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맹글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맹글리시는 '말레이시아식 영어'를 의미하며, 말레이시아에서 사용되는 영어의 변형이다. 영국 영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문법과 어휘를 갖는다. 맹글리시는 영어 화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으며, 문법 파괴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싱가포르의 싱글리시와 유사한 점이 있지만, 말레이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인터넷에서 맹글리시 사용을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인도 케랄라 주에서 사용되는 영어 억양을 지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호전환 - 포르투뇰
    포르투뇰은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현상 또는 언어를 지칭하며, 이베리아 반도와 브라질-스페인어 사용 국가 국경 지역에서 언어 접촉으로 발생하여 문학 작품에서도 사용된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비슬라마
    비슬라마는 바누아투에서 사용되는 크리올어로, 영어 어휘와 멜라네시아어 문법이 결합되었으며 19세기 피진에서 기원하여 20세기 초 바누아투의 링구아 프랑카가 되었고, 사전 출판을 통해 표준화되어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피진어
    피진어는 19세기 초 서태평양에서 영어 기반으로 발생하여 상인과 노동자 사이의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솔로몬 제도에서 공용어 지위를 갖게 된 언어이다.
맹글리시
개요
언어 유형영어 기반 크리올
사용 국가말레이시아
언어 계통영어-기반 크리올 언어
언어 코드
ISO 639-3해당 없음
Glottolog해당 없음
IETFcpe-MY

2. 어원

'맹글리시'는 '말레이시아식 영어'를 의미하는 'Malaysian English'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이는 '한국어영어(Korean English)'를 '콩글리시(Konglish)', '일본어식 영어(Japanese English)'를 '쟁글리시(Janglish)'라고 부르는 것과 유사한 조어 방식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를 말레이시아식 영어로 생각하는 것과 달리, 실제 말레이시아 영어와는 차이가 있으며 때로는 영어 화자와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맹글리시'를 'Mangled English'의 약어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이름 그대로 '변칙 영어(broken english)'의 일종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맹글리시(Manglish)"라는 용어는 1989년에 처음 기록되었다.[2] 맹글리시 외에도 유사한 방식의 구어 혼성어들이 존재하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2]

용어처음 기록된 연도
말리시 (Malish)1992
말레이리시 (Malaylish)1992
말레이글리시 (Malenglish)1994
말글리시 (Malglish)1997
말레이글리시 (Malayglish)2005
말랑글리시 (Malanglish)2013



맹글리시는 싱가포르에서 사용되는 싱글리시와 상당한 언어적 유사성을 공유하지만, 특히 어휘 면에서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싱가포르와 현재 말레이 반도를 구성하는 여러 주들은 다양한 형태의 영국 통치(해협 식민지, 영국령 말라야 참조) 하에 있었는데, 이 시기에는 "싱글리시"와 "맹글리시"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언어로 여겨질 수 있었다.[3] 당시 영국령 말라야에서 영어는 영국 행정의 언어였고, 말레이어는 거리의 공용어 역할을 했다. 심지어 중국계 주민들 사이에서도 서로 다른 중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말레이어를 통해 소통하기도 했다.[3]

맹글리시는 영국 영어를 기반으로 하는 공식적인 말레이시아 영어와는 구별된다. 1968년부터 말레이어가 말레이시아의 유일한 공식 언어가 되었지만, 영어 역시 널리 사용되면서 많은 말레이어 단어가 비공식적인 영어, 즉 맹글리시에 흡수되었다. 예를 들어, 문장 끝에 접미사 "lah"를 붙이는 것("Don't be so worried-lah")은 문장을 부드럽고 덜 심각하게 만드는 표현으로 흔히 사용되는데, 이 접미사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는 말레이어와 중국어 사이에서 약간의 이견이 있다. 이 외에도 맹글리시는 민남어, 광둥어, 표준 중국어, 타밀어 등 말레이시아 내 다른 주요 언어들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영국 통치 시대의 일부 고어적인 영국 용어(예: 'gostan', 'outstation')가 여전히 사용되기도 한다.

3. 역사

"맹글리시(Manglish)"라는 용어는 1989년에 처음 기록되었다.[2] 맹글리시를 가리키는 다른 구어 혼성어 명칭들도 있으며, 등장 시기순으로 다음과 같다.

명칭등장 연도
말리시(Malish)1992년
말레이리시(Malaylish)1992년
말레이글리시(Malenglish)1994년
말글리시(Malglish)1997년
말레이글리시(Malayglish)2005년
말랑글리시(Malanglish)2013년



맹글리시는 싱가포르에서 사용되는 싱글리시와 언어적으로 상당히 유사하지만, 특히 어휘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초기에는 싱가포르와 현재의 말레이 반도를 이루는 여러 주들이 다양한 형태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영국 통치 아래 있었을 때(1963년에서 1965년 사이를 제외하고는 단일 행정 단위를 형성하지는 않았음), "싱글리시"와 "맹글리시"는 본질적으로 같은 언어로 여겨졌다. (영국령 말라야 참조). 옛 영국령 말라야에서 영어는 영국 행정의 언어였고, 말레이어는 거리의 링구아 프랑카였다. 심지어 중국인들도 서로 다른 중국어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 말레이어로 소통했다.[3]

말레이시아에서 사용되는 영어는 영국 영어에 기반을 두며, 이를 말레이시아 영어라고 부른다. 철자법은 일반적으로 영국식을 따른다.

1968년부터는 말레이어가 말레이시아의 유일한 공식 언어가 되었다. 하지만 영어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말레이어 단어들이 비공식적인 영어 사용, 즉 맹글리시에 흡수되어 일상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예를 들어, 문장 끝에 접미사 "-lah"를 붙이는 경우("Don't be so worried-lah")는 흔히 문장을 다소 가볍고 덜 심각하게 만드는 데 사용되며, 이 접미사 자체에 특별한 의미는 없다. 다만, 중국어에서도 "-lah" 접미사가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어떤 언어에서 원래 차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견이 있다. 맹글리시는 말레이시아에서 사용되는 다른 주요 언어인 말레이어, 민남어, 광둥어, 표준 중국어, 타밀어로부터도 강한 영향을 받았다. 맹글리시는 또한 영국 통치 시대의 일부 고어적인 영국 용어(예: "gostan", "outstation")를 사용한다.

4. 특징

맹글리시는 영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영어 원어민 화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은 영어 변형이다.[4][40] 이는 아이티에서 사용되는 아이티 프랑스어와 같이 언어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문장 단위에서는 아이티 프랑스어보다 소통 가능성이 높다.

맹글리시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정해진 문법 규칙이 비교적 약하다는 점이다. 또한, 인위적인 현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 등 다른 언어의 단어나 표현을 자연스럽게 섞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로작'(Rojak)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맹글리시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영어의 기본 문법이 무시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지역적 특색으로 이해하자는 시각과 국제적 망신을 초래할 수 있다며 비판하는 시각이 공존한다.[45] 일부에서는 맹글리시 사용이 영어 학습에 방해가 된다고 주장하며, 싱가포르싱글리시 사용을 억제하는 것처럼 말레이시아도 맹글리시를 배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맹글리시는 이미 말레이시아 사람들의 일상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어 쉽게 사라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 영어와 맹글리시는 종종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말레이시아 영어는 표준 영어 문법을 비교적 따르면서 지역적 특색을 지닌 영어를 의미하는 반면, 맹글리시는 영어 문법 규칙이나 구조를 엄격하게 따르지 않는 피진 또는 크리올에 가까운 형태로 여겨진다.[40] 그러나 실제로는 교육받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구어체를 말레이시아 영어라고 부르는 경향도 있으며,[6] 일부는 오히려 문법적 변형이 심한 형태(바실렉트 또는 피진)를 "진짜" 말레이시아 영어로 보기도 한다.[7] 명확한 구분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다.

어휘 면에서는 제한된 어휘가 사용되며, 이로 인해 특정 단어가 표준 영국 영어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다양한 의미와 기능으로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영국식 영어와 현대 말레이시아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학교 교육에서는 맹글리시 사용이 금지되며, 말레이시아 표준 영어만을 가르친다.[8] '말레이시아 영어'라는 용어 자체가 공식적인 교육 과정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다른 언어의 단어를 빌려오지 않고도 맹글리시를 구사하는 것은 가능하다.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 등에서는 강조나 복수 표현을 위해 단어를 중복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영향으로 맹글리시에서도 영어 단어를 중복하여 사용하는 특징이 나타난다.[11]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You don't noisy-noisy ah, I whack you later then you know.'' (시끄럽게 굴지 마, 나중에 혼날 줄 알아.)
  • ''That boy you dated last time is the short-short one in the party is it?'' (전에 데이트했던 그 남자가 파티에서 만났던 키가 아주 작은 남자 맞지?)

4. 1. 지역별 차이

맹글리시는 말레이시아 전역에서 사용되지만 지역마다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서말레이시아의 맹글리시는 싱가포르식 영어인 싱글리시에 더 가깝다고 여겨지며, 특히 조호르 지역의 맹글리시가 싱글리시와 가장 유사하다. 같은 서말레이시아 내에서도 지역 간 차이가 존재하여, 피낭이나 믈라카 등 서해안 지역 화자가 클란탄, 트렝가누 등 동해안 지역의 맹글리시를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다.

발음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는데, 서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어 방언의 영향으로 단어 마지막의 'a'를 'ㅡ'처럼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의문문 끝에 붙는 'kah'는 '끄흐'에 가깝게 소리 난다. 반면 동말레이시아에서는 'a'를 'ㅏ' 그대로 발음하여 'lah'는 '라흐', 'kah'는 '까흐'로 발음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과거에는 동말레이시아 영어가 서말레이시아 영어보다 문법적으로 덜 파괴되었다는 인식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동말레이시아에서도 문법 파괴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4. 2. 민족별 차이

맹글리시는 사용하는 민족 집단에 따라 조금씩 다른 특징을 보인다. 말레이인들은 주로 말레이어만을 영어와 섞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은 중국어말레이어를 모두 영어와 섞어 사용하며, 이때 사용되는 중국어에는 표준 만다린뿐만 아니라 객가어, 광둥어, 민난어 등 다양한 방언이 포함된다. 인도계 말레이시아인들은 타밀어와 같은 인도 언어의 영향을 받아 해당 언어의 표현이나 감탄사를 섞어 쓰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언어 혼합은 일종의 코드 스위칭으로 볼 수 있다.[9]

다른 언어의 동사나 형용사에 영어 접사가 붙기도 하고, 반대로 영어 단어를 사용하더라도 모국어의 구문 구조를 따라 문장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모국어 구문을 영어로 그대로 번역하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어 "turn on the light"(불을 켜다) 대신 말레이어 구문에서 온 "on the light"를 사용하거나, 때로는 중국어에서 직접 번역된 "open the light"를 사용하기도 한다.

화자의 모국어에서 어휘나 표현을 차용하는 것 외에도,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 등은 문장 구성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중국어는 동사의 시제를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문맥이나 '어제', '오늘', '내일'과 같은 시간 관련 표현을 통해 시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10] 이러한 특징은 맹글리시에도 반영되어, "She go to the shop yesterday"(그녀는 어제 가게에 갔다)나 "I come here every day"(나는 매일 여기에 온다)처럼 시제 변화 없이 동사 원형을 사용하는 문장이 나타나기도 한다.

발음에서도 모국어의 영향이 드러난다. 중국어는 강세에 따라 리듬이 달라지는 영어와 달리 각 음절을 비슷한 길이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때문에 중국계 화자들은 맹글리시를 다소 끊어 읽는 듯한 느낌으로 말하는 경향이 있다.

5. 문법

맹글리시는 정확한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다. 말레이시아의 주요 언어인 말레이어, 영어, 중국어가 기본적으로 SVO(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따르기 때문에 맹글리시도 SVO형으로 볼 수 있지만, 이는 엄밀히 말해 오류이며 실제 문법은 정해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맹글리시를 크리올이나 피진과 같은 언어 변형이 아닌 변칙적인 영어의 일종으로 보기도 하며, 국제적인 망신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45] 하지만 맹글리시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몇 가지 문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맹글리시의 주요 문법적 특징
특징설명예시 (표준 영어)
be 동사 생략말레이어에서는 해당 동사(adalah, ialah, merupakan)를 통상 생략하는 경향이 있어 영향을 받았다.He my boyfriend. (He is my boyfriend.)
do 동사 생략말레이어do에 해당하는 표현이 마땅치 않아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Where you go? (Where do you go?)
의문문 어순 (부사 후치)말레이어 회화체에서 부사를 문장 끝에 두는 변칙적인 어순을 그대로 직역하여 사용한다.You go where? (Where do you go?)
과거형 무시중국어 등 시제 표시가 엄격하지 않은 언어의 영향을 받아 과거 시제를 제대로 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10]I already go there yesterday. (I had gone there yesterday.) / She go to the shop yesterday. (She went to the shop yesterday.)
비교급/최상급 오류비교급이나 최상급 형태 변화 없이 무조건 more, most를 붙인다.Me pretty, but you more pretty and Eliza most pretty. (Im pretty, but youre prettier than me and Eliza is the prettiest.)
3인칭 단수 -s 생략주어가 3인칭 단수(he, she 등)일 때 동사 현재형에 -s를 붙이지 않는다.He punch me. (He punches me.)
진행형 남용특별한 이유 없이 동사를 진행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Alice going there. (Alice goes there. / Alice is going there.)
부정형 no 사용부정 표현을 no 하나로 통일하는 경향이 있다.I no marah you. (I ''dont angry at you. / I am not''' angry at you.)



맹글리시 사용자들은 자신의 모국어(말레이어, 중국어, 인도 언어 등)에서 다양한 표현이나 감탄사를 섞어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코드 스위칭의 한 형태이다.[9] 다른 언어의 동사나 형용사에 영어 접사를 붙이거나, 반대로 다른 언어의 구문 구조를 사용하여 영어 단어로 문장을 구성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urn on the light" 대신 모국어 구문을 직역하여 "on the light" 또는 중국어 직역인 "open the light"를 사용하기도 한다.

화자의 모국어는 어휘 차용뿐 아니라 문장 구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중국어는 동사의 시제를 문법적으로 표시하지 않고 문맥이나 시간 부사('어제', '오늘' 등)로 전달하는데,[10] 이는 맹글리시에서도 "''She go to the shop yesterday''"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중국어 사용자들은 음절 단위로 발음하는 경향 때문에 맹글리시를 끊어 읽는 듯한 느낌으로 말하기도 한다.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에서는 복수, 강조, 반복 등의 기능을 위해 단어를 중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영향으로 맹글리시에서도 영어 단어를 중복하여 사용한다.[11]


  • ''You don't noisy-noisy ah, I whack you later then you know.'' (시끄럽게 굴지 마, 나중에 혼날 줄 알아.)
  • ''That boy you dated last time is the short-short one in the party is it?'' (전에 데이트했던 그 남자가 파티에서 만났던 키가 아주 작은 남자 맞지?)


맹글리시는 중국어말레이어처럼 주어-제시어 언어의 특징을 보인다. 즉, 문장이 화제(topic, 대화에서 이미 알려진 정보)로 시작하고 그 뒤에 설명(comment, 새로운 정보)이 이어지는 구조를 가진다.[12][13][14] 표준 영어와 달리 화제와 설명 간의 의미론적 관계가 엄격하지 않으며, 명사, 동사, 부사, 심지어 완전한 문장까지 화제가 될 수 있다.

  • ''That school Chinese orchestra very good one.'' (그 학교의 중국 오케스트라는 매우 훌륭하다.)
  • ''She play violin very bad leh.'' (그녀는 바이올린 연주를 매우 못한다.)
  • ''Yesterday she also give homework, too much lah.'' (그녀는 어제 숙제도 줬는데, 너무 많다.)
  • ''Discussed finish already.'' (우리는 이미 토론을 마쳤다.)


문맥상 명확하거나 절 사이에서 공유될 경우 화제를 생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준 영어 화자에게는 주어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문장이 만들어지며, 이러한 주어 생략(PRO-drop) 현상은 맹글리시의 특징 중 하나로 간주된다.[15] 예를 들어:

  • ''Stupid lah.'' (이건 멍청하다.)
  • ''Why don't want come?'' (왜 오고 싶지 않아?)


문장 끝에 흔히 사용되는 입자 "lah"(주로 '라'처럼 발음됨)는 어떤 입장을 주장하거나 듣는 이와의 연대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원래 말레이어에서 'lah'는 동사를 명령형으로 바꾸거나 어조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단어 끝에 붙여 쓰는 조사인데(예: minum → minumlah), 맹글리시에서도 "''Drink lah!''" (어서, 마셔!)와 같이 명령형에 자주 쓰인다.[40] 또한 "''Yah lah''", "''No lah''"처럼 예/아니오 답변에 붙어 덜 무뚝뚝하게 들리도록 하여 대화 흐름을 부드럽게 한다. 'Lah'의 기원에 대해서는 광둥어의 문장 끝 어기조사 '啦'나 남부 타밀어에서 유사하게 사용되는 입자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41] 'Lah'는 때로 무뚝뚝한 부정적 답변이나 안심시키는 표현에도 사용된다.

  • ''Don't have lah!'' (돈 없어!)
  • ''Don't worry, he can do it one lah.'' (걱정 마, 그는 할 수 있어.)
  • ''It's okay lah.'' (괜찮아.)

'Lah'는 예/아니오 질문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다른 입자(예: ar)가 쓰인다.[40]

'Loh' 또는 'lo'(囉)는 'lah'와 비슷하게 사용되지만, 좀 더 결정적이거나 반박할 수 없는 느낌을 주며, 때로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너무 명백하다고 생각하여 약간의 조급함이나 짜증을 내포하기도 한다. 광둥어에서 유래하여 주로 중국계 커뮤니티에서 사용된다.

  • ''Traffic jam loh!'' (교통 체증 때문이야!)
  • ''Sorry loh.'' (미안하다니까. - 진정성 부족 뉘앙스 가능)


'Meh'는 주로 질문 끝에 사용되며, 자신의 발언에 대한 확신을 보이면서 상대방에게 의문을 제기하는 뉘앙스를 가진다. 광둥어(咩)에서 유래했으며, 평서문을 의문이나 놀람을 나타내는 질문으로 바꾼다.[42]

  • ''I like her, cannot meh?'' (나는 그녀가 좋아. 그게 안 돼?)


맹글리시에서는 지칭 대명사('나', '너')를 생략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중국어말레이어에서 대명사 사용이 필수가 아닌 점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이다.[44]

  • ''(You) Never do things properly.'' (넌 제대로 하는 게 없어.)
  • ''(You) Always cannot, cannot, cannot.'' (넌 항상 안 된다고만 해.)


또한, 'staffs'(직원들), 'equipments'(장비들), 'informations'(정보들)처럼 불가산 명사를 복수형으로 사용하거나 관사를 생략하는 경향도 나타난다.[44]

6. 어휘

맹글리시의 어휘는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 영어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다언어 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주로 말레이어, 중국어(특히 민난어, 광둥어 등 방언), 타밀어말레이시아 내 주요 공동체의 언어에서 많은 어휘와 표현을 받아들였다.[9]

이러한 여러 언어 요소가 한 문장이나 발화 안에서 뒤섞여 사용되는 현상을 '로작'(Rojakms)이라고 부르는데[9], 이는 맹글리시 어휘 구성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로작은 단순한 단어 차용을 넘어, 다른 언어의 동사나 형용사에 영어 접사를 붙여 사용하거나, 반대로 모국어의 문장 구조를 영어 단어로 그대로 옮겨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전등을 켜다는 표현을 영어식 "turn on the light" 대신,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open the light"라고 하거나 말레이어의 영향으로 "on the light"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화자의 모국어가 무엇이냐에 따라 사용하는 어휘나 표현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의 영향은 개별 단어 차원을 넘어 문장 구성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맹글리시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어휘와 감탄사, 그리고 각 언어의 영향에 따른 표현 방식의 변화는 아래 하위 문단들에서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6. 1. 영어 화자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것

맹글리시는 영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으로 변화하여,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이는 언어가 지역 사회에 맞게 변형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때로는 의사소통에 혼란을 주기도 한다. 특히 말레이어중국어 방언의 영향을 받아 원래 영어 단어의 의미나 용법이 달라지거나, 해당 언어의 표현을 영어로 그대로 직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다음은 영어 화자들이 맹글리시를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 '''got''': 영어의 'have', 'has', 'had' (가지다, 있다) 대신 사용된다.[45] 예를 들어, "Do you have an eraser?" (지우개 있니?) 대신 "You got eraser?"라고 묻고, "I have" (있어) 대신 "I got"이라고 답한다. 단순히 있는지 없는지를 물을 때는 "Got or not?"이라고 한다.[45] 이는 중국어의 有(yǒu, 있다/가지다)와 용법이 유사하다. 영어 문법에는 맞지 않으며, 영어권 화자들은 이 의미를 즉시 파악하기 어렵다.
  • ''Got question?'' – 질문 있습니까?
  • ''Yesterday, East Coast Park got so many people!'' – 어제 이스트 코스트 파크에 사람이 엄청 많았어.
  • ''This bus got aircon or not?'' – 이 버스에 에어컨이 있습니까?
  • '''where got''': "무슨 소리야?", "말도 안 돼"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이는 말레이어 'mana ada' (mana: 어디, ada: 있다/가지다)나 중국어 '哪里有'(nǎli yǒu, 어디에 있어?)를 직역한 것이다.[45] 'ada'나 '有'가 맹글리시에서 'got'으로 번역되면서 'where got'이라는 표현이 생겼다. 문자 그대로 "어디에 있어?"라고 해석될 수 있어 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영어로는 "What are you talking about?" 또는 "That's not true" 정도의 의미이다.
  • '''chop''': 영어로는 '썰다'는 뜻이지만, 맹글리시에서는 '도장(stamp)' 또는 '도장을 찍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는 말레이어 'cop'(도장)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16] 흔히 도장이 필요할 때 'stamp' 대신 'chop'이라고 한다. (예: "Can you chop this receipt?" - 이 영수증에 도장 찍어줄래?)
  • '''handphone''': 휴대 전화를 의미한다. 이는 한국의 콩글리시에서도 사용되는 표현이지만, 영어권에서는 주로 'cell(ular) phone' 또는 영국식 영어에서 'mobile phone'이라고 한다.
  • '''already''': 영어에서는 '이미'라는 뜻으로 과거에 완료된 상황을 나타내지만, 맹글리시에서는 'now'(지금)의 의미로도 사용된다.[45] 이는 말레이어 'sudah'(이미 완료됨, 또는 현재 상태)를 직역한 결과이다. 말레이어에서는 'Dia sudah gila'(그는 미쳤다 - 현재 상태)처럼 현재 상황에도 'sudah'를 사용하는데, 이를 영어로 그대로 옮겨 "He's fat already"(그는 지금 뚱뚱하다)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 '''pity (인칭대명사)''': 상대방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할 때 사용하며, 말레이어 'kesian (인칭대명사)'를 직역한 것이다. 예를 들어 'kesian kau'(네가 안됐구나)를 'pity you'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영어에서 어색하며 "I feel sorry for you" 또는 "That's too bad"가 더 자연스러운 표현이다.
  • '''call''': 단순히 '전화하다' 외에, 누군가를 '부르다' 또는 '찾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이는 말레이어 'panggil'(부르다)을 직역한 영향이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너를 찾으신다"는 의미로 말레이어 'Cikgu panggil kau'를 그대로 옮겨 "Teacher call(s) you"라고 표현하는 식이다. 문법적으로는 'calls'가 맞지만, 맹글리시 사용자들은 종종 'Teacher call you' 형태로 사용하며, 오히려 문법에 맞게 'calls'라고 하면 잘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올바른 영어 표현은 "Teacher wants to see you"이다.
  • '''앙 모'''(紅毛|앙 모중국어, ang mo): 호키엔어로 '붉은 털'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말로, 주로 화교들이 백인을 지칭할 때 사용한다. 광둥어로는 구에이로(鬼佬|구에이로중국어)라고도 한다.
  • '''맛 살레'''(Mat Salleh): 말레이인들이 백인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말레이어 용어이다.
  • '''outstation''': '도시 외곽' 또는 '지방'을 의미한다. 식민지 시대 영국 관리들이 더위를 피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던 것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
  • '''terrer''': 영어 'terror'(공포)와 발음이 같지만, 실제로는 '매우 훌륭한', '대단한'이라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예: "Wah, that guy ''terrer'' sia!")
  • '''action / ackshun / eksyen''': 잘난 척하거나 거만한 태도를 의미한다. 영어 'action'에서 유래했다.[16]
  • '''best''': '최고로 좋은'이라는 의미. 'syok/shiok'도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33]
  • '''blur''': 혼란스러워하거나 상황 파악을 잘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22] (예: "Don't be so blur!")
  • '''cincai|친차이ms''': '대충', '아무렇게나'라는 의미. 호키엔어 凊彩|친차이중국어(chhìn-chhái)에서 유래했다.[16][17] (예: "Just cincai order anything lah.")
  • '''geng''': '훌륭한', '놀라운'. 주로 사람을 묘사할 때 쓴다.[18] (예: "Wah, he really geng one.") 'seng'도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 '''geram|그람ms''': 짜증나거나 화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원래 말레이어에서는 '애정 어린 분노'나 '열정'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맹글리시에서는 주로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낸다.[16] (예: "Eh, look at his attitude, makes me geram only!")
  • '''la-la''': 화려하고 요란하지만 촌스러운 외모나 스타일을 지칭하는 말. 원래는 특정 스타일의 여성을 비하하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남성에게도 사용된다. 'la-la zai'(남성), 'la-la mui'(여성)로 구분하기도 한다.
  • '''macam yes''':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면서 스스로 대단하다고 여기는 사람을 묘사할 때 쓴다. 'Macam'은 '마치 ~처럼'을 의미하는 말레이어이고, 'yes'는 여기서는 '훌륭한' 정도의 의미이다. (예: "He macam yes one.")
  • '''ngaam ngaam''': '딱 맞다'. 광둥어 啱啱|응암응암중국어에서 유래했다.[19] (예: "This shirt fits me ngaam ngaam.")
  • '''pai-seh''': '부끄러운', '창피한', '미안한'. 호키엔어 歹勢|파이세중국어에서 유래했다.[20][21] (예: "So pai-seh, I forgot your name.")
  • '''slumber''': '편안한', '느긋한'. 말레이어 'selamba'(무관심한)와 영어 'slumber'(잠)가 합쳐진 말일 수 있다.
  • '''sup-sup sui''': '아주 쉬운', '별거 아닌'. 광둥어 濕濕碎|삽삽서이중국어에서 유래했다.[16]
  • '''syok|쇽ms / shiok|시옥ms''': '아주 좋은', '즐거운', '만족스러운'. 말레이어 'syok'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페르시아어 'šoḵ'(쾌활한) 또는 아랍어 'šawq'(열정)에서 왔을 수 있다.[22][23]
  • '''tidak apa''': '괜찮아', '신경 안 써'. 말레이어에서 유래했다.[25]
  • '''ulu|울루ms''': '외딴', '촌스러운', '세련되지 못한' 곳이나 사람을 의미한다. 말레이어로 강 상류나 내륙 지역을 뜻하는 데서 유래했다.[16]
  • '''yellow''': '음흉한', '변태적인'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노란색을 음란함과 연관 짓는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예: "Don't be so yellow leh.")
  • '''agak agak|아각 아각ms''': '대략', '어림짐작으로'. 말레이어로 '추측하다'는 의미이다.[25]
  • '''sibeh''': '매우', '극도로'. 호키엔어 死爸|시베중국어에서 유래했다. 좋거나 나쁜 것을 강조할 때 쓴다. (예: "This work is sibeh tough.")
  • '''beh tahan''': '참을 수 없다'. 호키엔어 'beh'(~할 수 없다)와 말레이어 'tahan'(참다)이 합쳐진 말이다. (예: "I beh tahan the heat.")
  • '''cabut|차붓ms / cantas''': '도망가다', '자리를 뜨다'. 말레이어 'cabut'은 원래 '뽑다'는 뜻이다.[25] (예: "Boss is coming, let's cabut!")
  • '''gostan''': '후진하다'(주로 차량). 영어의 항해 용어 'go astern'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26] 때로는 'gostan balik'(뒤로 후진)이라고도 한다.
  • '''jadi|자디ms''': '일어나다', '성공하다', '되다'. 말레이어에서 유래했다. "그래서?"라는 의미로 ''Jadi?''라고 묻기도 한다.
  • '''jalan|잘란ms / jalan-jalan|잘란잘란ms''': '걷다', '산책하다', '여행하다'. 말레이어로 '길' 또는 '걷다'를 의미한다.[27]
  • '''kacau|카차우ms''': '방해하다', '괴롭히다'.[28][29] (예: "Don't kacau me, I'm busy.")
  • '''kantoi''': '들키다', '딱 걸리다'. (예: "He kena kantoi cheating." - 그는 부정행위를 하다가 들켰다.)
  • '''kena|크나ms''': '당하다', '걸리다', '받다'(주로 부정적인 상황). 말레이어 수동태 동사에서 유래했다.[28] (예: "If you park here, sure kena saman one." - 여기에 주차하면 딱지 끊길 거야.)
  • '''kenasai / kanasai''': '곤경에 처하다'. 말레이어 'kena'(당하다)와 호키엔어 'sai'(屎, 똥)가 합쳐져 '똥 밟았다'는 의미를 만든다.[30]
  • '''makan|마칸ms''': '먹다'. 말레이어에서 유래했다. (예: "Jom makan!" - 밥 먹으러 가자!) 또한 '내기를 하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예: "I makan 1/2 biji on Manchester United"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1/2 핸디캡을 걸었다.)
  • '''kow-kow / kowkow / kaukau''': (발음: 카우카우) 어떤 행동의 강도나 정도가 '심하게', '제대로' 임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충격, 분노, 고통, 즐거움 등 다양한 상황에서 쓰일 수 있다. (예: "He kena scold kow kow." - 그는 심하게 혼났다.)
  • '''lempang''': 말레이어로 원래 '강타'를 의미하지만, 보통 '뺨을 때리다'는 뜻으로 쓰인다. (예: "Careful, he might lempang you.")
  • '''mamak|마막ms / 마막 스톨''': '마막'은 인도계 무슬림을 가리키는 속어이며, '마막 스톨'은 이들이 운영하는 길거리 식당이나 가게를 의미한다.[31] (예: "Let's go makan at the mamak.")
  • '''mempersiasuikan''': '창피를 주다', '망신시키다'. 호키엔어 '泻衰|시아 수아이중국어'(sia suay, 창피함)[32]말레이어 접사 'mem-', 'per-', '-kan'을 붙여 만든 단어이다.[33]
  • '''minum|미눔ms''': '마시다'. 말레이어이다.
  • '''on / off''': 동사로 '켜다', '끄다'를 의미한다. (예: "Please off the lights.")[26]
  • '''pakat''': '공모하다', '작당하다'. 말레이어에서 유래했다. (예: "They pakat to cheat.")
  • '''pengsan|펭산ms''': '기절하다'. 말레이어이다.
  • '''pon''': '수업을 빼먹다', '땡땡이치다'. 말레이어 'ponteng'에서 유래했다.
  • '''saman''': '벌금 딱지' 또는 '벌금을 부과하다'. 영어 'summons'(소환장)에서 유래했다. 주로 교통 위반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 '''shake leg''': '빈둥거리다', '아무것도 안 하다'. 말레이어 'goyang kaki'(다리를 흔들다)를 직역한 표현이다.
  • '''siam''': '피하다', '비키다'. (예: "Quickly siam, boss is coming.")
  • '''sit''': '타다'(주로 교통수단). (예: "I sit bus to work." - 나는 버스를 타고 출근한다.)[34]
  • '''tahan|타한ms''': '참다', '견디다'.[25] (예: "Cannot tahan the smell." - 냄새를 참을 수가 없어.)
  • '''tumpang-ing''': 남의 차를 '얻어 타다' 또는 남의 집에 '신세 지다'. 말레이어 동사 'tumpang'에 영어 '-ing'를 붙인 형태이다.
  • '''얌차'''(飲茶|얌차중국어, yam-cha / yum-cha): 친구들과 어울려 차를 마시거나 식사하는 모임. 주로 마막 스톨에서 이루어지지만 다른 장소에도 적용된다. 광둥어 '얌차'에서 유래했다.[33]
  • '''(말레이어 단어) + -ing''': 특정 행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예: "Makan-ing" - 먹고 있는 중, "Dia tengah tipu-ing" - 그가 속이고 있는 중)


또한, 다양한 언어에서 유래한 감탄사들이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 '''Alamak''': 놀람이나 당황스러움을 나타내는 말레이어 감탄사. 알라와 'mak'(어머니)의 축약형일 수 있다.[35]
  • '''Abuden?''': 호키엔어 "A-bo"(그렇지 않으면)와 영어 "then"이 합쳐진 말로, 명백한 사실에 대한 비꼬는 듯한 대답. 영어의 "Obviously!"와 비슷하다.
  • '''Adoi''': "아야!"와 같이 아픔이나 고통을 나타내는 말레이어 감탄사.[35]
  • '''Aiyoh / Aiyah / Aiyer''': 놀람, 실망, 당혹감, 혐오 등을 나타내는 중국어 유래 감탄사.[35] (예: "Aiyah, why like that?")
  • '''Anoh''': 동의를 표하는 감탄사. 주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이 사용한다.
  • '''Bo jio''': 호키엔어로 "초대 안 했네"(無招|보 지오중국어)라는 뜻으로, 친구들끼리 자신을 빼놓고 무언가를 했을 때 장난스럽게 불평하는 말.[33]
  • '''Cehwah / Huiyooh / Fuyoh / Fuiyoh / Fuiyor / Fulamak / Aiseh''': 놀라움, 감탄, 굉장함을 나타내는 다양한 감탄사. (예: "Fuyoh, so cool!")
  • '''Cheh''': 못마땅함이나 경멸을 나타내는 말레이어 유래 감탄사.[35][36]
  • '''Deyh!''': 주로 남성 친구를 부를 때 쓰는 말. 타밀어에서 유래했다.
  • '''Die / Finish / Gone / Habis / Mampus / Mampui / Sei / See / GG / Pok kai''': "큰일 났다", "망했다", "끝장이다" 등의 의미로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 유래 표현들. 문자 그대로 죽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Sei'는 광둥어에서 '죽다'는 의미이다. (예: "Today he ''die'' because of that 고리대금업자.")
  • '''Geli''': '역겨운', '징그러운'. (예: "Eh, this thing very geli eh!")
  • '''Haiz / Haish''': 한숨을 나타내는 소리. (예: "Haiz, still got so much work.")
  • '''Izzit?''': 약간의 의심이나 놀람을 나타내며 "정말?" 또는 "그래?"라는 의미. 영어 "Is it?"에서 변형되었다.[37]
  • '''Jinjang''': 유행에 뒤떨어지거나 촌스러운 외모나 스타일을 묘사하는 용어. 쿠알라룸푸르 외곽의 진장(Jinjang) 지역 이름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예: "His fashion so jinjang.")
  • '''Giler Ah!''': 충격이나 놀라움을 나타내는 감탄사. 말레이어 'gila'(미친)에서 유래했다. 무례하거나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을 지칭할 때도 사용된다.
  • '''Neh''': (높은 음조) 무언가를 상기시키거나 강조할 때 사용된다. (예: "Neh, remember I told you yesterday?")
  • '''Neh''': (올라가는 음조) 무언가를 가리키거나 제시할 때 사용된다. (예: "Neh, take this.")
  • '''Oi''': 누군가를 부를 때 사용하며, 다소 무례하게 들릴 수 있다. (예: "Oi, faster lah!")
  • '''Podaa!''': 타밀어에서 유래한 말로, 불신을 나타내며 "꺼져!" 또는 "말도 안 돼!"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 '''Siao''': '미친'. 호키엔어 痟|사오중국어에서 유래했다.[35] (예: "Are you siao?")
  • '''Walao eh''': 놀람이나 굉장함을 나타내는 감탄사. 호키엔어 또는 차오저우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35]
  • '''Wah''': 놀람이나 감탄을 표현하는 감탄사. 광둥어 嘩|와중국어에서 유래했다.[35][38]
  • '''Watodo''': "어쩌겠어?", "뭘 할 수 있겠어?"라는 수사적인 질문. 영어 "What to do?"에서 변형되었다.
  • '''Wei''': 가까운 친구를 부르거나 전화를 받을 때 "여보세요" 대신 사용된다. 중국어 喂|웨이중국어에서 유래했다.[39]
  • '''Woi''': 짜증이나 불쾌감을 표현하는 감탄사. (예: "Woi, stop it lah!")


문법적으로도 영어와 다른 특징이 나타난다.

  • '''Can의 활용''': '할 수 있다'는 의미 외에도 질문이나 대답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부정형은 'cannot'이다.
  • ''Give me, can?'' – (나에게 줘, 알았지?)
  • ''Can!'' – (돼! / 물론이지! / 가능해!)
  • ''Cannot.'' – (안 돼.)

6. 2. 로작 (Rojak)

'로작'(Rojakms)은 여러 언어의 어휘가 뒤섞여 사용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레이어 단어로[9], 맹글리시에서 흔히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단순히 외래어를 차용하는 것을 넘어, 문장 구성이나 단어 사용에 있어 여러 언어의 요소가 자연스럽게 혼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맹글리시 사용자들은 모국어인 말레이어, 중국어(주로 민난어, 광둥어), 타밀어 등의 어휘나 표현, 감탄사 등을 영어와 섞어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일종의 코드 스위칭으로 볼 수 있다.[9]

다른 언어의 동사나 형용사에 영어 접사가 붙거나, 반대로 다른 언어의 구문 구조를 사용하여 영어 단어로 문장을 구성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모국어의 구문을 영어로 그대로 직역하여 "turn on the light" 대신 "on the light"라고 하거나, 중국어의 영향으로 "open the light"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중국어의 영향은 문법적인 측면에서도 나타난다. 중국어는 동사의 시제를 엄격하게 표시하지 않고 문맥이나 시간 관련 부사('어제', '오늘' 등)를 통해 시제를 파악하는 경우가 많은데[10], 이러한 특징이 맹글리시에도 반영되어 "She go to the shop yesterday" (그녀는 어제 가게에 갔다) 와 같이 시제 표시가 생략된 문장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중국어 화자들은 강세에 따라 리듬이 변하는 영어와 달리 음절 단위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어, 맹글리시를 다소 끊어 읽는 듯한 느낌으로 말하기도 한다.

다음은 맹글리시에서 자주 사용되는 로작 어휘의 예시이다.

단어의미유래 언어예시
kacau방해하다, 혼란스럽게 하다말레이어Donkacau''' me. (나 방해하지 마.)[28][29]
sibeh매우, 아주민난어 (死爸nan)Itsibeh''' nice. (이거 진짜 괜찮다.)
tahan참다, 견디다말레이어I cannot tahan. (나 진짜 못 참겠어.)[25]
kena(피동 표현), ~를 당하다, 적발되다말레이어My Facebook kena hacked. (내 페이스북 해킹당했어.)[28]
kan그렇지?, 그치? (동의를 구할 때)말레이어Itsibeh delicious, kan'''? (이거 진짜 맛있지, 그치?)
bodoh바보, 멍청이 (종종 욕설로 간주됨)말레이어Heso bodoh'''! (쟤 완전 멍청이야!)
liao이미, 벌써 (already)중국어She marah liao. (걔 지금 화났어.)
marah화난말레이어Dondo that! Ms. Lina marah''' sudah! (그러지 마! 리나 선생님 지금 화나셨다고!)
chop(승인의) 도장말레이어 "cap" 혼동Get the chop for the letter from the office. (사무실에서 편지에 도장 받아와.)
cincai (凊彩중국어)대충, 아무렇게나민난어I just cincai order a dish from the menu. (나는 그냥 메뉴에서 대충 요리 하나 주문했어.)[16][17]
pai-seh (歹勢중국어)부끄러운, 민망한, 미안한민난어Got punished... so pai-seh eh! (벌 받았어... 너무 창피해!)[20][21]
syok/shiok매우 좋은, 즐거운, 만족스러운말레이어 (페르시아어/아랍어 유래 가능성)This food is very syok! (이 음식 정말 맛있다!)[22][23]
ulu외딴, 시골의, 한적한말레이어That place is so ulu. (그곳은 정말 외딴 곳이야.)[16]
makan먹다, 식사하다말레이어You makan dy? (식사 하셨어요?)[27]
Alamak어머나!, 아이고! (놀람, 당황)말레이어Alamak! I forgot my keys. (어머나! 열쇠를 잊었네.)[35]
Adoi아야! (고통)말레이어Adoi! That hurts! (아야! 아프잖아!)[35]
Walao eh헐!, 와! (놀람, 감탄)민난어/차오저우어Walao eh! Are you serious? (헐! 너 진짜야?)[35]



또한, 맹글리시에서는 문장 끝에 다양한 입자(particle)를 붙여 어감이나 의미를 더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lah'이다. 'lah'는 말하는 사람의 입장을 강조하거나 듣는 이와의 연대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40] 명확성을 위해 띄어쓰는 경우가 많지만, 발음상으로는 앞 단어에 붙여서 말한다.

'lah'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 말레이어 유래설: 말레이어에서 'lah'는 동사를 명령형으로 바꾸거나('minum' 마시다 → 'minumlah' 마셔라!), 어조를 부드럽게 할 때 사용된다. 맹글리시에서도 "Drink lah!" (어서 마셔!) 와 같이 명령이나 권유를 부드럽게 표현할 때 자주 쓰인다.[40] 또한 "Yes lah", "No lah"처럼 대답에 붙여 덜 무뚝뚝하게 만들고 대화를 부드럽게 이어가는 역할도 한다.
  • 광둥어 유래설: 광둥어에서도 문장 끝에 'lah'(啦yue)를 붙여 명령을 요청처럼 부드럽게 만드는 용법이 있다.
  • 타밀어 유래설: 남부 타밀나두 지역의 타밀어에서도 비슷한 용법으로 'lah'가 사용된다는 주장이 있다.[41]


'lah'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 무뚝뚝한 응답 완화: "Don't have '''lah'''!" (없어! - 돈 빌려달라는 요청에 대한 대답)
  • 안심시키기: "Don't worry, he can do it one '''lah'''." (걱정 마, 걔는 할 수 있어.), "It's okay '''lah'''." (괜찮아.)
  • 항목 나열 강조: "They got sell Nasi Lemak '''lah''', Roti Canai '''lah''', Chapatti '''lah'''; Everything got '''lah'''!" (나시 르막도 팔고, 로티 차나이도 팔고, 차파티도 팔고; 다 있어!) (단, 이 용법은 흔하지 않다.)


하지만 'lah'는 예/아니오 질문에는 사용할 수 없다. 대신 'ar'과 같은 다른 입자가 사용된다. 예: "Where are you '''ar'''?" (너 어디야?)[40]

이처럼 맹글리시의 로작 현상과 입자 사용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혼합된 말레이시아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독특한 언어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6. 3. 합성어

로작은 한 문장에 2개 이상의 언어를 섞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맹글리시의 합성어는 하나의 단어 자체가 2개 이상의 언어로 이루어진 경우를 말한다. 이는 숙어와는 다른 개념이다.

  • '''maluation''': 말레이어로 '부끄러운', '수치'를 뜻하는 malums영어의 명사형 접미사 '-ation'을 결합한 단어이다. 본래 영어로는 embarrassment영어(수치, 당황)이며, 말레이어로는 kemaluanms이다.
  • '''keboringan''': 영어로 '지루한'을 의미하는 boring영어에 말레이어의 파생 접사 ke- -anms을 붙여 만든 단어이다. 말레이어에서 ke- -anms 접사는 형용사나 동사를 명사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동사 '발전하다'(majums)에 이 접사를 붙이면 명사 '발전'(kemajuanms)이 된다. 따라서 keboringanms은 형용사 boring영어을 명사화한 맹글리시 표현이다. 말레이어에서 '지루함'을 뜻하는 단어는 bosanms 또는 jemums이며, 이를 명사화하면 각각 kebosananms, kejemuanms이 된다.

7. 음운론적 특징

맹글리시는 말레이시아 원어민이 구사할 때 표준 영어와는 구별되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싱글리시와 매우 유사하지만, 두 가지는 동일한 변종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5]

'''비-설단음화'''


  • 맹글리시는 영국 영어용인 발음이나 싱글리시처럼 비-설단음화(non-rhotic) 특징을 보인다. 이는 단어 끝의 /r/ 발음이 생략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water'는 /wɒtə/로, 'player'는 /plejə/로 발음된다.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 없음'''

  • 맹글리시에서는 /ɑː/나 /ɜː/와 같은 장모음과 /ʌ/나 /ə/와 같은 단모음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father'는 표준 발음 /fɑːðə/ 대신 /fʌdə/처럼 발음될 수 있다.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 일부 이중 모음은 단모음으로 축약되어 발음된다. 예를 들어, /eɪ/는 종종 /e/로 발음되어 'later'는 /leɪtə/ 대신 /letə/처럼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치 마찰음의 파열음화'''

  • 표준 영어의 치 마찰음 /ð/와 /θ/는 맹글리시에서 종종 치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ð/는 유성 파열음 /d/로, /θ/는 무성 파열음 /t/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this' /ðɪs/는 'dis' /dɪs/처럼, 'thing' /θɪŋ/는 'ting' /tɪŋ/처럼 발음된다.


'''최종 자음 생략'''

  • 단어 끝에 오는 자음이 생략되는 경우가 흔하다. 예를 들어 'don't'는 'dun', 'fact'는 'fac', 'adapt'는 'adap' 등으로 발음될 수 있다.


'''/ʊ/로 끝나는 이중 모음에서 입술 둥글림 없음'''

  • /əʊ/나 /oʊ/처럼 끝에서 입술을 둥글게 모으는 이중 모음은 맹글리시에서 입술 둥글림 없이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so'나 'go'는 표준 발음 /soʊ/, /goʊ/ 대신 /so/, /go/처럼 발음된다.

8. 인터넷에서의 사용

인터넷, 특히 블로거들 사이에서 맹글리시의 사용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43] 아래는 인터넷 등에서 사용되는 맹글리시 표현의 예시이다.

명사형용사동사
1에어컨(aircon): 에어컨디셔닝(air conditioning)의 약자.시욕 쓴드리(Shiok sendri): 흥분하거나 재미있어하는 감정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치플락(Ciplak): 표절을 묘사한다.고양 카키(Goyang kaki): 영어로 번역하면 "다리를 흔들다"는 뜻이다. 말레이시아 사람들에게 다리를 흔드는 것은 할 일이 없고 그저 빈둥거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게걸스(Gegirls): 현지 텔레비전 코미디언들이 여자들에게 친근한 별명으로 자주 사용하면서 유행한 속어. 여자 그룹을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친차이(Chinchai): 호키엔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어날 수 있는 가능한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무지한 태도로 사람이 저지르는 비진지하거나 단순한 태도를 의미한다.
예시: 나는 친차이하게 바꿔 쓰고 요약한다.
파우(Pau):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사거나 돈을 달라고 요청하는 것을 나타낸다.마칸-마칸(Makan-makan): 말레이시아 사람들이 집이나 친구들과의 소규모 모임과 같은 작은 식사 행사를 묘사하는 데 사용한다.
3캭차이(Kapcai): 작은 오토바이를 묘사한다. 광둥어 "차이"가 더해진 특정 모델의 혼다 오토바이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매우 작다는 의미이다.치바이(Chibai): 말레이시아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욕설. 여성 성기를 지칭하는 호키엔어 단어에서 파생되었다. 젠장, 놈, 기타 욕설을 의미할 수도 있다.멤바왕(Membawang): 가십을 의미하는 말레이어에서 파생된 속어. 바왕양파를 의미한다. 은 동사의 접두사이다. 이 속어는 양파 껍질을 벗기면서 함께 가십을 하는 많은 아줌마가 있기 때문에 생겨났다.
4삼촌/이모(Uncle/Auntie): 말레이시아 사람들은 혈연관계가 없더라도 모든 중년 성인을 삼촌과 이모라고 부른다.가탈(Gatal): 말레이어에서 번역하면 이 단어는 영어로 "가려운"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 단어는 "고의로" 또는 여성의 색욕을 나타낸다.|
5)|
6)|


9. 평가와 논란

맹글리시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지역적 특색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부터 고쳐야 할 문제점으로 보는 시각까지 평가는 다양하다. 맹글리시는 영어의 기본 문법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고, 영어 화자가 알아듣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된다.[45] 특히 이러한 점이 '국제 망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45] 또한 많은 단어가 원래 영어 뜻과 다르게 사용되어 영어 학습에 방해가 된다는 주장도 있다.

일각에서는 싱가포르싱글리시를 배제하는 것처럼 말레이시아 역시 맹글리시를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5] 실제로 많은 사람이 이러한 주장에 동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맹글리시는 이미 말레이시아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어, 실제로 배제를 추진한다 하더라도 쉽게 고쳐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10. 싱글리시와의 비교

맹글리시는 싱가포르싱글리시와 상당한 언어적 유사성을 공유하지만, 특히 어휘에서 차이를 보인다. 역사적으로 싱가포르와 현재 말레이 반도를 구성하는 여러 주는 다양한 형태의 영국 통치 하에 있었으며, 이 시기에는 "싱글리시"와 "맹글리시"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언어였다. (영국령 말라야 참조).[3]

맹글리시와 싱글리시는 이처럼 공통의 역사와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두 언어의 차이점은 매우 미묘하여 때로는 현지인조차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는 다수 인구가 말레이족이므로 맹글리시는 말레이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반면, 싱가포르는 다수 인구가 한족이므로 싱글리시는 호키엔 방언이나 중국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말레이어 단어로 동사를 수동태로 만드는 접두사인 kena|크나ms는 맹글리시에서 더 자주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싱글리시에서는 liao|랴오중국어(호키엔어로 "이미"라는 뜻)나 nia|니아중국어(호키엔어로 "단지"라는 뜻)와 같은 단어를 더 자주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단어들이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kena|크나ms는 싱글리시에서도 사용되고, liao|랴오중국어는 맹글리시에서도 사용되지만, 그 사용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이는 두 언어가 서로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외국인의 귀에는 두 언어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다.

11. 기타 용법


  • '맹글리시'라는 단어는 인도 케랄라 주의 말라얄람어 화자들이 말라얄람어 억양으로 구사하는 영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주로 말라얄람어 매체를 통해 확산되었으며, 말라얄람어 학교에서 공부한 사람들이 주로 사용한다.
  • 맹글리시는 일본의 주요 영자 온라인 신문인 ''마이니치 데일리 뉴스''의 대화형 만화 코너 이름이기도 하다. 해당 코너의 일본 만화는 웹사이트에 원본 형식으로 표시되며, 마우스를 올리면 말풍선에 일본어 대사의 영어 번역이 나타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참조

[1] 서적 Lingua et Linguistica 1.1 https://books.google[...] Lulu.com
[2] 간행물 A multitude of "lishes": The nomenclature of hybridity https://benjamins.co[...] 2018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laysia: Languages & Literature 2004
[4] 서적 English in Malaysia: Current Use and Status https://books.google[...] Brill 2016
[5] 서적 English in Southeast Asia: Features, Policy and Language in Us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2
[6] 서적 The Routledge Concise History of Southeast Asian Writing in Englis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
[7] 뉴스 Just don't call it Manglish! https://www.thestar.[...] 2013-10-08
[8] 서적 The Handbook of Business Discours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9
[9] 간행물 The sociolinguistic status of Malaysian English https://www.academia[...] 2019
[10] 학위논문 Colloquial Malaysian English (CMalE): a problem or a cool phenomenon? http://repositori.uj[...] Jaume I University 2015
[11] 문서 2015
[12] 문서 Topic prominence and null arguments in Singapore Colloquial English Singapore Association for Applied Linguistics 2003
[13] 문서 Null Arguments in Singapore Colloquial English University of Cambridge 2007
[14] 문서 Subject omission in Singapore Colloquial English Singapore Association for Applied Linguistics 2003
[15] 문서 The Step-tongue: Children's English in Singapore Multilingual Matters 1994
[16] 서적 Manglish: Malaysian English at Its Wackiest!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2019
[17] 웹사이트 【凊彩】tshìn-tshái https://twblg.dict.e[...] Ministry of Education, R.O.C.
[18] 웹사이트 22 Malaysian Slang Words Only Locals Use Like Potong Stim & Kantoi https://thesmartloca[...] 2023-07-07
[19] 웹사이트 "「啱啱」" https://words.hk/zid[...]
[20] 웹사이트 15 Malaysian Slang Words To Help You Speak Like a Local https://theculturetr[...] 2017-11-30
[21] 웹사이트 歹勢 https://www.mdbg.net[...]
[22] 뉴스 Singapore terms join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bbc.co.u[...] 2016-05-12
[23] 웹사이트 Shiok https://www.oed.com/[...]
[24] 서적 Frontline: Reporting from the World's Deadliest Places Penguin Books 2011-05-09
[25] 서적 Manglish: Malaysian English at Its Wackiest!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2019
[26] 서적 Manglish: Malaysian English at Its Wackiest!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2019
[27] 웹사이트 Jalan https://en.glosbe.co[...]
[28] 웹사이트 K http://www.mysmu.edu[...]
[29] 웹사이트 Kacau https://en.glosbe.co[...]
[30] 웹사이트 K: kena sai http://www.mysmu.edu[...]
[31] 웹사이트 Mamak https://www.lexico.c[...]
[32] 서적 China Social Sciences Press 2002
[33] 웹사이트 Top 10 slangs only Malaysians would say https://www.timeout.[...] 2015-05-13
[34] 웹사이트 A Grammar of Baba Malay https://studylib.net[...]
[35] 서적 Manglish: Malaysian English at Its Wackiest!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2019
[36] 웹사이트 C http://www.mysmu.edu[...]
[37] 웹사이트 Kamon-lah, Tok Manglish OK? http://adoi-means-ou[...] 2007-11-09
[38] 웹사이트 嘩 http://www.cantonese[...]
[39] 웹사이트 喂 https://www.mdbg.net[...]
[40] 뉴스 Primer on Manglish http://www.thestar.c[...] The Star 2015-01-05
[41] 웹사이트 Maritime Contacts on the Coromandal Coast http://www.asiaocean[...] 2008-02-02
[42] 웹사이트 咩 http://www.cantonese[...]
[43] 학위논문 A comparison of Manglish and Singlish lexis in blogs/Nadhiya binti Norizam http://studentsrepo.[...] University of Malaya 2014
[44] 인용
[45] 웹인용 An introduction to Malaysian English (Manglish) http://www.travelfis[...] 2015-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