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성모는 서울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 독일 뮌스터 대학교, 오스나브뤼크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한 음악가이자 신학자이다. 호남신학대학교, 광주제일교회, 대전신학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거나 총장을 역임했고, 한국실천신학회, 한국기독교학회, 전국신학대학협의회 등 다양한 단체에서 회장을 역임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350곡 이상의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캘리그라피 전시회를 열고 작품 활동을 하는 등 다방면에서 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나브뤼크 대학교 동문 - 크리스티안 불프
크리스티안 불프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 소속 정치인으로, 니더작센주 주총리를 거쳐 독일 역사상 최연소 대통령을 지냈으나 스캔들로 사임 후 뇌물 수수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고, 현재는 변호사 및 기업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음악학자 - 오정해
오정해는 미스춘향 출신으로 영화 서편제를 통해 데뷔하여 판소리 명창, 배우, 방송인으로서 활동하며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대한민국의 예술가이다. - 대한민국의 음악학자 - 한갑수 (언어철학자)
한갑수는 메이지 대학, 도쿄 주오 음악학교, 구니타치 음악대학교, 유니언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육군보병학교,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 공군참모대학교, 국방대학교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언어철학자이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동문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동문 - 주공삼
주공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시기를 거치며 월남을 시도하고 피난 생활을 하다가 1953년 뇌수막염으로 사망한 인물이며, 주요 자녀로 주요한, 주요섭, 주영섭 등이 있다.
문성모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문성모 |
활동 기간 | 1978년 ~ 현재 |
출생일 | 1954년 4월 26일 |
직업 | 대학 교수 저술가 작곡가 |
언어 | 한국어 영어 독일어 |
분야 | 실천신학 음악학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오스나브뤼크 대학교 |
2. 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작곡 전공으로 학사 학위(B.M.)를 받았다.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대원(M.Div.)과 동 대학원(Th.M.)을 졸업했다. 독일 뮌스터 대학교(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에서 신학 박사(Dr. Theol.) 학위를, 오스나브뤼크 대학교(Universität Osnabrück)에서 음악학 박사(Dr. Phil) 학위를 취득했다.
문성모는 1993년부터 1995년까지 호남신학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 광주제일교회 위임목사로 사역했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대전신학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장신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3. 경력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실천신학회 회장을, 2005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기독교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신학대학협의회(KAATS) 회장을 맡았으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이사 및 한국신학대학총장협의회 회장을 역임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전국대학총장조찬기도회 회장을 역임했다.
1989년 제22차 세계개혁교회연맹(WARC) 서울총회 대회가(大會歌)를 작곡했고, 1996년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가(總會歌)를 작곡했다. 2007년 한국교회 대부흥 백주년기념대회 대회가(大會歌)를 작곡하는 등 350곡 이상의 찬송가를 작곡했다. 현행 찬송가(21세기찬송가) 48장, 418장, 556장이 문성모가 작곡한 곡이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교회음악작곡가협회 이사장을 역임했고,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재단법인 한국찬송가공회 이사로 활동했다. 2005년부터 2023년까지 강남제일교회 위임목사로 사역했다.
2019년부터 베아오페라예술원 이사장 및 예음문화예술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20년부터 한국음악평론가협회 공동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2004년부터 이자익목사기념사업회 상임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2022년부터 한국국민악회 회장, 한국교회음악협회 명예이사, 2000년부터 한국캘리그라피예술협회 이사로 있다.
4. 주요 활동
4. 1. 작곡 활동
4. 2. 저술 및 번역 활동
4. 3. 캘리그라피 활동
5. 수상 경력
문성모는 1976년 제16회 동아일보 음악콩쿨 국악작곡부에 입상하였다. 1993년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 공로패를 수상하였다. 2004년에는 서울예고 동문상 ‘예고를 빛낸 사람’을 수상하였고, 2005년에는 제18회 한국기독교문화예술대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 제25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011년에는 제12회 세계복음화협의회·국민일보 공동주최 국민대상 신학자상을 수상하였고, 2013년에는 창조문예 시부문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2014년에는 장로회신학대학교 장한동문상과 광나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16년에는 대한민국 황조근정훈장을 수상하였으며, 2020년에는 서울음악대상을, 2023년에는 한국음악상을 수상하였다.
6. 저서 및 번역서
6. 1. 예배 및 목회 관련 저서
- 문성모/文聖模한국어의 예배 및 목회 관련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청북교회이야기'' (쿰란출판사, 2006)
- ''러시아선교이야기'' (쿰란출판사, 2007)
- ''곽선희 목사에게 배우는 설교'' (두란노, 2008)
- ''하용조 목사 이야기'' (두란노, 2010)
- ''한국교회 설교자 33인에게 배우는 설교'' (두란노, 2012)
- ''권태진 목사의 사랑 이야기 - 함께하니 참 행복합니다'' (두란노, 2017)
6. 2. 음악 관련 저서
- 민족음악과 예배(한들) 1997.
- 『우리가락찬송가 제1집 - 나의 힘이 되신 주』(국악선교회) 1989.
- 『한국악기를 위한 교회음악 제1집 - 부활』(국악선교회) 1989.
- 『문성모 성가곡집 -위로하소서』 1999.
- 『문성모 찬송가 330곡집 -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가문비) 2011.
- ''Our Melodies, Our Hymns''(우리가락찬송가 영문판)(가문비) 2013.
- 『작곡가 박재훈 목사 이야기』(홍성사) 2013.
- 『요한 제바스티안 바하를 묻고 답하다』 (예솔) 2016.
- 『한국교회음악작곡가협회40년사』(예솔) 2017.
- 『한국교회 예배와 음악 다시보기』(대한기독교서회) 2019.
- 『우리나라 애국가 이야기』(가문비) 2021.
- 『작곡가 구두회 박사 이야기』(예솔) 2021.
- 『권태진 작사 문성모 작곡 신작찬송가-내가 너와 함께 동행하리라』(성빛) 2023.
- 『문성모 성가작곡집-나의 잔이 넘치나이다』(예솔) 2023.
6. 3. 기타 저서
- 시집 『미완성 교향곡』(쿰란) 2009.
- 어린이 『소태수 선생님 정의가 뭐예요』(가문비) 2011.
- 시집 『6 Forte의 노래』(창조문예사) 2012.
- 칼럼집 『사랑을 믿으세요』(가문비) 2012.
- 제3시집 『아내를 위한 세레나데』(달샘/ 시와표현) 2017.
- 『우리나라 애국가 이야기』(가문비어린이) 2021.
- 시집 『어머니 우리 어머니』(현대시) 2022.
6. 4. 번역서
- 칼 바르트,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문성모 역 (예솔) 2020.
- 오문환, 『토마스 목사전』 문성모(공동 번역) (대한기독교서회) 2020.
7. 주요 논문
- Bernhard Christoph Ludwig Natorp als Reformer der liturgischen Musik im Gottesdienst für di evangelischen Kirchen Westfalens in der ersten Häfte des 19. Jahrhunderts (1816-1846) (Münster) 1992.
- Die Schulmusikerzieung Süd-Koreas nach Ziel, Inhalt und Methode und der europäische Einfluss in der Zeit der Lehrpläne (Seit 1955) 1993.
- “김정준(金正俊)의 찬송시에 대한 신학적 이해”, 『21세기 세계교회의 흐름과 사회의 전망 - 김용복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제2권』, 한일장신대학교 출판부, 1998.
- “예배의 한국화(化)-음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와 예배」 한국문화신학회 제3집, 1999.
- 서정운의 찬송시에 나타난 경건 사상, 『예루살렘에서 땅끝까지 - 서정운 명예총장 은퇴 기념 문집』, 대한기독교서회, 2001.
- “그레고리안 찬트 유감”, 「기독교사상」, 2014년 10월호(통권 670호), 대한기독교서회.
- “예배음악의 순혈주의는 없다”, 「기독교사상」, 2014년 11월호(통권 671호), 대한기독교서회.
- “음악, 그 자유로운 만남과 소통”, 「기독교사상」, 2015년 2월호(통권 674호), 대한기독교서회.
- “비신화화론에 의한 예배음악의 실존 찾기” 「기독교사상」 2015년 3월호.
- “예배음악의 수평적 기능과 사회적 책임” 「기독교사상」 2015년 4월호.
- “중용(中庸)에서 배우는 예배 - 균형과 조화”, 「기독교사상」, 2015년 5월호(통권 677호), 대한기독교서회.
- “우리의 교회, 우리의 예배, 우리의 찬송”, 「기독교사상」, 2015년 6월호(통권 678호), 대한기독교서회.
- “묵도(黙禱)의 신학 - 한국교회를 위한 예배의 시작”, 「기독교사상」, 2015년 8월호(통권 680호), 대한기독교서회.
- “초기 찬송가의 한국화를 위한 노력과 결실”, 「기독교사상」, 2015년 11월호(통권 683호), 대한기독교서회.
- “세종에게 배우는 예배음악의 정신”, 「기독교사상」, 2016년 1월호(통권 685호), 대한기독교서회.
-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유산(1) - “언더우드의 <찬양가>에 수록된 최초의 한국인 가사”, 「기독교사상」, 2016년 2월호(통권 686호), 대한기독교서회.
-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유산(2) - 길선주의 추풍석음가(秋風惜陰歌)”, 「기독교사상」, 2016년 3월호(통권 687호), 대한기독교서회.
-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유산(3) - 한국인의 애창 찬송 ‘예수 사랑하심을’”, 「기독교사상」, 2016년 4월호(통권 688호), 대한기독교서회.
- “한국적인 찬송가를 만들어야 한다 - 〈백만명구령가〉의 중요성”, 「기독교사상」, 2016년 5월호(통권 689호), 대한기독교서회.
- “애국가는 찬송가로 만들어졌다”, 「기독교사상」, 2016년 6월호(통권 690호), 대한기독교서회.
- “'콘트라팍타'로 만들어진 기념비적 찬송가들”, 「기독교사상」, 2016년 7월호(통권 691호), 대한기독교서회.
- 한국교회의 종말론적 찬송가들”, 「기독교사상」, 2016년 8월호(통권 692호), 대한기독교서회.
- “한국 찬송가의 역사와 전망”, 「기독교사상」, 2016년 9월호(통권 693호), 대한기독교서회.
- “파이프오르간, 그것이 알고 싶다”, 「기독교사상」, 2016년 10월호(통권 694호), 대한기독교서회.
- “아더 피어선의 찬송가 연구” 「피어선신학논단」 제5권 제1호(통권8집), 평택대학교출판부, 2016.
- “바하는 '음악의 아버지'인가”. 「기독교사상」, 2017년 1월호(통권 697호), 2017년 1월호, 대한기독교서회.
- “시편의 표제와 음악에 관한 연구”, 「기독교사상」. 2017년 6월호(통권 702호), 대한기독교서회.
- “한국교회 예배와 음악의 방향”, 「기독교사상」. 2017년 7월호(통권 703호), 대한기독교서회.
- “이런 성가대를 기대한다”, 「기독교사상」. 2017년 8월호(통권 704호) 대한기독교서회.
- “나운영을 어찌할꼬 - 한국교회 예배와 음악의 마지막 과제”, 「기독교사상」. 2017년 9월호(통권 705호), 대한기독교서회.
- “마르틴 루터의 예배음악에 대한 이해” 「기독교사상」 2017년 2월호.
- “장공 김재준의 찬송시에 대한 신학적 이해-<어둔 밤 마음에 잠겨> 가사를 중심으로” 「기독교사상」 2017년 3월호.
- “시편의 표제와 음악에 관한 연구” 「기독교사상」 2017년 6월호.
- “88올림픽 이후의 기독교 음악 전개 양상”, 「음악평론」, 21집, (2020.12.05.).
- “구두회 음악의 내셔널니즘”, 「음악평론」, 22집, (2021.12.20.).
- “애국가의 변천과정과 작사자 문제” 「음악평론」, 23집, (2022.12.10.).
- “한국교회의 희망을 위한 과제”, 『이 시대의 대학 총장에게 길을 묻다』, 대학총장포럼 편, 킹덤북스, 2019.
- “곽선희 목사의 설교-무엇을 설교할 것인가”, 「월간목회」 2009년 1월호(Vol. 389).
- “조용기 목사의 설교-당신의 설교에 주제가 있는가?”, 「월간목회」 2009년 2월호(Vol. 390).
- “하용조 목사의 설교-성경을 성경대로 설교하라”, 「월간목회」 2009년 3월호(Vol. 391).
- “윤석전 목사의 설교-복음에 감전된 설교”, 「월간목회」 2009년 4월호(Vol. 392).
- “김삼환 목사의 설교-멜기세덱에서 한경직까지”, 「월간목회」 2009년 5월호(Vol. 393).
- “김진홍 목사의 설교-설교자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라”, 「월간목회」2009년 7월호(Vol. 395).
- “김선도 목사의 설교-적극적 사고, 희망의 설교”, 「월간목회」2009년 8월호(Vol. 396)
- “이종윤 목사의 설교-단단한 신학, 경건의 능력과 모양을 갖춘 설교”, 「월간목회」 2009년 9월호(Vol. 397).
- “옥한흠 목사의 설교-가르치라! 지키게 하라! 한국교회의 세례 요한으로 서다”, 「월간목회」2009년 10월호(Vol. 398).
- “나겸일 목사의 설교-죽었다가 살아난 체험설교와 성령운동”, 「월간목회」2009년 11월호(Vol. 399).
- “김장환 목사의 설교-작은 거인의 쉬운 설교, 세계를 선교하다”, 「월간목회」2009년 12월호(Vol. 400).
- “장경동 목사의 설교-감성의 시대가 요구하는 유머감각을 개발하라”, 「월간목회」 2010년 1월호(Vol. 401).
- “이동원 목사의 설교-지정의의 균형을 이룬 인격적 설교”, 「월간목회」 2010년 2월호(Vol. 402).
- “홍정길 목사의 설교-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 그 외침의 성육신화”, 「월간목회」 2010년 3월호(Vol. 403).
- “정필도 목사의 설교-행복한 설교자는 복이 있나니 교회가 부흥할 것이요”, 「월간목회」 2010년 4월호(Vol. 404).
- “한경직 목사의 셜교-육신이 말씀 되어 말씀이 육신 되신 예수를 전하다”, 「월간목회」 2010년 5월호(Vol. 405).
- “이중표 목사의 설교-별세 설교로 감동을 주고 별세 목회로 특성화하다”, 「월간목회」 2010년 6월호(Vol. 406).
- “박조준 목사의 설교-우리 시대의 마지막 웅변가에게서 배우는 연출설교”, 「월간목회」 2010년 7월호(Vol. 407).
- “김준곤 목사의 설교-한국교회 부흥운동의 대부에게 듣는 성령설교”, 「월간목회」 2010년 8월호(Vol. 408).
- “길선주 목사의 설교-한국교회의 아버지가 남겨 준 설교 교과서”, 「월간목회」 2010년 9월호(Vol. 409).
- “이성봉 목사의 설교-부흥사의 모범답안, 한국의 무디에게 듣는 설교”, 「월간목회」 2010년 10월호(Vol. 410).
- “김익두 목사의 설교-한국 사회를 뒤흔든 신유부흥운동의 대부”, 「월간목회」 2010년 11월호(Vol. 411).
- “이용도 목사의 설교-한국교회 영성의 머릿돌이 된 감성의 사도”, 「월간목회」 2010년 12월호(Vol. 412).
- “최봉석 목사의 설교-‘예수천당’ 만을 외친 한국교회 설교의 전설”, 「월간목회」 2011년 1월호(Vol. 413).
- “이기풍 목사의 설교-‘평양의 사울’이 한국 최초의 선교사가 되다”, 「월간목회」 2011년 2월호(Vol. 414).
- “주기철 목사의 설교-한국교회 순교역사의 자부심, 순교자의 대명사”, 「월간목회」 2011년 3월호(Vol. 415).
- “손양원 목사의 설교-한국 순교역사의 최고의 감동, 원수까지 사랑한 성자의 외침”, 「월간목회」 2011년 4월호(Vol. 416).
- “이자익 목사의 설교-머슴 출신의 3선 총회장, 한국교회를 바로 세운 최고의 법통”, 「월간목회」 2011년 5월호(Vol. 417).
- “한상동 목사의 설교-죽음을 허락받지 못한 순교자, 한국교회를 위한 생육신(生六臣)” 「월간목회」 2011년 6월호(Vol. 418).
- “서경조 목사의 설교-한국교회 역사에 ‘최초’의 신화를 쓰고, 한 알의 밀알 되어 섬기다” 「월간목회」 2011년 7월호(Vol. 419).
- “강신명 목사의 설교-따뜻한 큰손, 넓은 가슴으로 화합과 일치를 외친 민족교회의 어머니” 「월간목회」 2011년 8월호(Vol. 420).
- “신현균 목사의 설교-한국교회 최고의 전성기를 견인한 우리 시대의 마지막 대형 부흥사” 「월간목회」 2011년 9월호(Vol. 421).
- “김치선 목사의 설교-자신의 가슴을 먼저 찟고 교회의 회개를 외친 눈물의 사도, 한국의 베드로” 「월간목회」 2011년 11월호(Vol. 423).
7. 1. 신학 및 예배 관련 논문
문성모는 다양한 신학 및 예배 관련 논문을 저술했다. 1992년에는 「Bernhard Christoph Ludwig Natorp als Reformer der liturgischen Musik im Gottesdienst für di evangelischen Kirchen Westfalens in der ersten Häfte des 19. Jahrhunderts (1816-1846)」(Münster)를 발표했다. 1993년에는 「Die Schulmusikerzieung Süd-Koreas nach Ziel, Inhalt und Methode und der europäische Einfluss in der Zeit der Lehrpläne (Seit 1955)」를 저술했다.1998년에는 『21세기 세계교회의 흐름과 사회의 전망 - 김용복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제2권』에 「김정준(金正俊)의 찬송시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1999년에는 한국문화신학회 제3집 「한국문화와 예배」에 「예배의 한국화(化)-음악을 중심으로」를 기고했다. 2001년에는 『예루살렘에서 땅끝까지 - 서정운 명예총장 은퇴 기념 문집』에 「서정운의 찬송시에 나타난 경건 사상」을 발표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기독교사상」에 다양한 주제의 글을 기고했다. 「그레고리안 찬트 유감」(2014년 10월호), 「예배음악의 순혈주의는 없다」(2014년 11월호), 「음악, 그 자유로운 만남과 소통」(2015년 2월호), 「비신화화론에 의한 예배음악의 실존 찾기」(2015년 3월호), 「예배음악의 수평적 기능과 사회적 책임」(2015년 4월호), 「중용(中庸)에서 배우는 예배 - 균형과 조화」(2015년 5월호), 「우리의 교회, 우리의 예배, 우리의 찬송」(2015년 6월호), 「묵도(黙禱)의 신학 - 한국교회를 위한 예배의 시작」(2015년 8월호), 「초기 찬송가의 한국화를 위한 노력과 결실」(2015년 11월호), 「세종대학교왕에게 배우는 예배음악의 정신」(2016년 1월호) 등을 발표했다.
또한,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유산」 시리즈를 통해 언더우드, 길선주, 그리고 한국인이 애창하는 찬송 ‘예수 사랑하심을’ 등에 대해 논했다. 「한국적인 찬송가를 만들어야 한다 - 〈백만명구령가〉의 중요성」(2016년 5월호), 「애국가는 찬송가로 만들어졌다」(2016년 6월호), 「'콘트라팍타'로 만들어진 기념비적 찬송가들」(2016년 7월호), 「한국교회의 종말론적 찬송가들」(2016년 8월호), 「한국 찬송가의 역사와 전망」(2016년 9월호), 「파이프오르간, 그것이 알고 싶다」(2016년 10월호) 등도 발표했다.
2016년에는 평택대학교출판부에서 발행된 「피어선신학논단」 제5권 제1호(통권8집)에 「아더 피어선의 찬송가 연구」를 게재했다. 2017년에는 「기독교사상」에 「바하는 '음악의 아버지'인가」(1월호), 「시편의 표제와 음악에 관한 연구」(6월호), 「한국교회 예배와 음악의 방향」(7월호), 「이런 성가대를 기대한다」(8월호), 「찬불가 작곡가 나운영을 어찌할꼬 - 한국교회 예배와 음악의 마지막 과제」(9월호), 「마틴 루터의 예배음악에 대한 이해」(2월호), 「장공 김재준의 찬송시에 대한 신학적 이해-<어둔 밤 마음에 잠겨> 가사를 중심으로」(3월호) 등을 발표했다.
2020년 이후에는 「음악평론」에 「88올림픽 이후의 기독교 음악 전개 양상」(21집, 2020.12.05.), 「구두회 음악의 내셔널니즘」(22집, 2021.12.20.), 「애국가의 변천과정과 작사자 문제」(23집, 2022.12.10.)를 발표했다. 2019년에는 『이 시대의 대학 총장에게 길을 묻다』(대학총장포럼 편, 킹덤북스)에 「한국교회의 희망을 위한 과제」를 기고했다.
그는 또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월간목회」에 곽선희, 조용기, 하용조, 윤석전, 김삼환, 김진홍, 김선도, 이종윤, 옥한흠, 나겸일, 김장환, 장경동, 이동원, 홍정길, 정필도, 한경직, 이중표, 박조준, 김준곤, 길선주, 이성봉, 김익두, 이용도, 최봉석, 이기풍, 주기철, 손양원, 이자익, 한상동, 서경조, 강신명, 신현균, 김치선 등 여러 목회자들의 설교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7. 2. 음악 관련 논문
문성모는 다양한 음악 관련 논문을 저술했다. 1992년에는 19세기 전반(1816-1846) 베스트팔렌 복음주의 교회를 위한 예배에서 전례 음악을 개혁한 베른하르트 크리스토프 루드비히 나토프(Bernhard Christoph Ludwig Natorp)에 대한 논문을 뮌스터에서 발표했다. 1993년에는 1955년 이후 교육 과정 기간 동안 유럽의 영향을 받은 한국 학교 음악 교육의 목표,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1998년에는 김정준의 찬송시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다룬 논문을 발표했고, 1999년에는 예배의 한국화에 대한 논문을 통해 음악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와 예배의 관계를 조명했다. 2001년에는 서정운의 찬송시에 나타난 경건 사상을 연구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기독교사상」 에 다양한 주제의 예배 음악 관련 글을 기고했다. 2014년에는 그레고리안 찬트와 예배 음악의 순혈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고, 2015년에는 비신화화론, 예배 음악의 사회적 책임, 중용, 한국 교회 예배와 찬송, 묵도의 신학, 초기 찬송가의 한국화, 세종대왕의 예배 음악 정신 등을 주제로 글을 발표했다.
2016년에는 언더우드의 찬양가, 길선주의 추풍석음가, 한국인의 애창 찬송 '예수 사랑하심을', 백만명구령가, 애국가, 콘트라팍타, 한국 교회의 종말론적 찬송가, 한국 찬송가의 역사와 전망, 파이프오르간 등을 다루며 한국 교회 예배 음악의 유산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탐구했다. 특히, "애국가는 찬송가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2017년에는 바하는 '음악의 아버지'인가, 시편의 표제와 음악, 한국 교회 예배와 음악의 방향, 성가대, 찬불가 작곡가 나운영, 마틴 루터의 예배 음악, 장공 김재준의 찬송시 등 다양한 관점에서 예배 음악을 논했다.
2020년에는 88올림픽 이후의 기독교 음악 전개 양상을, 2021년에는 구두회 음악의 내셔널리즘을 분석했으며, 2022년에는 애국가의 변천 과정과 작사자 문제를 다루는 등 음악 평론 활동도 이어갔다.
7. 3. 한국교회 목회자 설교 분석 논문
문성모는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설교를 분석한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1992년에는 독일의 베른하르트 크리스토프 루트비히 나토르프(Bernhard Christoph Ludwig Natorp)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1993년에는 한국의 학교 음악 교육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1998년에는 김정준의 찬송시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다룬 논문을 발표했다.2001년에는 서정운의 찬송시에 나타난 경건 사상을 연구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대한기독교서회에서 발행하는 기독교사상에 예배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글을 기고했다. 2016년에는 피어선신학논단에 아더 피어선의 찬송가 연구에 대한 논문을 게재했다.
2017년에는 기독교사상에 마틴 루터의 예배음악, 김재준의 찬송시, 시편의 표제와 음악, 한국교회 예배와 음악의 방향, 성가대, 나운영 등에 대한 글을 발표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음악평론에 88올림픽 이후의 기독교 음악, 구두회 음악, 애국가 등에 대한 글을 발표했다.
2019년에는 대학총장포럼에서 펴낸 책에 한국교회의 희망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글을 기고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월간목회에 곽선희, 조용기, 하용조, 윤석전, 김삼환, 김진홍, 김선도, 이종윤, 옥한흠, 나겸일, 김장환, 장경동, 이동원, 홍정길, 정필도, 한경직, 이중표, 박조준, 김준곤, 길선주, 이성봉, 김익두, 이용도, 최봉석, 이기풍, 주기철, 손양원, 이자익, 한상동, 서경조, 강신명, 신현균, 김치선 등 한국교회 주요 목회자들의 설교를 분석하는 글을 연재했다.
8. 주요 음악작품
다음은 문성모가 작곡한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찬송가 목록이다. 괄호 안은 작사자이다.
- 가는 허리 철조망을 (황대익)
- 가슴마다 파도친다 (반병섭)
- 간절히 기도하였네 (문성모)
- 갈 길 잃고 방황하는 (김희보)
- 감람산 깊은 밤중에 (W. B. Tappan영어)
- 감사하세 주님을 찬양하세 (문성모)
- 거룩 거룩 거룩 (문성모)
-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주 (문성모)
- 거룩하신 아버지여 (조기연)
- 거룩하신 주님 (B. Clairvauxla)
- 거룩하신 주 하나님 (정치근)
- 거룩하신 하나님 (문성모)
- 거룩하신 하나님은 (전제동)
- 거룩한 구주 내 친구 (Charlotte Elliott영어)
- 거룩한 이 예식은 (조기연)
- 거룩한 주의 날 (문성모)
- 건강이 은혜라면 (박종렬)
- 게네사렛 호숫가로 (김희보)
- 겟세마네 동산에서 (한경직)
- 견디기 어려운 고난이 와도 (황대익)
- 고대하던 우리 주님 (황대익)
- 고요하고 거룩한 밤 (임성길)
- 고요히 머리 숙여 (서정운)
- 곤한 자 어서 오라 (William C. Dix영어)
- 곧 오소서 성령이여 (Charles Wesley영어)
- 광야 길 사십 년 (홍장욱)
- 구주여 나를 가르쳐 (William T. Matsom영어)
-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문성모)
- 그 어린 주 예수 (Anonymous영어)
- 그 어린 주 예수 (Anonymous영어)
- 기도하려 눈 감으면 (서성환)
- 기쁜 이날 아침 (문성모)
-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유호준)
- 나 깊은 곳에서 (Henry W. Bake영어)
- 나그네와 같은 내가 (W. Williams영어)
- 나는 믿네 나는 믿네 (사도신경)
- 나 생명 있으매 (김희보)
- 나의 생명 드리니 (Frances. R. Havergal영어)
- 나의 힘이 되신 주 (문성모)
-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 (권기창)
- 낳으시고 길러 주신 (김수진)
- 내가 주를 안다함이 (김성영)
- 내 인생 사는 것 (김성준)
- 내 인생 사는 것 (김성준)
- 내 주여 나는 주의 것 (Samuel Davies영어)
- 내 주여 이 몸 드리니 (Matthew Bridges영어)
- 내 지은 모든 죄 (김희보)
- 내 힘과 방패 되시며 (Johann Scheffierde)
-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 (G. Neumarkde)
- 네 맘과 정성을 다하여서 (정용철)
- 논밭에 오곡백과 (John S. B. Monsell영어)
- 눈물 밭에 떨어진 (고황경)
- 눈물의 골짜기에서 (안신영)
- 능력과 방패가 되시는 예수 (R. A. John영어)
- 두려워서 낙심할 때 (Percy Dearmer영어)
- 들어주소서 (문성모)
- 만물의 주인 되시는 (문성모)
- 만왕의 왕 된 예수 (문성모)
- 머리 숙여 경배하세 (문성모)
- 무덤 문을 여시고 (문성모)
- 미더워라 주의 가정 (문익환)
- 믿는 자여 다 나와 (문성모)
- 믿음의 가정을 주신 하나님 (서정식)
- 믿음의 선한 싸움 (김유연)
- 바다가 보이는 산길에서 (문성모)
- 백두산 천지 위에 (문성모)
- 복되어라 어버이날 (Ernst F. McGregor영어)
- 부활 승천하신 주께서 (이성봉)
- 불같은 시험 당할 때 (문성모)
- 비바람이 칠 때와 (Charles Wesley영어)
- 빛이 되신 나의 주님 (임택진)
- 사랑의 구주 예수 (문성모)
- 사랑의 새 계명을 (신세원)
- 사랑의 주님 예수 (이계준)
- 사십 일을 밤낮으로 (손학풍)
- 산마다 불이 탄다 (임옥인)
- 산에 들에 피는 꽃이 (이실태)
-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 (남궁억)
- 새누리가 밝아온다 (신성종)
- 새해가 밝아 오나니 (Thomas H, Gill영어)
- 생명 진리 은혜 되신 (Anonymous영어)
- 선한 목자 예수님 (오병수)
- 성도들 소리 높여 (김시백)
- 성도여 다 같이 할렐루야 (C. H. Bateman영어)
- 성령의 은사를 나에게 (E. Hatch영어)
- 성령이여 우리 (W. H. Parker영어)
- 세상 복은 왔다가도 (정치근)
- 세상 수고 끝내고 (문성모)
- 세상이 나를 버리고 (Ni, Chi-pi중국어)
- 순결한 비둘기처럼 (황대익)
- 시온성과 같은 교회 (J. Newton영어)
- 시험 받을 때에 (J. Montgomery영어)
- 신랑을 맞으러 나가세 (E. R. Latta영어)
- 십자가 밑에서 (문성모)
- 십자가 주님을 기억하며 (문성모)
- 아낌없이 아낌없이 (황대익)
- 아멘(1) (문성모)
- 아멘(2) (문성모)
- 아멘(3) (문성모)
- 아멘(4) (문성모)
- 아멘(5) (문성모)
- 아침에 주를 찬송합니다 (문성모)
- 아침 햇살 보다 더 빛나 (심군식)
- 알렐루야 (문성모)
- 암울했던 이 나라에 (김장호)
- 어두운 내 눈 밝혀 주사 (C. H. Scott영어)
- 어두움이 온 누리에 (오병수)
- 어둔 밤은 지나가고 (박재목)
- 어둔 밤 지나가면 (김호식)
- 어둔 세상 만민들아 (C. Schmidtde)
- 어둠의 권세에서 (마경일)
- 어렵고 힘든 일 많아도 (고훈)
- 어머님의 사랑 보다 (주요한)
- 언젠가는 돌아가리 (정치근)
- 에덴의 동산처럼 (이무경)
- 여호와는 성전에 계시니 (문성모)
- 역사 속에 지난 해를 (김지수)
- 영광 주의 이름 영화롭다 (문성모)
- 영원한 반석이신 주 (Samuel F. Smith영어)
- 영원히 죽게 될 내 영혼 (C. E. Breck영어)
- 영화로신 주 성령 (A. Reed영어)
- 예배하는 우리 모두 (김삼환)
- 예부터 도움 되시고 (I. Watts영어)
- 예수 귀한 보배 (J. Franckde)
- 예수 나를 위하여 (김인식)
- 예수님 날 위해 죽으셨네 (문성모)
- 예수님은 선한 목자 (황대익)
- 예수랑(아리랑) (문성모)
- 예수를 생각만 해도 (B. Clairvauxla)
- 예수여 은혜를 내려주사 (Anonymous영어)
- 오 나의 하나님 (S. Frank영어)
- 오늘 모여 찬송함은 (John C. Davison영어)
- 오늘 받은 은혜를 (정치근)
- 오늘은 기쁜 생일 (김호식)
- 오 주여 내 마음 받으소서 (William Hiram Foulkes영어)
- 우리 가진 모든 재물 (문성모)
- 우리 구주 나신 날 (Anonymous영어)
- 우리 기도 들으시고 (문성모)
- 우리 기도 들으시사 (문성모)
- 우리 기도 소리를 (문성모)
- 우리 모두 주님 앞에 (조기연)
- 우리 모두 주 안에서 (문성모)
- 우리 위해 찢기신 (문성모)
- 우리의 기도를 들으소서 (문성모)
- 우리의 마음을 (문성모)
- 우리의 마음을 열어 주소서 (문성모)
- 우리 주님 예수께서 (문성모)
- 우리 주님 예수 따라 (문성모)
- 우리 주 예수님 잡히시던 날 (문성모)
- 우리 찬송하며 살리라 (김경수)
- 은혜 향기 모든 곳에 (이보철)
- 응답해 주소서 (문성모)
- 이기고도 남으리라 (임옥인)
- 이 땅에서 주를 위해 (김지길)
- 이 세상 끝날까지 (이건숙)
- 이 세상 지나가고 (A. R, Cousin영어)
- 이슬을 내리시듯 (김희보)
- 이전에 주님을 내가 몰라 (정용철)
- 인류는 하나되게 (마경일)
- 임하소서 말씀의 하나님 (문성모)
- 자비하신 예수여 (Thomas B, Pollock영어)
- 저 하늘의 새벽 별 (김희보)
-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사도신경)
- 전능하시사 만물을 주관하시는 (문성모)
- 정든 교우 헤어져 (정치근)
- 정성으로 심은 씨앗 (문성모)
- 죄악의 세상에 살며 (황대익)
- 주 나의 목자 되시니 (F. Rous영어)
- 주님께서 부르실 때 (곽선희)
- 주님 따라 가는 길 (황대익)
- 주님 오늘 사셨네 (문성모)
- 주님을 찬양하세 (문성모)
- 주님의 말씀은 (김희보)
- 주님 향해 드려지는 (황대익)
- 주를 바라보오니 (John Gambold영어)
- 주 믿는 성도의 굳센 터는 (Keen영어)
- 주 사랑 안에 있어 (A. L. Waring영어)
- 주 성령이여 내려오시사 (George Croly영어)
- 주 앞으로 늘 가까이 (문성모)
- 주 앞으로 늘 가까이 (문성모)
- 주여 나를 날마다 (John P. Hopps영어)
- 주여 나의 기도를 (문성모)
- 주여 내 맘을 보살피사 (Gertrude E. Swallen영어)
- 주여 어린 사슴이 (Anonymous영어)
- 주여 옵니다 (김경래)
- 주여 우리를 (문성모)
- 주 예수 따라서 (Henry Harbaugh영어)
- 주 예수의 십자가 (권희로)
- 주 예수 주신 직분 (홍안의)
- 주 우리 예물을 (문성모)
- 주의 말씀 받은 우리 (문성모)
- 주의 성령이 내게 (안준배)
- 주의 성찬 받은 우리 (문성모)
- 주의 전에 나올 때 (김정준)
- 주의 전에 나옵니다 (문성모)
- 주 하나님 하시는 일 (Samuel Rodigastde)
- 지금 곧 일어나 말씀 들어라 (도한호)
- 지난날의 잘못은 (김우영)
- 진리이신 주 성령 (문성모)
- 참 기쁜 노래 불러 (Frances R. Havergal영어)
- 창조의 하나님 (홍정표)
- 창조주 하나님께 (김호식)
- 천부여 의지 없어서 (Charles Wesley영어)
- 천사들의 노래가 (French Choral프랑스어)
- 천하보다 귀한 생명 (김정준)
- 축복과 존귀 영광의 주님 (문성모)
- 탕자처럼 아버지의 품을 떠나 (문성모)
- 태산이 변하여서 (정치근)
- 평화의 마음으로 (문성모)
- 평화의 왕 임하소서 (박성원)
- 피난처 있으니 (Anonymous영어)
- 하나님을 믿는 자 (문성모)
- 하나님의 부름 따라 (오병수)
- 하나님이여 이 귀한 식탁에 (문성모)
- 하나님이 짝지으사 (정치근)
- 하늘과 땅 생기기 전 (조기연)
- 하늘 높은 곳에는 (문성모)
- 하늘에 가득 찬 영광의 하나님 (김정준)
- 하늘에는 주님께 영광 (문성모)
- 하늘에 빛나고 찬란한 별아 (R. Heber영어)
- 하늘에 찬송이 들리던 그날 (J. W. Chapman영어)
- 하루의 시작과 끝남을 (문성모)
- 한밤중 들려오는 (최복규)
- 한 번 드린 몸이오니 (한영선)
- 할렐루야 할렐루야 (문성모)
- 햇빛과 불의 주 성령 (Henry H. Tweedy영어)
- 호산나 호산나 (J. Threlfall영어)
- 혼돈한 세계 바르게 하신 (홍현설)
- 혼자 소리로는 할 수 없겠네 (Anonymous영어)
- 회개의 노래 (김희보)
8. 1. 찬송가
다음은 문성모가 작곡한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찬송가 목록이다.- 가는 허리 철조망을 (황대익 작사)
- 가슴마다 파도친다 (반병섭 작사)
- 간절히 기도하였네 (문성모 작사)
- 갈 길 잃고 방황하는 (김희보 작사)
- 감람산 깊은 밤중에 (W. B. Tappan영어 작사)
- 감사하세 주님을 찬양하세 (문성모 작사)
- 거룩 거룩 거룩 (문성모 작사)
-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주 (문성모 작사)
- 거룩하신 아버지여 (조기연 작사)
- 거룩하신 주님 (B. Clairvauxla 작사)
- 거룩하신 주 하나님 (정치근 작사)
- 거룩하신 하나님 (문성모 작사)
- 거룩하신 하나님은 (전제동 작사)
- 거룩한 구주 내 친구 (Charlotte Elliott영어 작사)
- 거룩한 이 예식은 (조기연 작사)
- 거룩한 주의 날 (문성모 작사)
- 건강이 은혜라면 (박종렬 작사)
- 게네사렛 호숫가로 (김희보 작사)
- 겟세마네 동산에서 (한경직 작사)
- 견디기 어려운 고난이 와도 (황대익 작사)
- 고대하던 우리 주님 (황대익 작사)
- 고요하고 거룩한 밤 (임성길 작사)
- 고요히 머리 숙여 (서정운 작사)
- 곤한 자 어서 오라 (William C. Dix영어 작사)
- 곧 오소서 성령이여 (Charles Wesley영어 작사)
- 광야 길 사십 년 (홍장욱 작사)
- 구주여 나를 가르쳐 (William T. Matsom영어 작사)
-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문성모 작사)
- 그 어린 주 예수 (Anonymous영어 작사)
- 그 어린 주 예수 (Anonymous영어 작사)
- 기도하려 눈 감으면 (서성환 작사)
- 기쁜 이날 아침 (문성모 작사)
-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유호준 작사)
- 나 깊은 곳에서 (Henry W. Bake영어 작사)
- 나그네와 같은 내가 (W. Williams영어 작사)
- 나는 믿네 나는 믿네 (사도신경)
- 나 생명 있으매 (김희보 작사)
- 나의 생명 드리니 (Frances. R. Havergal영어 작사)
- 나의 힘이 되신 주 (문성모 작사)
-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 (권기창 작사)
- 낳으시고 길러 주신 (김수진 작사)
- 내가 주를 안다함이 (김성영 작사)
- 내 인생 사는 것 (김성준 작사)
- 내 인생 사는 것 (김성준 작사)
- 내 주여 나는 주의 것 (Samuel Davies영어 작사)
- 내 주여 이 몸 드리니 (Matthew Bridges영어 작사)
- 내 지은 모든 죄 (김희보 작사)
- 내 힘과 방패 되시며 (Johann Scheffierde 작사)
-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 (G. Neumarkde 작사)
- 네 맘과 정성을 다하여서 (정용철 작사)
- 논밭에 오곡백과 (John S. B. Monsell영어 작사)
- 눈물 밭에 떨어진 (고황경 작사)
- 눈물의 골짜기에서 (안신영 작사)
- 능력과 방패가 되시는 예수 (R. A. John영어 작사)
- 두려워서 낙심할 때 (Percy Dearmer영어 작사)
- 들어주소서 (문성모 작사)
- 만물의 주인 되시는 (문성모 작사)
- 만왕의 왕 된 예수 (문성모 작사)
- 머리 숙여 경배하세 (문성모 작사)
- 무덤 문을 여시고 (문성모 작사)
- 미더워라 주의 가정 (문익환 작사)
- 믿는 자여 다 나와 (문성모 작사)
- 믿음의 가정을 주신 하나님 (서정식 작사)
- 믿음의 선한 싸움 (김유연 작사)
- 바다가 보이는 산길에서 (문성모 작사)
- 백두산 천지 위에 (문성모 작사)
- 복되어라 어버이날 (Ernst F. McGregor영어 작사)
- 부활 승천하신 주께서 (이성봉 작사)
- 불같은 시험 당할 때 (문성모 작사)
- 비바람이 칠 때와 (Charles Wesley영어 작사)
- 빛이 되신 나의 주님 (임택진 작사)
- 사랑의 구주 예수 (문성모 작사)
- 사랑의 새 계명을 (신세원 작사)
- 사랑의 주님 예수 (이계준 작사)
- 사십 일을 밤낮으로 (손학풍 작사)
- 산마다 불이 탄다 (임옥인 작사)
- 산에 들에 피는 꽃이 (이실태 작사)
-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 (남궁억 작사)
- 새누리가 밝아온다 (신성종 작사)
- 새해가 밝아 오나니 (Thomas H, Gill영어 작사)
- 생명 진리 은혜 되신 (Anonymous영어 작사)
- 선한 목자 예수님 (오병수 작사)
- 성도들 소리 높여 (김시백 작사)
- 성도여 다 같이 할렐루야 (C. H. Bateman영어 작사)
- 성령의 은사를 나에게 (E. Hatch영어 작사)
- 성령이여 우리 (W. H. Parker영어 작사)
- 세상 복은 왔다가도 (정치근 작사)
- 세상 수고 끝내고 (문성모 작사)
- 세상이 나를 버리고 (Ni, Chi-pi중국어 작사)
- 순결한 비둘기처럼 (황대익 작사)
- 시온성과 같은 교회 (J. Newton영어 작사)
- 시험 받을 때에 (J. Montgomery영어 작사)
- 신랑을 맞으러 나가세 (E. R. Latta영어 작사)
- 십자가 밑에서 (문성모 작사)
- 십자가 주님을 기억하며 (문성모 작사)
- 아낌없이 아낌없이 (황대익 작사)
- 아멘(1) (문성모 작사)
- 아멘(2) (문성모 작사)
- 아멘(3) (문성모 작사)
- 아멘(4) (문성모 작사)
- 아멘(5) (문성모 작사)
- 아침에 주를 찬송합니다 (문성모 작사)
- 아침 햇살 보다 더 빛나 (심군식 작사)
- 알렐루야 (문성모 작사)
- 암울했던 이 나라에 (김장호 작사)
- 어두운 내 눈 밝혀 주사 (C. H. Scott영어 작사)
- 어두움이 온 누리에 (오병수 작사)
- 어둔 밤은 지나가고 (박재목 작사)
- 어둔 밤 지나가면 (김호식 작사)
- 어둔 세상 만민들아 (C. Schmidtde 작사)
- 어둠의 권세에서 (마경일 작사)
- 어렵고 힘든 일 많아도 (고훈 작사)
- 어머님의 사랑 보다 (주요한 작사)
- 언젠가는 돌아가리 (정치근 작사)
- 에덴의 동산처럼 (이무경 작사)
- 여호와는 성전에 계시니 (문성모 작사)
- 역사 속에 지난 해를 (김지수 작사)
- 영광 주의 이름 영화롭다 (문성모 작사)
- 영원한 반석이신 주 (Samuel F. Smith영어 작사)
- 영원히 죽게 될 내 영혼 (C. E. Breck영어 작사)
- 영화로신 주 성령 (A. Reed영어 작사)
- 예배하는 우리 모두 (김삼환 작사)
- 예부터 도움 되시고 (I. Watts영어 작사)
- 예수 귀한 보배 (J. Franckde 작사)
- 예수 나를 위하여 (김인식 작사)
- 예수님 날 위해 죽으셨네 (문성모 작사)
- 예수님은 선한 목자 (황대익 작사)
- 예수랑(아리랑) (문성모 작사)
- 예수를 생각만 해도 (B. Clairvauxla 작사)
- 예수여 은혜를 내려주사 (Anonymous영어 작사)
- 오 나의 하나님 (S. Frank영어 작사)
- 오늘 모여 찬송함은 (John C. Davison영어 작사)
- 오늘 받은 은혜를 (정치근 작사)
- 오늘은 기쁜 생일 (김호식 작사)
- 오 주여 내 마음 받으소서 (William Hiram Foulkes영어 작사)
- 우리 가진 모든 재물 (문성모 작사)
- 우리 구주 나신 날 (Anonymous영어 작사)
- 우리 기도 들으시고 (문성모 작사)
- 우리 기도 들으시사 (문성모 작사)
- 우리 기도 소리를 (문성모 작사)
- 우리 모두 주님 앞에 (조기연 작사)
- 우리 모두 주 안에서 (문성모 작사)
- 우리 위해 찢기신 (문성모 작사)
- 우리의 기도를 들으소서 (문성모 작사)
- 우리의 마음을 (문성모 작사)
- 우리의 마음을 열어 주소서 (문성모 작사)
- 우리 주님 예수께서 (문성모 작사)
- 우리 주님 예수 따라 (문성모 작사)
- 우리 주 예수님 잡히시던 날 (문성모 작사)
- 우리 찬송하며 살리라 (김경수 작사)
- 은혜 향기 모든 곳에 (이보철 작사)
- 응답해 주소서 (문성모 작사)
- 이기고도 남으리라 (임옥인 작사)
- 이 땅에서 주를 위해 (김지길 작사)
- 이 세상 끝날까지 (이건숙 작사)
- 이 세상 지나가고 (A. R, Cousin영어 작사)
- 이슬을 내리시듯 (김희보 작사)
- 이전에 주님을 내가 몰라 (정용철 작사)
- 인류는 하나되게 (마경일 작사)
- 임하소서 말씀의 하나님 (문성모 작사)
- 자비하신 예수여 (Thomas B, Pollock영어 작사)
- 저 하늘의 새벽 별 (김희보 작사)
-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사도신경)
- 전능하시사 만물을 주관하시는 (문성모 작사)
- 정든 교우 헤어져 (정치근 작사)
- 정성으로 심은 씨앗 (문성모 작사)
- 죄악의 세상에 살며 (황대익 작사)
- 주 나의 목자 되시니 (F. Rous영어 작사)
- 주님께서 부르실 때 (곽선희 작사)
- 주님 따라 가는 길 (황대익 작사)
- 주님 오늘 사셨네 (문성모 작사)
- 주님을 찬양하세 (문성모 작사)
- 주님의 말씀은 (김희보 작사)
- 주님 향해 드려지는 (황대익 작사)
- 주를 바라보오니 (John Gambold영어 작사)
- 주 믿는 성도의 굳센 터는 (Keen영어 작사)
- 주 사랑 안에 있어 (A. L. Waring영어 작사)
- 주 성령이여 내려오시사 (George Croly영어 작사)
- 주 앞으로 늘 가까이 (문성모 작사)
- 주 앞으로 늘 가까이 (문성모 작사)
- 주여 나를 날마다 (John P. Hopps영어 작사)
- 주여 나의 기도를 (문성모 작사)
- 주여 내 맘을 보살피사 (Gertrude E. Swallen영어 작사)
- 주여 어린 사슴이 (Anonymous영어 작사)
- 주여 옵니다 (김경래 작사)
- 주여 우리를 (문성모 작사)
- 주 예수 따라서 (Henry Harbaugh영어 작사)
- 주 예수의 십자가 (권희로 작사)
- 주 예수 주신 직분 (홍안의 작사)
- 주 우리 예물을 (문성모 작사)
- 주의 말씀 받은 우리 (문성모 작사)
- 주의 성령이 내게 (안준배 작사)
- 주의 성찬 받은 우리 (문성모 작사)
- 주의 전에 나올 때 (김정준 작사)
- 주의 전에 나옵니다 (문성모 작사)
- 주 하나님 하시는 일 (Samuel Rodigastde 작사)
- 지금 곧 일어나 말씀 들어라 (도한호 작사)
- 지난날의 잘못은 (김우영 작사)
- 진리이신 주 성령 (문성모 작사)
- 참 기쁜 노래 불러 (Frances R. Havergal영어 작사)
- 창조의 하나님 (홍정표 작사)
- 창조주 하나님께 (김호식 작사)
- 천부여 의지 없어서 (Charles Wesley영어 작사)
- 천사들의 노래가 (French Choral프랑스어 작사)
- 천하보다 귀한 생명 (김정준 작사)
- 축복과 존귀 영광의 주님 (문성모 작사)
- 탕자처럼 아버지의 품을 떠나 (문성모 작사)
- 태산이 변하여서 (정치근 작사)
- 평화의 마음으로 (문성모 작사)
- 평화의 왕 임하소서 (박성원 작사)
- 피난처 있으니 (Anonymous영어 작사)
- 하나님을 믿는 자 (문성모 작사)
- 하나님의 부름 따라 (오병수 작사)
- 하나님이여 이 귀한 식탁에 (문성모 작사)
- 하나님이 짝지으사 (정치근 작사)
- 하늘과 땅 생기기 전 (조기연 작사)
- 하늘 높은 곳에는 (문성모 작사)
- 하늘에 가득 찬 영광의 하나님 (김정준 작사)
- 하늘에는 주님께 영광 (문성모 작사)
- 하늘에 빛나고 찬란한 별아 (R. Heber영어 작사)
- 하늘에 찬송이 들리던 그날 (J. W. Chapman영어 작사)
- 하루의 시작과 끝남을 (문성모 작사)
- 한밤중 들려오는 (최복규 작사)
- 한 번 드린 몸이오니 (한영선 작사)
- 할렐루야 할렐루야 (문성모 작사)
- 햇빛과 불의 주 성령 (Henry H. Tweedy영어 작사)
- 호산나 호산나 (J. Threlfall영어 작사)
- 혼돈한 세계 바르게 하신 (홍현설 작사)
- 혼자 소리로는 할 수 없겠네 (Anonymous영어 작사)
- 회개의 노래 (김희보 작사)
8. 1. 1.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 수록 찬송가
다음은 문성모가 작곡한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찬송가 목록이다.- 가는 허리 철조망을 (황대익 작사)
- 가슴마다 파도친다 (반병섭 작사)
- 간절히 기도하였네 (문성모 작사)
- 갈 길 잃고 방황하는 (김희보 작사)
- 감람산 깊은 밤중에 (W. B. Tappan 작사)
- 감사하세 주님을 찬양하세 (문성모 작사)
- 거룩 거룩 거룩 (문성모 작사)
-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주 (문성모 작사)
- 거룩하신 아버지여 (조기연 작사)
- 거룩하신 주님 (B. Clairvaux 작사)
- 거룩하신 주 하나님 (정치근 작사)
- 거룩하신 하나님 (문성모 작사)
- 거룩하신 하나님은 (전제동 작사)
- 거룩한 구주 내 친구 (Charlotte Elliott 작사)
- 거룩한 이 예식은 (조기연 작사)
- 거룩한 주의 날 (문성모 작사)
- 건강이 은혜라면 (박종렬 작사)
- 게네사렛 호숫가로 (김희보 작사)
- 겟세마네 동산에서 (한경직 작사)
- 견디기 어려운 고난이 와도 (황대익 작사)
- 고대하던 우리 주님 (황대익 작사)
- 고요하고 거룩한 밤 (임성길 작사)
- 고요히 머리 숙여 (서정운 작사)
- 곤한 자 어서 오라 (William C. Dix 작사)
- 곧 오소서 성령이여 (Charles Wesley 작사)
- 광야 길 사십 년 (홍장욱 작사)
- 구주여 나를 가르쳐 (William T. Matsom 작사)
-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문성모 작사)
- 그 어린 주 예수 (Anonymous 작사)
- 그 어린 주 예수 (Anonymous 작사)
- 기도하려 눈 감으면 (서성환 작사)
- 기쁜 이날 아침 (문성모 작사)
-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유호준 작사)
- 나 깊은 곳에서 (Henry W. Bake 작사)
- 나그네와 같은 내가 (W. Williams 작사)
- 나는 믿네 나는 믿네 (사도신경)
- 나 생명 있으매 (김희보 작사)
- 나의 생명 드리니 (Frances. R. Havergal 작사)
- 나의 힘이 되신 주 (문성모 작사)
-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 (권기창 작사)
- 낳으시고 길러 주신 (김수진 작사)
- 내가 주를 안다함이 (김성영 작사)
- 내 인생 사는 것 (김성준 작사)
- 내 인생 사는 것 (김성준 작사)
- 내 주여 나는 주의 것 (Samuel Davies 작사)
- 내 주여 이 몸 드리니 (Matthew Bridges 작사)
- 내 지은 모든 죄 (김희보 작사)
- 내 힘과 방패 되시며 (Johann Scheffier 작사)
-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 (G. Neumark 작사)
- 네 맘과 정성을 다하여서 (정용철 작사)
- 논밭에 오곡백과 (John S. B. Monsell 작사)
- 눈물 밭에 떨어진 (고황경 작사)
- 눈물의 골짜기에서 (안신영 작사)
- 능력과 방패가 되시는 예수 (R. A. John 작사)
- 두려워서 낙심할 때 (Percy Dearmer 작사)
- 들어주소서 (문성모 작사)
- 만물의 주인 되시는 (문성모 작사)
- 만왕의 왕 된 예수 (문성모 작사)
- 머리 숙여 경배하세 (문성모 작사)
- 무덤 문을 여시고 (문성모 작사)
- 미더워라 주의 가정 (문익환 작사)
- 믿는 자여 다 나와 (문성모 작사)
- 믿음의 가정을 주신 하나님 (서정식 작사)
- 믿음의 선한 싸움 (김유연 작사)
- 바다가 보이는 산길에서 (문성모 작사)
- 백두산 천지 위에 (문성모 작사)
- 복되어라 어버이날 (Ernst F. McGregor 작사)
- 부활 승천하신 주께서 (이성봉 작사)
- 불같은 시험 당할 때 (문성모 작사)
- 비바람이 칠 때와 (Charles Wesley 작사)
- 빛이 되신 나의 주님 (임택진 작사)
- 사랑의 구주 예수 (문성모 작사)
- 사랑의 새 계명을 (신세원 작사)
- 사랑의 주님 예수 (이계준 작사)
- 사십 일을 밤낮으로 (손학풍 작사)
- 산마다 불이 탄다 (임옥인 작사)
- 산에 들에 피는 꽃이 (이실태 작사)
-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 (남궁억 작사)
- 새누리가 밝아온다 (신성종 작사)
- 새해가 밝아 오나니 (Thomas H, Gill 작사)
- 생명 진리 은혜 되신 (Anonymous 작사)
- 선한 목자 예수님 (오병수 작사)
- 성도들 소리 높여 (김시백 작사)
- 성도여 다 같이 할렐루야 (C. H. Bateman 작사)
- 성령의 은사를 나에게 (E. Hatch 작사)
- 성령이여 우리 (W. H. Parker 작사)
- 세상 복은 왔다가도 (정치근 작사)
- 세상 수고 끝내고 (문성모 작사)
- 세상이 나를 버리고 (Ni, Chi-pi 작사)
- 순결한 비둘기처럼 (황대익 작사)
- 시온성과 같은 교회 (J. Newton 작사)
- 시험 받을 때에 (J. Montgomery 작사)
- 신랑을 맞으러 나가세 (E. R. Latta 작사)
- 십자가 밑에서 (문성모 작사)
- 십자가 주님을 기억하며 (문성모 작사)
- 아낌없이 아낌없이 (황대익 작사)
- 아멘(1) (문성모 작사)
- 아멘(2) (문성모 작사)
- 아멘(3) (문성모 작사)
- 아멘(4) (문성모 작사)
- 아멘(5) (문성모 작사)
- 아침에 주를 찬송합니다 (문성모 작사)
- 아침 햇살 보다 더 빛나 (심군식 작사)
- 알렐루야 (문성모 작사)
- 암울했던 이 나라에 (김장호 작사)
- 어두운 내 눈 밝혀 주사 (C. H. Scott 작사)
- 어두움이 온 누리에 (오병수 작사)
- 어둔 밤은 지나가고 (박재목 작사)
- 어둔 밤 지나가면 (김호식 작사)
- 어둔 세상 만민들아 (C. Schmidt 작사)
- 어둠의 권세에서 (마경일 작사)
- 어렵고 힘든 일 많아도 (고훈 작사)
- 어머님의 사랑 보다 (주요한 작사)
- 언젠가는 돌아가리 (정치근 작사)
- 에덴의 동산처럼 (이무경 작사)
- 여호와는 성전에 계시니 (문성모 작사)
- 역사 속에 지난 해를 (김지수 작사)
- 영광 주의 이름 영화롭다 (문성모 작사)
- 영원한 반석이신 주 (Samuel F. Smith 작사)
- 영원히 죽게 될 내 영혼 (C. E. Breck 작사)
- 영화로신 주 성령 (A. Reed 작사)
- 예배하는 우리 모두 (김삼환 작사)
- 예부터 도움 되시고 (I. Watts 작사)
- 예수 귀한 보배 (J. Franck 작사)
- 예수 나를 위하여 (김인식 작사)
- 예수님 날 위해 죽으셨네 (문성모 작사)
- 예수님은 선한 목자 (황대익 작사)
- 예수랑(아리랑) (문성모 작사)
- 예수를 생각만 해도 (B. Clairvaux 작사)
- 예수여 은혜를 내려주사 (Anonymous 작사)
- 오 나의 하나님 (S. Frank 작사)
- 오늘 모여 찬송함은 (John C. Davison 작사)
- 오늘 받은 은혜를 (정치근 작사)
- 오늘은 기쁜 생일 (김호식 작사)
- 오 주여 내 마음 받으소서 (William Hiram Foulkes 작사)
- 우리 가진 모든 재물 (문성모 작사)
- 우리 구주 나신 날 (Anonymous 작사)
- 우리 기도 들으시고 (문성모 작사)
- 우리 기도 들으시사 (문성모 작사)
- 우리 기도 소리를 (문성모 작사)
- 우리 모두 주님 앞에 (조기연 작사)
- 우리 모두 주 안에서 (문성모 작사)
- 우리 위해 찢기신 (문성모 작사)
- 우리의 기도를 들으소서 (문성모 작사)
- 우리의 마음을 (문성모 작사)
- 우리의 마음을 열어 주소서 (문성모 작사)
- 우리 주님 예수께서 (문성모 작사)
- 우리 주님 예수 따라 (문성모 작사)
- 우리 주 예수님 잡히시던 날 (문성모 작사)
- 우리 찬송하며 살리라 (김경수 작사)
- 은혜 향기 모든 곳에 (이보철 작사)
- 응답해 주소서 (문성모 작사)
- 이기고도 남으리라 (임옥인 작사)
- 이 땅에서 주를 위해 (김지길 작사)
- 이 세상 끝날까지 (이건숙 작사)
- 이 세상 지나가고 (A. R, Cousin 작사)
- 이슬을 내리시듯 (김희보 작사)
- 이전에 주님을 내가 몰라 (정용철 작사)
- 인류는 하나되게 (마경일 작사)
- 임하소서 말씀의 하나님 (문성모 작사)
- 자비하신 예수여 (Thomas B, Pollock 작사)
- 저 하늘의 새벽 별 (김희보 작사)
-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사도신경)
- 전능하시사 만물을 주관하시는 (문성모 작사)
- 정든 교우 헤어져 (정치근 작사)
- 정성으로 심은 씨앗 (문성모 작사)
- 죄악의 세상에 살며 (황대익 작사)
- 주 나의 목자 되시니 (F. Rous 작사)
- 주님께서 부르실 때 (곽선희 작사)
- 주님 따라 가는 길 (황대익 작사)
- 주님 오늘 사셨네 (문성모 작사)
- 주님을 찬양하세 (문성모 작사)
- 주님의 말씀은 (김희보 작사)
- 주님 향해 드려지는 (황대익 작사)
- 주를 바라보오니 (John Gambold 작사)
- 주 믿는 성도의 굳센 터는 (Keen 작사)
- 주 사랑 안에 있어 (A. L. Waring 작사)
- 주 성령이여 내려오시사 (George Croly 작사)
- 주 앞으로 늘 가까이 (문성모 작사)
- 주 앞으로 늘 가까이 (문성모 작사)
- 주여 나를 날마다 (John P. Hopps 작사)
- 주여 나의 기도를 (문성모 작사)
- 주여 내 맘을 보살피사 (Gertrude E. Swallen 작사)
- 주여 어린 사슴이 (Anonymous 작사)
- 주여 옵니다 (김경래 작사)
- 주여 우리를 (문성모 작사)
- 주 예수 따라서 (Henry Harbaugh 작사)
- 주 예수의 십자가 (권희로 작사)
- 주 예수 주신 직분 (홍안의 작사)
- 주 우리 예물을 (문성모 작사)
- 주의 말씀 받은 우리 (문성모 작사)
- 주의 성령이 내게 (안준배 작사)
- 주의 성찬 받은 우리 (문성모 작사)
- 주의 전에 나올 때 (김정준 작사)
- 주의 전에 나옵니다 (문성모 작사)
- 주 하나님 하시는 일 (Samuel Rodigast 작사)
- 지금 곧 일어나 말씀 들어라 (도한호 작사)
- 지난날의 잘못은 (김우영 작사)
- 진리이신 주 성령 (문성모 작사)
- 참 기쁜 노래 불러 (Frances R. Havergal 작사)
- 창조의 하나님 (홍정표 작사)
- 창조주 하나님께 (김호식 작사)
- 천부여 의지 없어서 (Charles Wesley 작사)
- 천사들의 노래가 (French Choral 작사)
- 천하보다 귀한 생명 (김정준 작사)
- 축복과 존귀 영광의 주님 (문성모 작사)
- 탕자처럼 아버지의 품을 떠나 (문성모 작사)
- 태산이 변하여서 (정치근 작사)
- 평화의 마음으로 (문성모 작사)
- 평화의 왕 임하소서 (박성원 작사)
- 피난처 있으니 (Anonymous 작사)
- 하나님을 믿는 자 (문성모 작사)
- 하나님의 부름 따라 (오병수 작사)
- 하나님이여 이 귀한 식탁에 (문성모 작사)
- 하나님이 짝지으사 (정치근 작사)
- 하늘과 땅 생기기 전 (조기연 작사)
- 하늘 높은 곳에는 (문성모 작사)
- 하늘에 가득 찬 영광의 하나님 (김정준 작사)
- 하늘에는 주님께 영광 (문성모 작사)
- 하늘에 빛나고 찬란한 별아 (R. Heber 작사)
- 하늘에 찬송이 들리던 그날 (J. W. Chapman 작사)
- 하루의 시작과 끝남을 (문성모 작사)
- 한밤중 들려오는 (최복규 작사)
- 한 번 드린 몸이오니 (한영선 작사)
- 할렐루야 할렐루야 (문성모 작사)
- 햇빛과 불의 주 성령 (Henry H. Tweedy 작사)
- 호산나 호산나 (J. Threlfall 작사)
- 혼돈한 세계 바르게 하신 (홍현설 작사)
- 혼자 소리로는 할 수 없겠네 (Anonymous 작사)
- 회개의 노래 (김희보 작사)
8. 1. 2. 2016년 이후 신작 찬송가
(권태진 작사)- 거룩한 주 내 맘속에
- 광야의 노래
- 구원을 받아서 기쁘거든
- 나의 생명 주인되신
- 독생자를 보내 주신
- 돌아온 탕자
- 말씀 듣고 성령 받아
- 복되어라 우리가정
- 사랑의 하나님 주신 선물
- 산새들이 노래하니
- 아침 하늘 빛 받아
- 애굽에서 해방된 날
- 에덴의 복 누리어라
- 에스겔의 골짜기의
- 인생길이 험난하고
- 주여 나의 병든 몸을
-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가
- 하나님의 형상대로
- 환란 질병 고통에서
- 하늘 영광 입은 백성
- 옥토같은 마음에(편곡)
- 하나님의 큰 사랑
- 인생길이 힘이 들고
- 하나님의 은혜 입은(광복절 노래)
- 강가에 조약돌처럼
- 새벽 이슬 같은 성령 은혜
- 돌아온 탕자
- 광야의 노래
- 근심 걱정 몰려와도
- 다시 사신 예수님을
- 새벽 안개 이슬 같은
- 어둠 권세 크고 강하니
- 예수 나를 구원하여
- 주님 지신 십자가를
- 주님께서 나를 택해
- 푸른 바다 저 너머
- 하나님의 크신 사랑
- 환란 고통 찾아와도
- 하늘의 영광을 버리고
- 광야와 같은 세상에
- 내가 너와 함께 동행하리라
- 넓은 들 풍년 솔바람에
- 밤같이 어두운 세상에서
- 산보다 더 높은 주님 사랑
- 우리 주님 구름 타고 오시리라
- 주께서 내죄를 사하셨네
- 주님은 나의 방패와 병기
- 지금까지 내가 산 것은
- 하나님 사랑 감사하며
- 하나님을 찬양하자
- 동녘하늘 밝은 빛
- 창조주의 은총입어
- 하나님의 사랑은
- 사랑의 하나님이
- 하나님의 사랑입어
-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를
-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김순규 작사)
- 기뻐하며 찬양하세
- 이 내 몸을 드리오니
(박종구 작사)
- 예수께서 눈먼 자를
- 우리 주님 다시 오실
- 우리를 지으신 하나님
- 주님의 말씀은 진리의 빛이시라
- 주님은 포도나무
(안준배 작사)
- 성령 보혜사시여
(소강석 작사)
- 주님의 피로 세우신 교회
(이영훈 작사)
- 전능하신 하나님의
(박근원 작사)
- 보내주소서
(본훼퍼 원시/ 이말테 한정애 번역시)
- 성도들과 이방인들
8. 2. 어린이 찬송가
문성모는 어린이를 위한 찬송가를 작곡했다. 다음은 어린이 찬송가 목록의 일부이다.- 고사리 손 두 손 모아(신철종 작사)
- 올망졸망 소꿉친구(김종호 작사)
- 한 처음에 하나님이(석용원 작사)
- 하나님의 나라는(최기준 작사)
- '''하'''나님은 생명의 하나님(임규일 작사)
- 예수님 약속을 새겨들으면(임규일 작사)
- 내가 너와 세상 끝까지(윤두혁 작사)
- 예수님께 나가면(한철완 작사)
- 예수님의 부드러운 그 손길(윤두혁 작사)
- 믿음 믿음 믿음으로(김장호 작사)
- 검은 구름 폭풍우(윤광재 작사)
- 어린이의 소망이신 예수님(한철완 작사)
- '''찬'''송하는 내 입술(임규일 작사)
- 숲 속에서 노래하는(안광성 작사)
- 트리에 화려한 불빛 걸기 전에(김숙분 작사)
- 작은 별이 오순도순(황대익 작사)
- 내가 제일 기쁜 날은(황대익 작사)
- 풀밭에는 양떼들(김지향 작사)
- 별들이 졸고 있는(박경종 작사)
- 참 아름다워라 하나님이 지으신(박화목 작사)
- 예수님이 죄인들을(황대익 작사)
8. 3. 동요
문성모는 다양한 동요를 작곡했다. 황대익의 시에 곡을 붙인 〈지난밤에 몰래 내린〉, 〈인심 좋은 우리 동네에〉, 엄기원의 시에 곡을 붙인 〈신문 보다 잠드신〉, 〈염소(구름 동동 하늘이)〉, 박경종의 시에 곡을 붙인 〈눈이 눈이 내린다〉, 김숙분의 시에 곡을 붙인 〈바람 바람 바람의 코는〉, 진관의 시에 곡을 붙인 〈우리나라 좋은 나라〉 외에 문성모 자신이 직접 시를 쓴 〈너는 무엇으로 살아가니〉가 있다.8. 4. 시편교창송
문성모는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다양한 시편 교창송을 작곡했다. 시편 1편(복 있는 사람은), 시편 2편(어찌하여 이방 나라들이), 시편 4편(내 의의 하나님이여), 시편 5편(여호와여 나의 말에 귀를 기울이사), 시편 8편(여호와 우리 주여), 시편 10편(여호와여 일어나옵소서)을 포함한다.또한, 시편 13편(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시편 14편(어리석은 자는 그의 마음에), 시편 15편(여호와여 주의 장막에 머무를 자), 시편 16편(하나님이여 나를 지켜 주소서), 시편 17편(여호와여 의의 호소를 들으소서), 시편 19편(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시편 23편(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시편 24편(땅과 거기 충만한 것과) 등이 있다.
시편 27편(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시편 28편(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 시편 29편(너희 권능 있는 자들아), 시편 31편(여호와여 내가 주께 피하오니), 시편 32편(허물의 사함을 받고), 시편 33편(너희 의인들아 여호와를 즐거워하라), 시편 34편(내가 여호와를 항상 송축함이여), 시편 37편(악을 행하는 자들 때문에 불평하지 말며)도 포함된다.
그 외에도 시편 43편, 46편, 47편, 50편, 51편, 63편, 65편, 67편, 68편, 71편, 72편, 81편, 84편, 90편, 91편, 92편, 95편, 96편, 97편, 98편, 99편, 100편, 103편, 104편, 105편, 106편, 108편, 116편, 118편, 119편, 121편, 126편, 127편, 128편, 130편, 133편, 136편, 139편, 142편, 143편, 145편, 148편, 149편, 150편이 있다.
8. 5. 성가
wikitext- <거룩하신 주 하나님>(정치근 시)
- <광야길 사십년>(홍장욱 시)
- <그가 담당하셨네>(이사야 53장)
-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권기창)
- <복있는 사람은>(시편 1편)
-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시편 23편)
-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시편 28편)
- <이슬을 내리시듯>(김희보 시)
- <주님의 음성>(시편 22편)
- <하나님을 믿는 자>(문성모 시)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주기도문)
- <나의 힘이 되신 주>(시편 18편)
- 영원한 승리(황대익 시)
8. 5. 1. 합창곡
wikitext- '''1. 찬송가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곡) (괄호 안은 작사자)'''
◾ 가는 허리 철조망을(황대익) ◾ 가슴마다 파도친다(반병섭) ◾ 간절히 기도하였네(문성모) ◾ 갈 길 잃고 방황하는(김희보) ◾ 감람산 깊은 밤중에(W. B. Tappan) ◾ 감사하세 주님을 찬양하세(문성모) ◾ 거룩 거룩 거룩(문성모) ◾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주(문성모) ◾ 거룩하신 아버지여(조기연) ◾ 거룩하신 주님(B. Clairvaux) ◾ 거룩하신 주 하나님(정치근) ◾ 거룩하신 하나님(문성모) ◾ 거룩하신 하나님은(전제동) ◾ 거룩한 구주 내 친구(Charlotte Elliott) ◾ 거룩한 이 예식은(조기연) ◾ 거룩한 주의 날(문성모) ◾ 건강이 은혜라면(박종렬) ◾ 게네사렛 호숫가로(김희보) ◾ 겟세마네 동산에서(한경직) ◾ 견디기 어려운 고난이 와도(황대익) ◾ 고대하던 우리 주님(황대익) ◾ 고요하고 거룩한 밤(임성길) ◾ 고요히 머리 숙여(서정운) ◾ 곤한 자 어서 오라(William C. Dix) ◾ 곧 오소서 성령이여(Charles Wesley) ◾ 광야 길 사십 년(홍장욱) ◾ 구주여 나를 가르쳐(William T. Matsom) ◾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문성모) ◾ 그 어린 주 예수(Anonymous) ◾ 그 어린 주 예수(Anonymous) ◾ 기도하려 눈 감으면(서성환) ◾ 기쁜 이날 아침(문성모) ◾ 기쁠 때나 슬플 때나(유호준) ◾ 나 깊은 곳에서(Henry W. Bake) ◾ 나그네와 같은 내가(W. Williams) ◾ 나는 믿네 나는 믿네(사도신경) ◾ 나 생명 있으매(김희보) ◾ 나의 생명 드리니(Frances. R. Havergal) ◾ 나의 힘이 되신 주(문성모) ◾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권기창) ◾ 낳으시고 길러 주신(김수진) ◾ 내가 주를 안다함이(김성영) ◾ 내 인생 사는 것(김성준) ◾ 내 인생 사는 것(김성준) ◾ 내 주여 나는 주의 것(Samuel Davies) ◾ 내 주여 이 몸 드리니(Matthew Bridges) ◾ 내 지은 모든 죄(김희보) ◾ 내 힘과 방패 되시며(Johann Scheffier) ◾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G. Neumark) ◾ 네 맘과 정성을 다하여서(정용철) ◾ 논밭에 오곡백과(John S. B. Monsell) ◾ 눈물 밭에 떨어진(고황경) ◾ 눈물의 골짜기에서(안신영) ◾ 능력과 방패가 되시는 예수(R. A. John) ◾ 두려워서 낙심할 때(Percy Dearmer) ◾ 들어주소서(문성모) ◾ 만물의 주인 되시는(문성모) ◾ 만왕의 왕 된 예수(문성모) ◾ 머리 숙여 경배하세(문성모) ◾ 무덤 문을 여시고(문성모) ◾ 미더워라 주의 가정(문익환) ◾ 믿는 자여 다 나와(문성모) ◾ 믿음의 가정을 주신 하나님(서정식) ◾ 믿음의 선한 싸움(김유연) ◾ 바다가 보이는 산길에서(문성모) ◾ 백두산 천지 위에(문성모) ◾ 복되어라 어버이날(Ernst F. McGregor) ◾ 부활 승천하신 주께서(이성봉) ◾ 불같은 시험 당할 때(문성모) ◾ 비바람이 칠 때와(Charles Wesley) ◾ 빛이 되신 나의 주님(임택진) ◾ 사랑의 구주 예수(문성모) ◾ 사랑의 새 계명을(신세원) ◾ 사랑의 주님 예수(이계준) ◾ 사십 일을 밤낮으로(손학풍) ◾ 산마다 불이 탄다(임옥인) ◾ 산에 들에 피는 꽃이(이실태) ◾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남궁억) ◾ 새누리가 밝아온다(신성종) ◾ 새해가 밝아 오나니(Thomas H, Gill) ◾ 생명 진리 은혜 되신(Anonymous) ◾ 선한 목자 예수님(오병수) ◾ 성도들 소리 높여(김시백) ◾ 성도여 다 같이 할렐루야(C. H. Bateman) ◾ 성령의 은사를 나에게(E. Hatch) ◾ 성령이여 우리(W. H. Parker) ◾ 세상 복은 왔다가도(정치근) ◾ 세상 수고 끝내고(문성모) ◾ 세상이 나를 버리고(Ni, Chi-pi) ◾ 순결한 비둘기처럼(황대익) ◾ 시온성과 같은 교회(J. Newton) ◾ 시험 받을 때에(J. Montgomery) ◾ 신랑을 맞으러 나가세(E. R. Latta) ◾ 십자가 밑에서(문성모) ◾ 십자가 주님을 기억하며(문성모) ◾ 아낌없이 아낌없이(황대익) ◾ 아멘(1)(문성모) ◾ 아멘(2)(문성모) ◾ 아멘(3)(문성모) ◾ 아멘(4)(문성모) ◾ 아멘(5)(문성모) ◾ 아침에 주를 찬송합니다(문성모) ◾ 아침 햇살 보다 더 빛나(심군식) ◾ 알렐루야(문성모) ◾ 암울했던 이 나라에(김장호) ◾ 어두운 내 눈 밝혀 주사(C. H. Scott) ◾ 어두움이 온 누리에(오병수) ◾ 어둔 밤은 지나가고(박재목) ◾ 어둔 밤 지나가면(김호식) ◾ 어둔 세상 만민들아(C. Schmidt) ◾ 어둠의 권세에서(마경일) ◾ 어렵고 힘든 일 많아도(고훈) ◾ 어머님의 사랑 보다(주요한) ◾ 언젠가는 돌아가리(정치근) ◾ 에덴의 동산처럼(이무경) ◾ 여호와는 성전에 계시니(문성모) ◾ 역사 속에 지난 해를(김지수) ◾ 영광 주의 이름 영화롭다(문성모) ◾ 영원한 반석이신 주(Samuel F. Smith) ◾ 영원히 죽게 될 내 영혼(C. E. Breck) ◾ 영화로신 주 성령(A. Reed) ◾ 예배하는 우리 모두(김삼환) ◾ 예부터 도움 되시고(I. Watts) ◾ 예수 귀한 보배(J. Franck) ◾ 예수 나를 위하여(김인식) ◾ 예수님 날 위해 죽으셨네(문성모) ◾ 예수님은 선한 목자(황대익) ◾ 예수랑(아리랑)(문성모) ◾ 예수를 생각만 해도(B. Clairvaux) ◾ 예수여 은혜를 내려주사(Anonymous) ◾ 오 나의 하나님(S. Frank) ◾ 오늘 모여 찬송함은(John C. Davison) ◾ 오늘 받은 은혜를(정치근) ◾ 오늘은 기쁜 생일(김호식) ◾ 오 주여 내 마음 받으소서(William Hiram Foulkes) ◾ 우리 가진 모든 재물(문성모) ◾ 우리 구주 나신 날(Anonymous) ◾ 우리 기도 들으시고(문성모) ◾ 우리 기도 들으시사(문성모) ◾ 우리 기도 소리를(문성모) ◾ 우리 모두 주님 앞에(조기연) ◾ 우리 모두 주 안에서(문성모) ◾ 우리 위해 찢기신(문성모) ◾ 우리의 기도를 들으소서(문성모) ◾ 우리의 마음을(문성모) ◾ 우리의 마음을 열어 주소서(문성모) ◾ 우리 주님 예수께서(문성모) ◾ 우리 주님 예수 따라(문성모) ◾ 우리 주 예수님 잡히시던 날(문성모) ◾ 우리 찬송하며 살리라(김경수) ◾ 은혜 향기 모든 곳에(이보철) ◾ 응답해 주소서(문성모) ◾ 이기고도 남으리라(임옥인) ◾ 이 땅에서 주를 위해(김지길) ◾ 이 세상 끝날까지(이건숙) ◾ 이 세상 지나가고(A. R, Cousin) ◾ 이슬을 내리시듯(김희보) ◾ 이전에 주님을 내가 몰라(정용철) ◾ 인류는 하나되게(마경일) ◾ 임하소서 말씀의 하나님(문성모) ◾ 자비하신 예수여(Thomas B, Pollock) ◾ 저 하늘의 새벽 별(김희보) ◾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사도신경) ◾ 전능하시사 만물을 주관하시는(문성모) ◾ 정든 교우 헤어져(정치근) ◾ 정성으로 심은 씨앗(문성모) ◾ 죄악의 세상에 살며(황대익) ◾ 주 나의 목자 되시니(F. Rous) ◾ 주님께서 부르실 때(곽선희) ◾ 주님 따라 가는 길(황대익) ◾ 주님 오늘 사셨네(문성모) ◾ 주님을 찬양하세(문성모) ◾ 주님의 말씀은(김희보) ◾ 주님 향해 드려지는(황대익) ◾ 주를 바라보오니(John Gambold) ◾ 주 믿는 성도의 굳센 터는Keen) ◾ 주 사랑 안에 있어(A. L. Waring) ◾ 주 성령이여 내려오시사(George Croly) ◾ 주 앞으로 늘 가까이(문성모) ◾ 주 앞으로 늘 가까이(문성모) ◾ 주여 나를 날마다(John P. Hopps) ◾ 주여 나의 기도를(문성모) ◾ 주여 내 맘을 보살피사(Gertrude E. Swallen) ◾ 주여 어린 사슴이(Anonymous) ◾ 주여 옵니다(김경래) ◾ 주여 우리를(문성모) ◾ 주 예수 따라서(Henry Harbaugh) ◾ 주 예수의 십자가(권희로) ◾ 주 예수 주신 직분(홍안의) ◾ 주 우리 예물을(문성모) ◾ 주의 말씀 받은 우리(문성모) ◾ 주의 성령이 내게(안준배) ◾ 주의 성찬 받은 우리(문성모) ◾ 주의 전에 나올 때(김정준) ◾ 주의 전에 나옵니다(문성모) ◾ 주 하나님 하시는 일(Samuel Rodigast) ◾ 지금 곧 일어나 말씀 들어라(도한호) ◾ 지난날의 잘못은(김우영) ◾ 진리이신 주 성령(문성모) ◾ 참 기쁜 노래 불러(Frances R. Havergal) ◾ 창조의 하나님(홍정표) ◾ 창조주 하나님께(김호식) ◾ 천부여 의지 없어서(Charles Wesley) ◾ 천사들의 노래가(French Choral) ◾ 천하보다 귀한 생명(김정준) ◾ 축복과 존귀 영광의 주님(문성모) ◾ 탕자처럼 아버지의 품을 떠나(문성모) ◾ 태산이 변하여서(정치근) ◾ 평화의 마음으로(문성모) ◾ 평화의 왕 임하소서(박성원) ◾ 피난처 있으니(Anonymous) ◾ 하나님을 믿는 자(문성모) ◾ 하나님의 부름 따라(오병수) ◾ 하나님이여 이 귀한 식탁에(문성모) ◾ 하나님이 짝지으사(정치근) ◾ 하늘과 땅 생기기 전(조기연) ◾ 하늘 높은 곳에는(문성모) ◾ 하늘에 가득 찬 영광의 하나님(김정준) ◾ 하늘에는 주님께 영광(문성모) ◾ 하늘에 빛나고 찬란한 별아(R. Heber) ◾ 하늘에 찬송이 들리던 그날(J. W. Chapman) ◾ 하루의 시작과 끝남을(문성모) ◾ 한밤중 들려오는(최복규) ◾ 한 번 드린 몸이오니(한영선) ◾ 할렐루야 할렐루야(문성모) ◾ 햇빛과 불의 주 성령(Henry H. Tweedy) ◾ 호산나 호산나(J. Threlfall) ◾ 혼돈한 세계 바르게 하신(홍현설) ◾ 혼자 소리로는 할 수 없겠네(Anonymous) ◾ 회개의 노래(김희보)
- '''2. 2016년 이후 신작 찬송가'''
(권태진 작사)
◾ 거룩한 주 내 맘속에 ∎ 광야의 노래 ∎ 구원을 받아서 기쁘거든 ∎ 나의 생명 주인되신 ∎ 독생자를 보내 주신 ∎ 돌아온 탕자 ∎ 말씀 듣고 성령 받아 ∎ 복되어라 우리가정 ∎ 사랑의 하나님 주신 선물 ∎ 산새들이 노래하니 ∎ 아침 하늘 빛 받아 ∎ 애굽에서 해방된 날 ∎ 에덴의 복 누리어라 ∎ 에스겔의 골짜기의 ∎ 인생길이 험난하고 ∎ 주여 나의 병든 몸을 ∎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가 ∎ 하나님의 형상대로 ∎ 환란 질병 고통에서 ∎ 하늘 영광 입은 백성 ∎ 옥토같은 마음에(편곡) ∎ 하나님의 큰 사랑 ∎ 인생길이 힘이 들고 ∎ 하나님의 은혜 입은(광복절 노래) ∎ 강가에 조약돌처럼 ∎ 새벽 이슬 같은 성령 은혜 ∎ 돌아온 탕자 ∎ 광야의 노래 ∎ 근심 걱정 몰려와도 ∎ 다시 사신 예수님을 ∎ 새벽 안개 이슬 같은 ∎ 어둠 권세 크고 강하니 ∎ 예수 나를 구원하여 ∎ 주님 지신 십자가를 ∎ 주님께서 나를 택해 ∎ 푸른 바다 저 너머 ∎ 하나님의 크신 사랑 ∎ 환란 고통 찾아와도 ∎ 하늘의 영광을 버리고 ∎ 광야와 같은 세상에 ∎ 내가 너와 함께 동행하리라 ∎ 넓은 들 풍년 솔바람에 ∎ 밤같이 어두운 세상에서 ∎ 산보다 더 높은 주님 사랑 ∎ 우리 주님 구름 타고 오시리라 ∎ 주께서 내죄를 사하셨네 ∎ 주님은 나의 방패와 병기 ∎ 지금까지 내가 산 것은 ∎ 하나님 사랑 감사하며 ∎ 하나님을 찬양하자 ∎ 동녘하늘 밝은 빛 ∎ 창조주의 은총입어 ∎ 하나님의 사랑은 ∎ 사랑의 하나님이 ∎ 하나님의 사랑입어 ∎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를 ∎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김순규 작사) ◾ 기뻐하며 찬양하세 ◾ 이 내 몸을 드리오니
(박종구 작사) ◾ 예수께서 눈먼 자를 ◾ 우리 주님 다시 오실 ◾ 우리를 지으신 하나님 ◾ 주님의 말씀은 진리의 빛이시라 ◾ 주님은 포도나무
(안준배 작사) ◾ 성령 보혜사시여
(소강석 작사) ◾ 주님의 피로 세우신 교회
(이영훈 작사) ◾ 전능하신 하나님의
(박근원 작사) ◾ 보내주소서
(본훼퍼 원시/ 이말테 한정애 번역시) ◾ 성도들과 이방인들
- '''3. 어린이 찬송가'''
◾ 고사리 손 두 손 모아(신철종) ◾ 올망졸망 소꿉친구(김종호) ◾ 한 처음에 하나님이(석용원) ◾ 하나님의 나라는(최기준) ◾ '''하'''나님은 생명의 하나님(임규일) ◾ 예수님 약속을 새겨들으면(임규일) ◾ 내가 너와 세상 끝까지(윤두혁) ◾ 예수님께 나가면(한철완) ◾ 예수님의 부드러운 그 손길(윤두혁) ◾ 믿음 믿음 믿음으로(김장호) ◾ 검은 구름 폭풍우(윤광재) ◾ 어린이의 소망이신 예수님(한철완) ◾ '''찬'''송하는 내 입술(임규일) ◾ 숲 속에서 노래하는(안광성) ◾ 트리에 화려한 불빛 걸기 전에(김숙분) ◾ 작은 별이 오순도순(황대익) ◾ 내가 제일 기쁜 날은(황대익) ◾ 풀밭에는 양떼들(김지향) ◾ 별들이 졸고 있는(박경종) ◾ 참 아름다워라 하나님이 지으신(박화목) ◾ 예수님이 죄인들을(황대익)
- '''4. 동요'''
◾ 지난밤에 몰래 내린(황대익) ◾ 인심 좋은 우리 동네에(황대익) ◾ 신문 보다 잠드신(엄기원) ◾ 염소(구름 동동 하늘이)(엄기원) ◾ 눈이 눈이 내린다(박경종) ◾ 너는 무엇으로 살아가니(문성모) ◾ 바람 바람 바람의 코는(김숙분) ◾ 우리나라 좋은 나라(진관)
- '''5. 시편교창송(<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곡)'''
◾ 시편 1편(복 있는 사람은)∎시편 2편(어찌하여 이방 나라들이) ∎시편 4편(내 의의 하나님이여) ∎시편 5편(여호와여 나의 말에 귀를 기울이사) ∎시편 8편(여호와 우리 주여) ∎시편 10편(여호와여 일어나옵소서) ∎시편 13편(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시편 14편(어리석은 자는 그의 마음에) ∎시편 15편(여호와여 주의 장막에 머무를 자) ∎시편 16편(하나님이여 나를 지켜 주소서) ∎시편 17편(여호와여 의의 호소를 들으소서) ∎시편 19편(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시편 23편(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시편 24편(땅과 거기 충만한 것과) ∎시편 27편(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시편 28편(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 ∎시편 29편(너희 권능 있는 자들아) ∎시편 31편(여호와여 내가 주께 피하오니) ∎시편 32편(허물의 사함을 받고) ∎시편 33편(너희 의인들아 여호와를 즐거워하라) ∎시편 34편(내가 여호와를 항상 송축함이여) ∎시편 37편(악을 행하는 자들 때문에 불평하지 말며) ∎시편 43편(하나님이여 나를 판단하시되) ∎시편 46편(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요) ∎시편 47편(너희 만민들아 손바닥을 치고) ∎시편 50편(내 백성아 들을지어다) ∎시편 51편(하나님이여 주의 인자를 따라) ∎시편 63편(하나님이여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라) ∎시편 65편(하나님이여 찬송이 시온에서) ∎시편 67편(하나님은 우리에게 은혜를 베푸사) ∎시편 68편(하나님이 일어나시니 원수들은 흩어지며) ∎시편 71편(여호와여 내가 주께 피하오니) ∎시편 72편(하나님이여 주의 판단력을 왕에게 주시고) ∎시편 81편(우리의 능력이 되시는 하나님을 향하여) ∎시편 84편(만군의 여호와여 주의 장막이 어찌 그리) ∎시편 90편(주여 주는 대대에 우리의 거처가 되셨나이다) ∎시편 91편(지존자의 은밀한 곳에 거주하며) ∎시편 92편(지존자여 십현금과 비파와 수금으로) ∎시편 95편(오라 우리가 여호와께 노래하며) ∎시편 96편(새 노래로 여호와께 노래하라) ∎시편 97편(여호와께서 다스리시니 땅은 즐거워하며) ∎시편 98편(새 노래로 여호와께 찬송하라) ∎시편 99편(여호와께서 다스리시니 만민이 떨 것이요) ∎시편 100편(온 땅이여 여호와께 즐거운 찬송을) ∎시편 103편(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시편 104편(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 ∎시편 105편(여호와께 감사하고 그의 이름을 불러 아뢰며) ∎시편 106편(여호와여 주의 백성에게 베푸시는 은혜로) ∎시편 108편(하나님이여 내 마음을 정하였사오니) ∎시편 116편(여호와여 내 음성과 내 간구를 들으시므로) ∎시편 118편(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시편 119편(청년이 무엇으로 그의 행실을) ∎시편 121편(내가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 ∎시편 126편(여호와께서 시온의 포로를) ∎시편 127편(여호와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하시면) ∎시편 128편(여호와를 경외하며 그의 길을 걷는 자마다) ∎시편 130편(여호와여 내가 깊은 곳에서) ∎시편 133편(보라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시편 136편(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시편 139편(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시편 142편(내가 소리내어 여호와께 부르짖으며) ∎시편 143편(여호와여 내 기도를 들으시며) ∎시편 145편(왕이신 나의 하나님이여) ∎시편 148편(할렐루야 하늘에서 여호와를 찬양하며) ∎시편 149편(할렐루야 새 노래로 여호와께 노래하며) ∎시편 150편(할렐루야 그의 성소에서 하나님을 찬양하며)
- '''6. 성가합창곡'''
◾ <거룩하신 주 하나님>(정치근 시)
◾ <광야길 사십년>(홍장욱 시)
◾ <그가 담당하셨네>(사53장)
◾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권기창)
◾ <복있는 사람은>(시1편)
◾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시23편)
◾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시28편)
◾ <이슬을 내리시듯>(김희보 시)
◾ <주님의 음성>(시22편)
◾ <하나님을 믿는 자>(문성모 시)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주기도문)
◾ <나의 힘이 되신 주>(시18편)
◾ 영원한 승리(황대익 시)
- '''7. 성가 독창곡'''
◾ <고통 고통 고통>(욥기 3장)
◾ <그가 담당하셨네>(이사야 53장)
◾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시편 22편)
◾ <복 있는 사람은>(시편 1편)
◾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시편 23편)
◾ 주님의 음성(Adelaid A.Proctor)
◾ <주여 평화를>(문성모 시)
- '''8. 가곡'''
◾ <5월의 노래>(괴테 시) (1971.08.-09.17. 작곡)
◾ <아리랑 아라리요>(문성모 시) (2000)
◾ <아리랑 연가>(문성모 시)(2001)
◾ <한반도 아리랑>(문성모 시)(2002)
- '''9. 기악곡'''
(양악기)
◾ <클라리넷 협주곡 1번> (1970.04.-1971.06. 작곡)
◾ <피아노 트리오 1번> (1971.11.16.-18. 작곡)
◾ 호른 독주곡 (1971.04.11.-14. 작곡)
◾ 바이올린 독주곡 (1972.01.23. 작곡)
◾ 피아노를 위한
(국악기)
◾ 대금, 피리, 해금, 아쟁을 위한 <실내악>
◾ 피리, 꽹과리, 목탁, 징, 장고, 좌고를 위한 <만삭>
◾ 가야금과 장고를 위한 <전통과 현대> (1975.07.01.-11. 작곡)
◾ 대금과 장고를 위한 <슬픈 잉태>(1976)
◾ 거문고와 장고를 위한 <탈선(脫線)> (1976.04.01.-07 작곡)
◾ 거문고와 장고를 위한 <부활>(1976)
◾ 거문고, 가아고, 젓대를 위한 변주적 시나위 <살로메>
◾ 대금, 장고, 무용, 독백을 위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 가야금 병창곡 <우리 주님 예수 따라>
◾ 가야금 합주곡 <진양>
◾ 가야금 합주곡 <成天(성천)>
◾ 가야금 독주와 합주 및 소리북을 위한 가야금 협주곡 <건곤감리(乾坤坎離)>
◾ 가야금 협주곡
8. 5. 2. 독창곡
wikitext- '''1. 찬송가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곡)'''
- * 가는 허리 철조망을(황대익)
- * 가슴마다 파도친다(반병섭)
- * 간절히 기도하였네(문성모)
- * 갈 길 잃고 방황하는(김희보)
- * 감람산 깊은 밤중에(W. B. Tappan)
- * 감사하세 주님을 찬양하세(문성모)
- * 거룩 거룩 거룩(문성모)
- *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주(문성모)
- * 거룩하신 아버지여(조기연)
- * 거룩하신 주님(B. Clairvaux)
- * 거룩하신 주 하나님(정치근)
- * 거룩하신 하나님(문성모)
- * 거룩하신 하나님은(전제동)
- * 거룩한 구주 내 친구(Charlotte Elliott)
- * 거룩한 이 예식은(조기연)
- * 거룩한 주의 날(문성모)
- * 건강이 은혜라면(박종렬)
- * 게네사렛 호숫가로(김희보)
- * 겟세마네 동산에서(한경직)
- * 견디기 어려운 고난이 와도(황대익)
- * 고대하던 우리 주님(황대익)
- * 고요하고 거룩한 밤(임성길)
- * 고요히 머리 숙여(서정운)
- * 곤한 자 어서 오라(William C. Dix)
- * 곧 오소서 성령이여(Charles Wesley)
- * 광야 길 사십 년(홍장욱)
- * 구주여 나를 가르쳐(William T. Matsom)
- *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문성모)
- * 그 어린 주 예수(Anonymous)
- * 그 어린 주 예수(Anonymous)
- * 기도하려 눈 감으면(서성환)
- * 기쁜 이날 아침(문성모)
- * 기쁠 때나 슬플 때나(유호준)
- * 나 깊은 곳에서(Henry W. Bake)
- * 나그네와 같은 내가(W. Williams)
- * 나는 믿네 나는 믿네(사도신경)
- * 나 생명 있으매(김희보)
- * 나의 생명 드리니(Frances. R. Havergal)
- * 나의 힘이 되신 주(문성모)
- *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권기창)
- * 낳으시고 길러 주신(김수진)
- * 내가 주를 안다함이(김성영)
- * 내 인생 사는 것(김성준)
- * 내 인생 사는 것(김성준)
- * 내 주여 나는 주의 것(Samuel Davies)
- * 내 주여 이 몸 드리니(Matthew Bridges)
- * 내 지은 모든 죄(김희보)
- * 내 힘과 방패 되시며(Johann Scheffier)
- *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G. Neumark)
- * 네 맘과 정성을 다하여서(정용철)
- * 논밭에 오곡백과(John S. B. Monsell)
- * 눈물 밭에 떨어진(고황경)
- * 눈물의 골짜기에서(안신영)
- * 능력과 방패가 되시는 예수(R. A. John)
- * 두려워서 낙심할 때(Percy Dearmer)
- * 들어주소서(문성모)
- * 만물의 주인 되시는(문성모)
- * 만왕의 왕 된 예수(문성모)
- * 머리 숙여 경배하세(문성모)
- * 무덤 문을 여시고(문성모)
- * 미더워라 주의 가정(문익환)
- * 믿는 자여 다 나와(문성모)
- * 믿음의 가정을 주신 하나님(서정식)
- * 믿음의 선한 싸움(김유연)
- * 바다가 보이는 산길에서(문성모)
- * 백두산 천지 위에(문성모)
- * 복되어라 어버이날(Ernst F. McGregor)
- * 부활 승천하신 주께서(이성봉)
- * 불같은 시험 당할 때(문성모)
- * 비바람이 칠 때와(Charles Wesley)
- * 빛이 되신 나의 주님(임택진)
- * 사랑의 구주 예수(문성모)
- * 사랑의 새 계명을(신세원)
- * 사랑의 주님 예수(이계준)
- * 사십 일을 밤낮으로(손학풍)
- * 산마다 불이 탄다(임옥인)
- * 산에 들에 피는 꽃이(이실태)
- *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남궁억)
- * 새누리가 밝아온다(신성종)
- * 새해가 밝아 오나니(Thomas H, Gill)
- * 생명 진리 은혜 되신(Anonymous)
- * 선한 목자 예수님(오병수)
- * 성도들 소리 높여(김시백)
- * 성도여 다 같이 할렐루야(C. H. Bateman)
- * 성령의 은사를 나에게(E. Hatch)
- * 성령이여 우리(W. H. Parker)
- * 세상 복은 왔다가도(정치근)
- * 세상 수고 끝내고(문성모)
- * 세상이 나를 버리고(Ni, Chi-pi)
- * 순결한 비둘기처럼(황대익)
- * 시온성과 같은 교회(J. Newton)
- * 시험 받을 때에(J. Montgomery)
- * 신랑을 맞으러 나가세(E. R. Latta)
- * 십자가 밑에서(문성모)
- * 십자가 주님을 기억하며(문성모)
- * 아낌없이 아낌없이(황대익)
- * 아멘(1)(문성모)
- * 아멘(2)(문성모)
- * 아멘(3)(문성모)
- * 아멘(4)(문성모)
- * 아멘(5)(문성모)
- * 아침에 주를 찬송합니다(문성모)
- * 아침 햇살 보다 더 빛나(심군식)
- * 알렐루야(문성모)
- * 암울했던 이 나라에(김장호)
- * 어두운 내 눈 밝혀 주사(C. H. Scott)
- * 어두움이 온 누리에(오병수)
- * 어둔 밤은 지나가고(박재목)
- * 어둔 밤 지나가면(김호식)
- * 어둔 세상 만민들아(C. Schmidt)
- * 어둠의 권세에서(마경일)
- * 어렵고 힘든 일 많아도(고훈)
- * 어머님의 사랑 보다(주요한)
- * 언젠가는 돌아가리(정치근)
- * 에덴의 동산처럼(이무경)
- * 여호와는 성전에 계시니(문성모)
- * 역사 속에 지난 해를(김지수)
- * 영광 주의 이름 영화롭다(문성모)
- * 영원한 반석이신 주(Samuel F. Smith)
- * 영원히 죽게 될 내 영혼(C. E. Breck)
- * 영화로신 주 성령(A. Reed)
- * 예배하는 우리 모두(김삼환)
- * 예부터 도움 되시고(I. Watts)
- * 예수 귀한 보배(J. Franck)
- * 예수 나를 위하여(김인식)
- * 예수님 날 위해 죽으셨네(문성모)
- * 예수님은 선한 목자(황대익)
- * 예수랑(아리랑)(문성모)
- * 예수를 생각만 해도(B. Clairvaux)
- * 예수여 은혜를 내려주사(Anonymous)
- * 오 나의 하나님(S. Frank)
- * 오늘 모여 찬송함은(John C. Davison)
- * 오늘 받은 은혜를(정치근)
- * 오늘은 기쁜 생일(김호식)
- * 오 주여 내 마음 받으소서(William Hiram Foulkes)
- * 우리 가진 모든 재물(문성모)
- * 우리 구주 나신 날(Anonymous)
- * 우리 기도 들으시고(문성모)
- * 우리 기도 들으시사(문성모)
- * 우리 기도 소리를(문성모)
- * 우리 모두 주님 앞에(조기연)
- * 우리 모두 주 안에서(문성모)
- * 우리 위해 찢기신(문성모)
- * 우리의 기도를 들으소서(문성모)
- * 우리의 마음을(문성모)
- * 우리의 마음을 열어 주소서(문성모)
- * 우리 주님 예수께서(문성모)
- * 우리 주님 예수 따라(문성모)
- * 우리 주 예수님 잡히시던 날(문성모)
- * 우리 찬송하며 살리라(김경수)
- * 은혜 향기 모든 곳에(이보철)
- * 응답해 주소서(문성모)
- * 이기고도 남으리라(임옥인)
- * 이 땅에서 주를 위해(김지길)
- * 이 세상 끝날까지(이건숙)
- * 이 세상 지나가고(A. R, Cousin)
- * 이슬을 내리시듯(김희보)
- * 이전에 주님을 내가 몰라(정용철)
- * 인류는 하나되게(마경일)
- * 임하소서 말씀의 하나님(문성모)
- * 자비하신 예수여(Thomas B, Pollock)
- * 저 하늘의 새벽 별(김희보)
- *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사도신경)
- * 전능하시사 만물을 주관하시는(문성모)
- * 정든 교우 헤어져(정치근)
- * 정성으로 심은 씨앗(문성모)
- * 죄악의 세상에 살며(황대익)
- * 주 나의 목자 되시니(F. Rous)
- * 주님께서 부르실 때(곽선희)
- * 주님 따라 가는 길(황대익)
- * 주님 오늘 사셨네(문성모)
- * 주님을 찬양하세(문성모)
- * 주님의 말씀은(김희보)
- * 주님 향해 드려지는(황대익)
- * 주를 바라보오니(John Gambold)
- * 주 믿는 성도의 굳센 터는(Keen)
- * 주 사랑 안에 있어(A. L. Waring)
- * 주 성령이여 내려오시사(George Croly)
- * 주 앞으로 늘 가까이(문성모)
- * 주 앞으로 늘 가까이(문성모)
- * 주여 나를 날마다(John P. Hopps)
- * 주여 나의 기도를(문성모)
- * 주여 내 맘을 보살피사(Gertrude E. Swallen)
- * 주여 어린 사슴이(Anonymous)
- * 주여 옵니다(김경래)
- * 주여 우리를(문성모)
- * 주 예수 따라서(Henry Harbaugh)
- * 주 예수의 십자가(권희로)
- * 주 예수 주신 직분(홍안의)
- * 주 우리 예물을(문성모)
- * 주의 말씀 받은 우리(문성모)
- * 주의 성령이 내게(안준배)
- * 주의 성찬 받은 우리(문성모)
- * 주의 전에 나올 때(김정준)
- * 주의 전에 나옵니다(문성모)
- * 주 하나님 하시는 일(Samuel Rodigast)
- * 지금 곧 일어나 말씀 들어라(도한호)
- * 지난날의 잘못은(김우영)
- * 진리이신 주 성령(문성모)
- * 참 기쁜 노래 불러(Frances R. Havergal)
- * 창조의 하나님(홍정표)
- * 창조주 하나님께(김호식)
- * 천부여 의지 없어서(Charles Wesley)
- * 천사들의 노래가(French Choral)
- * 천하보다 귀한 생명(김정준)
- * 축복과 존귀 영광의 주님(문성모)
- * 탕자처럼 아버지의 품을 떠나(문성모)
- * 태산이 변하여서(정치근)
- * 평화의 마음으로(문성모)
- * 평화의 왕 임하소서(박성원)
- * 피난처 있으니(Anonymous)
- * 하나님을 믿는 자(문성모)
- * 하나님의 부름 따라(오병수)
- * 하나님이여 이 귀한 식탁에(문성모)
- * 하나님이 짝지으사(정치근)
- * 하늘과 땅 생기기 전(조기연)
- * 하늘 높은 곳에는(문성모)
- * 하늘에 가득 찬 영광의 하나님(김정준)
-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주기도문)
- * 하늘에는 주님께 영광(문성모)
- * 하늘에 빛나고 찬란한 별아(R. Heber)
- * 하늘에 찬송이 들리던 그날(J. W. Chapman)
- * 하루의 시작과 끝남을(문성모)
- * 한밤중 들려오는(최복규)
- * 한 번 드린 몸이오니(한영선)
- * 할렐루야 할렐루야(문성모)
- * 햇빛과 불의 주 성령(Henry H. Tweedy)
- * 호산나 호산나(J. Threlfall)
- * 혼돈한 세계 바르게 하신(홍현설)
- * 혼자 소리로는 할 수 없겠네(Anonymous)
- * 회개의 노래(김희보)
- '''2. 2016년 이후 신작 찬송가'''
(권태진 작사)
- * 거룩한 주 내 맘속에
- * 광야의 노래
- * 구원을 받아서 기쁘거든
- * 나의 생명 주인되신
- * 독생자를 보내 주신
- * 돌아온 탕자
- * 말씀 듣고 성령 받아
- * 복되어라 우리가정
- * 사랑의 하나님 주신 선물
- * 산새들이 노래하니
- * 아침 하늘 빛 받아
- * 애굽에서 해방된 날
- * 에덴의 복 누리어라
- * 에스겔의 골짜기의
- * 인생길이 험난하고
- * 주여 나의 병든 몸을
- *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가
- * 하나님의 형상대로
- * 환란 질병 고통에서
- * 하늘 영광 입은 백성
- * 옥토같은 마음에(편곡)
- * 하나님의 큰 사랑
- * 인생길이 힘이 들고
- * 하나님의 은혜 입은(광복절 노래)
- * 강가에 조약돌처럼
- * 새벽 이슬 같은 성령 은혜
- * 돌아온 탕자
- * 광야의 노래
- * 근심 걱정 몰려와도
- * 다시 사신 예수님을
- * 새벽 안개 이슬 같은
- * 어둠 권세 크고 강하니
- * 예수 나를 구원하여
- * 주님 지신 십자가를
- * 주님께서 나를 택해
- * 푸른 바다 저 너머
- * 하나님의 크신 사랑
- * 환란 고통 찾아와도
- * 하늘의 영광을 버리고
- * 광야와 같은 세상에
- * 내가 너와 함께 동행하리라
- * 넓은 들 풍년 솔바람에
- * 밤같이 어두운 세상에서
- * 산보다 더 높은 주님 사랑
- * 우리 주님 구름 타고 오시리라
- * 주께서 내죄를 사하셨네
- * 주님은 나의 방패와 병기
- * 지금까지 내가 산 것은
- * 하나님 사랑 감사하며
- * 하나님을 찬양하자
- * 동녘하늘 밝은 빛
- * 창조주의 은총입어
- * 하나님의 사랑은
- * 사랑의 하나님이
- * 하나님의 사랑입어
- *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를
- *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김순규 작사)
- * 기뻐하며 찬양하세
- * 이 내 몸을 드리오니
(박종구 작사)
- * 예수께서 눈먼 자를
- * 우리 주님 다시 오실
- * 우리를 지으신 하나님
- * 주님의 말씀은 진리의 빛이시라
- * 주님은 포도나무
(안준배 작사)
- * 성령 보혜사시여
(소강석 작사)
- * 주님의 피로 세우신 교회
(이영훈 작사)
- * 전능하신 하나님의
(박근원 작사)
- * 보내주소서
(본훼퍼 원시/ 이말테 한정애 번역시)
- * 성도들과 이방인들
- '''3. 어린이 찬송가'''
- * 고사리 손 두 손 모아(신철종)
- * 올망졸망 소꿉친구(김종호)
- * 한 처음에 하나님이(석용원)
- * 하나님의 나라는(최기준)
- * '''하'''나님은 생명의 하나님(임규일)
- * 예수님 약속을 새겨들으면(임규일)
- * 내가 너와 세상 끝까지(윤두혁)
- * 예수님께 나가면(한철완)
- * 예수님의 부드러운 그 손길(윤두혁)
- * 믿음 믿음 믿음으로(김장호)
- * 검은 구름 폭풍우(윤광재)
- * 어린이의 소망이신 예수님(한철완)
- * '''찬'''송하는 내 입술(임규일)
- * 숲 속에서 노래하는(안광성)
- * 트리에 화려한 불빛 걸기 전에(김숙분)
- * 작은 별이 오순도순(황대익)
- * 내가 제일 기쁜 날은(황대익)
- * 풀밭에는 양떼들(김지향)
- * 별들이 졸고 있는(박경종)
- * 참 아름다워라 하나님이 지으신(박화목)
- * 예수님이 죄인들을(황대익)
- '''4. 동요'''
- * 지난밤에 몰래 내린(황대익)
- * 인심 좋은 우리 동네에(황대익)
- * 신문 보다 잠드신(엄기원)
- * 염소(구름 동동 하늘이)(엄기원)
- * 눈이 눈이 내린다(박경종)
- * 너는 무엇으로 살아가니(문성모)
- * 바람 바람 바람의 코는(김숙분)
- * 우리나라 좋은 나라(진관)
- '''5. 시편교창송(<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곡)'''
- * 시편 1편(복 있는 사람은)
- * 시편 2편(어찌하여 이방 나라들이)
- * 시편 4편(내 의의 하나님이여)
- * 시편 5편(여호와여 나의 말에 귀를 기울이사)
- * 시편 8편(여호와 우리 주여)
- * 시편 10편(여호와여 일어나옵소서)
- * 시편 13편(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 * 시편 14편(어리석은 자는 그의 마음에)
- * 시편 15편(여호와여 주의 장막에 머무를 자)
- * 시편 16편(하나님이여 나를 지켜 주소서)
- * 시편 17편(여호와여 의의 호소를 들으소서)
- * 시편 19편(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 * 시편 23편(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 * 시편 24편(땅과 거기 충만한 것과)
- * 시편 27편(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 * 시편 28편(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
- * 시편 29편(너희 권능 있는 자들아)
- * 시편 31편(여호와여 내가 주께 피하오니)
- * 시편 32편(허물의 사함을 받고)
- * 시편 33편(너희 의인들아 여호와를 즐거워하라)
- * 시편 34편(내가 여호와를 항상 송축함이여)
- * 시편 37편(악을 행하는 자들 때문에 불평하지 말며)
- * 시편 43편(하나님이여 나를 판단하시되)
- * 시편 46편(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요)
- * 시편 47편(너희 만민들아 손바닥을 치고)
- * 시편 50편(내 백성아 들을지어다)
- * 시편 51편(하나님이여 주의 인자를 따라)
- * 시편 63편(하나님이여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라)
- * 시편 65편(하나님이여 찬송이 시온에서)
- * 시편 67편(하나님은 우리에게 은혜를 베푸사)
- * 시편 68편(하나님이 일어나시니 원수들은 흩어지며)
- * 시편 71편(여호와여 내가 주께 피하오니)
- * 시편 72편(하나님이여 주의 판단력을 왕에게 주시고)
- * 시편 81편(우리의 능력이 되시는 하나님을 향하여)
- * 시편 84편(만군의 여호와여 주의 장막이 어찌 그리)
- * 시편 90편(주여 주는 대대에 우리의 거처가 되셨나이다)
- * 시편 91편(지존자의 은밀한 곳에 거주하며)
- * 시편 92편(지존자여 십현금과 비파와 수금으로)
- * 시편 95편(오라 우리가 여호와께 노래하며)
- * 시편 96편(새 노래로 여호와께 노래하라)
- * 시편 97편(여호와께서 다스리시니 땅은 즐거워하며)
- * 시편 98편(새 노래로 여호와께 찬송하라)
- * 시편 99편(여호와께서 다스리시니 만민이 떨 것이요)
- * 시편 100편(온 땅이여 여호와께 즐거운 찬송을)
- * 시편 103편(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 * 시편 104편(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
- * 시편 105편(여호와께 감사하고 그의 이름을 불러 아뢰며)
- * 시편 106편(여호와여 주의 백성에게 베푸시는 은혜로)
- * 시편 108편(하나님이여 내 마음을 정하였사오니)
- * 시편 116편(여호와여 내 음성과 내 간구를 들으시므로)
- * 시편 118편(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 * 시편 119편(청년이 무엇으로 그의 행실을)
- * 시편 121편(내가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
- * 시편 126편(여호와께서 시온의 포로를)
- * 시편 127편(여호와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하시면)
- * 시편 128편(여호와를 경외하며 그의 길을 걷는 자마다)
- * 시편 130편(여호와여 내가 깊은 곳에서)
- * 시편 133편(보라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 * 시편 136편(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 * 시편 139편(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 * 시편 142편(내가 소리내어 여호와께 부르짖으며)
- * 시편 143편(여호와여 내 기도를 들으시며)
- * 시편 145편(왕이신 나의 하나님이여)
- * 시편 148편(할렐루야 하늘에서 여호와를 찬양하며)
- * 시편 149편(할렐루야 새 노래로 여호와께 노래하며)
- * 시편 150편(할렐루야 그의 성소에서 하나님을 찬양하며)
- '''6. 성가합창곡'''
- * <거룩하신 주 하나님>(정치근 시)
- * <광야길 사십년>(홍장욱 시)
- * <그가 담당하셨네>(이사야 53장)
- *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 *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권기창)
- * <복있는 사람은>(시편 1편)
- *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시편 23편)
- *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시편 28편)
- * <이슬을 내리시듯>(김희보 시)
- * <주님의 음성>(시편 22편)
- * <하나님을 믿는 자>(문성모 시)
-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주기도문)
- * <나의 힘이 되신 주>(시편 18편)
- * 영원한 승리(황대익 시)
- '''7. 성가 독창곡'''
- * <고통 고통 고통>(욥기 3장)
- * <그가 담당하셨네>(이사야 53장)
- *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시편 22편)
- * <복 있는 사람은>(시편 1편)
- *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시편 23편)
- * 주님의 음성(Adelaid A.Proctor)
- * <주여 평화를>(문성모 시)
- '''8. 가곡'''
- * <5월의 노래>(괴테 시) (1971.08.-09.17. 작곡)
- * <아리랑 아라리요>(문성모 시) (2000)
- * <아리랑 연가>(문성모 시)(2001)
- * <한반도 아리랑>(문성모 시)(2002)
- '''9. 기악곡'''
(양악기)
- * <클라리넷 협주곡 1번> (1970.04.-1971.06. 작곡)
- * <피아노 트리오 1번> (1971.11.16.-18. 작곡)
- * 호른 독주곡 (1971.04.11.-14. 작곡)
- * 바이올린 독주곡 (1972.01.23. 작곡)
- * 피아노를 위한
(1975)
(국악기)
- * 대금, 피리, 해금, 아쟁을 위한 <실내악>
- * 피리, 꽹과리, 목탁, 징, 장고, 좌고를 위한 <만삭>
- * 가야금과 장고를 위한 <전통과 현대> (1975.07.01.-11. 작곡)
- * 대금과 장고를 위한 <슬픈 잉태>(1976)
- * 거문고와 장고를 위한 <탈선(脫線)> (1976.04.01.-07 작곡)
- * 거문고와 장고를 위한 <부활>(1976)
- * 거문고, 가야금, 젓대를 위한 변주적 시나위 <살로메>
- * 대금, 장고, 무용, 독백을 위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 * 가야금 병창곡 <우리 주님 예수 따라>
- * 가야금 합주곡 <진양>
- * 가야금 합주곡 <成天(성천)>
- * 가야금 독주와 합주 및 소리북을 위한 가야금 협주곡 <건곤감리(乾坤坎離)>
- * 가야금 협주곡
산조
8. 6. 가곡
문성모는 다양한 장르의 가곡을 작곡했다.'''1. 찬송가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곡)'''
문성모는 여러 작사가들의 가사에 곡을 붙여 찬송가를 작곡했다. 황대익의 가사에는 "가는 허리 철조망을", "견디기 어려운 고난이 와도", "고대하던 우리 주님", "순결한 비둘기처럼", "아낌없이 아낌없이", "예수님은 선한 목자", "주님 따라 가는 길", "주님 향해 드려지는" 등의 곡을 작곡했다. 반병섭의 가사에는 "가슴마다 파도친다", 김희보의 가사에는 "갈 길 잃고 방황하는", "게네사렛 호숫가로", "나 생명 있으매", "내 지은 모든 죄", "저 하늘의 새벽 별", "주님의 말씀은", "회개의 노래" 등의 곡을 작곡했다.
문성모는 자신의 가사로 "간절히 기도하였네", "감사하세 주님을 찬양하세", "거룩 거룩 거룩",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주", "거룩하신 하나님", "거룩한 주의 날",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기쁜 이날 아침", "나의 힘이 되신 주", "들어주소서", "만물의 주인 되시는", "만왕의 왕 된 예수", "머리 숙여 경배하세", "무덤 문을 여시고", "믿는 자여 다 나와", "바다가 보이는 산길에서", "백두산 천지 위에", "불같은 시험 당할 때", "사랑의 구주 예수", "십자가 밑에서", "십자가 주님을 기억하며", "아멘(1)", "아멘(2)", "아멘(3)", "아멘(4)", "아멘(5)", "아침에 주를 찬송합니다", "알렐루야", "여호와는 성전에 계시니", "영광 주의 이름 영화롭다", "예수님 날 위해 죽으셨네", "예수랑(아리랑)", "우리 가진 모든 재물", "우리 기도 들으시고", "우리 기도 들으시사", "우리 기도 소리를", "우리 모두 주 안에서", "우리 위해 찢기신", "우리의 기도를 들으소서", "우리의 마음을", "우리의 마음을 열어 주소서", "우리 주님 예수께서", "우리 주님 예수 따라", "우리 주 예수님 잡히시던 날", "응답해 주소서", "임하소서 말씀의 하나님", "전능하시사 만물을 주관하시는", "정성으로 심은 씨앗", "주님 오늘 사셨네", "주님을 찬양하세", "주 앞으로 늘 가까이", "주 앞으로 늘 가까이", "주여 나의 기도를", "주여 우리를", "주 우리 예물을", "주의 말씀 받은 우리", "주의 전에 나옵니다", "진리이신 주 성령", "축복과 존귀 영광의 주님", "탕자처럼 아버지의 품을 떠나", "평화의 마음으로", "하나님을 믿는 자", "하나님이여 이 귀한 식탁에", "하늘 높은 곳에는",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주기도문)", "하늘에는 주님께 영광", "하루의 시작과 끝남을", "할렐루야 할렐루야" 등의 곡을 작곡했다.
조기연의 가사에는 "거룩하신 아버지여", "거룩한 이 예식은", "우리 모두 주님 앞에" 등의 곡을 작곡했고, 정치근의 가사에는 "거룩하신 주 하나님", "세상 복은 왔다가도", "언젠가는 돌아가리", "정든 교우 헤어져", "태산이 변하여서", "하나님이 짝지으사" 등의 곡을 작곡했다. W. B. Tappan의 가사에는 "감람산 깊은 밤중에", B. Clairvaux의 가사에는 "거룩하신 주님", "예수를 생각만 해도" 등의 곡을 작곡했다.
그 외에도 문성모는 "믿음의 가정을 주신 하나님"(서정식), "고요히 머리 숙여"(서정운), "기도하려 눈 감으면"(서성환), "산마다 불이 탄다"(임옥인), "새누리가 밝아온다"(신성종), "이 땅에서 주를 위해"(김지길), "하늘에 가득 찬 영광의 하나님"(김정준) 등 다양한 작사가의 가사에 곡을 붙였다.
'''2. 2016년 이후 신작 찬송가'''
2016년 이후, 문성모는 권태진, 김순규, 박종구, 안준배, 소강석, 이영훈, 박근원 등의 작사가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찬송가를 작곡했다. 권태진의 가사에는 "거룩한 주 내 맘속에", "광야의 노래", "돌아온 탕자", "새벽 이슬 같은 성령 은혜" 등의 곡을, 김순규의 가사에는 "기뻐하며 찬양하세", "이 내 몸을 드리오니" 등의 곡을 작곡했다. 박종구의 가사에는 "예수께서 눈먼 자를", "우리 주님 다시 오실", "주님의 말씀은 진리의 빛이시라" 등의 곡을 작곡했으며, 소강석의 가사에는 "주님의 피로 세우신 교회", 이영훈의 가사에는 "전능하신 하나님의", 박근원의 가사에는 "보내주소서" 등의 곡을 작곡했다. 본훼퍼의 원시에 이말테 한정애가 번역한 시에는 "성도들과 이방인들"을 작곡했다.
'''3. 어린이 찬송가'''
문성모는 어린이들을 위한 찬송가도 작곡했다. 신철종의 가사에는 "고사리 손 두 손 모아", 김종호의 가사에는 "올망졸망 소꿉친구", 석용원의 가사에는 "한 처음에 하나님이", 최기준의 가사에는 "하나님의 나라는" 등의 곡을 작곡했다. 임규일의 가사에는 "'''하'''나님은 생명의 하나님", "예수님 약속을 새겨들으면", "'''찬'''송하는 내 입술" 등의 곡을 작곡했으며, 윤두혁의 가사에는 "내가 너와 세상 끝까지", "예수님의 부드러운 그 손길" 등의 곡을 작곡했다. 그 외에도 "검은 구름 폭풍우"(윤광재), "숲 속에서 노래하는"(안광성), "풀밭에는 양떼들"(김지향), "참 아름다워라 하나님이 지으신"(박화목) 등의 어린이 찬송가를 작곡했다.
'''4. 동요'''
문성모는 동요도 작곡했는데, 황대익의 가사에는 "지난밤에 몰래 내린", "인심 좋은 우리 동네에"를, 엄기원의 가사에는 "신문 보다 잠드신", "염소(구름 동동 하늘이)"를 작곡했다. 박경종의 가사에는 "눈이 눈이 내린다", 김숙분의 가사에는 "바람 바람 바람의 코는", 진관의 가사에는 "우리나라 좋은 나라"를 작곡했으며, 자신의 가사로 "너는 무엇으로 살아가니"를 작곡했다.
'''5. 시편교창송(<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곡)'''
문성모는 <우리가락찬송가와 시편교독송 330곡집>에 수록된 시편 교창송도 작곡했다. 시편 1편("복 있는 사람은"), 시편 2편("어찌하여 이방 나라들이"), 시편 4편("내 의의 하나님이여"), 시편 5편("여호와여 나의 말에 귀를 기울이사"), 시편 8편("여호와 우리 주여"), 시편 10편("여호와여 일어나옵소서"), 시편 13편("여호와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시편 14편("어리석은 자는 그의 마음에"), 시편 15편("여호와여 주의 장막에 머무를 자"), 시편 16편("하나님이여 나를 지켜 주소서") 등 다양한 시편 구절에 곡을 붙였다.
'''6. 성가합창곡'''
문성모는 성가 합창곡도 작곡했다. "거룩하신 주 하나님"(정치근 시), "광야길 사십년"(홍장욱 시), "그가 담당하셨네"(사53장),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날마다 주님을 의지하는"(권기창), "복있는 사람은"(시1편),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시23편),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시28편), "이슬을 내리시듯"(김희보 시), "주님의 음성"(시22편), "하나님을 믿는 자"(문성모 시),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주기도문), "나의 힘이 되신 주"(시18편), "영원한 승리"(황대익 시) 등을 작곡했다.
'''7. 성가 독창곡'''
문성모는 성가 독창곡으로 "고통 고통 고통"(욥기 3장), "그가 담당하셨네"(이사야 53장),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시편 22편), "복 있는 사람은"(시편 1편),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시편 23편), "주님의 음성"(Adelaid A.Proctor), "주여 평화를"(문성모 시) 등을 작곡했다.
'''8. 가곡'''
문성모는 가곡으로 "<5월의 노래>"(괴테 시), "<아리랑 아라리요>"(문성모 시), "<아리랑 연가>"(문성모 시), "<한반도 아리랑>"(문성모 시)을 작곡했다.
'''9. 기악곡'''
문성모는 양악기와 국악기를 위한 다양한 기악곡을 작곡했다. 양악기로는 클라리넷 협주곡, 피아노 트리오, 호른 독주곡, 바이올린 독주곡, 피아노 소나티네 등을 작곡했다. 국악기로는 대금, 피리, 해금, 아쟁을 위한 실내악, 피리, 꽹과리, 목탁, 징, 장고, 좌고를 위한 <만삭>, 가야금과 장고를 위한 <전통과 현대>, 대금과 장고를 위한 <슬픈 잉태>, 거문고와 장고를 위한 <탈선(脫線)>, <부활>, 거문고, 가야금, 젓대를 위한 변주적 시나위 <살로메>, 대금, 장고, 무용, 독백을 위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등을 작곡했다. 가야금 병창곡, 가야금 합주곡, 가야금 협주곡 등도 작곡했다.
8. 7. 기악곡
wikitext'''양악기'''
- 클라리넷 협주곡 1번 (1970.04.-1971.06. 작곡)
- 피아노 트리오 1번 (1971.11.16.-18. 작곡)
- 호른 독주곡 영어> (1971.04.11.-14. 작곡)
- 바이올린 독주곡 영어> (1972.01.23. 작곡)
- 피아노를 위한
영어>(1975)
'''국악기'''
- 대금, 피리, 해금, 아쟁을 위한 <실내악>
- 피리, 꽹과리, 목탁, 징, 장구, 좌고를 위한 <만삭>
- 가야금과 장구를 위한 <전통과 현대> (1975.07.01.-11. 작곡)
- 대금과 장구를 위한 <슬픈 잉태>(1976)
- 거문고와 장구를 위한 <탈선(脫線)> (1976.04.01.-07 작곡)
- 거문고와 장구를 위한 <부활>(1976)
- 거문고, 가야금, 젓대를 위한 변주적 시나위 <살로메>
- 대금, 장구, 무용, 독백을 위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 가야금 병창곡 <우리 주님 예수 따라>
- 가야금 합주곡 <진양>
- 가야금 합주곡 <成天(성천)>
- 가야금 독주와 합주 및 소리북을 위한 가야금 협주곡 <건곤감리(乾坤坎離)>
- 가야금 협주곡
(2011)
8. 7. 1. 양악기
(양악기)- '''클라리넷 협주곡 1번''' (1970.04.-1971.06. 작곡)
- '''피아노 트리오 1번''' (1971.11.16.-18. 작곡)
- 호른 독주곡 '''A little piece No.1''' (1971.04.11.-14. 작곡)
- 바이올린 독주곡 '''A little piece No.2''' (1972.01.23. 작곡)
- 피아노를 위한 '''Sonatine'''(1975)
8. 7. 2. 국악기
(양악기)- 클라리넷 협주곡 1번 (1970.04.-1971.06. 작곡)
- 피아노 트리오 1번 (1971.11.16.-18. 작곡)
- 호른 독주곡 (1971.04.11.-14. 작곡)
- 바이올린 독주곡 (1972.01.23. 작곡)
- 피아노를 위한
(1975)
(국악기)
- 대금, 피리, 해금, 아쟁을 위한 <실내악>
- 피리, 꽹과리, 목탁, 징, 장구, 좌고를 위한 <만삭>
- 가야금과 장구를 위한 <전통과 현대> (1975.07.01.-11. 작곡)
- 대금과 장구를 위한 <슬픈 잉태>(1976)
- 거문고와 장구를 위한 <탈선(脫線)> (1976.04.01.-07 작곡)
- 거문고와 장구를 위한 <부활>(1976)
- 거문고, 가야금, 젓대를 위한 변주적 시나위 <살로메>
- 대금, 장구, 무용, 독백을 위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 가야금 병창곡 <우리 주님 예수 따라>
- 가야금 합주곡 <진양>
- 가야금 합주곡 <成天(성천)>
- 가야금 독주와 합주 및 소리북을 위한 가야금 협주곡 <건곤감리(乾坤坎離)>
- 가야금 협주곡
(2011)
9. 오페라 대본
2019년 3월 1일과 2일, 삼일운동 100주년 기념 오페라 <함성 1919>(박재훈 작곡)가 KBS홀에서 3회 공연되었다. 2021년에는 박재훈 목사의 요청으로 오페라 <이승만> 대본을 완성했으나, 2022년 8월 2일 작곡가가 별세하여 미완성으로 남았다.
10. 캘리그라피 전시회 및 작품
문성모는 다양한 전시회에 참여하여 캘리그라피 작품을 선보였다.
'''주요 전시회'''
- 2015년 임정수 캘리연구소 12기 전시회(은평 연구소), 은평구 초대전(은평문화예술회관)
- 2016년 평택대학교 초대전(기독교100주년기념관), 국립현충원 초대전, 은평구 초대전(은평문화예술회관)
- 2017년 동대문구 초대전(동대문구청 아트캘러리), 은평문화재단 초대전(은평문화예술회관)
- 2018년 국립 예술의 전당 기획전(한가람미술관 7전시실), 국회 초대전(국회의원회관 중앙홀 제2로비)
- 2019년 국립 예술의 전당 기획전(한가람미술관 7전시실)
- 2020년 국립 예술의 전당 기획전(한가람디자인미술관 제1전시실)
- 2021년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3층), 평택호예술관 특별전, 부산광역시 초대전(부산 시청 갤러리 2층 전관)
- 2022년 미국 라스베이거스 초대전(Las Vegas Sahara West Library Art Gallery),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3층), 미국 LA 한국문화원 초대전
- 2023년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1층) (예정)
'''대표 작품'''
- 2015년 임정수 캘리연구소 전시회: '''<진리>'''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Αλήθειαel, VERITASla 병행)[100*35], '''<세상의 빛>'''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장식용 캔들)[8*15], '''<당신>''' 내 인생의 최고의 선물은 당신입니다(이합지에 먹, 나무, LED)[25*25]
- 2015년 은평구 초대전: '''<찬양하라>''' 호흡이 있는 자마다 여호와를 찬양할지어다(이합지에 먹)[130*30]
- 2016년 평택대학교 초대전: '''<진리>'''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Αλήθειαel, VERITASla 병행)
- 2016년 국립현충원 초대전: '''<무궁화>''' 무궁화 우리나라 꽃 (포토 캘리)
- 2016년 은평구 초대전: '''<우리 잡은 이 손>''' 우리 잡은 이 손 서로에게 온기가 되어/ 험한 세월 거짓 사랑에 언 육신을 호호 불어 따뜻이 녹여 행복을 만들어가리...(이합지에 먹)[80*55], '''<산중의 아침>''' 잿빛 하늘 위에 숨겨진 태양/ 당신을 향한 나의 사랑/ 하루의 삶이 시작되는 산중에는/ 거룩한 사랑이 도사리고 있다(이합지에 먹)[50*100]
- 2017년 동대문구 초대전: '''<행복>''' 인간으로 태어나 최대의 행복은/ 삶이 다할 때 이별이 싫어서/ 함께 눈을 감고 싶은 그런 사랑을 만나는 것(이합지에 먹)[38*70]
- 2017년 은평문화재단 초대전: '''<처음처럼>'''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하지만/ 정지된 내 마음의 시간 속에서/ 당신은 처음처럼 소중한 존재입니다(이합지에 먹)[47*75]
- 2018년 예술의전당 기획전: '''<아가의 눈>''' 아침 이슬로 만든 너의 눈이 반짝일 때/ 어둠은 물러가고 아침 해가 뜬다(이합지에 먹)[62*127]
- 2018년 국회 초대전: '''<사랑>''' 사랑은 그러므로가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니다(이합지에 먹)[45*45]
- 2019년 예술의전당 기획전: '''<믿음 소망 사랑>'''(고목나무, 쇠)[50*50]
- 2020년 예술의전당 기획전: '''<칸트의 묘비 글>''' 하늘엔 빛나는 별 내 마음엔 도덕률(포토 캘리)[120*69]
- 2021년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 평택호예술관 특별전, 부산광역시 초대전: '''<마지막 잎새>''' 마지막 잎새에서 삶의 희망을 본다(포토 캘리)[50*100]
- 2022년 미국 라스베가스 초대전: '''<무궁화>'''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이합지에 먹, 족자)[63*53]
- 2022년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 '''<청보리의 꿈>''' 푸른 하늘 아래/ 청보리의 꿈이/ 푸르게 푸르게/ 영글어가는/ 가파도의 오월 (포토에 마크릭 디아섹) [61*40]
- 2022년 미국 LA 한국문화원 초대전: '''<생명의 신비여>''' (포토 캘리)[40*70]
10. 1. 주요 전시회
문성모는 다양한 전시회에 참여하여 캘리그라피 작품을 선보였다. 2015년 임정수 캘리연구소 전시회와 은평구 초대전 참가를 시작으로, 2016년에는 평택대학교 초대전, 국립현충원 초대전, 은평구 초대전 등에 참여했다. 2017년에는 동대문구 초대전과 은평문화재단 초대전, 2018년에는 국립 예술의 전당 기획전과 국회 초대전, 2019년에는 국립 예술의 전당 기획전, 2020년에는 국립 예술의 전당 기획전 에 참여하였다.2021년에는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 평택호예술관 특별전, 부산광역시 초대전 에 참가했다. 2022년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초대전,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 미국 LA 한국문화원 초대전 등 국외 전시에도 참여했다. 2023년에는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이 예정되어 있다.
10. 2. 대표 작품
문성모는 다양한 전시회에 참여하여 캘리그라피 작품을 선보였다. 2015년 임정수 캘리연구소 전시회에서는 <진리>, <세상의 빛>, <당신> 등을 발표했다. 같은 해 은평구 초대전에서는 <찬양하라>를 선보였다.2016년에는 평택대학교 초대전에서 <진리>를, 국립현충원 초대전에서 <무궁화>를, 은평구 초대전에서 <우리 잡은 이 손>과 <산중의 아침>을 전시했다.
2017년 동대문구 초대전에서는 <행복>을, 은평문화재단 초대전에서는 <처음처럼>을 선보였다. 2018년에는 예술의전당 기획전에서 <아가의 눈>을, 국회 초대전에서는 <사랑>을 전시했다.
2019년 예술의전당 기획전에서는 <믿음 소망 사랑>을, 2020년에는 <칸트의 묘비 글>을 선보였다. 2021년에는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과 평택호예술관 특별전에서 <마지막 잎새>를 전시했고, 부산광역시 초대전에서도 <마지막 잎새>를 선보였다.
2022년에는 미국 라스베가스 초대전에서 <무궁화>를,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기획전에서 <청보리의 꿈>을, 미국 LA 한국문화원 초대전에서 <생명의 신비여>를 전시했다.
참조
[1]
뉴스
권태진·문성모 목사, 신작 찬송가 12곡 봉헌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022-09-27
[2]
뉴스
강남제일교회, 광복 제77주년 기념예배 자료집 공유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022-06-29
[3]
뉴스
문성모 [시온의 소리] 내가 누구인가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23-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