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게르만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게르만어군은 고대 노르드어에서 파생된 언어들의 집합으로, 동스칸디나비아어군(덴마크어, 스웨덴어)과 서스칸디나비아어군(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으로 분류된다. 이 언어들은 어휘, 문법, 음운 등에서 유사성을 공유하며, 특히 대륙 스칸디나비아어 간에는 상호 이해도가 높다. 그러나 덴마크어의 경우, 다른 언어 사용자에게는 발음의 차이로 인해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 현대에는 스웨덴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가 사용되며, 핀란드어는 우랄어족에 속하여 북게르만어군에 포함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북게르만어군 | |
---|---|
지도 | |
언어 정보 | |
이름 | 북게르만어군 |
다른 이름 | 북유럽어 스칸디나비아어 |
지역 | 북유럽 |
민족 | 북게르만족 |
어족 색상 | 인도유럽어족 |
어족 | 게르만어파 |
조상 언어 | 원시 노르드어 |
ISO 639-5 | gmq |
글롯로그 | nort3160 |
글롯로그 참조 이름 | 북게르만어 |
하위 언어 | 구트니쉬어 서 스칸디나비아어군 동 스칸디나비아어군 |
멸종된 언어 | 노른어 (†) 그린란드 노르드어 (†) |
분포 및 특징 | |
분포 지역 | 덴마크 스웨덴 |
주요 사용 국가 | 덴마크, 스웨덴 등 |
문자 | 로마자 |
역사적 맥락 | |
노른어 | 스코틀랜드의 오크니 제도, 셰틀랜드 제도, 케이스네스에서 19세기까지 사용됨. |
그린란드 노르드어 | 그린란드의 노르드인 정착지에서 15세기 후반까지 사용됨. |
주요 언어 | |
대륙 스칸디나비아어 |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
섬 노르드어 | 페로어 아이슬란드어 |
기타 | |
참고 자료 | Ethnologue의 북게르만어군 정보 (2012년 10월 3일 보관) 스칸디아시네의 북게르만어군 정보 (2012년 1월 12일 보관) 스칸디나비아어 소개 (2007년 12월 3일 보관) 그린란드의 언어와 정치 (2022년 2월 21일 보관) |
2. 분류
북게르만어군 여러 언어의 조어는 고대 노르드어이다. 스칸디나비아 제어의 하위 갈래는 뚜렷이 나누어지지 않고 보통 점차적 연속체를 이룬다.
- 동 스칸디나비아어
- * 덴마크어
- ** 덴마크보크몰어
보크몰 (노르웨이 문어)
- * 스웨덴어
# 노르웨이어 공식 표준어인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외에 노르웨이에는 비공식 표준어가 두 개 더 있다. 릭스몰은 보크몰과 유사하지만 덴마크어에 더 가까우며 회그노르스크는 뉘노르스크와 유사하지만 사용자는 극히 드물고 정치적 이유로 사용된다.
주어진 동질성을 고려할 때, 대륙 그룹을 하나의 언어로 볼 것인지, 여러 언어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26] 대륙 스칸디나비아 언어는 종종 "언어란 군대와 해군을 가진 방언이다"라는 격언의 증거로 인용된다.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의 국가 내 방언의 차이는 국경을 넘는 차이보다 더 클 수 있지만, 이들 국가의 정치적 독립으로 인해 대륙 스칸디나비아어는 일반 대중과 대부분의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덴마크어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동의하는 언어 경계는 다시 말해 정치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는 특히 덴마크와 스웨덴에서 표준어의 강력한 영향력 때문이기도 하다.[26] 노르웨이의 언어 정책이 공식 언어에서 농촌 방언의 변화에 대해 더 관용적이었지만, 주로 오슬로 지역과 그 주변에서 사용되는 "동부 도시 노르웨이어"로 불리는 표준어는 때때로 규범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노르웨이의 표준어의 영향력은 덴마크와 스웨덴보다 덜하다. 노르웨이의 표준어는 지난 200년 동안 여러 차례 지리적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1814년 노르웨이가 덴마크로부터 독립한 후 서노르웨이 방언으로부터 뉴노르스크가 조직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정치-언어적 분열이 심화되었다.
북유럽 이사회는 여러 차례 스칸디나비아에서 사용되는 (게르만어파) 언어를 "스칸디나비아어"(단수)라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북유럽 이사회의 공식 뉴스레터는 "스칸디나비아어"로 작성된다.[27] 노르웨이에서 공통 표준어에 대한 합의 실패를 고려할 때 하나의 통합된 문어를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간에 "철자의 어느 정도 통일"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약간 있다.[28][29]
모든 북게르만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다. 북게르만어의 아족(亞族) 사이의 구분은 정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은 연속적인 클라인(cline)을 형성하며, 인접한 방언들은 서로 상호 이해 가능하고, 가장 멀리 떨어진 방언들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노르드노르스크/Nordnorskno (노르웨이 북부)
* 보되 방언/Bodø dialectno (보되)
* 브뢴뇌 방언 (브뢴뇌)
* 헬겔란드 방언/Helgeland dialectno (헬겔란드)
* ''기타 방언''
트륀데르스크 (트륀델라그)
* 포센 방언/Fosen dialectno (포센)
* 예르예달 방언/Härjedal dialectsv (예르예달렌)
* 예MTL란드 방언 (예MTL란드 주) (노르웨이의 트륀데르스크 방언과 광범위한 언어적 유사성)
* 멜달 방언 (멜달)
* 튀달 방언/Tydal dialectno (튀달)
* ''기타 방언''
베스트란스크 (서부 및 노르웨이 남부)
* 서부 ''(베스트란데트)''
** 베르겐 방언 (베르겐)
** 호게순 방언/Haugesund dialectno (호게순)
** 예르 방언/Jærsk dialectno (예렌 지구)
** 카르뫼이 방언/Karmøy dialectno (카르뫼이)
** 노르뫼레 방언/Nordmøre dialectsno (노르뫼레)
*** 순달쇠라 방언/Sunndalsøra dialectno (순달쇠라)
** 롬스달 방언/Romsdal dialectno (롬스달)
** 산네스 방언 (산네스)
** 송남 방언 (송남 지구)
** 순뫼레 방언/Sunnmøre dialectno (순뫼레)
** 스타방에르 방언 (스타방에르)
** 스트릴 방언/Strilar dialectno (미드호르란 지구)
* 남부 ''(쇠를란데트)''
** 아렌달 방언 (아렌달 지역)
** 세테스달 방언/Valle-Setesdalsk dialectno (상부 세테스달, 발레)
* ''기타 방언''
외스트란스크/Østlandskno (노르웨이 동부)
* 플라트뷔그드 방언/Flatbygd dialectsno (저지대 지역)
** 비크베르스크 방언 (비켄 지구)
*** 안데부 방언/Andebu dialectno (안데부)
*** 보후슬렌 방언/Bohuslän dialectsv (보후슬렌 주) (회고적으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음)
*** 그렌란드 방언/Grenland dialectno (그렌란드 지구)
*** 오슬로 방언 (오슬로)
** 미트외스트란드 방언/Midtøstland dialectsno (중부 동부 지역)
*** 링게리케 방언/Ringerike dialectsno (링게리케 지구)
뢰네포스 방언/Hønefoss dialectno (뢰네포스)
오달 방언/Ådal dialectno (오달)
** 옵플란드 방언/Oppland dialectno (옵플란데네 지구)
*** 헤드마르크 방언 (헤드마르크)
솔룽 방언/Solung dialectno (솔뢰르)
** 하델란드 방언/Hadeland dialectno (하델란드 지구)
** 외스터달 방언/Østerdal dialectno (비켄 지구)
*** 세르나-이드레 방언 (세르나 및 이드레)
* (중부 지역)
** 구드브란즈달 방언 (구드브란즈달렌 및 상부 폴달, 인란데트)
** 할링달-발드리스 방언 (할링달, 발드레스)
*** 할링달 방언/Hallingdal dialectno
*** 발드리스 방언 (발드레스 지구)
** 텔레마르크-누메달 방언 (텔레마르크 및 누메달)
*** 뵈헤링 방언/Bø dialectno
* ''기타 방언''
- * 동 스칸디나비아어
- ** 덴마크어
섬 덴마크어 (Ømål)
동 덴마크어 (보른홀름 방언과 블레킹에, 할란드 및 스코네(스코네 방언)의 이전 동 덴마크 방언, 그리고 스몰란드의 남부 지역(현재 일반적으로 남부 스웨덴 방언으로 간주됨)
유틀란드어 (또는 유티시, 유틀란드에서)
* 북부 유틀란드어
** 동부 유틀란드어
** 서부 유틀란드어
* 남부 유틀란드어 (남부 유틀란드 및 남부 슐레스비히에서)
도시 동 노르웨이어 (일반적으로 노르웨이 방언으로 간주됨)
- ** 스웨덴어
''스베아말'' (스베알란드)
''노를란드 방언'' (노를란드)
''괴타말'' (괴탈란드)
''고틀란드어'' (고틀란드)
''오스트로보트니아의 스웨덴 방언'' (핀란드 및 에스토니아)
''기타 방언''
- **달레카르리아 방언 (달라르나), 엘프달리안어 포함(스웨덴어와 별개의 언어로 간주됨, 엘프달렌 지역)[32]
- *고대 고틀란드어
- ** 고틀란드어 (고틀란드)
라우말
파뢰말
야테르란드 방언은 트뢴데르스크 방언과 노를란드 방언 모두와 많은 특징을 공유한다. 이러한 모호한 위치 때문에 야테르란드 방언이 서 스칸디나비아어군에 속하는지 동 스칸디나비아어군에 속하는지 논란이 있다.[30]
엘브달렌 방언(엘브달렌 사투리)는 일반적으로 스베아말 방언으로 여겨지지만, 오늘날 공식적인 표기법을 가지고 있으며, 스웨덴어와의 상호 이해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많은 언어학자들에 의해 별개의 언어로 간주된다. 전통적으로 스웨덴 방언으로 여겨졌지만,[31] 여러 기준에 따라 서 스칸디나비아 방언에 더 가까운[32] 엘브달렌 방언은 상호 이해력의 기준으로 별개의 언어이다.[33][34][35][36]
여행자 데니시어, 로디, 스웨덴 로마니어는 로마니어 어휘나 준로마니어를 사용하는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의 변종으로, 집합적으로 스칸도로마니어로 알려져 있다.[37] 이들은 노르웨이와 스웨덴 여행자들에 의해 사용된다.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스칸도로마니어 변종은 서스웨덴, 동노르웨이(Østlandet), 트뢴데르스크 방언의 요소들을 결합한다.
- 북스칸디나비아어군, 남스칸디나비아어군, 서스칸디나비아어군으로 나누는 분류법[40]
- * 북스칸디나비아어군
- ** 스웨덴어
- ** 고대 갓트란드어
- * 남스칸디나비아어군
- ** 덴마크어
- * 서스칸디나비아어군
- ** 아이슬란드어
- ** 페로어
- ** 노르웨이어(북몰, 뉘노르스크)
- ** 고대 노르드어
- 동스칸디나비아어군과 서스칸디나비아어군으로 나누는 분류법[41]
- * 동스칸디나비아어군/Langues scandinaves orientales프랑스어
- ** 덴마크어
- ** 스웨덴어
- * 서스칸디나비아어군/Langues scandinaves occidentales프랑스어
- ** 노르웨이어
- ** 아이슬란드어
- ** 페로어
- 대륙 북게르만어와 도서 북게르만어로 나누는 분류법[39]
- * 대륙 북게르만어
- ** 덴마크어
- ** 스웨덴어
- ** 노르웨이어(북몰, 뉘노르스크)
- * 도서 북게르만어
- ** 아이슬란드어
- ** 페로어
- ** 노른어
아이슬란드어는 다른 언어들과 달리, 10세기에 노르웨이에서 아이슬란드로 인류가 이주했을 당시와 거의 변하지 않은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노르드 원어와 대부분의 어휘를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언어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노르웨이어에는 스웨덴어나 덴마크어와 가까운 보크몰과 노르웨이에 토착한 원래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고 여겨지는 뉘노르스크 두 가지가 있지만, 실제로는 보크몰이 더 널리 사용된다. 또한 덴마크어·노르웨이어(북몰)·스웨덴어는 언어학적으로 동일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3개 언어 사이에서는 통역 없이도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덴마크어는 독특한 성문폐쇄음( 영국 영어의 런던 방언 중 하나인 코크니에서 자주 나타나며, 일본에서는 사쓰마 방언에서 볼 수 있다)이 있는 경우도 있어, 다른 언어의 표준어 화자에게는 알아듣기 어려울 수 있다. 참고로 3개국의 정부는 표기법을 공통화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핀란드는 지리적으로 스칸디나비아의 일부이지만, 핀란드어는 우랄어족에 속하기 때문에 이 언어 그룹의 일부는 아니다.
2. 1. 동스칸디나비아어군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동스칸디나비아어군은 덴마크어와 스웨덴어로 나뉜다.[41] 덴마크어는 섬 덴마크어, 동 덴마크어, 유틀란드어 등의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웨덴어는 스베아말, 노를란드 방언, 괴타말, 고틀란드어, 오스트로보트니아의 스웨덴 방언 등의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32] 달레카르리아 방언은 엘프달리안어을 포함하며, 엘프달리안어는 스웨덴어와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32]북게르만어군의 하위 갈래는 뚜렷하게 나누어지지 않고 점차적인 연속체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은 연속적인 클라인(cline)을 형성하며, 인접한 방언들은 서로 상호 이해 가능하고, 가장 멀리 떨어진 방언들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2. 2. 서스칸디나비아어군
고대 노르드어는 북게르만어군 여러 언어의 조어이다.[41] 스칸디나비아 제어의 하위 갈래는 뚜렷이 나누어지지 않고 보통 점차적 연속체를 이룬다.[41] 대부분은 연속적인 클라인(cline)을 형성하며, 인접한 방언들은 서로 상호 이해 가능하고, 가장 멀리 떨어진 방언들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41]서스칸디나비아어군은 노른어(사멸), 뉘노르스크(노르웨이 신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로 구성된다.[41] 노르웨이어의 공식 표준어인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외에 비공식 표준어인 릭스몰은 보크몰과 유사하지만 덴마크어에 더 가깝다.[40] 회그노르스크는 뉘노르스크와 유사하지만 사용자는 극히 드물다.[40]
아이슬란드어는 10세기에 노르웨이에서 아이슬란드로 인류가 이주했을 당시와 거의 변하지 않은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노르드 원어와 대부분의 어휘를 공유하고 있어 언어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노르웨이어에는 스웨덴어나 덴마크어와 가까운 보크몰과 노르웨이에 토착한 원래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고 여겨지는 뉘노르스크 두 가지가 있지만, 실제로는 보크몰이 더 널리 사용된다. 덴마크어·노르웨이어(북몰)·스웨덴어는 언어학적으로 동일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3개 언어 사이에서는 통역 없이도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덴마크어는 독특한 성문폐쇄음이 있는 경우도 있어, 다른 언어의 표준어 화자에게는 알아듣기 어려울 수 있다. 3개국의 정부는 표기법을 공통화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핀란드는 지리적으로 스칸디나비아의 일부이지만, 핀란드어는 우랄어족에 속하기 때문에 북게르만어군에 속하지 않는다.
2. 3. 고트니시어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군은 여러 아족으로 나뉘지만, 그 구분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대부분 연속적인 클라인(cline)을 형성하여 인접한 방언들은 서로 이해 가능하지만, 멀리 떨어진 방언들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고틀란드어는 고틀란드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라우말과 파뢰말 등의 방언이 있다.[32]2. 4. 그 외의 분류
북게르만어군의 하위 갈래는 뚜렷이 나누어지지 않고 보통 점차적 연속체를 이룬다.[30]야테르란드 방언은 트뢴데르스크 방언과 노를란드 방언 모두와 많은 특징을 공유하여, 서 스칸디나비아어군에 속하는지 동 스칸디나비아어군에 속하는지 논란이 있다.[30]
엘브달렌 방언(엘브달렌 사투리)은 일반적으로 스베아말 방언으로 여겨지지만, 스웨덴어와의 상호 이해력이 부족하여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스웨덴 방언으로 여겨졌지만,[31] 여러 기준에 따라 서 스칸디나비아 방언에 더 가깝다.[32] 엘브달렌 방언은 상호 이해력의 기준으로 별개의 언어이다.[33][34][35][36]
스칸도로마니어는 로마니어 어휘나 준로마니어를 사용하는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의 변종이다.[37]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스칸도로마니어 변종은 서스웨덴, 동노르웨이(Østlandet), 트뢴데르스크 방언의 요소들을 결합한다.
북게르만어군은 북스칸디나비아어군, 남스칸디나비아어군, 서스칸디나비아어군으로 나누거나,[40] 동스칸디나비아어군과 서스칸디나비아어군으로 나누기도 한다.[41] 또는 대륙 북게르만어와 도서 북게르만어로 나누기도 한다.[39]
아이슬란드어는 10세기에 노르웨이에서 아이슬란드로 인류가 이주했을 당시와 거의 변하지 않은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노르드 원어와 대부분의 어휘를 공유하여 언어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노르웨이어에는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두 가지가 있으며, 덴마크어·노르웨이어(북몰)·스웨덴어는 언어학적으로 동일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어 통역 없이도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덴마크어는 독특한 성문폐쇄음이 있어, 다른 언어의 표준어 화자에게는 알아듣기 어려울 수 있다. 3개국 정부는 표기법을 공통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핀란드어는 우랄어족에 속하기 때문에 북게르만어군에 속하지 않는다.
3. 역사
3. 1. 게르만어파 내에서의 분화
게르만어파는 전통적으로 서게르만어파, 동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파의 세 갈래로 나뉜다.[6] 룬 문자 비문이라는 빈약한 증거만으로는 그들의 정확한 관계를 알아내기 어렵고, 민족 대이동 시대 동안 어느 정도 상호 이해 가능성을 유지했기 때문에 일부 개별 방언들을 분류하기 어렵다. 북부 그룹에 할당된 특징을 가진 방언들은 원게르만어에서 후기 북유럽의 로마 이전 철기 시대에 형성되었다.기원후 200년경에는 북게르만어파 화자들이 다른 게르만어 화자들과 구별될 수 있게 되었다. 이 언어파의 초기 발달은 룬 문자 비문을 통해 확인된다.
3. 2. 서게르만어군과의 공통 특징
북게르만어군은 서게르만어군과 여러 음운론적 및 형태론적 특징을 공유한다.[7]- 원시게르만어의 '*ē*' (/ɛː/art, '*ǣ*'로도 표기됨)가 '*ā*'로 변화하였다.[7]
- * 원시게르만어 *''jērą'' ('해') > 북서게르만어 *''jārą,''
- ** 북게르만어 *āragmq > árnon
- ** 서게르만어 *jāragmw > jārgoh, [jæ͡ɑːr]/ġēar}} (와 대조)
- 로 변화 (어말에서는 ). 비음화된 *''ǭ''* 와 앞에서는 원래 모음이 유지되었고, 이후 로 변화하였다.
- * 원시게르만어 *''gebō'' ('선물') > 북서게르만어 *''geƀu,''
- ** 북게르만어 *gjavugmq > '*u*'-변화 *''gjǫvu'' > gjǫfnon
- ** 서게르만어 *''gebu'' > giefuang ([ˈtuŋɡɔ̃ː]/giba}}와 대조)
- * 원시게르만어 *''tungǭ'' ('혀') 와 대조)
- * 원시게르만어 속격 단수 *''gebōz'' ('~의 선물') {{IPAgot > 후기 북서게르만어 *''gebāz,''
- ** 북게르만어 *gjavazgmq > gjafarnon
- ** 서게르만어 *gebagmw > gebagoh, giefeang (무강세 'a' > 'e') (/z//gibōs}}와 대조)
- 게르만 변화음이 발달하였다.
- 로 설측 마찰음 변화.
- * 이 변화는 서게르만어에 먼저 영향을 미치고 북게르만어로 퍼져나갔지만, 동게르만어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 지시대명사 ('this'의 조상) 발달.
- * 게르만어 *''sa'', ''sō'', ''þat'' ('이것', '저것') + 근접 *''si'' ('여기')
- ** 룬 노르웨이어: 주격 단수 ''sa-si'', 소유격 ''þes-si'', 여격 ''þeim-si'' 등
- * 고정된 형태: sjánon, þessinon (남성), thesegoh (남성), þesang (남성), þēosang (여성), þisang (중성).
일부 학자들은 동게르만어가 분리된 후, 남은 게르만어, 즉 북서게르만어가 네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뉘었다고 주장한다.[8] 북게르만어와 세 가지 그룹("서게르만어")은 다음과 같다.
# 북해 게르만어 (잉그웨온어군, 앵글로프리지아어군과 저지 독일어의 조상)
# 베저-라인 게르만어 (저프랑크어군)
# 엘베 게르만어 (고지 독일어군)
계통수 모델이 서게르만어군의 일부 특징을 설명하지 못하여 대안적인 파동 모델이 발전하였다. 이 관점에 따르면, 북게르만어와 구분되는 서게르만어군의 공통적인 특성은 "원시 서게르만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중앙 유럽에서 사용되는 게르만어들 사이의 언어 접촉을 통해 퍼져 나간 것이며, 스칸디나비아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3. 3. 북게르만어군의 특징
북게르만어군에는 서게르만어군과 동게르만어군에는 없는 몇 가지 혁신이 있다.- 홀츠만 법칙에 따른 겹모음 및 의 강화: 원시게르만어 *''twajjǫ̂'' ("두 개의")는 고대 노르드어 /h//tveggja}}가 되었지만, 고대 고지 독일어로는 zweiiogoh가 되었다.
- 어말 파열음의 무성화: 원시게르만어 *''band'' ("나/(그)가 묶었다")는 고대 서노르드어 battnon가 되었지만, 고대 영어로는 bandang가 되었다.
- 중간 {{IPAnon의 소실과 그 앞의 모음의 보상적 장음화, 그리고 뒤에 자음이 있을 경우 그 자음의 장음화: 원시게르만어 *''nahtų'' ("밤", 목적격)는 고대 노르드어 nóttnon가 되었다.
- > (단, 앞에서는 아님): 원시게르만어 *''sairaz'' ("아픈")는 고대 노르드어 sárrnon가 되었지만, 고대 고지 독일어로는 sērgoh가 되었다.
- 어말 단모음 소실 이후 어말 의 일반적인 소실 (가장 초기 룬 문자 비문에는 여전히 존재함): 원시게르만어 *''bindaną''는 고대 노르드어 bindanon가 되었지만, 고대 영어로는 bindanang가 되었다.
- , , 다음을 제외하고 의 로의 모음 변화
- 초기 의 소실, 그리고 둥근 모음 앞의 의 소실: 원시게르만어 *''wulfaz''는 고대 노르드어 가 되었다.
- 다음 음절에 또는 가 올 때 강세 모음을 둥글게 만드는 u-변화의 발달
3. 4. 중세 시대
[[파일:Old norse, ca 900.svg|오른쪽|250px|썸네일|10세기 초 고대 노르드어와 관련 언어의 대략적인 분포:고대 노르드어 시대 이후, 북게르만어파는 덴마크어와 스웨덴어로 구성된 동스칸디나비아어파와 노르웨이어, 페로어, 아이슬란드어로 구성된 서스칸디나비아어파, 그리고 고대 괴트랜드어파로 발전했다.[9] 800년경 노르웨이 정착민들이 아이슬란드와 페로 제도에 서부 고대 노르드어를 가져왔다. 현대 스칸디나비아어 중에서 아이슬란드어가 이 고대 언어와 가장 가깝다.[10] 노른어라는 또 다른 언어는 800년경 바이킹이 정착한 오크니와 셰틀랜드에서 발전했지만, 1700년경에 멸종되었다.[3]
중세 시대에는 모든 스칸디나비아 언어 사용자들이 서로 상당한 정도로 이해할 수 있었고, 스웨덴[10]과 아이슬란드[11]의 일부에서는 13세기까지 "덴마크어"라는 단일 언어로 불리기도 했다. 16세기에는 많은 덴마크인과 스웨덴인들이 여전히 북게르만어를 단일 언어로 언급했는데, 이는 성경의 첫 번째 덴마크어 번역본 서문과 올라우스 마그누스의 ''북방 민족의 묘사''에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중세 시대에도 고대 노르드어의 서부와 동부 방언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했으며, 서부 고대 노르드어, 동부 고대 노르드어, 고대 괴트랜드어의 세 가지 방언이 나타났다. 고대 아이슬란드어는 기본적으로 고대 노르웨이어와 동일했고, 함께 고대 노르드어의 서부 고대 노르드어 방언을 형성했으며 페로 제도,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맨섬, 그리고 노르망디의 노르웨이 정착지에서도 사용되었다. 동부 고대 노르드어 방언은 덴마크, 스웨덴, 러시아의 정착지,[12] 영국, 그리고 노르망디의 덴마크 정착지에서 사용되었다. 고대 괴트랜드어 방언은 괴틀란드와 동쪽의 여러 정착지에서 사용되었다.
1600년까지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북게르만어파의 또 다른 분류가 등장했는데,[3]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로 구성된 섬 지역 그룹과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로 구성된 대륙 지역 그룹으로 나뉘었다. 섬 지역 북유럽어 (''önordiska''/''ønordisk''/''øynordisk'')[13]와 대륙 스칸디나비아어 (''Skandinavisk'')[14]의 구분은 두 그룹 간의 상호 이해 가능성을 기반으로 하며, 특히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정치적 통합(1536~1814)으로 인해 중부 및 동부 노르웨이 방언(복말 또는 다노-노르웨이어)에 상당한 덴마크어의 영향이 미친 결과로 발전했다.[15]
3. 5. 근대 이후
4. 특징
북게르만어군 언어들은 서게르만어군 언어들보다 어휘, 문법, 음운, 형태론적 유사성을 더 많이 공유한다. 다음 표는 이러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언어 | 문장 |
---|---|
영어 | 6월 말의 습하고 흐린 여름날이었다. |
스웨덴어 | Det var en fuktig, grå sommardag i slutet av juni.sv |
덴마크어 | Det var en fugtig, grå sommerdag sidst i juni.da |
노르웨이어(보크몰) | Det var en fuktig, grå sommerdag i slutten av juni.nb |
노르웨이어(니노슈크) | Det var ein fuktig, grå sommardag/sumardag i slutten av juni.nn |
아이슬란드어 | Það var rakur, grár sumardagur í lok júní.is |
페로어 | Tað var ein rakur, gráur summardagur síðst í juni.fo |
엘르달리안어 | Eð war ien fuktun, grå såmårdag i slutę åv juni.ovd |
괴트랜드어 | De var en fuktur, graar summadag ei släutait av jäuni.mis |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는 독일어처럼 명사가 격 변화를 하고, 남성, 중성, 여성의 세 가지 성을 갖는 등 복잡하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가 통합되어 공성 명사(양성 명사)로 취급되며, 명사의 격 변화도 사라지고 있다(니노슈크는 세 가지 성을 갖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네덜란드어와 공통적이다.
또한, 대륙의 세 언어에서는 경칭 2인칭이 거의 없어지고, 원래 친칭이었던 du가 널리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5. 상호 이해도
대륙 스칸디나비아어(Continental Scandinavian languages) 간의 상호 이해도는 비대칭적이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노르웨이어 화자들이 스칸디나비아어군 내 다른 언어를 이해하는 데 가장 능숙한 것으로 나타났다.[25][23]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북유럽 문화 기금(Nordic Cultural Fund)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에서는 스톡홀름의 스웨덴어 화자와 코펜하겐의 덴마크어 화자들이 다른 북유럽 언어를 이해하는 데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22] 특히 스톡홀름의 젊은이들은 덴마크어를 이해하는 능력이 가장 낮았다.[24] 스웨덴 최남단 스코네 주 말뫼(Malmö)의 참가자들은 북쪽의 스웨덴어 화자들보다 덴마크어를 더 잘 이해했는데, 이는 외레순 다리(Øresund Bridge)를 통한 코펜하겐으로의 직통 열차, 외레순 지역(Øresund Region)의 국경을 넘나드는 통근자들, 그리고 덴마크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 접근성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25]
다른 스칸디나비아 도시의 젊은 원어민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 다른 대륙 스칸디나비아 언어 이해도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고 점수 10.0).[25]
도시 | 덴마크어 이해도 | 스웨덴어 이해도 | 노르웨이어 이해도 | 평균 |
---|---|---|---|---|
오르후스(Århus), 덴마크 | 3.74 | 4.68 | 4.21 | |
코펜하겐(Copenhagen), 덴마크 | 3.60 | 4.13 | 3.87 | |
말뫼(Malmö), 스웨덴 | 5.08 | 4.97 | 5.02 | |
스톡홀름(Stockholm), 스웨덴 | 3.46 | 5.56 | 4.51 | |
베르겐(Bergen), 노르웨이 | 6.50 | 6.15 | 6.32 | |
오슬로(Oslo), 노르웨이 | 6.57 | 7.12 | 6.85 | |
섬 스칸디나비아어(Insular Scandinavian languages) 그룹의 페로 제도(Faroe Islands) 화자들은 대륙 스칸디나비아어 그룹 내 두 개 이상의 언어를 이해하는 데 노르웨이인보다 더 능숙했다. 특히 덴마크어(학교에서 배우는 언어)와 노르웨이어 모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25] 반면 아이슬란드(Iceland) 화자들은 노르웨이어와 스웨덴어 구사 능력이 낮았지만, 덴마크어는 다소 잘하는 편이었다.[25]
페로어와 아이슬란드어 화자들의 세 가지 대륙 스칸디나비아 언어 이해도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고 점수 10.0).[25]
지역/ 국가 | 덴마크어 이해도 | 스웨덴어 이해도 | 노르웨이어 이해도 | 평균 |
---|---|---|---|---|
페로 제도(Faroe Islands) | 8.28 | 5.75 | 7.00 | 7.01 |
아이슬란드(Iceland) | 5.36 | 3.34 | 3.40 | 4.19 |
6. 현대의 북게르만어
현대의 북게르만어군은 동스칸디나비아어군과 서스칸디나비아어군으로 나뉜다.[5] 동스칸디나비아어군에는 덴마크어와 스웨덴어가 속하며,[5] 덴마크어는 유틀란트 방언, 섬 덴마크어, 동덴마크어 등으로, 스웨덴어는 남스웨덴 방언, 예타 방언, 고틀란드 방언, 스베알란드 방언, 노르란드 방언, 동스웨덴 방언 등으로 세분화된다.[5] 서스칸디나비아어군에는 노르웨이어, 페로어, 아이슬란드어가 속하며, 노르웨이어는 보크몰, 뉴노르스크, 트뢴데르 방언, 동노르웨이 방언, 서노르웨이 방언, 북노르웨이 방언 등으로 나뉜다.[5] 달레카르리아어의 엘프달리안어[32]와 '''구트니시어'''도 북게르만어군에 속한다.
북게르만어군은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지만, 핀란드에서는 핀란드어가 주로 사용된다.[16] 북유럽 국가 간에는 핀란드어, 아이슬란드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의 세 가지 버전으로 텍스트가 제시되기도 한다.[16] 그린란드에서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는 그린란드어가 유일한 공용어이다.
덴마크-노르웨이에서는 전통적으로 덴마크어와 독일어가 공용어였으며, 법률 및 공문서는 덴마크어로 작성되었고, 현지 행정관들은 덴마크어 또는 노르웨이어를 사용했다. 독일어는 홀슈타인과 슐레스비히 공국의 행정 언어였다. 남위틀란트에서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북슐레스비히 독일인들이 있으며, 이 지역에서 독일어는 공인된 소수 언어이다.
사미어는 우랄어족에 속하며,[17][18] 북게르만어군과 공존해 온 언어군이다.[17]
언어 | 화자 수 | 공용어 지위 | |
---|---|---|---|
스웨덴어 | 9,200,000* | 스웨덴, 핀란드, 유럽 연합, 북유럽 이사회 | |
덴마크어 | 5,600,000 | 덴마크, 페로 제도, 유럽 연합, 북유럽 이사회 | |
노르웨이어 | 5,000,000 | 노르웨이, 북유럽 이사회 | |
아이슬란드어 | 358,000 | 아이슬란드 | |
페로어 | 90,000 | 페로 제도 | |
고틀란드어 | 5,000[19] | ||
엘프달리안어 | 3,500 | ||
총계 | 20,251,500 |
:
[[File:Europe_germanic-languages_2.PNG|240px|thumb|right|현대 유럽의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
'''서게르만어군'''
}}
[[File:Germanic_languages_in_Europe.png|upright=1.35|thumb|right|
유럽의 게르만어군 분포 현황:
'''북게르만어군'''
'''서게르만어군'''
점은 다국어 사용이 흔한 지역 중 일부를 나타냅니다.
]]
역사언어학적으로 북게르만어군은 서스칸디나비아어군과 동스칸디나비아어군의 두 가지로 나뉘지만, 상호 이해도에 따라 대륙 스칸디나비아어(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와 섬 스칸디나비아어(페로어, 아이슬란드어)로 분류할 수도 있다.[15] 노르웨이어는 덴마크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보크몰은 덴마크어와 유사하지만, 뉘노르스크는 고대 노르드어에 기반하여 스웨덴어와 더 많은 특징을 공유한다.[21]
최근에는 영어 차용어가 북게르만어군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아이슬란드어를 제외한 다른 언어에서 영어 차용어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22]
7. 대한민국과의 관계
7. 1. 경제 협력
7. 2. 문화 교류
7. 3. 인적 교류
참조
[1]
서적
Language Family Trees Indo-European, Germanic, North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2-10-03
[2]
웹사이트
Scandinavian Dialect Syntax
http://uit.no/scandi[...]
2012-01-12
[3]
서적
The Scandinavian languages
http://www.dur.ac.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3
[4]
웹사이트
Sprog og politik i Grønland
https://unric.org/da[...]
2022-02-21
[5]
간행물
Aggregate analysis of vowel pronunciation in Swedish dialects
Oslo Studies in Language
[6]
서적
The World's Major Languag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
논문
Indo-European ē in Germanic
[8]
논문
Zur Gliederung der germanischen Sprachen
[9]
서적
The Nord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History of the North Germanic Languages
Walter de Gruyter
[10]
웹사이트
Language
http://www.um.dk/Pub[...]
2004-08-15
[11]
서적
Svitjods undergång och Sveriges födelse
https://books.google[...]
Albert Bonniers Förlag
[12]
백과사전
Nordiska språk
[13]
논문
Variation in subject case marking in Insular Scandinavian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5-04
[14]
서적
The Changing Languages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15]
간행물
Nordiske sprog i fortid og nutid. Sproglighed og sprogforskelle, sprogfamilier og sprogslægtskab
http://www.norden.or[...]
Nordic Council of Ministers' Secretariat
2011-11-04
[16]
웹사이트
Analys Norden
https://web.archive.[...]
[17]
서적
Arctic Languages: An Awakening
http://unesdoc.unesc[...]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2018-07-21
[18]
웹사이트
A language with deep roots
http://www.eng.samer[...]
2007-10-05
[19]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
서적
How many languages do we need?: the economics of linguistic d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Nynorsk – noe for svensker? – Uniforum
https://www.uniforum[...]
[22]
웹사이트
Norden this week – Monday 01.17.2005
https://web.archive.[...]
[23]
서적
Nabospråksforståelse i Skandinavia. En undersøkelse om gjensidig forståelse av tale- og skriftspråk i Danmark, Norge og Sverige
Nordiska rådet
[24]
서적
Languages and Nationalism Instead of Empires
Routledge
[25]
간행물
Håller språket ihop Norden? En forskningsrapport om ungdomars förståelse av danska, svenska och norska
http://www.norden.or[...]
2011-05-14
[26]
웹사이트
Nordens språk – med rötter och fötter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Hello Norden newsletter
https://web.archive.[...]
2014-04-09
[28]
웹사이트
The Scandinavian Languages: Their Histories and Relationships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Finlandssvensk som hovedspråk
https://web.archive.[...]
2017-10-12
[30]
웹사이트
Jemtsk og trøndersk – to nære slektningar
http://www.sprakrad.[...]
2007-03-18
[31]
서적
National, Regional and Minority Languages in Europe: Contributions to the Annual Conference 2009 of Efnil in Dublin
Peter Lang
[32]
웹사이트
On the origins of the Elfdalian nasal vowels from the perspective of diachronic dialectology and Germanic etymology
http://inss.ku.dk/an[...]
University of Copenhagen
[33]
뉴스
Älvdalskan är ett språk – inte en svensk dialekt
http://www.aftonblad[...]
2007-02-08
[34]
뉴스
Älvdalska – eget språk eller värsting bland dialekter?
http://spraktidninge[...]
2008-12
[35]
논문
Das Älvdalische – Sprache oder Dialekt? (Diplomarbeit)
http://othes.univie.[...]
University of Vienna
[36]
논문
Elfdalian, the Vernacular of Övdaln
http://www.nordiska.[...]
2004-06-18
[37]
웹사이트
Traveller Danish
http://languageserve[...]
[38]
백과사전
노ルド諸言語
http://100.yahoo.co.[...]
小学館
[39]
간행물
게르만어의 역사와 구조(1):역사언어학과 비교방법
2010
[40]
웹사이트
https://glottolog.or[...]
[41]
웹사이트
Scandinav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