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이란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이란어파는 인도유럽어족의 하위 어파로, 남아시아의 인도 아대륙과 이란 고원에 걸쳐 사용되는 언어들을 포괄한다. 이 용어는 인도아리아어군과 이란어군을 포함하며, 과거에는 아리아인들이 사용한 언어를 지칭하는 '아리아어'로도 불렸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리아주의와 관련된 부정적 함축으로 인해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인도이란어파는 크게 이란어군, 인도아리아어군, 누리스탄어군으로 분류된다. 주요 언어로는 힌디어, 우르두어, 벵골어, 펀자브어, 네팔어, 마라티어, 신할라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이란어파 - 캄보자어
    캄보자어는 위키백과 문서의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이며, 서론, 본문, 결론 등의 주요 섹션과 함께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
  • 인도이란어파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이란어파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인도이란어파
개요
이름인도-이란어파
다른 이름인도-이란어족
아리아어족
지역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코카서스
어족 색상인도유럽어족
조어인도-이란조어
ISO 639-5iir
글롯로그indo1320
글롯로그 참조인도-이란어족
인도-이란어파 분포 지도
인도-이란어파의 분포
하위 어족
주요 어족인도아리아어군
이란어군
누리스탄어군
분류 불확실바데시어
캄보자어

2. 어원

"인도이란어파"라는 용어는 유라시아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범위를 지칭하며, 인도 아대륙(인도아리아어군이 사용되며, 인도아리아어라고도 함)부터 이란 고원(이란어군이 사용됨)까지 이어진다.[1]

이 어군은 아리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지칭하는 "아리아어"라고도 불린다.[1] 여기서 "아리아인"은 고대 인도이란인들의 민족문화적 자기 지칭 용어이다.[1] 그러나 현대 서구 학자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리아주의와 관련된 부정적인 함축 때문에 "아리아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1]

3. 기원

역사적으로 인도이란어 사용자는 이란인과 인도 아리아인 모두 원래 자신들을 아리아인이라고 불렀다. 원시 인도이란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신타슈타 문화와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조문 토기 문화에서 동쪽으로의 민족 이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조문 토기 문화는 다시 폰토스-카스피 스텝 지대에서 후기 신석기 유럽 문화 지역으로 야므나야 관련 민족의 서쪽 이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야므나야 문화, 조문 토기 문화, 신타슈타 문화 사이의 정확한 유전적 관계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가장 초기의 전차는 신타슈타 묘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문화는 이 기술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이 기술은 구세계 전역으로 퍼져 고대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신타슈타 문화의 후계자인 안드로노보 문화가 인도이란 문화라는 데 거의 일반적인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알라쿨 문화와 표도로보 문화의 두 하위 문화만이 안드로노보 문화의 일부로 간주된다. 안드로노보 문화는 "인도이란어 방언 연속체"로 간주되며, 이후 이란어와 인도 아리아어 사이에서 분열되었다. 그러나 히에버트에 따르면,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복합체(BMAC)가 이란과 인더스 계곡 변두리로 확장된 것은 "인도이란어 사용자가 이란과 남아시아로 유입되었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로 가장 유력한 후보"이지만, 근동 지역에서는 스텝의 특징적인 나무 무덤이 없고, 코페트 다그와 파미르 산맥-카라코람 사이 지역 남쪽에도 없다. J. P. 맬러리는 안드로노보에서 북인도로의 확장을 주장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인정하며, 베슈켄트 및 바흐쉬 문화와 같은 유적에 인도 아리아인을 연결하려는 시도는 "인도이란인을 중앙아시아까지 데려갈 뿐, 메디아인, 페르시아인 또는 인도 아리아인의 본거지까지는 가지 못한다"고 말한다. 그는 인도이란인이 BMAC의 문화적 특성을 받아들이지만, 이란과 인도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언어와 종교를 보존하는 ''Kulturkugel''(문화 탄환) 모델을 개발했다.

4. 분류

인도이란어파는 크게 이란어군, 인도아리아어군, 누리스탄어군의 세 갈래로 분류된다.

이란어군에는 페르시아어, 파슈툰어, 쿠르드어, 발루치어 등이 속한다. 인도아리아어군에는 힌디어(우르두어), 벵골어, 펀자브어, 마라티어, 구자라트어, 싱할라어, 네팔어 등이 있다. 누리스탄어군아프가니스탄 북동부 누리스탄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군이다.

4. 1. 인도아리아어군



인도아리아어군은 인도 아대륙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언어군이다. 베다어,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등의 고대 언어가 여기에 속한다. 현대 언어로는 힌디어, 우르두어, 벵골어, 펀자브어, 마라티어, 구자라트어, 싱할라어, 네팔어 등이 있다. 로마어도마리어도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한다.

4. 1. 1. 주요 언어

; 인도아리아어군
; 누리스탄어군

; 이란어군

4. 2. 이란어군

이란어군의 분포: 페르시아어 (녹색), 파슈토어 (보라색), 발루치어 (노란색), 쿠르드어 (하늘색), 기타 이란어군


이란어군은 이란 고원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언어군이다. 아베스타어, 고대 페르시아어, 메디아어, 스키타이어, 박트리아어, 파흐라비어 등의 고대 언어가 여기에 속한다. 현대 언어로는 페르시아어, 파슈토어, 쿠르드어, 발루치어 등이 있다.

4. 2. 1. 주요 언어

4. 3. 누리스탄어군

인도이란어파의 한 어군이다.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누리스탄 지역에서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2] 서적 Pre-Pāṇinian Linguistic Studies https://books.google[...] Northern Book Centre
[3] 서적 Linguistic Analysis: From Data to Theor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4] 서적 Numeral Types and Changes Worldwid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5] 서적 Nationalities of Armenia https://books.google[...] YEGEA Publishing House 1999
[6] 간행물 DIMLĪ https://iranicaonlin[...] 2021-06-11
[7] 웹사이트 The Pozition of Zazaki the West Iranian Languages https://www.azargosh[...] Open Publishing 2023-12-04
[8] 웹사이트 Indo-Iranian https://www.ethnolog[...]
[9] 웹사이트 Glottolog 4.7 – Indo-Iranian https://glottolog.or[...] 2023-02-01
[10] 문서 # Type 추정 Hindi and Urdu Statistics
[11] 문서 # Harvnb는 책, 논문 등 다양한 문헌을 가리킬 수 있으므로, 일단 '문서'로 분류
[12] 문서 # Harvnb는 책, 논문 등 다양한 문헌을 가리킬 수 있으므로, 일단 '문서'로 분류
[13] 간행물 Re-theorising mobility and the formation of culture and language among the Corded Ware Culture in Europe 2017
[14] 간행물 The genomic ancestry of the Scandinavian Battle Axe Culture people and their relation to the broader Corded Ware horizon 2019-10-09
[15] 간행물 "Brief communication: new Y-chromosome binary markers improve phylogenetic resolution within haplogroup R1a1" 2012
[16] 서적 The Indo-European Puzzle Revisited: Integrating Archaeology, Genetics, an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5-11
[17] 간행물 Eurasian Steppe Chariots and Social Complexity During the Bronze Age https://link.springe[...] 2018
[18] 서적 Horses, Chariots and Indo-Europeans – Foundations and Methods of Chariotry Research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Indo-European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Archaeolingua Alapítvány, Budapest 2000
[19] 문서 The Earliest Wheel Finds, their Archeology and Indo-European Terminology in Time and Space, and Early Migrations around the Caucasus ARCHAEOLINGUA ALAPÍTVÁNY 2019
[20] 문서 # Harvnb는 책, 논문 등 다양한 문헌을 가리킬 수 있으므로, 일단 '문서'로 분류
[21] 문서 Andronovo Problem: Studies of Cultural Genesis in the Eurasian Bronze Age https://www.degruyte[...] 2021
[22] 간행물 Indo-European loanwords and exchange in Bronze Age Central and East Asia: Six new perspectives on prehistoric exchange in the Eastern Steppe Zone 2022-01
[23] 문서 # 참조하고 있는 문헌 종류를 특정하기 어려워 '문서'로 분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