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면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면체는 3차원 공간에서 면, 모서리, 꼭짓점으로 이루어진 입체 도형을 의미한다. 다면체의 이름은 면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며, 정사면체, 정육면체 등이 있다. 다면체는 면의 개수, 대칭성, 내부의 볼록성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오일러 지표는 다면체의 위상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며, 쌍대다면체는 꼭짓점과 면의 위치를 서로 바꾼 관계를 가진다. 다면체는 정다면체, 준정다면체, 반정다면체, 고른 다면체 등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또한, 무한 다면체, 복소 다면체 등으로 일반화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면체 - 마름모구십면체
    마름모구십면체는 깎은 정이십면체에 각뿔을 붙여 만든 다면체이며, 넓은 마름모 60개와 좁은 마름모 30개로 구성되고 좁은 마름모는 황금비의 제곱과 관련된 대각선 비율을 가지며 최적 충전율은 약 0.7947이다.
  • 다면체 - 삼각쌍뿔
    삼각쌍뿔은 6개의 정삼각형 면, 5개의 꼭짓점, 9개의 모서리를 가진 존슨 다면체이자 델타다면체로, 두 정사면체를 밑면끼리 결합한 형태이며, 분자 기하학, 색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다면체

2. 성질

2. 1. 이름

다면체의 이름은 보통 면의 숫자에 따라 정한다. 예를 들어, 4개의 면을 가진 정다면체를 정사면체라 하는 식이다. 때로는 간단한 다면체에 특수한 작업을 해서 다른 다면체를 얻었을 경우 깎은 정육면체 식으로 그 작업의 명칭을 덧붙이기도 한다. Szilassi 다면체처럼 사람의 이름이 붙는 경우도 있다.

다면체는 면의 개수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종종 그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명명 체계는 고대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하며, 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접두사와 "hedron"이라는 접미사를 결합하는데, "hedron"은 "바닥" 또는 "자리"를 의미하며 면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사면체는 4개의 면을 가진 다면체이고, 오면체는 5개의 면을 가진 다면체이며, 육면체는 6개의 면을 가진 다면체 등이다. 그리스 숫자 접두사의 전체 목록은 그리스 기수 열을 참조하라. 사면체, 육면체, 팔면체(8면 다면체), 십이면체(12면 다면체) 및 이십면체(20면 다면체)의 이름은 때때로 추가적인 수식어 없이 정다면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고, 때로는 대칭성에 대한 어떠한 가정 없이 주어진 면의 개수를 가진 다면체를 보다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2. 2. 변

복합 다면체가 아닌 경우, 변에 대해 다음의 두 쌍대 성질이 성립한다.

  • 임의의 변은 정확히 두 꼭짓점을 연결한다.
  • 임의의 변은 정확히 두 면을 연결한다.

2. 3. 오일러 지표

다면체가 가진 꼭짓점의 수를 V, 변의 수를 E, 면의 수를 F라 할 때, 다면체의 오일러 지표 χ는 V - E + F로 정의한다. 단일 연결 다면체의 오일러 지표는 언제나 2이다.[30]

사각반육면체, 4개의 삼각형 면(빨간색)과 3개의 사각형 면(노란색)을 가진 비가향 자체 교차 다면체


일부 다면체는 표면에 두 개의 구별되는 면을 가진다. 예를 들어, 볼록 다면체 종이 모델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다른 색상을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다면체는 가향성을 가지며, 자체 교차가 없는 비볼록 다면체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사각반육면체와 같이 단순 다각형 면을 가진 다른 자체 교차 다면체의 경우, 각 면의 두 면에 인접한 면이 일관된 색상을 가지도록 두 가지 다른 색상을 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다면체는 비가향적이라고 한다.[29]

다면체 표면 사이의 보다 미묘한 구분은 오일러 지표에 의해 제공된다. 오일러 지표는 표면의 불변량으로, 단일 표면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꼭짓점, 모서리 및 면으로 세분될 때 오일러 지표는 이러한 세분에 대해 동일하다. 볼록 다면체 또는 표면이 위상적 구인 임의의 단순 연결 다면체의 경우, 오일러 지표는 항상 2와 같다.[30] 더 복잡한 모양의 경우, 오일러 지표는 표면의 토로이드 구멍, 손잡이 또는 교차 캡의 수와 관련이 있으며 2보다 작다.[30] 오일러 지표가 홀수인 모든 다면체는 비가향적이다. 짝수 오일러 지표를 가진 주어진 도형은 가향적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개의 구멍이 있는 토로이드와 클라인 병은 모두 \chi = 0을 가지며, 전자는 가향적이고 후자는 그렇지 않다.[29]

다면체를 정의하는 많은 방법에서 다면체의 표면은 다양체여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의된 다면체의 경우, 다양체의 분류는 표면의 위상적 유형이 오일러 지표와 가향성의 조합에 의해 완전히 결정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표면이 가향적 다양체이고 오일러 지표가 2인 모든 다면체는 위상적 구체여야 한다.[29]

토로이드 다면체는 오일러 지표가 0 이하이거나, 종수가 1 이상인 다면체이다. 위상수학적으로, 이러한 다면체의 표면은 중간에 하나 이상의 구멍이 있는 토러스 표면이다.[31]

구멍이 없는 다면체, 즉 구면에 위상동형인 다면체에 대해서는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

:v - e + f = 2

이를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오일러의 다면체 공식)라고 한다. 천공 다면체와 같이 관통하는 구멍을 개 갖는 다면체에서는 다음 식이 성립한다.

:v - e + f = 2(1 - g)

2. 4. 쌍대다면체

임의의 다면체에 대해 꼭짓점과 면의 위치가 뒤바뀐 쌍대다면체가 존재한다. 대체로 쌍대다면체는 구면 상반변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정팔면체는 정육면체의 쌍대 다면체이다.


모든 볼록 다면체에 대해 다음을 갖는 쌍대 다면체가 존재한다.[32]

  • 원래 다면체의 꼭짓점 대신 면, 그리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며,
  • 같은 수의 모서리를 갖는다.

볼록 다면체의 쌍대는 극 상호 변환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쌍대 다면체는 쌍으로 존재하며, 쌍대의 쌍대는 다시 원래 다면체가 된다. 일부 다면체는 자기 쌍대인데, 이는 다면체의 쌍대가 원래 다면체와 합동임을 의미한다.[33]

추상 다면체 역시 다면체를 정의하는 부분 순서를 반전시켜 그 쌍대 또는 반대 순서를 얻음으로써 쌍대를 갖는다.[13] 이들은 초기 다면체와 동일한 오일러 지표와 가향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쌍대성은 쌍대 다면체의 모양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조합 구조만을 설명한다. 비볼록 기하학적 다면체의 일부 정의에 대해, 동일한 정의 하에서 추상 쌍대가 기하학적 다면체로 실현될 수 없는 다면체가 존재한다.[10]

2. 5. 꼭짓점 도형

각 꼭짓점에 대해 그곳으로 연결되는 꼭짓점들을 서로 연결해서 만들어지는 도형을 꼭짓점 도형이라 한다. 꼭짓점 도형이 정다각형인 경우를 정꼭짓점이라고 부른다.[8] 모든 꼭짓점에 대해 다면체의 꼭짓점 주변의 국소 구조를 설명하는 꼭짓점 도형을 정의할 수 있다. 정확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꼭짓점 도형은 다면체를 통과하는 평면이 꼭짓점을 잘라낼 때 노출되는 다각형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정다면체 및 기타 고도로 대칭적인 다면체의 경우, 이 단면은 꼭짓점에 인접한 각 모서리의 중간점을 통과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34]

볼록 다면체와 더 일반적으로 꼭짓점이 볼록 위치에 있는 다면체의 경우, 이 단면은 꼭짓점을 다른 꼭짓점과 분리하는 모든 평면으로 선택할 수 있다.[35] 다면체에 대칭의 중심이 있는 경우, 이 평면을 주어진 꼭짓점과 중심을 통과하는 선에 수직이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36] 이 선택으로 꼭짓점 도형의 모양은 배율 조정까지 결정된다. 다면체의 꼭짓점이 볼록 위치에 있지 않으면 각 꼭짓점을 나머지 부분과 분리하는 평면이 항상 존재하지는 않는다. 이 경우, 대신 꼭짓점을 중심으로 하는 작은 구로 다면체를 자르는 것이 일반적이다.[37] 마찬가지로, 이것은 배율 조정까지 불변인 꼭짓점 도형의 모양을 생성한다. 이러한 모든 선택은 적용할 수 있는 다면체의 경우 동일한 조합 구조를 가진 꼭짓점 도형으로 이어지지만, 서로 다른 기하학적 모양을 제공할 수 있다.

3. 분류

다면체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볼록 다면체''' - 내부 전체가 볼록 집합을 이루는 다면체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이 자기 자신과 교차하지 않으며, 표면에 속하는 임의의 두 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표면이나 내부에 포함되는 경우이다.[16][17] 이 조건을 다면체의 정의에 포함시켜, 볼록 다면체를 단순히 '다면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 '''오목 다면체''' - 내부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다면체를 말한다. 즉, 다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모이는 내각의 합이 360도 이상인 다면체를 뜻한다.
  • '''점추이 다면체''' - 임의의 두 꼭짓점에 대해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보내는 등거리변환이 존재하는 다면체. 즉 이는 등거리변환들이 꼭짓점들의 집합에 추이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이다.
  • '''변추이 다면체''' - 임의의 두 변에 대해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보내는 등거리변환이 존재하는 다면체.
  • '''면추이 다면체''' - 임의의 두 면에 대해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보내는 등거리변환이 존재하는 다면체.
  • '''정다면체''' - 위의 점추이, 변추이, 면추이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다면체이다. 따라서 정다면체의 모든 면은 전부 동일한 정다각형이다.
  • '''준정다면체''' - 변추이지만 점추이, 면추이는 아닌 다면체를 말한다. 정의에 따라 준정다면체의 각 면은 정다각형이다. 변추가 아닌 변점추및 면추이 다면체는 '''쌍대 준정다면체'''라고 한다.
  • '''반정다면체'''- 점추이이며, 모든 면이 정다각형인 다면체를 말한다. (다르게 정의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주의할 것.) 모든 꼭짓점이 정꼭짓점이며 변추이가 아닌 면추이 다면체를 '''쌍대 반정다면체'''라고 한다.
  • '''고른 다면체''' - 모든 면이 정다각형인 점추이 다면체. 즉 이는 정다면체, 준정다면체, 반정다면체 셋 중 하나에 해당한다. '''쌍대 고른 다면체'''는 모든 꼭짓점이 정꼭짓점인 면추이 다면체이다.
  • '''귀한 다면체''' - 점추이 및 면추이적인 다면체. 특정 다면체가 정다면체일 필요충분조건은 그것이 고르면서 귀하다는 것이다.

H.S.M. 코제트는 1954년, 무한한 각기둥과 엇각기둥 말고는 75 종류의 고른 다면체가 있다고 추측했다. 이 추측은 후에 J. 스킬링이 증명하였다.

정다면체는 9개가 있는데, 5개의 볼록 정다면체(플라톤의 다면체)와 4개의 오목 정다면체(케플러-푸앵소 다면체)가 있다. 준정다면체는 15개가 있는데, 13개의 볼록 준정다면체와 2개의 오목 준정다면체가 있다. 반정다면체는 볼록 반정다면체(무한한 수의 각기둥엇각기둥, 11개의 그밖의 볼록 반정다면체)와 40개의 오목 반정다면체가 있다.

3. 1. 볼록 다면체와 오목 다면체

다면체는 내부가 볼록 집합을 이루는 경우 볼록 다면체라고 불린다. 볼록 다면체의 표면은 자기 자신과 교차하지 않으며, 표면의 임의의 두 점을 잇는 선분은 항상 표면이나 내부에 존재한다.[16][17] 이러한 성질을 만족하는 다면체를 단순히 '다면체'라고 칭하기도 한다. 볼록 다면체는 유한한 반공간의 교집합 또는 유한한 점들의 볼록 껍질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피가 0이 아닌 경우로 제한된다.[14][15]

볼록 다면체의 예시로는 각기둥, 정다면체,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와 그 쌍대인 카탈랑의 다면체, 그리고 정다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등이 있다. 각기둥은 꼭짓점이 두 평행한 평면에 위치하며, 옆면은 사다리꼴이나 삼각형일 수 있다.[18] 각기둥에는 뿔, 쐐기, 평행육면체, 각기둥, 엇각기둥 등이 포함된다. 플라톤이 ''티마이오스''에서 언급한 정사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육면체, 정이십면체는 정다면체에 해당한다. 아르키메데스 다면체는 모든 면이 정다각형이고 꼭짓점이 대칭인 13개의 다면체이다. 카탈랑의 다면체는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쌍대 다면체이다.[20] 정다각형 면 다면체에는 델타 다면체(정삼각형 면)와 존슨의 다면체(임의의 정다각형 면)가 있다.[21][22]

볼록 다면체는 기본 다면체와 복합 다면체로 나눌 수 있다. 기본 다면체는 평면으로 잘라 두 개 이상의 다면체로 분리할 수 없는 다면체이다. 복합 다면체는 둘 이상의 기본 다면체를 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 증강 삼각기둥은 세 개의 정사각형뿔을 삼각기둥에 붙여 만들 수 있으므로 복합 다면체이며, 정사각형 뿔과 삼각기둥은 기본 다면체이다.[23]

정준 다면체


볼록 다면체의 중간 구는 모든 모서리에 접하는 구로, 내접 구와 외접 구 사이의 중간 반경을 가진다. 모든 볼록 다면체는 ''정준 다면체''와 조합적으로 동등하며, 이는 중심이 다면체의 무게 중심과 일치하는 중간 구를 갖는 다면체를 의미한다. 정준 다면체의 형태는 주어진 다면체의 조합적 구조에 의해 고유하게 결정된다.[24]

내부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다면체는 오목 다면체라고 불린다. 즉, 다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모이는 내각의 합이 360도 이상인 경우이다.

일부 다면체는 볼록 다면체가 아니며, 이를 ''비볼록 다면체''라고 한다. 별 다면체와 케플러-푸앵소 다면체는 비볼록 다면체의 예시이며, 별 모양화나 깎아내기를 통해 구성된다.[25][26] 별 모양화와 깎아내기는 서로 역과정 관계이다.

볼록 다면체는 모든 이면각이 180도 미만인 다면체이다.

  • 정다면체 (플라톤의 입체)
  • 준정다면체 (아르키메데스의 입체)
  • 카탈란의 입체 (아르키메데스 쌍대)
  • 델타 다면체
  • 각기둥
  • 각반기둥
  • 존슨의 입체
  • 각뿔
  • 쌍각뿔
  • 비틀린 쌍각뿔
  • 각뿔기둥
  • 각뿔대
  • 존 다면체
  • 등면 마름모 다면체
  • 평행 다면체

오목 다면체는 어느 2면각이 180도를 초과하는 다면체이다.

  • 별 다면체
  • 별 정다면체 (케플러-푸앵소의 다면체)
  • 복합 다면체
  • 복합체
  • 균일 다면체
  • 관통 다면체
  • 단측 다면체[98]


삼각 십이이십면체는 카탈랑의 다면체의 한 종류이다.


3. 2. 대칭성에 따른 분류

다면체는 대칭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가장 많이 연구된 다면체는 높은 대칭성을 가지며, 이는 공간의 반사 또는 회전에 의해 외형이 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칭은 꼭짓점, 면, 모서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지만, 모든 꼭짓점, 면, 모서리의 집합은 변경되지 않는다. 다면체의 대칭 집합은 그 대칭군으로 불린다.

대칭에 의해 서로 겹쳐질 수 있는 모든 요소는 대칭 궤도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정육면체의 모든 면은 하나의 궤도에 속하고, 모든 모서리는 다른 궤도에 속한다. 주어진 차원의 모든 요소가 동일한 궤도에 속하면 해당 도형은 해당 궤도에서 추이적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정육면체는 면 추이적이지만, 깎은 정육면체는 두 개의 면 대칭 궤도를 갖는다.

다면체는 어떤 종류의 요소(면, 모서리, 꼭짓점)가 단일 대칭 궤도에 속하는지에 따라 분류된다.

  • 정다면체: 꼭짓점 추이적, 모서리 추이적, 면 추이적이다. 모든 면이 동일한 정다각형이고, 모든 꼭짓점이 정규적이다.
  • 준정다면체: 꼭짓점 추이적이고 모서리 추이적이지만 면 추이적이지 않다. 정규 면을 갖는다. 준정규 쌍대는 면 추이적이고 모서리 추이적이지만 꼭짓점 추이적이지 않다.
  • 반정다면체: 꼭짓점 추이적이지만 모서리 추이적이 아니며, 모든 면은 정다각형이다. 준정규 각기둥과 각뿔대가 여기에 포함된다. 준정규 쌍대는 면 추이적이지만 꼭짓점 추이적이지 않다.
  • 고른 다면체: 꼭짓점 추이적이며 모든 면이 정다각형이다. 즉, 정다면체, 준정다면체, 반정다면체 중 하나이다. 고른 쌍대는 면 추이적이고 정규 꼭짓점을 갖지만 반드시 꼭짓점 추이적인 것은 아니다.
  • 등각: 꼭짓점 추이적이다.
  • 등축 도형: 모서리 추이적이다.
  • 등면 도형: 면 추이적이다.
  • 고귀한 다면체: 면 추이적이고 꼭짓점 추이적이다. 정다면체는 고귀하며, 유일한 고귀한 균일 다면체이다. 고귀한 다면체의 쌍대는 그 자체로 고귀하다.


H.S.M. 코제트는 1954년, 무한한 각기둥과 엇각기둥 말고는 75 종류의 고른 다면체가 있다고 추측했고, 이는 후에 J. 스킬링이 증명하였다.

일부 다면체는 단일 주 대칭축만 갖는다. 여기에는 각뿔, 쌍각뿔, 사다리꼴 다면체, 쿠폴라, 준정규 각기둥과 각뿔대가 포함된다.

3차원에서의 많은 대칭 또는 점군은 관련 대칭을 가진 다면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여기에는 정사면체 대칭, 정팔면체 대칭, 정이십면체 대칭, 각뿔 대칭, 각기둥 대칭, 역각기둥 대칭 등이 포함된다.

키랄 대칭을 가진 것은 반사 대칭을 갖지 않으므로 서로의 반사 형태인 두 개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갖는다. 엇깍은 육팔면체와 엇깍은 이십이십이면체가 그 예이다.

몇몇 다면체가 대칭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전체 정이십면체 대칭은 구를 120개의 삼각형 영역으로 나눕니다.

3. 3. 면의 구성에 따른 분류

다면체는 면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 볼록 다면체: 내부 전체가 볼록 집합을 이루는 다면체이다. 표면이 자기 자신과 교차하지 않으며, 표면에 속하는 임의의 두 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표면이나 내부에 포함된다. 이 조건을 다면체의 정의에 포함시켜, 볼록 다면체를 단순히 '다면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 오목 다면체: 내부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다면체이다. 즉, 다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모이는 내각의 합이 360도 이상인 다면체를 뜻한다.
  • 점추이 다면체: 임의의 두 꼭짓점에 대해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보내는 등거리변환이 존재하는 다면체이다. 즉 이는 등거리변환들이 꼭짓점들의 집합에 추이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이다.
  • 변추이 다면체: 임의의 두 변에 대해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보내는 등거리변환이 존재하는 다면체이다.
  • 면추이 다면체: 임의의 두 면에 대해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보내는 등거리변환이 존재하는 다면체이다.
  • 정다면체: 점추이, 변추이, 면추이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다면체이다. 따라서 정다면체의 모든 면은 전부 동일한 정다각형이다.
  • 준정다면체: 변추이지만 점추이, 면추이는 아닌 다면체를 말한다. 정의에 따라 준정다면체의 각 면은 정다각형이다. 변추가 아닌 변점추및 면추이 다면체는 쌍대 준정다면체라고 한다.
  • 반정다면체: 점추이이며, 모든 면이 정다각형인 다면체를 말한다. (다르게 정의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주의할 것.) 모든 꼭짓점이 정꼭짓점이며 변추이가 아닌 면추이 다면체를 쌍대 반정다면체라고 한다.
  • 고른 다면체: 모든 면이 정다각형인 점추이 다면체. 즉 이는 정다면체, 준정다면체, 반정다면체 셋 중 하나에 해당한다. 쌍대 고른 다면체는 모든 꼭짓점이 정꼭짓점인 면추이 다면체이다.
  • 귀한 다면체: 점추이 및 면추이적인 다면체. 특정 다면체가 정다면체일 필요충분조건은 그것이 고르면서 귀하다는 것이다.


H.S.M. 코제트는 1954년, 무한한 각기둥과 엇각기둥 말고는 75 종류의 고른 다면체가 있다고 추측했다. 이 추측은 후에 J. 스킬링이 증명하였다.

정다면체는 9개가 있는데, 5개의 볼록 정다면체(플라톤의 다면체)와 4개의 오목 정다면체(케플러-푸앵소 다면체)가 있다. 준정다면체는 15개가 있는데, 13개의 볼록 준정다면체와 2개의 오목 준정다면체가 있다. 반정다면체는 볼록 반정다면체(무한한 수의 각기둥엇각기둥, 11개의 그밖의 볼록 반정다면체)와 40개의 오목 반정다면체가 있다.

4. 일반화

'다면체'라는 이름은 전통적인 다면체와 유사한 구조적 특성을 갖는 다양한 객체에 사용되게 되었다.

=== 무한다면체 ===

고전적인 다면체는 유한한 유계 영역을 감싸는, 꼭짓점과 변들로 구획된 표면이다. 이 표면을 한없이 확장한 것을 무한다면체라 한다. 무한다면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평면의 쪽 맞추기.
  • 무한 꼬인 다면체.


한 차원 낮은 유사한 대상으로 무한각형이 있다. 고전적인 다면체 표면은 유한 개의 면을 가지며, 모서리를 따라 쌍으로 연결된다. 아페이로헤드라는 무한히 많은 면을 가진 관련 객체 클래스를 형성한다. 아페이로헤드라의 예로는 평면의 타일링 또는 테셀레이션 및 무한 비틀린 다면체라고 하는 스펀지 모양 구조가 있다.

=== 복소다면체 ===

3차원 유니타리 공간에 포함된 다면체로, 실수 차원으로는 6차원이다. 이들의 기저 공간은 실수 유클리드 공간이 아닌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이다.[52] 정규 복소 다면체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존재하며, 이들의 대칭군은 복소 반사군이다.[52] 복소 다면체는 실제 다면체보다 배치와 수학적으로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52] Coxeter(1974)를 참고하라.

4. 1. 무한다면체

고전적인 다면체는 유한한 유계 영역을 감싸는, 꼭짓점과 변들로 구획된 표면이다. 이 표면을 한없이 확장한 것을 무한다면체라 한다. 무한다면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평면의 쪽 맞추기.
  • 무한 꼬인 다면체.


한 차원 낮은 유사한 대상으로 무한각형이 있다. 고전적인 다면체 표면은 유한 개의 면을 가지며, 모서리를 따라 쌍으로 연결된다. 아페이로헤드라는 무한히 많은 면을 가진 관련 객체 클래스를 형성한다. 아페이로헤드라의 예로는 평면의 타일링 또는 테셀레이션 및 무한 비틀린 다면체라고 하는 스펀지 모양 구조가 있다.

4. 2. 복소다면체

3차원 유니타리 공간에 포함된 다면체로, 실수 차원으로는 6차원이다. 이들의 기저 공간은 실수 유클리드 공간이 아닌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이다.[52] 정규 복소 다면체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존재하며, 이들의 대칭군은 복소 반사군이다.[52] 복소 다면체는 실제 다면체보다 배치와 수학적으로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52] Coxeter(1974)를 참고하라.

5. 추가 정보


  • 크롬웰(Cromwell, P.)의 ''Polyhedra'', CUP hbk (1997), pbk. (1999).
  • 컨디(Cundy, H.M.) & 롤렛(Rollett, A.P.)의 ''Mathematical models'', 1st Edn. hbk OUP (1951), 2nd Edn. hbk OUP (1961), 3rd Edn. pbk Tarquin (1981).
  • 홀든(Holden)의 ''Shapes, space and symmetry'', (1971), Dover pbk (1991).
  • 피어스(Pearce, P)와 피어스(Pearce, S)의 ''Polyhedra primer'', Van Nost. Reinhold (May 1979), ISBN-10: 0442264968, ISBN-13: 978-0442264963.
  • [http://www.tarquin-books.demon.co.uk/books/tarquinpaperpoly.html Tarquin publications] : 잘라서 만드는 카드 모델 책.
  • 웨닝거(Wenninger, M.)의 ''Polyhedron models for the classroom'', pbk (1974).
  • 웨닝거(Wenninger, M.)의 ''Polyhedron models'', CUP hbk (1971), pbk (1974).
  • 웨닝거(Wenninger, M.)의 ''Spherical models'', CUP.
  • 웨닝거(Wenninger, M.)의 ''Dual models'', CUP.
  • 콕서터(Coxeter, H.S.M.), 듀발(DuVal), 플래더(Flather) & 페트리(Petrie)의 ''The fifty-nine icosahedra'', 3rd Edn. Tarquin.
  • 콕서터(Coxeter, H.S.M.) ''Twelve geometric essays''. Republished as ''The beauty of geometry'', Dover.
  • 톰프슨 경(Thompson, Sir D'A. W.)의 ''On growth and form'', (1943).
  • 크리츨로(Critchlow, K.)의 ''Order in space''.
  • 피어스(Pearce, P.)의 ''Structure in nature is a strategy for design'', MIT (1978).
  • 윌리엄스(Williams, R.)의 ''The geometrical foundation of natural structure'', Dover (1979).
  • 콕서터(Coxeter, H.S.M.)의 ''Regular Polytopes'' 3rd Edn. Dover (1973).
  • 콕서터(Coxeter, H.S.M.)의 ''Regular complex polytopes'', CUP (1974).
  • 라카토시(Lakatos, Imre)의 ''Proofs and Refut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 오일러 특성 증명에 대한 논의
  • 브뤼크너(Brückner)의 ''Vielecke und Vielflache''(다각형과 다면체), (1900).
  • 페예스 토트(Fejes Toth, L.).

  • [http://www.steelpillow.com/polyhedra/ 다면체 페이지]
  • [https://www.math.technion.ac.il/S/rl/docs/uniform.pdf Dr. Zvi Har'El의 균일 다면체에 대한 균일 해]
  • [https://web.archive.org/web/20170224151555/http://www.uwgb.edu/dutchs/symmetry/symmetry.htm 대칭, 결정 및 다면체]
  • [http://www.georgehart.com/virtual-polyhedra/vp.html 가상 현실 다면체] – 다면체 백과사전.
  • [http://www.eg-models.de/index.html 전자 기하학 모델] – 특이한 속성을 가진 다면체의 동료 검토를 거친 선택 사항을 포함.
  • [http://www.orchidpalms.com/polyhedra/index.html 다면체 모델] – 가상 다면체.
  • [http://www.polyedergarten.de/ 정다각형(및 기타) 다면체의 종이 모델]
  • [https://web.archive.org/web/20170616023727/http://www.uff.br/cdme/pdp/pdp-html/pdp-en.html 다양한 다면체] – 자바(Java)로 만들어진 대화형 무료 다면체 모음. 300개 이상의 다면체의 전개도, 평면 절단, 쌍대다면체, 절단 및 별 모양 등을 포함.
  • [http://dogfeathers.com/java/hyperstar.html 하이퍼스페이스 스타 폴리토프 슬라이서] – 다양한 3D 뷰어 옵션을 포함하는 자바 애플릿 탐색기.
  • [http://www.openscad.org/ openSCAD] – 프로그래머를 위한 무료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다면체는 모델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 하나. openSCAD 사용자 매뉴얼도 제공.
  • [http://www.openvolumemesh.org/ OpenVolumeMesh] – 다면체 메쉬 처리를 위한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C++ 라이브러리. 아헨 컴퓨터 그래픽 그룹(Aachen Computer Graphics Group), RWTH 아헨 대학교에서 개발.
  • [https://levskaya.github.com/polyhedronisme/ 폴리헤드론이즘] – 콘웨이 다면체 표기법을 사용하여 다면체 모델을 생성하는 웹 기반 도구. 모델은 2D PNG 이미지 또는 3D OBJ 또는 VRML2 파일로 내보낼 수 있다.
  • [http://www.korthalsaltes.com/ 다면체 종이 모형] 다면체의 무료 전개도.
  • [http://ldlewis.com/How-to-Build-Polyhedra/ 30개 이상의 종이 다면체를 만드는 간단한 설명]
  • [http://hbmeyer.de/flechten/indexeng.htm 종이 스트립으로 엮은 다면체] – 접착제 없이 구성된 다면체 모형.

참조

[1] 서적 Proofs and Refutations: The logic of mathematical discove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Proceedings of the NATO Advanced Study Institute on Polytopes: Abstract, Convex and Computational Kluwer Acad. Publ.
[3] 서적 Shaping Space: Exploring Polyhedra in Nature, Art, and the Geometrical Imagination Springer
[4] 서적 Solid Geometry D. Appleton-Century Company
[5] 서적 Computational Geometry: Algorithms and Applications Springer
[6] 웹사이트 Polyhedron, abstract
[7] 서적 Adventures Among the Toroids: A study of orientable polyhedra with regular faces
[8] 서적 Polyhed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Computational Geometry in C http://www.gbv.de/dm[...]
[10] 서적 Advances in discrete and computational geometry (South Hadley, MA, 1996)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22-07-01
[11] 간행물 On the generation of oriented matroids
[12] 간행물 Realizations of regular abstract polyhedra of types {3,6} and {6,3}
[13] 서적 Discrete and Computational Geometry: The Goodman–Pollack Festschrift Springer
[14] 서적 Convex Polytopes Springer-Verlag
[15] 서적 Polytopes, Rings, and ''K''-theory Springer
[16] 컨퍼런스 Probing a scene of non convex polyhedra 1989-06
[17] 간행물 Pyramids, Prisms, Antiprisms, and Deltahedra
[18] 서적 Solid Mensuration with proofs https://books.google[...]
[19] 간행물 An enduring error https://digital.lib.[...]
[20] 서적 Multi-shell Polyhedral Clust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1] 간행물 Deltahedra
[22] 간행물 Regular-faced convex polyhedra
[23] 간행물 Junction of Non-composite Polyhedra https://www.ams.org/[...]
[24] 간행물 How to cage an egg 1992-12-01
[25] 간행물 Facetting the dodecahedron
[26] 간행물 Facetting diagrams
[27] 서적 The New Elements of Mathematics, Volume II: Algebra and Geometry https://books.google[...] Mouton Publishers & Humanities Press
[28] 서적 Crystal Structures: Patterns and Symmetry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29] 서적 Map Color Theorem Springer
[30] 서적 Euler's Gem: The polyhedron formula and the birth of top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서적 Adventures Among the Toroids: A Study of Orientable Polyhedra with Regular Faces B. M. Stewart
[32] 서적 Mathematical models Clarendon Press
[33] 간행물 Convex polytopes http://www.wias-berl[...] 2017-02-21
[34] 서적 Regular Polytopes Methuen
[35] 간행물 A proof of the lower bound conjecture for convex polytopes https://projecteucli[...]
[36] 간행물 Proceedings of Bridges 2017: Mathematics, Art, Music, Architecture, Education, Culture Tessellations Publishing
[37] 논문 The polytopes with regular-prismatic vertex figures The Royal Society 1930-01
[38] 간행물 Geometry: Euclid and beyond Springer-Verlag, New York
[39] 간행물 Graphic Gems Package: Graphics Gems II Academic Press
[40] 간행물 Polytopes — Combinatorics and Computation
[41] 논문 Conditions nécessaires et suffisantes pour l'équivalence des polyèdres de l'espace euclidien à trois dimensions https://eudml.org/do[...]
[42] 간행물 Dehn invariant
[43] 논문 Über Zerlegungsgleichheit von Pflasterpolyedern mit Würfeln
[44] 논문 The Dehn invariants of the Bricard octahedra
[45] 논문 Zonohedra and generalized zonohedra
[46] 간행물 Enumerative Combinatorics, Volume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7] 간행물 Toric varietie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1
[48] 간행물 Combinatorics and commutative algebra Birkhäuser 1996
[49] 간행물 Geometric Folding Algorithms: Linkages, origami, polyhed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50] 간행물 Surveys on discrete and computational geometry Amer. Math. Soc., Providence, RI
[51] 논문 Mathematical Games: Is it possible to visualize a four-dimensional figure? 1966-11
[52] 간행물 Regular Complex Polytop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간행물 Divided Spheres: Geodesics and the Orderly Subdivision of the Sphere https://books.google[...] CRC Press
[54] 간행물 Concise Encyclopedia of Composite Materials Elsevier
[55] 간행물 Structure in nature is a strategy for design https://books.google[...] MIT Press
[56] 논문 A special book review: M.C. Escher: His life and complete graphic work
[57] 간행물 Geometric algorithms and combinatorial optimiz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Berlin
[58] 간행물 Geometries and Transformations
[59] 논문 The chronology of ancient Egypt 1991-10
[60] 논문 Four Geometrical Problems from the Moscow Mathematical Papyrus 1929-05
[61] 논문 Mathematics at Ur in the Old Babylonian Period
[62] 논문 An Etruscan dodecahedron
[63] 논문 A geometry capsule concerning the five platonic solids 1969-01
[64] 논문 Rediscovering the Archimedean polyhedra: Piero della Francesca, Luca Pacioli, Leonardo da Vinci, Albrecht Dürer, Daniele Barbaro, and Johannes Kepler
[65] 논문 Cracking bones and numbers: solving the enigma of numerical sequences on ancient Chinese artifacts 2019-12
[66] 간행물 Geometry and Algebra in Ancient Civilizations Springer
[67] 논문 On the transmission of geometry from Greek into Arabic
[68] 간행물 Thābit ibn Qurra: Science and Philosophy in Ninth-Century Baghdad Walter de Gruyter
[69] 논문 The geometry of cuboctahedra in medieval art in Anatolia 2017-12
[70] 간행물 Imagine Math Springer
[71] 서적 The Polyhedrists: Art and Geometry in the Long Sixteenth Century MIT Press
[72] 논문 Perspective versus stereotomy: From Quattrocento polyhedral rings to sixteenth-century Spanish torus vaults 2010-02
[73] 논문 Rediscovering the Archimedean polyhedra: Piero della Francesca, Luca Pacioli, Leonardo da Vinci, Albrecht Dürer, Daniele Barbaro, and Johannes Kepler
[74] 논문 Luca Pacioli and perspective (part I)
[75] 논문 Dürer's unfolding problem for convex polyhedra https://www.ams.org/[...]
[76] 간행물 Fullerenes: Status and Perspectives, Proceedings of the 1st Italian Workshop, Bologna, Italy, 6–7 February World Scientific
[77] 논문 Kepler's star polyhedra
[78] 서적 A History of Folding in Mathematics: Mathematizing the Margins Birkhäuser
[79] 서적 Descartes on Polyhedra: A Study of the "De solidorum elementis" Springer-Verlag
[80] 논문 The flaw in Euler's proof of his polyhedral formula
[81] 논문 About the cover: Euler and Königsberg's bridges: a historical view
[82] 간행물 Mathematical Survey Lectures 1943–2004 Springer
[83] 간행물 Companion Encyclopedia of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the Mathematical Sciences Routledge
[84] 웹사이트 Regular-faced polyhedra: remembering Norman Johnson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23-05-27
[85] 웹사이트 Fedorov's five parallelohedra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3-11
[86] 논문 On Hilbert's third problem 2002-07
[87] 논문 Graphs of polyhedra; polyhedra as graphs
[88] 서적 The Fifty-Nine Icosahedra Tarquin Publications
[89] 서적 King of Infinite Space: Donald Coxeter, the Man Who Saved Geometry Bloomsbury Publishing
[90] 서적 Abstract Regular Polytop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1] 논문 Surface reconstruction techniques: a review 2012-03
[92] 논문 The discrete geodesic problem
[93]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20th Annu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and Interactive Techniques, SIGGRAPH 1993, Anaheim, CA, USA, August 2–6, 1993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94] 학위논문 Polycube Optimization and Applications: From the Digital World to Manufacturing University of Cagliari 2019-02
[95] 간행물 Graph Drawing – 19th International Symposium, GD 2011, Eindhoven, The Netherlands, September 21–23, 2011, Revised Selected Papers Springer
[96] 서적 Geometric Folding Algorithms: Linkages, Origami, Polyhed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 서적 4次元図形百科 丸善出版
[98] 서적 多面体百科 丸善出版 2016-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