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글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글란은 "논리 언어"를 연구하기 위해 제임스 쿡 브라운 박사가 설계한 인공 언어이다. 사피어-워프 가설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더 논리적으로 사고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며, 술어 논리를 문법의 기초로 삼는다. 문화적 중립성과 형이상학적 간결성을 추구하며, 규칙적이고 모호하지 않은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었다. 로글란은 26개의 문자로 구성된 알파벳과 세 종류의 단어(술어, 구조어, 이름)를 사용하며, 문법은 술어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언어는 SF 소설, 롤플레잉 게임 등 대중문화에도 등장하며, 관련 자료는 시카고 공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5년 도입 - 소아마비 백신
    소아마비 백신은 폴리오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형성하여 소아마비를 예방하는 백신으로, 주사형 불활성화 백신(IPV)과 경구 생백신(OPV)으로 나뉘며, 국제적인 퇴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 1955년 도입 - 마션 맨헌터
    마션 맨헌터는 DC 코믹스에 등장하는 슈퍼히어로로, 화성에서 온 녹색 피부의 외계인이며 초인적인 능력과 불에 약한 특징을 가지고 정의 연맹의 창립 멤버로 활동한다.
  • 고립어 (언어유형론)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고립어 (언어유형론)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분석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분석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로글란
기본 정보
언어 종류인공어
목적사피어-워프 가설 및 기타 언어학 연구 테스트를 위한 공학 언어
계통공학 언어
하위 분류논리적 언어
후천적 요소영어, 중국어 (베이징어), 힌디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일본어, 독일어
창시자제임스 쿡 브라운
창작 시기1955년
언어 코드
ISO 예외historical
IETFart-x-loglan 로그란

2. 목표

로글란은 사피어-워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이다.[6] 이 가설에 따르면, "논리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더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로글란의 문법은 술어 논리에 기반하며, 사람들이 이 언어로 생각하고 대화할 수 있을 만큼 복잡하면서도 가르치고 관리하기는 쉽도록 설계되었다.

브라운은 로글란이 문화적으로 중립적이고, 형이상학적으로 간결하게, 즉 필수적인 범주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도록 의도했다. 또한 로글란은 완전히 규칙적이고 모호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각 문장은 단 하나의 방식으로만 해석될 수 있다.

3. 알파벳과 발음

로글란 알파벳은 1975년 버전[2]과 1989년 최종 버전[3] 두 가지로 나뉜다. 초기 버전은 21개의 글자와 음소를 가졌지만, 최종 버전에서는 5개의 음소가 추가되었다.

로글란 자음 음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구개치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무성음
유성음
마찰음무성음rowspan="2" |
유성음
접근음
R 소리



로글란 모음 음소
col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폐쇄비원순 모음
원순 모음
중모음
개모음colspan="3" |


3. 1. 로글란 알파벳

로글란의 알파벳에는 두 가지 역사적 버전이 있다.[2] 1989년의 최종 버전[3]에서는 26개의 글자와 그에 해당하는 음소가 있다. 문자 H (/h/)는 대중의 요구에 따라 1977년에 알파벳에 추가되었고, 문자 Y (/ə/)는 복잡한 단어의 용어 사이의 일종의 하이픈 역할을 하기 위해 1982년에 추가되었다. 문자 Q (/θ/), W (/y/) 및 X (/x/)는 린네 생물학 어휘의 통합을 허용하기 위해 1986년에 추가되었으며, 많은 차용 이름에 더 정확한 발음을 제공하는 데 유용했다.

로글란 알파벳
대문자ABCDEFGHIJKLMNOPQRSTUVWXYZ
소문자abcdefghijklmnopqrstuvwxyz
IPA 음소abʃdɛfghi / jʒklmnopθɹstu / wvyxəz


  • 문자 I와 U는 모음 앞에 오면 각각 IPA 소리 /j/와 /w/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ie''' /je/ (''무엇?''), '''ue''' /we/ (''뭐라고!'' 놀라움이나 관심의 표현으로)와 같다.

3. 2. 로글란 자음 음소

로글란 자음 음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구개치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
파열음무성음PTK
유성음BDG
마찰음무성음FQSCX or by some speakersH
유성음VZJ
접근음ULI
R 소리R


3. 3. 로글란 모음 음소

로글란 모음 음소
colspan="2" |전설중설후설
폐쇄비원순I
원순WU
중모음EYO
개모음A


  • 문자 I와 U는 모음 앞에 오면 각각 IPA 소리 /j/와 /w/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ie''' /je/ (''"무엇?"''), '''ue''' /we/ (''"뭐라고!"'' 놀라움이나 관심의 표현으로).[2],[3]

3. 4. 문자 I와 U의 특수 발음

문자 I와 U는 모음 앞에 오면 각각 IPA 소리 /j/와 /w/를 나타낸다.[2] 예를 들어, '''ie''' /je/ (''"무엇?"''), '''ue''' /we/ (''"뭐라고!"'' 놀라움이나 관심의 표현으로)와 같다.

4. 문법

로글란에는 ''술어''(또는 ''내용어''), ''구조어''(또는 ''작은 단어''), ''이름''의 세 가지 유형의 단어가 있다. 단어의 대부분은 의미를 전달하는 술어이다. 구조어는 술어를 수정하거나 술어가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어로, 영어접속사와 전치사와 같은 역할을 한다.

단어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술어는 항상 두 음절 이상으로 구성되며, 마지막 음절은 CV 형태이고 다른 음절은 CVC 또는 CCV 형태를 띤다. 구조어는 항상 한 음절 이상으로 구성되며, 각 음절은 V, VV, CV, 또는 CVV의 네 가지 형태 중 하나를 띤다. 이름은 항상 자음으로 끝나는데, 이는 술어와 구조어가 항상 모음으로 끝나기 때문에 이름이 다른 단어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로글란의 이름은 로글란 음운 규칙에 따라 표기되므로, 만약 이름이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경우, 로글란 표기는 해당 언어의 표기와 다를 수 있다. 만약 원어에서 이름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관례적으로 "s"를 추가하여 로글란 이름을 만든다. 예를 들어, 영어 이름 "Mary"는 로글란에서 "Meris"(Mary|메리스영어)로 표기된다.

4. 1. 술어 (Predicates)

로글란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구분하지 않는다. 술어는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이들 중 어떤 것으로든 작용할 수 있다. 각 술어는 인수를 위한 고정된 위치를 가진 자체적인 인수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vedma''는 "팔다"라는 단어이며 판매자, 판매된 품목, 구매자 및 가격의 네 가지 인수를 순서대로 받는다. 술어가 동사로 사용될 때, 첫 번째 인수는 술어 앞에, 이후의 인수는 술어 뒤에 나타난다. "S pa vedma T B P"는 "S가 T를 B에게 P 가격으로 팔았다"를 의미한다.[6] 모든 인수가 존재할 필요는 없다. "S pa vedma T B"는 "S가 T를 B에게 팔았다", "S pa vedma T"는 "S가 T를 팔았다", "S pa vedma"는 "S가 (무언가를) 팔았다"를 의미한다.

특정 구조어는 술어의 인수를 재정렬하여, 첫 번째로 위치시킴으로써 인수 중 하나를 강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u"는 모든 술어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인수를 바꾼다. "T pa nu vedma S"는 "S pa vedma T"와 동일하며 "T는 S에 의해 팔렸다"로 번역될 수 있다. "fu"는 첫 번째와 세 번째 인수를, "ju"는 첫 번째와 네 번째 인수를 바꾼다. "B pa fu vedma T S" = "B가 S로부터 T를 샀다", "P pa ju vedma T B" = "P가 B에 의해 T를 사는 데 지불되었다"이다.[6]

다음은 ''vedma'' 술어의 인수 구조와 구조어 "nu", "fu", "ju"를 사용한 예시이다.

예시 문장의미
S pa vedma T B PS가 T를 B에게 P 가격으로 팔았다.
S pa vedma T BS가 T를 B에게 팔았다.
S pa vedma TS가 T를 팔았다.
S pa vedmaS가 (무언가를) 팔았다.
T pa nu vedma ST는 S에 의해 팔렸다.
B pa fu vedma T SB가 S로부터 T를 샀다.
P pa ju vedma T BP가 B에 의해 T를 사는 데 지불되었다.


4. 2. 인수 (Arguments)

구조어 "le"는 술어를 명사처럼 동작하게 하여 다른 술어의 인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3항 술어 "matma"는 "M은 아버지 F에 의해 C의 어머니이다"를 의미하므로, "le matma"는 "어머니"를 의미한다. 따라서 "Le matma pa vedma"는 "어머니가 (무언가를) 팔았다"를 의미하며, "Le vedma pa matma"는 "판매자가 (누군가의) 어머니였다"를 의미한다.

이름은 구조어 "la"를 앞에 붙여 인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La Adam vedma"는 "아담이 판다"를 의미한다. 영어 및 다른 많은 언어와 달리, 이 구조어는 필수적이다. 꾸밈없는 이름은 인수로 사용될 수 없다. (문장 "Adam vedma"는 "아담, (무언가를) 팔아라"를 의미하는 명령형이다. 이 경우, 이름은 인수가 아닌 호격으로 사용된다.)

이름이나 다른 단어 또는 구는 구조어 "li"와 "lu"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인용하여, 해당 단어가 지칭하는 대상이 아닌, 단어 자체를 인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Li Adam lu corta purda"는 "''아담''은 짧은 단어이다"를 의미한다. li/lu 인용구가 없으면, 문장 "La Adam corta purda" ("아담은 짧은 단어이다")는 아담이라는 사람이 짧은 단어라고 주장할 것이다.

4. 3. 술어 수식어 (Predicate modifiers)

아름답게 작은 여자아이들을 위한 학교;

  • "le bilti cmalo ge nirli ckela" = (예쁜 작은) (여자아이들의 학교)
    여자아이들의 학교에게 아름답게 작은 학교;
  • "le bilti ge cmalo nirli ckela" = 예쁜 ((작은 여자아이들의) 학교)
    작은 여자아이들의 학교에게 아름다운 학교;
  • "le bilti ge cmalo ge nirli ckela" = 예쁜 (작은 (여자아이들의 학교))
    작은 유형의 여자아이들의 학교에 아름다운 학교.


서술어는 선택적 구조어 "na" (현재), "pa" (과거), "fa" (미래)를 사용하여 무언가가 발생한 시간을 나타내도록 수정될 수 있다 (영어의 시제). 따라서 "Le matma na vedma"는 "어머니가 (지금) 팔고 있다"는 의미이고, "Le matma fa vedma"는 "어머니가 팔 것이다"는 의미이다. 동사에 시제를 표시하는 것은 선택 사항이므로, 시간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단어 "ga"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Le matma ga vedma"는 "어머니가 (과거, 현재 또는 미래의 특정되지 않은 시점에) 판매한다"는 의미이다.

4. 4. 자유 변수 (Free variables)

Free variables영어라고 불리는 일련의 구조 단어는 영어대명사와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Adam told Greg that he needed to leave."와 같은 문장에서 대명사의 모호성을 피하도록 설계되었다. 자유 변수 "da"는 가장 최근에 언급된 명사를, "de"는 그 전에 언급된 명사를, "di"는 그 전에 언급된 명사를 가리킨다. 다음 문장을 비교해 보자.

  • "La Adam pa vedma le negda la Greg i '''da''' gacpi" = Adam이 Greg에게 달걀을 팔았다; '''그'''(Greg)는 행복했다.
  • "La Adam pa vedma le negda la Greg i '''di''' gacpi" = Adam이 Greg에게 달걀을 팔았다; '''그'''(Adam)는 행복했다.


자유 변수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과 무생물체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영어의 "he", "she", "it" 사이와 같은 구별은 없다. "La Adam pa vedma le negda la Greg i '''de''' gacpi"는 "Adam이 Greg에게 달걀을 팔았다; '''그것'''(달걀)은 행복했다."를 의미하므로 두 번째 예에서 "de"가 아닌 "di"가 사용되었다.

4. 5. 접속사 (Conjunctions)

로글란은 14개의 가능한 논리 연결자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세트의 접속사를 사용한다. 한 세트는 술어 표현식을 결합하는 데 사용되며("e" = 그리고, "a" = 또는, "o" = 만약 그리고 오직 만약), 다른 세트는 술어를 결합하여 더 복잡한 술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ce", "ca", "co").[6]

기본 연결자 "e", "a", "o"와 부정어 "no"를 조합하여 다른 논리 연결자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적 함의는 "noa"로 표현되는데, 이는 "no A a B"와 논리적 동치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6]

  • "La Kim ga sadji noa fa vedma da." = 김이 현명하다면, 그녀는 그것을 팔 것이다.
  • "La Kim ga no sadji a fa vedma da." = 김은 현명하지 않거나 그녀는 그것을 팔 것이다.


접속사 "a"는 포함적 논리합 관계를 나타내며, 두 대안 중 하나 또는 둘 다 참일 수 있다. 배타적 논리합 관계는 "onoi"로 표현되며, "A o no B"와 "A onoi B"의 논리적 동치를 명확하게 보여준다.[6]

  • "Tu fa titci o no tu fa morce." = 당신은 죽지 않는 경우에만 먹을 것이다.
  • "Tu fa titci onoi tu fa morce." = 당신은 먹거나 죽을 것이다.


"ze"는 구성 술어 중 어느 것도 반드시 참이 아니더라도 참일 수 있는 "혼합" 술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Le negda ga nigro ze blabi"는 "그 달걀은 흑백이다"를 의미하며, 달걀이 줄무늬이거나 반점이 있는 경우에 참이다.[6]

4. 6. 태도 지표 (Attitude indicators)

화자는 말하는 내용에 대한 태도를 표현하기 위해 일련의 단어들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확신, 의도, 의무, 감정 등을 나타낸다. 이러한 단어들은 수정하는 단어 뒤에 오지만, 문장 শুরুতে 사용되면 전체 문장을 수정한다.[6]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Ae le matma pa sadji" = 바라건대, 어머니는 현명하셨다.
  • "Ui le matma pa sadji" = 기쁘게도, 어머니는 현명하셨다.
  • "Ou le matma pa sadji" = 어머니가 현명하셨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로그란과 로지반은 화자가 말하는 내용에 대한 감정과 태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단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자연어와 달리, 이러한 단어들은 실제로 이루어진 성명과 구별되어 명료하게 유지된다.[6]

5. 대중문화

SF 작품에서 로글란이 종종 언급되었다.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소설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6]과 《야수의 숫자》, 로버트 리머의 유토피아 소설 《Love Me Tomorrow》(1978), 스타니스와프 렘의 소설 《신의 목소리》 등에서 로글란이 등장한다.

로글란 창시자 제임스 쿡 브라운은 로글란을 사용한 SF 소설 《The Troika Incident》(1970)를 썼는데, 이 소설에서는 로글란이 ‘판란’이라는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4]

롤플레잉 게임 《FTL:2448》에서 로글란은 종족 간 공용어로 사용된다.

6. 기록 보관소

로글란의 제작 및 교육 관련 자료는 카드, 문법 설명 등을 포함하며,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있는 시카고 공립 도서관 특별 자료실의 페이스 리치 논문에 보관되어 있다.[5]

참조

[1] 간행물 Loglan http://members.home.[...] Scientific American 1960
[2] 서적 Loglan 4 & 5: A Loglan-English/English-Loglan Dictionary The Loglan Institute, Inc. 1975
[3] 서적 Loglan 1: A Logical Language The Loglan Institute, Inc. 1989
[4] 서적 The Troika incident: a tetralogue in two parts https://books.google[...] Doubleday 1970
[5] 문서 Faith Rich Papers Finding Aid https://bmrcprocessi[...]
[6] 서적 月は無慈悲な夜の女王 ハヤカワ文庫 2010-03-15
[7] 간행물 Loglan http://members.home.[...] Scientific American 19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