tata Sons - Tata group"
https://web.archive.[...]
2014-06-18
[127]
웹사이트
"First Charter of Human Rights" on Display at Peabody | Yale Peabody Museum
https://peabody.yale[...]
[128]
뉴스
Cecil Balmond Designs 'Freedom Sculpture' for Los Angeles
https://www.kcrw.com[...]
KCRW
2017-07-04
[129]
웹사이트
Century City Freedom Sculpture unveiled on Santa Monica Boulevard median
https://la.curbed.co[...]
2017-07-05
[130]
웹사이트
'Los Angeles embodies diversity.' the city's new sculpture celebrating freedom is unveiled
https://www.latimes.[...]
2017-07-05
[131]
서적
イラン百科事典
http://www.iranicaon[...]
[132]
웹사이트
History of Iran: The Cyrus the Great Cylinder
http://www.iranchamb[...]
Iran Chamber Society
2015-07-25
[133]
웹인용
고레스 실린더에 담긴 성경의 확실한 예언
https://aboutcyrus.c[...]
2016-12-04
[134]
저널
Cyrus Cylinder
https://en.wikipedia[...]
2019-02-09
[135]
저널
2,500 year celebration of the Persian Empire
https://en.wikipedia[...]
2019-02-09
[136]
웹인용
성경은 사실이다 - 역사학을 통한 증거
https://elohista.com[...]
2019-02-21
[137]
웹인용
고레스 - 하나님의교회 말씀과진리
http://bible.watv.or[...]
2019-02-21
[138]
웹인용
고고학 —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https://wol.jw.org/k[...]
2019-02-21
[139]
웹인용
'인류 최초의 인권선언', 이 작은 도기에 담겼다?
http://www.ohmynews.[...]
2019-02-21
[140]
웹인용
Replica of the Edict of Cyrus At the United Nations
https://www.unmultim[...]
2019-02-21
[141]
웹인용
"[숨어있는 세계사] 진흙 판에 쐐기 문자로 기록한 '종교의 자유'"
http://premium.chosu[...]
2019-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