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춘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춘권은 중국 남부에서 기원한 무술로, "노래하는 봄 권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엄영춘의 이름을 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좁은 보법과 근접전을 특징으로 한다. 엽문, 이소룡 등이 영춘권을 수련했으며, 엽문은 홍콩에서 영춘권을 발전시켜 세계적으로 알렸다. 영춘권은 소념두, 심교, 표지 세 가지 투로와 육점반곤, 팔참도 등의 무기술을 사용하며, 훈련은 권법을 통한 기술 습득과 대인 연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엽문파, 황순량 계열 등 다양한 유파가 존재하며, 영화,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도 영춘권이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술 - 관절기
    관절기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관절을 제압하는 기술로, 무술, 호신술, 격투기 등에서 활용되지만 부상 위험이 있어 전문가 지도하에 수련해야 하며 일부 기술은 사용이 금지되기도 한다.
  • 무술 - 타격기
    타격기는 신체 부위를 사용하여 상대를 가격하는 기술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전해 왔으며 격투 스포츠의 핵심 요소이자 자기 방어 및 정신 수양의 수단으로 활용된다.
  • 중국의 무술 - 중국 무술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다양한 격투 시스템과 무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림사, 도교 철학, 여러 유파를 거쳐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스포츠, 대중문화, 건강 증진 수단으로 세계에 보급되어 우슈라는 스포츠로도 발전했다.
  • 중국의 무술 - 절권도
    절권도는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로, 다양한 무술의 요소를 융합하여 '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변화와 발전을 지향하며, 이소룡 사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기원별 무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기원별 무술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영춘권
기본 정보
이소룡과 엽문이 쌍치수(Seung Chi Sau)를 연습하는 모습
엽문과 이소룡이 쌍치수(Seung Chi Sau), 즉 "더블 스티키 핸즈"를 연습하는 모습
다른 이름영춘(Ving Tsun)
영춘(Wing Tsun)
영춘(Wing Tsung)
용춘(Yong Chun)
웡춘(Weng Chun)
윙춘(Wyng Tjun)
빙춘(Ving Tjun)
윙춘(Wing Tzun)
윙춘(Wing Tschun)
집중 분야타격
그래플링
트래핑
국가포산시, 중국
창시자오매
능매의 제자 영춘 (스타일 이름의 유래)
유래소림 무술 / 남권
파생 무술절권도
독일 유술
유명 수련자(주요 수련자 참고)
중국어
병음Yǒngchūn
광둥어Wing6 ceon1
역사
창시 시기청나라 옹정제 시대
기술
주요 기술소념두
심교
표지
치수
목인장

2. 어원

이 무술은 중국어로 咏春拳중국어(간체자) 또는 詠春拳중국어(정체자)으로 불린다. 정체자와 간체자에서 거의 동일하게 표기되지만, 지역과 방언에 따라 발음과 음역이 다르게 나타난다. 표준 중국어 병음으로는 '''Yǒngchūn quán'''이며, 광둥어로는 보통 '''Wing Chun Kuen'''으로 발음된다. 이 이름은 두 단어로 구성되어 있는데, 拳중국어(quán/kuen)은 "주먹" 또는 "권법"을 의미하고, 詠春중국어(wing-chun)은 "봄을 노래하다"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체 이름은 "봄을 노래하는 권법"으로 번역될 수 있다.[6][7]

이 무술은 줄여서 다음 두 개의 한자로 지칭되기도 한다:


  • 중국어(yǒng/wing): "노래하다, 읊다"
  • 중국어(chūn/chun): "봄, 활력"


때때로 永春중국어으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이는 詠春중국어과는 다른 글자이지만 발음과 음역은 동일하다. 永春중국어은 문자 그대로 "영원한 봄"으로 번역되며, 永중국어은 "영원한, 끝없는"을 의미한다. 이 표기는 푸젠성 취안저우 시 근처의 융춘(永春)현 지역을 지칭하기도 한다.

오늘날 영춘권 계열에서는 詠春중국어 표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永春중국어은 다른 남중국 무술의 이름에 여전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웡춘권(Weng Chun)이나 푸젠 백학권(Fujian White Crane, 永春白鶴拳중국어) 등이 있다.[8]

서양에서는 이 무술의 이름이 다양한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중국어 방언 간의 발음 차이(주로 광둥어 발음이 선호됨), 또는 서양 언어의 음차 방식에 따라 다르게 표기되어 왔다. 또한, 일부 영춘권 사범들은 자신의 가르침을 전통적인 방식과 구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다른 표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엽문의 'Ving Tsun'이나 량팅의 'Wing Tsun'이 있다. 웨인 벨로노하(Wayne Belonoha)는 "결과는 철자를 통해서 계보, 즉 사제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라고 언급했다.[9] 결론적으로 서양에서는 발음은 거의 비슷하지만 Ving Tsun, Wing Tsun, Wing Tsung, Yong Chun, Weng Chun, Wyng Tjun, Ving Tjun, Wing Tzun, Wing Tschun 등 다양한 철자로 표기된다. 'Wing Chun'은 이 무술의 모든 계파를 아우르는 가장 일반적인 표기법이다.[10][5]

영춘권의 이름 유래에 대한 설명은 다양한 영춘권 유파에 따라 다르다.

  • 일반적인 전설: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은 무술의 신화적인 창시자인 엄영춘(嚴詠春, 嚴詠春중국어)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그녀는 전설적인 여승 오매(五枚, 五枚중국어)의 제자였다고 전해진다.[11][12][13] 엄영춘의 아버지 엄이(嚴二, 嚴二중국어)는 사건에 휘말려 쓰촨성 다량산으로 도망쳐 두부를 팔며 살았고, 현지 소수 민족에게서 사천 매화권 등 남파 소림권을 배웠다고 한다. 엄영춘은 아버지에게 배운 권법을 개량했으며, 일설에는 학과 의 싸움을 보고 영감을 얻어 창안했다고도 한다. (다만, 엄영춘이라는 이름 자체가 당시 무협 소설 주인공의 이름이었다는 점에서 실존 인물 여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며, 오매 니구가 창시했다는 설, 소림사의 "영춘전(永春殿)"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 홍선희반 계열: 이 계열에서는 오매/엄영춘 전설이 청나라의 탄압을 피해 홍선희반(紅船戱班, 紅船戱班중국어, 광둥 오페라 극단)에 숨어든 소림사 승려 장오(張五, 張五중국어)의 신분을 숨기기 위해 만들어진 이야기라고 주장한다. '엄(嚴)'은 '비밀' 또는 '보호받는'으로 해석될 수 있고, '영춘(詠春)'은 소림사의 '영춘당(詠春堂, 詠春堂중국어)'을 의미하므로, "엄영춘"은 "소림영춘당의 비밀 무술"이라는 암호였다는 것이다.[14]
  • 판남 계열: 판남(潘南, 潘南중국어) 계열에서는 '영(Wing)'이 홍문(洪門, 洪門중국어)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진영화(陳近南, 陳近南중국어)에서 유래했다고 본다.[15]
  • 포화련 계열: 이 계열에서는 '영춘(Wing Chun)'이 "영원히 중화(中華)를 받들고 한족(漢族) 왕조를 회복하며, 청(淸)을 몰아내고 다시 명(明)을 세운다"는 의미의 혁명 구호 永懷漢統、還我明朝、大地皆春중국어의 축약형이라고 설명한다. 이는 반청(反淸) 혁명가들이 서로를 알아보는 비밀 암호였으며, 나중에 '영춘(永春, 영원한 봄)'으로 줄여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16]


고전적으로는 永春拳중국어 또는 詠春拳중국어으로 불렸으며, 많은 분파가 생겨났다. 최근에는 "영춘백학권", "홍선영춘권", "영춘권"을 각각 별개의 문파로 취급하기도 한다. 言중국어 변이 붙은 詠春拳중국어이라는 명칭은 '영춘권왕'이라 불린 광둥성 불산의 무술가이자 의사인 량찬(梁贊, 梁贊중국어) 이후로 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그가 투로(套路, 품새)를 소념두(小念頭, 小念頭중국어), 심교(尋橋, 尋橋중국어), 표지(標指, 標指중국어) 세 가지로 정리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3. 역사

영춘권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영춘권 유파에 따라 다양한 설명이 존재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은 무술의 시조로 여겨지는 여성 엄영춘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것이며, 그녀는 전설적인 여승 오매의 제자로 전해진다.[11][12][13] 하지만 다른 유파에서는 소림 승려 장오의 신분을 숨기기 위한 암호였다거나([14]), 홍문 창시자 중 한 명인 진영화에서 유래했다거나([15]), 반청 혁명가들의 비밀 암호가 축약된 것이라는([16]) 등 다른 설명을 제시한다.

영춘권의 정확한 기원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중국 남부 무술의 발전 과정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7] 역사가 불분명한 주된 이유는 문자로 기록되기보다는 스승에게서 제자에게 구두로 전수되었고, 청나라에 대한 저항 운동과 연관되어 비밀리에 발전했기 때문이다.[18]

영춘권에는 최소 8개 이상의 독자적인 유파가 존재하며, 각 유파는 서로 다른 기원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초기 영춘권은 월극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홍선 희반 내부에서 주로 전승된 것으로 보인다.

영춘권을 체계화하고 대중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는 '영춘권왕' 량찬과 그의 제자 진화순이 있다. 량찬은 영춘권의 형(투로)을 정리하고 '영춘권(詠春拳)'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진화순은 최초로 무관을 열어 영춘권을 직업적으로 가르치기 시작했다. 진화순의 제자 중 엽문은 훗날 홍콩으로 건너가 영춘권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처럼 다양한 기원설과 유파별 주장, 초기의 비밀주의, 그리고 현대의 마케팅 등이 얽히면서 영춘권의 역사는 사실과 허구가 혼재된 형태로 전해지기도 한다.

3. 1. 기원

영춘권의 탄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지지만, 정확한 기원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는 영춘권이 글로 기록되기보다는 스승에게서 제자에게 구두로 전수되었고, 청나라에 대한 저항 운동과 관련되어 비밀리에 발전했기 때문이다.[18] 영춘권은 중국 남부 무술의 발전과 깊은 관련이 있다.[17]

가장 널리 알려진 기원설은 오매 선사와 엄영춘에 관한 이야기이다.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 복건성의 남소림사는 명나라 편에 서서 청나라에 저항하다가 결국 파괴되었다. 이때 살아남은 오매 선사는 남쪽 지방으로 피신하여 두부 장수 엄이와 그의 딸 엄영춘을 만났다. 마을 불량배에게 시달리던 엄영춘을 안타깝게 여긴 오매 선사는 그녀에게 자신을 지킬 수 있도록 소림 무술의 핵심 기술만을 간추려 가르쳐주었다. 엄영춘은 이 기술로 불량배를 물리쳤고, 이후 양박주와 혼인하여 그에게 영춘권을 전수했다고 한다. 다른 설로는 엄영춘이 아버지 엄이에게 배운 권법(사천 매화권 등 남파 소림권)을 바탕으로, 학이 를 제압하는 모습을 보고 영감을 얻어 영춘권을 창시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엄영춘은 중국 무술 역사상 뛰어난 여성 권법가 중 한 명으로 꼽히기도 한다.

영춘권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도 다양한 설명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는 무술의 시조로 여겨지는 엄영춘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알려져 있다.[11][12][13]

하지만 다른 유파에서는 다른 기원을 이야기한다. 홍선/홍구표 계열에서는 '엄영춘'이라는 이름이 만주족의 탄압을 피해 홍선 희반(월극 순회 극단)에 숨어든 소림 승려 장오(탄수오)의 신분을 숨기기 위한 암호였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엄(嚴, Yim)'은 '비밀' 또는 '보호받는'을, '영춘(詠春)'은 소림사의 '영춘당(永春殿)'을 의미하여, "소림 영춘당의 비밀 무술"이라는 뜻을 가진다고 해석한다.[14] 판남 계열에서는 홍문 창시자 중 한 명인 진영화의 이름에서 '영(Wing)'이 유래했다고 보며,[15] 포화련 계열에서는 반청 혁명가들이 서로를 알아보던 비밀 암호 "영원히 봄을 맞이한다(永懷中國、春光常在)"는 구호가 축약되어 '영춘(永春)'이 되었다고 설명한다.[16]

영춘권의 초기 전승은 월극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엄영춘의 남편으로 알려진 량보주는 영춘권을 량란구이에게 전수했고, 량란구이는 월극 배우였던 황화보와 선원 량이티에게 영춘권을 가르쳤다. 이로 인해 영춘권은 한동안 월극 극단인 "홍선희반" 내부에서 주로 전승되었으며, 외부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광둥성 불산의 무술가이자 탕액가였던 량찬은 영춘권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가 기존의 '영춘권(永春拳)'에 '말씀 언(言)' 변을 더한 '영춘권(詠春拳)'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투로(형)를 소념두, 심교, 표지의 세 가지로 정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저우 영춘권의 전설에 따르면, 황화보가 륙금에게서 남소림사의 봉술인 '육점반곤'을 배워 영춘권에 통합시켰다고도 한다.

현재 영춘권에는 최소 8개 이상의 독자적인 유파가 존재하며, 각 유파는 서로 다른 기원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주요 유파는 다음과 같다.

유파관련 인물/지역각주
엽문 유파엽문
원계산 유파원계산[19]
고노촌(古勞村) 유파고노촌[20]
남양 / 조덕(曹德) 유파조덕
판남 유파판남
포화련(泡花蓮) 유파
홍선 / 홍구표(洪拳) 유파
지심 / 옹춘 유파지심, 옹춘[21]



이처럼 다양한 기원설과 유파별 주장이 존재하며, 서양에서는 초기의 비밀주의와 현대의 상업적 마케팅이 결합되어 영춘권의 역사가 사실과 허구가 뒤섞여 전해지기도 한다.

3. 2. 발전

엄영춘의 남편 양박주를 통해 점차 퍼져나간 영춘권은 그의 제자인 황화보, 양이제에 의해 광동성, 복건성 지역에서 성행하였다. 이들의 제자인 양찬은 '영춘권왕'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당대의 고수로 자리매김했다. 양찬은 일생 동안 단 4명의 제자만을 두었는데, 그중 진화순양벽에게 배운 엽문은 영춘권을 세계로 퍼뜨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후 중국에 공산 혁명의 물결이 밀어닥치자 엽문은 홍콩으로 이주하여 홍콩을 영춘권의 새로운 중심지로 만들었다. 1970년대 홍콩 액션 스타 이소룡 역시 엽문의 제자로서 영춘권을 수련했으며, 영춘권을 기반으로 홍가권, 태권도, 복싱, 펜싱 등의 기법을 융합하여 독자적인 무예인 절권도를 창시했다.

영춘권 체육 협회는 1967년 광둥 출신 사부 엽문과 그의 제자 7명이 함께 영춘권을 가르치고 엽문의 부담을 덜기 위해 설립되었다.[44] 엽문에 따르면, 영춘권의 첫 공개 시연은 1969년 겨울 당시 침례 대학에서 열린 공식 시범 경기였다. 엽문의 제자였던 량팅은 스승과 당시 무술계 유명 인사들을 대학에 초대하여 전문 관객 앞에서 시범을 보였다. 이 협회는 영춘권이 세계로 확산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5][46]

전통적으로 영춘권은 다른 중국 무술이나 직업 길드처럼 스승에서 제자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전수되었다. 제자의 모든 훈련 과정을 책임지는 스승을 사부(師父)라 불렀으며, 수업은 주로 스승의 집에서 이루어져 스승과 제자 간의 개인적인 유대 관계가 형성되었다. 최초의 공립 영춘권 학교는 홍콩에 설립되었고, 이후 영춘권 수업은 점차 현대적이고 상업적인 형태로 변화했다.

그러나 일부 도장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가족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엽문의 조카인 뤄만깜은 타이베이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오랫동안 수련한 제자들은 전통적인 다례(茶禮) 의식을 통해 영춘권 가족의 내제자(內弟子)로 받아들여진다. 이 의식은 오랜 수련 기간을 통해 형성된 스승과 제자 간의 깊은 유대감을 상징한다.

일반적으로 영춘권은 팔을 짧게 쓰고 보폭을 작게 하는 단교협마(短橋狹馬)의 권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권술을 중심으로 도술과 곤술을 포함한다. 전승된 형(型)을 보면 검술을 기초로 하여 맨손 권술에 응용한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수련 시에는 사람 모양의 나무 인형인 木人樁|목인장중국어을 사용한다.

현재 대부분의 영춘권 전승에는 소념두(小念頭), 심교(尋橋), 표지(標指)라는 3개의 투로(套路)와 목인장법, 팔참도(八斬刀) 또는 탈명쌍도(奪命雙刀)라 불리는 도술, 그리고 육점반곤(六點半棍) 또는 행자봉(行者棒)이라 불리는 곤술이 포함된다. 하지만 전승에 따라 다른 권투(拳套)나 무기술이 포함되기도 하며, 모든 영춘권 기술이 단교협마의 특징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 '''영춘권(永春拳)''' 또는 '''영춘권(詠春拳)'''으로 불렸으며, 많은 분파가 생겨났다. 최근에는 "영춘백학권", "홍선영춘권", "영춘권" 등을 각각 별개의 문파로 보기도 한다. 오래된 영춘권일수록 홍가권과 유사한 면이 있고, 초기 영춘권에는 삼대수(三大手)라는 기본 손 모양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 등에서 다른 남파 소림권과의 관계 및 정의가 복잡하다. 다만, '영춘권(詠春拳)'이라는 명칭은 '영춘권왕'이라 불린 광둥성 불산의 무술가이자 탕액가였던 양찬 이후에 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양찬이 투로를 소념두, 심교, 표지의 세 가지로 정리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후 다른 문파의 기법이나 형을 도입한 혼합적인 유파도 생겨났다.

영춘권의 발상에는 청나라에 대한 저항 운동이나 월극(광동 오페라)의 발전과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창시자로 여겨지는 인물로는 지선 선사, 오미 스님, 묘현, 엄영춘, 방영춘, 장오(탄수오) 등이 전해진다. 초기 전승자들의 이름 중에는 월극 배역 이름이 많아, 영춘권과 월극이 초창기 역사를 공유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영춘권이 홍가권과 관련이 깊고, 홍선 희반(배로 이동하며 순회 공연을 하던 월극 극단) 내에서 흩어진 남파 소림권의 맥을 잇기 위해 기술 교류가 활발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영춘(詠春)'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여성 권법가로 알려진 엄영춘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그녀는 중국 무술 역사상 가장 강한 여성 권법가 중 한 명인 "소림사협녀(少林四俠女)"로 꼽힌다. 전설에 따르면, 엄영춘의 아버지 엄이는 사건에 휘말려 쓰촨성 다량산으로 도망쳐 두부를 팔며 생계를 유지했다. 그는 현지 소수 민족에게서 사천 매화권 등 남파 소림권을 배웠고, 엄영춘은 아버지에게 배운 권법을 개량했다고 한다. 또한 엄영춘이 학과 의 싸움을 보고 영춘권을 창안했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엄영춘이라는 이름이 당시 무협 소설 주인공의 이름이었다는 점, 실존 인물에 대한 의문, 오미 스님이 다량산에서 영춘권을 만들었다는 전승, 지선 선사가 남소림사의 "영춘전(永春殿)"에서 수련했기 때문이라는 설 등 다양한 이야기가 존재한다.

불산의 찻잎 상인이자 후에 엄영춘의 남편이 되는 양박주가 영춘권을 배웠고, 그의 유일한 제자인 불산 상인 량란구이에게 전수했다. 월극 애호가였던 량란구이는 불산에서 공연하던 월극 극단 "홍선희반"의 배우 황화보와 선원 양이제에게 영춘권을 가르쳤다. 황화보와 양이제는 혹독한 수련 끝에 영춘권을 계승했고, 이후 영춘권은 주로 "홍선희반" 내부에서 비밀리에 전승되었다. 당시에는 영춘권을 직업적으로 가르치는 사람이 드물어 문외불출의 성격을 띠었고, 무관(武館)을 여는 관습도 없었다.

영춘권을 대외적으로 전수하기 시작한 것은 홍선희반의 황화보, 양이제에게서 사천 매화권, 사형 홍가권, 영춘권 등 다양한 남파 소림권을 배운 "영춘권왕" 양찬(1826~1901)부터이다. 양찬은 광둥성 불산 콰이자이 거리에서 "찬성당(贊生堂)"이라는 한약방 겸 진료소를 운영하며 "불산 찬 선생"으로 불렸다. 이 권법이 '영춘권(詠春拳)'으로 불리게 된 것은 양찬이 세 가지 투로(소념두, 심교, 표지)를 제정한 때부터였지만, 양찬 자신은 평생 영춘권 무관을 열지 않고 아들과 극소수 제자에게만 전수했다.

그 제자 중 한 명인 진화순(1849~1913)은 찬성당 맞은편에서 환전상을 운영하여 "돈 찾는 화(找錢華)"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이 인연으로 영춘권을 배우게 되었다. 키가 크고 체격이 좋았던 진화순은 39세(1888년)에 양찬의 제자가 되어 13년간의 수련 끝에 영춘권의 모든 비법을 전수받았다. 이후 환전상을 그만두고 1901년 "행제당(杏濟堂)"이라는 이름으로 무관을 열어 영춘권을 가르치는 것을 생업으로 삼았다. 직업 무술가로서 무관을 열고 영춘권을 가르친 것은 진화순이 최초이며, 이로 인해 영춘권은 많은 제자를 배출하게 되었다. 진화순의 제자 중 뢰여제는 훗날 불산파 영춘권의 조상이 되었고, 엽문은 홍콩으로 건너가 엽문파 영춘권의 일대 종사가 되었다.

엽문(1893~1972)은 본명이 엽계문(葉繼問)이며, 진화순의 마지막 제자이다. 오랫동안 제자를 받지 않고 수련에만 전념하다가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 홍콩으로 이주했다. 홍콩에서 영춘권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엽문파 영춘권을 홍콩 최대의 문파 중 하나로 발전시켰다. 그의 유명한 제자로는 영춘 사대천왕이라 불리는 량샹(표지왕), 뤄야오(심교왕), 쉬샹톈(소념두왕), 황춘량(강수왕)을 비롯하여 조카 루원진, 아들 엽준과 엽정, 그리고 이소룡 등이 있다. 1968년에는 제자들의 도움을 받아 "영춘친목회"(후에 영춘체육회로 개칭)를 설립했다. 1972년 12월 1일, 향년 79세로 사망했다.

3. 3. 현대의 영춘권과 한국의 상황

현대에는 본토의 광주파, 홍콩의 엽문파 등 수많은 영춘권 스타일이 존재한다. 특히 엽문과 그의 아들 엽준이 이끈 엽문파는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영춘권은 중국 본토보다 미국, 유럽 등 서양에서 더 크게 성행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엽문의 제자인 양상, Lo Man Kam영어, 황순량, 하금명, 양정 등이 유명하다.

8개의 주요 영춘권 계열 중에서는 엽문 계열과 원계산 계열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퍼져 있다.[23][24][25] 다른 계열들은 중국 밖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판남 계열은 미국에서[26][27] 명맥을 잇고 있으며, 지심 / 옹춘 계열은 독일에서 강한 영향력을 보인다.[28][29] 원채완 계열의 영춘권은 베트남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베트남 영춘권"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30][31][32][33][34]

1949년, 현대 영춘권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엽문은 이 무술을 중국 본토에서 홍콩으로 가져와 전파했으며, 이는 영춘권이 전 세계로 퍼지는 계기가 되었다.[35][36][37] 엽문의 가장 유명한 제자는 단연 이소룡이다. 이소룡은 미국으로 이주하기 전 엽문 문하에서 영춘권을 수련했으며, 특히 엽문의 수제자인 황순량에게 주로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38][39] 이소룡은 영춘권을 국제적으로 대중화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40][41] 이후 그는 영춘권의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무술 철학인 절권도를 창시했다.[42][43]

전통적으로 영춘권은 다른 중국 무술처럼 스승에서 제자로 이어지는 사부(師父) 시스템을 통해 전수되었다. 스승은 제자의 훈련 전반을 책임졌고, 수업은 주로 스승의 집에서 이루어져 개인적인 유대 관계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홍콩에 최초의 공립 무술 학교가 설립된 이후, 영춘권 교육은 점차 현대적이고 상업적인 특징을 띠게 되었다. 유럽에서는 영춘권 수련생들을 통합하는 단일 조직 없이 여러 협회, 문파, 개별 사범들이 경쟁하며 활동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들 중 일부는 프랜차이즈 방식으로 운영되기도 한다.

하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가문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엽문의 조카인 뤄만깜(Lo Man Kam영어)은 타이베이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며, 오랜 수련을 거친 제자들을 전통적인 다례(茶禮) 의식을 통해 영춘권 가족의 내제자(內弟子)로 받아들인다.

현대 영춘권은 일반적으로 팔을 짧게 쓰고 보폭을 좁게 사용하는 단교협마(短橋狹馬)의 권법으로 알려져 있다. 권술(拳術)을 중심 기술로 삼으며, 도술(刀術)과 곤술(棍術)도 포함한다. 전승되는 형(型)을 보면 검술을 기초로 하여 맨손 기술에 응용한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수련에는 사람 형태의 나무 인형인 木人樁|목인장중국어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영춘권 전승에는 소념두(小念頭), 심교(尋橋), 표지(標指)라는 3가지 투로(套路)와 목인장법, 팔참도(八斬刀) 또는 탈명쌍도(奪命雙刀)라 불리는 도술, 육점반곤(六點半棍) 또는 행자봉(行者棒)이라 불리는 곤술이 포함된다. 그러나 전승에 따라 다른 권투(拳套)나 무기술이 추가되기도 하며, 모든 영춘권 기술이 단교협마의 특징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

과거에는 '영춘권(永春拳)' 또는 '영춘권(泳春拳)' 등으로 불렸으며, 시간이 흐르며 많은 분파가 생겨났다. 최근에는 "영춘백학권", "홍선영춘권", "영춘권(詠春拳)" 등을 별개의 문파로 취급하기도 한다. 오래된 영춘권일수록 홍가권과 유사한 면이 있고, 영춘 삼대수(三大手)라는 기본 손 모양이 존재하지 않는 등의 차이가 있어 그 기원을 명확히 정의하기는 어렵다. '영춘권(詠春拳)'이라는 명칭은 '영춘권왕'이라 불린 광둥성 불산의 무술가 량잔(梁贊) 이후에 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량잔이 영춘권의 투로를 소념두, 심교, 표지의 세 가지로 정리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영춘권을 대외적으로 전수하기 시작한 것은 불산의 유명한 무술가이자 한의사였던 량잔(1826~1901)부터이다. 그는 '찬성당(贊生堂)'이라는 약방을 운영하며 '불산 찬 선생'으로 불렸다. 량잔은 평생 영춘권 도장을 열지 않았고, 자신의 아들과 극소수의 제자에게만 영춘권을 전수했다.

그의 제자 중 한 명인 진화순(陳華順, 1849~1913)은 량잔의 약방 맞은편에서 환전상을 운영하여 '돈 찾는 화(找錢華)'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그는 39세에 량잔의 제자가 되어 13년간 수련한 후, 1901년 '행제당(杏濟堂)'이라는 도장을 열어 영춘권을 가르치는 것을 생업으로 삼았다. 직업 무술가로서 영춘권 도장을 연 것은 진화순이 최초이며, 이후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그의 제자 중 뢰여제는 불산파의 시조가 되었고, 엽문홍콩으로 건너가 엽문파를 창시했다.

엽문(葉問, 1893~1972)은 본명이 엽계문(葉繼問)이며, 진화순의 마지막 제자이다. 그는 오랫동안 제자를 받지 않고 수련에만 전념하다가 중일 전쟁국공 내전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홍콩으로 이주했다. 홍콩에서 영춘권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엽문파를 거대한 문파로 성장시켰다. 그는 '영춘 사대왕'으로 불리는 량샹(梁相, 표지왕), 뤄야오(駱耀, 심교왕), 쉬샹톈(徐尚田, 소념두왕), 황춘량(黃淳樑, 강수왕)을 비롯해 조카인 루원진(盧文錦), 아들인 엽준(葉準)과 엽정(葉正), 그리고 이소룡 등 수많은 유명 제자를 배출했다. 1968년에는 제자들의 도움으로 '영춘친목회(詠春聯誼會, 후일 영춘체육회)'를 설립했다. 1972년 12월 1일, 향년 79세로 사망했다.

4. 특징

영춘권은 전통적인 중국 남파 무술이면서도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대표적인 남파 무술인 홍가권이나 채리불권이 넓은 보폭(마보)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영춘권은 비교적 좁고 높은 자세를 취한다.[47] 이는 팔꿈치를 몸에 가깝게 유지하며 팔을 몸의 중심선에 두어, 목, 가슴, 배, 사타구니 등 인체의 급소가 밀집한 중심선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동시에 최단 거리로 공격하기 위함이다.[47]

영춘권의 공방은 매우 간결하면서도 실용적이며 공수합일(攻守合一)의 원리를 따른다. 근접 거리에서 상대의 공격을 손기술로 막거나 흘려보내고(블로킹, 트래핑), 동시에 상대의 팔이나 손을 제압하여 추가 공격이나 방어를 무력화시킨다. 이후 방어 수단이 없어진 상대에게 빠르게 펀치, 손바닥 치기, 팔꿈치 공격 등을 가한다. 이 모든 과정이 순식간에 이루어지며, 타격기뿐 아니라 상대의 힘을 느끼고 이용하는 유술기적인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13]

발 기술은 주로 상대의 허를 찌르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상대의 하단부(주로 오금)를 기습적으로 공격하거나 다리를 걸어 넘어뜨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높은 발차기는 사타구니 공격에 노출될 위험이 있어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48][49]

수련 시에는 경제적인 움직임이완(弛緩)을 통한 유연성을 강조한다.[13] 힘을 빼고 부드러운 상태에서 기술을 연마하여, 상대의 힘을 "느끼고" 흘려보내거나 역이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엽문은 영춘권의 유연함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영춘권은 어떤 의미에서 "유연한" 무술이다. 하지만, 만약 누군가 이 단어를 약하거나 힘이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면, 그들은 완전히 틀린 것이다. 영춘권의 치사우는 유연성과 부드러움을 유지하는 것이며, 동시에 대항할 수 있는 힘을 유지하는 것이다. 마치 대나무의 유연한 성질과 같다.[51]

독특한 수련 방법으로는 사람 모양의 나무 인형인 목인장(木人樁|목인장zho) 수련과, 상대와 팔을 맞대고 공방을 연습하는 치사오(黐手|치사오zho)가 있다. 치사오는 근접 감각과 반사 신경, 상대의 힘을 제어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투로(套路, 권법의 틀)는 다른 중국 권법에 비해 매우 간략하여 소념두(小念頭), 심교(尋橋), 표지(標指)의 세 가지만 전해지는 경우가 많다. 무기술 역시 가짓수가 적어 긴 봉을 사용하는 육점반곤(六點半棍)과 짧은 쌍검 형태의 팔참도(八斬刀)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팔을 짧게 쓰고 보폭을 좁게 사용하는 단교협마(短橋狹馬)권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전승에서는 검술의 원리가 권법에 응용된 흔적도 찾아볼 수 있다. 엽문 계열 영춘권의 기술적 특징으로는 상대에게 달라붙어 제어하는 찌(黐)첩신(貼身)을 들 수 있다. 동작이 작고 직선적인 경향이 강하지만, 고급 단계인 표지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다소 변화하기도 한다.

흔히 영춘권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원 인치 펀치(寸勁) 외에도 실제로는 뒷굽이(괘추), 훅(횡권), 어퍼컷(상충권), 수도(손날치기), 다양한 각도의 팔꿈치 치기, 심지어 돌려차기와 유사한 기술까지 존재한다. 특히 손날치기와 뒷굽이는 팔꿈치 기술과 연계되어 자주 사용된다.

5. 체계

영춘권의 가장 일반적인 형식 체계는 세 가지 맨손 형식(소념두, 심교, 표지), 두 가지 무기 형식(용 장대나비 칼), 그리고 목인장 형식으로 구성된다.[52] 일반적으로 팔을 짧게 하고 보폭을 작게 사용하는 단교협마(短橋狹馬)의 권법으로 여겨지며, 권술을 중심 기술로 하여 도술과 곤술을 포함한다. 전승된 형(型)에 따르면 오히려 검술을 기초로 하여 맨손 권술에 응용한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영춘권은 기본적으로 단타 근접전을 벌이는 맨손 격투술 체계로, 근접전과 손 기술의 섬세함이 특징이다. 상대의 공격을 봉쇄하고 재빨리 제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경기 격투기와는 전투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다르다. 근거리 타격 방어 기술이 정교하며, 상대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데 중점을 둔다. 공격도 방어도 아닌 독특한 기술(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엽문 계열 영춘권의 기술적 특징으로는 찌(黐|치중국어)와 첩신(貼身|팁산중국어)을 들 수 있으며, 단교협마 중에서도 동작이 더 작고 직선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훈련은 권법을 통해 기술과 신체 운용 기초를 배우고, 대인 연습(과수, 過手|궈사오중국어)을 통해 실전 응용, 전투 이론, 보법 등을 익히며 신경 반응과 정신 반응 개선을 꾀한다. 과수는 서로 손을 맞댄 상태(접수, 接手|칲사오중국어 또는 쌍치수, 雙黐手|세용치사오중국어)에서 일정 규칙 아래 공방하는 연습이다. 이를 통해 교수(橋手|키우사오중국어)와 마보(馬步|마보중국어)도 단련한다.

고대부터 '''영춘권(永春拳)''' 혹은 '''영춘권(詠春拳)'''으로 불리며 많은 분파가 생겨났다. 최근에는 영춘백학권, 홍선영춘권, 영춘권(詠春拳)을 각각 별개의 문파로 취급하기도 한다. 오래된 것일수록 홍가권에 가깝고, 기본 수형(手型)인 영춘 삼대수(三大手)가 없는 등의 차이가 있다. 다른 남파 소림권과의 관련성도 있어 명확히 정의하기는 어렵다. '영춘권(詠春拳)' 명칭은 광둥성 불산의 무술가이자 탕액가였던 량찬 이후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 계통에서 투로(형)를 소념두, 심교, 표지 세 가지로 량찬이 정리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나중에 다른 문파의 기법이나 형을 도입한 혼합적인 유파도 존재한다.

불산파 영춘권(佛山派詠春拳|불산파 영춘권중국어)은 엽문의 사형인 뢰여제가 창시한 문파이다. 문화 대혁명 시기 혼란 속에서 전승이 끊어진 듯 보였으나, 불산의 무술 관계자들이 정통 전승자인 팽남을 찾아내어 전승이 부흥하고 있다. 또한 량찬이 70세에 불산의 '찬생당'을 닫고 고향 고로진으로 돌아가 75세까지 전수한 영춘권을 특히 고로편신영춘권이라고 부른다.

5. 1. 권법 (투로)

영춘권의 투로(권법)는 매우 간략하며 반복적인 동작이 많은 단순한 형태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하나하나가 위력적이기에 꾸준한 연마를 필요로 하며, 수련자의 능력에 맞게 적절히 응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단타 근접전을 벌이는 맨손 격투술 체계로, 근접전과 손 기술의 섬세함에 특징이 있다. 상대의 공격을 봉쇄하고 재빨리 상대를 제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경기 격투기와는 전투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팔을 짧게 쓰고 보폭을 작게 하는 단교협마(短橋狹馬)의 권법으로 여겨지며, 권술을 중심으로 도술과 곤술을 포함한다. 전승된 형(型)에 따르면 오히려 검술을 기초로 하여 맨손 권술에 응용한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춘권의 형식 체계는 세 가지 맨손 형식(소념두, 심교, 표지), 두 가지 무기 형식(용 장대나비 칼), 그리고 목인장 형식으로 구성된다.[52]

산 시크(散式|싼 스중국어)는 다른 세 가지 형태와 함께 모든 영춘권 기술의 기초가 된다. 구조가 간결하며, (1) 신체 구조 구축(기본 펀칭, 서기, 돌기 등), (2) 핵심 기술 각인(팔 순환, 변화), (3) 감각 훈련 및 조합 기술 연마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64]

투로 명칭설명
소념두(小念頭)영춘권의 가장 기본이 되는 투로이다. 영춘권의 모든 수기(手技)가 담겨 있으며 핵심이 되는 권법이기에 가장 중요하다.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수련한다. 엽문 구결에서는 념두주수(念頭主手)라 하여 소념두 수련이 손 기술 연마에 중점을 둠을 강조한다.
심교(尋橋)영춘권의 중급 투로이다. 수련자는 심교를 통해 소념두에서 배운 수기를 응용하는 법을 배우며 기본적인 발기술과 보법을 연마하게 된다. 움직이며 수련한다. 엽문 구결에서는 심교주각(尋橋主腳)이라 하여 심교 수련이 발과 보법 연마에 중점을 둠을 강조한다.
표지(標指)영춘권의 고급 투로이다. 이름처럼 수도(手刀)로 상대방의 급소를 공략하는 권법이며, 위급 상황 대처 응용력을 기를 수 있다. 엽문 구결에서는 표지불출문(標指不出門)이라 하여 표지가 문파 밖으로 쉽게 전수되지 않는 비기(秘技)로 여겨졌음을 시사한다. 엽문파 영춘권의 경우, 표지 단계에서는 소념두, 심교의 직선적이고 작은 동작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목인장(木人樁)중국 남파 무술에서 주로 사용하는 나무 인형(木人樁|무런좡중국어)을 상대로 하는 투로로, 총 108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기술의 정확성과 힘의 전달을 연습한다.
육점반곤(六點半棍)영춘권의 유일한 봉술이다. 긴 장대를 사용하며 단순한 동작들로 이루어져 있다. 홍가권의 영향을 받았다. 광저우 영춘권(廣州詠春拳)의 전설에 따르면, 황화바오(黄華寶)가 량란구이(梁蘭桂)에게 배운 영춘권에 륙금(陸錦)으로부터 배운 남소림사 봉술 육점반곤을 더했다고 전해진다. 광저우파 영춘권은 이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륙금을 시조로 한다.
팔참도(八斬刀)중국 남권에서 자주 쓰이는 짧은 칼 두 자루를 이용한 쌍도술로, 영춘권의 고급 무기술에 해당한다. 탈명쌍도(奪命雙刀)라고도 불린다.



팔참도에 사용되는 나비 칼(Butterfly Swords)


수련의 기초가 되는 마보(馬步)는 단순히 서는 자세가 아니라, 말의 상태가 되는 좌마(坐馬)를 의미하며, 특히 광둥 계열 남파 소림권 수련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영춘권의 이자 킴양마(二字 拑羊馬)는 홍가권에서도 보이는 기술로, 영춘권은 이 '좌마'라는 기술적 기반 위에 성립되었다. 엽문 구결에서도 "힘은 땅에서 시작된다(力由地起|리유디치중국어)"고 강조하며 그 중요성을 설파한다.

영춘권이라고 하면 원 인치 펀치(寸打)가 유명하지만, 영춘권(또는 남파 소림권술)의 촌타는 독특하며, 북파 권술의 촌경(寸勁)과 같은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영춘권에는 뒷굽이(괘추), 횡권(), 상충권(어퍼컷), 수도(손날치기), 각 방향에서의 팔꿈치 치기, 더 나아가 돌려차기와 비슷한 기술까지 있다. 특히 손날치기와 뒷굽이는 팔꿈치 기술과 관련되어 있어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기술들은 근대 격투기 등에서 유입된 것은 아니다.

현재 대부분의 영춘권 전승에는 소념두, 심교, 표지 3개의 투로와 목인장법, 팔참도(또는 탈명쌍도) 도술, 육점반곤(또는 행자봉) 곤술이 포함되어 있지만, 전승에 따라서는 그 외의 권투(拳套)나 무기술도 전해지고 있으며, 모두가 단교협마의 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영춘권(詠春拳)'이라는 명칭은 광둥성 불산의 무술가이자 탕액가였던 량찬 이후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 계통에서 투로(형)를 소념두, 심교, 표지의 세 가지로 량찬이 정리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른 문파의 기법이나 형을 도입한 혼합적인 유파도 존재한다.

5. 2. 목인장(木人樁)

영춘권 수련에 사용되는 목인장


목인장(木人樁, 木人樁(木人桩)|mù rén zhuāng(목인장)zho)은 중국 남파 무술에서 주로 사용하는 나무로 만든 인간 모형인 '목인상'을 상대로 수련하는 투로이다. 영춘권의 108가지 동작을 실전처럼 연습하기 위한 훈련 방식으로 사용되며, 108개의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13]

영춘권의 가장 일반적인 형식 체계는 세 가지 맨손 형식(소념두, 심교, 표지), 두 가지 무기 형식(육점반곤, 팔참도), 그리고 목인 형식으로 구성된다.[52] 목인장 투로는 여러 영춘권 계파에 따라 다양한 버전이 존재한다.

5. 3. 무기술

영춘권의 무기술은 주로 봉술과 도술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52] 전승에 따라서는 다른 무기술이 포함되기도 한다.

=== 봉술 ===

영춘권의 대표적인 봉술은 '''육점반곤(六點半棍)'''이다. 이는 영춘권의 유일한 봉술로 알려져 있으며, 긴 장대를 사용하여 단순한 동작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홍가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전승에서는 행자봉(行者棒)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광저우 영춘권(廣州詠春拳)의 전설에 따르면, 황화바오(黄華寶)가 량란구이(梁蘭桂)에게서 영춘권을 배우고, 륙금(대화면금, 陸錦)에게서 남소림사의 봉술인 육점반곤을 배워 영춘권에 통합했다고 전해진다. 이 때문에 광저우파 영춘권에서는 륙금을 시조로 여기기도 한다.

=== 도술 ===

영춘권의 도술로는 '''팔참도(八斬刀)'''가 있다. 이는 중국 남권에서 자주 사용하는 짧은 칼 두 자루를 이용하는 쌍도술로, 영춘권에서는 고급 무기술로 분류된다. 전승에 따라서는 탈명쌍도(奪命雙刀)라고 불리기도 한다. 팔참도에 사용되는 칼은 보통 나비 칼(Butterfly Swordseng)이라고 불린다.

=== 기타 무기술 ===

일부 계파에서는 다른 무기술도 수련한다. 예를 들어, 원개산/심능 계열에서는 역사적으로 표창(Biu) 던지기를 훈련했다는 기록이 있다.[65]

=== 전반적인 체계 ===

일반적으로 영춘권의 형식 체계는 세 가지 맨손 형식(소념두, 심교, 표지), 두 가지 무기 형식(육점반곤, 팔참도), 그리고 목인장 형식으로 구성된다고 알려져 있다.[52] 그러나 모든 영춘권 전승이 동일한 체계를 따르는 것은 아니며, 일부 전승에는 다른 권법이나 무기술이 포함되기도 한다. 또한 영춘권의 기술 중에는 검술을 기초로 하여 맨손 기술에 응용한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6. 유파

영춘권의 정확한 기원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국 남부 무술의 발전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7] 영춘권의 역사가 복잡하고 기록이 부족한 이유는 주로 스승에게서 제자에게 구두로 전승되었기 때문이며, 반청(反清) 혁명 운동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개발 과정이 비밀리에 진행된 측면도 있다.[18]

영춘권에는 최소 8개의 뚜렷한 유파가 존재하며, 각 유파는 고유한 기원 설을 가지고 있다. 같은 유파 내에서도 스승이나 계보에 따라 다른 주장이 존재하기도 한다. 확인된 주요 8개 유파는 다음과 같다.[19][20][21]


  • 엽문
  • 원계산
  • 고노촌(古勞村중국어)
  • 남양 / 조덕(曹德중국어)
  • 번남
  • 포화련(泡花蓮중국어)
  • 홍선 / 홍구표(洪拳중국어)
  • 지심 / 옹춘


다양한 유파와 계보에서 주장하는 기원과는 별개로, 영춘권의 진정한 기원에 대한 여러 추측과 이론이 존재한다. 초기 비밀주의와 현대의 마케팅 영향으로 인해 서양에서는 영춘권의 역사가 사실과 허구가 뒤섞이게 되었다.

8개의 영춘권 계열 중에서는 엽문과 원계산 계열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퍼진 유파이다.[23][24][25] 다른 계열들은 중국 외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으나, 판남 계열은 미국에서[26][27]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심 / 옹춘 계열은 독일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28][29] 원채완 계열의 영춘권은 베트남에서 두드러지게 활동하며 "베트남 영춘권"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30][31][32][33][34]

영춘(詠春)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여성 권법가로 알려진 엄영춘(嚴詠春)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그녀는 학과 의 싸움을 보고 영춘권을 창안했으며, 아버지 엄이(嚴二)에게서 배운 쓰촨성 지역의 남파 소림권(사천 매화권 등)을 개량했다고 한다. 하지만 엄영춘이라는 이름 자체가 당시 무협 소설의 등장인물 이름이었다는 점, 오매니구나 지선선사가 창시했다는 다른 설 등이 존재하여 실존 인물 여부 및 창시설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고전 영춘권은 엄영춘의 남편이 된 량보주(梁博儔)에게 전해졌고, 그의 유일한 제자인 광둥성 불산의 상인 량란구이(梁蘭桂)에게 이어졌다. 월극(粵劇) 애호가였던 량란구이는 불산에 공연 온 월극 극단 '홍선희반(紅船戲班)'의 배우 황화보(黃華寶)와 선원 량이티(梁二娣)에게 영춘권을 가르쳤다. 이후 고전 영춘권은 주로 홍선희반 내부에서 문외불출의 형태로 전승되었다.

대외적으로 영춘권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홍선희반의 황화보, 량이티 등에게서 여러 남파 소림권을 배운 '영춘권왕' 량잔(梁贊, 1826~1901)부터이다. 불산에서 '찬성당(贊生堂)'이라는 약방을 운영했던 량잔은 기존의 영춘권 투로(套路, 형)를 小念頭|소념두중국어, 尋橋|심교중국어, 標指|표지중국어 세 가지로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시기부터 '영(詠)'자가 붙은 '영춘권'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량잔 자신은 평생 영춘권 무관을 열지 않았고 소수의 제자에게만 전수했다.

그의 제자 중 한 명인 진화순(陳華順, 1849~1913)은 량잔의 약방 맞은편에서 환전상을 운영하여 '돈 찾는 화(找錢華)'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13년간의 수련 끝에 영춘권을 계승했다. 그는 1901년 불산에 '행제당(杏濟堂)'이라는 이름의 무관을 열어 최초로 영춘권을 직업적으로 가르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영춘권은 더 많은 사람에게 보급될 수 있었다. 진화순의 제자 중 뇌여제(雷汝濟)는 훗날 불산파 영춘권의 시조가 되었고, 엽문(葉問)은 홍콩으로 이주하여 엽문파 영춘권을 열고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35][36][37]

광저우 영춘권(廣州詠春拳)의 전승에 따르면, 황화보가 량란구이에게서 영춘권을 배운 후, 륙금(陸錦, 대화면금 大花面錦)으로부터 남소림사 봉술인 六點半棍|육점반곤중국어을 배워 영춘권에 통합시켰다고 한다. 광저우파 영춘권은 이 륙금을 시조로 여기기도 한다.

불산파 영춘권(佛山派詠春拳)은 엽문의 사형(師兄)에 해당하는 뇌여제가 창시한 문파이다. 문화 대혁명 시기 전승이 끊어질 위기에 처했으나, 정통 전승자인 팽남(彭南)을 통해 복원되어 명맥을 잇고 있다.

고로편신영춘권(古勞偏身詠春拳)은 량찬이 70세 이후 고향인 고로진(古勞鎮)으로 은퇴하여 말년에 가르친 독특한 스타일의 영춘권을 지칭한다.

엽문파 영춘권은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스타일 중 하나이다. 극도로 간결하고 직선적인 움직임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엽문이 고전 영춘권을 의도적으로 정리하고 근대화한 결과로, 영춘권 전체를 대표하는 스타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엽문 계열 영춘권은 실용 영춘권과 전통 영춘권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엽문파는 중국 전통 무술에서 흔히 보이는 음양, 오행, 팔괘 등의 동양 철학적 요소에서 벗어나, 수련자에게 과학적 논리성과 철저한 이해를 요구하는 교수법으로 알려져 있다. 합리성과 실전성을 중시하며, 내공이나 외공과 같은 전통적인 개념 대신 올바른 연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체득되는 '내력(內力)'을 강조한다. 호흡법 또한 자연 호흡을 중시한다. 시각 정보에 의존하기보다는 신체 접촉을 통한 감각(黐手|치사오중국어 등)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몸을 단련하는 외공 수련이나 힘을 과도하게 주는 것을 피한다. 이러한 "불필요한 움직임을 배제한다"는 사상은 그의 제자 이소룡이 창시한 절권도에도 영향을 미쳤다.[38][39][40][41][42][43] 엽문파는 대인 연습(黐手|치사오중국어)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내부 감각을 기르며,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다른 격투기나 무술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거나 새로운 분파가 생겨나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엽문의 제자인 량정(梁挺)의 문하에서 파생된 EBMAS(Emin Boztepe Martial Arts System)나, 영춘권의 기술 일부를 채택한 이스라엘의 군용 격투술 크라브 마가 등이 있다. 홍콩 반환에 따른 인재의 해외 유출은 이러한 세계적 보급을 가속화했다. 또한 견자단 주연의 영화 《엽문》, 《엽문2: 종사전기》 등은 엽문파 영춘권의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영춘권의 기술 체계는 일반적으로 단교협마(短橋狹馬), 즉 팔을 짧게 쓰고 보폭을 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법으로 여겨진다. 권술을 중심 기술로 삼으며 도술과 곤술도 포함한다. 전승된 형(型)을 보면 검술을 기초로 하여 맨손 권술에 응용한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수련에는 사람 모양의 나무 인형인 木人樁|목인장중국어을 사용한다. 현재 대부분의 영춘권 전승에는 小念頭|소념두중국어, 尋橋|심교중국어, 標指|표지중국어라는 3개의 투로와 목인장법, 八斬刀|팔참도중국어 또는 奪命雙刀|탈명쌍도중국어라 불리는 도술, 그리고 六點半棍|육점반곤중국어 또는 行者棒|행자봉중국어이라 불리는 곤술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전승에 따라 다른 권투(拳套)나 무기술이 전해지기도 하며, 모든 유파가 단교협마의 특징만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영춘권 수련의 기초가 되는 자세 중 하나는 二字拑羊馬|이자겸양마중국어이다. 이는 단순히 서 있는 자세가 아니라 특정 상태를 유지하는 '좌마(坐馬)' 기술로, 홍가권 등 다른 광둥 계열 남파 소림권과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중요한 기초 기술이다. 엽문의 구결(口訣)에서도 "힘은 땅에서 시작된다(力由地起)"고 하여 이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투 시 영춘권은 기본적으로 짧은 거리에서 타격을 주고받는 근접 맨손 격투술이다. 근접전 능력과 섬세한 손 기술이 특징이며, 상대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내고 신속하게 제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점수나 규칙에 기반한 경기 격투기와는 다른 실전 지향적 발상이다. 특히 근거리 타격에 대한 방어 기술이 정교하게 발달했으며(예: 소념두 기술의 상당 부분이 방어 기술), 상대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통제하는 데 중점을 둔다. 공격과 방어로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독특한 기술 개념(예: 黐|치중국어, 貼身|첩신중국어)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엽문파의 경우, 이러한 단교협마의 특징을 더욱 강조하여 동작이 더 작고 직선적으로 정리되어 있다(단, 표지 제외). 영춘권 수련은 투로를 통해 개별 기술과 신체 운용법을 익히고, 黐手|치사오중국어와 같은 대인 연습을 통해 실전 응용, 전투 이론, 보법, 몸놀림 등을 익히며 감각과 반응 속도를 단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7. 대중문화 속 영춘권

홍금보는 영춘권의 수련자 양찬에 관한 두 편의 영화를 감독했다. 홍금보가 양찬 역을 맡은 영화는 《무관》(1978)이며, 원표가 양찬 역을 맡은 영화는 《패가자》(1981)이다.

견자단은 2008년 영화 《엽문》에서 영춘권의 그랜드 마스터 엽문 역을 맡았고, 속편 《엽문 2》(2010), 《엽문 3》(2015), 《엽문 4: 더 파이널》(2019)에서도 같은 역을 연기하며 영춘권을 선보였다.[66][67] 엽문 시리즈는 2010년대에 무술에 대한 관심을 되살린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흥행과 비평에서 모두 좋은 평가를 받았다. 엽문이 이소룡의 스승이었다는 사실은 이 시리즈의 인기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소룡은 1970년대 "쿵후 열풍"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8][69][70][71][72][73]

2008년 미국 액션 스릴러 영화 《뱅콕 데인저러스》에서 배우 니콜라스 케이지는 영춘권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영화의 한 장면에서는 케이지가 다른 영춘권 수련자(태국 배우 샤크릿 야므남)와 함께 기술을 연마하는 장면이 나온다.[74]

2019년 12월, 격투 게임 《철권 7》의 다운로드 콘텐츠로 새로운 영춘권 파이터 '리로이 스미스'가 추가되었다.[75][76][77] 반다이 남코 개발팀은 실제 무술을 대표하는 캐릭터를 만들고자 영춘권을 사용하는 파이터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엽문의 조카 제자에게 자문을 구했으며, 그는 해당 캐릭터의 모션 캡처 작업에 참여했다.[78]

이 외에도 영춘권을 다룬 영화는 다음과 같다.


  • 홍가권 대 영춘권
  • 윤표 in 드래곤 아들 (영화)
  • 레이디 파이터: 영춘권 전설
  • 엽문 외전: 마스터 Z
  • 이소룡 전기: 엽문전
  • 일대종사
  • 리얼 쿵푸 불산 영춘전
  • 영춘 The Legend of WING CHUN

8. 유명 영춘권 수련자

량잔(梁贊, 1826~1901)은 대외적으로 영춘권을 전수하기 시작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광둥성 불산에서 "찬성당"이라는 한약방을 운영하며 "영춘권왕"으로 불렸고, 기존의 영춘권을 소념두, 심교, 표지의 세 가지 투로로 정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량잔은 평생 무관을 열지 않고 자신의 아들과 극소수의 제자에게만 영춘권을 전수했다.[23][24][25]

량잔의 제자 중 한 명인 진화순(陳華順, 1849~1913)은 원래 환전상을 운영하다 량잔에게 영춘권을 배웠다. 13년간의 수련 끝에 영춘권의 모든 것을 계승한 그는 1901년 "행제당"이라는 무관을 열어 영춘권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이는 역사상 처음으로 영춘권 무관을 열어 직업 무술가로 활동한 사례로, 이를 통해 영춘권이 더 널리 보급될 수 있었다. 진화순의 제자로는 훗날 불산파의 조상이 된 뢰여제(雷汝濟)와 홍콩 영춘권의 거목이 된 엽문 등이 있다.

엽문(葉問, 1893~1972)은 진화순의 마지막 제자로, 현대 영춘권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중일 전쟁국공 내전을 겪은 후 1949년 홍콩으로 이주하여 영춘권을 본격적으로 가르치기 시작했다.[35][36][37] 엽문은 홍콩에서 영춘권을 크게 발전시켰으며, 그의 노력 덕분에 영춘권은 미국, 유럽 등 서양을 포함한 전 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었다. 엽문의 문하에서는 뛰어난 제자들이 많이 배출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영춘 사대왕'이라 불리는 량샹(梁相, 표지왕), 뤄야오(駱耀, 심교왕), 쉬샹톈(徐尚田, 소념두왕), 황춘량(黃淳樑, 강수왕)과 조카인 노문금(盧文錦), 그리고 아들인 엽준(葉準)과 엽정(葉正) 등이 있다. 1968년에는 제자들과 함께 "영춘친목회"(후일 영춘체육회)를 설립하기도 했다.

엽문의 가장 유명한 제자는 단연 이소룡(李小龍, 1940~1973)이다. 이소룡은 미국으로 이주하기 전 엽문 문하에서 수련했으며, 특히 엽문의 수제자인 황춘량에게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38][39] 이소룡은 영화배우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으면서 영춘권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40][41] 그는 이후 영춘권의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무술 철학인 절권도(截拳道)를 창시했다.[42][43]

이 외에도 해외에서 활동하며 영춘권 보급에 기여한 엽문의 제자로는 양상, 하금명(何金銘), 양정(梁挺) 등이 유명하다.

원계산(阮奇山) 계열 역시 엽문 계열과 함께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영춘권 분파 중 하나이다.[23][24][25] 그의 형제인 원채완(阮濟雲)은 영춘권을 베트남에 전파하여 "베트남 영춘권"의 기초를 마련했다.[30][31][32][33][34]

다른 영춘권 계열로는 판남(馮少青) 계열이 미국에서[26][27], 지심 / 옹춘 계열이 독일에서[28][29] 명맥을 잇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Benjamin N. Judkins & Jon Nielson 2015
[2] 서적 Ju-Jutsu – Effektives Training. Das Prüfungsprogramm vom Gelb- und Orangegurt Meyer & Meyer Verlag 2004
[3] 문서 See Etymology
[4] 인용
[5] 웹사이트 Why traditional martial arts lose to hand-to-hand combat – US military hand-to-hand combat trainer who teaches Wing Chun sees it this way. https://mil.news.sin[...] 2021-05-14
[6] 서적 Mantis fist in Wing Chun 2016
[7] 서적 Sport as Symbol: Images of the Athlete in Art, Literature and Song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003
[8] 문서
[9] 간행물 The Wing Chun compendium
[10] 인용
[11] 간행물 Chu, Ritchie & Wu 2015, pp. 4–27
[12] 웹사이트 What's in a name? https://web.archive.[...] 2007
[13] 서적 The Way of the Warrior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td
[14] 간행물 Chu, Ritchie & Wu 2015, pp. 83–89
[15] 간행물 Chu, Ritchie & Wu 2015, pp. 69–77
[16] 간행물 Chu 2015, pg.78
[17] 서적 The Creation of Wing Chun: A Social History of the Southern Chinese Martial Art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8] 간행물 Chu 2015, pg. 1-2, 106-108
[19] 간행물 Leung Ting, pg.238
[20] 간행물 Leung Ting, page 289 & 290
[21] 서적 Roots and Branches of Wing Tsun, Second edition (January 1, 2000) Leung Ting Co ,Hong Kong 2000
[22] 문서 see [[#Origins|Origins]]
[23] 서적 Roots and Branches of Wing Tsun
[24] 서적 Look Beyond the Pointing Finger: The Combat Philosophy of Wong Shun Leung Melbourne Chinese Martial Arts Club 2001
[25] 서적 Westliche Sinnfindung durch östliche Kampfkunst? IKO – Verlag für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2005
[26] 간행물 Pocket area Wing Chun school preserves rare martial arts tradition http://www.valcomnew[...] Valley Community Newspapers 2016-03-03
[27] 웹사이트 The Open Gate to the Garden of Chinese Martial Arts https://www.plumpub.[...] Plum Publications 2020-12-12
[28] 서적 Weng Chun Kung Fu Budo International Publ. Co., Madrid 2011
[29] 간행물 Chu 2015, page 94
[30] 서적 Yuen Kay-San Wing Chun Kuen Action Pursuit Group 2000-03-31
[31] 뉴스 Sư tổ võ Vịnh Xuân Việt Nam là "đại ca" Diệp Vấn https://www.24h.com.[...] Công ty Cổ phần Quảng cáo Trực tuyến 24H 2016-02-04
[32] 뉴스 Những truyền kỳ về sư tổ phái Vịnh Xuân Việt Nam https://kienthuc.net[...] 2021-01-02
[33] 뉴스 Vietnamese Wing Chun Master Nguyen Te Cong http://dansaigon.com[...] Dansaigon 2019-03-24
[34] 뉴스 Bậc thầy võ Việt làm Diệp Vấn, Lý Tiểu Long phải phục https://soha.vn/bac-[...] SOHA 2016-10-06
[35] 서적 Wing Chun Kung Fu: The Wooden Dummy https://books.google[...] Crowood 2012
[36] 웹사이트 Ip Man Tong virtual tour http://www.foshanmus[...] 2011-11
[37]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Grandmaster Yip Man http://www.kwokwingc[...] 2014-01-22
[38] 뉴스 Who taught Bruce Lee kung fu? He was born to be a fighter, but the martial arts superstar also trained with the best https://www.scmp.com[...] 2018-07-25
[39] 서적 Complete Wing Chun: The Definitive Guide to Wing Chun's History and Traditions Tuttle Publishing 1998-06-20
[40] 서적 Wing Chun Warrior: The True Tales of Wing Chun Kung Fu Master Duncan Leung, Bruce Lee's Fighting Companion https://books.google[...] Blacksmith Books 2010
[41] 서적 Bruce Lee: Fighting Spirit https://books.google[...] Frog Books 1994
[42] 서적 The Way of the Warrior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td
[43] 서적 Bruce Lee: The Life of a Legend Birlinn
[44] 웹사이트 詠春體育會 - Ving Tsun Athletic Association http://www.vingtsun.[...] 2019-11-27
[45] 웹사이트 詠春體育會發展簡介 - Kurzer Überblick zur Entwicklung des Ving Tsun Athletic Association http://www.vingtsun.[...] 2019-11-27
[46]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Ving Tsun Kung Fu in Hong Kong (1961–1970) – 香港詠春體育會發展 (1961–1970) http://www.vingtsun.[...] 2019-11-27
[47] 뉴스 How to Wu Sau Correctly – Technique is Everything {{!}} Sifu Och Wing Chun http://sifuochwingch[...] 2016-09-07
[48] 뉴스 Rediscovering the Roots of Wing Chun http://ezine.kungfum[...]
[49] 뉴스 Integrative Wing Chun http://ezine.kungfum[...]
[50] 웹사이트 One Wing Chun Kung Fu Family – W1NG : Coaching From The Ancestors http://www.w1ng.com/[...] 2011-01-28
[51] 뉴스 An Interview With Grandmaster Yip Man from 1972 https://mywayofwingc[...] 2013-07-11
[52] 웹사이트 Wing Chun Forms https://blackbeltwik[...]
[53] 서적 The Book of Wing Chun https://www.everythi[...] The [[Hong Kong]] Social Sciences Press 2011-05
[54] 웹사이트 SIU NIM TAO: The first form of Wing Chun https://wingchunkung[...] 2022-11-10
[55] 웹사이트 The Simple Basics of a Complex Art http://www.wcarchive[...] the Wing Chun Archive
[56] 웹사이트 Wing Chun Stance http://wingchun.com.[...] Wingchun.com.au 2009-02-23
[57] 웹사이트 The Hidden Power of Siu Nim Tau by Tsui Sheung Tin http://www.tstvingts[...] 2017-05-22
[58] 웹사이트 An Overview of Wing Chun http://www.richhealt[...]
[59] 웹사이트 Sil Lim Tao the first form http://www.kwokwingc[...] 2014-03-13
[60] 웹사이트 Ip Man performs Wing Chun Forms https://wingchunkung[...]
[61] 웹사이트 "The Forms of Wing Chun Kuen Kung Fu | Reading Academy Wing Chun & Kali" http://www.teamwingc[...] Teamwingchun.co.uk
[62] 웹사이트 Ving Tsun Martial Arts Studio – Training http://www.tstvingts[...] Tstvingtsun.bc.ca
[63] 웹사이트 City Wing Chun – Training Notes http://www.cebridge.[...]
[64] 서적 World of Martial Arts ! null Lulu.com
[65] 뉴스 Uno de los mejores tres maestros de kung fu en la historia de China fue Latino El Español 2021-11-09
[66] 웹사이트 2008 Chinese Box Office records http://www.boxoffice[...] Box Office Mojo
[67] 웹사이트 IP Man 4 Teaser Trailer Pits Donnie Yen Against Scott Adkins https://comicbook.co[...]
[68] 서적 The Cinema of Hong Kong: History, Arts,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69] 뉴스 " Bureaucracy may be wing chun kung fu master's biggest foe "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4-09-11
[70] 뉴스 Why Rogue One Star Donnie Yen Performed All of His Amazing Fight Scenes 'Blind' http://people.com/mo[...] 2016-12-12
[71] 웹사이트 Donnie Yen leaves hand and foot prints in Hollywood- China.org.cn http://www.china.org[...] 2016-12-01
[72] 웹사이트 甄子丹对《叶问》票房无信心 耍咏春拳赚口碑 |网网网络 http://wghot.wwwwang[...] 2012-03-28
[73] 웹사이트 《叶问前传》首映 叶准改口赞甄子丹学咏春很快Ip Chun says Yen learns Wing Chun Fast | 人民网 People's news http://ent.people.co[...] 2011-12-17
[74] 서적 Mixed Martial Arts' Most Wanted – The Top 10 book of Crazy Combat, Great Grappling, and Sick Submissions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75] 웹사이트 Tekken 7 gets a brand new character called Leroy Smith https://www.eurogame[...] 2023-03-03
[76] 웹사이트 New Tekken 7 Character's Dog Sidekick Is Good And Pure https://kotaku.com/n[...] 2023-03-03
[77] 웹사이트 Tekken 7:n kolmas kausi tuo muassaan täysin uuden hahmon – tällainen on Leroy Smith https://www.tilt.fi/[...] 2023-03-03
[78] Youtube TEKKEN 7 – Dev Diary: Leroy Smith & Fahkumram https://www.youtube.[...] 2020-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