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학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학은 중국에서 관료 양성을 위해 설립된 교육 기관으로, 한나라 때 처음 등장했다. 한나라는 태학을 통해 문관을 배출했으며, 수도 장안과 지방에 학교를 세웠다. 송나라 때는 왕안석의 개혁으로 교육이 개편되었고, 삼학 제도가 운영되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국자감으로 통합되었다. 한국에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에서 태학 또는 국학, 국자감 등의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베트남에서도 쩐 왕조 때 태학이 설립되었다.

2. 중국의 태학

한나라태학을 통해 제국 정부의 문관직을 채울 교육받은 관료들을 확보했다. 중국 최초의 전국적인 정부 학교 시스템은 기원후 3년에 한평제 치하에서 설립되었으며, 태학장안의 수도에 위치하고, 지방 학교는 과 작은 현의 주요 도시에 설립되었다.[9]

카이펑에 있는 태학(太學)은 평민과 낮은 관료의 자녀들을 교육하기 위해 경력 개혁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개혁의 철회에도 살아남은 유일한 기관이었다.[9]

왕안석의 신법에는 교육에 대한 주요 개혁이 포함되었으며, 시(詩)보다 유교 경전을 더 강조하고 과거 제도를 개편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대학은 1051년 200명에서 1079년 2,400명으로 확장되었으며, 외학(外學), 내학(內學), 상학(上學)의 세 전당으로 재편되었다. 학생들은 한 전당에서 다른 전당으로 진학했으며 졸업 후 관료가 될 자격을 얻었다.[10]

삼학 제도는 신법의 부분적인 철회에도 살아남았으며, 주(州) 학교의 템플릿으로 사용되었다. 대학은 시험과 교사의 추천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등급별로, 학교별로 진학하는 계층 시스템의 정점에 있었다. 1106년에는 새로운 "팔덕(八德)" 진학 경로가 도입되어, 덕행이 있는 것으로 추천된 학생들이 주 학교에서 1년을 보낸 후 대학의 상학으로 진학했다.[11]

1103년 대학에는 3,800명의 학생이 있었는데, 그 중 3,000명이 외학(수도의 남쪽에 별도의 캠퍼스가 있었다)에, 600명이 내학에, 200명이 상학에 있었으며, 매년 10명에서 60명이 졸업했다.[5]

북송이 멸망한 후, 대학은 1142년 새로운 수도인 항저우에 재건되었으며, 학생 정원은 300명이었고, 1148년에는 1,000명으로 증가했다. 남송 시대 전반에 걸쳐, 태학의 학생들은 때때로 다른 수도 학교의 학생들과 함께 가장 눈에 띄고 영향력 있는 정치 집단 중 하나가 되었다. 그들은 종종 다양한 국내 또는 외교 정책 문제에 항의하며 거리로 나섰다. 때로는 그들의 항의로 인해 현(縣)의 관리자와 심지어 재상이 해임되기도 했다.[12]

"'''태학'''"이라는 말은 경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기』에 따르면, (우)은 "상상"이라는 학교를 만들었다고 하며, 주나라 시대에는 "벽옹"이라는 학교가 있었다. 이러한 귀족 자제들을 위한 고등 교육 기관은 "국학"()으로 총칭되었으며, 또한 "태학" "대학"이라는 말로도 불렸다

다만, "태학"이 확실한 제도로서 나타나는 것은 한나라 시대 이후로 여겨진다[13]

2. 1. 한나라

전한의 무제가 동중서의 헌책에 의해 설치한 것이 시초로 여겨진다[13]."태학"은 유교를 정통 학문으로 삼았다.

전한 시대의 "태학"은 장안 (현재의 시안시)에 설치되었고, 후한 시대에는 뤄양 (현재의 뤄양시)에 설치되었다. 학생들은 지방에서 선발되었고, 시험에 따라 관직에 임용되었다[13][14]。후한 시대에 학생 (제자원)의 수는 3만 명을 넘었다고 하며[13], "청류파" (당고의 금 참조)의 거점으로서 일대 정치 세력이 되었다[13]

2. 1. 1. 희평석경

후한 시대에 만들어진 유교 경전인 희평석경이 태학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2. 2. 수나라와 당나라

수나라 때 '국자감'이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지만, 이는 '국자학'이 개칭된 것이다. 당나라 시대에는 국자감 아래에 태학, 국자학, 사문학, 율학, 서학, 산학의 육학(六學)을 두었다. 육학 졸업자에게는 과거의 최종 시험인 성시(省試) 응시 자격이 주어졌다. 당나라 시대의 태학에서는 견당사당나라에 유학한 아베노 나카마로가 학문을 배웠다.

2. 3. 송나라

송나라의 태학은 왕안석의 신법에 따라 교육 개혁의 중심에 있었다.[10] 카이펑에 있던 태학은 학생 수가 1051년 200명에서 1079년 2,400명으로 확장되었고, 외학(外學), 내학(內學), 상학(上學)의 삼학(三學) 제도로 운영되었다.[10] 학생들은 각 전당을 거쳐 진학했으며 졸업 후 관료가 될 수 있었다.[10] 1106년에는 덕행이 있는 학생들을 위한 "팔덕(八德)" 진학 경로가 도입되었다.[11]

1103년에는 3,800명의 학생이 있었는데, 그 중 3,000명은 외학, 600명은 내학, 200명은 상학에 소속되어 있었다.[5] 북송(北宋)이 멸망한 후, 1142년 항저우에 태학이 재건되었고,[12] 학생들은 정치 집단으로 활동하며 정책 문제에 항의하기도 했다.[12] 이들의 항의로 인해 관리나 재상이 해임되기도 하였다.[12]

2. 4. 명나라와 청나라

명나라 시대에 여러 교육 기관과 교육 행정 기관은 "'''국자감'''"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으며, 이후 청나라 말기까지 이 명칭으로 지속되었다.

3. 한국의 태학

고구려 시대에 "'''태학'''"(태학)이 설치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372년소수림왕이 태학을 설립하여 유교 교육을 실시했다고 한다. 고구려에서는 소수림왕대에 태학이 세워져 유교 교육을 실시했다고 하지만, 태학과 유교와 대를 이루는 불교전진순도의 고구려 입국에 의해 전래된 것처럼, 고구려의 태학 정비도 중국계 이민의 관여가 예상되며, 중국계 이민은 고구려의 대내적, 대외적 국가 발전에 다방면으로 활약했다[16]。한편, 중국계 이민의 역할이 있었다고 해도, 태학의 설치나 유교에 의한 교육이 가능했던 것은, 중국조선에 설치한 식민지낙랑군대방군의 군민이라는 기초적 토대가 존재했기 때문이며, 태학의 설치와 유교에 의한 교육을 정비할 수 있었던 것은, 그것들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사회가 발전해야 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중국 왕조의 지배를 장기간 경험한 낙랑군・대방군 민을 고구려가 접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6]。이 관계를 엿볼 수 있는 것은 고구려의 불교 수용과 태학 설치이다. 순도의 고구려 입국 3년 후, 고구려는 초문사와 이불란사를 건립하고, 각각 순도와 아도를 머물게 하였으며, 고구려에서는 불교 수용을 둘러싸고 순교자(이차돈)를 낸 신라와 같은 갈등이 일어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 배경에는 불교를 신봉했던 낙랑군·대방군 민을 통해 불교 수용의 토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며, 또한 귀족 자제 교육을 통해 관리를 양성하는 태학 설치도 고구려 사회의 한문화가 고수준에 달해야 했으며, 이 또한 낙랑군·대방군 민을 접수할 수 있었던 것이 크다[16]

중국에서 백제로 이주한 중국계백제인귀족인 진법자의 묘지명중국에서 출토되어, 묘지에서 백제에서도 태학이 설치되었음이 밝혀졌다[18]。태학의 장관은 "태학정"이라 칭해졌으며, 중국계백제인귀족진춘이 맡았다[17][18]

관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 신라는 "국학"(국학)을, 고려는 "국자감"(국자감)을 설치했다.

고려 왕조 말기, "국자감"은 "성균관"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왕조에서도 그 명칭이 계승되어, 한성부(현재의 서울시)에 위치한 최고 교육 기관은 "'''성균관'''"이라고 불렸다.

3. 1. 고구려

고구려372년 소수림왕태학을 설립하여 유교 교육을 실시하였다.[16] 고구려의 태학 설립에는 중국계 이민의 역할이 컸으며, 낙랑군대방군을 통해 한문화가 발전한 것이 배경이 되었다.[16]

3. 2. 백제

중국에서 백제로 이주한 중국계 백제인 귀족인 진법자의 묘지명이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출토되어, 묘지에서 백제에서도 태학이 설치되었음이 밝혀졌다.[18] 태학의 장관은 "태학정"이라 칭해졌으며, 중국계 백제인 귀족인 진춘이 맡았다.[17][18]

3. 3. 신라와 고려

신라는 "국학"(국학)을, 고려는 "국자감"(국자감)을 설치하여 유교 교육을 실시했다.[16] 고려 왕조 말기, "국자감"은 "성균관"으로 개칭되었다.[16]

3. 4. 조선

4. 베트남의 태학

쩐 왕조태종은 건중 8년 (1232년)에 과거(Khoa bảng)를 시행했는데, '''''태학'''''(Thái học)을 설립하여 태학생(Thái học sinh)에게 시험을 치르게 하고, 이를 통해 진사 자격을 얻게 하는 것이었다.

레러이후 레 왕조 황제에 즉위한 1428년, 수도 승룡(탕롱, 현재의 하노이)에 국자감을 두었다. 이 제도는 응우옌 왕조에도 계승되어 1803년에 후에에 국자감(Quốc Tử Giám)이 설치되었다. 응우옌 왕조의 과거(Khoa bảng)는 1919년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고, 국자감도 폐지되었다.

4. 1. 쩐 왕조

쩐 왕조 태종은 건중 8년 (1232년)에 과거(Khoa bảng)를 시행했는데, ''''태학''''(Thái học)을 설립하여 태학생(Thái học sinh)에게 시험을 치르게 하고, 이를 통해 진사 자격을 얻게 하는 것이었다.

4. 2. 후 레 왕조와 응우옌 왕조

레러이후 레 왕조 황제에 즉위한 1428년, 수도 승룡(탕롱, 현재의 하노이)에 국자감을 두었다. 이 제도는 응우옌 왕조에도 계승되어 1803년에 후에에 국자감()이 설치되었다. 응우옌 왕조의 과거(Khoa bảng)는 1919년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고, 국자감도 폐지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Birth of Landscape Painting i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서적 Chinese landscape paint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religions, Africa, Asia, world problems & solutions https://books.google[...] Professional Press 1997-02-01
[4]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1-08-31
[5] 문서 A Consultant Report to The University Grants Committee of Hong Kong http://www.legco.gov[...]
[6]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istorical Traditions, Recent Developments and Major Issues http://www.education[...] 2006-08-26
[7] 문서 Ebrey, ''CIHC'', 145–146
[8] 문서 Yuan, 193–194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5, Part Two: Sung China, 960-127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5, Part Two: Sung China, 960-127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5, Part Two: Sung China, 960-127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5, Part Two: Sung China, 960-127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3] 웹사이트 太学 https://kotobank.jp/[...] 2016-10-26
[14] 웹사이트 太学 https://kotobank.jp/[...] 2016-10-26
[15] 서적 中国中古の学術と社会 法藏館 2021
[16] 뉴스 5호16국·남북조 상쟁기 이주민과 고구려·백제 http://contents.nahf[...] 국사편찬위원회
[17] 뉴스 百濟 遺民 陳法子 墓誌銘 硏究 https://www.kci.go.k[...]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18] 뉴스 진법자 묘지명 (陳法子 墓誌銘)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19] 서적 The Birth of Landscape Painting i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서적 Chinese landscape paint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religions, Africa, Asia, world problems & solutions https://books.google[...] Professional Press 1997-02-01
[22]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1-08-31
[23] 문서 A Consultant Report to The University Grants Committee of Hong Kong http://www.legco.gov[...]
[24] 웹인용 From Imperial University of Peking to Peking University in the Early Years of Republic of China http://english.pku.e[...] 2020-11-30
[25]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istorical Traditions, Recent Developments and Major Issues http://www.education[...] 2006-08-26
[26] 문서 Ebrey, ''CIHC'', 145–14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