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츠 크라이슬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츠 크라이슬러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이다. 빈 음악원과 파리 음악원에서 수학했으며, 12세에 파리 음악원 최고상을 받으며 졸업했다. 1888년 미국 데뷔 후 유럽과 미국을 오가며 연주 활동을 펼쳤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부상으로 명예 제대한 후 미국에서 주로 활동했다. 1901년 결혼한 아내 해리엇은 그의 매니저로서 음악 활동을 지원했다. 1935년에는 자신이 작곡한 곡들을 과거 작곡가의 작품으로 발표한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1941년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은퇴했으며, 1962년 사망했다. 따뜻한 음색과 섬세한 표현력으로 낭만주의 바이올린 연주의 정수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작품을 작곡하고 여러 명품 바이올린을 소유했다. 1923년에는 한국을 방문하여 연주회를 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에 거주한 미국인 - 보비 피셔
보비 피셔는 미국의 체스 그랜드마스터이자 1972년 세계 체스 챔피언이었으며, 최연소 그랜드마스터 기록, 챔피언십 우승 등 뛰어난 실력과 체스 시계 및 체스960 개발 등 체스 발전 기여에도 불구하고, 타이틀 반납 후 은둔, 유고슬라비아 제재 위반 혐의 기소, 반유대주의적 발언과 기행 등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헝가리에 거주한 미국인 - 밀젠코 마티예비치
밀젠코 마티예비치는 크로아티아 출신으로 미국에서 활동하며 스틸하트의 리드 보컬로 앨범을 발표하고 공연 중 부상을 입었으며, 재활 후 활동을 재개하여 한국 방송에도 출연했다. - 이스라엘에 거주한 미국인 - 울프 블리처
울프 블리처는 독일 출신의 미국 텔레비전 앵커, 저널리스트, 작가로, CNN에서 군사 전문 기자, 백악관 담당 기자 등을 거쳐 주요 뉴스 프로그램 앵커로 활동하며, 조너선 폴라드 사건 보도 등으로 주목받고 에미상을 수상했다. - 이스라엘에 거주한 미국인 - 데이비드 봄
데이비드 봄은 양자역학, 상대성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플라스마 이론과 봄 확산을 발견했으며, 숨은 변수 이론을 제시하고 EPR 역설 및 아하로노프-봄 효과 연구에 참여한 20세기 물리학자이다. - 오스트리아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 프란츠 슈베르트
프란츠 슈베르트는 1797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600곡이 넘는 가곡을 포함한 1,200여 곡의 방대한 작품을 남긴 낭만주의 작곡가이다. - 오스트리아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9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고, 유럽 순회 연주 여행과 빈에서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음악가 경력을 쌓았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프리츠 크라이슬러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프리츠 크라이슬러 |
원어 이름 | Fritz Kreisler |
출생일 | 1875년 2월 2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빈 |
사망일 | 1962년 1월 29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
활동 시기 | 1903년–1950년 |
직업 | 작곡가, 바이올린 연주자 |
장르 | 낭만파 음악 |
활동 기간 | 1887년 ~ 1962년 |
악기 | |
연주 악기 | 바이올린 |
주요 악기 | 바이올린 |
기타 | |
오디오 | https://archive.org/details/FRITZKREISLER-TheseAreMyFavorites-NEWTRANSFER/06.LaGitana.mp3 (사랑의 기쁨), 사랑의 슬픔 그리고 아름다운 로즈마린]] |
2. 생애
프리츠 크라이슬러는 1875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1][2] 유대인 가문 출신이었으나 12세에 세례를 받았다.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바이올린 재능을 보여 빈 음악원과 파리 음악원에서 공부하며 어린 나이에 두각을 나타냈다.[3]
1888년 미국 데뷔 후 잠시 음악을 떠나 의학 공부와 군 복무를 하기도 했으나, 1899년 베를린 필하모닉과의 성공적인 협연을 계기로 본격적인 연주자의 길을 걸으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902년에는 미국인 해리엇 리스와 결혼하여 60년간 해로했으며, 그녀는 크라이슬러의 경력을 헌신적으로 지원했다. 1910년에는 에드워드 엘가가 그를 위해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을 초연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리아군으로 참전했다가 부상으로 제대한 후,[4] 미국과 유럽을 오가며 활동했다. 1930년대 나치즘의 위협 속에서 독일 잔류 요청을 거부하고 1938년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인 1939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1943년 미국 시민권을 얻었다.
1941년 뉴욕에서 심각한 교통사고를 당했으나 회복하여 활동을 이어갔다.[5] 그러나 사고 후유증으로 시력과 청력이 약화되었고,[6] 1947년 마지막 공개 연주회를 가진 뒤 1950년 공식 은퇴했다. 너그럽고 사교적인 성품으로 알려졌으며, 악기 및 미술품 수집가이기도 했다.
1962년 뉴욕시에서 노령으로 인한 심장 질환으로 사망하여[7] 브롱크스의 우드론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프리츠 크라이슬러는 1875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의사인 사무엘 크라이슬러와 안나의 아들로 태어났다.[1][2] 그의 아버지는 지크문트 프로이트와 친분이 있었으며, 음악 애호가이자 아마추어 현악기 연주자였다. 크라이슬러는 유대인 혈통이었으나, 12세에 세례를 받았다.아버지의 권유로 3세 때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하여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불과 7세의 나이인 1882년에 특례로 빈 음악원에 입학하여 1885년까지 요제프 헬메스베르거 2세에게 바이올린을, 안톤 브루크너와 야코프 돈트에게 이론 및 작곡 등을 배웠다.[3] 재학 중에는 음악원을 방문한 요제프 요아힘과 같은 거장들의 연주를 들으며 음악적 감수성을 길렀고, 10세에는 수석으로 졸업했다.
이후 파리 음악원으로 유학하여 1885년부터 1887년까지 람베르 마사르에게 바이올린을, 레오 델리브와 쥘 마스네에게 작곡 등을 배웠다. 그는 20세 이상의 경쟁자 40명을 제치고 12세의 어린 나이에 Premier Prix|프르미에 프리프랑스어(최고상) 금메달을 받으며 수석으로 졸업하는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3]
2. 2. 음악 경력
1888년, 미국 보스턴에서 첫 연주회를 열어 성공을 거두었고, 이듬해 오스트리아로 돌아왔다. 귀국 후에는 아버지의 권유로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의학을 공부하기도 했다.1895년 오스트리아 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장교로 임관했으나, 제대 후 음악계에 복귀했다. 복귀 후 빈 필하모니 관현악단 입단 시험을 보았으나 "음악적으로 조악하다", "초견 연주가 서툴다"는 이유로 떨어졌다. 이 무렵부터 레퍼토리를 늘리기 위해 작곡을 시작했다.
1899년, 아르투르 니키시가 지휘하는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과의 협연이 외제느 이자이에게 격찬을 받으며 성공적으로 끝나면서, 크라이슬러의 연주 활동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 1902년에는 런던 데뷔를 성공적으로 마쳤고, 한동안 영국을 거점으로 활동하며 레코딩 활동도 시작했다. 같은 해 미국인 해리엇 리스와 뉴욕에서 결혼했는데, 해리엇은 유능한 매니저로서 크라이슬러의 성격과 재능을 이해하고 그의 성공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오스트리아 육군 중위로 소집되어 동부 전선에 참전했다. 전투 중 중상을 입고 후송되어 명예 제대했으며, 이후 뉴욕의 자택으로 돌아와 요양하며 연주 활동을 재개했다. 그러나 당시 미국에게 오스트리아는 적국이었기 때문에 활동은 제한적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결 후 유럽 음악계에 복귀했다. 이 시기에는 매니저가 같았던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와 친분을 쌓고 그리그의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등을 함께 녹음했다. 라흐마니노프는 크라이슬러에게 코렐리 주제에 의한 변주곡을 헌정했으며, 크라이슬러의 작품인 "사랑의 기쁨"과 "사랑의 슬픔"을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했다. 크라이슬러 또한 라흐마니노프의 가곡에 바이올린 오블리가토를 추가한 편곡을 남겼다.
1923년 5월에는 일본을 방문하여 제국극장(帝国劇場)에서 독주회를 개최했다. 당시 일본에서는 빅터 레코드를 통해 이미 그의 명성이 높았으며, 베토벤, 브람스, J.S. 바흐, 브루흐 등의 대작부터 자신의 편곡 소품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여 일본 청중의 큰 호응을 얻었다.[15] 당시 일본에서 열린 주요 바이올리니스트 독주회의 특등석 요금은 다음과 같았다.
바이올리니스트 | 특등석 요금 (1923년 당시) |
---|---|
프리츠 크라이슬러 | 15JPY |
윌리 브루메스터 | 7JPY |
야샤 하이페츠 | 10JPY |
※ 당시 대졸 초임 연봉은 50JPY 전후였으며, 하이페츠의 독주회는 관동대지진 직후에 열려 일반적인 좌석 구분과 다를 수 있다.
1924년부터 1934년까지 베를린을 거점으로 활동했으나, 나치가 정권을 장악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크라이슬러는 유대계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대중적 인기를 고려한 나치로부터 레오 블레히와 함께 독일에 남아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이를 단호히 거절했다. 1938년,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병합되자 프랑스 국적을 취득하고 파리로 이주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운이 감돌자 미국으로 이주하여 영주를 결심했고, 1943년 미국 국적을 취득했다. 이후 평생 유럽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미국 국적 취득 2년 전 교통사고로 중상을 입어 한때 재기가 불가능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으나, 기적적으로 회복하여 연주 활동을 이어갔다. 그러나 사고 후유증(시력 장애, 돌발적 기억 상실 등)으로 인해 활동은 점차 줄어들었고, 1950년 공식적으로 연주 활동에서 은퇴했다.
2. 3. 결혼과 개인사
1901년 미국 순회 공연 중, 크라이슬러는 뉴욕 출신의 이혼녀 해리엇 리스(eng)를 만났다. 해리엇은 바서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독일계 미국인 담배 상인의 딸이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두 사람은 순회 공연을 마치고 유럽으로 돌아오는 배 안의 이발소에서 처음 만났다고도 한다. 그들은 곧 사랑에 빠졌고, 이듬해인 1902년 겨울 뉴욕에서 결혼했다. 법적인 문제로 인해 결혼식을 세 번이나 반복해야 했다고 전해진다.두 사람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으며, 해리엇은 남편의 음악 경력을 위해 자신의 삶을 헌신했다. 그녀는 음악이나 악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은 부족했지만, 크라이슬러의 재능을 깊이 이해하고 그의 매니저 역할을 훌륭히 수행했다. 해리엇은 크라이슬러가 연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정해진 시간까지 방에 가두는 등 생활을 엄격하게 관리했으며, 외부적으로는 연주회 출연료 협상 등을 맡아 처리하는 등 빈틈없는 모습을 보였다. 연주회 때는 대기실에서 남편을 기다리는 등 과하게 나서지 않으면서도 그의 성공을 도왔다. 그녀의 이러한 내조는 크라이슬러가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 성공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크라이슬러와 해리엇은 1962년 크라이슬러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60년 동안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
2. 4. 만년과 사망
1939년, 유럽에 제2차 세계 대전의 그림자가 드리우자 크라이슬러는 미국 영주를 결심하고 뉴욕으로 이주했다. 1941년에는 뉴욕에서 교통사고로 중상을 입어 한때 "재기 불능"이라는 진단을 받기도 했으나, 기적적으로 회복하여 연주 활동을 재개했다. 1943년에는 미국 국적을 취득했으며, 이후 평생 유럽으로 돌아가지 않았다.사고 후유증으로 시력 장애와 돌발적인 기억 상실을 겪었지만, 다행히 음악적 감각은 유지되었다. 간헐적으로 방송에 출연하거나 리사이틀을 열었으나, 결국 후유증으로 인해 1950년 연주 활동에서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자신이 수집했던 악기와 미술품 대부분을 처분했지만, 요하네스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에르네스트 쇼송의 "시곡" 자필 원고는 남겨두었다가 후에 미국 의회 도서관에 기증했다.
1962년, 크라이슬러는 뉴욕에서 심장 질환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브롱크스에 있는 우드론 묘지에 안장되었다.
3. 작품 활동
프리츠 크라이슬러는 바이올리니스트로서뿐만 아니라 작곡가로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그는 오페레타와 리뷰 음악 작곡에도 참여했는데, 빅토르 야코비와 공동 작곡한 ''애플 블로섬''(1919)이나 직접 작곡한 ''랩소디''(1944)와 같은 오페레타를 비롯해, 자신의 유명한 곡 "비엔나 기상곡"과 "집시의 여인" 등이 포함된 리뷰 ''컨티넨탈 버라이어티즈''(1934), "당신 눈 속의 별들"을 작곡한 ''뉴욕에서의 재회''(1940) 등이 있다.
크라이슬러는 특히 바이올린을 위한 매력적인 소품 작곡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으로 "사랑의 기쁨", "사랑의 슬픔", "아름다운 로즈마린"으로 구성된 '옛 비엔나 무곡' 시리즈와 "비엔나 기상곡", "중국의 북" 등이 널리 사랑받고 있다. (자세한 목록은 #주요 작품 참조)
또한 그는 비발디, 푸냐니, 보케리니 등 과거 작곡가들의 양식을 모방하여 작품을 쓰고 이들의 이름으로 발표하기도 했는데, 이는 훗날 위작 논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푸냐니 풍 전주곡과 알레그로", "프랑쾨르 풍 시칠리아노와 리고동" 등 이 시기의 작품들은 그 자체로 음악적 가치를 인정받아 오늘날에도 중요한 레퍼토리로 연주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과 목록은 #위작 논란 참조)
이 외에도 베토벤과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위한 카덴차를 작곡했으며, 특히 그가 작곡한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카덴차는 오늘날 가장 널리 연주되는 카덴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드보르자크의 슬라브 무곡집이나 아일랜드 민요 "런던데리의 노래" 등 다양한 곡을 바이올린을 위해 편곡하기도 했다.
나치 정권 하에서는 유대인이었던 크라이슬러의 작품 연주가 금지되었으나,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연주 시 그가 작곡한 카덴차는 작곡가 이름이 명시되지 않은 채 암묵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3. 1. 주요 작품
크라이슬러는 바이올린을 위한 다수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특히 Liebesleid|리베슬라이트de(사랑의 슬픔)나 Liebesfreud|리베스프로이트de(사랑의 기쁨)와 같이 앵콜 연주를 위해 자주 연주되는 매력적인 소품들이 유명하다. 그의 작품 중 일부는 가에타노 푸냐니, 주세페 타르티니, 안토니오 비발디 등 초기 작곡가들의 양식을 모방한 모방곡(pastiche)이었는데, 처음에는 이들 작곡가의 작품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1935년 크라이슬러는 이 곡들이 실제로는 자신의 창작품임을 밝혔다. 일부 비평가들이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자, 크라이슬러는 "이름은 바뀌어도 가치는 남는다"고 응수하며 이미 작품 자체의 가치를 인정받았음을 강조했다.그는 오페레타 작곡에도 참여하여 1919년 ''애플 블로섬''[8]과 1932년 ''시시'' 등을 남겼다. 또한 현악 사중주 이단조를 작곡했으며,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 요하네스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니콜로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을 위한 카덴차를 작곡했다. 특히 그가 작곡한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의 카덴차는 오늘날 가장 널리 연주되는 카덴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크라이슬러는 요제프 폰 슈턴베르크 감독의 1936년 영화 ''더 킹 스텝스 아웃''의 음악을 작곡하기도 했다. 이 영화는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 여공작의 젊은 시절을 다루고 있다. 또한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 D장조 1악장을 자신만의 스타일로 편곡하고 일부 화성을 바꾸어 녹음했는데, 이는 19세기 후반의 낭만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나치 정권 하에서는 유대계였던 크라이슬러의 작품 연주가 금지되었으나,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연주 시 그가 작곡한 카덴차를 사용하는 것은 종종 묵인되었다. 다만, 이때 크라이슬러의 이름은 명시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전시 중 빌헬름 푸르트벵글러가 지휘한 베를린 필하모닉의 연주(에리히 로운 독주) 녹음에는 크라이슬러의 카덴차가 사용되었지만, 작곡가 이름은 숨겨졌다.
주요 작품 목록'''바이올린 소품'''
- 세 개의 옛 비엔나 무곡 (Alt-Wiener Tanzweisen, 1905년)
- * 제1곡 사랑의 기쁨 (Liebesfreud|리베스프로이트de)
- * 제2곡 사랑의 슬픔 (Liebesleid|리베슬라이트de)
- * 제3곡 아름다운 로즈마린 (Schön Rosmarin|쇤 로즈마린de)
- 비엔나 기상곡 작품 2 (Caprice Viennois, Op. 2)
- 중국의 북 작품 3 (Tambourin Chinois, Op. 3)
- 올드 리프레인 (The Old Refrain, 원곡은 요한 브란들 작곡)
- 로망스 작품 4 (Romance, Op. 4)
- 집시의 여인 (La Gitana)
- 싱코페이션 (Syncopation)
- 광대의 세레나데 (Serenade Espagnole, 샤미나드 곡 편곡) - ''원본 소스에는 샤미나드 편곡 언급 없음, 목록에 있는 '광대의 세레나데' 유지''
- 비엔나 소행진곡 (Marche Miniature Viennoise)
- 레치타티보와 스케르초 카프리스 작품 6 (Recitativo and Scherzo-Caprice, Op. 6)
- 낭만적인 자장가 작품 9 (Berceuse Romantique, Op. 9)
- 장난감 병정의 행진곡 (Toy Soldiers' March)
- 기도하는 여인 (La Précieuse, 쿠프랭 풍) - ''모방곡 리스트와 중복 가능성 있으나 원본대로 유지''
-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주제에 의한 론디노 (Rondino on a Theme by Beethoven)
- 양치기의 마드리갈 (Shepherd's Madrigal)
- 아르칸젤로 코렐리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Variations on a Theme by Corelli)
- 오카상과 니코렛 (Aucassin and Nicolette)
- 비엔나 민요 (Viennese Folk Song Fantasy, 늙은 슈테판 슈투름으로부터)
'''모방곡 (1935년 자작 발표)'''
- 안토니오 비발디풍 바이올린 협주곡 C장조
- 카를 디터스 폰 디터스도르프풍 스케르초
- 루이지 보케리니풍 알레그레토
- 마르티니풍 안단티노
- 마르티니풍 기도 (Preghiera)
- 장-바티스트 카르티에풍 샤세 (La Chasse)
- 니콜라 포르포라풍 메누엣
- 가에타노 푸냐니풍 전주곡과 알레그로
- 가에타노 푸냐니풍 템포 디 메누엣
- 프랑쾨르풍 시칠리아노와 리고동
- 르클레르풍 탕부랭 (Tambourin)
-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풍 그라베 (Grave)
- 프랑수아 쿠프랭풍 루이 13세의 노래와 파반느 (Chanson Louis XIII and Pavane)
- 프랑수아 쿠프랭풍 프로방스의 아침 노래 (Aubade Provençale)
- 프랑수아 쿠프랭풍 귀부인 (La Précieuse)
'''오페레타 및 리뷰'''
- ''애플 블로섬'' (Apple Blossoms, 1919) – 오페레타 (빅토르 야코비와 공동 작곡)
- ''시시'' (Sissy, 1932) – 오페레타
- ''컨티넨탈 버라이어티즈'' (Continental Varieties, 1934) – 리뷰 ("비엔나 기상곡", "집시의 여인" 포함)
- ''뉴욕에서의 재회'' (Reunion in New York, 1940) – 리뷰 ("당신 눈 속의 별들" 포함)
- ''랩소디'' (Rhapsody, 1944) – 오페레타
'''기타 작품'''
- 현악 4중주곡 이단조
- 루트비히 판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카덴차
- 요하네스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카덴차
- 니콜로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카덴차
-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슬라브 무곡집 바이올린 편곡
- 런던데리의 노래 (Londonderry Air, 아일랜드 민요 편곡)
- 두 개의 러시아 민요 파라프레이즈 (볼가의 뱃노래, Эй, ухнем!|에이, 우흐넴!ru과 민요)
3. 2. 위작 논란
크라이슬러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여러 편의 음악 위작을 만들었다. 그가 다른 초기 작곡가들의 이름으로 발표한 대표적인 위작들은 다음과 같다.[12][13]작곡가 (사칭) | 작품명 |
---|---|
프랑수아 프랑쾨르 (François Francœur) | 시실리엔과 리고동 (Sicilienne and Rigaudon) |
루이지 보케리니 (Luigi Boccherini) | 알레그레토 (Allegretto) |
조반니 바티스타 마르티니 (Giovanni Battista Martini) | 안단티노 (Andantino) |
루이 쿠프랭 (Louis Couperin) | 프로방스풍 아침 노래 (Aubade Provençale) |
루이 쿠프랭 (Louis Couperin) | 루이 13세 시대의 노래와 파반느 (Chanson Louis XIII and Pavane) |
장바티스트 카르티에 (Jean Baptiste Cartier) | 사냥 (카프리스) (La Chasse (Caprice)) |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 (Wilhelm Friedemann Bach) | 그라베 (Grave) |
니콜라 포르포라 (Nicola Porpora) | 미뉴에트 (Menuett) |
가에타노 푸냐니 (Gaetano Pugnani) | 프렐류드와 알레그로 (Praeludium and Allegro) |
루이 쿠프랭 (Louis Couperin) | 라 프레시외즈 (La Précieuse) |
조반니 바티스타 마르티니 (Giovanni Battista Martini) | 기도 (Preghiera) |
카를 디터스 폰 디터스도르프 (Carl Ditters von Dittersdorf) | 스케르초 (Scherzo) |
요한 슈타미츠 (Johann Stamitz) | 합창곡 주제에 의한 연구 (Study on a Choral) |
가에타노 푸냐니 (Gaetano Pugnani) | 미뉴에트풍 (Tempo di Minuetto) |
주세페 타르티니 (Giuseppe Tartini) | 코렐리 주제에 의한 변주곡 (Variations on a Theme by Corelli) |
안토니오 비발디 (Antonio Vivaldi) | 바이올린 협주곡 C장조 |
크라이슬러는 연주 여행 중 역사적인 도서관 등에서 묻혀 있던 작품들을 발굴하여 연주회에 사용하기를 즐겼다. 그는 발굴된 작품을 그대로 연주하는 것뿐만 아니라, 작품의 멜로디 일부를 자신의 작품에 도입하여, 그것을 자주 “과거 작곡가의 작품을 ‘재발견’했다”고 칭하며 연주하고 출판했다. 어느 날, 그의 연주를 들은 한 비평가가 “작품은 훌륭하지만 연주는 대단치 않다”고 혹평하자, 평소 비평에 거의 동요하지 않던 크라이슬러가 이례적으로 격분하여 비평가에게 항의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1935년경, 이 편지를 입수한 『뉴욕 타임스』의 음악 담당 기자는 크라이슬러가 "편곡"이라고 명기한 곡들의 원곡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의문을 품었다. 기자는 당시 빈으로 돌아가 있던 크라이슬러에게 직접 사실 확인과 증거 제출을 요구했다. 그러자 크라이슬러는 아무렇지도 않게 “과거 작곡가 이름에 크라이슬러 편곡”이라고 되어 있는 곡들은 거의 자작임을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어떤 곡의 어느 부분을 어떻게 얼마나 인용했고 어느 부분이 자신의 창작인지 상세하게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행위의 이유로 “자작곡만으로는 청중이 지루해하고, 또 자신의 이름이 붙은 작품이라면 다른 바이올리니스트가 연주하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하여 다른 사람의 이름을 빌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충격적인 고백은 1935년 2월 8일 『뉴욕 타임스』에 공개되어[14]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당시에는 “크라이슬러가 속일 의도는 없었다 하더라도 30여 년 동안 음악계와 청중을 우롱했다”며 비판하는 여론도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크라이슬러에 의해 프랑스 바로크 음악과 비발디의 재발견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긍정적인 평가 또한 존재한다. “다른 바이올리니스트가 연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크라이슬러의 우려는 기우로 끝났고, 이 곡들은 이후 전 세계 바이올리니스트들의 표준 레퍼토리가 되었다. 참고로, 크라이슬러의 “편곡” 중 문제가 된 것은 주로 바로크 시대 등의 작품(을 사칭한 작품)이며, 고전파·낭만파 이후의 작품 편곡은 순수한 편곡으로 간주된다.
그 외에도 크라이슬러는 베토벤과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위한 카덴차를 작곡했으며, 드보르자크의 슬라브 무곡집을 바이올린용으로 편곡하는 등 다수의 편곡 작품을 남겼다. 나치 정권 하에서는 유대계였던 크라이슬러의 카덴차를 사용하는 것이 공식적으로는 금지되었으나, 실제 연주에서는 묵인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전시 중 빌헬름 푸르트벵글러가 지휘하고 에리히 로인이 독주한 베를린 필하모닉의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라이브 녹음에서는 크라이슬러의 카덴차가 사용되었지만, 크라이슬러의 작품이라는 사실은 숨겨졌다.
유진 오먼디는 라흐마니노프가 자신의 《교향적 무곡》 오케스트라 버전에서 현악기의 활쓰기(보잉) 지정을 크라이슬러가 도왔다고 자랑스럽게 이야기했다는 증언을 남기기도 했다.
4. 연주 스타일 및 유산
녹음에서 드러나는 크라이슬러의 연주 스타일은 동시대 바이올리니스트 미샤 엘만과 유사한 면이 있으며, 넓은 범위의 템포 변화, 지속적이고 다채로운 비브라토, 표현력이 풍부한 음악적 프레이징이 특징이다. 그는 선율적인 부분을 연주할 때 포르타멘토와 루바토를 상당히 활용했다. 그의 연주는 따뜻하고 풍부한 음색과 섬세한 표현력으로 유명하다.
크라이슬러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 피에트로 과르네리, 주세페 과르네리, 카를로 베르곤지 등 명장들이 제작한 여러 고악기를 소유했으며, 이 악기들 대부분은 그의 이름을 따서 불리게 되었다. 또한 1860년 제작된 장-바티스트 부이유 바이올린도 소유하여 보조 악기로 자주 사용했고, 젊은 신동 요제프 하시드에게 빌려주기도 했다.[9][10] 특히 1952년에는 자신이 아끼던 주세페 과르네리 바이올린을 워싱턴 D.C.의 미국 의회도서관에 기증하여 현재까지 도서관 주최 연주회에 사용되고 있다.
그는 연주자로서뿐만 아니라 작곡가로서도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사랑의 슬픔(Liebesleid)과 사랑의 기쁨(Liebesfreud) 같은 유명한 앵콜곡을 비롯하여, 가에타노 푸냐니, 주세페 타르티니, 안토니오 비발디 등 옛 작곡가들의 스타일을 모방한 작품들을 발표하기도 했다. 1935년 이 곡들이 자신의 창작품임을 밝혔을 때 비평가들의 항의가 있었으나, 그는 이미 작품 자체로 가치를 인정받았음을 지적하며 "이름은 바뀌어도 가치는 남는다"고 응수했다. 또한 요하네스 브람스의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니콜로 파가니니의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1번,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을 위한 카덴차를 작곡했으며, 특히 그의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카덴차는 오늘날에도 많은 바이올리니스트들이 선호하는 버전 중 하나이다. 그는 파가니니의 D장조 바이올린 협주곡 제1악장을 편곡하여 직접 연주하고 녹음하기도 했다.
그의 연주는 녹음으로 남아 후대에 전해지고 있으며, 시그프리드 사순의 1928년 자전적 소설 ''여우 사냥꾼의 회상''에는 크라이슬러의 연주회 경험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은퇴 후 요하네스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에르네스트 쇼송의 시곡 자필 원고를 미국 의회도서관에 기증하는 등 문화유산 보존에도 기여했다. 호주의 전자제품 및 소비재 제조업체 크라이슬러(Kriesler)는 프리츠 크라이슬러의 이름에서 영감을 받아 회사명을 정했다고 알려져 있다.[11]
5. 한국과의 관계
(작성할 내용 없음)
6. 평가
참조
[1]
서적
Jüdisches biographisches Lexikon: eine Sammlung von bedeutenden Persönlichkeiten jüdischer Herkunft ab 1800
https://books.google[...]
Lit
2009-01-01
[2]
서적
Freud, Appraisals and Reappraisals: Contributions to Freud Studies
https://books.google[...]
Analytic Press
1986-01-01
[3]
웹사이트
Lochner Louis,Fritz Kreisler – Biography, Macmillan Co. N.Y, 1950, Page: 23
https://archive.org/[...]
[4]
뉴스
The world of music
https://archive.org/[...]
1914-12-14
[5]
간행물
Life
Life (magazine)
1941-05-12
[6]
서적
Fritz Kreisler: Love's Sorrow, Love's Joy
Amadeus Press
1998
[7]
뉴스
Fritz Kreisler Dies Here at 86; Violinist Composed 200 Works; Made His U.S. Concert Debut in 1888 at 13. Was Known for His Arrangements
https://www.nytimes.[...]
1962-01-30
[8]
웹사이트
Catalog Record for the vocal score of Apple Blossoms
https://catalog.hath[...]
[9]
웹사이트
Second Fiddle
http://www.maestrone[...]
[10]
웹사이트
Violin by Giuseppe Guarneri, Cremona, ca. 1730, "Kreisler"
https://www.loc.gov/[...]
[11]
웹사이트
Kriesler Radio Company; Newtown manufacturer in AUS, Model t
https://www.radiomus[...]
2021-03-22
[12]
논문
Arnold Trowell: Violincellist, composer and pedagogue
The University of Waikato, New Zealand
2012
[13]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Fritz Kreisler Collection
http://memory.loc.go[...]
[14]
뉴스
Kreisler Reveals 'Classics' as Own; Fooled Music Critics for 30 Years
https://www.nytimes.[...]
1935-02-08
[1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