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17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17호선은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경기도 광주시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여수에서 청주를 잇는 노선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연장 및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서 완주군을 지나 충청남도 금산군,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청주시를 경유한다. 주요 경유지로는 여수시, 순천시, 구례군, 곡성군, 남원시, 임실군, 완주군, 전주시, 금산군, 대전광역시, 청주시, 안성시, 용인시, 광주시 등이 있으며, 엑스포대로, 서부로, 3순환로 등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이 도로는 다양한 고속도로 및 국도, 국가지원지방도와 교차하며, 지역 간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례군의 교통 - 지방도 제865호선
전라남도 광양시, 순천시, 구례군을 잇는 지방도 제865호선은 일부 구간이 국도 및 다른 지방도와 중복되며,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일부 구간이 확장 개통되거나 폐지되었다. - 구례군의 교통 - 지방도 제861호선
전라남도 광양시에서 시작하여 곡성군을 거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까지 이어지는 지방도 제861호선은 2020년 노선 변경으로 구례군 구간이 폐지되고 곡성군 고달면까지 연장되었으며, 일부 구간은 국도 제2호선과 중복되고 수달생태로라는 도로명을 가지고 있다. - 곡성군의 교통 - 곡성역
곡성역은 전라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섬진강 기차마을과 인접해 있다. - 곡성군의 교통 - 압록역
압록역은 193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전라선의 폐역으로, 1994년 화물 취급 중지, 2008년 여객 취급 중단되었으며, 지역 인구 및 이용객 감소로 경영 악화되어 현재 화물 취급 여부는 불확실하다. - 대전 대덕구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전 대덕구의 교통 - 대덕대로
대전광역시 서구에서 대덕구를 잇는 주요 간선도로인 대덕대로는 배재로와 직결되고 대청로와 연결되어 유성구와 서구를 잇는 역할을 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및 제32호선 구간을 포함한다.
국도 제17호선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 번호 | 17 |
노선 이름 | 국도 제17호선 |
대체 이름 | 국도 제17호선 |
부 이름 | 여수용인선 |
부 이름 (로마자) | Yeosuyongin-seon |
총 연장 | 432.6 km |
지정일 | 1971년 8월 31일 |
연장일 | 1981년 3월 14일 |
방향 | 남북 |
기점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
기점 방향 | 남 |
종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
종점 방향 | 북 |
주요 경유지 | |
주요 경유 도시 | 순천시 남원시 전주시 대전광역시 청주시 안성시 |
노선 정보 |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갑천도시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
기타 | |
관련 문서 | 에키스포 대로 |
2. 역사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17호선''' 여수 ~ 청주선이 됨.[8]
- 1972년 4월 28일 : 노선 개량으로 인해 대덕군 북면 상서리 ~ 석봉리 2.44km 구간을 2.62km로 도로구역 변경[9]
- 1972년 11월 30일 : 노선 개량으로 인해 대덕군 산내면 삼괴리 254m 구간을 280m 로 도로구역 변경[10]
- 1974년 4월 26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임실군 둔남면 국평리 ~ 임실면 두곡리 10.5km 구간을 9.7km로 도로구역 변경[11]
- 1975년 8월 8일 : 금산군 복수면 용진리 ~ 진산면 묵산리 총 736m 구간 개통, 기존 1.292km 구간 폐지[12]
- 1976년 ∼ 1978년 곡성군 ∼ 남원시 구간을 시작으로 1993년 ∼ 1997년 추부면 ∼ 금산군 구간이 완공되었다.
- 1981년 1월 10일 : 여천군 쌍봉면 주삼리 ~ 소라면 덕양리 3.28km 구간 개통 및 기존 4.42km 구간 폐지, 여천군 율촌면 조화리 ~ 승주군 해룡면 호두리 2.744km 구간 개통 및 기존 3.01km 구간 폐지[13]
- 1981년 3월 14일 : 기점을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전라남도 여천군 돌산읍'으로, 종점을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돌산 ~ 양지선'이 됨.[14]
- 1981년 4월 6일 : 국도로 승격된 안성군 이죽면 두교리 도계 ~ 용인군 내사면 양지리 35km 구간 개통[15]
- 1981년 4월 16일 : 국도로 승격된 청원군 현도면 양지리 ~ 진천군 만승면 실원리 49.338km 구간 개통[16]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107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17]
- 1981년 8월 17일 : 국도로 승격된 여천군 돌산면 군내리 ~ 여수시 오림동 28.07km 구간 개통[18]
- 1986년 8월 11일 :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 대덕군 산내면 하소리 (추부터널 포함) 1.56km 구간 개통[19]
- 1986년 9월 29일 : 기존 지정 구간인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 대덕군 산내면 하소리 (구 추부터널) 1.8km 구간 폐지[20]
-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창리 ~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구간 폐지[21]
- 1987년 9월 22일 : 청원군 현도면 죽암리 960m 구간 개통[22]
- 1993년 8월 9일 : 고산우회도로(완주군 고산면 서봉리 ~ 읍내리) 2.12km 구간 개통[23]
- 1994년 12월 29일 : 청원군 남이면 가마리 ~ 현도면 양지리 총 4.811k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2.294km 구간 폐지[24]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전라남도 여천군 돌산읍'에서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으로 변경함.[25]
- 1996년 9월 1일 : 전주 ~ 봉동간 도로(전주시 덕진구 우아동 ~ 완주군 봉동읍 장기리) 구간 개통[26]
- 1998년 4월 28일 : 남원시 도통동 ~ 광치동 6.86km 구간 개통[27]
- 1998년 12월 16일 : 순천 ~ 구례구간 도로(순천시 서면 압곡리 ~ 황전면 용림리) 24.54km 구간 확장 개통[28]
- 1998년 12월 30일 : 진천군 만승면 광혜원리 1.91km 구간 개통, 기존 1.6km 구간 폐지[29]
- 1998년 12월 31일 : 완주군 운주면 장선리 2.029km 구간 개통[30]
- 2000년 12월 23일 :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 23.1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3km 구간 폐지[31]
- 2001년 1월 15일 : 월산 교차로 및 조화 교차로 1.54km 구간 선형 개량 및 입체화 개통, 기존 1.4km 구간 폐지[32]
- 2001년 6월 : 돌산 ~ 우두리간 도로(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120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50m 구간 폐지[33]
- 2001년 9월 29일 : 청원군 남일면 효촌리 ~ 청주시 흥덕구 휴암동 11.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4]
- 2002년 1월 7일 : 곡성우회도로(곡성군 오곡면 오지리 ~ 곡성읍 장선리) 5.5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46km 구간 폐지[35]
- 2002년 2월 15일 : 여수시 덕충동 덕충 나들목 ~ 주삼동 주삼 나들목 12.06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6]
- 2002년 12월 30일 :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 ~ 청원군 오창면 복현리 9.9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37]
- 2003년 12월 20일 : 청원군 오창면 복현리 ~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 16.47km 구간 확장 개통[38]
- 2004년 9월 13일 : 순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중 중흥 ~ 왕지간 도로(순천시 해룡면 선월리 ~ 서면 압곡리) 13.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9]
- 2005년 2월 28일 : 금산군 복수면 곡남리 46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110m 구간 폐지[40]
- 2005년 11월 21일 :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 510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1]
- 2006년 6월 20일 :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 순천시 해룡면 호두리 15.1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2]
- 2006년 9월 14일 : 추부 ~ 대전간 도로(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 대전광역시 동구 삼괴동) 9.24km 구간 임시 개통[43]
- 2006년 11월 8일 : 완주군 용진면 신지리 ~ 화산면 종리 10.65km 구간 개통[44]
- 2006년 12월 26일 : 추부 ~ 대전간 도로(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 대전광역시 동구 삼괴동) 9.2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1.7km 구간 폐지[45]
- 2006년 12월 31일 : 진천군 이월면 중산리 ~ 신월리 4.1km 구간 개통[46]
- 2007년 1월 13일 : 진천 ~ 두교리간 도로(진천군 이월면 신월리 ~ 내촌리) 1.18km 구간 개통[47]
- 2007년 1월 19일 : 중흥 ~ 왕지간 도로(순천시 해룡면 선월리 ~ 서면 압곡리) 10.9km 구간 확장 개통[48]
- 2007년 3월 6일 : 중흥 ~ 왕지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순천시 해룡면 호두리 ~ 대안리 6.427km 구간 폐지[49]
- 2007년 12월 20일 : 기존 도로인 순천시 해룡면 호두리 ~ 대안리 6.427km 구간 폐지 취소[50]
- 2007년 12월 31일 : 남원시 신정동 500m 구간 우회도로 개통[51], 남원시 주생면 중동리 ~ 상동리 900m 구간 확장 개통[52]
- 2009년 1월 12일 : 곡성 ~ 남원간 도로(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장선리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중동리) 11.8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3]
- 2010년 10월 1일 : 왕지 분기점(순천시 왕지동) 여수방면 램프 개통[54]
- 2011년 5월 12일 :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 강상촌 분기점 ~ 상당구 오동동 오동 교차로 13.33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5]
- 2012년 1월 20일 : 여수 ~ 순천간 도로(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 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17.36km 구간 임시 개통[56]
- 2012년 4월 12일 : 여수 ~ 순천간 도로 및 우두 ~ 종화간 도로, 거북선대교(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 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38.8km 구간 확장 개통[57][58]
- 2012년 12월 28일 : 진천 ~ 두교리간 도로(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월리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두교리) 9.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두교리 11km 구간 폐지[59], 안성시 죽산면 두교리 800m 구간 확장 개통[60]
- 2013년 5월 27일 : 여수 ~ 순천간 도로 및 우두 ~ 종화간 도로, 거북선대교 개통으로 인해 기존 여수시 주삼동 ~ 돌산읍 우두리 14.8km 구간과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 순천시 서면 압곡리 23.6km 구간 폐지[61]
- 2014년 4월 30일 : 곡성 ~ 남원간 도로의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시점을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장선리에서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귀석리로 변경해 10.97km로 축소[62]
- 2014년 12월 23일 : 곡성 ~ 남원간 도로(곡성군 곡성읍 장선리 ~ 남원시 주생면 중동리) 12.29km 구간 확장 개통[63]
- 2015년 9월 23일 : 두교리 ~ 죽산간 도로(안성시 죽산면 두교리 ~ 매산리) 8.7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안성시 죽산면 장원리 ~ 두교리 8.38km 구간 폐지[64]
- 2015년 9월 30일 : 남원 ~ 곡성간 도로 개통에 따라 기존 국도(곡성군 곡성읍 장선리 ~ 남원시 주생면 중동리) 11.9km 구간 폐지[65]
- 2016년 1월 25일 : 청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중 청주역 교차로 ~ 문암공원 교차로(청주시 흥덕구 수의동 ~ 청원구 정상동) 9.85km 구간 신설 개통[66]
- 2016년 8월 31일 : 청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문암공원 교차로 ~ 오동 교차로(청주시 청원구 정상동 ~ 오동동) 3.31km 구간 신설 개통 및 기존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양촌리 ~ 청원구 오동동 13.1km 구간 폐지[67][68]
- 2016년 12월 20일 : 오수 ~ 갈마간 도로(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 성수면 월평리) 7.79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 오암리 1.6km 구간 폐지[69]
- 2017년 11월 20일 : 승주우회도로(순천시 서면 구만리 ~ 학구리) 1.16km 구간 확장 개통[70]
- 2018년 1월 24일 : 오수 ~ 월락간 도로(남원시 광치동 ~ 사매면 월평리 6.18km 구간과 임실군 오수면 금암리 ~ 대명리 2.5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남원시 사매면 대율리 ~ 오신리 총 1.48km 구간과 임실군 오수면 금암리 1.62km 구간 폐지[71]
- 2018년 9월 5일 : 여수 ~ 순천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순천시 해룡면 선월리 ~ 신대리 3.68km 구간 폐지[72]
- 2019년 12월 19일 : 돌산 ~ 우두간 도로(여수시 돌산읍 신복리 ~ 우두리) 16.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여수시 돌산읍 죽포리 ~ 둔전리 3.8km 구간 폐지[73]
- 2020년 2월 5일 : 용복터널(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 용복리) 57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340m 구간 폐지[74]
- 2021년 6월 22일: 종점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서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추곡리로 연장. 이에 따라 '여수 ~ 용인선'에서 '여수 ~ 광주선'으로 됨.[75]
3.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 여수시 (종화동 · 수정동 · 공화동 · 덕충동 · 만흥동 · 미평동 · 둔덕동 · 평여동 · 월하동 · 주삼동 · 해산동 · 소라면 · 율촌면) - 순천시 (해룡면 · 조례동 · 왕지동 · 서면 · 가곡동 · 월등면 · 황전면) - 구례군 (문척면 · 마산면 · 구례읍) - 순천시 황전면 - 곡성군 (죽곡면 · 오곡면 · 곡성읍) |
---|---|
전북특별자치도 | 남원시 (금지면 · 송동면 · 주생면 · 신정동 · 화정동 · 산곡동 · 내척동 · 용정동 · 광치동 · 사매면) - 임실군 (오수면 · 성수면 · 임실읍 · 관촌면) - 완주군 상관면 - 전주시 (완산구 색장동 - 덕진구 (우아동1가 · 우아동2가 · 산정동 · 우아동3가 · 호성동1가 · 호성동2가)) - 완주군 (용진읍 · 봉동읍 · 고산면 · 화산면 · 경천면 · 운주면) |
충청남도 | 금산군 (진산면 · 복수면 · 추부면) |
대전광역시 | 동구 (삼괴동 · 구도동 · 낭월동 · 대별동 · 대성동) - 중구 (옥계동 · 석교동) - 동구 (천동 · 효동 · 인동 · 원동 · 중동 · 정동 · 삼성동) - 대덕구 (오정동 · 대화동 · 읍내동 · 연축동 · 신대동 · 와동 · 상서동 · 평촌동 · 덕암동 · 신탄진동) |
충청북도 |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 남이면 · 미평동 · 분평동 · 수곡동 · 모충동) - 상당구 (석교동 · 서운동 · 문화동 · 수동 · 북문로2가 · 수동) - 청원구 (우암동 · 내덕동 · 율량동 · 주중동 · 사천동 · 오동동 · 외남동 · 외평동 · 오창읍) - 진천군 (문백면 · 진천읍 · 이월면 · 광혜원면) |
경기도 | 안성시 (죽산면 · 일죽면) -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 원삼면 · 양지면) - 광주시 도척면 |
4. 노선
국도 제17호선은 여수시 돌산읍에서 시작하여 경기도 용인시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여수시와 용인시를 잇는 주요 도로 중 하나이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4. 1. 전라남도
명칭[2] | 한글 명칭 | 연결 | 위치 | 비고 | |
---|---|---|---|---|---|
군내리 | 군내리 | 여수시 | 돌산읍 | 종점 국도 제77호선 중복 | |
돌산초등학교 돌산중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 돌산초등학교 돌산중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 국도 제77호선 중복 | |||
동내삼거리 | 동내삼거리 | 망월대길 | |||
돌산읍사무소 | 돌산읍사무소 | ||||
금봉삼거리 | 금봉삼거리 | 평사로 | |||
덕곡재 | 덕곡재 | ||||
죽포삼거리 | 죽포삼거리 | 향일암로 | |||
작곡재삼거리 | 작곡재삼거리 | 계동로 | |||
돌산중앙중학교 | 돌산중앙중학교 | ||||
도실삼거리 | 도실삼거리 | 평사로 | |||
무술목삼거리 | 무술목삼거리 | 계동로 | |||
이순신 장군 전적비 | 이순신 장군 전적비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강남해안로 | |||
세구지삼거리 | 세구지삼거리 | 강남로 | |||
돌산 교차로 | 돌산 교차로 | 국도 제77호선 (돌산로) | |||
거북선대교 | 거북선대교 | ||||
동문동 | |||||
자산터널 | 자산터널 | 약 443m | |||
한려동 | |||||
여수역앞 (지하차도) | 여수역앞 (지하차도) | 동문로 | |||
여수 엑스포 | 여수 엑스포 | 만덕동 | |||
만덕사거리 | 만덕사거리 | 덕충안길 | |||
여수엑스포역 | 여수엑스포역 | ||||
덕충 나들목 | 덕충 나들목 | 만양로 | |||
마래터널 | 마래터널 | 우측 터널: 약 1,397m 좌측 터널: 약 1,351m | |||
만흥위생매립장 | 만흥위생매립장 | ||||
만흥 나들목 | 만흥 나들목 | 만성로 | |||
둔덕 나들목 (둔덕1터널) | 둔덕 나들목 (둔덕1터널) | 국도 제77호선 (상암로) | 미평동 | 약 321m | |
둔덕동 | |||||
엑스포터널 | 엑스포터널 | 약 2014m | |||
삼일동 | |||||
주삼 나들목 | 주삼 나들목 | 여수산단로 | |||
공단삼거리 | 공단삼거리 | 여수산단2로 | 주삼동 | ||
여수 나들목 | 여수 나들목 | 좌수영로 | |||
해산 나들목 | 해산 나들목 | 여수산단1로 | |||
소라교 | 소라교 | ||||
소라면 | |||||
덕양 교차로 | 덕양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덕양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 ||
대포교 | 대포교 | ||||
(제2산단 나들목) | (제2산단 나들목) | 여순로 | |||
신기교 | 신기교 | ||||
대포터널 | 대포터널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약 788m | |||
율촌면 | |||||
산곡교 | 산곡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 |||
산곡터널 | 산곡터널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약 580m | |||
취적교 | 취적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 |||
취적터널 | 취적터널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상행 연장 490m 하행 연장 475m | |||
율촌 교차로 | 율촌 교차로 | 서부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 ||
율촌터널 | 율촌터널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상행 연장 510m 하행 연장 445m | |||
순천시 | 해룡면 | ||||
도롱 교차로 (도롱 나들목) | 도롱 교차로 (도롱 나들목) | 10호선 남해고속도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 ||
해룡2터널 | 해룡2터널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상행 연장 620m 하행 연장 630m | |||
해룡 교차로 (해룡 나들목) | 해룡 교차로 (해룡 나들목) | 10호선 남해고속도로 여순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중복 | ||
매안 교차로 | 매안 교차로 | 지방도 제863호선 (해광로) | |||
신대 교차로 | 신대 교차로 | 월전~서풍간 고속도로 무평로 | |||
동순천 나들목 | 동순천 나들목 | 27호선 순천완주고속도로 | |||
상비 교차로 | 상비 교차로 | 국도 제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순광로) | 왕조동 | ||
왕지 분기점 (순천 나들목) | 왕지 분기점 (순천 나들목) | 10호선 남해고속도로 백강로 | |||
서면 | |||||
공단사거리 | 공단사거리 | 지방도 제840호선 (매천로) 산단1길 | 지방도 제840호선 중복 | ||
지본삼거리 | 지본삼거리 | 지방도 제840호선 (청소길) | |||
선평삼거리 | 선평삼거리 | 국도 제22호선 (중앙로) | 국도 제22호선 중복 | ||
동산초등학교 | 동산초등학교 | ||||
서면사무소입구 | 서면사무소입구 | 임촌동길 죽평길 | |||
순천전자고등학교 | 순천전자고등학교 | ||||
서순천 나들목 | 서순천 나들목 | 10호선 남해고속도로 25호선 호남고속도로 | |||
동산삼거리 | 동산삼거리 | 동산길 | |||
학구삼거리 | 학구삼거리 | 국도 제22호선 (승주로) | |||
송치터널 | 송치터널 | 연장 780m | |||
월등면 | |||||
승주교 | 승주교 | ||||
망룡삼거리 | 망룡삼거리 | 황전면 | |||
괴목역삼거리 (괴목역) | 괴목역삼거리 (괴목역) | 지방도 제840호선 (건구칠동로) | 지방도 제840호선 중복 | ||
괴목사거리 | 괴목사거리 | 지방도 제840호선 지방도 제857호선 (복사골길) | |||
용두삼거리 | 용두삼거리 | 섬진강로 용서길 | 황전 나들목과 간접 연결 | ||
황전철도육교 | 황전철도육교 | ||||
구례1교 | 구례1교 | 구례군 | 문척면 | ||
구례읍 | |||||
문척 교차로 | 문척 교차로 | 지방도 제861호선 (수달생태로) | |||
서시1교 | 서시1교 | ||||
마산면 | |||||
냉천 교차로 | 냉천 교차로 |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19호선 (섬진강대로) (산업로) | 국도 제18호선과 중복 | ||
서시교 | 서시교 | ||||
구례읍 | |||||
서시교 남단 | 서시교 남단 | 서시천로 | |||
구례종합사회복지관 | 구례종합사회복지관 | ||||
구례공영버스터미널 | 구례공영버스터미널 | 중앙로 | |||
(구례군청앞 회전교차로) | (구례군청앞 회전교차로) | 지방도 제861호선 (봉성로) (수달생태로) | |||
구례군청 구례중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산정교 | 구례군청 구례중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산정교 | ||||
검문소입구 교차로 | 검문소입구 교차로 | 섬진강로 신촌길 | |||
구례교 | 구례교 | ||||
순천시 | 황전면 | ||||
구례구역 (선변삼거리) | 구례구역 (선변삼거리) | 섬진강로 | |||
복호제1교 | 복호제1교 | ||||
조사교 | 조사교 | 곡성군 | 죽곡면 | ||
압록교 | 압록교 | ||||
오곡면 | |||||
압록사거리 | 압록사거리 | 국도 제18호선 (대황강로) | |||
압록역 | 압록역 | ||||
압록제2교 이정교 | 압록제2교 이정교 | ||||
가정역 | 가정역 | ||||
침곡역 | 침곡역 | ||||
침곡교 | 침곡교 | 침곡길 | |||
오지 교차로 | 오지 교차로 | 기차마을로 |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오지교 오지1교 오지2교 | 오지교 오지1교 오지2교 | ||||
대평1교 | 대평1교 | ||||
곡성읍 | |||||
읍내 교차로 | 읍내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곡고로) | |||
장선교 | 장선교 | ||||
신기 교차로 | 신기 교차로 | 지방도 제840호선 (낙동원로) | 지방도 제840호선과 중복 | ||
장선 교차로 | 장선 교차로 | 지방도 제840호선 (청계동로) | |||
금곡교 | 금곡교 | ||||
4. 2. 전북특별자치도
이름[3] | 한글 이름 | 연결 도로 | 소재지 | 비고 | |
---|---|---|---|---|---|
금곡교 | 남원시 | 금지면 | 전라남도-전북특별자치도 도계 | ||
금지 교차로 | 도로 730호선한국어 (노송로) | ||||
요천2교 | |||||
송동면 | |||||
양평 교차로 | 물머리로 | ||||
신평 교차로 | 용두산로 | ||||
송동 교차로 | 주송길 | 서남원 나들목 간접 연결 도로 745호선한국어 간접 연결 | |||
요천교 | |||||
주생면 | |||||
조산 교차로 (조산지하차도) | 요천로 | ||||
신정 교차로 | 국도 제24호선 (남문로) | 왕정동 | |||
남원역 교차로 | 북남원로 | ||||
산곡터널 | 약 580m | ||||
향교동 | |||||
산성 교차로 | 산성길 | ||||
향단 교차로 | 춘향로 | ||||
방자 교차로 | 사내음로 | ||||
율치 교차로 | 춘향로 | ||||
춘향터널 | 약 480m | ||||
사매면 | |||||
사매 교차로 | 데오크로 | ||||
월평교 | 대사로 | ||||
율천교 | 임실군 | 오수면 | |||
대정 교차로 | 대정길 | ||||
오수 교차로 | 데오크로 오수로 용정길 | ||||
남악 교차로 | 국도 제13호선 (충효로) | ||||
오수 나들목 (오수IC 교차로) | 순천완주고속도로 | ||||
국평삼거리 | 오수로 | ||||
봉천역 | |||||
월평삼거리 (월평 교차로) | 국도 제30호선 (임실로) | 성수면 | 국도 제30호선 중복 | ||
임실 나들목 (임실 교차로) | 순천완주고속도로 국도 제30호선 (호국로) | 임실읍 | |||
두곡삼거리 | 봉황로 | ||||
임실역 | |||||
용은교 | |||||
관촌면 | |||||
예원대사거리 | 창인로 용산1길 | ||||
병암지하차도 교차로 (관촌역) | 도로 49호선한국어 (신덕평로) | 도로 49호선한국어 중복 | |||
병암삼거리 (병암 교차로) | 도로 49호선한국어 (관진로) | ||||
오원교 | |||||
관촌 교차로 | 도로 745호선한국어 (관마로) | 도로 745호선한국어 중복 | |||
관촌삼거리 | 사선로 사선1길 | ||||
슬치마을 | 도로 745호선한국어 (석동슬치로) | ||||
명덕교 | 완주군 | 상관면 | |||
상관IC | 순천완주고속도로 | ||||
신리삼거리 | 도로 749호선한국어 (실리로) | 도로 749호선한국어 중복 | |||
신리교 | |||||
신리 교차로 | 도로 749호선한국어 (외목로) | ||||
상관 교차로 | 국도 제21호선 (호남로) | 국도 제21호선 중복 | |||
월암2교 | |||||
(이름 없음) | 실리로 | 전주시 | 완산구 | ||
(이름 없음) | 춘향로 | ||||
안적교 | |||||
아중역광장 (아중역) | 아중로 | 덕진구 | |||
우아네거리 (안덕원지하차도) | 국도 제26호선 (전진로) |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 |||
역전광장 (전주역) | 백제대로 | ||||
호성네거리 | 견훤로 초포다리로 | ||||
호성동주민센터 | |||||
차량등록사업소앞 |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6호선 (동부대로) | ||||
동산과교 | |||||
고당네거리 | 초포로 사거리길 | ||||
제2소양교 | |||||
완주군 | 용진읍 | ||||
용진삼거리 | 초포다리로 | ||||
용진읍사무소 상운교 | |||||
완주 나들목 (완주 교차로) | 익산포항고속도로 | ||||
벽성대학 완주캠퍼스 (폐교) | |||||
(이름 없음) | 지암로 | ||||
용봉초등학교 | |||||
봉동삼거리 | 봉동중앙로 | ||||
완주국민체육센터 | |||||
용진 교차로 | 고산천로 삼봉로 | ||||
앞대산터널 | 약 171m | ||||
고산면 | |||||
양화 교차로 | 양화로 | ||||
남봉 교차로 | 남봉로 | ||||
고산교 | |||||
고산 교차로 | 능이레기로 | ||||
삼기교 | |||||
삼기 교차로 | 고산천로 | 도로 732호선한국어 간접 연결 | |||
용소교 | 화산면 | ||||
(이름 없음) | 고산천로 | 도로 643호선한국어 간접 연결 | |||
(이름 없음) | 고산천로 | ||||
경천교 | 경천면 | ||||
경천면사무소 | |||||
(이름 없음) | 도로 740호선한국어 (경가천길) | 도로 740호선한국어 중복 | |||
(이름 없음) | 도로 740호선한국어 (화산로) | ||||
용복교 | |||||
말골재 | 운주면 | ||||
운주우회도로 교차로 | 장선로 | ||||
장선교 | |||||
장선삼거리 | 도로 697호선한국어 (운주로) | ||||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 |||||
산북리 | 도로 740호선한국어 (수고개길) | ||||
대둔산삼거리 | 대둔산공원길 | ||||
배티재 | 고도 349m 충청남도로 이어짐 | ||||
4. 3. 충청남도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 청주시를 잇는 구간의 국도 제17호선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이다.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현도교 | 청주시 | 서원구 현도면 | 대전광역시 - 충청북도 경계선 | |
매봉삼거리 | 지방도 제591호선 (달계노산로) | 지방도 제591호선 중복 구간 | ||
현도초등학교 현도중학교 | ||||
선동삼거리 | 지방도 제591호선 (시목부강로) | |||
현도면사무소 | ||||
현도공단로 | ||||
우록교 외천태교 | ||||
외천삼거리 | 지방도 제96호선 (연청로) | 서원구 남이면 | 지방도 제96호선 중복 구간 경부고속도로 청주남IC와 연결 | |
남이외천삼거리 | 남석로 | 지방도 제96호선 중복 구간 | ||
척산삼거리 | 척산회당로 | |||
대련삼거리 | 대림로 | |||
가좌삼거리 | 가좌신송로 | |||
양촌 분기점 | 3순환로 | |||
가마 교차로 | 2순환로 | |||
이마트 청주점 | 서원구 | |||
미평사거리 | 궁뜰로 청남로1887번길 | |||
참사랑병원 충청북도교육청 | ||||
분평사거리 | 1순환로 | |||
남성초등학교 충북고등학교 남성중학교 | ||||
월평로 청남로2005번길 | ||||
청주남중학교 | ||||
남중삼거리 | 수영로 | |||
청주교육대학교 청주교대부설초등학교 | ||||
구룡산로 | ||||
모충사거리 | 무심서로 | |||
청남교 | ||||
상당구 | ||||
청남교사거리 | 무심동로 | |||
석교사거리 | 국도 제25호선 (단재로) 영운로 상당로1번길 상당로3번길 상당로5번길 | |||
구남궁병원사거리 | 남사로 용담로 | |||
도청사거리 (충청북도청) | 상당로69번길 상당로70번길 | |||
상당사거리 (상당공원) | 국도 제36호선 지방도 제96호선 (사직대로) 교동로 | 국도 제36호선 중복 구간 지방도 제96호선 중복 구간 | ||
청주시청 | 국도 제36호선 중복 구간 | |||
방아다리사거리 | 사북로 상당로186번길 | |||
우암오거리 | 향군로 중앙로103번길 상당로204번길 | 청원구 | ||
우암초등학교 | ||||
청대사거리 (청주대학교) | 직지대로 대성로 | |||
내덕삼거리 | 새터로 | |||
내덕칠거리 | 국도 제36호선 (충청대로) 내덕로 안덕벌로 우암로 충청대로1번길 | |||
1순환로 | ||||
사천교 | ||||
사천교사거리 | 율천북로 | |||
덕성초등학교 | ||||
농협사거리 | 율봉로 | |||
성모병원삼거리 | 주성로 | |||
율량 교차로 | 2순환로 | |||
충청북도 학생교육문화원 | 공항로287번길 | |||
종축장삼거리 | 팔결로 | |||
오동 교차로 | 3순환로 | |||
오근장육교 | ||||
공항 교차로 (청주국제공항) | 지방도 제540호선 (오창대로) | |||
팔결교 | ||||
청원구 오창읍 | ||||
가곡삼거리 | 팔결로 | |||
창리사거리 | 지방도 제508호선 지방도 제510호선 (중부로) | 지방도 제510호선 중복 구간 | ||
오창사거리 | 지방도 제510호선 (두릉유리로) | |||
복현 교차로 | 화북로 | |||
복현교 | ||||
원리 교차로 | 월리예천길 | |||
도하 교차로 | 문진로 | 진천군 | 문백면 | |
옥성 교차로 | 옥성2길 | |||
태락 교차로 | 문진로 | |||
진천터널 | 약 1080m | |||
진천읍 | ||||
원덕 교차로 | 원덕로 | |||
행정 교차로 | 국도 제34호선 (백공로) | |||
백곡교 | ||||
사곡 교차로 | 경왕로 | 이월면 | ||
중산대교 | ||||
신월 교차로 | 중미로 | |||
사당교 | ||||
북진천 나들목 (장양 교차로) | 평택제천고속도로 지방도 제302호선 (이동로) | 미잠 교차로와 연결 | ||
금곡 교차로 | 살천이길 | 광혜원면 | ||
소물 교차로 | 경왕로 | |||
광혜원 교차로 | 광혜원산단길 | |||
화량교 | ||||
실원 교차로 | 지방도 제82호선 (경왕로) | |||
두교교 | 경기도로 이어짐 |
4. 4. 대전광역시
; 기존 구간 (2016년 이전 노선)
- 청주시 서원구: 양촌 분기점 - 가마 교차로 - 이마트 청주점 - 미평사거리 - 참사랑병원 - 충청북도교육청 - 분평사거리 - 남성초등학교 - 충북고등학교 - 남성중학교 - 청주남중학교 - 남중삼거리 - 청주교육대학교 - 청주교대부설초등학교 - 모충사거리 - 청남교
- 청주시 상당구: 청남교 - 청남교사거리 - 석교육거리 - 구남궁병원사거리 - 도청사거리 - 상당사거리 - 청주시청 - 방아다리사거리
; 기존 구간 (2013년 이전 노선)
- 해당사항 없음
4. 5. 충청북도
4. 6. 경기도
5.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 총연장 (km) | 차로수 | 지정일 | ||
---|---|---|---|---|---|
엑스포대로 | 전라남도 여수시 덕충동(덕충 나들목) | 전라남도 여수시 주삼동(주삼 나들목) | 12.064 | 4 | 2002년 2월 15일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덕양 교차로)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호두리(해룡 나들목) | 15.14 | 4 | 2006년 6월 20일 |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선월리(매안 교차로) |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압곡리(왕지 분기점) | 13.2 | 4 | 2004년 9월 13일 | |
무평로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선월리(매안 교차로) |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압곡리(왕지 분기점) | 13.2 | 4 | 2004년 9월 13일 |
서부로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귀석리(금지 교차로)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중동리(조산 교차로) | 10.97 | 4 | 2009년 1월 12일 2014년 4월 30일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조산 교차로)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신정 교차로) | 0.51 | 4 | 2005년 11월 21일 |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신정 교차로) |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77](방자 교차로) | 6.0 | 4 | 2005년 10월 26일 | |
3순환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효촌리(효촌 분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휴암동(휴암 교차로) | 11.4 | 4 | 2001년 9월 29일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휴암 교차로)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동동(오동 교차로) | 13.33 | 4 | 2011년 5월 12일 |
6. 통과하는 도로
- -는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경기도 용인시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이 도로는 고속도로, 국도, 국가지원지방도를 통과한다.
종류 | 도로 목록 |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익산 완주) |
국도 |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77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계획 중),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
6. 1. 고속도로
6. 2. 국도
- 국도 제2호선
- 국도 제4호선
- 국도 제13호선
- 국도 제18호선
- 국도 제19호선
- 국도 제21호선
- 국도 제22호선
- 국도 제24호선
- 국도 제25호선
- 국도 제26호선
- 국도 제30호선
- 국도 제34호선
- 국도 제36호선
- 국도 제37호선
- 국도 제38호선
- 국도 제42호선
- 국도 제77호선
6. 3. 국가지원지방도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5]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6]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7]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8]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58호
http://theme.archive[...]
1972-04-28
[10]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506호
http://theme.archive[...]
1972-11-30
[11]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14호
http://theme.archive[...]
1974-04-26
[12]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88호
http://theme.archive[...]
1975-08-08
[13]
간행물
광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호
http://theme.archive[...]
1981-01-10
[14]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1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6호
http://theme.archive[...]
1981-04-06
[1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7호
http://theme.archive[...]
1981-04-16
[1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18]
간행물
광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2호
http://theme.archive[...]
1981-08-17
[1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4호
http://theme.archive[...]
1986-08-11
[2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7호
http://theme.archive[...]
1986-09-29
[2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5호
http://theme.archive[...]
1987-05-26
[2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3호
http://theme.archive[...]
1987-09-22
[23]
간행물
이리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3-47호
http://theme.archive[...]
1993-08-09
[2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248호
http://theme.archive[...]
1994-12-29
[25]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2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6-162호
http://theme.archive[...]
1996-08-26
[2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108호
http://theme.archive[...]
1998-05-02
[2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340호
http://theme.archive[...]
1999-01-07
[2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529호
http://theme.archive[...]
1998-12-28
[3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339호
http://theme.archive[...]
1999-01-07
[3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99호
http://theme.archive[...]
2000-12-23
[3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5호
http://gwanbo.mois.g[...]
2001-01-15
[3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03호
http://gwanbo.mois.g[...]
2001-07-06
[3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07호
http://gwanbo.mois.g[...]
2001-09-29
[3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4호
http://gwanbo.mois.g[...]
2002-01-10
[36]
공고
여수시공고 제2002-101호
http://gwanbo.mois.g[...]
2002-02-15
[37]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02호
http://gwanbo.mois.g[...]
2002-12-31
[38]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3-317호
http://cblib.cb21.ne[...]
2003-12-31
[39]
고시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04-211호
2004-09-13
[40]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3호
2005-02-28
[41]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89호
2005-11-21
[42]
고시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06-85호
http://news.jeonnam.[...]
2006-06-20
[43]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08호
2006-09-11
[44]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48호
http://www.jeonbuk.g[...]
2006-10-27
[45]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72호
2006-12-11
[46]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79호
http://cblib.cb21.ne[...]
2006-12-22
[47]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206호
http://cblib.cb21.ne[...]
2006-12-29
[48]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6호
http://www.jeonnam.g[...]
2007-01-19
[49]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36호
http://www.jeonnam.g[...]
2007-03-27
[50]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68호
http://www.jeonnam.g[...]
2007-12-20
[51]
공고
남원시 공고 제2007-5494호
http://www.jeonbuk.g[...]
2007-12-31
[52]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79호
http://gwanbo.mois.g[...]
2008-01-03
[53]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166호
http://gwanbo.mois.g[...]
2009-01-12
[54]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22호
http://gwanbo.mois.g[...]
2010-09-17
[55]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63호
http://gwanbo.mois.g[...]
2011-05-12
[56]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4호
http://gwanbo.mois.g[...]
2012-01-18
[57]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35호
http://gwanbo.mois.g[...]
2012-04-12
[58]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55호
http://gwanbo.mois.g[...]
2013-05-30
[59]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12호
http://gwanbo.mois.g[...]
2012-12-24
[60]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83호
http://gwanbo.mois.g[...]
2012-12-28
[61]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56호
http://gwanbo.mois.g[...]
2013-05-30
[62]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66호
http://gwanbo.mois.g[...]
2014-04-30
[63]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71호
http://icmo.molit.go[...]
2014-12-08
[64]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71호
http://gwanbo.mois.g[...]
2015-09-17
[65]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50호
http://gwanbo.mois.g[...]
2015-10-05
[66]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3호, 청주시공고 제2016-125호
http://gwanbo.mois.g[...]
2016-01-25
[67]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00호
http://gwanbo.mois.g[...]
2016-09-08
[68]
공고
청주시공고 제2016-2034호
http://www.cheongju.[...]
2016-08-31
[69]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호
http://gwanbo.mois.g[...]
2017-01-12
[70]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88호
http://gwanbo.mois.g[...]
2017-11-14
[7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8호
http://gwanbo.mois.g[...]
2018-01-26
[7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55호
http://gwanbo.mois.g[...]
2018-09-10
[7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261호
http://gwanbo.mois.g[...]
2019-12-20
[7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6호
http://gwanbo.mois.g[...]
2020-02-07
[7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77호
https://gwanbo.go.kr[...]
2021-06-22
[76]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77]
문서
실제 종점은 남원시 광치동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