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의 헌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헌법은 1987년에 제정된 필리핀의 최고 법규이다. 1986년 피플 파워 혁명 이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이 1973년 헌법을 폐지하고 새 헌법 제정을 위해 헌법위원회를 구성하여 제정되었다. 이 헌법은 전문과 18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권분립, 대통령 권한 축소, 인권 및 사회 정의 조항 강화, 지방 정부 자치 확대 등을 특징으로 한다. 1987년 헌법은 필리핀의 영토, 원칙, 권리 장전, 시민권, 참정권,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헌법위원회, 지방 정부, 공무원의 책임, 국가 경제와 유산, 사회 정의와 인권, 교육, 과학 기술, 예술, 문화, 스포츠, 가족, 일반 조항, 개정, 임시 조항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 헌법은 여러 차례 개정 시도가 있었지만, 국민 투표를 통한 비준을 받지 못하여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필리핀의 헌법
개요
문서 이름필리핀 공화국 헌법
원어 이름살리강 바타스 응 레푸블리카 응 필리피나스
관할 국가필리핀
제정일1986년 10월 12일
발표일1986년 10월 15일
비준일1987년 2월 2일
효력 발생일1987년 2월 2일
정치 체제단일 대통령 헌법 공화국
정부 부처3개 부처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의회양원제 (의회)
상원필리핀 상원
하원필리핀 하원
행정부 수반대통령
사법부대법원 및 법률에 따라 설립될 수 있는 하급 법원
첫 의회1987년 7월 27일
첫 행정부1992년 6월 30일
폐지일해당 없음
수정 횟수없음 (참조: 1987년 헌법 개정 제안)
문서 위치입법 기록 보관소, 도서관 및 박물관, 바타상 팜반사 단지, 케손 시
의뢰혁명 정부 ( 코라손 아키노 집권)
작성자1986년 헌법 제정 위원회
서명자48명의 위원 중 47명
대체 헌법대통령 포고령 제3호
연방제(참조: 필리핀의 연방제)

2. 1987년 헌법 제정 배경

1986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을 축출했던 피플 파워 혁명 이후, 코라손 아키노는 취임사에서 국민에 의해 강제된 개혁을 수행하기 위한 국정을 선포하고, 기본권을 보장하며, 헌법 수정을 단행하여, 새로운 헌법 하에 새 정부로 질서있게 이양한다는 세 가지를 공표했다. 아키노 대통령은 이후 1973년 마르코스 시절에 제정된 헌법을 초월하는 틀을 만들기 위해 '콘콤'이라고 널리 알려진 헌법위원회를 만들었다. 아키노는 그 위원회에 50명을 위원으로 임명했다. 그 위원회는 전 국회의원, 전 대법원장, 기독교 주교, 영화 감독 등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었다. 아키노는 또한 임의적으로 5명의 위원을 임명하였는데, 마르코스 대통령이 축출될 때까지 있었던 전 노동부 장관 블라스 오플레를 포함하고 있었다. 위원회가 소집된 이후 세실리아 무뇨스 팔마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뮤뇨스 팔마는 최초의 여성 대법원장으로서 퇴임 이후 마르코스 반대 운동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했었다.[32]

위원회는 회의 소집 후 4개월 이내에 헌장 초안을 완성했다. 사형제도를 채택할지, 폐지할지, 클라크 공군 기지와 수빅 미군 기지의 임대를 지속할지, 그리고 경제 정책을 헌법에 통합할 것인지 등 여러 안건이 회기 동안 뜨거운 토론을 벌였다. 브로카는 회기가 끝나기도 전에 위원회를 나왔고, 두 명의 대표는 최종안에서 의견을 달리했다. 콘콤은 1986년 10월 12일에 임무를 완료하고, 1986년 10월 15일에 헌법안을 아키노 대통령에게 제출하였다.[32]

헌장 비준은 전국적인 공보를 한 이후 1987년 2월 2일에 이루어졌다. 투표 결과, 76.37%(17,059,495표)가 찬성했고, 22.65%(5,058,714표)가 반대하여 헌법이 비준되었다.

1987년 2월 11일, 새 헌법이 공표되었고, 아키노 대통령과 정부는 새 헌법에 따라 통치할 것을 선서했다.[32]

3. 1987년 헌법의 특징

1987년 헌법은 전문과 18개의 조로 구성되어 있다.[10] 각 조는 다음과 같다.

내용
1조국가 영토
2조원리와 국정 선언
3조권리장전
4조시민권
5조참정권
6조입법부
7조행정부
8조사법부
9조헌법위원회
10조지방정부
11조공무원의 책임
12조국가 경제와 유산
13조사회 정의와 인권
14조교육, 과학, 기술, 예술, 문화, 스포츠
15조가정
16조총칙
17조개정
18조임시 조항



이 헌법은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세 가지 정부 부처를 규정했다. 행정부는 대통령과 그가 임명한 각료들로 구성되며, 다른 두 부서와 마찬가지로 권한이 제한되어 있다.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할 수 있지만, 60일 이내에 만료되며 의회는 이를 거부하거나 연장할 수 있다. 대법원은 계엄령 선포가 정당한지 검토할 의무가 있다.

입법 권한은 상원하원으로 구성된다. 상원은 24명의 상원 의원으로 구성되며, 하원은 선거구 대표와 정당 명부제 대표로 구성된다. 사법부는 대법원과 하급 법원으로 구성된다. 대법원은 법의 합헌성, 정부의 조약 또는 법령과 관련된 모든 사건을 심리할 권한을 부여받는다. 또한 하급 법원의 기능을 관리하는 임무도 맡고 있다.

헌법을 통해 공무원 위원회, 선거 관리 위원회, 감사 위원회의 세 개의 독립적인 헌법 위원회가 만들어졌다. 이 헌법 위원회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헌법은 또한 정부의 윤리적이고 적법한 행동을 증진하고 보장하는 기능을 가진 옴부즈맨실의 설립을 위한 길을 열었다.[33]

4. 1987년 헌법의 주요 내용

1987년 필리핀 헌법은 정부를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세 가지 주요 부문으로 나누고 있다.


  • 행정부: 대통령과 그가 임명하는 각료들이 이끌며, 권력은 제한된다.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할 수 있지만, 60일 이내에 해제해야 하며 의회는 이를 거부하거나 연장할 수 있다. 대법원은 계엄령 선포의 근거를 재검토할 권한을 갖는다.
  • 입법부: 상원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이다. 상원은 24명의 의원으로, 하원은 지역 대표로 구성된다. 소외된 지역의 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당 명부 방식도 활용된다.
  • 사법부: 대법원과 하급 법원으로 구성된다. 대법원은 조약 및 정부 포고령의 합헌성을 심사하고 하급 법원을 관리하는 권한을 갖는다.


이 외에도 1987년 헌법은 공무원 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 감사위원회 등 세 개의 독립적인 헌법 위원회를 설치하여 정부의 주요 기능을 감시한다. 또한, 정부의 도덕성과 적법성을 감시하는 옴부즈맨 사무소 설치의 근거를 마련했다.[33]

1987년 헌법은 전문과 18개의 조로 구성되며, 각 조는 다시 절로 나뉜다.[38] 전문은 하느님의 가호 아래 정의롭고 인간적인 사회 건설, 이상과 포부를 구체화하는 정부 수립, 공동선 증진, 국가 유산 보존 및 발전, 그리고 법치, 정의, 자유, 사랑, 평등, 평화에 기반한 독립과 민주주의의 혜택을 국민과 후손에게 보장하기 위해 헌법을 제정하고 공포한다고 선언한다.[39]

4. 1. 제1조 국가 영토

필리핀 군도와 그 안에 포함된 모든 섬과 수역, 그리고 필리핀이 주권 또는 관할권을 행사하는 모든 영토는 육상, 하천 및 공역, 영해, 해저, 지하, 도서 대륙붕 및 기타 해저 지역을 포함한다.[11] 군도의 섬들을 둘러싸고, 섬들 사이를 흐르며, 섬들을 연결하는 수역은 너비와 규모에 관계없이 필리핀의 내수를 형성한다.[11]

4. 2. 제2조 원칙과 국가 정책 선언

필리핀 헌법 제2조는 국가의 기본 원칙과 정책을 선언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1][39]

  • 민주 공화국: 필리핀은 민주 공화국이다.
  • 전쟁 포기: 전쟁을 국가 정책의 수단으로 포기한다.
  • 민간 권력 우위: 군부에 대한 민간 권력의 우위를 둔다.
  • 정교 분리: 정교 분리는 침해할 수 없다.
  • 독립 외교 정책: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추구한다.
  • 핵무기 폐지: 핵무기를 폐지한다.
  • 가족의 중요성: 가족을 국가의 기본 단위로 한다.
  • 청년과 여성의 역할: 국가 건설에서 청년과 여성의 역할을 중요시한다.
  • 지방 정부 자치: 지방 정부의 자치를 보장한다.
  • 공공 서비스 기회 균등: 공공 서비스에 대한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고 정치적 세습을 금지한다.
  • 균형 잡힌 생태: 균형 잡히고 건강한 생태에 대한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증진한다.[46]

4. 3. 제3조 권리 장전

적법절차를 받을 권리와 법의 평등한 보호를 받을 권리가 보장된다.[11][39] 판사가 발부한 영장 없이 수색 및 압수를 당하지 않을 권리와 사생활의 권리가 보장된다.[11][39]

언론 및 표현의 자유, 출판의 자유, 집회의 자유, 청원할 권리가 보장되며,[11][39] 종교의 자유와 거주의 자유 및 여행의 자유 역시 보장된다.[11][39] 공공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권리와 결성할 권리도 보장된다.[11][39]

법원에 자유롭게 접근할 권리, 진술 거부권 및 유능한 법률 자문을 받을 권리가 보장된다.[11][39] 보석을 받을 권리와 과도한 보석 조건에 대한 권리가 보장되며, ''인신 보호 영장''을 받을 권리 또한 보장된다.[11][39]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와 자기부죄 거부 특권 역시 보장된다.[11][39]

정치적 신념과 열망을 가질 권리가 보장되며, 잔혹하고, 굴욕적이거나, 비인간적인 처벌은 금지된다.[11][39] 채무로 인한 투옥에 대한 보호와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대한 권리도 보장된다.[11][39] 소급 입법 및 사형 선고 법안은 금지된다.[11][39]

이러한 권리의 범위와 제한은 필리핀 대법원에 의해 판례를 통해 광범위하게 결정된다.[11][39]

4. 4. 제4조 시민권

제4조는 필리핀인의 시민권을 정의한다. 이 조항은 선천적 시민과 귀화 시민 두 종류를 열거한다. 선천적 시민은 필리핀 시민권을 취득하거나 완성하기 위해 어떠한 행위도 할 필요 없이 출생 시부터 시민인 사람이다. 필리핀은 필리핀 시민과의 혈연 관계를 통해 시민권을 주로 취득하는 ''혈통주의'' 시스템을 따른다.[11]

선천적 시민권은 정치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며, 선천적 필리핀인만이 하원 의원부터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모든 선출직을 포함한 고위 공직을 맡을 자격이 있다.[39]

4. 5. 제5조 참정권

제5조는 투표 자격에 대한 다양한 연령 및 거주 요건과 비밀 투표 및 부재자 투표 제도를 규정한다.[39] 또한 재외 필리핀 국민, 장애인 및 문맹인의 투표 절차도 규정한다.[39]

4. 6. 제6조 입법부

제6조는 의회상원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부로 규정한다. 이 조항은 의회에 입법 지원을 위한 조사 및 심문 권한,[12] 전쟁 상태 선포 권한,[13] 재정 권한,[14] 과세 권한,[15] 그리고 수용 권한[16] 등을 부여한다.

4. 7. 제7조 행정부

대통령은 필리핀군뿐만 아니라 필리핀 경찰청, 필리핀 해안 경비대와 같은 다른 무장 제복 부대를 포함하는 "모든 무력 부대"의 최고 사령관이다.[11] 대통령은 "불법 폭력", 침략 또는 반란을 예방하거나 진압하기 위해 이러한 부대를 동원할 수 있다. 공공 안전이 필요한 경우, 대통령은 필리핀 전체 또는 특정 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하거나 인신 보호 영장의 특권을 정지할 권한을 부여받는다.[11] 계엄령 기간 동안 대통령의 권한 범위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지만, 헌법은 헌법의 정지, 민간 법원 및 의회의 대체, 그리고 그러한 상황에서 민간 법원이 여전히 운영되고 있을 때 민간인에 대한 군사 법원 및 기관의 사용을 명시적으로 금지한다.[11] 계엄령 선포가 자동적으로 인신 보호 영장의 특권을 정지시키지는 않는다.[11]

대통령은 단임 6년 임기로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11] 재선은 허용되지 않지만, 대통령이 4년 미만의 임기를 채운 경우에는 6년 임기로 다시 선출될 수 있다.[11] 이 예외는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가 활용했으며, 결국 그녀는 당선되었다.[11]

헌법은 또한 부통령직을 설정하며, 부통령은 최대 두 번의 연임 6년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11] 부통령은 선택적으로 내각의 구성원으로 임명될 수 있다.[11]

대통령과 부통령은 서로 별도로 선출된다.[11] 따라서 필리핀에서는 대통령과 부통령이 완전히 다른 정당이나 연합에서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11] 예를 들어, 2016년에는 민족주의적이고 포퓰리즘적인 플랫폼으로 출마한 로드리고 두테르테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11] 자유당 소속으로 두테르테 행정부에서 가장 두드러진 야당 인물이었던 레니 로브레도가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11]

헌법에서 내각에 대해 여러 번 언급했지만, 그러한 기구의 창설이나 그 일반적인 권한 및 의무를 구체적으로 열거하는 조항은 명시적으로 제공되지 않았다.[11]

대통령과 부통령은 다음과 같은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11]

  • 선천적 필리핀 시민
  • 등록 유권자
  • 읽고 쓸 수 있는 자
  • 선거일 기준 40세 이상
  • 선거일 기준 필리핀에 최소 10년 이상 거주

4. 8. 제8조 사법부

대법원과 법률(의회)에 의해 설립될 수 있는 기타 하급 법원에 사법권을 부여한다. 대법관 및 판사 임명 권한은 여전히 대통령에게 있지만, 대통령은 사법 및 변호사 협의회가 공석마다 준비한 최소 3명의 후보자 명단에서 임명한다. 이 협의회는 대법원장, 법무부 장관, 상원 및 하원 법사위원장, 법조계 대표로 구성된다.[11]

대통령은 대법원장, 법무부 장관, 상원과 하원의 법무 위원회 위원장, 법률 전문가의 대표로 구성된 사법 및 법정 심의회에서 준비한 최소 3명의 후보자 명단에서 판사를 임명한다.[39]

4. 9. 제9조 헌법위원회

제9조는 정부의 세 주요 부서와는 독립적인 정부 기관인 세 개의 헌법 위원회를 설립한다. 이 위원회는 공무원 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 감사위원회이다.[11]

4. 10. 제10조 지방 정부

필리핀 의회는 지방 자치를 추구하며, 지방 정부에 관한 법률(현재는 지방 정부법)을 제정해야 한다.[11][39]

4. 11. 제11조 공무원의 책임

제11조는 정부 관리를 조사하고 기소할 책임을 지는 옴부즈만 사무소를 설치한다.[11][39] 또한 국회에 대통령, 부통령, 대법원 재판관, 그리고 옴부즈만을 탄핵할 권한을 부여한다.[11][39]

4. 12. 제12조 국가 경제와 유산

필리핀 헌법 제12조는 필리핀 정부가 추구해야 할 경제 정책 목표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 효과적인 산업화를 장려하고 국민의 완전 고용을 목표로 한다.[11]
  • 필리핀 영토 내의 모든 천연 자원은 국가가 소유한다.[11]
  • 토착 문화 공동체의 권리를 보호한다.[11]
  • 기업, 조직 및 기타 기관은 국가의 개입을 받는다.[11]

4. 13. 제13조 사회 정의와 인권

제13조는 모든 국민의 인간 존엄성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조치 제정을 국회의 최우선 책임으로 명시하고 있다. 엘리트와 빈곤층 간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불평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필리핀 국민 간의 공정하고 형평한 복지와 공동선을 확보해야 함을 강조한다.[11] 또한 필리핀 내 모든 사람 및 해외 거주 필리핀인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법적 조치를 보장하는 인권 위원회의 역할도 규정한다.[11]

이 조항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이 포함된다.[11]

  • 국내외 노동자 보호: 모든 사람에게 완전 고용과 동등한 기회를 증진한다.
  • 농지 개혁 및 천연자원 개혁: 자원 활용을 위해 외국의 간섭 없이 지역 사회의 독립적인 필리핀 농부와 어부의 권리를 보호하고 지원하며, 국민 생활 발전을 위해 농지 개혁과 천연자원 개혁을 제공하고 적용한다.
  • 도시 토지 개혁 및 주택: 소외된 시민의 생명을 보장한다.
  • 의료 및 건강 서비스: 모든 필리핀 국민의 복지를 위해 저렴하고 유능한 의료 및 건강 서비스를 채택하고 통합한다.
  • 여성의 권리 인정: 국가에 봉사하는 데 있어 여성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기 위해 직장에서 여성의 권리를 인정한다.
  • 인민 단체의 역할과 권리 인정.

4. 14. 제14조 교육, 과학, 기술, 예술, 문화, 스포츠


  • 국가는 공립 및 사립을 불문하고 모든 교육 기관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통제를 실시한다.
  • 교육에 관한 일반적인 지침 원칙은 모든 계층의 양질의 교육에 대한 모든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증진하며, 모든 사람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 과학 기술 교과는 개발과 연구 장려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 특별히 배려한다.
  • 예술과 문학은 필리핀 문화의 보호와 강화를 고려해야 하는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 스포츠 교과는 특정 분야로 다루어진다. 일반 시민은 정신적으로 강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도 강해야 한다.

4. 15. 제15조 가족

필리핀 헌법 제15조는 필리핀 가족을 국가의 기본 토대로 인정하고, 국가가 가족의 연대성을 강화하고 발전을 꾸준히 증진하도록 규정한다.[11][39] 이와 함께 다음과 같은 중요한 조항을 명시한다.

  • 결혼은 가족의 기초로 인정되며 불가침의 제도이므로 국가는 이를 보호해야 한다.
  • 모든 필리핀 가족에게 국민의 복지와 사회 보장을 보장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 책임 있는 부모로서 종교적 신념에 따라 가정을 이룰 배우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
  • 모든 필리핀 아동의 권리를 인정하고 보호해야 한다.

4. 16. 제16조 일반 조항

국기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필리핀군과 경찰(현재는 필리핀 국가 경찰)의 창설, 대중 매체 및 광고 산업의 규제, 주권 면제의 원칙 등과 같은 여러 일반 조항을 포함한다.[11]

4. 17. 제17조 개정

헌법의 수정 및 개정은 다음 방법에 의해 제안될 수 있다.[11][39]

  • 국회의원 전체의 4분의 3 찬성 (제헌 의회)
  • 제헌 회의
  • 모든 등록 유권자의 최소 12%와 각 구역 내 등록 유권자의 최소 3%의 청원 (국민 발의)


모든 수정안은 전국적인 국민 투표에서 비준되어야 한다.

4. 18. 제18조 임시 조항

새 헌법으로의 원활한 전환을 위해 다음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는 새로운 국회의 첫 번째 의원, 대통령부통령 선거를 지시하는 조항, 현재의 법원과 판사의 임기를 명시하는 조항, 정부 주요 구성원의 초기 급여를 명시하는 조항, 새로 선출된 국회가 이러한 과도 조항에 의해 설정된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법률을 통과시키도록 의무화하는 조항, 그리고 이전의 조약, 법률, 명령 및 기타 문서에 대한 유예 기간 및 제한을 정의하는 조항이 포함된다.[11][39]

5. 과거의 헌법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축출된 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국민의 개혁 요구를 수용하고 기본권을 보장하며 헌법 개정을 통해 새 정부로 질서 있게 이양할 것을 공표했다. 아키노 대통령은 1973년 마르코스 헌법을 대체할 헌법위원회를 구성하고, 전 국회의원, 전 대법원장, 기독교 주교, 영화 감독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50명의 위원을 임명했다. 특히 마르코스 축출 전까지 노동부 장관이었던 블라스 오플레도 포함되었다. 위원회는 세실리아 무뇨스 팔마 전 대법원장을 의장으로 선출했다.

위원회는 4개월 만에 헌장 초안을 완성했지만, 사형제, 미군 기지 임대, 경제 정책 등 여러 안건에 대해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일부 위원은 회기 도중 사퇴하거나 최종안에 반대했다. 1986년 10월 12일, 위원회는 헌법 초안을 완성하여 아키노 대통령에게 제출했다.

1987년 2월 2일 전국적인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이 비준되었다. 76.37%의 유권자가 찬성했고, 22.65%가 반대했다. 1987년 2월 11일, 새 헌법이 공표되었고, 아키노 대통령과 정부는 대통령 선서를 통해 헌법을 비준했다.

헌법은 노동을 "주요 사회 경제적 힘"으로 확인하고(제14조, 제2조), "수정에서부터 태어나지 않은 아이의 생명과 어머니의 생명"을 동등하게 보호하며(제12조, 제2조), "필리핀 가족을 국가의 기초"로 삼고(제15조, 제1조), 필리핀어를 "필리핀의 국어"로 인정하는(제14조, 제6조) 등 다양한 국가 정책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항들이 자체적으로 집행 가능한 권리의 원천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대법원은 "공무에 대한 동등한 접근 기회 보장" 조항은 시행 법률 없이는 집행될 수 없다고 판결했지만,[17] "균형 있고 건강한 생태에 대한 국민의 권리 보호" 조항은 시행 법률 없이도 효력이 있다고 판결했다.[18]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에드사 혁명으로 임명된 대통령으로서, 1935년 헌법 복원, 1973년 헌법 유지 및 개정, 새 헌법 채택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아키노 대통령은 1986년 3월 25일 포고령 제3호를 통해 새 헌법 초안을 결정하고, 단원제총리 직, 대통령 입법권 등 1973년 헌법의 많은 규정을 폐지했다. 이 헌법은 "자유 헌법"으로 불리며,[32] 민주주의와 인민의 자유를 보장하는 과도기적 헌법으로 기능했다.

헌법 제정 위원회는 아키노 대통령이 임명한 48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직 필리핀 하원 의원, 대법원 판사, 로마 가톨릭 주교, 마르코스 정권 반대 정치 활동가 등이 포함되었다. 아키노 대통령은 세실리아 무뇨스 팔마 전 대법원 부장판사를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위원회는 정부 형태, 사형제, 미군 기지 유지, 경제 정책 통합 등 여러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영화감독이자 정치 활동가인 리노 브로카는 항의하며 사임했고, 다른 대표 두 명은 최종안에 이의를 제기했다. 위원회는 1986년 10월 12일 최종안을 완성하여 10월 15일 아키노 대통령에게 제출했고, 1987년 2월 2일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

헌법은 행정, 입법부, 사법의 세 부문을 규정했다. 행정부는 대통령과 각료들이 이끌며, 계엄령 선포 시 필리핀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 있다.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할 수 있지만, 60일 이내에 해제되어야 하며, 의회는 이를 거부하거나 연장할 수 있다.

대법원은 계엄령 선포의 근거를 재검토하고, 입법부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다. 24명의 상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하원 의원이 있으며, 정당 명부 방식으로 대표를 선출하는 공동체를 위한 기회도 마련되었다. 사법부는 대법원과 하급심으로 구성되며, 대법원은 조약 및 정부 포고령의 합헌성에 대한 사례를 청취하고 하급 법원의 기능을 관리한다.

헌법은 민간 위원회, 선거에 관한 위원회, 감사에 관한 위원회라는 세 개의 독립적인 헌법 제정 위원회를 만들었다. 또한 정부의 도덕적이고 적법한 행위를 추진하는 옴부즈맨(Ombudsman) 사무소 창설의 기초를 닦았다.[33] 헌법은 전문과 조마다 번호가 재설정되는 절로 구성된 18개 조로 구성된다.[38]

5. 1. 1897년 비아크나바토 헌법

카티푸난 혁명의 결과, 1897년 3월 22일 카비테주 산프란시스코 데 말라본에서 테헤로스 회의가 소집되었다. 이 회의에서 필리핀 역사상 최초의 대통령과 부통령이 선출되었지만, 카티푸난 회원만 참석하여 대표성을 가지지 못했다.[63] 이후 1897년 11월 1일 비아크나바토에서 혁명정부 회의가 열리면서 비아크나바토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이 공화국의 헌법은 이사벨로 아르타초와 펠리스 페레르가 초안을 작성했으며, "필리핀 공화국 임시 헌법"으로 알려졌다. 이 헌법은 원래 스페인어타갈로그어로 쓰여져 공표되었다.[63]

비아크나바토 헌법은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정부 기관을 구성했다.[22][23]

  • (1) 최고 위원회: 대통령과 내무, 외무, 재무, 전쟁의 4개 부처 장관이 이끄는 공화국의 권한을 위임받았다.
  • (2) 호의와 정의 최고 위원회(Consejo Supremo de Garcia Y Justicia): 다른 법원의 판결을 만들고, 유효하게 하고, 반박하며, 정의의 집행을 위한 규칙을 명령할 권한을 가졌다.
  • (3) 대표자 회의(Asamblea de Representantes): 혁명 이후에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고 새로운 정부 위원회와 국민 대표를 선출하기 위해 소집되었다.


비아크나바토 헌법은 비아크나바토 조약으로 인해 완전히 시행되지 못하고 효력을 잃었다.[22][23]

필리핀의 역사적 헌법[19]
시행 기간헌법역사적 시대정부 형태공포 기관비준수정안
1897년 11월 1일 – 1897년 12월 14일비악나바토 헌법 비악나바토 공화국사실상 입헌 공화국카티푸난, 헌법 의회 역할 수행, 이사벨로 아르타초(Isabelo Artacho)와 펠릭스 페레르(Félix Ferrer)가 작성1897년 11월 15일 에밀리오 아기날도 대통령과 헌법 의회 의원 55명이 비준style="background: #fcc"|



비악나바토 국립공원 기념관

5. 2. 1899년 말롤로스 헌법

말롤로스 헌법은 1899년 제정된 필리핀 제1공화국의 기본법으로,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 헌법이다.[64] 펠리페 칼데론 이 로카와 펠리페 부엔카미노가 초안을 작성했으며, 1899년 1월 21일에 제정되었다.

{| class="wikitable"

|+ 필리핀의 역사적 헌법[19]

|-

! 시행 기간 !! 헌법 !! 역사적 시대 !! 정부 형태 !! 공포 기관 || 비준 || 수정안

|-

| 1899년 1월 23일 – 1901년 3월 23일

| 말롤로스 헌법

| 제1필리핀 공화국

| 단일 의원 내각제 입헌 공화국

| 말롤로스 의회

| 1899년 헌법 국민투표

선택득표수%
찬성98100
반대00
무효/기권
총계98100
출처: 제1필리핀 공화국의 법률(말롤로스 법률) 1898–1899



|

|}

이 헌법은 스페인 헌법 (1812년)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벨기에, 멕시코, 브라질,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과테말라의 헌장과 프랑스 헌법 (1793년)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1896년 에밀리오 하신토가 작성한 카티푸난의 법률 및 도덕 헌장인 Kartilya와 Sanggunian-Hukuman, 이사벨로 아르타초가 1897년에 계획한 비악나바토 헌법, 1898년 마비니의 필리핀 공화국 헌법 프로그램, 스페인 헌법을 따른 1898년 마리아노 폰스의 임시 헌법, 그리고 1898년 파테르노의 자치 프로젝트에서 영향을 받았다.

말롤로스 헌법은 주권이 국민에게 전적으로 있다고 선언하고, 기본 시민권을 명시했으며, 교회와 국가를 분리하고, 입법 기관으로 기능할 대표자 회의의 창설을 요구했다. 또한 의원 내각제를 정부 형태로 요구했으며, 대통령은 회의의 과반수 득표로 4년 임기로 선출되었다.[25] 헌법은 "정치 헌법(Constitución política)"이라는 제목으로,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 선언 이후 스페인어로 작성되었으며,[26] 말롤로 의회에 의해 제정 및 비준되었다.[27][28]

전문은 다음과 같다.

Nosotros los Representantes del Pueblo Filipino, convocados legítimamente para establecer la justicia, proveer a la defensa común, promover el bien general y asegurar los beneficios de la libertad, implorando el auxilio del Soberano Legislador del Universo para alcanzar estos fines, hemos votado, decretado y sancionado la siguiente:|우리 필리핀 국민의 대표들은 정의를 확립하고, 공동 방어를 제공하며, 일반 복지를 증진하고, 자유의 혜택을 보장하기 위해 정당하게 소집되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주의 주권 입법자의 도움을 간청하며, 다음을 투표하고, 결정하고, 승인했다.es

5. 3. 미국 의회 법률(1902-1934)

1902년 필리핀 유기법(Philippine Organic Act of 1902)은 "1902년 필리핀 법안" 또는 "쿠퍼 법"으로도 알려졌으며, 미국 의회에서 제정된 필리핀 제도에 대한 최초의 유기법이었다. 이 법은 민선 필리핀 의회의 창설을 규정하고, 입법권은 태프트 위원회(Taft Commission)(상원)와 필리핀 의회(하원)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부에 부여된다고 명시했다. 주요 조항에는 필리핀인에 대한 권리 장전과 미국 하원에서 필리핀을 대표하는 투표권 없는 두 명의 필리핀 필리핀 거주 위원의 임명이 포함되었다.[19]

1916년 필리핀 자치법은 "존스 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원을 필리핀 유권자가 선출하도록 함으로써 필리핀 정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필리핀 위원회를 입법 상원으로 폐지하고, 필리핀 최초의 완전 선출된 국회를 만들었다. 이 법은 또한 안정적인 정부가 수립될 수 있는 즉시 필리핀 제도에 대한 미국의 주권을 포기하고 필리핀 독립을 인정하는 것이 미국의 국민의 목적이었으며 항상 그래왔음을 명시적으로 밝혔다.[19]

1934년의 타이딩스-맥더피 법은 헌법 자체는 아니었지만, 자치를 규정하고, 공식적인 헌법 제정을 위한 요건을 명시했으며, 제헌 의회를 통해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절차를 규정했다.[19]

5. 4. 1935년 헌법

1935년 헌법은 1934년에 제정되어 필리핀 자치령(1935–1946)에 의해 승인 및 채택되었으며, 이후 필리핀 제3공화국(1946–1972)에서도 사용되었다. 이 헌법은 필리핀의 독립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작성되었다.[19]

이 헌법은 미국 헌법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말롤로스 헌법, 독일, 스페인, 멕시코 헌법, 여러 남아메리카 국가의 헌법, 그리고 영국의 불문헌법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1935년 헌법은 원래 단원제 입법부를 규정했지만, 1940년 헌법 개정을 통해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부로 변경되었다. 대통령은 재선 없이 6년 임기였으나, 개정을 통해 4년 임기로 변경되었고 1회 재선이 가능하게 되었다. 21세 이상이고 읽고 쓸 수 있는 필리핀 남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으며, 헌법 채택 2년 후 여성에게도 선거권이 확대되었다.

헌법 초안은 1935년 2월 8일 헌법 회의에서 승인되었고, 1935년 3월 25일 워싱턴 D.C.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비준하였다. 1935년 9월 16일에는 선거가 실시되어 마누엘 L. 케손이 필리핀 자치령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71년, 1935년 헌법을 개정하기 위한 헌법 회의가 소집되었다. 그러나 이 회의는 뇌물 수수와 부패로 논란이 되었다. 가장 큰 논란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3선에 도전할 수 있도록 대통령 임기 제한을 없애는 것이었는데, 많은 사람들은 이것이 회의 소집의 உண்மையான 이유라고 생각했다. 결국 1935년 헌법은 1972년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와 함께 효력이 중단되었다.

5. 5. 1943년 헌법

호세 P. 라렐 제2공화국 대통령이 1943년 헌법을 승인하기 위해 구 입법부 건물에서 국민 의회에 연설하고 있다.


1943년 헌법은 필리핀 행정 위원회에서 임명한 위원회에 의해 초안이 작성되었다. 이 위원회는 일본이 필리핀 연방을 대신하여 필리핀을 통치하기 위해 설립한 기구였으며, 필리핀 연방은 망명 정부를 수립했었다. 1942년 중반, 일본 총리 도조 히데키는 필리핀인들에게 "독립의 영예"를 약속했는데, 이는 위원회가 정식 공화국으로 대체될 것을 의미했다.

새로운 헌법 초안을 작성하기 위해 구성된 필리핀 독립 준비 위원회는 전후 국민 의회의 구성원과 1935년 헌법을 초안했던 제헌 의회 대표의 경험이 있는 개인들로 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일본 점령하에 수립될 공화국에 대한 그들의 초안은 기간이 제한적이며, 직접 선거 대신 간접 선거를 제공하고, 더욱 강력한 행정부를 규정했다.[19]

위원회의 초안 승인 후, 새로운 헌장은 일본이 이전의 모든 정당을 대체하기 위해 설립한 파시즘 정당인 KALIBAPI의 임명된 지방 대표들의 회의에서 1943년에 비준되었다. 칼리바피 회의의 비준에 따라 필리핀 제2공화국(1943–1945)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호세 P. 라렐은 국민 의회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43년 10월 14일에 취임했다. 라렐은 필리핀을 통치하는 미국의 방식을 공개적으로 비판했고 도쿄 제국 대학 학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20]

1943년 헌법은 일본이 통제하는 필리핀 지역에서 효력을 유지했지만, 미국, 필리핀 연방 정부 또는 그들에게 충성하는 게릴라 조직은 이를 합법적이거나 구속력이 있는 것으로 결코 인정하지 않았다. 1944년 말, 라렐 대통령은 미국과 영국 제국에 선전 포고를 하고 계엄령을 선포하여 사실상 칙령으로 통치했다. 그의 정부는 1944년 12월에 타이완으로, 그리고 일본으로 망명했다. 일본의 항복 발표 후, 라렐은 제2공화국을 공식적으로 해산했다.

1943년 헌법은 강력한 행정 권한을 규정했다. 입법부는 단원제 국민 의회로 구성되었으며, 반미주의자로 간주되는 사람들만 선거에 출마할 수 있었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입법자가 선출되기보다는 임명되었다.

1960년대까지, 제2공화국과 그 관료들은 제2공화국 시대 대법원의 판결을 제외하고는 합법적인 필리핀 정부로 간주되지 않았으며, 형사 및 상업 사건에 대한 검토로 제한되었고, 호세 율로 대법원장의 재량 정책의 일부로서 공식 기록의 일부로 계속 남아 있었다. 이는 망명 중인 연방 정부가 대법원을 구성하지 않았고, 일본에 의한 호세 아바드 산토스의 처형으로 연방 대법원장 직위가 공식적으로 공석이었기 때문에 더욱 쉬웠다. 일본 시대 공화국에 대한 부분적인 정치적 재활은 마카파갈 행정부에서야 이루어졌으며, 라렐을 전 대통령으로 공식 인정하고 그의 내각 및 기타 관료를 과거 정부 관료 명단에 추가했다. 그러나 1943년 헌법은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았고, 1943–44년 국민 의회의 법률은 유효하거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결코 인정되지 않았다.

5. 6. 1973년 헌법

1973년 헌법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 이후 공포되었으며, 의원내각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9] 입법권은 6년 임기의 의원들로 구성된 단원제 국민 의회에 부여되었다. 대통령은 6년 임기로 국민 의회 의원 중에서 선출되는 상징적이고 의례적인 국가 원수였으며, 임기 제한 없이 재선될 수 있었다. 대통령은 선출되면 국민 의회의 의원 자격을 상실했다. 재임 기간 동안 대통령은 정당의 구성원이 되거나 다른 직책을 맡을 수 없었다.[19]

행정권은 현직 국회의원 중에서 선출된 총리가 행사하도록 되어 있었다. 총리는 정부 수반이자 군대총사령관이 되어야 했다.[19] 이 헌법은 이후 4번 개정되었다(1986년 선포령 제3호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5번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19]

1976년 10월 16일부터 17일까지, 다수의 바랑가이 투표자(일명 "시민 회의")는 계엄령을 유지하고 마르코스 대통령이 제안한 헌법 개정을 비준하는 데 찬성했다.[30][31]

1976년 개정안은 다음을 규정했다.[19]

  • 임시 국민 의회를 대체하는 임시 바타상 팜반사 (IBP)
  • 대통령이 총리가 되어 계엄령이 해제될 때까지 입법 권한을 계속 행사하도록 함.


제6차 개정안은 대통령에게 "비상 사태"를 근거로 독자적으로 입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19]

> 대통령의 판단에 따라 심각한 비상 사태 또는 그 위협이 존재하거나 임박한 경우, 또는 임시 바타상 팜반사 또는 정규 국민 의회가 어떤 이유로든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문제에 대해 적절하게 조치를 취하지 못하거나 조치를 취할 수 없는 경우, 대통령은 그 필요에 따라 필요에 따라 법의 일부가 되는 필요한 법령, 명령 또는 지시서를 발급할 수 있다.

1973년 헌법은 1980년과 1981년에 추가로 개정되었다. 1980년 개정에서 사법부 구성원의 정년이 70세로 연장되었다. 1981년 개정에서 의원내각제는 공식적으로 프랑스 스타일의 이원집정부제로 수정되었으며, 다음을 규정했다.[19]

  • 행정 권한을 대통령에게 복원함
  • 대통령의 직접 선거를 복원함
  • 총리와 14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된 행정 위원회를 설치하여 "대통령이 권한과 기능을 행사하고 대통령이 규정할 수 있는 임무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도록 함. 총리는 단순한 내각 수반이었음
  • 선거 개혁과 시민권을 상실한 필리핀 출생 시민이 거주지 사용을 위해 개인 토지를 양도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


1984년 마지막 개정에서는 행정 위원회가 폐지되고 부통령 직책이 부활했다(원래의 개정되지 않은 1973년 헌법에는 존재하지 않았음).[19]

1973년 헌법은 이상적으로 진정한 의원내각제를 규정했지만, 실제로 마르코스는 의회와 총리가 이끄는 내각에 권한을 위임하기보다는 집행 권한을 유지하기 위해 속임수와 조작을 사용했다. 그 결과, 모든 개정과 미묘한 조작을 거친 후 1973년 헌법의 최종 형태는 상원의 폐지와 일련의 겉치레적인 재작성에 불과했다. 오래된 미국식 용어는 의원내각제와 더 관련된 이름으로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하원은 "바타상 팜반사"(국민 의회)로 알려지게 되었고, 부서는 "부처"가 되었으며, 그 내각 비서는 "내각 장관"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대통령의 비서인 행정 비서는 이제 "총리"로 불리게 되었다. 마르코스가 주장한 의원내각제는 실제로는 모든 실질적인 권한이 대통령의 손에 집중되어 있지만 그러한 권한이 이제 헌법적이라는 전제하에 권위주의적인 대통령제로 기능했다.[19]

5. 7. 1986년 자유 헌법

1986년 민주화 운동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물러난 직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임시 헌법인 포고령 제3호를 발표했다. 이 헌법은 1973년 헌법의 일부 조항을 유지하면서 다른 조항들을 폐지했다. 특히, 대통령에게 정부를 개편하고 공무원을 해임할 수 있는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했으며, 새 헌법 초안을 작성할 위원회를 임명하도록 규정했다.

이 임시 헌법은 1987년 새 헌법 비준 전까지 1년 동안 효력을 가졌으며, '자유 헌법'이라고 불렸다. 민주주의와 국민의 자유를 보장하고 권력의 질서 있는 이양을 위한 과도기적 기본 법률로 기능했다. 또한, 대통령이 포고령으로 통치할 수 있는 권한을 일부 수정하여 포함하는 등 1973년 헌법의 여러 조항을 유지했다.

헌법 위원회는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이 임명한 48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는 전직 필리핀 하원 의원, 전직 필리핀 대법원 재판관, 가톨릭 주교, 마르코스 정권에 반대하는 정치 운동가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물들이 포함되었다. 아키노 대통령은 전직 필리핀 대법원 부장판사였던 세실리아 무뇨스-팔마를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6. 1987년 헌법 개정 시도

코라손 아키노 정부 이후, 여러 정부에서 1987년 헌법을 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정치적 논란 등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


  • 1995년, 당시 국가 안보 위원회 장관 호세 알몬테가 헌법 초안을 작성했지만, 여러 비정부 기구들이 국민의 이익 보호와 관련된 잠재적 변화를 우려하여 언론에 공개하면서 완료되지 못했다.

  • 1997년, 페드로사 부부는 PIRMA라는 단체를 만들어 유권자 서명을 수집하는 방식으로 국민 발의를 통해 헌법을 변경하려 했다. 그러나 미리암 디펜서 산티아고 상원의원을 포함한 많은 저명 인사들이 반대했고, 이 문제는 대법원까지 올라갔다. 대법원은 국민 발의가 진행되려면 이를 가능하게 하는 법률이 필요하다고 판결하며 발의를 중단시켰다.[4]

  • 조셉 에제르시토 에스트라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헌법의 경제 및 사법 조항과 관련한 헌장 변경 가능성에 대한 연구 위원회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 시도는 발의자의 개인적 이익에 봉사하려는 시도라는 점이 분명해지면서, 다양한 단체들의 반대로 인해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정부는 헌법 의회를 통한 헌법 변경을 지지했으며, 당시 하원 의장 호세 데 베네시아가 이를 주도했다. 그러나 아로요 행정부를 둘러싼 정치적 논란(임기 연장 가능성을 포함)으로 인해, 이 제안은 대법원에 의해 거부되었다.[5]

  •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당시 하원 의장 펠리시아노 벨몬테 주니어는 경제 자유화를 목표로 하는 헌법 수정안을 도입하려 했지만, 이 노력은 성공하지 못했다.[6]

  • 로베르토 두테르테 대통령은 국가에 연방주의를 시행할 가능성을 감독했다.[7] 그는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2016년 12월 7일 행정 명령 제10호에 서명하여 1987년 헌법을 검토하는 자문위원회를 만들었다.

  •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 취임 1년 후, 그의 사촌인 마틴 로물데스 하원 의장은 2023년 12월 11일 경제 포럼에서 하원 의원들이 외국인 투자자에게 개방할 수 있는 경제 부문을 규제하기 위해 1987년 헌장을 변경하려는 노력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에는 국민 발의를 통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법률 전문가 마이클 헨리 유싱코는 로물데스가 헌법 개정에 대한 명확한 대중의 지지를 보여야 하며, 그러한 증거가 없다면 이전과 마찬가지로 계획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논평했다.[8][9]

참조

[1] 문서 De Leon v. Esguerra, G.R. no. 78059
[2] 웹사이트 1986 Provisional (Freedom)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http://chanrobles.co[...] 2019-12-03
[3] 서적 Readings in Philippine History Rex Book Store, Inc.
[4] 웹사이트 G.R. No. 127325 https://www.lawphil.[...] 2019-11-17
[5] 간행물 The Role of Philippine Courts in Establishing the Environmental Rule of Law https://elr.info/new[...] 2020-12-30
[6] 웹사이트 Changing the constitution https://www.iper.org[...] 2019-11-17
[7] 뉴스 Duterte: Federalism allows regions to keep most of their income http://www.rappler.c[...] 2019-11-17
[8] 뉴스 Congress renews push for Charter amendments on economic provisions https://malaya.com.p[...] 2023-12-12
[9] 뉴스 House to revive push to amend 1987 Charter — Speaker https://www.bworldon[...]
[10] 웹사이트 Structure of the 1987 Constitution https://www.official[...] 2019-12-03
[11]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Preamble https://www.official[...] 2020-05-22
[12]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2019-01-05
[13]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2019-01-05
[14]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2019-01-05
[15]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2019-01-05
[16]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2019-01-05
[17] 웹사이트 Pamatong vs. Comelec (G.R. No. 161872) http://www.supremeco[...]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2007-06-09
[18] 웹사이트 Oposa et al. v. Fulgencio (G.R. No. 101083) http://www.lawphil.n[...]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requoted by Lawphil.net) 2007-06-09
[19] 웹사이트 Chronology of Philippine Constitution https://www.official[...]
[20]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Second Philippine Republic http://malacanang.go[...] 2020-06-20
[21] 뉴스 Judicial activist faces 'Don Quixote of federalism' https://news.abs-cbn[...]
[22] 웹사이트 Cuban Constitutionalism and Rights: An Overview of the Constitutions of 1901 and 1940 https://www.ascecuba[...] 2019-12-03
[23] 웹사이트 1897 Biac-na-Bato Constitution http://www.thecorpus[...] "[www.thecorpusjuris.com The Corpus Juris]" 2009-01-25
[24]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5] 서적 The laws of the first Philippine Republic (the laws of Malolos) 1898–1899. http://quod.lib.umic[...]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2008-03-26
[26] Harvnb
[27] Harvnb
[28] Harvnb
[29] 문서 On December 10, 1898, the Treaty of Paris transferred sovereignty from Spain to the United States. On March 24, 1934, the United States passed the Tydings–McDuffie Act that allowed the nation to have self-government through a ten-year transitional period in preparation for full independence. The United States recognized Philippine independence in the Treaty of Manila on July 4, 1946.
[30] 웹사이트 Summary: Sanidad vs. Commission on Elections (GR L-44640, 12 October 1976) http://berneguerrero[...] 2010-02-14
[31] 웹사이트 G.R. No. L-44640 October 12, 1976 http://www.lawphil.n[...]
[32] 웹사이트 1986 PROVISIONAL (FREEDOM)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http://chanrobles.co[...] 2019-12-03
[33] 서적 Readings in Philippine History Rex Book Store, Inc.
[34] 웹사이트 G.R. No. 127325 https://www.lawphil.[...] 2019-11-17
[35] 간행물 The Role of Philippine Courts in Establishing the Environmental Rule of Law https://elr.info/new[...] 2012
[36] 웹사이트 Changing the constitution https://www.iper.org[...]
[37] 뉴스 Duterte: Federalism allows regions to keep most of their income http://www.rappler.c[...] 2019-11-17
[38] 웹사이트 Structure of the 1987 Constitution https://www.official[...]
[39]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Preamble https://www.official[...]
[40] 문서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41] 문서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42] 문서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43] 문서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44] 문서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6 https://www.official[...]
[45] 웹사이트 Pamatong vs. Comelec (G.R. No. 161872) http://www.supremeco[...]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2004-04-13
[46] 웹사이트 Oposa et al. v. Fulgencio (G.R. No. 101083) http://www.lawphil.n[...]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requoted by Lawphil.net) 2007-06-09
[47] 문서 Understanding the Second Philippine Republic http://malacanang.go[...]
[48] 뉴스 Judicial activist faces 'Don Quixote of federalism' https://news.abs-cbn[...]
[49] 웹사이트 Cuban Constitutionalism and Rights: An Overview of the Constitutions of 1901 and 1940 https://www.ascecuba[...] 2019-12-03
[50] 웹사이트 1897 Biac-na-Bato Constitution http://www.thecorpus[...] '[www.thecorpusjuris.com The Corpus Juris]' 2009-01-25
[51]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52] 서적 The laws of the first Philippine Republic (the laws of Malolos) 1898–1899. http://quod.lib.umic[...]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2008-03-26
[53] Harvnb
[54] Harvnb
[55] Harvnb
[56] 문서 パリ条約 (1898年)
[57] Webarchive Summary: Sanidad vs. Commission on Elections (GR L-44640, 12 October 1976) http://berneguerrero[...] 2010-02-14
[58] 문서 G.R. No. L-44640 October 12, 1976 http://www.lawphil.n[...]
[59] 웹인용 The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www.gov.ph/th[...] 1986-10-15
[60] 웹인용 The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www.gov.ph/th[...] 1986-10-15
[61] 서적 Constitutional Law Central Lawbook Publishing Co., Inc.
[62] 서적 The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 Commentary Rex Book Store
[63] 웹인용 1897 Biac-na-Bato Constitution http://www.thecorpus[...] '[http://www.thecorpusjuris.com Corpus Juris]' 1897-11-01
[64]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books.google.[...] ABC-CLIO
[65] 문서 Treaty of Paris (18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