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 좌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좌파는 좌파 성향의 정책이 기독교 신념과 대치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단체 및 사람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사회 정의, 소외된 계층에 대한 관심, 평등주의 가치를 중시하며, 보편적 의료 보장, 복지, 대외 원조 등을 지지한다. 역사적으로는 18세기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20세기에는 사회 복음 운동과 해방 신학을 통해 발전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같은 인물들이 시민권 운동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자유주의 신학, 해방 신학, 생명 일관성 윤리, 동성애 문제 등에 대한 입장을 포함한다. 기독교 좌파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정당 및 단체와 연관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는 함세웅 신부, 권정생 등이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익 정치 - 자코뱅주의
    자코뱅주의는 프랑스 혁명 당시 자코뱅 클럽에서 시작된 급진 좌파 이념 및 운동으로, 로베스피에르의 지휘 아래 혁명 독재, 중앙집권화, 징병제, 공포정치를 시행하고, 경제 개입과 세속주의를 추진했으며, 이후 여러 좌우파 운동과 정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좌익 정치 - 좌익 국민주의
    좌익 국민주의는 사회주의적 배경을 가진 민족주의의 한 형태로, 국가 주권, 사회적 평등, 국민주권, 민족자결을 중시하며 신자유주의와 초국가적 간섭에 반대한다.
기독교 좌파
개요
정의
신학적 기반
해방신학라틴 아메리카에서 시작된 해방신학은 가난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의 편에서 활동하는 것을 강조함
사회복음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미국에서 일어난 사회복음 운동은 사회 정의와 빈곤 해결을 위한 기독교의 역할을 강조함
평화주의일부 기독교 좌파는 폭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공유하며, 평화와 비폭력적 해결책을 옹호함
정치적 입장
경제 정책종종 누진세, 사회 복지 프로그램, 노동자 권리 강화를 지지함
사회 문제성소수자 권리, 인종 평등, 성 평등과 같은 문제를 옹호하는 경향이 있음
외교 정책제국주의와 군사주의에 반대하며, 국제 협력과 외교적 해결책을 지지함
관련된 인물 및 단체
인물마틴 루터 킹 주니어
도로시 데이
데즈먼드 투투
단체기독교 사회주의 운동
퀘이커
메노나이트
비판
같이 보기

2. 용어

좌우 정치 스펙트럼에서 "기독교 좌파"라는 용어는 다양한 견해를 가진 단체와 사람들을 포함한다. 이 용어는 기독교 운동과 개인이 지지할 수도 있고 지지하지 않을 수도 있는 여러 가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기독교 좌파는 기독교 우파 또는 종교 우파와 명확히 구별되며, 경제적이든 사회적이든 좌파 성향의 정책이 기독교 신념과 명백히 대조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

좌파로 묘사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종교적 관점은 사회 정의 또는 가난하고 억압받는 소수 집단에 대한 관심이다. 이러한 경향의 지지자들은 보편적 의료 보장, 복지 제공, 보조 교육, 대외 원조, 그리고 불우한 사람들의 상황 개선을 위한 소수자 우대 정책을 장려할 수 있다. 평등주의에서 비롯된 가치관을 가진 기독교 좌파의 지지자들은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종교적 의무의 일부로 여긴다. 마태오 복음 25:31–46을 포함한 여러 구절들이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자주 인용된다.[4] 거의 모든 주요 종교가 황금률에 따라 다른 사람들을 도울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교의 신봉자들은 사회 정의를 자신의 신앙에 부합하는 운동으로 인용해 왔다.[5]

"사회 정의"라는 용어는 1840년대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술에서 영감을 받은 예수회 소속 이탈리아 가톨릭 학자 루이지 타파렐리에 의해 만들어졌다.[6] 기독교 좌파는 사회 정의, 권력의 포기, 겸손, 용서, 그리고 공적으로 강요된 기도와 반대되는 사적인 기도(Matthew|마태오|6:5-6영어)가 복음에 의해 요구된다고 주장한다. 성경에는 예수님이 부유하고, 권력 있고, 종교적인 사람보다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반복적으로 옹호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기독교 좌파는 이러한 입장이 관련성이 있고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뺨을 돌려 대라"는 표준을 고수하며, 그들은 "눈에는 눈"이라는 구약 성서의 율법보다 우선한다고 믿고, 기독교 좌파는 때때로 군국주의를 발전시키는 정책에 반대하여 평화주의를 지지한다.[7]

중세의 왈도파는 좌파적 성격을 띠었다.[8] 일부 기독교 좌파는,[9] 일부 비종교적 사회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미하일 고르바초프예수를 "최초의 사회주의자"로 인용하면서 기독교 아나키즘, 기독교 공산주의, 기독교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를 복음서에서 찾는다.[10] 기독교 좌파는 기독교 사회주의뿐만 아니라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로 여기지 않는 기독교인들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범주이다.

3. 역사

기독교 좌파 사상은 계몽주의 시대인 18세기 후반에 나타났다. 그러나 당시에는 이단으로 여겨져 쇠퇴했다.

대중 사회가 일반화되면서 종교 좌파는 영향력을 얻기 시작했다. 1970년대 고도 경제 성장과 소비주의로 인해 '''자기 보존형 신앙'''이 확산되었다. 이는 신앙을 공과 사로 구분하는 속인주의를 낳았고, 종교 좌파의 진보주의적 측면을 강화해 종교를 부차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국가신도(신사본청)와 대립했던 역사 때문에 불교나 기독교에서 기독교 좌파 성향이 많이 나타난다. 창가학회반전주의 등에서 좌파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자유민주당과의 협력, 일본공산당과의 대립으로 우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신일본종교단체연합회는 자민당 후보를 지지한다.

3. 1. 초기 기독교

19세기 일부 작가와 활동가들은 기독교 신학과 실천에 사회주의 원리를 주입한 기독교 사회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로버트 오웬, 앙리 드 생시몽과 같은 초기 사회주의자 사상가들은 기독교적 원리에 기초하여 사회주의 이론을 세웠다.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이 이론들에 반발하여 ''공산당 선언''에서 세속적 사회주의 이론을 정립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일부 사람들은 진정한 기독교가 좌파적 관점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견해를 가지기 시작했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에 이르기까지, 주요 기독교 작가들은 사회주의자들이 동의하는 견해를 설파했다. 가장 큰 관심사는 신약 성경에 나타난 매우 강력한 평등주의의 흐름이었다. 평화주의, 사회 정의, 인종 평등, 인권, 과도한 의 거부와 같은 다른 일반적인 좌파의 관심사도 성경에 강하게 표현되어 있다. 19세기 말에는 사회 복음 운동이 일어났고 (특히 앵글로-가톨릭, 루터교, 감리교, 침례교 신자들 사이에서 북아메리카와 영국에서) 진보주의사회주의 사상을 기독교와 통합하여 기독교 사회주의와 같은 운동에 의해 장려되는 신앙 기반의 사회 운동을 만들려고 했다. 이 기간 동안 미국에서는 성공회와 회중교회가 일반적으로 신학적 해석과 사회 복음에 대한 지지 모두에서 가장 진보적인 경향을 보였다. 캐나다에서는 진보적인 회중교회, 감리교, 장로교의 연합이 최초의 진정한 기독교 좌파 교파 중 하나인 캐나다 연합 교회를 창립했다. 20세기 후반에는 구스타보 구티에레즈와 매튜 폭스와 같은 작가들이 해방 신학을 옹호했다.

3. 2. 중세 및 종교개혁 시대

다음은 오늘날의 기독교 좌파와 유사한 점이 있었던 과거의 여러 운동들이다.

19세기 말 계몽주의 사상이 침투하기 시작하면서 중세의 전통(스코라 철학)과의 관계를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모더니즘이 등장했다. 모더니즘은 교리를 발전적인 것으로 해석하고, 그 수정을 허용하는 것이 특징이었으나, 당시 교황 비오 10세에게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3. 3. 근대

사회주의공산주의를 포함한 초기 반체제 좌파 운동은 19세기에 대부분 반성직자주의적이었으며, 일부 기존 교회 성직자들은 혁명을 그들의 지위와 권력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 교회는 때때로 기득권의 일부로 여겨졌다. 미국, 프랑스, 러시아혁명은 부분적으로 기존 교회와 성직자들을 겨냥했으며, 정교분리를 확립했다.

19세기에는 일부 작가와 활동가들이 기독교 신학과 실천에 사회주의 원리를 주입한 기독교 사회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로버트 오웬, 앙리 드 생시몽과 같은 초기 사회주의자들은 기독교적 원리에 기초하여 사회주의 이론을 세웠다.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이 이론들에 반발하여 ''공산당 선언''에서 세속적 사회주의 이론을 정립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일부 사람들은 진정한 기독교가 좌파적 관점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견해를 가지기 시작했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에 이르기까지, 주요 기독교 작가들은 사회주의자들이 동의하는 견해를 설파했다. 가장 큰 관심사는 신약 성경에 나타난 매우 강력한 평등주의의 흐름이었다. 평화주의, 사회 정의, 인종 평등, 인권, 과도한 의 거부와 같은 다른 일반적인 좌파의 관심사도 성경에 강하게 표현되어 있다.

19세기 말, 북아메리카영국에서 사회 복음 운동이 일어났다(특히 앵글로-가톨릭, 루터교, 감리교, 침례교 신자들 사이에서). 이들은 진보주의사회주의 사상을 기독교와 통합하여 기독교 사회주의와 같은 운동에 의해 장려되는 신앙 기반의 사회 운동을 만들려고 했다. 이 기간 동안 미국에서는 성공회와 회중교회가 일반적으로 신학적 해석과 사회 복음에 대한 지지 모두에서 가장 진보적인 경향을 보였다. 캐나다에서는 진보적인 회중교회, 감리교, 장로교의 연합이 최초의 진정한 기독교 좌파 교파 중 하나인 캐나다 연합 교회를 창립했다.

20세기 후반, 구스타보 구티에레즈와 매튜 폭스와 같은 작가들이 해방 신학을 옹호했다. 기독교 좌파는 상당 부분, 사회 철학 없이 단순히 노동자에 대한 목회적이고 복음주의적인 관심을 가지고 노동자 계급을 대상으로 목회 활동을 하러 간 성직자들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특히 영국에서는 감리교와 앵글로-가톨릭, 독일의 아돌프 콜핑 신부, 그리고 벨기에의 조제프 카르디앵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세기 말 계몽 사상이 침투하기 시작하면서, 모더니즘은 중세의 전통(스코라 철학)과의 관계를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등장했다. 모더니즘의 이념은 교리를 발전적인 것으로 해석하고, 그 수정을 허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당시 교황 비오 10세에게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이 모더니즘의 흐름을 이었다. 이 신학은 삼위일체와 성경을 믿는 정통 신앙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더니즘과 마찬가지로 이단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

1940년대가 되면서 에큐메니컬 운동의 영향으로 과학이나 세속뿐만 아니라 타 종교와 조화하는 경향이 조성되었다.

3. 4. 현대

대중 사회가 일반화됨에 따라 종교 좌파는 영향력을 가지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고도 경제 성장에 따른 소비주의로 인해, '''자기 보존형 신앙'''이 보급되었다. 이는 신앙을 공과 사로 엄격히 구분하는 속인주의를 대두시키고, 종교 좌파의 진보주의적인 측면을 성장시켜, 종교를 부차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19세기 말에 계몽 사상이 침투하기 시작하면서 중세의 전통(스코라 철학)과의 관계를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등장한 모더니즘이 기원으로 여겨진다. 그 이념은 교리를 발전적인 것으로 해석하고, 그 수정을 허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당시 교황 비오 10세에게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20세기 초에는 그 흐름을 잇는 자유주의 신학이 부상했다. 이 신학은 삼위일체와 성경을 믿는 정통 신앙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더니즘과 마찬가지로 이단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

1940년대가 되면서 에큐메니컬 운동의 영향으로 과학이나 세속뿐만 아니라 타 종교와 조화하는 경향이 조성되었다.

미국의 경우,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들은 "교황 공위주의자"(Sedevacantist, 대립 교황 참조)를 제외하고, 낙태동성애를 용인하는 기독교 좌파가 많다. 미국의 가톨릭 신자들이 자유주의적인 민주당의 귀중한 지지층이라는 점에서도 이를 엿볼 수 있다. (가톨릭교회 자체가 낙태를 용인하는 입장은 아니며, 마이크 펜스와 같은 보수적인 신도도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해방 신학이 기독교 좌파에 새롭게 더해졌다.

현재 기독교 좌파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입장이 있다고 여겨진다.

  • 자유주의 신학, 성모 마리아의 처녀 잉태나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과학적·역사적 사실로 보지 않는 것이 특징. 낙태 찬성을 포함한다.
  • 해방 신학, "행위"는 물질적, 정신적 양면에서 필요성을 갖는다고 주장하는 것이 특징.


일본에서는, 전전(戰前)에 국가신도(신사본청)와 대립했던 경위로 인해 불교나 기독교에 많은 경향을 보인다.

일본 최대의 신흥 종교인 창가학회반전주의 등의 점에서 좌파로 분류되기도 하고, 자유민주당과의 협력이나 일본공산당과의 대립으로 인해 우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신일본종교단체연합회는 자민당 후보를 지지하기도 한다.

  • 전일본불교회
  • 일본기독교협의회
  • 기독교 사회파
  • 오오모토 (전후) - 전전에는 쇼와신성회 등 종교 우파적이었으나 전향한 예.

4. 신학 및 신념

좌우 정치 스펙트럼에서 '기독교 좌파'라는 용어는 다양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을 포함한다. '좌파'라는 용어는 기독교 운동과 개인이 지지할 수도, 지지하지 않을 수도 있는 여러 가치를 포괄한다. 기독교 좌파는 기독교 우파와 달리 경제적, 사회적 좌파 성향의 정책이 기독교 신념과 대조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좌파로 묘사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종교적 관점은 사회 정의 또는 가난하고 억압받는 소수 집단에 대한 관심이다. 이들은 보편적 의료 보장, 복지, 보조 교육, 대외 원조, 소수자 우대 정책 등을 장려한다. 평등주의에서 비롯된 가치관을 가진 기독교 좌파는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종교적 의무로 여기며, 마태오 복음 25:31–46과 같은 성경 구절을 근거로 제시한다. 거의 모든 주요 종교가 황금률에 따라 다른 사람들을 도울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4] 다양한 종교의 신자들은 사회 정의를 자신의 신앙에 부합하는 운동으로 인용해 왔다.[5]

"사회 정의"라는 용어는 1840년대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술에서 영감을 받은 예수회 소속 이탈리아 가톨릭 학자 루이지 타파렐리가 만들었다.[6] 기독교 좌파는 사회 정의, 권력 포기, 겸손, 용서, 그리고 공적으로 강요된 기도와 반대되는 사적인 기도(마태오 복음 6:5-6)가 복음에 의해 요구된다고 주장한다. 성경에는 예수님이 부유하고 권력 있는 사람보다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반복적으로 옹호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기독교 좌파는 이러한 입장이 관련성이 있고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뺨을 돌려 대라"는 가르침을 고수하며, "눈에는 눈"이라는 구약 성서의 율법보다 우선한다고 믿는 기독교 좌파는 때때로 군국주의에 반대하고 평화주의를 지지한다.[7]

중세 왈도파는 좌파적 성격을 띠었다.[8] 일부 기독교 좌파는,[9] 미하일 고르바초프예수를 "최초의 사회주의자"로 인용한 것처럼, 기독교 아나키즘, 기독교 공산주의, 기독교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를 복음서에서 찾는다.[10] 기독교 좌파는 기독교 사회주의뿐만 아니라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로 여기지 않는 기독교인도 포함하는 넓은 범주이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에 이르기까지, 주요 기독교 작가들은 사회주의자들이 동의하는 견해를 설파했다. 신약 성경에 나타난 평등주의, 평화주의, 사회 정의, 인종 평등, 인권, 과도한 의 거부와 같은 좌파적 관심사가 성경에 강하게 표현되어 있다. 19세기 말 사회 복음 운동은 진보주의사회주의 사상을 기독교와 통합하여 기독교 사회주의와 같은 운동으로 이어졌다. 북아메리카영국에서 앵글로-가톨릭, 루터교, 감리교, 침례교 신자들 사이에서 활발했으며, 미국에서는 성공회와 회중교회가 가장 진보적인 경향을 보였다. 캐나다에서는 진보적인 회중교회, 감리교, 장로교의 연합이 캐나다 연합 교회를 창립했다.

1964년의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기독교 신념과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짐 크로우 법 등에 대항하는 비폭력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1957년 킹과 다른 시민권 운동가들은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를 창립하여 비폭력 시위를 수행했다. 킹은 예수 그리스도와 기독교 복음서, 황금률, 산상수훈의 "다른 뺨을 돌려 대라"는 가르침에 기반한 비폭력 사상을 설파했다.

4. 1. 자유주의 신학

19세기 말, 계몽주의 사상이 확산되면서 중세의 전통(스코라 철학)과의 관계를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모더니즘이 등장했다. 모더니즘은 교리를 발전적인 것으로 해석하고, 수정을 허용하는 것이 특징이었으나, 당시 교황 비오 10세에게 이단으로 규정되었다.[1]

20세기 초에는 모더니즘의 흐름을 잇는 자유주의 신학이 부상했다. 자유주의 신학은 삼위일체성경을 믿는 정통 신앙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아 모더니즘과 마찬가지로 이단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1]

1940년대가 되면서 에큐메니컬 운동의 영향으로 과학이나 세속뿐만 아니라 타 종교와 조화하는 경향이 조성되었다.[1]

미국의 경우,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들은 "교황 공위주의자"(대립 교황 참조)를 제외하고 낙태동성애를 용인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가톨릭 신자들이 자유주의적인 민주당의 주요 지지층이라는 점에서도 이를 엿볼 수 있다. (가톨릭교회 자체가 낙태를 용인하는 입장은 아니며, 마이크 펜스와 같은 보수적인 신도도 있다.)[1]

자유주의 신학은 성모 마리아의 처녀 잉태나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과학적·역사적 사실로 보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낙태 찬성을 포함한다.[1]

4. 2. 해방 신학

사회 복음 운동과 구스타보 구티에레즈, 매튜 폭스와 같은 작가들에 의해 옹호된 해방 신학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일부 사람들이 진정한 기독교가 좌파적 관점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견해를 가지기 시작하면서 등장했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에 이르기까지, 주요 기독교 작가들은 사회주의자들이 동의하는 견해를 설파했다.

해방 신학은 주로 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개발 도상국에서 등장한 신학적 전통이다.[19] 1960년대 이후, 가톨릭 사상가들은 좌익 사상과 가톨릭을 통합하여 해방 신학을 낳았다. 이는 남아메리카와 중앙 아메리카의 독재자들에 반대하는 가톨릭 사상가들이 공산주의 반대 세력과 연대하던 시기에 발생했다. 그러나 이는 미국의 흑인 신학과 독립적으로, 그리고 거의 동시에 발전했으며, 흑인 신학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20] 신앙 교리성은 해방 신학이 가톨릭 사회 교리와 부분적으로는 일치하지만, 영구적인 계급 투쟁 교리와 같은 특정 마르크스주의적 요소는 교회의 가르침에 어긋난다고 결정했다.

20세기 후반부터 해방 신학이 기독교 좌파에 새롭게 더해졌다. 현재 기독교 좌파에는 크게 두 가지 입장이 있는데, 해방 신학은 "행위"는 물질적, 정신적 양면에서 필요성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4. 3. 생명 일관성 윤리

생명 일관성 윤리는 사형, 군국주의, 안락사, 낙태, 그리고 세계의 불평등한 부의 분배에 대한 반대를 서로 관련된 것으로 보는 사상이다. 이는 아브라함 계통 종교뿐만 아니라 일부 불교, 힌두교 등 다른 종교의 신자들도 공유하는 특정 개념을 가진 사상이다. 조셉 버나딘 추기경이 1983년 생명 일관성 윤리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16] 소저너스 공동체는 이 사상과 특히 연관되어 있다.[17][18]

4. 4. 동성애

기독교 좌파는 종교적 우파와 달리 동성애에 대해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한다. 이는 같은 종교적 견해를 가졌더라도 문제에 대한 강조점이 다르거나, 아예 다른 종교적 관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종교적 우파가 동성애 반대를 강조하는 것과 달리, 기독교 좌파는 성경의 살인 금지나 부의 집중 비판과 같은 가르침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기독교 좌파 구성원들은 동성애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비도덕적이라고 보지만, 동성애적 성행위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를 가진다. 어떤 이들은 동성애적 성행위가 부도덕하지만 사회 정의 문제나 이성애적 성행위의 성적 도덕 문제보다 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른 이들은 일부 동성애적 행위가 기독교적 삶과 양립할 수 있다고 본다. 이들은 동성애를 비난하는 성경적 주장이 잘못 해석되었으며, 성경은 연상 남성이 어린 소년을 성적으로 학대하는 소아성애를 금지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따라서 현대의 동성 간 관계에는 성경적 금지가 무관하다고 주장한다.[12][13][14][15]

미국로마 가톨릭교회 신자들 중에는 교황 공위주의자를 제외하고 동성애를 용인하는 기독교 좌파가 많다.

5. 세계 각국의 기독교 좌파

세계 각국의 기독교 좌파 정당 및 단체는 다음과 같다.

국가정당비고
칠레기독교 민주당
그리스기독교 민주주의
이탈리아360 협회, AreaDem, 올리비스트, 개혁주의 기반, 사회 기독교인, Teodem, 더 파퓰러스, 벨트로니아니민주당 내의 파벌
민주 중도
연대 민주주의
네덜란드기독교 연합경제 좌파
니카라과산디니스타 민족 해방 전선
폴란드AGROunia농업 및 민족주의 기독교 좌파
폴란드 공화국 자위대
루마니아사회 민주당
스웨덴스웨덴 종교 사회 민주주의자스웨덴 사회 민주 노동당 내 파벌
스위스기독교 사회당
영국좌파 기독교인노동당 내 파벌
미국미국 연대당경제 좌파
금주당
우루과이우루과이 기독교 민주당



국가정당비고
벨기에인도주의 민주주의 센터분파만 존재
캐나다협동 연방 연합신민주당에 합병
칠레시민 좌파
동독기독교 민주 연합1989년까지
이탈리아민주주의는 자유 - 데이지민주당에 합병
이탈리아 인민당민주주의는 자유 - 데이지에 합병
네덜란드복음주의 인민당흐로언링크스에 합병
급진 정치 정당



일본의 경우, 전전에 국가신도(신사본청)와 대립했던 경위로 인해 불교나 기독교에 기독교 좌파 성향이 많은 경향을 보인다.[1] 전일본불교회, 일본기독교협의회, 기독교 사회파, 오오모토 등이 이에 해당된다. 다만, 창가학회와 같이 좌우 উভয় 측면을 모두 가진 경우도 있다.

5. 1. 유럽

이탈리아의 경우, 구 기민당의 분파 중 하나가 기독교 좌파였으며, 후계정당인 이탈리아 민주당의 주 이념 중 하나가 기독교 좌파이다.

국가정당비고
그리스기독교 민주주의
이탈리아360 협회, AreaDem, 올리비스트, 개혁주의 기반, 사회 기독교인, Teodem, 더 파퓰러스, 벨트로니아니민주당 내의 파벌
민주 중도
연대 민주주의
네덜란드기독교 연합경제 좌파
폴란드AGROunia농업 및 민족주의 기독교 좌파
폴란드 공화국 자위대
루마니아사회 민주당
스웨덴스웨덴 종교 사회 민주주의자스웨덴 사회 민주 노동당 내 파벌
스위스기독교 사회당
영국좌파 기독교인노동당 내 파벌


5. 2. 라틴 아메리카

남미는 문화적 특성상, 기독교가 각국의 전통문화이자 서민과 친숙한 종교이기 때문에 타 국가들에 비해 기독교 좌파가 많으며, 그 스펙트럼도 다양하다.

남미의 기독교 좌파들은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과 같이 주로 사회민주주의적인 색깔을 내포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나, 우고 차베스처럼 반미주의민주사회주의를 내포하는 사람들도 많다. 베네수엘라의 경우 우고 차베스 집권 이후, 서민 친화적인 차베스 정권을 옹호하는 기독교 좌파와 차베스 정권을 독재적이라고 비판하는 기독교 우파로 크게 나뉘어 베네수엘라기독교계가 크게 분열되었다. 칠레기민당은 기독교민주주의를 이념으로 내거는 대표적인 좌파 정당으로 알려져 있다. 브라질의 가장 큰 정당인 노동자당도 일부 분파에 기독교 좌파가 포함되어 있다. 코스타리카의 좌파 정당들은 기독교 좌파를 공식적으로 이념으로 걸기도 한다.

해방 신학은 주로 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개발 도상국에서 등장한 신학적 전통이다.[19] 1960년대 이후, 가톨릭 사상가들은 좌익 사상과 가톨릭을 통합하여 해방 신학을 낳았다. 이는 남아메리카와 중앙 아메리카의 독재자들에 반대하는 가톨릭 사상가들이 공산주의 반대 세력과 연대하던 시기에 발생했다. 그러나 이는 미국의 흑인 신학과 독립적으로, 그리고 거의 동시에 발전했으며, 흑인 신학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20] 신앙 교리성은 해방 신학이 가톨릭 사회 교리와 부분적으로는 일치하지만, 영구적인 계급 투쟁 교리와 같은 특정 마르크스주의적 요소는 교회의 가르침에 어긋난다고 결정했다.

5. 3. 북아메리카

베트남 전쟁2003년 이라크 침공에 반대하는 평화 운동에 일부 기독교 단체들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11] 많은 국가의 종교 지도자들은 사회 복지 프로그램 삭감에 대해 비판하는 데 앞장섰으며, 많은 시민권 운동가들이 종교인이었다.[11]

미국에서 기독교 좌파는 평화 교회, 개신교 주류 교회의 일부, 가톨릭, 일부 복음주의 교인을 포함한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비롯된다.[11]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1955년부터 암살된 1968년까지 시민권 운동의 대변인이자 지도자였던 침례교 목사이자 활동가였다. 기독교 신념과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적 활동에서 영감을 받아 짐 크로우 법 및 기타 차별에 대항하여 비폭력 저항을 이끌었다. 1957년 킹과 다른 시민권 운동가들은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를 창립하여 비폭력 시위를 통해 시민권 개혁을 이루고자 했다. 이 단체는 킹의 친구였던 복음주의자 빌리 그레이엄의 십자군과 킹의 동맹인 스탠리 레비슨과 엘라 베이커가 설립한 프렌드십(Friendship)의 전국적 조직에서 영감을 받았다.[11] 킹은 사망할 때까지 SCLC를 이끌었다.

기독교 목사로서 킹은 예수 그리스도와 기독교 복음서의 영향을 받았으며, 종교 모임, 교회 연설, 공개 담론에서 이를 자주 인용했다. 킹의 신앙은 황금률에 대한 예수의 계명에 기반을 두었으며, 비폭력 사상은 산상수훈의 "다른 뺨을 돌려 대라"는 훈계와 예수의 가르침(마태복음 26:52)에 기초했다. 버밍햄 감옥에서 온 편지에서 킹은 예수의 "극단적인" 사랑과 일치하는 행동을 촉구했다.[11]

19세기 말, 모더니즘은 계몽 사상의 침투에 따라 스코라 철학과의 관계를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 이념은 교리를 발전적인 것으로 해석하고 수정을 허용했지만, 교황 비오 10세에게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이 부상하여 삼위일체와 성경을 믿는 정통 신앙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아 모더니즘과 마찬가지로 이단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었다.

1940년대, 에큐메니컬 운동의 영향으로 과학, 세속, 타 종교와 조화하는 경향이 조성되었다.

미국로마 가톨릭교회 신자들은 낙태동성애를 용인하는 기독교 좌파가 많으며, 이는 민주당의 중요한 지지층이라는 점에서도 나타난다.

20세기 후반부터 해방 신학이 기독교 좌파에 새롭게 더해졌다.

현재 기독교 좌파에는 자유주의 신학과 해방 신학의 두 가지 입장이 존재한다.

5. 4. 아시아

함세웅 신부와 작가 권정생이 대표적인 기독교 좌파로 분류된다. 한국에서의 기독교 좌파는 주로 가톨릭교, 성공회, 한국기독교장로회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일본에서는 전전(戰前)에 국가신도(신사본청)와 대립했던 경위로 인해 불교나 기독교에 많은 경향을 보인다.

일본 최대의 신흥 종교인 창가학회반전주의 등의 점에서 좌파로 분류되기도 하고, 자유민주당과의 협력이나 일본공산당과의 대립으로 인해 우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신일본종교단체연합회는 자민당 후보를 지지하기도 한다.

  • 전일본불교회
  • 일본기독교협의회
  • 기독교 사회파
  • 오오모토 (전후) - 전전에는 쇼와신성회 등 종교 우파적이었으나 전향한 예.

5. 5. 대한민국

6월 민주항쟁을 이끈 함세웅 신부와 작가 권정생이 대표적인 기독교 좌파로 분류된다. 한국에서의 기독교 좌파는 주로 가톨릭교, 성공회, 한국기독교장로회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1]

참조

[1] 웹사이트 You Need to Take the Religious Left Seriously This Time https://www.politico[...] 2021-02-25
[2] 웹사이트 Engels and revolutionary religion https://www.culturem[...]
[3] 웹사이트 Religion as Opium of the People https://www.learnrel[...]
[4] 웹사이트 The "Golden Rule" (a.k.a. Ethics of Reciprocity) http://www.religious[...] 2020-02-03
[5] 서적 The Religious Left in Modern America: Doorkeepers of a Radical Faith Springer, USA
[6] 웹사이트 The FAQs: What Christians Should Know About Social Justice https://www.thegospe[...] 2020-02-03
[7] 웹사이트 Why Christianity demands pacifism https://theweek.com/[...] 2020-02-03
[8] 서적 Leftism: from de Sade and Marx to Hitler and Marcuse https://books.google[...] Arlington House 2023-04-01
[9] 서적 Christian Socialism
[10] 웹사이트 Mikhail S. Gorbachev Quotes http://www.brainyquo[...] Brainyquote.com 2007-02-23
[11] 학술 The Christian Left: Who Are They and How Do They Differ from the Christian Right? https://www.jstor.or[...] 1997-09
[12] 웹사이트 Why TCPC Advocates Equal Rights for Gay and Lesbian People http://www.tcpc.org/[...]
[13] 웹사이트 Equality for Gays and Lesbians – Christian Alliance for Progress http://www.christian[...] 2005-12-01
[14] 웹사이트 Bible & Homosexuality Home Page http://www.pflagdetr[...]
[15] 웹사이트 http://www.whosoever[...]
[16] 서적 Consistent ethics of life Sheed and Ward
[17] 서적 Prophetic Encounters: Religion and the American Rad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Beacon Press 2011-11
[18] 서적 Social Ethics in the Making: Interpreting an Americ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3-25
[19] 학술 The Solved Conflict: Pope Francis and Liberation Theology https://link.springe[...] Springer Nature 2021-07
[20] 웹사이트 Prophets of a Modern Era: An Introduction to Liberation Theology | Koinonia Revolution http://koinoniarevol[...] 2013-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