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습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 습득은 인간이 모국어 또는 외국어를 배우는 과정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론과 연구를 통해 탐구되어 왔다. 촘스키의 생성 문법은 언어 습득 장치(LAD)와 보편 문법을 제시하며, 인지 언어학은 다른 인지 능력과의 연관성을 강조한다. 통계적 학습 이론, 청킹 이론, 사회적 상호작용 이론 등도 언어 습득을 설명하는 주요 이론이다. 언어 습득은 태아기부터 시작되어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 걸쳐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뇌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민감기 가설은 특정 시기에 언어 습득 능력이 가장 높다고 주장한다. 언어 다양성과 언어 습득 연구는 비교 언어학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공지능과 청각 장애, 다문화 가정의 언어 발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습득 - 독해
독해는 문자에 담긴 정보를 해독하고 이해하는 과정이며, 독자의 지식과 경험, 문장 표현 규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고, 독해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전략과 평가 방법이 활용된다. - 언어 습득 - 옹알이
옹알이는 유아의 음성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으로, 초기, 정형, 전문 용어 단계로 나뉘며 모국어와 유사해지고 뇌의 좌반구에 의해 제어되며 언어 발달과의 연속성을 보인다. - 응용언어학 - 대조언어학
대조 언어학은 두 언어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외국어 학습, 번역, 사전 편찬 등에 활용되는 응용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 응용언어학 - 문체론
문체론은 언어의 스타일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문장의 길이, 운율, 어휘 등을 분석하고 수사법을 통해 문학 작품의 의미와 효과를 탐구하며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언어 분석으로 연구 범위를 넓혀간다.
언어습득 | |
---|---|
언어 습득 | |
정의 | 사람이 모국어 또는 외국어를 배우는 과정 |
분류 | 제1언어 습득 제2언어 습득 이중 언어 습득 |
관련 분야 | 심리언어학 신경언어학 생물언어학 계산언어학 인지 과학 |
제1언어 습득 | |
설명 | 출생 이후 모국어를 배우는 과정 |
특징 | 보편적인 발달 단계 오류 수정 능력 창의적인 언어 사용 |
이론 | 생득주의 행동주의 상호작용주의 |
제2언어 습득 | |
설명 | 모국어 이외의 언어를 배우는 과정 |
특징 | 모국어의 영향 개인차 다양한 학습 환경 |
이론 | 모니터 모델 사회문화 이론 연결주의 |
이중 언어 습득 | |
설명 | 두 개의 언어를 동시에 배우는 과정 |
특징 | 언어 혼용 코드 전환 인지적 이점 |
연구 분야 | 이중 언어 발달 이중 언어 교육 |
관련 연구 | |
뇌 과학 | 언어 처리 과정에 대한 뇌의 역할 연구 |
인지 심리학 | 언어 습득과 인지 발달의 관계 연구 |
언어 교육 | 효과적인 언어 교육 방법 연구 |
2. 역사적 배경
언어 습득에 대한 초기 관찰은 플라톤이 단어 의미 매핑의 선천성을 제시하면서 시작되었다.[14] 산스크리트 문법학자들은 단어 의미 인식 능력이 신이 부여한 것인지, 아니면 이전 세대의 관습에서 비롯된 것인지에 대해 12세기 이상 논쟁했다.[14]
노엄 촘스키의 생성 문법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선천적인 '언어 습득 장치(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를 통해 보편 문법을 가지고 태어나며, 이를 바탕으로 모국어(L1) 또는 외국어(L2)를 습득한다.[26] 그러나 결정적 시기 가설에서 나타나듯이, 이러한 '언어 습득 장치'가 언어 습득의 필수 조건일 수는 있어도 L1을 완전하게 구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27]
일반적으로 아동의 언어발달은 2세를 전후해서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며 3세를 전후해서 간단한 문장을 그리고 4세를 전후해서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6살을 전후해서 가정문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6세에서 12살에 이르는 기간에 언어능력이 갖추어지는 것으로 보고있다.[159]
고대 철학자들은 인간의 언어 이해 및 생산 능력을 지식 습득 및 개념 학습 능력의 하위 집합으로 간주했다.[15] 토마스 홉스와 존 로크와 같은 경험론자들은 추상화된 감각 인상에서 지식과 언어가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루돌프 카르나프의 "유사한 것으로 기억" 개념을 사용한 감각 데이터 학습 시도로 이어졌다.[16]
행동주의 지지자들은 조작적 조건화를 통해 언어가 학습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B. F. 스키너는 ''언어 행동''(1957)에서 특정 자극에 대한 성공적인 단어 사용이 그 확률을 강화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노엄 촘스키는 1959년 비평 기사에서 스키너의 아이디어를 "대체로 신화"이며 "심각한 망상"이라고 비판했다.[17] 촘스키는 아이들이 어른의 언어 교정을 무시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사용하다가 결국 올바른 사용 패턴을 따르는 점을 지적하며, 스키너의 이론이 언어 능력에서 구문 지식의 중심 역할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18][19] 대신 촘스키는 구문 구조 연구를 기반으로 한 언어 습득에 대한 수학적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
3. 언어 습득의 주요 이론
인지 언어학은 언어 능력이 다른 인지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별도의 전문화된 언어 습득 장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30] 인지 언어학 연구자들은 언어 구조가 언어 사용을 통해 생성된다고 주장하며, 언어 습득 장치 (LAD) 개념이 진화 인류학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31]
엘리사 뉴포트 등의 연구자들은 통계적 학습 이론을 통해, 언어 입력의 통계적 패턴을 분석하여 언어 구조를 파악하는 학습 메커니즘을 강조한다.[43][44] 통계적 학습 이론은 학습자가 언어의 통계적 속성을 사용하여 소리 패턴, 단어, 문법의 시작을 추론한다고 제안한다.[46]
청킹 이론은 단어, 음소, 음절 등 의미 있는 구성 요소들의 묶음(chunk)을 점진적으로 습득하는 과정을 통해 언어가 발달한다고 본다.[50][51]
사회적 상호작용 이론은 레프 비고츠키와 제롬 브루너의 연구에 기반하며, 언어 발달에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 특히 성인의 피드백과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55][56] 이 이론은 근접 발달 영역이라는 개념을 통해, 아동이 혼자서는 할 수 없지만 안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언어적 과제를 설명한다.[57]
관계 프레임 이론 (RFT)은 스키너의 행동주의 원리에 기반하여,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를 습득한다는 기능적 맥락주의적 관점을 제시한다.[54] RFT 이론가들은 언어 학습에서 기능적 맥락주의의 개념을 도입하여, 심리적 사건을 예측하고 영향을 미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4. 언어 습득의 단계
한편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USC)의 폴 톰슨(Paul M. Thompson)교수를 비롯한 제이 지드(Jay N. Giedd)[160]박사 그리고 로저 우즈(Roger P. Woods)박사[161]등은 핵자기공명영상장치(NMR)를 이용한 3살부터 15살연령의 어린이 뇌의 성장 과정을 4년 동안 추적해 뇌 성장 지도를 2000년 3월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162]
이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는 3살부터 6살 사이 그리고 6살에서 13살 사이를 전후하는 연령에서 각각 두뇌 발달이 단계적이고 국부적으로 시차를 두고 두뇌의 성장이 전두엽 앞 부분에서 점차 언어를 관장하는 뒷부분으로 옮겨간다는 것이다. 약13살부터 15살에 이르는 동안 운동신경을 담당하는 뇌 회로의 50%가 재배치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기도 했다.
4. 1. 태아기 및 영아기
태아는 태어나기 전부터 외부의 소리나 어머니의 목소리에 반응을 보인다. 태어난 지 며칠 후부터 어머니와 시선이나 표정을 통해 교류를 시작한다[154]。이는 일반적인 대화와 마찬가지로, 상대방의 반응을 보고 반응을 되돌려주는 턴 테이킹 구조를 가지며, '''원시 대화'''라고 불린다. 생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으르렁거리는 소리나 옹알이를 하게 된다. 또한 8개월에서 1세 무렵까지는 어떤 언어이든 반응하지만, 그 이후에는 주변에서 사용되는 언어에만 반응하게 된다[155]。
4. 2. 유아기 및 아동기
일반적으로 아동의 언어발달은 2세를 전후해서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며 3세를 전후해서 간단한 문장을 그리고 4세를 전후해서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159] 1세 무렵에는 단어를 발음할 수 있게 되며, 1세 반 무렵에는 두 단어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한다.[155] 그 이후, 급속도로 언어 능력이 발달하며, 4세 무렵에는 유추와 은유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6살을 전후해서 가정문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159] 6세에서 12살에 이르는 기간에 언어능력이 갖추어지는 것으로 보고있다.[159]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USC)의 폴 톰슨(Paul M. Thompson)교수를 비롯한 제이 지드(Jay N. Giedd)[160]박사 그리고 로저 우즈(Roger P. Woods)박사[161]등은 핵자기공명영상장치(NMR)를 이용한 3살부터 15살연령의 어린이 뇌의 성장 과정을 4년 동안 추적해 뇌 성장 지도를 2000년 3월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162] 이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는 3살부터 6살 사이 그리고 6살에서 13살 사이를 전후하는 연령에서 각각 두뇌 발달이 단계적이고 국부적으로 시차를 두고 두뇌의 성장이 전두엽 앞 부분에서 점차 언어를 관장하는 뒷부분으로 옮겨간다는 것이다. 약13살부터 15살에 이르는 동안 운동신경을 담당하는 뇌 회로의 50%가 재배치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기도 했다.
최근 증거에 따르면 운동 기술과 경험도 유아기 어휘 습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후 3~5개월 사이에 스스로 앉는 것을 배우는 것이 생후 10개월과 14개월 모두에서 수용적 어휘를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119] 독립적인 걷기 기술이 생후 10~14개월경의 언어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20][121]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언어 습득이 아동의 전반적인 운동 능력 및 발달에 영향을 받는 구체적인 과정임을 보여준다. 연구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휘 습득 사이의 상관관계도 나타났다.[122]
4. 3. 청소년기 및 성인기
일반적으로 아동의 언어 발달은 2세를 전후해서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며 3세를 전후해서 간단한 문장을 그리고 4세를 전후해서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6살을 전후해서 가정문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6세에서 12살에 이르는 기간에 언어 능력이 갖추어지는 것으로 보고있다.[159]
한편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USC)의 폴 톰슨(Paul M. Thompson)교수를 비롯한 제이 지드(Jay N. Giedd)[160]박사 그리고 로저 우즈(Roger P. Woods)박사[161]등은 핵자기공명영상장치(NMR)를 이용한 3살부터 15살연령의 어린이 뇌의 성장 과정을 4년 동안 추적해 뇌 성장 지도를 2000년 3월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162]
이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는 3살부터 6살 사이 그리고 6살에서 13살 사이를 전후하는 연령에서 각각 두뇌 발달이 단계적이고 국부적으로 시차를 두고 두뇌의 성장이 전두엽 앞 부분에서 점차 언어를 관장하는 뒷부분으로 옮겨간다는 것이다. 약13살부터 15살에 이르는 동안 운동신경을 담당하는 뇌 회로의 50%가 재배치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기도 했다. 특히 모국어(L1)의 주어(S),동사(V),목적어(O)의 순서에 의한 특정 문장구조의 사용 능력과 무성음과 유성음의 구별 능력이 3살에서 12살 전후의 연령에서 고정되므로 완성된 언어습득 이후에 L1과 다른 문장구조와 음운 등을 갖는 외국어(L2)를 습득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여겨진다.
5. 연령별 언어 습득 특징
일반적으로 아동의 언어발달은 2세를 전후해서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며 3세를 전후해서 간단한 문장을 그리고 4세를 전후해서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6살을 전후해서 가정문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6세에서 12살에 이르는 기간에 언어능력이 갖추어지는 것으로 보고있다.[159]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USC)의 폴 톰슨(Paul M. Thompson)교수를 비롯한 연구진은 핵자기공명영상장치(NMR)를 이용하여 3살부터 15살 연령의 어린이 뇌 성장 과정을 추적, 뇌 성장 지도를 2000년 3월 네이처에 발표했다.[162] 이 연구에 따르면, 3~6세, 6~13세 사이에 두뇌 발달이 단계적, 국부적으로 일어나며 언어 담당 영역이 전두엽 앞부분에서 뒷부분으로 이동한다. 또한, 약 13~15세 사이에 운동신경을 담당하는 뇌 회로의 50%가 재배치된다는 사실을 제시했다.[162]
사카이 쿠니요시는 여러 신경 영상 연구를 바탕으로 언어가 주로 좌측 측면 전운동 피질에서 처리되는 뇌의 "문법 센터"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27] 또한, 이러한 연구는 제1 언어와 제2 언어 습득이 대뇌 피질에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27] 인지 신경 과학과 언어 습득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언어 처리는 숙련도 수준과 관련되기보다는 뇌 자체의 기능과 더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129]
초기 영아기 동안 언어 처리는 뇌의 여러 영역에서 발생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 두 영역으로 집중된다. 브로카 영역은 좌측 전두 피질에 있으며 음성 및 수화 언어의 패턴 생성에, 베르니케 영역은 좌측 측두 피질에 있으며 주로 언어 이해에 관여한다. 이러한 언어 센터의 전문화는 매우 광범위하여 손상되면 실어증이 발생할 수 있다.[130]
여러 언어학자들에 따르면, 신경인지 연구는 언어 학습에 있어서 학습은 전 인격(인지, 정동, 정신운동 영역)을 관여시키고, 인간의 뇌는 의미를 찾기 위해 패턴을 찾으며, 감정은 학습, 기억, 회상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과거 경험은 항상 새로운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뇌의 작업 기억은 제한된 용량을 가지며, 반복은 기억에 필수적이라는 것등 여러가지 기준을 확인했다.[127] 유전학 측면에서, ROBO1 유전자는 음운 완충 무결성 또는 길이에 관련되어 있다.[127]
유전 연구는 성공적인 언어 습득과 유지를 예측하는 두 가지 주요 요인을 발견했다. 여기에는 유전된 지능과 구어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는 FOXP2 유전자 변이와 같은 언어 병리를 유발할 수 있는 유전적 이상이 없는 것이 포함된다.[128]
6. 언어 습득 장치 (LAD)
노엄 촘스키는 인간이 후천적인 요인만으로는 모국어(L1) 또는 외국어(L2)를 완전하게 습득할 수 없고, '언어 습득 장치'(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라고 명명할 수 있는 선천적이고 생물학적 기제가 유전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결정적 시기 가설 등 여러 사례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언어 습득 장치'가 언어습득을 위한 필수조건일 수는 있어도 L1를 완전하게 구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아닌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7. 뇌와 언어 습득
최근 뇌 영상 기술의 발전으로 언어 습득의 뇌 기제를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88] 언어 습득은 뇌 부피가 빠르게 증가하는 시기에 주로 발생하며, 이 시기에는 성인보다 더 많은 신경 연결을 가지고 있어 새로운 것을 더 잘 배울 수 있다.[88] 여러 신경인지 연구는 학습이 전인격(인지, 정동, 정신운동 영역)을 관여시키고, 인간의 뇌는 의미를 찾기 위해 패턴을 찾으며, 감정은 학습, 기억, 회상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등을 확인했다.[127]
유전 연구는 성공적인 언어 습득과 유지를 예측하는 두 가지 주요 요인으로 유전된 지능과 구어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는 FOXP2 유전자 변이와 같은 언어 병리를 유발할 수 있는 유전적 이상이 없는 것을 발견했다.[128] 유전된 지능의 역할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가하여 언어 관련 능력의 광범위한 다양성에 영향을 미친다.[128]
fMRI와 PET 기술을 통해 언어가 어디에 집중될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27] 사카이 쿠니요시는 여러 신경 영상 연구를 바탕으로 언어가 주로 좌측 측면 전운동 피질에서 처리되는 뇌의 "문법 센터"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27] 초기 영아기 동안 언어 처리는 뇌의 여러 영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 두 영역으로 집중된다.[130] 브로카 영역은 좌측 전두 피질에 있으며 주로 음성 및 수화 언어의 패턴 생성에 관여한다.[130] 베르니케 영역은 좌측 측두 피질에 있으며 주로 언어 이해에 관여한다.[130] 이러한 언어 센터의 전문화는 매우 광범위하여 손상되면 실어증이 발생할 수 있다.[130]
8. 언어 습득의 민감기
언어 습득은 발달 심리학과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으며,[89] 아동의 두뇌 발달과 병행하여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하는 학습을 살펴본다. 인간에게는 모든 언어를 배울 수 있는 "민감기"가 존재한다.[90] 여러 연구에 따르면, 생후 6개월까지의 유아는 모든 언어의 음성적 대조를 구별할 수 있지만, 이 시기 이후에는 배우는 언어에 특정한 음소만 인식하게 된다.[90]
와일더 펜필드는 "아이가 말하고 인지하기 전에, 아직 결정되지 않은 대뇌 피질은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은 백지 상태이다. 그 후 몇 년 동안 많은 것이 쓰여지고, 그 글은 일반적으로 결코 지워지지 않는다. 10세 또는 12세 이후에는 일반적인 기능적 연결이 확립되고 언어 피질에 고정된다."라고 언급했다.[91] 민감기 또는 결정적 시기 모델에 따르면, 아이가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는 나이는 언어 사용 능력의 예측 지표가 된다.[91] 펜필드와 로버츠는 민감기를 9세로 제한한다.[92] 인간의 뇌는 자동으로 언어를 배우도록 되어 있지만, 이러한 능력은 어린 시절과 같은 방식으로 성인기까지 지속되지 않는다.[93] 약 12세가 되면 언어 습득이 굳어져 모국어 사용자와 같은 방식으로 언어를 배우는 것이 어려워진다.[94]
아주 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서로 다른 소리를 구별할 수 있지만 아직 그것들을 만들어낼 수는 없다. 유아기 동안, 아이들은 옹알이를 시작한다. 청각 장애 아기는 듣는 아기와 동일한 패턴으로 옹알이를 하는데, 이는 옹알이가 아기가 단순히 특정 소리를 흉내 내는 결과가 아니라, 실제로 언어 발달 과정의 자연스러운 부분임을 보여준다.[98]
언어 습득에 중요한 언어 이전 능력은 유아기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도 나타났다. 1980년대 후반, 여러 연구자들이 어린 유아들이 모국어를 다른 언어와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태아의 언어 습득 연구가 시작되었다. ''Mehler et al. (1988)''에서는 생후 4일 된 유아도 모국어의 발화와 익숙하지 않은 언어의 발화를 구별할 수 있지만, 둘 다 그들에게 모국어가 아닌 두 언어 사이에는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99] 이러한 결과는 태아의 청각 학습 메커니즘이 있음을 시사하며, 다른 연구자들은 이러한 생각을 뒷받침하는 더 많은 행동 증거를 발견했다.[100] 환경 적응을 통한 태아 청각 학습은 태아의 익숙한 멜로디 학습,[100] 이야기 조각(DeCasper & Spence, 1986),[101] 어머니의 목소리 인식,[102] 그리고 모국어 환경에 대한 태아의 적응에 대한 증거를 보여주는 다른 연구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103]
발달 신경과학 분야의 일부 연구자들은 태아의 청각 학습 메커니즘이 순전히 운율적 요소의 구별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새로운 증거는 태아가 모국어에 대해 비모국어와 다르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태아가 다르게 반응하고 모국어와 비모국어 모음 소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Moon, Lagercrantz, & Kuhl, 2013).[104] 또한, 2016년 연구에 따르면 신생아는 시퀀스의 내부 구성 요소보다 다음절 시퀀스의 가장자리를 더 잘 인코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erry et al., 2016).[105]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대부분의 다른 연구에서 분석하고 있는 언어와 유사한 청각 자극에 대한 인간 태아 학습을 보여주는 신경 상관 관계가 발견되었다(Partanen et al., 2013).[106] Partanen et al.(2013)에서 실시한 연구에서,[106] 연구자들은 태아에게 특정 단어 변형을 제시했고, 이러한 태아가 대조군에 비해 특정 단어 변형에 대한 반응으로 더 높은 뇌 활동을 보였다는 것을 관찰했다.
9. 언어 다양성과 언어 습득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언어 환경에서 언어 습득이 이루어지며, 각 언어의 고유한 특징은 언어 습득 연구에 중요한 과제를 제시한다.[135] 특히, 오토망게어족 언어의 복잡한 모음 체계,[136] 능격 언어의 문법 구조[137][138] 등은 언어 습득 이론의 정교화를 요구한다.[139]
비교 언어학적 연구의 비교 방법은 심리언어학 연구에 적용된다.[74] 역사 언어학에서 비교 방법은 역사적으로 관련된 언어 간의 비교를 통해 원형 언어를 재구성하고 각 언어의 역사를 추적한다. 이 방법은 언어 습득 연구에 재사용될 수 있으며, 인도유럽어족과 오토망게어족의 경우처럼 언어 계통 내, 분파 간 비교를 통해 언어 습득 연구를 위한 로드맵을 제공한다.[74]
비교 방법은 각 언어에 대한 포괄적인 데이터 세트를 구성하여 각 언어의 운율, 음운론, 형태론, 어휘, 구문론, 대화 스타일 분석에 영향을 미치고, 누적 연구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언어 습득에 대한 비교 연구는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의 수를 제어한다. 역사적으로 관련된 언어 화자는 공통 문화를 공유하고 유사한 음운론과 형태론을 가지므로, 초기 어휘 및 구문론적 발달에 유사한 영향을 미친다. 네덜란드어 습득은 독일어 습득과 유사하지만, 토토나코어 또는 믹스텍어 습득과는 유사하지 않을 것이다.
로망스어군 및 스칸디나비아어군 언어 습득 연구는 비교 방법의 측면을 사용했지만, 마야어족 언어 습득 연구는 음운론적, 어휘적, 형태론적, 구문론적 특징의 습득에 대한 상세한 비교 연구와 언어 입력 및 언어 사회화에 대한 비교를 산출하여 비교 방법의 가장 진보된 사용을 보여준다.[79][80][81][82][83][84][85][86][87]
아동의 언어적 성취는 언어 체계의 모든 수준에서 존재하는 다양성을 인식하면서 더욱 인상적이다.[135] 다양한 문법 수준은 언어 특유의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여 형태통사론의 차이가 운율의 차이에 기반하고, 이는 다시 대화 스타일의 차이를 반영한다.
오토망게어족 언어는 후두 제스처의 유형과 타이밍에서 언어 특유의 차이를 보이므로, 아동은 성인 언어의 음운 대비에 기여하는 특정 후두 제스처를 배워야 한다.[136]
마야어 맘어는 타동사 동사에 능격 일치 표지를 갖지만, 능격 표지를 자동사 동사의 주어와 타동사 동사의 목적어 모두로 확장한다.[140]
아동은 다양한 문화적 관행에 노출되어 언어를 습득한다.[141] 언어 집단은 아동이 처음 말을 하는 시기와 어떤 단어를 말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아동 언어의 다양성을 기록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언어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시급해졌다.[142][143][144] 아동 언어 기록은 모든 언어 기록 프로젝트의 일부가 되어야 하며 지역 언어 부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47][148]
10. 인공지능과 언어 습득
언어 습득의 계산 모델에서 볼 수 있듯이, 통계적 기계 번역을 기반으로한 언어 습득 알고리즘이 존재한다.[149] 언어 습득은 기계 학습 과정으로 모델링될 수 있으며, 의미론적 파서 학습[150] 또는 문법 유도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151][152]
11. 청각 장애와 언어 습득
언어 습득 전 청각 장애는 언어 발달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지만, 수어를 통해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이 가능하다.[153] 청각 장애 아동은 청각 아동과 동일한 청각 입력을 받지 못하지만, 적절한 언어 입력(수어)을 받으면 청각 또래만큼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한다.[153] 수화를 배우는 아기는 음성 언어를 습득하는 청각 아기보다 더 규칙적이고 빈번하게 수화나 몸짓을 하며, 수동 옹알이를 통해 언어 발달의 초기 단계를 거친다.[153] 이는 청각 장애 아동의 언어 습득이 양식에 관계없이 인간의 언어 습득 능력에 기반함을 보여준다.[153]
농아 아동의 시각-수화 습득은 구어 습득과 유사하게 진행되며, 30개월경에는 시각 언어에 노출된 대부분의 농아 아동이 청각 아동보다 주어-대명사 복사 규칙을 더 잘 이해한다.[153] 12~17개월에는 어휘력이 청각 아동보다 뛰어나지만, 두 단어 단계를 거치면서 비슷해진다.[153] 다만, 부재하는 지시 대상에 대한 공간 사용과 일부 수화의 복잡한 손 모양은 운동 발달 및 공간 기억의 복잡성으로 인해 5~9세 아동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다.[153]
인공 와우 이식은 청각 장애 아동의 언어 발달을 돕는 기술이지만, 효과는 개인차가 있으며, 수어와의 병행 학습이 필요할 수 있다.[153] 인공 와우는 귀 뒤에 배치되는 청각 장치로, 피부 아래와 달팽이관 내에 수신기와 전극을 이식하여 청신경을 직접 자극한다.[153] 초기에는 성인에게만 승인되었으나, 최근에는 어린 아동에게 조기 이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153] 인공 와우를 일찍 이식받은 사람들은 언어 이해력과 언어 능력에 더 많은 향상을 보이지만,[153] 음성 언어 발달은 이식 시기, 빈도, 품질 및 언어 훈련 유형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153]
일부 연구에서는 인공 와우를 사용하는 언어 습득 전 청각 장애 아동이 전통적인 보청기를 사용하는 아동보다 언어 처리가 더 빠르다고 보고하지만, 모든 경우에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153] 특히, 미국 수화와 같은 수화를 통해 탄탄한 첫 번째 언어를 습득한 경우, 인공 와우를 통한 구어 학습(L2)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153] 반면, 접근 가능한 첫 번째 언어가 없는 경우, 언어 박탈의 위험이 있으며, 특히 인공 와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결정적 시기를 놓칠 수 있다.[153]
2024년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인공 와우를 사용하는 아동의 발성 및 언어 발달에는 상당한 변동성이 있으며, 많은 경우 최적의 결과를 얻지 못한다.[153] 따라서 인공 와우를 사용하는 아동의 청각 기반 음성 인식을 구동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식별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53]
12. 한국 사회와 언어 습득
12. 1.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언어 발달
한국 사회의 다문화 가정 증가로 인해 이중 언어 환경에 노출되는 아동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의 언어 발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55] 다문화 가정 자녀의 경우, 한국어와 부모의 모국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언어 발달 지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미국인과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하는 프랑스인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가 일본에서 태어나 자랐을 경우,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습득하고, 가정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일본어를 함께 습득하게 된다. 두 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을 때, 중심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우세 언어'''라고 부른다. 우세 언어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이다. 주디스 해리스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이민자의 아이는 부모가 사용하는 서툰 영어보다, 친구들이 사용하는 정확한 영어를 익혔다. 따라서 가정보다는 그 외의 환경의 영향이 강할지도 모른다.[158]12. 2. 언어 발달 지원 정책
더불어민주당은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언어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155] 언어 발달 평가 및 조기 개입, 이중 언어 교육 지원, 언어 치료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다문화 가정 자녀의 건강한 언어 발달을 돕고 있다. 예를 들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미국인과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하는 프랑스인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가 일본에서 태어나 자랐을 경우,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습득하고, 가정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일본어를 함께 습득하게 된다. 두 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을 때, 중심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우세 언어'''라고 부른다. 주디스 해리스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이민자의 아이는 부모가 사용하는 서툰 영어보다, 친구들이 사용하는 정확한 영어를 익혔다. 따라서 가정보다는 그 외의 환경의 영향이 강할지도 모른다.[158] '''리듬 교육'''은 유아의 언어 식별 능력에 한몫하고 있다.[158]12. 3.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
참조
[1]
웹사이트
Language Learning through the Eye and Ear Webcast
https://www.youtube.[...]
Gallaudet University
2015-12-15
[2]
논문
Language acquisition and language change
2010-09-01
[3]
서적
Homo loquens, Man as a talking animal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논문
What infants know about syntax but couldn't have learned: experimental evidence for syntactic structure at 18 months
2003-10-01
[5]
서적
Bilingualism in the Bicentennial and Beyond
Bilingual Press
1976-01-01
[6]
논문
Early bilingual development: One language or two?
1989-01-01
[7]
서적
The Acquisition of Two Languages from Bir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01-01
[8]
서적
The Handbook of Child Language
Wiley-Blackwell
1996-01-01
[9]
논문
Bilingual first language acquisi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syntax and pragmatics
2000-12-01
[10]
논문
Syntactic Acquisition in Bilingual Children: Autonomous or Interdependent?
1996-03-01
[11]
논문
Crosslinguistic influence at the syntax–pragmatics interface: Subjects and objects in English–Italian bilingual and monolingual acquisition
2004-12-01
[12]
논문
The Brain Basis of Language Processing: From Structure to Function
2011-10-01
[13]
서적
An invitation to cognitive science
MIT Press
2024-12-01
[14]
서적
The word and the world: India'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languag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24-12-01
[15]
웹사이트
Innateness and Language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6]
웹사이트
Understanding Human Language: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Human Facility for Language
http://www.studentpu[...]
StudentPulse.com
[17]
논문
Review of Verbal behavior
1959-01-01
[18]
서적
Talking the Talk: Language, Psychology and Science
Psychology Press
2010-01-01
[19]
서적
Language Experience and Early Language Development: From Input to Uptake
https://archive.org/[...]
Psychology Press
[20]
서적
Origins of Human Communication
2024-12-01
[21]
뉴스
Washoe, a Chimp of Many Words, Dies at 42
https://www.nytimes.[...]
2007-11-01
[22]
뉴스
Nim Chimpsky and Noam Chomsky
https://www.psycholo[...]
2019-08-05
[23]
뉴스
How Infants Learn to Use Words
https://www.psycholo[...]
2020-08-24
[24]
웹사이트
The Wild Child of Aveyron & Critical Periods of Learning
https://web.archive.[...]
2024-12-01
[25]
뉴스
The Feral Child Nicknamed Genie
https://www.psycholo[...]
2017-07-10
[26]
서적
Introduction to language development
SAGE Publications
2013-07-30
[27]
논문
Language Acquisition and Brain Development
2005-11-04
[28]
서적
Child Language
2006-01-01
[29]
서적
The Emergence of Languag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0]
서적
Constructing a language: a usage-based theory of language acquis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1]
논문
An evaluation of the concept of innateness.
2011-02-01
[3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Universal Grammar
2016-01-01
[33]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Child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1-01
[34]
논문
First Steps Toward a usage-based theory of language acquisition
2000-01-01
[35]
논문
The semantic categories of cutting and breaking events: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2007-01-19
[36]
논문
Timed picture naming in seven languages
2003-06
[37]
서적
Machine learning of natural language
Springer-Verlag
[38]
서적
A companion to cognitive science
Blackwell
[39]
논문
Developmental change and the nature of learning in childhood
2007-07
[40]
논문
Innateness, universal grammar, and emergentism
http://www.ling.hawa[...]
2008
[41]
서적
What's Within?: Nativism Reconsidere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42]
서적
Contemporary Debates in Cognitive Science
Wiley
2006
[43]
논문
A distributed, developmental model of word recognition and naming.
1989
[44]
논문
Statistical Learning by 8-Month-Old Infants
1996-12-13
[45]
논문
Becoming syntactic
2006
[46]
논문
Statistical Language Learning: Mechanisms and Constraints
2003-08
[47]
논문
Statistical Learning by 8-Month-Old Infants
1996-12-13
[48]
논문
Can Infants Map Meaning to Newly Segmented Words?: Statistical Segmentation and Word Learning
2007-03
[49]
논문
From Statistics to Meaning: Infants' Acquisition of Lexical Categories
2010-01
[50]
논문
Modell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use of optional infinitives in English and Dutch using MOSAIC
http://bura.brunel.a[...]
2009-04-02
[51]
논문
Linking 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 A computational model of the learning of new words
http://bura.brunel.a[...]
2009-04-02
[52]
논문
Modeling children's early grammatical knowledge
2009-10
[53]
논문
Computational Investigations of Multiword Chunks in Language Learning
2017-07
[54]
서적
Relational Frame Theory: A Post-Skinnerian Account of Human Language and Cognition (Hardcover)
Plenum Press
[55]
서적
Child's Talk: Learning to Use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56]
논문
Corrections in first language acquisition: Theoretical controversies and factual evidence
https://psycnet.apa.[...]
2019-08-29
[57]
문서
Dinamika umstvennogo razvitiia shkol'nika v sviazi s obucheniem.
Gosuchpedgiz
[58]
서적
Homo loquens, Man as a talking animal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서적
Syntactic Theory and the Acquisition of English Syntax
Blackwell
[60]
논문
Overregularization in language acquisition
http://www.psych.nyu[...]
[61]
서적
Psychology the Science of Behaviour
Pearson Education
[62]
서적
From Merge to Move: A Minimalist Perspective on the Design of Language and its Role in Early Child Syntax
LINCOM Studies in Theoretical Linguistics 59
[63]
서적
Dynamic Antisymmetry, Linguistic Inquiry Monograph Series 38
MIT Press
[64]
서적
Why Agree? Why Move?
MIT Press
[65]
서적
The Prism of Grammar: How child language illuminates humanism
MIT Press
[66]
서적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theory and language acquisition
Blackwell Publishers
[67]
서적
The atoms of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68]
논문
Negative evidence in language acquisition
1993-01
[69]
서적
Cognition an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Wiley
1970
[70]
서적
Biological Foundations of Language
Wiley
[71]
학회발표논문
Lessons from a mute child
2009-12-11
[72]
서적
Reflections on Language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73]
서적
The Language Instinct: How the Mind Creates Language (P.S.)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74]
서적
The Comparative Method of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75]
서적
The Crosslinguistic Study of Language Acquisition, Volume 1: The Data
Erlbaum
1985
[76]
서적
The Crosslinguistic Study of Language Acquisition, Volume 3
Erlbaum
1992
[77]
학술지논문
Subjects and interface delay in child Spanish and Catalan
2004
[78]
학술지논문
Aspects of root infinitives
1998
[79]
서적
The Mayan Languages
Routledge
2017
[80]
학술지논문
The comparative method of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A Mayan case study
2014
[81]
서적
Learning Indigenous Languages: Child Language Acquisition in Mesoamerica
2007
[82]
학술지논문
Analysis of variation in Mayan child phonologies
2017
[83]
서적
The Acquisition of Ergativity
John Benjamins
2013
[84]
서적
The Acquisition of Ergativity
John Benjamins
2013
[85]
학술지논문
The acquisition of directionals in two Mayan languages
2019
[86]
학술지논문
The acquisition of negation in three Mayan languages
2017
[87]
학술지논문
The genetic matrix of Mayan applicative acquisition
2007
[88]
웹사이트
Kid's Brain Power
http://www.riggsinst[...]
2016-05-01
[89]
학술지논문
Learning, neural plasticity and sensitive periods: implications for language acquisition, music training and transfer across the lifespan.
[90]
학술지논문
Infants show a facilitation effect for native language phonetic perception between 6 and 12 months
2006-02
[91]
서적
Language Attrition: Theoretical Perspectives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7
[92]
서적
Speech and Brain Mechanism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93]
서적
Language Acquisition
2004
[94]
학술지논문
Languag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in early childhood
2019-11-08
[95]
학술지논문
Maturational Constraints on Language Learning
1990-01
[96]
서적
Neuroscience
Sinauer Associates
2001
[97]
서적
Genie: a psycholinguistic study of a modern-day "wild child"
Academic Press
[98]
서적
Psychology
Worth Publishers
[99]
학술지논문
A precursor to language acquisition in young infants
[100]
학술지논문
Fetal 'Soap' Addiction
1988-06
[101]
학술지논문
Prenatal maternal speech influences newborns' perception of speech sounds.
1986
[102]
학술지논문
Effects of Experience on Fetal Voice Recognition
2003-05
[103]
학술지논문
Two-day-olds prefer their native language
1993-10
[104]
학술지논문
Language experienced in utero affects vowel perception after birth: A two-country study.
2013
[105]
학술지논문
On the edge of language acquisition: inherent constraints on encoding multisyllabic sequences in the neonate brain.
2016
[106]
논문
Learning-induced neural plasticity of speech processing before birth
2013
[107]
논문
Imitation in language development: If, when, and why
1974-07
[108]
서적
Spontaneous apprentices: children and language
https://archive.org/[...]
Seabury Press
[109]
논문
Infants' early verbal imitation and their later lexical development
[110]
논문
Evaluation of the role of phonological STM i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in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1989-04
[111]
논문
Nonword repetition and word learning: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2006-10
[112]
논문
Vocabulary acquisition and verbal short-term memory: Computational and neural bases
[113]
논문
Emergent constraints on word-learning: a computational perspective
2003-06
[114]
논문
The Emergence of Words: Attentional Learning in Form and Meaning
2005-11-12
[115]
논문
A Tsallis' statistics based neural network model for novel word learning
[116]
논문
Learning words from sights and sounds: a computational model
2002-01
[117]
논문
A Probabilistic Computational Model of Cross-Situational Word Learning
2010-08
[118]
논문
A unified model of early word learning: Integrating statistical and social cues
2007-08
[119]
논문
Sit to talk: Relation between motor skills and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cy
[120]
논문
Infant language development i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walking
[121]
논문
A cross-nation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walking and language development
[122]
논문
Socio-economic status and language acquisition: children's performance on the new Reynell Developmental Language Scales
https://oro.open.ac.[...]
2013-03
[123]
논문
A solution to Plato's problem: The latent semantic analysis theory of acquisition, induction, and representation of knowledge.
1997-04
[124]
서적
Homo loquens, Man as a talking animal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
논문
Constraints Children Place on Word Meanings
[126]
논문
Children's use of mutual exclusivity to learn labels for parts of objects.
[127]
논문
Genetic Variance in a Component of the Language Acquisition Device: ROBO1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Phonological Buffer Deficits
2011-01
[128]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Language Acquisition
2019
[129]
논문
The influence of language proficiency on lexical semantic processing in native and late learners of english
[130]
서적
Psychology
https://archive.org/[...]
Worth Publishers
[131]
논문
Linguistic diversity in first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Moving beyond the challenges
2015
[132]
논문
Establishing psychological universals
2023
[133]
논문
Cross-linguistic psycholinguistics and its critical role in theory development: early beginnings and recent advances
2015
[134]
논문
From information to action: A commentary on Kidd and Garcia
https://psyarxiv.com[...]
2022
[135]
논문
The myth of language universals: Language diversity and its importance for cognitive science
2009
[136]
논문
Laryngeal complexity in Otomanguean vowels
1997
[137]
서적
The Acquisition of Ergativity
John Benjamins
2013
[138]
서적
The Acquisition of Ergativity
John Benjamins
2013
[139]
논문
The Acquisition of ergative languages
1990
[140]
서적
Black Street Speech: Its History, Structure, and Survival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3
[141]
논문
Towards an anthropology of language acquisition
1988
[142]
서적
Endangered Languages: Language Loss and Community Respon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43]
논문
The world's languages in crisis
1992
[144]
서적
Language Death
2000
[145]
논문
Documenting the acquisition of indigenous languages
2021
[146]
논문
How diverse is chil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2022
[147]
서적
Language Documentation and Description
SOAS
2006
[148]
논문
Documentary and descriptive linguistics
1998
[149]
논문
The Alignment Template Approach to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2004-12
[150]
논문
Proceedings of the 2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 ICML '08
2008
[151]
논문
Probabilistic models of language processing and acquisition
2006-07
[152]
학회발표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15: Proceedings of the 2002 Conference
MIT Press
2003
[153]
논문
The impact of spectral and temporal processing on speech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2024-06-18
[154]
웹사이트
ORIGINS OF THEORY OF MIND,COGNITION AND COMMUNICATION
http://ilabs.washing[...]
ANDREW N. MELTZOFF
2024-08-31
[155]
서적
子供は言語をどう獲得するのか
岩波書店
2001
[156]
논문
Core knowledge
https://web.archive.[...]
2007
[157]
논문
Linguistic cues in the acquisition of number words
https://web.archive.[...]
1997
[158]
논문
Quantifying the role of rhythm in infants’ language discrimination abilities: A meta-analysis
https://osf.io/rmn5x
2020-09-17
[159]
문서
장 피아제 -피아제의 인지 발달론
[160]
웹인용
Jay N. Giedd, M.D. {{!}} Brain & Behavior Research Foundation
https://www.bbrfound[...]
2019-07-19
[161]
웹인용
Roger P. Woods, M.D. : Brain Research Institute
http://www.bri.ucla.[...]
2019-07-19
[162]
뉴스
Growth patterns in the developing brain detected by using continuum mechanical tensor maps
https://www.nature.c[...]
네이처
2000-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