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 토마스 기독교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 토마스 기독교인은 기독교를 인도에 전파했다고 전해지는 사도 토마스를 숭배하는 인도 케랄라 주의 기독교인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나스라니' 또는 '시리아 기독교인'으로도 불리며, 동시리아 전례와 서시리아 전례를 따른다. 성 토마스 기독교인은 북부와 남부로 나뉘는데, 북부 기독교인은 사도 토마스의 초기 개종자들의 후손으로, 남부 기독교인은 4세기 또는 8세기에 시리아 상인 크나이 토마와 함께 온 사람들의 후손이다. 역사는 사도 토마스의 인도 도착 전승에서 시작되며, 포르투갈과의 접촉, 분열과 저항을 거쳐 여러 교회로 분화되었다. 이들은 사회, 문화적으로 힌두교와 유대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독특한 전통과 의식을 유지하며 사회,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집단으로 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동방 기독교 - 성 토마스 기독교
    사도 토마스가 인도에 전파한 기독교에서 시작된 성 토마스 기독교는 인도 케랄라 지역의 기독교 공동체로, 독자적인 문화와 전통을 유지하며 동방 교회와 관계를 맺고 여러 변화와 분열을 겪었으나 현재까지 인도 사회에서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 인도의 민족종교집단 - 파르시인
    파르시인은 이슬람교 박해를 피해 인도에 정착한 조로아스터교도의 후손으로, 인도 사회에 통합되어 독자적인 관습과 전통을 유지하며, 높은 문해율과 자선 활동으로 명성이 높다.
성 토마스 기독교인
기본 정보
인구약 6,000,000명 (2018년)
거주 지역인도 (케랄라 주, 첸나이, 벵갈루루, 뭄바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오만
쿠웨이트
미국 (뉴욕 대도시권, 시카고, 휴스턴, 댈러스, 탬파, 디트로이트, 애틀랜타, 필라델피아, 뉴저지 주,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
캐나다 (토론토, 에드먼턴, 화이트호스)
영국 (런던, 버밍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사용 언어일상어: 말라얄람어
전례어: 시리아어 (아람어)
종교기독교
관련 종교 교단성 토마스 기독교 교단
관련 집단말라얄리
드라비다인
인도-아리아인
크나나야
코친 유대인
종교 교단
가톨릭시로-말라바르 교회 (동시리아 전례)
시로-말란카라 교회 (서시리아 전례)
오리엔트 정교회 (서시리아 전례)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
야코바이트 시리아 기독교 교회
말라바르 독립 시리아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 (동시리아 전례)칼데아 시리아 교회
동방 개신교 (개혁 - 서시리아 전례)말란카라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인도 성 토마스 복음주의 교회
개신교남인도 교회의 성 토마스 성공회 교인 (C.S.I. 전례)
오순절 성 토마스 기독교인 (비전례)

2. 용어

성 토마스 기독교인은 인도로 기독교를 전파했다고 전해지는 사도 토마스를 숭배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명칭은 포르투갈령 인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3] 이들은 특히 지역적으로 '나스라니' 또는 '나스라니 마필라'로도 알려져 있다. '나스라니'는 '기독교인'을 의미하며, 히브리어 'Netzer' 또는 아람어 'Nasraya'(이사야 11:1에서 유래)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33] 나스라니는 영어로 나사렛인인 그리스어 ''Nazōraioi''에서 유래된 시리아어 "기독교인" 용어에서 진화했다. '마필라'는 무슬림(''조나카 마필라'')과 유대인(''유다 마필라'')을 포함하여 현지인과 결혼한 중동 출신 이민자들의 자손과 비인도 종교 구성원에게 적용되는 존칭이다.[34] 트라방코어의 일부 시리아 기독교인들은 이 존칭을 계속해서 그들의 이름에 사용한다.[35] 인도 정부는 이 공동체 구성원을 '시리아 기독교인'으로 지정하는데, 이 용어는 네덜란드령 인도에서 유래되었으며, 동시리아 전례 또는 서시리아 전례에서 시리아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했던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을 로마 전례를 따르는 새로 개종한 기독교인들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시리아인' 또는 '시리아어'라는 용어는 민족성이 아닌 동방 교회, 즉 동시리아 교회와의 역사적, 종교적, 전례적 관련성을 의미한다.[33]

3. 민족 구분

성 토마스 기독교 공동체는 크게 '바다쿰바가르'(Vadakkumbhagar, 북부 기독교인)와 '테쿰바가르'(Tekkumbhagar, 남부 기독교인)라는 두 개의 민족 집단으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은 중세 체라 왕조의 수도였던 코둥갈루르 시를 중심으로 한 지리적 위치에서 비롯되었다.

북부 기독교인(바다쿰바가르)은 사도 토마스의 초기 개종자들과 이후 인도에서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인 사람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처음에 코둥갈루르 시 북쪽에 거주했기 때문에 '북부'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1]

반면, 남부 기독교인(테쿰바가르)은 4세기 또는 8세기에 시리아 기독교 상인 크나이 토마와 함께 코둥갈루르 남부에 도착하여 정착한 사람들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2] 이들은 남쪽에 거주했기 때문에 '남부'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으며, 주로 크나이 토마의 별칭인 '크나나야'(K'nā'nāya, 가나안인을 뜻하는 시리아어)로 불린다.[3]

《옥스퍼드 기독교 교회 역사》(Oxford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에서는 이 공동체의 분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나일 토마(카나이)와 함께 온 정착민들로부터 내려온 가장 배타적인 공동체의 유대인 기독교인들은 '남부 기독교인'(테쿰바가르)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들은 스스로를 '북부 기독교인'(바타쿰바가르)과 구별했다. 반면에 '북부 기독교인'은 사도 토마스 자신이 그리스도에게 귀의한, 이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기독교인들의 직계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이미 코둥갈루르 북부에 오랫동안 거주해 왔다. 그들은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바빌론 또는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온 다양한 이주민들이 도착하기 전에도 그곳에 있었다.[4]

4. 역사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토마가 1세기인도 케랄라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하면서 기원했다고 전해진다.[36][37][7] 코친 유대인들이 1세기에 케랄라에 있었고,[8] 아람어를 사용하던 유대인인 성 토마스가 이 지역을 방문하는 것이 가능했다.[39] 3~4세기 로마 작가들은 토마스의 인도 여행을 언급했고,[40] 2세기 판타이누스가 인도에서 히브리어 마태복음을 사용하는 기독교 공동체를 방문했다는 기록도 있다.[40]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의 분열 역사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19세기 시리아-성공회 카타나르


17세기 포르투갈과의 접촉 이후, 1653년 쿠난 십자가 서약을 통해 포르투갈의 지배에 저항하면서 가톨릭 교회와 관련된 '파라야쿠르'(구 맹세)와 시리아 정교회와 관련된 '푸텐쿠르'(신 맹세)로 분열되었다.[66][67] '푸텐쿠르' 파는 서시리아 전례를 따르며 미아피시트 기독론을 수용했다.[75][76][77][78][79][80]

19세기 영국 통치 시대에 성공회 선교사들이 코타얌에 신학교를 세우고 말랑카라 교회와 협력했지만,[81] 1836년 마벨리카라 시노드 이후 결별했다.[82] CMS 선교사들의 종교 개혁을 지지하는 이들은 성 토마스 성공회 신자가 되었고,[83][84] 1947년 남인도 교회(CSI)에 합류했다.[29][30] 1876년 물란투루티 시노드 이후 말랑카라 교회는 개혁파와 보수파로 분열되었고,[92] 1912년 말랑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가 자치 교회가 되었다.[95] 1930년에는 시로-말랑카라 가톨릭 교회가 설립되어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 맺었다.[98]

19세기 말부터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트라방코르 입법 위원회와 스리 물람 민중 의회에서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고,[111] 시민 동등권 연맹을 결성하여 정부 기관 개방과 불가촉천민 제도 종식을 요구했다.[113] 1930년대 양원제 입법부 설치 이후 의회에서 활동했으며,[111] 존 마타이와 같은 지도자들은 인도 중앙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119] 1950년대 케랄라 주 정부의 개혁에 반대하며 해방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120][121]

4. 1. 기원

사도 토마스가 서기 52년 무지리스에 도착했다는 전승이 있다.[36][37][7] 이곳은 현재 케랄라 주 코둥갈루르 근처의 파타남이다.[38] 코친 유대인은 서기 1세기에 케랄라에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8] 아람어를 구사하는 유대인인 갈릴리 출신 성 토마스가 당시 케랄라로 여행하는 것이 가능했다.[39]

3~4세기 로마 작가들인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제롬, 시리아의 에프렘 등은 토마스의 인도 여행을 언급했으며,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는 알렉산드리아 출신 성 클레멘트의 스승인 판타이누스가 2세기에 히브리어로 된 마태복음을 사용하여 인도에 있는 기독교 공동체를 방문했다고 기록했다.[40]

케랄라 기독교인의 기원에 대한 전통은 1601년에 쓰여진 '토마스의 노래' 또는 ''Thomma Parvam''에 나타나는데, 이는 더 크고 오래된 작품을 요약한 것으로 여겨진다.[41] 토마스는 말리앙카라 또는 그 인근에 도착하여 코둥갈루르, 팔라요르, 코카망갈람, 닐라칼, 니라남, 콜람에 ''Ēḻarappaḷḷikaḷ''(7개의 주요 교회)을 세운 것으로 묘사된다.[42] ''Thomma Parvam''은 또한 코둥갈루르에서 성 토마스가 유대인, 원주민, 그리고 지역 왕을 개종시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당시 유대계 기독교인들이 케랄라의 나스라니 공동체에 흡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9][47]

4. 2. 고전 시대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문 소스는 '고전 시대'가 아닌 '포르투갈 시대'에 대한 내용이므로, '고전 시대'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에서 이를 명확히 안내해 드렸습니다.

4. 3. 포르투갈과의 접촉

1652년, 말라포르에 안티오키아 교회에서 교황이 보냈다고 주장하는 아하탈라라는 인물이 나타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 포르투갈인들은 그를 사기꾼으로 여겨 유럽으로 가는 배에 태웠다. 토마 부제는 아하탈라를 만나길 원했지만, 포르투갈인들은 이미 배가 떠났다고 거절했다.[66] 아하탈라가 살해되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반포르투갈 정서는 더욱 심해졌다.[66]

1653년, 마탄체리의 성모 교회에서 토마 부제와 공동체 대표들은 맹세를 통해 파드루아두 프란시스코 가르시아 대주교와 포르투갈인들에게 복종하지 않고, 부제만을 목자로 받아들였다.[66] 이 맹세는 쿠난 십자가 서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말랑카라 교회는 이 사건을 가톨릭 교회로부터의 독립 회복으로 간주한다. 반면 시로 말라바르 교회는 이 사건을 억압에 대한 폭발로 해석한다.[67]

이후 아하탈라가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들이 돌았고, 그중 하나는 토마 부제에게 대주교 권한을 부여했다. 1653년, 열두 명의 사제가 토마 부제에게 안수하여 대주교로 임명했고, 그는 ''토마 1세''라는 칭호를 받았다.[68]

포르투갈 선교사들은 화해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1657년, 교황 알렉산데르 7세는 조셉 세바스티아니를 보내 반체제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의 신뢰를 회복하려 했다. 세바스티아니는 많은 사람들을 설득하여 토마 1세의 지지자들이 줄었다. 1659년, 세바스티아니는 주교로 서임되었고, 1661년 케랄라에 돌아와 교황에 의해 말라바르의 사도 대리로 임명되었다. 그는 대부분의 교회를 가톨릭 교회로 복원했다. 그러나 1663년, 네덜란드가 코친을 정복하면서 포르투갈의 통제는 상실되었고, 유럽 선교사들은 케랄라를 떠나야 했다. 세바스티아니는 떠나기 전 팔리베틸 찬디를 가톨릭 교회를 따르는 토마스 기독교인들의 주교로 서임했다.[70]

한편, 토마 1세는 여러 동방 교회에 주교 서임을 요청했다. 1665년, 안티오키아 동방 정교회에서 보낸 주교 그레고리오스 압달 잘릴이 인도에 도착하여 토마 1세를 정식 주교로 서임했다.[71] 이는 성 토마스 기독교 공동체의 첫 번째 공식 분열을 초래했다. 팔리베틸 찬디 주교 아래의 가톨릭 교회 파벌은 ''파라야쿠르''(또는 "구 맹세")로, 토마 1세 관련 분파는 ''푸텐쿠르''(또는 "신 맹세")로 알려지게 되었다.[72] ''파라야쿠르'' 파벌은 로모 시리아인으로도 알려졌고 시리아 가톨릭 교회로 조직되었으며, ''푸텐쿠르'' 파벌은 ''야코비트 시리아인''으로도 알려졌고 말랑카라 시리아 교회로 조직되었다.[73]

1661년과 1665년 사이에 파라야쿠르 파벌(시리아 가톨릭)은 116개의 교회 중 72개를, 토마 1세와 푸텐쿠르 파벌(말랑카라 시리아인)은 32개를 주장했다. 나머지 12개의 교회는 두 파벌이 공유했다.[74]

4. 4. 분열과 저항

1653년 쿠난 십자가 서약은 포르투갈의 지배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가톨릭 교회와 관련된 '파라야쿠르'(구 맹세)와 시리아 정교회와 관련된 '푸텐쿠르'(신 맹세)로 분열되었다. '푸텐쿠르' 파는 서시리아 전례가 점진적으로 도입되면서 동방 정교회의 미아피시트 기독론을 따르게 되었다.[75][76][77][78][79][80]

4. 5. 영국 통치 시대

1795년, 트라방코어와 코친 왕국은 영국 동인도 회사와 조공 동맹을 맺어 티푸 술탄의 공격을 막으려 했다. 이들은 곧 영국의 종속국이 되었고, 군대를 해산해야 했다. 이로 인해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군사적 역할을 잃고 큰 타격을 입었다.[81]

1815년, 영국 주재관 존 먼로는 코타얌에 신학교를 세우고 성공회 선교사들을 초빙하여 CMS와 푸텐쿠르 파의 관계가 시작되었다.[81]

1836년, 체파드 디오니시우스 대주교는 마벨리카라 시노드를 소집하여 말랑카라 교회가 시리아 전통과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지배를 받는다고 선언했다.[82] 이로 인해 CMS 선교사들과 말랑카라 교회는 갈라섰다. 선교사들의 종교 개혁을 지지하는 소수는 성공회에 합류하여 성 토마스 성공회 신자가 되었다.[83][84] 이들은 복음화, 교육, 개혁 활동을 했다.[83][84] 1947년, 남인도의 성공회 교구들은 다른 개신교 교회와 합병하여 남인도 교회(CSI)를 형성했다.[29][30]

마 엘리아스 멜루스


1876년, 물란투루티 시노드에서 시리아 파벌은 공식적으로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에 속하게 되었다.[92] 말랑카라 교회는 개혁파와 보수파로 분열되었다. 1912년, 압둘마시 2세는 바세리오스 파울로스 1세를 마프리안으로 서품하여 말랑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가 자치 교회가 되는 계기가 되었다.[95]

1930년, 게바르게세 이바니오스 대주교는 시로-말랑카라 가톨릭 교회를 설립하여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 맺었다.[98]

4. 6. 정치 참여

1888년 트라방코르에 인도 최초로 입법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1904년에는 스리 물람 민중 의회로 개혁되었다. 몇몇 성 토마스 기독교인 지도자들이 입법 위원회에 선출되었지만, 다른 주요 카스트에 비해 의석수가 적다는 불만이 있었다. 이러한 불만은 입법부와 정부 직위에서 동등한 대표성을 위한 캠페인으로 이어졌다.[111]

1918년,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시민 동등권 연맹을 결성하여 모든 정부 기관을 기독교인, 무슬림, 그리고 아바르나 힌두교도들에게 개방하고 불가촉천민 제도를 종식시키고자 했다. 1922년, 데바스왐에서 재무부를 분리하면서 비힌두교도와 아바르나의 행정 서비스 제한이 사라져 이들의 요구가 부분적으로 충족되었다.[113]

1932년 트라방코르에 양원제 입법부가 설치되면서, 4명의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이 하원의 24석 중 일부를 차지했다.[111] 193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기독교인의 비율은 1820년의 약 4%에 비해 31% 이상으로 증가했다.[111] 이후 디완(Diwan)은 성 토마스 기독교인 공동체가 소유한 학교를 인수하려고 시도했고, 많은 지도자들이 체포되었으며, 주요 신문들이 금지되었고, 이 공동체 구성원들이 소유한 대형 은행들이 청산되었다.[115]

1937년 총선에서 연합 정치 회의는 연합 공동체의 더 나은 대표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6] T.M. 바르게세는 의회의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성 토마스 기독교인 지도자들은 나이르와 연합하여 트라방코르 주 의회에서 책임 정부를 위해 함께 싸웠다.[111] 1948년 첫 총선 이후 구성된 트라방코르 내각에서 바르게세는 내각 장관이었다.[118] 존 마타이는 인도 초대 철도 장관과 재무 장관을 역임했다.[119]

1957년 공산당은 케랄라 주 첫 정부를 구성했다. 정부의 토지 및 교육 부문 개혁은 학교 운영진과 토지 소유주들의 권리에 대한 침해로 간주되었다.[120]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나이르 봉사 협회와 연합하여 정부에 맞서 해방 투쟁을 벌였다.[121]

5. 사회문화적, 종교적 정체성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동시리아, 서시리아, 힌두교, 유대교의 영향과 지역 관습이 혼합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케랄라 지역의 언어인 말라얄람어이며, 시리아어는 예배를 위해 사용된다.[122]

Códice Casanatense에 묘사된 성 토마스 기독교인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예배 시 머리를 가리는 등 유대교의 관습을 일부 유지했다.[122] 성찬례는 아람어로 "희생"을 뜻하는 ''Qurbana''(ܩܘܪܒܢܐ)에서 유래한 쿠르바나라고 불린다. 20세기 초까지 쿠르바나는 시리아어로 거행되었다.[123]

성 토마스 시리아 기독교 신부 (1909)


이들은 힌두교 이웃의 사회적 관습을 따랐으며, 불가촉천민과 같은 사회적 차별이 관습에 스며들기도 했다. 결혼, 출생, 죽음 등과 관련된 의식은 힌두교 관습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예를 들어, 힌두교 결혼의 상징인 민누를 묶는 것은 오늘날 기독교 결혼에서도 중요한 의식이다. 1519년 포르투갈 여행가 두아르테 바르보사는 성 토마스 기독교 사제들이 힌두교인과 유사한 쿠두미를 사용하는 관행을 언급하기도 했다.

중세 말라바르에서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상위 카스트 힌두교인과 동등한 사회적 지위를 누렸다. 13~14세기에는 많은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이 후추 무역에 참여하거나 항만 세입 관리자로 임명되었으며, 지역 통치자들로부터 토지 및 특권을 받았다. 이들은 군사 훈련 및 세금 징수 특권도 가졌으며, 훈련자에게는 "파니카르", 세금 징수자에게는 "타라칸"이라는 칭호가 주어졌다.

티루발라 출신의 성 토마스 시리아 기독교 가족 (1937)


이들은 왕 앞에서 앉거나 왕족처럼 이동 수단을 이용할 권리가 있었고, 17개의 소외된 카스트와 공동체를 보호하여 "17개 카스트의 군주"라고 불렸다. 그러나 하위 카스트가 공동체에 가입하는 것은 상위 카스트 지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로 허용되지 않았다. 이 왕족 시대는 코친과 트라방코어의 라자들이 권력을 잡으면서 끝났다.[124]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칼라리파야투 훈련 센터를 소유했으며, 마르탄다 바르마를 포함한 트라방코어와 코친의 라자들은 훈련된 기독교 전사들을 왕국 방어에 활용했다.

19세기까지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힌두 사원에 접근할 권리를 가졌고, 일부는 힌두 신전 및 사원 축제의 후원자 지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19세기에 힌두 카스트 시스템과의 통합이 붕괴되면서 상위 카스트 힌두교인과 성 토마스 기독교인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힌두교 축제를 우상 숭배로 비난하며 반격했고, 축제가 겹치는 시기에는 충돌이 더욱 심해졌다.

6. 전통, 음악, 의식 및 사회 생활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사회생활과 종교생활에서 고유한 전통과 의식을 많이 유지하고 있다. 성 토마스 기독교 예배는 다른 기독교 예배와 비교하여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1970년대 이전에는 나스라니의 쿠르바나가 시리아어로 완전히 불렸으며, 케랄라의 성 토마스 기독교 예배, 특히 동시리아 전통의 많은 곡조는 고대 시리아 시대의 잔재이다.[125][126]


  • 사순절 및 주요 절기: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사순절을 ''안파투 노얌부''(50일 금식) 또는 ''발리야 노얌부''(''Sawma Rabba'', 대금식)라고 부르며, 깨끗한 월요일 또는 그 전 일요일 (''페투르타'', "뒤돌아보기"를 의미)부터 부활절 전날까지 모든 고기, 생선, 달걀을 금한다.[129] 또한, 크리스마스 날에 끝나는 ''25일 금식''을 전통적으로 지킨다.[130] 성 목요일은 '페사하'라고 불리며, 유월절을 뜻하는 아람어 또는 히브리어에서 유래한 말라얄람어 단어로, 예수 그리스도의 최후의 만찬을 기념한다. 교회 예배 후 ''Pesaha Appam''을 먹는 전통은 가족의 가장 지도 아래 모든 공동체가 지킨다. ''페사하'' 전야에는 성 쿠르바나에 이어 특별한 긴 예배가 교회에서 거행된다.[127][128] 종려 주일은 ''오샤나'' 또는 ''호산나'' 일요일로 알려져 있으며, 오샤나를 외치며 종려나무 잎을 축복하고 쿠르바나 후에 나눠준다.[131]
  • 성찬례: 성찬례(성찬 미사)는 동 시리아 성 쿠르바나인지 서 시리아 성 큐로보인지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성 큐르바나''라고 불린다. ''성 큐르바나''는 대부분 말라얄람어로 진행되지만, 상당 부분은 시리아어로 불린다. 20세기 동안, 예배 순서가 포함된 책인 'Qurbana-kramam'이 케랄라 외부에 살면서 말라얄람어를 읽거나 쓸 수 없는 예배자들을 위해 영어로 번역되었다.
  • 기도 및 기타 관습: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하기 위해 동 시리아 용어 ''마란 이쇼 미쉬하''(예수의 아람어 이름[132])를 사용한다. 특히 서 시리아 전례를 따르는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하루에 일곱 번 ''Shehimo''의 정시 기도를 드린다.[133] 교회 축제, 결혼식 및 기타 축제에 ''무투코다''(장식용 우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통적인 드럼, 아치 장식, 장식용 우산 및 Panchavadyam은 교회 축제의 일부이다. 교회에 들어가기 전에는 신발을 벗고, 여성은 예배 중에 머리를 가린다.
  • 힌두교와 유사한 의식: 성 토마스 기독교인의 집 짓기, 출생, 결혼과 관련된 성례전과 의식은 케랄라의 힌두교도와 매우 유사하다.[134] 죽음의 성례전은 기독교 전례적 주제를 표현하지만, 힌두 문화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죽음 이후의 영원한 생명과 그리스도의 최종 심판에 대한 기대에 대한 강조가 나타난다.[135]
  • 결혼 풍습: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가까운 친척과 결혼하지 않는 규칙을 지키며, 신랑과 신부는 최소 5~7세대 동안 친족 관계가 아니어야 한다. 중매 결혼을 선호하며, 예비 배우자는 신부의 집에서 페누카날(신부 보기) 의식을 통해 서로를 본다.[136] 약혼과 결혼은 일반적으로 같은 예배에서 함께 거행되며, Kathanar가 제공하고 중재하여 부부를 결혼으로 맺어주는 것은 하나님임을 상징한다.[137] 민누를 묶고 신부에게 "''만트라코디''" 또는 "''푸다바''"를 주는 것은 힌두교에서 빌려온 주요 결혼 의식이다. ''만트라코디''는 실크 사리에 금색 자수 테두리가 있는 것으로, 사제에 의해 축복을 받으며 신랑이 신부의 머리카락을 덮어 씌워 놓는다.[136][138] 결혼 전날 밤에는 "''Madhuram Veppu"라는 의식이 거행되는데, 신부와 신랑에게 외삼촌이 단 음식을 제공한다.[140]
  • 기타 생활 양식: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닐라빌라쿠 (불을 밝힌 금속 램프), 킨디, 칼라샤 및 기타 청동 제품을 집과 교회에서 널리 사용한다.[139] 성 토마스 기독교인 여성의 전통 의상은 차타와 문두이며, 늙은 여성 신자들에게만 국한된 솔기가 없는 흰색 의상이다. 그러나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사리와 Churidar가 일반적이다.[130][141] Margamkali (중앙에 Nilavilakku가 있는 원형으로 수행되는 고대 춤 형식) 및 Parichamuttukali (칼과 방패를 든 시리아 기독교 남성이 Kalaripayattu의 움직임과 단계를 따르는 고대 무술 춤 형식)와 같은 예술 형태가 여전히 존재한다.

''Kozhukkatta''는 종려 주일 전 토요일에 나사라니족이 준비하며, 따라서 그날을 ''코주카타 토요일''이라고 부른다.

7. 교회 건축

코타얌 성 마리아 소성당( ''Kottayam Cheriyapally'') 전통적인 기와 지붕과 벽을 갖춘 모습


초기 문서 증거는 타리사팔리 동판으로, 823년에서 849년 사이에 퀴론에 타리사팔리 교회를 건설한 것을 언급하고 있다. 16세기 포르투갈의 말라바르 사절 안토니오 고베아는 저서 ''Jornada''에서 성 토마스 기독교인의 거의 모든 교회가 당시 힌두 사원의 모델을 따랐지만, 교회 앞마당에 거대한 화강암 십자가로 구별되었다고 언급했다. 사원과의 외부적인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내부 공간 구조는 항상 동 시리아 건축 신학을 따랐다. 따라서 현대적인 양식은 인도 건축과 아시리아 전례 개념의 융합으로 형성되었다. 교회는 동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는 ''마드바하''(성소), ''케스트로마''(성가대), ''하일라''(본당)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건물 동쪽에 위치한 가장 높은 단에 배치된 ''마드바하''는 천국을 나타낸다. 주요 제단은 동쪽 벽에 부착되어 있다. ''마드바하'' 북쪽에는 ''디아코니콘''(성물실)이, 남쪽에는 세례당이 있다. ''마드바하''는 난간으로 보호되며 대부분 붉은 커튼으로 가려져 있으며, 이는 성찬례(성체성사) 동안 열린다. 성소 내의 등불은 항상 켜져 있어 하느님의 임재를 나타낸다. ''마드바하''는 ''케스트로마''와 ''하일라''와 ''스카코나''라고 불리는 낮은 벽으로 연결되어 있다. ''케스트로마''에는 성가대와 하위 성직자를 위한 자리가 있다. ''하일라''에는 제단, 독서를 위한 두 개의 독서대, 고위 성직자를 위한 의자가 있는 높은 단 또는 ''비마''가 있다. 신자들은 제단 앞에서 서 있으며, 남성과 여성을 위한 별도의 좌석이 있다.

주 출입구는 건물 서쪽에 있으며, 현관, 기둥, 벽기둥 및 기타 건축 장식으로 앞면이 장식되어 있고, 깃대 기둥이 앞마당에 서 있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종이 뒷마당에 설치되어 의식 서비스 시간, 교회 구성원의 죽음을 알리거나 재난을 대중에게 알린다.[142][143]

8. 페르시아 십자가

코타얌 크나나야 발리야팔리(Kottayam Knanaya Valiyapally)의 고대 성 토마스 십자가


성 토마스 기독교인(나스라니)의 동 시리아 교회는 페르시아 십자가(나스라니 메노라 또는 마르 토마 슬리바)를 상징으로 사용한다.[144] 이 상징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있다.

기독교 유대교 전통에 근거한 해석은 그 디자인이 고대 히브리인들의 상징인 유대교 메노라를 기반으로 하며, 7개의 가지가 있는 램프 스탠드(촛대)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성 토마스의 십자가는 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의 공식 문장에도 나타난다.

현지 문화에 근거한 해석에 따르면, 예수의 형상이 없고 꽃 모양의 팔이 있는 십자가는 "기쁨"을 상징하며, 성 바울의 부활 신학을 가리킨다. 꼭대기에 있는 아래를 향한 새(아마도 비둘기)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서 성령의 역할을 나타낸다. 십자가는 그리스도를, 연꽃은 아들을 낳은 하느님 아버지를 상징한다. 세 개의 계단은 갈보리를 나타내며 십자가에서 흘러나오는 은혜의 통로인 교회를 상징한다. 연꽃은 또한 불교와의 문화적 연관성을 상징할 수 있으며, 그 위에 있는 십자가는 기독교가 부처의 땅에 세워졌음을 보여준다.[144][145]

9. 현대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케랄라 주의 모든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소수 집단으로, 19세기부터 은행업, 상업, 현금 작물, 인쇄 매체, 영화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하며 강력한 공동체로 부상했다.[146] 2003년 기준으로 성인 인구의 17.4%가 자영업에 종사하여 주 내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147] 또한 1인당 토지 소유 면적이 가장 넓고, 고무, 향신료, 현금 작물 거래 등 플랜테이션 기반 농업에 종사하며, 교육 기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148]

높은 교육 수준을 바탕으로 중앙 및 주 정부 일자리를 많이 차지하고 있다.[146] 2024년 케랄라 주 정부 자료에 따르면, 주 전체 정부 직원 545,423명 중 73,713명(13.5%)이 성 토마스 기독교인을 포함한 순수 기독교 공동체 출신이다.[149][150] 높은 이주율로 인한 해외 송금은 사회 경제적 발전에 기여했으며, 케랄라 개발 연구 센터(Center for Developmental Studies)의 1998년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사회 경제 개발 지수에서 케랄라의 다른 공동체를 능가한다.

성 토마스 시리아 기독교인은 케랄라 전체 인구의 12.5%, 주 기독교인의 70.73%를 차지한다. 20세기에는 인구 통계 및 사회 경제적 지위에 큰 변화를 겪었다. 1900년경에는 높은 사망률과 출생률, 이른 결혼 연령, 많은 자녀 수를 특징으로 했으나, 1960년대 이후 인구 증가가 급격히 감소하여 인구 제로 성장에 접근하고 있다.

케랄라 내 성 토마스 기독교인의 85% 이상이 콜람, 파타남티타, 알라푸자, 코타얌, 이두키, 에르나쿨람, 트리수르 등 남부 7개 지역에 집중 거주한다. 우티, 망갈로르, 방갈로르, 첸나이, 푸네, 델리, 뭄바이, 코임바토르, 하이데라바드, 콜카타 등 인도 내 다른 도시에도 거주하며, 독립 이후 미국, 캐나다, 서유럽, 호주, 중동 등으로의 이주가 증가하여 성 토마스 기독교인의 약 20~25%가 케랄라 주 외부에 거주한다.

10. 카스트 지위

케랄라의 카스트 제도 내에서 종파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공통적인 사회적 지위를 공유하며 상위 카스트로 여겨진다.[151]

코친 왕국과 트라방코르 왕국과 같은 케랄라의 역사적 왕국에서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상위 카스트 힌두교도와 동등한 수준의 카스트 특권을 부여받았다. 인류학자 L.K. 아난타크리슈나 아이어는 그들이 나이르와 같은 집단에 부여된 특권 외에도 집 앞에 울타리를 칠 수 있는 권리(그렇지 않으면 브라만에게만 부여됨)를 부여받았으며 "주권자와 거의 동등"하게 위치했다고 기록했다. 그들은 힌두교도와 동일한 카스트 및 정결 규칙을 따랐으며, 때로는 정결 중화자로 여겨졌다. 1599년 포르투갈 종교 재판에 의해 시행된 디암퍼 시노드의 조치 IX, 칙령 II는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이 법으로 요구되고 바르나 힌두교도와의 사회적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할 때를 제외하고 불가촉천민 제도를 금지했다.[152]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내혼 경향이 있으며 다른 기독교 그룹과도 혼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성 토마스 기독교인의 북부파와 남부파, 그리고 교회의 지향성에 따른 여러 종파로의 내부 분열은 분열 패턴을 매우 복잡하게 만든다. 포레스터는 북부파-남부파 분열이 성 토마스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 하위 카스트와 매우 유사한 두 그룹을 형성한다고 제안한다.[151]

11. 기독교 컨벤션

마라몬 컨벤션은 아시아에서 가장 큰 연례 기독교 모임 중 하나이다.[153] 이 행사는 2월에 코제체리 근처 마라몬에서 코제체리 다리 옆 팜바 강의 광대한 모래사장에서 열린다. 첫 번째 컨벤션은 1895년 3월에 10일 동안 개최되었다.

케랄라에서 열리는 또 다른 주요 컨벤션은 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의 마캄쿤누에 있는 성 스테판 대성당에서 열리는 연례 중앙 트라방코르 컨벤션이다.[154][155] 첫 번째 컨벤션은 1915년에 열렸다.

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의 가장 큰 컨벤션 중 하나는 칼루파라 정교 컨벤션이다.[156] 이 행사는 연간 5,000명 이상의 참가자와 함께 마니말라 강의 코이토투 모래 제방에서 열린다.[157] 이 컨벤션은 1943년에 시작되어 8일 동안 열렸다.

라니 정교 컨벤션은 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의 연례 컨벤션이다.[158] 이 컨벤션은 현재 라니 타운의 마르 그레고리오스 카톨리카테 센터에서 열리며 1967년에 시작되었다.

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의 말라팔리 정교 시리아 컨벤션은 파타남티타의 말라팔리에서 열리는 연례 컨벤션이다.[159] 첫 번째 컨벤션은 1989년 말라팔리 발리야팔리(성 요한 베다니 정교 발리야팔리)에서 열렸다.

트리반드룸 정교 컨벤션은 티루바난타푸람 정교 교구가 주최하는 연례 컨벤션이다.[160] 이 컨벤션은 성 삼위일체 아라마나, 울루르에서 열리며 1988년에 시작되었다.[161]

참조

[1] Catholic-hierarchy Eparchy of Saint Thomas the Apostle of Chicago (Syro-Malabarese) 2015-01-23
[2] 웹사이트 The Stcei http://www.indianchr[...] Indianchristianity.com 2017-09-24
[3] 논문 Ritual and Music in South India: Syrian Christian Liturgical Music in Kerala
[4] 서적 The Syriac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12-12
[5] 서적 Across a World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1942
[6] 간행물 From Chattas to Churidars: Syrian Christian Religious Minorities in a Secular Indian State https://scholar.arch[...] Rutgers University 2011-10
[7] 서적 The Encyclod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8] 서적 The Jews of India: A Story of Three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UPNE
[9] encyclopedia Timotheos I https://gedsh.bethma[...] Gorgias Press 2016-09-22
[1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10 Terrors of the Tyrant Tamerlane https://listverse.co[...] 2018-01-15
[1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The Forgotten Church of the East | SIL in Eurasia https://eurasia.sil.[...]
[14] 웹사이트 The Church of the East: Two Thousand Years of Martyrdom and Mission https://www.oasiscen[...] 2016-01-27
[15] 뉴스 Christians of Saint Thomas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02-09
[16] 논문 Garshuni Malayalam: A Witness to an Early Stage of Indian Christian Literature https://www.academia[...] 2014-09
[17] 웹사이트 India - Report on the Census of Travancore - Census 1871 https://censusindia.[...] 2024-12-08
[18] 웹사이트 India - Cochin, Part I, II, Vol-XIX - Census 1941 https://new.census.g[...] 2024-12-08
[19] 서적 Synod of Diamper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Britannica Inc. 2011-12-23
[20] 문서 For the Acts and Decrees of the Synod cf. Michael Geddes, "A Short History of the Church of Malabar Together with the Synod of Diamper &c." London, 1694; Repr. in George Menachery (ed.), Indian Church History Classics, Vol.1, Ollur 1998, pp. 33–112.
[21] encyclopedia Addai and Mari, Liturgy of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Kerala Syrian Christian, Apostle in India, The tomb of the Apostle, Persian Church, Syond of Diamper – Coonan Cross Oath, Subsequent divisions and the Nasrani People https://www.nasrani.[...] 2007-02-13
[23] 서적 The Church in India Before and After the Synod of Diamper Prakasam Publications
[24] 웹사이트 Church of the East in India http://www.nestorian[...] 2010-10-02
[25] 서적 South Asia Missions Advanced Research and Communication Center
[26] 웹사이트 Ecumenical Relations https://www.marthoma[...] 2017-06-26
[27] 웹사이트 Mission & Vision http://steci.org/mis[...] 2020-04-27
[28] 서적 The Religions of India: A Concise Guide to Nine Major Faith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4-04-18
[29]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30]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2nd Edition [6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09-21
[31] 서적 Asian and Pentecostal: The Charismatic Face of Christianity in Asia https://books.google[...] OCMS
[32] 서적 The South Indian Pentecostal Movement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06-06
[33] 서적 Missionary Tropics: The Catholic Frontier in India (16th–17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34] 논문 Muslims, Matriliny, and A Midsummer Night's Dream: European Encounters with the Mappilas of Malabar, India
[35] 서적 The Mappila fisherfolk of Kerala: a study in inter-relationship between habitat, technology, economy, society, and culture Kerala Historical Society
[36] 웹사이트 The Surprisingly Early History of Christianity in India https://www.smithson[...]
[37] 웹사이트 Thomas The Apostole http://stthoma.com/ 2011-02-08
[38] 뉴스 Search for India's ancient city http://news.bbc.co.u[...] 2006-06-11
[39] 간행물 Jewish colonies of India paved the way for St. Thomas The Saint Thomas Christian Encyclopedia of India, ed. George Menachery, Vol. II., Trichur. 1973
[40] 웹사이트 Indian Christianity http://www.indianchr[...]
[41] 서적 The Song of Thomas Ramban The Indian Church History Classics, Vol. I, The Nazranies, Ollur 1998
[42] 서적 Lingerings of light in a dark land: Researches into the Syrian church of Malabar https://books.google[...] William Brown and Co. 1873
[43] 서적 The pastoral care of the Syro-Malabar Catholic migrants Oriental Institute of Religious Studies, India Publications
[44] 서적 Orientalia christiana periodica: Commentaril de re orientali ...: Volumes 17–18 Pontificium Institutum Orientalium Studiorum
[45] 서적 A World History of Christianity Wm. B. Eerdmans 2000-08-15
[46] 웹사이트 Seven and half Churches (Ezhara Pallikal) https://www.keralato[...]
[47] 서적 Madras Rediscovered: A Historical Guide to Looking Around, Supplemented with Tales of 'Once Upon a City' https://books.google[...] East West Books
[48] 서적 ThomaaSleehaayude Kerala ChristhavaSabha Onnaam Noottaandil T.Z.Mani
[49] 서적 Anthropology of the Syrian Christians https://archive.org/[...] Cochin Government Press
[50] 문서 'The Magna Carta of St. Thomas Christians' K. S. P.
[51] 서적 India, the ancient past Taylor & Francis
[52] 서적 Exegisti Monumenta: Festschrift in Honour of Nicholas Sims-William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53] 서적 The Christian Topography of Cosmas, an Egyptian Monk: Translated from the Greek, and Edited with Notes and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4
[54] 서적 The Realm of Prester John Ohio University Press 1996
[55] 서적 Circa 1492: Art in the Age of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1-01-01
[56] 서적 Cartography between Christian Europe and the Arabic-Islamic World, 1100-1500: Divergent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RILL 2021-06-17
[57] 문서 Kerala Charithram
[58] 문서 Travancore State Manual 1906
[59] 웹사이트 History http://www.quilon.co[...]
[60] 서적 Coastal Histories: Society and Ecology in Pre-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Primus Books
[61] 서적 Pour un Oriens Christianus novus; répertoire des diocèses Syriaques orientaux et occidentaux Beirut: Orient-Institut. 1993
[62] 웹사이트 MS Vatican Syriac 22 & MS Vatican Syriac 17: Syriac Manuscripts copied in South India https://www.nasrani.[...] 2012-04-06
[63] 서적 Mirabilia descripta: the wonders of the East https://archive.org/[...] London: Printed for the Hakluyt Society 1863
[64] 웹사이트 The Story of Joseph, the Indian; A Historical Appraisal of the Affairs of St Thomas' Christians in the Pre Portuguese period https://www.nasrani.[...] 2010-06-05
[65] 뉴스 Tracing the heritage of Syrian Christians http://www.thehindu.[...] 2011-02-21
[66] 서적 Census of India (1961: Kerala) https://books.google[...]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67] 문서
[68] 문서
[69] 문서
[70] 문서
[71] 문서 txt
[72] 서적 The Quarterly Journal of the Mythic Society. Vol.3 https://books.google[...] Mythic Society
[73] 서적 The 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in India and Pakistan https://books.googl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74] 서적 Christianity in Travancore https://books.google[...] Travancore Government Press
[75] 웹사이트 Archbishop Simon Dominicus https://www.catholic[...]
[76] 서적 History of the Marthoma Church 2006
[77] 서적 Saintly bishops of Kattumangat
[78] 서적 History of Malabar Independent Syrian Church
[79] 서적 The Forgotten Bishops Georgias Press 2009
[80] 서적 The Eastern Orthodox Churches McFarland 2005
[81] 문서 George Joseph, The life and times of a Kerala Christian nationalist Orient Blackswan 2003
[82] 문서 Orthodox Christianity in India Academic Publishers, College Road, Kottayam 2003
[83] 뉴스 Missionaries led State to renaissance: Pinarayi https://www.thehindu[...] 2016-11-13
[84] 간행물 Kerala to celebrate CMS mission https://churchmissio[...] 2016-11-09
[85] 간행물 A History of the Church of England in India, by Eyre Chatterton (1924) http://anglicanhisto[...]
[86] 웹사이트 Church of south India (CSI) http://www.keralawin[...]
[87] 웹사이트 Archbishop Thomas Rokuss https://www.catholic[...]
[88] 서적 Pio IX (1851–1866)
[89] 웹사이트 Bishop Jean-Élie Mellus https://www.catholic[...]
[90] 웹사이트 Church of the East – India http://www.churchoft[...]
[91] 문서 Pulikkottil Joseph Mar Dionysious II, Metropolitan of Jacobite faction of Malankara Church Malayala Manorama 1901
[92] 문서 Orthodox Christianity in India Academic Publishers, College Road, Kottayam 2003
[93] 문서 India: History, Religion, Vision and Contribution to the World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2008
[94] 서적 History of the Marthoma Church 2007
[95] 백과사전 ʿAbdulmasīḥ II https://gedsh.bethma[...]
[96] 서적 Holy Fathers of The Syrian Orient Entombed in Kerala http://rajanachen.co[...] JSC Publications
[97] 문서 A History of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8] 문서 Orthodox Christianity in India Academic Publishers, College Road, Kottayam 2003
[99] 서적 The Malankara Catholic Church https://malankaralib[...] OIRSI publications
[100] 문서 It Happened in The Mar Thoma Church 1961
[101] 문서 Faith on Trial Ernakulam 1965
[102] 서적 Transnational Religious Organization and Practice: A Contextual Analysis of Kerala Pentecostal Churches in Kuwait https://books.google[...] BRILL 2018-02-22
[103] 서적 The Rise of 'New Generation' Churches in Kerala Christianity https://brill.com/vi[...] Brill 2020-12-10
[104] 간행물 Nidan: International Journal for Indian Studies https://www.academia[...] 2019-12
[105] 서적 The Spirit in the World: Emerging Pentecostal Theologies in Global Context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9-08-26
[106] 웹사이트 Thomas Christians – Later developments https://www.britanni[...] 2024-06-13
[107] 서적 An Introduction to Pentecostalism: Global Charismatic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5-13
[108] 서적 The Pneumatic Experiences of the Indian Neocharismat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irmingham
[109] 서적 Global Pentecostal and Charismatic Heal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2-24
[110]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Religions in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111] 서적 Communism in Kerala: a study in political adap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2] 서적 Encyclopedia of India, Pakistan, and Bangladesh https://books.google[...]
[113] 간행물 Temple Entry Movement in Travancore https://web.archive.[...] 1976-03
[114] 뉴스 Recreating an unsung hero https://www.thehindu[...] 2015-11-14
[115] 문서 South Asian politics and relig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6] 서적 Communal Road to a Secular Kerala Concept Publishing Company
[117] 서적 Christianity in India Through the Centuries http://www.stichting[...] Authentic Books 2007
[118] 웹사이트 History of legislative bodies in Kerala http://keralaassembl[...] 2012-06-16
[119] 서적 Reflections on Finance Education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
[120] 문서 Kerala socio economic survey 1968
[121] 서적 Communism in Kerala: A Study in Political Adapt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2] 문서 Ethnocultural Transformation of Social Identity. Syrian Christians in Kerala Grin Verlag
[123] 문서 Ritual and Music in South India: Syrian Christian Liturgical Music in Kerala
[124] 문서 Census of India, 1961, India.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India.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125] 학위논문 Syriac Chant Traditions in South India City University of New York
[126] 간행물 The Survival Story of the Sound, Sentiments, and Melodies of the Aramaic Chants in India http://www.thecmsind[...] ARAM Society
[127] 웹사이트 Palm Sunday (Kuruthola Perunnal), Maundy Thursday (Pesaha), Good Friday (Dukha Velli) And Easter Among Saint Thomas Christians Of India http://nasrani.net/2[...] 2007-03-25
[128] 문서 Symmetry between Christians and Jews in India: The Cananite Christians and Cochin Jews in Kerala
[129] 웹사이트 Syro-Malabar Catechesis https://web.archive.[...] 2021-07-08
[130] 웹사이트 Syrian Christians in India https://web.archive.[...] Worldmark Encyclopedia of Cultures and Daily
[131] 간행물 Syriac Heritage of the Saint Thomas Christians: Language and Liturgical Tradition Saint Thomas Christians – origins, language and liturgy 2011-11-05
[132] 웹사이트 Eashoa Msheekhah (Aramaic), Jesus the Messiah (English) or the Christ (Greek) https://web.archive.[...] V-a.com 2015-09-06
[133] 웹사이트 "Seven Times a Day I Praise You" – The Shehimo Prayers http://www.ds-wa.org[...] Diocese of South-West America of the Malankara Orthodox Syrian Church 2020-08-02
[134] 서적 Mar Thomma Margam: a new catechism for the Saint Thomas Christians of India Denha Services
[135] 문서 Christians of India
[136] 문서 Anthropologica Canadian Anthropology Society
[137] 웹사이트 Inculturation of the East Syrian Liturgy of Marriage By the St. Thomas Christians in India https://web.archive.[...] 2017-12-12
[138] 간행물 NAṢRĀNĪ 2012-04-24
[139] 간행물 Privileged Minorities: Syrian Christianity, Gender, and Minority Rights in Postcolonial India. Sonja Thomas.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8. 224 pp. 2020-11
[140] 간행물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Knanaya Christians 2011-11-07
[141] 간행물 Anthropologica Vol 46 Canadian Anthropology Society 2004
[142] 서적 The Land of Charity: A Descriptive Account of Travancore and its People https://archive.org/[...] J. Snow & Co
[143] 서적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Liturgy and Worship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144] 웹사이트 Saint Thomas Cross – A Religio Cultural Symbol Of Saint Thomas Christians https://www.nasrani.[...] 2020-06-14
[145] 문서 Dr. Geo Thadikkatt – Liturgical Identity of the Mar Toma Nazrani Church
[146] 서적 Social Reforms in Modern India Sarup and Sons 2001
[147] 서적 Dynamics of migration in Kerala: dimensions, differentials, and consequences Orient Blackswan 2003
[148] 뉴스 Syrian Christians are in a class of their own http://www.hinduonne[...] 2001-08-31
[149] 웹사이트 Kerala govt employs 5.45 lakh staff from 238 communities; Ezhavas hold highest number, OBCs occupy 52% https://www.onmanora[...] 2024-07-03
[150] 웹사이트 Community wise statistics of government employees in the Assembly https://www.manorama[...] 2024-07-03
[151] 서적 Caste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urzon Press
[152] 문서 The History of the Church of Malabar Together with the Synod of Diamper 1599 1694
[153] 웹사이트 WCC general secretary to address largest Christian gathering in Asia http://www.oikoumene[...] 2015-03-05
[154] 뉴스 Metropolitan opens 95th Central Travancore Orthodox Christian meet https://www.thehindu[...] THG Publishing PVT LTD. 2012-01-29
[155] 웹사이트 Orthodox Convention begins https://www.newindia[...] 2012-05-15
[156] 뉴스 Metropolitan opens Kallooppara Orthodox Christian meet https://www.thehindu[...] THG Publishing PVT LTD. 2015-02-02
[157] 웹사이트 St. Mary's Orthodox Church Kallooppara Thirunnal Convention https://www.keralato[...]
[158] 뉴스 Catholicos opens Orthodox convention https://www.thehindu[...] THG Publishing PVT LTD. 2015-01-09
[159] Youtube 33rd MALLAPPALLY CONVENTION Malankara Orthodox Syrian Church Niranam Diocese Day 1 LIVE https://www.youtube.[...] Didymos Live 2024-01-22
[160] 웹사이트 Trivandrum Orthodox Convention https://malankaraort[...]
[161] Youtube 36th Trivandrum Orthodox Convention 2023 @ Holy Trinity Aramana Chapel Day 2 https://www.youtube.[...] Matha Mariam Media 2024-01-22
[162] 서적 The Encyclod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163] 서적 The Jews of India: A Story of Three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