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엔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엔트는 라틴어 'Oriens'에서 유래한 단어로, '동쪽'을 의미하며 해가 뜨는 방향을 가리킨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행정 구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유럽인들의 아시아 탐험과 함께 그 의미가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19세기에는 인도와 중국을 오리엔탈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삼았으며, 20세기 중반까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동부 중앙아시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현재는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으며, 오리엔탈리즘은 서구의 편견적인 시각으로 동양을 바라보는 경향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현대 영어에서는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경멸적인 표현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아시아계 미국인을 지칭하는 용어는 '아시아계 미국인'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 - 아시아 협력 대화
아시아 협력 대화는 2002년 아시아 국가 간 상호 의존성 증진 및 협력 강화를 목표로 태국 총리의 제안으로 설립된 정부 간 협의체로,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지향하며 35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시아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오리엔탈리즘 - 에드워드 사이드
팔레스타인 출신 미국인 학자 에드워드 사이드는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이자 문학 비평가, 음악가, 공공 지식인으로서, 오리엔탈리즘 연구를 통해 서구 중심주의와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탈식민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과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 설립 등 음악 분야에서도 기여했다. - 오리엔탈리즘 - 오리엔탈리즘 (책)
《오리엔탈리즘》은 에드워드 사이드가 1978년에 발표한 책으로, 서구의 동양에 대한 지배적인 시각인 오리엔탈리즘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탈식민주의 연구에 영향을 미쳤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 방위 - 나침반
나침반은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향을 지시하는 도구로, 자기 나침반 외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항해, 탐험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고 현대에도 널리 활용된다. - 방위 - 진북
오리엔트 |
---|
2. 어원
'오리엔트(Orient)'는 '동쪽'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 'Orien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떠오르다'라는 뜻의 동사 'Orior'에서 파생되었다. 해가 뜨는 동쪽을 가리키는 표현은 여러 언어에서 유사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아르메니아어 'Arevelk', 레반트(프랑스어 'Levant'), 러시아어 'Vostok', 히브리어 'Mizrah', 아랍어 'Mashriq', 터키어 'Doğu', 중국어 '東', 일본어 '해돋이의 나라' 등이 있다. 아랍어에서 마슈리크는 문자 그대로 "해돋이", "동쪽"을 의미하며, sh-r-q 뿌리에서 파생된 동사 ''sharaqa''에서 유래되었다.[3][4]
유럽과 미국에서는 동서양 세계를 각각 오리엔트와 옥시덴트(Occident)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21] 이스트(east)와 웨스트(west), 오리엔트와 옥시덴트는 모두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라틴어이며, 원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21] "오리엔트"의 어원은 라틴어로 "해가 뜨는 방향"(=동)을 의미하는 오리엔스(Oriens)이다. 영어의 이스트나 독일어의 오스트(ost) 등은 그리스 신화의 에오스(새벽녘의 여신)에서 유래한다.[21]
"오리엔탈리즘"은 원래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당시 프랑스에서 생겨난 말로, 처음에는 프랑스를 필두로 하는 유럽 제국의 오리엔트 지배를 위한 연구를 의미했다.[22]
영국 영어에서 "오리엔탈"은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출신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도 있어 사용을 피하도록 권장된다.[11][12][13] 영국에서 "아시아인"은 남아시아 출신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14]
대한민국은 역사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하며, 유교적 전통과 가치관이 사회 전반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동방예의지국'이라는 표현은 한국의 유교적 전통과 예절 문화를 강조하는 말로 사용되어 왔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오리엔탈'이라는 용어가 조선을 식민 지배하는 이데올로기로 사용되기도 했다.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ORIENTAL
https://www.merriam-[...]
2022-12-27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와 반대되는 개념인 '옥시덴트(Occident)'는 '서쪽'을 뜻하는 라틴어 'Occidens'에서 유래했으나, 현대 영어에서는 '서방 세계'라는 표현으로 대체되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개념의 형성
유럽에서는 이스트, 오리엔트, 아시아와 같은 개념이 "유럽 이외의 것"에 대한 개념으로 형성되었다.[21] 이러한 내용은 본래 천차만별이며 국가나 무엇에 초점을 맞춘 논의인가에 따라 일률적이지 않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오리엔트 연구는 중근동에서 일본까지 전 아시아 지역을 포함한다.[21] 홍콩에서 1954년에 창간된 『저널 오브 오리엔탈 스터디즈』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주로 다룬다.[21]
일본어에서 "오리엔트"는 고대 이집트, 고대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하여 터키, 팔레스타인, 페르시아(이란)까지 뻗어 나가는 "고대 오리엔트"를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리엔트 학"도 참조할 수 있다. 지금의 "중동" 영역과도 상당히 겹치는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이 일어난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4. 오리엔트의 역사적 의미 변화
로마 제국 시대에 디 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오리엔트 관구를 설치하면서 '오리엔트'라는 용어를 행정 구역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하기 시작했다.[5]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럽인들의 인식 속에서 오리엔트의 범위는 점차 동쪽으로 이동하여, 결국 태평양 지역까지 포괄하게 되었다.
19세기에는 인도와 중국이 오리엔탈리스트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었고,[6] '오리엔탈'이라는 용어는 동양적인 특징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7] 20세기 중반까지 서구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오리엔트를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동부 중앙아시아로 간주했다.[5] 현대에는 '오리엔트'라는 용어가 주로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몽골 등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연상시키는 경향이 있다.[5]
5. 오리엔탈리즘
19세기 중반, 근동을 소재로 한 회화가 유럽에서 유행하면서 이러한 예술 사조를 "오리엔탈리즘"이라고 불렀다.[22]
1978년, 에드워드 사이드는 저서 『오리엔탈리즘』에서 서양이 동양에 대해 가지는 왜곡된 인식과 편견을 비판하며, 이를 "오리엔탈리즘"이라고 정의했다.[21] 사이드가 『오리엔탈리즘』에서 주로 다룬 것은 중근동의 이슬람 세계이며, 중국과 일본은 포함되지 않았다.[21]
6. 현대적 용법
미국 영어에서 "오리엔탈"은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경멸적인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17] 1960년대와 70년대 초반 미국의 반전 운동과 함께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이 용어를 서구적 과정과 동일시했다.[18] 2016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연방법에서 이 단어를 ''아시아계 미국인''으로 대체하는 법안에 서명했다.[19][20]
중국에서는 '오리엔탈'을 '동방 (东方)'으로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 오리엔탈 아트 센터, 중국동방항공)
우루과이의 공식 명칭은 '우루과이 동방 공화국'이며, '동방(Oriental)'은 우루과이 강 동쪽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독일어에서 '오리엔트(Orient)'는 근동과 동아시아 사이의 지역(이스라엘, 아랍 세계, 대이란 등)을 의미하며, '아침의 땅(Morgenland)'이라는 시적인 표현도 사용된다.
7. 한국과 오리엔트
현대 한국 사회에서 '오리엔트'라는 용어는 긍정적, 부정적 의미를 모두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서 신중하게 사용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참조
[2]
서적
Chinese Characters: A Genealogy and Dictionary
http://zhongwen.com/[...]
Han Lu Book & Pub. Co.
2010-10-26
[3]
서적
Abu Al-Ḥasan Al-Shushtarī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4]
서적
African Folklor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12-12
[5]
서적
The myth of continents: a critique of metage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ù Africa
2011-11-08
[6]
서적
War and Peace
Penguin
1957
[7]
서적
History of the Conquest of Mexico
Random House Modern Library
[8]
간행물
Drawing of Saturn
Royal Society
[9]
웹사이트
Senate bill (pdf file)
http://www.leg.wa.go[...]
[10]
서적
American Criticism
New York Standard
[11]
웹사이트
Oriental Countries
https://aboutjapan.j[...]
[12]
학술지
Language matters: The vocabulary of racism in health care
http://journals.sage[...]
2005-01
[13]
뉴스
Judges given new advice on political correctness
http://www.independe[...]
2012-01-26
[14]
웹사이트
2021 Census: Ethnic group, England and Wales
https://www.ons.gov.[...]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22-11-29
[15]
웹사이트
2011 Census: KS201UK Ethnic group, local authorities in the United Kingdom, Accessed 19 April 2014
http://www.ons.gov.u[...]
[16]
웹사이트
orient: definition of orient in Oxford dictionary (British & World English)
https://web.archive.[...]
2014-04-12
[17]
웹사이트
Definition of ORIENTAL
https://www.merriam-[...]
[18]
웹사이트
Oriental: Rugs or People?
http://journalism.ny[...]
2012-10-05
[19]
웹사이트
Obama signs measure striking 'oriental' and 'negro' from federal law
https://thehill.com/[...]
2016-05-20
[20]
뉴스
Legislation to Remove 'Oriental' From Federal Law Passes Senate
Pacific Citizen
2016-05-20
[21]
웹사이트
明治初期の英語導入に伴う日本語概念表記の変容に関する研究
http://www.yamanashi[...]
山梨県立大学
2020-01-18
[22]
웹사이트
多様なオリエンタリズム
https://teikokushoin[...]
帝国書院
2020-01-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