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무껍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무껍질은 나무의 가장 바깥쪽을 덮는 조직으로, 내수피와 외수피로 구성된다. 내수피는 살아있는 세포로 영양분 전달 역할을 하며, 외수피는 죽은 세포로 이루어져 수분 손실 방지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나무를 보호한다. 나무껍질에는 공기 유통을 돕는 피목이 존재하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다. 나무껍질은 차량 충돌, 기상 변화, 생물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손상될 수 있으며, 나무는 손상된 부위를 유합조직을 통해 복구하려 한다. 한국에서는 나무껍질을 종이, 의복, 약재, 공예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해 왔으며, 현대에는 건축 자재, 코르크 제품, 멀칭재 등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생리학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 식물생리학 - 저분자
    저분자는 분자량이 900달톤 이하인 작은 분자로, 세포막 투과가 용이하여 의약품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표적 적용에 제한이 있고 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의약품 외에도 이차 대사산물, 연구 도구, 항게놈 치료제 등으로 활용된다.
  • 식물형태학 - 나무
    나무는 목부를 형성하고 육상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문화적으로 숭배받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식물이다.
  • 식물형태학 - 뿌리
    뿌리는 식물체의 지하 기관으로, 물과 양분 흡수, 지지, 저장, 호르몬 생성, 공생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형태와 특수 기능을 가진 뿌리도 존재하고, 식량, 약재 등으로 활용되며 환경 보호와 부정적 영향 모두에 관여한다.
  • 목본식물 - 카카오
    카카오는 아욱과에 속하는 열대 식물로, 열매인 카카오콩을 가공하여 코코아, 초콜릿 등을 만들며, 아동 노동, 환경 파괴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품종 개발과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목본식물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나무껍질
개요
정의목본식물 줄기 및 뿌리의 가장 바깥층
구성주피와 껍질눈으로 구성됨
보호 기능식물체를 보호하는 역할 수행
상세 구조
주피형성층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보호 조직
코르크 형성층, 코르크 세포, 코르크 피층으로 구성됨
코르크 형성층 (phellogen)주피의 형성층으로, 코르크 세포를 생성
코르크 세포 (phellem)코르크 형성층에서 바깥쪽으로 생성되는 세포
수베린이라는 소수성 물질을 함유하여 물과 기체의 이동을 막음
죽은 세포로 구성됨
코르크 피층 (phelloderm)코르크 형성층에서 안쪽으로 생성되는 세포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됨
껍질눈 (lenticel)주피에 존재하는 작은 구멍
기체 교환을 촉진
코르크 형성층의 활동이 왕성한 부위에서 발생
형성 과정
초기 형성표피 또는 피층 세포에서 코르크 형성층이 발생
코르크 형성층은 코르크 세포와 코르크 피층을 생성
후기 형성새로운 코르크 형성층이 더 깊은 층에서 형성될 수 있음
기존의 바깥쪽 조직은 떨어져 나가고, 새로운 껍질이 형성됨
기능
보호물리적 손상, 병원균 침입, 수분 손실로부터 식물체를 보호
수베린이 함유된 코르크 세포는 방수 기능을 제공
기체 교환껍질눈을 통해 기체 교환이 이루어짐
단열외부 온도 변화로부터 식물체를 보호
활용
코르크코르크 참나무의 껍질에서 얻어지며, 병마개, 단열재, 바닥재 등으로 사용됨
탄닌일부 식물의 껍질에는 탄닌이 함유되어 있어, 가죽 생산 등에 사용됨
약재일부 식물의 껍질은 약재로 사용됨
장식독특한 질감과 색상으로 인해 장식용으로 사용됨
참고 사항
껍질의 형태식물 종에 따라 껍질의 두께, 색깔, 질감 등이 다양하게 나타남
예시자작나무: 얇고 흰색의 껍질
소나무: 두껍고 거친 껍질
벚나무: 매끄럽고 윤기 있는 껍질

2. 구성

나무껍질은 크게 내수피와 외수피로 나뉜다.


  • 내수피: 관다발 형성층 바로 바깥쪽에 위치하며, 사부(Phloem)라고도 불린다.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영양분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 외수피: 주피라고도 불리며,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나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나무 단면 다이어그램


성숙한 목본 줄기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층은 다음과 같다:[20]

{| class="wikitable"

|-

! 층

! 구성

|-

| 나무껍질

|

주피
피층
사부



|-

| 관다발 형성층

|

|-

| 목재 (물관부)

|

변재 (알부름)
심재 (듀라멘)



|-

| 수 (골수)

|}

어린 줄기는 나무껍질이 없으며,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다음과 같은 조직으로 구성된다.


  • 표피 (주피로 대체될 수 있음)
  • 피층
  • 1차 및 2차 사부
  • 관다발 형성층
  • 2차 및 1차 물관부


코르크 세포벽에는 수베린이 함유되어 있어 줄기를 물 손실, 곤충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고 세균과 곰팡이 포자의 감염을 예방한다.[21]

일반적으로 수피는 수목의 줄기가지의 최외층에 있는 죽은 세포로 구성된 조직을 의미하지만,[53][54][55] 생물학적으로는 수목의 줄기(줄기나 가지)나 뿌리에서 관다발 형성층 바깥쪽에 있는 부분을 통틀어 수피라고 부른다.[53][54][55][56][59]

넓은 의미의 수피 중, 사부(2차 사부)에서 코르크 형성층까지는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되지만, 그 바깥쪽(코르크 조직)은 죽은 세포로 구성된다.[55][56] 전자는 내수피 또는 감피, 후자는 외수피 또는 조피라고 불린다.[53][54]

2. 1. 내수피 (Inner Bark)

관다발 형성층 바로 바깥쪽에 위치하며, 사부(Phloem)라고도 불린다. 내수피는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영양분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53][54] 내수피에는 체관, 체세포, 유세포 및 섬유 등이 포함된다.

2. 2. 외수피 (Outer Bark)

주피라고도 불리는 외수피는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외수피는 코르크 형성층(펠로겐), 코르크 조직(펠렘 또는 수버), 코르크 피층(펠로덤)으로 구성된다.[20] 코르크 조직은 수베린과 왁스 성분을 함유하여 방수 및 방충 기능을 한다.[21]

코르크는 코르크 형성층에서 파생된 목본 줄기의 가장 바깥쪽 층으로, 기생충, 초식성 동물 및 질병뿐만 아니라 탈수 및 화재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30]

손상된 벚나무 껍질


일반적으로 외수피(Outer bark)는 리티돔(rhytidome)이라고도 불리지만,[53][54] 주피와 거의 동일한 범위를 리티돔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55]

줄기가 노화되고 성장함에 따라 줄기 표면은 나무껍질로 변화한다. 코르크층이 두꺼워지면서 물과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하는 세포는 죽게 된다. 이 죽은 층은 나무 줄기와 다른 줄기 주위에 형성되는 거친 코르크질 나무껍질이다.

목본 식물에서 새로 자란 줄기의 표피는 그해 늦게 부름켜로 대체된다. 줄기가 자라면서 표피 아래에 코르크 형성층이라고 하는 세포층이 형성되고, 이 세포는 코르크로 변하는 코르크 세포를 생성한다. 펠로덤이라고 하는 제한된 수의 세포층이 코르크 형성층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줄기가 자라면서 코르크 형성층은 기체와 물에 불투과성이 되고 부름켜 외부의 세포, 즉 표피, 피층 및 오래된 2차 체관부가 죽는 새로운 코르크 층을 생성한다.[32]

부름켜 내에는 첫 번째 부름켜 층이 생성되는 동안 형성되는 피목이 있다. 형성층 내에 대사 동안 기체 교환이 필요한 살아있는 세포가 있으므로, 이러한 피목은 수많은 세포간 공간을 가지고 있어 외부 대기와의 기체 교환을 허용한다. 나무껍질이 발달함에 따라 새로운 피목이 코르크 층의 틈새에 형성된다.

수피는 나무의 줄기를 덮는 바깥층으로, 나무껍질에서 가장 친숙한 부분이다. 수피는 주로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겹의 수베린화된 페리더름, 피층 및 사부 조직의 형성에 의해 생성된다.[33]

2. 3. 피목 (Lenticel)

피목은 나무껍질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공기 순환을 돕는 역할을 한다. 나뭇잎의 기공과 비슷하게, 피목은 세포가 엉성하게 배열되어 있어 나무 내부와 외부 대기 사이의 기체 교환을 원활하게 한다.[55][61][56][63]

피목은 피목 형성층(피목 코르크 형성층, lenticel phellogen, lenticel cork cambium)이라는 분열 조직에서 생성된다.[55][61][56][63] 피목 형성층은 바깥쪽에 세포간극이 풍부한 유조직을 만들어 주피를 뚫고 피목이라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 유세포는 충전 세포(complementary cell)라고 불린다.[63][62][55][61][56]

피목의 형태, 크기, 밀도, 색 등은 이나 가지의 위치, 나이에 따라 다르다. 벚나무(장미과)나 버드나무(버드나무과) 등은 가로로 긴 피목을, 오동나무(오동나무과)나 딱총나무(인동과) 등은 세로로 긴 피목을 가진다.[56][60][63]

딱총나무속(인동과)의 줄기에서의 피목 형성

3. 손상 및 복구

나무는 주변 환경과 사물에 의해 여러 피해를 입는데, 그중에서도 나무껍질은 다양한 종류의 피해를 입는다. 차량 충돌, 볕뎀, 상렬, 가지치기 실수 등으로 인해 껍질이 벗겨질 수 있다.[116]

나무껍질은 동상균열 및 일소와 같은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딱따구리와 나무좀의 공격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수컷 사슴 및 사슴과 동물들은 발정기에 뿔을 나무에 비벼 녹용을 제거하는데, 이로 인해 심각한 나무껍질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가시 철사를 감싸고 있는 살아있는 나무 껍질


나무 껍질은 말뚝에 묶이거나 철사로 감싸여 손상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손상을 나무껍질 곪음이라고 불렀으며, 곪은 부위에 점토를 바르고 건초로 묶는 방식으로 치료했다.[38] 현대에는 "곪음"은 일반적으로 곤충이나 병원균에 의해 유발되는 식물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의미한다.

나무껍질 손상은 식물에 여러 가지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나무껍질은 특히 곰팡이로부터 질병에 대한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하므로, 나무껍질이 제거되면 식물이 질병에 더 취약해진다. 사부의 손상 또는 파괴는 식물 전체에서 광합성 생성물의 수송을 방해한다. 극단적인 경우, 줄기 주변 전체의 사부 띠가 제거되면 식물은 일반적으로 빠르게 죽는다. 정원 가꾸기 및 공공 조경과 같은 원예 분야에서 나무껍질 손상은 종종 원치 않는 미적 손상을 초래한다.

곤충,[39] 곰팡이, 이끼, 조류, 기타 관다발 식물을 포함한 많은 생물체가 나무껍질 안 또는 위에 살고 있다. 이러한 유기체 중 다수는 병원균 또는 기생충이지만, 일부는 공생 관계를 갖기도 한다.

성숙한 망고 (''Mangifera indica'')의 나무 껍질에 지의류가 자라고 있다

3. 1. 손상 원인

차량 충돌, 기계 마찰, 잘못된 가지치기 등 사람의 활동으로 인해 나무껍질이 손상될 수 있다.[116] 큰 나무를 옮길 때 밧줄을 잘못 감거나 지주를 잘못 설치하는 것도 원인이 된다.[116]

인위적 원인[116]



볕데기(피소), 상렬, 풍해, 관설해, 낙뢰해 등 기상 현상도 나무껍질 손상의 원인이다.[116] 볕데기는 남서쪽 목질부가 태양열로 인해 갈라지면서 수피가 벗겨지는 현상이다. 상렬은 남서쪽 수피와 목질부가 세로로 길게 갈라지는 현상이다. 태풍으로 인한 강풍(풍해)이나 눈의 무게(관설해)로 나뭇가지가 부러지면서 수피가 벗겨지기도 한다. 낙뢰해는 나무가 번개를 맞아 수피에 지그재그 모양의 상처가 생기는 현상이다.[116]

기상 원인[116]



노루, 산양, 멧돼지, 토끼와 같은 동물들이 나무껍질을 갉아 먹어(식해) 피해를 주기도 한다.[116]

생물적 원인[116]


3. 2. 상처 복구 (Wound Closure)

나무껍질은 나무의 일부가 형성층까지 파괴될 정도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을 때, 여러 해가 걸릴 정도로 느리지만 상처를 복구하려고 시도한다. 이는 동물이 잃어버린 부분을 완전히 메꾸는 것과는 달리, '상처닫기'를 통해 '치유'하려는 시도이다.[116] 형성층의 일종인 유합조직(캘러스)이 상처 주변에서 발달하여 부풀어 올라 상처 부위를 덮고 다시 수피와 목질부로 변형되어 병원균의 침투를 막는다.[116]

그러나 상처 부위가 너무 크거나 나무 위쪽을 향해 있어 물이 자주 고이면 나무가 썩기 시작하고 곰팡이버섯이 피어 심하면 죽게 된다. 수피의 상처가 아무는 속도는 나무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건강하고 활동량이 많은 나무일수록 유합조직의 생장이 활성화되어 상처가 빨리 아문다. 반면, 힘이 약한 나무는 유합조직의 발달 또한 약해져 치유 속도가 느려 병원균 침입이 쉬워진다.[116]

참나무와 같은 일부 수종은 광범위한 캘러스 복구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손상된 부위는 질병 및 곤충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때때로 수액이 생성되기도 한다.

4. 한국에서의 이용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나무껍질을 다양하게 활용해 왔다. 자작나무 껍질은 질기고 유연하여 카누, 지붕, 신발, 배낭 등 생활용품 제작에 쓰였다. 벚나무, 사철나무, 황벽나무, 산딸나무 등은 염색에, 참나무과 식물은 탄닌 성분 때문에 피혁 무두질어망 염색에 사용되었다. 코르크 참나무 껍질은 코르크로 가공되어 와인 마개 등으로 이용된다.

4. 1. 전통적 이용

자작나무 껍질은 긴 시트 형태로 제거할 수 있어 카누 제작, 지붕 재료, 신발, 배낭 등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41]

바이칼호 근처 박물관에 있는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배낭


벚나무, 사철나무 (장미과), 황벽나무 (운향과), 산딸나무 (산딸나무과) 등의 나무껍질은 염색에 사용되었다.[104][105][106] 나무껍질은 자연 염료의 원재료로 예로부터 활용되었으며, 일본 나라 시대의 경전이나 공문서에 사용된 삼지에는 방충을 위해 황벽나무로 염색한 황염지가 사용되었다.[107] 황팔장의 껍질색에는 황벽나무나 나카하라흑기, 갈색이나 흑색에는 야에야마 힐기, 류큐 카스리나 홍형에는 후쿠기가 사용되었다.[107]

참나무과 식물 등의 나무껍질에는 탄닌이 포함되어 피혁무두질에 사용된다.[108] 탄닌에는 방부, 방수, 방충 효과가 있어 어망을 염색하기 위해 가문비나무, 떡갈나무, 종가시나무, 밤나무, 산딸나무 등의 나무껍질이 사용되었다.[107]

코르크 참나무(참나무과)는 두꺼운 코르크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와인 마개 등에 이용된다.[64][65]

로버트 훅은 코르크 절편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수의 "작은 방"(라틴어로 ''cellula'')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1665년에 보고했으며, 이것이 세포 (cell)의 어원이 되었다.[55][64][66] 코르크 세포는 세포벽만 남은 죽은 세포이며, 세포 내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55][64]

일부 나무의 속껍질(체관부)은 식용이 가능하다. 북유럽에서는 구운 호밀에 스코틀랜드 소나무 또는 자작나무의 구워지고 갈아진 가장 안쪽 껍질 층을 첨가하여 나무껍질 빵을 만든다. 사미족은 봄에 제거하여 주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보관한 대형 ''Pinus sylvestris'' 나무껍질을 사용한다. 속껍질은 생으로, 말려서 또는 구워서 먹는다.[40]

소나무 껍질은 핀란드에서 기근 동안 비상 식량으로 사용되었으며, 마지막으로 1918년 핀란드 내전 중 및 그 이후에 사용되었다.

4. 2. 현대적 이용

나무껍질은 멀칭 및 원예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잘게 썬 나무껍질 조각은 '나무껍질 조각'으로 불리며, 착생 식물과 같이 일반 토양에서 잘 자라지 않는 식물에 사용된다.[50]

''나무껍질 조각''


목재 껍질에 포함된 리그닌열분해를 통해 천연 페놀 유도체가 풍부한 액체 바이오 오일 제품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51] 이 바이오 오일은 배향 스트랜드 보드 (OSB) 및 합판에 사용되는 페놀-포름알데히드(PF) 수지를 대체할 수 있다.[51]

코르크 조직은 다공질이며 탄성이 있지만, 세포벽에 수베린과 이 침착되어 있어 물과 공기를 거의 통과시키지 않는다. 코르크는 단열, 방음, 전기적 절연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다.[64] 특히 코르크 참나무(참나무과)는 두꺼운 코르크 조직을 가지고 있어, 와인 마개 등으로 이용된다.[64][65]

참조

[1] 간행물 Biology of Plants https://archive.org/[...] Worth Publishers
[2] 간행물 rhytidome, n.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02
[3] 간행물 Defining the Cambium http://dx.doi.org/10[...]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94
[4] 간행물 Growing Shrubs and Vines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Iowa Press
[5] 서적 Cells Tissues Organs http://dx.doi.org/10[...] S. Karger AG
[6] 논문 Periderm http://dx.doi.org/10[...] 2023-10-09
[7] 간행물 Growing Woody Plants for Experimental Purposes http://dx.doi.org/10[...] CRC Press 2001-03-29
[8] 간행물 Specification for percussive rock-drilling bits, rods and stems. Integral stems http://dx.doi.org/10[...] BSI British Standards
[9] 간행물 Meeting Trees http://dx.doi.org/10[...] Indiana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What the bark tells me of the tree... http://dx.doi.org/10[...] The MIT Press 2017
[11] 서적 An elementary text-book of botany, by Sydney H. Vines ... http://dx.doi.org/10[...] S. Sonnenschein & Co. 1898
[12] 문서 Seeing the Inside: Bark Painting in Western Arnhem Land. Oxford Studies in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Clarendon Press
[13] 문서 Bark: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Uses of Bark around the World Timber Press
[14] 문서 Tree Bark: a Color Guide Timber
[15] 서적 California tanbark oak. Part I. Tanbark oak and the tanning industry http://dx.doi.org/10[...] Govt. Print. Off 1911
[16] 간행물 Tannin Autocondensation and Polycondensation for Zero Emission Tannin Wood Adhesives http://dx.doi.org/10[...] Springer US 1999
[17] 간행물 Contact-pressure resin (contact resin, impression resin, low-pressure resin) http://dx.doi.org/10[...] Springer New York 2007
[18] 논문 Latex and Lingerie http://dx.doi.org/10[...] 2010
[19] 간행물 Hallucinogenic Mushrooms http://dx.doi.org/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12-31
[20] 간행물 Cork Elsevier
[21] 웹사이트 Botany Glossary "P" http://www2.puc.edu/[...] .puc.edu 2012-01-02
[22] 간행물 suberin, n.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02
[23] 논문 How Bacteria communicate http://dx.doi.org/10[...] 2009-05-29
[24] 논문 Regulation of asymmetric cell division in the epidermis 2011
[25] 논문 Effects of the hydraulic coupling between xylem and phloem on diurnal phloem diameter variation 2011-02-18
[26] 논문 Parenchyma http://dx.doi.org/10[...]
[27] 간행물 A Comparison of Drug-Nutrient and Nutrient- Nutrient Interactions http://dx.doi.org/10[...] CRC Press 1988-05-19
[28] 간행물 Enzymes of the Epidermis http://dx.doi.org/10[...] Elsevier 1964
[29] 간행물 Orbitofrontal cortex output pathways: cingulate cortex, basal ganglia, and dopamine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6-05
[30] 논문 Studies on the potato tuber
[31] 논문 Early tuber development from explanted stolon nodes of Solanum tuberosum var. Kennebec
[32] 간행물 Botany: an Introduction to Plant Biology Jones & Bartlett Learning
[33] 문서 Integrative Plant Anatomy Academic Press
[34] 서적 Anatomy of Seed Plants John Wiley & Sons
[35] 논문 Bark decay by the white-rot fungus Lentinula edodes: Polysaccharide loss, lignin resistance and the unmasking of suberin
[36] 논문 Biochemistry and function of cutin and suberin
[37] 논문 Degradation of Lignin in Wheat Straw during Growth of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Using Off-line Thermochemolysis with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and Solid-State 13C NMR
[38] 서적 The London encyclopaedia: or Universal dictionary of science, art, literature, and practical mechanics, comprising a popular view of the present state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2014-02-13
[39] 문서 Bark and Wood Boring Insects in Living Trees in Europe, a Synthes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4
[40] 논문 The ancient use of Pinus sylvestris L. (scots pine) inner bark by Sami people in northern Sweden, related to cultural and ecological factors = Ancienne usage d'écorce de Pinus sylvestris L. (Pin écossais) par les peuples Sami du nord de la Suède en relation avec les facteurs écologiques et culturels http://cat.inist.fr/[...] 2008-10-25
[41] 문서 The Bark Canoes and Skin Boats of North America Smithsonian Institution 1964
[42] Citation English: Turners Creek School, 1922 https://commons.wiki[...] 2024-04-09
[43] 웹사이트 The Prince of Wales mine at Reno, near Gundagai, New South Wales, 1900?, 2 [picture] https://nla.gov.au/n[...] 2024-04-09
[44] 서적 Cork Oak Woodlands on the Edge: conservation, adaptive management, and restoration http://www.uv.es/jgp[...] Island Press
[45] 논문 j.g. pausas' blog " Bark thickness: a world record? http://jgpausas.blog[...] Jgpausas.blogs.uv.es 2012-01-02
[46] 논문 Anti-trypanosomal activity of African medicinal plants: A review update International Society of Ethnopharmacology
[47] 논문 History, manufacture and properties of lime bast cordage in northern Europe
[48] 문서 The Fever Bark Tree; the Pageant of Quinine Doubleday 1946
[49] 문서 Peruvian Bark. A Popular Account of the Introduction of Chinchona Cultivation into British India J. Murray 1880
[50] 서적 Bark and Its Possible Uses https://books.google[...] Forest Products Laboratory, U.S. Forest Service 1971
[5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1.eere.ene[...] 2008-01-30
[52] 서적 文部省 学術用語集 植物学編 (増訂版) 丸善
[53] Kotobank 2023-06-23
[54]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55] 서적 植物形態学 朝倉書店
[56]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57] Kotobank 2023-04-18
[58] Kotobank 2023-06-22
[59] 서적 植物生理学・発生学 原著第6版 講談社
[60] 서적 葉っぱ・花・樹皮でわかる樹木図鑑 池田書店
[61] 서적 基礎生物学選書 3. 植物の形態 裳華房
[62] Kotobank 2023-06-25
[63]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64] Kotobank 2023-06-23
[65] Kotobank 2023-06-23
[66] 웹사이트 第6章 すべての生物は細胞から https://www.tmd.ac.j[...] 東京医科歯科大学 2023-06-23
[67] 논문 ニホンジカによる人工林剥皮害と下層植生との関連性 https://doi.org/10.4[...]
[68] 웹사이트 野生鳥獣による森林被害 https://www.rinya.ma[...] 林野庁 2023-06-23
[69] 웹사이트 エゾシカの樹皮食害 https://www.rinya.ma[...] 林野庁北海道森林管理局 2017-12-21
[70] 간행물 令和 3 年度ノウサギ被害対策検討事業報告書 https://www.rinya.ma[...] 林野庁 2021-12
[71] 논문 日本産樹上性リス類による森林被害 https://www.jstage.j[...] 2014
[72] 웹사이트 ちょっと昔のくらし探検 山で働く http://kumamoto-muse[...] 熊本県総合博物館ネットワーク・ポータルサイト 2022-06-23
[73] 웹사이트 木材保存を観点とする間伐材の土木利用マニュアル https://www.pref.nar[...] 奈良県森林技術センター 2023-06-23
[74] 웹사이트 スギ葉枯らし乾燥 https://www.pref.tok[...] 徳島県 2023-06-23
[75] 논문 ヒノキの巻き枯らし間伐実証試験 https://agriknowledg[...]
[76] 논문 特集「外来種と植生管理」 巻き枯らしによるハリエンジュの管理 https://doi.org/10.7[...]
[77] 논문 環状はく皮処理が主幹形モモの生育と果実品質に及ぼす影響 https://agriknowledg[...]
[78] 논문 キウイフルーツの生育期の環状はく皮による果実肥大効果,果実品質及び樹体への影響 https://agriknowledg[...]
[79] 논문 ブドウ‘安芸クイーン’の着色実態および 環状はく皮と着果量の軽減による着色改善 https://doi.org/10.2[...]
[80] 논문 カキ‘西村早生’の雄花と雌花の着生に及ぼす側枝の環状はく皮ならびに結縛の影響 https://hdl.handle.n[...]
[81] 논문 環状はく皮処理による亜熱帯系桑古条さし木の時期別露地実験 https://doi.org/10.1[...] 日本蚕糸学会
[82] 논문 各都道府県の林業・林産業と遺伝育種の関わり(24)石川県 https://doi.org/10.3[...]
[83] 웹사이트 檜皮葺き 2023-06-23
[84] 논문 〈隠岐・山陰沿岸の民俗〉隠岐・出雲甍紀行 : 杉皮葺きと左桟瓦・石州瓦 https://kindai.repo.[...] 近畿大学民俗学研究所 2011-06
[85] 웹사이트 樺細工について https://www.city.sem[...] 仙北市 2023-06-24
[86] 웹사이트 樺細工 2023-06-24
[87] 논문 北東アジアの白樺樹皮文化: 環境・社会・伝統・歴史からの北東アジア学 https://ushimane.rep[...]
[88] 논문 中国オロチョン族における樺皮の活用: 樺皮を活用した生活用具を中心に https://doi.org/10.1[...]
[89] 논문 バーミヤン渓谷から現れた仏教写本の諸相 http://www.classics.[...]
[90] 웹사이트 書写材料 白樺(樹皮紙 1) https://www.chikyuko[...] 2023-06-28
[91] 웹사이트 カバノキ 2023-06-28
[92] 논문 非木材繊維利用の現状と将来 https://doi.org/10.2[...]
[93] 웹사이트 和紙はどんな原料からつくられる? http://www.tesukiwas[...] 全国手すき和紙連合会 2023-06-24
[94] 웹사이트 アットゥシ 2023-06-24
[95] 논문 新石器時代に世界へ伝播した樹皮布/樹皮紙
[96] 논문 和紙繊維の世界-太布, 紙布, 紙衣
[97] 웹사이트 樹皮布 2023-06-24
[98] 뉴스 福本繁樹:樹皮布「タパ」誇り高く◇南太平洋の島々訪ね記録 氏族伝統の文様まとう◇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12-19
[99] 논문 Death and disease during the great Finnish famine 1695-1697 https://doi.org/10.1[...]
[100] 웹사이트 シナモン 2023-06-24
[101] 서적 週刊朝日百科 植物の世界 9
[102] 웹사이트 新常用和漢薬集 http://www.tokyo-sho[...] 東京生薬協会 2023-06-21
[103] 웹사이트 キナ 2023-06-25
[104] 논문 キハダ優良品種の増殖と徳島県下におけるキハダ造林に関する調査研究 https://agriknowledg[...] 徳島県林業総合技術センター 2001-07
[105] 웹사이트 自然を染める https://www.city.tak[...] 高崎市 2023-06-24
[106] 웹사이트 ヤマモモ 2023-06-24
[107] 서적 樹皮と冬芽:四季を通じて樹木を観察する 431種 誠文堂新光社 2014-10-10
[108] 웹사이트 タンニン 2023-06-21
[109] 서적 樹皮と冬芽:四季を通じて樹木を観察する 431種 誠文堂新光社 2014-10-10
[110] 웹사이트 バーク堆肥とは? 使い方や効果、デメリットなどを紹介します https://magazine.cai[...] 株式会社カインズ 2023-06-24
[111] 웹사이트 バークチップ https://www.shuminoe[...] NHK出版 2023-06-24
[112] 웹사이트 バークチップとウッドチップの効果や違いは?使い方や値段は? https://horti.jp/168[...] 2023-06-23
[113] 웹사이트 たくさんの利点がある!ウッドチップ・バークチップをガーデニングに使おう。 https://lovegreen.ne[...] 2023-06-24
[114] 간행물 日本の造園におけるエクステリアウッド利用の伝統と現在 http://doi.org/10.59[...]
[115] 서적 Biology of Plants https://archive.org/[...] Worth Publishers
[116] 서적 신고 수목병리학 향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