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원 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원 백씨는 백씨의 분파 중 하나로, 시조 백우경의 동래설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고려 시대 백창직을 중시조로 한다. 백창직의 후손들은 29개 파로 분파되었으며, 그중 백천장의 후손들을 수원 백씨라고 한다. 수원 백씨는 조선 시대에 융성하였으며, 백인걸, 백용성 등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35만 명으로, 전국 각지에 집성촌이 분포하고 있다. 수원 백씨는 항렬자를 사용하여 족보를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 백씨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수원 백씨 - 백두진
    백두진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치인, 금융인으로, 조선은행 이사장, 한국은행 이사장, 재무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국회의장, 유신정우회 의장 등을 지냈다.
수원 백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수원 백씨의 종문
수원 백씨의 종문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수원시
창시자(백우경)
관련 구성원백종원
백진희
백지헌
백아연
백예린
백지영
백성현
역사
시조(백우경)
중시조백창직(白昌稷)
인구
2015년354,428명
주요 인물
기타 정보
관련 웹사이트수원백씨중앙종친회

2. 역사

『백씨대동보(白氏大同譜)』에 따르면, 시조 '''백우경'''(白宇經)은 중국 소주(蘇州) 출신으로 당나라에서 벼슬을 하다 780년 (신라 선덕왕 1년) 신라에 귀화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계대(系代)가 불분명하여, 고려 경명왕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백창직'''(白昌稷)을 중시조(中始祖)로 한다.[6]

백창직의 증손 휘(白揮)가 고려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졌다고 하나 사적이 없고, 그의 9세손 천장(白天藏)이 원나라에서 벼슬을 지내고 귀국하여 고려 충선왕 때 수성백(隋城伯)에 봉해졌다고 하나 이 역시 사적에 없다. 수성은 수원의 옛 이름이다.

1427년(세종 9) 백효삼(白效參)은 친시(親試)에서 본관을 '수원'으로 기재하였다. 백효삼은 임천 백씨 백경신(白景臣)의 아들 진식(眞植)의 후손인 백천장(白天藏)의 현손이다. 1850년대부터 수원으로 본관을 통합하려는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2. 1. 시조 동래설 문제점

시조 백우경의 동래설은 당나라 덕종 연간인 780년에 소주에서 통일신라로 정치적 망명을 했다는 경주부사 민주면이 1669년에 간행한 동경잡기의 기록에서 비롯되었는데, 그 출처는 1637년에 간행된 대흥백씨 정축구보의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 명확한 고증을 위한 사료로서의 가치는 없다.[1]

진필명(秦弼明)은 한반도 진씨의 시조로 624년에 출생하여 660년 나·당 연합군에 참전하였다.[1] 그의 증손자 진자윤(秦自潤)의 처가 백씨로 진씨 족보에 기록되어 있는데, 대략 710년~720년에 출생한 사람으로 추정되어 시조 백우경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나이가 많으므로 시조의 동래설은 의심되는 바이다.[1] 전주 이씨 시조인 이한의 5세손 이입전(李立全)의 배우자는 한림학사 백광선(白光善)의 딸이라고 선원록에 기록되어 있으나, 장인인 백씨는 대략 730~740년대 사람으로 추정되지만 지금의 백씨족보에는 나오지 않는다.[1]

2. 2. 조선 시대

1454년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수원 백씨가 개성에서 왔다고 기록되어 있다.[6] 이는 고려 멸망 후 조선 건국 과정에서 백씨 일족이 개성에서 한양으로 이주했음을 시사한다. 사적으로 볼 때 수원을 본관으로 처음 쓴 사람은 백효삼이다. 조선조에 백효삼(白效參)의 후손들이 잇달아 중앙 관료로 진출하면서 자손들이 번성하여 조선 말에는 백씨 일족 중에서도 대관(大貫)이 되었다. 백효삼의 증손은 문신 백인걸(白仁傑)이다.

3. 본관 연혁

수원은 선사 시대에 '모수국'으로 불렸다 한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백제한강 이남에서 몰아낸 후 '매홀군'(買忽郡)으로, 신라 경덕왕 때에는 '수성군'(水城郡)으로 그 명칭을 고쳤다.

940년(태조 23)에 '수주'(水州)로 승격하여 한남 또는 수성이라 불리기도 했다. 995년(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 이를 파하고, 1018년(현종 9)에 다시 지수주사(知水州事)로 삼았다. 1271년(원종 12)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키고, 그 뒤에 또 목(牧)으로 승격시켰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모든 목(牧)을 없앰에 따라 수원부(水原府)로 강등되었다. 1362년(공민왕 11) 군(郡)으로 강등시켰는데, 후에 다시 부(府)로 되었다.

조선 개국 직후인 1394년(태조 3) 한양 천도와 더불어 양광도에서 경기도로 편입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수원'(水原)으로 개명되어 수원도호부와 남양도호부가 설치되었다.

조선 중기까지 한적한 촌락에 불과하던 수원은 정조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무덤 영우원(永祐園)을 양주에서 수원의 화산으로 이전하여 현륭원(顯隆園)으로 개칭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원(移園)과 함께 도시 방어를 위한 수원 화성과 왕의 능행차 때 묵는 화성 행궁이 건립되었다. 정조는 자신의 친위부대인 장용영의 외영을 수원에 두어 상업이 발전하였으며, 도호부에서 유수부로 승격되어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1800년(순조 원년) 정조가 사망한 후 수원에 대해 베풀던 특권이 폐지되면서 쇠퇴하였다.[1]

4. 분파

백씨는 중시조 백창직의 후대에서 29개 파로 분파되었다. 중시조 백창직의 아들 길(吉)의 후손이 28개 파를 이루고, 백탁(白卓)의 후손은 문간공파 뿐이다.

백길의 후손 중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 선정공파(선산 백씨): 11세 백인관(白仁寬)의 후손
  • 인주공파(정주 백씨): 12세 백역(白繹)의 후손
  • 오산군파(청도 백씨): 13세 백계영(白桂英)의 후손
  • 장단공파: 13세 백유(白維)의 후손
  • 담암공파(대흥 백씨): 10세 백문보(白文寶)의 후손
  • 양곡공파: 6세 백무신(白武臣)의 후손
  • 태사공파(홍주 백씨): 6세 백가신(白可臣)의 후손


백간미(白簡美)의 다섯째 아들 경신(景臣)의 후손인 9세 백천장(白天藏)의 후손들은 17개 파로 분파하였는데, 이들을 수원 백씨라 한다.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 정신재공파(장흥/해미 백씨): 12세 백장(白莊)의 후손. 해미 백씨에서 태인 백씨가 분적.
  • 좌랑공파: 14세 백사순(白思純)의 후손
  • 훈정공파: 16세 백인현(白仁賢)의 후손
  • 도승지공파: 16세 백인영(白仁英)의 후손
  • 참봉공파: 16세 백인웅(白仁雄)의 후손
  • 별좌공파: 16세 백인호(白仁豪)의 후손
  • 문경공파: 16세 백인걸(白仁傑)의 후손
  • 청산공파: 백효옹(白效雍)의 후손
  • 산음공파: 백효연(白效淵)의 후손
  • 임피공파: 백효약(白效若)의 후손
  • 봉익대부공파: 11세 백인석(白仁碩)의 후손
  • 보공장군공파: 13세 백운실(白雲實)의 후손
  • 부사공파(직산 백씨): 12세 백수희(白受禧)의 후손[1]
  • 금릉부원군파(김천 백씨): 12세 백수(白粹)의 후손
  • 함판공파: 17세 백응상(白應祥)의 후손
  • 절제공파: 18세 백흥남(白興男)의 후손
  • 수의부위공파(부령 백씨): 백천장의 여섯째 아들 백거(白琚)의 후손


백천장의 동생 백지장(白地藏)의 후손은 동림공파(임천 백씨)이다.

그 외 분파는 다음과 같다:

  • 시랑공파(태천 백씨): 5세 백행미의 후손
  • 사부공파(신풍 백씨): 백가미(白可美)의 후손
  • 부여군파(부여 백씨): 6세 백영신(白英臣)의 후손
  • 문간공파(남포 백씨): 중시조 백창직의 둘째 아들 백탁(卓)의 후손


조선시대에는 수원 백씨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번성하여, 전체 백씨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5. 인물

수원 백씨는 조선시대와 근현대에 걸쳐 여러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

백사수는 조선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정(訓正)을 지냈고, 백충원은 조선 중종 때 이과에 급제하였다. 백인영은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도승지(都承旨)를 지냈으며, 백유양은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의(吏議)를 지냈다.[1][2][3][6]

백인걸조광조의 문인이자 이이, 성혼의 스승으로 유명하다. 백유함은 임진왜란 때 선조를 모시고 명나라 군량 조달 임무를 맡았다.[4][5]

백광현은 조선 현종, 인선왕후, 숙종의 종기를 치료하여 어의가 되었고, 백동수무예도보통지 편찬에 참여했다.

백용성과 백정기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이며, 백인제6.25 전쟁 때 납북되기 전까지 한국 의술계의 선구자였다.

5. 1. 역사 속 인물


  • 백사수(白思粹) : 1454년 문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정(訓正)을 지냈다.[1]
  • 백충원(白忠原) : 2014년 이과에 급제하였다.[2]
  • 백인영(白仁英) : 1537년 문과에 급제하여 도승지(都承旨)를 지냈다.[3]
  • 백인걸(白仁傑, 1497년 ~ 1579년) : 조광조의 문인이자, 이이성혼의 스승이다. 선조 때 직제학, 이조참판, 대사간, 대사헌을 거쳐 공조참판을 지냈으며, 1579년 지중추부사가 되어 당쟁의 폐단을 지적하고 군비 확장을 강조했다. 사후 종1품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고 1603년 청백리로 선정되었다.[4]
  • 백유함(白惟咸, 1546년 ~ 1618년) :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로 모시고 가서 직제학(直提學)이 되었으며, 명나라의 군량(軍糧) 조달 임무를 맡았다. 1594년 동부승지·좌부승지를 지냈고, 1597년 정유재란 때 호군(護軍)으로 명나라 사신 정응태(丁應泰)를 만나 일본과의 화의(和議)를 의논하였다.[5]
  • 백유양(白惟讓, 1530년 ~ 1589년) : 1572년 문과에 급제, 이조참의(吏議)를 지냈다.[6]
  • 백광현(白光炫, 1625년 ~ 1697년 ) : 독학으로 침술을 익혔다. 처음에는 말의 병을 고치는 마의였으나, 사람의 종기를 치료하는 의원으로 전업했고, 악성 종기로 죽어가는 수많은 사람을 치료하였다. 1670년 현종의 종기를 완치하여 어의가 되었고, 인선왕후, 숙종의 종기를 치료하였으며, 1691년 정2품 정헌대부 지중추부사, 1692년 종1품 숭록대부에 올랐다. 숙종실록 29권에 '백광현은 종기를 잘 치료하여 많은 효과가 있으니 세상에서는 신의라고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 백동수(白東脩, 1743년 ~ 1816년) : 무예가 뛰어나 당대 창검의 1인자로 꼽혔다. 1790년 정조의 명으로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를 편찬했다.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등 북학파와 깊이 교류하였는데, 이덕무는 "백동수는 딴 세상을 노니는 사람 같았다."고 평하였다. 당대 제일의 무인이지만, 학문과 서예에도 뛰어난 경지를 보여 박지원, 성대중 같은 대학자들로부터 '무(武)로써 문(文)을 일궜다'는 평가를 받았다.
  • 백용성(白龍成, 1864년 ~ 1940년) :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불교계를 대표하여 독립선언문에 서명했다. 옥고를 치른 후에도 일본의 종교 정책에 맹렬히 반대하여 대각교(大覺敎)를 창설하고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사후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백정기(白貞基, 1896년 ~ 1934년) : 독립운동가. 3·1 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선언문을 가지고 고향에서 항일운동을 이끈 이후 평생을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33년 일경에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1934년 6월 순국하였다. 사후 1946년 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3의사의 유해를 일본에서 수습하여 7월 6일 국민장을 거행하고 효창공원 3의사 묘역에 안장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백인제(白麟濟, 1898년 ~ ? ) : 1915년 경성의전에 입학, 3·1 운동에 가담하였다가 투옥되었다. 1941년 백외과(현재 백병원)를 개업하였고, 해방 후 서울의과대학(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장, 서울의사회 초대회장, 대한외과학회 초대 및 3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당시 국내 의술계의 제1인자로 손꼽혔다. 6.25 전쟁 때 납북되었다.

5. 2. 근현대 인물


  • 백용성(1864년 ~ 1940년) :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이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불교계를 대표하여 독립선언문에 서명했다. 옥고를 치른 후에도 일본의 종교 정책에 맹렬히 반대하여 대각교(大覺敎)를 창설하고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백정기(1896년 ~ 1934년) : 독립운동가이다. 3·1 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선언문을 가지고 고향에서 항일운동을 이끈 이후 평생을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33년 일경에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1934년 6월 순국하였다. 1946년 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3의사의 유해를 일본에서 수습하여 7월 6일 국민장을 거행하고 효창공원 3의사 묘역에 안장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백인제(1898년 ~ ?) : 1915년 경성의전에 입학, 3·1 운동에 가담하였다가 투옥되었다. 1941년 백외과(현재 백병원)를 개업하였고, 해방 후 서울의과대학(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장, 서울의사회 초대회장, 대한외과학회 초대 및 3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당시 국내 의술계의 제1인자로 손꼽혔다. 6.25 전쟁 때 납북되었다.

6. 현대 한국 사회의 백씨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백씨는 약 3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 미만이다. 지역별로는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902명(2.73%)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5]

7. 집성촌


8. 항렬자

수원 백씨는 중시조를 1세로 하여 다음과 같은 항렬자를 사용한다.[4]

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
사(師)동(東)口진(鎭)口수(洙)낙(樂)남(南)口균(均)
口기(基)
口현(鉉)
口호(鎬)
口흠(欽)
승(承)
운(雲)
종(種)
인(寅)
口열(烈)
口하(夏)
口규(圭)
口재(在)
선(善)
용(鎔)
순(淳)
태(泰)
口식(植)
口근(根)
口환(煥)
口섭(燮)
수(壽)
중(重)
상(商)
경(庚)
口윤(潤)
口해(海)
口영(榮)
口주(柱)
연(然)
희(熙)
곤(坤)
진(珍)
口은(銀)
口석(錫)
口호(浩)
口준(浚)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수원 백씨 水原白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4] 웹사이트 항렬자 http://www.suwonbaek[...] 2024-06-05
[5]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6]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