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헬레니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 문화를 좋아하고 지지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고대에는 외국인뿐 아니라 그리스인 애국자도 포함했으며, 파르티아와 같은 국가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근대에 들어서는 유럽의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그리스 독립 전쟁을 지지하며 필헬레니즘 운동을 펼쳤으며, 조지 고든 바이런과 같은 인물들이 참여했다. 20세기와 21세기에도 그리스 문화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필헬레네들이 존재한다.

2. 용어의 역사

필헬레네스(Φιλέλληνες, 그리스 친구)라는 용어는 주로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국적의 외국인으로, 1821년부터 그리스 독립 전쟁을 여러 방법으로 도운 사람들을 지칭한다. 필헬레네스 운동은 그리스 독립 전쟁 이전에도 존재했으며, 유럽인들의 고전 그리스에 대한 관심과 관련이 있었다. 일부는 당시 그리스인들이 고대 그리스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연구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콘스탄티노플에 살던 프랑스 상인 P.A. Guys는 1771년에 고대와 '조상들'에 대한 향수는 필요하지 않다고 썼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여전히 '후손들'을 통해 살아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시칠리아 출신의 Xavier Scrofani와 William Eton 같은 유럽의 여행가와 학자들도 현대 그리스의 독립에 관심을 가졌다. 현대 그리스인들에 대한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그리스 디아스포라였다. 또한, 러시아 제국예카테리나 2세와 그 정부는 그리스인들의 해방(그리스 계획)이라는 이념을 전파했으며, 유겐니오스 불가리스와 볼테르도 이 아이디어를 지지하고 전파했다. 볼테르는 근대 필헬레니즘의 선구자로 간주되며, 이 운동은 그의 시대에 뿌리를 두고 있다.

독일과 영국에서도 고전 그리스에 대한 관심은 18세기의 학자들과 지식인들의 연구를 통해 촉발되었으며, 그들 중 일부는 그리스에 한 번도 가지 않았지만 이탈리아를 방문하면서 그리스를 알게 되었다. 여행 문학과 1770년의 실패한 혁명(오를로프 사건)에 대한 소식은 현대 그리스와 그리스인들을 주제로 삼았으며, 이에 대한 상반된 의견들이 들리기도 했다. 자유 그리스의 아이디어를 표현한 사람들 중에는 독일 문인 J.J. 하인제(1787년)와 프리드리히 횔덜린(1797년)이 있었고, 나중에 바이런과 쉴러를 비롯한 많은 다른 필헬레네스들이 등장했다.

근대에 들어서 '필헬레네스'라는 용어는 1781년 비엔나에서 출판된 이오시포스 미시오다카스의 저서 "지리학 이론"에서 처음으로 나타났다. 그는 "스미르나, 콘스탄티노플, 테살로니키에 거주하는 모든 그리스인 학자들은 모두 영국 상인들을 통해 영국의 구면을 구입할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상인들은 상업을 목적으로 이 도시들에 거주하며 필헬레네스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결코 거부하지 않는다. 영국인들은 항상 우리에게 필헬레네스를 약속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이는 국가 외교 정책이 아닌 개인, 조직, 그룹을 포함하는 운동이었다.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의 개인 의사이자 필리키 에타이리아 회원이던 페트로스 히피티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 초기 외국에서 필헬레네스 운동을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디미트리오스 입실란티스로부터 추천서와 선언문을 받아 "다국어를 구사하고 능숙한" 인물로서, 그리스의 입장을 지지하는 외국어 팸플릿을 작성하려고 노력하면서 외국에서 그리스 독립 전쟁에 대한 도덕적 및 물질적 지원을 촉진했다.

기록된 필헬레네스의 수는 약 940명에 달하며, 출신 국가별 인원수는 다음과 같다.

국가인원
독일342명
프랑스196명
이탈리아137명
영국99명
스위스35명
폴란드30명
네덜란드벨기에17명
헝가리9명
스웨덴9명
스페인9명
덴마크8명
국적 불명33명



이들 중 3분의 1은 전투에서 사망하거나 열악한 상황이나 부상으로 사망했다(940명 중 313명). 1821-1822년 사이에는 489명이 그리스에 도착했으며, 1823-1825년 사이에는 64명으로 감소했다. 1825년 이후에는 318명이 도착했다. 첫 번째 기간에는 프랑스인이 도착자 수에서 두 번째로 많았고(71명), 두 번째 기간이 끝나기 전에도 두 번째를 기록했다. 영국인은 첫 번째 기간에 네 번째로 도착자 수가 많았지만(12명), 두 번째 기간에는 첫 번째로 증가했다. 영국 자원봉사자의 증가와 영국 정당의 우세, 그리고 영국의 그리스 문제에 대한 더 적극적인 개입이 연관되어 있다.

고대 시대에 "친그리스인"이라는 용어(, φίλος - ''philos'', "친구", "애호가" + Ἕλλην - ''Hellen'', "그리스인")[1]는 고대 그리스 문화를 좋아하는 비그리스인과 그들의 문화를 애국적으로 지지하는 그리스인 모두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리델-스코트 그리스어-영어 사전은 '친그리스인'을 "헬레네스를 좋아함, 주로 외국 왕자, 아마시스; 파르티아 왕들[...]; 또한 페라이의 제이슨과 같은 헬레네스 폭군, 그리고 일반적으로 헬레네스 (그리스) 애국자"로 정의한다.[1] 크세노폰에 따르면, 존경받는 그리스인은 또한 친그리스인이 되어야 한다.[2]

2. 1. 고대 시기

고대에 '필헬레네'(Philhellen)라는 용어는 '애국자'를 의미하기도 했다. 이런 의미의 필헬레네는 플라톤국가에 등장하며 크세노폰의 아게실라우스에 "좋은 그리스인은 필헬레네(Philhellen)이다"라는 문구로 언급되기도 했다.[30][31] 또한 필헬레네는 그리스 문화를 사랑하는 외국인이나 그리스인을 지칭하기도 했다. 헤로도토스가 이집트 왕 아마시스를 위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32] 아마시스는 그리스의 도시들에 관대했는데, 키레네로도스섬, 사모스에서 공물을 받았으며, 스파르타에 마로 만든 흉갑을 제공했고, 키레네 지역의 공주와 결혼했다. 또한 아마시스는 델포이에 있는 아폴론 신전의 건축에 기여했다.[33] 아마시오스의 친그리스 정책은 페르시아 제국의 부상과 함께 아시아에서 일어난 세계사적 변화를 자각하며 내린 선택이었다. 나우크라티스가 아마시스의 영토인 이집트에 있던 그리스 도시였기 때문에 아마시오스의 정책은 이집트의 내부 정책이기도 했다. 헤로도토스는 필헬레니즘이라는 용어를 발명한 것이 아니라 구전으로부터 이 용어를 빌렸고, 그것은 페르시아의 진격에 직면하여 고립될 지도 모른다는 그리스인들의 불안을 반영한 것이었다.[34]

기원전 4세기에 이르러 필헬레네의 범주는 바뀌기 시작했는데, 레오니다스 마노로풀로스의 분석에 따르면 이 당시 필헬레네는 그리스인이거나 그리스인, 특히 그 중에세도 아테네인이어야 했다. 이 용어는 범그리스적 관점이 담긴 여러 문헌에서 용어가 해석되는 방식인데, 이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이소크라테스의 파네기릭에서 페르시아의 진격에 저항한 사람들은 "필헬레네"들이며, 주로 아테네인들이다. 이소크라테스가 당대의 아테네 패권을 간접적으로 비판한 것은 이 때문이었다.[35] 이소크라테스의 《파나테나이코스》에서, 그는 아테네인들의 선조들의 미덕으로 그들의 필헬레니즘을 제시했는데, 이는 아테네가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 중요한 기여를 했고 아테네가 동맹 도시를 대하는 태도 때문이었으며, 반면에 스파르타인들은 오만하고 제국주의자로 평가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36]

고대 로마 때에도 그리스 문화를 동경하는 이들은 많았다. 고대 로마의 식자층들은 기원전 3세기 동안 고유의 문화에서 점점 더 헬레니즘화되었다.[5][6][7] 대표적으로 티투스 퀸크티우스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196년 코린토스에서 열린 지협 대회에 등장해 그리스 국가의 자유를 선언하였으며, 리비우스에 따르면 티투스는 그리스 문화를 대단히 숭배하는 사람으로 인식되었다고 한다.[8] 대 카토소 카토마케도니아 전쟁을 겪은 사람들로서 그리스인에 대한 반감이 심했지만 로도스섬에 거주한 이후부터 필헬레네가 되었다.[9] 로마 황제들 중에서도 필헬레네가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하드리아누스는 어릴 적부터 학우들로부터 "그리스 아이"라는 별명을 얻었고,[42]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에 따르면 황제가 된 이후에는 그리스 전역을 돌아다니며 전쟁으로 파괴된 옛 그리스 도시들을 복원하기 위해 애썼다.[43]

파르티아의 미트라다테스 1세의 주화. 티그리스 강변의 셀레우키아에서 주조되었다. 그리스어 비문은 ΒΑΣΙΛΕΩΣ ΜΕΓΑΛΟΥ ΑΡΣΑΚΟΥ ΦΙΛΕΛΛΗΝΟΣ ("위대한 왕 아르사케스, 그리스인의 친구"의 [주화])를 읽습니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키프로스의 에우아고라스[3]와 필리포스 2세는 둘 다 이소크라테스에 의해 "'친그리스인'"이라고 불렸습니다.[4]
  • 파르티아 제국의 초기 통치자들은 미트라다테스 1세를 시작으로, 그리스인 신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정치적 행위로서 동전에 친그리스인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 파르티아인의 예를 따라, 티그라네스는 친그리스인(''그리스인의 친구'')이라는 칭호를 채택했다. 그의 수도 티그라노케르타의 배치는 그리스 건축의 한 예였다.

2. 2. 근대 시기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 유럽에서는 고전 그리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필헬레니즘 운동이 시작되었다. 프랑스, 영국, 독일 등 유럽 각국의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그리스 독립 전쟁을 지지하며 필헬레니즘 운동에 참여했다.[10]

이오시포스 미시오다카스는 1781년 출판된 자신의 저서에서 '필헬레네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이 운동이 국가 외교 정책이 아닌 개인, 조직, 그룹을 포함하는 것임을 언급했다.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의 개인 의사이자 필리키 에타이리아 회원이던 페트로스 히피티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 초기 외국에서 필헬레니즘 운동을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테오도로스 브리자키스의 ''미솔롱기에서 바이런 경의 환영''


잘 알려진 친헬레니즘 옹호자 빅토르 위고


기록된 필헬레네스의 수는 약 940명에 달하며, 출신 국가별로는 독일이 342명으로 가장 많았고, 프랑스(196명), 이탈리아(137명), 영국(99명) 순이었다. 이들 중 3분의 1은 전투에서 사망하거나 열악한 환경, 부상으로 사망했다.[10]

나폴레옹 몰락 이후, 유럽 사회의 자유주의적이고 교양 있는 중상층과 상류층은 낭만적 민족주의가 억압받는 상황에서 고대 그리스 영토에 그리스 국가를 재건한다는 낭만적인 이상을 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리스 봉기는 큰 영감과 기대를 불러일으켰다.[10]

프리드리히 니체는 가장 확고한 친헬레니즘 옹호자 중 한 명이었다.
[12]

독일 문화에서는 요한 요아힘 빈켈만,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볼프, 빌헬름 폰 훔볼트 등이 필헬레니즘의 초기 단계를 이끌었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와 프리드리히 횔덜린은 문학 작품을 통해 헬레니즘적 주제를 격상시켰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19세기 독일의 가장 유명한 친헬레니즘 옹호자 중 한 명이었다.[12] 독일 국가에서는 김나지움을 통해 엘리트 친헬레니즘 정신을 제도화하기도 했다.[14]

19세기 후반, 고고학인류학의 새로운 연구는 고대 그리스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기 시작했다.[15]

친헬레니즘 운동은 고전 또는 ''고전 연구''를 교육의 핵심 요소로 도입하는 것으로 이어졌으며, 프로이센의 김나지움과 영국의 토마스 아놀드가 주도한 학교의 고전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니코스 디무는 자신의 저서에서 친헬레니즘 옹호자들이 현대 그리스인에게 조상의 영광스러운 과거에 부응해야 한다는 기대가 짐이 되어 왔다고 주장한다.[18][19] 특히 서구 친헬레니즘은 고전 그리스의 유산에만 집중하고, 비잔틴 제국과 그리스 정교회의 유산을 부정하거나 거부했다.

3. 그리스 독립 전쟁과 필헬레니즘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발발은 유럽 전역에서 필헬레니즘 운동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퍼시 비시 셸리, 바이런 경을 포함한 저명한 필헬레네들은 그리스 독립 운동을 적극 지지하였다.[21] 바이런 경과 같은 일부는 직접 무기를 들고 그리스 혁명에 참여하거나, 예술 작품을 통해 혁명에 기여하기도 했다.

루이 뒤프레가 그린 살로나에서 깃발을 게양하는 그리스 불규칙 병사들의 모습


19세기 동안 필헬레네들은 정치적, 군사적으로 그리스를 계속 지원했다. 일례로 리치오티 가리발디는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자원 봉사 원정대(''가리발디니'')를 이끌었다.[22] 로렌초스 마빌리스가 이끄는 가리발디니 그룹은 발칸 전쟁 기간에도 그리스 측과 함께 싸웠다.

3. 1. 필헬레니즘의 예술적 표현

신고전주의 예술은 필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아 5세기의 고대 그리스 미술과 건축을 이상화했다.[20] 요한 요아힘 빙켈만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과 같은 초기 미술사학자들의 저술은 이러한 경향을 이끌었다.

제임스 스튜어트와 니콜라스 레베트는 아테네의 유물 실측 도면을 출판하여 필헬레니즘 확산에 기여했다. 엘긴은 아이기나와 파르테논 조각상(엘긴 마블스)을 반출했는데, 이는 영국 필헬레네스들에게 영감을 주었지만, 동시에 조각상 반출에 대한 비판 여론도 불러일으켰다.

4. 현대의 필헬레네스

니코스 디무의 ''그리스인이 되는 불행''[18]은 현대 그리스인이 조상의 영광스러운 과거에 부응해야 한다는 기대가 항상 그리스인 자신에게 짐이 되어 왔다고 주장한다.[19] 특히 서구 필헬레니즘은 고전 그리스의 유산에만 집중하고, 비잔틴 제국과 그리스 정교회 유산은 부정하거나 거부했다.

20세기와 21세기에도 그리스 문화와 역사에 대한 관심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현대 필헬레네스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φιλ-έλλην http://www.perseus.t[...] Tufts University 2021-09-17
[2] 웹사이트 Xenophon "Agesilaus" (7.4) http://www.perseus.t[...] 2021-07-08
[3]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page 54 (V. 2) http://www.ancientli[...] 2006-03-06
[4] 웹사이트 Search Tools http://www.perseus.t[...]
[5] 서적 Romans and Aliens https://archive.org/[...] Gerald Duckworth & Co Ltd
[6] 문서 A. Momigliano, 1975. Alien Wisdom: The Limits of Hellenization.
[7] 문서 A. Wardman, 1976. ''Rome's debt to Greece''.
[8] 문서 A modern assessment is E. Badian, 1970. ''Titus Quinctius Flamininus: Philhellenism and Realpolitik''0
[9] 웹사이트 Plutarch • Life of Cato the Younger https://penelope.uch[...] 2021-06-08
[10] 문서 Cartledge
[11] 서적 The Culture of Classicism: Ancient Greece and Rome in American Intellectual Life, 1780-191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2] 간행물 Memory, history and the classical tradition https://doi.org/10.1[...] 2009
[13] 서적 Nietzsche: An Introduction to the Understanding of His Philosophical Activity https://books.google[...] JHU Press 1997-10-24
[14] 문서 The history of pedagogically conservative philhellenism in German high academic culture has been examined in [[Suzanne L. Marchand]], ''Down from Olympus: Archaeology and Philhellenism in Germany, 1750–1970''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she begins with Winckelmann, Wolf and von Humboldt.
[15] 문서 S. L. Marchand, 1992. ''Archaeology and Cultural Politics in Germany, 1800–1965: The Decline of Philhellenism'' (University of Chicago).
[16] 문서 Cartledge, Paul. "The Greeks and Anthropology." Anthropology Today, vol. 10, no. 3, 1994, pp. 3–6. JSTOR, https://doi.org/10.2307/2783476. Accessed 9 June 2023.
[17] 문서 Cartledge, Paul. "The Greeks and Anthropology." Anthropology Today, vol. 10, no. 3, 1994, pp. 3–6. JSTOR, https://doi.org/10.2307/2783476. Accessed 9 June 2023.
[18] 문서 ''Η δυστυχία του να είσαι Έλληνας'', 1975.
[19] 문서 Cartledge, Paul. "The Greeks and Anthropology." Anthropology Today, vol. 10, no. 3, 1994, pp. 3–6. JSTOR, https://doi.org/10.2307/2783476. Accessed 9 June 2023.
[20] 문서 It often selected for its favoured models third- and second-century sculptures that were actually [[Hellenistic]] in origin, and appreciated through the lens of Roman copies: see Francis Haskell and Nicholas Penny, ''Taste and the Antique: The Lure of Antique Sculpture 1500–1900'' (1981).
[21] 서적 In Byron's Shadow: Modern Greece in the English and American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11-29
[22] 문서 Gilles Pécout, "Philhellenism in Italy: political friendship and the Italian volunteers in the Mediterranean in the nineteenth century", ''Journal of Modern Italian Studies'' '''9''':4:405–427 (2004)
[23] 뉴스 The Great Foreigner https://www.newyorke[...] 1947-11-15
[24] 웹사이트 Classics https://shc.stanford[...]
[25] Youtube Truly, one of the great honours of my life. With thanks to the Ambassador, to President Sakellaropoulou and to the people of Greece
[26] 뉴스 Hail, Lloyd George https://www.thenatio[...] 2021-08-13
[27] 웹사이트 Will Boris Johnson right our colonial wrongs and return the Elgin Marbles? Don't make me laugh https://www.independ[...] 2019-11-13
[28] 웹사이트 Former Australian MP, and noted philhellene Gough Whitlam passes https://www.thetoc.g[...] 2020-07-03
[29] 웹사이트 Philhellene Writer Christopher Hitchens Passes Away https://greekreporte[...] 2021-12-31
[30] 문서 '[http://www.messolonghibyronsociety.gr/media/files/phil_paper_pdf/L.Droulia-Philhellenism-Poland ed.pdf Loukia Droulia, The Revival of the Greek Ideal and Philhellenism.
[31] 문서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1999.04.0057%3Aentry%3Dfile%2Fllhn Φιλέλλην],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Perseus'
[32] 문서 '178. [1] But when Amasis was born Philhellene, he rejected other Greeks, and not being so exhausted, he gave Naucratin a city to rent in Egypt; [https://docs.google.com/viewer?a=v&q=cache:M9HtBdHf2qkJ:nobs. gr/istoria/herod_eyterph.doc+Philellin+dὲ+born+ὁ+Amasis+other+te+ἐς+Greek+metexeters+4&hl=el&gl=gr&pid=bl&srcid=ADGEESiMrofd_k04i4P6zKkaQMcO53ZQEtthuopPP2nZdgHfC7CfLO0CLX6f8M9B0N0j TmKejY6H939dfrVi2xDNDyUmdQ_PdlmjHW5zKw20oGgAuouq3mPEq5t3MVq3gclMoPvEvEpm&sig=AHIEtbRXeDBL9xo5xHdjST737-83l5TE6g]“Amasis favored the Greeks and gave many privileges, the most important of which was the concession of Naukratis for a commercial base", Herodotus, History 2 Euterpis, trans. philological group Kaktus, <45. Hellenes>, published by Kaktos, Athens, 1994, p.253'
[33] 문서 John Boardman, The ancient Greeks in their overseas expansion, trans. Electra Andreadis, Kardamitsas ed., Athens, 1996, p.180-181
[34] 문서 Leonidas Manolopoulos, "The genesis and first uses of the designation ``philhellenic'' during the archaic and classical era", Egnatia -Ep.Ep.Phil.Schol.Thess/nikis-department of History and Archaeology, vol. 2, (1990), p. 206-207
[35] 문서 Leonidas Manolopoulos, "The genesis and first uses of the designation ''philhellenic'' during the archaic and classical eras", Egnatia -Ep.Ep.Phil.Schol.Thes/nikis-department of History and Archaeology, vol. .2, (1990), p. 209-210
[36] 논문 The genesis and first uses of the designation "philhellenic" during the archaic and classical eras Egnatia -Ep.Ep.Phil.Schol.Thes/nikis-department of History and Archaeology 1990
[37] 서적 Romans and Aliens https://archive.org/[...] Gerald Duckworth & Co Ltd
[38] 서적 Alien Wisdom: The Limits of Hellenization 1975
[39] 서적 Rome's debt to Greece 1976
[40] 서적 Titus Quinctius Flamininus: Philhellenism and Realpolitik 1970
[41] 웹인용 Plutarch • Life of Cato the Younger https://penelope.uch[...] 2021-06-08
[42] 서적 Restless Emperor
[43] 서적 로마인 이야기 9 현제賢帝의 세기 한길사 2000-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