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론적 양자역학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2. 역사
1920년대 초, 볼프강 파울리 , 랄프 크로니그, 조지 우렌벡, 사무엘 고우드스미트는 최초로 스핀 개념을 제안했다. [10] 특수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 을 결합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다. 1925년 에는 클라인과 고든 이 스핀이 0인 입자를 기술하는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68] 1928년 에는 폴 디랙 이 스핀 이 1/2인 입자를 기술하는 디랙 방정식 을 제안하여, 반입자 의 존재를 예측했다.
연도 사건 내용 1897년 전자 발견J. J. 톰슨이 전자를 발견하고 전하-질량 비를 측정. 제만 효과 발견: 정자기장 내에서 스펙트럼 선이 여러 성분으로 갈라짐. 1905년 광전 효과 설명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이 광전 효과 를 설명하며 빛을 광자 로 기술하는 입자적 관점 제시.1908년 기름방울 실험 로버트 밀리컨이 전자의 전하를 측정하고 양자화에 대한 실험적 증거 발견. 1911년 원자핵 발견어니스트 러더퍼드 의 가이거-마스든 실험에서 알파 입자 산란을 통해 원자 내부 구조(원자핵) 발견. [52]1913년 슈타르크 효과 발견정적 전기장 으로 인한 스펙트럼 선의 갈라짐(제만 효과와 비교). 1916년 미세 구조 설명아놀드 조머펠트가 1차 상대론적 보정에 의한 원자의 스펙트럼 선 분리인 미세 구조 설명. 1922년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스핀과 그 양자화에 대한 실험적 증거. 1923년 콤프턴 산란 콤프턴 효과가 특수 상대성이론 적용의 추가 증거 제공 (광자-전자 산란의 입자적 기술). 1924년 에너지 준위 연구 에드먼드 클리프턴 스토너가 자기장에서 에너지 준위의 갈라짐 연구. 1927년 전자의 회절 실험 클린턴 조지프 데이비슨 , 레스터 저머 , 조지 패짓 톰슨 이 전자를 회절시켜 파동-입자 이중성 에 대한 실험적 증거 제공. 폴 디랙 이 양자전기역학(QED) 분야 확립. [61]1932년 중성자 , 양전자 발견제임스 채드윅 이 중성자를, 칼 데이비드 앤더슨 이 양전자를 실험적으로 발견하여 양전자 이론 예측 확인.1943년 재규격화 연구도모나가 신이치로 가 양자전기역학에 영향을 미친 재규격화 연구 시작.1947년 전자의 이상 자기 모멘트 줄리언 슈윙거 가 전자의 이상 자기 모멘트 계산. 쿠슈 폴리카프는 전자의 이상 자기 모멘트를 측정하여 양자전기역학의 중요 예측 확인.1958년 뫼스바우어 효과 발견 고체에 결합된 원자핵에 의한 공명적이고 반동 없는 감마선 방출 및 흡수는 중력 적색편이와 시간 지연의 정확한 측정과 초미세 상호작용에서 핵 전자기 모멘트 분석에 유용. [53]
1932년 칼 데이비드 앤더슨 이 양전자 를 발견하여 디랙의 예측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52] 1930년대 이후, 위그너 등이 상대론적 양자역학을 자유 입자의 분류에 응용하였다. 1940년대 후반, 도모나가 신이치로 , 줄리언 슈윙거 , 리처드 파인만 등이 양자전기역학을 발전시켜 상대론적 양자역학의 정확성을 입증했다.
3. 주요 방정식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 사용되는 주요 방정식에는 클라인-고든 방정식 과 디랙 방정식 이 있다.클라인-고든 방정식 은 에너지-운동량 관계에 에너지 및 운동량 연산자를 직접 대입하여 얻을 수 있다. [77] :\hat{E}^2 \psi = c^2\hat{\mathbf{p}}\cdot\hat{\mathbf{p}}\psi + (mc^2)^2\psi \,, 1925년 슈뢰딩거 가 자신의 이름을 딴 비상대론적 방정식을 발견하기 전, 그리고 1927년 클라인과 고든이 전자기 상호작용을 포함시켜 발견했다. 이 방정식은 상대론적으로 불변 이지만, 스핀 없는 입자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점과 음의 에너지 해를 가진다는 점 때문에 충분한 기초가 되지 못한다. [78] [79] 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인수 분해될 수 있다. [80] [81] : \left(\hat{E} - c\boldsymbol{\alpha}\cdot\hat{\mathbf{p}} - \beta mc^2 \right)\left(\hat{E} + c\boldsymbol{\alpha}\cdot\hat{\mathbf{p}} + \beta mc^2 \right)\psi=0 \,, 여기서 \boldsymbol \alpha=(\alpha_1,\alpha_2,\alpha_3) 및 \beta 는 4 × 4 에르미트 행렬 이며,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alpha_i \beta = - \beta \alpha_i, \quad \alpha_i\alpha_j = - \alpha_j\alpha_i \, : \alpha_i^2 = \beta^2 = I 이때, 첫 번째 인수 :\left(\hat{E} - c\boldsymbol{\alpha}\cdot\hat{\mathbf{p}} - \beta mc^2 \right)\psi=0 \quad \Leftrightarrow \quad \hat{H} = c\boldsymbol{\alpha}\cdot\hat{\mathbf{p}} + \beta mc^2 는 디랙 방정식 이다. 다른 인수도 디랙 방정식이지만 음의 질량을 가진 입자에 대한 것이다. [80]1928년 에 폴 디랙 은 스핀 1/2 입자에 대한 상대론적 양자역학 방정식인 디랙 방정식 을 제안했다. 비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 파동함수 \psi 의 절대값 제곱 \rho=|\psi|^2 은 확률 밀도 함수 이다.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 \psi(\mathbf r,t) 는 파동 함수이지만 확률 해석은 비상대론적 양자역학과 동일하지 않다. 디랙 방정식 은 다음 관계를 갖는다: [83] :\rho=\psi^\dagger \psi, \quad \mathbf{j} = \psi^\dagger \gamma^0 \boldsymbol{\gamma} \psi \quad \rightleftharpoons \quad J^\mu = \psi^\dagger \gamma^0 \gamma^\mu \psi 여기서 단검 기호는 에르미트 수반 을 나타낸다. 반면 클라인-고든 방정식 은 다음과 같다. [84] :\rho = \frac{i\hbar}{2mc^2}\left(\psi^{*}\frac{\partial \psi}{\partial t} - \psi \frac{\partial \psi^*}{\partial t}\right)\, ,\quad \mathbf{j} = -\frac{i\hbar}{2m}\left(\psi^* \nabla \psi - \psi \nabla \psi^*\right) \quad \rightleftharpoons \quad J^\mu = \frac{i\hbar}{2m}(\psi^*\partial^\mu\psi - \psi\partial^\mu\psi^*)
3. 1. 클라인-고든 방정식
클라인-고든 방정식 은 스핀이 0인 입자의 상대론적 운동을 기술하는 방정식이다. 1925년 에르빈 슈뢰딩거 가 자신의 이름을 딴 비상대론적 방정식을 발견하기 전에 고안되었으며, 1927년 클라인과 고든이 전자기 상호작용을 포함시켜 재발견했다. [77] 이 방정식은 로렌츠 변환에 대해 불변이며, 특수 상대성 이론의 요구를 만족한다. [78] 달랑베르시안을 이용하여 시공간을 동등하게 다룬다는 것이 명확해진다. 로렌츠 불변인 상대성이론의 분산 관계 E^2 = m^2c^4+\vec{p}^{\ 2}c^2 를 양자화 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얻는다. :-\hbar^2\frac{\partial^2}{\partial t^2}\psi(t,\mathbf{x}) = \left(-\hbar^2 c^2 \nabla^2 + m^2 c^4\right)\psi(t,\mathbf{x}) 이때 E=i\hbar\partial_t , \vec{p}=-i\hbar\vec{\nabla} 와 양자화 되어 있다. 클라인-고든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에너지-운동량 관계에 에너지 및 운동량 연산자를 직접 대입하여 유도할 수 있다. [77] :\hat{E}^2 \psi = c^2\hat{\mathbf{p}}\cdot\hat{\mathbf{p}}\psi + (mc^2)^2\psi \,, 클라인-고든 방정식은 상대론적 양자역학의 기초 방정식이며, 스핀 개념이 포함되지 않아 스핀이 0인 입자를 기술한다. 하지만, 이 방정식만으로는 상대론적 양자역학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78] [79]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스핀이 없는 입자에만 적용 가능하다. 음의 에너지 해를 가진다. [2] [2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랙 방정식 을 사용한다. 클라인 고든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 될 수 있다. [80] [81] : \left(\hat{E} - c\boldsymbol{\alpha}\cdot\hat{\mathbf{p}} - \beta mc^2 \right)\left(\hat{E} + c\boldsymbol{\alpha}\cdot\hat{\mathbf{p}} + \beta mc^2 \right)\psi=0 \,, 여기서 \boldsymbol \alpha=(\alpha_1,\alpha_2,\alpha_3) 및 \beta 는 4 × 4 에르미트 행렬 이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alpha_i \beta = - \beta \alpha_i, \quad \alpha_i\alpha_j = - \alpha_j\alpha_i \, : \alpha_i^2 = \beta^2 = I 첫 번째 인수 :\left(\hat{E} - c\boldsymbol{\alpha}\cdot\hat{\mathbf{p}} - \beta mc^2 \right)\psi=0 \quad \Leftrightarrow \quad \hat{H} = c\boldsymbol{\alpha}\cdot\hat{\mathbf{p}} + \beta mc^2 는 디랙 방정식 이며, 다른 인수는 음의 질량을 가진 입자에 대한 디랙 방정식이다. [80] 클라인-고든 방정식은 외부 전자기 퍼텐셜에서 스핀 없는 하전 보손 에 적용할 수 있다. [78] 하지만, 전자는 스핀 1/2을 가지므로 원자 설명에는 적용할 수 없다. 비상대론적 극한에서는 전자기장에서 스핀 없는 하전 입자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 으로 축소된다. [75] :\left ( i\hbar \frac{\partial}{\partial t}- q\phi\right) \psi = \frac{1}{2m}{(\hat{\mathbf{p}} - q \mathbf{A})}^2 \psi \quad \Leftrightarrow \quad \hat{H} = \frac{1}{2m}{(\hat{\mathbf{p}} - q \mathbf{A})}^2 + q\phi.
3. 2. 디랙 방정식
1928년 폴 디랙 (Paul Dirac)이 스핀 1/2 입자(전자 등)의 상대론적 운동을 기술하는 디랙 방정식 을 제안했다. [26] 이 방정식은 클라인-고든 방정식 을 만족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left(i \hbar \frac{\partial}{\partial t} -q\phi \right)\psi = \gamma^0 \left[ c\boldsymbol{\gamma}\cdot{(\hat{\mathbf{p}} - q\mathbf{A})} - mc^2 \right] \psi \quad \rightleftharpoons \quad \left[\gamma^\mu (\hat{P}_\mu - q A_\mu) - mc^2 \right]\psi = 0 여기서 \psi 는 4성분 스피너 장이며, 2개의 2성분 스피너로 분할된다. [30] :\psi=\begin{pmatrix}\psi_{+} \\ \psi_{-} \end{pmatrix} = \begin{pmatrix}\psi_{+\uparrow} \\ \psi_{+\downarrow} \\ \psi_{-\uparrow} \\ \psi_{-\downarrow} \end{pmatrix} 2-스피너 \psi_+ 는 4-운동량 (E,\mathbf p) , 전하 q , 스핀 상태 \sigma=\pm1/2 를 가진 입자에 대응한다. \psi_- 는 음의 4-운동량 -(E,\mathbf p) , 음의 전하 -q 를 가져, 음의 에너지 상태, 시간을 역행하는 운동량, 반전된 전하를 가진 입자, 즉 반입자 에 대응한다. [30] 디랙 방정식은 4 × 4 감마 행렬 \gamma^0=\beta,\boldsymbol{\gamma}=(\gamma_1,\gamma_2,\gamma_3)=\beta\boldsymbol{\alpha}=(\beta\alpha_1,\beta\alpha_2,\beta\alpha_3) 을 사용하여 스핀을 자연스럽게 도입한다. [30] 감마 행렬은 클리퍼드 대수 의 기저 를 형성하고, 반교환 관계에서 평평한 시공간 민코프스키 계량 성분과 연결된다. :\left[\gamma^\alpha,\gamma^\beta\right]_{+} = \gamma^\alpha\gamma^\beta + \gamma^\beta\gamma^\alpha = 2\eta^{\alpha\beta}\,, 비상대론적 극한에서 디랙 방정식은 파울리 방정식으로 축소된다.
4. 공간과 시간
고전 역학 및 비상대론적 양자 역학에서 시간은 모든 관찰자와 입자가 항상 동의할 수 있는 절대적인 양으로 간주되며, 공간 좌표 와 관계없이 배경에서 흘러간다. 그러나 상대론적 역학 에서는 공간 좌표와 좌표 시간은 절대적이지 *않다*.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두 관찰자는 사건 의 위치와 시간을 다르게 측정할 수 있다. 위치와 시간 좌표는 사건에 해당하는 4차원 시공간 위치 로 자연스럽게 결합된다. [71] 로런츠 변환 은 서로 다른 기준 좌표계 에서 측정된 물리량을 연결하는 변환이다.
5. 해밀토니언
양자역학 의 가정 에 따르면, 모든 양자계의 시간 변화는 해당 계의 해밀토니안 연산자 를 사용한 슈뢰딩거 방정식 에 의해 주어진다. :i\hbar \frac{\partial}{\partial t}\psi =\hat{H}\psi 슈뢰딩거 묘사 에서, 고전적인 해밀토니안 은 운동 에너지 와 위치 에너지 의 합으로 주어지며, 이에 대응하는 양자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hat{H} = \frac{\hat{\mathbf{p}}\cdot\hat{\mathbf{p}}}{2m} + V(\mathbf{r},t) 이것을 위의 슈뢰딩거 방정식에 대입하면 파동 함수에 대한 비상대론적 양자역학 방정식을 얻는다. 그러나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는 에너지-운동량 방정식이 에너지와 운동량에 대해 2차식이므로 이 과정이 간단하지 않다. :\hat{H} = \hat{E} = \sqrt{c^2 \hat{\mathbf{p}}\cdot \hat{\mathbf{p}} + (mc^2)^2} \quad \Rightarrow \quad i\hbar\frac{\partial}{\partial t}\psi = \sqrt{c^2 \hat{\mathbf{p}}\cdot \hat{\mathbf{p}} + (mc^2)^2} \, \psi 위 식은 연산자의 제곱근을 멱급수 로 전개해야 하고, 공간과 시간 미분이 비대칭적이며, 비불변성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입자가 특정 위치에 국한되어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 모든 곳에서 존재할 수 있는 비국소성 문제와 인과율 위반 가능성도 제기된다. [16]스핀 이 있는 입자는 보어 마그네톤 단위로 양자화된 스핀 자기 모멘트를 가지며, 이는 전자기장 과 상호작용한다.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는 경우, 비상대론적 해밀토니안에는 상호작용 항이 추가되어야 한다. :\hat{\boldsymbol{\mu}}_S = - \frac{g\mu_B}{\hbar}\hat{\mathbf{S}}\,,\quad \left|\boldsymbol{\mu}_S\right| = - g\mu_B \sigma\, :\hat{H}_B = - \mathbf{B} \cdot \hat{\boldsymbol{\mu}}_S 반면, 상대론적 해밀토니안은 상대론적 에너지-운동량 관계를 적용하면서 스핀을 자동적으로 도입한다. [20] 상대론적 해밀토니언은 고전적인 운동 에너지 항과 유사한 운동량 항, 위치 에너지 항과 유사한 질량 및 외부 장과의 상호작용 항을 포함하지만, 행렬 형태의 스핀 연산자를 포함한다는 주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대론적 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다. :\hat{H} = \hat{H}(\mathbf{r}, t, \hat{\mathbf{p}}, \hat{\mathbf{S}})
6. 스핀 및 전자기적 상호작용
상대론적 파동 방정식에 상호작용을 포함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지만, 최소 결합은 전자기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최소 결합은 에너지와 운동량 연산자를 전자기 퍼텐셜을 포함하는 형태로 대체하는 것이다. [85]
'''스핀 0 입자''': 클라인-고든 방정식 을 사용하여 전자기장과의 상호작용을 기술할 수 있다. :{(\hat{E} - q\phi)}^2 \psi = c^2{(\hat{\mathbf{p}} - q \mathbf{A})}^2\psi + (mc^2)^2\psi \quad \rightleftharpoons \quad \left[{(\hat{P}_\mu - q A_\mu)}{(\hat{P}^\mu - q A^\mu)} - {(mc)}^2 \right] \psi = 0. 전하가 0인 경우, 방정식은 자유 클라인-고든 방정식으로 간단하게 축소된다. 이 방정식은 π 중간자와 같이 스핀이 없는 큰입자가 전자기적 상호 작용 외에도 훨씬 더 강한 강한 상호 작용을 경험하기 때문에 항상 유용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른 상호작용이 없는 하전된 스핀 없는 보손 을 정확하게 설명한다. [78]'''스핀 1/2 입자''': 디랙 방정식 을 사용하여 전자기장과의 상호작용을 기술할 수 있다. :\left(i \hbar \frac{\partial}{\partial t} -q\phi \right)\psi = \gamma^0 \left[ c\boldsymbol{\gamma}\cdot{(\hat{\mathbf{p}} - q\mathbf{A})} - mc^2 \right] \psi \quad \rightleftharpoons \quad \left[\gamma^\mu (\hat{P}_\mu - q A_\mu) - mc^2 \right]\psi = 0 디랙 방정식은 감마 행렬 을 통해 스핀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첫 번째 방정식이었다. 비상대론적 극한에서 디랙 방정식은 파울리 방정식으로 축소된다. 1전자 원자나 이온에 적용될 때는 스핀-궤도 상호작용, 전자 자기 회전 비, 다윈 항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상대론적 항들이 나타난다.질량이 없는 스핀 1/2 입자의 경우, 디랙 방정식은 바일 방정식 으로 축소된다. : \left(\frac{\hat{E}}{c} + \boldsymbol{\sigma}\cdot \hat{\mathbf{p}} \right) \psi_{+} = 0 \,,\quad \left(\frac{\hat{E}}{c} - \boldsymbol{\sigma}\cdot \hat{\mathbf{p}} \right) \psi_{-} = 0 \quad \rightleftharpoons \quad \sigma^\mu \hat{P}_\mu \psi_{+} = 0\,,\quad \sigma_\mu \hat{P}^\mu \psi_{-} = 0\,, 1929년에 발견된 브라이트 방정식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두 개 이상의 무거운 스핀 1/2 페르미온 을 1차 상대론적 보정으로 설명한다.
6. 1. 나선도와 카이랄성
나선도 연산자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at{h} = \hat{\mathbf{S}}\cdot \frac{\hat{\mathbf{p}}} = \hat{\mathbf{S}} \cdot \frac{c\hat{\mathbf{p}}}{\sqrt{E^2 - (m_0c^2)^2}} 여기서 '''p'''는 운동량 연산자, '''S'''는 스핀 ''s'' 입자에 대한 스핀 연산자, ''E''는 입자의 총 에너지, ''m0''은 질량이다. 나선도는 스핀 및 병진 운동량 벡터의 방향을 나타낸다. [88] 나선도는 정의의 3-모멘텀으로 인해 기준틀에 따라 다르며 스핀 양자화로 인해 양자화된다. 스핀 양자화는 평행 정렬에 대해 이산 양수 값을 갖고 역평행 정렬에 대해 음수 값을 가진다. 질량이 없는 입자의 경우 나선도는 다음과 같이 단순화된다. :\hat{h} = \hat{\mathbf{S}} \cdot \frac{c\hat{\mathbf{p}}}{E}
6. 2. 더 큰 스핀
디랙 방정식 은 스핀 ½ 입자만 설명할 수 있다. 디랙 방정식을 넘어, 상대론적 파동 방정식(RWE)은 다양한 스핀을 가진 자유 입자에 적용되어 왔다. 1936년, 디랙은 그의 방정식을 모든 페르미온으로 확장했고, 3년 후 피에르츠와 파울리는 같은 방정식을 다시 유도했다. [33] 바르그만-비그너 방정식은 1948년 로런츠 군 이론을 사용하여 발견되었으며, 임의의 스핀을 가진 모든 자유 입자에 적용 가능하다. [34] [35] 파동 함수는 다성분 스피너 장이며, 공간과 시간의 함수로 이루어진 열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스핀 s를 갖는 ''질량 있는'' 입자의 경우, 입자에 대해 2s+1개의 성분이 있고, 해당 반입자 에 대해 또 다른 2s+1개의 성분이 있다. 총 2(2s+1)성분 스피너 장을 형성한다. 그러나 스핀 s를 갖는 ''질량 없는'' 입자의 경우, 항상 두 성분 스피너 장만 존재한다. 상대론적 에너지-운동량 관계에 따르면, 모든 질량 없는 입자는 빛의 속력 으로 이동하므로, 빛의 속력으로 이동하는 입자도 두 성분 스피너로 기술된다. 고스핀 입자를 기술하는 방정식의 경우, 상호 작용의 포함은 최소 결합만큼 단순하지 않으며, 잘못된 예측과 자체 불일치를 초래한다. [36] 스핀이 ħ/2 보다 큰 경우, RWE는 입자의 질량, 스핀 및 전하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다. 스핀 양자수 에 의해 허용되는 전자기 모멘트(전기 쌍극자 모멘트 및 자기 쌍극자 모멘트)는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스핀 ½인 경우는 자기 쌍극자만 허용하지만, 스핀 1인 입자의 경우 자기 사중극자와 전기 쌍극자도 가능하다. [31]
7. 속도 연산자
슈뢰딩거/파울리 속도 연산자는 고전적 정의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양자 연산자를 대체하여 무거운 입자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 [94] :\hat{\mathbf{v}} = \frac{1}{m}\hat{\mathbf{p}} 이 연산자의 고유값은 임의의 값을 갖는다.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 디랙 이론 은 다음과 같다. :\hat{\mathbf{v}} = \frac{i}{\hbar}\left[\hat{H},\hat{\mathbf{r}}\right] 이는 ± ''c'' 사이의 고유값을 가져야 한다. 더 많은 이론적 배경은 플로디–우투이센 변환을 참조.
8. 상대론적 양자 각운동량
비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 각운동량 연산자 는 고전적인 유사 벡터 정의 \mathbf{L} = \mathbf{r} \times \mathbf{p} 에서 형성된다.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는 위치 및 운동량 연산자를 입자의 4차원 위치 및 운동량에서 정의된 궤도 상대론적 각운동량 텐서(외대수 형식의 바이벡터와 동일)에 직접 대입한다. [97] [98] :M^{\alpha\beta} = X^\alpha P^\beta - X^\beta P^\alpha = 2 X^{[\alpha} P^{\beta]} \quad \rightleftharpoons \quad \mathbf{M} = \mathbf{X} \wedge \mathbf{P} 총 6개의 성분이 있다. 3개는 비상대론적 3-궤도 각운동량으로, M^{12} = L^3 , M^{23} = L^1 , M^{31} = L^2 이고, 나머지 3개(M^{01}, M^{02}, M^{03} )는 회전 물체의 질량 중심 부스트이다. 스핀이 있는 입자의 경우, 질량이 m 인 입자의 ''총'' 각운동량 텐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J^{\alpha\beta} = 2X^{[\alpha} P^{\beta]} + \frac{1}{m^2}\varepsilon^{\alpha \beta \gamma \delta} W_\gamma p_\delta \quad \rightleftharpoons \quad \mathbf{J} = \mathbf{X} \wedge \mathbf{P} + \frac{1}{m^2} \star (\mathbf{W} \wedge \mathbf{P}) 여기서 별은 호지 쌍대 를 나타내고, :W_\alpha = \frac{1}{2}\varepsilon_{\alpha \beta \gamma \delta}M^{\beta \gamma}p^\delta \quad \rightleftharpoons \quad \mathbf{W} = \star(\mathbf{M} \wedge \mathbf{P}) 는 파울리-루반스키 유사 벡터 이다. [99] 상대론적 회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Troshin & Tyurin(1994)을 참조. [100]
9. 토마스 세차와 스핀-궤도 상호작용
스핀-궤도 상호작용 과 거시적 물체의 회전에 적용되는 상대론적 보정인 토마스 세차는 1926년에 발견되었다. [101] [102] 1939년에는 위그너가 토마스 세차를 유도했다. 고전 전자기학 및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자기장 \mathbf B 가 아닌 전기장 \mathbf E 를 통해 속도 \mathbf v 로 이동하는 전자는 자체 기준틀에서 로렌츠 변환 된 자기장 \mathbf B' 를 경험한다. :\mathbf{B}' = \frac{\mathbf{E} \times \mathbf{v}}{c^2\sqrt{1- \left(v/c\right)^2}} \,. 비상대론적 극한에서는 다음과 같다. :\mathbf{B}' = \frac{\mathbf{E} \times \mathbf{v}}{c^2} . 따라서 비상대론적 스핀 상호 작용 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이 된다. [103] :\hat{H} = - \mathbf{B}'\cdot \hat{\boldsymbol{\mu}}_S = -\left(\mathbf{B} + \frac{\mathbf{E} \times \mathbf{v}}{c^2} \right) \cdot \hat{\boldsymbol{\mu}}_S \,, 여기서 첫 번째 항은 비상대론적 자기 모멘트 상호 작용이고, 두 번째 항은 상대론적 보정이지만, 실험적 원자 스펙트럼과 일치하지 않는다. 토마스는 전자가 곡선 경로로 이동하게 만드는 추가적인 가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토마스 세차라는 두 번째 상대론적 효과를 제시했다. 이 효과의 [104] 결과로 스핀-궤도 상호작용이 절반으로 감소하여, 해밀토니안의 상대론적 보정은 다음과 같다. :\hat{H} = - \mathbf{B}'\cdot \hat{\boldsymbol{\mu}}_S = -\left(\mathbf{B} + \frac{\mathbf{E} \times \mathbf{v}}{2c^2} \right) \cdot \hat{\boldsymbol{\mu}}_S \,. 상대론적 양자역학의 경우, 1/2는 디랙 방정식으로 예측된다. [103]
10. 반입자
상대론적 양자역학에 따르면, 모든 입자에는 그에 대응하는 반입자 가 반드시 존재한다. 광자 와 같은 중성 입자의 경우에는 입자와 반입자가 동일하다. 반입자는 입자와 같은 질량과 스핀 을 가지며, 전하 는 반대 부호이다. [26] 입자가 다른 몇 개의 입자로 붕괴하는 불안정 입자라면, 반입자 역시 불안정 입자이며, 양자의 평균 수명이 같다. [27]
11. 양자장론과의 관계
상대론적 양자역학은 단일 입자 이론인 반면, 양자장론은 여러 입자를 다루는 이론이다. [78] 양자장론에서는 입자의 생성과 소멸을 설명할 수 있지만,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양자전기역학(QED), 양자색역학, 약전자기 이론 등은 양자장론의 구체적인 예시이다.
12. 같이 보기
양자역학 상대론적 역학 특수상대성이론 프로카 방정식 맥스웰 방정식 장의 양자론 양자전기역학 양자색역학 전약 통일 이론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High Energy 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Particle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08-12-03
[3]
서적
Relativistic Quantum Chemist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
서적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With Applications in Condensed Matter and Atomic 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Magnetism in the Solid Stat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6]
서적
Particle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08-12-03
[7]
서적
Quantum Mechanics
https://books.google[...]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8]
서적
QED and the Men Who Made It: Dyson, Feynman, Schwinger, and Tomonaga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학술지
How Dirac's Seminal Contributions Pave the Way for Comprehending Nature's Deeper Designs
2022
[10]
문서
Spin Values and Notation
[11]
서적
Dynamics and Relativit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2]
서적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Wave Equ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13]
뉴스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14]
학술지
Feynman Rules ''for Any'' spin, Feynman Rules ''for Any'' spin. II. Massless Particles, Feynman Rules ''for Any'' spin. III
https://web.archive.[...]
2014-08-24, 2013-04-14, 2013-04-14
[15]
arXiv
Superradiance Problem of Bosons and Fermions for Rotating Black Holes in Bargmann–Wigner Formulation
[16]
서적
McGraw Hill Encyclopaedia of Physics
https://archive.org/[...]
McGraw Hill
[17]
서적
Quantum Physics of Atoms, Molecules, Solids, Nuclei and Particle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8]
서적
Quantum Mechanics Non-Relativistic Theory
https://books.google[...]
Elsevier
[19]
서적
Quantum Mechanics
McGraw–Hill
[20]
서적
Quantum Mechanics
Addison Wesley
[21]
뉴스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22]
서적
Quantum Mechanics
Addison Wesley
[23]
서적
The Road to Reality
Vintage Books
[24]
서적
Physics of Atoms and Molecules
Prentice Hall
[25]
서적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of leptons and fields
https://books.google[...]
Springer
[26]
서적
Quantum Mechanics
Addison Wesley
[27]
서적
Quantum Field Theory
https://archive.org/[...]
McGraw Hill
[28]
서적
Physics of Atoms and Molecules
Prentice Hall
[29]
문서
Spinor Notation in Spin 1/2
[30]
문서
Spinor Notation in Advanced Literature
[31]
서적
McGraw Hill Encyclopaedia of Physics
https://archive.org/[...]
McGraw Hill
[32]
서적
Supersymmetry
McGraw-Hill
[33]
학술지
Searching for an equation: Dirac, Majorana and the others
[34]
학술지
Group theoretical discussion of relativistic wave equations
[35]
학술지
On Unitary Representations Of The Inhomogeneous Lorentz Group
https://web.archive.[...]
2013-04-14
[36]
논문
Geometry of spacetime propagation of spinning particles
[37]
arXiv
Electromagnetic Properties for Arbitrary Spin Particles: Part 1 − Electromagnetic Current and Multipole Decomposition
[38]
논문
Electromagnetic Properties for Arbitrary Spin Particles: Part 2 − Natural Moments and Transverse Charge Densities
[39]
서적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With Applications in Condensed Matter and Atomic 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서적
Supersymmet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41]
서적
The Quantum Theory of Field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Road to Reality
Vintage Books
[43]
문서
Some authors, including Penrose, use ''Latin'' letters in this definition, even though it is conventional to use Greek indices for vectors and tensors in spacetime.
[44]
서적
Quantum Field The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서적
Spin phenomena in particle interaction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46]
서적
Gravitation
Macmillan
1973-09-15
[47]
서적
General relativity and John Archibald Wheeler
https://books.google[...]
Springer
[48]
논문
The Thomas precession factor in spin–orbit interaction
http://www.ece.ucsb.[...]
[49]
서적
Classical Electrodynamics
https://archive.org/[...]
Wiley
[50]
서적
Quantum Physics of Atoms, Molecules, Solids, Nuclei, and Particle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51]
서적
Quanta: A handbook of concepts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Introductory Nuclear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53]
서적
Introductory Nuclear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54]
논문
Can Quantum-Mechanical Description of Physical Reality Be Considered Complete?
https://cds.cern.ch/[...]
[55]
서적
Quantum Mechanics
Addison Wesley
[56]
서적
The Road to Reality
Vintage Books
[57]
논문
Significance of electromagnetic potentials in quantum theory
[58]
논문
On the Einstein Podolsky Rosen Paradox
http://homepages.phy[...]
[59]
논문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Atom by a Microwave Method
[60]
논문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Atom. Part I
[60]
논문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Atom. Part II
[60]
논문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Atom. III
[60]
논문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Atom. IV
[60]
논문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Atom. V
[61]
논문
The quantum theory of the emission and absorption of radiation
1927-03-01
[62]
서적
Introduction to High Energy Physics
https://books.google[...]
[63]
서적
Relativistic Quantum Chemistry
https://books.google[...]
[64]
서적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With Applications in Condensed Matter and Atomic Physics
https://books.google[...]
[65]
서적
Magnetism in the Solid Stat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66]
서적
Particle Physics
https://archive.org/[...]
[67]
서적
Quantum Mechanics
https://books.google[...]
[68]
서적
Dynamics and Relativity
https://archive.org/[...]
[69]
서적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Wave Equations
https://books.google[...]
[70]
뉴스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https://books.google[...]
[71]
저널
Feynman Rules ''for Any'' spin
http://theory.fi.inf[...]
2023-06-02
[71]
저널
Feynman Rules ''for Any'' spin. II. Massless Particles
http://theory.fi.inf[...]
2023-06-02
[71]
저널
Feynman Rules ''for Any'' spin. III
http://theory.fi.inf[...]
2023-06-02
[72]
서적
McGraw Hill Encyclopaedia of Physics
https://archive.org/[...]
McGraw Hill
[73]
서적
Quantum Physics of Atoms, Molecules, Solids, Nuclei and Particle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74]
서적
Quantum Mechanics Non-Relativistic Theory
https://books.google[...]
Elsevier
[75]
서적
Quantum Mechanics
McGraw–Hill
[76]
서적
Quantum Mechanics
Addison Wesley
[77]
뉴스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78]
서적
Particle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08-12-03
[79]
서적
Quantum Mechanics
Addison Wesley
[80]
서적
The Road to Reality
Vintage Books
[81]
서적
Physics of Atoms and Molecules
Prentice Hall
[82]
서적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of leptons and fields
https://books.google[...]
Springer
[83]
서적
Quantum Mechanics
Addison Wesley
[84]
서적
Quantum Field Theory
https://archive.org/[...]
McGraw Hill
[85]
서적
Physics of Atoms and Molecules
Prentice Hall
[86]
문서
Again this notation is not necessarily standard, the more advanced literature usually writes
[87]
서적
McGraw Hill Encyclopaedia of Physics
https://archive.org/[...]
McGraw Hill
[88]
서적
Supersymmetry
McGraw-Hill
[89]
저널
Searching for an equation: Dirac, Majorana and the others
[90]
저널
Group theoretical discussion of relativistic wave equations
[91]
저널
On Unitary Representations Of The Inhomogeneous Lorentz Group
http://courses.theop[...]
2013-04-14
[92]
저널
Geometry of spacetime propagation of spinning particles
[93]
저널
Electromagnetic Properties for Arbitrary Spin Particles: Part 2 − Natural Moments and Transverse Charge Densities
[94]
서적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With Applications in Condensed Matter and Atomic 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서적
Supersymmet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96]
서적
The Quantum Theory of Field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
서적
The Road to Reality
Vintage Books
[98]
문서
Some authors, including Penrose, use ''Latin'' letters in this definition, even though it is conventional to use Greek indices for vectors and tensors in spacetime.
[99]
서적
Quantum Field The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서적
Spin phenomena in particle interaction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01]
서적
Gravitation
1973-09-15
[102]
서적
General relativity and John Archibald Wheeler
https://books.google[...]
Springer
[103]
저널
The Thomas precession factor in spin–orbit interaction
http://www.ece.ucsb.[...]
[104]
서적
Classical Electrodynamics
https://archive.org/[...]
Wiley
[105]
서적
Quantum Physics of Atoms, Molecules, Solids, Nuclei, and Particle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06]
서적
Quanta: A handbook of concep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7]
서적
Quanta: A handbook of concep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8]
서적
Introductory Nuclear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09]
서적
Introductory Nuclear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10]
저널
Can Quantum-Mechanical Description of Physical Reality Be Considered Complete?
http://cds.cern.ch/r[...]
[111]
서적
Quantum Mechanics
Addison Wesley
[112]
서적
The Road to Reality
Vintage Books
[113]
저널
Significance of electromagnetic potentials in quantum theory
[114]
저널
On the Einstein Podolsky Rosen Paradox
http://homepages.ph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