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른 다면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른 다면체는 정다각형 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모든 꼭짓점이 합동인 다면체를 의미한다. 정다면체, 준정다면체, 각기둥, 엇각기둥 등이 있으며, 비볼록 고른 다면체는 별 모양의 면이나 꼭짓점 도형을 가질 수 있다. 고른 다면체의 정의는 연결성, 불가능한 구현화 등의 조건에 따라 일반화될 수 있으며, 숨겨진 면, 불가능한 결합체, 이중 덮개, 이중 면, 이중 모서리 등의 불가능한 경우도 존재한다. 고른 다면체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케플러와 푸앵소에 의해 별 다면체가 발견되었고, 콕세터 등에 의해 목록이 완성되었다. 고른 다면체는 위토프 구성을 통해 분류될 수 있으며, 볼록 고른 다면체는 정다면체, 준정다면체, 각기둥, 엇각기둥으로 나뉜다. 비볼록 고른 다면체는 별 다면체에 속하며, 57개의 비각기둥 비볼록 형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른 다면체 - 사면반육면체
    사면반육면체는 7개의 면, 12개의 모서리, 6개의 꼭짓점을 가지며 오일러 지표가 1인 무방향성 다면체이다.
  • 고른 다면체 - 깎은 큰 십이면체
    깎은 큰 십이면체는 정십각형 12개와 별 모양 오각형 12개로 이루어진 다면체로, 큰 십이면체를 깎아서 만들 수 있으며 작은 별 오각 십이면체와 쌍대 관계를 가진다.
고른 다면체
개요
삼각기둥
삼각기둥
정사각형 반기둥
정사각형 반기둥
정사면체
정사면체
깎은 정육면체
깎은 정육면체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깎은 들쭉날쭉 십이십이면체
깎은 들쭉날쭉 십이십이면체
정의
설명면이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등각 다면체이다.

2. 정의

고른 다면체(Uniform polyhedron영어)는 정다각형 면을 가지며, 모든 꼭짓점이 합동인 (점추이, 등각) 다면체이다. [1]

고른 다면체는 정다면체 (볼록 및 별), 준정다면체, 각기둥엇각기둥을 포함한다. 비볼록 고른 다면체는 별 모양의 면이나 꼭짓점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1]

고른 다면체의 정의에는 몇 가지 일반화가 가능하다. 연결성 가정이 없어지면, 정육면체 5개의 결합과 같이 다면체 여럿으로 분리될 수 있는 고른 결합체를 얻을 수 있다. 만약 다면체가 불가능하지 않다는 구현화 조건이 없으면, 소위 불가능한 고른 다면체를 얻는다. 불가능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1]


  • 숨겨진 면: 어떤 다면체는 면이 숨겨져 있다. 즉, 그 면의 내부의 어떤 점도 외부에서 볼 수 없다. 이것들은 보통 고른다면체로 세지 않는다.[1]
  • 불가능한 결합체: 어떤 다면체는 다중의 모서리를 가지고 그 면들은 둘 이상의 다면체의 면이지만 이것들은 다면체들이 모서리를 공유하므로 이전 개념의 결합체는 아니다.[1]
  • 이중 덮음: 고른 다면체의 정의를 만족하는 이중으로 덮는 비등방성 다면체가 있다. 이것은 그 면과 모서리와 꼭짓점을 두 배로 가진다. 이것은 대부분 고른 다면체로 계수하지 않는다.[1]
  • 이중 면: 위토프 생성으로 생긴 이중 면을 가지는 다면체가 일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중 면을 허용하지 않고 생성으로 생긴 것에서 제한다.[1]
  • 이중 모서리: 스킬링의 형태는 이중 모서리(불가능한 고른 다면체가 가지는 특성)를 가지지만 그 면들은 고른 다면체 둘의 결합으로 쓰이지는 않는다.[1]

3. 역사


  • 정다면체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연구되었으며, 피타고라스 학파, 플라톤(기원전 424년 – 기원전 348년), 테아이테토스(기원전 417년 – 기원전 369년), 로크리의 티마이오스(기원전 420년–기원전 380년), 유클리드(기원전 300년경) 등이 연구했다. 에트루리아인들은 기원전 500년 이전에 정십이면체를 발견했다.[1]
  • 깎은 정육면체플라톤에게 알려져 있었다.
  • 아르키메데스(기원전 287년 – 기원전 212년)는 13개의 아르키메데스 다면체를 모두 발견했다. 이 주제에 대한 그의 원본 저서는 유실되었지만,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c. 290 – c. 350 AD)가 아르키메데스가 13개의 다면체를 나열했다고 언급했다.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1415 – 1492)는 플라톤 다면체의 다섯 가지 깎은 도형(깎은 정사면체, 깎은 정팔면체, 깎은 정육면체, 깎은 정십이면체, 깎은 정이십면체)을 재발견하고, ''De quinque corporibus regularibus''에 이들의 계량적 속성에 대한 그림과 계산을 포함시켰다. 그는 다른 책에서 깎은 정육면체에 대해서도 논의했다.[2]
  • 루카 파치올리는 1509년에 ''De divina proportione''에서 프란체스카의 저작을 표절하여 마름모깎은 정육면체를 추가하고, 26개의 면을 가진 도형으로 ''이코시헥사헤드론''이라고 불렀으며,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렸다.
  • 요하네스 케플러(1571–1630)는 1619년에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완전한 목록을 처음으로 출판했다. 그는 또한 무한한 종류의 균일한 각기둥과 엇각기둥도 확인했다.
  • 케플러(1619)는 정규 케플러-푸앵소 다면체 중 두 개( 작은 별 모양 십이면체와 큰 별 모양 십이면체)를 발견했다.
  • 루이 푸앵소 (1809)는 나머지 두 개(큰 십이면체큰 이십면체)를 발견했다.
  • 4개의 집합은 1813년 오귀스탱 루이 코시에 의해 완전함이 증명되었고, 1859년 아서 케일리에 의해 명명되었다.
  • 나머지 53개 중 에드문트 헤스(Edmund Hess, 1878)가 2개를 발견했고, 알베르 바두로(Albert Badoureau, 1881)가 36개를 더 발견했으며, 피츠(Pitsch, 1881)는 18개를 독립적으로 발견했는데, 이 중 3개는 이전에 발견되지 않았었다. 이들을 합하면 41개의 다면체가 된다.
  • 기하학자 H.S.M. 콕세터(H.S.M. Coxeter)는 J. C. P. 밀러(J. C. P. Miller)와 공동으로 나머지 12개를 발견했지만 (1930–1932) 출판하지 않았다. M.S. 롱게-히긴스(M.S. Longuet-Higgins)와 H.C. 롱게-히긴스(H.C. Longuet-Higgins)는 이 중 11개를 독립적으로 발견했다. 레사브르(Lesavre)와 메르시에(Mercier)는 1947년에 이들 중 5개를 재발견했다.
  • 1974년, 마그누스 웬닝거(Magnus Wenninger)는 노먼 존슨(Norman Johnson)이 이름을 붙인 75개의 비각기둥 정다면체가 모두 수록된 ''다면체 모형''을 출판했다.
  • 스키링(1975)은 독립적으로 완전성을 증명했으며, 정다면체의 정의를 완화하여 모서리의 일치를 허용할 경우 단 하나의 추가적인 가능성(큰 이중 스너브 마름모십이면체)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1987년, 에드몽 보낭(Edmond Bonan)은 '''Polyca'''라는 터보 파스칼(Turbo Pascal) 프로그램으로 모든 정다면체와 쌍대 다면체를 3D로 그렸다. 이들 중 대부분은 1993년 영국 이스트본의 컨그레스 극장과 2005년 프랑스 브장송의 쿠르잘에서 전시되었다.[3]
  • 1993년, 츠비 하르엘(Zvi Har'El, 1949–2008)[4]은 '''Kaleido'''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다면체와 쌍대 다면체의 완전한 만화경 구조를 만들고, ''정다면체의 균일한 해법''에서 이를 요약하여 그림 1-80을 계산했다.[5]
  • 1993년, R. 메더(R. Mäder)는 이 Kaleido 해법을 Mathematica로 이식했다.[6]
  • 2002년, 피터 W. 메서(Peter W. Messer)는 와이토프 기호만 주어지면 모든 정다면체(및 그 쌍대 다면체)의 주요 조합 및 계량 수량을 결정하는 최소한의 폐쇄형 표현식을 발견했다.[7]


고른 다면체의 개념은 연결성 가정이 없어지거나, 다면체가 불가능하지 않다는 구현화 조건이 없을 때 일반화될 수 있다.

3. 1. 한국 역사 속의 다면체

한국 전통 건축과 공예품에서 정다면체준정다면체의 형태 및 대칭성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굴암 본존불상의 연화대좌는 깎은 정팔면체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불국사 다보탑의 기단은 마름모육팔면체의 형태를 띠고 있다. 전통 문양과 장식에서도 다면체의 기하학적 특징을 활용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4. 종류

고른 다면체는 크게 볼록 고른 다면체와 비볼록 고른 다면체로 나눌 수 있다.

4. 1. 볼록 고른 다면체

B3그래프
B2그림타일링꼭짓점
도형
콕서터와
슐레플리
기호위치에 있는 면원소 수Pos. 2
[4]
(6)Pos. 1
[2]
(12)Pos. 0
[3]
(8)면모서리꼭짓점7정육면체

{4,3}

{4}6128[2]정팔면체

{3,4}

{3}8126[4]절반 깎은 정육면체
절반 깎은 정팔면체
(육팔면체)

{4,3}
{4}
{3}1424128깎은 정육면체

t0,1{4,3}=t{4,3}

{8}
{3}143624[5]깎은 정팔면체

t0,1{3,4}=t{3,4}
{4}

{6}1436249부풀린 정육면체
부풀린 정팔면체
마름모육팔면체

t0,2{4,3}=rr{4,3}
{8}
{4}
{6}26482410부풀려 깎은 정육면체
부풀려 깎은 정팔면체
깎은 육팔면체

t0,1,2{4,3}=tr{4,3}
{8}
{4}
{6}267248[6]다듬은 정팔면체
(정이십면체와 같음)

s{3,4}=sr{3,3}
{3}
{3}203012[1]절반 정육면체
(정사면체와 같음)
h{4,3}={3,3}1/2 {3}464[2]Cantic 정육면체
(깎은 정사면체)
h2{4,3}=t{3,3}
1/2 {6}1/2 {3}81812[4](육팔면체와 같음)
rr{3,3}142412[5](깎은 정팔면체와 같음)
tr{3,3}143624[9]Cantic 깎은 정팔면체
(마름모육팔면체)

s2{3,4}=rr{3,4}26482411다듬은 육팔면체

sr{4,3}
{4}
2 {3}
{3}386024


4. 2. 비볼록 고른 다면체 (별 다면체)

(5/2)5
큰 십이면체5/2 | 2 5

(5,5,5,5,5)/2
큰 별모양 십이면체3 | 2 5/2

(5/2)3
큰 이십면체5/2 | 2 3--
(3,3,3,3,3)/2



별모양 정다면체를 제외하면, 비볼록 고른 다면체는 53종이 있다.

아래 표에서 일부는 와이소프 기호에 분수 값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3/2는 역행하는 삼각형 면을 나타낸다.

그림이름와이소프 기호꼭짓점 모양
팔면반팔면체3/2 3 | 3

6, 3/2, 6, 3
사면반육면체3/2 3 | 2

4, 3/2, 4, 3
작은 깎은 입방 팔면체3/2 4 | 4

8, 3/2, 8, 4
큰 깎은 입방 팔면체3 4 | 4/3

8/3, 3, 8/3, 4
입방반팔면체4/3 4 | 3

6, 4/3, 6, 4
깎은 입방 깎은 팔면체
(입방 팔면 깎은 입방 팔면체)
4/3 3 4 |

8/3, 6, 8
균일한 큰 롬비깎은 팔면체
(의사 롬비깎은 팔면체)
3/2 4 | 2

4, 3/2, 4, 4
작은 롬비육면체2 4 (3/2 4/2) |

4, 8, 4/3, 8
별모양 깎은 육면체
(의사 깎은 육면체)
2 3 | 4/3

8/3, 8/3, 3
큰 깎은 입방 팔면체
(의사 깎은 입방 팔면체)
4/3 2 3 |

8/3, 4, 6
큰 롬비육면체2 4/3 (3/2 4/2) |

4, 8/3, 4/3, 8/5
작은 이중삼각 이십이십이십면체3 | 5/2 3

(5/2, 3)3
작은 이십이십이십면체5/2 3 | 3

6, 5/2, 6, 3
작은 엇깎은 이십이십이십면체| 5/2 3 3

35, 5/2
작은 십이이십이십면체3/2 5 | 5

10, 3/2, 10, 5
십이면십이면체2 | 5/2 5

(5/2, 5)2
깎은 큰 십이면체2 5/2 | 5

10, 10, 5/2
롬비십이면십이면체5/2 5 | 2

4, 5/2, 4, 5
작은 롬비십이면체2 5 (3/2 5/2) |

10, 4, 10/9, 4/3
엇깎은 십이면십이면체| 2 5/2 5

3, 3, 5/2, 3, 5
이중삼각 십이면십이면체
(이중삼각 십이면체)
3 | 5/3 5

(5/3, 5)3
큰 이중삼각 십이이십이십면체3 5 | 5/3

10/3, 3, 10/3, 5
작은 이중삼각 십이이십이십면체5/3 3 | 5

10, 5/3, 10, 3
이십십이면체5/3 5 | 3

6, 5/3, 6, 5
이십면 깎은 십이면십이면체
(이십십이면 깎은 이십십이면체)
5/3 3 5 |

10/3, 6, 10
엇깎은 이십십이면체| 5/3 3 5

3, 3, 3, 5/3, 3 , 5
큰 이중삼각 이십이십면체3/2 | 3 5

(5, 3, 5, 3, 5, 3)/2
큰 이십이십이십면체3/2 5 | 3

6, 3/2, 6, 5
작은 이십반십이면체3/2 3 | 5

10, 3/2, 10, 3
작은 십이면이십면체3 5 (3/2 5/4) |

10, 6, 10/9, 6/5
작은 십이면반십이면체5/4 5 | 5

10, 5/4, 10, 5
큰 이십십이면체2 | 5/2 3

(5/2, 3)2
깎은 큰 이십면체2 5/2 | 3

6, 6, 5/2
롬비이십면체2 3 (5/4 5/2) |

6, 4, 6/5, 4/3
큰 엇깎은 이십십이면체| 2 5/2 3

34, 5/2
작은 별모양 깎은 십이면체
(의사 깎은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2 5 | 5/3

10/3, 10/3, 5
깎은 십이면십이면체
(의사 깎은 십이면십이면체)
5/3 2 5 |

10/3, 4, 10
역 엇깎은 십이면십이면체| 5/3 2 5

3, 5/3, 3, 3, 5
큰 십이이십이십면체5/2 3 | 5/3

10/3, 5/2, 10/3, 3
작은 십이면반이십면체5/3 5/2 | 3

6, 5/3, 6, 5/2
큰 십이면이십면체3 5/3 (3/2 5/2) |

6, 10/3, 6/5, 10/7
큰 엇깎은 십이이십이십면체| 5/3 5/2 3

33, 5/3, 3, 5/2
큰 십이면반이십면체5/4 5 | 3

6, 5/4, 6, 5
큰 별모양 깎은 십이면체
(의사 깎은 큰 별모양 십이면체)
2 3 | 5/3

10/3, 10/3, 3
균일한 큰 롬비이십십이면체
(의사 롬비이십십이면체)
5/3 3 | 2

4, 5/3, 4, 3
깎은 큰 이십십이면체
(큰 의사 깎은 이십십이면체)
5/3 2 3 |

10/3, 4, 6
큰 역 엇깎은 이십십이면체| 5/3 2 3

34, 5/3
큰 십이면반십이면체5/3 5/2 | 5/3

10/3, 5/3, 10/3, 5/2
큰 이십면반십이면체3/2 3 | 5/3

10/3, 3/2, 10/3, 3
작은 반엇깎은 이십이십이십면체
(작은 역반엇깎은 이십이십이십면체)
| 3/2 3/2 5/2

(35, 5/3)/2
큰 롬비십이면체2 5/3 (3/2 5/4) |

4, 10/3, 4/3, 10/7
큰 반엇깎은 이십십이면체
(큰 역반엇깎은 이십십이면체)
| 3/2 5/3 2

(34, 5/2)/2
큰 이중롬비이십십이면체| 3/2 5/3 3 5/2

(4, 5/3, 4, 3, 4, 5/2, 4, 3/2)/2


5. 위토프 구성

Wythoff construction영어은 거울 대칭을 이용하여 고른 다면체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슈바르츠 삼각형과 콕서터-딘킨 도형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위토프 구성을 통해 볼록 고른 다면체와 구면 타일링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1]

구면에서 정사면체 대칭은 고른 다면체 5개를 만들고, 다듬음 연산을 통해 여섯 번째 형태를 만든다. 정사면체 대칭은 한 꼭짓점은 거울이 두 개 있고, 다른 두 꼭짓점은 거울이 세 개 있는 기본 삼각형 (3 3 2)로 나타난다. 콕서터 군 A2 또는 [3,3]과 콕서터 다이어그램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삼방육면체의 면에서, 구면에 교대로 색칠해서 나타냈다:



#이름그래프
A3
그래프
A2
그림타일링꼭짓점
도형
콕서터와
슐레플리
기호
위치에 있는 면원소 수
Pos. 2
[3]
(4)
Pos. 1
[2]
(6)
Pos. 0
[3]
(4)
꼭짓점
1정사면체
{3,3}
{3}
464
2절반 깎은 정사면체
(정팔면체와 같음)
t1{3,3}=r{3,3}
{3}

{3}
8126
3깎은 정사면체
t0,1{3,3}=t{3,3}
{6}

{3}
81812
4마름모사사각형
(육팔면체와 같음)
t0,2{3,3}=rr{3,3}
{3}

{4}

{3}
142412
5깎은 사사면체
(깎은 정팔면체와 같음)
t0,1,2{3,3}=tr{3,3}
{6}

{4}

{6}
143624
6다듬은 사사면체
(정이십면체와 같음)
sr{3,3}
{3}

2 {3}

{3}
203012



구면에서 정팔면체 대칭은 고른 다면체 7개를 만들고, 교대 연산을 하면 7개를 더 만든다. 이 형태 중 여섯 개는 위에 있는 정사면체 대칭 표의 내용과 중복된다. 정팔면체 대칭은 꼭짓점에 있는 거울 개수로 (4 3 2)인 기본 삼각형으로 나타난다. 콕서터 군으로 B2 또는 [4,3]과 콕서터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육방팔면체의 면과 구면에 교대로 색칠해서 나타냈다:



#이름그래프
B3
그래프
B2
그림타일링꼭짓점
도형
콕서터와
슐레플리
기호
위치에 있는 면원소 수
Pos. 2
[4]
(6)
Pos. 1
[2]
(12)
Pos. 0
[3]
(8)
모서리꼭짓점
7정육면체{4,3}
{4}
6128
8깎은 정육면체t0,1{4,3}=t{4,3}
{8}

{3}
143624
9부풀린 정육면체
부풀린 정팔면체
마름모육팔면체
t0,2{4,3}=rr{4,3}
{4}

{4}

{3}
264824
10부풀려 깎은 정육면체
부풀려 깎은 정팔면체
깎은 육팔면체
t0,1,2{4,3}=tr{4,3}
{8}

{4}

{6}
267248
11다듬은 육팔면체
sr{4,3}
{4}

2 {3}

{3}
386024



구면에서 정이십면체 대칭은 고른 다면체 7개를 생성하고, 교대 연산을 통해 한 개를 더 생성한다. 정이십면체 대칭은 각 꼭짓점의 거울을 세는 기본 삼각형 (5 3 2)로 표현된다. 콕서터 군 I2(p) 또는 [n,2]로, 그리고 각기둥 콕서터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십삼면체의 면과 구면에 교대로 색칠해서 나타냈다:



#이름그래프
(A2)
[6]
그래프
(H3)
[10]
그림타일링꼭짓점 도형콕세터
및 슐래플리
기호
위치별 면 개수요소 개수
위치 2
[5]
(12)
위치 1
[2]
(30)
위치 0
[3]
(20)
모서리꼭짓점
12정십이면체width=50px
{5,3}

{5}
123020
13정십이면체 절단
정 이십면체 절단
이십십이면체
width=50pxwidth=50px
t1{5,3}=r{5,3}
{5}

{3}
326030
14깎은 정십이면체width=50pxwidth=50px
t0,1{5,3}=t{5,3}

{10}

{3}
329060


5. 1. 볼록 고른 다면체의 위토프 구성

A3그래프
A2그림타일링꼭짓점
도형
콕서터와
슐레플리
기호위치에 있는 면원소 수Pos. 2
[3]
(4)Pos. 1
[2]
(6)Pos. 0
[3]
(4)면선꼭짓점1정사면체{3,3}
{3}464[1]완전 깎은 정사면체
(정사면체와 같음)
t2{3,3}={3,3}
{3}4642절반 깎은 정사면체
(정팔면체와 같음)t1{3,3}=r{3,3}
{3}
{3}81263깎은 정사면체t0,1{3,3}=t{3,3}
{6}
{3}81812[3]비트 깎은 정사면체
(깎은 정사면체)
t1,2{3,3}=t{3,3}
{3}
{6}818124마름모사사각형
(육팔면체와 같음)t0,2{3,3}=rr{3,3}
{3}
{4}
{3}1424125깎은 사사면체
(깎은 정팔면체와 같음)t0,1,2{3,3}=tr{3,3}
{6}
{4}
{6}1436246다듬은 사사면체
(정이십면체와 같음)sr{3,3}
{3}
2 {3}
{3}203012



구면에서 정팔면체 대칭은 고른 다면체 7개를 만들고, 교대 연산을 하면 7개 더 만든다. 이 형태 중 여섯 개는 위에 있는 정사면체 대칭 표의 내용과 중복된다.

정팔면체 대칭은 꼭짓점에 있는 거울 개수로 (4 3 2)인 기본 삼각형으로 나타난다.

육방팔면체의 면과 구면에 교대로 색칠해서 나타냈다:

:

#이름그래프
B3
그래프
B2
그림타일링꼭짓점
도형
콕서터와
슐레플리
기호
위치에 있는 면원소 수
Pos. 2
[4]
(6)
Pos. 1
[2]
(12)
Pos. 0
[3]
(8)
모서리꼭짓점
7정육면체
{4,3}
{4}
6128
[2]정팔면체
{3,4}
{3}
8126
[4]절반 깎은 정육면체
절반 깎은 정팔면체
(육팔면체)
{4,3}
{4}

{3}
142412
8깎은 정육면체
t0,1{4,3}=t{4,3}
{8}

{3}
143624
[5]깎은 정팔면체
t0,1{3,4}=t{3,4}
{4}

{6}
143624
9부풀린 정육면체
부풀린 정팔면체
마름모육팔면체
t0,2{4,3}=rr{4,3}
{4}

{4}

{3}
264824
10부풀려 깎은 정육면체
부풀려 깎은 정팔면체
깎은 육팔면체
t0,1,2{4,3}=tr{4,3}
{8}

{4}

{6}
267248
[6]다듬은 정팔면체
(정이십면체와 같음)
s{3,4}=sr{3,3}
{3}

{3}
203012
[1]반 정육면체
(정사면체와 같음)
h{4,3}={3,3}1/2 {3}464
[2]Cantic 정육면체
(깎은 정사면체와 동일)
h2{4,3}=t{3,3}
1/2 {6}
1/2 {3}81812
[4](육팔면체와 같음)
rr{3,3}142412
[5](깎은 정팔면체와 같음)
tr{3,3}143624
[9]Cantic 깎은 정팔면체
(마름모육팔면체와 동일)
s2{3,4}=rr{3,4}264824
11다듬은 육팔면체
sr{4,3}
{4}

2 {3}

{3}
386024



구의 정이십면체 대칭은 7개의 정다각형을 생성하며, 교대(alternation)에 의해 1개를 더 생성합니다. 위 사면체 및 팔면체 대칭 표에서 단 하나만 반복됩니다.

이십면체 대칭은 각 꼭짓점에서 거울을 세는 기본 삼각형 (5 3 2)로 표현된다.

이십삼면체의 면과 구 위의 번갈아 가며 색칠된 삼각형에서 120개의 삼각형이 보입니다:




{| class="wikitable"

!rowspan=2|#

!rowspan=2|이름

!rowspan=2|그래프
(A2)
[6]

!rowspan=2|그래프
(H3)
[10]

!rowspan=2|그림

!rowspan=2|타일링

!rowspan=2|꼭짓점 도형

!rowspan=2|콕세터
및 슐래플리
기호

!colspan=3|위치별 면 개수

!colspan=3|요소 개수

|-

! 위치 2
[5]
(12)

! 위치 1
[2]
(30)

! 위치 0
[3]
(20)

! 면

! 모서리

! 꼭짓점

|- bgcolor="#f0e0e0" align=center

!12

|align=center|정십이면체

|width=50px

|

|--

|

|

|align=center|{5,3}

|
{5}

|

|

| 12

| 30

| 20

|- bgcolor="#e0e0f0" align=center

![6]

|align=center|정 이십면체

|



|


|--

|


|--

|align=center|{3,5}

|

|

|
{3}

| 20

| 30

| 12

|- bgcolor="#e0f0e0" align=center

!13

|align=center|정십이면체 절단
정 이십면체 절단
이십이면체

|width=50px

|width=50px

|--

|

|

|align=center|t1{5,3}=r{5,3}

|
{5}

|

|
{3}

| 32

| 60

| 30

|- bgcolor="#f0e0e0" align=center

!14

|align=center|정십이면체 절단

|width=50px

|width=50px

|--

|

|--|]]

6. 현대적 응용

고른 다면체의 기하학적 특성은 건축, 디자인, 분자 구조, 컴퓨터 그래픽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다면체의 대칭성과 안정성은 구조물 설계에 영감을 줄 수 있으며, 다면체의 형태는 조형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1]

정이십면체 대칭은 구면에서 7개의 고른 다면체를 만들고, 교대 연산을 통해 하나를 더 만든다. 이 중 하나만이 정사면체나 정팔면체 대칭과 중복된다. 정이십면체 대칭은 꼭짓점에 있는 거울의 개수로 (5 3 2)인 기본 삼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콕서터 군으로는 G2이나 [5,3]과 콕서터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다.[1]

정이십면체 대칭을 갖는 대표적인 다면체로는 정십이면체정이십면체가 있다. 이 외에도 십이이십면체, 깎은 정십이면체, 깎은 정이십면체, 마름모십이이십면체, 깎은 십이이십면체, 다듬은 십이이십면체 등이 있다.[1]

6. 1. 한국 사회의 관점

고른 다면체는 한국 전통 건축과 공예의 미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통 건축물의 기하학적 구조와 문양, 공예품의 섬세한 형태 등에서 고른 다면체의 특징을 발견하고, 이를 현대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융합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고른 다면체는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고른 다면체를 직접 만들고 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공간 지각 능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고른 다면체는 지속 가능한 건축 및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형태와 구조를 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고른 다면체의 구조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참조

[1] 서적 Regular Polytopes
[2] 웹사이트 Piero della Francesca's Polyhedra http://www.georgehar[...]
[3] 간행물 Edmond Bonan, "Polyèdres Eastbourne 1993", Stéréo-Club Français 1993 https://www.image-en[...]
[4] 뉴스 Dr. Zvi Har’El (December 14, 1949 – February 2, 2008) and International Jules Verne Studies - A Tribute http://www.verniana.[...]
[5] 논문 Uniform Solution for Uniform Polyhedra http://harel.org.il/[...] 1993
[6] 논문 Uniform Polyhedra. http://www.mathconsu[...] 1993
[7] 논문 Closed-Form Expressions for Uniform Polyhedra and Their Dua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