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타 공방전 (156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몰타 공방전 (1565년)은 오스만 제국이 지중해의 전략적 요충지인 몰타섬을 점령하기 위해 벌인 전투이다. 12세기 예루살렘에서 설립된 성 요한 기사단은 1530년 몰타섬을 하사받아 해군 기지로 삼고 요새를 건설하며 바르바리 해적을 소탕했다. 오스만 제국은 몰타섬을 유럽 정복의 발판으로 삼기 위해 침공을 감행했고, 몰타 기사단은 섬의 방어 태세를 갖추고 결전을 준비했다. 1565년 5월 오스만 제국 함대가 몰타에 상륙하여 전투가 시작되었고, 치열한 공방전 끝에 몰타 기사단이 승리했다. 이 승리는 오스만 제국의 불패 신화를 깨뜨리고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레판토 해전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5년 분쟁 - 북방 7년 전쟁
북방 7년 전쟁은 1563년부터 1570년까지 덴마크-노르웨이와 스웨덴이 스웨덴의 세력 확장 견제와 발트 해 영향력 강화를 둘러싸고 벌인 전쟁으로, 슈테틴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나 양국에 국력 소모와 갈등을 남겼다. - 1565년 분쟁 - 탈리코타 전투
탈리코타 전투는 1565년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데칸 술탄국 연합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패배와 라마 라야의 사망으로 제국이 쇠퇴하고 데칸 지역의 정치 지형이 변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몰타의 역사 - 몰타 회담
1989년 몰타에서 열린 미국과 소련의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냉전 종식을 선언하고 새로운 평화 시대의 도래를 알렸으며, 동서 관계의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 몰타의 역사 - 몰타 기사단
몰타 기사단은 1048년경 예루살렘에서 순례자들을 위한 병원 운영으로 시작된 기사 수도회로, 교황의 승인 후 군사적 역할을 수행하며 세력을 확장, 키프로스와 로도스 섬을 거쳐 몰타에 정착하여 해군력을 바탕으로 지중해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현재는 주권 단체로서 외교 및 구호 활동을 하고 있다. - 쉴레이만 1세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 쉴레이만 1세 - 셀림 1세
1512년부터 1520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었던 셀림 1세는 형제들을 처형하여 내분을 제거하고 아시아 및 이집트 정복에 집중하여 영토를 확장, 맘루크 왕조를 멸망시키고 메카와 메디나를 보호하며 수니파 이슬람 세계의 맹주가 되었다.
몰타 공방전 (1565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
![]() | |
날짜 | 1565년 5월 18일 – 1565년 9월 8일 (3개월 3주) |
장소 | 그랜드 하버, 몰타 |
결과 | 기독교 세력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오스만 제국 |
교전국 1 - 속국 | 알제리 섭정 |
교전국 2 | 몰타: 몰타 기사단 / 주권 군사Order of Malta 몰타 민병대 스페인 제국 |
교전국 2 - 지원군 | 스페인 제국 시칠리아 왕국 제노바 공화국 사보이아 공국 토스카나 대공국 교황령 |
지휘관 및 지도자 | |
오스만 제국 | 드라구트 (전사) 무스타파 파샤 피얄레 파샤 하산 파샤 오치알리 |
몰타 & 지원군 | 장 파리소 드 발레트 장 드 라 카시에르 마튀랭 로메가스 곤살로 데 메드라노 (전사) 멜초르 데 로블레스 (전사) |
몰타 & 지원군 - 지원군 | 가르시아 알바레스 데 톨레도 알바로 데 산데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 키아피노 비텔리 |
병력 규모 | |
오스만 제국 | 35,000–40,000명 |
몰타 & 지원군 | 2,500명 (민병대, 하인, 갤리 노예 포함 시 6,100명) |
몰타 & 지원군 - 상세 병력 | 스페인 제국 군인 900명 제국 외 이탈리아 국가 군인 800명 몰타 기사단 600명 시칠리아 및 그리스 출신 비제휴 군인 2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오스만 제국 | 전투 및 질병으로 25,000–35,000명 사망 |
몰타 & 지원군 | 최소 2,500명 사망 |
2. 전투 이전
1522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로도스섬에서 쫓겨난 성 요한 기사단은 1530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로부터 몰타섬과 고조섬을 받아 새로운 근거지를 마련했다.[4][75][76][51] 기사단은 몰타를 요새화하고 해군 기지로 삼아, 지중해에서 활동하는 바르바리 해적 소탕과 비기독교 선박 공격에 나섰다.
지중해 중앙에 위치한 몰타섬은 오스만 제국의 서진을 막는 전략적 요충지였다.[77] 오스만 제국은 1551년 몰타와 고조섬을 침공했으나 몰타 점령에는 실패했고, 대신 스페인령 트리폴리를 점령했다.[52] 이 사건 이후 기사단은 오스만의 재침공에 대비하여 비르구, 센글레아, 시베라스 반도의 요새를 강화했다.
1560년 제르바 섬 해전에서 스페인-기사단 연합 함대가 오스만 해군에게 대패하면서[49] 오스만의 몰타 침공 위협은 더욱 커졌다. 오스만 술탄 술레이만 1세는 몰타를 점령하여 시칠리아와 나폴리 왕국으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다.[6] 1564년, 기사단 소속 선원 로메가스가 오스만 고위층 소유의 선박을 나포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술레이만 1세는 마침내 몰타 침공을 최종 결정했다. 기사단장 장 드 발레트는 침공이 임박했음을 감지하고 병력 모집, 물자 비축, 요새 방어 준비에 총력을 기울였다.[7][9] 오스만 제국이 제르바 해전 직후 즉시 몰타를 공격하지 않은 덕분에 기사단과 스페인은 방어 준비를 위한 시간을 벌 수 있었다.[8]
2. 1. 몰타 기사단의 성립과 몰타섬 정착
몰타 기사단의 유래는 12세기 전반 예루살렘에서 설립된 종교 기사단인 성 요한 기사단이다. 이들은 십자군 활동에 참여하며 이슬람 국가로부터 성지를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522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쉴레이만 1세는 6개월간의 로도스 공방전 끝에 기사단을 기존 근거지였던 로도스섬에서 몰아냈다.[4] 기사단은 1523년부터 1530년까지 약 7년간 영구적인 거처 없이 여러 곳을 떠돌았다.
1530년 10월 26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스페인 국왕이었던 카를 5세는 기사단에게 몰타섬과 고조섬을 영토로 제공했다.[75][76][51] 당시 기사단 총장이었던 필리프 빌리에 드 릴아담은 기사들을 이끌고 몰타의 옛 항구 Il-Port il-Kbir|일 포르트 일 크비르mlt (현재의 그랜드 하버)에 상륙하여 섬을 접수했다.[4] 이후 기사단은 '몰타 기사단'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카를 5세는 기사단에게 영토를 제공하는 대가로 몇 가지 조건을 요구했다.
임무 내용 |
---|
매년 매 한 마리를 시칠리아 부왕에게 바칠 것 (몰타 매의 공물)[4] |
모든 성인의 날에 엄숙한 미사를 거행할 것[4] |
북아프리카 연안의 스페인령 트리폴리를 방어할 것[4][52] |
트리폴리 주변의 북아프리카 연안은 당시 오스만 제국의 동맹 세력이었던 바르바리 해적의 영향력 아래 있었기 때문에, 트리폴리 방어는 중요한 임무였다. 또한, 기사단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북아프리카 연안을 근거지로 활동하는 바르바리 해적을 소탕하고 그들의 활동을 저지하는 것이었다.
기사단은 마지못해 카를 5세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몰타는 작고 황량한 섬이었으며, 과거 근거지였던 로도스섬에 비해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 가치가 낮다고 여겨졌다. 많은 기사들은 여전히 로도스섬을 되찾기를 원했고, 스페인 왕국에 종속되어 기사단의 독립성이 약화될 것을 우려했다.
하지만 다른 선택지가 없었던 기사단은 몰타에 정착하여 섬을 점차 요새화하고 해군 기지로 삼기 시작했다. 지중해 중앙에 위치한 몰타섬은 동서양을 잇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며, 특히 1540년대와 1550년대에 바르바리 해적들이 서지중해로의 습격을 늘리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기사단은 몰타를 거점으로 삼아 이교도로 간주되는 상선에 대한 습격을 시작했다.
2. 2. 몰타섬의 전략적 중요성
몰타섬은 지중해 중앙, 시칠리아와 튀니지 사이에 위치하여 동서양을 잇는 해상 교통과 전략의 요충지였다.[77] 특히 1540년대와 1550년대에 북아프리카 연안을 근거지로 둔 바르바리 해적들이 서지중해에서의 활동을 늘리면서 몰타섬 주변 해역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이 해적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으며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다.1522년 로도스 공방전에서 패배하여 근거지를 잃은 성 요한 기사단은 1530년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 황제로부터 몰타섬과 고조섬을 넘겨받았다.[75][76][4][51] 기사단은 몰타섬에 상륙하여 섬을 요새화하고 새로운 근거지로 삼았으며, 이때부터 '몰타 기사단'으로 불리게 되었다. 카를 5세는 기사단에게 매년 시칠리아 부왕에게 매 한 마리를 바칠 것, 수호성인 축일에 미사를 거행할 것, 그리고 오스만과 동맹 관계인 바르바리 해적의 위협에 노출된 스페인령 트리폴리를 방어할 것을 요구했다.[52]
몰타섬을 새로운 해군 기지로 삼은 기사단은 비기독교 선박에 대한 습격과 약탈을 감행하는 한편, 바르바리 해적 소탕 작전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이로 인해 바르바리 해적들의 활동은 상당 부분 위축되었다. 당시 동지중해를 장악하고 서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려던 오스만 제국에게 몰타 기사단은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오스만 제국이 서지중해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몰타섬을 반드시 정복해야만 했다.
오스만 제국과 기사단 간의 긴장은 계속 고조되었다. 해적 드라구트는 지중해 중부 기독교 국가들에게 큰 위협이었고, 기사단과 끊임없이 충돌했다. 1551년, 드라구트와 오스만 제독 시난 파샤는 약 1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몰타섬을 침공했으나, 며칠 만에 포위를 풀고 인접한 고조섬으로 이동했다. 고조섬의 기사단 총독 젤라티안 드 세사가 저항을 포기하고 항복하자, 해적들은 도시를 약탈하고 약 5,000명에 달하는 주민 대부분을 포로로 잡아갔다. 이후 오스만군은 트리폴리로 이동하여 기사단 수비대를 몰아내고 점령했으며, 드라구트가 이곳의 통치자가 되었다.
이 사건 이후 기사단은 오스만의 추가 침공에 대비하여 비르구의 성 안젤로 요새를 강화하고, 센글레아에 성 미카엘 요새, 시베라스 반도(현재의 발레타)에 성 엘모 요새를 신속하게 건설했다. 이 요새들은 훗날 1565년 대공방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1559년, 드라구트의 활동이 스페인 해안까지 위협하자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는 대규모 원정대를 조직하여 트리폴리 탈환을 시도했다. 몰타 기사단도 이 원정에 참여했으나, 1560년 제르바 해전에서 피얄레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에게 참패하면서 원정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 패배는 오스만 제국의 지중해 지배력을 공고히 하는 결과를 낳았고, 몰타섬의 전략적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켰다. 몰타섬은 오스만의 서지중해 팽창을 저지하는 최전선 기지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49]
2. 3. 제르바 섬 해전과 오스만 제국의 위협
1559년 이후 바르바리 해적이 스페인 연안을 습격하면서 기독교 세력은 위협을 느끼고 결집하게 되었다. 이에 스페인의 펠리페 2세 국왕은 트리폴리에서 해적을 몰아내기 위해 대규모 해군 원정을 결의했고, 몰타 기사단 역시 이 원정에 참여하여 스페인을 지원했다. 그러나 이 스페인 원정은 1560년 5월, 튀니지의 제르바 섬에서 벌어진 제르바 섬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 해군 함대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
제르바 섬에서의 패배 이후, 오스만 제국이 결국 몰타를 다시 공격할 것이라는 점은 거의 확실해졌다. 몰타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정복이라는 장기적인 계획에서 매우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몰타는 시칠리아로 가는 발판이었고, 시칠리아는 다시 나폴리 왕국을 침공하기 위한 기지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6] 1560년 8월, 기사단장 장 드 발레트는 모든 기사단 수도원에 전갈을 보내, 소환 명령이 내려지는 즉시 몰타로 돌아올 준비를 하라고 지시했다.[7] 오스만 제국은 제르바 섬 해전 직후 스페인 함대가 사실상 궤멸된 상태에서 즉시 몰타를 공격하지 않는 전략적 실수를 저질렀는데, 이 5년의 지연 덕분에 스페인은 군대를 재건할 시간을 벌 수 있었다.[8]

한편, 몰타 기사단은 오스만 제국의 선박을 계속해서 공격하며 도발했다. 1564년 중반, 기사단 소속의 유명한 선원인 로메가스는 세라글리오의 수석 내시 소유의 대형 상선 여러 척을 나포하는 큰 전과를 올렸다. 이때 카이로 총독, 알렉산드리아 총독, 그리고 술탄 술레이만 1세의 딸을 돌보았던 전 간호사 등 여러 고위급 인물들이 포로로 잡혔다. 로메가스의 이러한 활약은 오스만 제국에게 침공의 명분(casus belli|카수스 벨리lat)을 제공했고, 1564년 말 술레이만 1세는 몰타 기사단을 완전히 제거하기로 최종 결심했다.
1565년 초, 콘스탄티노플에 있던 기사단장 드 발레트의 첩보망은 오스만 제국의 침공이 임박했음을 알렸다. 드 발레트는 즉시 이탈리아에서 군대를 모집하고, 필요한 물자를 비축했으며, 성 안젤로 요새, 성 미카엘 요새, 성 엘모 요새의 방어 시설 공사를 서둘러 마무리하며 다가올 전투에 대비했다.[9]
3. 전투 준비
1560년 제르바섬 해전에서 스페인 해군이 대패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몰타 침공 가능성이 높아졌다.[6] 이에 1560년 8월, 몰타 기사단 총장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는 기사단원들에게 몰타로 귀환하여 전투를 준비하라고 명령했다.[7][55] 오스만 제국은 당시 내부 문제로 즉각적인 공격에 나서지 않았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스페인과 기사단에게 군대를 재정비할 시간을 주었다.[8][56]
전력을 보강한 기사단은 이슬람 선박에 대한 약탈을 재개했는데, 특히 1564년에는 기사단의 유명한 선원이었던 마튀랭 로메가스(Mathurin Romegas)가 오스만 제국의 주요 상선을 나포하고 고위 인사들을 포로로 잡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활동은 오스만 제국을 자극하여 침공 결정을 앞당기는 요인이 되었다.
1565년 초, 오스만 제국의 침공이 임박했다는 첩보가 전해지자, 드 발레트는 이탈리아에서 병력을 모집하고 물자를 비축하는 한편, 주요 요새들의 방어 시설을 강화하며 본격적인 전쟁 준비에 돌입했다.[9]
3. 1. 몰타 기사단의 방어 준비
제르바섬 해전에서 스페인 해군이 대패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몰타 침공 가능성이 높아졌다.[6] 1560년 8월, 당시 몰타 기사단 총장이었던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는 모든 기사단 수도원에 전갈을 보내 citazione|소환it이 발부되는 즉시 몰타로 돌아와 전투를 준비하라고 명령했다.[7][55] 오스만 제국은 당시 후계자 문제 등으로 즉각적인 공격에 나서지 않았는데, 이는 스페인과 기사단에게 군대를 재건할 시간을 주는 결과가 되었다.[8][56]한편, 전력을 강화한 기사단은 투르크 선박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 1564년 중반, 기사단에서 가장 악명 높은 선원 중 한 명이었던 마튀랭 로메가스(Mathurin Romegas)는 여러 척의 대형 상선을 나포했다. 나포된 배 중에는 후궁의 환관장(카피 아가) 소유의 배도 있었으며, 로메가스는 카이로 총독, 알렉산드리아 총독, 쉴레이만 1세 술탄의 딸의 전 유모 등 여러 고위 인사를 포로로 잡았다. 로메가스의 이러한 활동은 오스만 제국에게 전쟁 명분(casus belli|카수스 벨리la)을 제공했고, 1564년 말 쉴레이만 1세는 몰타 기사단을 완전히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1565년 초, 이스탄불에 있던 장 드 발레트의 첩보망은 침공이 임박했음을 알렸다. 이에 드 발레트는 이탈리아에서 군대를 모으고 물자를 비축하는 한편, 성 안젤로 요새, 성 미카엘 요새, 성 엘모 요새의 정비 및 공사를 완료하며 방어 태세를 갖추었다.[9]
3. 2. 오스만 제국의 침공 준비
1564년 중반, 몰타 기사단 소속의 유명한 뱃사람 마투린 로메가스는 여러 척의 오스만 제국 대형 상선을 나포했다. 이 중에는 하렘의 환관장 소유의 배가 포함되어 있었고, 카이로 총독, 알렉산드리아 총독, 쉴레이만 1세의 딸의 유모 등 다수의 고위 인물들이 포로로 잡혔다. 이러한 기사단의 활동은 오스만 제국을 자극하는 요인이 되었다.1565년 초, 이스탄불에 잠입해 있던 드 발레트 기사단장의 스파이로부터 오스만 제국의 침공이 임박했다는 정보가 전달되었다. 이에 드 발레트는 즉시 이탈리아에서 병력을 모집하고 군수 물자를 비축하는 한편, 성 안젤로 요새, 성 미켈레 요새, 성 엘모 요새의 방어 시설 정비를 완료하며 전쟁 준비에 착수했다.
1565년 3월 하순, 마침내 오스만 제국의 대규모 함대가 이스탄불에서 출격했다. 몰타 기사단의 역사가인 자코모 보시오는 당시 오스만 함대가 갤리선 131척, 소형 갤리선(갈리엇) 7척, 대형 갤리선(갤리애스) 4척, 그리고 기타 수송선들을 포함하여 총 193척으로 구성되었다고 기록했다.[11][57] 당시 시칠리아 부왕이었던 돈 가르시아의 서신에서도 비슷한 규모의 함대 수가 언급되었다.[12][58]

공방전에 참전했던 이탈리아계 스페인 용병 프란시스코 발비 디 코레조가 남긴 일기에는 양측의 군대 구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13]
몰타 기사단 | 오스만 제국 군대 |
---|---|
몰타 기사단원 500명 | 기병대(스파히) 8,000명 |
스페인 출신 병사 400명 | 예니체리 6,000명 |
이탈리아 출신 병사 800명 | 발칸반도, 아프리카, 아나톨리아 출신 병사 20,000명 |
갤리선에 탑승한 병사 500명 | 시리아, 이라크 출신 병사 4,000명 |
그리스, 시칠리아 출신 병사 200명 | 영주 지원병 3,000명 |
성 엘모 요새 수비대 100명 | 농민 병사 5,000명 |
기사의 하인 100명 | 루마니아 근위병 1,200명 |
갤리선의 노잡이로 나섰던 무슬림 노예 500명 | 트리폴리, 알제 출신 증원 부대 |
몰타섬 주민 중에서 동원된 의용병 3,000명 | 카라마니아 기사단, 미틸리니 출신 병사, 에비아 기사단 등 |
합계: 6,100명 | 합계: 48,000명 |
발비의 기록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의 병력은 약 48,000명에 달했으나, 다른 기록에서는 이보다 적은 수치를 제시하기도 한다. 기사 히폴리토 산스도 약 48,000명으로 기록했지만, 발비의 기록에 의존했을 가능성이 있다.[14][59] 포위 공격 초기에 드 발레트가 펠리페 2세에게 보낸 보고서에는 상륙 병력이 15,000명에서 16,000명 사이(예니체리 4,000명, 스파히 3,000명 포함)라고 언급되었고,[15][60] 포위 한 달 후에는 적군을 약 40,000명으로 추산했다.[16][61] 시칠리아와의 연락을 담당했던 빈첸초 아나스타지 대위는 적군 병력을 22,000명으로 보고했으며,[17][18][62][63] 보시오는 약 30,000명으로 추산했다.[19][64] 현대 역사가들은 오스만 제국의 병력을 약 30,000명에 추가로 해적 6,000명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발비가 기록한 몰타 기사단의 병력 6,100명은 실제 방어 인원보다 적게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몰타 섬에는 기사단원과 병사 3,000명 외에도 약 10,000명의 민병대가 있었으나, 이들 중 상당수는 전투 경험이 부족했다. 또한 갤리선의 노를 젓던 무슬림 노예 500명도 방어에 동원되었다.
4. 공방전
몰타 공방전 동안 당시 알려진 거의 모든 공성전 기술이 동원되었다. 오스만군은 도개교가 달린 거대한 공성탑을 사용했는데, 이 탑 위에서 저격수들이 성 안젤로 요새 성벽 너머로 사격했다. 공성탑은 내부에 물탱크를 갖추고 물에 적신 가죽으로 덮어 화공에 대비했으나, 몰타 측은 성벽 내부에 포병을 교묘히 숨겨두었다.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위장된 포대는 위치를 노출하지 않고 연쇄탄을 장전하여, 오스만군이 공성탑 안에 자리를 잡았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었다.[10]
4. 1. 오스만 제국의 상륙과 초기 전투
오스만 제국 함대가 도착하기 전, 몰타 기사단 총장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는 적에게 식량과 물자를 빼앗기지 않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익지 않은 곡물을 포함한 모든 작물을 수확하거나 파괴하도록 명령했으며, 모든 우물은 독살(쓴 나물과 죽은 동물을 이용했다는 기록도 있음)하여 사용할 수 없게 만들었다.[21] 또한, 전투에 도움이 되지 않는 주민들은 성 밖으로 내보내고, 노예나 도주 우려가 있는 이들은 투옥했다. 전투에 참여할 수 있는 주민들은 재산과 가축을 챙겨 임디나와 같은 내륙 요새로 피난시켰다.5월 18일 금요일 새벽, 오스만 함대가 몰타 근해에 나타났다.[21] 함대는 섬 남쪽 해안을 따라 이동하여 그랜드 하버에서 약 10km 떨어진 마르사슬록 만에 정박했다. 함대의 정박 위치를 두고 육군 사령관 라라 무스타파 파샤와 해군 사령관 피얄레 파샤 사이에 의견 충돌이 있었다. 피얄레 파샤는 그랜드 하버 북쪽의 마르삼셋 항구에 정박하여 작전 지역에 더 가까이 접근하기를 원했지만,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항구 입구를 지키는 성 엘모 요새를 점령해야 했다. 반면 무스타파 파샤는 초기에 섬 중앙의 옛 수도 므디나를 먼저 공격한 뒤, 육로로 성 안젤로 요새와 성 미켈레 요새를 공격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보이나,[23] 결국 성 엘모 요새를 먼저 공략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그는 성 엘모 요새 함락에 며칠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5월 19일 첫 전투가 벌어졌고,[22] 오스만 군대는 마르사에 주둔지를 마련했다.[25] 이후 산타 마르게리타 언덕[26]과 시베라스 반도에 진지를 구축하고 포대를 설치했다.[27] 5월 21일에는 비르구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었고, 다음 날에는 셍글레아가 처음으로 공격받았다.[28] 5월 말, 오스만 군은 성 엘모 요새에 대한 포격을 개시했다. 몰타 기사단은 시칠리아로부터 지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시간을 벌기 위해 기사 100명과 병사 500명을 성 엘모 요새 방어에 투입했다.
한편, 쉴레이만 1세가 군 지휘권을 무스타파 파샤와 피얄레 파샤에게 나누어 맡기고, 추후 합류할 드라구트에게도 공동 지휘권을 부여한 결정은 지휘 체계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요인이었다.[66][24]

4. 2. 성 엘모 요새 전투
오스만 제국 군대는 함대를 안전하게 정박시킬 마르삼세트 항구를 확보하기 위해 항구 입구를 지키는 성 엘모 요새를 첫 번째 공격 목표로 삼았다.[30] 몰타 기사단 총장 라 발레트는 오스만 군의 이러한 의도를 정확히 예측하고, 시칠리아 부왕 가르시아 데 톨레도가 약속한 구원 병력이 도착할 때까지 시간을 벌기 위해 성 엘모 요새의 방어 태세를 강화했다.[32][33] 그는 요새에 증원군을 파견하고 기사단이 보유한 중포의 절반가량을 이곳에 집중시켰다.[32][33]공방전이 시작되기 직전 봄, 오스만 군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첩보에 따라 시칠리아에서 파견된 스페인 정예 보병 부대 두 개 중대가 몰타에 도착했다. 이 부대는 안드레스 미란다 대장과 후안 데 라 세르다 대장이 이끌었으나, 미란다 대장은 시칠리아에 남아 부왕의 군사 고문 역할을 수행했기에 그의 중대는 부관이었던 곤살로 데 메드라노가 임시로 지휘했다.[30][31] 이 스페인 부대들은 비르구 성문 앞에서 벌어진 초기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메드라노는 아르케부스 사격으로 두각을 나타내 라 발레트 총장의 주목을 받았다. 라 발레트는 오스만 군의 주 목표가 성 엘모 요새임을 간파하고 두 스페인 중대를 요새로 급파했으며, 메드라노를 대장으로 승진시켜 미란다 중대의 정식 지휘를 맡겼다.[30] 이로써 성 엘모 요새에는 약 500명의 스페인 군인과 100여 명의 기사단원 및 보조 인력(안드레스 데 미란다 포함)이 방어에 임하게 되었다.[30]

오스만 군은 스키베라스 반도의 고지대에 36문의 공성포를 배치하고 5월 27일부터 성 엘모 요새에 대한 맹렬한 포격을 개시했다.[34] 밤의 어둠 속에서도 포격으로 인한 화재 때문에 요새 주변이 대낮처럼 밝아, 성 안젤로 요새의 포병들이 오스만 군을 조준하여 포격할 수 있을 정도였다.[29] 포격 개시 일주일 만에 요새는 거의 폐허가 될 정도로 파괴되었지만, 라 발레트는 밤마다 항구를 통해 부상자를 후송하고 물자를 보급하며 저항을 이어갔다.[32][33] 5월 말에는 오스만 제국의 트리폴리 총독이자 노련한 해적인 드라구트가 지원군을 이끌고 공성전에 합류했다. 그는 비르구와의 해상 보급선을 차단하기 위해 새로운 포대를 설치했다.[32][35]
6월 3일, 오스만 군의 정예 부대인 예니체리가 요새 외곽의 라블린과 해자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32][35] 방어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자 6월 8일, 기사단 측은 곤살로 데 메드라노 대장을 통해 라 발레트 총장에게 더 이상 요새를 지키기 어렵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러나 라 발레트는 시칠리아로부터의 구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반드시 요새를 사수해야 한다며 이를 거부했다.[32][31]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수비대 내부에서는 동요가 일어 탈영 시도나 반란 조짐이 있었으며, 이를 막기 위해 일부 병사들이 처형되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
오스만 군은 6월 10일과 15일에 파괴된 성벽을 통해 공격을 시도했고, 6월 16일에는 대대적인 총공격을 감행했다. 이 과정에서 기사단원뿐만 아니라 요새에 배치된 노예, 고용된 갤리선 노젓는 인부, 몰타 현지 병사들까지 모두 "기사단 자신만큼이나 용감하게" 싸우고 죽었다고 한다.[32] 치열한 공방전 와중에 오스만 군의 주요 지휘관인 드라구트가 전사했다. 한 기록에 따르면 6월 17일경, 그가 참호에서 포격 지점을 지시하던 중 아군 포탄의 파편이 근처 참호 벽에 맞아 튕겨 나오면서 머리에 치명상을 입었다고 한다.[36] (다른 기록에서는 성 안젤로 요새에서 발사된 포탄에 맞아 사망했다고도 한다).[32] 스페인 지휘관 곤살로 데 메드라노 역시 오스만 군인이 성벽에 깃발을 꽂으려는 것을 저지하고 베어 쓰러뜨리는 순간, 날아온 아르케부스 탄환에 맞아 전사했다.[37][38]
마침내 6월 23일, 한 달간의 격렬한 저항 끝에 오스만 군은 폐허가 된 성 엘모 요새를 점령했다.[32] 요새를 지키던 1,500여 명의 수비대는 거의 전멸했으며, 코르사르에게 사로잡힌 9명의 기사단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살해당했다. 소수의 몰타인만이 바다로 뛰어들어 헤엄쳐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39]
성 엘모 요새 점령으로 오스만 함대는 마르삼세트 항구에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 한 달간의 전투에서 예니체리의 절반을 포함하여 최소 6,000명 이상의 병력을 잃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32] 다른 기록에서는 약 4,000명의 손실을 언급하기도 해 정확한 피해 규모는 불확실하다. 오스만 군 총사령관 무스타파 파샤는 전사한 기사단원들의 시신을 참수하고 나무 십자가에 매달아 만 건너편 기사단 진영으로 흘려보내는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이에 격분한 라 발레트 총장 역시 포로로 잡고 있던 모든 오스만 병사들의 목을 베어 대포에 장전한 뒤 오스만 군 진영으로 발사하는 것으로 응수했다.[40]
한편, 전사한 드라구트의 후임으로는 그의 부하였던 이탈리아 출신 해적 울루치 알리 레이스가 피알리 파샤에 의해 임명되었다. 울루치 알리는 이후 레판토 해전에도 참전하게 된다.[69]
4. 3. 셍글레아, 비르구, 므디나 공격
7월 15일, 무스타파 파샤는 셍글레아 반도에 대한 이중 공격을 명령했다. 그는 그랜드 하버로 100척의 소형 선박을 몬트 시베라스 너머로 수송하여, 약 1,000명의 예니체리를 동원해 성 안젤로 요새의 강력한 포대를 피하면서 해상 공격을 개시하려 했다. 동시에 육지에서는 성 미카엘 요새를 공격했다.[44]thumb의 성 안젤로 요새(위), 셍글레아의 성 미카엘 요새(아래) 주변의 몰타 포위전 모습(확대도). 성 미카엘 요새가 왼쪽 오스만군으로부터 수륙 양면의 공격에 노출되어 있다. 양 요새 사이에는 부교도 그려져 있다.]]
다행히 오스만 측 탈영병이 임박한 공격 계획을 라 발레트에게 알렸고, 기사단은 셍글레아 반도를 따라 울타리를 건설할 시간을 벌어 방어에 성공할 수 있었다. 특히 오스만 선박들이 성 안젤로 요새 기지에 설치된 5문의 해수면 포대(사령관 슈발리에 드 기랄이 수륙 양용 공격 방어 목적으로 설치)의 사정거리 안으로 들어왔을 때 결정적인 타격을 입었다. 단 두 번의 일제 사격으로 모든 선박이 침몰했고, 800명 이상의 오스만 병력이 사망하거나 익사했다. 육상 공격 역시 구원군이 부교를 건너 성 미카엘 요새로 진입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44]
이후 오스만군은 비르구와 셍글레아를 약 65문의 공성포로 포위하고 집중 포격을 가했다. 발비는 공성전 동안 13만 발의 포탄이 발사되었다고 기록했다. 도시의 주요 요새 일부가 파괴되자, 무스타파는 8월 7일 다시 한번 성 미카엘 요새와 비르구 자체에 대한 대규모 이중 공격을 명령했다. 오스만군은 성벽을 돌파하는 데 성공하여 공성전이 끝나는 듯 보였으나, 예상치 못하게 후퇴했다. 이는 기병대 사령관 빈첸초 아나스타지가 므디나에서 출격하여 보호받지 못하던 오스만 야전 병원을 공격해 큰 피해를 입혔기 때문이었다. 오스만군은 이를 시칠리아로부터 온 기독교 지원군의 도착으로 오인하고 공격을 중단했다.[44]

8월 7일 공격 이후, 오스만군은 성 미카엘 요새와 비르구에 대한 포격을 재개했고,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최소 한 차례 이상의 주요 공격을 감행했다. 이 격렬한 전투 기간 동안의 정확한 상황에 대해서는 기록마다 차이가 있다.

브래드포드는 지뢰 폭발로 성벽이 무너지고 오스만군이 돌격했으며, 70세의 라 발레트가 직접 병력을 이끌고 반격하여 위기를 넘겼다고 기록했다.[44] 반면 발비는 라 발레트가 성벽이 뚫렸다는 소식을 듣고 위협받는 거점으로 달려가 직접 칼을 들고 싸워 오스만군을 물리쳤다고만 언급했다.[44][70] 보시오는 지뢰 폭발에 대한 언급 없이, 성벽 밖에서 오스만 깃발을 본 주민들이 공황에 빠졌으나 실제로는 오스만군이 없었으며, 오히려 성 안젤로 요새의 포수가 공황 상태에서 아군 오사로 주민을 죽였다고 기록했다.[45][71]
상황이 매우 심각해지자, 8월 중 기사단 원로 평의회는 마을을 포기하고 성 안젤로 요새로 후퇴할 것을 결정했다. 그러나 라 발레트는 이 제안을 단호히 거부했다. 그의 판단대로 오스만군은 점차 사기를 잃어가고 있었다. 포격과 소규모 공격은 계속되었지만, 침략자들은 질병과 보급 부족, 지휘관 간의 불화 등으로 점점 더 절망에 빠졌다. 8월 말, 오스만군은 방패로 덮인 작은 공성 무기인 '만타'(테스투도 대형과 유사)와 완전한 공성탑을 동원하여 성 미카엘 요새를 점령하려 시도했다. 하지만 두 번 모두 몰타 공병들이 잔해를 뚫고 지하 터널을 만들어 근거리에서 사슬탄을 발사하여 공성 무기를 파괴했다.
9월 초, 날씨가 변하기 시작하자 무스타파는 므디나를 점령하여 겨울을 나려 했다. 그러나 이 공격마저 실패했다. 방어 준비가 미흡했던 므디나는 오스만군이 다가오자 일부러 먼 거리에서 대포를 발사하는 기만 전술을 사용했다. 이에 속은 오스만군은 므디나에 탄약이 풍부하다고 오판하고 사기가 더욱 저하되어 퇴각했다.[46] 결국 9월 8일, 오스만군은 포병을 선적하기 시작했으며, 전투와 질병으로 병력의 3분의 1을 잃은 채 섬을 떠날 준비를 했다.
4. 4. 오스만 제국의 철수
9월 초, 술레이만 1세는 마지막 공세를 위해 증원군 파견을 지시했다. 만약 시간이 부족할 경우, 내륙의 임디나를 함락시켜 그곳에서 겨울을 보낼 계획이었다. 오스만 군대는 시가지로 돌입하여 성 미카엘 요새와 내성 사이를 차단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그러나 280px 시가지]] 함락 직전인 9월 7일, 몰타를 구원하기 위해 스페인 제국 해군 사령관이자 시칠리아 부왕인 돈 가르시아 데 톨레도가 약 8,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섬 북쪽의 성 바울 만(St. Paul's Bay)에 상륙했다. 이른바 ''그란 소코르소''(Gran Soccorso, "대 구원군")로 불리는 이 병력은 스페인과 이탈리아 군인을 주축으로 하여 다양한 유럽 국가에서 파견된 군대로 구성되었다.[47]
파견 국가 | 주요 병력 |
---|---|
스페인 제국 | 스페인 군인 |
나폴리 왕국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군인 |
토스카나 대공국 | 이탈리아 군인 |
제노바 공화국 | 이탈리아 군인 |
교황령 | 이탈리아 군인 |
사보이 공국 | 이탈리아 군인 |
오스만 측은 구원군의 존재를 미리 파악하고 있었으나, 실제보다 규모가 훨씬 크다는 잘못된 정보에 속았다. 결국 구원군 상륙 소식을 들은 9월 8일, 오스만 군 지휘관 무스타파 파샤는 형세가 불리하다고 판단하여 포위를 풀고 대포를 배에 싣는 등 철수 준비를 시작했다.
9월 11일, 오스만 군대가 몰타에서 철수한 후, 부상으로 남겨진 오스만 군의 야전 병원이 습격당해 그곳에 있던 대부분의 병사들이 학살당했다. 며칠 뒤인 9월 13일, 구원군은 산 파울 타트-타르가(San Pawl tat-Tarġa) 능선에 자리를 잡았다. 이때 구원군 중 일부 혈기 왕성한 기사들이 퇴각하는 오스만 군대와 불타는 마을을 보고 아스카니오 델라 코르냐의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돌격했다고 전해진다. 델라 코르냐는 병사들의 사기를 보고 어쩔 수 없이 전면적인 돌격을 명령했고, 이 과정에서 철수하던 오스만 군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 오스만 군대는 전투, 질병, 그리고 철수 과정에서의 혼란으로 인해 전체 병력의 3분의 1 가량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몰타는 오스만 제국의 거센 공격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으며, 이 공방전은 유럽 전역에서 구호기사단이 관련된 마지막 대규모 서사 전투로 기록되며 축하받았다.
5. 결과
몰타 공방전은 몰타 기사단과 몰타 주민들의 처절한 방어 끝에 오스만 제국 군대의 철수로 막을 내렸다. 이 공방전은 양측 모두에게 막대한 피해를 남겼지만, 전략적으로는 기사단의 결정적인 승리로 평가받는다.
공방전의 결과, 이전까지 지중해에서 무적의 위세를 떨치던 오스만 제국의 서진(西進)이 저지되었으며, 오스만 해군의 불패 신화에도 균열이 생겼다.[49] 이는 1551년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은 해적[50]의 공격 이후 계속된 서지중해에서의 오스만 팽창 시도에 제동을 건 중요한 사건이었다. 특히 젤바 해전에서의 패배로 위축되었던 스페인 제국에게는 서지중해에서의 주도권을 되찾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49]
유럽 전역에서는 기사단의 영웅적인 방어에 찬사를 보내며 막대한 지원금을 몰타로 보냈다. 몰타 기사단장 장 드 발레트는 이 자금을 바탕으로 새로운 요새 도시인 발레타 건설을 시작하여 몰타의 방어력을 더욱 강화했다. 또한, 이 공방전은 유럽 기독교 국가들이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6년 후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대규모 연합 함대 결성으로 이어졌다.
5. 1. 몰타 기사단의 승리와 영향


공방전에서의 사상자 수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발비는 오스만 제국군 사망자를 35,000명으로 추산했고, 보시오는 선원을 포함하여 30,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기록했다. 다른 자료들에서는 약 25,000명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기사단은 병력의 3분의 1을 잃었으며, 몰타 주민 역시 3분의 1이 희생되었다. 비르구와 센글레아는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 6,000명의 방어군은 13만 발에 달하는 포격을 견뎌내며 뜨거운 여름 동안 4개월 이상 포위 공격을 막아냈다.
몰타 기사단의 대기사 장 드 발레트는 그의 모범적인 행동과 병사들을 격려하고 단결시키는 능력으로 오스만 제국에 대한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리더십은 유럽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쳐, 이전까지 무적으로 여겨졌던 오스만 제국에 맞서 유럽의 군주들이 동맹을 맺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6년 후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거대한 연합군 결성으로 이어졌다. 유럽 국가들은 기사단의 영웅적인 방어에 깊은 감사를 표하며 막대한 자금을 몰타로 보냈다. 이 자금으로 발레트는 스키베라스 산에 새로운 요새 도시인 발레타를 건설할 수 있었다. 이는 미래의 적들로부터 섬을 지키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었다. 발레트 자신은 1568년 부스케트에서 사냥 중 사고로 사망했다.
몰타 공방전은 역사상 가장 치열하고 잔혹했던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었으며, 16세기 유럽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사건 중 하나가 되었다. 볼테르는 "몰타 공방전만큼 널리 알려진 것은 없다"고 평가했는데, 이는 다소 과장된 표현일 수 있으나, 이 공방전이 프레베자 해전 이후 지중해 패권을 장악했던 오스만 제국 해군의 불패 신화를 깨뜨렸다는 점은 분명하다. 또한 젤바 해전에서 큰 패배를 겪었던 스페인 제국에게 서지중해에서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주었다.[49]
이 공방전 이전까지 오스만 제국의 서지중해 침공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었다. 1551년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은 해적[50]의 공격으로 몰타 섬이 이미 한 차례 전쟁터가 된 바 있었다. 그러나 1565년 공방전에서 오스만 제국을 성공적으로 격퇴하고, 이후 레판토 해전에서의 승리를 통해 스페인은 서지중해의 제해권을 점차 되찾기 시작했다.
5. 2. 피해 규모
오스만 제국 군대의 사상자 수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지만, 여러 기록에 따르면 약 25,000명에서 35,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발비는 35,000명의 사망자를, 보시오는 선원을 포함하여 30,000명의 사상자를 기록했다.[72] 다른 자료들 역시 약 25,000명에서 30,000명 사이로 보고 있다. 오스만 제국 측 기록에는 10,000명으로 되어 있지만, 이는 해적이나 의용병을 제외한 수치일 가능성이 높아 실제 피해는 더 컸을 것으로 보인다.몰타 기사단은 이 공방전으로 전체 구성원의 3분의 1을 잃었으며, 몰타 주민 역시 전체 인구의 3분의 1 가량이 희생되었다. (다른 기록에서는 기사단 병력의 5/6과 주민 7,000명 이상이 희생되었다고도 한다.[72])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던 비르구와 셍글레아 두 도시는 완전히 파괴되어 평지로 변했다.
약 6,000명에 불과했던 몰타 측 방어군은 13만 발이 넘는 포격을 견뎌내며 뜨거운 여름 동안 4개월 이상 섬을 지켜냈다. 이들의 영웅적인 방어는 당시 무적 함대로 여겨지던 오스만 제국 해군의 위세를 꺾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49] 몰타 기사단장 장 드 발레트의 뛰어난 지도력은 병사들과 주민들을 하나로 뭉치게 했고, 이는 승리의 결정적인 요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몰타에서의 패배는 오스만 제국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반대로 스페인 제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의 사기를 크게 높였다. 이 사건은 유럽 국가들이 오스만 제국에 맞서 연합하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6년 뒤 레판토 해전에서의 승리로 이어졌다. 유럽 각국은 기사단의 용맹함에 감사를 표하며 많은 자금을 지원했고, 이 자금은 스키베라스 언덕에 새로운 요새 도시 발레타를 건설하는 데 사용되었다.
6. 한국의 관점에서의 의의
몰타 공방전은 한국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사건은 아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오스만 제국의 유럽 진출을 저지하고 지중해의 세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친 세계사적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1] 한국의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특히 수많은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워야 했던 역사 속에서 몰타 기사단과 몰타 주민들이 보여준 저항은 주목할 만하다. 압도적인 전력의 오스만 대군에 맞서 소수의 병력으로 섬을 지켜낸 모습은 강대국에 맞선 약소국의 투쟁이라는 점에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활약이나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의 항쟁과 같은 한국사의 저항 정신과 비교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몰타 공방전은 종교와 문명의 차이가 극단적인 군사적 충돌로 이어진 역사적 사례로서, 현대 사회에서 여전히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갈등과 대립의 원인을 성찰하고 평화적 공존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계기를 제공한다. 섬나라인 몰타가 해상 방어선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지켜낸 전략적 측면은 삼면이 바다인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해양 안보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몰타 공방전은 한국과 직접적인 교류나 영향은 없었지만, 세계사의 흐름을 바꾼 중요한 사건으로서 한국인의 관점에서 역사적 교훈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6. 1. 역사적 사건에 대한 다각적 분석의 중요성
상황이 매우 심각해져, 8월 어느 시점에 원로 평의회는 마을을 버리고 성 안젤로 요새로 후퇴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라 발레트(de Valette)는 이 제안을 거부했다. 만약 그가 투르크인들이 사기를 잃어가고 있다고 추측했다면, 그는 옳았다. 포격과 소규모 공격이 계속되었지만, 침략자들은 점점 더 절망에 빠졌다. 8월 말, 투르크인들은 먼저 방패로 덮인 작은 공성 무기인 ''만타''(테스투도 대형과 유사)의 도움을 받아 성 미카엘 요새를 점령하려 했고, 그 다음에는 완전한 공성탑을 사용했다. 두 경우 모두 몰타 엔지니어들은 잔해를 뚫고 터널을 만들어 근거리 사슬탄 일제 사격으로 구조물을 파괴했다.9월 초, 날씨가 변하기 시작했고 무스타파(Mustafa)는 므디나로 진격하여 그곳에서 겨울을 나려고 했다. 그러나 공격은 실패했다. 방어와 보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이 도시는 쓸데없이 먼 거리에서 다가오는 투르크군에게 의도적으로 대포를 발사하기 시작했다. 이 속임수는 이미 사기가 떨어진 투르크인들을 속여 이 도시가 탄약을 여유롭게 비축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하여 그들을 겁주어 퇴각시켰다.[46] 9월 8일까지, 투르크인들은 포병을 선적했고, 전투와 질병으로 병력의 3분의 1을 잃은 채 섬을 떠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La leyenda negra del fuerte de San Telmo y los tres capitanes españoles del Tercio Viejo de Sicilia que lo defendieron (Malta 1565) {{!}} Grupo de Estudios de Historia Militar
http://www.gehm.es/e[...]
2020-07-04
[2]
서적
The 1565 Great Siege of Malta and Hipolito Sans's La Maltea
Publishers Enterprise Group
[3]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서적
The History of the Knights of Malta
Midsea Books
[5]
서적
Slavery in the Islands of Malta and Gozo
Publishers Enterprise Group
[6]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7]
서적
Romegas
Midsea Book
[8]
문서
Braudel, op cit.
[9]
웹사이트
Malta prepares for an imminent Ottoman invasion
http://www.heritagem[...]
2015-05-17
[10]
서적
Medieval Sieges & Siegecraft
Skyhorse Publishing
[11]
서적
Histoire des Chevaliers de l'ordre de S. Iean de Hierusalem
[12]
간행물
Coleccion de Documentos Ineditos Para La Historia de Espana
[13]
서적
The Siege of Malta, 1565
[14]
서적
The 1565 Great Siege of Malta and Hipolito Sans's La Maltea
Publishers Enterprise Group
[15]
문서
Coleccion, op. cit., p. 367
[16]
서적
A New History of the War in Malta
Tipografia Leonina
[17]
서적
Histories of Malta, Volume III, Versions and Perversions
Patrimonju Publishing Ltd
[18]
문서
Coleccion, op. cit.
[19]
문서
Giacomo Bosio, op. cit.
[20]
서적
Generall Historie of the Turke
[21]
웹사이트
Hostile Ottoman fleet anchored in Malta today
http://www.heritagem[...]
2015-05-18
[22]
웹사이트
Rash decision ruins the day
http://www.heritagem[...]
2015-05-19
[23]
서적
Istoria Imperiului Otoman
Ed. Ştiinţifică şi enciclopedică
[24]
문서
Coleccion, op. cit., pp. 6–7
[25]
웹사이트
Ottoman troops land in Malta
http://www.heritagem[...]
2015-05-20
[26]
웹사이트
Birgu attacked: Greek betrays Order of St John
http://www.heritagem[...]
2015-05-21
[27]
웹사이트
Liberated prisoners enrolled as soldiers
http://www.heritagem[...]
2015-05-24
[28]
웹사이트
Turks planning to sabotage Fort St Elmo
http://www.heritagem[...]
2015-05-22
[29]
서적
Battle a Visual Journey Through 5000 Years of Combat
Dorling Kindersley
[30]
웹사이트
La leyenda negra del fuerte de San Telmo y los tres capitanes españoles del Tercio Viejo de Sicilia que lo defendieron (Malta 1565) {{!}} Grupo de Estudios de Historia Militar
https://www.gehm.es/[...]
2020-07-03
[31]
서적
The Great Siege of Malta: The Epic Battle between the Ottoman Empire and the Knights of St. Joh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15-10-22
[32]
서적
The Knights of Malta
Yale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Refugees ordered to leave Fort St Elmo
http://www.heritagem[...]
2015-05-25
[34]
웹사이트
Fort St Elmo under fire: Renegade reveals Ottoman plan
http://www.heritagem[...]
2015-05-27
[35]
웹사이트
Ravelin of Fort St Elmo taken over by Ottomans
http://www.heritagem[...]
2015-06-03
[36]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37]
서적
The Great Siege of Malta: The Epic Battle between the Ottoman Empire and the Knights of St. Joh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15-10-22
[38]
문서
Balbi, Verdadera Relacion, fol.51
[39]
서적
The Great Siege of Malta: The Epic Battle between the Ottoman Empire and the Knights of St. John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15
[40]
서적
The great siege: Malta 1565: with four illustrations
Penguin Books
1988
[41]
문서
Elizabeth I: Her Life in Letter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2]
서적
Empires of the Sea: The Final Battle for the Mediterranean, 1521–1580
https://books.google[...]
Faber & Faber
2008
[43]
서적
Álvaro de Bazán: el mejor marino de Felipe II
Rialp
2023
[44]
문서
The Siege of Malta 1565
[45]
문서
Bosio, op. cit., p. 552.
[46]
뉴스
The Mdina siege of 1429 was 'greater than the Great Siege' of 1565
http://www.independe[...]
2015-06-15
[47]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Ital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8
[48]
문서
The 1565 Ottoman Malta Campaign Register
Publishers Enterprise Group: Malta
[49]
문서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50]
문서
オスマン側の[[海賊]]([[コルセア]], [[:en:corsair|corsair]])とはオスマン帝国の[[私掠船]]から構成された集団であり、以下で登場する[[:en:Turgut Reis|トゥルグト・レイス]]率いる[[バルバリア海賊]]もそれに含まれる。同様にマルタ騎士団もイスラム世界の船をターゲットとした海賊を統率していた。ゆえにマルタ包囲戦は、同時にキリスト、イスラム両陣営に属する海賊たちの戦いでもある。
[51]
문서
The History of the Knights of Malta
Mideas Books, Malta
[52]
문서
トリポリはオスマン帝国傘下の、[[バルバリア海賊]]が支配する領土に周囲を囲まれていた。バルバリアとは、[[エジプト]]西部から[[大西洋]]に至る北アフリカ沿岸地域の俗称
[53]
문서
マルタ周辺地図は [https://www.google.com/maps/d/viewer?mid=16RsYVDRf_610DbztOl9Text8lEU&msa=0 google map 航空写真] も参照すると良い。
https://www.google.c[...]
[54]
문서
Slavery in the Islands of Malta and Gozo
Publishers Enterprise Group: Malta
[55]
문서
Romegas
Midsea Book: Malta
[56]
문서
Braudel, op cit..
[57]
문서
Histoire des Chevaliers de l’ordre de S. Iean de Hierusalem
[58]
문서
Coleccion de Documentos Ineditos Para La Historia de Espana
[59]
문서
The 1565 Great Siege of Malta and Hipolito Sans's La Maltea
Publishers Enterprise Group: Malta
[60]
문서
Coleccion, op. cit., p. 367
[61]
문서
A New History of the War in Malta
Tipografia Leonina: Rome
[62]
문서
Histories of Malta, Volume III, Versions and Perversions
Patrimonju Publishing Ltd: Malta
[63]
문서
Coleccion, op. cit.
[64]
문서
Giacomo Bosio, op. cit.
[65]
문서
Generall Historie of the Turke
[66]
문서
Coleccion, op. cit., pp. 6-7
[67]
문서
Ernle Bradfordらなど、最初の攻撃対象はビルグであったとする説もある。
[68]
서적
The History of the Holy, Military, Sovereign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
Hope & Company
[69]
서적
The Shield and The Sword: The Knights of St John Jerusalem Rhodes and Malta
Open Road Integrated Media
[70]
문서
The Siege of Malta 1565
[71]
서적
op. cit.
[72]
서적
The 1565 Ottoman Malta Campaign Register
Publishers Enterprise Group: Malta
1998
[73]
웹사이트
Maritime History and Archaelogy of Malta
http://txspace.tamu.[...]
[74]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vol. II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995
[75]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76]
서적
The History of the Knights of Malta vol. II
facsimile reprint Midsea Books, Malta, 1989
1728
[77]
서적
지중해: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 1
까지글방
[78]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