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프스부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프스부르크는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1938년 폭스바겐 공장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계획 도시로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강제 노동을 통해 군수 물자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도시가 성장했으며, 전쟁 후 미군 점령 하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1951년 도시 자치구가 되었고, 폭스바겐 비틀 생산을 통해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다. 현재 아우토슈타트, 볼프스부르크 미술관 등 다양한 문화 시설과 스포츠팀 VfL 볼프스부르크가 위치한 도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더작센주 - 괴팅겐
괴팅겐은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1737년 괴팅겐 대학교가 설립되어 학문의 도시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연구 기관과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니더작센주 - 하노버
하노버는 니더작센주의 주도로, 영국과의 동군연합 시대를 거쳐 공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2000년 세계박람회를 개최한 문화, 경제 중심지이다. - 독일의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볼프스부르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독일어 이름 | Wolfsburg |
동프리지아어 이름 | Wulfsborg |
![]() | |
![]() | |
![]() | |
![]() | |
일반 정보 | |
위치 | 니더작센주 |
행정 구역 | 도시 |
해발 고도 | 63m |
면적 | 204.02km² |
우편 번호 | 38400–38448 |
지역 번호 | 05361, 05362, 05363, 05365, 05366, 05367, 05308 |
차량 번호판 코드 | WOB |
지방 자치체 코드 | 03 1 03 000 |
하위 행정 구역 | 16개 오르트샤프텐, 40개 슈타트타일 |
웹사이트 | www.Wolfsburg.de |
정치 | |
시장 | 데니스 바일만 |
시장 임기 | 2021–2026 |
시장 직함 | 상급 시장 |
소속 정당 | 기독교민주연합 |
인구 | |
전체 | 123,144명 (2012년 기준) |
인구 밀도 | 595명/km² |
기타 정보 |
2. 역사
볼프스부르크 성은 1302년 문서에서 바르텐스레벤 귀족 가문의 거주지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현재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여러 영지를 거쳐 관리되던 이 지역은 1938년 7월 1일, 나치 독일 정권 하에서 ''카데프-바겐 슈타트 바이 팔러스레벤''(Stadt des KdF-Wagens bei Fallersleben|팔러스레벤 옆 카데프(KdF)-바겐의 도시de)이라는 이름의 계획 도시로 건설되었다. 이는 폭스바겐 공장의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며, 공장 건설과 운영에는 강제 노동이 동원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공장에서 군수품을 생산했으며, 아르베츠도르프 강제 수용소가 운영되기도 했다.[7]
1945년 4월 11일 미군이 점령한 후, 같은 해 5월 25일 도시 이름은 인근 성의 이름을 따 '''볼프스부르크'''로 변경되었다. 이후 영국 점령 지역에 속하게 되었고, 1951년에는 도시 자치구 지위를 얻었다. 전후 볼프스부르크는 폭스바겐의 성장, 특히 폭스바겐 비틀 생산과 함께 독일의 경제 기적 시기를 거치며 발전했다. 1972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도시 규모가 크게 확장되었고, 인구도 증가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1990년 독일의 재통일 이후 아우토슈타트와 같은 시설이 들어서며 자동차 산업 도시를 넘어 관광 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추게 되었다. 2003년에는 5세대 골프 출시를 기념하여 도시 이름을 일시적으로 "골프스부르크"(Golfsburgde)로 변경하는 캠페인을 벌여 화제가 되었으며, 2009년에는 지역 축구팀 VfL 볼프스부르크가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하며 도시 전체가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다.[8][9]
2. 1. 도시 설립과 초기 발전
볼프스부르크 성은 1302년 문서에서 바르텐스레벤 귀족 가문의 거주지로 처음 언급되었다. 원래 알레 강 옆에 있던 요새는 몇 세기 후 해자에 의해 보호받았다. 1372년에는 볼프스부르크 근처의 ''부르크 노이하우스''(노이하우스 성)에 대한 첫 번째 문서가 등장했다. 1742년 바르텐스레벤 가문이 단절된 후, 재산과 ''슐로스 볼프스부르크''(볼프스부르크 성)는 슐렌부르크 백작에게 넘어갔다. 이 공동 영지는 인근 정착지인 ''로텐펠데''와 ''헤슬링겐''의 중요한 고용주였다.오늘날 도시 구역 중 일부는 과거 다른 행정 구역에 속했다. 예를 들어, ''포르스펠데''와 헬름슈테트 군에서 볼프스부르크로 이관된 마을은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에 속했다. ''팔러스레벤''과 다른 마을은 나중에 하노버 왕국으로 발전하고 1866년 프로이센의 지방이 된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국에 속했다. ''헤슬링겐''을 포함한 다른 도시 구역은 프로이센 마그데부르크 공국에 속했다. 1932년, 이 지역들은 프로이센 작센 주에서 분리되어 하노버 주에 통합되었다.
볼프스부르크는 1938년 7월 1일, ''Stadt des KdF-Wagens bei Fallersleben''(KdF-Wagens)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계획 도시이다. 이 도시는 강제 노동에 의해 건설된 폭스바겐 공장의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이 공장은 나중에 폭스바겐 비틀로 알려지게 될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었다.[6]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주로 강제 노동자와 포로에 의해 군용 차량, 항공기 및 기타 군사 장비가 생산되었다.[7] 1942년, 독일 당국은 몇 달 동안 이 도시에 아르베츠도르프 강제 수용소를 설립했다. 이 수용소에서 일하는 동안 최소 6명이 사망했다.
1945년 4월 11일, 도시와 폭스바겐 공장은 미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약 7,700명의 강제 노동자들이 폭스바겐 공장에서 해방되었다. 미군은 1945년 5월 25일, 그곳에 위치한 동명의 성 이름을 따서 도시 이름을 '''볼프스부르크'''로 개명하고, 1945년 6월 말까지 도시를 점령했다. 미국 점령은 1945년 6월 말에 종료되었고, 이 지역은 영국 점령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951년, 볼프스부르크는 기프호른 지역에서 분리되어 도시 자치구가 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볼프스부르크는 1938년 7월 1일, 나치 정권 하에서 ''Stadt des KdF-Wagens bei Fallersleben''(KdF-Wagens)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 도시는 폭스바겐 공장의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계획되었으며, 공장 건설에는 강제 노동이 동원되었다. 이 공장에서는 훗날 폭스바겐 비틀로 알려지게 될 자동차가 생산될 예정이었다.[6]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폭스바겐 공장은 군수 공장으로 전환되어 군용 차량, 항공기 및 기타 군사 장비를 생산했다. 생산에는 주로 강제 노동자와 전쟁 포로들이 동원되었다.[7] 특히 강제 수용소에 수감된 유대인이나 러시아인 포로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군수 물자 생산에 혹사당했다. 1942년, 독일 당국은 도시 내에 아르베츠도르프 강제 수용소를 몇 달간 운영했으며, 이 수용소에서 일하는 동안 최소 6명이 사망했다.
히틀러는 연합군의 공습을 피하기 위해 독일 중앙부에 자동차 공장을 건설했지만, 전쟁 후 볼프스부르크는 역설적으로 동서 독일 국경에 인접한 도시가 되었다.
1945년 4월 11일, 미군이 도시와 폭스바겐 공장을 점령했으며, 이때 공장에서 일하던 약 7,700명의 강제 노동자들이 해방되었다. 미군은 1945년 5월 25일, 도시 이름을 인근에 위치한 볼프스부르크 성의 이름을 따 '''볼프스부르크'''로 공식 변경했다. 미군의 점령은 1945년 6월 말까지 이어졌고, 이후 볼프스부르크는 영국 점령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전쟁으로 황폐해졌던 도시는 영국 점령 하에서 점차 부흥하기 시작했다.
2. 3. 전후 발전과 도시 이름 변경
볼프스부르크는 1938년 7월 1일 나치 정권 하에서 ''Stadt des KdF-Wagens bei Fallersleben''(KdF-Wagens)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폭스바겐 공장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계획 도시였으며, 이 공장에서는 훗날 폭스바겐 비틀로 알려진 자동차를 생산할 예정이었다.[6]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주로 강제 노동자와 포로들을 동원하여 군용 차량, 항공기 및 기타 군사 장비를 생산했다.[7] 1942년에는 몇 달 동안 도시에 아르베츠도르프 강제 수용소가 설치되었고, 이곳에서 최소 6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1945년 4월 11일, 도시와 폭스바겐 공장은 미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약 7,700명의 강제 노동자들이 해방되었다. 미군은 1945년 5월 25일, 도시 이름을 인근의 볼프스부르크 성 이름을 따서 '''볼프스부르크'''로 개명했다. 미군 점령은 1945년 6월 말까지 이어졌고, 이후 이 지역은 영국 점령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951년, 볼프스부르크는 기프호른 지역에서 분리되어 도시 자치구가 되었다.
전후 영국 점령 하에서 부흥을 시작한 볼프스부르크는 폭스바겐의 발전과 함께 성장했다. 1955년에는 100만 번째 폭스바겐 비틀이 볼프스부르크에서 생산되었다. 비틀 생산은 1974년 볼프스부르크에서 종료되었지만(독일 내 생산은 1978년 엠덴에서 종료), 볼프스부르크 공장은 여전히 폭스바겐 생산 능력의 핵심으로 남아있다.
독일의 경제 기적 기간 동안 볼프스부르크는 특히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이민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1958년에는 시청이 건설되었고, 1960년 폭스바겐베르크 GmbH(유한 책임 회사)는 주식회사 (AG)로 전환되었다.
1972년 니더작센주의 행정 구역 개편(볼프스부르크 법)을 통해 20개의 지역이 볼프스부르크에 편입되었다. 이로 인해 도시 인구는 약 131,000명으로 증가하며 주요 도시 지위를 얻었고, 면적은 35km2에서 약 204km2로 크게 확장되었다. 1973년에는 인구가 131,971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1982년에는 A39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A2와 연결되면서 도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1988년에는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응용 과학 대학교(오늘날의 오스트팔리아 응용 과학 대학교)가 설립되어 대학 도시가 되었다.
2003년 8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 5세대 폭스바겐 골프 출시를 기념하여 도시 이름을 일시적으로 "'''골프스부르크'''"(Golfsburg|골프스부르크de)로 변경하는 캠페인을 진행하여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2009년 여름에는 축구팀 VfL 볼프스부르크가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하며 다시 한번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으며, 약 10만 명이 모여 우승을 축하했다.[8][9]
냉전 시대(1945년-1990년) 동안 볼프스부르크는 서독에 속했으며, 한때는 자동차 산업 외에는 볼거리가 없는 도시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자동차 관련 박물관과 아우토슈타트와 같은 어트랙션이 개발되면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 도시로 변모했다.
2. 4.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
볼프스부르크는 1938년 7월 1일 ''Stadt des KdF-Wagens bei Fallersleben''(KdF-Wagens)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나치 정권 하에서 폭스바겐 공장의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건설된 계획 도시였으며, 이 공장에서는 나중에 폭스바겐 비틀로 알려질 자동차를 생산할 예정이었다.[6] 당시 초기 인구는 1,144명이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주로 강제 노동자와 포로들이 동원되어 군용 차량, 항공기 및 기타 군사 장비를 생산하는 데 집중되었다.[7] 1942년에는 아르베츠도르프 강제 수용소가 잠시 운영되기도 했으며, 이곳에서 최소 6명이 노동 중 사망했다. 타국으로부터의 공격을 우려한 히틀러는 독일 중앙부에 공장을 건설했지만, 전쟁 후 이곳은 동서 독일 국경 근처의 도시가 되었다.1945년 4월 11일, 미군이 도시와 폭스바겐 공장을 점령하면서 약 7,700명의 강제 노동자들이 해방되었다. 미군은 1945년 5월 25일, 인근의 볼프스부르크 성 이름을 따 도시 이름을 '''볼프스부르크'''로 개명했다. 같은 해 6월 말, 영국군이 점령을 이어받아 이 지역은 영국 점령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전쟁으로 황폐해졌던 도시는 영국 점령 하에서 부흥을 시작했다. 1951년, 볼프스부르크는 기프호른 지역에서 분리되어 도시 자치구가 되었다.
전후 독일 경제 기적 시기에 볼프스부르크는 폭스바겐의 성장과 함께 빠르게 발전했다. 1955년에는 100만 번째 VW 비틀이 볼프스부르크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비틀 생산은 1974년 볼프스부르크에서 종료되었지만, 엠덴에서는 1978년까지 계속되었다.) 이 시기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많은 이민 노동자들이 유입되어 도시 성장에 기여했다. 1958년에는 시청이 건설되었고, 1960년 폭스바겐베르크 GmbH는 AG(주식회사)로 전환되었다.
1972년 니더작센 주의 토지 개혁으로 20개 지역이 볼프스부르크에 편입되면서 도시 면적은 35 km²에서 약 204km2로 크게 확장되었고, 인구 약 131,000명의 주요 도시 지위를 얻었다. 1973년에는 인구가 131,971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도시 발전을 위한 인프라 확충도 이어져 1982년에는 A2와 연결되는 A39 고속도로가 개통되었고, 1988년에는 오스트팔리아 응용 과학 대학교가 설립되어 대학 도시가 되었다.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과거 자동차 산업만의 도시로 여겨졌던 볼프스부르크는 자동차 관련 박물관과 어트랙션을 늘리며 관광객 유치에 힘썼다. 특히 폭스바겐 공장 견학이 가능한 자동차 테마파크인 아우토슈타트는 주요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 2003년에는 5세대 폭스바겐 골프 출시를 기념하여 8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 도시 이름을 한시적으로 "'''골프스부르크'''"로 바꾸는 캠페인을 벌여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2009년 여름에는 축구팀 VfL 볼프스부르크가 독일 축구 리그에서 우승하면서 도시 역사상 처음으로 약 10만 명이 모여 축하하는 대규모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8][9]
2. 5. 도시 확장
볼프스부르크 성은 1302년 문서에서 바르텐스레벤 귀족 가문의 거주지로 처음 언급되었다. 원래 알레 강 옆에 있던 요새는 몇 세기 후 해자에 의해 보호받았다. 1372년에는 볼프스부르크 근처의 ''부르크 노이하우스''(노이하우스 성)에 대한 첫 번째 문서가 등장했다. 1742년 바르텐스레벤 가문이 단절된 후, 재산과 ''슐로스 볼프스부르크''(볼프스부르크 성)는 슐렌부르크 백작에게 넘어갔다. 이 공동 영지는 인근 정착지인 ''로텐펠데''와 ''헤슬링겐''의 중요한 고용주였다.오늘날 도시 구역 중 일부, 예를 들어 ''포르스펠데''와 헬름슈테트 군에서 볼프스부르크로 이관된 마을은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에 속했다. ''팔러스레벤''과 다른 마을은 나중에 하노버 왕국으로 발전하고 1866년 프로이센의 지방이 된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국에 속했다. ''헤슬링겐''을 포함한 다른 도시 구역은 프로이센 마그데부르크 공국에 속했다. 1932년, 이 지역들은 프로이센 작센 주에서 분리되어 하노버 주에 통합되었다.
볼프스부르크는 1938년 7월 1일, 강제 노동을 동원하여 건설된 폭스바겐 공장의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계획된 도시인 ''Stadt des KdF-Wagens bei Fallersleben''(KdF-Wagens, '크데프(KdF)-바겐의 도시')으로 설립되었다. 이 KdF-바겐은 나중에 폭스바겐 비틀로 알려지게 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주로 강제 노동자와 포로에 의해 군용 차량, 항공기 및 기타 군사 장비가 생산되었다.[7] 1942년에는 몇 달 동안 아르베츠도르프 강제 수용소가 운영되었으며, 이 수용소에서 최소 6명이 사망했다.
1945년 4월 11일, 도시와 폭스바겐 공장은 미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약 7,700명의 강제 노동자들이 해방되었다. 미군은 1945년 5월 25일, 지역 성의 이름을 따 도시 이름을 '''볼프스부르크'''로 개명했으며, 1945년 6월 말까지 도시를 점령했다. 이후 이 지역은 독일의 영국 점령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951년, 볼프스부르크는 기프호른 지역에서 분리되어 도시 자치구가 되었다.
1955년에는 100만 번째 폭스바겐 비틀이 볼프스부르크에서 생산되었다. 비틀의 전후 생산은 1974년 볼프스부르크에서 종료되었지만, 독일 내 생산은 1978년까지 엠덴에서 계속되었다. 볼프스부르크의 공장은 여전히 폭스바겐 생산 능력의 핵심적인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독일 경제 기적 기간 동안 볼프스부르크는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이민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성장했다. 1958년에는 시청이 건설되었고, 1960년 폭스바겐베르크 GmbH(유한 책임 회사)는 AG(주식회사)로 전환되었다.
1972년, 니더작센 주의 토지 개혁 과정에서 "볼프스부르크 법"을 통해 20개의 주변 지역이 볼프스부르크 시에 통합되었다. 이로 인해 볼프스부르크는 인구 약 131,000명을 넘어서며 주요 도시의 지위를 얻었고, 도시 면적은 35 km²에서 약 204km2로 크게 확장되었다. 1973년에는 도시 인구가 131,971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1982년에는 A2 (오버하우젠 - 하노버 - 베르더)의 지선인 A39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볼프스부르크로 직접 연결되었다. 1988년에는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응용 과학 대학교가 설립되면서 대학 도시가 되었다. 이 대학은 오늘날 오스트팔리아 응용 과학 대학교로 불린다.
5세대 폭스바겐 골프 출시를 기념하여, 볼프스부르크 시는 2003년 8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 도시 이름을 일시적으로 "'''골프스부르크'''"로 변경하는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 캠페인은 인터넷, 공식 문서, 도시 경계 표지판 등에 적용되었으며 전국적인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2009년 여름, 지역 축구팀인 VfL 볼프스부르크가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하면서 볼프스부르크는 다시 한번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8][9] 도시 역사상 처음으로 약 10만 명의 인파가 모여 시내에서 우승 축하 파티를 열었다.
2. 6. 현대의 발전
볼프스부르크는 1938년 7월 1일 나치 독일 정권 하에서 계획 도시로 설립되었다. 초기 이름은 '팔러스레벤 옆 KdF-Wagen의 도시'(de)였으며, 이는 폭스바겐 공장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 공장은 나중에 폭스바겐 비틀로 알려질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 강제 노동을 동원하여 건설되었다.[6]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폭스바겐 공장에서 군용 차량, 항공기 및 기타 군사 장비가 생산되었는데, 이는 주로 강제 노동자와 포로들의 노동력에 의존했다.[7] 특히 유대인과 러시아인 포로 등이 혹사당하며 군수 물자 생산에 동원되었다. 1942년에는 도시 내에 아르베츠도르프 강제 수용소가 몇 달간 운영되었으며, 이 수용소에서 최소 6명이 목숨을 잃었다.
1945년 4월 11일, 도시와 폭스바겐 공장은 미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공장에서 일하던 약 7,700명의 강제 노동자들이 해방되었다. 미군은 같은 해 5월 25일 도시 이름을 인근의 볼프스부르크 성 이름을 따 볼프스부르크로 개명했다. 6월 말 미군 점령이 종료되고 도시는 독일의 영국 점령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영국 점령 하에서 도시는 전쟁의 폐허 속에서 부흥을 시작했다. 1951년 볼프스부르크는 기프호른 지역에서 분리되어 도시 자치구가 되었다.
전후 독일 경제 기적 시기에 볼프스부르크는 폭스바겐의 성장과 함께 발전했다. 1955년에는 100만 번째 폭스바겐 비틀이 볼프스부르크에서 생산되었다. 비틀 생산은 1974년 볼프스부르크 공장에서 종료되었지만(독일 내 생산은 1978년까지 엠덴에서 계속됨), 폭스바겐 공장은 여전히 생산 능력의 핵심을 담당하고 있다. 이 시기에는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많은 이민 노동자들이 유입되었다. 1958년에는 시청이 건설되었고, 1960년 폭스바겐베르크 유한책임회사(GmbH)는 주식회사(AG)로 변경되었다.
1972년 니더작센 주의 토지 개혁 과정에서 '볼프스부르크 법'을 통해 20개 지역이 도시에 통합되었다. 이로 인해 도시 면적은 35km2에서 약 204km2로 크게 늘어났고, 인구는 약 131,000명으로 증가하며 주요 도시 지위를 얻었다. 1973년 도시 인구는 131,971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1982년에는 A39 고속도로가 개통되어 A2와 연결되면서 교통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1988년에는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응용 과학 대학교(오늘날의 오스트팔리아 응용 과학 대학교)가 설립되어 대학 도시가 되었다.
1990년 독일의 재통일 이후, 볼프스부르크는 단순한 자동차 산업 도시라는 이미지를 벗고 관광객 유치에 힘쓰기 시작했다. 자동차 관련 박물관과 어트랙션이 증가했으며, 특히 폭스바겐 공장 견학이 가능한 자동차 테마파크인 아우토슈타트는 유명한 관광 명소가 되었다.
2003년 8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 폭스바겐이 5세대 폭스바겐 골프 출시를 기념하여 도시 이름을 한시적으로 "골프스부르크"(de)로 변경하는 캠페인을 벌여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2009년 여름에는 축구팀 VfL 볼프스부르크가 독일 축구 리그에서 우승하면서 다시 한번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으며, 약 10만 명의 시민들이 모여 우승을 축하했다.[8][9]
3. 지리
볼프스부르크는 고대 알레 강 계곡의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미텔란트 운하'''(Mittellandkanal)를 접하고 있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기프호른 군과 헬름슈테트 군에 접해 있다.
인근의 주요 도시로는 남서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 브라운슈바이크, 남동쪽으로 약 65km 떨어진 곳에 마그데부르크, 서쪽으로 약 75km 떨어진 곳에 하노버가 위치한다.
center
3. 1. 기후
wikitext
연간 총 강수량은 약 583.7mm이다. 이는 독일 전체 평균 강수량에 비해 다소 적은 편에 속한다.[20][21][22] 독일 기상청(Deutscher Wetterdienst)의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가장 더운 달은 7월(평균 19.1°C), 가장 건조한 달은 4월(평균 34.7mm), 가장 습한 달은 7월(평균 67mm)이다.[20][21][22]
4. 행정 구역
볼프스부르크시는 41개의 구역(Stadtteilede)으로 나뉘어 조직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구역은 총 16개의 지역(Ortschaftende)을 구성하며, 각 지역은 자체 의회(Ortsratde)에서 대표한다. 모든 의회에는 시장(Ortsbürgermeisterde) 역할을 하는 지역 공무원이 있다.
처음에는 1972년에 합병된 11개 지역에만 의회가 설치되었다. 이들은 각 구역의 이전 시의회의 기능을 부분적으로 인수했다. 1991년과 2001년에 일부 지역이 더 작은 구역으로 분할되어 오늘날에는 16개의 지역이 있으며, 각 지역에는 시민들이 직접 선출하는 자체 의회가 있다.
이러한 조직의 유일한 예외는 알러파크(Allerpark)와 알러제(Allerseede) 호수를 둘러싼 지역 레크리에이션 구역, 그리고 중앙 시가지에 위치한 폭스바겐 공장 지역이다.
볼프스부르크의 행정 구역에는 6개의 자연 보호 구역이 포함되어 있다. 그중 5개는 고대 알러 강 계곡에 위치해 있다.
5. 정치
1938년 7월 1일, 뤼네부르크 정부 수석 대통령령에 따라 정부 평가관 카를 보크가 KdF-Wagen 도시(볼프스부르크의 초기 명칭)의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다른 관리들 역시 정부에 의해 배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6년, 영국 점령 지역의 군정은 영국식 공동체 헌법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의회를 선출했고, 선출된 의회는 도시의 대표로서 자원봉사 시장을 뽑았다. 또한, 의회는 시 행정을 이끌 전임 이사를 별도로 선출했다. 이러한 이원적 리더십 구조는 2001년에 폐지되었다. 현재는 전임 시장이 도시의 대표이자 행정 수반 역할을 하며, 2001년부터 시민들이 직접 시장을 선출한다. 의회는 여전히 존재하며, 지방 선거 후 자체적으로 의장을 선출한다. 현재 볼프스부르크의 시장은 데니스 바일만(SPD)이다.
볼프스부르크는 오랜 기간 사회민주당의 영향력이 강했던 도시로, "사회 민주주의 유토피아"로 묘사되기도 한다.[14]
5. 1. 시의회
시 의회는 여러 정당 소속 의원 47명과 시장 1명으로 구성된다. 시장은 행정 수반으로서 시의 모든 직원을 지휘하며, 시 의회에서 그의 제안에 따라 선출된 4명의 부서장으로부터 업무 지원을 받는다. 시장과 부서장들은 시 행정부의 이사회를 구성하여 매주 행정에 관한 주요 사안을 심의하고 결정한다.2011년 9월 11일에 실시된 지방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15]
정당 | 의석 | 득표율(%) | 득표수 |
---|---|---|---|
SPD | 17 | 37.7% | 53,355 |
CDU | 14 | 31.6% | 44,635 |
정당 정치 독립 공동체(PUG) | 5 | 11.9% | 16,769 |
Bündnis 90/Die Grünen | 5 | 9.9% | 14,026 |
PIRATEN | 2 | 3.9% | 5,528 |
FDP | 1 | 2.4% | 3,326 |
Wolfsburger Linke | 1 | 1.5% | 2,106 |
유권자 공동체 미래 볼프스부르크(WTZ) | 1 | 1.2% | 1,673 |
유권자 참여율은 49.4%였다.
6. 인구
1938년 약 1,000명의 주민으로 시작한 볼프스부르크의 인구는 1950년 25,000명으로 증가했으며, 1958년에는 50,000명으로 두 배가 되었다. 1972년 7월 1일, 여러 인접 교외 마을이 "볼프스부르크 법"에 따라 도시에 편입되면서 볼프스부르크는 대도시 Großstadt|그로스슈타트de가 되었고, 인구는 처음으로 100,000명을 넘어섰다. 1973년에는 인구가 최고 수준인 131,971명에 도달했다. 2010년 12월 말 기준, 121,451명이 볼프스부르크에 주 거주지로 등록되어 있었으며, 2012년 말에는 이 숫자가 123,144명으로 증가했다.
순위 | 국적 | 인구 (2023년 12월 31일) |
---|---|---|
1 | 이탈리아 | 5,822 |
2 | 우크라이나 | 2,131 |
3 | 폴란드 | 2,029 |
4 | 인도 | 1,346 |
5 | 터키 | 827 |
6 | 이라크 | 707 |
7 | 튀니지 | 673 |
8 | 아프가니스탄 | 589 |
9 | 코소보 | 522 |
10 | 카메룬 | 518 |
11 | 중국 | 460 |
12 | 세르비아 | 320 |
13 | 멕시코 | 283 |
14 | 스페인 | 261 |
15 | 베트남 | 246 |
7. 문화 및 관광 명소
볼프스부르크는 다른 독일 도시들과 달리 중세 시대의 구도심 대신, 새롭고 현대적인 명소들이 도시의 중심을 이루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1938년 폭스바겐 자동차 생산을 위해 건설된 계획 도시로서, 도시의 정체성은 자동차 산업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초기 도시 명칭은 나치 독일의 기쁨을 통한 힘(KdF) 조직과 연관된 'KdF 자동차의 도시'(de)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45년 연합군 점령 하에 인근의 볼프스부르크 성 이름을 따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냉전 시기에는 서독에 속해 있었다.
과거에는 단순한 자동차 산업 도시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아우토슈타트를 비롯한 자동차 관련 시설과 다양한 문화 및 위락 시설이 들어서면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 매력적인 도시로 변모했다. 도시의 구시가지인 알트 볼프스부르크 지역에는 전통적인 골조 양식 건물이 일부 남아 있으며, 알러 강변 언덕 위에는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된 볼프스부르크 성이 자리하고 있다. 이처럼 볼프스부르크는 산업 도시의 면모와 함께 다양한 문화 및 관광 자원을 갖춘 곳이다.
7. 1. 주요 명소


볼프스부르크의 중심부는 다른 독일 도시들과 달리 중세 시대의 도심 대신, 아우토슈타트와 같은 새롭고 현대적인 명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의 구시가지에 해당하는 알트 볼프스부르크 지역에서는 전통적인 골조 양식의 저택 건물들을 볼 수 있으며, 알러 강의 언덕 꼭대기에는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된 볼프스부르크 성이 자리 잡고 있다.
아우토슈타트폭스바겐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자동차 테마의 야외 박물관이자 테마파크이다. 공원 중앙에는 폭스바겐의 주요 브랜드를 소개하는 여러 파빌리온이 있다. 북쪽에는 폭스바겐과 아우디 파빌리온이 있으며, 남쪽으로 SEAT, 스코다, 람보르기니, 벤틀리, 부가티 파빌리온과 프리미엄 클럽하우스가 위치한다. 석호 옆에는 포르쉐 파빌리온이 있고, 공원 남동쪽에는 폭스바겐 상용차 파빌리온이 있다.
아우토슈타트 단지 내에는 천문관, 리츠칼튼 호텔, 독일 최대 규모의 체험형 과학 박물관인 페노 과학 센터, 수상 스키 리조트, 현대 및 컨템포러리 미술을 전문으로 하는 사립 미술관인 볼프스부르크 미술관 등 다양한 부대 시설이 함께 있다.
기타 명소
- 볼프스부르크 워터 쇼: 2014년 아우토슈타트 단지에서 열렸던 세계 최대 규모의 워터-플레임-레이저-비디오 분수 쇼로, 최대 70m 높이의 분수를 선보였다. 이 쇼는 단지 내 특별 행사가 있을 때 간헐적으로 관람할 수 있다.[10]
- 바데란트 (Badeland): 수영장과 다양한 사우나 시설을 갖춘 웰빙 및 휴식 센터이다.[11][12]
7. 2. 박물관
볼프스부르크는 전통적인 중세 도심 대신, 자동차를 주제로 한 현대적인 명소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특히 폭스바겐과 관련된 박물관 및 시설이 많다.
'''아우토슈타트'''는 폭스바겐이 운영하는 자동차 테마파크이자 야외 박물관이다. 공원 중앙에는 폭스바겐 그룹의 주요 브랜드(폭스바겐, 아우디, SEAT, 스코다, 람보르기니, 벤틀리, 부가티, 포르쉐)를 소개하는 파빌리온이 자리 잡고 있다. 아우토슈타트는 자동차 전시 외에도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독일 재통일 이후 볼프스부르크의 주요 관광 명소로 부상했다. 아우토슈타트 단지 내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워터-플레임-레이저-비디오 분수 쇼인 볼프스부르크 워터 쇼가 열리기도 한다.[10]
'''페노 과학 센터'''(Phænode)는 아우토슈타트 인근에 위치한 독일 최대 규모의 체험형 과학 박물관이다. 약 6000m2의 전시 공간에 250개의 실험 스테이션이 마련되어 있다. 이라크 출신의 유명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독특한 건축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볼프스부르크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박물관과 전시 시설이 있다.
이름 | 위치 | 주요 전시 내용 |
---|---|---|
볼프스부르크 미술관 (Kunstmuseum Wolfsburgde) | 아우토슈타트 인근 | 1994년부터 현대 및 컨템포러리 국제 미술 작품 전시.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다. |
슈테티셰 갤러리 (Städtische Galeriede) | 볼프스부르크 성 | 다양한 현대 미술 작품 전시. |
아우토뮤지엄 폭스바겐 (AutoMuseum Volkswagende) | 헤슬링겐 옛 섬유 공장 | 1985년 개관. 폭스바겐 자동차 역사 관련 전시. |
슈타트뮤지엄 볼프스부르크 (Stadtmuseum Wolfsburgde) | 볼프스부르크 성 | 볼프스부르크 성의 역사, 지역사, 도시 역사 전시. |
호프만 폰 팔러스레벤 박물관 (Hoffmann-von-Fallersleben-Museumde) | 팔러스레벤 성 | 독일 시와 민주주의의 역사, 특히 시인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 폰 팔러스레벤(1798–1874)의 삶 조명. |
하인리히-뷔싱-하우스 (Heinrich-Büssing-Hausde) | 노르트슈타임케 | 1988년 개관. MAN 그룹의 주도로 하인리히 뷔싱의 생가에 설립. 뷔싱의 삶과 독일의 산업 발전 과정 전시. |
노이하우스 성 박물관 (Burg Neuhausde) | 노이하우스 성 | 노이하우스 성에 위치하며, 성과 물레방아 모형, 중세 후기 무기, 1800년 이전 사람들의 생활 관련 문서 등을 전시한다. |
7. 3. 알바 알토 건축물

볼프스부르크에는 핀란드의 유명 건축가 알바 알토가 설계한 다음과 같은 주요 건축물들이 있다.
- ''성령 교회'' (Heilig Geist Kirchedeu)
- ''슈테파누스 교회'' (Stephanuskirchedeu), 성 슈테판 교회 또는 데트메로데 교회라고도 불린다.
- ''알바 알토 문화 회관'' (Alvar-Aalto-Kulturhausdeu)
8. 스포츠
볼프스부르크에서 가장 유명한 프로 스포츠 클럽은 1945년에 창단된 VfL 볼프스부르크이다. 남자 축구팀은 2009년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했고, 2015년 DFB-포칼과 DFL-슈퍼컵에서 우승했다. 여자 축구팀은 더욱 성공적이어서 분데스리가에서 6번, DFB-포칼에서 7번 우승했다. 여자팀은 또한 2013년과 2014년 2년 연속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했다.
볼프스부르크는 또한 아이스하키팀 그리즐리스 볼프스부르크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이 팀은 2007년부터 1부 리그인 도이치 아이스하키 리그에서 활약하며, 2011년, 2016년, 2017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1993년부터 볼프스부르크에서 매년 개최되는 테니스 토너먼트 폭스바겐 챌린저도 이 도시에 기반을 두고 있다.
9. 자매 도시 및 우호 도시
볼프스부르크는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및 우호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6]
9. 1. 자매 도시
볼프스부르크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6]국가 | 도시명 | 체결 연도 |
---|---|---|
영국 | 루턴 | 1950년 |
프랑스 | 마리냐뉴 | 1963년 |
이탈리아 | 페사로에우르비노현 | 1975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사라예보 | 1985년 |
독일 | 할버슈타트 | 1989년 |
러시아 | 톨리야티 | 1991년 |
폴란드 | 비엘스코비아와 | 1998년 |
일본 | 도요하시시 | 2002년 |
브라질 | 타우바테 | 2005년 |
중국 | 자딩 구 (상하이) | 2007년 |
튀니지 | 젠두바 | 2010년 |
9. 2. 우호 도시
볼프스부르크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16]도시명 | 국가 | 체결 연도 |
---|---|---|
루턴 | 영국 | |
마리냐느 | 프랑스 | |
페사로에우르비노현 | 이탈리아 | |
포폴리 | 이탈리아 | |
할버슈타트 | 독일 | |
톨리야티 | 러시아 | |
비엘스코비아와 | 폴란드 | |
사라예보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985년 |
창춘 | 중국 | 2006년 |
푸에블라 | 멕시코 | 2010년 |
도요하시 | 일본 | 2011년 |
채터누가 | 미국 | 2011년 |
다롄 | 중국 | 2011년 |
난하이(포산) | 중국 | 2015년 |
참조
[1]
웹사이트
Stichwahlen zu Direktwahlen in Niedersachsen vom 26. September 2021
https://wahlen.stati[...]
Landesamt für Statistik Niedersachsen
2021-10-13
[2]
웹사이트
Kreise mit höchstem Bruttoinlandsprodukt je Einwohner
https://de.statista.[...]
2022-08-22
[3]
웹사이트
Lufttemperatur: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4]
웹사이트
Niederschlag: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5]
웹사이트
Sonnenscheindauer: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6]
웹사이트
City history
https://www.wolfsbur[...]
2024-12-17
[7]
웹사이트
1937 to 1945 – Founding of the Company and Integration into the War Economy
https://www.volkswag[...]
2024-12-17
[8]
웹사이트
Fußballmärchen in Grün-Weiß
https://www.vfl-wolf[...]
2024-12-17
[9]
웹사이트
Bundesliga Final – DW – 05/24/2009
https://www.dw.com/e[...]
2024-12-17
[10]
웹사이트
Water show Wolfsburg: A truly unique experience is provided by the world's largest mobile water-fountain show with its up to 70 meter high fountains. The show is being staged every night for a period of four weeks. Visitors can prepare themselves for an unforgettable spectacle. Every year, the show is themed and staged differently, and accompanied by a lavish play of colours and a laser show.
http://www.niedersac[...]
2014-09-29
[11]
웹사이트
Das Badeland Wolfsburg - Baden und Saunieren in Wolfsburg
https://www.badeland[...]
2022-01-29
[12]
웹사이트
Top 8 Places to Visit in Wolfsburg, Germany
https://www.whatsdal[...]
2022-01-14
[13]
문서
https://statistik.stadt.wolfsburg.de/Informationsportal_15/Upload/Veroeffentlichungen/PDF/StadtWolfsburg_Bevoelkerungsbericht2023.pdf
https://statistik.st[...]
[14]
뉴스
How to keep populists small and marginal
https://www.economis[...]
2017-10-15
[15]
간행물
Bekanntmachung gemäß § 39 des Niedersächsischen Kommunalwahlgesetzes (NKWG) i. V. mit § 66 Abs. 6 der Niedersächsischen Kommunalwahlordnung (NKWO) über das Ergebnis der Wahl am 11.09.2011 zum Rat der Stadt Wolfsburg
http://www.wolfsburg[...]
Oberbürgermeister der Stadt Wolfsburg
2011-09-26
[16]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wolfsbur[...]
Wolfsburg
2021-02-17
[17]
서적
[18]
웹사이트
ウォルフスブルク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9]
문서
Population GER-NI
[20]
웹인용
Lufttemperatur: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21]
웹인용
Niederschlag: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22]
웹인용
Sonnenscheindauer: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