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 무신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무신론은 기독교의 문화, 윤리, 역사적 유산을 긍정하면서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상이다. 기독교 무신론자들은 예수의 가르침과 인격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예수를 신이나 하느님의 아들로 여기지 않고, 도덕적 스승 또는 영향력 있는 랍비로 간주한다. 이들은 신의 죽음 신학, 포스트모던 신학 등 다양한 신학적 접근 방식을 취하며, 개신교, 가톨릭 등 다양한 종파에서 나타난다. 기독교 무신론은 문화와 종교의 관계, 예수의 역할, 그리고 신의 부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며, 신학자와 철학자, 그리고 여러 저명인사들에 의해 옹호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와 사회 - 기독교 문화
    기독교 문화는 기독교 신앙에 기반하여 형성된 문화 전반을 의미하며, 기독교의 본질인 경건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서양 문명과 세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가톨릭과 개신교를 중심으로 서구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기독교 무신론
개요
기독교 무신론의 상징
기독교 무신론의 상징
유형무신론, 기독교
기원1960년대
창시자토머스 조너선 제이 알티저
윌리엄 해밀턴
주요 인물폴 밴 뷰런
가브리엘 바하니
돈 컵빗
리처드 도킨스 (자신을 기독교 무신론자라고 칭함)
조지 매버리
자크 엘륄
데이비드 니버
마크 릴리
매튜 폭스
로이드 게이시
앨러스터 매킨타이어
파생 운동급진 신학
사후 기독교
무신론적 기독교
신학적 관점
신의 죽음 신학, 신의 부재
예수도덕적 교사, 신화적 인물, 사회 개혁가
성경은유, 신화, 인간 경험의 기록
내세거부 또는 상징적 해석
도덕기독교 윤리, 인간주의적 가치
실천공동체, 사회 정의, 자기 성찰
관련된 개념
관련 개념비유신론
문화적 기독교
세속적 기독교
탈기독교
기독교 좌파
참고 문헌
참고 문헌Thomas J.J. Altizer, *The Gospel of Christian Atheism* (1966)
William Hamilton, *The New Essence of Christianity* (1966)

2. 신념

기독교 무신론은 다양한 신념을 포괄한다. 예일 신학대학원의 토마스 오글트리 교수는 기독교 무신론의 공통된 특징으로 하느님의 비현실성, 현대 문화의 중요성, 교회로부터의 소외, 예수의 중심성을 제시했다.[1][2] 폴 반 뷰렌과 같은 '신의 죽음 신학자'들은 '신'이라는 단어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주장하며, 토마스 J. J. 알타이저는 '신의 죽음'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였다.

2. 1. 핵심 신념

2005년 런던 스피커스 코너에서 기독교 무신론을 홍보하는 남성. 그의 플래카드에는 "예수를 따르려면, 하느님을 거부하라"고 적혀 있다.


기독교 무신론자들 사이에는 다양한 사상이 존재한다. 예일 신학대학원의 윤리학 및 종교학 명예교수인 토마스 오글트리(Thomas Ogletree)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일반적인 믿음을 제시한다:[1][2]

# 우리 시대에 하느님의 비현실성을 주장하며, 이는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하느님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 책임감 있는 신학적 작업을 위해 현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

# 현재 구성된 교회로부터 다양한 정도와 형태의 소외.

# 신학적 성찰에서 예수의 인격의 중심성을 인정한다.

토마스 오글트리와 프레데리크 마르칸드는 이것들을 네 가지 신조로 분류했다.

#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일부에 존재했던 신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여, 우리 시대의 신의 비현실성을 호소하기 위한 언명.

# 책임 있는 신학적 연구의 필연적인 특징으로서 현대 문화에 정면으로 맞서기 위한 주장.

# 현재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교회로부터의 다양한 소외의 형태와 변용.

# 신학적 숙고에서 예수 개인에 대한 중심성이라는 인지.

"신의 죽음 신학자"인 폴 반 뷰렌은 신이라는 단어 자체가 의미를 갖지 않거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신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 "우리에게는 신에 관한 우리의 진위를 확인할 만한 무언가를 특정할 수 없다."

이러한 결론은 암묵적으로 의미에 대한 검증주의적인 이론을 전제하고 있다.

많은 기독교 무신론자는 신은 지금까지 한 번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믿지만, 문자 그대로 "신이 죽었다"고 믿는 사람도 적지 않다. 토마스 J. J. 알타이저는 문자 그대로의 "신의 죽음"에 접근하는 기독교 무신론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종종 "신의 죽음"을 "속죄"라는 사건으로 이야기한다. 그의 저서 "기독교 무신론의 복음"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오늘날 경험에 정직한 모든 인간은 신의 부재에 대해 알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기독교인만이 '신의 죽음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사건이며, 그것이 우리의 역사 속에서 인간성을 개정하고 해방해 왔다'는 의미에서 신이 죽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

3. 신학적 접근

기독교 무신론의 신학적 접근은 크게 '신의 죽음 신학', '포스트모던 신학', 그리고 기타 신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폴 반 뷰렌은 "신"이라는 단어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주장하며, 신에 대한 진술의 진위를 확인할 수 없다고 보았다. 토마스 J. J. 알티저는 신의 죽음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여, 십자가에 달린 예수의 죽음이 인류에게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독교 교회 전통에서 벗어나 현대 문화의 불경함을 포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존 캡토는 초월적 신을 부정하고, 정의와 용서 같은 '무조건적인 것'을 추구하는 '약한 신학'을 제시했다. 돈 큐핏은 기독교 비현실주의를 통해 종교가 도덕 철학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슬라보이 지젝은 기독교를 통해 무신론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예수의 죽음을 통해 근본적인 불안이 해소된다고 보았다. 피터 롤린스는 신학과 무신론의 구분이 인위적이라며, '파이로신학'을 통해 삶의 어려움에 맞서는 신앙을 강조했다.

이러한 신학적 접근은 예일 신학교의 토머스 오글트리와 프레데리크 마르칸드가 제시한 네 가지 신조로 요약될 수 있다.

번호내용
1우리 시대의 신의 비현실성을 호소
2현대 문화에 대한 정면 대응
3교회로부터의 소외
4예수 중심성


3. 1. 신의 죽음 신학

신의 죽음 신학은 1960년대 중반에 잠시 대중적으로 부각되었으며, 세속주의의 부상을 설명하고 신이 존재하지 않거나 결코 존재하지 않았음을 강조하는 다양한 견해를 지칭한다. 폴 반 뷰렌과 같은 신의 죽음 신학자에 따르면, "신"이라는 단어 자체는 "무의미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다"라고 하였다.[2] 반 뷰렌은 신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우리가 '신'에 대한 진술의 진실성을 뒷받침하거나 반증할 만한 것을 식별할 수 없다"고 말했다.[2] 대부분의 기독교 무신론자들은 신이 결코 존재하지 않았다고 믿지만, 일부는 신의 죽음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인다.[3]

토마스 J. J. 알티저는 십자가에 달린 예수의 죽음을 인류에게 바통을 넘겨주는 구원적 사건으로 보았다. 그는 저서 『기독교 무신론 복음』에서 "오늘날 경험에 열린 모든 사람은 신이 부재함을 알지만, 신이 죽었다는 것을, 신의 죽음이 최종적이고 취소 불가능한 사건이며, 신의 죽음이 우리의 역사 속에서 새롭고 해방된 인류를 실현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기독교인뿐이다"라고 말했다.[4]

일부 신의 죽음 신학자들은 기독교 교회의 제도와 분리되는 것을 선호한다. 알티저는 "급진적 기독교인은 교회 전통이 더 이상 기독교적이지 않다고 믿는다"고 말했으며, 실제로 믿음은 "교회 전통이나 주어진 교리적 또는 의례적 형태와 결코 동일시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4] 더욱이 그는 정통 기독교가 현대 문화와 현대 신학을 거부하는 데 실패했으며, 대신 현대 시대의 급진적인 불경함(profanity)을 포용함으로써 신성함을 추구해야 한다고 믿었다.[5] 알티저는 신이 인류가 신이 존재하는 동안에는 결코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의 적으로 보았고, 신에게 매달리는 것은 "우리 시대의 인간적 상황을 회피하고 그것의 운명인 불가피한 고통을 포기하는 것"이었다.[4]

예일 신학교 윤리학 및 종교학 교수인 토머스 오글트리(Thomas Ogletree)와 프레데리크 마르칸드(Frederic Marquand)는 이것들을 네 가지 신조로 분류했다.

#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일부에 존재했던 신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여, 우리 시대의 신의 비현실성을 호소하기 위한 언명.

# 책임 있는 신학적 연구의 필연적인 특징으로서 현대 문화에 정면으로 맞서기 위한 주장.

# 현재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교회로부터의 다양한 소외의 형태와 변용.

# 신학적 숙고에서 예수 개인에 대한 중심성이라는 인지.

3. 2. 포스트모던 신학

포스트모던 신학은 신, 또는 신의 개념이 인간의 해석에 종속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신학은 자크 데리다와 같은 해체주의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과 같은 독일 관념론자, 쇠렌 키르케고르와 파울 틸리히를 포함한 기독교 실존주의자, 그리고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았다.

포스트모던 신학의 주요 인물인 존 캡토는 세상 위에 군림하는 초자연적이고 강력한 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정의, 환대, 용서와 같은 "무조건적인 것"을 포용하라는 사람들의 부름을 나타내는 신을 옹호하는 "약한 신학"을 주장한다. 이러한 무조건적인 것들은 결코 완전히 도달하거나 상상할 수도 없다. 따라서 캡토는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신은 주장한다."고 말하며, "우리의 응답의 존재는 주장의 존재를 획득하거나 세상에 나타나는 유일한 방법이다"라고 말한다. 캡토는 신의 죽음 신학에서 거리를 두면서, 무신론은 신학의 시작점이지 종착점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사람들이 명제와 논쟁보다는 은유, 이야기, 노래, 시, 우화 등을 통해 "신"의 부름에 응답하는 신학시의 역할을 강조한다. 캡토는 포스트모던이라는 명칭을 받아들이면서 "급진 신학", 포스트구조주의, 그리고 포스트유신론이라는 용어도 사용한다. 그는 기독교 좌파와 동일시한다.

영국에서는 돈 큐핏이 기독교 비현실주의를 개척했는데, 이는 "우리의 언어와 이론보다 먼저 존재하며, 그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그것에 의해 검증될 수 있는 현실적인 존재론이라는 개념을 거부한다." 큐핏은 시간이 지나면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관되었고, 종교가 우리 시대에 적합한 도덕 철학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우주론과 세속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태양처럼 "단순히 자기 표현을 쏟아내는 것"이라고 말하는 "태양적 삶"을 옹호한다.

예일 신학교 윤리학 및 종교학 교수인 토머스 오글트리(Thomas Ogletree)와 프레데리크 마르칸드(Frederic Marquand)는 이것들을 네 가지 신조로 분류했다.

#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일부에 존재했던 신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여, 우리 시대의 신의 비현실성을 호소하기 위한 언명.

# 책임 있는 신학적 연구의 필연적인 특징으로서 현대 문화에 정면으로 맞서기 위한 주장.

# 현재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교회로부터의 다양한 소외의 형태와 변용.

# 신학적 숙고에서 예수 개인에 대한 중심성이라는 인지.

알타이저나 랭커스터 대학교의 철학 강사인 콜린 라이어스 등의 신학자들은, 오늘날의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문화에 주목하며 그 안에서 종교의 자리를 찾으려 했다.

알타이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더 이상 서로 고립된 채로 믿음을 가지며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급진적인 기독교인은 이 세상으로부터 해방된 모든 형태의 믿음을 비난하고 있다.[1]

그는 우리의 무신론에 대한 대응은 수용과 긍정의 일종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콜린 라이어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기독교 무신론자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만족스러운 답은, 지금 여기서, 이 세상에서의 삶을 견딜 수 있게 하고, 현세의 사회 문제나 기타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는 답이어야 한다는 믿음으로 일치하고 있다.[1]

3. 3. 기타 신학

철학자이자 문화 이론가인 슬라보이 지젝은 "무신론자가 되는 유일한 방법은 기독교를 통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는 전통적인 무신론이 충분히 나아가지 못한다고 주장한다.[9]

지젝은 "기독교는 신이 없다고 주장하는 일반적인 무신론보다 훨씬 더 무신론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타자'에 대한 일정한 신뢰를 유지한다. 이 '거대한 타자'는 자연의 필연성, 진화 등으로 불릴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조화로운 진화의 전체 내에서 어떤 위치로 축소되지만, 받아들이기 어려운 점은 다시 '거대한 타자'가 없다는 것, 즉 의미를 보장하는 기준점이 없다는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지젝에 따르면 십자가에 달린 예수의 죽음이라는 생각은 사랑의 행위이자 "근본적인 불안의 해결"로서 이러한 긴장을 해소한다. 실제로 지젝은 예수가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마가복음 15:34)라고 외쳤을 때 십자가 위에서 스스로 무신론자가 되었다고 말한다.[9]

신학자 피터 롤린스는 신학과 무신론 사이의 구분이 "인위적"이라고 말하며, "무신론의 심오한 신학적 측면과 신학의 깊은 무신론적 측면"을 칭찬한다.[10] 롤린스는 "기독교를 진지하게 받아들일 때" 형이상학적인 신에 대한 믿음은 "필연적으로 사라진다"고 말한다.[11] 대신 롤린스는 파이로신학을 옹호한다.

롤린스는 "파이로신학은 의심과 불안으로부터의 탈출을 약속하는 모든 종교/이념 체계에 대한 깊은 비판을 포함한다. [...] 파이로신학은 일상생활의 의심과 어려움을 삶의 깊이와 밀도로 들어가는 여정에 불을 지피는 연료로 바꾸는 데 도움을 준다. 파이로신학은 유신론자와 무신론자 사이의 지루한 논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신앙에 대한 소이성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그것은 신앙이 어떻게 우리가 우리의 깨어짐에 단호하게 직면하고, 알지 못함을 기쁨으로 받아들이고, 삶의 어려움에 용감하게 맞서도록 돕는지 드러낸다."라고 설명한다.[12]

예일 신학교 윤리학 및 종교학 교수인 토머스 오글트리(Thomas Ogletree)와 프레데리크 마르칸드(Frederic Marquand)는 이것들을 다음 네 가지 신조로 분류했다.

번호내용
1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일부에 존재했던 신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여, 우리 시대의 신의 비현실성을 호소하기 위한 언명.
2책임 있는 신학적 연구의 필연적인 특징으로서 현대 문화에 정면으로 맞서기 위한 주장.
3현재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교회로부터의 다양한 소외의 형태와 변용.
4신학적 숙고에서 예수 개인에 대한 중심성이라는 인지.


4. 문화와의 관계



기독교 무신론자들 사이에는 다양한 사상이 존재한다. 예일 신학대학원의 윤리학 및 종교학 명예교수인 토마스 오글트리(Thomas Ogletree)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일반적인 믿음을 제시한다.[1][2]

# 우리 시대에 하느님의 비현실성을 주장하며, 이는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하느님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 책임감 있는 신학적 작업을 위해 현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

# 현재 구성된 교회로부터 다양한 정도와 형태의 소외.

# 신학적 성찰에서 예수의 인격의 중심성을 인정한다.

알티저와 랭커스터 대학교 철학 강사인 콜린 라이어스 같은 신학자들은 과학적이고 경험적인 문화 속에서 종교의 위치에 대해 글을 썼다. 알티저는 "믿음과 세상은 더 이상 상호 고립된 채로 존재할 수 없다. 급진적인 기독교인은 세상과 단절된 모든 형태의 믿음을 정죄한다"라고 말했다.[4] 그는 인류가 무신론에 대한 반응은 "수용과 긍정"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4] 라이어스는 "기독교 무신론자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만족스러운 답은 바로 지금, 이 세상에서 삶을 견딜 수 있게 하고, 이 삶의 사회적 문제와 다른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 답이어야 한다는 믿음으로도 뭉쳐 있다"라고 썼다.[3]

5. 예수의 중심성

6세기 모자이크의 기독교의 예수 - 라벤나의 산탄폴리나레 누오보 대성당


해밀턴은 기독교 무신론자에게 예수라는 역사적 또는 초자연적인 인물은 신앙의 기초가 아니라고 말했다. 대신 예수는 "존재해야 할 곳, 관점"이다.[5] 몇몇 기독교 무신론자들은 예수를 기독교인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예시로 보지만, 그를 하느님(God)이나 하느님의 아들(Son of God)로 여기지 않고, 단지 영향력 있는 랍비로 보았다. 해밀턴은 예수를 따른다는 것은 "이웃과 함께하고, 그를 위하는 것"을 의미하며,[5] 예수를 따른다는 것은 인간이 되고, 다른 인간을 돕고, 인류를 진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고 썼다. 토머스 알티저와 같은 다른 기독교 무신론자들은 예수의 신성을 유지하며, 그를 통해 하느님이 하느님의 초월적 존재를 부정한다고 주장한다.

예일 신학교 윤리학 및 종교학 교수인 토머스 오글트리(Thomas Ogletree)와 프레데리크 마르칸드(Frederic Marquand)는 이것들을 네 가지 신조로 분류했다.

#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일부에 존재했던 신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여, 우리 시대의 신의 비현실성을 호소하기 위한 언명.

# 책임 있는 신학적 연구의 필연적인 특징으로서 현대 문화에 정면으로 맞서기 위한 주장.

# 현재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교회로부터의 다양한 소외의 형태와 변용.

# 신학적 숙고에서 예수 개인에 대한 중심성이라는 인지.

6. 종파별 현황

2007년 퓨 종교 지형 조사에 따르면, 하나님을 믿지 않는 미국인 중 5%는 가톨릭, 9%는 개신교 및 기타 기독교로 확인되었다.[13] 2014년 퓨 종교 지형 조사에 따르면, 무신론자와 불가지론자를 포함하여 특정 종교에 속하지 않는다고 밝힌 미국인 중 41%는 개신교 신자로, 28%는 가톨릭 신자로 성장했다.[14][15]

6. 1. 개신교

네덜란드 개신교회(PKN) 교인의 42%가 비신자이다.[22] 1980년대 영국에서 돈 큐핏이 설명한 "기독교 비현실주의" 전통을 따르는 일부는 신은 상징이나 은유이며 종교적 언어가 초월적인 현실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7개의 네덜란드 개신교 교파에 속한 860명의 목사를 조사한 결과, 성직자 6명 중 1명이 불가지론자이거나 무신론자였다. 이 교파 중 하나인 레몬스트란트에서는 회의적인 사람의 수가 42%였다.[16][17]

클라스 헨드릭세 목사는 신을 "경험, 또는 인간의 경험을 위한 단어"라고 부르며, 예수가 존재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헨드릭세는 2007년 저서 『존재하지 않는 신을 믿는 것: 무신론 목사의 선언문』에서 신의 존재를 믿기 위해 신의 존재를 믿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총회는 성직자와 교회 구성원들이 헨드릭세의 견해를 널리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헨드릭세가 목사로 계속 일하도록 허용한 2010년 결정은 헨드릭세의 발언이 "교회의 기초를 훼손할 만큼 중요하지 않다. 헨드릭세의 생각은 신학적으로 새로운 것이 아니며, 우리 교회의 필수적인 부분인 자유주의적 전통과 일치한다"라고 결론지은 지역 감독 위원회의 조언을 따랐다.[16]

2003년 해리스 여론 조사(Harris Interactive) 설문조사에 따르면, 스스로 미국의 개신교라고 밝힌 사람의 90%가 신을 믿고 약 4%가 신이 없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18] 2017년 WIN-갤럽 국제 협회(WIN/GIA)의 설문 조사에서 다수의 기독교 국가인 스웨덴중국 다음으로 무신론자 또는 비종교인이라고 스스로를 부르는 사람들의 비율이 두 번째로 높았다(76%).[19][20] 퀘이커 교도의 상당수는 비신자 퀘이커 교도이다. 영국 퀘이커 교도 중 2013년에 14.5%가 무신론자로, 43%가 "신에 대한 믿음을 고백할 수 없다"고 답했다.[21]

6. 2. 가톨릭

가톨릭 무신론은 가톨릭교의 문화, 전통, 의례, 규범은 받아들이지만, 신의 존재는 부정하는 신념이다. 미겔 데 우나무노의 1930년 소설 ''성 마누엘 부에노, 순교자''는 가톨릭 무신론을 묘사하고 있다.

2007년 연구에 따르면, 네덜란드 가톨릭 신자 중 27%만이 스스로를 유신론자로 생각했으며, 55%는 이엣시스트 또는 불가지론적 유신론자, 17%는 불가지론자 또는 무신론자였다.[22] 많은 네덜란드인들은 여전히 "가톨릭"이라는 용어를 종교적 정체성보다는 문화적 정체성의 기반으로 사용하며, 네덜란드 가톨릭 인구의 대다수는 현재 대체로 비종교적이다.[22]

2007년 퓨 종교 지형 조사에 따르면, 신을 믿지 않는 미국인 전체 중 5%가 가톨릭 신자였으며, 9%는 개신교나 기타 기독교인이었다. 2014년 조사에서는 무신론자나 무종교인을 포함한 무소속 미국인 중 41%가 개신교 신자, 28%가 가톨릭 신자로 성장했다.

7. 비판

C. S. 루이스는 그의 저서 ''순전한 기독교''에서 해밀턴의 기독교 무신론과 예수가 단순한 도덕적 안내자였다는 주장에 대해 반대했다. 루이스는 예수가 스스로를 하나님이라고 주장한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 그는 훌륭한 도덕 선생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거나, 미치광이거나, 그보다 더 나쁜 사람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루이스는 독자들에게 예수를 바보 취급하거나, 악마로 죽이거나, 주님과 하나님으로 부를 수 있지만, 그가 훌륭한 인간 선생이라는 뻔뻔한 소리는 하지 말라고 했다. 그는 예수가 우리에게 그런 선택지를 남겨두지 않았다고 주장했다.[23]

루이스의 주장은 현재 루이스의 딜레마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주장은 예수가 실수했거나, 잘못 전달되었거나, 단순히 신화적일 수 있다는 다른 선택지를 다루지 않기 때문에 허위 딜레마를 구성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철학자 존 베버슬루이스는 루이스가 "그의 독자들에게 그와 같은 혐오스러운 함의를 갖지 않는 수많은 예수에 대한 대안적 해석을 박탈한다"고 주장했다.[23] 바트 어만은 역사적 예수가 스스로를 하나님이라고 불렀다는 것은 단순한 전설이며, 루이스는 전문적인 성경 학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 사실을 알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24][25]

8. 신학자와 철학자


  • 토머스 J. J. 알티저(1927–2018): 미국의 신학자로서, 신은 죽었다 신학을 통합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신의 죽음"을 "속죄"라는 사건으로 이야기하며, "오늘날 경험에 정직한 모든 인간은 신의 부재에 대해 알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기독교인만이 '신의 죽음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사건이며, 그것이 우리의 역사 속에서 인간성을 개정하고 해방해 왔다'는 의미에서 신이 죽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라고 말한다.[1]
  • 마커스 보그(1942–2015): 미국의 신약성서 학자, 신학자이자 진보적 기독교의 지도자로서, 범재신론의 형태로 신을 받아들이면서도 "초자연적 유신론"을 거부했다.[1]
  • 윌리엄 몽고메리 브라운(1855–1937): 미국의 성공회 주교, 공산주의 작가, 무신론 활동가. 스스로를 "기독교 무신론자"라고 칭했다.[1]
  • 존 D. 카푸토(1940년 출생): 미국의 철학자이자 포스트모던 신학의 주요 인물이다. 그는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신은 주장한다"라고 썼다.[1]
  • 존 도미닉 크로산(1934년 출생): 아일랜드계 미국인 신약성서 학자이자 전직 사제로, 문자 그대로의 신을 믿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확실히" 기독교인이라고 말한다. 문화적 기독교인이기도 하다.[1]
  • 토르킬드 그로스볼(1948–2020): 덴마크 루터교 사제로서 2003년에 그가 창조하거나 지지하는 신과 같은 더 높은 존재를 믿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그는 2008년 은퇴할 때까지 사제로 활동했다.[1]
  • 로버트 M. 프라이스(1954년 출생): 그리스도 신화 이론을 지지하고 스스로를 기독교 무신론자라고 밝힌 미국의 작가.[1]
  • 피터 롤린스(1973년 출생): 북아일랜드 신학자로서, 일련의 신념이 아닌 세상을 대하는 방식으로서의 믿음을 상정하는 "불신학"을 옹호한다.[1]
  • 조지 산타야나(1863–1952): 스페인계 미국인 철학자, 작가, 소설가. 평생 무신론자였지만, 그는 스페인 가톨릭 문화를 깊이 존경했다. 그는 자신을 "미학적 가톨릭"이라고 묘사하곤 했다.[1]
  • 프랭크 섀퍼: 신학자 프랜시스 섀퍼의 아들은 자신을 "신을 믿는 무신론자"라고 묘사한다.[1]
  • 존 셸비 스퐁(1931–2021): 미국의 성공회 주교이자 신학자로서, 기독교를 갱신하기 위한 "12개의 테제"를 제시했는데, 그 중 첫 번째 테제는 "[신]을 정의하는 방법으로서의 유신론은 죽었다. 그래서 오늘날 대부분의 신학적 신 이야기는 무의미하다. 신에 대해 말할 새로운 방식을 찾아야 한다."이다.[1]
  • 폴 반 뷰런(1924–1998): "신의 죽음 신학"과 관련된 성공회 사제, 신학자, 작가. 그는 신이라는 단어 자체가 의미를 갖지 않거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뿐이라고 주장하며, "우리에게는 신에 관한 우리의 진위를 확인할 만한 무언가를 특정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1]
  • 슬라보예 지젝(1949년 출생): 슬로베니아 철학자로서 그의 저서 《팬데믹!: COVID-19이 세상을 흔들다》의 첫 문장에서 스스로를 기독교 무신론자로 밝힌다.[1]

9. 기타 저명 인사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1954년 출생): 벨라루스 대통령으로, 스스로를 "정교회 무신론자"라고 칭한다.[37]
  • 루보시 모틀(1973년 출생): 체코 이론 물리학자.
  • 더글러스 머레이(1979년 출생): 영국 작가, 언론인, 정치 평론가. 그는 기독교가 영국과 유럽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믿는 전 성공회 신자이다.[38][39][40][41]
  • 안톤 루빈스타인(1829–1894): 러시아의 피아니스트, 작곡가, 지휘자. 그는 기독교인으로 성장했지만, 나중에 기독교 무신론자가 되었다.[42]
  • 댄 새비지(1964년 출생): 미국의 작가, 언론 전문가, 저널리스트, 그리고 LGBT 커뮤니티 운동가. 그는 현재 무신론자라고 밝히면서도,[43] 여전히 "문화적 가톨릭"으로 정체성을 인식한다고 말했다.[44]
  • 리처드 B. 스펜서(1978년 출생): 미국의 대안 우파 및 백인 우월주의 인물. 스스로 무신론자라고 말하지만,[45] 자신을 "문화적 기독교인"으로 묘사했다.[46]
  • 앤드루 톰킨스: 호주의 기독교적 둠 메탈 밴드 파라메시움의 리드 보컬이자 베이시스트. 톰킨스는 자신의 신앙에 대한 질문에 "나는 실천적 기독교인이라고 종종 말하지만, 믿는 기독교인은 아닙니다."라고 답했다.[47]
  • 그레타 보스퍼(1958년 출생): 캐나다 연합 교회 목사로 무신론자이다.[48]
  • 보구스와프 볼니에비치(1927–2017): 폴란드 우익 철학자로, 자신을 "로마 가톨릭 불신자"라고 불렀다.[49]
  • 슬라보예 지젝(1949년 출생): 슬로베니아의 철학자.
  • 리처드 도킨스(1941년 출생): 유명한 신 무신론자. "나는 세속적인 유대인이 향수와 의식에 대한 감각을 갖는 것과 같은 의미에서 스스로를 세속적인 기독교인이라고 표현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rofessor at Yale University http://religiousstud[...] 2017-04-06
[2] 서적 The Death of God Controversy Abingdon Press 1966
[3] 논문 "On the Coherence of Christian Atheism." 1970
[4] 서적 The Gospel of Christian Atheism The Westminster Press 1966
[5] 서적 Radical Theology and The Death of God The Bobbs-Merrill Company, Inc. 1966
[6] 서적 The Folly of God: A Theology of the Unconditional Polebridge Press 2015
[7] 논문 "Theological Anti-Realism," 2014-05
[8] 뉴스 "'Solar living' offers a better approach to new year resolutions" https://www.odt.co.n[...] Otago Daily Times 2019-01-11
[9] 간행물 The Pervert's Guide to Ideology P Guide Productions, Zeitgeist Films 2012
[10] 웹사이트 Atheism for Lent Welcome (2020) https://peterrollins[...] 2024-06-14
[11] 기타 "Todd McGowan and Peter Rollins: Hegel & Radical Christianity." 2023-07-28
[12] 웹사이트 Peter Rollins personal website peterrollins.com 2023-09-17
[13] 이미지 https://assets.pewre[...] 2022-03
[14] 이미지 https://assets.pewre[...] 2022-03
[15] 웹사이트 Chapter 2: Religious Switching and Intermarriage https://www.pewresea[...] 2015-05-12
[16] 뉴스 Dutch rethink Christianity for a doubtful world https://www.bbc.co.u[...] 2011-08-05
[17] 웹사이트 Does Your Pastor Believe in God? http://www.albertmoh[...] 2009-03-31
[18] 웹사이트 While Most Americans Believe in God, Only 36% Attend a Religious Service Once a Month or More Often http://www.harrisint[...] 2003-10-15
[19] 뉴스 Map: These are the world's least religious countries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20] 이미지 https://static.attn.[...] 2022-03
[21] 웹사이트 The Quakers are right. We don't need God http://www.theguardi[...] 2021-12-02
[22] 서적 God in Nederland' (1996–2006)
[23] 서적 C.S. Lewis and the Search for Rational Religion Eerdmans 1985
[24] 웹사이트 The Problem with Liar, Lunatic, or Lord https://ehrmanblog.o[...] 2020-11-23
[25] 웹사이트 If Jesus Never Called Himself God, How Did He Become One? https://www.npr.org/[...] 2020-11-23
[26] 뉴스 Marcus Borg: What Is God? (Interview) https://marcusjborg.[...] 2023-07-04
[27] 뉴스 U.S. Heresy Trial. A 'Christian Atheist.' 1924-06-02
[28] 서적 The Folly of God: A Theology of the Unconditional Polebridge Press 2015
[29] 서적 Will the Real Jesus Please Stand up?: A Debate between William Lane Craig and John Dominic Crossan Baker Books 1998
[30] 뉴스 John Dominic Crossan's 'blasphemous' portrait of Jesus http://edition.cnn.c[...] 2011-02-27
[31] 뉴스 Tidligere sognepræst og ateist Thorkild Grosbøll er død - 72 år https://nyheder.tv2.[...] 2020-05-11
[32] 서적 George Santayana's Philosophy of Religion: His Roman Catholic Influences and Phenomenology Lexington Books 2012
[33] 기타 "Santayana playfully called himself 'a Catholic atheist,' but in spite of the fact that he deliberately immersed himself in the stream of Catholic religious life, he never took the sacraments. He neither literally regarded himself as a Catholic nor did Catholics regard him as a Catholic."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4-07
[34] 뉴스 Frank Schaeffer, Former Evangelical Leader, Is A Self-Declared Atheist Who Believes In God Huffington Post 2014-06-13
[35] 뉴스 Bishop Spong Calls for a 'Renewal of Christianity' https://episcopalarc[...] 1998-05-17
[36] 웹사이트 Pandemic!: COVID-19 Shakes the World https://www.orbooks.[...] 2023-07-10
[37] 뉴스 Belarus president visits Vatican http://news.bbc.co.u[...] 2010-06-26
[38] 뉴스 Studying Islam has made me an atheist http://www.spectator[...] 2008-12-29
[39] 뉴스 This House Believes Religion Has No Place In The 21st Century https://www.youtube.[...] The Cambridge Union Society 2013-01-31
[40] 뉴스 On the Maintenance of Civilization https://web.archive.[...] 2017-05-10
[41] 뉴스 Sunday Morning With... http://www.bbc.co.uk[...] BBC Radio Scotland 2017-05-07
[42] 문서 Taylor
[43] 문서 If Osama bin Laden were in charge, he would slit my throat; my God, I'm an atheist, a hedonist, and a faggot. Skipping Towards Gomorrah: The Seven Deadly Sins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n America
[4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an Savage http://www.afterelto[...] AfterElton.com 2005-09-13
[45] 웹사이트 The Alt Right and Secular Humanism https://web.archive.[...] 2017-01-28
[46] 웹사이트 'We''re Not Going Anywhere:\' Watch Roland Martin Challenge White Nationalist Richard Spencer' https://www.youtube.[...] 2017-05-05
[47] 웹사이트 Paramaecium http://vibrationsofd[...] Vibrations of Doom 2016-07-22
[48] 뉴스 Atheist minister praises the glory of good at Scarborough church https://www.thestar.[...] 2015-03-16
[49] 뉴스 Radio Maryja znów skrytykowane za antysemityzm http://wiadomosci.wp[...] 2018-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