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블유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블유는 2008년에 개봉한 미국의 전기 영화로,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삶을 다루고 있다. 영화는 부시의 어린 시절과 교육, 정치 경력,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9.11 테러,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부시 행정부의 주요 정책 결정과 관련된 인물들이 등장하며, 영화는 비평가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니 블레어 - 제3의 길
    제3의 길은 20세기 후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대안으로 등장한 사회민주주의 이념으로, 시장 경제 효율성과 사회 정의 조화를 추구하며 여러 국가에서 시도되었으나, 신자유주의와의 차별성 부재와 이념적 모호성 비판 속에 쇠퇴한 과거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 토니 블레어 - 블레어주의
    블레어주의는 토니 블레어가 제시한 중도좌파 정치 이념으로, 시장 경제 효율성과 사회 정의 조화를 추구하며 경제 성장으로 사회복지 재원을 확보하고 공공 서비스 개혁을 중시했으나, 사회적 불평등 심화와 공공 서비스 질 저하 비판, 이라크 전쟁 개입 실패 등으로 논쟁의 중심에 있다.
  • 사담 후세인 - 데블스 더블
    데블스 더블은 2011년 벨기에와 네덜란드가 합작한 영화로, 이라크 군인 라티프 야히아가 사담 후세인의 아들 우다이 후세인의 대역을 맡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도미닉 쿠퍼가 1인 2역을 맡았다.
  • 사담 후세인 - 페다인 사담
    페다인 사담은 우다이 후세인이 1995년 창설한 이라크의 준군사 조직으로, 사담 후세인 정권의 치안 유지와 반대 세력 탄압에 동원되었으며,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연합군에 저항했으나 바그다드 함락 이후 조직 기능을 상실하고 일부는 이라크 내전 과정에서 무장 단체에 합류했다.
  • 조지 W. 부시 - 토니 블레어
    토니 블레어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 총리를 지낸 노동당 정치인으로, '제3의 길' 노선을 추구하며 북아일랜드 평화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 전쟁 참전 결정으로 논란을 겪었고 퇴임 후 국제적인 활동과 자선 활동을 이어가며 경제적 성공과 사회 개혁, 이라크 전쟁 책임에 대한 복잡한 평가를 받고 있다.
  • 조지 W. 부시 - 2003년 이라크 침공
    2003년 이라크 침공은 2003년 미국, 영국 등의 연합군이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혹 등을 명분으로 침공하여 사담 후세인 정권을 무너뜨렸지만, 이후 이라크는 혼란과 종파 분쟁에 휩싸인 사건이다.
더블유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영화 정보
제목더블유
원제W.
감독올리버 스톤
제작자빌 블록
에릭 코펠로프
폴 핸슨
모리츠 보먼
스탠리 와이저
각본스탠리 와이저
출연조시 브롤린
엘리자베스 뱅크스
엘런 버스틴
제임스 크롬웰
리처드 드라이퍼스
스콧 글렌
토비 존스
스테이시 키치
브루스 맥길
탠디 뉴턴
제프리 라이트
음악폴 캔털론
촬영페돈 파파미하일 주니어
편집줄리 먼로
조 헛싱
알렉시스 차베즈
제작사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그룹
QED 인터내셔널
황제 영화
밀브룩 픽처스
온다 엔터테인먼트
배급사라이언스게이트
개봉일2008년 10월 16일 (오스틴 영화제)
2008년 10월 17일 (미국)
2009년 5월 16일 (일본)
상영 시간129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2510만 달러
흥행 수입2950만 달러

2. 어린 시절과 교육

조지 W. 부시예일 대학교에 입학하여 델타 카파 엡실론 형제회에 가입하며 대학 생활을 시작했다. 이 시기 그는 뉴저지주에서 소란을 피워 체포되는 등 순탄치 않은 시간을 보내기도 했으며, 아버지 조지 H. W. 부시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예일대 졸업 후 잠시 텍사스주에서 일했지만, 곧 그만두고 아버지의 도움을 받아 하버드 경영대학원에 진학했다. 그러나 하버드 재학 중에도 음주 문제로 가족과 갈등을 빚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그의 학창 시절은 아버지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여러 사건을 통해 부자 관계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2. 1. 예일 대학교와 델타 카파 엡실론

1966년, 조지 W. 부시예일 대학교에 입학하여 델타 카파 엡실론 형제회에 가입하였다. 형제회 가입을 위한 입문 의례에서, 부시는 가혹행위를 겪으면서도 선배 회원들의 이름과 별명을 성공적으로 기억해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가문이 지닌 정치적 유산에는 관심이 없다는 태도를 보였다.

예일대 재학 시절, 부시는 풋볼 경기 후 소란을 피워 뉴저지주에서 체포되기도 했다. 아버지 조지 H. W. 부시가 그를 석방시켜 주었으나, 이것이 마지막 도움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2. 2. 뉴저지 유치장 사건

1966년, 예일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조지 W. 부시는 풋볼 경기 후 난동을 피워 뉴저지주 유치장에 갇히는 사건을 일으킨다. 당시 부시는 부시 가문의 다른 이들과 달리 정치에 큰 뜻을 보이지 않았다. 아버지 조지 H. W. 부시가 직접 나서 그를 유치장에서 꺼내주었지만, 이것이 마지막 도움일 것이라며 다시는 이런 문제로 구제해주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2. 3. 하버드 경영대학원

예일 대학교 졸업 후 조지 W. 부시텍사스주 석유 산출 지대에서 일자리를 얻었지만 몇 주 만에 그만두었다. 1971년 아버지 조지 H. W. 부시의 도움으로 하버드 경영대학원에 입학했다. 과음한 뒤에는 차를 몰고 가족 소유지에 충돌시키고 아버지에게 주먹 싸움을 걸었으나, 동생 젭 부시가 말렸다.

3. 정치 경력

조지 W. 부시텍사스주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텍사스주의 주지사를 거쳐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며 미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의 정치 여정은 텍사스주 미국 하원 선거 출마부터 시작되었다.

3. 1. 초기 정치 경력

1977년, 부시는 텍사스주 제19선거구 하원 후보로 출마한다. 선거 운동 중 바비큐 파티에서 부시는 훗날 아내가 되는 로라 레인 웰치를 만난다. 토론 과정에서 민주당 상대 후보인 켄트 핸스는 부시가 진정한 텍사스인이 아니며, 텍사스 공과대학교 미성년 학생들에게 술을 제공하기 위해 선거 자금을 사용했다고 비판했다. 부시는 선거에서 패배하지만, 주 역사상 공화당 후보로는 가장 많은 표를 얻는 기록을 세운다.

3. 2. 텍사스 주지사

1986년, 조지 W. 부시는 거듭난 기독교인이 되어 술을 끊고 아버지 조지 H. W. 부시와의 관계를 회복했다. 아버지 부시는 그를 불러 1988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돕도록 했지만, 조지 W. 부시는 동생 젭 부시가 바빠서 자신에게 기회가 온 것이라고 의심했다. 아버지의 정치 고문이었던 칼 로브는 부시에게 이름을 알릴 잠재력이 있다고 격려하면서도, 아직 인생에서 이룬 것이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후 부시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팀 텍사스 레인저스의 경영 본부장으로 일했다. 그 사이 아버지 부시는 걸프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사담 후세인을 축출하지는 않았다. 아버지가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빌 클린턴에게 패배하자, 부시는 사담 후세인을 축출하지 않은 아버지의 결정이 패배의 원인이라고 비난했다.

1994년, 부시는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텍사스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다. 선거에서 승리하여 1995년 1월 17일 제46대 텍사스 주지사가 되었다.

3. 3.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

1994년 텍사스 주지사 선거에서 승리하여 1995년 1월 17일 텍사스 제46대 주지사가 된 조지 W. 부시2000년 대통령 선거에 성공적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4. 대통령 재임 (2001년 ~ 2009년)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조지 W. 부시2001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그의 임기는 2001년 발생한 9·11 테러로 인해 큰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 사건 이후 부시 행정부는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이란, 이라크, 북한 등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며 국제 사회에 대해 강경한 노선을 취하기 시작했다.[7][9]

테러와의 전쟁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이라크 전쟁으로 이어졌다. 특히 2003년 시작된 이라크 전쟁은 사담 후세인 정권의 대량살상무기(WMD) 보유 의혹을 명분으로 삼았으나, 전쟁 이후 대량살상무기가 발견되지 않아 전쟁의 정당성에 대한 국내외적인 논란을 크게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부시 행정부 시기 미국의 대외 정책과 국제 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4. 1. 9.11 테러와 테러와의 전쟁

2000년 대통령에 당선조지 W. 부시는 임기 중 2001년 9·11 테러라는 중대한 사건을 맞이하게 된다. 이 테러 이후, 부시 행정부는 이른바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국제 사회에 강경한 노선을 취하기 시작했다. 부시는 이란, 이라크,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며 이들 국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2002년, 부시 행정부는 사담 후세인 정권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이라크 침공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결정 과정에서 행정부 내 의견 충돌이 있었다. 국무장관 콜린 파월은 섣부른 침공이 이라크와 중동 전체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하며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나 부통령 딕 체니국방부 장관 도널드 럼즈펠드는 전쟁을 통해 중동 지역에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미국초강대국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며 침공을 강력하게 주장했고, 결국 이들의 의견이 관철되었다.

2003년 3월, 미국이라크를 침공했다. 초기 군사 작전은 성공적으로 보였고, 부시는 항공모함 위에서 사실상 전쟁 승리를 선언하는 '임무 완수 연설'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쟁 이후 이라크 내에서 대량살상무기는 발견되지 않았고, 침공의 핵심 명분이었던 대량살상무기 보유 의혹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부시 행정부에 큰 정치적 부담을 안겨주었다. 영화에서는 부시가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으로서 저지른 가장 큰 실수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하고 당황하는 모습으로 이러한 곤경을 묘사한다. 또한, 사담 후세인이 미국의 대량살상무기 보유 주장을 허세로 여겨 결국 자신의 정권과 목숨을 잃게 되었다는 해석도 제시된다.

4. 2. 이라크 전쟁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2001년 9·11 테러 발생 이후, 이란, 이라크,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했다.[7][9] 2002년에는 사담 후세인 정권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군사 행동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당시 부시 행정부 내에서는 이라크 침공을 두고 의견이 갈렸다. 국무장관이었던 콜린 파월은 섣부른 침공이 이라크와 중동 전체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나 부통령 딕 체니국방부 장관 도널드 럼즈펠드 등 강경파는 전쟁을 통해 중동 지역에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미국의 유일 초강대국 지위를 공고히 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전쟁을 밀어붙였다. 파월의 신중론은 결국 이들의 강경론에 묵살되었다.

결국 2003년 3월, 미국영국 등 일부 동맹국과 함께 이라크를 침공했다. 초기 군사 작전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었고, 부시 대통령은 항공모함 에이브러햄 링컨 함상에서 사실상 전쟁 승리를 선언하는 '임무 완수 연설'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쟁의 핵심 명분이었던 대량살상무기(WMD)는 이라크 내에서 발견되지 않았고, 이는 전쟁의 정당성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영화 속에서 부시는 WMD 탐색 책임이 하부 조직으로 넘어갔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는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부시는 사담 후세인이 미국의 경고를 허세로 여기고 자신의 정권과 목숨을 건 도박을 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으로서 저지른 가장 큰 실수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자 당황하며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는 장면은, 전쟁의 결과와 정당성 논란 앞에서 곤혹스러워하는 부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4. 3.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대통령에 당선된 부시는 임기 중인 2001년 9·11 테러를 겪었다. 이 테러는 이후 미국이 주도하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발발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테러 발생 이후, 부시 행정부는 이란, 이라크, 북한을 소위 악의 축으로 규정하며 강경한 대외 정책 노선을 천명했다.

5. 평가

리뷰 애그리게이터 로튼 토마토에서는 224건의 리뷰를 바탕으로 58%의 지지율과 10점 만점에 평균 6.00점의 평점을 받았다. 로튼 토마토의 비평가 합의는 "43대 미국 대통령에 대한 놀랍도록 공감적인 묘사인 ''W.''는 몇몇 부분에서는 매혹적이지만 전체적으로는 단지 초보적이다."라고 요약한다.[16][32] 메타크리틱에서는 36명의 비평가 리뷰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56점의 가중 평균 점수를 부여하여 "혼합되거나 평균적인 리뷰"임을 나타냈다.[17][33]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를 "매혹적"이라고 평가하며 모든 배우들의 연기를 칭찬했고, 특히 딕 체니를 연기한 리처드 드레이퍼스에 대해 "대역이라기보다는 구현"이라고 언급했다.[18] 반면, ''워싱턴 포스트''의 앤 혼데이(Ann Hornaday)는 영화를 "서두르고, 몹시 고르지 못하며, 음조가 뒤섞인 캐리커처"라고 비판했다.[19] 제임스 베라디넬리는 영화를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풍자 코너와 부정적으로 비교하며 배우들의 연기가 티나 페이의 사라 페일린 모사만큼 정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20]

부시 행정부는 이 영화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영화에 등장하는 전 플로리다주지사 젭 부시는 영화 속 형제간 경쟁 묘사를 "고품질, 순수한 허튼 소리"라고 일축하며, 감독 올리버 스톤이 가족 관계를 제대로 그리려면 실제 부시 가문과 대화했어야 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21] 한편, ''슬레이트''의 티모시 노아는 영화가 부시에게 너무 관대하다고 주장하며, 부시가 텍사스 주지사 시절 사형수 칼라 페이 터커를 조롱했다는 의혹 등 실제 사건들을 생략했다고 지적했다.[22] 배우 조슈 브롤린은 2010년 인터뷰에서 부시 전 대통령이 실제로 영화를 보았으며,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을 통해 영화 사본을 얻었다고 전했다. 브롤린에 따르면 부시는 영화를 "매우 좋아했고", "슬픈 순간들이 있었다고 생각"했다고 한다.[23]

이 영화는 일부 평론가들의 2008년 최고의 영화 목록에 포함되었다. ''뉴욕 데일리 뉴스''의 조 뉴마이어는 이 영화를 2008년 최고의 영화 8위로 선정했으며,[24] ''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이버트는 순위 없이 자신의 20편 목록에 이 영화를 포함시켰다.[24]

영화는 제작비 2510만달러를 들여 북미에서 2550만달러, 해외에서 34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1] 개봉 첫 주에는 2,030개 극장에서 1050만달러를 벌어들이며 박스오피스 4위를 기록했다.[25]

5. 1. 비판

부시 연구가인 Jacob Weisberg|제이콥 와이스버그eng(Jacob Weisberg)는 영화 내용에 대해 두 가지 오류를 지적했다.

  • 첫째, 영화 속에서 부시가 체니 부통령의 의견에 반대하며 "대통령은 나다. 결정하는 것은 나다"라고 주장하는 장면은 실제와 다르다고 본다. 와이스버그에 따르면, 체니 부통령은 부시를 직접적으로 화나게 만들기보다는, 부시가 스스로 결정했다고 생각하도록 교묘하게 유도하는 방식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 둘째, 부시가 거친 파도가 치는 벼랑에 서서 "어둠이 있다. 나를 계속 쫓는 어둠이"라고 말하는 장면 역시 실제 부시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한다. 실제 부시는 이러한 시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인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단, 일본 개봉판에서는 해당 장면이 삭제되었다.)

6. 출연진


캐스팅 관련 정보

  • 조시 브롤린(조지 W. 부시 역): 감독 올리버 스톤은 처음에는 "조지 부시와 매우 비슷한 얼굴"을 가졌다고 생각한 해리슨 포드를 염두에 두었다.[3] 이후 크리스찬 베일을 캐스팅했으나, 베일은 몇 달간 배역 연구를 했음에도 보철 분장 테스트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여 하차했다. 스톤은 "크리스찬은 매우 메소드 배우여서 분장이 그에게 효과가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3] (베일은 훗날 비슷한 주제의 영화 ''바이스''(2018)에서 딕 체니 역을 맡았다.) 결국 브롤린이 "마지막 순간"에 캐스팅되었다.[3] 브롤린은 부시 특유의 목소리를 익히기 위해 텍사스 호텔에 전화해 프런트 데스크 직원들과 대화하며 그들의 억양을 들었고, 부시가 걷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시청하며 연구했다. 그는 "그의 30대에 걷는 모습, 외국에서 걷는 모습, 9.11 테러 전후로 걷는 모습 등 시간이 지나면서 변한다. 사람들은 몸으로 감정을 억누른다. 그들은 그것을 위조할 수 없다. 특히 그"라고 말했다.[7]
  • 엘리자베스 뱅크스(로라 부시 역): 뱅크스는 미국의 영부인이었던 로라 부시를 단순히 흉내 내기보다는 "저는 그녀의 목소리, 침착함, 그리고 헤어스타일을 존중하고 싶습니다"라고 밝혔다.[7]
  • 리처드 드레이퍼스(딕 체니 역): 스톤 감독은 원래 로버트 듀발에게 체니 역을 제안했으나, 듀발은 이를 거절했다.[4] 드레이퍼스와 스톤은 촬영 중에 사이가 좋지 않았고, 드레이퍼스는 영화 홍보 투어 동안 감독을 혹독하게 비판했는데, 스톤이 투어가 시작되기 직전에 그를 공격했다고 언급했다. 드레이퍼스는 또한 영화 평론가 네이선 라빈과의 인터뷰에서 전 부통령에게 공감했으며 그를 "자신에게 충실하다"고 칭했고, ''W.''의 진짜 악당은 부시 행정부의 행동에 분노로 반응하지 않았던 미국 대중이라고 말했다.
  • 이안 그루퍼드(토니 블레어 역): 그루퍼드가 연기한 장면의 대부분이 편집 과정에서 삭제되었다. 삭제된 장면에는 블레어가 가톨릭으로 개종하려는 의도와 이라크 침공 전에 유엔영국, 미국 동맹국들에게 더 많은 시간과 참여를 주고 싶어하는 모습 등이 묘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 (2008) https://www.boxoffic[...] 2011-07-12
[2] 뉴스 Lionsgate books Oliver Stone's ''W'' https://variety.com/[...] 2008-05-08
[3] 뉴스 What Do Batman And George W. Bush Have In Common? Oliver Stone Explains ... http://moviesblog.mt[...] 2008-10-15
[4] 간행물 Oliver Stone's George W. Bush biopic coming together http://hollywoodinsi[...] 2008-03-26
[5] 웹사이트 Bush and Earle Hudd – Bible Study Group http://www.wthefilm.[...] Lionsgate 2010-05-31
[6] 서적 A Charge to Keep: My Journey to the White House HarperCollins
[7] 간행물 First Look: ''W.'', Oliver Stone's Bush Biopic https://www.ew.com/e[...] 2008-05-07
[8] 뉴스 Bush biographers mixed on script for Oliver Stone's ''W.'' https://www.hollywoo[...] 2008-04-07
[9] 뉴스 Oliver Stone votes for 'Bush' project https://variety.com/[...] 2008-01-20
[10] 뉴스 A Film on Bush Finds Friends Abroad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08-10-11
[11] 뉴스 Interview: Oliver Stone http://www.screendai[...] 2008-05-30
[12] 뉴스 Oliver Stone casts parents of ''W'' https://variety.com/[...] 2008-03-26
[13] 뉴스 Lionsgate books Oliver Stone's ''W.'' https://variety.com/[...] 2008-05-08
[14] 저널 Brolin, Wright arrested in pub fight https://variety.com/[...] 2008-07-13
[15] 뉴스 Film Has A Few Words About Our President http://www.nypost.co[...] 2008-05-13
[16] 웹사이트 W. (2008)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0-11-09
[17] 웹사이트 W.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9-07-15
[18] 뉴스 W. http://rogerebert.su[...] rogerebert.com 2008-10-15
[19] 뉴스 'W': Mission Not Accomplished https://www.washingt[...] 2008-10-17
[20] 뉴스 W http://www.reelviews[...] 2017-07-09
[21] 뉴스 Jeb Bush calls 'W' movie 'Hooey' http://www.washingto[...] 2008-10-17
[22] 뉴스 Dubya, Stoned. http://www.slate.com[...] 2008-10-17
[23] 뉴스 Screen Test - Josh Brolin http://video.nytimes[...]
[24] 웹사이트 Metacritic: 2008 Film Critic Top Ten List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09-01-11
[25] 웹사이트 Weekend Box Office Results from 10/17 to 10/19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08-10-20
[26] 웹사이트 W. (2008)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8-29
[27] 문서 부ッシュの靴投げ事件
[28] 뉴스 First Look: ''W.'', Oliver Stone's Bush Biopic http://www.ew.com/ew[...] 2008-05-07
[29] 뉴스 What Do Batman And George W. Bush Have In Common? Oliver Stone Explains… http://moviesblog.mt[...] 2008-10-15
[30] 저널 Brolin, Wright arrested in pub fight http://www.variety.c[...] 2008-07-13
[31] 뉴스 Lionsgate books Oliver Stone's ''W'' http://www.variety.c[...] Variety 2008-05-08
[32] 웹사이트 W. (2008)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2-07-03
[33] 웹사이트 W.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22-07-03
[34] 문서 개봉 당시 활동명인 탠디 뉴턴으로 크레디트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