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원군 (1990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0년 방영된 드라마 《대원군》은 조선 말 격변기를 배경으로 흥선대원군의 삶과 개혁, 그리고 외세의 침략과 개화의 갈등을 다룬 작품이다. 드라마는 안동 김씨 세도 정치, 삼정의 문란 등 시대적 배경을 시작으로,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개혁 정치, 쇄국 정책, 외세 침략, 개화와 쇄국 사이의 갈등, 임오군란, 갑신정변, 을미사변, 아관파천 등 주요 사건을 다루며, 등장인물들의 갈등과 다양한 인물 군상을 통해 당시 조선 사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헌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파문 (1989년 드라마)
    파문은 1989년 방영된 드라마로, 박승도를 중심으로 혜경궁 홍씨, 정조, 정약용 등 역사적 인물과 천주교 관련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 조선 순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자산어보 (영화)
    《자산어보》는 신유박해로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이 창대의 도움을 받아 『자산어보』를 집필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18세기 조선의 사회상과 정치적 격변기를 묘사하며 흥행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조선 순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파문 (1989년 드라마)
    파문은 1989년 방영된 드라마로, 박승도를 중심으로 혜경궁 홍씨, 정조, 정약용 등 역사적 인물과 천주교 관련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대원군 (1990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송명대원군
원제大院君
장르사극 드라마
방송 시간일요일 오후 9시 30분 ~ 10시 40분
방송 분량70분
방송 기간1990년 5월 6일 ~ 1990년 12월 23일
방송 횟수32부작
방송 시즌조선왕조 오백년 시즌 11
방송 채널MBC
제작진
기획이병훈, 최종수
연출이병훈
조연출손홍조, 정지훈
각본신봉승
출연진
출연자임동진, 엄유신, 고두심, 최수종, 김홍석, 김희애, 정명환, 한인수, 임혁, 이원재, 이진우
기타
음성한국어
전편파문

2. 시대적 배경

조선 26대 임금 고종과 27대 마지막 임금 순종으로 이어지는 시기가 배경이다. 안동 김씨의 60년 세도 정치를 종식시키고 왕권 강화를 추구했던 흥선대원군의 집권 시기를 다룬다.

강화도령의 비극,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 밀려드는 열강의 침략, 청나라 군대의 침략, 명성황후의 비참한 최후 등 혼란스러웠던 조선 말의 시대상을 보여준다. 아관파천까지 다루었으며, 순종대한제국 시대(1897년 10월 12일~1910년 8월 29일)는 포함되지 않았다.

3.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개혁 정치

안동 김씨 60년 세도 정치 척결과 왕권 확립을 기치로 내건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집념과 개혁 정치를 다룬다. 강화도령의 비극을 딛고 와신상담 끝에 집권한 흥선대원군의 생애를 통해, 조선 26대 임금 고종과 27대 마지막 임금 순종으로 이어지는 시기를 재조명한다.

4. 외세 침략과 쇄국 정책

서구 열강이 통상을 요구하며 조선에 압력을 가해오자, 조선은 쇄국 정책으로 맞섰다. 이 과정에서 1866년 병인양요, 1871년 신미양요 등 외세의 침략이 이어졌고, 조선은 이에 강력히 대응했다. 이러한 외세의 침략과 조선의 쇄국 정책은 청나라 군대의 침략으로 이어졌고, 명성황후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는 등 한말의 격동기를 불러왔다.

5. 개화와 쇄국 사이의 갈등

안동 김씨 세도 정치를 척결하고 왕권 확립을 추구했던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생애를 통해, 고종과 순종으로 이어지는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시기에는 개화파가 등장하고 개화 사상이 확산되었으며, 쇄국 정책과 개화 정책 사이의 갈등과 대립이 심화되었다.

6. 임오군란 (1882)

壬午軍亂|임오군란중국어은 1882년(고종 19년)에 구식 군인들이 일으킨 봉기이다. 이들은 민씨 정권에 대한 반발과 차별 대우에 분노하여 난을 일으켰다.

구식 군인들은 봉기 과정에서 일본인 교관을 살해하고 일본 공사관을 습격했다. 이로 인해 흥선대원군이 일시적으로 재집권하게 되었으나, 청나라 군대가 개입하면서 대원군은 청나라로 압송되고 군란은 진압되었다.

임오군란의 결과로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는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이 체결되었고, 조선과 일본 사이에는 제물포 조약이 체결되었다.

7. 갑신정변 (1884)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는 청나라 군대의 개입으로 정변에 실패하였다. 이로 인해 한성 조약, 톈진 조약이 체결되는 등 갑신정변은 여러 영향을 남겼다.

8. 을미사변 (1895)

乙未事変일본어1895년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의 주도로 명성황후가 시해된 사건이다. 이 사건은 청나라 군대의 침략 등 열강의 침략 속에서 발생한 한말의 격동기를 보여주는 사건 중 하나이다.

9. 아관파천 (1896)

고종의 아관파천까지 재조명하였다.

10. 대한제국 시기 (1897-1910)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 시기는 직접 다루지 않았지만, 고종과 순종으로 이어지는 시기를 배경으로 설정했다.

11. 등장인물

드라마 《대원군》은 조선 말기를 배경으로, 안동 김씨 세도 정치에 맞서 왕권 강화를 추구했던 흥선대원군 이하응과 그의 아들 고종, 그리고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 등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명성황후를 비롯한 왕실 인물들과, 개화파와 척사파 간의 갈등, 외세의 침략 등 역사적 사건들이 극의 중심을 이룬다.

드라마에는 흥선대원군을 중심으로 왕실, 관료, 군인, 개화파, 민중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조선 말기의 혼란스러운 정치, 사회적 변화 속에서 각자의 신념에 따라 행동하며,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대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11. 1. 조선

드라마 《대원군》에는 조선 말기를 배경으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왕실 인물로는 흥선대원군, 명성황후, 철종, 고종 등이 있으며, 김좌근, 김병기, 최익현 등은 관료로 등장한다. 임오군란을 주동한 군인들과 박규수, 김옥균, 서재필과 같은 개화파 인물들도 주요하게 다뤄진다. 또한, 천희연, 하정일 등의 민중들도 극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 1. 1. 왕실

11. 1. 2. 관료

배역배우
흥선대원군 이하응임동진
부대부인 민씨엄유신
추월김영란
명성황후 민씨김희애 (아역: 이잎새)
순원왕후 김씨김소원
신정왕후 조씨고두심
철인왕후 김씨채유미
숙의 온양 방씨이응경
숙의 금성 범씨채시라
여주 이씨이주희 (아역: 이재은)
철종최수종
대한제국 고종김홍석
순종 (세자)이민우
이최응 (흥인군, 대원군의 형)김기일
이재면 (대원군의 장남, 고종의 형)이원재
이준용 (이재면의 아들)김경진
김응원 (대원군의 집사)임문수
천희연유퉁
하정일나성균
장순규이계인
안필주맹상훈
김좌근정욱
나합김해숙
박마르타장희진
김병기임혁
김병학현석
김병국이영범
조성하홍학표
조영하홍성선
정원용홍계일
조두순오승명
최한기조경환
홍순목변희봉
최익현정승현
박규수남영진
유대치한인수
오경석강성욱
이동인이도련
김옥균김동현
박영효임영규
김홍집최상훈
홍영식이성
서광범이정훈
서재필박형준
박영교허기호
민승호임정하
민겸호정호근
민태호박경현
민영익윤순홍
우범선김주영
홍종우김명수
김윤식전국근
정병하문회원
박은식강인덕
전봉준이영범
동학교도윤석오, 이창환
조병갑심양홍
유길준정태섭
이완용박태호
이윤용사상기
이범진김웅철
안경수유판웅
홍계훈홍순창
이경하정진화
이현익정명환
설아 (진령군을 모델로 한 개화 여성 – 유대치의 제자로 설정)권은아
고영근 (설아의 남편으로 설정)정한헌
김춘영, 류복만, 정의길 (임오군란을 주동한 군인들)박경순, 김영석, 임대호
김좌근 집사나영진
오세창이진우
허윤정
양희경
박규채
신윤정


11. 1. 3. 군인

임오군란을 주동한 군인들인 김춘영, 류복만, 정의길은 각각 박경순, 김영석, 임대호가 연기하였다.

11. 1. 4. 개화파

11. 1. 5. 민중


  • 天喜淵|천희연중국어 : 유퉁
  • 河正一|하정일중국어 : 나성균
  • 張淳奎|장순규중국어 : 이계인
  • 安弼周|안필주중국어 : 맹상훈
  • 설아(진령군을 모델로 한 개화 여성 – 유대치의 제자로 설정) : 권은아
  • 고영근(설아의 남편으로 설정) : 정한헌
  • 김춘영, 류복만, 정의길(임오군란을 주동한 군인들) : 박경순, 김영석, 임대호

11. 2. 청나라

11. 3. 일본

인물일본 이름한국 배우
모리야마 시게루모리야마 시게루(삼산무)사상기
오카모토 류노스케오카모토 류노스케(강본류지조)정성모
미우라 고로미우라 고로(삼포오루)신충식
이노우에 가오루이노우에 가오루(정상형)김용건
하나부사 요시모토하나부사 요시모토(화방의질)김호영
이토 히로부미이토 히로부미(이등박문)이묵원
구로다 키요타카구로다 키요타카(흑전청룡)김영인
다케조에 신이치로다케조에 신이치로(죽첨진일랑)장보규
구스노세 유키히코구스노세 유키히코(을미사변 가담자)전희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