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슬라브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슬라브족은 슬라브족의 분파 중 하나로, 드니프로강 유역에 정착하여 형성되었다. 이들은 튀르크족의 지배를 받다가 키예프 루스 건국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했으며, 키예프 루스 붕괴 이후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으로 분화되었다. 동슬라브족은 주로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며,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 등이 주요 민족이다. 종교는 주로 정교회를 믿으며, 문화는 동방정교회를 기반으로 한다. 유전적으로 서슬라브족과 유사하며, 북러시아인은 발트족, 게르만족 등과 유전적 연관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예프 루스 - 류리크
    류리크는 9세기경 노브고로드 루스를 건국한 인물로, 슬라브족의 요청으로 바랑인 부족을 이끌고 노브고로드를 다스렸으며, 그의 후손들은 류리크 왕조를 이루어 키예프 루스와 러시아 차르국을 통치했다는 《원초 연대기》의 기록이 전해진다.
  • 키예프 루스 -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는 9세기에서 10세기에 걸쳐 키예프 루스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인 과정으로, 블라디미르 1세에 의해 988년 공식적인 기독교 국교화로 절정에 달해 키예프 루스의 문화, 정치, 종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동슬라브족 - 루신인
    카르파티아 산맥에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루신인은 역사적으로 루테니아인, 카르파토-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키예프 루스에서 유래한 "루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주를 포함한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에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인과의 관계 및 루신어의 언어적 지위 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동슬라브족 - 벨라루스인
    벨라루스에 주로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벨라루스인은 역사적으로 백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인접 국가와 미국, 캐나다 등지에 거주하고,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키예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을 거치며 형성된 역사를 가지고, 슬라브 문화의 영향을 받은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벨라루스의 민족 - 루스인
    루스인은 8세기부터 13세기까지 동유럽에서 활동한 다민족 집단으로, 스칸디나비아 출신 바이킹이 중심이 되어 키예프 루스를 건설하고 동슬라브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9세기 이후 슬라브화 과정을 거쳤다는 설이 유력하며, 이들의 기원과 역할은 현재까지 역사학계의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 벨라루스의 민족 - 몰도바인
    몰도바인은 몰다비아 공국 주민을 지칭하던 용어에서 러시아 제국 시기 민족적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다양한 정치적 요인에 의해 정체성이 변화되어 왔고, 현재 몰도바 공화국에서는 루마니아와의 관계 및 민족적 일체성 여부에 대한 논쟁이 주요 정치적 쟁점이다.
동슬라브족
개요
동슬라브족 유럽
동슬라브족이 주로 거주하는 국가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인구2억 1천만 명 이상
거주 지역주요 거주지: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소수 거주지: 발트해 연안 국가, 중앙아시아, 캅카스, 기타 지역
언어동슬라브어군: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루신어, 우크라이나어
종교대다수: 동방 정교회
소수: 로마 가톨릭교회 (벨라루스인 중 소수), 동방 가톨릭교회 (우크라이나인벨라루스인 중 소수)
관련 민족다른 슬라브족 (서슬라브족, 남슬라브족)
러시아 역사
7세기–13세기볼가 불가르
7세기–10세기하자르
9세기–12세기키예프 루시
12세기–14세기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
12세기–15세기노브고로드 공국
13세기–15세기타타르의 멍에
1340년–1547년모스크바 대공국
1547년–1721년러시아 차르국
1721년–1917년러시아 제국
1917년러시아 임시 정부 / 러시아 공화국
1917년–1991년임시 전러시아 정부 / 러시아국 (1918년-1920년)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1991년–현재러시아 연방
참고러시아사 (1991년-현재)
벨라루스 역사
초기동슬라브인
중세키예프 루시
공국폴로츠크 공국 / 투로프 공국
대공국리투아니아 대공국
공화국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제국러시아 제국 (북서 지역)
공화국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소비에트 공화국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19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리투아니아-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현재벨라루스 공화국

2. 역사

슬라브족이 동/서/남으로 분화되면서 동슬라브족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드니프로강 동쪽에 정착하여 키예프 루스를 건국하고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초기에는 중앙아시아에서 온 튀르크족의 지배를 받기도 했으나, 키예프 루스 건국과 함께 이들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8~9세기 동슬라브족


키예프 루스는 바랑기아인이 노브고로드를 거쳐 키예프로 수도를 옮기면서 건국되었다. 류리크 왕조는 키예프를 거점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상대로 원정을 벌이기도 했다. 처음에는 바랑기아인이 지배 계급이었지만, 10세기 말에는 슬라브화되었다. 스뱌토슬라프 1세는 슬라브풍 이름을 가진 최초의 루스 군주였다.

『루스 세례』(키예프 대공국을 기독교화한 블라디미르 1세에 의한 키예프 시민에 대한 세례), 알렉세이 키브셴코 그림 (1880년)


13세기 몽골 침입으로 키예프 루스가 붕괴된 후, 동슬라브족은 여러 국가와 세력권으로 분열되었다. 루테니아(루스 서부)의 폴라츠크 공국(벨라루스 지역), 갈리치아-볼히니아, 체르니히우 공국(우크라이나 지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았다. 오늘날의 러시아에 해당하는 지역은 킵차크 칸국의 지배를 받다가 모스크바 대공국을 중심으로 독립하여 러시아 제국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키예프 루스에서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로 국가 정체성이 분리되었고, 동슬라브족은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으로 분화되었다.[14][15]

2. 1. 슬라브족의 기원과 분화

슬라브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하지만, 대체로 동유럽 평원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 서기 600년경 슬라브족은 언어적으로 남슬라브족, 서슬라브족, 동슬라브족으로 분화되었다.[7] 동슬라브족은 숲을 불태워 개간하고 경작하다가 몇 년 후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화전 농업 방식을 사용했다. 이러한 농업 방식은 잦은 이동을 필요로 했고, 동슬라브족이 동유럽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된 이유를 설명해준다.

동슬라브족은 두 갈래로 동유럽에 진출했다. 한 무리는 현재의 우크라이나벨라루스 지역의 드네프르강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여 볼가강 계곡과 모스크바 동쪽, 그리고 드네스트르강남부크강 유역까지 퍼져나갔다. 다른 집단은 북동쪽으로 이동하여 노브고로드를 건설하고 트베르주와 벨로제르 지역에 정착했다.

원초 연대기에는 9세기까지 발트해에서 흑해에 걸쳐 정착한 12개의 동슬라브 부족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폴랴네족, 데레블랴네족, 드레고비치족, 라디미치족, 뱌티치족, 크리비치족, 슬로베네족, 두레비족(후에 볼히냐네족 및 부잔족으로 알려짐), 백 크로아티아족, 세베리안족, 울리치족, 티베르치족이다.

2. 2. 동슬라브족의 이동과 정착

동슬라브족은 슬라브족이 동, 서, 남으로 분화되면서 형성된 민족 중 하나이다. 이들은 드니프로강 유역에 정착하여 화전 농업 방식을 통해 동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화전 농업은 숲을 불태워 경작지를 만들고, 몇 년 후 땅이 척박해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농업 방식은 동슬라브족의 빠른 확산에 기여했다.[7]

동슬라브족은 크게 두 갈래로 이동했다. 한 무리는 현재의 우크라이나벨라루스 지역인 드네프르강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여, 북부 볼가강 계곡과 드네스트르강, 남부 부크강 유역까지 퍼져나갔다. 다른 한 무리는 북동쪽으로 이동하여 루스 카간국바랑기아인과 만나 노브고로드를 건설하고, 트베르주와 벨로제르 지역에 정착했다. 이들은 로스토프 근처의 메르야족 영토에 도달하여 드네프르강에 정착한 슬라브족 이주민 집단과 연결되었다.

동슬라브족의 이동과 정착 과정에서 사르마티아인, 훈족, 알란족, 아바르족, 불가르족, 마자르족 등 다양한 민족과의 접촉이 이루어졌다.[9] 이들 중 일부는 슬라브족을 정복하기도 했지만, 슬라브족 영토에 큰 흔적을 남기지는 않았다.

2. 3. 키예프 루스 시대 이전

동슬라브족은 슬라브족이 동, 서, 남으로 분화될 때 형성된 민족 중 하나이다. 이들은 드니프로강 동쪽에 정착했으며, 초기에는 중앙아시아에서 온 튀르크족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나중에 키예프 루스를 건국하면서 튀르크족의 지배에서 벗어났고, 이 시기에 동슬라브족의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슬라브족의 원향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동슬라브족은 사르마티아인, 훈족, 알란족, 아바르족, 불가르족, 마자르족 등 폰토스 스텝을 통해 서쪽으로 이동한 여러 민족 집단들과 접촉했다. 이들 중 일부는 슬라브족을 정복하기도 했지만, 슬라브족 영토에 큰 흔적을 남기지는 않았다.

중세 초에 동슬라브족은 농부, 양봉가, 사냥꾼, 어부, 목축업자, 덫 사냥꾼으로 생활했다. 8세기까지 동유럽 평원에서 지배적인 민족 집단이 되었다. 이들은 넓은 숲을 활용하는 "화전 농업"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숲의 일부를 불태워 개간하고 경작한 후 몇 년 뒤 이동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농업 방식은 잦은 이동을 필요로 했고, 동슬라브족이 동유럽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된 이유를 설명해준다.[7]

동슬라브족은 두 갈래로 동유럽에 진출했다. 한 무리는 현재의 우크라이나벨라루스에 있는 드네프르강을 따라 북쪽으로 정착했고, 다른 집단은 북동쪽으로 이동하여 루스 카간국바랑기아인을 만나 노브고로드를 중요한 지역 중심지로 건설했다.

원초 연대기에 동슬라브인에 대한 기록이 859년경부터 시작되기 전까지는, 문자가 없었고 변두리 지역에 거주했기 때문에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전 시기의 정보는 고고학적 발굴, 외국인의 기록, 슬라브 제어에 대한 언어학적 비교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11세기 및 12세기에 편찬된 원초 연대기는 9세기까지 발트해에서 흑해에 걸쳐 정착한 12개의 슬라브 부족을 기록하고 있다. 이들은 폴랴네족, 데레블랴네족, 드레고비치족, 라디미치족, 뱌티치족, 크리비치족, 슬로베네족, 두레비족 (후에 볼히냐네족 및 부잔족으로 알려짐), 백 크로아티아족, 세베리안족, 울리치족, 티베르치족이다.

남쪽의 동슬라브족은 8세기부터 하자르 카간국에 조공을 바쳤다. 하자르는 튀르크어족의 하자르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8세기 후반 또는 9세기에 지배 계급이 유대교로 개종하고 남볼가강 유역 및 코카서스 지방을 지배했다. 거의 같은 시기에 북쪽의 일메니 슬라브족과 크리비치족은 루스 카간국바랑기아인에게 지배받았다. 당시 동슬라브인의 중심 도시는 노브고로드, 이즈보르스크, 폴로츠크, 그네즈도보, 사르스코예 고로디셰, 키예프 등이었다.

2. 4. 키예프 루스 시대

슬라브족이 동/서/남으로 갈라졌을 때 나온 민족 중 하나인 동슬라브족은 드니프로강에 정착했다. 동슬라브인들은 한동안 중앙아시아에서 이주해 온 튀르크족의 지배를 받았으나, 키예프 루스를 건국하면서 튀르크족의 지배에서 벗어났으며 이 시기부터 동슬라브족의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Ки́евская Русь|키옙스카야 루시ru는 슬라브인의 초청으로 바랴그가 노브고로드를 거쳐 수도를 키예프로 옮기면서 건국되었다. 이에 관해서는 바랴그가 초청된 것이 아니라 침략하여 키예프의 현지 공국(아마도 폴란족 공국)을 무너뜨리고 정권을 탈취한 후 권력의 정당화를 위해 외래 왕 초빙설을 도입하여 연대기를 작성했다는 설도 있다. 바랴그인의 군주와 동슬라브인의 귀족·국민으로 구성된 류리크 왕조키예프 대공국은 키예프를 거점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상대로 몇 차례 원정을 벌였다.

처음에는 바랴그가 슬라브인의 지배 계급이었지만, 그들은 10세기 말까지 급속하게 슬라브화되었다. 스뱌토슬라프 1세(재위 945년 - 972년)는 처음으로 슬라브풍의 이름을 가진 루스의 군주였으며, 이때쯤에는 슬라브화가 상당한 정도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건국자는 바랴그를 구성하는 루스족이지만, 슬라브계 루스인과는 다르며, 노르만계였던 자들이 슬라브인과 혼혈되어 동화된 것으로 보이지만, 정설로 굳어진 것은 아니다).[1]

2. 5. 키예프 루스 붕괴 이후

13세기 몽골의 침입으로 키예프 루스가 붕괴된 이후, 동슬라브족은 여러 국가와 세력권으로 분열되었다.[14] 키예프 루스에 속해있던 폴라츠크 공국(벨라루스 지역), 갈리치아-볼히니아, 체르니히우 공국(우크라이나 지역)은 14세기까지 킵차크 칸국의 지배를 받다가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았다.[15] 노브고로드 공화국, 프스코프 공화국, 랴잔 대공국, 블라디미르 대공국, 트베리 대공국, 모스크바 대공국, 스몰렌스크 대공국 등 오늘날의 러시아에 해당하는 지역은 킵차크 칸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모스크바 대공국을 중심으로 몽골의 지배에서 독립하여 러시아 제국으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키예프 루스에서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로 국가 정체성이 분리되면서 동슬라브족은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으로 정체성이 갈라졌다. 키예프 함락은 루스인 사이에서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러시아인으로의 점진적인 언어적, 민족적 분화를 가속화시켰다.[14] 루테니아인과 이후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의 정체성이 발달한 남서부 및 서부 루스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 (1385–1569)의 영향을 받았으며,[15] 러시아 민족 정체성은 모스크바의 북동부와 노브고로드 북부에서 발전했다.

3. 동슬라브족의 분화

슬라브족이 동, 서, 남으로 갈라졌을 때 동슬라브족이 나왔다. 이들은 동쪽으로 드니프로강에 정착했다. 동슬라브인들은 한동안 중앙아시아에서 이주해 온 튀르크족의 지배를 받았으나, 키예프 루스를 건국하면서 튀르크족의 지배에서 벗어났으며 이 시기부터 동슬라브족의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키예프 루스가 몽골에 의해 붕괴된 이후, 키예프 루스에 속해있던 각 위성공국 가운데 루테니아(루스 서부)의 폴라츠크 공국(벨라루스 지역), 갈리치아-볼히니아, 체르니히우 공국(우크라이나 지역)은 14세기까지 킵차크 칸국의 지배를 받다가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았다. 노브고로드 공화국, 프스코프 공화국, 랴잔 대공국, 블라디미르 대공국, 트베리 대공국, 모스크바 대공국, 스몰렌스크 대공국 등 오늘날의 러시아에 해당하는 지역은 킵차크 칸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나중에 모스크바 대공국을 중심으로 몽골의 지배에서 독립하여 러시아 제국으로 발전하였다.

이렇듯 키예프 루스에서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로 국가 정체성이 분리되면서 동슬라브족은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으로 정체성이 갈라지게 된다.[14] 11세기 키예프 루스의 정치적 분열은 상당한 인구 이동과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재편성을 초래했고, 새로운 민족들이 뚜렷하게 등장했다. 키예프 함락은 루스인 사이에서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러시아인으로의 점진적인 언어적, 민족적 분화를 가속화시켰다.[14] 루테니아인과 이후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의 정체성이 발달한 남서부 및 서부 루스는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폴란드 왕국 (1385–1569)의 영향을 받았으며,[15] 러시아 민족 정체성은 모스크바 북동부와 노브고로드 북부에서 발전했다.


  • 코사크
  • * 자포로제 코사크
  • ** 타브리아 자포로제
  • ** 흑해 자포로제
  • 포들라슈크
  • 폴레슈크
  • 루신
  • * 보이코
  • * 후출
  • * 렘코
  • * 판노니아 루신

3. 1. 러시아인

니콜라이 라치코프의 민속 의상을 입은 어린 우크라이나 소녀

3. 2. 벨라루스인



벨라루스인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으면서 러시아인과 구분되는 정체성을 형성하였으며, 벨라루스어와 벨라루스 문화를 발전시켰다.

3. 3. 우크라이나인


  • 우크라이나인
  • * 코사크
  • * 갈리치아인
  • * 포돌리안
  • * 슬로보잔인
  • * 자포로제 코사크

4. 현대 동슬라브족



현대 동슬라브족은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을 주축으로 여러 민족 및 하위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등 독립 국가를 이루어 각자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며 살아가고 있다.

4. 1. 주요 민족



현대 동슬라브족 및 민족/하위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

  • 벨라루스인
  • * 리트빈
  • 코사크
  • * 자포로제 코사크
  • ** 타브리아 자포로제
  • ** 흑해 자포로제
  • 포들라슈크
  • 폴레슈크
  • 러시아인
  • * 알바진인
  • * 두호보르
  • * 고륜
  • * 캄차달
  • * 카멘시크
  • * 리포반
  • * 폴레흐
  • * 포모르
  • * 세메이스키
  • * 시베리아인
  • * 스타로질리
  • 루신
  • * 보이코
  • * 후출
  • * 렘코
  • * 판노니아 루신
  • 우크라이나인
  • * 코사크
  • * 갈리치아인
  • * 포돌리안
  • * 슬로보잔인
  • * 자포로제 코사크

4. 2. 소수 민족 및 집단



현대 동슬라브족 및 민족/하위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

  • 벨라루스인
  • * 리트빈
  • 코사크
  • * 자포로제 코사크
  • ** 타브리아 자포로제
  • ** 흑해 자포로제
  • 포들라슈크
  • 폴레슈크
  • 러시아인
  • * 알바진인
  • * 두호보르
  • * 고륜
  • * 캄차달
  • * 카멘시크
  • * 리포반
  • * 폴레흐
  • * 포모르
  • * 세메이스키
  • * 시베리아인
  • * 스타로질리
  • 루신
  • * 보이코
  • * 후출
  • * 렘코
  • * 판노니아 루신
  • 우크라이나인
  • * 코사크
  • * 갈리치아인
  • * 포돌리안
  • * 슬로보잔인
  • * 자포로제 코사크

5. 종교

정교회를 주로 믿으며, 우크라이나인벨라루스인의 일부는 동방 가톨릭교회라는 정교회와 가톨릭이 혼합된 종교를 믿기도 한다.

6. 문화

동방정교회를 기반으로 동슬라브 문화가 형성되었다.

7. 유전적 특징

Y 염색체, mtDNA상염색체 마커 CCR5de132에 따르면, 동슬라브족과 서슬라브족은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이는 언어의 근접성과 일치한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르는 인접한 핀-우그리아족, 튀르크족, 북캅카스족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유전적 동질성은 슬라브족의 광범위한 분포, 특히 러시아인들에게는 다소 특이하다.[16][17] 이들은 함께 "''동유럽''" 유전자 클러스터의 기초를 형성하며, 여기에는 발트족, 일부 발칸 반도 민족도 포함된다. 유전 연구에 따르면 동슬라브족의 게놈은 동질적이며,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튀르크족 또는 몽골족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슬라브족과 서슬라브족 중 북러시아인만이 발트족, 게르만 및 발트 핀족과 함께 다른 "''북유럽''" 유전자 클러스터에 속한다(북러시아 인구는 발트족과 매우 유사하다).

참조

[1] 웹사이트 East Slavic languag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 서적 Borderlands of Western Civilization Ronald Press Company
[3] 서적 Slavs https://bigenc.ru/et[...] [[Great Russian Encyclopedia]] (in 35 vol.) Vol. 30. 2022-08-22
[4] 서적 Slavic languages https://bigenc.ru/li[...] [[Great Russian Encyclopedia]] (in 35 vol.) Vol. 30. 2022-08-22
[5] 서적 The Origins of the Slavic Nations: Premodern Identities in Russia, Ukraine, and Belarus http://asset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4-27
[6] 서적 Penguin Historical Atlas of Russia Penguin
[7]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Penguin Books
[8] 문서 Birth of the Slavs http://www.krotov.in[...] 2001
[9] 서적 Культура псковских длинных курганов // Славяне в раннем средневековье http://lib.crimea.ed[...] Научно-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е благотворительное общество "Фонд археологии"
[10] 간행물 Political centers of the Eastern Slavs and Kievan Rus: problems of evolution http://www.teacher.s[...] 1993
[11] 웹사이트 The tale of bygone years http://www.pushkinsk[...] 2015-11-16
[1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hist.vsu.[...] 2008-11-01
[13] 웹사이트 Военное дело славян http://velizariy.kie[...] 2009-01-31
[14] 서적 A History of Russia https://www.amazon.c[...]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A History of Ukraine: A Land and Its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6] 논문 Two sources of the Russian patrilineal heritage in their Eurasian context https://pubmed.ncbi.[...] 2008
[17] 뉴스 Поскреби русского — найдёшь поляка https://www.gazeta.r[...] Газета.Ru 2024-04-23
[18] 서적 Penguin Historical Atlas of Rus Penguin
[19] 웹사이트 Slav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