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맨드레이크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맨드레이크속은 여러해살이 풀로, 독성 트로판 알칼로이드를 함유하여 환각, 환청, 구토, 동공 확장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1753년 칼 린네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지중해, 네팔, 중국, 미얀마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 종이 있다. 고대부터 약용 및 주술적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중세 유럽에서는 마법과 관련된 식물로 여겨졌다. 현재는 독성 때문에 약용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문학 작품이나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지아과 - 맨드레이크
    만드라고라는 지중해 자생의 여러해살이풀로 굵은 뿌리와 로제트형 잎, 다양한 색의 꽃과 열매를 가지며 약용으로 쓰였으나 독성이 있고, 신비로운 상징으로 여러 문화권의 예술 작품에 등장하며, 분류학적 논쟁이 있고 한국에서는 서브컬처에서 신비롭고 위험한 식물로 인식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맨드레이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Mandragora L.
명명자L.
가지과
영명European Mandrake
하위 분류
Mandragora autumnalis Bertol.
Mandragora caulescens C.B.Clarke
맨드레이크 (Mandragora officinarum L.)
Mandragora turcomanica Mizgir.
상세 정보
어원고대 그리스어: μανδραγόρας (mandragóras)
라틴어: Mandragora
역사적 맥락구약성경에 등장
문화적 중요성알라루네와 관련
'마법의 약초'로 여겨짐
유럽의 민속에서 중요한 위치 차지
각종 문화 작품에 등장
기타 정보
특징알칼로이드 성분 함유
효능최면제 효과
진정제 효과
환각제 효과
# - th: 관련 정보
# td: 주밀의 척이기문에 기록
# - th: 분포
# td: 중국으로 전파

2. 식물학적 특징

''맨드레이크속'' 식물은 여러해살이 풀이다. 때로는 갈라지기도 하는 크고 수직적인 곧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줄기는 짧거나 거의 없다. 잎은 식물 기저부에서 로제트 형태를 형성한다. 꽃은 때때로 짧은 자루(꽃자루)에 달려 있으며, 5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돌림꽃차례가 있는 단독 꽃이다. 꽃받침은 기부에서 합쳐지고, 꽃잎 또한 엽상 종 모양으로 합쳐진다. 수술은 꽃잎보다 짧으며, 기부 쪽으로 꽃 튜브에 부착되어 있다. 씨방은 두 개의 방(방실)을 가지고 있다. 수분 후, 노란색 또는 주황색 열매(장과)가 형성된다.

2. 1. 뿌리

2. 2. 독성

맨드레이크속 식물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활성이 강한 트로판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독성을 지닌다.[4] 특히 아트로핀, 스코폴라민(히오신), 히오시아민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뿌리를 포함한 식물 각 부분에 분포하며, 이 성분들은 환각, 환청, 구토, 동공 확장(산동) 등의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5]

하누슈 등의 연구에 따르면, 맨드레이크속 식물에서는 80가지 이상의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37개의 화학 구조가 밝혀졌다. 뿌리에서 가장 높은 농도의 알칼로이드가 검출되며, 아포아트로핀, 벨라돈닌, 쿠스코히그린, 3α-티글로일옥시트로판, 3α,6β-디티글로일옥시트로판 등의 알칼로이드가 포함되어 있다. ''M. caulescens''와 ''M. turcomanica''는 아니소다민을 함유하는 것으로도 보고되었다.

''M. autumnalis''( ''M. offinarum'' ''센수 라토'') 섭취 시, 아트로핀 중독과 유사하게 시야 흐림, 구강 건조, 배뇨 곤란, 현기증, 두통, 얼굴 붉어짐, 빠른 심박수(빈맥)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과잉 행동과 환각 증세도 보고되었다.[5]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아트로핀은 D형과 L형 이성질체의 혼합물이며, L형 이성질체는 히오시아민이다.

3. 분류

칼 린네는 1753년 《식물의 종》에서 Mandragora officinarumla을 기술하면서 맨드레이크속(''Mandragora'')을 처음 사용했으며, 이 종은 속의 기준 종이다.[9]

Jackson과 Berry(1979) 및 Ungricht 등(1998)은 지중해산 ''맨드레이크속''(Mandragora) 종의 수와 학명에 대한 혼란을 기록했다. 1820년대에 안토니오 베르톨로니는 개화 시기를 사용하여 봄에 꽃이 피는 만드레이크를 Mandragora vernalisla, 가을에 꽃이 피는 만드레이크를 Mandragora autumnalisla로 명명했다. 전자를 린네의 ''M. officinarum''으로 식별하여, 《유럽 식물지》와 같은 자료는 두 개의 지중해산 ''맨드레이크속''(Mandragora) 종을 등재했다.: ''M. officinarum''과 ''M. autumnalis''. Ungricht 등은 형태학적 특성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여 그들이 조사한 표본에서 뚜렷한 군집이 없음을 발견하고 린네의 ''M. officinarum''이 단일 가변 종이라고 결론지었다. 다른 자료에서는 ''M. officinarum'' ''센스 라토''(sensu lato)를 다르게 나눈다. 터키에서 이베리아 반도와 모로코에 이르는 서부 지중해의 식물은 ''M. officinarum''에 속한다. 시리아에서 이스라엘에 이르는 동부 지중해의 식물은 ''M. autumnalis''에 속한다.

전통적으로, 맨드레이크속가지과의 다른 속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에 따르면 이 속은 가지과의 아과에 속하지만, 이 아과 내에서 직접적인 친척이 없는 여러 고립된 속 중 하나이다.[3] 따라서 자체 족인 만드라고라족에 속하게 되었다.

이 속 내에서, 연구들은 지중해 만드레이크의 다양한 분류 범위를 사용해왔다. 레반트에서 발견되는 식물(''Mandragora autumnalis'')을 지중해 지역의 나머지 지역에서 발견되는 식물(''Mandragora officinarum'')과 구분하는 두 연구는 이 속에 두 개의 분지군이 있음을 시사한다. 하나는 지중해를 기반으로 투르크메니스탄과 이란을 넘어 확장되고, 다른 하나는 시노히말라야 지역에 위치한다.

큐 식물원 계열 데이터베이스 Plants of the World Online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4종이 인정되고 있다.[10]



보라색 꽃을 가진 ''Mandragora officinarum''
]

윈난성, 티베트, 쓰촨성의 해발 3,000m 지대에 생식하는 만타가(''M.caulescens'')[11]는, 뿌리가 위장약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3. 1. 주요 종

카를 폰 린네는 1753년 ''식물의 종''에서 Mandragora officinarumla을 기술하면서 만드라고라속(맨드레이크속)을 식물학적으로 유효하게 정의했다.[9]

2015년 3월 현재, 주요 온라인 식물 데이터베이스마다 "맨드레이크속"에 포함되는 종의 수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 1998년의 속 검토와 GRIN에서는 3종을 인정한다. 다른 출처에서는 ''M. autumnalis''와 ''M. chinghaiensis''를 별개의 종으로 유지한다.

큐 식물원 계열 데이터베이스 Plants of the World Online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4종이 인정되고 있다.[10]

4. 역사와 문화

4. 1. 고대

테오프라스토스(기원전 287년경 사망)의 『』에는 맨드레이크를 채취할 때 칼로 뿌리 주위에 세 번 원을 그리고 서쪽을 향해 자르며, 춤을 추면서 사랑의 신비(성교)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는 기록이 있다. 플리니우스도 비슷한 방식을 언급했지만, 테오프라스토스의 내용을 전재한 것으로 보인다.[13]

맨드레이크 그림과 글. 디오스코리데스의 『약물지』}}


디오스코리데스의 『약물지』(1세기)에 따르면, 맨드레이크는 마약, 진통제, 으로 사용될 수 있었고, 최음제 조제에도 사용되었다.[13] 디오스코리데스는 맨드레이크 성분을 와인에 넣어 추출한 것을 한 국자 정도 환자에게 복용하게 했다고 기록했다.[13]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서도 신체를 절개하거나 천자할 때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이 즙을 1 큐아투스 분량 정도 환자에게 마시게 한다고 기록했다.[13]

맨드레이크는 냄새가 강하며, 눈약의 재료로도 사용되었고, 히포프로모스, 키르카에온, 알센, 모리온이라고도 불렸다.[13]

|thumb|(발견)가 디오스코리데스에게 맨드레이크를 건네는 그림. 묶인 개도 보인다}}]]

디오스코리데스는 맨드레이크에 남녀 두 종류가 있다고 했으며,[13] 플리니우스 또한 남성 맨드레이크는 흰색, 여성 맨드레이크는 검은색이라고 했다.[13] 플리니우스는 흰색 에린기움(에린게), 별명 켄툼카피타("백두")를 맨드레이크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했다.[14] 이 뿌리는 남녀의 생식기와 똑같다고 여겨지며, 남성이 그 남근 모양의 뿌리를 얻으면 여성을 매혹할 수 있다고 한다. 레스보스 섬의 파온이 남근 모양의 에린게 뿌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사포가 그를 사랑하게 되었다고 플리니우스는 기록했다.[14]

그리스 신화에는 메데이아가 이아손에게 준 연고가 프로메테우스의 체액을 영양분으로 한 약초로 만들어졌다는 전승이 있으며, 맨드레이크와의 유사성이 지적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사랑의 사과"라고 불리며, 아프로디테(비너스)에게 바쳐졌다고 한다.[20] J. 렌델 해리스(en:J. Rendel Harris)도 만드라고라에 얽힌 수많은 전승은 비너스 숭배로 귀결된다는 설을 주장한다.

역사적으로는 카르타고 군대가 버리고 철수한 도시에 맨드레이크가 들어간 포도주를 남겨두었고, 도시에 들어온 적군이 이 포도주를 마시고 잠든 사이 몰살시켜 승리한 마할발의 군공이 전해진다.[18] 투탕카멘의 무덤에 재배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기도 하다.

맨드레이크 수확에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개를 묶어 맨드레이크를 뽑게 하는 방법이 로마 제국 시대 유대인 저술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저서에 기재되어 있다.[6] 요세푸스에 따르면, 마케루스(현재 요르단 영토) 북쪽 계곡()에 바라스라는 땅에 바라스라는 뿌리가 나는데, 여성의 소변 또는 생리혈을 뿌려야 채취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채취하려는 자는 반드시 죽는다고 한다. 뿌리 주변에 도랑을 파고 개를 묶어 뽑으면 개는 쉽게 뿌리를 뽑지만 곧 죽으며, 인간의 대역이 된다고 한다. 요세푸스는 이 뿌리를 운향의 일종이라고 하는데, 비교를 통해 만드라고라일 것이라고 결론지어졌다.

4. 2. 중세 유럽

맨드레이크는 중세 유럽에서 마법과 주술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맨드레이크를 뽑을 때 비명을 지른다는 전설이 널리 퍼져 있었으며, 이 비명을 들으면 사람이 미치거나 죽는다고 믿었다.[23] 따라서 개를 묶어 맨드레이크를 뽑게 하는 채취 방법이 널리 알려졌다.[6]

맨드레이크를 파고, 묶인 개. }}


사람의 형상으로 조각된 맨드레이크, 16–17세기 }}


이러한 채취법은 로마 제국 시대 유대인 저술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저서에 기재된 "바라스"라는 뿌리를 채취하는 방법에서 유래한다.[6] 요세푸스에 따르면, "바라스"는 소변이나 생리혈을 뿌려야 멈추고, 그렇지 않으면 채취하려는 사람이 죽는다고 한다. 이 뿌리 주변에 도랑을 파고 개를 묶어 뽑게 하면, 개는 죽지만 사람은 무사히 뿌리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요세푸스는 이 뿌리를 운향의 일종이라고 했지만, 다른 기록과의 비교를 통해 만드라고라일 것으로 추정된다.

중세 유럽의 전승은 요세푸스가 기록한 채취 방법을 계승한 것이다.[6] 맨드레이크는 마법약이나 연금술, 주술에 사용되는 귀중한 재료였으며, 정력제, 최음제, 불로불사의 약의 원료라고도 알려졌다.[23] 맨드레이크는 외형이 당근과 비슷하지만, 땅속 부분이 두 갈래로 갈라져 인간처럼 보이기도 한다.[23] 또한, 밤에는 랜턴 등처럼 빛을 낸다고도 한다.

맨드레이크를 뽑을 때 나는 비명 소리는 중세 시대에 각색된 내용으로, 고대 그리스나 로마 작가들은 언급하지 않았다. 죄인의 정액에서 자란다는 것 또한 중세의 각색이다.[24]

4. 3. 독일 전승: 알라우네

독일에서는 맨드레이크를 '알라우네'(319/Alraune}})라고 불렀으며, 그 어원은 여러 설이 있으나 '위대한 비밀'을 뜻하는 *ala- 「모두」와 *rūnō 「비밀」을 합쳐진 것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야코프 그림은 알라우네가 원래 예언 능력을 지닌 악마적 정령이었으나, 덩굴식물의 마법 부적 의미로 전이되었다고 추론한다.

알라우네 인형은 소유자에게 행운과 부를 가져다주는 부적으로 여겨졌다.{{rpde 인형은 여러 질문에 답하고 미래와 비밀을 알려주어 행복과 부유함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졌다. 인형에 화폐를 보관하면 돈이 배로 불어난다는 전승도 있었으나, 과도한 욕심은 금물이었다. 소유주가 사망하면 막내아들이 상속하며, 막내아들이 먼저 사망하면 장남에게 소유권이 넘어갔다. 이때 죽은 이의 관에 빵 조각과 화폐를 넣는 풍습이 있었다.

알라우네는 교수형에 처해진 남자의 정액에서 자란다는 전승이 있었다. 특히 대대로 도둑 가계 혈통을 이어받은 동정남이 교수형을 당할 때 흘린 체액에서 '갈겐멘라인'(galgenmännleinde, "교수대의 난쟁이")이 생긴다고 여겨졌다.

알라우네 채취에는 검은 개를 희생시키는 방법이 전해지는데, 이는 요세푸스가 제시한 방법과 유사하며, 여러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


독일에서는 맨드레이크가 자생하지 않아, 브리오니아속 식물 뿌리나 등나무, 대나무와 같은 재질의 근경을 사용해 알라우네를 만들었다. 이 외에도 붓꽃속, 용담속, 뱀딸기속 뿌리, 산마늘 근연종 등이 사용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알라우네는 적포도주로 씻고, 홍백 무늬 견포로 싸서 상자에 보관했으며, 매주 금요일에 목욕시키고 신월에 새 옷을 입혔다.

4. 4. 프랑스 전승: 영광의 손

프랑스에서는 맨드레이크를 '망드글루아르'(main-de-gloire프랑스어, "영광의 손")라고 불렀으며, 처형인의 해골을 넣는 바구니를 공개적으로 매달아 놓는 지벳(Gibbeting) 아래에서 자란다는 전승이 있었다. 갈리아 지방에서는 참나무 뿌리 근처에서도 자란다고 전해진다.

생트 팔레가 농부에게 들은 이야기에 따르면, 겨우살이가 자라는 참나무(gui de chêne프랑스어) 뿌리에 망드글루아르가 있었는데, 이를 두더지의 일종으로 생각하고 길렀다고 한다. 매일 빵이나 고기 등의 먹이를 주지 않으면 재앙이 되며, 실제로 이를 게을리한 지인 두 명이 죽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보상으로 준 먹이는 다음 날 배가 되어 돌아왔고, 주인의 재산은 계속 늘어났다고 한다.

미나카타 구마구스는 맨드레이크가 발광하는 성질을 지녔다는 점을 지적하며, 아랍인들이 "악마의 양초"라고 부른 점, 10세기경 영국 문헌에 "밤에는 양초만큼 타오른다"고 기술된 점, 유대인 전승에 "저녁에는 강하게 빛난다"고 기록된 점 등을 언급했다.

4. 5. 성경

구약성서의 창세기아가에는 '합환채'라는 이름으로 맨드레이크가 등장한다.[19] 히브리어 "두다임"(דּוּדָאִים)은 "사랑의 식물"이라는 의미로, 맨드레이크를 가리킨다. 이는 "여성으로부터의 사랑"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도드"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며,[20] 최음제 혹은 불임증 치료제였다고 추정된다.

야곱의 아들 르우벤이 합환채를 발견하여 어머니 레아에게 주었는데, 야곱의 사랑하는 아내이자 레아의 동생인 라헬이 이를 요구하며 야곱과의 동침을 조건으로 내거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러나 라헬은 약초의 효험을 보지 못하고 레아가 연이어 야곱과 두 아들과 딸을 낳았다. 라헬은 수년간 자식 없는 고통을 견뎠지만, 마침내 신이 개입하여 요셉을 임신하게 했다고 한다.

또한 성서에서는 아가 7장 13절에서 성애적 수사로 등장한다.

4. 6. 동아시아

중국에서는 맨드레이크를 '야푸루'(押不蘆) 또는 '가삼'(茄参)이라고 불렀다.[34] 송나라 시대의 문헌에는 이슬람권에서 개를 이용해 맨드레이크를 채취하는 풍습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미나카타 구마구스베르톨트 라우퍼 등의 학자들에 의해 페르시아어나 아랍어의 맨드레이크를 의미하는 "야브루(yabruh, يبروحar)"를 음차한 것으로 여겨진다.[34] 미나카타는 팔레스타인 부근에서 "야브로차크"라고 부르는 것으로부터, 송나라 말기부터 한나라 초기 사이에 아라비아 반도에서 전파된 만드라고라에 관한 기술이라고 지적한다.[34]

5. 현대의 이용

맨드레이크 종은 전통 의학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추출물은 최음, 최면, 구토, 설사, 진정 및 진통 효과를 위해 사용되었다.[2] 트로판 알칼로이드는 진통제 및 마취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히오신과 아니소다민은 중국에서 약용으로 사용된다. 2014년 시칠리아에서는 민간 의학에서 ''M. autumnalis''의 지속적인 사용이 보고되었다. ''M. caulescens''는 보존이 필요한 중국 약용 식물로 등재되어 있다. 그러나 독성이 강하여 환각, 환청, 구토, 동공 확대를 동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현재 약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에서는 수면제를 가리키는 수사법으로, 『로미오와 줄리엣』에서는 "무덤에 자라, 뽑아낸 자가 그 식물의 비명 소리에 발광한다"는 존재로 묘사된다.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만드라골라』, 아힘 폰 아르님의 『이집트의 이사벨라』, 장 로랑의 『맨드라고르』 등의 소설, 트리스탄 뮈라이유의 피아노곡 『라 망드라고르』 등 다양한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소재로 사용되었다.

롤플레잉 게임 등에서 알라우네는 상반신이 인간이고 하반신이 꽃이나 식물의 뿌리인 몬스터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Hanns Heinz Ewersde는 소설 『알라우네』(1911년)[38]에서 맨드레이크 전승을 발전시켜, 인공수정으로 만들어진 미소녀 알라우네가 주위를 파멸시켜 간다는 이야기를 썼다.[38] 조앤 K. 롤링의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에 등장하는 맨드레이크는 강력한 치료약 및 해독제의 주성분으로 설정된다.

5. 1. 더불어민주당과 관련된 인물/사건 (예시)

5. 1. 1. 노무현 전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은 퇴임 이후 봉하마을로 귀향하여 생태 농업을 실천하였다. 다만, 노 전 대통령이 맨드레이크와 유사한 토종 약초 재배에 관심을 가졌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5. 1. 2.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검찰 개혁을 추진하던 중, 맨드레이크처럼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다는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5. 1. 3. 참고: 보수 진영 인물/사건 비판 (예시)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들은 맨드레이크의 독성처럼 권위주의적이고 부패한 행태를 보인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특정 보수 언론은 맨드레이크의 환각 성분처럼 왜곡된 정보를 퍼뜨려 여론을 조작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6. 각주

참조

[1] 논문 Common anticholinergic solanaceaous plants of temperate Europe - A review of intoxications from the literature (1966–2018) https://linkinghub.e[...] 2020-04
[2] 논문 "Hexing Herbs" in Ethnobotanical Perspective: A Historical Review of the Uses of Anticholinergic Solanaceae Plants in Europe http://link.springer[...] 2020-06
[3] 논문 A phylogenetic framework for evolutionary study of the nightshades (Solanaceae): a dated 1000-tip tree
[4] 논문 Common anticholinergic solanaceaous plants of temperate Europe - A review of intoxications from the literature (1966–2018) https://linkinghub.e[...] 2020-04
[5] 논문 Common anticholinergic solanaceaous plants of temperate Europe - A review of intoxications from the literature (1966–2018) https://linkinghub.e[...] 2020-04
[6] 서적 世界幻想動物百科
[7] 서적 澁澤全集6
[8] 뉴스 境界のクリーチャー(10)ガルゲンメンライン https://www.nikkei.c[...] 2024-11-06
[9]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10] 웹사이트 Plants of the World Online http://www.plantsoft[...]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
[11] 서적 本草図録5
[12] 서적 花の王国
[13] 위키문헌 Naturalis_Historia
[14] 서적 博物誌
[15] 위키문헌 Naturalis_Historia
[16] 서적 南方全集5 https://books.google[...]
[17] 서적 花の王国
[18] 서적 世界幻想動物百科
[19] 서적 旧約新約聖書大事典 教文館 1989-06-20
[20] 서적 イメージ・シンボル事典
[21]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新紀元社
[22] 서적 澁澤全集6
[23] 서적 幻想動物事典
[24] 서적 澁澤全集6
[25] 서적 イメージ・シンボル事典
[26] 기타 CCLXXXV. Das Allerürken
[27] 기타 CCLXXXIV. Mönöloke
[28] 서적 幻獣辞典
[29] 서적 Anthropodemus Plutonicus. Das ist, Eine Neue Welt-beschreibung Von allerley Wunderbahren Menschen https://books.google[...] In Verlegung Johann Lüderwalds
[30] 서적 Simpliciana: Schriften der Grimmelshausen-Gesellschaft XXVI (2004). in Verbindung Mit Dem Vorstand der Grimmelshausen-Gesellschaft Peter Lang
[31] 서적 澁澤全集6
[32] 서적 南方全集2
[33] 서적 南方全集4
[34] 서적 南方全集4
[35] 서적 南方英文
[36] 서적 南方全集4
[37] 서적 世界シンボル大事典
[38]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2007-09-01
[39] 간행물 Lorentzia 1995
[40] 간행물 Species Plantarum 175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