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니체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니체리는 1364년 무라드 1세가 창설한 오스만 제국의 정예 보병 부대이다. 초기에는 전쟁 포로와 발칸 지역 기독교 소년들을 징집하여 이슬람으로 개종시키고 엄격한 훈련을 거쳐 술탄에게 충성하는 군인으로 육성했다. 예니체리는 수도 경비, 최전방 전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6세기에는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권력 집단화, 군기 문란, 정치 개입 등으로 인해 쇠퇴하였고, 1826년 마흐무트 2세에 의해 해체되었다. 예니체리는 독특한 군복, 음악, 조직 문화를 가졌으며, 오스만 제국과 관련된 다양한 작품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니체리 -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보스니아 출신으로 데브쉬르메를 통해 오스만 제국에 징집되어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시대에 대재상을 지내며 외교, 군사, 국내 정책,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인물이다.
  • 오스만 제국의 군사 - 데브쉬르메
    데브쉬르메는 오스만 제국이 기독교도 소년들을 징집하여 이슬람교로 개종시킨 후 제국의 핵심 기관에 배치하여 교육한 제도로, 술탄의 권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18세기 초에 폐지되었다.
  • 근위병 - 스트렐치
    스트렐치는 16세기 러시아 차르 이반 4세가 창설한 최초의 정규군으로, 화승총으로 무장하고 군사 작전, 치안 유지, 국경 방비를 수행하다가 1689년 해체되었다.
  • 근위병 - 금의위
    금의위는 명나라 홍무제에 의해 창설된 황제 직속 친위 조직이자 비밀 경찰로, 초기에는 황제 신변 보호와 정탐을 담당했으나 점차 권한이 강화되어 초법적인 권력으로 황권 강화에 기여했지만, 후기에는 정치적 암살 및 정적 제거에 악용되어 폐단이 심화되었다.
예니체리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람베르트 위츠 - 예니체리 아가와 예니체리 뵐뤼크
"예니체리 아가와 예니체리 뵐뤼크", 람베르트 위츠, 1573년
활동 기간1363년–1826년 (알제리의 경우 1830년)
소속오스만 제국 (1453년)
병과보병
역할상비 정예 군사
규모1,000명 (1400년)
7,841명 (1484년)
13,599명 (1574년)
37,627명 (1609년)
135,000명 (1826년)
지휘 체계오스만 제국 군대
주둔지아드리아노플 (에디르네)
콘스탄티노플 (이스탄불)
별칭없음
후원자없음
표어없음
색상파란색, 빨간색, 녹색
군가없음
마스코트없음
장비다양함
주요 전투코소보 전투
니코폴리스 전투
앙카라 전투
바르나 전투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찰디란 전투
모하치 전투
빈 공방전
몰타 공방전
기타
기념일없음
훈장없음
전투 훈장없음
지휘관예니체리 아가
로마자 표기Yeniçeri
다른 언어 표기(튀르키예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영어)
(오스만 튀르크어)
설명
어원(새로운 군인)를 의미하는 튀르키예어 yeni çeri 에서 유래함.
특징원래는 활과 날붙이를 사용하는 수백 명 규모의 보병 친위대였음.
무라트 2세 치세 동안 화기를 채택했으며, 아마도 세계 최초의 화기 장착 상비 보병 부대였을 것임.
오스만 제국 군대의 핵심 전력이었음.
1826년 행운의 사건으로 해체됨.

2. 역사

1364년 무라드 1세가 오스만 제국의 정예 보병 부대인 예니체리를 창설했다. 초기에는 전쟁 포로나 발칸반도 지역의 기독교 소년들을 강제 징집하여 구성했다. 이들은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튀르크 전통을 익힌 후 엄격한 신체 훈련과 각종 무기를 다루는 기술을 익혀 부대에 편성되었다.[9] 예니체리는 알라와 황제에게만 복종하는 일종의 황제 개인 경호대였다. 평상시에는 수도 경비를 맡으며 경찰이나 소방관 역할을 했고, 전쟁 시에는 최정예 부대로 참전했다.[35]

예니체리는 특별 군복과 급여를 받았으며, 콧수염 외에는 수염을 기르지 않았다. 초기에는 결혼 및 병영 밖 거주가 금지되었으나, 16세기에 일부 규정이 완화되었다.[35] 16세기 후반, 술탄은 예니체리 자녀들의 부대 가입을 허용했는데, 이는 이전 300년간 금지되었던 관행이었다. 당시 그림에 따르면 수염을 기르는 것도 허용되었다. 이로 인해 이전의 엄격한 계승 규칙은 해석의 여지가 생겼다.[10]

그러나 예니체리는 점차 권력 집단화되어 정치에 관여하며 타락했다. 18세기에는 막강한 특권과 영향력으로 정부를 장악하고 군대 현대화를 방해하며 반란을 일으켰고, 심지어 황제를 교체할 정도였다. 1622년 오스만 2세를 암살했고, 1807년에는 군대를 유럽식으로 현대화하려던 셀림 3세를 끌어내렸다.[35] 마무드 2세는 예니체리와 타협했으나, 권력 남용, 군사적 비효율성, 재정 압박 등으로 인해 결국 예니체리를 제거하기로 결정했다.[35]

1826년 새로운 군대 조직 소식에 예니체리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마무드 2세는 포병에게 막사에 일제 사격을 명령하여 반란군 대부분을 학살했다. 생존자들은 유배되거나 처형당했고, 2년 후 남은 예니체리 부대가 해산되면서 예니체리는 완전히 해체되었다.[35]

2. 1. 창설

1364년 무라드 1세가 처음 세웠다. 초기에는 전쟁 포로나 비이슬람교도, 특히 발칸 지방 기독교 소년들을 강제 징집한 병사들로 구성되었다. 징집된 이들은 이슬람과 튀르크 전통을 익힌 뒤 이슬람으로 개종해야 했고, 엄격한 신체 훈련과 각종 무기를 다루는 기술을 익힌 후에 부대로 편성되었다.[9]

예니체리 부대 사령관인 ''아가''(1768년)


1380년대부터 1648년까지 예니체리들은 데브시르메 시스템(1648년 폐지)을 통해 모집되었다.[10] 이 시스템은 아나톨리아와 발칸 지역의 비무슬림 소년들,[11] 특히 기독교인들을 징발(노예화)하는 것을 의미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초기에는 모든 기독교인들이 무차별적으로 징집되었으나, 이후에는 알바니아, 보스니아, 그리스, 불가리아 출신들이 선호되었다.[13] 15세기에 베크타시즘이 예니체리 부대의 공식 수도원이 되었다.[14]

예니체리들은 ''kapıkullarıtr''(단수 ''카피쿨루'') 즉, "문지기" 또는 "높으신 문의 노예"였으며, 자유민도 일반 노예(''köletr'')도 아니었다.[15] 이들은 엄격한 규율을 받았지만, 봉급과 퇴직 연금을 받았고 독특한 사회 계급을 형성했다.[16] 군사 역사가 마이클 안토누치와 경제 역사가 글렌 허버드, 팀 케인에 따르면, 튀르크 관리들은 5년마다 술탄의 기독교 신민들 중 가장 건장한 아들들을 (특히 발칸 반도)에서 찾았다. 이 소년들(보통 10세에서 20세 사이)은 부모로부터 빼앗겨 할례를 받고 지방의 튀르크 가정에 보내져 무슬림으로 자라며 튀르크어와 관습을 배웠다. 군사 훈련이 시작되면 엄격한 규율을 받았고, 수염을 기르거나 군인 외의 다른 기술을 배우거나 결혼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결과적으로 예니체리들은 매우 훈련이 잘 된 군인이 되었고, 1급 시민 또는 군인 계급인 ''아스케리tr'' 계급의 일원이었다. 무슬림을 노예로 삼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비무슬림 출신이었다.[10]

1657년 이전의 예니체리


예니체리


예니체리는 오스만 제국 확장 과정에서 군주의 직속 병력으로 창설되었다. 기존의 기마 궁술을 주 전술로 하는 튀르크계 경기병의 군사력에 의존하지 않기 위해서였다. 창설 시기는 여러 설이 있지만, 14세기 후반 무라트 1세의 치세로 보는 것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기독교도 전쟁 포로로 구성된 노예 군대였다. 15세기에 영내 기독교도 자제 중에서 우수한 청소년을 징집하여 이슬람교로 개종시켜 예니체리 등에 채용하는 데브시르메 제도가 고안되었고, 정기적인 인재 공급이 이루어졌다.

예니체리는 장관인 예니체리 아가(Yeniçeri Ağa) 이하 부대별로 나뉘어 엄격한 규율을 가지고 있었으며, 16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의 군사적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에서 이 보급되기 시작하자 이를 재빨리 받아들여 조직적으로 운용한 것도 큰 요인이다.

2. 2. 발전과 전성기

1364년 무라드 1세가 예니체리를 처음 창설했다. 초기에는 전쟁 포로나 발칸반도의 기독교 소년들을 강제 징집하여 구성했다. 징집된 이들은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튀르크 전통을 익힌 후, 엄격한 훈련을 거쳐 부대에 편성되었다. 예니체리는 알라와 황제에게만 복종하는 개인 경호대였다. 평상시에는 수도 경비를 맡으며 경찰이나 소방관 역할을 했고, 전쟁 시에는 최정예 부대로 참전했다.[35]

예니체리는 특별 군복과 급여를 받았으며, 콧수염 외 수염을 기르지 않는 등 엄격한 규율 아래 생활했다. 초기에는 결혼과 병영 밖 거주가 금지되었으나, 16세기에 일부 규정이 완화되었다. 쉴레이만 1세 치세에는 화기를 장비한 상비 보병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예니체리가 확충되었고, 제국 영토 내 각지에 주둔하게 되었다.

예니체리들은 엄격한 규율과 고된 훈련을 받으며, ''아제미 오를란''(수도원)과 같은 환경에서 독신 생활을 했다. 이들은 터키어를 배우고 이슬람 규율과 오스만 사회의 관습을 익힌 후, 엔데룬 ''아제미 오를란'' 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다. 여기서 다양한 분야의 재능에 따라 선발되어 훈련을 받았다.[10] 16세기 말, 예니체리들은 새로운 전투 전술을 실험했고, 1605년에는 유럽 최초로 전투에서 순차적인 집중 사격을 실시한 군대 중 하나가 되었다.[36]

쉴레이만 1세와 예니체리 (쉴레이만나메에서)


데브시르메 제도로 징집된 비무슬림 소년들은 무슬림 농민 가정에서 농업 노동을 하며 터키어를 습득했다. 이후 ''아제미 오란'' 신분으로 수도의 신병 군단에 배속되어 예니체리 군단에 편입되었다. 예니체리는 군주 직속 주력 군단으로 이스탄불 병영에 거주하며, 높은 봉급과 면세 특권을 누렸다.[51] 이들은 정기 급여 외에도 연금, 일시금, 공동 기금 대출 등을 받을 수 있었고, 도시 길드와도 관계를 맺어 경제적으로 매력적인 존재였다.[52]

그러나 예니체리는 점차 탐욕스러워지고 권력 집단화되어 정치에 관여하며 타락했다. 18세기에는 막강한 특권과 영향력으로 정부를 장악하고 군대 현대화를 방해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1622년에는 오스만 2세를 암살했고, 1807년에는 셀림 3세를 끌어내렸다. 마무드 2세는 예니체리와 타협했으나, 권력 남용, 군사적 비효율성, 재정 압박 등으로 인해 결국 예니체리를 뿌리뽑기로 결정했다.[35]

1826년 새로운 군대 조직 소식에 예니체리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마무드 2세는 포병에게 막사에 일제 사격을 명령하여 반란군 대부분을 학살했다. 살아남은 자들은 유배되거나 처형당했고, 2년 후 남은 예니체리 부대가 해산되면서 예니체리는 완전히 해체되었다.[35]

2. 3. 쇠퇴와 폐지

예니체리는 16세기 말부터 권력 집단화되어 정치에 깊숙이 관여하기 시작했다. 17세기 초에는 술탄을 마음대로 교체할 수 있을 정도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54] 셀림 2세는 1566년 예니체리에게 결혼을 허락하여 왕조에 대한 충성심이 약화되기 시작했다.[51] 1622년, 예니체리는 제국의 안정에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되었고, 오스만 2세는 이들을 해체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암살당했다.[54]

파트로나 할릴과 그의 지지자들, 장 바티스트 반무르의 그림, 1730~1737년경.


튤립 시대에는 예니체리들이 반란을 일으켜 술탄 아흐메드 3세를 퇴위시키고, 마흐무트 1세의 통치를 시작하게 했다.[41][42] 1804년 세르비아에서는 예니체리 군사 정부가 크네제스 학살을 일으켜 세르비아 혁명을 촉발시켰다.[43]

18세기 후반, 예니체리는 시대에 뒤떨어진 군대가 되었고, 셀림 3세는 니잠 제디드라는 신식 군대를 창설하려 했으나 예니체리의 반대로 실패했다.[55] 마흐무트 2세는 예니체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고, 1826년, 예니체리의 반란을 진압하고 이들을 해체했다. 이 사건은 행복한 사건으로 불린다.[56]

마흐무트 2세는 예니체리를 해산한 후, 무함마드 정복군이라는 새로운 군대를 창설했다. 예니체리의 폐지는 오스만 제국의 서구화 개혁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3. 징집과 교육

오스만 제국은 예니체리 보충을 위해 징집을 시행한 뒤, 징집된 아이들을 콘스탄티니예로 보냈다. 재능있는 대원들은 궁정에서 일하는 부서로 보내져 궁정일을 배웠고, 나머지는 예니체리 군단에 배속되어 군사, 순종, 복종을 배웠다.[9]

어린 재원들은 튀르크 가정으로 보내져 튀르크어, 이슬람 관련 지식, 군사 기초를 배웠다. 이후 이들은 '예니체리 훈련부대'로 보내져 환관들의 감독 아래 6년 이상 훈련을 받았다. 이들은 다양한 무기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았다.[9]

징집 체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했다. 1568년에는 소수의 퇴역 예니체리 자녀만 부대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1594년부터는 모든 무슬림들이 예니체리에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9]

1380년대부터 1648년까지 예니체리들은 데브시르메 시스템을 통해 모집되었다.[10] 이는 비무슬림 소년들,[11] 특히 아나톨리아와 발칸의 기독교인들을 징발(노예로 삼는 것)하는 것을 의미했다. 유대인들은 데브시르메의 대상이 아니었지만,[12] 예니체리 군대에 허용되지 않았고, 의심스러운 경우 황실 병기창으로 보내져 계약 노동자로 일했다.[12] 초기에는 모든 기독교인들이 무차별적으로 징집되었으나, 나중에는 알바니아, 보스니아, 그리스, 불가리아 출신들이 선호되었다.[13] 15세기에 베크타시즘이 예니체리 부대의 공식 수도원이 되었다.[14]

예니체리들은 ''kapıkullarıtr''(단수 ''카피쿨루'') 즉, "문지기" 또는 "높으신 문의 노예"였으며, 자유민도 일반 노예(''köletr'')도 아니었다.[15] 이들은 엄격한 규율을 받았지만, 봉급과 퇴직 연금을 받았고 독특한 사회 계급을 형성했다.[16] 가장 뛰어난 예니체리들은 궁정 기관인 엔데룬으로 보내졌다.[10]

군사 역사학자 마이클 안토누치와 경제 역사학자 글렌 허버드와 팀 케인에 따르면, 튀르크 관리들은 5년마다 술탄의 기독교 신민들 중 가장 건장한 아들들을 그 지역(특히 발칸 반도)에서 찾았다. 이 소년들(보통 10세에서 20세 사이)은 부모로부터 빼앗겨 할례를 받고 지방의 튀르크 가정에 보내져 무슬림으로 자라며 튀르크어와 관습을 배웠다. 군사 훈련이 시작되면 엄격한 규율을 받았고, 수염을 기르거나 군인 외의 다른 기술을 배우거나 결혼하는 것을 금지당했다. 결과적으로 예니체리들은 매우 훈련이 잘 된 군인이 되었고, 1급 시민 또는 군인 계급인 ''아스케리tr'' 계급의 일원이 되었다. 무슬림을 노예로 삼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비무슬림 출신이었다.[10]

16세기 후반, 술탄은 부대의 압력에 굴복하여 예니체리의 자녀들이 부대에 가입하는 것을 허용했는데, 이는 이전 300년 동안 엄격히 금지되었던 관행이었다. 당시 그림에 따르면, 그들은 수염을 기르는 것도 허용되었다. 결과적으로 이전의 엄격한 계승 규칙은 해석의 여지가 생겼다.[10]

디미트리 키시키스는 그의 저서 ''Türk Yunan İmparatorluğu''("튀르크-그리스 제국")에서 많은 보스니아 기독교 가정들이 사회적 발전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데브시르메에 기꺼이 따랐다고 말한다.[19]

최초의 예니체리 부대는 포로와 노예들로 구성되었는데, 한동안 오스만 정부는 데브시르메 시스템을 통해 예니체리 군단에 신병을 공급했다.[24] 어린 나이에 징집된 아이들은 술탄에게 충실한 병사가 되도록 훈련받았다. 데브시르메 신병들의 사회적 지위는 즉각적으로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정부의 권리와 재정적 기회에 대한 보장이 커졌다.[24] 처음에는 모병관들이 그리스인알바니아인을 선호했다.[25][26] 오스만 제국의 국경이 확장됨에 따라 데브시르메는 아르메니아인, 불가리아인, 크로아티아인, 헝가리인, 세르비아인, 그리고 나중에는 보스니아인[27][28][29][30][31]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고, 드물게는 루마니아인, 조지아인, 체르케스인, 우크라이나인, 그리고 남부 러시아인도 포함되었다.[25]

1570년대 이후 오스만 정부는 외세의 위협에 대응하여 군단 규모를 급속히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예니체리는 아제미 오글란(acemi oğlan)으로서 훈련 기간이 단축되었는데, 1490년대의 평균 징집 연령 13.5세에서 1603년에는 16.6세로 증가했다. 예니체리 사령관이 직접 선발한 신병들과 현 오스만 상비군 구성원들의 아들들을 포함하여 자유민 무슬림들에게도 가입이 허용되었다. 17세기 중반까지 데브시르메는 모병 방법으로 거의 폐지되었다.[32]

아흐메트 1세 시대의 초급 예니체리의 규정된 일일 급여는 3 악체(Akçe)였다. 기병 연대 진급은 최소 10 악체의 급여를 의미했다.[33] 예니체리는 의류 부대비로 3개월마다 12악체, 무기류로 30악체를 받았으며, 탄약에 대한 추가 수당도 있었다.[34]

실질적으로 예니체리는 술탄에게 속했으며 왕위와 술탄의 보호자로 여겨졌다. 예니체리는 군단을 자신의 집과 가족으로, 술탄을 아버지로 여기도록 가르침을 받았다. 24세 또는 25세에 충분히 강인함을 증명한 자만이 진정한 예니체리의 계급을 얻었다. 오자크(Odjak)는 사망한 예니체리의 재산을 상속받아 부를 축적했다. 예니체리는 또한 최초의 부대를 축복한 수피(dervish) 성인 하지 베크타쉬 벨리의 명령을 따르도록 배웠다. 베크타쉬파(Bektashi Order)는 예니체리의 일종의 군목(chaplain) 역할을 했다.

비무슬림 소년이 데브시르메 제도에 따라 모집되면, 먼저 지방의 선발된 터키 가정에 보내져 터키어를 배우고 이슬람 규율(즉, 이슬람으로 개종)과 오스만 사회의 관습과 문화를 익혔다. 이 기간을 마치면 아제미(acemi, 신병) 소년들은 수도의 엔데룬 "아제미 오를란" 학교에서 훈련을 받기 위해 모였다. 거기서 젊은 사관후보생들은 엔지니어, 장인, 소총병, 성직자, 궁수, 포병 등 다양한 분야의 재능에 따라 선발되어 훈련을 받았다. 예니체리들은 엄격한 규율과 고된 노동 하에, 사실상 수도원과 같은 조건의 아제미 오를란("신병" 또는 "사관후보생") 학교에서 훈련을 받았으며, 독신 생활을 해야 했다. 다른 무슬림들과 달리 수염을 기르는 것이 명시적으로 금지되었고, 콧수염만 허용되었다.

16세기 말 군단 규모가 급격히 확장된 후에도 예니체리들은 엄격한 훈련과 규율을 계속 받았다. 예니체리들은 새로운 형태의 전투 전술을 실험했고, 1605년에는 유럽에서 최초로 전투에서 순차적인 집중 사격(volley fire)을 실시한 군대 중 하나가 되었다.[36]

1530년대부터 예니체리 군단의 규모는 급격히 확장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그 당시 오스만 제국이 수행했던 급속한 정복의 결과였다. 1570년대 이후 사파비 제국과의 일련의 전쟁, 그리고 1593년 이후 합스부르크 군주국과의 전쟁이 시작되면서 확장 속도는 빨라졌다. 1609년에는 군단의 규모가 약 40,000명으로 안정되었지만, 크레타 전쟁(1645–1669) 기간, 특히 신성 동맹 전쟁(1683–1699) 기간 동안 그 수는 다시 증가했다.

'''예니체리 군단의 정원'''
연도14001484152315301547157415821592160916541666–671687–8816991710–71
정원1,000[9]7,841[9]7,164[9]8,407[9]12,131[9]13,599[9]16,905[9]23,232[9]37,627[9]51,047[9]47,233[9]62,826[9]67,729[9]43,562[9]



데브시르메로 징집되어 예니체리에 배속될 것이 결정된 자는, 먼저 개종 절차를 거친 후, 무슬림 농민 가정에 배치되어 농업 노동에 종사하면서 터키어를 습득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아제미 오란(acemi oğlan)이라는 신분으로 승격되어, 수도 등에 병영을 갖춘 신병 군단에 배속된 후, 예니체리의 증원 및 결원 보충의 필요성에 따라 예니체리 군단에 편입되었다.

예니체리는 군주 직속의 주력 군단으로서 원칙적으로 수도 이스탄불에 있는 병영에 거주하며, 결혼하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동시에 높은 봉급을 받고 면세 등 다양한 특권을 누렸다.[51]

4. 역할

예니체리 군단은 여러 면에서 독특했다. 그들은 독특한 군복을 착용했고, 봉급과 보너스를 포함한 정기적인 봉급을 받았다.[21] 메흐테르 음악에 맞춰 행군했고, 병영에서 생활했으며, 화기를 광범위하게 사용한 최초의 군단이었다. 예니체리 대대는 끈끈한 공동체였고, 사실상 병사들의 가족과 같았다. 전통에 따라 술탄 자신은 예니체리에게 지급되는 봉급을 승인한 후, 예니체리 병사로 변장하여 병영을 방문하여 제1사단의 다른 병사들과 함께 봉급을 받았다.[22] 평시에는 경찰, 궁궐 경비, 소방대 역할도 수행했다. 예니체리는 또한 당시 다른 군대보다 훨씬 더 나은 지원을 받았다. 그들은 잘 조직된 군사 기계의 일부였는데, 지원 부대 중 하나는 도로를 정비하고 다른 부대는 천막을 치고 빵을 구웠다. 그들의 무기와 탄약은 체베치 군단에 의해 수송되고 재공급되었다. 그들은 무슬림과 유대인 외과의사들로 구성된 자체 의료팀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으며, 부상병들은 후방에 설치된 전용 이동식 병원으로 후송되었다.[22]

1750년부터 1800년까지의 튀르키예 총


초창기에는 예니체리들은 숙련된 궁수들이었지만, 1440년대에 화기가 등장하자 곧 채택하기 시작했다. 1529년 비엔나 공방전은 예니체리 공병, 예를 들어 사퍼와 갱도병들의 명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백병전에서는 도끼킬리지를 사용했다. 원래 평시에는 국경 수비대가 아닌 이상 곤봉이나 단검만 휴대할 수 있었다. 튀르키예의 야타간 검은 예니체리의 상징적인 무기였으며, 거의 부대의 상징이었다. 궁궐을 지키던 예니체리(쥘뤼플뤼 발타즈으라르)는 긴 자루의 도끼와 장창을 휴대했다.

16세기 초가 되자 예니체리들은 머스킷을 장비하고 숙련하게 다루었다. 특히 그들은 80mm 구경의 포탄을 발사하는 거대한 "참호용 총"을 사용했는데, 이는 "적들에게 두려움을 주었다". 예니체리들은 또한 초기 수류탄과 핸드캐논(예: 아부스건)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22] 피스톨은 처음에는 인기가 없었지만, 크레타 전쟁 (1645년-1669년) 이후 인기가 높아졌다.

오스만 제국은 1453년 콘스탄티노플 함락, 카이로 마므루크 왕조의 패배, 헝가리와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을 포함한 모든 주요 전역에서 예니체리들을 사용했다. 예니체리 부대는 항상 술탄 자신이 이끌었고, 항상 전리품을 나눠 가졌다. 예니체리 군단은 오스만 군대의 유일한 보병 사단이었다. 전투에서 예니체리들의 주요 임무는 대포와 소형 화기를 사용하여 술탄을 보호하고, 터키 기병의 전략적 위장 후퇴 중 적의 공격으로부터 군대 중앙을 사수하는 것이었다. 예니체리 군단에는 폭발물 전문가, 기술자 및 기술자, 저격수(활과 소총 사용), 요새 아래에 터널을 파는 사파이 등의 소규모 전문가 팀도 포함되었다.

5. 조직

예니체리는 '오르타'(문자 그대로 "중심")로 조직되었다.[37] '오르타'(대대에 해당)는 초르바지가 이끌었다. 모든 '오르타'는 예니체리 군단 자체와 그 조직을 구성했으며, '오작'(문자 그대로 "난로")이라고 불렸다. 술레이만 대제 시대에는 165개의 '오르타'가 있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196개로 증가했다. 술탄이 오스만 군대와 특히 예니체리의 최고 사령관이었지만, 군단은 '아가'라는 사령관이 조직하고 이끌었다. 군단은 세 개의 하위 군단으로 나뉘었다.


  • '제마트'(국경 수비대; 고문헌에서는 '제마트'로 표기됨), 101개의 '오르타'
  • '볼륌' 또는 '베일릭'(술탄의 친위대), 61개의 '오르타'
  • '세크반' 또는 '세이멘', 34개의 '오르타'


또한 34개의 '아제미'(예비대) '오르타'가 있었다. 알제에는 알제르 오작이라고 불리는 자치적인 예니체리 군단이 상주했다.

원래 예니체리는 자체 '오르타' 내에서 연공서열을 통해서만 승진할 수 있었다. 다른 부대를 지휘하기 위해서만 부대를 떠날 수 있었다. 예니체리의 지휘관만이 그들을 처벌할 수 있었다. 계급 명칭은 주방 직원이나 술탄의 왕실 사냥꾼의 직책을 기반으로 했다. 64번째와 65번째 오르타인 '그레이하운드 사육사'는 유일한 예니체리 기병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예니체리가 술탄의 하인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오랫동안 도시에 주둔한 지역 예니체리는 예를리야로 알려져 있다.[38]

6. 평가

18세기 예니체리 (1720년)


마흐무트 2세


예니체리는 오스만 제국의 정예 군대로서 초기에는 큰 역할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며 제국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슐레이만 1세 치세에 급격히 확장되면서 군사 조직 구조가 변화했고, 무슬림 터키계 출신 증가와 결혼 허용으로 군기가 문란해졌다. 또한, 도시 길드와 결탁하여 정치에 개입하고 반란을 일으키는 등 부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18세기 후반에는 유럽 군대에 비해 낙후되었고, 셀림 3세마흐무트 2세의 개혁 시도에도 불구하고 결국 1826년 폐지되었다.

6. 1. 부정적 평가

슐레이만 1세 치세에 예니체리가 급속히 확장되면서 군사 조직 구조에 변화가 생겼고, 이는 오스만 제국의 군사적 쇠퇴 원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51] 시간이 지나면서 데브시르메가 아닌 무슬림 터키계 출신이 증가했고, 금지되었던 결혼도 일반화되어 자녀를 입대시키는 등 사실상 세습이 이루어져 군기가 문란해졌다.[51]

예니체리는 각 도시에서 길드와 결탁하여 무뢰배처럼 행동하고 정치에도 개입했다. 수도에서는 반란을 자주 일으켜 대신을 파면하거나 군주를 폐위시키기도 했다. 특히 17세기에는 술탄을 폐위시킨 사례가 많았는데, 9명의 술탄 중 6명이 폐위되었고, 그중 4번은 예니체리에 의해 폐위되었으며, 오스만 2세이브라힘은 살해되었다.

과거에는 이러한 반란이 군율 해이와 제국 쇠퇴로 여겨졌지만, 연구자 바르키 테스잔은 분권화와 사회 구조 변화로 인한 왕권 남용에 대한 반발이라고 주장한다. 17세기경 예니체리는 이스탄불 시민과 결탁한 입장이었고, 민중 혁명으로 왕이 폐위되는 사례는 유럽(영국의 청교도 혁명이나 명예혁명 등)에서도 볼 수 있다고 한다.[54]

예니체리는 오스트리아 국경 전쟁 때 국경 지대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에서 약탈을 자행하고, 함부로 거주하며 지배 계급인 양 행동했다.

18세기 후반, 예니체리는 유럽 각국의 보병에 비해 시대에 뒤떨어졌고, 개혁 필요성이 커졌다. 1793년 셀림 3세는 니잠 제디드라는 신식 군대를 만들었지만, 1807년 예니체리의 반대로 폐위되었다. 마흐무트 2세는 예니체리에게 양보하면서 충실한 자들을 상층부에 배치하고, 불만 분자들을 강등이나 처형으로 줄이며 점진적인 군사 개혁을 추진했다. 1826년 서구식 신군단 창설을 선포하고, 예니체리 병사 중 충실한 자들은 신군단에 징용하고, 남은 예니체리를 자극했다.

1826년 6월 14일, 예니체리는 반란을 일으켰지만, 마흐무트 2세는 법적 의견서를 받아 반란 진압 명분을 확보하고, 신군단 포병을 동원해 7시간 만에 진압했다.[56] 이 전투에서 4000명의 예니체리가 살해되었고, 많은 예니체리가 처형되거나 추방되었으며, 재산은 몰수되었다. 예니체리가 참수당한 테살로니키의 흰탑은 「피의 탑」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사건은 「행운의 사건」으로 불린다.

6월 16일, 마흐무트 2세는 예니체리 폐지 칙령을 내리고, 신식 군대인 「무함마드 정복군」을 창설했다.

7. 문화

메흐테르 군악대가 연주하는 군악에 맞춰 행진하는 예니체리들. 오스만 미니어처 그림, 《수르네-이 베흐비》(1720년)에서 발췌, 톱카프 궁전 박물관, 이스탄불 소장.


메흐테르라고 불리는 예니체리의 군악은 강력한 타악기와 날카로운 관악기의 조합으로 유명했는데, 거대한 팀파니인 ''크스''(kös), 베이스 드럼인 ''다불''(davul), 요란한 쇼옴인 ''주르나''(zurna), 나피르(naffir) 또는 보루(boru)(천연 트럼펫), ''체브간'' 종, 유럽에서 차용한 삼각철, 심벌즈(''질''(zil)) 등이 포함되었다.[46] 예니체리 음악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같은 유럽 고전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두 작곡가 모두 터키풍 음악을 작곡했다. 예로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1번(약 1783년), 베토벤의 ''아테네의 폐허''(1811년)를 위한 부수 음악, 그리고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의 마지막 악장이 있지만, 베토벤의 경우는 이제 알라 튀르카가 아닌 행진곡으로 간주된다.[47]

술탄 마흐무트 2세는 1826년 예니체리 군단과 함께 메흐테르 악단을 폐지했다. 마흐무트는 1828년 주세페 도니체티가 훈련시킨 유럽식 군악대로 메흐테르 악단을 대체했다. 현대에는 예니체리 군단이 전문적인 전투 부대가 아니지만, 메흐테르 음악의 전통은 문화 및 관광 명소로 이어지고 있다.

1952년 예니체리 군악대, ''메흐테르''가 이스탄불 군사 박물관의 후원 아래 다시 조직되었다. 그들은 일부 국경일과 역사적으로 중요한 날의 퍼레이드에서 공연을 한다.

오스만 제국군의 군악인 메흐테르(Mehter)는 서구에서는 예니체리 음악(Janissary Music)으로 알려져 있다. 예니체리는 근위병으로서 군주와 함께 식사를 하는 특권을 가지고 있으며, 야전에서 사용되는 큰 솥과 수저를 상징으로 삼았다. 예니체리의 막사에는 큰 솥이 놓여 있었고, 반란을 일으킬 때는 솥을 뒤엎었다.[51] 「솥을 뒤엎다」라는 말은 터키에서는 큰 소동이나 반란을 의미한다.

8.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예니체리'와 한국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내용이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9. 관련 작품


  • 불가리아를 비롯한 여러 지역과 우크라이나에서는 수세기 동안 ‘야니차르(яничар)’라는 단어가 배반자를 뜻하는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 제이슨 구드윈의 소설 ''야니차르의 나무(The Janissary Tree)''는 19세기 이스탄불을 배경으로 한다.
  • 오스만 해군과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한 역사 소설 ''술탄의 선장''(The Sultan's Helmsman)이 있다.
  • 살만 루시디의 소설 ''피렌체의 마법사(The Enchantress of Florence)''는 야니차르의 삶, 조직, 기원을 자세히 묘사한다. 소설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인 안토니오 아르갈리아는 오스만 야니차르의 수장이다.[48]
  • 제리 푸르넬의 1979년 소설 ''야니차르(Janissaries)''가 있다.
  • ''무흐테솀 위쥐율(Muhteşem Yüzyıl, ''영광스러운 세기'')''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방영된 터키의 역사 드라마이다. 메랄 오카이(Meral Okay)와 율마즈 샤힌(Yılmaz Şahin)이 집필했으며, 야니차르는 술탄의 근위대의 일원으로 묘사된다. 그들의 군사 질서의 첫 번째 서약은 1시즌 지급식에서 낭송된다.
  • 세르비아의 인기곡으로 프레드라그 고이코비치 쿠네(Predrag Gojković Cune)의 '야니차르(Јањичар)'가 있다.[49][50]
  • 야니차르는 ''문명 IV'', ''문명 V'', ''문명 VI 확장팩'', ''코사크'',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I'',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II'',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V'',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에서 오스만 제국의 독특한 유닛으로 등장한다.
  • 술탄 바예지드 2세 통치 시대 야니차르는 ''어쌔신 크리드: 레벨레이션''에 자주 등장한다.
  • 야니차르는 도로시 더넷(Dorothy Dunnett)의 ''리몬드 연대기(Lymond Chronicles)''의 여러 권에 등장한다.
  • 사바톤의 노래 "날개 달린 윙드 후사르"는 1683년 빈 전투에 관한 것으로, "야니차르, 죽을 준비가 되었나?"라는 질문을 통해 날개 달린 윙드 후사르의 등장이 전투에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
  • 2020년 터키 역사 드라마 ''제국들의 부상: 오스만(Rise of Empires: Ottoman)''에서 야니차르는 두 시즌 모두 메흐메드 2세의 군대의 일원으로 등장한다.

;영화

  • 약탈의 땅(1988년, 불가리아, 감독: 류도밀 스타이코프)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Napoleonic Er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 백과사전 Janissaries Brill Publishers
[3] 서적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4]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Rowman & Littlefield
[5]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6] 서적 A History of the Middle East
[7] 서적 A History of the Muslim World: From Its Origins to the Dawn of Modernit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4-11-21
[8] 서적 Ottoman History – Misperceptions and Truths https://books.google[...] IUR Press 2024-11-21
[9] 서적 Between Two Worlds: The Construction of the Ottoman Sta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10] 서적 Balance: The Economics of Great Powers From Ancient Rome to Modern America Simon & Schuster
[11] 서적 Lineages of the Absolutist State (Verso, 1974), p. 366 https://books.google[...] Verso
[12] 학술지 The Devshirme System and the Levied Children of Bursa in 1603-4 https://belleten.gov[...] 2015-12-01
[13] 백과사전
[14] 웹사이트 The Effects of the abolition on the Bektashi - METU https://etd.lib.metu[...]
[15]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Volume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Arming the State LB Tauris and Co Ltd
[17] 웹사이트 BARDA and BARDA-DĀRI v. Military slavery in Islamic Iran http://www.iranicaon[...] 2014-04-15
[18] 서적 Diaspora Entrepreneurial Networks: Four Centuries of History https://books.google[...] Berg 2015-12-01
[19] 서적 Türk Yunan İmparatorluğu Simurg Kitabevi
[20] 서적 Historija Bošnjaka BZK Preporod
[21] 서적 Guarding the Frontier: Ottoman Border Forts and Garrisons in Europe I.B. Tauris
[22] 서적
[23] 웹사이트 Janissary Recruitment in the Balkans http://warfare.tk/Ot[...] 2015-02-09
[24] 학술지 "Peasant" Janissaries? 2008
[25] 웹사이트 Janissaries https://albanianstud[...] 2018-10-03
[26] 웹사이트 Albania - Albanians under Ottoman Rule http://countrystudie[...] 2018-10-03
[27] 서적 Geschichte des osmanischen Reiches
[28] 서적 When Ethnicity Did Not Matter in the Balkans: A Study of Identity in Pre-Nationalist Croatia, Dalmatia, and Slavonia in the Medieval and Early-Modern Periods
[29]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Volume I
[30] 서적 Ottoman Warfare, 1500-1700
[31] 서적 Janissary Recruitment in the Balkans
[32] 서적 The Sultan's Servants: The Transformation of Ottoman Provincial Government, 1550–1650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3
[33] 서적 Ottoman Warfare, 1500-1700
[34] 서적 Ottoman Warfare, 1500-1700
[35] 웹사이트 The Janissaries and the Ottoman Armed forces OttomanEmpire.info http://ottomanempire[...] 2011-03-08
[36] 논문 A Contribution to the Military Revolution Debate: The Janissaries' Use of Volley Fire During the Long Ottoman-Habsburg War of 1593–1606 and the Problem of Origins 2006
[37] 웹사이트 Orta https://referencewor[...] Brill 2012
[38] 웹사이트 Yerliyya https://referencewor[...] Brill 2012
[39] 웹사이트 Battle of Mohács (1526) http://warfare.tk/Ot[...]
[40] 웹사이트 Expedition to Revan http://warfare.tk/Ot[...]
[41]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McFarland
[42] 서적 A History of Muslims, Christians, and Jews in the Middl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History of Servia and the Serv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44] 논문 The Ottoman Ulama and the Military Reforms of Sultan Mahmud II
[45] 웹사이트 Mansure Army http://www.encyclope[...]
[46] 웹사이트 Turkey: An Overview.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Volume 6 – The Middle East http://search.alexan[...] Routledge 2001
[47] 웹사이트 Janissary music 2022-10
[48] 웹사이트 The Enchantress of Florence (review) https://muse.jhu.edu[...]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49] Youtube Predrag Gojkovic Cune - Janicar - (Audio1981) https://www.youtube.[...]
[50] 웹사이트 40 godina "Janičara": Od nepodobne do legendarne pesme https://www.telegraf[...] 2022-02-27
[51] 서적 オスマン帝国の時代 山川出版社
[52] 서적 小笠原(2018)
[53] 서적 小笠原(2018)
[54] 서적 小笠原(2018)
[55] 서적 小笠原(2018)
[56] 서적 小笠原(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