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의 공화국은 1922년부터 1991년까지 존재했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구성하는 행정 구역이었다. 소련은 1956년부터 해체 시점까지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공화국은 고유한 국기, 문장, 국가 등을 가졌다. 1977년 헌법에 따라 공화국은 소련으로부터 탈퇴할 권리를 가졌으나, 실제로는 중앙 집권적 통치를 받았다.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으로 공화국의 권한이 강화되었고, 결국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각 공화국은 독립 국가가 되었다. 소련 내에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ASSR)도 존재했다.
1977년 소련 헌법 제71조에는 소련을 구성하는 15개의 공화국이 나열되어 있으며, 제76조는 각 공화국이 주권을 가진다고 명시했다.[3] 1944년 1936년 소련 헌법 수정안에 따라 각 공화국은 별도의 적군 부대를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외무 및 국방 분야에서도 권한을 가지게 되어 국제법상 독립 국가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4][5][6] 이러한 배경 하에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는 소련과 함께 유엔 총회 창립 멤버로 가입할 수 있었다.[4][5][6]
2. 소련의 구성 공화국
소련은 1956년부터 1991년 해체될 때까지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공화국은 헌법상 연방을 구성하며 분리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나, 냉전 시기에는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지 못했다. 그러나 1991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가 이 조항을 근거로 연방에서 탈퇴하면서 소련 해체가 가속화되었다.
각 공화국은 고유한 국기, 문장, 국가(러시아 제외)를 가지고 있었으며, 모두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다.문장 이름 국기 수도 공용어 소련 이후 국가 번호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예레반 아르메니아어, 러시아어 13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바쿠 아제르바이잔어, 러시아어 7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민스크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3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탈린 에스토니아어, 러시아어 15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트빌리시 조지아어, 러시아어
''
''''6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알마아타 카자흐어, 러시아어 5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프룬제 키르기스어, 러시아어 11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리가 라트비아어, 러시아어 10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빌뉴스 리투아니아어, 러시아어 8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시네프 몰도바어, 러시아어
''''9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러시아어 1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두샨베 타지크어,
러시아어12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슈하바드 투르크멘어, 러시아어 14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예프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2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타슈켄트 우즈베크어,
러시아어4
2. 1. 현재 독립국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각 구성 공화국은 주권 국가로 독립하였다. 소련 붕괴 당시 이미 소련에서 탈퇴한 발트 3국을 제외하면 12개국이었으며, 현재는 모두 독립국이다. 조지아와 발트 3국을 제외한 11개국(2014년에 사실상 탈퇴한 우크라이나를 포함하면 10개국)은 독립 국가 연합(CIS)이라는 느슨한 연합체를 조직하고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독립 국가 연합의 준회원이다.
2. 1. 1. 구성 공화국 목록 및 비교표
국가 | 면적(km2) | 면적 비율(%) | 수도 | 공용어 | 지역 |
---|---|---|---|---|---|
러시아 | 17098246km2 | 76.7 | 모스크바 | 러시아어 | 유라시아[40] |
우크라이나 | 603500km2 | 2.58 | 키예프 | 우크라이나어(사실상), 러시아어(민족간 언어) | 동유럽 |
벨라루스 | 207600km2 | 0.93 | 민스크 |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 동유럽 |
카자흐스탄 | 2724900km2 | 12.2 | 아스타나 | 카자흐어(국가어), 러시아어(공용어) |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447400km2 | 2.00 | 타슈켄트 | 우즈베크어(국가어), 러시아어(민족간 언어) | 중앙아시아 |
아제르바이잔 | 86600km2 | 0.38 | 바쿠 | 아제르바이잔어 | 남캅카스 |
조지아 | 69700km2 | 0.31 | 트빌리시 | 조지아어 | 남캅카스 |
타지키스탄 | 143100km2 | 0.64 | 두샨베 | 타지크어(국가어), 러시아어(민족간 언어) | 중앙아시아 |
몰도바 | 33846km2 | 0.15 | 키시너우 | 루마니아어 | 동유럽 |
키르기스스탄 | 199951km2 | 0.89 | 비슈케크 | 키르기스어(국가어), 러시아어(공용어) | 중앙아시아 |
리투아니아 | 65300km2 | 0.29 | 빌뉴스 | 리투아니아어 | 발트 3국 |
투르크메니스탄 | 488100km2 | 2.20 | 아시가바트 | 투르크멘어(국가어), 러시아어(민족간 언어) | 중앙아시아 |
아르메니아 | 29743km2 | 0.13 | 예레반 | 아르메니아어 | 남캅카스 |
라트비아 | 64559km2 | 0.28 | 리가 | 라트비아어 | 발트 3국 |
에스토니아 | 45227km2 | 0.20 | 탈린 | 에스토니아어 | 발트 3국 |
2. 1. 2. 발트 3국의 특수성
발트 3국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은 1940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에 따라 소련에 불법적으로 병합되었다고 주장하며, 소련 지배 하에서도 독립국을 유지했다고 주장한다.[31][32] 이러한 관점은 유럽 연합[33], 유럽 인권 재판소[34], 국제 연합 인권 이사회[35], 미국[36] 등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
반면, 러시아 연방 정부와 주 당국은 발트 국가 병합이 합법적이었다고 주장한다.[37] 공화국 망명 정부와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의 주미·영국 대사관은 소련 편입을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고수하며 소련 말기까지 활동을 계속했다. 발트 3국은 소련 해체 이전에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승인받았다.
2. 2. 단명한 공화국
소련 초기에는 여러 공화국들이 잠시 존재했다가 사라지거나 다른 공화국으로 흡수되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이름 | 수도 | 존속 기간 | 면적(km²) | 인구 | 현재 |
---|---|---|---|---|---|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 트빌리시 | 1922년–1936년 | 186100km2 | 5,861,600명 (1926년) | 아르메니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페트로자보츠크 | 1940년–1956년 | 172400km2 | 651,300명 (1959년) | 러시아 (카렐리야 공화국) |
압하스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 수후미 | 1921년-1931년 | 86000km2 | 201,016명 | 조지아 (압하지야) |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 부하라 | 1920년–1924년 | 182193km2 | 2,000,000명 | 우즈베키스탄 |
호레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 히바 | 1920년–1924년 | 62200km2 | 800,000명 |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
극동 공화국 | 베르흐네우딘스크, 치타 | 1920년-1922년 | 러시아 | ||
투바 인민 공화국 | 크즐 | 1921년-1944년 | 러시아 (투바 공화국) |
- 투르케스탄 소비에트 연방 공화국은 1918년에 선포되었지만 소련 창설 시점까지 존속하지 못하고,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투르케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 크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타우리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또한 1918년에 선포되었지만, 연방 공화국이 되지 못하고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자치 공화국이 되었다. 크림 타타르족은 1930년대 또는 1940년대까지 이 지역에서 상대적 다수를 차지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공화국들이 단기간 존재했다.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인민 공화국 (1917–1918)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공화국 (1918)
- 베사라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19)
- 리투아니아-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19–1920)
- 갈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20)
- 폴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20)
- 동폴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90)
3. 소련의 헌법적 지위와 국제법
1977년 소련 헌법 제8장은 "소련은 연합 국가이다"라는 제목으로 되어 있었다. 제70조는 연합이 민족의 자유로운 자결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자발적인 연합의 결과로 "사회주의 연방주의" 원칙에 따라 설립되었다고 명시했다. 제71조에는 소련으로 통합된 15개의 연합 공화국이 모두 나열되어 있었다.[3]
1977년 소련 헌법 제76조에 따르면, 연합 공화국은 소련의 다른 소비에트 공화국들과 통합된 주권적인 소비에트 사회주의 국가였다. 헌법 제78조는 연합 공화국의 영토는 그 동의 없이는 변경될 수 없다고 명시했다. 제81조는 "연합 공화국의 주권적 권리는 소련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3]
1936년 소련 헌법 수정안은 각 소비에트 공화국에 대한 적군의 별도 지부를 허용했다. 또한 외무 및 국방에 대한 공화국 수준의 위원회를 허용하여 국제법에서 ''de jure'' 독립 국가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는 1945년 유엔 총회에 창립 멤버로 가입할 수 있었다.[4][5][6]
소련 통화 소비에트 루블 지폐에는 15개 연합 공화국의 모든 국어로 된 글이 포함되어 있었다.
헌법적으로 소련은 연방이었고, 소련 헌법 (1924년, 1936년, 1977년에 채택된 버전)에 명시된 조항에 따라 각 공화국은 소련에서 분리될 권리를 유지했다. 그러나, 실제로 소련은 1980년대 중반까지 고도로 중앙 집권적인 실체였다. 국가 행정 계층과 함께, 정치국이 공화국에 대해 상당한 양의 통제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당 조직의 병렬 구조가 존재했다. 국가 행정 기관은 병렬 당 기관의 지시를 받았으며, 모든 당 및 국가 공무원의 임명은 당 중앙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3. 1. 소련 헌법과 주권
1977년 소련 헌법 제76조는 각 자치를 가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국가가 결합하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결성한다고 명시하였다. 제81조는 "연방 공화국의 자치권은 소련에 의해 보호된다"라고 규정하였다.헌법상 소련은 정부 연합이며, 1924년, 1936년, 1977년 헌법 조항에 따라 각 공화국은 소련으로부터 탈퇴할 권리를 보유했다. 그러나 냉전 시기에는 이러한 권리가 실질적인 의미가 없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7년 헌법 제72조는 1991년 12월에 소련 붕괴의 주요 근거로 활용되었으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가 소련으로부터 탈퇴하는 결과를 낳았다.[1]
3. 2. 국제법상 지위
1944년 수정된 1936년 소련 헌법에 따라 각 소비에트 공화국은 붉은 군대를 분할하여 지부를 설립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외교 및 방위를 위한 국가 수준의 병참을 구축하여 국제법상 법적 독립 국가로 인정받게 되었다.[1]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 SSR과 벨로루시 SSR은 소련뿐만 아니라 1945년 국제 연합 총회의 창립 멤버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1]4. 소련의 정치 구조와 통치 방식
소련은 명목상으로는 연방 국가였지만, 실제로는 소련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 하에 중앙집권적으로 운영되었다. 1977년 소련 헌법 제70조는 소련이 민족의 자유로운 자결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의 자발적인 연합으로, "사회주의 연방주의" 원칙에 따라 설립되었다고 명시했다. 제71조에는 소련을 구성하는 15개 공화국이 나열되어 있다.[3]
1977년 소련 헌법 제76조에 따르면, 각 연합 공화국은 소련의 다른 공화국들과 통합된 주권적인 소비에트 사회주의 국가였다. 제78조는 연합 공화국의 영토는 그 동의 없이는 변경될 수 없다고 명시했으며, 제81조는 "연합 공화국의 주권적 권리는 소련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3] 그러나 이러한 헌법 조항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소련 공산당의 강력한 중앙 통제 하에 운영되었다.
1944년, 1936년 소련 헌법 수정안은 각 소비에트 공화국에 적군의 별도 지부를 허용했다. 또한 외무 및 국방에 대한 공화국 수준의 위원회를 허용하여 국제법에서 ''de jure'' 독립 국가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는 1945년 유엔 총회에 창립 멤버로 가입할 수 있었다.[4][5][6]
소비에트 루블 지폐에는 15개 연합 공화국의 모든 국어로 된 글이 포함되어 있었다.
4. 1. 소련 공산당의 역할
소련에서 소련 공산당은 국가의 모든 분야를 통제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각 공화국에는 전연방 공산당의 지역 지부가 존재했는데, 러시아 SFSR을 제외한 모든 공화국이 이에 해당되었다. 1990년까지 러시아 SFSR은 자체 공산당 지부를 가지지 않았다.[3]국가 행정 계층과 더불어 당 조직의 병렬 구조가 존재하여 정치국이 공화국에 대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국가 행정 기관은 당 기관의 지시를 따랐으며, 모든 당 및 국가 공무원의 임명은 당 중앙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이러한 구조는 소련이 1980년대 중반까지 고도로 중앙 집권적인 체제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4. 2. 중앙집권적 통치 구조
1977년 소련 헌법에 따르면, 각 공화국은 헌법상으로는 소련에서 분리될 권리를 가진 연방 국가였지만, 냉전 기간 동안 이 권리는 사실상 큰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1991년 12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가 연방에서 분리될 때 1977년 헌법의 제72조가 소련 해체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실제로 소련은 1922년 건국부터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이전인 1980년대 중반까지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국가였다. 각 공화국은 국가 행정 계층과 함께, 정치국의 통제를 받는 당 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국가 행정 기관은 당 기관의 지시를 받았으며, 모든 당 및 국가 공무원의 임명은 당 중앙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3]
각 공화국은 고유한 국기, 문장을 가졌고, 러시아를 제외한 모든 공화국은 국가를 가졌다. 소련의 모든 공화국은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다.[16]
5. 소련 해체와 그 이후
1977년 소련 헌법 제76조는 연합 공화국을 소련의 다른 공화국들과 통합된 주권적인 소비에트 사회주의 국가라고 명시했다. 제78조는 연합 공화국의 영토는 그 동의 없이는 변경될 수 없다고 규정했고, 제81조는 "연합 공화국의 주권적 권리는 소련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3]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은 소련 내 각 공화국의 민족주의와 독립 요구를 촉발시켰다. 소련 헌법 (1924년, 1936년, 1977년에 채택된 버전)에 명시된 조항에 따라 각 공화국은 소련에서 분리될 권리를 유지했다. 냉전 기간 동안 이 권리는 무의미한 것으로 널리 여겨졌으나, 1977년 헌법 제72조는 1991년 12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가 연합에서 분리될 때 소련을 효과적으로 해체하는 데 사용되었다.
1991년 12월 8일, 남은 공화국 지도자들은 벨라베자 조약에 서명하여 소련 해체와 독립 국가 연합(CIS) 창설에 동의했다. 12월 25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은 사임하고 모든 권한을 보리스 옐친에게 넘겼다. 다음 날, 민족 평의회는 소련의 해체를 공식적으로 결정했다.
소련 붕괴 이전 10년 동안 소련은 공식적으로 15개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SSR)으로 구성되었다.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RSFSR)을 제외한 모든 공화국은 소련 공산당의 지부로서 각국 고유의 공산당을 가지고 있었다.
1956년부터 1991년까지 존재했던 15개 공화국은 다음과 같다.
1956년부터 1991년까지의 연방 구성 공화국 지도 | |||||||||||||||
---|---|---|---|---|---|---|---|---|---|---|---|---|---|---|---|
국장 | 공화국 | 수도 | 가맹 연도 | 인구 (1989년) | 인구 비율(%) | 면적(km²) (1991년) | 면적 비율(%) | 독립국가 | No. |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모스크바 | 1922 | align=left | | 1 |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키예프 (1934년 이전에는 하리코프) | 1922 | align=left | | 2 |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타슈켄트 (1930년 이전에는 사마르칸트) | 1924 | align=left | | 4 | |||||||||||
알마아타[38] | 1936 | align=left | | 5 |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민스크 | 1922 | align=left | | 3 | |||||||||||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바쿠 | 1922 | align=left | | 7 | |||||||||||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트빌리시 | 1922 | align=left | | 6 | |||||||||||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두샨베 | 1929 | align=left | | 12 | |||||||||||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키시네프 | 1940 | align=left | | 9 |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프룬제 | 1936 | align=left | | 11 |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빌뉴스 | 1940 | align=left | | 8 | |||||||||||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아시하바드 | 1924 | align=left | | 14 | |||||||||||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예레반 | 1922 | align=left | | 13 |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리가 | 1940 | align=left | | 10 |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탈린 | 1940 | align=left | | 15 |
5. 1.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그 영향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통치 아래 1980년대 후반, 소련 정부는 연방을 자유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정치 개혁 프로그램(''글라스노스트'' 및 ''페레스트로이카'')을 시작했다.[14][15] 이러한 개혁은 정치적 자유화와 경제 개혁을 목표로 했지만, 결과적으로 여러 의도하지 않은 정치적, 사회적 영향을 미쳤다.정치적 자유화는 연방 공화국 정부가 정당성을 얻기 위해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원칙을 공개적으로 내세우도록 허용했다. 또한, 정치적 제약 완화는 소련 공산당 내의 분열로 이어져 연방을 효과적으로 통치하는 능력이 감소했다. 공산당의 핵심 역할이 헌법에서 제거되면서, 당은 국가 기계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고, 1991년 소련 쿠데타 시도 이후 운영이 금지되었다.
보리스 옐친을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 및 우익 운동의 부상은 이전에 균일했던 정치 체제에서 연방의 기초를 약화시켰다.
이러한 혼란의 시기 동안, 소련 정부는 공화국의 증가된 권위를 반영하는 새로운 구조를 찾으려고 시도했다. 타타르스탄, 체첸-잉구셰티야, 압하스, 남오세티야, 크림, 트란스니스트리아, 가가우지아와 같은 일부 자치 공화국은 새로운 연합 조약에서 연합 지위를 모색했다. 그러나 신 연합 조약을 설립하려는 노력은 성공하지 못했고, 공화국들은 연방에서 분리되기 시작했다.[14][15]
결국, 고르바초프 정권에 의한 지방 분권과 민주주의로의 개정은 연방 붕괴를 초래하게 되었다.
5. 2. 공화국들의 독립 선언과 소련 해체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통치 아래 소련 정부는 ''글라스노스트''(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개혁)라는 정치 개혁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았다. 정치적 자유화로 인해 각 공화국 정부는 민주주의와 민족주의를 내세울 수 있게 되었고, 공산당 내부 분열은 연방의 통치 능력을 약화시켰다.[14][15]이러한 혼란 속에서, 소련 정부는 새로운 연합 조약을 통해 공화국들의 권한을 강화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타타르스탄, 체첸-잉구셰티야 등 일부 자치 공화국들은 연합 지위를 요구하기도 했다. 결국, 1991년 9월 6일, 소련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발트 3국)의 독립을 인정했다.[7][8]
발트 3국은 1940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에 따른 소련의 병합이 불법이라고 주장하며, 소련 점령 하에서도 독립 국가로 남아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입장은 유럽 연합,[9] 유럽 인권 재판소,[10] 유엔 유엔 인권 이사회[11] 및 미국의 지지를 받고 있다.[12] 반면, 러시아 정부는 발트 3국에 대한 소련의 합병이 정당했다고 주장한다.[13]
1991년 12월 8일, 남은 공화국 지도자들은 벨라베자 조약에 서명하여 소련 해체와 독립 국가 연합 창설에 합의했다. 12월 25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은 사임하고 모든 권한을 보리스 옐친에게 넘겼다. 다음 날, 민족 평의회는 소련의 해체를 공식적으로 결정했다. 이후 각 공화국은 독립 국가가 되었으며, 일부는 자유주의 의회 공화국으로, 다른 일부는 구 공산당 엘리트의 지도 아래 권위주의 국가로 변모했다.
5. 3. 독립 국가 연합(CIS)의 형성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치(글라스노스트, 페레스트로이카)의 영향으로 1980년대 후반, 소련 내 각 공화국들에서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졌다. 이들은 정치적 자유화와 맞물려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원칙을 내세우기 시작했고, 이는 소련의 결속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보리스 옐친을 중심으로 한 러시아 내 민족주의 운동은 소련의 기반을 흔들었다. 결국, 공산당의 역할이 축소되고, 1991년 소련 쿠데타 시도 이후 활동이 금지되면서 소련은 해체의 길을 걷게 되었다.이러한 혼란 속에서, 소련 정부는 새로운 연합 조약을 통해 연방을 유지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1991년 12월 8일, 벨라베자 조약을 통해 소련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고, 독립 국가 연합(CIS)이 결성되었다. 1991년 12월 고르바초프 대통령은 사임하고, 소련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조지아와 발트 3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 소련 공화국들은 독립 국가 연합(CIS)을 결성하여 느슨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준회원국이며, 우크라이나는 2014년에 사실상 탈퇴하였다.[7][8]
6. 한국과의 관계
한국은 소련과 1990년에 수교하였으며, 소련 해체 이후 각 독립국들과 개별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7. 자치 공화국
소련을 구성하는 각 공화국 중에는 공화국 내에 자치 공화국을 가진 곳도 있었다. 이들 자치 공화국은 소련 구성 공화국 내의 자치 국가로 여겨졌으나, 실제로는 연방의 직할 통치를 받았다.[24]
7. 1. 자치 공화국의 지위와 역할
자치 공화국(ASSR)은 각 연방 공화국의 행정 구역 일부였지만, 민족/문화적 경계를 따라 설치되었다.[24]소련 헌법에 따르면, 연방 공화국이 소련 탈퇴에 투표하는 경우, 자치 공화국, 자치주, 자치구는 국민투표를 통해 소련에 남을지, 분리되는 연방 공화국과 함께 떠날지, 아니면 국가-법적 지위를 제기할지 여부를 독립적으로 결정할 권리를 가졌다.[24]
7. 2. 주요 자치 공화국 목록
소련의 여러 공화국, 특히 러시아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ASSR)으로 세분화되었다. ASSR은 각 연방 공화국의 행정 구역의 일부였지만, 민족/문화적 경계에 따라 설립되었다.[24]문장 | 이름 | 기 | 가입 연도 | 수도 | 공식 언어 | 면적 (km2)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탈소련 대상 |
---|---|---|---|---|---|---|---|---|
압하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1–1992 | 수후미 | 압하스어, 조지아어, 러시아어 | 8600km2 | 조지아 SSR | 압하스 | ||
아자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21–1990 | 바투미 | 조지아어, 러시아어 | 2880km2 | 조지아 SSR | 아자리아 | ||
바슈키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19–1991 | 우파 | 바슈키르어, 러시아어 | 143600km2 | 러시아 SFSR | 바슈코르토스탄 | ||
부랴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23–1990 | 울란우데 | 부랴트어, 러시아어 | 69857km2 | 러시아 SFSR | 부랴티야 | ||
![]() | 체첸-잉구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6–1944 1957–1991 | 그로즈니 | 체첸어, 잉구쉬어, 러시아어 | 19300km2 | 러시아 SFSR | 체첸, 잉구셰티야 | |
추바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25–1992 | 체복사리 | 추바시어, 러시아어 | 18300km2 | 러시아 SFSR | 추바시야 | ||
다게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21–1991 | 마하치칼라 | 아굴어, 아바르어, 아제르바이잔어, 체첸어, 쿠미크어, 레즈기어, 락어, 노가이어, 타바사란어, 타트어, 러시아어 | 50300km2 | 러시아 SFSR | 다게스탄 | ||
-- | 카바르디노-발카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6–1944 1957–1991 | 날치크 | 카바르딘어, 카라차이-발카르어, 러시아어 | 12500km2 | 러시아 SFSR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
칼미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5–1943 1958–1991 | 엘리스타 | 칼미크어, 러시아어 | 76100km2 | 러시아 SFSR | 칼미크 공화국 | ||
![]() | 카라칼파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2–1991 | 누쿠스 | 카라칼파크어 (1956-1980년대), 러시아어 | 165000km2 | 우즈베크 SSR | 카라칼파크스탄 | |
카렐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23–1940 1956–1991 | 페트로자보츠크 | 핀란드어 (1956-1980년대), 러시아어 | 147000km2 | 러시아 SFSR | 카렐리야 | ||
코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6–1990 | 식티프카르 | 코미어, 러시아어 | 415900km2 | 러시아 SFSR | 코미 공화국 | ||
마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6–1990 | 요시카르올라 | 마리어 (평원 및 고지 변형), 러시아어 | 23200km2 | 러시아 SFSR | 마리 엘 | ||
![]() | 모르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4–1990 | 사란스크 | 에르자어, 목샤어, 러시아어 | 26200km2 | 러시아 SFSR | 모르도비야 | |
-- | 나히체반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21–1990 | 나히체반 | 아제르바이잔어, 러시아어 | 5500km2 | 아제르바이잔 SSR | 나히체반 | |
북오세티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6–1993 | 오르조니키제 | 오세트어, 러시아어 | 8000km2 | 러시아 SFSR | 북오세티야 | ||
![]() | 타타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20–1990 | 카잔 | 타타르어, 러시아어 | 68000km2 | 러시아 SFSR | 타타르스탄 | |
투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61–1992 | 키질 | 투바어, 러시아어 | 170500km2 | 러시아 SFSR | 투바 | ||
![]() | 우드무르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34–1990 | 이제프스크 | 우드무르트어, 러시아어 | 42100km2 | 러시아 SFSR | 우드무르티야 | |
야쿠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22–1991 | 야쿠츠크 | 야쿠트어, 러시아어 | 3083523km2 | 러시아 SFSR | 사하(야쿠티야) 공화국 | ||
고르노-알타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25] | 1990–1991 | 고르노-알타이스크 | 알타이어alt, 러시아어 | 92600km2 | 러시아 SFSR | 알타이 공화국 |
참조
[1]
서적
Democratization and revolution in the USSR, 1985-1991
https://archive.or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
웹사이트
Карелия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1940-х — в 1960-е (Karelia in the second half of 1940s - 1960s)
http://welcome-karel[...]
[3]
서적
Federalism and the Dictatorship of Power in Russia By Mikhail Stoliarov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4
[4]
뉴스
Walter Duranty Explains Changes In Soviet Constitution
https://news.google.[...]
1944-02-06
[5]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Timeline – Chronology 1944
http://www.indiana.e[...]
Indiana.edu
[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 Founding Members
https://www.un.org/d[...]
Un.org
[7]
웹사이트
The Occupation of Latvia a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Latvia
http://www.am.gov.lv[...]
Am.gov
2007-10-31
[8]
뉴스
Estonia says Soviet occupation justifies it staying away from Moscow celebrations
http://newsfromrussi[...]
2005-05-03
[9]
웹사이트
Motion for a resolution on the Situation in Estonia
http://www.europarl.[...]
European Union
[10]
문서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cases on Occupation of Baltic States
[1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Report
http://ap.ohchr.org/[...]
Ap.ohchr.org
[12]
웹사이트
U.S.-Baltic Relations: Celebrating 85 Years of Friendship
http://merln.ndu.edu[...]
U.S. Department of State
2007-06-14
[13]
뉴스
Russia denies Baltic 'occup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14]
서적
Autopsy for an Empire: the Seven Leaders who Built the Soviet Regime
Free Press/Simon and Schuster
1998
[15]
간행물
Federalism or Federationism. A book review of: Federalism, Democratization and the Rule of Law in Russia by Jeffrey Kahn
2002-05
[16]
서적
World History
Parragon Books
[17]
서적
Resolution on the situation in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European Parliament
[18]
서적
Handbook of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State Continuity and Nationality: The Baltic States and Russia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
서적
The roundtable talks and the breakdown of commun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서적
Dictionary of East European history since 1945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22]
서적
Eastern Europe since 1970
Longman
[23]
뉴스
Soviets may be poised to annex the Afghan North
http://archives.chic[...]
Chicago Tribune
1984-08-19
[24]
웹사이트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ЗАКОН О порядке решения вопросов, связанных с выходом союзной республики из СССР
https://docs.cntd.ru[...]
2022-06-13
[25]
문서
Known as Oyrot Autonomous Oblast in 1922-1948 and [[Gorno-Altai Autonomous Oblast]] in 1948-1990.
[26]
서적
Democratization and revolution in the USSR, 1985-1991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7]
서적
Federalism and the Dictatorship of Power in Russia
https://books.google[...]
Mikhail Stoliarov
[28]
뉴스
Walter Duranty Explains Changes In Soviet Constitution
https://web.archive.[...]
1944-02-06
[29]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Timeline - Chronology 1944
http://www.indiana.e[...]
[3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 Founding Members
http://www.un.org/de[...]
[31]
웹사이트
The Occupation of Latvia
http://www.am.gov.l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Latvia
[32]
뉴스
Estonia says Soviet occupation justifies it staying away from Moscow celebrations - Pravda.Ru
http://newsfromrussi[...]
[33]
웹사이트
Motion for a resolution on the Situation in Estonia
http://www.europarl.[...]
European Union
[34]
문서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cases on Occupation of Baltic States
[3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Report
http://ap.ohchr.org/[...]
[36]
웹사이트
U.S.-Baltic Relations: Celebrating 85 Years of Friendship
http://merln.ndu.edu[...]
U.S. Department of State
2007-06-14
[37]
뉴스
Russia denies Baltic 'occup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38]
문서
アスタナに移転
[39]
문서
ソ連による独立の承認は1926年
[40]
문서
아시아면적:13,115,200Km²76.5% 유럽면적:3,987,036Km²23.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