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만무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만무역은 16세기부터 17세기 초까지 포르투갈 상인들이 일본과 교역한 무역 활동을 의미한다. 포르투갈은 동남아시아 무역 거점을 확보하고, 명나라와의 무역이 어려워지자 일본과의 밀무역을 시작했다. 1543년 포르투갈 선박이 일본에 표류하면서 교류가 시작되었고, 마카오를 거점으로 일본, 중국, 포르투갈 삼국 간 상품 거래가 이루어졌다. 남만무역을 통해 생사, 견직물, 은, 화승총 등 다양한 물품이 거래되었으며,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그러나 에도 막부 시대에 기독교 탄압과 쇄국 정책으로 인해 포르투갈과의 무역이 제한되었고, 결국 1639년에 단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대외 관계 - 기리시탄 다이묘
    기리시탄 다이묘는 전국 시대에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기독교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으나, 불교 세력과의 갈등 및 기독교 탄압 정책으로 몰락한 다이묘들을 일컫는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대외 관계 - 주인선 (일본사)
    주인선은 17세기 초 일본에서 동남아시아를 오가며 무역 활동을 하던 선박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에 주인 시스템이 등장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허가를 발급하여 상인들을 통제했으며, 쇄국 정책으로 인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무역을 독점하면서 쇠퇴했다.
  • 일본-포르투갈 관계 - 데지마
    데지마는 에도 막부가 포르투갈인을 수용하기 위해 나가사키에 건설한 인공 섬으로, 쇄국 정책 하에 서양과의 유일한 교류 창구로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상관이 위치하여 무역과 학문 교류의 중심지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매립되었고, 현재 나가사키시에서 복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 일본-포르투갈 관계 - 남만문화
    남만문화는 16세기 일본에 유입된 서양 문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예수회 선교사들의 활동을 통해 전파된 기독교, 서양 학문, 기술, 그리고 다양한 서양 문물과 남만 무역을 통해 일본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문화적 교류를 촉진하며 오늘날까지 일본 문화에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다.
  • 스페인-일본 관계 - 하세쿠라 쓰네나가
    하세쿠라 쓰네나가는 다테 마사무네의 명을 받아 유럽 파견 사절단을 이끌고 스페인과의 무역 협상 및 교황 알현을 위해 유럽으로 파견되었으나 일본의 기독교 탄압으로 인해 통상 협정에는 실패하고, 쇄국 정책으로 잊혔지만 이와쿠라 사절단에 의해 재조명되었다.
  • 스페인-일본 관계 - 주인선 (일본사)
    주인선은 17세기 초 일본에서 동남아시아를 오가며 무역 활동을 하던 선박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에 주인 시스템이 등장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허가를 발급하여 상인들을 통제했으며, 쇄국 정책으로 인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무역을 독점하면서 쇠퇴했다.
남만무역
개요
"기독교 미사가 진행되는 모습 (일본 남만 스크린 가노 나이젠, 1600년경)"
시대1543년 – 1614년
유형무역 시대
관련 용어해금 (가이킨)
남만인 (난반인)
배경
발단1543년 포르투갈 상인 다네가시마 도착
주요 내용
주요 교역품일본: 은, 칼
유럽: 화승총, 명주실, 직물
역사적 의의
영향일본에 화승총 및 유럽 문화 전래
관련 인물
주요 인물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참고 문헌
관련 서적오타 준, 『근세 동남아시아 세계의 변용 - 글로벌 경제와 자와 섬 지역 사회』, 나고야 대학 출판회, 2014년
ISBN2-13-052893-7

2. 역사

바스코 다 가마의 함대가 인도 캘리컷에 도착한 후, 포르투갈 선박은 인도양을 횡단하여 아시아 무역에 진출하였다. 16세기 전반, 포르투갈은 인도양 항구도시를 공격하여 거점을 세웠다. 인도 고아에 있는 포르투갈령 인도 정부가 아프리카 동쪽에서 아시아에 이르는 포르투갈 무역을 관리하였다. 인도부왕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동남아시아 무역 중심지인 말라카 왕국을 점거하고 아랍인 무슬림 상인을 모두 살해하라고 명령하였다. 이에 말라카에 있던 구자라트 무슬림 상인들은 포르투갈을 피해 동남아 각지로 이주하였다.[1]

남만무역(16-17세기 가노 나이젠(狩野内膳)이 그린 남만병풍(南蛮屏風))


1543년 왜구이기도 한 왕직의 배가 다네가섬에 표착했고, 포르투갈인도 승선하고 있었던 것이 무역의 계기가 되었다.[2] 포르투갈 배는 그 전 해에 류큐 왕국에 도착했지만, 류큐인은 포르투갈이 말라카를 공격하여 점령한 것을 알고 있었기에 무역을 거부했다.

마카오와 일본 사이에 정기 항로가 개설되면서, 사령관 (카피탕 모르)의 상선이 왕래하게 되었다. 시마바라에 최초로 내항한 카피탕 모르는 페르난두 메네제스였다. 이후 카피탕 모르의 관리 무역에 의한 정기선과 사무역의 개인 상선이 병립하였다.[25] 1570년까지 사쓰마국에는 18척의 포르투갈 선박이 내항하였고, 왜구의 정크선을 포함하면 그 이상이었다.

thumb 마카오 지도]]

무역을 위해 일본에 도착하여 짐을 내리는 포르투갈인 (16-17세기 작품)


오무라 스미타다는 1561년 (에이로쿠 4년)에 발생한 미야노마에 사건의 혼란을 틈타 요코세우라를 개항하여 무역으로 번영하였다. 이후 요코세우라는 전화로 소실되었고, 무역항은 후쿠다우라를 거쳐 나가사키로 이전되었다.

리스본 미술관 소장, 작가 불명, 남만 병풍(부분). 난반지가 그려져 있다


상품 무역과 함께 일본에 들어온 것은 기독교였으며, 포르투갈 상인과 예수회 선교사는 동아시아 진출 초기부터 협력 관계에 있었다. 사비에르사쓰마국에 상륙한 이후 중국의 취안저우와 일본의 사카이에 포르투갈 상관 건설, 그리고 예수회가 상관의 관세를 회의 재원으로 하는 것을 말라카의 장관에게 제안했다.

16세기 말부터 일본은 주인선을 통해 동남아시아 지역과 교역을 확대했다. 주인장은 일본을 거점으로 하는 선박에게 국적에 관계없이 발행되었으며, 포르투갈 상인들도 주인장을 받았다.[28]

도쿠가와 이에야스스페인과의 무역에 적극적이었고, 교토 상인 다나카 가츠스케를 누에바 에스파냐에 파견하기도 했다. 그러나 에도 막부는 기독교 금지 정책을 강화하면서 해외 무역을 통제했고, 유럽인과의 교역은 히라도와 나가사키로 제한되었다. 스페인 선박의 내항은 금지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에도 막부를 세운 후, 초기에는 무역을 장려했지만, 기독교 확산을 우려하여 점차 통제 정책을 강화했다. 막부는 기독교를 금지하고, 포르투갈 상인과의 무역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1634년, 일본인 신부 파올로 도스 산토스가 마카오에서 나가사키로 밀입국하려던 사건으로 막부는 포르투갈이 비밀리에 선교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고 의심하게 되었고, 나가사키 봉행이었던 다케나카 시게요시의 밀무역 사실도 드러났다.

이에 막부는 나가사키에 데지마를 건설하여 포르투갈인을 격리했다. 1637년 시마바라의 난이 일어나자, 막부는 기독교 금지를 더욱 강화하고 포르투갈과의 단절을 결정했다. 막부는 네덜란드 상관장 프랑소와 카론과의 협상을 통해, 타이완을 경유하여 무역을 지속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1639년, 막부는 제5차 쇄국령을 발표하여 포르투갈 선박의 입항을 금지하고 포르투갈인을 추방했다. 마카오에서는 사절단을 파견하여 무역 재개를 요청했지만, 막부는 이를 거부하고 사절단을 처형했다. 이로써 남만무역은 막을 내렸다.

2. 1. 남만무역 개시 전

바스코 다 가마의 함대가 인도 캘리컷에 도착한 후, 포르투갈 선박은 인도양을 횡단하여 아시아 무역에 진출하였다. 16세기 전반, 포르투갈은 인도양 항구도시를 공격하여 거점을 세웠다. 인도 고아에 있는 포르투갈령 인도 정부가 아프리카 동쪽에서 아시아에 이르는 포르투갈 무역을 관리하였다. 인도부왕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동남아시아 무역 중심지인 말라카 왕국을 점거하고 아랍인 무슬림 상인을 모두 살해하라고 명령하였다. 이에 말라카에 있던 구자라트 무슬림 상인들은 포르투갈을 피해 동남아 각지로 이주하였다.[1]

포르투갈 상인들은 명나라와 무역을 원했지만, 처음 상륙한 조르즈 알바르스는 민간 상인이었기에 조공 허가를 받지 못했다. 토메 피레스가 사신으로 국교를 요청했을 때는 말라카 점령을 이유로 거절당했다. 인도양에서처럼 군사력으로 무역 거점을 확보하려던 포르투갈인도 있었지만 명나라 군대에 패배하였다. 공식적인 무역로가 막힌 포르투갈 상인들은 밀무역을 시작하였다.[2] 포르투갈인 중에는 중국 선박에 동승하는 사람도 있었는데, 명나라와 조선에서는 이들을 불랑기라 부르며 왜구와 동일시하였다.[3] 이 때문에 명나라 군대의 왜구 대책에 따라 포르투갈인도 공격 대상이 되었다.[4]

2. 2. 남만무역의 시작과 마카오 획득



1543년 왜구이기도 한 왕직의 배가 다네가섬에 표착했고, 포르투갈인도 승선하고 있었던 것이 무역의 계기가 되었다.[2] 포르투갈 배는 그 전 해에 류큐 왕국에 도착했지만, 류큐인은 포르투갈이 말라카를 공격하여 점령한 것을 알고 있었기에 무역을 거부했다.

포르투갈 배 선장 중 한 명인 조르지 알바레스(이미 언급된 명나라에 처음 상륙한 인물과는 다른 사람)는 야마가와에서 사람을 살해한 것에 고민하던 야지로를 태우고 마카오로 향했고, 인도의 고아에서 선교 활동을 하던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만나게 하여 참회하게 했다. 이것이 하비에르의 일본 방문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야지로는 일본인 최초의 기독교인이라고 전해진다.[28] 하비에르는 일본에 포교하기 위해 일본 삼진 중 하나인 사쓰마국의 보노쓰에 도착했고, 후에 히라도, 야마구치, 분고국으로 가서 포교를 시작했다. 남만 무역의 항구는 히라도와 분고에서 시작되었고, 규슈의 여러 다이묘는 포르투갈과의 무역을 받아들였다. 히젠국의 마쓰우라 다카노부는 히라도에서 왕직과 포르투갈인을 환영했고, 사쓰마의 시마즈 씨는 일본 상인을 지원하여 포르투갈 배가 빈번하게 방문하게 되었다. 두아르테 다 가마, 루이스 데 알메이다, 멘데스 핀토 등의 상인은 예수회와 협력하여 포르투갈인을 조직했다. 포르투갈 왕실 함대도 밀무역과 해적 진압에 나서, 사령관 리오넬 데 소우사는 명나라로부터 마카오 상륙을 허가받았다. 이윽고 포르투갈인은 마카오에 거주하기 시작했고, 지세를 조건으로 광저우의 해도 부사로부터 마카오 거주권을 획득했다. 이렇게 포르투갈령 마카오를 거점으로 일본·중국·포르투갈 3국의 상품이 거래되었다. 핀토의 『Peregrinação|동양편력기pt』에는 류큐 왕국과 사쓰마국에 대한 기록도 있다. 마카오에는 포르투갈인과 중국인 외에도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도 거주자들이 나타나 인구가 점차 증가했다.

thumb 마카오 지도]]

2. 3. 정기 항로 개설

마카오와 일본 사이에 정기 항로가 개설되면서, 사령관 (카피탕 모르)의 상선이 왕래하게 되었다. 시마바라에 최초로 내항한 카피탕 모르는 페르난두 메네제스였다. 이후 카피탕 모르의 관리 무역에 의한 정기선과 사무역의 개인 상선이 병립하였다.[25] 1570년까지 사쓰마국에는 18척의 포르투갈 선박이 내항하였고, 왜구의 정크선을 포함하면 그 이상이었다.

정기 항로 개설로 인해 히라도에 내항하는 횟수가 늘자, 히라도 인근 영주 오무라 스미타다는 일본 최초의 기리시탄 다이묘가 되었다. 1561년 (에이로쿠 4년)에 발생한 미야노마에 사건의 혼란을 틈타 요코세우라를 개항하여 무역으로 번영하였다. 이후 요코세우라는 전화로 소실되었고, 무역항은 후쿠다우라를 거쳐 나가사키로 이전되었다. 스미타다는 나가사키를 교회령으로 예수회에 기증하여, 무역을 원하는 일본 상인들이 나가사키에 집중되었다. 오무라씨는 나가사키를 직할령으로 삼으려 했으나, 나가사키는 교회령 자치 도시로 발전하여 주변 영주들과 전투를 반복하였다.[25] 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기본적으로 남만 무역을 장려하였다. 노부나가는 아즈치라쿠이치령을 통해 도로 통행과 역참 마을에서의 짐 교체를 강제했는데, 이는 당시 유럽 절대주의 국가의 도시 진흥책과 공통점을 보인다. 이 때문에 노부나가 정책에는 예수회 선교사들에게서 얻은 정보가 영향을 주었다는 설도 있다. 히데요시는 무역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기독교에 대해서는 바테렌 추방령을 발표하여 나가사키를 직할령으로 삼았다. 에도 막부 성립 후, 나가사키는 막부 직할령이 되었다.

2. 4. 포교와 무역



상품 무역과 함께 일본에 들어온 것은 기독교였으며, 포르투갈 상인과 예수회 선교사는 동아시아 진출 초기부터 협력 관계에 있었다. 사비에르사쓰마국에 상륙한 이후 중국의 취안저우와 일본의 사카이에 포르투갈 상관 건설, 그리고 예수회가 상관의 관세를 회의 재원으로 하는 것을 말라카의 장관에게 제안했다. 사비에르는 일본에서 수요가 있는 상품 목록도 만들었다.[28]

마카오 당국과 예수회 사이에서는 매년 50피코(pico)의 생사를 예수회의 몫으로 하는 계약이 맺어졌다. 예수회는 프로쿠라도르라는 무역 및 재무 담당 직책을 임명하여 남만 무역으로부터 재원을 조달하게 되었고, 금교 이후에도 이러한 관계는 지속되었다. 예수회의 제창으로 마카오의 행정 집행부가 발족하고, 포르투갈령 인도 정부는 마카오를 취락에서 시다데(cidade, 시)로 승격시켜 행정 단위로 인정했다. 이처럼 예수회는 마카오의 지역 사회 정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가사키의 프로쿠라도르는 곶에 건설된 교회 내 카사(casa)에 무역품을 저장하고 거래했기에, 교회가 포르투갈 상관처럼 기능했다. 과거 사비에르의 제안은 그대로 실현되지 않았지만, 프로쿠라도르의 형태로 실현되었다. 프로쿠라도르가 무역을 하는 점은 "걸림돌"로 비판을 받아 금지된 시기도 있었다. 예수회는 마카오 상인과 카피탄 모르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으며, 간이 재판소와 같은 기능도 했다. 창설된 상파울루학원(성 바울 대학)에는 금고가 설치되어 일본과의 무역 및 관세로 얻은 화폐를 보관했다. 상파울루학원은 일본 포교를 위해 일본인 사제 양성을 목적으로 했다.

2. 5. 주인선 무역과의 관계

16세기 말부터 일본은 주인선을 통해 동남아시아 지역과 교역을 확대했다. 주인장은 일본을 거점으로 하는 선박에게 국적에 관계없이 발행되었으며, 포르투갈 상인들도 주인장을 받았다.[28] 마카오 상인 비센트 로드리게스(Vicente Rodriguez)에게 주인장이 발행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예수회는 마카오 상인의 주인선 무역에 협력했다.[28]

도쿠가와 이에야스스페인과의 무역에 적극적이었고, 교토 상인 다나카 가츠스케를 누에바 에스파냐에 파견하기도 했다. 그러나 에도 막부는 기독교 금지 정책을 강화하면서 해외 무역을 통제했고, 유럽인과의 교역은 히라도와 나가사키로 제한되었다. 스페인 선박의 내항은 금지되었다.

아유타야에서 나가사키마치토시요리(長崎町年寄)였던 다카키 사쿠에몬(高木作右衛門)의 주인선스페인 함대 사이에 분쟁 (아유타야 사건)이 발생하여 주인선이 불타는 사건이 발생했다. 에도 막부는 주인장의 권위가 실추되었다고 판단하여 주인선 대신 봉서선을 사용하게 했다.[28]

2. 6. 금교와 남만무역의 종말

도쿠가와 이에야스에도 막부를 세운 후, 초기에는 무역을 장려했지만, 기독교 확산을 우려하여 점차 통제 정책을 강화했다. 막부는 기독교를 금지하고, 포르투갈 상인과의 무역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1634년, 일본인 신부 파올로 도스 산토스가 마카오에서 나가사키로 밀입국하려던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막부는 포르투갈이 비밀리에 선교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고 의심하게 되었고, 나가사키 봉행이었던 다케나카 시게요시의 밀무역 사실도 드러났다.

이에 막부는 나가사키에 데지마를 건설하여 포르투갈인을 격리했다. 1637년 시마바라의 난이 일어나자, 막부는 기독교 금지를 더욱 강화하고 포르투갈과의 단절을 결정했다. 막부는 네덜란드 상관장 프랑소와 카론과의 협상을 통해, 타이완을 경유하여 무역을 지속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1639년, 막부는 제5차 쇄국령을 발표하여 포르투갈 선박의 입항을 금지하고 포르투갈인을 추방했다. 마카오에서는 사절단을 파견하여 무역 재개를 요청했지만, 막부는 이를 거부하고 사절단을 처형했다. 이로써 남만무역은 막을 내렸다.

3. 인원

남만무역에는 다양한 인종과 계층의 사람들이 참여했다.

포르투갈인은 바스쿠 다 가마인도 항해 이후 아시아 무역에 진출하여, 명나라마카오를 거점으로 활동했다. 초기에는 왜구에 가담했던 자, 구로한오니(黒蕃鬼)라 불린 흑인 용병과 노예, 유대인 추방령으로 이베리아반도를 떠난 세파르딤 유대인도 있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남만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26] 마카오에 정착한 포르투갈인들은 카자두(casado|결혼한pt)라 불리며 자치를 했다. 호키 전투나 규슈 정벌, 임진왜란으로 노예가 된 일본인, 조선인과의 사이에서 혼혈 주민도 늘어났다.

중국인은 만다린(관료), 해민(뱃사람), 해적 선원 등으로 분류되었다. 만다린에는 아이타오(海道副使, 해도부사), 샤엔(察院, 찰원), 투탕(都堂, 도당), 쑨빙(巡撫使, 순무사), 로우티아(下級役人, 하급 관리) 등이 있었다.[1]

일본에서는 나가사키에 각지 상인들이 모였는데, 하카타 출신이 많았다. 스에츠구 헤이조는 다이칸(代官)을 역임하며 주인선 무역도 했다. 나가사키의 초닌(町人)들은 선숙(船宿)을 경영하며 포르투갈인과 당인(唐人)에게 숙박을 제공하고 중개 역할을 했다. 이들 중에는 기리시탄이 많았으며, 에도 막부 시대에는 포르투갈인에 대한 숙박업과 중개업이 제한되었다.

3. 1. 포르투갈인

바스쿠 다 가마의 함대가 인도 캘리컷에 도착한 후, 포르투갈 선박은 인도양을 건너 아시아 무역에 진출하였다. 남만무역은 명나라마카오를 거점으로 한 포르투갈인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남만무역 초기에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포르투갈인들이 참여했는데, 왜구에 참가한 자들도 있었고, 구로한오니(黒蕃鬼)로 불리는 흑인 용병과 노예도 있었다. 유대인 추방령으로 이베리아반도를 떠난 세파르딤 유대인도 많았으며, 개종하여 예수회 수사가 된 유대인도 있었다. 고아에 종교 재판소가 설치되자 인도에서 마카오나 마닐라로 이주하는 경우가 급증하여 마카오 인구가 800명에서 5,000명 이상으로 늘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남만무역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6]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의 활동은 일본에서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26] 마카오에 정착한 포르투갈인들은 카자두(casado, casado|결혼한pt)라고 불렸으며, 카자두 상인에 의한 자치가 진행되어 마카오를 운영했다. 호키 전투나 규슈 정벌로 노예가 된 일본인, 임진왜란으로 노예가 된 조선인과의 사이에서 혼혈 주민도 늘어났으며, 이들은 포르투갈인으로서 세례를 받았다.

3. 2. 중국인

만다린이라고 불린 관료, 포르투갈인 항해를 지원하는 수로 안내인이나 뱃사람인 해민, 해적 선원, 크게 3가지로 분류되었다. 만다린에는 아이타오(海道副使, 해도부사), 샤엔(察院, 찰원), 투탕(都堂, 도당), 쑨빙(巡撫使, 순무사), 로우티아(下級役人, 하급 관리)가 있었다.[1]

3. 3. 일본인

나가사키에는 각지에서 상인들이 모여들었는데, 그중 하카타 출신 상인들이 가장 많았다. 하카타 출신 상인 중에는 다이칸(代官)을 역임하며 주인선 무역도 행했던 스에츠구 헤이조가 가장 번성했다. 나가사키에서는 해운업 외에도 선숙(船宿)을 경영하는 초닌(町人)이 많았다. 처음에는 포르투갈인과 당인(唐人)에게는 거류지가 없었고, 안마치라고 불리는 구역의 선숙에 숙박하며 숙주의 보호를 받았다. 숙주는 중개인이기도 하여, 사숙제(差宿制)에 따라 내항한 상인을 대신하여 현지에서 상업 협상을 성사시키는 역할도 했다. 이러한 초닌 중에는 기리시탄이 많았으며, 에도 막부 시대가 되면서 포르투갈인에 대한 숙박업과 중개업은 제한되었다.

4. 무역품

포르투갈 상인들은 마카오를 거점으로 중계 무역을 하였는데, 주요 물품은 일본의 과 중국의 생사였다.[28] 16세기 회취법 전래로 일본의 은 생산량이 증가하자, 명나라의 세제 개혁으로 인한 은 수요 증가와 맞물려 포르투갈 상인들은 일본 은으로 명의 생사를 구입하는 중일 무역을 중계했다.

포르투갈은 무역품을 크게 다섯 종류로 분류하여 운반하였다.[28]

종류품목
① 중국 → 일본생사, 견직물, , 도자기, 초석, 생약, 설탕 등. 생약에는 대황, 감초, 청미래덩굴 등이 있었다.
② 일본 → 중국 (주력 상품), 유황, 일본도, 남만 칠기, 나전칠기, 참치 등의 해산물 등
③ 중국 → 인도생사, 견직물, 도자기, 금, 놋쇠, 사향 등. 인도에서 소비되거나 유럽으로 운반되었다.
④ 인도 → 중국은, 포도주, 올리브 오일 등 (인도 은은 스페인이 아메리카에서 유럽으로 가져온 은이 다시 인도로 운반된 것)
⑤ 동남아시아 각지침향, 소목, 주석, 납, 후추, 용뇌, 정향, 강황, 사슴 가죽, 상어 가죽 등 향신료



이 외에도 호박, 수박, 옥수수, 감자, , 카스텔라, 담배, 지구본, 안경, 싸움닭 등이 일본에 전래되었다. 또한 , 돼지, 등은 나가사키 등지에서 내항자들의 식용으로 길러졌으며, 출항 시에는 소금에 절여 배에 실렸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사용한 조총은 포르투갈로부터 전래된 대표적인 무기이다.

4. 1. 화승총

에도 시대의 일본 아르케부스 (타네가시마).


화승총(火繩銃)은 포르투갈 총을 모방한 것이다. 1543년 포르투갈인이 중국 배를 타고 사쓰마 국 다네가시마에 표류하면서 화승총 세 정이 일본에 처음 들어왔고, 이 섬의 이름을 따서 '다네가시마'라고 불렀다. 난포분시(南浦文之)의 『철포기(鉄砲記)』에 화승총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다네가시마에 표류한 포르투갈인이 누구인지는 여러 설이 있다.[28]

일본은 이미 화약 무기에 익숙했지만, 포르투갈 총은 가볍고 매치락 발사 방식을 사용하여 조준이 쉬웠다. 일본의 대장장이와 철공들은 이 방식을 복제하여 포르투갈 총을 대량 생산했다. 초기에는 경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포르투갈 대장장이의 도움으로 이를 해결했다. 이후 일본은 총의 효율성을 높이는 다양한 기술을 연구하고, 더 큰 구경의 총신과 탄약을 개발하여 살상력을 높였다.

화승총(아르케부스)은 나가시노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통일 과정뿐만 아니라 1592년과 1597년의 조선 침략에서도 강력하게 사용되었다.

5. 자본 및 세금

포르투갈의 동인도 무역은 명목상 왕실 사업이었지만, 인구와 왕실 재정 규모의 한계로 인해 단독으로 운영하기는 어려웠다. 1505년 인도양에 파견된 선단에는 왕실 연수입의 75% 이상이 소요될 정도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탈리아와 독일계 상인 집단이 절반 이상을 투자했고, 선박 운항권은 귀족이나 상인에게 유료로 양도되기도 했다.

16세기 후반부터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무역은 제노바 공화국의 산 조르조 은행으로부터 융자를 받았다. 위험 관리를 위해 여러 사람이 공동 출자하는 '콤파니아(companha)'나 고리의 해상 대부(海上貸付, emprestimo a risco)인 '레스폰덴시아(respondencia)'가 활용되었다. 당시 가톨릭 국가였던 포르투갈에서는 교회법에 따라 고리대금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는 해상 대부가 해상 보험 명목으로 취급되었다.

마카오에 부임한 벨쇼르 카르네이로 주교는 자선원(미제리코르디아)을 설립했다. 당시 포르투갈 자선원은 부유층의 자금을 투자하거나 빈민에게 기부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은행 업무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리우데자네이루와 고아 등 원격지 간의 신용 환어음 거래도 이루어졌다. 마카오 자선원은 남만 무역의 항해 자금을 대출하기도 했다.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는 일본 포교 자금 확보를 위해 카르네이로와 협력하여 생사 출자 조합인 콤파니아, 알마산(almazan)과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을 통해 예수회는 매년 50피코(pico)의 생사 할당량을 확보하여 재정을 충당했다. 카르네이로의 계약 덕분에 대상인들의 생사 독점이 사라지고, 소액 자본으로도 남만 무역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콤파니아와 레스폰덴시아는 훗날 나가사키에서 '투은(나게카네)'이라고 불리는 투자 형태의 원형이 되었다.

카피탕 모르는 상인에게 위탁받은 상품으로부터 일정량의 수송료를 징수했다.[4] 마카오에서 대(對) 일본 부채가 증가하자 카피탕 모르 제도는 폐지되었고, 마카오 시는 임금으로 카피탕 모르를 고용했다. 말라카, 실론, 고아에서는 왕국의 수입으로서 관세를 납부했다.[4]

마카오의 포르투갈인은 명나라에 지세, 선박 정박세, 출항 시 관세 등을 납부하였다. 정박세 금액은 선박 용량에 따라 결정되었다. 또한, 마카오가 네덜란드의 공격을 받은 후에는 요새 정비를 위한 공납을 포르투갈인에게 요구했다. 이는 스페인필리핀의 식민지인 마닐라와는 다른 점이었다. 일본, 중국, 포르투갈 선박은 나가사키에서 오무라 씨(大村氏)에게 정박료를 지불하였다. 정박료에는 오무라 씨의 보호비도 포함되었다.

5. 1. 공동 출자와 해상 대부

포르투갈의 동인도 무역은 명목상으로는 왕실 사업이었지만, 인구와 왕실 재정 규모의 한계로 인해 단독으로 운영하기는 어려웠다. 1505년 인도양에 파견된 22척의 선단에는 왕실 연수입의 75% 이상이 소요될 정도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탈리아와 독일계 상인 집단이 절반 이상을 투자했고, 선박 운항권은 귀족이나 상인에게 유료로 양도되기도 했다.

16세기 후반부터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무역은 제노바 공화국의 산 조르조 은행으로부터 융자를 받았다. 위험 관리를 위해 여러 사람이 공동 출자하는 '콤파니아(companha)'나 고리의 해상 대부(海上貸付, emprestimo a risco)인 '레스폰덴시아(respondencia)'가 활용되었다. 당시 가톨릭 국가였던 포르투갈에서는 교회법에 따라 고리대금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는 해상 대부가 해상 보험 명목으로 취급되었다.

마카오에 부임한 벨쇼르 카르네이로 주교는 자선원(미제리코르디아)을 설립했다. 당시 포르투갈 자선원은 부유층의 자금을 투자하거나 빈민에게 기부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은행 업무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리우데자네이루와 고아 등 원격지 간의 신용 환어음 거래도 이루어졌다. 마카오 자선원은 남만 무역의 항해 자금을 대출하기도 했다.

동인도 관구 순찰사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는 일본 포교 자금 확보를 위해 카르네이로와 협력하여 생사 출자 조합인 콤파니아, 알마산(almazan)과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을 통해 예수회는 매년 50피코(pico)의 생사 할당량을 확보하여 재정을 충당했다. 카르네이로의 계약 덕분에 대상인들의 생사 독점이 사라지고, 소액 자본으로도 남만 무역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콤파니아와 레스폰덴시아는 훗날 나가사키에서 '투은(나게카네)'이라고 불리는 투자 형태의 원형이 되었다.

5. 2. 투은(投銀)

일본 상인들은 나게카네(投銀)라는 투자 방식을 통해 포르투갈 상인과의 무역에 참여했다. 나게카네는 겐덴긴(言伝銀)과 가이죠긴(海上銀)이라는 두 가지 계약으로 나뉜다.[28] 겐덴긴은 상품 구매를 위해 은을 위탁하는 계약이고, 가이죠긴은 해난(海難) 시 채무자가 유한 책임을 지는 고리(高利) 계약이다.[28]

일본 상인들은 중국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대량의 겐덴긴을 포르투갈 상인과 계약했고, 이를 통해 포르투갈 상인은 중국으로부터 신용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마카오에서는 일본에 대한 채무가 급증했다.[28] 또한 다이묘(大名)나 바쿠신(幕臣)이 가이죠긴으로 이익을 얻자, 막부는 바쿠신의 가이죠긴을 금지한 후 상인을 포함한 모든 겐덴긴과 가이죠긴을 금지했다.[28]

5. 3. 카피탕 모르의 수입과 포르투갈의 관세

카피탕 모르는 상인에게 위탁받은 상품으로부터 일정량의 수송료를 징수했다.[4] 마카오에서 대(對) 일본 부채가 증가하자 카피탕 모르 제도는 폐지되었고, 마카오 시는 임금으로 카피탕 모르를 고용했다. 말라카, 실론, 고아에서는 왕국의 수입으로서 관세를 납부했다.[4]

5. 4. 중국 및 일본의 세금

마카오의 포르투갈인은 명나라에 지세, 선박 정박세, 출항 시 관세 등을 납부하였다. 정박세 금액은 선박 용량에 따라 결정되었다. 또한, 마카오가 네덜란드의 공격을 받은 후에는 요새 정비를 위한 공납을 포르투갈인에게 요구했다. 이는 스페인필리핀의 식민지인 마닐라와는 다른 점이었다. 일본, 중국, 포르투갈 선박은 나가사키에서 오무라 씨(大村氏)에게 정박료를 지불하였다. 정박료에는 오무라 씨의 보호비도 포함되었다.

6. 일본에서 본 포르투갈인

남만병풍(南蛮屏風)에 그려진, 일본에 도래한 남만인들. 백인과 흑인이 그려져 있다.


17세기 문헌에서 마카오로부터 온 선박은 '아마카와센(天川船)'이나 '난반센(南蛮船)'이라고 불렸으나, '포르투갈선(葡萄牙船)'이라고 하는 선박은 없었다. 마카오 상인은 '아마카와인(天川人)'이라고 불렸다. 이에 반해 동시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 선박은 '오란다센(阿蘭陀船)'이라고 불렸다. 마카오로부터 온 선박의 승무원은 다민족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국가로서 인식하기 어려웠다.[17]

일본인이 본 포르투갈인(남만인)의 호화로운 복장은 거의 아랍 복장과 유사했으며, 어깨를 늘린 상의인 '주반(じゅばん)'은 아랍어 '줍바'에서 왔다. 크게 부푼 즈봉(ズボン)으로 기장이 발목까지 오는 Sirwal영어(하렘 팬츠)도 아랍 복장이다. 남만 문화에서 종교 이외의 부분은 아랍 문화의 요소가 매우 강했다.

7. 연표


  • 1511년(에이쇼 8년) - 포르투갈이 말라카를 점령.[1]
  • 1513년(에이쇼 10년) - 조르즈 알바레스가 포르투갈인으로 처음 중국에 도착.[1]
  • 1543년(덴분 12년) - 다네가섬왕직의 배가 표류. 포르투갈인이 타고 있었음.[1]
  • 1549년(덴분 18년)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고시마에 도착. 일본에서 포교 시작.[1]
  • 1556년 - 루이스 데 알메이다가 서양 의학을 도입, 오이타에 최초의 병원 설립.[1]
  • 1557년(코지 3년) - 포르투갈이 마카오 거주권 획득.[1]
  • 1560년(에이로쿠 3년) - 마카오 인구 약 900명. 고아에서 종교 재판소 개설. 인도에서 마카오나 마닐라로 이주 급증.[1]
  • 1560년 - 모지 공방전, 오토모 씨족이 포르투갈 선박 3척을 이용하여 모리의 모지 성 점령 시도 실패.[1]
  • 1563년 - 루이스 프로이스가 일본에 도착.[1]
  • 1565년 - 후쿠다 만 해전, 유럽인과 일본인 간 최초의 기록된 해상 충돌[1]
  • 1568년(에이로쿠 11년) - 벨쇼르 카르네이로 주교가 마카오에 부임.[1]
  • 1569년(에이로쿠 12년) - 마카오 인구 약 5000명 이상으로 증가. 마카오에 미제리코르디아 설립.[1]
  • 1570년(겐키 원년) - 나가사키 항이 포르투갈에 개항.[1]
  • 1570년 - 일본 해적들이 타이완 일부를 점령, 그곳에서 중국 약탈.[1]
  • 1571년 - 다이묘 오무라 스미타다가 포르투갈의 나가사키 항구 건설 지원.[1]
  • 1575년 - 나가시노 전투, 화기 광범위 사용.[1]
  • 1576년 - 일본 최초의 대포가 포르투갈에 의해 오토모 소린에게 헌납.[1]
  • 1577년(덴쇼 5년) - 알레산드로 발리냐노가 동인도 관구 순찰사로 마카오 도착.[1]
  • 1577년 - 일본 선박이 처음으로 당 trong, 남부 베트남으로 항해.[1]
  • 1579년(덴쇼 7년) - 마카오 당국과 예수회 계약. 매년 50피코의 생사를 예수회가 확보.[1]
  • 1579년 - 예수회알레산드로 발리냐노가 일본에 도착.[1]
  • 1580년 - 오무라 스미타다가 나가사키를 "영구히" 예수회에 양도.[1]
  • 1582년 - 유럽으로 가는 덴쇼 소년 사절단이 나가사키 출발.[1]
  • 1583년(덴쇼 11년) - 예수회 제창으로 마카오 행정 집행부 발족. 포르투갈령 인도 정부는 마카오를 행정 단위로 인정.[1]
  • 1584년 - 만시오 이토가 세 명의 다른 일본인, 예수회 신부와 함께 리스본에 도착. 유럽에 파견된 최초의 일본 사절.[1]
  • 1587년(덴쇼 15년)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기독교 선교사 추방령.[1]
  • 1588년 - 히데요시, 해적 행위 금지.[1]
  • 1592년 - 일본, 16만 명 군대로 임진왜란을 일으켜 조선 침략.[1]
  • 1594년(분로쿠 3년) - 마카오에 성 바울 대학 창설.[1]
  • 1597년 - 26성인 순교 (프란체스코회)가 나가사키에서 발생.[1]
  • 1598년 -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1]
  • 1600년 - 윌리엄 애덤스, ''리프데''호에 탑승하여 도착.[1]
  • 1600년 - 세키가하라 전투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 통일.[1]
  • 1602년 - 네덜란드 군함, 포르투갈령 말라카 근처에서 포르투갈 캐러크선 ''산타 카타리나'' 공격.[1]
  • 1603년 - 에도가 바쿠후 정부 소재지로 설립.[1]
  • 1603년 - 니포 지쇼 일본어-포르투갈어 사전이 나가사키 예수회에 의해 출판, 포르투갈어로 32,293개 일본어 단어 수록.[1]
  • 1604년(게이초 9년) - 막부, 해외 도항선에 주인장 발행. 차야 시로지로 주도로 실할부 동료 발족.[1]
  • 1605년 - 윌리엄 애덤스 동료 선원 두 명,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파타니로 보내져 네덜란드와 무역을 일본에 초청.[1]
  • 1609년 - 네덜란드, 히라도에 무역 거점 개설.[1]
  • 1609년(게이초 14년) - 마카오 상인에게 주인장 발행.[1]
  • 1610년 - 나가사키 근처 ''노사 세뇨라 다 그라사'' 파괴로 포르투갈 무역 2년간 중단.[1]
  • 1612년 - 야마다 나가마사, 아유타야()에 정착.[1]
  • 1613년 - 영국, 히라도에 무역 거점 개설.[1]
  • 1613년 - 하세쿠라 쓰네나가, 아메리카와 유럽으로 사절단 파견. 1620년 귀국.[1]
  • 1614년 - 예수회 일본에서 추방. 기독교 금지.[1]
  • 1615년 - 일본 예수회원들, 베트남에서 선교 활동 시작.[1]
  • 1616년(겐나 2년) - 막부, 중국 배 이외 입항을 나가사키・히라도로 한정.[1]
  • 1616년 - 도쿠가와 이에야스 사망.[1]
  • 1622년 - 55명 기독교인 대규모 순교 (겐나 대순교).[1]
  • 1622년(겐나 8년) - 마카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공격 받음.[1]
  • 1622년 - 하세쿠라 쓰네나가 사망.[1]
  • 1623년 - 영국, 비수익성 이유로 히라도 무역 거점 폐쇄.[1]
  • 1623년 - 야마다 나가마사, 에서 샴 왕 송탐 대사와 함께 일본으로 항해. 1626년 샴으로 귀환.[1]
  • 1624년(간에이 원년) - 막부, 스페인 배 내항 금지.[1]
  • 1625년(간에이 2년) - 막부, 마카오 정청에 선교사 일본 도항 금지 요구.[1]
  • 1628년(간에이 5년) - 아유타야 사건.[1]
  • 1632년 - 도쿠가와 히데타다 사망.[1]
  • 1633년(간에이 10년) - 막부, 로주 연서 하지를 나가사키 봉행에 내림. 막신 해상 은 금지.[1]
  • 1634년(간에이 11년) - 파올로 도스 산토스 사건. 카피탄 모어 제도 폐지.[1]
  • 1634년 -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 명령으로, 나가사키 거주 포르투갈 상인 억제 위해 인공 섬 데지마 건설.[1]
  • 1635년(간에이 12년) - 마카오 시, 임금으로 카피탄 모어 고용 시작.[1]
  • 1636년(간에이 13년) - 포르투갈인, 데지마에 수용.[1]
  • 1637년(간에이 14년) - 시마바라의 난 발발.[1]
  • 1638년(간에이 15년) - 막부, 상인 포함 모든 언전은과 해상 은 금지.[1]
  • 1639년(간에이 16년) - 막부, 네덜란드 상관장 프랑수아 카론과 대화. 제5차 쇄국령.[1]
  • 1640년(간에이 17년) - 마카오, 무역 재개 탄원 사절 파견.[1]
  • 1641년 - 네덜란드 무역 거점, 히라도에서 데지마 섬으로 이전.[1]

참조

[1] 간행물 太田淳 著『近世東南アジア世界の変容――グローバル経済とジャワ島地域社会』名古屋大学出版会 2014年 ix+505頁 2016
[2] 문서 Perrin 1979
[3] AV media First European Description of Life in Japan // 1585 'Striking Contrasts' Luis Frois – Primary Source https://www.youtube.[...] YouTube 2020-03-07
[4] 서적 Quand le Japon s'ouvrit au monde Découvertes Gallimard 1990
[5] 웹사이트 Iwami Ginzan Silver Mine https://web.archive.[...]
[6] 서적 Historia del Principio y Progreso de la Compañía de Jesús en las Indias Orientales 1584
[7] AV media Japanese 'Samurai' Swords in Period European Eyes https://www.youtube.[...] YouTube 2018-10-03
[8] AV media Katana vs Sabre: More European accounts of Japanese swords and sword fighting https://www.youtube.[...] YouTube 2017-04-17
[9] 문서 The dollar or yuan is 0.72 tael; see [[yuan (currency)#Early history]]
[10] 웹사이트 Urushi once attracted the world http://en.urushi-job[...]
[11] 뉴스 The rarely, if ever, told story of Japanese sold as slaves by Portuguese traders https://archive.toda[...] The Japan Times 2013-05-26
[12]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2-02
[13]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Volume 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2-02
[14] 문서 Dias 2007
[15] 간행물 Slavery in Medieval Japan Sophia University 2004-Winter
[16] 서적 Religion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02-02
[17] 서적 Nature and Origins of Japanese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2
[18] 서적 Tanegashima – The Arrival of Europe in Jap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2
[19] 서적 Selling Women: Prostitution, Markets, and the Household in Early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02-02
[20] 서적 Histoire du Japon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04
[21] 웹사이트 Chicken Nanban (チキン南蛮) https://sudachirecip[...] 2021-05-10
[22] 문서 Sotheby's Concise Encyclopedia of Porcelain Conran Octopus 1990
[23] 웹사이트 E-Museum - Nanban (Western style) Armor https://emuseum.nich[...]
[24] 문서 Histoire du Japon
[25] 웹사이트 「特集 鹿児島」尚古集成館 田村省三 http://www.jcca.or.j[...] 建設コンサルタンツ協会 2012-07
[26] 서적 일본 기독교선교의역사 홍성사
[27] 서적 Histoire du Japon
[28] 웹사이트 「特集 鹿児島」尚古集成館田村省三 http://www.jcca.or.j[...] 建設コンサルタンツ協会 20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