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련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련속(Magnolia)은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속으로, 프랑스 식물학자 피에르 마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상록수 또는 낙엽 활엽 교목이나 관목으로, 크고 향기로운 꽃과 골돌 형태의 열매를 특징으로 하며,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목련속은 식용, 약용, 관상용으로 널리 활용되며, 특히 별목련, 백목련, 목련, 자목련, 태산목 등이 주요 재배 품종이다. 20세기 후반 이후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분류 체계가 변화해 왔으며, 현재는 15개의 절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련속 - 자목련
자목련은 중국 남부 원산의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3~4월에 짙은 자주색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꽃봉오리는 약재로 사용된다. - 목련속 - 일본목련
일본목련은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황백색 꽃과 벤조산 메틸 향기를 내며 잎, 수피, 목재 등 다양한 부분에서 활용된다. - 살아있는 화석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살아있는 화석 - 코알라
코알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하는 유대류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의미의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물을 마시기도 하고, 호주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 목련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식물 분류 | |
| 학명 | Magnolia Plum. ex L. |
| 이명 | Alcimandra Dandy Aromadendron Blume Blumia Nees ex Blume Buergeria Siebold & Zucc. Champaca Adans. Dugandiodendron Lozano Elmerrillia Dandy Guillimia Rchb. Gwillimia Rottler ex DC. Houpoea N.H.Xia & C.Y.Wu Kmeria Dandy Kobus Kaempf. ex Salisb. Lassonia Buc'hoz Lirianthe Spach Liriopsis Spach Manglietia Blume (모쿠렌모도키속) Manglietiastrum Y.W.Law Metamagnolia Sima & S.G.Lu Michelia L. (오가타마노키속) Micheliopsis H.Keng Oyama (Nakai) N.H.Xia & C.Y.Wu Pachylarnax Dandy Parakmeria Hu & W.C.Cheng Paramagnolia Sima & S.G.Lu Paramanglietia Hu & W.C.Cheng Paramichelia Hu Sampacca Kuntze Santanderia Cespedes ex Triana & Planch. Sinomanglietia Z.X.Yu Sphenocarpus Wall. Svenhedinia Urb. Talauma A.Juss. Tsoongiodendron Chun Tulipastrum Spach Woonyoungia Y.W.Law Yulania Spach |
| 유형 종 | Magnolia virginiana |
| 유형 종 명명자 | L. |
| 하위 분류 계층 | 아속 |
| 하위 분류 | Magnolia Yulania Gynopodium |
| 종 다양성 | 210 ~ 340 종 |
| 종 다양성 링크 | Magnolia 종 목록 |
| 생물학적 특징 | |
| 가장 오래된 화석 | 팔레오기 |
| 꽃가루받이 매개체 | 딱정벌레 |
| 기타 | |
| 영어 이름 | Magnolias |
| 이미지 | |
![]() | |
2. 어원 및 역사
샤를 플루미에는 마르티니크 섬의 꽃이 피는 나무('talauma')를 지칭하기 위해, 프랑스 식물학자 피에르 마뇰의 이름을 따서 '백합나무속'(Magnolia)이라는 이름을 《속(Genera)》[8]에서 처음 사용했다. 마뇰의 제자인 조제프 피통 드 투르네포르 밑에서 파리에서 식물학을 공부한 영국 식물학자 윌리엄 셰라드는 플루미에 다음으로 '백합나무속'(Magnolia)이라는 속명을 채택한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9][10] 플루미에가 '백합나무속'(Magnolia)이라고 명명한 종은 나중에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에 의해 ''Annona dodecapetala''로 묘사되었으며,[11] 이후 'Magnolia plumieri'와 'Talauma plumieri' 등으로 명명되었지만, 현재는 ''Magnolia dodecapetala''로 알려져 있다.[12]
목련속 식물은 상록수 또는 낙엽수이며, 교목 또는 관목으로 자란다. 크고 향기로운 꽃은 흰색, 분홍색, 자주색, 녹색 또는 노란색을 띠며, 낙엽 종의 경우 봄에 잎보다 먼저 피기도 한다. 원뿔 모양의 열매는 주로 가을에 맺힌다.[5]
칼 린네는 1735년 《자연의 체계》에서 '백합나무속'(Magnolia)이라는 속명을 채택했고, 1753년 《식물의 종》에서 플루미에의 '백합나무속'(Magnolia)을 사용하며 ''Magnolia virginiana''를 유일한 종으로 하는 단형 속을 묘사했다. 린네는 ''Magnolia virginiana'' 아래에 5개의 변종(''glauca'', ''fœtida'', ''grisea'', ''tripetala'', ''acuminata'')을 설명했으나, 1759년 《자연의 체계》 10판에서 ''grisea''를 ''glauca''와 병합하고 나머지 4개 변종을 종으로 승격시켰다.[13]
18세기 말, 아시아를 탐험한 식물학자와 식물 사냥꾼들은 중국과 일본에서 발견된 '백합나무속'(Magnolia) 종을 명명하고 묘사하기 시작했다. 서양 식물학자들이 묘사한 최초의 아시아 종은 ''Magnolia denudata'', ''Magnolia liliiflora'',[14] ''Magnolia coco'', ''Magnolia figo''였다.[15] 1794년 칼 페터 툰베르크는 일본에서 ''Magnolia obovata''를 수집하고 묘사했으며, 거의 동시에 ''Magnolia kobus''도 처음 수집되었다.[16]
3. 특징
목련과의 화피는 분화되지 않고 9-15개가 3개 이상의 돌림으로 배열된다. 꽃은 양성화이며, 길쭉한 꽃받침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많은 심피와 수술을 가진다. 꽃의 심피는 꽃가루 매개 딱정벌레에 의해 손상되기도 한다.[6]
열매는 심피의 등쪽 봉합선을 따라 개열된다. 꽃가루는 단구형이며, 배아 발달은 마름형이다.[7]
3. 1. 형태적 특징
상록성 또는 낙엽성 교목이나 관목이다.[52][53] 잎은 홑잎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가 있다. 잎맥은 깃꼴맥이고, 어긋나게 나선형으로 배열되지만,[52][53] 목련 등 일부 종에서는 가지 끝에 모여 붙어 돌려나기처럼 보이기도 한다. 싹은 2장의 턱잎이 합쳐진 모자 모양의 눈비늘로 덮여 있지만, 이 턱잎은 일찍 떨어지면서 가지를 한 바퀴 도는 턱잎 자국을 남긴다.[52][53][54][58]
꽃은 크고 방사상 대칭이며 보통 가지 끝에 1개씩 달리지만, 오가타마노키 절에서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경우도 있다.[52][53][94] 보통 양성화이지만 드물게 단성화로 암수딴그루가 되거나 수꽃과 양성화가 함께 달리기도 한다.[55][95] 꽃덮이는 6–9(–45)개로 보통 3개씩 2겹 이상으로 배열되며 서로 떨어져 있다. 꽃덮이는 보통 꽃잎 모양이지만, 종에 따라 가장 바깥쪽 것은 작아서 꽃받침 모양을 띠기도 한다.[52] 수술과 암술은 다수이며, 길쭉한 꽃턱(꽃축) 위에 나선형으로 붙는다.[53] 수술은 떨어져 있고, 꽃실은 보통 굵고 짧으며, 수술의 꽃밥은 돌출되어 있고, 안쪽 또는 측면을 향한다.[52][53][94] 암술보다 수술이 먼저 성숙하며, 수술이 먼저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95] 암술은 심피가 떨어져 있으며 다수이거나 몇 개이며, 가장자리에 태좌가 있고 1개의 심피당 2-20개의 밑씨가 있다.[52][55][56][56][54][94] 꽃의 향기 성분은 다양하며, 종에 따라 테르페노이드(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 페닐프로파노이드, 함질소 화합물(벤질시안화물 등), 지방산 유도체(펜타데칸 등), 분지쇄 아미노산 유도체(아이소뷰틸 아세테이트 등)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가 알려져 있다.[57]
열매는 골돌이며, 여러 개의 열매가 모여 취과를 형성하고, 때로는 부분적으로 융합하기도 한다.[55][56] 각각의 열매는 보통 세로로 갈라지지만 가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94] 1개의 열매는 1–12개의 종자를 포함한다.[55] 종자는 붉은 육질의 종피로 덮여 있고, 열매에서 나와 씨껍질에 매달린다.[55] 속껍질은 딱딱하고 검은색이며, 발아 억제 물질을 포함한다.[58] 기본 염색체 수는 x = 19이다.[56][54]
3. 2. 생태적 특징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일부와 북미 동부에서 남미 일부의 온대와 열대 지역에 걸쳐 격리 분포한다.[52][55][54][94]
잎은 상록성인 것과 낙엽성인 것이 있다.[59] 충매화인 대형 꽃을 피우며, 딱정벌레, 파리목, 벌목 등에 의해 수분된다.[54][55][56][59]
열매가 갈라져 노출되는 종자는 붉은색으로 눈에 띄며, 주로 새에 의해 종자 산포된다.[60][61][62]
4. 분포 및 생태
목련속은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일부와 북미 동부에서 남미 일부의 온대역에서 열대역에 걸쳐 격리 분포한다.[52][55][54][94]
잎은 상록성인 것과 낙엽성인 것이 있다.[59] 충매화인 대형의 꽃을 피우며, 딱정벌레, 파리목, 벌목 등에 의해 수분된다.[54][55][56][59]
열매가 갈라져 노출되는 종자는 붉은색으로 눈에 띄며, 주로 새에 의해 종자 산포된다.[60][61][62]
5. 하위 분류
칼 린네는 1753년 식물의 종 초판에서 샤를 플루미에가 창설한 목련속()의 이름을 사용하여 목련속을 정식으로 기재했다. 그는 단일 종인 히메타이산보쿠()만을 기재하고 5개의 변종을 두었으나, 이후 변종들은 종으로 승격되었다.[13]
18세기 말, 아시아 탐험 식물학자들은 중국과 일본의 목련들을 명명하고 기재하기 시작했다. 서양 식물학자들이 처음 묘사한 아시아 종은 백목련()과 목련(시모쿠렌, )이었다.[14] 곧이어 1794년 칼 페터 툰베르크가 일본에서 후오노키()를 묘사했고, 목련()도 처음 채집되었다.[16]
종 수가 증가하면서 목련속은 ''목련속''(Magnolia)과 ''율라니아아속''(Yulania)으로 나뉘었다. ''목련속''(Magnolia)에는 기준종인 (미국목련)와 (목련)이, ''율라니아아속''(Yulania)에는 (백목련), (일본목련), (오이 나무) 등이 포함되었다.
20세기 말,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발생학 연구가 활발해졌다.[18][19][20] 연구 결과, 미켈리아속(Michelia)과 ''목련속'' 율라니아아속(subgenus ''Yulania'')은 ''목련속'' 목련아속(subgenus ''Magnolia'')보다 서로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1]
이에 따라 ''미켈리아속''(Michelia)과 ''율라니아아속''(Yulania) 종을 ''목련속''(Magnolia)이 아닌 공통 속으로 합치거나(이 경우 ''미켈리아속''이 우선), 율라니아아속을 속 수준으로 올리거나, ''미켈리아속''을 ''목련속''에 합치는 세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목련속'' 목련아속은 기준종인 를 포함하므로 변경할 수 없었다. 결국 대부분의 분류학자들은 ''미켈리아속''을 ''목련속''에 합치는 방안을 지지하였다.
(구) 탈라우마속(Talauma)과 두간디오덴드론속(Dugandiodendron)도 목련아속에 포함되었고, 망리에티아속(Manglietia)은 목련아속과 합쳐지거나 추가 아속 지위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엘메릴리아속(Elmerrillia)은 ''미켈리아속'' 및 ''율라니아아속''과 가까워 ''미켈리아속''처럼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 ''크메리아속''(Kmeria), ''파라크메리아속''(Parakmeria), ''파킬라르낙스속''(Pachylarnax) 등 작은 속들의 분류 위치는 불확실하며, ''미켈리아속''을 ''목련속''에 합치는 학자들은 이들도 ''목련속''에 포함하는 경향을 보인다.
5. 1. 절 (Section)
2012년, 목련 학회는 리처드 B. 피글러가 2004년 피글러와 한스 피터 노테봄의 분류를 바탕으로 제작한 속 분류를 웹사이트에 게재했다. ''목련속''의 종들은 3개의 아속, 12개의 절, 그리고 13개의 아절로 분류되었다.[24][25] 그 후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는 이 시스템의 일부 수정을 가져왔다. 예를 들어, 아속 ''Magnolia''는 단일 계통군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엽록체 게놈 전체에 대한 계통 발생학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2020년의 수정된 분류는 아속과 아절을 폐지하고, ''목련속''을 15개의 절로 나누었다.[26]
목련과 내에서, 튤립나무속의 2종(튤립나무와 중국튤립나무)은 목련과의 다른 종과는 뚜렷하게 다른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 튤립나무속 이외의 종은, 가장자리의 잎, 안쪽 또는 옆으로 향하는 약, 열매는 열개하는 골돌과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58] 이러한 종은 성장 방식(가축 성장 또는 단축 성장), 잎의 싹 내 형태(잎의 접히는 방식), 꽃의 위치(정생 또는 가액생), 꽃의 성 표현, 약의 열개 방향, 암술 무리의 자루 유무, 열매의 모양 및 열개 방식, 1심피당 배주 수 등의 점에서 다양하며, 이러한 다양성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로 분류되어 왔다.[94][58][95]
20세기 후반에는, 목련과 내에서 튤립나무속 이외의 종은, 목련속, 후피향나무속(''Michelia''), 목련모두속(''Manglietia''), ''Kmeria'', ''Pachylarnax'', ''Elmerillia'' 등 몇 개의 속으로 나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중에서 많은 종이 목련속으로 분류되었고, 목련속은 종종 여러 개의 아속과 절로 나뉘어졌다. 분류 체계는 안정되지 않아, 연구자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것이 제안되었다. 극히 많은 속(15-16속)으로 나누는 분류 체계와, 모두 목련속으로 정리하는 분류 체계도 있었다.[95]
20세기 말 이후에는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고[90][91][92], 위와 같은 분류 체계의 변천에도 관여해 왔다. 초기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는 불명확한 부분도 많았지만, 2020년경에는 엽록체 DNA 및 핵 DNA의 다량의 데이터에 근거한 연구가 보고되었다.[95][93]
위와 같은 분자계통학적 연구로부터, 튤립나무속을 제외한 목련과 내에 약 15개의 계통군이 존재한다는 것이 나타났다.[95] 이 계통 관계는, 지금까지의 속이나 아속의 분류 체계와 일치하지 않으며, 또한 이들 계통군은 형태적 특징으로 각각 공통점을 가지지만, 반드시 형태적 특징으로 명료하게 계통군을 구분할 수는 없다. 따라서, 2022년 현재 튤립나무속을 제외한 목련과의 종은 모두 목련속으로 묶이는 경우가 많고[52][48][54][95], 그 안에서 절(속과 종 사이의 분류 계급) 수준에서 구분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95]
| 절 | 분지 | 싹 내 형태 | 잎 | 잎자루의 탁엽 흔 | 꽃 | 꽃의 성 | 웅성기의 수술 | 약 | 배주 수 /심피 | 열매 |
|---|---|---|---|---|---|---|---|---|---|---|
| 긴잎목련 절 | 동시 | 두 번 접힘 | 상록 | 있음 | 정생 | 양성 | 일찍 떨어짐 | 내향 | 2 | 타원형 |
| Splendentes 절 | 동시 | 두 번 접힘 | 상록 | 없음 | 정생 | 양성 | 일찍 떨어짐 | 내향 | 2 | 구형에서 타원형 |
| 열대목련 절 | 동시 | 두 번 접힘 | 상록 | 있음 | 정생 | 양성 | 일찍 떨어짐 | 내향 | 2 | 구형에서 타원형 |
| Tuliparia 절 | 동시 | 두 번 접힘 | 낙엽, 가윤생 | 부분적 | 정생 | 양성 | 일찍 떨어짐 | 내향 | 2 | 수상 |
| Macrophylla 절 | 동시 | 두 번 접힘 | 낙엽, 가윤생 | 부분적 | 정생 | 양성 | 일찍 떨어짐 | 내향 | 2 | 난형 |
| 백목련 절 | 동시 | 두 번 접힘 | 상록 | 거의 없음 | 정생 | 양성 | 일찍 떨어짐 | 내향 | 2 | 난형 |
| 목련모두 절 | 동시 | 두 번 접힘 | 상록, 가윤생 | 부분적 | 정생 | 양성 | 일찍 떨어짐 | 내향 | 4-10 | 다양 |
| 단풍목련 절 | 선발 | 두 번 접힘 | 낙엽 | 부분적 | 정생 | 양성 | 잔존 | 내향 | 2 | 타원형 |
| 후박나무 절 | 동시 | 두 번 접힘 | 낙엽, 가윤생 | 부분적 | 정생 | 양성 | 일찍 떨어짐 | 내향 | 2 | 원주형 |
| Kmeria 절 | 동시 | 두 번 접힘 | 상록 | 있음 | 정생 | 단성 | 일찍 떨어짐 | 내향 | 2 | 아구형 |
| Gynopodium 절 | 동시 | 편평상 | 상록 | 없음 | 정생 | 양성 | 잔존 | 내향 | 2-8 | 타원형에서 난형 |
| Tulipastrum 절 | 선발 | 두 번 접힘 | 낙엽 | 부분적 | 정생 | 양성 | 잔존 | 측향 | 2 | 원주형 |
| 백목련 절 | 선발 | 두 번 접힘 | 낙엽 | 부분적 | 정생 | 양성 | 잔존 | 측향 | 2 | 원주형 |
| Maingola 절 | 선발 | 두 번 접힘 | 상록 | 거의 없음 | 정생 | 양성 | 잔존 | 측향 | 2-5 | 난형에서 원주형 |
| 후피향나무 절 | 선발 | 두 번 접힘 | 상록 | 다양 | 가액생 | 양성 | 잔존 | 측향 | 2-10 | 타원형에서 원주형 |
- '''목련속'''
- *긴잎목련 절 ''Magnolia'' sect. ''Gwillimia''
- *:긴잎목련( ), , , , , , , , 등 약 28종. 동남아시아에 분포.
- *''Magnolia'' sect. ''Splendentes''
- *:, , , 등 약 27종. 서인도 제도에서 남미에 분포.
- *열대목련 절 ''Magnolia'' sect. ''Talauma''
- *:, , , , , 등 약 96종. 멕시코, 서인도 제도에서 남미에 분포.
- *''Magnolia'' sect. ''Tuliparia''
- *: 만. 북미 동남부에 분포.
- *''Magnolia'' sect. ''Macrophylla''
- *: 등 6-8종. 북미 동남부에서 멕시코에 분포.
- *백목련 절 ''Magnolia'' sect. ''Magnolia''
- *:목련, 백목련, , , , , , 등 약 27종. 북미 동남부에서 중미에 분포.
- *목련모두 절 ''Magnolia'' sect. ''Manglietia''
- *:목련모두( ), , , , , , , , , , 등 약 41종. 동남아시아에 분포.
- *단풍목련 절 ''Magnolia'' sect. ''Oyama''
- *:단풍목련, 등 약 5종. 동아시아에 분포.
- *후박나무 절 ''Magnolia'' sect. ''Rytidospermum''
- *:후박나무, 목련( ), 등 약 5종. 북미 동부와 동아시아에 분포.
- *''Magnolia'' sect. ''Kmeria''
- *: 등 약 3종. 중국에서 인도차이나 반도에 분포.
- *''Magnolia'' sect. ''Gynopodium''
- *:, , , , , 등 약 8종. 동남아시아에 분포.
- *''Magnolia'' sect. ''Tulipastrum''
- *:키목련( )만. 북미 동부에 분포.
- *백목련 절 ''Magnolia'' sect. ''Yulania''
- *:목련, 백목련, 자목련, 생강나무, 별목련, , , , , , , , 등 약 16종. 동아시아에 분포.
- *''Magnolia'' sect. ''Maingola''
- *:, 등 약 12종. 동남아시아에 분포.
- *후피향나무 절 ''Magnolia'' sect. ''Michelia''
- *:후피향나무, 황목련, , 옥란( ), , , , , , 산후피향나무( ), , , 등 약 61종.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 남아시아의 일부에 분포.
6. 주요 종
- 백목련 ''Magnolia denudata'' Desr.
- 자주목련 ''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Maxim.) Rehder & E.H.Wilson
- 태산목 ''Magnolia grandiflora'' L.
- 목련 ''Magnolia kobus'' DC.
- 자목련 ''Magnolia liliiflora'' Desr.
- 일본목련 ''Magnolia obovata'' Thunb.
-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K.Koch
- 겹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for. ''semiplena'' T.B.Lee
- 초령목 ''Magnolia compressa'' Maxim.
7. 인간과의 관계
목련속은 크고 향기로운 꽃을 피우는 상록수 또는 낙엽수로, 흰색, 분홍색, 자주색, 녹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깔을 띤다. 낙엽 종의 경우, 꽃은 봄에 잎보다 먼저 피는 경우가 많다. 원뿔 모양의 열매는 가을에 주로 생산된다.[5]
목련속은 관상용, 약용, 식용, 산업용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인간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목련은 크고 아름다운 꽃 덕분에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며, 인공 교배를 통해 다양한 품종이 만들어지고 있다.[94] 특히 목련, 백목련, 자목련, 별목련, 태산목 등이 널리 심겨 가꾸어진다.[51][63]
목련, 백목련, 일본목련, 생강나무 등 목련류의 꽃봉오리를 말린 '신이'는 비염, 두통, 열, 기침 등에 효과가 있는 생약으로 쓰인다.[64][65][66][67][68] 후박나무와 참호박나무의 껍질을 말린 '후박'은 페닐프로파노이드 성분인 마그놀롤과 호노키올을 함유하며, 건위, 정장, 진해 작용을 하는 생약으로 사용된다.[70][71][72][73][74][75]
목련속 식물은 향수나 향료로 사용되기도 하며,[51][78] 목재가 이용되거나, 참호박나무 잎처럼 음식 접시나 용기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76][79][80]
7. 1. 원예
일반적으로 목련속은 원예학적 관심의 대상이다. 별목련과 목련 × 율란지(접시꽃 목련)과 같은 몇몇 종은 잎이 피기 전인 이른 봄에 꽃을 피운다. 미국목련(스위트베이 목련)과 태산목(남부 목련)을 포함한 다른 종들은 늦봄이나 초여름에 꽃을 피운다. 이 꽃들의 모양은 때때로 몇몇 목련속 종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름인 "튤립 나무"에 기여한다.[27][28]교배는 다양한 종의 장점을 결합하여 모종보다 더 일찍 꽃을 피우고 더 인상적인 꽃을 가지는 식물을 만드는 데 큰 성공을 거두었다. 가장 인기 있는 정원 목련 중 하나인 ''M''. × ''soulangeana''는 ''M. liliiflora''와 ''M. denudata''의 교배종이다. 미국 동부에서는 5종의 자생종이 자주 재배된다: ''M. acuminata'' (그늘 나무로), ''M. grandiflora'', ''M. virginiana'', ''M. tripetala'' 및 ''M. macrophylla''. 마지막 두 종은 잎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강풍이 자주 불지 않는 곳에 심어야 한다.
목련속은 크고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인공 교배를 통한 잡종 제작과 품종 개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94] 특히 목련, 백목련, 자목련(소코베니백목련), 별목련, 태산목 등이 널리 식재되어 있다.[51][63]
7. 2. 요리
많은 목련 종의 꽃은 식용으로 여겨진다. 잉글랜드 일부 지역에서는 ''M. grandiflora''의 꽃잎을 절여 매운 조미료로 사용한다. 일부 아시아 요리에서는 꽃봉오리를 절여 밥에 향을 내고 차의 향을 내는 데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M. hypoleuca''(일본목련)의 어린 잎과 꽃봉오리를 구워서 채소로 먹는다. 묵은 잎은 가루로 만들어 조미료로 사용하고, 말린 통잎은 숯불 화로에 올려놓고 된장, 파, 무, 표고버섯을 채워 구워 먹는다. 호바된장은 목련으로 양념한 된장의 일종이다.[32][33]7. 3. 전통 의학
한의학에서 목련속 식물의 꽃봉오리(꽃눈)는 신이(辛夷)라고 불리며, 비염, 두통, 열, 기침 등에 대한 생약으로 사용된다.[64][65][66][67][68] 신이는 목련, 백목련, 일본목련, 생강나무 등의 꽃봉오리를 바람에 말려 만든다.중의학에서 ''M. officinalis''의 수피와 꽃봉오리는 ''후포''(厚朴)라고 불리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일본에서는 ''고보쿠''(木蘭, M. obovata)가 이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후박(厚朴)은 후박나무(''Magnolia officinalis'')와 참호박나무의 수피를 건조시킨 것으로,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일종인 마그놀롤(magnolol)과 호노키올(honokiol)을 함유하며, 건위, 정장, 진해 등의 작용을 하는 생약으로 사용된다.[70][71][72][73][74][75] 후박나무를 원료로 하는 것을 "당후박", 참호박나무를 원료로 하는 것을 "화후박"으로 구분하기도 한다.[71][76]
방향성 있는 껍질에는 매그놀롤, 호노키올, 4-O-메틸호노키올, 그리고 오보바톨이 함유되어 있다.[36][37][38][39][40][41] 매그놀롤[42]과 호노키올[43]은 핵 수용체 과산화물 증식체 활성 수용체 감마를 활성화시킨다.
7. 4. 목재
오이목련( ''M. acuminata'')은 크게 자라 미국 북동부 숲에서 목재로 수확된다. 이 나무의 목재는 튤립나무(''Liriodendron tulipifera'')의 목재와 함께 "옐로우 포플러"로 판매된다. 프레이저 목련( ''M. fraseri'') 또한 때때로 수확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자란다.8. 문화적 의미
목련은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문학, 예술, 영화 등에서 다채롭게 표현되어 왔다.
1989년 영화 철목련은 1987년 로버트 할링의 희곡 철목련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목련처럼 아름답지만 강철처럼 강인한 루이지애나 출신 여성들의 유대감을 다룬다.[44]
1939년 노래 "기묘한 열매"는 원래 뉴욕의 교사이자 공산주의 활동가인 아벨 미어폴이 린칭을 비난하기 위해 쓴 시로, 목련꽃은 많은 린칭이 일어났던 미국 남부와 연관되어 언급되었다. 미어폴은 남부와 목련 나무를 자주 언급했지만, 그의 시에 영감을 준 끔찍한 이미지는 인디애나주 매리언에서 촬영된 로렌스 베이틀러의 1930년 사진으로, 토마스 쉽과 아브람 스미스가 린칭당한 모습을 담고 있다.
1960년대에 목련은 대중 매체에서 남부의 상징이었다. ''뉴욕 포스트''는 린든 B. 존슨에 대해 "테 갤런론 모자를 쓰고 목련 억양으로 말하는 사람은 1960년에 민주당 후보로 선출될 희망이 거의 없었다"고 언급했고, 전기 작가 로버트 캐로는 존슨이 대통령이 되었을 때 "[목련의 오점]은 여전히 씻어내야 할 문제로 남아 있었다"고 말했다.[45]
8. 1. 상징
9. 참고 문헌
- Johnstone, G.H. (1955). 《아시아 목련 재배 (Asiatic Magnolias in cultivation)》. 런던: 왕립원예학회. [1]
- Kapil, R. N.; Bhandari, N. N. (1964). “목련(Magnolia Dill. ex Linn.)의 형태학 및 발생학 (Morphology and embryology of Magnolia Dill. ex Linn.)”. 《인도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보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dia)》 30: 245–262. [2]
- Callaway, D.J. (1994). 《목련의 세계 (The World of Magnolias)》. 포틀랜드: Timber Press. ISBN 0-88192-236-6. [3]
- Hunt, D., 편집. (1998). 《목련과 그 동료 (Magnolias and their Allies)》. 국제 수목학회 & 목련 학회. ISBN 0-9517234-8-0. [4]
- Law, Y.W. (= Liu, Y.H.) (2004). 《중국의 목련 (Magnolias of China)》. 홍콩: 베이징 과학 기술 출판사. ISBN 7-5304-2765-2. [5]
- Thien, Leonard B. (1974년 11–12월). “목련의 꽃 생물학 (Floral biology of Magnolia)”. 《미국 식물학 저널 (American Journal of Botany)》 61 (10): 1037–1045. doi:10.1002/j.1537-2197.1974.tb12321.x. [6]
- Treseder, N.G. (1978). 《목련 (Magnolias)》. 런던; 보스턴: Faber & Faber. ISBN 0-571-09619-0. [7]
- Cicuzza, D.; Newton, A.; Oldfield, S. (2007). 《목련과 적색 목록 (The Red List of Magnoliaceae)》 (PDF). Conservation International. Fauna & Flora International and Botanic Gardens. [8]
- Xu, F.; Rudall, P. J. (2006년 4월). “목련과 비교 꽃 해부학 및 개체 발생 (Comparative floral anatomy and ontogeny in Magnoliaceae)”. 《식물 계통 발생 및 진화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58 (1–2): 1–15. doi:10.1007/s00606-005-0361-1. [9]

10. 외부 링크
참조
[1]
웹사이트
"''Magnolia'' Plum. ex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2-03-25
[2]
문서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genus ''Magnolia'' depends on the taxonomic view that one takes up. Recent molecular and [[morphology (biology)|morphological]] research shows that former genera ''Talauma'', ''Dugandiodendron'', ''Manglietia'', ''Michelia'', ''Elmerrillia'', ''Kmeria'', ''Parakmeria'', ''Pachylarnax'' (and a small number of monospecific genera) all belong within the same genus, ''Magnolia'' s.l. (s.l. = ''sensu lato'': 'in a broad sense', as opposed to s.s. = ''sensu stricto'': 'in a narrow sense'). The genus ''Magnolia'' s.s. contains about 120 species. See the section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in this article.
[3]
서적
Magnolias and their allies: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Symposium, Royal Holloway, University of London, Egham, Surrey, U.K., 12-13 April 1996
1988
[4]
논문
A review of pollination of Magnolias by beetles, with a collecting survey made in the Carolinas
https://www.magnolia[...]
1988
[5]
서적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6]
논문
Convergent evolution and adaptive radiation of beetle-pollinated angiosperms
https://web.archive.[...]
2000
[7]
웹사이트
Those Amazing Magnolia Fruits
https://www.magnolia[...]
2022-03-12
[8]
문서
Plumier, C. (1703) Nova plantarum Americanarum genera. Paris. [New genera of American plants].
[9]
문서
Dillenius, J.J. (1732), Hortus Elthamensis, seu plantarum rariorum quas in horto suo Elthami in Cantio coluit vir ornamentissimus et praestantissimus Jacobus Sherard. London [The garden of Eltham, or rather about the rare plants that the most distinguished and prominent man Jacob Sherard grows in his garden in Eltham in Kent].
[10]
문서
Catesby, M. (1730), The Natural History of Carolina, Florida and the Bahama Islands, containing the figures of birds, beasts, fishes, serpents, insects and plants, Vol. 1. London.
[11]
문서
Lamarck, J.B.P.A. de (1786), Encyclopédie Méthodique Botanique, tome second: 127. Paris.
[12]
문서
Under the rule of priority, the first name that is validly published in Linnaeus' Species Plantarum (1 May 1753) or any other work of any other [[botanist]] after that, takes precedence over later names. Plumier's name was not a [[binomen]] and moreover published before Species Plantarum, so it has no status. The first binomen published after 1753 was Lamarck's Annona dodecapetala (1786). Magnolia plumieri (1788) was published on a later date by Schwartz, and is treated as a later synonym, as are Magnolia fatiscens (1817; Richard), Talauma caerulea (Jaume St-Hilaire 1805) and Magnolia linguifolia (1822).
[13]
문서
"''Magnolia glauca'' has the same type specimen as ''Magnolia virginiana'' and as the latter is the first valid name, the species is now called ''Magnolia virginiana'' (sweetbay magnolia). Var. ''fœtida'' was renamed ''[[Magnolia grandiflora]]'', which is legitimate as the epithet ''fœtida'' only has priority in its rank of variety. ''Magnolia grandiflora'' is the southern magnolia. ''[[Magnolia tripetala]]'' (umbrella magnolia) and ''[[Magnolia acuminata]]'' (cucumber tree) are still recognized as species."
[14]
문서
"Under these names the species were described by [[Louis Auguste Joseph Desrousseaux|Desrousseaux]] in [[Lamarck]]'s ''Encyclopédie Méthodique Botanique'', tome troisieme (1792): 675.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descriptions which seemed to represent the same species, were found in a work of the French naturalist [[Pierre Joseph Buchoz|P.J. Buc'hoz]], ''Plantes nouvellement découvertes'' (1779), under the names ''Lassonia heptapeta'' and ''Lassonia quinquepeta''. In 1934, the English botanist J.E. Dandy argued that these names had priority over the names by which both species had been known for over a century and hence from then on ''Magnolia denudata'' had to be named ''Magnolia heptapeta'', ''Magnolia liliiflora'' should be changed into ''Magnolia quinquepeta''. After a lengthy debate, specialist taxonomists decided that the Buc'hoz's names were based on [[chimaeras]] (pictures constructed of elements of different species), and as Buc'hoz did not cite or preserve herbarium specimens, his names were ruled not to be acceptable."
[15]
문서
These species were published as ''Liriodendron coco'' and ''Liriodendron figo'' by J. de Loureiro in ''Flora Cochinchinensis'' (1790) and later (1817) transferred to ''Magnolia'' by [[A. P. de Candolle]]. ''Magnolia figo'' was soon after transferred to the genus ''Michelia''.
[16]
문서
"''Magnolia kobus'' only received its name in 1814, when it was validly published by A.P. de Candolle. There has been much confusion about earlier attempts to validly publish this species, especially because descriptions and type specimens did not match."
[17]
문서
In 1927 J.E. Dandy accepted 10 genera in ''The genera of Magnoliaceae'', ''Kew Bulletin 1927'': 257–264. In 1984 Law Yuh-Wu proposed 15 in ''A preliminary study on the taxonomy of the family Magnoliaceae'', ''Acta Phytotaxonomica Sinica'' 22: 89–109; in 2004 even 16, in ''Magnolias of China''. This is not just about grouping some genera together where others do not; authors often choose different boundaries.
[18]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Magnolia'' (Magnoliaceae) inferred from cpDNA sequences and evolutionary divergence of the floral scents
[19]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Magnoliaceae: the biogeography of tropical and temperate disjunctions
[20]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family Magnoliaceae inferred from ndhF sequences
[21]
문서
Figlar, R.B. (2000), Proleptic branch initiation in ''Michelia'' and ''Magnolia'' subgenus ''Yulania'' provides basis for combinations in subfamily Magnolioideae. In: Liu Yu-hu et al.,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amily Magnoliaceae'': 14–25, Science Press, Beijing.
[22]
웹사이트
4. Magnoliaceae
http://efloras.org/f[...]
[23]
논문
Mummified Magnoliaceae woods from the upper Oligocene of South China, with biogeography, paleoecology, and wood trait evolution implications
https://onlinelibrar[...]
2020-01
[24]
웹사이트
Magnolia Classification
https://www.magnolia[...]
Magnolia Society International
2020-05-27
[25]
간행물
Notes on Magnoliaceae IV
2004
[26]
간행물
Major clades and a revised classification of ''Magnolia'' and Magnoliaceae based on whole plastid genome sequences via genome skimming
2020
[27]
서적
Magnolia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884
[28]
서적
New Cyclopædia of Botany and Complete Book of Herbs: Forming a History and Description of All Plants, British Or Foreign
https://books.google[...]
W. M. Clark
1854
[29]
서적
Taylor's Master Guide to Gardening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1994
[30]
서적
Northwest Gardener's Handbook: Your Complete Guide: Select, Plan, Plant, Maintain, Problem-Solve: Oregon, Washington, Northern California, British Columbia
https://books.google[...]
Cool Springs Press
2015
[31]
서적
Crafting with Nature: Grow or Gather Your Own Supplies for Simple Handmade Crafts, Gifts & Recipes
https://books.google[...]
Page Street
2016
[32]
서적
A Source Book of Edible Plants
Kampong Publications
[33]
서적
A Source Book of Edible Plants
Kampong Publications
[34]
웹사이트
Magnolia Flower (xin yi hua)
https://www.acupunct[...]
2021-09-04
[35]
논문
Biological activity and toxicity of the Chinese herb Magnolia officinalis Rehder & E. Wilson (Houpo) and its constituents
2017-03
[36]
논문
Anxiolytic-like effects of 4-O-methylhonokiol isolated from magnolia officinalis through enhancement of GABAergic transmission and chloride influx
[37]
논문
Effect of a proprietary Magnolia and Phellodendron extract on stress levels in healthy women: A pilot,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38]
논문
Structural modification of honokiol, a biphenyl occurring in magnolia officinalis: The evaluation of honokiol analogues as inhibitors of angiogenesis and for their cytotoxicity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39]
논문
Honokiol, a multifunctional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gent
[40]
논문
Liposomal honokiol, a potent anti-angiogenesis agent, in combination with radiotherapy produces a synergistic antitumor efficacy without increasing toxicity
[41]
논문
Therapeutic applications of compounds in the Magnolia family
[42]
논문
Computer-aided discovery, validation, and mechanistic characterization of novel neolignan activator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2010-04
[43]
논문
Honokiol: A non-adipogenic PPARγ agonist from nature
2013-10
[44]
논문
モクレン科の花の匂いと系統進化
[45]
논문
モクレン科の分類・地理概説
[46]
논문
日本の森林樹木の地理的遺伝構造 (32) コブシ (モクレン科モクレン属)
[47]
논문
If my husband calls I'm not here: The beauty parlor as real and representational female space
[48]
서적
The Passage of Power
Alfred A. Knopf
[49]
웹사이트
Sarah Maloney
http://www.smaloney.[...]
[50]
웹사이트
Sarah Maloney: First Flowers
http://www.smaloney.[...]
2015-02-19
[51]
웹사이트
Magnolia
https://powo.science[...]
Kew Botanical Garden
2024-04-21
[52]
웹사이트
Magnolia Plum. ex L.
https://www.gbif.org[...]
https://doi.org/10.15468/39omei
2022-03-19
[53]
Kotobank
2022-03-19
[54]
웹사이트
マグノリアってどんな花?種類や咲く季節、色、香り、育て方まで!
https://lovegreen.ne[...]
2022-03-19
[55]
서적
改訂新版 日本の野生植物 1
平凡社
[56]
웹사이트
Magnolia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22-03-19
[57]
웹사이트
Magnoliaceae
http://www.mobot.org[...]
2022-03-25
[58]
웹사이트
Magnoliaceae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22-03-25
[59]
웹사이트
Magnoliaceae Juss.
https://www.delta-in[...]
http://delta-intkey.com
2022-03-25
[60]
서적
日本の樹木
中央公論社
1995-04-25
[61]
웹사이트
樹木シリーズ21 ホオノキ
http://www.forest-ak[...]
あきた森づくり活動サポートセンター
2022-02-23
[62]
웹사이트
キタコブシ
https://www.hkd.mlit[...]
国土交通省 北海道開発局
2022-02-23
[63]
웹사이트
モクレンの育て方
https://shiny-garden[...]
2022-03-25
[64]
웹사이트
コブシ
https://www.pharm.ku[...]
熊本大学薬学部 薬草園
2022-03-10
[65]
웹사이트
コブシ
https://www.takeda.c[...]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2022-03-10
[66]
웹사이트
春を告げる香り高い「ハクモクレン」
https://www.yomeishu[...]
養命酒製造株式会社
2022-02-06
[67]
웹사이트
シンイ (辛夷)
https://www.tokyo-sh[...]
公益社団法人東京生薬協会
2022-03-23
[68]
Kotobank
2022-02-26
[69]
웹사이트
シンイ
https://jpdb.nihs.go[...]
国立医薬品食品衛生研究所
2022-03-14
[70]
웹사이트
ホオノキ
https://www.pharm.ku[...]
https://www.pharm.kumamoto-u.ac.jp/yakusodb/
2022-03-05
[71]
웹사이트
厚朴(コウボク)
https://www.uchidawa[...]
ウチダ和漢薬
2022-02-26
[72]
Kotobank
2022-02-25
[73]
웹사이트
コウボク
https://jpdb.nihs.go[...]
国立医薬品食品衛生研究所
2022-03-26
[74]
학술지
ホオノキの成分研究 (第1報) 樹皮の精油成分
[75]
학술지
ホオノキの成分研究 (第3報) Magnolol, Honokiol のホオノキおよび近縁植物における分布
[76]
Kotobank
2022-02-23
[77]
웹사이트
コウボク(厚朴)
https://www.toyama-k[...]
一般社団法人富山県薬業連合会
2022-03-26
[78]
학술지
日本の森林樹木の地理的遺伝構造 (28) タムシバ (モクレン科モクレン属)
森林遺伝育種学会
[79]
웹사이트
朴葉味噌
http://gifu-kiwami.j[...]
岐阜県農政部農産物流通課
2022-02-26
[80]
웹사이트
朴葉寿司
http://gifu-kiwami.j[...]
岐阜県農政部農産物流通課
2022-02-26
[81]
서적
維管束植物の形態と進化
文一総合出版
[82]
웹사이트
モクレン類/モクレン目/モクレン科
http://www.nibb.ac.j[...]
基礎生物学研究所
2022-03-19
[83]
서적
Magnolias
London/Boston, Faber & Faber
[84]
서적
Nova plantarum Americanarum genera(アメリカ植物の新属)
Parisiis, apud Joannem Boudot
[85]
서적
Encyclopédie méthodique. Botanique, tome second
Paris, Liège : Panckoucke;Plomteux
[86]
서적
Hortus Elthamensis, seu plantarum rariorum quas in horto suo Elthami in Cantio coluit vir ornamentissimus et praestantissimus Jacobus Sherard(エルタムの庭園、あるいは最もDISTINGUISHEDでPROMINENTな人物ジャコブ・シェラードがケント州エルタムで栽培する希少な植物について)
Sumptibus auctoris
[87]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Carolina, Florida and the Bahama Islands, containing the figures of birds, beasts, fishes, serpents, insects and plants. Vol. 1
London : Printed at the expence of the author, and sold by W. Innys and R. Manby, at the West End of St. Paul's, by Mr. Hauksbee, at the Royal Society House, and by the author, at Mr. Bacon's in Hoxton, MDCCXXXI-MDCCXLIII
[88]
학술지
モクレンとハクモクレン並びにサラサレンゲの学名について
[89]
학술지
A nomenclatural revision of the Japanese ''Magnolia'' species (Magnoliac.), together with two long-cultivated Chinese species: III. ''M. heptapeta'' and ''M. quinquepeta''
[90]
학술지
Molecular phylogeny of ''Magnolia'' (Magnoliaceae) inferred from cpDNA sequences and evolutionary divergence of the floral scents
[91]
학술지
Molecular phylogeny of the Magnoliaceae: the biogeography of tropical and temperate disjunctions
[92]
학술지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family Magnoliaceae inferred from ''ndhF'' sequences
[93]
학술지
Plastid and nuclear phylogenomic incongruences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of ''Magnolia'' s.l. (Magnoliaceae)
[94]
학술지
モクレン科の分類・系統進化と生物地理: 隔離分布の起源
[95]
학술지
Major clades and a revised classification of ''Magnolia'' and Magnoliaceae based on whole plastid genome sequences via genome skimming
[96]
웹사이트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http://ylist.info/in[...]
2022-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