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지방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수 지방산은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지방산으로, 주로 오메가-3 지방산(알파-리놀렌산, EPA, DHA)과 오메가-6 지방산(리놀레산)을 포함한다. 1929년 지방의 필수성을 밝혀낸 연구를 시작으로, 1970년대 후반에는 오메가-3 지방산의 효능이 주목받았으며, 1990년대 말에 필수 지방산의 중요성이 확립되었다. 필수 지방산은 에이코사노이드, 내인성 칸나비노이드 등을 생성하고, 지질 뗏목 형성 및 DNA에 작용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식품 공급원으로는 식물성 기름, 어패류, 해조류, 견과류 등이 있으며, 오메가-3와 오메가-6의 균형 잡힌 섭취가 중요하며, 권장 섭취량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수 영양소 - 비타민
비타민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유기 미량 영양소로, 체내에서 충분히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며, 에너지 생성에는 관여하지 않지만,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작용하여 신체 기능을 조절하고, 지용성과 수용성으로 나뉘며, 결핍 시 특정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과다 섭취 시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 필수 영양소 - 리놀레산
리놀레산은 18개의 탄소 사슬과 두 개의 시스 이중 결합을 가진 필수 불포화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생합성에 사용되며 식물성 기름 등에 풍부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에 기여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 지방산 - 발레르산
발레르산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카복실산으로 불쾌한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이며, 휘발성 에스터 제조에 사용되어 향수, 화장품, 식품 등에 활용되고 발레리안 뿌리 등에서 발견된다. - 지방산 - 아라키드산
아라키드산은 탄소 20개로 이루어진 포화 지방산으로, 땅콩 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 내에서 세포막 구성, 신호 전달 물질의 전구체,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에 관여하고, 제약 산업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체로 사용되는 경제적 가치가 높은 물질이다.
필수 지방산 | |
---|---|
개요 | |
종류 | 지방산 |
생체 내 역할 | 생리 활성 물질, 세포막 구성 성분, 에너지원 |
결핍 시 증상 | 성장 부진, 피부 문제, 면역력 저하 |
상세 정보 | |
정의 |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지방산으로, 체내에서 충분히 합성되지 않아 반드시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함. |
종류 | 리놀레산 (ω-6 지방산) 알파-리놀렌산 (ω-3 지방산) |
섭취 방법 | 식품 (식물성 기름, 생선 등)을 통해 섭취 |
기타 지방산 | 오메가-7 지방산, 오메가-9 지방산 (필수 지방산은 아님) |
역사 | |
발견 | 1929년 조지 오스왈드 버와 밀드레드 머틀 버에 의해 발견 |
연구 | 필수 지방산 결핍이 생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화학 | |
인체 내 역할 | 에이코사노이드의 전구체 세포막의 구성 성분 지용성 비타민 흡수 촉진 뇌 기능 유지 면역 기능 조절 |
대사 | Δ6-불포화효소에 의해 아라키돈산 (ω-6), 에이코사펜타엔산 (ω-3) 등으로 전환 |
결핍 | 필수 지방산 결핍증 유발 성장 지연, 피부염, 신경학적 문제 등 |
영양 | |
주요 공급원 | 식물성 기름 (해바라기씨유, 콩기름, 아마씨유 등) 생선 (연어, 참치, 고등어 등) 견과류 (호두, 아몬드 등) |
권장 섭취량 | 개인의 건강 상태, 연령, 성별에 따라 다름. |
과다 섭취 | 특정 오메가-6 지방산 과다 섭취 시 염증 반응 증가 우려 |
참고 | |
관련 질병 | 심혈관 질환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
같이 보기 | 불포화 지방산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6 지방산 오메가-9 지방산 |
2. 역사
20세기 전반까지 지방은 필수 영양소로 여겨지지 않았다.[35] 필수 지방산은 특정 물질로 밝혀지기 전에는 비타민 F로 추정되었다.
1929년, 미네소타 대학교의 식물 생리학자 조지 오즈월드 버(George Oswald Burr)는 쥐 실험을 통해 지방이 없는 식단이 결핍 증상을 유발하며, ω-6계 다가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이 증상을 회복시킨다는 것을 발견하고 필수 영양소로 보고했다.[35] 1940년대에 리놀레산이 필수 지방산으로 밝혀졌다.[35] 1938년 사람 대상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1968년 장기 실험을 거쳐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사람에게도 리놀레산이 필수 영양소라는 것이 확실시되었다.[35]
1931년, 조지 오즈월드 버는 ω-3계 α-리놀렌산이 쥐에게서 합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고하고, 이 역시 필수 지방산이라고 결론 내렸다.[35] 그러나 α-리놀렌산은 리놀레산과의 경쟁적인 결과 때문에 오랫동안 확실하게 인정받지 못했다.[35] 1953년, 돼지 뇌에서 DHA가 생성되었고, 1960년에는 α-리놀렌산이 DHA로 변환되는 대사 경로가 발견되었다.[35] DHA는 신경 전달에 중요하며 망막에서도 발견되었고, EPA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로 변환된다는 사실도 보고되었지만, 1970년대 초까지 ω-3 지방산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35]
1976년, 커스버튼(Cuthberton)은 분유의 필요 성분으로 리놀레산만 필수적이라고 주장했지만, 크로포드(Crawford)가 이의를 제기했다. 1978년에는 세계 보건 기구(WHO)와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가 지방에 관한 전문 회의에서 α-리놀렌산의 필수성을 확정했다.[46] 1982년, 랄프 홀먼(Ralph Holman)은 α-리놀렌산 섭취 증가가 혈중 DHA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하고, 사람에게 α-리놀렌산이 필수적임을 뒷받침했다.[35]
1978년, DHA와 EPA가 풍부한 해양성 지질 섭취가 많은 그린란드의 이누이트에게서 심근 경색 발생률이 낮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ω-3 지방산이 지질 연구의 중요한 주제로 떠올랐다.[35] 초기에는 혈전 형성을 억제하는 EPA에 주목했지만, 이후 신경계에 중요한 DHA로 관심이 이동했고, 1990년대 말에는 ω-3 지방산이 필수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35] DHA는 신경계에 관여하고, 인간 유아의 시력 및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35]
1994년, 세계 보건 기구는 "인간 영양학에서의 지방과 오일"(Fats and oils in human nutrition)에서 필수 지방산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적절한 비율을 언급했지만, 구체적인 필요량까지는 언급하지 않았다.[36]
2. 1. 한국 관련 역사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등푸른 생선, 들기름 등을 통해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해왔으나,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으로 오메가-6 지방산 섭취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오메가-3 지방산 섭취를 늘리고 오메가-6 지방산과의 균형을 맞추는 식습관 개선을 강조하고 있다.3. 생화학
인체는 Δ12-지방산 불포화효소와 Δ15-지방산 불포화효소가 없기 때문에 리놀레산(ω-6)과 α-리놀렌산(ω-3)을 합성할 수 없다.[48] ω-9 지방산은 스테아르산으로부터 올레산으로 합성 가능하므로 필수 지방산이 아니다.
사람을 포함한 후생동물은 다음과 같은 지방산 생합성 경로를 가진다.[37]
4. 기능
필수 지방산은 신체에서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식단 내 ω-3와 ω-6의 균형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다음 물질을 생성하기 위해 변형된다.
- 전형적인 에이코사노이드 (염증 및 기타 여러 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침)
- 내인성 칸나비노이드 (기분, 행동 및 염증에 영향을 미침)
- ω-6 EFA와 레졸빈에서 리폭시게나제 경로를 통해 형성된 에이코사노이드 유도체 그룹인 리폭신 (아세틸살리실산 존재 하에 염증을 감소시킴)
- 아이소퓨란, 뉴로퓨란, 아이소프로스테인, 헤폭실린,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에노산 (EETs) 및 뉴로프로텍틴 D
- 지질 뗏목을 형성한다(세포 신호 전달에 영향)[8]
- DNA에 작용한다(전사 인자, 즉 NF-κB와 같은 전사 인자를 활성화 또는 억제하며, 이는 염증 유발 사이토킨 생성과 관련됨)[9]
5. 명명법
지방산은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과 한쪽 끝에 카복실기(–COOH)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쪽 끝은 메틸기(–CH3)로 끝을 맺는다. 카복실기 옆의 탄소는 α로, 그 다음 탄소는 β로, 그 다음은 γ로 표시한다. 생물학적 지방산은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마지막 위치는 종종 그리스 문자의 마지막 글자인 "ω"로 표시된다.
''ω−x''라는 표현에서 빼기 기호는 뺄셈을 나타내며, 사슬의 말단(ω)에서 첫 번째 불포화 탄소-탄소 결합이 나타나는 위치까지의 탄소 수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탄소 수와 이중 결합 수도 불포화 지방산에 대한 간략한 설명에 나열된다. 예를 들어, ω−3 18:4, 또는 18:4 ω−3, 또는 18:4 n−3는 스테아리돈산을 나타내며, 스테아리돈산은 18개의 탄소 사슬에 4개의 이중 결합이 있고, CH3 말단에서 세 번째와 네 번째 탄소 원자 사이에 이중 결합이 있다. 이중 결합은 기하 이성질체 시스 형태이며,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단일 메틸렌(CH2) 그룹으로 분리된다.
6. 종류
필수 지방산에는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이 있다.
- 오메가-3 지방산:
- 알파-리놀렌산(ALA)
- 에이코사펜타엔산(EPA)
- 도코사헥사엔산(DHA)
- 오메가-6 지방산:
- 리놀레산(LA)
- 감마-리놀렌산(GLA)
- 디호모-감마-리놀렌산(DGLA)
- 아라키돈산(AA)
탄소 사슬 길이에 따라 단쇄 불포화 지방산(SC-PUFA)과 장쇄 다불포화 지방산(LC-PUFA)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0]
7. 식이 섭취
포유류는 탄소 9번과 10번 이후의 지방산에 이중 결합을 도입하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오메가-6 리놀레산(LA)과 오메가-3 α-리놀렌산(ALA)은 식단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11][12] 그러나 인간은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을 더 긴 탄소 사슬과 더 많은 이중 결합을 가진 지방산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인간은 리놀레산으로부터 아라키돈산(AA)을 합성할 수 있으며, 아라키돈산은 다시 더 긴 지방산인 도코사펜타에노산(DPA)으로 전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α-리놀렌산은 도코사헥사엔산(DHA)으로 전환될 수 있지만, 이 전환은 제한적이어서 직접 섭취하는 것보다 DHA의 혈중 농도가 낮다. 이는 채식주의자와 완전 채식주의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13] 식단에 α-리놀렌산보다 리놀레산이 상대적으로 더 많으면 α-리놀렌산으로부터 DHA보다 리놀레산으로부터 DPA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미숙아는 리놀레산을 아라키돈산으로, α-리놀렌산을 DHA로 전환하는 능력이 제한적이므로, 발달 중인 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리 형성된 아라키돈산과 DHA가 필요할 수 있다. 아라키돈산과 DHA는 모유에 모두 존재하며,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과 함께 신생아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기여한다. 많은 영아용 분유에는 모유와 더 유사하게 만들기 위해 아라키돈산과 DHA가 첨가된다.
ω−6 지방산의 주요 생리적 요구 사항은 아라키돈산에 기인하며, 아라키돈산은 세포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 및 내인성 칸나비노이드 아난다미드의 주요 전구체이다.[17] ω−3 경로의 대사산물은 주로 에이코사펜타엔산에서 유래하며, 대부분 비활성이다.[18]
유럽 식품 안전청[19]의 검토 결과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의 최소 섭취량에 대한 권장 사항이 제시되었으며, 기름진 생선 섭취와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더 긴 사슬 ω−3 지방산의 섭취도 권장되었다.[20][21]
7. 1. 필수 지방산 결핍
필수 지방산 결핍증은 아연 결핍증 또는 비오틴 결핍증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한 피부염을 유발한다.[34]8. 섭취 권장량
필수 지방산의 섭취 권장량은 국가별, 기관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다.
지방산 | ISSFAL 2004[41][42] | 일본 2015[39] | 미국 2005[40] |
---|---|---|---|
ω-6 지방산 | ♂ 합계 8-11 g ♀ 합계 7-9 g | ||
리놀레산 | 4-5 g | ♂ 14-17 g ♀ 11-12 g | |
ω-3 지방산 | ♂ 합계 2.0-2.4 g ♀ 합계 1.6-1.9 g | ||
α-리놀렌산 | 2 g | ♂ 1.6 g ♀ 1.1 g | |
EPA / DHA | 0.5 g 이상 권장 |
- 국제지방산지질연구학회(ISSFAL): 2004년, 리놀레산 4~5g, α-리놀렌산 2g, EPA와 DHA 합계 500mg 이상을 섭취하도록 권장했다.
- 일본: 2015년, 리놀레산 7~8g, α-리놀렌산 1.6~2.4g, EPA와 DHA 합계 1g 이상을 섭취하도록 권장했다.
- 미국: 2005년, 오메가-3 지방산 (α-리놀렌산) 1.1~1.6g, 오메가-6 지방산 (리놀레산) 11~17g 섭취를 권장했다.
- 유럽식품안전청(EFSA): α-리놀렌산 2g, 리놀레산 10g 섭취를 권장했다.[32]
1999년 일본의 섭취 기준은 리놀레산 2.4%, α-리놀렌산 0.5~1.0%이며, DHA와 EPA는 필요량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0.5% 섭취를 권장했다.[43] 2000년에는 동물 실험에서 결핍증 예방을 위해 리놀레산을 총 에너지의 2.4%, α-리놀렌산은 0.5~1%로 설정했다. EPA와 DHA는 α-리놀렌산으로부터의 변환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를 고려하여 0.5% 정도 섭취를 권장했다.[44]
2003년 세계 보건 기구(WHO)는 ω-6 지방산 5~8%, ω-3 지방산 1~2% 섭취를 권장했다.[45]
α-리놀렌산에서 EPA나 DHA로의 전환량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다.[46] EPA 전환율은 여성이 남성의 2.5배이며, DHA는 남성 0.5%~4%, 여성 약 9%이다.[46] 임신 기간에는 합성이 더 쉽다는 가설도 있다.[46]
8. 1. 오메가-3와 오메가-6의 균형
ω-6 지방산은 염증 반응을 촉진하고, ω-3 지방산은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46] ω-6 지방산의 섭취가 증가하면 아라키돈산 합성이 증가하는데, 이는 염증 및 혈액 응고 작용을 유발한다. 반면 ω-3 지방산 섭취가 증가하면 DHA가 증가하고, 항염증 작용을 한다.[46] α-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은 같은 효소에 의해 대사되므로 서로 경쟁한다.[46] 따라서 ω-3에 대한 ω-6의 비율이 증가하면 심혈관계 질환, 골다공증, 염증, 자가면역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발병률이 높아진다.[46]21세기 초 미국의 평균적인 식단에서 ω-6 대 ω-3의 비율은 10:1로, ω-6 지방산 섭취 비율이 높은 경향이 악화되었다.[49] 이는 20세기 이후 식물성 기름이 보급되고, ω-3 지방산이 적은 종류의 식물성 기름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19세기 축산 산업 기술이 발전하면서 방목이 줄고 옥수수 사료가 늘면서, 가축의 비만이 촉진되고 포화 지방산이 많고 ω-3 지방산이 적은 가축이 사육되어, 사람들의 식단에 영향을 미쳤다.[49]
일본에서는 ω-3 지방산이 풍부한 해산물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 식품 내 ω-3 지방산과 ω-6 지방산의 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성인의 경우 식단 내 비율은 1:4, 미국은 1:8,[50] 일본 임산부의 경우 1:3으로 나타나고 있다.[51] 한국의 경우, 전통적으로 해산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하여 ω-3 지방산 섭취 비율이 높았으나,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ω-6 지방산 섭취가 늘면서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일본인의 리놀레산 섭취량은 평균 13-15g/일로 ω-6 지방산을 과도하게 섭취하고 있다. ω-6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생리 활성 물질의 과도한 생산을 막기 위해, 대표적인 ω-6 지방산인 리놀레산 섭취량을 7-8g/일로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48]
9. 식품 공급원
ω−3 지방산은 등푸른 생선(고등어, 연어, 참치 등)과 조개류, 해조류 오일, 아마 씨앗 및 아마씨 오일, 대마 씨앗, 올리브 오일, 콩기름, 카놀라(유채) 오일, 치아 씨앗, 호박 씨앗, 해바라기 씨앗, 잎채소, 호두 등에서 얻을 수 있다.[22] ω−6 지방산은 옥수수기름, 콩기름, 해바라기씨유, 참기름 등에서 얻을 수 있다.
식물성 기름에는 리놀레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지만, α-리놀렌산은 그다지 많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도 많다. α-리놀렌산이 어느 정도 함유된 것으로는 들기름, 아마씨유, 카놀라유, 대두유가 있다. 대두유는 α-리놀렌산의 8배의 리놀레산을 함유하고 있다. α-리놀렌산 하루 2g의 필요량은 카놀라유라면 하루 20g에 해당한다. 또한, 식물성 기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곡물류에는 리놀레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지만, α-리놀렌산은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다.
어유 식품, 간유, 청어, 고등어, 연어, 정어리, 대구, 남극 크릴 등의 어패류는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나 도코사헥사엔산(DHA)과 같은 ω-3 지방산이 풍부하다. 물고기나 기타 생물에 함유된 DHA의 대부분은 라비린툴라류의 한 속인 ''Schizochytrium'' 속과 같은 해산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것이 먹이 사슬 과정을 통해 농축된 것이다. 이 때문에 채식주의자를 위해 조류 유래 DHA 보충제도 판매되고 있다.
α-리놀렌산은 활엽수 잎의 틸라코이드 막 조직(광합성과 관련)에서도 얻을 수 있다.[53]。 실제로 시금치나 청경채 등 푸성귀 채소에서 α-리놀렌산이 검출되고 있다. 따라서 잎은 초식 동물에게 α-리놀렌산의 좋은 공급원이 되고 있다.
동물성 지방에도 α-리놀렌산이 함유되어 있다. 목초 등의 잎에는 미량이지만 리놀레산에 비해 α-리놀렌산이 비교적 많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목초를 사료로 먹는 방목 소나 양의 고기(머튼, 램)는 다른 고기에 비해 α-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비율이 높아지고, α-리놀렌산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곡물 사료를 많이 먹는 육우나 닭, 돼지의 고기는 다른 고기에 비해 α-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비율이 낮아진다. 현대적인 축산에서는 대부분 옥수수가 사료이기 때문에 방목 소 등에 비해 α-리놀렌산의 함유량은 적다.
10. 건강
필수 지방산은 심장 세포의 생존과 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8][29][30][31] 또한, 도코사헥사에노일 에탄올아미드(DHA-EA/시냅타미드)와 같이 신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여러 엔도카나비노이드의 발달에 필수적이다.
참조
[1]
웹사이트
Omega-3 Fatty Acids
https://ods.od.nih.g[...]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4-07-22
[2]
서적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https://archive.org/[...]
Lea and Febinger
[3]
서적
The new Oxford book of food plan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10-10-13
[4]
논문
Essential fatty acids as functional components of foods- a review
2014-10
[5]
논문
Deficiencies of essential and conditionally essential nutrients
1982-05
[6]
서적
Understanding Nutrition
Thomson Wadsworth
[7]
논문
On the nature and role of the fatty acids essential in nutrition
1930-04
[8]
논문
Docosahexaenoic acid affects cell signaling by altering lipid rafts
https://hal.archives[...]
[9]
논문
n-3 fatty acids, inflammation, and immunity--relevance to postsurgical and critically ill patients
2004-12
[10]
논문
Selection in Europeans on Fatty Acid Desaturases Associated with Dietary Changes
[11]
논문
Essential fatty acids in health and chronic disease
[12]
논문
Essential Fatty Acids: Biochemistry, Physiology and Pathology
[13]
논문
DHA Status of vegetarians
[14]
간행물
FAO/WHO Fats and fatty acids in human nutrition. Report of an expert consultation. FAO Food and Nutrition Paper 91, Rome 2011. ISSN 0254-4725
[15]
논문
Plasma lipids in human linoleic acid deficiency.
[16]
논문
Correction of the cutaneous manifestations of essential fatty acid deficiency in man by application of sunflower-seed oil to the skin.
[17]
논문
The endocannabinoid system, anandamide and the regulation of mammalian cell apoptosis
2003-08-22
[18]
서적
Molecular Basis of Human Nutrition
https://books.google[...]
Taylor Frances
[19]
논문
EFSA Scientific Opinion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fats, including saturated fatty acid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trans fatty acids and cholesterol
[20]
논문
Tissue prostaglandin levels in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patients treated with sulindac
1996-06
[21]
논문
Pathological regulation of arachidonic acid release in cystic fibrosis: the putative basic defect
1986-12
[22]
논문
Calcium metabolism, osteoporosis and essential fatty acids: a review
1997-09
[23]
Systematic review
α-Linolenic acid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12
[24]
논문
Conversion of alpha-linolenic acid to longer-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human adults
http://rnd.edpscienc[...]
2005-09
[25]
웹사이트
IUPAC Lipid Handbook
http://www.iupac.org[...]
[26]
웹사이트
Essential Fats in Food Oils
http://efaeducation.[...]
[27]
문서
Vegetable Lipids as Components of Functional Food
http://publib.upol.c[...]
[28]
논문
External blockade of the major cardiac delayed-rectifier K+ channel (Kv1.5) b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1994-03
[29]
논문
Antiarrhythmic effects of omega-3 fatty acids
2006-08
[30]
논문
"[Alpha-linolenic acid, cardiovascular disease and sudden death]"
http://www.tidsskrif[...]
2006-11
[31]
논문
"[Omega-3 and health]"
2006-09
[32]
논문
Labelling reference intake values for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2009-07-01
[33]
웹사이트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https://www.nal.usda[...]
[34]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9-01-18
[35]
논문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pronase susceptibility of the Na:K pump-associated phosphoprotein of human red blood cells
http://www.jlr.org/c[...]
[36]
간행물
Fats and oils in human nutrition
http://www.who.int/n[...]
1994
[37]
논문
脂肪酸の不飽和化と鎖長延長
https://doi.org/10.5[...]
日本油化学会
1971
[38]
웹사이트
Labelling reference intake values for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FSA
https://www.efsa.eur[...]
[39]
문서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 年版)の概要
https://www.mhlw.go.[...]
[40]
문서
DIETARY REFERENCE INTAKESFOR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https://www.nal.usda[...]
[41]
웹사이트
ISSFAL
http://www.issfal.or[...]
[42]
간행물
Recommendations for intake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healthy adults
2004
[43]
서적
第六次改定 日本人の栄養所要量―食事摂取基準
第一出版
1999
[44]
서적
脂質研究の最新情報
第一出版
2000
[45]
간행물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http://www.fao.org/d[...]
2003
[46]
논문
Update on alpha-linolenic acid
null
[47]
문서
ベジタリアンの脂肪酸不飽和化酵素遺伝子多型による脂質栄養の解析
https://kaken.nii.ac[...]
[48]
문서
I章 最新の脂質栄養を理解するための基礎 ― ω(オメガ)バランスとは?
http://www.kinjo-u.a[...]
[49]
논문
Origins and evolution of the Western diet: health implications for the 21st century
http://ajcn.nutritio[...]
[50]
논문
食物が脳の働きに影響を与えるか?:必須脂肪酸の驚くべき役割
https://ndlsearch.nd[...]
東京 : 共立出版
1990-03
[51]
논문
妊産婦の血清中脂肪酸と母乳中脂肪酸組成に関する研究 : とくに、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に関する検討
https://repository.l[...]
鳥取大学医療技術短期大学部
1996-07
[52]
문서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https://data.nal.usd[...]
[53]
논문
Growth Temperature Effects on Thylakoid Membrane Lipid and Protein Content of Pea Chloroplasts 1
http://www.pubmedcen[...]
2007-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