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생화된 고양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생화된 고양이는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 '길고양이' 등과 같은 용어로도 불리며, 지역과 전문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유기된 고양이가 야생에서 적응하여 야생화된 고양이가 되며, 행동, 생태, 질병, 먹이, 천적 등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야생화된 고양이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소동물을 포식하여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섬 지역의 토착종에게 위협이 된다. 개체 수 조절을 위해 포획 후 안락사, 중성화 후 방생(TNR) 등의 방법이 사용되며, TNR의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본에서는 야생 고양이와 길고양이를 구분하여 관리하며, 한국에서도 야생화된 고양이 문제 해결을 위해 동물 복지와 생태계 보전을 고려한 정책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2. 정의

"야생화된 고양이"라는 용어는 전문 분야와 국가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지며,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고양이", "길고양이", "골목 고양이" 또는 "길고양이"와 같은 다른 용어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4] 동물구조단체나 수의사,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유기묘와 야생화된 고양이를 구분하지만,[14] 그 경계는 모호하다.[15] 일반적으로 주인 있는 집고양이가 가출하거나 유기되어 유기묘가 되고, 야생에서 일정 기간 동안 살면서 야생에 적응하면 야생화된 고양이가 되는 것으로 본다.[15]

로마 Largo di Torre Argentina의 야생화된 고양이. 파올로 몬티의 1969년 사진.


야생화된 고양이를 "동네고양이"로 재정의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생물학자들은 이러한 용어가 야생화된 고양이가 환경 문제라는 사실을 은폐하기 위한 완곡어법이라고 비판한다.[16]

영국에서 야생화된 고양이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선택하지 않고, 인간의 도움 유무와 관계없이 생존하며, 붙잡혔을 때 다뤄지기보다는 숨거나 방어하는 고양이를 의미한다.[14]

메시나 항구의 반야생 고양이 군락. 지역 어부들이 정기적으로 먹이를 주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1991년부터 야생 고양이를 보호하고 있으며, 고양이를 죽이는 것은 불법이다.[17] 로마에서는 수의 공공 서비스 수의사가 외과적으로 중성화 수술을 실시한다.[17]

미국의 구조 및 수의 시설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야생화된 고양이에 대한 널리 통용되는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9]

호주 정부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이나 도움 없이 살아가는 고양이를 야생 고양이로 분류하며, 인간에게 의존하는 주인이 없는 고양이는 반야생 또는 길고양이로 분류한다.[72][20]

농장 고양이


'''농장 고양이'''는 농업 농장의 고양이 군집에서 야생 또는 반야생 상태로 생활하는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집고양이다.

일본에서 야생 고양이(노네코)와 길고양이(노라네코)는 모두에게 유전적인 차이는 전혀 없으며, 인간의 관여, 주로 식생활에 의해 구분한다고 하지만, 인간의 관여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해부를 하지 않는 한 개체에 의한 판별은 어렵다고 한다.[152]

2. 1. 한국의 길고양이

3. 분포

야생화된 고양이는 가장 널리 분포하는 육상 육식동물이다.[39][40][41][42][43] 북위 55°에서 남위 54.3° 사이의 다양한 기후대와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지중해의 섬에서 발견된다.[39][40][41][42][43] 여기에는 카나리아 제도, 포르크로, 다센 섬, 마리온 섬, 후안 데 노바 섬, 레위니옹, 하지마지마, 오키나와 섬, 라울 섬, 헤레코파레 섬, 스튜어트 섬, 맥쿼리 섬, 갈라파고스 제도, 샌 클레멘테 섬, 이슬라 나티비다드, 산 호세 섬, 뉴 섬 등이 포함된다.[39][40][41][42][43] 야생화된 고양이는 육생육식동물로서, 북위 55도에서 남위 54.3도 사이에 있는 대륙 및 도서에 서식한다.[200][201][202][203][204]

아이노시마, 하지마지마, 아오시마 등 일본의 섬에서도 야생화된 고양이 집단이 발견된다.[44][45][46] 하와이 제도의 야생화된 고양이 개체군은 주로 유럽 기원으로, 19세기에 배를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47]

로마의 야생화된 고양이 집단은 1991년부터 감시되어 왔다.[17] 마드리드, 예루살렘 및 오타와에서 도시 야생 고양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48][49][50]

4. 행동 및 생태

야생화된 고양이는 인간의 손길을 거부하고, 인간과 마주쳤을 때 가능하다면 뒷걸음질치거나 달아난다. 덫에 걸리면 하악질을 하고 으르렁거리며 이빨을 내보내고 공격한다.[205] 일부 야생화된 고양이는 자신에게 주기적으로 먹이를 주는 인간 주변에서 좀더 편안함을 느끼는 것 같지만, 대개 인간으로부터 숨어서 먼저 다가오지 않는다.[206]

야생화된 고양이들은 작은 행동권을 갖는다. 수컷이 암컷에 비해 2 - 3배 큰 행동권을 가지며, 그 면적은 평균 10 헥타르 정도다. 하지만 행동권 면적은 최대 300 헥타르, 최소 1 헥타르까지 변동할 수 있다. 행동권의 크기는 번식철인지 여부, 암컷이 존재하는지 여부, 거세되었는지 여부, 고양이의 나이, 그날의 시각, 먹이 접근성 등에 따라 변동한다.[207]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환경에서 야생화된 고양이는 인간을 피한다. 그들은 인간에게 만져지거나 잡히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그럴 수 있을 때는 뒷걸음질 치거나 도망간다. 갇히면, 그들은 쉿 소리를 내고, 으르렁거리고, 이빨을 드러내거나, 할퀴려 한다.[51] 그들은 인간에게서 상당히 숨어 지내며 접근하지 않지만, 일부 야생화된 고양이는 규칙적으로 먹이를 주는 인간 주변에서 점차 편안해진다.[52]

대부분의 야생화된 고양이는 작은 행동권을 가지지만, 일부는 더 일시적이며 먼 거리를 이동한다. 수컷 야생화된 고양이의 행동권은 일반적으로 암컷 고양이보다 2~3배 더 크며, 평균적으로 10 ha 미만이지만 거의 300 ha에서 1 ha 미만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변동성은 종종 번식기, 암컷 접근성, 고양이의 중성화 여부, 나이, 시간, 그리고 먹이의 가용성 때문이다.[53]

야생화된 고양이는 생존하기 위해 인간 정착지의 존재에 의존한다. 군집과 떠돌이 야생화된 고양이는 도시 및 농장과 같은 도시, 교외, 농촌 개발 지역에 정착하며, 먹이나 먹이 동물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정착한다. 인간 정착지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야생화된 고양이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54] 야생화된 고양이는 다른 작은 포유류와 파충류를 잡아먹지만, 그들의 행동권은 먹이 동물의 계절별 가용성을 반영하여 변하지 않는다.[55] 이는 야생화된 고양이가 상당히 일정한 행동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동은 짝의 가용성, 인간 관련 식량원의 일관성 또는 다른 덜 일시적인 자극을 더 잘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들고양이 군락


들고양이는 종종 군락이라고 불리는 집단으로 생활하며, 군락은 식량 공급원과 은신처 근처에 위치한다.[56] 연구자들은 군락 내 들고양이들 사이의 우열 서열의 존재, 정도, 구조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51][57] 군락에서 독재적 및 선형 서열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서열이 관찰되었다. 일부 군락은 상대적 서열과 같은 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개별 고양이의 사회적 지위는 위치, 시간 또는 고양이가 참여하는 활동, 특히 먹이 섭취와 짝짓기에 따라 달라진다.[58][59]

'관리 군락'은 사람들에 의해 관리되며, 사람들은 고양이에게 음식과 물을 제공하고, 은신처와 수의학적 치료를 제공하며, 포획-중성화-재방사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입양을 위해 사회화될 수 있는 고양이를 위한 임시 보호처를 찾고, 이웃 사람들을 교육한다.[56][60]

들고양이는 생활권이 겹칠 때 군락에서 군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양이가 가정에서 떠나고 일부 들고양이와 반들고양이가 가정 생활에 사회화되어 애완동물이 되면서 군락의 개체 수가 변동한다.[61]

4. 1. 사회화

야생 고양이는 포획하여 사회화 훈련을 거친 후 입양될 수 있다. 새끼 고양이가 사회화되기 어려워지는 시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일반적으로 생후 7주에서 4개월 사이로 알려져 있다.[19][62][63] 나이가 많은 고양이도 때때로 사회화가 가능하지만, 매우 길고 어려운 과정이며, 고양이가 친해지는 경우는 드물고 여전히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14][63]

2013년 영국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구조자들은 수의사보다 성체 야생 고양이를 길들이려는 경향이 더 높았다. 수의사들은 이러한 행위에 더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부는 가정 환경에서 그러한 고양이의 복지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14] 2010년 미국 수의사 및 구조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조사에서, 응답자의 66%가 새끼 고양이 사회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고, 8%가 성체 고양이 사회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19]

필리핀 파라냐케에서는 네티즌들이 푸스핀(Pusang Pinoy) 또는 길잃은 고양이를 위한 고양이집을 위한 목재 고양이 집인 "Cat Homes"를 칭찬했다.[64]

5. 건강

야생 고양이는 모든 고양이와 마찬가지로 광견병, 바르토넬라증, 톡소플라즈마증,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바이러스, 외부 및 내부 기생충,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FIV),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FeLV), 리케차 감염, 링웜, 그리고 고양이 호흡기 질환 복합체( 고양이 헤르페스바이러스 1형,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클라미도필라 펠리스'', ''미코플라스마 헤모펠리스''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군)를 포함한 질병 및 감염에 취약하다.[80]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와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는 ''레트로바이러스과''에 속하며, 둘 다 고양이에게 면역 억제를 일으켜 다른 감염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야생 고양이 개체군에서 이러한 바이러스의 유병률은 낮으며, 미국에서 사육되는 고양이의 유병률과 유사하다.[81][82]

미국 플로리다 북부에서 553마리의 야생 고양이를 연구한 연구자들은 고양이 또는 인간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여러 감염에 대해 검사했다. 연구 결과 가장 흔한 감염은 인간에게 고양이 할큄병을 유발하는 ''바르토넬라 헨젤라에''로, 고양이의 33.6%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는 다음으로 흔한 감염으로, 고양이의 18.3%에서 발견되었지만, 양성 반응을 보인 대부분의 고양이에서 항체 수치가 낮았으며, 검사한 고양이가 애완 고양이보다 바이러스를 배출할 위험이 더 크지 않은 것으로 결론지었다.[82] 캐나다 프린스에드워드섬에서 96마리의 야생 고양이를 연구한 연구자들은 고양이 회충이 해당 개체군의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감염으로, 고양이의 34%가 감염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다음으로는 ''톡소플라스마 곤디''가 29.8%의 고양이에서 검출되었지만, 분변 샘플을 사용할 수 있었던 78마리의 고양이 중 1마리만이 ''T. 곤디'' 난포자를 배출했다. 그들은 수집된 대부분의 분변 샘플에서 한 종류의 장내 기생충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냈으며, 일부 샘플에서는 여러 기생충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냈다.[83]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야생 고양이와 관련된 광견병 위험에 대해 경고해 왔다. 광견병에 걸린 고양이와의 접촉으로 인해 감염된 사람이 16%에 달하면서, 1970년대 개 광견병 통제 노력이 시작된 이후 미국에서 고양이는 인간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주요 동물이었다.[84] 2010년에는 미국 내에서 303마리의 광견병에 걸린 고양이가 보고되었다.[80] 일부 고양이 군집 관리 프로그램에서는 광견병 백신 투여가 포함되지만, 몇 년마다 재접종을 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이를 유지하기가 어렵다.[84] 또한, 기록 부족으로 인해 백신 접종을 받은 야생 고양이와 접촉하더라도 노출 후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80]

프린스에드워드 섬의 야생 고양이에 대한 연구에서는 장내 기생충 전파와 관련하여 "상당한 인수공통감염병 위험"을 경고했다. 연구 저자들은 연구에서 고양이의 ''톡소포자충''과 관련된 큰 위험에 대한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지만, 인간 감염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감염을 전파하지 않던 고양이도 스트레스를 받으면 기생충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83]

중성화 후 방생한 고양이에 대한 사후연구 결과, 연구된 고양이 가운데 83%가 6년 이상 살았으며, 그 중 절반 이상은 첫 발견 당시 이미 연령 미상의 성묘였기 때문에 실제 수명은 더 길 것으로 예상된다.[212] 이는 고양이 수명이 평균 7.1년이라는 1984년 연구와 비교된다.[213] 플로리다에서 포획-중성화-재방사 (TNR) 프로그램에 참여한 야생 고양이에 대한 연구 결과, "인도적인 이유로 쇠약해진 고양이의 안락사는 거의 필요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73] 미국 내 다양한 지역의 TNR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만 마리 이상의 야생 고양이와 길고양이에 대한 추가 연구에서도 쇠약한 상태로 안락사된 비율은 동일하게 0.4%였다.[74]

5. 1. 수명과 생존

야생화된 고양이들은 사람의 도움 없이도 잘 살 수 있다. 인도적 안락사가 필요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208] 미국의 한 연구에서는 전국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잡아들인 100,000 마리 이상의 야생화된 고양이 및 배회고양이들을 중성화 후 방생하고 경과를 추적했는데, 건강 악화로 인한 안락사가 필요한 사례는 0.4%에 불과했다.[209] 연구에 참여한 고양이들은 수술 전, 벼룩과 귀응애에 감염된 경우가 많았지만, 군살이 없을 뿐 수척하지는 않은 상태였다.[210]

사람이 관리하는 야생화된 고양이 군집의 경우, 많은 고양이들이 노령으로 인한 자연사로 죽는 등 오래 살 수 있다.[211] 중성화 후 방생한 고양이에 대한 사후연구 결과, 연구된 고양이 가운데 83%가 6년 이상 살았으며, 그 중 절반 이상은 첫 발견 당시 이미 연령 미상의 성묘였기 때문에 실제 수명은 더 길 것으로 예상된다.[212] 이는 고양이 수명이 평균 7.1년이라는 1984년 연구와 비교된다.[213]

플로리다에서 포획-중성화-재방사 (TNR) 프로그램에 참여한 야생 고양이에 대한 연구 결과, "인도적인 이유로 쇠약해진 고양이의 안락사는 거의 필요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73] 미국 내 다양한 지역의 TNR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만 마리 이상의 야생 고양이와 길고양이에 대한 추가 연구에서도 쇠약한 상태로 안락사된 비율은 동일하게 0.4%였다.[74]

5. 2. 질병

야생화된 고양이는 광견병, 바르토넬라증, 톡소포자충증, 범백혈구감소증, 각종 기생충, 고양이 에이즈, 고양이 백혈병, 리케차병, 링웜, 기타 고양이과 폐질환에 감염될 수 있으며, 이것은 집고양이도 마찬가지다.[214] 즉 야생화된 고양이로부터 사람을 거치거나 또는 직접 접촉해서 집고양이가 병이 옮을 수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야생화된 고양이과 관련된 광견병 위험성을 경고했다. 미국의 광견병 감염자 가운데 16%가 고양이에게 옮은 것이었다. 1970년대 미국 정부가 노력해서 개광견병을 잡은 이후, 고양이가 광견병의 주요한 감염경로가 되었다.[215] 고양이 군집 관리자들에게 광견병 백신을 나눠주고 고양이에게 접종하라고 시키지만, 1년에 한 번씩 계속 맞아야 하기 때문에 효과가 크지 않다.[215] 뿐만 아니라 문서화도 제대로 될 수 없기 때문에, 어떤 고양이가 지난 1년 안에 광견병 예방접종을 맞았는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야생화된 고양이에게 물린 사람은 고양이의 백신 접종 여부가 어쨌든 간에 노출후 예방요법을 받아야 한다.[214]

캐나다 프린스에드워드섬에서 야생화된 고양이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수의학자들은 장내 기생충의 “인수공통감염의 유의미한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고양이에 기생하는 톡소포자충이 굉장히 위험하다는 증거는 제공하지 못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감염되면 유의미한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고양이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기생충을 내보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216]

야생 고양이는 모든 고양이와 마찬가지로 광견병, 바르토넬라증, 톡소플라즈마증,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바이러스, 외부 및 내부 기생충,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FIV),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FeLV), 리케차 감염, 링웜, 그리고 고양이 호흡기 질환 복합체( 고양이 헤르페스바이러스 1형,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클라미도필라 펠리스'', ''미코플라스마 헤모펠리스''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군)를 포함한 질병 및 감염에 취약하다.[80]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와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는 ''레트로바이러스과''에 속하며, 둘 다 고양이에게 면역 억제를 일으켜 다른 감염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야생 고양이 개체군에서 이러한 바이러스의 유병률은 낮으며, 미국에서 사육되는 고양이의 유병률과 유사하다.[81][82]

미국 플로리다 북부에서 553마리의 야생 고양이를 연구한 결과 가장 흔한 감염은 인간에게 고양이 할큄병을 유발하는 ''바르토넬라 헨젤라에''로, 33.6%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는 다음으로 흔한 감염으로, 18.3%에서 발견되었지만, 양성 반응을 보인 대부분의 고양이에서 항체 수치가 낮았으며, 검사한 고양이가 애완 고양이보다 바이러스를 배출할 위험이 더 크지 않은 것으로 결론지었다.[82] 캐나다 프린스에드워드섬에서 96마리의 야생 고양이를 연구한 결과 고양이 회충이 34%로 가장 흔했으며, ''톡소플라스마 곤디''가 29.8%의 고양이에서 검출되었지만, 분변 샘플을 사용할 수 있었던 78마리의 고양이 중 1마리만이 ''T. 곤디'' 난포자를 배출했다. 수집된 대부분의 분변 샘플에서 한 종류의 장내 기생충이 존재했으며, 일부 샘플에서는 여러 기생충이 존재했다.[83]

6. 먹이

야생화된 고양이는 지역 생태계에서 중간 포식자 또는 최상위 포식자이다.[66] 다양한 척추동물무척추동물을 잡아먹으며, 특히 100g 미만의 체중을 가진 작은 포유류, 조류, 도마뱀을 선호한다.[67] 전세계적으로 1,000종 이상을 먹이로 삼으며,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것은 집쥐, 유럽 토끼, 검은 쥐, 집참새, 검은새였다.[53]



호주에서는 유럽 토끼와 집쥐와 같은 외래종과 토착 설치류, 유대류, 특히 고리꼬리주머니쥐를 잡아먹는다.[28] 고양이는 보통 크기가 절반 미만인 동물을 잡아먹지만, 호주에서는 야생 고양이가 자신과 비슷한 4kg의 성체 패더멜론을 죽이는 모습이 사진에 찍히기도 했다.[69]

미국에서는 일부 사람들이 야생 고양이를 비둘기와 침입종인 집쥐, 갈색쥐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옹호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들은 인간이 교란시킨 환경에서 고양이와 함께 진화했기 때문에 고양이의 포식으로부터 피하는 데 있어 토착 설치류보다 유리하다. 캘리포니아의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에 의해 죽은 쥐의 67%가 토착종이었고, 야생 고양이 서식지 근처 지역은 실제로 더 많은 집쥐 개체수를 가지고 있었지만, 조류와 토착 설치류는 더 적었다.[68]

아프리카 야생 고양이는 코끼리 해표의 젖꼭지에서 우유를 직접 훔치는 것이 관찰되었다.[70]

7. 천적

들개, 딩고, 코요테, 캐러컬[71]맹금은 야생 고양이의 천적이다.[72]

8. 개체 수 조절

많은 나라에서 야생화된 고양이의 개체수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이유는 첫째로 고양이를 감염병 매개체로 보고 방역 차원에서 수행하는 것이고,[217] 둘째는 고양이의 토종 야생동물 포살을 막는 동물보전 차원이며, 셋째는 고양이들의 복지를 위해서다.[218] 고양이 개체수 통제 시도는 통방이로 잡은 뒤에 안락사하거나 중성화 후 방생(TNR)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219][220]

이탈리아에서는 1991년부터 야생 고양이를 보호하고 있으며, 고양이를 죽이는 것은 불법이다. 로마에서는 수의 공공 서비스 수의사가 외과적으로 중성화 수술을 실시한다.[17] 유기 고양이 불임 프로그램을 파도바와 베네치아에서도 시행하고 있다.[18]

야생 고양이는 질병 관리,[85] 토종 야생 동물 보호, 그리고 복지 보호를 위해 다양한 기관에 의해 통제되거나 관리된다.[86] 야생 고양이의 통제는 포획과 안락사 또는 다른 형태의 치명적인 통제를 통해 관리될 수 있으며, 일부는 포획-중성화-재방사(TNR)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16][95] 과학 연구는 TNR이 야생 고양이 개체수를 통제하는 효과적인 수단임을 밝혀내지 못했다.[87] 문헌 검토에 따르면, 연구에서 개체수가 감소하는 TNR 군집을 문서화한 경우, 이러한 감소는 재입양과 안락사를 조합하여 지속적으로 군집에서 영구적으로 제거된 고양이의 상당한 비율에 의해 주도되었다.[87][88] TNR 군집은 고양이가 빠르게 번식하고 포획 및 중성화율이 이러한 개체수 증가를 막기에 충분히 낮고, 고양이에게 일반적으로 먹이가 제공되며, TNR 군집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주변 지역 사회 사람들이 원치 않는 애완 고양이를 버리도록 장려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종종 개체수가 증가한다.[87] 특히 생태학적으로 민감한 지역 근처에서조차 TNR의 인기가 높아지는 것은 과학자들이 야생 고양이가 야기하는 환경 피해를 대중에게 전달하지 못하고 TNR 옹호자들과의 소통을 꺼리는 데 부분적으로 기인한다.[89]

포획 후 안락사 프로그램과 TNR 프로그램의 효과는 모두, 제거되거나 통제되는 지역으로 고양이의 유입을 통제하는 것에 크게 달려있다. 새로운 고양이의 유입이 통제되는 경우, 두 기술 모두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유입이 통제되지 않는 경우, 도태가 더 효과적이다.[114] 다른 기술의 비교에서도, 포획 후 안락사 프로그램이 TNR 프로그램보다 비용이 절반 정도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와이에서 두 기술을 분석한 결과, 애완 동물을 유기함으로써 새로운 고양이가 유입될 때 효과가 떨어진다고 제안했다.[115] TNR의 유용성은 일부 과학자와 보존 전문가들에 의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이들은 TNR이 고양이 복지에만 관심을 갖고 중성화된 고양이에게 야외에서 먹이를 주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속적인 피해, 즉 야생 동물의 포식, 질병 전파, 환경 내 고양이 배설물 축적 등을 무시한다고 주장한다.[86][116] 보존 과학자들은 또한 야생 고양이의 개체수 통제에 대한 TNR의 효과에 의문을 제기한다. TNR을 지지하는 일부 연구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일화적인 데이터를 사용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117]

취약한 환경, 예를 들어 야생 고양이로 인해 훼손된 섬세한 생태계의 경우, 개체 수 관리가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고립된 태평양 섬에서 야생 고양이 개체군을 너무 빨리 포획하여 제거하면 이전에 야생 고양이 개체군에 의해 억제되었던 설치류와 작은 파충류 개체군이 급증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0] 이러한 새로운 역학 관계는 야생 고양이 개체군 제거 전에 예측하지 못했던 생태계에 대한 추가적인 상류 효과를 가져와 더 해로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민감한 시스템을 고려할 때, 개체 수 조절을 위한 해결책은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특히 야생 고양이를 통제해야 하는 다양한 생태계에서 더욱 그럴 것입니다.

8. 1. 중성화 후 방생 (TNR)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만두라에서 2018년 11월, 중성화된 반 야생 고양이 한 마리가 최소 6일 밤 동안 요정 제비갈매기 서식지를 습격한 사례가 있다.[121] 이 고양이는 번식 중인 성체 요정 제비갈매기 최소 6마리를 죽이고, 새끼 40마리 이상을 직간접적으로 죽였으며, 서식지에 스트레스를 주어 111개의 둥지가 버려지게 만들었다.[121] 그 결과, 멸종 위기에 처한 이 바닷새 서식지 전체에서 번식이 실패했다.[121] 포식 행위는 야생 동물 카메라, 고양이 발자국, 고양이 배설물, 머리가 잘린 요정 제비갈매기, 부상당하거나 실종된 요정 제비갈매기 새끼의 존재로 기록되었다.[121] 서식지는 고양이를 쫓아내기 위한 초음파 발생기로 둘러싸여 있었지만, 흰색 털에 파란 눈을 가진 이 고양이는 청각 장애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요정 제비갈매기 서식지는 거부할 수 없는 목표였을 수 있다.[121]

9. 환경 문제

딱따구리를 잡은 고양이.


비둘기를 노리는 고양이


야생화된 고양이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소동물을 포식하며, 특히 섬 지역의 토착종에게 심각한 위협이 된다.[227][128] 고양이(들고양이뿐만 아니라 종으로서의 집고양이)는 침입 외래종으로 널리 인식되어 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세계 침입 외래종 최악의 100종으로 선정하고 있다.[165]

미국에서만 매년 조류 10억~40억 마리, 포유류 60억~220억 마리를 포살한다.[221][122] 2009년 미국에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사망한 조류 중 고양이에 의한 포식이 1억 1천만 마리로 가장 많았다.[168] 호주에서는 야생화된 고양이가 매일 평균 100만 마리의 파충류,[222][123]를 죽이고, 매년 15억 마리가 넘는 토착 포유류, 조류, 파충류, 개구리와 11억 마리의 무척추 동물을 죽인다. 호주에서 고양이는 1800년대에 금광 채굴장과 농장 근처에 정착하면서 토끼, 쥐, 쥐를 없애기 위한 해충 방제 전략으로 도입되었다.[28] 고양이는 호주에서 포유류 34종의 멸종과 멸종 위기종 123종의 개체 수 감소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167] 돼지발반디쿠트, 작은 빌비, 넓적 얼굴 포토루 등을 포함하여 20종 이상의 호주 포유류 종의 멸종에 기여했다.[124]

주인이 배불리 잘 먹인 집고양이도 집 밖에 풀려나면 소동물을 사냥하고 잡아먹을 수 있다.[224][225][125][126] 뉴질랜드의 카카포나 호주의 베통과 같은 토착종은 포식자에 대한 방어 수단이 없어 고양이의 포식에 취약하다.[229][130]

한편, 고양이는 동물 보호 대상이기도 하므로, 구제하는 것에 대한 반발도 소수이긴 하지만 나타난다.[169]

9. 1. 소동물 포식



야생화된 고양이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소동물을 포식하며, 특히 섬 지역의 토착종에게 심각한 위협이 된다.[227][128] 고양이는 침입 외래종으로 널리 인식되어 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세계 침입 외래종 최악의 100종으로 선정하고 있다.[165]

미국에서만 매년 조류 10억~40억 마리, 포유류 60억~220억 마리를 포살한다.[221][122] 2009년 미국에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사망한 조류 중 고양이에 의한 포식이 1억 1천만 마리로 가장 많았다.[168] 호주에서는 야생화된 고양이가 매일 평균 100만 마리의 파충류,[222][123] 8억 마리의 포유류를 죽인다.[223] 호주에서 고양이는 1800년대에 금광 채굴장과 농장 근처에 정착하면서 토끼, 쥐, 쥐를 없애기 위한 해충 방제 전략으로 도입되었다.[28] 고양이는 동국에서 포유류 34종의 멸종과 멸종 위기종 123종의 개체 수 감소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167]

주인이 배불리 잘 먹인 집고양이도 집 밖에 풀려나면 소동물을 사냥하고 잡아먹을 수 있다.[224][225][125][126] 뉴질랜드의 카카포나 호주의 베통과 같은 토착종은 포식자에 대한 방어 수단이 없어 고양이의 포식에 취약하다.[229][130] 하와이에서는 고양이들이 외떨어진 산간지대까지 올라가서 뉴웰슴새, 하와이페트럴 등 바닷새들의 둥지를 휘젓는다.[132]

농촌 지역에서는 고양이가 쥐를 잡을 것이라는 전통적 믿음으로 고양이를 풀어 기르곤 하지만, 쥐의 생태적 피난처가 될 수 있는 키큰 화본식물밭 같은 요소를 배제하지 않으면 효과는 미미하다.[231][232] 고양이는 쥐의 개체수 폭증을 억누르는 역할은 할 수 있으나, 기존에 있던 쥐 개체군을 없앨 수는 없다.[233][135] 고양이와 쥐가 함께 생태계를 교란하던 현장에서 고양이만 사라지면 쥐가 창궐하는 경우도 있다(예: 크리스마스섬).[234]

한편, 고양이는 동물 보호 대상이기도 하므로, 구제하는 것에 대한 반발도 소수이긴 하지만 나타난다.[169]

9. 2. 야생 고양이 유전자 풀 오염

가축이 된 고양이의 원종은 아프리카들고양이였다. 세계 곳곳에서 야생화된 집고양이들과 그들의 원종이자 진짜 야생 고양이인 들고양이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있다.[235]

스코틀랜드들고양이는 이미 순혈종이 없어진 것으로 생각된다.[236] 잡종 발생률이 높아지면 들고양이를 야생화된 고양이 및 집고양이와 구분하기가 힘들어지며, 야생동물인 들고양이를 보존하는 데 어려움을 끼친다.[237] 켈라스 고양이는 집고양이와 스코틀랜드들고양이의 잡종이다.
켈라스 고양이. 집고양이와 스코틀랜드 고양이의 잡종.


그 밖에도 이탈리아, 헝가리, 에스파냐, 포르투갈의 유럽들고양이들에게서 유의미한 이입교잡이 일어났다.[238][239][240] 들고양이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정도의 야생고양이와 잡종 교배를 해왔다. 잡종 교배를 막기 위해 포획-중성화-재방사 프로그램이 설립되었다.[142]

10. 일본의 들고양이

일본에서는 "들고양이"(ノネコ)와 "길고양이"(ノラネコ)를 구분하며, 들고양이는 인간에게 의존하지 않고 산야에서 자생하는 고양이를 의미한다.[153] 야생 고양이(ノネコ)와 길고양이(ノラネコ) 모두 유전적인 차이는 전혀 없으며, 인간의 관여, 주로 식생활에 의해 구분한다고 하지만, 인간의 관여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해부를 하지 않는 한 개체에 의한 판별은 어렵다고 한다.[152] 두 종류는 생물 분류상 모두 집고양이이며 엄밀한 구분은 없고, 인간이 관여하는지 여부에 따른 생활권의 차이로 구분된다.

그러나 길고양이가 그 본래의 습성에 따라 야생 고양이처럼 사냥을 한다고 해도, 그것을 가지고 그 개체가 야생 고양이라고 할 수는 없다. "노이누, 노네코 이외의 개, 고양이를 수렵하면 위반"이라고 국가가 제시하고[152], 그 판별이 어렵기 때문에, 노이누, 노네코를 수렵 조수에서 삭제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지만 오랫동안 진전되지 않고 있다.[154]

야생 고양이(ノネ코)는 산야에 자생하는 집고양이로, 애완 고양이에 비해 넓은 영역을 가진다. 야생 고양이는 통상 인간으로부터 전혀 먹이를 얻지 못하며, 야생의 ''''''('''산고양이''')과 마찬가지로, 등의 작은 동물을 잡아 자생하고 있다. 인가에는 그다지 접근하지 않지만, 드물게 논밭 등에 사는 들쥐 등을 잡는 모습이 보인다. 야생 고양이는 매우 경계심이 강하고, 사람에게 잘 따르지 않는다. 그러나 먹이를 주어 길고양이화되거나, 더 나아가 애완 고양이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 열도에는 조몬 시대에는 야생 들고양이(스라소니 등)도 서식하고 있어, 수렵 대상이었다고 보여지지만[156], 그 이후의 자연계에 존재하는 고양이과의 동물은, 이리오모테삵쓰시마삵뿐이었다. 예를 들어 아마미오섬에서는, 이나 집락 주변에는 맹독을 가진 살무사가 서식하고 있어, 먹이가 되는 를 찾아 사람의 생활권에도 출몰한다. 그 때문에, 고양이를 방목하여 쥐를 잡게 하고, 살무사가 접근하지 않도록 했다. 이처럼 사람이 들여온 고양이가 방목되어, 스스로 소동물을 포식하여 살아갈 수 있게 된 고양이를 "들고양이"라고 한다[157]

10. 1. 일본에서의 대책

일본에서는 야생화된 고양이를 침입 외래종 중 "종합적으로 대책이 필요한 외래종"으로 지정하고, "방제, 유기・도입・유출 방지 등을 위한 계몽 등 종합적으로 대책이 필요"하다고 규정하고 있다.[170] 각지에서 사육 등록 등을 요구하는 조례가 제정되었으며, 기르는 고양이가 인간의 생활권에 있는 "길고양이"가 되어, 더 나아가 "야생화된 고양이"가 되지 않도록 길고양이의 불임・거세 수술과 같은 대책도 이루어지고 있다.[171]

야생화된 고양이가 특히 위협으로 간주되는 곳은 주로 고유종이나 희귀종이 서식하는 도서부이며, 환경성은 얀바루 물닭 등 희귀 동물이 야생화된 고양이에게 식해를 입어 심각한 피해를 준다고 문제 삼고 있다.[172]

쓰시마오키나와현이리오모테섬에서는 야생화된 고양이, 길고양이로부터 쓰시마 살쾡이나 이리오모테 살쾡이로의 고양이 에이즈나 고양이 백혈병 등의 감염이, 사람의 활동에 의한 교통사고나 적합한 서식지의 소실 및 변형과 함께, 살쾡이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우려되고 있다.[173][174] 이리오모테섬에서는 야생화된 고양이를 포획한 후 입양자를 찾아 양도하는 활동을 추진하여, 전두 양도 성공이라는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175]

홋카이도데우리섬에서는, 포획된 야생화된 고양이를 자원봉사자들이 순화시켜 양도하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176] 고양이의 적정 사육을 추진하는 조례가 제정되어, 기르는 고양이에게 마이크로칩을 삽입하고 등록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177]

오가사와라 제도에서는, 섬 고유의 생물을 습격하는 야생화된 고양이를 살처분하지 않고, 본토(도쿄도)의 동물병원이 순화하면서 주인을 찾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178]

오키나와섬에서는, 고양이에 의한 얀바루 물닭이나 오키나와 뾰족뒤쥐 등을 습격하는 피해가 확인되어, 얀바루 지역에서 현에 의한 야생화된 고양이 포획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179] 2023년에는 모든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관리 계획안이 오키나와현, 얀바루 지역의 3개 촌 및 환경성에 의해 수립되었다.[180]

아마미오시마에서도, 고양이에 의한 희귀한 재래 동물인 아마미토끼나 케나가네즈미 등을 습격하는 피해가 발생하여, 재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문제가 되고 있다.[181][182] 환경성・가고시마현・아마미오시마 5개 시정촌은 연계하여 야생화된 고양이 대책을 실시하고 있다.[147] 2011년 이래의 사육 고양이 조례를 개정하여, 2017년부터 마이크로칩 장착을 의무화하고, 2018년부터 환경성에서는 야생화된 고양이의 포획을 시작했다. "아마미오시마 고양이 대책 협의회"에서는 계획에 따라, 환경성이 포획한 야생화된 고양이의 양도를 희망하는 주인을 모집하고 있다.[183]

토쿠노시마는 아마미오시마와 마찬가지로 케나가네즈미나 뾰족뒤쥐, 아마미토끼 등 희귀한 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고양이에 의한 희귀종의 피해는 심각하며, 고양이의 포획 및 적정 사육을 위한 조례 제정, 계몽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186][187]

고양이 제거에 거의 성공한 오가사와라 제도에서는, 천적인 고양이가 없어지면서 외래종인 쥐가 증가하고, 식해로 인해 고유종의 식물이 줄어드는 결과가 초래되었다.[188][189] 데우리섬에서도 고양이 대책을 시작한 이후 시궁쥐에 의한 섬 주민 생활의 피해가 발생하기 시작했다며, 인과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쥐에 대한 대책도 이루어지게 되었다.[190][191] 이와 같이, 유해하다고 여겨지는 야생 동물의 구제・제거에 대해서는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면에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11. 한국의 정책 방향 (중도진보적 관점)

야생화된 고양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동물 복지와 생태계 보전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 특히, 멸종 위기종이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120]

예를 들어, 고립된 태평양 섬에서 야생 고양이 개체군을 너무 빨리 포획하여 제거하면, 이전에 야생 고양이 개체군에 의해 억제되었던 설치류와 작은 파충류 개체군이 급증하는 등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0] 따라서, 개체 수 조절을 위한 해결책은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특히 야생 고양이를 통제해야 하는 다양한 생태계에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인도적인 개체 수 조절 방법(TNR)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공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길고양이 급식소 설치, 동물 등록제 강화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유기 및 유실 동물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국민의힘 등 보수 정당의 비판적인 시각에 대해서는 과학적인 근거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득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시민 의식 개선을 위한 교육 및 홍보 활동 또한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참조

[1] 서적 The domestic cat: the biology of its behaviou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Feral Cats and Their Management https://extensionpub[...] University of Nebraska 2021-02-05
[3] 논문 Global prevalence of microsporidia infection in ca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an emerging zoonotic pathogen.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4] 논문 Global prevalence of Toxocara infection in cats Advances in Parasitology
[5] 논문 Tracking footpri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election signatures in breeding and non-breeding cats. Scientific reports
[6] 웹사이트 IUCN/SSG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http://www.issg.org/[...] 2021-11-29
[7] 학술지 Management of feral domestic cats in the urban environment of Rome (Italy) https://pubmed.ncbi.[...] 2006-12-18
[8] 학술지 The Impact of Targeted Trap–Neuter–Return Efforts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2020-11
[9] 학술지 Critical Assessment of Claims Regarding Management of Feral Cats by Trap–Neuter–Return https://conbio.onlin[...] 2009
[10] 학술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long-term trap-neuter-return and adoption program on a free-roaming cat population https://pubmed.ncbi.[...] 2003-01-01
[11] 학술지 Costs and benefits of trap-neuter-release and euthanasia for removal of urban cats in Oahu, Hawaii https://pubmed.ncbi.[...] 2013-02
[12] 웹사이트 WEC423/UW468: How Effective and Humane Is Trap-Neuter-Release (TNR) for Feral Cats? https://edis.ifas.uf[...] 2024-12-09
[13] 웹사이트 Study shows feral cat control could benefit from different approach {{!}} Tufts Now https://now.tufts.ed[...] 2024-12-09
[14] 학술지 What is a feral cat?: Variation in definitions may be associated with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15] 학술지 Humane strategies for controlling feral cat populations https://www.avma.org[...]
[16] 학술지 Cat got your tongue? The misnomer of 'community cats' and its relevance to conservation 2022
[17] 학술지 Management of feral domestic cats in the urban environment of Rome (Italy)
[18] 학술지 Veterinary research communications https://www.research[...]
[19] 학술지 A survey of the methods used in shelter and rescue programs to identify feral and frightened pet cats 2010
[20] 보고서 Feral cat https://www.daf.qld.[...] The State of Queensland 2015-12-23
[21] 웹사이트 A successful fight against foxes gave rise to a new predator – and the effect was devastating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9-09-21
[22] 학술지 Social dynamics, nursing coalitions and infanticide among farm cats, ''Felis catus''
[23] 학술지 Risk factors affecting length of stay of cats in an animal shelter: A case study at the Guelph Humane Society, 2011–2016 2017
[24] 학술지 Cats and commerce
[25] 학술지 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Review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elids and People
[26] 서적 The cat in ancient Egypt, illustrated from the collection of cat and other Egyptian figures form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0
[27] 서적 Feline Husbandry: Diseases and Management in the Multiple Cat Environment American Veterinary Publications
[28] 보고서 Overview of the Impacts of Feral Cats on Australian Native Fauna http://www.environme[...] Australian Nature Conversation Agency and University of Sydney 1996
[29] 서적 The Walking Larder: Patterns of Domestication, Pastoralism, and Predation Routledge
[30] IUCN "''Felis silvestris''" https://www.iucnredl[...] "[[IUCN]]" 2018-10-29
[31] 학술지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017
[32] 학술지 Étude de la Faune de Vertébrés de Barbarie (Algérie, Tunisie et Maroc) https://archive.org/[...]
[33] 학술지 Zooarchaeology and the biogeographical history of the mammals of Corsica and Sardinia since the last ice age http://www.academia.[...]
[34] 학술지 Ancient introductions of mammals in the Mediterranean Basin and their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https://www.research[...]
[35] 학술지 Sur le Chat sauvage de la Corse https://gallica.bnf.[...]
[36] 서적 Catalogue of the Genus Felis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37] 논문 Die Wildkatze der Balearen
[38] 서적 Die Wildkatzen der Alten Welt: Eine Übersicht über die Gattung ''Felis'' Geest und Portig
[39] 논문 Home range and activity patterns of feral house cats in the Galapagos Islands
[40] 논문 Aspects of the ecology of feral cats on Dassen Island, South Africa
[41] 논문 Control of feral cats on sub-Antarctic Marion Island, Indian Ocean
[42] 논문 Feeding Ecology of a Feral Cat Population on a Small Mediterranean Island
[43] 논문 The diet of feral cats on islands: A review and a call for more studies https://ccal.ucsc.ed[...]
[44] 논문 Grouping patterns of feral cats (''Felis catus'') living on a small island in Japan https://www.jstage.j[...]
[45] 논문 Feral cat predation on seabirds on Hahajima, the Bonin Islands, southern Japan https://www.jstage.j[...]
[46] Honor Scholar Thesis The Feral Cat Conundrum: Assessing the Science and Ethics of Trap-Neuter-Return https://scholarship.[...] DePauw University 2015
[47] 논문 Feral Cat Globetrotters: genetic traces of historical human-mediated dispersal 2016
[48] 논문 Vector-borne diseases in client-owned and stray cats from Madrid, Spain http://www.academia.[...]
[49] 논문 A cross-sectional survey of anti-''Toxoplasma gondii'' antibodies in Jerusalem cats https://www.research[...]
[50] 논문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testing in stray, feral, and client-owned cats of Ottawa
[51] 서적 Cat Culture: The Social World of A Cat Shelter Temple University Press
[52] 웹사이트 Outdoor Cats: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humanesoc[...] 2015-01-08
[53] 논문 A review of cat behavior in relation to disease risk and management options
[54] 논문 Human-Related Factors Regulate the Spatial Ecology of Domestic Cats in Sensitive Areas for Conservation 2011-10-17
[55] 논문 The spatial ecology of invasive feral cats Felis catus on San Cristóbal, Galápagos: first insights from GPS collars 2020-07-01
[56]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Community Cats https://www.aspca.or[...] 2015-12-26
[57] 논문 Social organization in the cat: A modern understanding 2004
[58] 논문 Social Behavior of Domestic Cats 1986
[59] 논문 Feeding-order in an urban feral domestic cat colony: relationship to dominance rank, sex and age 2007
[60] 웹사이트 The 7 Steps of TNR http://www.neighborh[...] 2016-01-01
[61] 논문 Multistate matrix population model to assess the contributions and impacts on population abundance of domestic cats in urban areas including owned cats, unowned cats, and cats in shelters 2018-02-28
[62] 웹사이트 Socialized Cat Guide http://www.alleycat.[...] 2015-10-30
[63] 웹사이트 Stray and Feral Cats https://www.aspca.or[...] 2015-10-30
[64] 뉴스 Netizens praise builder of mini-houses for stray cats in Parañaque https://www.gmanetwo[...] GMA Integrated News 2024-05-17
[65] 문서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a selection from the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http://www.issg.org/[...] 2000
[66] 논문 The Rise of the Mesopredator
[67] 논문 Estimation of the dietary nutrient profile of free-roaming feral cats: possible implications for nutrition of domestic cats 2011
[68] 웹사이트 Feral Cats and Their Management http://extensionpubl[...] 2019-04-30
[69] 뉴스 Scientists catch a feral cat killing a large mammal on camera 'for the first time' http://www.abc.net.a[...] ABC News 2015-09-02
[70] 논문 Feral cats steal milk from northern Elephant Seals http://www.scielo.or[...] 2010
[71] 웹사이트 Relocating caracals http://www.urbancara[...]
[72] 간행물 The Feral Cat (''Felis catus'') https://www.environm[...] Government of Australia, Department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Water, Population and Communities 2011
[73] 논문 Characteristics of free-roaming cats evaluated in a trap-neuter-return program
[74] 논문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Feral Cats Admitted to Seven Trap-Neuter-Retur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https://vetmed-maddi[...]
[75] 논문 Body Condition of Feral Cats and the Effect of Neutering
[76] 논문 Humane strategies for controlling feral cat populations
[77] 논문 Feral cats in the United Kingdom https://ecfvg.avma.o[...] 2014-08-19
[78] 논문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long-term trap-neuter-return and adoption program on a free-roaming cat population
[79] 논문 Study of the feline and canine populations in the greater Las Vegas area 1984
[80] 논문 Rabie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ts in the Context of Trap–Neuter–Vaccinate–Release Programmes 2014
[81] 논문 Prevalence of feline leukemia virus infection and serum antibodies against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in unowned free-roaming cats https://www.avma.org[...]
[82] 논문 Prevalence of infectious diseases in feral cats in Northern Florida 2004
[83] 논문 Infectious disease prevalence in a feral cat population on Prince Edward Island, Canada 2011
[84] 웹사이트 Feral cat colonies could pose rabies risk, CDC says https://www.usatoday[...] 2016-03-10
[85] 논문 Rabie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ts in the Context of Trap-Neuter-Vaccinate-Release Programmes 2014
[86] 논문 Critical Assessment of Claims Regarding Management of Feral Cats by Trap-Neuter-Return http://news.wildlife[...] 2018-05-26
[87] 논문 Free-ranging domestic cat abundance and sterilization percentage following five years of a trap–neuter–return program https://bioone.org/j[...] 2022-04-14
[88] 웹사이트 How Effective and Humane Is Trap-Neuter-Release (TNR) for Feral Cats? https://edis.ifas.uf[...] University of Florida 2022-04-14
[89] 논문 A renewed call for conservation leadership 10 years further in the feral cat Trap-Neuter-Return debate and new opportunities for constructive dialogue 2022-01-17
[90] 웹사이트 How to Help Community Cats: A Step-by-Step Guide to Trap-Neuter-Return https://www.alleycat[...]
[90] 웹사이트 How to Help Community Cats {{!}} A step-by-step guide to Trap-Neuter-Return http://4fi8v2446i0sw[...] Alley Cat Allies 2019-04-23
[91] 논문 Management of feral domestic cats in the urban environment of Rome (Italy)
[92] 웹사이트 Feral Cat Organizations http://www.humanesoc[...] The 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2016-03-03
[93] 논문 Implementation of a feral cat management program on a university campus
[94] 논문 Feral cats: An overview http://animalstudies[...] 2005
[95] 논문 Free-roaming Cat Interactions With Wildlife Admitted to a Wildlife Hospital 2016-06-21
[96] 간행물 Humane Cat Population Management Guidance http://www.ifaw.org/[...] 2011
[97] 웹사이트 HSUS Position Statement: Trap-Neuter-Return (TNR) http://www.aplnj.org[...] The 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2014-10-12
[98] 간행물 Taking a Broader View of Cats in the Community http://www.animalshe[...] 2008
[99] 웹사이트 Management of cats in Australia https://www.ava.com.[...]
[100] 웹사이트 National Audubon Society Resolution -- Cats http://web4.audubon.[...]
[101] 웹사이트 Keeping Birds Safe from Outdoor Cats • The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Blog https://blog.nwf.org[...] 2017-09-21
[102] 웹사이트 FAQ: Outdoor Cats and Their Effects on Birds https://www.allabout[...] 2016-12-05
[103] 문서 Feral Cats https://aawv.net/wp-[...] aawv.net 2017-05
[104] 문서 Feral and Free Rangin gCats http://wildlife.org/[...] wildlife.org 2014-05
[105] 웹사이트 Trap, Neuter, Release https://abcbirds.org[...]
[106] 웹사이트 What is PETA's stance on programs that advocate trapping, spaying and neutering, and releasing feral cats? https://www.peta.org[...] 2010-07-07
[107] 웹사이트 'Trap, Neuter, Return,' Cat Lovers Urge http://www.defense.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10-11-21
[108] 웹사이트 Yongsan starts new program to keep stray cats from moving in as the Army moves out https://www.stripes.[...] 2019-02-21
[109] 웹사이트 The removal of feral cats from San Nicolas Island, California to Protect Native and Endemic Species: 2009 Annual Report https://www.montrose[...] Island Conservation 2010-10
[110] 뉴스 Activists recommend neutering, vaccinating feral cats roaming Groton Navy Submarine Base https://www.fox61.co[...] 2016-03-15
[111] 웹사이트 Free-roaming abandoned and feral cats https://www.avma.org[...]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016
[112] 논문 Environmental aspects of domestic cat care and management: implications for cat welfare. 2016
[113] 논문 First reported cases of SARS-CoV-2 infection in companion animals—New York, March–April 2020. 2020
[114] 간행물 Evaluation of euthanasia and trap–neuter–return (TNR) programs in managing free-roaming cat populations 2009
[115] 간행물 Costs and Benefits of Trap-Neuter-Release and Euthanasia for Removal of Urban Cats in Oahu, Hawaii http://www.accord3.c[...] 2013
[116] 간행물 Reply to Wolf et al.: Why Trap-Neuter-Return (TNR) Is Not an Ethical Solution for Stray Cat Management 2020
[117] 간행물 Trap-neuter-release programs: the reality and the impacts 2004
[118] 서적 Cats in Australia: Companion and Killer https://books.google[...] CSIRO 2019-06
[119] 서적 Among the Pigeons Wakefield Press 2020
[120] 간행물 The Welfare of Feral Cats and Wildlife https://www.hahf.org[...] 2004
[121] 간행물 Cat Gets Its Tern: A Case Study of Predation on a Threatened Coastal Seabird 2019-07-16
[122] 보고서 The impact of free-ranging domestic cats on wildlife of the United States http://www.nature.co[...] Nature Communications 2016-08-20
[123] 간행물 How many reptiles are killed by cats in Australia?
[124] 웹사이트 Feral cats https://www.dcceew.g[...] 2024-12-09
[125] 간행물 Predation of wildlife by domestic cats ''Felis catus'' in Great Britain 2003
[126] 간행물 Survey of Predation by Domestic Cats 1998
[127] 간행물 Urban Bird Declines and the Fear of Cats http://img2.tapuz.co[...] 2007
[128] 간행물 A Review of Feral Cat Eradication on Islands https://digital.csic[...] 2004
[129] 간행물 Mammal Invaders on Islands: Impact, Control and Control Impact http://max2.ese.u-ps[...] 2003
[130] 간행물 A case of bitten Bettongs 2002
[131] 간행물 Complex interactions among mammalian carnivores in Australia, and their implications for wildlife management http://www.southwest[...] 2005
[132] 웹사이트 Hawaii's Invasive Predator Catastrophe https://www.ecowatch[...] 2020-06-29
[133] 학위논문 Control of Norway Rat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lternatives to Rodenticide Use https://lra.le.ac.uk[...] University of Leicester 2003-09
[134] 간행물 The Use of Food as a Buffer in a Predator–Prey System 1957
[135] 간행물 Prospects for biological control of rodent populations 1973
[136] 간행물 Modeling total predation to avoid perverse outcomes from cat control in a data-poor island ecosystem 2022-08-24
[137] 웹사이트 Cats Are Surprisingly Bad at Killing Rats https://www.smithson[...] 2024-12-09
[138] 웹사이트 Rats! Feral cats fail at urban rodent control https://wildlife.org[...] 2024-12-09
[139] 간행물 The Near Eastern Origin of Cat Domestication 2007
[140] 간행물 Genetic diversity and introgression in the Scottish wildcat http://pritch.bsd.uc[...]
[141] 논문 A diagnosis for the Scottish wildcat (''Felis silvestris''): a tool for conservation action for a critically endangered felid http://www.scottishw[...]
[142] 뉴스 Haven to Save the Wildcat from Total Extinction http://www.heraldsco[...] The Herald 2014
[143] 논문 Genetic identification of wild and domestic cats (''Felis silvestris'') and their hybrids using Bayesian clustering methods 2001
[144] 논문 Genetic distinction of wildcat (''Felis silvestris'') populations in Europe, and hybridization with domestic cats in Hungary 2003
[145] 논문 Bayesian analyses of admixture in wild and domestic cats (''Felis silvestris'') using linked microsatellite loci 2006
[146] 문서 沖縄県外来種対策行動計画に基づくノネコ 防除計画 令和2年 沖縄県 https://www.pref.oki[...]
[147] 문서 奄美大島における生態系保全のためのノネコ管理計画 https://www.env.go.j[...] 환경성 2020-05-20
[148] 웹사이트 국회회의록검색시스템 https://kokkai.ndl.g[...] 2024-01-11
[149] 웹사이트 猫の不思議サイエンス 野猫はいかに「縄張り」を共有するのか? 監修/どうぶつ行動クリニック・ファウ 尾形 庭子先生 http://www.kao.co.jp[...] 花王
[150] 웹사이트 野生鳥獣の保護について https://warp.da.ndl.[...] 日高市
[151] 웹사이트 のねこ http://dic.yahoo.co.[...] 大辞泉
[152] 웹사이트 衆議院会議録情報 第043回国会 農林水産委員会 第17号 https://kokkai.ndl.g[...] 林野청
[153] 웹사이트 국회회의록검색시스템 https://kokkai.ndl.g[...] 2021-06-04
[154] 웹사이트 탑 페이지 https://www.eva.or.j[...] 2024-01-26
[155] 웹사이트 裁判例結果詳細 {{!}} 裁判所 - Courts in Japan https://www.courts.g[...] 2024-01-26
[156] 문서 일본에 있어서의 후기 갱신세~ 전기 완신세산의 오오야마네코Lynx에 대해서 http://www.gmnh.pref[...]
[157] 웹사이트 일체 왜…세계 유산이 되는 아미미 오시마에서 「노네코 3000마리 살처분 계획」이 진행중 https://gendai.media[...] 강담사 2021-05-16
[158] 웹사이트 조수의 보호 및 관리 및 사냥의 적정화에 관한 법률 {{!}} e-Gov 법령 검색 https://laws.e-gov.g[...] 2021-06-04
[159] 웹사이트 사냥 제도의 개요 {{!}}{{!}} 야생 조수의 보호 및 관리[환경성] https://www.env.go.j[...] 2021-06-04
[160] 웹사이트 조수의 보호 및 관리 및 사냥의 적정화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 {{!}} e-Gov 법령 검색 https://laws.e-gov.g[...] 2021-06-04
[161] 웹사이트 국회회의록검색시스템 https://kokkai.ndl.g[...] 2024-01-19
[162] 웹사이트 [사냥에의 초대]사냥조수|대일본렵우회 http://j-hunters.com[...] 2024-01-30
[163] 웹사이트 조수의 보호 및 관리 및 사냥의 적정화에 관한 법률 {{!}} e-Gov 법령 검색 https://laws.e-gov.g[...] 2024-01-11
[164] 뉴스 동물 애호법 위반 혐의로 체포의 남성 불기소 히로시마 지검 오 지부 {{!}} 중국 신문 디지털 https://www.chugoku-[...] 2024-01-26
[165] 문서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https://portals.iucn[...]
[166] 뉴스 Feral and pet cats are hunting and killing billions of animals each year in Australia https://www.abc.net.[...] ABC뉴스 2024-08-18
[167] 뉴스 One cat, one year, 110 native animals: lock up your pet, it’s a killing machine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24-08-18
[168] 논문 The avian and wildlife costs of fossil fuels and nuclear power
[169] 뉴스 야외의 고양이는 배제되어야 하는가, 미국에서 논의 https://natgeo.nikke[...] 2024-09-18
[170] 문서 우리나라의 생태계 등에 피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외래종 목록 게재종의 부가 정보(근거 정보) <동물(포유류)> https://warp.da.ndl.[...] 환경성 2020-05-18
[171] 뉴스 아미미 「야생화 고양이」증식 방지/희귀 동물 포식, 문제에/세계 유산 등록을 앞두고 관민 대책 진행 https://www.nikkei.c[...] 일본경제신문 2018-08-24
[172] 웹사이트 희귀종과 노네코・노라네코 https://warp.da.ndl.[...] 환경성 2020-05-18
[173] 웹사이트 이리오모테야마고양이 https://www.env.go.j[...] 환경성 2018-06-24
[174] 논문 「희소 야생 동물의 보호와 자치 행정」에 즈음하여 http://www.law.kanag[...] 가나가와대학 법학연구소 2018-06-24
[175] 웹사이트 「아마미의 내일을 생각하는 아마미 국제 노네코・심포지엄」 기록집 http://kankyo.rdc.ka[...] 가고시마대학 가고시마환경학연구회 2019-02-10
[176] 웹사이트 天売猫 預かりボランティア https://warp.da.ndl.[...] 北海道地方環境事務所
[177] 웹사이트 天売島ネコ飼養条例 http://houmu.h-choso[...]
[178] 뉴스 小笠原の野猫本土でペットに/野生化した猫、捕獲し「引っ越し」/13年前から、天然記念物のハトなど守る 読売新聞 2018-06-30
[179] 웹사이트 世界自然遺産登録地の沖縄島北部におけるネコの収容情報及び譲渡等について https://www.pref.oki[...]
[180] 웹사이트 ずっとやんばる ずっとうちネコ アクションプラン 沖縄島北部における生態系保全等のためのネコ管理・共生行動計画の策定について https://kyushu.env.g[...]
[181] 웹사이트 ノイヌ、ノネコ対策 http://kyushu.env.go[...] 奄美野生生物保護センター 2020-05-20
[182] 뉴스 ネコ、トゲネズミ捕食か https://amamishimbun[...] 奄美新聞 2019-10-03
[183] 웹사이트 奄美市 奄美大島における生態系保全のため捕獲したノネコ譲渡希望者の募集について https://www.city.ama[...]
[184] 뉴스 世界遺産めざす奄美大島 野生化した猫「ノネコ」捕獲へ Sippo 2018-06-07
[185] 웹사이트 シロによるノネコ管理計画解説コーナー https://amamibook.am[...]
[186] 뉴스 飼い猫か、野良猫か、ノネコか…世界遺産の島で増える猫、希少種の被害が無くならない 背景には集落の悪習が 奄美 https://373news.com/[...] 南日本新聞 2022-08-03
[187] 웹사이트 徳之島におけるノイヌ・ノネコの状況 https://kyushu.env.g[...]
[188] 웹사이트 小笠原で異変…外来ネコ捕獲、明暗分けた固有種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9-02-13
[189] 뉴스 島で野生化したネコが希少動物を襲う 一歩先を進む小笠原の対策とは https://www.huffingt[...] 2018-06-24
[190] 뉴스 北海道・天売島 今度はネズミ被害 ネコ捕獲の副作用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5-16
[191] 문서 平成 28 年度ウミガラス保護増殖検討会 議事要旨 http://hokkaido.env.[...]
[192] 서적 和漢三才図会 第三十八 獣類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디지털컬렉션
[193]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
[194]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
[195]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
[196] 웹인용 IUCN/SSG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https://web.archive.[...] 2021-11-29
[197] 논문 What is a feral cat?: Variation in definitions may be associated with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198] 논문 Humane strategies for controlling feral cat populations https://www.avma.org[...] 2023-04-07
[199] 논문 Cat got your tongue? The misnomer of 'community cats' and its relevance to conservation 2022
[200] 논문 Home range and activity patterns of feral house cats in the Galapagos Islands
[201] 논문 Aspects of the ecology of feral cats on Dassen Island, South Africa
[202] 논문 Control of feral cats on sub-Antarctic Marion Island, Indian Ocean https://archive.org/[...]
[203] 논문 Feeding Ecology of a Feral Cat Population on a Small Mediterranean Island https://archive.org/[...]
[204] 논문 The diet of feral cats on islands: A review and a call for more studies https://ccal.ucsc.ed[...]
[205] 서적 Cat Culture: The Social World of A Cat Shelter Temple University Press
[206] 웹인용 Outdoor Cats: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humanesoc[...] 2015-10-30
[207] 논문 A review of cat behavior in relation to disease risk and management options
[208] 논문 Characteristics of free-roaming cats evaluated in a trap-neuter-return program
[209] 논문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Feral Cats Admitted to Seven Trap-Neuter-Retur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https://vetmed-maddi[...]
[210] 논문 Humane strategies for controlling feral cat populations
[211] 저널 Feral cats in the United Kingdom https://ecfvg.avma.o[...] 2023-04-07
[212] 저널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long-term trap-neuter-return and adoption program on a free-roaming cat population
[213] 저널 Study of the feline and canine populations in the greater Las Vegas area https://archive.org/[...] 1984
[214] 저널 Rabie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ts in the Context of Trap–Neuter–Vaccinate–Release Programmes 2014
[215] 웹인용 Feral cat colonies could pose rabies risk, CDC says https://www.usatoday[...] 2013
[216] 저널 Infectious disease prevalence in a feral cat population on Prince Edward Island, Canada 2011
[217] 저널 Rabie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ts in the Context of Trap-Neuter-Vaccinate-Release Programmes 2014
[218] 저널 Critical Assessment of Claims Regarding Management of Feral Cats by Trap-Neuter-Return http://news.wildlife[...] 2018-05-26
[219] 저널 Reply to Wolf et al.: Why Trap-Neuter-Return (TNR) Is Not an Ethical Solution for Stray Cat Management 2020
[220] 저널 Free-roaming Cat Interactions With Wildlife Admitted to a Wildlife Hospital 2016-06-21
[221] 보고서 The impact of free-ranging domestic cats on wildlife of the United States http://www.nature.co[...] Nature Communications 2016-08-20
[222] 저널 How many reptiles are killed by cats in Australia?
[223] 저널 Introduced cats (''Felis catus'') eating a continental fauna: The number of mammals killed in Australia 2019
[224] 저널 Predation of wildlife by domestic cats ''Felis catus'' in Great Britain 2003
[225] 저널 Survey of Predation by Domestic Cats 1998
[226] 저널 Urban Bird Declines and the Fear of Cats http://img2.tapuz.co[...] 2007
[227] 저널 A Review of Feral Cat Eradication on Islands https://digital.csic[...] 2004
[228] 저널 Mammal Invaders on Islands: Impact, Control and Control Impact http://max2.ese.u-ps[...] 2003
[229] 저널 A case of bitten Bettongs 2002
[230] 저널 Complex interactions among mammalian carnivores in Australia, and their implications for wildlife management http://www.southwest[...] 2005
[231] 학위논문 Control of Norway Rat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lternatives to Rodenticide Use https://lra.le.ac.uk[...] University of Leicester 2003-09
[232] 저널 The Use of Food as a Buffer in a Predator–Prey System https://archive.org/[...] 1957
[233] 저널 Prospects for biological control of rodent populations 1973
[234] 저널 Modeling total predation to avoid perverse outcomes from cat control in a data‐poor island ecosystem 2022-08-24
[235] 저널 The Near Eastern Origin of Cat Domestication 2007
[236] 저널 Genetic diversity and introgression in the Scottish wildcat http://pritch.bsd.uc[...]
[237] 저널 A diagnosis for the Scottish wildcat (''Felis silvestris''): a tool for conservation action for a critically endangered felid http://www.scottishw[...]
[238] 저널 Genetic identification of wild and domestic cats (''Felis silvestris'') and their hybrids using Bayesian clustering methods 2001
[239] 저널 Genetic distinction of wildcat (''Felis silvestris'') populations in Europe, and hybridization with domestic cats in Hungary https://archive.org/[...] 2003
[240] 저널 Bayesian analyses of admixture in wild and domestic cats (''Felis silvestris'') using linked microsatellite loci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